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495Y1 -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 Google Patents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495Y1
KR200253495Y1 KR2020010024659U KR20010024659U KR200253495Y1 KR 200253495 Y1 KR200253495 Y1 KR 200253495Y1 KR 2020010024659 U KR2020010024659 U KR 2020010024659U KR 20010024659 U KR20010024659 U KR 20010024659U KR 200253495 Y1 KR200253495 Y1 KR 20025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guide tube
storage container
condensation
condensa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6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이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춘 filed Critical 이종춘
Priority to KR2020010024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4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495Y1/en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축기구가 내장된 압축공기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응축기구(20)는 용기 본체(10)의 입구로부터 본채 내부로 연장하는 안내관(22)과, 안내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응축판(24)을 가진다. 응축판은 안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응축기구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옹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30)는 용기 본체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프 밸브가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a condensation mechanism.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has a guide tube 22 extending from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10 into the main housing and a condensation plate 24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The condensation plate may be formed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tube. The drain valve 3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 body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condensation mechanis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used a relief valve operated by the pressure of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Description

응축 기구가 내장된 압축공기 저장용기{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본 고안은 각종 공압장치들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구가 내장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storing compressed air supplied to various pneumatic devices. In particular,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t-in condensation mechanism for condensing and removing moisture in the compressed air.

도장용 스프레이나 공압 실린더와 같은 각종 공압장치들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압장치들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공기는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공압장치들로 공급된다.Various pneumatic devices such as paint sprays or pneumatic cylinders are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ir used as a driving source of such pneumatic devices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devices in a compressed state by an air compressor.

산업 현장에서는 다수의 공압장치들이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각각의 공압장치들을 위해 별도의 공기압축기들을 제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주로 압축공기 저장용기를 이용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였다가, 공압라인을 통해 공압장치들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It is common for industrial pneumatic devices to be used,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separate air compressors for each pneumatic device. Therefore, the compressed air is mainly stored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using 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and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devices through the pneumatic l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축공기 저장용기(1)는 입구파이프(2)를 통해 공기압축기와 연통하는 입구와, 공압라인(3)을 통해 각종 공압장치들로 이어지는 출구를 가진다.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는 입구를 통해 용기(1)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1) 내부에 저장되었다가 출구와 연결된 공압라인(3)을 통해 각종 공압장치들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 1, such a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1 has an inlet communicating with an air compressor through an inlet pipe 2 and an outlet leading to various pneumatic devices through a pneumatic line 3. Compressed air compressed in the air compresso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 through an inlet, stored in the container 1, and supplied to various pneumatic devices through a pneumatic line 3 connected to the outlet.

그리고, 입구를 통해 저장용기(1)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출구쪽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저장용기(1)의 바닥으로 떨어지며, 이렇게 저장용기(1)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는 용기(1)의 바닥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와 연통하는 응축수 배출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5는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응축수가 일정량 모일 때마다 응축수 배출관(4)을 개방하기 위한 개폐 밸브이다.Then, in the process of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 through the inlet flows toward the outlet, the moisture in the air is condensed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1, so th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1 The accumulated condens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ensate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In FIG. 1,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 at regular intervals or whenever a certain amount of condensate is collected.

한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압장치들에 있어, 압축공기 내부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그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공압장치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저장 용기(1)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압축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리 장치가 압축공기 저장용기(1)의 출구측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pneumatic devices using compressed air, it is well known that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may be degraded due to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pneumatic device. However, it is not enough to just discharge the naturally occurring condensate in the storage container 1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 water separation device for removing water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1).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 저장용기의 출구측에 별도의 수분리 장치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저장용기 및 수분리 장치에 많은 공간이 할애되어야 했다. 또한, 별도의 수분리 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a separate water separation device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a lot of space should be devoted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water separation device. In addition, the separate water separation devic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본 고안을 안출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공간을 적게 점유하도록 압축공기 저장용기 내에 응축기구, 즉 수분리기구를 내장하는 동시에 응축기구의 구성을 단순화하는데 있다.Applicant has devised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ffort to remedy these shortcoming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of the condensation mechanism while embedding a condensation mechanism, that is, a water separation mechanism,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so as to occupy less installation space.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공기 저장용기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저장용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응축기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ensation mechanism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20 : 응축기구10: body 20: condensation mechanism

22 : 안내관 24 : 응축판22: guide tube 24: condensation plate

26 : 차단판 30 : 드레인 밸브26: blocking plate 30: drain valve

32 : 하우징 34 : 밸브 부재32 housing 34 valve member

40 : 응축수 격리판40: condensate sepa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와 연통하는 입구와 공압라인을 통해 각종 공압장치들과 연통하는 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 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구; 및 응축기구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옹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body hav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mpressor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various pneumatic devices through a pneumatic line; A condensation mechanism for condensing moisture contained in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And it provides a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drain val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nggi main body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condensation mechanis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응축기구는 용기 본체의 입구로부터 본채 내부로 연장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응축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응축판은 안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응축기구는 상기 안내관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압축공기의 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안내관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관의 단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단부재를 더 가진다.The condensation mechanism has a guide tube extending from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nto the main housing and a condensation plat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Preferably the condensation plate is formed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tube. Preferably, the condensation mechanism further has a blocking member dispose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guide tube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guide tube so as to block a path of the compressed air exiting the guide tube. .

또한, 드레인 밸브는 용기 본체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프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drain valve is preferably a relief valve operated by the pressure of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안내관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동이 본체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응축수 격리판이 드레인 밸브의 상측에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densate separator for prevent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tube affects the condensate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drain valve. It is desirable to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저장용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본체(10)와, 응축기구(20)와, 드레인 밸브(30)와, 응축수 격리판(40)을 포함한다.2 illustrates a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condensation mechanism 20, a drain valve 30, and a condensate separator 40.

응축기구(20)는 본체(10) 내부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드레인 밸브(30)는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응축수 격리판(40)은 드레인 밸브(3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체(10)의 입구는 입구파이프(12)를 통해 공기압축기와 연통되고, 본체(10)의 출구는 공압라인(미도시)을 통해 공압장치들과 연통한다.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응축기구(20)를 통과하는 동안,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응축수로 변화된다. 이 응축수는 압축공기의 유속에 의해 응축기구(20)를 빠져나온 다음 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져 고이고 드레인 밸브(30)로 유입된다. 드레인 밸브(30)로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의 압력에 따라 작동되는 드레인 밸브(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응축기구(20)를 빠져나온 압축공기는 응축수가 제거된 상태에서 출구와 연통된 공압라인을 통해 각종 공압장치로 공급된다.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drain valve 30 is install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densate separator 40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drain valve 30. Is installed. The inlet of the body 10 communicates with the air compressor through the inlet pipe 12, and the outlet of the body 10 communicates with the pneumatic devices through a pneumatic line (not shown). While the compressed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is condensed and converted into condensed water. This condensed water exits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by the flow rate of the compressed air and then falls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flows into the drain valve 30.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drain valve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rain valve 30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condensed water.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ed air exiting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is supplied to various pneumatic devices through the pneumatic lin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removed.

보다 구체적으로, 응축기구(20)는 본체(10)의 입구로부터 본체 내부로 길게 연장하는 안내관(22)과, 안내관(22)의 내부에 형성된 응축판(24)과, 안내관(22)의 출구측에 구비된 차단 부재(26)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응축판(24)은 안내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관(22)의 내경은 대략 150mm이고, 응축판(24)의 높이는 대략 25mm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includes a guide tube 22 extending long from the inlet of the main body 10 into the main body, a condensation plate 24 formed inside the guide tube 22, and a guide tube 22. It is made of a blocking member 26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Preferably, the condensation plate 24 is formed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tube 22 (see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22 is approximately 150 mm, and the height of the condensation plate 24 is approximately 25 mm. However, these numbers are not absolute and can be changed as needed.

차단판(26)은 안내관(22)의 출구측에 안내관(22)의 출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대체로 안내관(22)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관(22)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만곡된 원판 형상을 가진다. 이 차단판(26)은 그 중간 일측으로부터 안내관쪽으로 연장하는 브라켓(27)에 의해 안내관(2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The blocking plate 26 is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guide tube 2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of the guide tube 2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generally dispose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guide tube 22. Preferably, the guide tube 22 has a disk shape cur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blocking plate 26 is fixed to the guide tube 22 by welding or the like by a bracket 27 extending from the middle one side toward the guide tube.

본체(10)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안내관(22)을 통과할 때 압축공기는 응축판(24)에 부딪히고 응축판(24)을 따라 그 유로가 변화된다. 이 과정에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들이 물방울로 응축되며, 응축된 물방울들, 즉 응축수는 압축공기의 유속에 의해 압축공기와 함께 안내관(22)을 통과하게 된다. 안내관(22)을 통과한 압축공기와 응축수는 다시 차단판(26)에 부딪힌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이 더 응축된다. 차단판(26)에 부딪힌 압축공기는 안내관(22)과 차단판(26) 사이의 틈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빠져나가고, 응축수는 역시 틈을 통해 본체의 바닥으로 떨어져 고인다.When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 passes through the guide tube 22, the compressed air hits the condensation plate 24 and the flow path is changed along the condensation plate 24. In this process,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condenses into droplets, and the condensed droplets, that is, the condensate, pass through the guide tube 22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by the flow rate of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air and condensate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22 hits the block 26 again. As a result, moisture is further condensed from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air that strikes the blocking plate 26 escapes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guide tube 22 and the blocking plate 26, and condensate also drops to the bottom of the body through the gap.

드레인 밸브(30)는 본체(10)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상부가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하우징(32)의 내부에, 밸브 부재(34)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하우징(32)은 그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입구(33)를 통해 본체(10)의 내부와 소통되며, 하부 중앙에 헝성된 출구(35)를 통해 본체(10)의 외부와 소통된다. 밸브 부재(34)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축(36)에 의해 하우징(3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하부가 하우징(32)의 출구(35)를 막는다.The drain valve 30 is install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main body 10 and is a relief valve, as shown in FIG. 2. Specifically, the valve member 3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member 3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2 installed in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housing 32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body 10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33 formed thereon and communicates with the exterior of the body 10 through an outlet 35 formed in the lower center. The valve member 34 is fixed to the housing 32 by means of a fixed shaft 36 penetrating the center thereof, and a conical lower portion blocks the outlet 35 of the housing 32.

응축기구(20)에서 응축되어 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하우징(32)의 입구들(33)을 통해 하우징(32)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응축수가 일정량을 초과하면, 응축수의 부력, 즉 수압에 의해 밸브 부재(34)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2)의 출구(35)는 개방되고, 응축수는 개방된 출구(35)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16)이 드레인 밸브(30)의 하부에 설치된다.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mechanism 20 and dropp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2 through the inlets 33 of the housing 32. When the introduced condensate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valve member 34 is moved upward by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that is, the water pressure. Accordingly, the outlet 35 of the housing 32 is opened, and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open outlet 35. 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16 for guiding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valve (30).

한편, 응축수 격리판(40)은 드레인 밸브(30)의 상측에 놓여지는 대략 원형의 판재이다. 이 응축수 격리판(40)은 그 저면으로부터 본체(10)의 바닥면까지 연장하는 다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개의 다리(42)에 의해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격리판(40)의 둘레는 도 2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또는, 격리판(40) 전체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둥근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만약, 격리판(40)의 둘레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격리판(40)에 떨어져 고인 응축수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관통공이 격리판(40)의 여러 곳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ate separator 40 is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 placed above the drain valve 30. The condensate separator 4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by a number of, preferably three to five legs 42 extending from its bottom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he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4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s shown in FIG. 2, or otherwise bent downwardly. Alternatively, the whole separator 40 may be made in a convex upward shape. If the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4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 through hole for discharging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separator 40 downward is formed in various places of the separator 40.

이 격리판(40)은 드레인 밸브(30) 주위에 고인 응축수를 압축공기의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동에 의해 드레인 밸브(30) 주위에 고인 응축수에 요동이 일어나면, 응축수의 일부가 다시 수분으로 기화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의 유동에 의해 응축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e separator 40 serves to isolate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drain valve 30 from the flow of compressed air. Because, when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around the drain valve 30 due to the flow of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e condensed water may be evaporated again to a part of the condensed water. This is because it needs to be unaffected.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응축기구의 구성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응축기구가 탱크 내에 내장되기 때문에 설치 공간도 적게 차지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대략 95%정도를 제거할 수 있어, 그 효과에 있어서도 종래에 별도로 설치되던 수분리기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the condensation mechanism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compressed air very simple, but also occupies less installation space because the condensation mechanism is built in the tank.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f the applicant, it is possible to remove approximately 95%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and the effect was never dropp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ater separator installed separately.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Any number of changes can be made.

Claims (6)

공기압축기와 연통하는 입구와 공압라인을 통해 각종 공압장치들과 연통하는 출구를 가지는 용기 본체;A container body hav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mpressor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various pneumatic devices through a pneumatic line;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구; 및A condensation mechanism for condensing moisture contained in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And 상기 응축기구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옹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And a drain valve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ong body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condensation mechanis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densation mechanism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로부터 본체 내부로 연장하는 안내관과,A guide tube extending from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nto the body;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응축판을 가지는 압축공기 저장용기.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having a condensation plat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tub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판은 상기 안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of claim 2, wherein the condensation plate is formed spirally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tub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구는 상기 안내관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압축공기의 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안내관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관의 단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단부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densation mechanism is arrange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guide tube to block the path of the compressed air coming out of the guide tube and the block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guide tub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The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rain valve is a relief valve operated by a pressure of condensate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동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응축수 격리판이 상기 드레인 밸브의 상측에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The bottom of the body is a condensate separator to prevent the flow of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tube to affect the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ompressed air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height.
KR2020010024659U 2001-08-14 2001-08-14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KR2002534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59U KR200253495Y1 (en) 2001-08-14 2001-08-14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59U KR200253495Y1 (en) 2001-08-14 2001-08-14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495Y1 true KR200253495Y1 (en) 2001-11-22

Family

ID=7306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59U KR200253495Y1 (en) 2001-08-14 2001-08-14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49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51B1 (en) * 2012-09-12 2012-12-24 박기배 Container for compressed air with reduced moisture
KR200474915Y1 (en) 2013-11-04 2014-10-22 박복현 Air compresser
KR20150030483A (en) * 2013-09-12 2015-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Carr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51B1 (en) * 2012-09-12 2012-12-24 박기배 Container for compressed air with reduced moisture
KR20150030483A (en) * 2013-09-12 2015-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Carrier
KR101942357B1 (en) * 2013-09-12 2019-0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Carrier
KR200474915Y1 (en) 2013-11-04 2014-10-22 박복현 Air compres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54B1 (en) Condenser for dehumidifying gas
CN1130242C (en) Gas-liquid separator
US20030015462A1 (en) Gas liquid centrifugal separator
KR200253495Y1 (en) Air tank having an incorporated condensing device
JP2805138B2 (en) Compressed air dehumidifier
US7150773B1 (en) Liquid extractor
FI76634B (en) REDUCERINGSVENTIL FOERSEDD MED EN AONGA-VAETSKA-SEPARATOR.
KR100780839B1 (en) filter for compressor
CN205867671U (en) Zero dirty exhaust apparatus of collection is stored to comdenstion water
JP4657422B2 (en) Gas-liquid separator
JPH06346855A (en) Compressed air dehumidifying device
JP4978981B2 (en) Water / air separation device for suction work vehicle and suction work vehicle equipped with this device
CN205796766U (en) A kind of high performance separate air accumulator
JP5073622B2 (en) Gas-liquid separator
KR20030067266A (en) Oil seperator of air conditioner
JP4722273B2 (en) Gas-liquid separator
JP4698879B2 (en) Gas-liquid separator with drainage valve
CN201030267Y (en) Compressed air dehydrator
CN214249547U (en) Steam-water separator
CN208082019U (en) A kind of steam-water separator with hydrophobic panel assembly
CN209875422U (en) Compressor unit is used in dry ice production
KR200362194Y1 (en) Moisture eliminator in oxygen producing device
KR200213378Y1 (en) Separator for vacuum pump
JP5329268B2 (en) Gas-liquid separator
KR200169181Y1 (en) Filter for air-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