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703Y1 -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 Google Patents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703Y1
KR200232703Y1 KR2019950012742U KR19950012742U KR200232703Y1 KR 200232703 Y1 KR200232703 Y1 KR 200232703Y1 KR 2019950012742 U KR2019950012742 U KR 2019950012742U KR 19950012742 U KR19950012742 U KR 19950012742U KR 200232703 Y1 KR200232703 Y1 KR 200232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utter
emergency door
sprin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107U (ko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2019950012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703Y1/ko
Publication of KR970002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703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항상 닫힘 상태를 유지토록 하면서 셔터와 비상문의 연결부위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방화셔터 비상문은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암수경첩이 축에 의하여 절첩되면서 축에 장착된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스프링은 단순히 축에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의 장력변화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여 반복되는 비상문의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의 장력이 저하되면 셔터와의 연결부위 밀착력이 저하되면서 이러한 틈새로 기밀이 새게 됨은 물론 비상문의 설치를 위하여 절단되어진 셔터판과 비상문의 절단면에 장착되는 막힘구에 의하여 하중이 발생되어 휘게 됨으로 방화문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축의 사용 없이 숫경첩(A)과 암경첩(B)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가 서로 맞물리면시 끼워지도록 하고, 스프링은 고정구와 조절구를 수납부에 장착토록 하고, 조절구를 좌우 이동이 가능토록 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고, 경첩의 하단에는 격판을 형성하여 막힘구로 사용하며 경첩을 철판을 사용함으로 중첩에 의하여 스토퍼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방화셔터의 비상문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본 고안은 방화셔터에 있어서, 비상문의 닫힘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첩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가능하고, 스프링이 노출되어지지 않도록 하며,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하고, 별도의 스토퍼 사용이 없이 암수경첩의 중첩에 의하여 스토퍼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경첩에 조립되어지는 각각의 셔터판의 빠짐 방지수단과 셔터의 말림 수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비상문이 닫혔거나 말릴 경우에 셔터와 비상문의 연결부위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말림 셔터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리되어진 셔터판(100)을 상하로 끼워서 제작됨으로 개폐시 권취드럼에 권취될 경우에 말림이 용이한 것이고, 이러한 셔터판(100)이 방화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용융온도가 높은 철판을 사용하고 철판의 두께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서 많은 하중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각각의 셔터판(100)은 상하로 끼워져 제작됨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의 절단면(切斷面)에는 셔터판(100)의 빠짐방지를 위한 마감구(200)(일명;미미)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셔터에 비상문(400)을 일체로 장착할 경우에는 절단면(切斷面)이 셔터판(100)의 절단면과 비상문(400)의 절단면이 형성됨으로 이로 인한 절단면에만 각각의 마감구와 경첩이 장착됨으로 하중이 이러한 절단면에 많이 발생됨으로 전체적인 수평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몰리게 됨으로 셔터의 자체가 휘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비상문을 장착하였을 경우에 비상문의 덜렁거림은 물론 비상문과 셔터의 틈새의 벌어짐에 의한 제품의 하자가 많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원인은 비상문의 형성으로 마감구의 사용과 경첩의 사용에 따른 하중증가와 비상문의 항상 닫힘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프링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에 또는 장력이 동일하지 못할 경우에 비상문의 정확한 밀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이러한 경첩의 사용으로 셔터의 말림시에 중첩되어지는 부분의 경첩부위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숫경첩(A)과 암경첩(B)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는 서로 엇갈리게 끼워끼게 되고, 끼워지는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부가 지지판과 밀착되어지면서 암경첩의 수납부 상하단이 숫경첩의 지지판의 상하단과 중첩되어지게 되면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고,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된 스프링은 고정구와 조절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고정구는 숫경첩의 수납부에 고정되고, 조절구는 암경첩의 수납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노출된 조절 고정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조절구를 조이거나 풀려지도록 함으로서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토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스프링이 고정구와 조절구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상하로 중첩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셔터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7도는 셔터에 비상문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고정홈
3 : 협지돌기 4 : 왓샤홈
5 : 스프링 6 : 조절구
7 : 조절고정홈 8 : 개구부
9 : 왓샤 10 : 수납부
11 : 지지돌기 12 : 격판
13 : 고정핀 14 : 조절핀
15 : 만곡판 16 : 횡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숫 경첩(A)의 수납부(10a)가 암경첩(B)의 수납부(10b,10c)사이에 끼이게 되면서 숫경첩의 수납부(10a)는 암경첩의 지지판(11a)에 밀착되고, 암경첩의 수납부(10b,10c)는 숫경첩의 지지판(11b,11c)과 밀착되면서 암경첩의 수납부 상.하부(17a,17b)가 수경첩(A)의 지지판(11b,11c)의 상하부(18a,18b)와 중첩되어지면서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되고, 암경첩과 숫경첩의 수납부(10a,10b,10c)에 끼워진 스프링(5)은 스프링(5)의 상.하단에 형성된 횡간(16)에 고정구(1)와 조절구(6)의 협지돌기(3)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1)와 조절구(6)의 왓샤홈(4a,4b)에는 왓샤(9a,9b)가 가압에 의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1)는 암경첩(B)의 수납부(10b)에 끼워져 고정구(1)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2)에 숫경첩의 수납부(10a)에 형성된 홀(19a)을 관통하는 고정핀(13)으로 고정되어지고, 조절구(6)는 암경첩(B)의 하단 수납부(10c)로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구의 조절고정홈(7)은 개구부(8)로 노출되어지면서 어느 하나의 조절고정홈(7)은 홀(19b)을 통하여 조절핀(14)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암경첩(B)과 수경첩(A)의 상하 측방으로는 격판(12)이 형성되어 경첩이 셔터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판의 연결을 위하여 끼인 것이 빠지지 않도록 막아 주게 되고 암경첩(B)과 수경첩(A)의 상부로는 만곡판(15)이 형성되어 셔터의 상승시에 셔터판의 말림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이 유지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개구부가 암경첩의 하부 수납부(10c)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부 수납부(10b)에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의 기능을 암경첩의 수납부 상.하부(17a,17b)가 수경첩(A)의 지지판의 상하부(18a,18b)와 중첩되어지면서 하도록 하였으나 이때 중첩되는 부분이 턱이 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암경첩은 각각의 셔터에 장착되고 숫경첩은 비상문에 장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항상 닫힘상태가 유지되어 있다가 비상문을 밀면 고정구(1)와 조절구(6)는 경첩의 수납부(10a,10b,10c)에 형성된 홀(19a,19b)에 고정핀(13)이나 조절핀(1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1)와 조절구(6)의 협지돌기(3)가 스프링(5)의 횡간(16)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5)만이 가압되면서 열리게 되고 열린 후에는 가압되어 있는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때 암경첩(B)의 수납부(10b,10c) 상단과 하단이 숫경첩(A)의 지지판(11b,11c)의 상단과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경첩이 일정한 범위이내 에서만 작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반복되는 비상문의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5)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조절구(6)의 조절고정홈(7)이 암경첩의 수납부(10c)에 형성된 개구부(8)로 노출되어 있어 노출되어진 조절고정홈(7)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스프링(5)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고, 조절 후에는 조절핀(14)을 홀(19b)에 고정토록 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상태에서 장력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상문이 셔터에서 분리될 경우에는 분리되어진 부분에 별도의 미미를 장착함으로서 이러한 미미의 사용으로 셔터가 휘어지게 됨으로 발생되는 기밀유지의 곤란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경첩과 숫경첩의 하단에 격판을 형성하여 미미의 사용이 없이 경첩만을 사용하게 됨으로 비상문을 장착한 부분이 휘어짐으로서 발생 되는 기밀유지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암경첩과 숫경첩의 상단은 민곡판으로 형성하여 셔터의 말림시 벌어짐이 없도록 하여말림의 용이함은 물론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을 축을 사용하지 않고 장착토록 함으로서 축사용에 따른 기밀유지의 곤란함을 해소함은 물론 비상문을 형성함으로서 절단부(切斷部)에 장착되어지는 별도의 미미 사용을 없앰으로서 비상문의 장착에 의한 셔터의 휘어짐에 의한 기밀유지의 곤란함을 해소하게 되었고, 스프링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임토록 함으로서 장력의 변화에 대한 틈새의 벌어짐을 해소한 것이고, 셔터의 말림시에도 틈새의 벌어짐을 해소한 것이다.

Claims (3)

  1. 숫 경첩(A)의 수납부(10a)가 암경첩(B)의 수납부(10b, 10c)사이에 끼게 되면서 암경첩의 수납부 상.하부(17a, 17b)가 수경첩(A)의 지지판의 상하부(18a,18b)와 중첩되어져 스토퍼로 되고, 상기 수납부에 끼워진 스프링(5)은 상.하단에 형성된 횡간(16)에 고정구(1)와 조절구(6)의 협지돌기(3)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1)는 암경첩(B)의 수납부(10b)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2)이 숫경첩의 수납부에 형성된 홀(19a)을 통하여 고정핀(13)으로 고정되어지고, 조절구(6)는 암경첩(B)의 하단 수납부(10)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구의 조절고정홈(7)은 개구부(8)로 노출되어지면서 어느 하나의 조절고정홈(7)은 홀(17b)을 통하여 조절핀(14)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암경첩(B)과 수경첩(A)의 상하 측방으로는 격판(12)이 형성되고, 암경첩(B)과 수경첩(A)의 상부로는 만곡판(1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숫경첩의 수납부(10a)는 암경첩의 지지판(11a)에 암경첩의 수납부(10b,10c)는 숫경첩의 지지판(11b,11c)과 밀착되면서 암경첩의 수납부 상.하부(17a,17b)가 수경첩(A)의 지지판의 상하부(18a,18b)와 중첩되어지는 폭을 일정학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와 조절구의 왓샤홈(4a,4b)에는 왓샤(9a,9b)가 가압에 의하여 끼위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KR2019950012742U 1995-06-05 1995-06-05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KR200232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742U KR200232703Y1 (ko) 1995-06-05 1995-06-05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742U KR200232703Y1 (ko) 1995-06-05 1995-06-05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107U KR970002107U (ko) 1997-01-24
KR200232703Y1 true KR200232703Y1 (ko) 2001-10-25

Family

ID=6087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742U KR200232703Y1 (ko) 1995-06-05 1995-06-05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7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26B1 (ko) 2009-10-07 2011-11-09 유태유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1420002B1 (ko) 2012-06-26 2014-07-17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26B1 (ko) 2009-10-07 2011-11-09 유태유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1420002B1 (ko) 2012-06-26 2014-07-17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107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846B1 (ko)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KR200488790Y1 (ko) 문틈 안전 커버
US5077864A (en) Swing door hinge
KR200232703Y1 (ko)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JPH0438063Y2 (ko)
US2777156A (en) Hinge
US5855039A (en) Delay door closer
KR102096316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GB204980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de Angle Hinges
JP3285290B2 (ja) ドア支持構造
KR100563186B1 (ko) 방화셔터
JP2978129B2 (ja) 2軸型裏蝶番
KR20100027594A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US4388745A (en) Self closing multi pintle hinge
JP3177850B2 (ja) スライド蝶番
KR200443274Y1 (ko) 방화문의 폐쇄 순위 조절기
JP3082909B2 (ja) 折戸用二軸蝶番
CN219197030U (zh) 一种铰链保护结构
KR100577980B1 (ko) 방화셔터용 역경첩
KR200157139Y1 (ko) 방화 셔터의 비상문 밀착 고정장치
KR200142650Y1 (ko) 비상문이 설치된 방화셔터 구조
KR102048625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 속도 조절 장치
JPH10110568A (ja) 隠し蝶番
KR200193426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US20190368246A1 (en) Furniture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