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61Y1 - 광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61Y1
KR200262561Y1 KR2019980021283U KR19980021283U KR200262561Y1 KR 200262561 Y1 KR200262561 Y1 KR 200262561Y1 KR 2019980021283 U KR2019980021283 U KR 2019980021283U KR 19980021283 U KR19980021283 U KR 19980021283U KR 200262561 Y1 KR200262561 Y1 KR 200262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ing portion
base
optical fi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375U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1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6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61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광섬유의 단부가 광소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홀더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홀더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시 광소자 및 광섬유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도록 마련된 광커넥팅부와, 소정 형상의 한쌍의 벽부재가 마련되고 벽부재 사이에 광커넥팅부가 삽입 설치되는 베이스와, 벽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광커넥팅부가 베이스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광커넥팅부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광커넥팅부가 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장착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 모듈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소자와 광섬유를 커플링할 수 있도록 된 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 모듈은 광전송모듈 특히,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도록 어레이 구조를 갖는 복수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되어 광소자와 광섬유를 커플링한다. 상기 광소자는 선형상의 어레이 구조를 가지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이거나,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송된 광을 수광하는 어레이 구조의 수광소자이다. 여기서, 상기 광전송모듈은 광소자, 광섬유 및 광커넥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다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된 종래 광커넥터 모듈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커넥터 모듈은 어레이 구조의 광소자(1)와 다수의 광섬유(3)가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광섬유(3)의 일단부 위치를 정렬하는 페룰(10)을 포함한다.
상기 페룰(10)은 상기 광섬유(3) 각각이 정렬될 수 있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11a)를 갖는 기판(11)과, 상기 기판(11)과 결합되어 상기 그루브(11a) 각각에 놓인 광섬유들(3)을 눌러주는 커버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페룰(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광섬유(3)가 정렬되는 다수의 광섬유 정렬홈(11a)을 가진다. 이 페룰(10)은 세라믹 기판의 표면에 기계가공에 의해 정교한 V자형 광섬유 정렬홈(11a)을 만들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섬유(3)는 대략 그 직경이 50∼125㎛이다.
한편, 상기 광소자(1)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등의 발광소자(2)가 채용된 경우에는 광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광소자(2)와 광섬유(3) 사이에 발광소자(2)에서 조사되어 광섬유(3)에 입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렌즈 어레이(15)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광섬유(3) 각각을 V자형 그루브(11a)에 정렬하여야 하므로 상기 광섬유(3) 각각을 개별적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광섬유가 미스얼라인(misalignment ) 될 가능성이 커서 정렬이 어렵다.
또한, 다수의 그루브(11a)를 형성하기 위해 기판(11)을 기계 가공 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며, 발광소자(2)와 광섬유(3) 사이에 렌즈 어레이(15)와 같은 광커플링수단이 구비되므로 부품수 증가, 조립공수 복잡 및 고비용이 초래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렬이 용이하고 저렴한 광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다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된 종래 광커넥터 모듈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2에서 광커넥팅부가 베이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에서 광커넥팅부가 베이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광커넥팅부 30,40...제1 및 제2홀더
33...광소자 43...광섬유
60...베이스 61,63...벽부재
70...지지부재 80...경사면
180...라운드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소자와 입사광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커플링하기 위한 광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광섬유의 단부가 상기 광소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홀더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시 상기 광소자 및 광섬유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도록 마련된 광커넥팅부와; 소정 형상의 한쌍의 벽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벽부재 사이에 상기 광커넥팅부가 삽입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벽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광커넥팅부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장착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은, 상기 광커넥팅부의 일측이 상기 벽부재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벽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은,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광커넥팅부의 측면 하부에 마련된 라운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광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은 광소자(33) 및 광섬유(43)가 설치되는 광커넥팅부(20)와, 상기 광커넥팅부(20)가 설치되는 베이스(60)와, 상기 광커넥팅부(2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70)와, 상기 광커넥팅부(2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장착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커넥팅부(20)는 상기 광소자(33)가 설치되는 제1홀더(30)와, 상기 광섬유(43)가 설치되는 제2홀더(40)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30)(40)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시 상기 광소자(33)와 광섬유(43)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30)의 전면(30a)에는 적어도 일 채널의 광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광소자(33)가 예컨대, 어레이로 배치된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광소자(33)로의 전기신호의 입력 및/또는 상기 광소자(33)로부터 외부 장치로의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홀더(30)에는 상기 각 광소자(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리드(3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소자(33)는 입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광신호를 출사하는 예컨대, 표면광레이저(surface emitting laser) 등의 발광소자 및/또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수광소자이다.
상기 제2홀더(40)는 광섬유(43)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이 제2홀더(40)의 전면(40a)에는 상기 광소자(33)의 배치에 대응되게 광섬유(43)의 단부(43a)가 예컨대, 어레이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43)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으로 형성된 광섬유 다발이 채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섬유(43)는 플래스틱 광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래스틱 광섬유(43)는 그 직경이 예컨대, 대략 0.5∼1.0mm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40)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홀더(30) 및/또는 상기 베이스(60)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광커넥터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들(30a)(40a)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광소자(33)와 광섬유(43)의 단부(43a)와의 요구되는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도 1은 상기 전면(30a)의 중앙부에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광소자(33)가 이 홈부에 마련된 예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요구되는 이격거리에 해당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예컨대, 제2홀더(40)의 전면(40a)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 기준포스트(51)와, 상기 기준포스트(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1홀더(30)에 마련된 기준홀(53)을 포함한다. 광소자(33) 및 광섬유(43)는 상기 기준홀(53) 및 기준포스트(51)를 기준으로 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포스트(51)를 기준홀(53)에 삽입한 채로 상기 전면(30a)(40a)의 맞닿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더(30)(40)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하면 광소자(33) 및 광섬유(43)는 올바르게 위치 정렬된다.
상기 베이스(60)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한쌍의 벽부재(61)(6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벽부재(61)(63)는 그 내측 즉, 상기 벽부재(61)(63) 사이에 상기 광커넥팅부(20)가 삽입 설치되도록 소정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에는 상기 벽부재(61)(63)의 단부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개방부(64)(65)가 마련되어 상기 제1홀더(30)로부터 돌출된 리드(34) 및 제2홀더(40)에 의해 지지된 상기 광섬유(43)가 상기 베이스(60)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각 벽부재(61)(63)의 적어도 일측에 탄성바이어스수단에 의해 돌출 방향(A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제2홀더(40)가 끼워지는 벽부재(61)(63)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홀더(40)를 제1홀더(30)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베이스(60) 내측에 마련된 설치홈(66)과, 상기 설치홈(66)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70)를 벽부재(61)(6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방향(A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스프링(6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탄성스프링(6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벽부재(61)(63)에서 돌출되는 방향(A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제2홀더(40)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2홀더(40)가 제1홀더(30)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광커넥팅부(2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70)는 제1홀더(30)가 끼워지는 벽부재(61)(63)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30)를 제2홀더(40)쪽으로 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홀더(30)(40)가 서로를 향해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70)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지지부재(70)에 대응되게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장착가이드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광커넥팅부(20) 예컨대, 제2홀더(40)가 상기 지지부재(70)를 가압하면서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으로 상기 벽부재(61)(63)의 상기 지지부재(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경사면(8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광커넥터 모듈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상기 기준포스트(51)를 기준홀(53)에 슬라이딩 삽입하면서 전면(30a)(40a)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홀더(30)(40)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하면 광소자(33)와 광섬유(43)는 올바르게 위치 정렬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광커넥팅부(20)를 상기 리드(34)와 광섬유(43)가 각각 상기 개방부(64)(65)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60) 상에 위치시킨 후, 벽부재(61)(63)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2홀더(40)의 일측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8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벽부재(61)(63)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홀더(40)의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70)를 가압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광커넥팅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70)에 의해 전체적으로 돌출 방향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즉, 상기 제2홀더(40)는 제1홀더(30)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면서 밀착되고, 이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제1홀더(30)는 벽부재(61)(63)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광커넥팅부(2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60)의 일측에 힌지축(9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부재(9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섬유(65)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상기 베이스(60)에 상기 광커넥팅부(20)를 쉽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9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34)가 위치되는 개방부(64)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60)에 상기 광커넥팅부(20)를 설치되는 동안 커버부재(90)는 오픈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베이스(60)에 광커넥팅부(2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커버부재(90)를 회동시켜 덮음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90)가 마련되면 상기 광섬유(43)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광커넥팅부(20)가 베이스(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장착가이드수단으로 상기 지지부재(70)와 접촉되는 상기 광커넥팅부(20) 예컨대, 제2홀더(40)의 측면 하부에 라운드면(180)을 구비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1과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상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장착가이드수단이 상기한 바와 같이 마련된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면(180)이 상기 지지부재(70)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광커넥팅부(20)가 벽부재(61)(63)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커넥팅부(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광커넥팅부(20)는 상기 지지부재(70)에 의해 돌출 방향(A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베이스(60)에 안정되게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은 기준홀에 기준포스트를 삽입한 채로 상기 제1 및 제2홀더의 전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함에 의해 광소자와 광섬유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광커넥팅부가 베이스에 슬라이딩 장착되고, 지지부재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베이스에 안정되게 결합되는 등 정렬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다.
또한, 페룰 및 광커플링수단이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줄고,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가 낮다.

Claims (4)

  1.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소자와 입사광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커플링하기 위한 광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광섬유의 단부가 상기 광소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홀더를 상호 마주하여 결합시 상기 광소자 및 광섬유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도록 마련된 광커넥팅부와;
    소정 형상의 한쌍의 벽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벽부재 사이에 상기 광커넥팅부가 삽입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벽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광커넥팅부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장착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은,
    상기 광커넥팅부의 일측이 상기 벽부재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벽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수단은,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광커넥팅부의 측면 하부에 마련된 라운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광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광커넥팅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KR2019980021283U 1998-11-03 1998-11-03 광커넥터 모듈 KR200262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283U KR200262561Y1 (ko) 1998-11-03 1998-11-03 광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283U KR200262561Y1 (ko) 1998-11-03 1998-11-03 광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375U KR20000009375U (ko) 2000-06-05
KR200262561Y1 true KR200262561Y1 (ko) 2002-03-09

Family

ID=6952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283U KR200262561Y1 (ko) 1998-11-03 1998-11-03 광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670A3 (ko) * 2014-12-31 2016-08-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653B1 (ko) * 2015-06-30 2020-1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KR102625546B1 (ko) * 2021-11-09 2024-01-16 주식회사 포인투테크놀로지 고정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670A3 (ko) * 2014-12-31 2016-08-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US10114184B2 (en) 2014-12-31 2018-10-30 Ls Mtron Ltd. Opt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375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7851B1 (en) Optical connector employing an optical fiber connector plug
US6309113B1 (en) Optical module, optical fiber connecting plug, and optical coupler equipped with the same
AU2013245808A1 (en) Hermetic optical fiber alignment assembly having integrated optical element
US8200056B2 (en) Multi-fiber interface to photonic subassembly
JP4156932B2 (ja) 複数の光ファイバの複数の列を有する光フェルール
US20140355934A1 (en) Optics system for use in a parallel optical communications module
KR19990087618A (ko) 도파관 접속용 장치 및 방법
KR200262561Y1 (ko) 광커넥터 모듈
KR100300979B1 (ko) 광전송 모듈
US6312167B1 (en) Light transmission module
JPH08292344A (ja)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及び光コネクタ
KR100591264B1 (ko) 광커넥터 모듈
CA1097964A (en) Connector for flat ribbon optical fiber cables
EP1388019A1 (en) Device for arranging a photoelectric transducer at an electric signal processing device
KR20000031072A (ko) 광커넥터 모듈
KR100601600B1 (ko) 광 커넥터
KR100322581B1 (ko) 광커넥터 모듈
KR20030094466A (ko) 멀티포트형 광모듈
KR100307585B1 (ko) 광커넥터 모듈
KR100258962B1 (ko) 광전송 모듈
KR100319844B1 (ko) 광컨넥터모듈
JP2023136053A (ja) 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7274845B2 (en) Low-cost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fiber optic connections
KR200191414Y1 (ko) 광전송용 체결 구조체
KR20000032429A (ko) 광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