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736B1 -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 Google Patents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736B1
KR102189736B1 KR1020180123254A KR20180123254A KR102189736B1 KR 102189736 B1 KR102189736 B1 KR 102189736B1 KR 1020180123254 A KR1020180123254 A KR 1020180123254A KR 20180123254 A KR20180123254 A KR 20180123254A KR 102189736 B1 KR102189736 B1 KR 10218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rest
user
seat plate
chai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2729A (en
Inventor
석승선
허인숙
Original Assignee
석승선
허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승선, 허인숙 filed Critical 석승선
Priority to KR102018012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7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4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Abstract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가 개시된다.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는,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Disclosed is a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In the body-mounted work chair (A) provided with a breastrest capable of supporting the chest to prevent the user's body from tilting forward in a sitting position, the breastrest is The provided body-mounted work chair (A) includes a seat plate portion 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2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plate 10 and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breastrest 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plate 10,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chest; And a driving unit 40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nd is separated from the floor by a certain distance or moves easily while a user is seated. Including,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rest 20 ) And the breastrest 30 may b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having elasticity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as one body.

Description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본 발명은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의 전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슴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함으로써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mounted work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breastrest having elasticity in the front of the chair to prevent the user's body from tilting forward, the sitting posture is It relates to a body-mounted work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that can provide stability and comfort when used for a long time by correcting and maintaining a correct posture.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떠받쳐 주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배면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부를 갖는 구성을 갖는다.In general, a chair is supported with a seat plate that supports the buttocks of a seated person, a backrest that is erected on the back of the seat plate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nd the seat plate and the backrest are spaced from the ground by a certain height. It has a configuration having a leg to be able to.

이러한 의자는 가정용 의자(공부의자, 식탁의자 등), 사무용 의자, 강연/강의실 의자, 업소용 의자(식당, 미용실, 공연장, 극장 등)와 같이, 다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Such chairs ar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home chairs (study chairs, dining chairs, etc.), office chairs, lecture/classroom chairs, and business chairs (restaurants, beauty salons, performance halls, theaters, etc.).

상기와 같은 의자는 재질ㆍ소재ㆍ구조와 관련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인체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장시간 착석하였을 때에도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다.As for the above chairs, technologies related to materials, materials, and structur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cently, based on ergonomic design, chairs that do not cause strain on the spine even when seated for a long time have been developed.

그러한 이유는, 사람들은 잠자는 시간 외에는 대부분 서서 있거나 앉아 있게 되어, 허리의 디스크가 상체의 체중으로 인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고,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할 때에 사람들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구부정한 자세로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게 되면, 허리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디스크에 통증이 발생하고 척추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most people are standing or sitting outside of sleeping hours, so the disc in the lower back is constantly under pressure from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and when sitting in a chair and reading a book or working for a long time, people have their heads bowed forward. In many cases, if you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in such a bent position, pain may occur in the disc and the spine may bend due to tension in the back muscles.

종래의 경우,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가 다수 개발되었으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반쯤 누울 수 있는 형태의 의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a number of chair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c of the lower back or to correct the posture, and briefly look at this,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lower back by utilizing the curves of the hips and spine, or to lie down halfway by tilting the backrest back. Chairs dominate.

이와 같은 종래 의자는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르게 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는 있었으나,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서 자세 교정이 안 되거나 허리를 편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chair was able to equaliz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k of the lower back or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k, but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reading a book or work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so posture correction is not possible or There was a limit to comfort.

최근에는 이러한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의자의 전방 즉, 착석자의 복부와 가슴 쪽을 받칠 수 있는 상체 지지구(일명, 가슴받이부)가 마련된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conventional chair, a chair provided with an upper body support (a.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727호(2010826 공개)에는 "가슴받이 의자"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가슴받이 의자는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도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Among them,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60727 (published 2010826) discloses a "bassinet chair", which corrects a sitting posture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and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even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It is an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chair that can feel comfortable and comfortabl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가슴받이대가 의자의 전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 웜, 웜휠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body-mounted work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otor, a worm, and a worm wheel are configured to operate organically so that the breastrest can rotate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ir. It is a diagram showing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10)과,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50)와, 상기 좌판(10)과 다리부(50)를 연결하는 지지봉(51)을 구비하는 의자As shown in FIGS. 1 to 3, the breastrest chair includes a seat plate 10 on which a seated person's buttocks are seated, a leg portion 50 disposed under the seat plate 10, and the seat plate 10 A chair having a support rod 51 connecting the body and the leg part 50

본체, 착석자가 상기 좌판(10)에 앉아서 앞쪽으로 기댈 수 있도록 착석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가슴받이대(30) 및 상기 가슴받이대(30)를 상기 의자 본체에 연결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슴받이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의자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body, the breastrest 30 disposed in front of the chest of the occupant so that the occupant can sit on the seat plate 10 and lean forward, and the breastrest 30 at one end to connect the breastrest 30 to the chair body. It is coupled to the stand 30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on member 40 coupled to the chair body.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대(30)는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쪽인 등받이(20)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40)의 타단부에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51)에 끼워져 결합되는 웜휠(4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4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0)와, 상기 모터(60)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웜휠(47)에 기어결합되는 웜(61)이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reastrest 30 is between a first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and a second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backrest 20, which is behind the user's back. For this purpose, a worm wheel 47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n a ring shape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bar 51,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rotates A motor 6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as possible and a worm 61 that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60 and geared to the worm wheel 47 are provided.

따라서, 상기 가슴받이대(30)가 좌판(10)의 앞쪽, 즉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치우칠 때 사용자의 가슴이 가슴받이대(30)에 지지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안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s upper body is tilted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breastrest 30 is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in front of the seat plate 10, that is, in front of the user's ches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0 Since the chest is supported by the chest rest 30, not only does not strain on the waist, but also maintains a comfortable posture for a long time, and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posture.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20)에 기대거나 할 때에는 상기 모터(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웜(61)과 웜휠(47) 사이의 기어결합에 의하여 웜휠(47)이 회전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받이대(30)가 등받이(20)의 뒤 쪽, 즉 사용자의 등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상기 가슴받이대(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통상의 의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eans on the backrest 20, the motor 6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worm wheel 47 is rotated by a gear engagement between the worm 61 and the worm wheel 47,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breastrest 30 moves to a second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backrest 20, that is, behind the user's back. When the breastrest 3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in this way, it can be used like a normal chair.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슴받이대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모터(60), 웜(61), 웜휠(47)을 지지봉(51)과 연결부재(40) 끝단 사이에 배치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장기간 사용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structurally very complicated to arrange the motor 60, the worm 61, and the worm wheel 47 between the end of the support rod 51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in order to rotate the breastrest as described above, and manufacturing cost This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decreases during long-term use.

또한, 상기 가슴받이 의자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40)가 등받이(20) 뒤쪽으로 회동되도록 연결부재(40)의 제2연결부(46)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고 있는 데, 이로 인해 연결부재(40)의 회동 반경이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reastrest chair,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6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s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40 rotates to the rear of the backrest 20, and thus the connecting member (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rotation radius of 40) was increased overall.

또한, 등받이(20)가 고정된 형태로서 장시간 사용 시 허리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the backrest 20 is fixed,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fatigue of the waist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의자의 무게가 무거워 운반을 하거나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or move the chair due to the heavy weigh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72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0727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 등받이 및 가슴받이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단가를 줄이고, 등받이 및 가슴받이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여 장시간 양손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더라도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며, 하부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캐스터를 굴려서 용이하게 이동할수가 있게되어 작업시에 사용이 편리하게되고,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by forming a seat plate part, a backrest, and a breastrest into an integral stru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o make the backrest and the breastrest have elasticity. Therefore, even if you work with both hands for a long time, it provides stability and comfort without straining the waist, and the caster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so that you can easily move it by rolling the caster, making it convenient to use during work and due to its light weight. It is to provide a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mov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는,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attach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reastrest capable of supporting the chest so that the user's body cannot be tilted forward in a sitting position. In the body-mounted work chair (A), the body-attached work chair (A) provided with the breastrest, the seat plate portion 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2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plate 10 and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breastrest 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plate 10,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chest; And a driving unit 40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nd is separated from the floor by a certain distance or moves easily while a user is seated. Including,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rest 20 ) And the breastrest 30 may b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having elasticity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as one body.

또한,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는,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ward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가슴받이(30)는,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다리공간부(3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strest 30 may be provided with a leg space portion 32 formed in which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가슴받이(30)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strest 30 may have a pad 33 made of a soft material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캐스터(40a)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40 may be a caster 40a tha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corners of the seat plate 10.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암(4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암(42) 단부에 바퀴(43)가 축설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 plurality of arms 42 extend radially, and a wheel 43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arms 42, It may be a leg 40b for a rotary 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부(10)가 고정된 상태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 및 다각형의 관 또는 원기둥 및 다각형기둥 구조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받침부재(40c)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certain height while the seat plate 10 is fixed, and the cylindrical and polygonal tubes or cylinders and polygonal columns As a structure, it may be a support member 40c extending vertically.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 등받이 및 가슴받이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신속하게 다량을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게를 줄이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by forming a seat plate part, a backrest, and a breastrest in an integral stru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둘째, 등받이 및 가슴받이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작업자의 가슴과 등에 밀착되어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backrest and the breastrest are made to have elasticity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orker's chest and back so that they can work comfortably,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correct the sitting postur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providing stability and comfort when using for a long time. It can have an effect.

셋째,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운반이 용이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작업중에 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t is easy to carry due to its light weight, and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move easily while seated in a chair when moving while using a chair.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가슴받이대가 의자의 전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 웜, 웜휠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에 사용자가 가슴을 기댄 상태로 착석한 모습의 사용상태도.
1 to 3 are views showing a body-mounted work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otor, a worm, and a worm wheel are configured to operate organically so that the breastrest can rotate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ir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of Figure 4;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of Figure 4;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ing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ate of use of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hest rests on the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the breastrest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에 사용자가 가슴을 기댄 상태로 착석한 모습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 chair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body-mounted work chair with a breastrest of Figure 4, Figure 6 is Fig. 4 is a side view of the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the breastrest of FIG. 4, and FIG. 9 is a use state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user sits on the body-mounted work chair with the breastrest of FIG.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크게 좌판부(10), 등받이(20), 가슴받이(30) 및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to 6 and 9, the body-mounted work chair (A) provided with the breas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seat plate (10), a backrest (20), a breastrest (30) and a driving part ( 40)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의자의 전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슴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함으로써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body-mounted work chair (A)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eastrest that has elasticity in the front of the chair and supports the chest so that the user's body does not tilt forward, thereby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and correcting the correct posture. It relates to a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rest that can maintain and provide stability and comfort when used for a long time.

먼저, 상기 좌판부(1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 시 둔부를 감싸안 듯 잡아주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판부(10)의 후면부분에서 전면부분으로 점차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전면부분에 비해 후면부분의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촤판부(10) 상부에는 밀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릴콘 등 재질의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First, the seat plate 10 is a part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nd is basically formed in a flat plate-like structure, bu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to form a smooth curved surface, so that the user holds the buttocks as if to wrap it when seated. Can be formed as 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seat plate 10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rear portion to the front portion, the area of the rear portion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ront por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ad (not shown)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char plate 10 to prevent slipping.

다음으로,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등받이(20)는 좌판부(10)의 후면부분이 연장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허리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의 제 1 곡면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완만한 곡면을 그리 듯 휘어진 허리에 상기 제 1 곡면부(21)의 내측면이 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곡면부(21)의 가로 폭을 상기 등받이(20) 상부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Next, the backrest 20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plate 10 and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user's back. The backrest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plate 10 is extended, and a first curved portion 21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ward the user's body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waist. .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urved waist as if drawing a gentle curved surface,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user's waist. 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ave elasticity.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 may be selectively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20.

다음으로, 상기 가슴받이(30)는,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 즉, 흉골(胸骨) 부근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슴받이(30)는 좌판부(10)의 전면부분이 연장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가슴 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해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의 제 2 곡면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좌판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앞을 향해 편안한 자세로 약간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가슴을 지지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Next, the breastrest 3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plate 10 and is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a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chest, that is, near the sternum (胸骨). The breastrest 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plate 10 is extended and has a second curved portion 31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ward the user's body in order to support it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Can be formed. That is,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support the chest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plate 10 and slightly bent at the waist in a comfortable position toward the front. 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ave elasticity.

이때, 상기 가슴받이(30)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다리공간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공간부(32)는 사용자의 다리, 즉 허벅지 부분이 놓여지게 되는 부분으로서, 중심부분의 폭을 좁게 완만한 곡선을 그리 듯 중심부분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 후 다리를 뻗은 상태에서 다리를 모을 경우 편안한 자세로 다리를 모을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is case, a leg space 32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eastrest 30. The leg space part 32 is a part on which the user's leg, that is, the thigh part, is placed, and forms a groove toward the center part as if drawing a gentle curve to narrow the width of the center part, and the user extends the leg after seating. When the legs are gathered in, it is to provide space so that they can be gathered in a comfortable position.

한편, 상기 가슴받이(30)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즉 가슴받이(30)에 있어 사용자의 가슴과 접촉되는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를 부착하여 사용자로하여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는 상기 등받이(20) 부분에도 상기 패드(33)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reastrest 30 may have a pad 33 made of a soft material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That is, by attaching a pad 33 made of a soft material to a portion of the breastrest 3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ad (not shown) serving the same role as the pad 33 may be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backrest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이와 같이, 상기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seat plate portion 10,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may be formed as one body in an integrated structure having elasticity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부분이다.Lastly, the driving unit 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nd is a part for easily moving or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loor.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캐스터(40a)일 수 있다. 즉 상기 캐스터(40a)는 어떠한 방향으로든 회전이 가능한 바퀴로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driving unit 40 may be a caster 40a provided in a plurality of near corners of the seat plate 10. That is, the caster 40a is a wheel that can rotate in any direction and can be easily moved while the user is sea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 chair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mounted work chair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는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riving unit 40 may be a leg 40b for a rotating chai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10.

상기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는 상기 좌판부(10) 저면 중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중심봉(41)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봉(41) 단부에 다수 개의 암(4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암(42) 단부에 바퀴(43)가 축설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는 여러 방향을 향해 설치된 바퀴(43)를 통해 어느 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판부(10)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어 용도 및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다양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rotary chair leg 40b has a height-adjustable center bar 41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nd a plurality of arms 42 extend radially at the end of the center bar 41, Wheels 43 are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arms 42. As such, the rotary chair leg 40b is not limited to any one direction through the wheels 43 installed toward various directions, and smooth movement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plate 10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by variousl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body shape of the user.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40c)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driving unit 40 may be a support member 40c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상기 받침부재(40c)는 상기 좌판부(10)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40c)는 원통형 및 다각형의 관 또는 원기둥 및 다각형기둥 등 다양한 구조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체형 구조의 상기 좌판부(10),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로 구성된 일체형 몸체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바닥과 닿는 부분이 평평하여 미끌어지지 않는 구조라면 그 구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The support member 40c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the seat plate portion 10 is fixed to the floor.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40c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vertically as various structures such as cylindrical and polygonal tubes or cylinders and polygonal columns. That is, so that the integrated body consisting of the seat plate 10,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of an integral structure can be kept fixed to the floor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loor. The structure and shape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contact portion is flat and does not slip.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무게를 줄이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고,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몸을 앞으로 기울인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 상기 가슴받이(30)에 기댄 채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후 휴식을 취할 경우 상기 등받이(20)에 등을 지지한 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운반이 용이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body-attached work chair (A) equipped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orporates the seat plate 10,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through injection molding.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reduce weigh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are made to have elasticity so that the sitting posture can be correct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In addition, when working with the body inclined forward,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a comfortable position while leaning on the breastrest 30, and when taking a rest after the work is completed, the backrest ( 20), you can rest in a comfortable position while supporting your back. In addition, due to its light weight, it is easy to carry, and if you want to move while using the chair,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move while seated in the chai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A: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10: 좌판부
20: 등받이 21: 제 1 곡면부
30: 가슴받이 31: 제 2 곡면부
32: 다리공간부 33: 패드
40: 구동부 40a: 캐스터
40b: 회전식 의자용 다리 41: 중심봉
42: 암 43: 바퀴
40c: 받침부재
A: Body-mounted work chair with breast support 10: Seat plate
20: backrest 21: first curved portion
30: chest 31: second curved portion
32: leg space 33: pad
40: drive unit 40a: caster
40b: leg for swivel chair 41: center rod
42: arm 43: wheel
40c: support member

Claims (7)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하고 양손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의 중간의 제1곡면부(21)와 제2곡면부(31)는, 좌판(10)의 중심선(C)을 향하여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지게 만곡되고,
상기 가슴받이(30)의 제2곡면부(31)의 양측에는, 상기 가슴받이(30)의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다리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슴받이(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되고,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좌판부(10)의 양단부의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의 캐스터(40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In a body-mounted work chair (A) equipped with a breast support for working with both hands and supporting the chest so that the user's body cannot be tilted forward in a squat position,
The body-mounted work chair (A) provided with the breastrest,
A seat plate 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2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plate 10 and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breastrest 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plate 10 and form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chest; And
Including;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10, a driving unit 4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or for easy movement while the user is seated.
The seat plate portion 10,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are formed as one body in an integrated structure having elasticity of synthetic resin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The first curved portion 21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31 in the middle of the backrest 20 and the breastrest 30 face the user's body toward the center line (C) of the seat plate 10. Bent toward,
Leg spaces 3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1 of the breastrest 30 so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eastrest 30,
A pad 33 made of a sof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eastplate 3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The drive unit 40 is a body-mounted work chair provided with a breast res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sters (40a) are installed near the corners of both ends of the seat plate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23254A 2018-10-16 2018-10-16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KR102189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en) 2018-10-16 2018-10-16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en) 2018-10-16 2018-10-16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29A KR20200042729A (en) 2020-04-24
KR102189736B1 true KR102189736B1 (en) 2020-12-11

Family

ID=7046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en) 2018-10-16 2018-10-16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7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8Y1 (en) 2002-12-20 2003-03-12 최현진 Leg for chair
KR101503305B1 (en)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seat for toddlers and movable plate of the seat for toddl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27B1 (en) 2009-02-17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KR20110001387U (en) * 2010-12-24 2011-02-09 최종은 Chair for inducing correcting the spine
KR20160008316A (en)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8Y1 (en) 2002-12-20 2003-03-12 최현진 Leg for chair
KR101503305B1 (en)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seat for toddlers and movable plate of the seat for todd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29A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55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5690389A (en) Pneumatic, ball-shaped chair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AU623114B2 (en) A bedstead
US10806259B2 (en) Lounge chair with ergonomic features
CN107411394A (en) Back-supported component for the chair back of chair
US7052088B2 (en) Reclining chair
KR100886181B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KR102189736B1 (en)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CN100488407C (en) Deckchair
EP2981194B1 (en) Part with adjustable configuration for realizing armrests or backrests for seats
KR101496727B1 (en) A folding type chair without legs
EP3381330A1 (en) Improved self-adjustable backrest device
KR101069192B1 (en) A chair with a vertically pivotable supporting part which can be used as a chest rest, arm rest and foot rest
KR100942429B1 (en)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US20200383483A1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KR101062298B1 (en) Chair with pivotal seat
US20180344038A1 (en) Self-adjustable backrest device
US20200237100A1 (en) Self-adjustable backrest device
KR20130001400U (en) Functional Chair
JP7078263B2 (en) Chair
KR102290271B1 (en) Multi-function Chair
KR100965266B1 (en) A chair has an correct posture induction function
JP3130289U (en) Chair leg structure with human body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