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51Y1 -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51Y1
KR200226251Y1 KR2020000028861U KR20000028861U KR200226251Y1 KR 200226251 Y1 KR200226251 Y1 KR 200226251Y1 KR 2020000028861 U KR2020000028861 U KR 2020000028861U KR 20000028861 U KR20000028861 U KR 20000028861U KR 200226251 Y1 KR200226251 Y1 KR 200226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phone
hands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2020000028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5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핸드폰접속구가 변경되어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충전컨넥터 등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된 핸드폰접속구와 각종 접합구를 연결하는 핸드폰용 컨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드폰접속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합구수단과 핸즈프리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속구수단 및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를 각각 대응되게 연결하는 회선연결부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Description

핸드폰용 연결컨넥터{Connecter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다른 모양의 핸드폰접속구를 갖는 핸드폰 각각에 대응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장치, 즉,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충전컨넥터 등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의 보급에 따라 이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핸즈프리장치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핸드폰을 작동시키기 위한 밧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충전기가 제공되고 있고, 핸드폰의 새로운 기능이나 통화, 충전 등을 위해 컴퓨터,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등에 핸드폰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충전컨넥터 등이 제공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드폰을 손으로 잡지 않고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장치는 자동차 등에 장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핸즈프리장치의 종류에 있어서도 자동차 밧데리에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핸즈프리장치와, 전원선 대신에 시거잭에 삽입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방식의 핸즈프리장치 등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999-31117호를 통해서 제안한 것과 같이 핸드폰 밧데리를 사용하여 핸즈프리장치를 구동시키는 방식이 있고, 자동차의 카오디오를 활용하여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의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는 핸드폰과 핸즈프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핸드폰(1)에는 이동 중에도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밧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에는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컴퓨터 등을 연결하거나 상기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단자, 즉, 통신단자와 전원단자 및 기타 특수기능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을 갖는 핸드폰접속구(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폰(1)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핸즈프리장치(10)는, 상기 핸드폰(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본체(1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핸드폰(1)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핸즈프리접합구(12)를 구성하되, 상기 핸즈프리접합구(12)를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1 에서와 같이 연결선(13) 등을 이용하여 핸즈프리장치(10)의 본체(11)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핸즈프리장치(10)의 본체(11)에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큰 소리를 내는 스피커(14)와 통화자의 음성을 받아들이는 마이크(15)가 일체로 또는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 있는 각종 회로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밧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전원을 받아들이도록 자동차의 밧데리 등에 연결되는 전원선(17)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본체(11)에 삽입되는 핸드폰(1)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편(16a)과 고정편버튼(16b)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는 이와 연관된 장치와의 연결, 즉, 핸즈프리장치(10)의 핸즈프리접합구(12)를 통해서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통화신호를 연결하고, 밧데리의 충전 등을 위한 전원신호를 연결하며, 근래에는 컴퓨터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즈프리장치 이외에, 시거잭을 사용하는 방식의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식의 경우에도 핸드폰접속구에 핸즈프리접합구를 연결하여 작동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장치(20)의 본체(21) 일측에는 끝단에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와 연결되는 핸즈프리접합구(22)를 구비하는 연결선(23)을 구성하고, 타측에는 자동차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시거잭(27)을 구성하고 있으며, 스피커(24)를 상기 본체(21) 내부에 위치시키고 마이크(25)는 상기 본체(21)와 떨어져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24)와 상기 마이크(25)는 필요에 따라 각각 상기 본체(21)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떨어진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여 각 제품에 따라 달리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본체(21)의 내부에는 고정자석(26)을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 설명된 것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핸즈프리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핸즈프리장치는 사용자가 떨어진 거리에서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떨어진 거리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송신하여야 하므로, 핸즈프리장치 내부에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회로나 잡음을 제거하는 노이즈제거회로 등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필요로 한다.
참고로, 근래에 목걸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 결합되는 이어폰잭을 구비하고, 통화신호를 전달하는 이어폰과 마이크를 구비하는 목걸이형 이어폰장치가 제공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핸드폰에 수신된 음성신호를 이어폰을 통해서 듣고,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서 핸드폰에 전달해 주는 것으로, 별도의 증폭회로 등을 구성하고 있지 않아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본 고안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핸즈프리장치는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와 결합되는 핸즈프리접합구의 형상이 하나의 모양을 갖기 때문에 핸드폰접속구의 모양이 다른 핸드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사용자가 핸드폰을 바꾸게 되면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가 다른 모양이나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 대응되는 핸즈프리장치로 교체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핸드폰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핸드폰접속구의 형상이 다르거나, 새로운 기능 등이 추가되어 새롭게 제공되는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 내부에 있는 단자수의 변화 또는 단자 위치의 변화 등에 따라 핸드폰접속구가 변화되며, 새로운 핸드폰접속구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접합구가 결합되지 않아, 이상 없이 사용하고 있던 기존의 핸즈프리장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핸즈프리장치를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며, 계속사용이 가능한 기존의 핸즈프리장치의 대부분이 폐기되어 국가적인 낭비와 새로운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핸드폰과 컴퓨터 등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충전용컨넥터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장치(30)를 구성하되,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서와 같이 본체(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이크(35)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31)에 이어폰잭(38)과 이어폰(34) 및 연결선잭홀(39)을 일체로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핸드폰(1)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탈시키기 위한 위치고정편(36a)과 고정편버튼(36b)을 부가 구성하고, 전원선(37) 또는 시거잭 등을 사용하여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연결선(43)의 일단에는 상기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는 연결접합구(42)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본체(31)의 연결선잭홀(39)에 삽입되는 연결선잭(41)이 구비된 충전용컨넥터(40)를 별도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선잭(41)을 상기 연결선잭홀(39)에 삽입하여 충전을 위한 전원신호를 연결시키며, 상기 이어폰잭(38)을 상기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 삽입하여 음성신호를 연결시켜 이어폰(34)을 통해서 상대방의 음성을 듣는다.
또한, 스프커와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하게 핸드폰(1)의 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도시되지 않았음)에 있어서도, 핸드폰접속구(2)에 연결되는 충전접합구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충전기 본체에 연결선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는 충전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핸즈프리장치와 동일하게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충전기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충전기와 분리되게 구성되며 연결선의 일단에는 연결잭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연결접합구가 일체로 구성된 충전용콘넥터를 사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용컨넥터를 사용하는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는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핸드폰접속구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결선 양측 단부에 연결접합구와 연결선잭이 일체로 형성된 충전용컨넥터를 교체하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 본체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접속구 이외에 연결선과 연결선잭이 일체로 구성된 충전용컨넥터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구입비용이 높고, 사용이 가능한 부분인 연결선과 연결선잭을 재사용하지 못하며, 대다수의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충전용컨넥터를 버리고 있어 불필요한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충전용컨넥터를 핸드폰과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나 충전기, 충전컨넥터는 새로운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핸드폰접속구와 동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 대응된 핸즈프리장치나 충전기, 충전컨넥터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른 모양의 핸드폰접속구를 갖는 핸드폰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된 핸즈프리접합부나 충전접합부, 연결접합부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 충전컨넥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의 변화에 따라 대응되어 교체되는 연결컨넥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최소한의 부분으로만 구성함으로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불필요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핸드폰과 핸즈프리장치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핸드폰과 다른 핸즈프리장치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충전용컨넥터를 사용하는 핸즈프리장치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결합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핸드폰 2 : 핸드폰접속구
100 : 연결컨넥터 101 : 연결컨넥터본체
102 : 연결컨넥터커버 103 : 컨넥터접합구
104 : 회선연결부 105 : 컨넥터접속구
106 : 접합편버튼 107 : 접합편
112 : 핸즈프리접합구 113 : 연결선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핸즈프리접합구를 구비하는 핸즈프리장치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연결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합구수단과;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속구수단; 및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를 각각 대응되게 연결하는 회선연결부수단; 을 포함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전원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충전접합구를 구비하는 충전기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상기 충전접합구를 연결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합구수단과; 상기 충전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속구수단; 및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지정된 전원단자와, 상기 충전접합구의 지정된 전원단자와를 각각 대응되게 연결하는 회선연결부수단; 을 포함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연결접합구가 구비된 충전용컨넥터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상기 연결접합구와를 연결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합구수단과; 상기 연결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속구수단; 및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상기 연결접합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를 각각 대응되게 연결하는 회선연결부수단; 을 포함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결합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연결컨넥터, 101은 연결컨넥터본체, 102는 연결컨넥터커버, 103은 컨넥터접합구, 104는 회선연결부, 105는 컨넥터접속구, 106은 접합편버튼, 107은 접합편, 112는 핸즈프리접합구, 113은 연결선을 각각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 아날로그방식인 경우 음성단자에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단자와, 송신하는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단자와, 핸즈프리장치의 작동신호를 주고받는 하나 이상의 신호단자 등이 구비되고, 전원단자에는 밧데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단자와 밧데리의 저항값을 읽어드리는 CF단자 등이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접지(Ground)하는 하나 이상의 접지단자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핸드폰이 디지털방식인 경우에는 신호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단자와 핸드폰과 핸즈프리리장치와의 신호 기준을 맞추기 위한 클럭단자 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음성단자 및 전원단자 이외에 핸드폰마다 특별하게 갖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단자가 부가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는 여러 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12개 내지 24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점차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이 추가되면서 새로운 단자를 더 추가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을 제조하는 회사에 따라 핸드폰접속구의 모양과 형태가 다르고, 같은 회사에서 제조한 핸드폰의 경우에도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 등에 의해서 각 단자의 신호위치가 변경되며, 이와 같이 핸드폰접속구의 모양과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 또는 충전기의 충전접합구, 충전컨넥터의 연결접합구가 하나의 모양을 갖기 때문에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와 대응되지 못하게 된다.
즉,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핸드폰접속구의 모양이나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와, 상기 핸드폰접속구 내에 구비되는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음성단자 또는 전원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등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충전컨넥터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이에 연결되는 각종 접합구와를 각각 연결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100)를 이용하여 핸드폰과 핸즈프리장치와의 연결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컨넥터본체(101)의 일측에는 일반적으로 핸드폰(1)의 음성신호와 전원신호를 외부의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음성단자와 전원단자, 기타 단자 등을 구비하는 핸드폰접속구(2)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합구(103)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타측에는 상기 핸드폰(1)의 음성신호와 전원신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 연결하는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 등을 구비한 핸즈프리접합구(112)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속구(105)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내부에는 상기 컨넥터접합구(103)의 각 단자와 상기 컨넥터접속구(105)의 각 단자를 연결하되,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핸드폰접속구(2)에 형성된 각 신호단자와 핸즈프리접합구(112)에 형성되어 있는 각 신호단자가 대응되도록 연결하는 회선연결부(106)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회선연결부(106)의 구성을 전선을 이용하여 각 대응되는 신호단자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2) 단자와 이에 대응하는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112)의 단자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관계가 일정하기 때문에 작업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내부에 각 신호단자가 연결되는 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여 상기 컨넥터접합구(103)의 각 단자와 상기 컨넥터접속구(105)의 각 단자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회선연결부(106)의 각각의 선들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에 연결컨넥터커버(102)를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컨넥터접합구(103) 또는 상기 컨넥터접속구(105)가 상기 핸드폰접속구(2) 또는 상기 핸즈프리접합구(112)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접합편(107)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합편(107)의 잠금을 해지하는 접합편버튼(106)을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에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100)를 이용하여 핸드폰과 충전기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컨넥터본체(101)의 일측에는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합구(103)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타측에는 상기 핸드폰(1)의 전원신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 연결하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충전기의 충전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속구(105)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내부에는 상기 컨넥터접합구(103)의 각 단자와 상기 컨넥터접속구(105)의 각 단자를 연결하되, 연결하고자 하는 핸드폰접속구(2)의 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충전접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단자가 대응되도록 연결하는 회선연결부(106)를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100)를 이용하여 핸드폰과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컴퓨터 등과의 연결을 위해 별도로 구성되는 충전컨넥터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컨넥터본체(101)의 일측에는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합구(103)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타측에는 상기 핸드폰(1)의 음성신호 또는 전원신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 연결하는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충전컨넥터의 연결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한 컨넥터접속구(105)를 구성하며, 이때, 상기 충전컨넥터는 별도의 부분품으로 구성되어 핸드폰에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 또는 컴퓨터 등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단순하게 핸드폰의 충전을 위해서 대부분이 사용되고 있으나, 핸즈프리장치나 컴퓨터 등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핸드폰의 음성단자 또는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자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충전컨넥터를 본 고안의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컨넥터본체(101)의 내부에는 상기 컨넥터접합구(103)의 각 단자와 상기 컨넥터접속구(105)의 각 단자를 연결하되, 연결하고자 하는 핸드폰접속구(2)의 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연결접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단자가 대응되도록 연결하는 회선연결부(106)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100)에 있어서, 도 6 에서와 같이 컨넥터접속구(105')를 상기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와 모양 및 크기가 다르게 구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접합구가 상기 컨넥터접속구(105')와 결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가능하면 상기 컨넥터접합구(103)는,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접합구, 즉,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112), 충전기의 충전접합구, 충전컨넥터의 연결접합구 등과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컨넥터접속구(105)는, 상기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와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초기에는 각종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에 형성된 접합구가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 대응되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를 처음부터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는 핸드폰의 교체에 따른 핸드폰접속구의 변경에 대응하여 간단하게 구성되는 연결컨넥터를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핸드폰에 핸즈프리장치, 충전기, 컴퓨터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충전용컨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핸드폰의 교체에 따른 접속구의 변경에 대응하여 간단하게 구성되는 연결컨넥터를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충전용컨넥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또 다시 새로운 핸드폰으로 교체하여 핸드폰접속구가 재차 변경되는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상기 연결컨넥터만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는,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변경되는 핸드폰접속구의 신호단자와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부의 신호단자와를 각각 같은 신호단자와 접속되도록 연결함으로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는,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변경되는 핸드폰접속구의 신호단자와 충전기의 충전접합부의 신호단자와를 각각 같은 신호단자와 접속되도록 연결함으로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충전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드폰에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 컴퓨터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충전용컨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변경되는 핸드폰접속구의 신호단자와 충전용컨넥터의 연결접합부의 신호단자와를 각각 같은 신호단자와 접속되도록 연결함으로서,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충전용컨넥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핸드폰접속구의 모양 또는 신호단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최소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저가격의 핸드폰용 연결컨넥터만 교체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이며, 기존에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핸즈프리접합구를 구비하는 핸즈프리장치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연결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합구수단;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컨넥터접속구수단; 및
    상기 핸드폰접속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의 지정된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를 각각 대응되게 연결하는 회선연결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연결부수단은, 상기 컨넥터접합구수단과 상기 컨넥터접속구수단과의 지정된 단자를 연결하도록 내부에 연결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접합구수단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와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컨넥터접속구수단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접속구수단은, 상기 핸드폰접속구와 모양 및 크기가 다르며,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는 상기 컨넥터접속구수단과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2020000028861U 2000-10-17 2000-10-17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200226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861U KR200226251Y1 (ko) 2000-10-17 2000-10-17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861U KR200226251Y1 (ko) 2000-10-17 2000-10-17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910A Division KR100395448B1 (ko) 2000-10-17 2000-10-17 휴대폰용 연결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251Y1 true KR200226251Y1 (ko) 2001-06-15

Family

ID=7305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861U KR200226251Y1 (ko) 2000-10-17 2000-10-17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5999A (en) Hands free equipment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US5708706A (en) Connector lead for a transceiver unit
KR200226251Y1 (ko)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20020030326A (ko)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200359031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KR200254508Y1 (ko)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CN210247019U (zh) 一种具有扬声功能的蓝牙耳机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KR200270499Y1 (ko) 거치식 핸즈프리 장치
KR200202198Y1 (ko) 핸드폰의 보관대
KR200282612Y1 (ko)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KR200400686Y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
KR200204514Y1 (ko)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KR970055882A (ko) 휴대폰용 핸드프리키트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KR200214706Y1 (ko) 분할 박스를 구성한 핸즈프리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KR20090007913U (ko) 휴대 단말기용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위한 젠더
KR200264868Y1 (ko) 무선 핸즈프리
JP2003338873A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189841Y1 (ko) 인터넷폰용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