KR200274321Y1 -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 Google Patents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21Y1
KR200274321Y1 KR2020020003940U KR20020003940U KR200274321Y1 KR 200274321 Y1 KR200274321 Y1 KR 200274321Y1 KR 2020020003940 U KR2020020003940 U KR 2020020003940U KR 20020003940 U KR20020003940 U KR 20020003940U KR 200274321 Y1 KR200274321 Y1 KR 200274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hinge
inclination ang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9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희 filed Critical 최영희
Priority to KR2020020003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21Y1/en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경사도를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임의대로 바꿀 수 있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which can arbitrarily change the backrest inclina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a user's posture.

본 고안은 다수의 다리, 좌판,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gs, seat plate, backrest and backrest support frame, the hing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nd rotatably fixing the backrest,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to the backrest And a stopper fixed to the backrest support frame, and a stopper formed above and below the support part to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Description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경사도를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임의대로 바꿀 수 있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which can arbitrarily change the backrest inclina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a user's posture.

일반적으로 의자는 다수 개의 다리와 좌판 그리고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는 자세의 지지조건이 합리적이고 적당한 탄성을 가져야 장시간 앉아 있어도 피곤하지 않다. 따라서 의자는 등받이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좌판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리에 바퀴를 설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들이 부가될수록 제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단가가 급격히 상승되므로 일반 대중적인 제품에는 이러한 기능들이 갖추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In general, a chai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gs and seat plates and backrests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aist. These chairs have reasonable posture and moderate elasticity so that they are not tired even if they sit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chair has been developed to be able to freely adjust the back angle of inclination, to rotate the seat plate and to move freely by installing wheels on the legs. However, as these functions are added,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is complicated and the unit price is rapidly increased, so it is difficult for these products to be equipped with the general public.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는 대중적인 의자, 예를 들어 업소용, 회의용 또는 강의용에 사용되는 철재 의자에도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의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가 요청되고 있다.Therefore, a popular chair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for example, a chair equipped with a simple structure of the backrest inclination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s also required for steel chairs used for business, conference or lecture.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을 구비한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having a relatively simple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means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for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3의 분해도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판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6 : 등받이 지지 프레임 7 : 등받이6: backrest support frame 7: backrest

8 : 등받이 프레임 9 : 힌지부 고정판8: back frame 9: hinge fixing plate

20 :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 30 : 힌지부20: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30: hinge portion

33 : 힌지축 35 : 너트33: hinge shaft 35: nut

36 : 나사산 37 : 고정판36: thread 37: fixed plate

50 : 지지부 60 : 제한부50: support part 60: restriction pa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다리, 좌판,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gs, seat plate, backrest and backrest support frame, the hing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to rotatably fix the backrest, the hinge port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opper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support the backrest to secure the backrest to the backrest support frame, and formed on top and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to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힌지부는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각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너트를 등받이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으로 구성된다.And the hin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axis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back of the backrest, the polygonal nut to which both ends of the hinge axis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nut is bent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It consists of a fixed plate for fixing to the back of the backrest.

또한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너트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nut is formed.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는 소정길이 돌출된 스페이스 봉과 상기 스페이스 봉을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로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ace ro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of the hinge axis and a crosspiece for fixing the space rod to the back support frame.

그리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가로대의 상부로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형성된 상부 스토퍼와 상기 가로대의 하부로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miting part may include an upper stopper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rosspiece, and a lower stopper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rosspiece.

그리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폼 러버나 우레탄 폼 등과 같은 쿠션재의 내부에 내설되어 등받이의 상하단부에 소정의 쿠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ack frame is built in the interior of the cushioning material such as foam rubber or urethane foam,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redetermined cushion portion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ckres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4는 도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판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means, Figure 4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s 5 and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고정식 다리(3)와 좌판(5) 그리고 등받이(7)로 구성된 철재 프레임 의자이다. 상기 철재 프레임(10)은 네 개의 다리(3)와 상기 좌판(5)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좌판 지지 프레임(4)과, 상기 좌판 지지 프레임(4)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7)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 프레임(6)으로 구성되어 있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s a steel frame chair consisting of four fixed legs 3, the seat plate 5 and the backrest (7). The steel frame 10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ar plate supporting frame 4 and the seat plate support frame 4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so as to support the four legs (3) and the seat plate (5) The backrest support frame 6 which supports the said backrest 7 is compris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도2의 배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7)의 배면에 등받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사용자 임의대로 등받이(7)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3의 부분 확대도와 도4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20)은 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등받이(7)를 등받이 지지 프레임(6)에 고정시키는 지지부(50), 상기 지지부(5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등받이(7)의 경사도를 제한하는 제한부(6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8은 등받이(7)를 구성하는 등받이 프레임이다.In addition,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is provided with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20 that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n the back of the backrest (7). Therefor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7) as the user. That is, as shown in the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3 and the exploded view of Figure 4, the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20 is a hinge portion 30 for rotatably fixing the backrest,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backrest It consists of the support part 50 which fixes 7 to the back support frame 6, and the limit part 60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aid support part 50, and restric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7. As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backrest frame constituting the backrest 7.

상기 힌지부(30)는 등받이(7)의 배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힌지축(33)과, 상기 힌지축(33)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각형상의 너트(35)와, 상기 너트(35)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너트(35)를 등받이(7)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3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37)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체결볼트(39)를 체결하면 상기 힌지부(30)가 등받이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30)는 등받이 프레임(8)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힌지부 고정판(9)에 고정되게 된다.The hinge portion 30 includes a hinge shaft 33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7, a polygonal nut 35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3, and the nut. It is made of a fixing plate 37 that is bent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35 to fix the nut 35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7.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bolt 39 is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38 formed in the fixing plate 37, the hinge part 30 is rotatab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At this time, the hinge part 30 is fixed to the hinge part fixing plate 9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backrest frame 8.

한편, 도4의 분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33)의 양단부에는 상기 너트(35)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사산(3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힌지축(33)에 나사산(36)을 형성하면, 힌지축(33)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35)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축(33)이 좌우로 슬라이드 되는 것이 방지되어 등받이(7)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exploded view of Figure 4,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read 36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nut 35 a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3). As such, when the thread 36 is formed on the hinge shaft 33, the hinge shaft 33 is slid left and right because the screw 36 is screwed into the thread of the nut 3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3. It is prevented to be able to stably fix the backrest (7).

또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7)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등받이(7)의 배면에 설치된 힌지부(30)와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6)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회동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지부(50)가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0)는 힌지축(33)의 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된 스페이스 봉(53)과 상기 스페이스 봉(53)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가로대(55)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in order to rotate the backrest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ound the hinge portion 30, the hinge portion 30 and the back support frame 6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7 The support part 50 which can be spaced apart by this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ensure sufficient space for rotation is provided.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50 is a cross bar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space rod 53 and the space bar 53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ear of the hinge shaft 33 It consists of 55.

한편, 상기 등받이(7)의 경사도를 제한하는 제한부(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55)의 상부로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상부 스토퍼(63)와, 상기 가로대(55)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 스토퍼(65)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63,65)는 의자의 전체적인 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지인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로대(55)와 유사한 굵기를 갖는 원형 봉이다.On the other hand, the limiting portion 60 for limi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7) is,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stopper 63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piece 55, the crosspiece ( It consists of a lower stopper (65) provid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55. As shown, the stoppers 63 and 65 may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hair, and are preferably circular rods having a thickness similar to that of the crosspiece 55.

따라서 도5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등받이(7)가 회동하는 경우, 등받이(7)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최대 경사각)은 상부 스토퍼(63)의 높이(및/또는 곡률)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등받이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최소 경사각)은 하부 스토퍼(65)에 의해 결정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backrest 7 rotates around the hinge portion 30, the backrest 7 inclined backward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topper 63. It is determined by the height (and / or curvature), and it is determined by the lower stopper 65 that the backrest stands vertically (minimum inclination angle).

즉,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사용자가 곧은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에는 등받이가 거의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는 경우, 예를 들어 상체를 뒤로 재껴 허리를 펴는 경우에는 등받이(7)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7)는 상부 또는 하부의 일부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7) 전체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를 전체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앉아 있을 때, 주기적으로 등받이(7)를 기울여 허리를 펴면 허리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완화시켜 요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backrest almost vertical when the user is sitting in a straight posture, and when the user changes his posture, for example, by folding his upper body back to straighten his back (7). Is tilted rearward to allow the user a comfortable posture. At this time, the backrest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nly move a part of the upper or lower part but supports the user's waist as a whole because the entire backrest 7 is inclined. Therefore,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by periodically tilting the backrest 7 to straighten the waist to reduce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wais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ack pai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등받이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8)을 폼 러버나 우레탄 폼 등과 같은 쿠션재로 이루어지 등받이 판(13)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등받이가 적당한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등받이 판(13)의 상단부(15)와 하단부(17)에는 충분한 길이의 쿠션부를 형성함으로써 목이나 허리부분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등받이(7)를 눕힐 때 상단 쿠션부(15)는 목을 부드럽게 받쳐주고 하단 쿠션부(17)를 허리를 받쳐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backrest frame 8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foam rubber or urethane foam, so that the backrest is suitable cushion by installing the inside of the backrest plate 13 To have it. In particular, the upper end 15 and the lower end 17 of the back plate 13 to form a cushion of sufficient length so as not to impact the neck or waist. Therefore, when the backrest 7 is laid down, the upper cushion part 15 gently supports the neck and supports the lower cushion part 17 at the wai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등받이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쉽게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back as the user can sit for a long time without straining the user's waist.

또한 본 고안은 등받이 판이 소정의 쿠션을 갖는 쿠션재로 만들어지고 등받이 프레임이 그 내부에 설치되므로 등이나 목 또는 허리에 적당한 쿠션을 주어 편안하고 안락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back plate is made of a cushio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cushion and the back frame is installed therein, giving a suitable cushion to the back, neck or waist to b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힌지축의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힌지부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아 상기 등받이가 안정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and a nut having a female threa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the hinge portion does not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stably fixing the backrest.

Claims (6)

다수의 다리, 좌판,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plurality of legs, seat plates, backrests and backrest frames,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와;A hinge par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to rotatably fix the backrest;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와;A support part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inge part to fix the backrest to the backrest support frame;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도를 제한하는 제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Chairs hav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limi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부는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각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너트를 등받이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The hinge portion has a hinge shaft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a polygonal nut in which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bent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and the nut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Chair with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ing plate for fix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너트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Both ends of the hinge shaft is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nut is provided with a chair back tilt angle adjus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는 소정길이 돌출된 스페이스 봉과 상기 스페이스 봉을 상기 등받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The support unit is a chair having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ace ro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of the hinge axis and a crosspiece for fixing the space rod to the back support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한부는 상기 가로대의 상부로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형성된 상부 스토퍼와 상기 가로대의 하부로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The limiting part is provided with an upper stopper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piece and a lower stopper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폼 러버나 우레탄 폼 등과 같은 쿠션재의 내부에 내설되어 등받이의 상하단부에 소정의 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The backrest frame is a 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ckrest, such as foam rubber or urethane foam.
KR2020020003940U 2002-02-07 2002-02-07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KR2002743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40U KR200274321Y1 (en) 2002-02-07 2002-02-07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40U KR200274321Y1 (en) 2002-02-07 2002-02-07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21Y1 true KR200274321Y1 (en) 2002-05-04

Family

ID=7307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940U KR200274321Y1 (en) 2002-02-07 2002-02-07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2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86A (en) * 2020-06-09 2021-12-16 김주현 Angle regulition apparatus of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86A (en) * 2020-06-09 2021-12-16 김주현 Angle regulition apparatus of chair
KR102391758B1 (en) * 2020-06-09 2022-04-29 김주현 Angle regulition apparatus of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867B2 (en) Breastfeeding chair
CA2057712C (en) Back support and internal frame
ES2240462T3 (en) CHAIR.
JPH0146127B2 (en)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KR101135969B1 (en) Back for chair
WO1989009557A1 (en) An adjustable lumbar cushion used for chairs, arm-chairs and others
KR100428434B1 (en)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JPH1066629A (en) Movable chair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KR200274321Y1 (en) Chair with mean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the back
KR200438932Y1 (en) Adjustable chair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KR100844086B1 (en) A kneeling office chair
KR101071058B1 (en) Folding type supporter apparatus of chair
KR20140068501A (en) A folding type chair without legs
JP2014046131A (en) Seat structure of chair
KR200340269Y1 (en) Tilting structure for student chair
JP6196438B2 (en) Rocking chair
KR101056076B1 (en) Chairs with backing members compatible with waist and headrest
JP2020058759A (en) Chair
KR102280504B1 (en) Posture correction chair
KR100731804B1 (en) A rocking chair
KR20100007999U (en) chair of controling angle of inclination
KR102189736B1 (en)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