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875Y1 - 조립식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875Y1
KR200226875Y1 KR2020000033071U KR20000033071U KR200226875Y1 KR 200226875 Y1 KR200226875 Y1 KR 200226875Y1 KR 2020000033071 U KR2020000033071 U KR 2020000033071U KR 20000033071 U KR20000033071 U KR 20000033071U KR 200226875 Y1 KR200226875 Y1 KR 200226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triangular pyramid
vertices
strip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현
Original Assignee
임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현 filed Critical 임경현
Priority to KR2020000033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87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 및 모양의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된 후에 각각의 단위블록으로 수월하게 해체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완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삼각뿔의 외관을 가지며, 삼각뿔의 꼭지점에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삼각뿔의 모서리는 각각 띠 모양의 평평한 면 모서리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 모서리에는 꼭지점들과 간격을 두고 띠 돌출부가 형성되고, 띠 돌출부에는 다수의 철부와 요부가 교호로 배열되고, 삼각뿔의 면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그 사이에 끼움구멍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서, 삼각뿔의 면과 면, 꼭지점과 꼭지점, 띠 돌출부와 띠 돌출부, 면과 띠 돌출부, 꼭지점과 띠 돌출부, 면과 꼭지점이 일정한 간격부를 두고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완구 {Constructive Block Toy Units}
본 고안은 조립식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뿔의 각각의 모서리, 꼭지점 및 면에 요부(凹部) 및 철부(凸部)를 형성함으로써, 삼각뿔의 전(全)방향 및 다각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 및 모양으로 조립될 수 있는 신규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형태의 단위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내도록 조립하는 것으로서, 블록완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창의력뿐만 아니라 지능 및 지구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한 변이 직사각형인 육면체로 구성되고, 그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철부를 다른 블록완구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부에 끼우는 단순한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낼 수 있는 입체적 형상이 다양하지 못하고, 따라서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직육면체 블록완구는 그 특성상 수직방향으로만 조적되기 때문에 건물형태의 직육면체 입체구성은 가능하더라도 다양한 구면형식의 입체 구성이 용이하지 않고 예각이나 둔각을 갖는 입체물을 조립할 수가 없었으며, 곡면의 입체를 구성하려고 할 때에는 계단식 형태로만 조립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조립구성의 다양성에 대한 빈곤으로 인해 창의력 및 이해력 증진에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단위블록들이 결합될 경우에는 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완구면과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완구면이 틈새 없이 밀착되면서 꽉 끼기 때문에 조립된 단위블록을 해체하기가 쉽지 않고, 결국 해체되지 못한 단위블록이 결합된 상태로 방치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완구를 삼각뿔의 형태로 제공하고 그 삼각뿔의 각각의 모서리, 꼭지점 및 면에 요부(凹部) 및 철부(凸部)를 형성함으로써, 삼각뿔의 모든 방향 및 다각도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 및 모양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된 블록완구가 각각의 단위블록으로 수월하게 해체될 수 있는 블록완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삼각뿔의 외관을 가지며, 삼각뿔의 꼭지점 중에서 일부(바람직하게는 2개)의 꼭지점에는 철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꼭지점에는 철부가 꽉 끼워질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되고, 삼각뿔의 각각의 모서리는 띠 모양의 평평한 면 모서리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 모서리에는 꼭지점들과 간격을 두고 띠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띠 돌출부 중에서 일부(바람직하게는 2개)의 띠 돌출부에는 다수의 철부와 요부가 교호로 배열되며, 나머지 띠 돌출부에는 다수의 철부와 요부가 전술한 것과 반대의 배열순서를 갖도록 교호로 배열되고, 삼각뿔의 면 중에서 일부(바람직하게는 2개)의 면에는 중앙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철부의 주위로 다수의 제1 끼움돌기가 배열되는데 제1 끼움돌기는 철부 및 그 철부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C자형 기둥으로 구성되며, 삼각뿔의 면 중에서 나머지 면에는 제2 끼움돌기가 원형으로 배열되어서 그 중앙에 중앙요부를 형성하는데 제2 끼움돌기는 전술한 C자형 기둥의 1/2의 크기를 갖는 한 쌍의 돌출부 및 그 돌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철부로 구성되고, 또한 중앙요부는 중앙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앙철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철부와 각각의 제1 끼움돌기를 잇는 가상선을 따라서는 제1 끼움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끼움돌기가 배열되는데 이때 C자형 기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부가 제1 끼움돌기의 철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하고, 중앙요부와 각각의 제2 끼움돌기를 잇는 가상선을 따라서는 제1 끼움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끼움돌기가 배열되는데 이때 C자형 기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부가 제1 끼움돌기의 철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삼각뿔의 꼭지점, 각각의 면 및 면 모서리의 띠 돌출부에 형성된 철부와 요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어린이의 창의력 및 지능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블록완구들이 조립되어 있을 때에도 띠 돌출부들의 사이 및 면과 면의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되어 있는 블록완구들을 필요에 따라 매우 쉽게 분리 해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면에 형성된 하나의 끼움돌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면에 형성된 다른 끼움돌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조립시킨 하나의 완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 2a, 2b, 2c, 2d : 꼭지점
4a, 4b, 4c, 4d, 4e, 4f : 면 모서리
8a, 8b, 8c, 8d, 8e, 8f : 면 돌출부
10a, 10b, 10c : 조립식 블록완구의 면
100, 102, 104, 106, 108, 109 : 철부 110, 112, 114, 116 : 요부
200 : C자형 기둥 210, 220 : 끼움돌기
240 : 돌출부 250, 260 : 호홈
300 : 중앙철부 310 : 중앙요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완구를 상이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조립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완구(1)는 삼각뿔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완구(1)를 구성하는 삼각뿔의 4개의 꼭지점(2a)(2b)(2c)(2d)의 임의의 2개의 꼭지점에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요부(凹部)(110)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꼭지점에는 전술한 요부(110)에 꼭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철부(凸部)(1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1)의 삼각뿔의 6개의 모서리(4a 내지 4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이하, 이를 '면 모서리'라고 한다), 이들 각각의 면 모서리(4a 내지 4f)의 중앙부에는 면 모서리와 동일한 폭을 갖는 띠 돌출부(8a 내지 8f)가 형성되어 있다.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상면에는 철부와 요부가 서로 외접하면서 교호로 형성되어 있는데, 임의의 3개의 띠 돌출부에 있어서의 철부와 요부의 배열순서는 나머지 3개의 띠 돌출부에 있어서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띠 돌출부(8a)(8d)(8f)에서는 양끝에 철부(102)가 위치하고 그 중간에는 요부(114)와 철부(104)가 서로 외접하면서 교호로 위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나머지 띠 돌출부(8b)(8c)(8e)에 있어서 양끝에는 요부(112)가 위치하고 그 중간에는 철부(106)와 요부(116)가 서로 외접하면서 교호로 위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철부(104)(106) 및 요부(114)(116)는 전술한 꼭지점 철부(100) 및 꼭지점 요부(110)와 직경이 동일하지만, 양끝에 위치하는 철부(102) 및 요부(112)는 꼭지점 철부(100) 및 꼭지점 요부(110)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블록완구(1)를 구성하는 삼각뿔의 모서리를 면 모서리(4a 내지 4f)로 형성하고, 그 면 모서리(4a 내지 4f)의 중앙부에 띠 돌출부(8a 내지 8f)를 형성하고, 그 띠 돌출부(8a 내지 8f)에 철부(102)(104)(106)와 요부(112)(114)(116)를 형성하여 블록완구(1)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삼각뿔의 4개의 꼭지점(2a 내지 2d)의 부근에는 띠 돌출부(8a 내지 8f)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블록완구(1)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는 삼각뿔의 4개의 꼭지점(2a 내지 2d)의 부근에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두께만큼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 간극을 이용하여 블록완구(1)들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양끝에 위치하는 철부(102) 및 요부(112)를 중간부의 철부(104)(106) 및 요부(114)(116)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한 것은, 각각의 블록완구(1)가 결합되었을 때 같은 직경을 갖는 철부(102)와 요부(112)만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띠 돌출부(8a 내지 8f)가 서로 어긋남이 없이 결합되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완구(1)의 삼각뿔에 형성된 4개의 면(10a 내지 10d)에는 다수의 제 1 끼움돌기(210) 및 제2 끼움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 끼움돌기(2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1 끼움돌기(210)는 전술한 철부(100)(104)(106)와 동일한 크기 및 직경을 갖는 철부(108) 및 그 철부(108)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C자형 기둥(200)(200)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C자형 기둥(200)(200)의 사이에는 한 쌍의 호홈(弧溝)(250)(250)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제2 끼움돌기(2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2 끼움돌기(220)는 전술한 철부(100)(104)(106)(108)와 동일한 크기 및 직경을 갖는 철부(109)를 가지고 있으며, 철부(109)의 하부에는 전술한 C자형 기둥(200)(200)의 1/2 크기인 한 쌍의 돌출부(240)(240)가 맞붙어서 호홈(260)을 형성하고 있다. 호홈(260)은 호홈(250)과 동일한 크기 및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 끼움돌기(210)를 구성하는 C자형 기둥(200) 및 제2 끼움돌기(220)를 구성하는 돌출부(240)의 높이(h')는 제1 및 제2 끼움돌기(210)(220)의 높이(h)의 1/2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블록완구(1)를 구성하는 삼각뿔의 4개의 면(10a 내지 10d)의 어느 2개의 면에는 전술한 철부(100)(104)(106)(108)(109)와 동일한 크기와 직경을 갖는 중앙철부(300)가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2 참조), 다른 2개의 면에는 전술한 중앙철부(300)가 꼭 끼워질 수 있는 중앙요부 (310)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제2 끼움돌기(220)가 원을 그리며 배열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철부(300)의 주위에는 다수의 제1 끼움돌기 (21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데, 각각의 제1 끼움돌기(210)와 중앙철부 (300)를 연결하는 직선 즉, 다수의 제1 끼움돌기(210)로 배열된 열은 중앙철부 (300)를 중심으로 120°등각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제1 끼움돌기(210)는 인접하는 제1 끼움돌기(210)의 호홈(250)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열되며, 제1 끼움돌기(210)는 인접하는 2개의 제1 끼움돌기(210)들의 호홈(250)의 사이에 철부(100)(104)(106)(108)(109)가 꼭 끼워질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요부(31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2 끼움돌기(220)의 주위에는 다수의 제1 끼움돌기(210)가 도 2에 관련하여 기술된 제1 끼움돌기(210)의 배열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완구(1)를 구성하는 삼각뿔의 4개의 면(10a 내지 10d) 중에서 2개의 면은 도 2와 같은 형태를 갖고, 나머지 2개의 면은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되므로, 본 고안의 블록완구(1)들을 서로 결합시킬 때에는 도 2의 형태를 갖는 면과 도 3의 형태를 갖는 면이 결합되며, 이때 도 3에 있어서 제2 끼움돌기(220)들이 원모양으로 중앙에 배열되어 형성하는 중앙요부(310)에는 도 2의 중앙철부(300)가 끼워지게 된다. 동시에, 도 2의 형태를 갖는 면과 도 3의 형태를 갖는 면에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제1 끼움돌기(210)의 철부(108)는 맞은편 면의 제1 끼움돌기(210)의 호홈(250)과 호홈(250)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블록완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면과 면을 결합시키는 방식이외에도, 면(10a 내지 10d)과 띠 돌출부(8a 내지 8f)를 결합시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각의 면(10a 내지 10d)에 배열되어 있는 제1 끼움돌기 (210)의 철부(108)는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철부(104)(106)와 크기가 같고, 인접하는 2개의 제1 끼움돌기(210)의 호홈(250)들은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요부(114)(116)와 같은 크기의 요부를 형성하므로, 제1 끼움돌기(210)의 철부(108)를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요부(114)(116)에 끼워주고 띠 돌출부(8a 내지 8f)의 철부(104)(106)를 호홈(250) 사이의 요부에 끼워주는 방식으로 면(10a 내지 10d)과 띠 돌출부(8a 내지 8f)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완구(1)들은 2개의 블록완구를 결합시킬 때에 도 2의 형태를 갖는 면과 도3의 형태를 갖는 면을 결합시키거나, 각 꼭지점에 형성된 철부 및 요부를 이용하여 꼭지점 끼리를 결합시키거나, 서로 다른 배열 형태를 갖는 띠 돌출부 끼리를 결합시키거나, 면과 띠 돌출부를 결합시키거나, 꼭지점의 철부와 면의 요부(혹은 꼭지점의 요부와 면의 철부)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꼭지점의 철부와 띠 돌출부의 요부(혹은 꼭지점의 요부와 띠 돌출부의 철부)를 결합시키키는 등의 방식에 의하여, 다수의 블록완구(1)들을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완구들을 구형으로 조립시킨 한가지 완성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종래의 직육면체 블록완구에 의하여서는 이와같이 매끄러운 구면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하였다.
이때, 면과 면을 결합시켰을 때에는 이들 면의 사이에 C자형 기둥(200)의 높이(h') 만큼의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띠 돌출부 끼리를 결합시켰을 때에는 그 띠 돌출부의 높이 만큼의 간격이 꼭지점 부근에 존재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면과 띠 돌출부, 꼭지점과 면, 또는 꼭지점과 띠 돌출부를 결합시켰을 때에도 결합된 블록완구들 사이에 항상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블록완구(1)들을 손쉽게 분리 해체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블록완구(1)를 구성하는 삼각뿔이 반드시 정삼각뿔일 필요는 없으며, 각 면이 이등변 삼각형이 되거나 부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그 형태를 임의로 결정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삼각뿔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어린이들에게 시각적인 흥미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완구는 삼각뿔의 꼭지점, 각각의 면 및 면 모서리의 띠 돌출부에 철부와 요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블록완구들을 결합시킬 수가 있으므로, 조립자(특히, 어린이)의 창의력 및 지능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면과 면, 면과 띠 돌출부, 면과 꼭지점, 띠 돌출부와 띠 돌출부, 꼭지점과 꼭지점, 꼭지점과 띠 돌출부를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의 블록완구가 가졌던 단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블록완구들이 조립되어 있을 때에도 조립된 블록완구의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되어 있는 블록완구들을 필요에 따라 매우 쉽게 분리 해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삼각뿔의 외관을 가지며,
    상기 삼각뿔의 꼭지점 중에서 일부의 꼭지점에는 철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꼭지점에는 상기 철부가 꽉 끼워질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삼각뿔의 각각의 모서리는 띠 모양의 평평한 면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면 모서리에는 상기 꼭지점들과 간격을 두고 띠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띠 돌출부 중에서 일부의 띠 돌출부에는 다수의 철부와 요부가 교호로 배열되고,
    상기 띠 돌출부 중에서 나머지 띠 돌출부에는 다수의 철부와 요부가 전술한 것과 반대의 배열순서를 갖도록 교호로 배열되고,
    상기 삼각뿔의 면 중에서 일부의 면에는 중앙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철부의 주위로 다수의 제1 끼움돌기가 배열되고,
    상기 제1 끼움돌기는 철부 및 그 철부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C자형 기둥으로 구성되고,
    상기 삼각뿔의 면 중에서 나머지 면에는 제2 끼움돌기가 원형으로 배열되어서 그 중앙에 중앙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끼움돌기는 상기 C자형 기둥의 1/2의 크기를 갖는 한 쌍의 돌출부 및 그 돌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철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요부는 상기 중앙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중앙철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앙철부와 상기 각각의 제1 끼움돌기를 잇는 가상선을 따라서는 상기 제1 끼움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끼움돌기가 배열되는데 이때 상기 C자형 기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부가 상기 제1 끼움돌기의 철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하고,
    상기 중앙요부와 상기 각각의 제2 끼움돌기를 잇는 가상선을 따라서는 상기 제1 끼움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끼움돌기가 배열되는데 이때 상기 C자형 기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부가 상기 제1 끼움돌기의 철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의 각 면의 형태가 정삼각형과 이등변 삼각형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KR2020000033071U 2000-11-25 2000-11-25 조립식 블록완구 KR200226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71U KR200226875Y1 (ko) 2000-11-25 2000-11-25 조립식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71U KR200226875Y1 (ko) 2000-11-25 2000-11-25 조립식 블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875Y1 true KR200226875Y1 (ko) 2001-06-15

Family

ID=7309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071U KR200226875Y1 (ko) 2000-11-25 2000-11-25 조립식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8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587B1 (en) Building block
CA2102307C (en) Constructional toys
US8197297B2 (en) Toy building block
US6702640B1 (en) Block toy
US20020119725A1 (en) Apparatus for entertainment and education and method of use
US5928052A (en) Cube toy blocks
US3660928A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fitting grooved surfaces
WO2017080483A1 (zh) 多功能拼接积木构件
KR200226875Y1 (ko) 조립식 블록완구
JP2009000139A (ja) 知的創造を惹起する遊戯具用組み立てブロック
JPH0924165A (ja) 組立おもちゃ
KR19990078845A (ko) 전방향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완구
KR200440386Y1 (ko) 조립 블럭
KR200322972Y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2010240310A (ja) 紙製組立部材および組立玩具
KR100519982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CN217448934U (zh) 一种几何积木
KR102450381B1 (ko)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JPS6118935Y2 (ko)
JP3047589U (ja) 時計の基台
KR200173412Y1 (ko) 다양한 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조립완구
WO2018209999A1 (zh) 具有曲面造型功能的拼接积木
TWM634645U (zh) 積木
JP2002346243A (ja) 幾何学ボード式積木
US5291702A (en) Curved surface building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