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65Y1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65Y1
KR200272065Y1 KR2020020002734U KR20020002734U KR200272065Y1 KR 200272065 Y1 KR200272065 Y1 KR 200272065Y1 KR 2020020002734 U KR2020020002734 U KR 2020020002734U KR 20020002734 U KR20020002734 U KR 20020002734U KR 200272065 Y1 KR200272065 Y1 KR 200272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hole
hinge
receiving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규
Original Assignee
장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규 filed Critical 장복규
Priority to KR2020020002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65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 힌지의 중간 수용공과 회동 힌지의 상단 또는 하단 수용공과 결합축에 각각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하는 수단을 형성한 힌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도어 스테이가 없이도 도어를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장치{hinge device}
본 고안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 중계용 통신기기의 케이스의 도어에 사용되며 자체 내에 정지 수단을 구비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본체과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는 그 일측면이 힌지 장치에 의해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타측면은 래치 등의 체결 장치에 의해 본체에 체결된다.
힌지 장치는 고정 힌지와 회동 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 힌지를 케이스의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하고 회동 힌지를 케이스의 도어의 일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도어를 본체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종래의 힌지 장치는,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10)와 회동 힌지(20)가 결합축(30)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고정 힌지(10)는 기둥 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의 중간에 중간 수용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수용부(11)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중간 수용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간 수용공(12)은 중간 수용부(11)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 수용부(11)에서 중간 수용공(12)이 형성된 부분의 중간에는 키이 나사공(12a)이 중간 수용공(12)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키이 나사공(12a)에는 키이 나사(12b)가 나사결합되어 결합축(30)의 키이 홈(31)을 고정한다. 고정 힌지(10)의 전방면에는 본체(1)에 부착되는 편평한 부착면(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면(10a)의 상하부에는 본체(1)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볼트(B)로 고정되는 나사공(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동 힌지(20)도 또한 기둥 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의 상하 양단에 상단 수용부(21)와 하단 수용부(2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 및 하단 수용부(21, 23)의 각각의 중심에는 위로부터 수직으로 상단 및 하단 수용공(22, 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단 및 하단 수용공(22, 24)은 상단 및 하단 수용부(21, 23)를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단 및 하단 수용부(21, 23)들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고정 힌지(10)의 중간 수용부(11)가 끼워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 힌지(20)의 전방면에는 도어(2)에 부착되는 편평한 부착면(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면(20a)의 상하부에는 도어(2)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볼트(B)로 고정되는 나사공(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합축(30)은 그 중간에 그 외주면의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파낸 키이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힌지(10)와 회동 힌지(20)의 조립시에는, 고정 힌지(10)의 중간 수용부(11)와 회동 힌지(20)의 상단 및 하단 수용부(21, 23)를 그 각각의 수용공(12, 22, 24)이 일치되게 정렬한 후, 이 수용공(22, 24) 내에 결합축(30)을 삽입한다. 결합축(30)을 고정 힌지(10)와 회동 힌지(20)의 수용공(12, 22, 24) 내에 삽입한 후, 키이 나사(12b)를 중간 수용공(12)의 키이 나사공(12a)에 나사결합시켜 결합축(30)의 키이 홈(31) 내에 맞물리게 하면 고정 힌지(10)와 회동 힌지(2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립된 고정 힌지(10)와 회동 힌지(20)는 케이스의 본체(1)와 도어(2)에 각각 고정되는데, 본체(1) 및 도어(2)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나사(B)를 관통시켜 고정 힌지(10)의 나사공(13)과 회동 힌지(20)의 나사공(25)에 각각 결합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힌지 장치가 적용되는 케이스는 옥외 중계용 통신기기의 케이스이다. 이러한 옥외 중계용 통신기기의 케이스는, 야외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강풍이 불게 되면 도어에 바람이 작용하여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작업중 도어가 닫히게 되면 작업에 저해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신체에 상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작업중 도어가 바람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부재가 각각 본체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도어 스테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여 정지시킨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만 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힌지의 중간 수용공과 회동 힌지의 상단 또는 하단 수용공과 결합축에 각각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하는 수단을 형성한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힌지 장치를 결합하여 케이스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고정 힌지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a는 도 2의 회동 힌지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선 4b-4b를 따른 단면도,
도 5a는 도 2의 결합축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저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힌지 장치가 닫힌 상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결합축을 생략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힌지장치가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상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결합축을 생략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종래기술의 힌지 장치를 결합하여 케이스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및
도 9는 도 8의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케이스의 본체(1)에 고정되며 그 일측면의 중간에 중간 수용공(112)이 수직으로 관통된 중간 수용부(11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힌지(110)와, 케이스의 도어(2)에 고정되며 그일측면의 양단에 상단 및 하단 수용공(122, 124)이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 힌지(120)와,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회동부(120)의 각각의 수용공(112, 122, 124) 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회동부(120)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축(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및 회동 힌지(110, 120)의 각각의 전방면에는 본체(1) 및 도어(2)에 각각 부착되며 상하부에 나사공(113, 125)를 구비한 편평한 부착면(110a, 120a)이 형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용공(11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폭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부착면(110a)에 평행한 제1 장공(11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의 직경은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단 수용공(124)의 직경은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폭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부착면(120a)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제2 장공(12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나사가공부(122b)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수용공(124)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직경이 상기 하단 수용공(124)보다 더 큰 손가락 삽입공(124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축(130)은, 직경이 상기 장공(112a, 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작고 높이가 상기 중간 수용부(111)의 높이와 상기 하단 수용공(124)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큰 하부의 소직경부(131)와, 직경이 상기 제2 장공(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장공(12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은 상부의 대직경부(133)와, 단면 형상이 상기 제1 장공(112a)과 동일하며 폭방향 직경이 상기 소직경부(131)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대직경부(133)의 직경과 동일하며 높이가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의 높이와 회동 힌지(120)의 제2 장공(122a)의 높이를 합친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소직경부(131)와 대직경부(133) 사이의 정지부(1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및 중간 수용공(112)를 그 각각의 장공(112a, 122a)이 일치되게 정렬하여 상기 장공(112a, 122a) 내에 상기 정지부(135)가 안착되게 상기 결합축(130)을 삽입하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내에 스프링(126)을 삽입한 후 상기 나사가공부(122b)에 마개 볼트(127)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힌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110)와 회동 힌지(120)가 결합축(130)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110)는 기둥 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의 중간에 중간 수용부(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수용부(111)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중간 수용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간 수용공(112)은 중간 수용부(111)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 수용공(11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폭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한 제1 장공(11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공(112a)은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부착면(110a)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장공(112a) 내에는 후술하는 결합축(130)의 정지부(135)가 삽입된다.
고정 힌지(110)의 전방면에는 본체(1)에 부착되는 편평한 부착면(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면(110a)의 상하부에는 본체(1)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볼트(B)로 고정되는 나사공(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a 및 도 4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힌지(120)도 또한 기둥 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의 상하 양단에 상단 수용부(121)와 하단 수용부(12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의 각각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상단 및 하단 수용공(122, 1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단 및 하단 수용공(122, 124)은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를 각각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들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가 끼워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 힌지(120)의 전방면에는 도어(2)에 부착되는 편평한 부착면(1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면(120a)의 상하부에는 도어(2)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볼트(B)로 고정되는 나사공(1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단 수용공(122)의 직경은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하단 수용공(124)의 직경은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다.
또한,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폭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한 제2 장공(12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장공(122a)은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부착면(120a)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 바람직하게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결합축(130)과 스프링(126)을 삽입한 후 마개 볼트(127)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가공부(122b)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 수용공(124)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결합축(130)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해 직경이 하단 수용공(124)보다 더 큰 손가락 삽입공(124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130)은 하부의 소직경부(131), 상부의 대직경부(133) 및 상기 소직경부(131)와 대직경부(133) 사이의 정지부(135)로 이루어져 있다.
소직경부(131)의 직경은 장공(112a, 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작고, 대직경부(133)의 직경은 제2 장공(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크고 제2 장공(12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소직경부(131)의 높이는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높이와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더 커야 한다.
정지부(135)의 단면 형상은 제1 장공(112a)과 동일하며, 정지부(135)의 폭방향 직경은 소직경부(131)의 직경과 동일하고, 정지부(135)의 길이방향 직경은 대직경부(133)의 직경과 동일하다. 정지부(135)의 높이는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의 높이와 회동 힌지(120)의 제2 장공(122a)의 높이를 합친 높이와 동일하다.
이하, 고정 힌지(110)와 회동 힌지(120)를 결합축(130)에 의해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와 회동 힌지(120)의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를 그 각각의 수용공(112, 122, 124)이 일치되게 정렬한 후, 다시 제1 장공(112a)과 제2 장공(122a)이 일치되게 정렬한다.
다음, 수용공(112, 122, 124) 내에 결합축(130)을 삽입하되, 결합축(130)의 정지부(135)가 제1 및 제2 장공(112a, 122a) 내에 안착되게 삽입한다. 그러면, 결합축(130)의 대직경부(133)는 회동 힌지(120)의 상단 수용공(122) 내에 삽입되고,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는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공(112) 및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 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높이가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높이와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더 크고, 소직경부(131) 위의 정지부(135)의 하반부가 제1 장공(112a) 내에 안착되므로,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하단부는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하면에서 제1 장공(112a)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다.
다음, 회동 힌지(120)의 상단 수용공(122) 내에 스프링(126)을 삽입한 후 나사가공부(122b)에 마개 볼트(127)를 체결하면, 회동 힌지(120)는 고정 힌지(1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스프링(126)이 마개 볼트(127)의 하면과 결합축(130)의 대직경부(133)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축(130)을 마개 볼트(127)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결합축(130)이 회동 힌지(12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결합축(130)의 정지부(135)의 하반부가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 내에 안착된 상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도 6b에서는 고정 힌지와 회전 힌지가 결합된 상태를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결합축을 생략하여 도시하였음).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하단부는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하면에서 제1 장공(112a)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는 장공 형태의 정지부(135)가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과 회동 힌지(120)의 제2 장공(122a)내에 모두 맞물려 있으므로, 회동 힌지(120)가 고정 힌지(110)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하면에서 돌출된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130)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스프링(126)이 수축하고, 동시에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 내에 안착된 상태의 결합축(130)의 정지부(135)의 하반부가 제1 장공(112a) 내에서 빠져 나오게 되고, 이때, 회동 힌지(120)를 회전시키면 회동 힌지(120)는 고정 힌지(11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동 힌지(120)를 약간 회전시킨 상태에서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하단부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정지부(135)의 하단부는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상면 상에 맞닿게 된다.
이렇게 정지부(135)의 하단부가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상면 상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동 힌지(120)을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힌지(120)의 부착면(120a)은 고정 힌지(110)의 부착면(110a)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게 된다(도 7b에서는 고정 힌지와 회전 힌지가 결합된 상태를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결합축을 생략하여 도시하였음). 따라서, 회동 힌지(120)에 부착된 도어(2)가 고정 힌지(110)에 부착된 본체(10)에 닫히게 된다.
반대로, 본체(1)에 대하여 닫힌 상태의 도어(2)를 개방하면, 즉, 도 7b의 상태의 회동 힌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상면 상에 맞닿은 상태의 정지부(135)의 하단부가 중간 수용부(111)의 상면 상에서 회전하다가 회동 힌지(120)의 제2 장공(122a)이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에 일치하는 위치, 즉 소정의 각도에 도달하면 스프링(126)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축(130)이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 정지부(135)의 하반부가 다시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 내에 안착하게 되어 회전 힌지(120)가 고정 힌지(110)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하단부는 다시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공(124)의 하면에서 제1 장공(112a)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다.
이상에서는,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상면과 회동 힌지(120)의 상단 수용부(121)의 하면에 각각 장공을 형성하여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단부가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부(123)의 아래로 돌출되게 하였지만, 고정 힌지(110)의 중간 수용부(111)의 하면과 회동 힌지(120)의 하단 수용부(123)의 상면에 각각 장공을 형성하여 결합축(130)의 소직경부(131)의 단부가 회동 힌지(120)의 상단 수용부(121)의 위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조립된 고정 힌지(110)와 회동 힌지(120)는 케이스의 본체(1)와 도어(2)에 각각 고정되는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및 도어(2)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에 나사(B)를 관통시켜 고정 힌지(110)의 나사공(113)과 회동 힌지(120)의 나사공(125)에 각각 결합한다.
그러나, 고정 및 회동 힌지(110, 120)의 각각의 부착면(110a, 120a)과 본체(1) 및 도어(2)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있고, 또한 볼트(B)와 본체(1) 및 도어(2)의 고정공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있다. 따라서, 야외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옥외 중계용 통신기기의 케이스는, 우천시 부착면(110a, 120a)과 본체(1) 및 도어(2) 사이의 미세한 틈과 볼트(B)와 본체(1) 및 도어(2)의 고정공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빗물이 케이스 내로 침투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힌지(110)와 회동 힌지(120)의 각각의 부착면(110a, 120a)에는 각각의 나사공(113, 125)를 포함하는 부분에 패킹용 홈(119, 12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킹용 홈(119, 129)에는 고무 패킹 시트(140)가 각각 끼워진다. 고무 패킹 시트(140)에는 나사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공의 직경보다 작은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힌지(110)와 회동 힌지(120)가 케이스의 본체(1)와 도어(2)에 각각고정될 때, 고무 패킹 시트(140)가 부착면(110a, 120a)과 본체(1) 및 도어(2) 사이의 미세한 틈을 밀봉하므로 케이스 내로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힌지 장치에 의하면, 자체 내에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도어 스테이가 없이도 도어를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의 본체(1)에 고정되며 그 일측면의 중간에 중간 수용공(112)이 수직으로 관통된 중간 수용부(11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힌지(110)와, 케이스의 도어(2)에 고정되며 그 일측면의 양단에 상단 및 하단 수용공(122, 124)이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상단 및 하단 수용부(121, 123)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 힌지(120)와,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회동부(120)의 각각의 수용공(112, 122, 124) 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회동부(120)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축(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및 회동 힌지(110, 120)의 각각의 전방면에는 본체(1) 및 도어(2)에 각각 부착되며 상하부에 나사공(113, 125)를 구비한 편평한 부착면(110a, 120a)이 형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용공(11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폭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부착면(110a)에 평행한 제1 장공(11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의 직경은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단 수용공(124)의 직경은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장공(11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으며 폭방향 직경이 중간 수용공(112)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부착면(120a)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제2 장공(122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중에서 상단 부분에는 나사가공부(122b)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수용공(124) 중에서 하단 부분에는 직경이 상기 하단 수용공(124)보다 더 큰 손가락 삽입공(124a)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축(130)은, 직경이 상기 장공(112a, 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작고 높이가 상기 중간 수용부(111)의 높이와 상기 하단 수용공(124)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큰 하부의 소직경부(131)와, 직경이 상기 제2 장공(122a)의 폭방향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장공(122a)의 길이방향 직경보다 작은 상부의 대직경부(133)와, 단면 형상이 상기 제1 장공(112a)과 동일하며 폭방향 직경이 상기 소직경부(131)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 직경이 상기 대직경부(133)의 직경과 동일하며 높이가 고정 힌지(110)의 제1 장공(112a)의 높이와 회동 힌지(120)의 제2 장공(122a)의 높이를 합친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소직경부(131)와 대직경부(133) 사이의정지부(1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및 중간 수용공(112)를 그 각각의 장공(112a, 122a)이 일치되게 정렬하여 상기 장공(112a, 122a) 내에 상기 정지부(135)가 안착되게 상기 결합축(130)을 삽입하고 상기 상단 수용공(122) 내에 스프링(126)을 삽입한 후 상기 나사가공부(122b)에 마개 볼트(127)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회동 힌지(110, 120)의 각각의 부착면(110a, 120a)에는 상기 각각의 나사공(113, 125)를 포함하는 부분에 패킹용 홈(119, 12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용 홈(119, 129)에는 상기 나사공(113, 1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나사공의 직경보다 작은 관통공(141)이 형성된 고무 패킹 시트(140)가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KR2020020002734U 2002-01-29 2002-01-29 힌지 장치 KR200272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34U KR200272065Y1 (ko) 2002-01-29 2002-01-29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34U KR200272065Y1 (ko) 2002-01-29 2002-01-29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65Y1 true KR200272065Y1 (ko) 2002-04-13

Family

ID=7311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34U KR200272065Y1 (ko) 2002-01-29 2002-01-29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3928A (en) Hinge device for casing
US6018847A (e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US4501045A (en) Self-locking hinge
US6694569B2 (en) Hinge device
US20070214605A1 (en) Sleeve joint type hinge
US5715574A (en) Adjustable self-closing hinge assembly
AU731195B2 (en) Opening/closing hinge construction for a housing
US20040134032A1 (en) Securing device for a laptop computer hinge to avoid damping of a screen when the screen is away from mainframe of the laptop computer
US6568032B1 (en) Screw-on hinge with blocked position
KR200272065Y1 (ko) 힌지 장치
US20080155782A1 (en) Hinge assembly
KR100467523B1 (ko) 도어의 위치결정용 힌지
KR200298713Y1 (ko) 스톱퍼 기능을 갖춘 배전반 도어 경첩
GB2127892A (en) Door hinge
KR200417970Y1 (ko) 고정이 용이한 경첩
KR102331895B1 (ko) 가구용 경첩구조
JPH1025948A (ja) 開閉カバー用回動保持装置
JP3660107B2 (ja) 通信用中継器筐体
JP3393704B2 (ja) 扉用ハンドル
KR200283691Y1 (ko)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KR200368913Y1 (ko) 유리문용 경첩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KR0122913Y1 (ko) 캠을 이용한 도어 밀착용 힌지
KR200380104Y1 (ko) 도어용 경첩
KR930003732Y1 (ko) 분전함 전면판 도어의 경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