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28Y1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628Y1
KR200268628Y1 KR2020010037100U KR20010037100U KR200268628Y1 KR 200268628 Y1 KR200268628 Y1 KR 200268628Y1 KR 2020010037100 U KR2020010037100 U KR 2020010037100U KR 20010037100 U KR20010037100 U KR 20010037100U KR 200268628 Y1 KR200268628 Y1 KR 200268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door
mounting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삼
Original Assignee
조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삼 filed Critical 조용삼
Priority to KR2020010037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628Y1/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도어판넬을 포함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면에 고정되는 도어레일과,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그 하단에 상기 도어판넬이 각각 고정된 한 쌍의 행거플레이트와, 상기 행거플레이트를 상호 진퇴운동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종동풀리 및 제 2종동풀리와, 상기 제 1,2종동풀리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 1종동풀리와 구동풀리를 연결하여 감아도는 제 1와이어와, 상기 구동풀리와 제 2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 2와이어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두 개의 도어판넬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두 개의 와이어를 적용하되 하나의 와이어가 하나의 도어판넬의 이동을 담당하도록 하여, 와이어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작으므로 와이어가 늘어질 염려가 없고 풀리에 대해 와이어가 헛돌지 않아 도어판넬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와이어가 적용되므로 예컨대 한 개의 와이어가 절단된다 하더라도 나머지 와이어는 작동할 수 있으므로 한쪽문은 정상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or do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빌딩이나 고층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층간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사람이 그 내부에 들어가는 공간인 케이지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통해 상기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는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통로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승강하며 그 전면에는 사람이 타고 내리도록 도어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거나 닫힌다.
한편,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그 구성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우며 부피를 많이 차지한다.
이를테면 하나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는, 한 줄의 와이어에 두 개의 도어판넬을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커서 와이어가 쉽게 늘어질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장력조절을 자주 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와이어가 늘어난 상태로는 정확한 도어의 개폐를 할 수 없기 때문임은 당연하다. 또한 비상시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에 개폐장치를 통해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없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장착플레이트(12)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일정폭의 도어레일(18)과, 상기 도어레일(18)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레일(18)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그 하단에 상기 도어판넬(14)이 각각 고정된 한 쌍의 행거플레이트(16)와, 상기 행거플레이트(16)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상기 도어판넬(14)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26)와, 제 1,2풀리(22,24) 및 와이어(30,3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어판넬(14)이 상호 진퇴운동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판넬(14)은 사람이 드나드는 문으로서 그 하단부는 프레임(10)에 의해 가이드 된다. 상기 도어판넬(14)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롤러(20)를 갖는 행거플레이트(1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행거플레이트(16)의 상부에는 제 1고정브라켓(34) 및 제 2고정브라켓(36)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2)는 보통 철판으로 제작되며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이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2)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도어레일(18)은 일정 폭 및 두께를 갖는 띠형태의 부재로서 그 상측 에지부에 상기 가이드롤러(20)가 올라가 주행한다.
상기 도어레일(18)의 상측부에는 제 1풀리(22) 및 제 2풀리(24)가 상호 이격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2풀리(22,24)는 제 1와이어(30) 및 제 2와이어(32)를 통해 제 1,2고정브라켓(34,36)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 1풀리(22)의 상측부에는 모터(26)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26)의 구동축과 제 1풀리(22)는 구동와이어(28)에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와이어(30)는 제 2풀리(24)에 걸친 상태로 그 양단이 제 1고정브라켓(34) 및 제 2고정브라켓(36)에 고정되고, 제 2와이어(32)는 제 1풀리(22)에 걸친 상태로 그 양단이 상기 제 1고정브라켓(34) 및 제 2고정브라켓(36)에 고정된다. 결국 상기 제 1와이어(30)와 제 2와이어(32)는 상기 제 1,2고정브라켓(34,36)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는 한 개의 와이어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와이어(28)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2와이어(30,32)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행거플레이트(16)가 상호 벌어져 도어판넬(14)을 개방한다. 상기 모터(26)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면 도어판넬(14)이 닫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2와이어(30,32)가 제 1,2고정브라켓(34,36)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두 개의 도어판넬(14)을 이동시키므로, 즉 한 줄의 와이어로 두 개의 도어판넬(14)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와이어에 미치는 인장응력이 커서 와이어가 쉽게 늘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두 개의 와이어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를 이루므로 와이어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늘어짐현상은 더욱 잘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가 늘어질 경우 도어판넬의 개폐가 부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각 풀리에 대해 와이어가 헛돌 경우에는 도어판넬이 아예 닫히거나 열리지 않을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두 개의 도어판넬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두 개의 와이어를 적용하되 하나의 와이어가 하나의 도어판넬의 이동을 담당하도록 하여, 와이어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작으므로 와이어가 늘어질 염려가 없고 풀리에 대해 와이어가 헛돌지 않아 도어판넬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뒷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2,52:장착플레이트
14:도어판넬 16:행거플레이트
18,54:도어레일 20,72:가이드롤러
22:제 1풀리 24:제 2풀리
26,76:모터 28:구동와이어
30,64:제 1와이어 32,66:제 2와이어
34,68:제 1고정브라켓 36,70:제 2고정브라켓
56:완충고무 58:제 1종동풀리
60:제 2종동풀리 62:구동풀리
78:모터지지대 80:전동풀리
82:전동벨트 84:콘트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 쌍의 도어판넬이 그 내부에서 진퇴 가능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띠형태의 도어레일과, 상기 도어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그 하단에 상기 도어판넬이 각각 고정된 한 쌍의 행거플레이트와, 상기 행거플레이트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도어판넬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도어레일의 길이만큼 상호 이격된 제 1종동풀리 및 제 2종동풀리와, 상기 제 1,2종동풀리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두 개의 풀리면을 갖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 1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한쪽 풀리면을 연결하여 감아도는 것으로 일측 행거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제 1와이어와, 상기 구동풀리의 다른 쪽 풀리면과 제 2종동풀리를 연결하여 감아도는 것으로 타측 행거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제 2와이어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회전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심축이 장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풀리의 중심축과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는 그 외주면에 풀리면을 갖는 전동풀리이고, 상기 모터의 구동측과 상기 전동풀리의 사이에는 전동벨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장착플레이트(52)와, 상기 장착플레이트(52)에 구비되는 제 1,2종동풀리(58,60) 및 구동풀리(62)와, 상기 구동풀리(62)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 회전수단과, 수평으로 연장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어레일(54)과, 그 하단에 도어판넬(14)을 가지고 상기 도어레일(54)을 따라 주행 가능한 한 쌍의 행거플레이트(16)와, 상기 각 행거플레이트(16)와 연결되는 제 1,2와이어(64,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52)에 구비되는 세 개의 풀리 중 제 1,2종동풀리(58,60)는 장착플레이트(52)의 양단에 위치하고 구동풀리(62)는 제 1,2종동풀리(58,60)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풀리(6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풀리면을 갖는 풀리이다. 상기 제 1,2종동풀리(58,60)는 각각 도어레일(54)의 끝단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호 동일한 칫수를 갖는다. 상기 구동풀리(62)도 제 1,2종동풀리(58,60)와 같은 직경을 갖도록 함이 좋다.
상기 제 1종동풀리(58)와 구동풀리(62)의 사이에는 제 1와이어(64)가 끼워져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62)와 제 2종동풀리(60)의 사이에는 제 2와이어(66)가 끼워져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6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개의 풀리면을 가지므로 제 1와이어(64)와 제 2와이어(66)는 각 풀리면에 끼워져 서로에대해 방해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구동풀리(62)가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2와이어(64,66)는 동시에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여 행거플레이트(16)를 이격시킨다.
상기 제 1,2와이어(64,66)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도어레일(54)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부재로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행거플레이트(16)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72)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도어레일(54)의 양단부에는 완충고무(5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완충고무(56)는 행거플레이트(16)가도어레일(54)의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와이어(64)의 하부에 위치한 행거플레이트(16)는 제 1고정브라켓(68)을 통해 제 1와이어(64)에 고정되고, 제 2와이어(66)의 하부에 위치한 행거플레이트(16)는 제 2고정브라켓(70)을 통해 제 2와이어(66)에 고정된다.
상기 제 1고정브라켓(68) 및 제 2고정브라켓(70)을 제 1와이어(64) 및 제 2 와이어(66)에 각각 고정시킴에 있어서, 구동풀리(62)의 회전시 도어판넬(14)이 상호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제 1고정브라켓(68)은 평행하게 위치된 두 줄의 제 1와이어 중 아래쪽 줄에 결합한다. 또한 제 2고정브라켓(70)은 평행하게 위치된 두 줄의 제 2와이어중 위쪽줄에 결합한다.
결국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양측의 도어판넬(14)을 개폐하기 위해서 상호 독립된 두 개의 와이어를 사용하므로 각 와이어(64,66)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은 종래 경우의 절반으로 줄어든다. 즉, 상기 종래의 개폐장치에서는 제 1,2와이어(30,32)의 양단을 연결하여 한 줄로 구성하고 한 줄의 와이어로 두 개의 도어판넬을 움직임에 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한 개의 와이어로 한 개의 도어판넬만을 이동시키면 되므로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이 그만큼 작은 것이다.
인장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와이어가 늘어날 염려가 없고 그에 따라 와이어가 각 풀리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와이어를 적용하므로, 와이어에 비정상적인 강한 인장응력이 가해져 와이어가 절단되더라도 두 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절단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한쪽의 도어판넬은 개폐가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플레이트(52)의 뒷면에는 모터(76)와, 전동풀리(80)와 콘트롤러(8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터(76)는 예컨대 임의의 모터지지대(78)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콘트롤러(84)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콘트롤러(84)에 의한 모터(76)의 제어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른다,
상기 모터(76)의 구동축과 전동풀리(80)는 전동벨트(8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동풀리(80)는 일반적인 풀리로서 그 직경은 구동풀리(62)보다 커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전동풀리(80)의 직경은 구동풀리(62) 직경의 2 내지 3배 정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동벨트(82)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한 금속와이어를 포함한 임의의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풀리(80)의 회전축은 장착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구동풀리(62)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76)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전동풀리(80)와 구동풀리(62)가 동시에 회전하여 도어판넬(14)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뒷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플레이트(52)의 뒷면 중앙에는 전동풀리(8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풀리(80)의 회전중심축이 장착플레이트(52)를통과하여 구동풀리(도 2의 62)와 연결됨은 상기와 같다. 또한 상기 전동풀리(80)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76)는 전동벨트(82)를 통해 전동풀리(80)에 연결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콘트롤러(84)에 의해 모터(76)가 동작하면 모터(76)의 회전력은 전동풀리(80)를 통해 구동풀리(62)로 이동하고 제 1,2와이어(64,66)를 거쳐 행거플레이트(16)로 전달되어 양측의 도어판넬(14)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두 개의 도어판넬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두 개의 와이어를 적용하되 하나의 와이어가 하나의 도어판넬의 이동을 담당하도록 하여, 와이어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작으므로 와이어가 늘어질 염려가 없고 풀리에 대해 와이어가 헛돌지 않아 도어판넬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와이어가 적용되므로 예컨대 한 개의 와이어가 절단된다 하더라도 나머지 와이어는 작동할 수 있으므로 한쪽문은 정상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Claims (3)

  1. 한 쌍의 도어판넬이 그 내부에서 진퇴 가능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띠형태의 도어레일과, 상기 도어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그 하단에 상기 도어판넬이 각각 고정된 한 쌍의 행거플레이트와, 상기 행거플레이트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도어판넬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52)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도어레일(54)의 길이만큼 상호 이격된 제 1종동풀리(58) 및 제 2종동풀리(60)와,
    상기 제 1,2종동풀리(58,6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두 개의 풀리면을 갖는 구동풀리(62)와,
    상기 제 1종동풀리(58)와 구동풀리(62)의 한쪽 풀리면을 연결하여 감아도는것으로 일측 행거플레이트(16)와 결합하는 제 1와이어(64)와,
    상기 구동풀리(62)의 다른 쪽 풀리면과 제 2종동풀리(60)를 연결하여 감아도 는 것으로 타측 행거플레이트(16)와 결합하는 제 2와이어(66)와,
    상기 구동풀리(62)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회전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52)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심축이 장착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풀리(62)의 중심축과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그 외주면에 풀리면을 갖는 전동풀리(80)이고, 상기 모터(76)의 구동축과 상기 전동풀리(80)의 사이에는 전동벨트(8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20010037100U 2001-11-30 2001-11-30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0268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100U KR200268628Y1 (ko) 2001-11-30 2001-11-30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100U KR200268628Y1 (ko) 2001-11-30 2001-11-30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628Y1 true KR200268628Y1 (ko) 2002-03-16

Family

ID=7307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100U KR200268628Y1 (ko) 2001-11-30 2001-11-30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15B1 (ko) 2006-02-01 2007-08-22 서윤산업(주)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15B1 (ko) 2006-02-01 2007-08-22 서윤산업(주)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9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CN1083393C (zh) 用于关闭电梯出入门的装置
ITMI20001000A1 (it) Gruppo di movimentazione per porte a profilo non rettilineo.
JP5098551B2 (ja) エレベーター扉の異物検出装置
KR20070043619A (ko) 승강기 도어 시스템
JP200806301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26862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JP491518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00916693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WO2002046084A1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WO200512356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710549B2 (ja) エレベータ乗場扉用連動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KR100675664B1 (ko) 엘리베이터의 벨트 텐션 보상장치
US2318090A (en) Elevator door operating mechanism
JPWO2003099697A1 (ja) 円形エレベータドアの駆動装置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1003471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의 구조
WO2019224925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0000260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JPH11240681A (ja) エレベーター扉装置
JPH0310209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331708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KR1002755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
JPH1160118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開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