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211Y1 - 레버식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레버식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211Y1
KR200257211Y1 KR2020010027121U KR20010027121U KR200257211Y1 KR 200257211 Y1 KR200257211 Y1 KR 200257211Y1 KR 2020010027121 U KR2020010027121 U KR 2020010027121U KR 20010027121 U KR20010027121 U KR 20010027121U KR 200257211 Y1 KR200257211 Y1 KR 200257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oad
lever
wash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송건
Original Assignee
(주)메가리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리프트 filed Critical (주)메가리프트
Priority to KR2020010027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211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제 1, 2 브레이크와셔와 그 사이에 원주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대신하여 브레이크와셔를 하나로 줄임과 동시에 길이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을 채택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브레이크 응답특성을 높여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정격하중 및 최저하중에서 브레이크의 특성을 강화하여 최저하중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버식 호이스트{lever type hoist}
본 고안은 레버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레버식 호이스트는 하중을 원하는 곳에 적재하기 위해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하기 위한 기구이다.
종래의 레버식 호이스트는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10) 등과 연결되는 로드시브(load sheave)(20)와, 상기 로드시브(20)에 동력전달하는 피니언축(25)에 연결된 수압부재(30), 역전방지륜(40)과, 역전방지륜(40)의 양측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디스크패드 (42a) (42b),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와셔(50a)(50b), 제 1 스프링(53), 누름구동부재(60), 스토퍼(70), 제 2 스프링(80)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피니언축(25)과 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내부에 전환고리(112)를 가진 조작핸들(100)로 구성되고, 전환고리(112)는 외부의 전환레버(114)에 의해 고리의 방향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레버식 호이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하중을 올리고자 할때에는 외부의 전환레버(114)를 올림방향으로 즉, 전환고리(112)의 왼쪽 고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조작한다. 이때, 조작핸들(100)을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고리(112)는 누름구동부재(60)의 기어이(62)에 치합되어 누름구동부재(6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누름구동부재(60)는 제 1 브레이크와셔(50a)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누름구동부재(60)과 결합된 제 2 브레이크와셔(50b)를 회전시키고 오른나사방식이므로 제 1 브레이크와셔(50a)와 제 1 브레이크패드(42a), 역전방지륜(40), 제 2 브레이크패드(42b), 수압부재(30)이 일체로 압축밀착되어 피니언축(25)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시브(20)는 회전하여 체인(10)에 연결된 하중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역전방지륜(40)은 래칫이고, 폴(pawl)(46)에 의해 내림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한편, 하중을 내리고자 하는 경우, 전환레버(114)를 내림방향으로 조작하여, 전환고리(112)의 오른쪽 고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조작한다. 이때, 조작핸들(100)을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고리(112)는 누름구동부재(60)의 기어이(62)에 치합되어 누름구동부재(6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누름구동부재(60)는 제 1 브레이크와셔(50a)와 제 2 브레이크와셔(50b)를 회전시켜 제 1 브레이크패드(42a)와의 밀착이 해제된다. 이때 제 1 스프링(53)은 원주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 1 브레이크와셔(50a)를 제 1 브레이크패드(42a)와 거의 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거의 밀착이란 압축밀착의 의미와 다른 것으로 이는 제 1 스프링(53)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피니언축(25)은 하중에 의해 항상 내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역전방지륜(40)은 폴(46)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핸들(100)의 조작에 의해 제 2 브레이크와셔(50b)가 제 1 브레이크패드(42a)를 거의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축(2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하중물은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여기서 만일 제 1 브레이크와셔(50a)와 제 1 브레이크패드(42a)가 완전 분리되어 회전하게 되면, 하중의 힘이 전적으로 조작핸들에 전달되게 되어 무거운 하중을 작업자가 직접 견디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패드(42a)가 살짝 밀착시켜 하중을 일정 분담하고 있기에 하강작업시 작업자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하중이 없는 아이들링 상태에서는 전환레버(114)를 중립방향으로 조작하여, 전환고리(112)가 누름구동부재(60)에 걸리지 않도록 한 후, 누름구동부재(60)에 연결된 조작륜(65)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브레이크와셔(50a)와 제 2 브레이크와셔(50b)를 회전시켜 제 1 브레이크패드(42a)와의 밀착을 해제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체인을 올림 방향 또는 내림방향으로 서서히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버식 호이스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브레이크와셔(50a)(50b)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 1 스프링(53)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중을 내릴 때 제 1 브레이크와셔(50b)가 다시 제 1 브레이크패드(42a) 방향으로 거의 밀착하는 시간동안에는 슬립이 발생하여 하중이 갑자기 일정거리 뚝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하중의 경우 예를 들어 30kgf이 최저하중인 레버식 호이스트인 경우에 20kgf정도의 힘이 작용될 때 제 1 브레이크와셔(50b)와 제 1 브레이크패드(42a)와의 사이에 밀착이 안되어 아이들상태와 같이 자유낙하해버리는 문제가 있어, 최저하중 근처에서는 제동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누름구동부재와 제 1 브레이크와셔 사이에 압축력이 전혀 없는 스프링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하중을 올림에 있어, 제 1 브레이크패드와 완전 압축되어 작동되므로 조작핸들에 힘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1 브레이크와셔와 제 2 브레이크와셔는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결합공정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규정이내의 하중에서 제동응답성이 뛰어나고 특히 최저하중 근처에서 제동응답성이 뛰어난 레버식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중을 올림에 있어 조작핸들의 조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레버식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레버식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타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통상의 레버식 호이스트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식 호이스트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피니언축 40: 역전방지륜
150: 브레이크와셔 200: 제 1 압축스프링
70: 스토퍼 60; 누름구동부재
80: 제 2 스프링 100 : 조작핸들
46: 폴 65: 조작륜
10: 체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에 장착되는 수압부재와, 제 1 , 2 브레이크패드와 그사이의 역전방지륜, 상기 역전방지륜에 밀착되어 제동기능을 하는 브레이크와셔와, 제 1 압축스프링과, 누름구동부재와 스토퍼와 제 2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레버식 호이스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식 호이스트의 상세 분해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환레버, 조작핸들,폴, 전환고리 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와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과 비교하여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브레이크와셔(15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제 1 스프링(200)이 원주방향의 힘으로 작용되는 것이 아니라 압축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는 점이다.
미설명된 제 2 스프링(80)은 피니언축(25)을 밀어 누름구동부재(60)가 너무 브레이크패드(42a)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스토퍼(70)는 누름구동부재(60)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인한 작용관계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하중을 올릴 때, 본 고안은 누름구동부재(60)와 브레이크와셔(150) 사이에 압축(팽장)스프링(200)의 탄성력이 길이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누름구동부재(60)와 브레이크와셔(150)가 오른나사방향으로 계속 쏠려서 누름구동부재(60), 브레이크와셔(150), 브레이크패드(42a)가 일체로 빡빡하게 결합되어 작동되는 것을 다소 완화시켜 조작핸들(100)의 운전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하중을 내릴 때, 브레이크와셔(150)와 브레이크패드(42a)의 완전밀착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와셔(150)는 브레이크패드(42a)에 보다 빨리 접근하게 된다. 이는 나사의 특성상 하중(여기서는 누름구동부재 등)이 있는 경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특성이 있는데, 본 고안에서 이에 더하여 압축스프링을 채택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힘이 더 가해지게 되어 브레이크와셔가 브레이크패드로의 접근시간이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 발생하던 슬립현상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특히 최저하중 근처의 경우에도 종래의 유사한 구조의 레버식 호이스트와 달리 압축스프링(200)에 의해 브레이크와셔(150)가 브레이크패드(42a)로 접근하려는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최저하중이 피니언축에 걸리는 경우에도 제동작용이 손쉽게 일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두 개의 브레이크와셔를 하나로 줄여 작업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브레이크와셔 사이의 동력전달되는 시간을 줄여 슬립현상을 줄이게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정격하중은 물론 최저하중근처에서 하중을 내릴 때 브레이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브레이크와셔와 누름구동부재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작용하므로 조작레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로드시브에 동력전달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수압부재와, 상기 수압부재 옆에서 구동축에 장착된 한쌍의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패드 사이의 역전방지륜과, 상기 역전방지륜 옆에 장착된 브레이크와셔와, 누름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레버식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동부재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사이의 브레이크와셔는 단품이고, 상기 브레이크와셔와 상기 누름구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호이스트
KR2020010027121U 2001-09-05 2001-09-05 레버식 호이스트 KR200257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21U KR200257211Y1 (ko) 2001-09-05 2001-09-05 레버식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21U KR200257211Y1 (ko) 2001-09-05 2001-09-05 레버식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211Y1 true KR200257211Y1 (ko) 2001-12-24

Family

ID=7306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21U KR200257211Y1 (ko) 2001-09-05 2001-09-05 레버식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2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4357A (en) Overload avoiding arrangement for a hoist
JPS6239029Y2 (ko)
IT9019538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 apparecchio di sollevamento o simile
US3756359A (en) Slip coupling and weston brake for hoists
US3921471A (en) Overload prevention handle
KR200257211Y1 (ko) 레버식 호이스트
CN209890925U (zh) 排水电机***以及包括该***的洗衣机排水***
US20040029643A1 (en) Clutching device for a crane
JP3086874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US6116119A (en) Shifting mechanism for reversible friction drive
CN100543264C (zh) 单扇或双扇门的驱动装置
US4815676A (en) Fishing reel handle with drag adjustment incorporated
CA1063593A (en) Torque transmitting and indicating device
CN103161896B (zh) 一种密集架摇手传动装置
KR200310496Y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222367B1 (ko)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KR200267805Y1 (ko) 수문용 권양장치
JPH0649940Y2 (ja) クラッチ装置
TWM582496U (zh) Manual crane torque limiter
KR20000051657A (ko) 수문용 권양장치
JPS60255552A (ja) 電動アクチユエータ
JP2725230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US20090020371A1 (en) Elevator evacuation apparatus
WO2021210236A1 (ja) ブレーキ装置、レバーホイストおよびラチェット機構
CN2561762Y (zh) 超载限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