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85Y1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385Y1
KR200236385Y1 KR20010002920U KR20010002920U KR200236385Y1 KR 200236385 Y1 KR200236385 Y1 KR 200236385Y1 KR 20010002920 U KR20010002920 U KR 20010002920U KR 20010002920 U KR20010002920 U KR 20010002920U KR 200236385 Y1 KR200236385 Y1 KR 200236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ttery
spring
fixed contac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02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07481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3638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Priority to KR20010002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385Y1/ko
Priority to PCT/KR2001/000795 priority patent/WO2001089057A1/en
Priority to JP2001585375A priority patent/JP3829094B2/ja
Priority to CNB018112668A priority patent/CN100446379C/zh
Priority to AU2001258881A priority patent/AU200125888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과 몸체(1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2)과; 상기 스프링(12)를 고정하고 바닥판(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13)과; 상기 몸체(10) 상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접점(20)과; 상기 고정접점(2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절너트(30)에 의해 고정접점(20)과의 거리가 조절되게 설치되는 이동접점(31)과;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배터리의 상부를 누르는 롤러(41)를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4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고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A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휴대폰의 종류에 관계없이 별도의 구조의 변경이나 조정을 하지 않고 충전할 수 있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휴대폰(cellular phone)은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필수품목으로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전원공급 장치로서 충전식 건전지(이하 충전지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되는 충전지의 종류나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서 다르지만 주기적으로 충전을 하여야 한다.
도1은 휴대폰의 충전에 사용되는 종래의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의 모양과 동일한 홈을 갖는 몸체와 충전지와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기의 경우 상기 홈과 접속단자는 충전되는 휴대폰의 형상과 충전지의 형상 및 충전지 상의 접속단자의 거리에 맞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본체의 형상과 접속단자의 위치가 다른 휴대폰은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의 패션화 경향 및 신기술 개발로 인한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제품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개발하여야 하므로 개발기간의 증가 및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폰을 교체하는 경우 기존의 충전기 역시 변경하여야 하므로 국가적으로도 자원의 낭비가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휴대폰의 모양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동식 접속단자를 사용하여 충전지의 접속단자의 위치에 맞도록 충전기의 접속단자의 간격을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며,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도1에 도시된 충전지 몸체의 홈의 측면에 스프링으로 연결된 고정판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휴대폰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휴대폰을 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형식이어서 고정할 수 있는 휴대폰의 크기에 제한이 있으며, 접속단자간의 간격 조정에 있어서도 단지 접점간의 수평거리만을 조정할 수 있을 뿐이어서, 접점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성의 면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일일이 접점간의 간격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형상 및 크기가 다른 휴대폰에 대해서 접점간의 간격 및 높이를 함께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접점간의 간격 및 높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조절될 수 있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 중 배터리 고정부(4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바닥판,
12 … 스프링, 13 … 가이드 봉,
14 … 가이드 홀, 20 … 고정접점,
30 … 조절너트, 31 … 이동접점,
40 … 스프링, 41 … 롤러,
42 … 배터리 고정부, 50 … 스프링,
60 … 고정접점, 70 … 조절너트,
71 … 이동접점, 80 … 수직접점,
81 … 수평접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과 몸체(1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2)과; 상기 스프링(12)를 고정하고 바닥판(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13)과; 상기 몸체(10) 상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접점(20)과; 상기 고정접점(2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절너트(30)에 의해 고정접점(20)과의 거리가 조절되게 설치되는 이동접점(31)과;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배터리의 상부를 누르는 롤러(41)를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4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고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면 일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접점(60)과; 상기 고정접점(6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절너트(70)에 의해 고정접점(70)과의 거리가 조절되고, 내부에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접점(71)과;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배터리의 상부를 누르는 롤러(41)를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4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고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있다.
본 고안은 또한, 배터리의 접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이동접점(31, 71) 및 바닥판(11)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각각의 고안에서의 접점이 각각 수직접점(80)과 수평접점(81)을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그에 따른 회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속이 빈 박스형의 몸체(10)를 갖는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쪽으로 절개된 바닥판(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11)에는 모서리부분에 4개의 가이드 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14)에 삽입되어 바닥판(1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13)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봉(13)에는 스프링(12)이 삽입되어 바닥판(11)에 윗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몸체(10)의 상면의 한쪽에는 고정접점(20)이 설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예에서는 몸체(10)의 상면에 접점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점지지대에 'ㄱ'자 형의 고정접점(2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점(20)의 끝에는 도6에 도시된 접점과 같이 아랫쪽을 향하는 수직접점(80)과 바닥판(11)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수평접점(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점(20)의 반대쪽에는 이동접점(3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점(20)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동접점(31)도 몸체(10)의 상면에 접점지지대를 설치하고 일단이 상기 접점지지대에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접점지지대의 중앙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조절너트(30)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동접점(31)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너트(30)를 회전시키면 이동접점(31)이 이동하게 구성된다. 이동접점(31)에도 고정접점(20)과 동일하게 수직접점(80)과 수평접점(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또한 배터리 고정부(42)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고정부(4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면에 설치된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롤러(41)가 부착된 롤러 고정바가 배터리 고정부(42)의 몸체(10)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고정부(42)의 내부에는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40)에 의해서 상기 롤러(41)에 아랫쪽을 향하는 탄성력이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고정바의 상부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및 접점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평판형의 몸체(10)를 가지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배터리 고정부(42)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일단이 접점지지대에 고정된 고정접점(60)이 설치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60)은 수직접점(80)과 수평접점(81)이 형성된 접점부가 내부에 삽입되며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접접부가 아랫쪽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60)의 반대편에는 이동접점(71)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접점(31)은 도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너트(70)를 돌리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점(60)과 이동접점(71)의 상부에는 가이드 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개의 가이드 홀(51)내에는 가이드 바(52)가 삽입되어 이동접점(71)이 조절너트(7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충전될 배터리의 접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접점(31, 71)과 바닥판(11) 및 배터리 고정부(4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로는 소형 서보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와 균등한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충전기의 경우 먼저 사용자는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휴대폰의 배터리를 위치시킨후에 상기 고정접점(20)의 수직접점(80)에 배터리의 한쪽 충전단자가 닿도록 한다. 그후에, 조절너트(30)를 돌려서 이동접점(31)의 수직접점(80)이 배터리의 나머지 충전단자에 닿도록 하면 바닥판(11)의 하부에 있는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터리가 상기 고정접점(20)과 이동접점(31)의 수직접점(80)에 각각의 충전단자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의 한쪽 단부만이 고정접점(20)과 이동접점(31)에 의해서 눌려지게 되므로 배터리의 반대쪽 단부가 바닥판(11)에서 떨어져서 떠있게 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 고정부(42)를 회전시켜서 배터리의 다른 단부의 상면에 상기 롤러(41)를 올려놓으면 배터리 고정부(42)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배터리가 바닥판(11)에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의 설명은 배터리의 충전단자가 배터리의 배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서 배터리의 바닥면에 충전단자가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의 설명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되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상기 고정접점(20)과 이동접점(31)의 수평접점(81)이 배터리의 충전단자에 닿도록하면 된다.
상기 두번째 실시예의 경우 먼저 고정접점(60)의 접점부를 손으로 집어서 들어올린 후에 충전될 배터리의 한쪽 충전단자를 고정접점(60)의 접점부의 아래로 위치시킨 후에 접점부를 충전단자의 위에 올려 놓는다. 다음에 조절너트(70)를 회전시켜서 이동접점(71)의 접점부가 충전될 배터리의 다른쪽 단자에 닿도록 한다.
상기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한쪽 단부만을 고정접점(60)과 이동접점(71)이 누르고 있으므로 배터리의 다른쪽 단부가 몸체(10)에서 떨어질 수가 있으므로 배터리 고정부(42)를 회전시켜서 상기 롤러(41)가 배터리의 다른쪽 단부를 누르도록 위치시키면 된다.
두번째 실시예에서도 상기 고정접점(60)과 이동접점(71)은 수직접점(80)과 수평접점(81)을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될 배터리의 충전단자의 위치가 배터리의 배면이든 바닥면이든 상관없이 충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될 휴대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며 특히, 접점간의 거리는 물론 수직높이도 함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데 어떠한 형태의 배터리도 충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배터리 고정부가 제공되므로 배터리가 충전기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충전 중 배터리가 이동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접점과 수평접점을 동시에 제공되므로 적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종류가 더욱 넓어진다.
아울러, 센서와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배터리의 접점을 확인하면서 조절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접점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

Claims (5)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과 몸체(1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2)과; 상기 스프링(12)를 고정하고 바닥판(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13)과; 상기 몸체(10) 상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접점(20)과; 상기 고정접점(2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절너트(30)에 의해 고정접점(20)과의 거리가 조절되게 설치되는 이동접점(31)과;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배터리의 상부를 누르는 롤러(41)를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4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고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2.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면 일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접점(60)과; 상기 고정접점(6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조절너트(70)에 의해 고정접점(60)과의 거리가 조절되고, 내부에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접점(71)과; 상기 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배터리의 상부를 누르는 롤러(41)를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4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고정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접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이동접점(31)과 바닥판(11) 및 배터리 고정부(42)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4.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접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이동접점(71)과 배터리 고정부(42)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20, 60)과 이동접점(31, 71)은 수직접점(80)과 수평접점(8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KR20010002920U 2000-05-16 2001-02-07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0236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2920U KR200236385Y1 (ko) 2001-02-07 2001-02-07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PCT/KR2001/000795 WO2001089057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JP2001585375A JP3829094B2 (ja) 2000-05-16 2001-05-16 多機種携帯フォーン用バッテリー充電器
CNB018112668A CN100446379C (zh) 2000-05-16 2001-05-16 用于各类型蜂窝式电话的电池充电装置
AU2001258881A AU2001258881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2920U KR200236385Y1 (ko) 2001-02-07 2001-02-07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385Y1 true KR200236385Y1 (ko) 2001-09-26

Family

ID=3407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2920U KR200236385Y1 (ko) 2000-05-16 2001-02-07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3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3161A1 (en) * 2001-11-15 2003-05-22 Min Kyiu Sin Charger for mobile telephone
WO2005088803A1 (en) * 2004-03-18 2005-09-22 Alpha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KR101791883B1 (ko) * 2015-10-02 2017-10-31 김용주 다품종 대응형 2차전지 극성변환 충방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3161A1 (en) * 2001-11-15 2003-05-22 Min Kyiu Sin Charger for mobile telephone
WO2005088803A1 (en) * 2004-03-18 2005-09-22 Alpha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KR101791883B1 (ko) * 2015-10-02 2017-10-31 김용주 다품종 대응형 2차전지 극성변환 충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19408A (en) Controller unit for electronic devices
CN115476149B (zh) 温控器自动组装机
KR200236385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WO2001089057A1 (en)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CN105048599B (zh) 自发电控制装置
CN109147631A (zh) 一种下压高度可调式显示面板导通压接结构
CN211978271U (zh) 一种电子产品生产用抗摔性能检测装置
KR100326898B1 (ko)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장치
CN109025366A (zh) 一种自动调节建筑支架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N208100164U (zh) 用于电子装置的侧键定位装置
KR200156765Y1 (ko) 충전용 거치대
CN217595742U (zh) 一种晶闸管模块电极折弯机
CN219286272U (zh) 一种电动车防呆开关
CN212685825U (zh) 平衡车
CN221427819U (en) Battery device with output protection structure
CN208608781U (zh) 一种小型发电机内置ats双电源自动切换控制面板
CN205724963U (zh) 充电装置
CN215330282U (zh) 一种智能马桶触控式遥控器
CN211907288U (zh) 按钮开关的按压件联动弹簧定位结构
CN212848152U (zh) 一种键盘按键
CN211455584U (zh) 一种新型三挡选择开关
CN219086819U (zh) 一种可移动的无线充电装置
CN214855612U (zh) 一种学校后勤用床单铺放装置
CN216982121U (zh) 一种铜柱导通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919

Effective date: 200506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