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145Y1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145Y1
KR200267145Y1 KR2020010034687U KR20010034687U KR200267145Y1 KR 200267145 Y1 KR200267145 Y1 KR 200267145Y1 KR 2020010034687 U KR2020010034687 U KR 2020010034687U KR 20010034687 U KR20010034687 U KR 20010034687U KR 200267145 Y1 KR200267145 Y1 KR 200267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action tank
waste water
reaction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사랑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사랑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사랑바이오텍
Priority to KR2020010034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145Y1/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정화효율이 우수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저류조(10)와, 상기 저류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폭기시키는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30)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1차 여과하는 제1반응조(40)와, 상기 제1반응조로부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2차 여과하는 제2반응조(50)로 이루어진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반응조에는 각각의 집수조(41,51)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집수조와 해당 반응조간에는 펌프(P)가 설치되어 반응조를 거쳐 집수조에 집수된 정수가 각각의 반응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Dirty and waste water purifying equipment}
본 고안은 분뇨폐수, 축산폐수, 주방하수, 그 외의 생활하수 등의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가정의 변기나 축사에서 발생하는 분뇨폐수나 축산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함께 오폐수의 발생은 점차 늘어나고, 온난화현상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물 부족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는 현실에 있어서, 오폐수를 처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환경보호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유럽에서는 가정의 오폐수를 정화하여 재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 있으며, 또한 다수의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오폐수정화 및 재사용을 위한 종래의 장치들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규모가 크거나 관리 및 운영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폐수 정화처리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는바, 그 중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3-2216호(혐기, 호기접촉순환법에 의한 오폐수정화시설 및 그 처리방법)를 살펴보면, 이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폐수 정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유입 오폐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 및 협잡물을 침전 분리하는 침전분리조, 오폐수내 질소성분의 제거 및 유기물제거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혐기여재를 충전한 제1,2혐기여상조, 유기물을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호기성 미생물 층을 포함하는 접촉재를 충전하고 폭기장치가 설치된 제1,2접촉폭기조로부터 오폐수를 센타월로 유입토록 구성하고 침전된 순환수의 순환을 위한 에어리프트펌프와 계량장치가 설치된 침전조, 그리고 최종적으로 오폐수를 소독하는 소독조와 최종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조를 오폐수 유입측에서 처리수의 방류측에 걸쳐 연접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는 혐기여재를 주기적으로 역세하고 그 역세수를 배출해주는 시설과 공정이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시 여재 폐쇄현상으로 인하여 오폐수와 여재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처리효율이 저하되고, 유입고형물의 장기 퇴적으로 인해 조처리용량 감소와 악취등을 유발하고, 침전조로부터 혐기여상조로 순환수를 공급시켜 줌으로써 슬러지(침전물)가 그냥 혐기여상조에 퇴적되어 혐기상태를 악화시키고, 침전조를 거쳐 직접 방류시키는 과정에서 잔류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등이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출원 제2000-54525호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오폐수를 순환수조와 접촉폭기조를 통해 혐기,호기상태로 순환시켜 처리한 후 부착여과조를 통해 최종처리 후 방류시켜 처리효율에 저해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처리하고, 미생물이 활성화된 상태로 공급되며, 잔류 오염물질 제거로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킨 혐기/호기 접촉순환법과 부착여과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2000-54525호는 침전분리조(91)와; 상기 침전분리조로부터 월류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로 분해처리하기 위해 각기 혐기여재를 갖는 순환수조1,2실(92,93)을 갖되, 상기 순환수조1, 2실에는 혐기여재에 과잉 부착된 오니의 탈락을 위한 역세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수조2실로부터 월류된 처리수를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처리하기 위한 호기여재와, 호기여재에 과잉 부착된 오니의 탈락을 위한 역세관 및 산기관을 포함하여 이웃하게 배치된 접촉폭기조1,2실(94,95)을 두되, 상기 접촉폭기조2실내의 처리수 중 일부를 순환관로를 통해 상기 순환수조1실로 재순환시키고; 상기 접촉폭기2실로부터 월류된 처리수를 받아들여 슬러지를 침강시키고, 동시에 슬러지를 에어리프트로 잉여오니이송관로를 통해 상기 침전분리조로 이송배출시키는 침전조(96)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월류된 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오염물질을 부착여재로 추가 처리하는 부착여과조(97)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여과조내에 설치된 역세관으로 부착여재내의 과잉부착 오니를 탈락시키고 동시에 탈락된 슬러지를 역세이송관로를 통해 상기 침전분리조로 이송 배출시키는 역세수이송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에 필요한 폭기와 역세 및 에어리프트를 수행하기 위한 블로워(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특허의 기술은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 또는 협잡물을 침전분리조로 유입시켜 침전분리처리하고, 상기 침전분리조로부터 월류된 1차 처리수를 각기 혐기여재를 포함하는 순환수조1실과 순환수조2실로 순차 공급시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질소를 제거하고, 상기 질소 처리된 처리수를 각기 호기여재를 포함하는 접촉폭기조 1실과 접촉폭기조 2실로 순차 월류시키고 동시에 각 접촉폭기조내로 폭기시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로 유기물을 분해시키고, 상기 유기물이 분해 처리된 처리수를 침전조내로 유입시켜 3차 처리수내 유기물을 침강시키고, 그 침강 처리된 침전조내에서 월류되는 처리수를 접촉재를 포함하는 부착여과조에 투입시켜 산소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잔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방류하는 순서로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오폐수처리장치는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또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그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너무 크며,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해주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이 많으며, 결정적으로 오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재사용 가능한 물이 될 때까지 정화처리하지 못하고, 단지 방류할 수 있는 수준까지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처리된 물의 재사용의 효과를 가져올 수가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해당 각 조를 한번 진행하게 되면 오폐수의 정화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색소나 냄새 등을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은 물을 방류함으로써 오히려 수질을 오염시키고 그에 따라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둘째, 상기 간단한 시설로도 오폐수의 처리용량을 높이며, 셋째, 동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넷째, 정수를 반응조에 연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정수의 용존산소농도를 높임은 물론, 오폐수의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켜 양질의 정수를 만들고 그 정수를 방류 또는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 다른 실시 예도,
도 4는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 또 다른 실시 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저류조 20 : 폭기조
20a,30a,42,43a,43b,51a,51b,60a : 바이패스관
30 : 침전조 40 : 제1반응조
40a,40b : 전/후방반응조 41,41a,41b,51 : 집수조
50 : 제2반응조 52 : 저수탱크
60 : 사용처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로부터 오폐수를 공급받아 폭기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폭기된오폐수를 공급받아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공급받아 오폐수를 여과하는 제1반응조와, 상기 제1반응조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2차 여과하는 제2반응조로 이루어진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반응조에 각각 집수조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집수조와 해당 반응조 사이에 펌프가 설치되어 정수가 순환되며 정화되어 방류되도록 하는 구성과, 상기 제2반응조에 설치된 집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는 사용처로 보내지고 그 사용처에서 사용된 후 발생하는 오폐수는 다시 저류조로 공급되어 그 오폐수를 다시 정화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주로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분뇨폐수 또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를 정화하여 재사용 또는 외부 방류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의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분뇨폐수는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축산폐수는 정화하여 외부 방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을 모두를 정화하여 외부 방류하거나 또는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폐수가 저류조(10)에 공급되고 그 저류조(10)로 공급된 오폐수는 폭기조(20)로 공급되어 폭기가 일어나면서 1차 정화가 일어난다. 이때, 상기 저류조(10) 및 폭기조(20)에는 분쇄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분쇄수단에 의하여 오폐수에 존재하는 슬러지가 분쇄되어 폐수와 함께 다음의 침전조 또는 반응조에 공급된다. 즉, 상기 폭기조(20)에서 1차정화가 끝난 오폐수는 침전조(30)로 들어가 입자가 큰 슬러지는 침전되고 나머지 즉 비등수는 제1반응조(40)로 공급되는 것이다. 제1반응조로 공급된 오폐수는 그 제1반응조(40)에 충입된 여재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상기 제1반응조(40)에서 정화처리 된 정수는 제1반응조(40)에 설치된 집수조(41)와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집수조(51)를 통하여 제2반응조로 공급된다. 제2반응조(50)에는 활성탄이 충입되어 있어, 제1반응조(40)를 통과한 정수를 2차 정화하고 또한 정수에 잔존하는 색소 및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반응조에서 색소 및 냄새가 제거된 정수는 다시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집수조(51)로 환류되어 외부로 방류하거나 사용처(60)로 공급되어 재 사용된다. 전술하였듯이, 축산폐수를 정화하는 경우에는 재사용보다는 외부로 방류되고, 가정의 분뇨폐수를 정화하는 경우에는 사용처로 공급되어 재사용 되어진다.
그러나, 반드시 축산폐수는 정화하여 방류하고 분뇨폐수는 정화하여 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정화시스템을 운용 또는 작동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축산폐수와 분뇨폐수를 모두를 정화하여 재사용 할 수도 있고, 또는 축산폐수와 분뇨폐수를 모두를 정화하여 외부 방류할 수도 있다.
정화된 물을 재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처(60)는 주로 변기의 저수조, 물 저장탱크, 물품세척탱크 등이 될 것이고, 여기에서 사용된 물은 다시 오폐수가 되어 저류조(10)로 재 공급되며, 상기의 오폐수 정화순서인 저류조(10)→폭기조(20)→침전조(30)→제1반응조(40)→제1반응조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제2반응조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제2반응조(50)→제2반응조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사용처(60)→저류조(10)의 순서로 계속 순환되면서 오폐수의 정화와 그 정화된 정수의 사용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외부로 방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로부터 바로 방류하면 된다.
상기 제1반응조(40)에 충입된 여재는 다공성 목재 칩, 운모 칩, 합성수지 칩, 세라믹 칩 등으로 된 것으로서, 이러한 여재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정화되면 오폐수가 가지고 있는 색상 과 냄새까지도 모두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는 일반 물과 동일한 정도로 무색 무취 상태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여재가 충입된 제1반응조에 오폐수를 공급하면 그 오폐수는 상기 여재의 기공 및 여재와 여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폐수정화용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정화되어 맑은 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지지 위해서는 제1반응조의 여재에 미생물이 완전히 배양되어 있어야 하고, 미생물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필요한 용존 산소량이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제1반응조에 오폐수 이외에 정수된 물이 어느 정도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제1반응조(40)와 그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간에는 펌프(P)가 설치된 바이패스관(42)이 연결되어 있어, 이 펌프(P)가 상기 제1반응조(40)에 설치된 집수조(41)에 집수되어 있는 정수를 펌핑하여 제1반응조(40)로 공급함으로써 제1반응조와 그의 해당 집수조(41)간에 계속적인 정수의 순환(적어도 2회 이상)이 이루어져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반응조(4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와 침전조(30)간에도 펌프(P)가 설치된 바이패스관(31)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1반응조(4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의 정수를 펌핑함으로서 제1반응조(40), 해당 집수조(41), 침전조(30)간에 계속적인 정수의 순환(적어도 2회 이상)이 이루어져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더욱 높인다.
또 상기 제2반응조(50)와 그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간에도 상기 제1반응조(40)와 그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와 마찬가지로 펌프(P)가 설치된 바이패스관(51a)을 연결 설치하여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의 정수를 펌핑함으로서 제2반응조(50)와 그의 해당 집수조(51)간에 계속적인 순환(적어도 2회 이상)이 이루어져 정수의 정화효율을 더욱 높인다. 단 상기 제2반응조(50)내에는 활성탄이 충입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에 잔존하는 냄새 및 색소를 완전하게 제거한다.
종래에는 반응조를 다수개 설치하여 정화효율을 높이고자 하였고, 따라서, 다수의 반응조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1,2반응조와 각 해당 집수조간에 펌핑을 통한 정수의 순환을 유도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한 또 하나의 특징적 구성으로는 제1반응조(40)의 상하측면을 모두 통기성이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시킨 것이다. 통기성이 있는 다공성 재질을 사용한 이유는 대기중의 산소가 제1반응조 내부로 자연 유입되어 그 내부의 산소용존율을 높임으로써 제1반응조 내에 충입된 여재에 서식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미생물의 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그로 인하여 정화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반응조(40)의 상하측면을 모두 통기성의 다공성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오폐수 정화효율을 보다 더 상승시키는 것이긴 하나, 그 자체로서도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통상의 오폐수처리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반응조(40)의 해당 집수조(41)로부터 제2반응조(50)의 해당 집수조(51)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이 너무 많아 그 집수조가 오버플로우 되게 되면 그 오버플로우 되는 정수는 바이패스관(51b)을 통하여 저류조(10)로 보내지며, 폭기조(20) 및 침전조(30)로 공급되는 오폐수의 양이 너무 많아 오버플로우 되게 되면 그 또한 각각의 바이패스관(20a,30a)을 통하여 저류조(10)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고안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상기 도 2의 오폐수 처리장치와 저류조(10), 폭기조(20), 침전조(30), 제1반응조(40) 및 그 해당 집수조(41), 제2반응조의 해당 집수조(51), 제2반응조(50), 사용처(60)의 구성을 동일하고 단지 색소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2반응조(50)와 사용처(60)의 사이에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52)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이는 많은 양의 정수를 보관하였다가 사용처(60)에서 정수를 필요로 할 때 그 정수를 언제든지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또한 상기 사용처(60)에서 사용된 후 발생하는 오폐수는 다시 바이패스관(60a)을 통하여 저류조(10)로 공급되어 폭기조(20)→침전조(30)→제1반응조(40)→제1반응조의 해당 집수조(41)→제2반응조의 해당 집수조(51)→제2반응조(50)→제2반응조의 해당 집수조(51)→저수탱크(52)→ 사용처(60)→저류조(10)의 순환과정으로 계속 정화되고 그 정화된 정수를 재 사용함으로서 날로 심각해져 가는 물 부족현상에 이바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3에 따른 설명도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정화처리 된 정수를 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고, 상기 정수를 방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로부터 바로 방류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의 제1반응조(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폐수를 정화하는 여재가 충입된 각각의 전방반응조(40a)와 후방반응조(40b)로 나누어지고 그 각각의 전/후방반응조에는 해당 집수조(41a,41b)가 설치되어 전방반응조(40a)에서 1차 정화된 정수는 그 전방반응조(40a)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a)에 집수되고 그는 다시 후방반응조(40b)에 공급되어 2차 정화된 다음 해당 집수조(41b)에 집수된다.
상기 전방반응조(40a)와 그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a) 및 후방반응조(40b)와 그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41b)간에는 펌프(P)가 설치된 각각의 바이패스관(43a,43b)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과 함께 각각의 해당 집수조에 집수된 정수가 각각의 반응조에 재 공급되면서 수회 반복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져 정화효율을 높인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후방반응조(40b)의 해당 집수조(41b)에 집수된 정수는 2차반응조(5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를 통하여 활성탄이 충입된 제2반응조(50)로 공급되면서 상기 후방반응조(40b)를 통과한 정수에 잔존하는 색소 및 냄새를 제거하고 그 색소 및 냄새가 제거된 정수는 다시 제2반응조(51)의 해당 집수조(51)를 통하여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52)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처(60)에서 정수를 필요로 할 때 공급되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오폐수 처리장치도 사용처(60)에서 사용된 후 발생하는 오폐수는 다시 저류조(10)로 공급되어 폭기조(20)→침전조(30)→전방반응조(40a)→해당 집수조(41a)→후방반응조(40b)→해당 집수조(41b)→제2반응조(50)→해당 집수조(51)→저수탱크(52)→사용처(60)→저류조(10)의 순환과정으로 계속 정화되고 그 정화된 정수를 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정수를 방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2반응조(50)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51)로부터 바로 방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오폐수처리장치는 각 조에서 다른 조로 오폐수 및 정수가 공급되거나 또는 바이패스될 때에 동력을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개소 이외에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 오버플로우 되어 공급되게 함으로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 저류조로 공급돼 들어온 오폐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거나, 그 정화된 정수를 재 사용함으로 인하여 물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각 조(폭기조, 침전조)등에는 침전물이 침적될 수 있음으로 그 들의 각 조 하부에는 침적물을 드레인하는 관을 설치하고 그 관들은 저류조와 연결 설치하여 상기 각 조에 침적되는 침전물을 저류조로 보내 상기의 정화순서로다시 정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그 설치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협소한 면적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반응조와 집수조간의 계속적인 순환을 통하여 정화효율을 높이고, 또한 정화된 정수를 직접 사용처로 환류시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제1반응조의 상하측면을 통기성의 다공성 재질로 형성시켜 그로부터 대기중의 산소가 공급되게 함으로서 정수의 용존산소율을 높혀 정화효율을 극대화한 것인바, 종래의 오폐수처리시스템에 비하여 원등한 개선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저류조(10)와, 상기 저류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폭기시키는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30)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1차 여과하는 제1반응조(40)와, 상기 제1반응조로부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2차 여과하는 제2반응조(50)로 이루어진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반응조에는 각각의 집수조(41,51)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집수조와 해당 반응조간에는 펌프(P)가 설치되어 반응조를 거쳐 집수조에 집수된 정수가 각각의 반응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조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는 사용처(60)로 보내지고 그 사용처에서 사용된 후 발생하는 오폐수는 다시 저류조로 공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의 내부에는 오폐수의 1차 정화를 위하여 오폐수정화용 미생물의 번식을 활성화하는 목재칩, 운모칩, 합성수칩, 세라믹칩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여재로서 충입되며, 상기 제2반응조의 내부에는 오폐수의 2차 정화를 위하여 활성탄이 충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는 상하측면이 모두 통기성의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 침전조, 제2집수조에는 그 폭기조, 침전조, 제2집수조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물을 저류조로 바이패스 하는 각각의 바이패스관(20a,30a,51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조와 사용처의 사이에는 저수탱크(52)가 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40a,40b)로 나누어지고 그 각각의 반응조에는 해당 집수조(41a,41b)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반응조와 집수조 간에는 펌프(P)를 설치하여 정수가 순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에 설치된 해당 집수조와 침전조간에는 펌프(P)가 설치되어 정수가 제1반응조, 해당 집수조, 침전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9.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저류조(10)와, 상기 저류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폭기시키는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30)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1차 여과하는 제1반응조(40)와, 상기 제1반응조로부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2차 여과하는 제2반응조(50)로 이루어진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는 상하측면이 모두 통기성의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오폐수정화용 미생물의 번식을 활성화하는 목재칩, 운모칩, 합성수칩, 세라믹칩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여재로서 충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KR2020010034687U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처리장치 KR200267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87U KR200267145Y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87U KR200267145Y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145Y1 true KR200267145Y1 (ko) 2002-03-09

Family

ID=7307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87U KR200267145Y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14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45B1 (ko) * 2002-02-21 2004-06-07 이재일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40065400A (ko) * 2003-01-14 2004-07-22 (주)자연사랑월드 무수 변기를 이용한 소멸식 정화시스템
KR100479957B1 (ko) * 2002-09-24 2005-04-07 정병선 오·폐수처리장치
KR100947545B1 (ko) 2003-04-02 2010-03-12 김상연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0948036B1 (ko) 2008-04-01 2010-03-19 김상연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장치
KR20160101352A (ko) * 2015-02-17 2016-08-25 구제진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45B1 (ko) * 2002-02-21 2004-06-07 이재일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0479957B1 (ko) * 2002-09-24 2005-04-07 정병선 오·폐수처리장치
KR20040065400A (ko) * 2003-01-14 2004-07-22 (주)자연사랑월드 무수 변기를 이용한 소멸식 정화시스템
KR100947545B1 (ko) 2003-04-02 2010-03-12 김상연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0948036B1 (ko) 2008-04-01 2010-03-19 김상연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장치
KR20160101352A (ko) * 2015-02-17 2016-08-25 구제진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KR101722059B1 (ko) 2015-02-17 2017-03-31 구제진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3014A (zh) 一种污水处理***及污水处理方法
CN101219842A (zh) 垃圾渗滤液回用工艺及其设备
CN106977042A (zh) 一种适于酱油酿造废水处理的模块化集成方法
JPH10109095A (ja) 浄水処理装置
CN109851180A (zh) 一种生活污水双效物化处理成套设备及工艺
JP2005144449A (ja) 船上における廃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267145Y1 (ko) 오폐수 처리장치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AU20062984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ally contaminated waste water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434745B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KR101144560B1 (ko) 물의 정화장치
KR101710554B1 (ko)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처리장치 및 방류수 처리방법
JP3607088B2 (ja) 廃水中の窒素及び懸濁物質の連続同時除去方法並びに除去システム
KR100547463B1 (ko)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KR100458909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0458908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시스템
RU94568U1 (ru) Комплектно-блочная модульная очистная установка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458907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200308804Y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 시스템
RU2270809C2 (ru) Установк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308803Y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308802Y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0304404B1 (ko) 고정생물막 및 연속역세척 여과공법에 의한 밀집형 고도 하폐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