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14Y1 -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14Y1
KR200204514Y1 KR2020000018774U KR20000018774U KR200204514Y1 KR 200204514 Y1 KR200204514 Y1 KR 200204514Y1 KR 2020000018774 U KR2020000018774 U KR 2020000018774U KR 20000018774 U KR20000018774 U KR 20000018774U KR 200204514 Y1 KR200204514 Y1 KR 200204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ak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삼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과,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한다. 핸즈프리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본 고안은 셀룰러폰, 피시에스폰(PCS Phone), IMT-2000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보조해주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형 핸즈프리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복합기능형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에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해야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이때, 다른 통화 보조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손으로 들고 통화를 하는 것은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높여준다. 그래서 운전 중에도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보조해주는 이른바 핸즈프리 장치들이 다양하게 상품화되고 있다.
핸즈프리 장치의 초기 모델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단에 마련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터페이싱을 형성하는 방식을 주로 따랐다. 그런데, 상기 접속단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사별로 그 신호구성방식이나 단자의 레이아웃이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별로 그 적용성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잭(120)을 통해 인터페이싱을 형성하는 방식의 핸즈프리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본 고안도 이러한 방식을 따른다.
종래에 알려진 핸즈프리 장치들은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 단순한 구성의 핸즈프리장치로는 귓속삽입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이어폰을 귀에 꽂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접속한 플러그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청취하고 마이크를 입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의 핸즈프리장치 이다. 이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대를 별도로 갖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공간이 반드시 차량 내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목걸이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목에 걸고서 이어폰을 귀에 꽂아 핸즈프리방식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핸즈프리장치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어폰을 귀에 꽂아야 한다는 점 때문에 차량의 운전중일 때는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즉, 운전 중에 항상 이어폰을 귀에 꽂고 있던지, 아니면 신호가 착신되었을 때 이어폰을 귀에 꽂는 행위를 취해야 하는데, 전자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며 후자는 이어폰을 귀에 꽂는 행위가 안전 운전을 방해한다.
또 다른 종류로서 차량형 핸즈프리장치가 있다. 이 차량형 핸즈프리 장치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고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다. 거치대는 차량 안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거치대에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이들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통화를 하게 된다. 심지어 충전기능까지를 갖는 다소 복잡한 구성의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도 있다. 그러나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는 거치대가 갖는 부피 때문에 휴대성은 거의 없다는 점과 스피커나 마이크가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휴대형 핸즈프리장치로는 사용할 수 없고 차량용으로만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하면서 이어폰형 핸즈프리로도 사용이 가능하면서 절전기능을 갖는 복합기능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한 실제 사용상태도 이다.
도 5a, 5b, 5c는 와이어 타입 스피커부의 측단면도와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5d는 붐타입(boom type) 스피커부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증폭부 20: 스피커부
30: 전원부 40: 플러그부
50: 증폭회로부 60: 스피커-마이크 유닛
100: 이동통신단말기 120: 이어폰잭
200: 거치대 210: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부
230: LED 240: 그릴 홀더(grill holder)
220: 스피커 거치부 330: 마이크로폰
350: 스피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 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구경을 갖는 제1 덮개와 상기 제1 덮개보다 더 큰 구경을 갖는 제2 덮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의 안에 스피커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의 제1마이크신호단자, 제1오디오신호단자 및 제1접지단자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는 상기 마이크신호선, 상기 오디오신호선 및 상기 접지선의 종단과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스피커부와,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폰부와,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하기 위한 스위치부(S4)와,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 되는 제 1접속단자(S1b)와,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는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증폭회로부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칭부(S3)와, 상기 증폭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 및 제2접속단자(S2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상기 증폭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 상에 배치되는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이나, 다른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의 종단에 연결되며 붐타입(boom type) 마이크로폰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을 예시하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크게 구분하면 스피커-마이크 유닛(60)과, 거치대(200), 그리고 증폭회로부(5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2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거치대(200)는 차량의 실내에 앞좌석 앞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거치대(200)는 스피커부(350)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스피커거치부(220)와 단말기거치부(210)를 갖는 일체형 케이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케이스의 배면에는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릴 홀더(240)가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전원부(V)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230)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다.
스피커-마이크 유닛(60)은 스피커부(350)와 마이크로폰부(330) 그리고 이들 스피커부(350)와 마이크로폰부(330) 각각을 한쪽 끝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45a)과 마이크신호선(45b) 및 접지선(45c)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60)은 플러그부(40), 스피커부(350), 마이크로폰부(350), 스위치부(S4), 제1접속단자(S1b) 그리고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한다.
플러그부(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어폰 잭(120)의 제1마이크신호단자(비도시), 제1오디오신호단자(비도시) 및 제1접지단자(비도시)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40b), 제2오디오신호단자(40a) 및 제2접지단자(40c)를 구비한다.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40b), 제2오디오신호단자(40a) 및 제2접지단자(40c)는 상기 마이크신호선(45b), 상기 오디오신호선(45a) 및 상기 접지선(45c)의 종단과 각각 연결된다.
스피커부(350)는 입력단의 일측은 접지 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준다.
스피커부(350)의 구조는 도 5a, 5b, 5c 및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5b, 5c는 와이어 타입(wire type) 스피커의 측단면도와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5d는 붐타입(boom type) 스피커의 측단면도이다. 와이어타입이나 붐타입이나 스피커부(350)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구경을 갖는 제1 덮개(370)와 상기 제1 덮개(370)보다 훨씬 더 큰 구경(대략 지름이 20mm 정도)을 갖는 제2 덮개(36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이 덮개부 안에 스피커(380)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스피커(380)는 스위치(S4)를 통해 오디오신호선(45a)과 연결됨과 동시에 증폭회로(50)와 접속하는 접속단자(S2b)에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45d)에도 연결된다.
스위치부(S4)는 상기 오디오신호선(45a)의 중간에 배치되어 스위칭동작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해져오는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350)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해준다. 특히, 스위치부(S4)는 그 스위치버튼이 스피커부(350)의 덮개부의 외면에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의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했을 때에는 열리게 된다. 그 결과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선(45d)을 통해서만 스피커(380)에 전해진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의 스위치버튼이 제2덮개(36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한다.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330)은 상기 플러그부(40)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잇는 와이어 외피(332) 상에 배치된다 (도 5a 참조).
붐타입 마이크로폰(340)은 상기 플러그부(40)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잇는 와이어 외피(332)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350)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334)의 종단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폰(330, 340)은 소형이면서 고성능의 마이크로폰을 채용한다. 통화자와의 거리가 3m 이내인 경우에는 통화자의 음성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또렷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는 제2덮개부(360)의 외면의 소정의 위치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가 설치되는 위치는 스피커부(350)를 스피커거치대(220)에 장착하였을 때 스피커거치대(220)의 안쪽 내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3접속단자(S1a)와 제4접속단자(S2a)와 접속이 될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한다.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에 있어서, 제1접속단자(S1b)는 두 개의 전도성 판형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된다. 또한, 제2접속단자(S2b)도 역시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된다.
마이크로폰부(330)는 그 입력포트가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에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가 상기 마이크로폰부(300)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 사이에 결합된다. 나아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와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노이즈제거회로가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 사이에 상기 스위치(S5)와 병렬로 결합된다. 노이즈제거회로는 마이크로폰부(330)에서 출력되는 마이크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되기 전에 그 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준다.
증폭회로부(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부(350)로 제공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회로부(50)는 전원부(V), 증폭부(10), 스위칭부(S3) 및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로 이루어진다.
증폭부(10)는 상기 전원부(V)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율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위칭부(S3)는 상기 전원부(V)와 상기 증폭부(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V)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10)에 공급되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부(S3)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S3a, S3b)로 구성된다. 스위치(S3b)와 스위치(S3a)는 상기 스피커거치부(220) 및 단말기거치부(210)의 외면에 스위치버튼이 각각 돌출 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위치(S3b)는 상기 스피커부(350)가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되었을 때 닫히고, 제거되었을 때는 열린다. 또한 스위치(S3a)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거치부(210)에 장착되었을 때 닫히고 제거되었을 때는 열린다.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각각 상기 증폭부(1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부(350)를 스피커거치부(220)에 거치한 경우에는 제3접속단자(S1a)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연결되고, 제4접속단자(S2a)는 제2접속단자(S2b)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속이 형성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상기 증폭부(10)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350)로 제공된다. 상기 스피커부(350)가 스피커거치부(220)에 거치된 경우에는 또한, 스위치(S4)가 열리게 되므로 상기 스피커부(350)로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항상 증폭기(10)에 의해 증폭처리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전원부(V)와 상기 증폭부(10)는 거치대(200)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스피커거치부(220)의 안쪽 내면에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마주보면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한 실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거치대(200)의 단말기거치부(210)에 올려놓으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무게에 의해 스위치(S3a)가 닫힌다. 또한, 마이크-스피커 유닛(60)의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의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하면 스위치(S3b)가 닫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스위치(S4)는 열리게 된다. 또한,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전원부(V)는 증폭부(10)의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어 증폭부(10)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오디오신호선(45a)은 개방되고 플러그(40)의 오디오신호단자(40a)를 통해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접속단자(S1)를 통해 증폭부(10)에 입력되어 증폭된 다음 접속단자(S2)를 거쳐 오디오신호선(45d)을 통해 스피커부(350)에 입력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가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는 스위치(S5)를 눌러주므로써 통화가능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증폭부(10)로 입력되어 증폭된 다음 스피커부(350)에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스피커부(35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수신음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의 장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귓속삽입용 이어폰형 핸즈프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거치대(20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마이크-스피커 유닛(60)을 떼어내면, 이제는 스위치(S3a)와 스위치(S3b)는 열리게 되고, 접속단자(S1)와 접속단자(S2) 또한 연결이 끊어지게 되며, 스위치(S4)는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가 스위치(S5)를 한번 눌러주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통화모드로 전환되고, 스피커(350)의 제1 덮개(370) 부분을 귀속에 삽입하여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플러그부(40)의 오디오신호단자(40a)를 통해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증폭부(10)에는 제공되지 않고 오디오신호선(45a)을 통해서만 스피커부(350)에 제공된다. 결국, 오디오신호는 증폭되지 않은 상태로 스피커부(350)에 제공되므로 이어폰용으로 적절한 세기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어,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귓속삽입용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를 거치대(200)에 장착하여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여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장치이다. 종래에는 이어폰형이나 차량형 중 어느 하나로만 기능하는 핸즈프리장치 뿐이어서 두 가지 형태의 핸즈프리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이를 하나만 구입하더라도 이어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차량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값싸고 편리한 핸즈프리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부(V)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부를 동시에 거치대(200)에 장착한 상태에서만 증폭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사용자가 실수로 마이크-스피커유닛(60)과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시에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즉 둘 중에 하나만 들고 나오더라도 전원공급은 차단되므로 전원부(V)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절전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고안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0)

  1.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 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구경을 갖는 제1 덮개와 상기 제1 덮개보다 더 큰 구경을 갖는 제2 덮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의 안에 스피커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의 제1마이크신호단자, 제1오디오신호단자 및 제1접지단자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는 상기 마이크신호선, 상기 오디오신호선 및 상기 접지선의 종단과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스피커부;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폰부;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하기 위한 스위치부(S4);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 되는 제1접속단자(S1b); 및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는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부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칭부(S3); 및
    상기 증폭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 및 제2접속단자(S2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상기 증폭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를 일체형 케이스로 형성하며,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제1거치부의 외면에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마주보면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부(S3)는 상기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의 외면에 각각 돌출 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S3a, S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S4)는 상기 스피커부의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할 때 열림 위치로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 상에 배치되는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의 종단에 연결되며 붐타입(boom type)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에 결합되는 캐패시터(C4)와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노이즈제거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KR2020000018774U 2000-06-30 2000-06-30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04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ko) 2000-06-30 2000-06-30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ko) 2000-06-30 2000-06-30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14Y1 true KR200204514Y1 (ko) 2000-11-15

Family

ID=1966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ko) 2000-06-30 2000-06-30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733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音響装置
KR200204514Y1 (ko)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47574Y1 (ko)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KR100355080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핸즈프리 거치대
JP3260983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38722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JPH04368246A (ja) 自動車用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KR200184608Y1 (ko)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장치
JPH11289370A (ja) 電話装置
KR200267088Y1 (ko) 접촉식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200216357Y1 (ko) 시가잭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0188123Y1 (ko)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KR200202198Y1 (ko) 핸드폰의 보관대
KR200261264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장치
KR200270494Y1 (ko) 벨소리 증폭장치를 갖는 핸드폰용 핸즈프리
KR200226252Y1 (ko) 이동식 핸즈프리장치
KR200264867Y1 (ko) 휴대전화와 핸즈프리의 연결선 제거를 위한 무선 핸즈프리
GB2420930A (en) Auxiliary handset accessory kit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e in a vehicle
KR200362716Y1 (ko) 핸즈프리키트장치
KR200218534Y1 (ko) 저가형 초소형 유선 핸즈프리
KR200226251Y1 (ko)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JP3036952U (ja) 携帯電話機用のイヤホンマイク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KR200225634Y1 (ko)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