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21Y1 -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21Y1
KR200220621Y1 KR2019960005825U KR19960005825U KR200220621Y1 KR 200220621 Y1 KR200220621 Y1 KR 200220621Y1 KR 2019960005825 U KR2019960005825 U KR 2019960005825U KR 19960005825 U KR19960005825 U KR 19960005825U KR 200220621 Y1 KR200220621 Y1 KR 200220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rollers
lift cag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939U (ko
Inventor
서갑태
Original Assignee
이형석
삼중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석, 삼중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석
Priority to KR201996000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21Y1/ko
Publication of KR970054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21Y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구가 협소한 대규모 주차설비에 적합하며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파레트(pallet)가 필요없는 주차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파레트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주차시켰다. 이에 따라 빈 파레트를 적치해두기 위한 공간확보문제, 빈 파레트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손실문제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차설비에는 빗살형태로 배치된 롤러들을 갖는 리프트 케이지, 리프트 케이지의 롤러들 사이로 상하 이동하면서 차량을 주고받을 수 있는 차량수수팔을 갖는 포크리프트, 포크리프트로 차량을 수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격납 랙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주차설비는 대형주차설비에 적합하며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을 입출고 시킬 수 있게 해준다. 본 고안은 대형의 주차설비에 응용하면 매우 효율적이다.

Description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설비의 구성 및 차량입출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제1도 A-A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 B-B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의 단면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 C-C에 따른 대차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 D-D에 따른 주차실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대차상의 포크 리프트가 리프트 케이지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7도는 제6도 상태에서 차량을 들어올린 모습을 제6도 E-E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대차상의 포크 리프트가 주차실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8도 상태에서 차량을 차량격납 랙에 탑재한 후의 모습을 제8도 F-F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제1도 G-G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와 주차실열상에 설치된 차량수수랙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구 12 : 차량
14 : 승강구 20 : 리프트 케이지
22, 32, 92 : 롤러 24, 34, 74, 94 : 모터
26 : 몸체 28, 98 : 롤러지지대
30 : 차량이동적재장치 40 : 주차실열
50 : 격납랙 52 : 차량지지팔
60 : 레일 70 : 대차
72 : 대차바퀴 80 : 포크 리프트
82 : 차량수수팔 84 : 실린더
90 : 차량수수랙
본 고안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구가 협소하고 복수의 주차실열들이 설치되어 있어 대규모 주차설비에 적합하며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파레트(pallet)가 필요없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도시에서는 주차장 부족으로 주차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인 대량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대형주차설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타워 파킹(tower parking)이나 컨베이어 파킹(converyor parking) 등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파레트를 순환시키는 형태의 주차장치에서는 구동장치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에 현재시점에서 요구되는 대규모 주차장치의 실현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자동차 공장들에서의 완성된 차량을 수용하는 자동 창고에서와 같이 파레트를 차량위치까지 반송해서 차량을 싣고, 이 차량을 실은 파레트를 소정의 차량 격납 랙(rack)까지 반송해서 파레트마다 격납시키는 것과 같은 파레트방식의 주차장치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빈 파레트를 위한 공간확보, 빈 파레트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운전시간손실, 많은 수의 파레트 제작비나 유지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구가 협소한 대형주차설비에 적합하고, 파레트 없이도 차랑을 효율적으로 입출고 시킬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을 필요한 주차실에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격납랙을 갖는 주차실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열을 지어 배치되어 구성된 다수의 주차실열들, 상기 차량을 탑재하여 승하강 가능하고 회전구동되는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탑재된 차량을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 케이지, 상기 일측 주차실열의 일측상부에 설치되고 회전구동되는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 케이지와 차량을 수수할 수 있는 차량수수랙, 상기 주차실열들 사이의 경로를 따라 주행가능한 대차 및 상기 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수수랙 및 상기 주차실과 차량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포크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차설비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설비의 구성 및 차량입출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주차설비를 지하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 주차설비의 차량출입구(10)에는 차량(12)을 탑재하여 승강구(14)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리프트 케이지(lift cage)(20)가 있다. 이 리프트 케이지(20)에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22)들이 소정 높이로 양측에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데 자세한 구조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차량출입구(10) 옆쪽에는 차량이동적재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이동적재장치(30)는 입출고 되는 차량을 리프트 케이지(20)와 주고 받기 위한 것이다. 이 차량이동적재장치(3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배치된 다수의 롤러(32)들과 이 롤러(32)들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34)를 구비하고있다.
주차공간의 내부에는 주차실열(40)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주차실열(40)들은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격납랙을 갖는 주차실들이 일열로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주차실열(40)들은 양측벽(42)을 따라 상하층으로 배치된 것과, 측벽(42)을 따라 배치된 주차실열(40)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차실열(40)은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여러대의 차량(12)을 주차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주차실(40)에는 제5도와 제9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차량(12)을 소정 높이로 탑재할 수 있는 차량격납 랙(rack)(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격납 랙(50)은 일정 높이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된 지지팔(52)을 구비하고 있다.
왼쪽 측벽(42)을 따라 설치된 주차실열(40)의 옆쪽에는 주차실열(40)의 측면을 따라 레일(60)이 깔려 있다. 이 레일(60)의 오른쪽 리프트 케이지(20)의 앞쪽과 뒤쪽으로도 주차실열(40)이 배치되게 된다. 이 레일(60) 상에는 대차(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차(70)는 레일(60)을 따라 직선 주행 가능하다. 이러한 대차(70)에는 리프트 케이지(20) 및 격납랙(50)과 차량을 주고 받기 위한 포크 리프트(fork lift)(80)가 탑재되어 있다. 이 포크 리프트(80)에는 제4도, 제6도 및 제8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리프트 케이지(20) 및 주차실열(40) 쪽으로 이동되어 지지팔(52)들과 롤러(22)들 사이를 임의의 위치에서 상하로 통과될 수 있는 차량수수팔(82)들이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 측벽(42)을 따라 설치된 주차실열(40)의 옆쪽에도 역시 주차실열(40)의 측면을 따라 레일(60)이 깔려 있다. 이 레일(60) 상에는 대차(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차(70)는 레일(60)을 따라 직선 주행 가능하다. 이러한 대차(70)에는 차량수수랙(90) 및 격납랙(50)과 차량을 주고 받기 위한 포크 리프트(fork lift)(80)가 탑재되어 있다. 이 포크 리프트(80)에는 제4도, 제6도 및 제8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레일(60)의 왼쪽측면으로는 주차실열(40)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 주차실열(40)의 일측상면에는 필요에따라 리프트 케이지(20)와 차량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차량수수랙(9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관한 것은 제10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주차설비에서 차량(12)의 입고과정은 다음과 같다. 입고하기 위한 차량(12)이 이동적재장치(30)위에 탑재된다. 이때 리프트 케이지(20)는 차량출입구(10)에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적재장치(30)의 모터(34)를 작동시켜 차량을 리프트 케이지(20) 상으로 이동시킨다. 물른, 이때는 리프트 케이지(20)에도 롤러(22)들 및 이 롤러(22)들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24)가 설치되이 있어 차량이동시 동시에 구동된다(제2도참조).
차량(12)이 리프트 케이지(20)에 완전히 이동되면 리프트 케이지(20)는 승강구(14)를 따라 주차하기 위한 층의 대차(70)와 차량수수랙(90)이 있는 곳까지 하강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왼쪽측벽의 주차실열(40) 또는 리프트 케이지(20)의 앞 또는 뒤로 배치된 주차실열(40)의 소정 주차실에 주차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먼저, 왼쪽의 대차(70)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이 리프트 케이지(20)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차량수수팔(82)은 리프트 케이지(20)에 설치된 롤러(22)들의 아래쪽 공간으로 들어간다. 이 차량수수팔(82)은 임의의 위치에서 롤러(22)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승되어 차량(12)을 들어 올린다. 그런다음,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대차(70)쪽으로 이동하여 차량(12)을 대차(70)상에 탑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70)는 레일(60)을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기 위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대차(70)가 주차하기 위한 위치에 도달되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상승하여 대차(70) 상의 차량(12)을 들어올려 오른쪽 또는 왼쪽의 주차실열(40)의 주차실쪽으로 이동시킨다. 차량(12)이 대차(70)의 오른쪽 또는 왼쪽의 주차실 즉, 격납랙(50)쪽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서서히 하강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차량수수팔(82)은 주차실에 설치되어있는 격납랙(50)의 차량지지팔(52)들의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12)은 주차실열(40)의 임의의 격납랙(50)에 주차되게 된다. 그러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임무를 완료하고 대차(70)쪽으로 되돌아 온다. 그런다음 대차(70)는 승강구(14)쪽으로 되돌아 온다.
다음, 오른쪽의 주차실열(40)들의 격납랙(50)에 차량(12)을 주차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모터를 구동하여 리프트 케이지(20)의 롤러(22)들을 회전구동하여 차량(12)을 오른쪽의 주차실열(40)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수수랙(90)상으로 이동 시킨다. 물론, 이 때 차량수수랙(90)의 롤러(92)들도 회전구동된다. 차량(12)이 차량수수랙(90)상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대차(70)상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이 차량수수랙(90)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차량수수팔(82)은 차량수수랙(90)에 설치된 롤러(92)들의 아래쪽 공간으로 들어간다. 이 차량수수팔(82)은 임의의 위치에서 롤러(92)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승되어 차량(12)을 들어 올린다. 그런다음,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대차(70)쪽으로 이동하여 차량(12)을 대차(70)상에 탑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70)는 레일(60)을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기 위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대차(70)가 주차하기 위한 위치에 도달되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상승하여 대차(70) 상의 차량(12)을 들어올려 오른쪽 또는 왼쪽의 주차실열(40)의 격납랙(50)쪽으로 이동시킨다. 차량(12)이 격납랙(50)쪽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서서히 하강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차량수수팔(82)은 주차실열(40)에 설치되어있는 격납랙(50)의 차량지지팔(52)들의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12)은 주차실열(40)의 임의의 격납랙(50)에 주차되게 된다. 그러면 포크 리프트(80) 및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임무를 완료하고 대차(70)쪽으로 되돌아 온다. 그런다음 대차(70)는 승강구(14)쪽으로 되돌아 온다.
차량(12)의 출고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입고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 2도 내지 제 10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중요부분의 구조 및 차량을 주고 받는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제 1도 A-A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 3도는 제 1도 B-B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의 단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도와 제 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리프트 케이지(20)는 판상의 몸체(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6)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롤러지지단(28)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룰러지지단(28)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로 롤러(22)들이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롤러(22)들을 일정 높이로 배치하는 것은 대차(70)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 리프트(80)와 차량수수팔(82)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롤러(22)들의 평면배치 모습은 제 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빗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롤러(22)들이 마주보고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26)에는 롤러(22)들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24)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리프트 케이지(20)는 승강줄(29)에 매달려 승하강 가능하다.
제 4도는 제 1도 C-C에 따른 대차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4도에는 레일(6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레일(60) 상에는 대차(70)가 탑재되어 있다. 이 대차(70)에는 레일(60)을 따라 대차(70)를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바퀴(72) 및 이 대차바퀴(7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74)가 양끝단에 하나씩 각각 설치되어 있다.
대차(70) 상에는 포크 리프트(80)가 탑재되어 있다. 이 포크 리프트(80)는 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좌,우 및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포크 리프트(80)의 좌,우 양측면에는 차량(12)을 수수할 수 있도록 차량수수팔(8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수수팔(82)은 차량(12)의 바퀴를 지지하여 차랑(12)을 들어올릴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제 5도는 제 1도 D-D에 따른 주차실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차실열(40)에는 차량격납 랙(5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격납 랙(5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차량지지팔(52)이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차량 격납 랙(50)의 측면모습은 제 9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제 6도는 대차상의 포크 리프트가 리프트 케이지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7도는 제 6도 상태에서 차량을 들어올린 모습을 제 6도 E-E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6도에서 대차(70)는 레일(60) 상에 있다. 이러한 대차(70) 위에 탑재된 포크 리프트(80)는 리프트 케이지(20)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때 포크 리프트(80)의 일부와 여기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은 롤러(22)의 하부 공간을 통해 들어가게 된다. 리프트 케이지(20)의 롤러(22)들 상에는 차량(12)이 탑재되어 있다. 제 6도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80)를 상승시키면 차량(12)은 들어 올려지게 되고 제 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된다. 이때 차량수수팔(82)은 롤러(22)들 사이를 통과히여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8도는 대차상의 포크 리프트가 주차실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9도는 제 8도 상태에서 차량을 차량격납 랙에 탑재한 후의 모습을 제 8도 F-F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레일(60) 상에는 대차(70)가 있다. 이 대차(70) 상의 포크 리프트(80)는 유압실린더(84)에 의해 상승되어 주차실열(40)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차량(12)은 포크 리프트(80)에 설치된 차량수수팔(82)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80)를 하강시키면 차량(12)은 차량 격납랙(50)의 차량지지팔(52)에 올려지게 된다. 물론, 이때 차량수수팔(82)은 차량지지팔(52)과 어긋나게 배치된 위치에서 하강하게 되므로 차량지지팔(52)의 방해를 받지 않고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 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차량(12)은 차량격납 랙(50)의 차량지지팔(52) 위에 탑재되어 있으며 포크 리프트(80)와 차량수수팔(82)은 차량지지팔(52) 아래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80)를 대차 쪽으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의 임무를 수행하면 된다.
제 10도는 제 1도 G-G에 따른 리프트 케이지와 주차실열상에 설치된 차량수수랙의 평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리프트 케이지(20)와 차량수수랙(90)이 나란하게 이웃하여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 케이지(20)에 관해서는 제 2도를 통하여 이미 설명하였다. 이 리프트 케이지(20)의 앞쪽과 뒤쪽으로 격납랙(5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격납랙(50)들에는 제 1도 왼쪽의 대차에 의해 차량들이 주차되게 된다. 이러한 리프트 케이지(20)의 오른쪽에 배치된 차량수수랙(90)의 구조는 리프트 케이지(20)와 거의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수수랙(90)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롤러지지단(9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지지단(98)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롤러지지단(98)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로 롤러(92)들이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롤러(92)들을 일정 높이로 배치하는 것은 대차(70)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 리프트(80)와 차량수수팔(82)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롤러(22)들은 빗살 모양을 하고 배치되어 있으며 2열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차량수수랙(90)은 롤러(92)들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94)를 앙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하고있다. 이와같은 차량수수랙(90)은 일주차실열(40)상에 배치되어 그 오른쪽에 배치된 대차와 차량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상, 제 1도 내지 제 10도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차설비를 이용하면 출입구가 좁더라도 차량격납 랙을 전,후,상,하,좌,우 방향으로 증설하는 것에 의해 대규모 주차설비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파레트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성있게 차량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빈 파레트를 임시로 두는 장소확보문제, 빈 파레트를 가지러 가는 사이의 운전시간 손실문제, 다수의 파레트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증가, 높은 유지비 등의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 또한, 주차된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다. 주차설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차공간에서 구동기기가 전혀 불필요하고, 차량이동적재장치, 리프트 케이지, 대차, 차량수수랙 등의 구동기기류가 비교적 입/출구쪽에 집중되어 있어 주차설비의 보수유지가 용이하다. 뿐만아니라, 주차장치의 이용자는 차량을 차량이동적재장치위에 실으면 되고, 주차설비의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차량을 필요한 주차실에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격납랙을 갖는 주차실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열을 지어 배치되어 구성된 다수의 주차실열들;
    상기 차량을 탑재하여 승하강 가능하고 회전구동되는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탑재된 차량을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 케이지;
    상기 일측 주차실열의 일측상부에 설치되고 회전구동되는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 케이지와 차량을 수수할 수 있는 차량수수랙;
    상기 주차실열들 사이의 경로를 따라 주행가능한 대차; 및
    상기 대차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수수랙 및 상기 주차실과 차량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포크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수수랙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지지단, 상기 롤러지지단의 내측면에 마주보고 소정높이로 각각 설치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2열로 배치된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KR2019960005825U 1996-03-25 1996-03-25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KR200220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825U KR200220621Y1 (ko) 1996-03-25 1996-03-25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825U KR200220621Y1 (ko) 1996-03-25 1996-03-25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39U KR970054939U (ko) 1997-10-13
KR200220621Y1 true KR200220621Y1 (ko) 2001-05-02

Family

ID=6087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825U KR200220621Y1 (ko) 1996-03-25 1996-03-25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39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2808A (en) Storing system with a conveying device
CN103429833A (zh) 自动化的机动车停车/存放***
KR100452858B1 (ko)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JPS62129469A (ja)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CN108792383B (zh) 一种智能化铸造模型仓库***
KR200220621Y1 (ko) 출입구가 협소한 복수레인의 주차설비
US3592348A (en) Load carrier-load support mechanism in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JP3030327B2 (ja) 収納システム
JPH04353175A (ja) 立体駐車装置
JPH04203176A (ja) 駐車装置
JP3012578B2 (ja) 無人駐車兼コンテナー収納システム
JP2880115B2 (ja) 機械式駐車場
KR970021588A (ko) 주차설비
JP2981800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KR200414248Y1 (ko) 주차설비
JP2913492B2 (ja) 棚設備
JP3181186B2 (ja) 格納システム
JP3014747U (ja) 格納システム
JP3748659B2 (ja) 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3295066B2 (ja) 多段式立体駐車装置
JPH0565773A (ja) 駐車装置
JPS6337409Y2 (ko)
JPH07119333A (ja) 立体格納庫の縦行型搬送移載設備
CN112722667A (zh) 一种物流仓储用密集式存储货架
JP2751708B2 (ja) 棚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