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264Y1 -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264Y1
KR200218264Y1 KR2020000028656U KR20000028656U KR200218264Y1 KR 200218264 Y1 KR200218264 Y1 KR 200218264Y1 KR 2020000028656 U KR2020000028656 U KR 2020000028656U KR 20000028656 U KR20000028656 U KR 20000028656U KR 200218264 Y1 KR200218264 Y1 KR 200218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arking
wheel
vehic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강
Original Assignee
송성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강 filed Critical 송성강
Priority to KR2020000028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264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장치가 제공된다. 주차장치는 지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팔과, 상기 지지팔 위에 마련되며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인 수평방향 레일과, 상기 수평레일 위에 설치되며 그 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 주차팔레트와, 상기 지지팔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는 상하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주차장치 {PAR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독주택의 대문 또는 담장 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주로 승용차)의 소유가 증가하면서 주차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좁은 골목길 등으로 인하여 단독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주차할 곳이 적다. 물론 단독주택에 마당도 좁아 집 내에 주차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주택가에서 대문의 상부공간을 이용하는 주차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공개 99-36948호 또는 등록 실용신안 20-163770호가 그것이다.
이러한 대문의 상부공간을 이용하는 종래의 주차장치가 있었지만, 주차장치에는 끊임없는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주차장치 자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야 한다는 것이 하나의 요구사항이다. 주차장치가 설치되는 곳의 노면 상태에 관계없이 주차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 또 다른 요구사항이다. 주차한 상태에서는 도로의 통행에도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주차를 할 때에는 가능한 한 주차팔레트가 도로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하지만, 주차를 완료하고 주차장치의 조작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도로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적어야 한다. 또한 외관도 유려해야 한다.
위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택용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동 정지상태에서는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도로쪽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주택용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차하는 도로의 노면 상태에 영향을 덜 받는 구조의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의 정면도로서 대문에 적용한 대문 주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주차장치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주차장치의 정면도로서 주차플레이트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상태에 있는 주차장치의 측면도
도5는 도3의 상태에 있는 주차장치의 평면도
도6a는 도1의 주차장치의 기초받침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6b는 6B-6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기초말뚝은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도1의 주차장치에 구비된 주차팔레트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주차팔레트의 평면도로서 일부분은 중앙덮개를 제거하여 바퀴받침대 및 그 구동장치가 드러나고, 바퀴받침대의 일부를 절개하여 진입안내판이 드러나며, 진입안내판의 구동장치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도면
도9는 도7의 주차팔레트에 구비된 바퀴받침대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10은 도7의 주차팔레트에 구비된 진입안내판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11은 도7의 주차팔레트에 바퀴고정턱장치의 사시도
도12는 도11의 바퀴고정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차장치 12: 기초 14: 기둥
18: 주차대 74: 주차팔레트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치는 주차팔레트가 기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최고 위치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팔과,
상기 지지팔 위에 마련되며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인 수평방향 레일과,
상기 수평레일 위에 설치되며, 그 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 주차팔레트와,
상기 지지팔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는 상하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수평방향 레일은 상기 지지팔에 연결된 고정레일부재와 상기 고정레일부재에 끼워지는 이동레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레일의 길이가 가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팔레트는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면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위치면과 지면 사이를 연결해 주는 진입안내판을 구비하여, 상기 바퀴 위치면이 상기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차량이 주차팔레트 위로 진입 또는 출차가 가능하게 해준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팔레트는 메인프레임과, 주차팔레트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바퀴받침대와, 상기 바퀴받침대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받침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이 주차할 때에는 상기 바퀴받침대는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벌려주고, 차량이 주차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바퀴받침대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그 폭이 줄어드는 구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팔레트는 주차된 자동차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는 바퀴고정턱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기둥을 마련되며, 상기 기둥 사이에는 주택의 대문이 마련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문 주차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드시 대문에 설치되는 주차장치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담장 등 길과 접해있는 건축구조물이라면 어느 곳에나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과 도2는 각각 주차장치(10)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주차대가 대문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도4, 도5는 각각 주차장치(1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서 주차팔레트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부터 도5까지를 참조하면, 주차장치(10)는 기초받침(12)과, 그 위에 세워진 양측 기둥(14)과 양측 기둥(14)의 위쪽에 설치되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 버팀대(16)가 구비된다. 주차장치(10)는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대(18)를 구비한다.
도6a는 주차장치(10)의 기초받침(12)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6b는 6B-6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기초말뚝은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부터 도6까지를 참조하면, 기초받침(12)은 버팀말뚝(20)과 수납부(22)를 구비한다. 도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강재로 만든 버팀말뚝(20)에는 접속판(24)이 구비되어 있고, 접속판(24) 위로 수납부(22)가 연결된다.
수납부(22)의 양측에는 기둥(14)이 안착되는 기둥설치부(26)가 마련된다. 기둥설치부(26)의 바닥과 접속판(24)에는 관통된 볼트구멍(28)이 마련되어 있다. 양쪽의 기둥설치부(26) 사이에는 다수의 설비수납실(30)이 마련된다. 각 설비수납실에는 각종 설비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 변압기, 정류기 등이 장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설비수납실(30)에 수납부(22)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32)도 마련된다.
지면에서 수납부 높이 정도 깊이로 땅을 파고, 거기에서 또 버팀말뚝(20)을 땅바닥에 박는다. 그리고 수납부(22)를 버팀말뚝(20)과 후술하는 기둥(14)을 설치하여 고정한다. 그 후 수납부 주위를 콘크리트 타설한다. 결국 수납부(22)는 대체로 지면(GL) 아래에 들어가게 된다.
다시, 도1부터 도5까지를 참조하면, 기둥(14)이 버팀말뚝(20) 위에 세워진다. 기둥의 맨 아래에는 접속판(14c)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접속판에는 볼트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버팀말뚝(20)의 접속판(24), 기둥설치부(26)의 바닥, 기둥(14)의 접속판(14c)이 볼트로 연결되어 기둥(14)이 고정된다.
기둥은 H자 형의 보(빔: beam)로 이루어져 있다. H자 빔의 경우 양측의 보강부를 플랜지(14a)라하고, 중심부를 웨브(14b)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4a)가 도로쪽(본 명세서에서는 대문의 앞, 줄여서 앞쪽이라 한다)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둥(14)은 기둥덮개(34)에 싸여 있다. 기둥덮개(34)의 하부는 상기 기초(12)의 기둥설치부(26)의 벽에 연결되어 있다. 기둥덮개(34)의 외측에는 담장이 연결된다. 양쪽에 세워진 기둥덮개(34) 사이에는 대문(38)이 위치하며 대문(38)은 기둥덮개(34)에 힌지 연결된다. 기둥덮개(34)는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금속판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덮개(34)는 정면 쪽에 접이식 가리개(36)를 구비한다. 이 가리개(36)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팔에 가장 위의 조각이 연결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대가 내려갈 때, 이 가리개(36)는 접히게 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가리개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접이식이 아니고 주차대가 하향 이동할 때에는 감기고, 주차대가 상향이동할 때에는 풀리는 구조(통상의 셔터문과 같은 구조)일 수도 있다.
양측 기둥(14)을 연결하여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14)의 상부에 가로버팀대(16)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가로버팀대(16)에는 전체 주차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마련된 제어판(17)을 구비한다. 가로버팀대(16)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서 그 내에는 후술하는 상하이동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축이 내장되어 있다.
주차대(18)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상하방향 이송장치가 기둥과 가로버팀대(16)에 설치된다. 상하방향 이송장치는 구동모터(42)와 동력전달축(44)과 체인구동휠(46)과 상하이동 체인(48)을 구비한다. 가로버팀대(16) 내에 상하이동 구동모터(42)가 설치되어 고정된다. 모터(42)의 회전축에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동력전달축(44)이 연결되어 있다. 동력전달축(44)의 양쪽 끝에는 구동스프로켓 휘일이 설치된다. 체인구동휠(통상 체인블록이라고도 함)(46)은 기둥(14)의 앞쪽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동력전달축(44)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구동스프로켓과 동력전달체인(49)을 거쳐 체인구동휠(46)로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장치로서 스프로켓과 동력전달체인(49)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벨트나 기어로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하이동 체인(48)은 기둥의 앞쪽에서 후술하는 지지팔에 연결되어 있다. 이 체인(48)은 위로 연장되어 체인구동휠(46)의 안쪽에서 감기어 기둥(14)의 양 플랜지(14a) 사이로 들어가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결국 체인(48)의 한쪽 끝에는 지지팔이 연결되고 다른 쪽 끝에는 추(50)가 연결된다. 위 실시예와는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프와 윈치장치로 주차대를 상하이동시킬 수도 있다.
주차대(18)는 각각의 기둥(1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팔(64)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지지팔(64)은 기둥(14)의 양옆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지지대(66)와 상기 지지대(66) 사이를 연결해주는 전면 지지대(68)를 구비한다. 측지지대(66) 사이에는 연결봉(70)이 마련된다. 이 연결봉(70)에는 체인(48)이 연결되어 있다.
측지지대(66)에는 서로 마주보는 4쌍의 바퀴(72)가 구비된다. 2쌍은 기둥(14)의 앞쪽 플랜지(14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2쌍은 뒤쪽 플랜지(14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주보는 각각의 쌍의 바퀴 사이에는 플랜지(14a)가 끼워진다. 따라서 측지지대(66)는 기둥(1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주차대를 지지할 수 있다.
주차대(18)가 최상부에 도달했을 때에, 주차팔레트(74)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 안내구조물(52)이 마련된다. 수평이동 안내구조물(52)은 후방 안내레일(54)과 전방 안내레일(56)을 구비한다. 도1부터 도4까지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후방 안내레일(54)은 지지대(55)를 통하여 기둥(14)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후방 안내레일(54)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봉형상으로서, 후술하는 삽입레일이 안쪽으로 이동하여 들어갈 수 있다. 후방 안내레일(54)의 최선단부는 아래쪽을 향하는 경사면(54a)을 갖는다.
전방 안내레일(56)은 지지팔(64)의 상부에 고정된다. 전방 안내레일(56)은 외곽 레일(58)과 그 안에 끼워지는 제1 삽입레일(60)과 제2 삽입레일(62)을 구비한다. 전방 안내레일(56)의 외곽 레일(58)은 후방 안내레일(54)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제1 삽입레일(60)과 제2 삽입레일(62)이 주차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외곽 레일(58) 안쪽으로 들어간다.
외곽 레일(58)은 그 후단부는 위쪽으로 향한 경사면(58a)을 구비한다. 이 경사면은 주차대(18)가 상승할 때, 후방 안내레일(54)의 선단부 경사면(54a)과 접촉하여 주차대의 과도한 상승을 막아준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경사면끼리 접촉하는 높이에서 주차대의 상승 구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위치센서가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좋다.
도1부터 도5까지 및 도7부터 도11까지를 참조하여 주차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차대(18)는 차량의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팔레트(74)와 수평방향 이송장치(78)를 구비한다. 주차팔레트(74)는 차량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차팔레트(74)는 샤시(76)를 구비한다. 샤시(76)는 주차팔레트(74)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들을 고정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샤시(76)는 예를 들면 사각봉의 빔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보강 빔을 덧붙인 형태이다.
상기 샤시(76)의 양측에 차량의 바퀴를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바퀴받침대(80)가 마련된다. 이 바퀴받침대(80)는 차량이 없을 때에는 중앙쪽으로 모았다가 차량이 진입할 때에는 바깥쪽으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주차팔레트(74)에는 바퀴받침대 구동장치(82)가 마련된다.
바퀴받침대(80)는 사각봉형상의 빔으로 프레임을 짜고 그 위를 판재로 덮은 형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퀴받침대(80)의 한쪽 끝은 후술하는 진입안내판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바퀴받침대(80)는 일측에 마련된 진입안내 측벽(81)이 구비된다. 이 측벽(81)은 자동차가 진입하는 동안 바깥쪽으로 차량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쪽에는 주차 시에 차량이 더 앞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멈춤턱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바퀴받침대(80)의 한쪽 끝에는 진입안내판(84)이 내장된다. 이 진입안내판(84)은 주차팔레트(74)가 최대로 내려왔을 때에도 바퀴받침대(80)의 윗면과 도로면과 차이가 있더라도 차량이 주차팔레트(74) 위로 올라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진입안내판(84)은 차량이 진입하거나, 차량을 내릴 때, 바퀴받침대(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빠져 나왔다가 들어갔다 하도록 구성된다. 주차팔레트(74)에는 상기 진입안내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86)가 구비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퀴받침대(80)의 양측 끝은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진입안내판(84)의 끝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안내판(84)은 바퀴받침대(80)의 도8에 도시한 쪽이 아닌 다른 쪽 끝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퀴받침대(80)의 위쪽에는 중앙덮개(88)가 마련된다. 중앙덮개(88)는 덮개프레임(90)에 덮개판(92)을 얹어 체결해 놓은 구조이다. 덮개프레임(90)은 아래의 샤시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판(92)은 내부 장치를 수리하는 등의 필요시에 떼어 낼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덮개프레임(90)에 고정된다. 중앙덮개(88)의 폭과 높이는 주차 시 자동차의 바닥과 부딪히지 않도록 정해진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는 바퀴받침대(80)는 샤시(76)와 덮개프레임(9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그 사이에서 폭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이러한, 샤시와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팔레트의 형태를 유지하는 메인프레임을 형성한다.
바퀴받침대(8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측벽(81)과 중앙덮개(88) 사이에는 바퀴가 들어갈 수 있는 넓이가 마련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덮개 안쪽, 샤시(76) 위에는 고정턱장치(104)가 설치된다. 고정턱장치(104)는 베이스(106)와 상기 베이스(106) 위에 설치되는 고정턱(108)을 구비한다. 상기 바퀴받침대(80)에는 상기 고정턱장치의 베이스(106)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 공간은 상기 바퀴받침대(80)가 이동할 때, 상기 베이스(106)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샤시(76)의 적절한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앞바퀴의 바로 뒤)에 고정턱(108)이 오도록 베이스(106)를 고정한다. 도11과 도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턱(108)은 그 단면 형상이 대체로 사다리꼴이다. 베이스(106)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10)이 마련된다. 홈(110)에 고정턱(108)이 끼워져 이동이 안내된다. 이 고정턱(108)은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없을 때에는 안쪽으로 모여있다. 차량이 주차한 상태에서 고정턱을 펼치면, 도12의 (b)와 같이, 바퀴의 뒤쪽에 고정턱이 위치하게 되어 차량이 의도하지 않게 굴러갈 위험이 없다.
위에서는 고정턱장치를 차량 앞바퀴의 뒤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차량 뒷바퀴의 뒤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앞바퀴의 뒤와 차량 뒷바퀴의 앞뒤에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107)를 이용하여 베이스(106)와 고정턱(108)을 연결하면, 한쪽 고정턱(108)을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쪽의 고정턱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1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107)는 한쪽 고정턱에 연결하고 베이스(106) 뒤쪽의 롤러(106a)에서 방향전환해서 다른쪽 고정턱에 연결한다. 다른 쪽 고정턱에서 출발한 로프도 동일하게 연결한다.
다시, 도1부터 도5, 도7부터 도10까지를 참조하면, 샤시(76)의 밑에는 팔레트바닥덮개(94)가 마련된다. 팔레트바닥덮개(94)는 판재를 벤딩하여 형성한다. 팔레트바닥덮개(94)와 샤시(76) 사이에는 바퀴받침대 구동장치의 모터, 진입안내판 구동장치의 모터, 후술하는 주차대 수평이동 구동장치의 모터와 회전축이 수납된다.
수평방향 이송장치(78)는 상기 샤시에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롤러지지대(96)를 구비한다. 롤러지지대(96)는 각각의 안내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롤러지지대(96)는 각각의 안내레일에 대하여 앞에 1개 뒤에 한 개 즉, 두 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지지대(96)에는 수평이동 안내롤러(98a,98b)가 장착된다. 롤러지지대(96)는 앞에서 설명한 안내레일의 아래쪽까지 연장된 다음 레일을 감싸도록 벤딩되어 있는 형상이다.
안내롤러 중 뒤쪽에 있는 것(98a)이 직경이 작고 앞쪽에 있는 것(98b)이 직경이 크다. 이는 각각의 롤러가 서로 다른 크기의 레일 위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앞쪽에 있는 롤러지지대(96b)는 연결봉(100)을 통하여 제2 삽입레일(62)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주차대(18)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삽입레일(62)이 함께 이동하면서 제1 삽입레일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계속해서 제1 삽입레일이 외곽레일(58) 및 후방 안내레일(54) 내로 들어가게 된다. 주차대(18)가 앞쪽으로 수평 이동할 때에는 이와는 반대로 제2 삽입레일이 끌려 나오며, 차례로 제1 삽입레일이 끌려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안내롤러 중 뒤쪽에 있는 것(98a)에는 동력전달축(102)이 연결된다. 이 동력전달축(102)은 수평이동 구동모터(103)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03)를 구동하면 동력전달축(102)이 회전하고 이것이 뒤쪽의 안내롤러를 회전시켜, 주차대를 도로쪽으로 전진시키거나 그 반대쪽으로 후퇴시킬 수가 있다. 차량을 주차시키려할 때나, 주차된 차량을 출차하려 할 때에만, 이러한 구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7, 도8, 도9를 참조하여 바퀴받침대(80)의 구동장치(82)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장치(82)는 구동모터(112)와 동력전달축(114)과, 베벨기어쌍(116)과, 리드스크루(118)를 구비한다. 모터(112)의 회전은 일단 동력전달축에(114)에 전해진다. 이어서 베벨기어쌍(116)에서 90도 회전된 방향으로 회전구동이 전달된다. 리드스크루(118)와 각 바퀴받침대(80)에 설치된 너트 사이의 작용에 의해 바퀴받침대(80)는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상기 양측의 바퀴받침대(80)가 동시에 안으로 들어오게 하거나, 바깥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한 리드스크루의 나사방향(즉, 왼나사인지 오른나사인지) 구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7, 도8, 도10을 참조하면, 진입안내판(84)은 판부재(120)와 이동안내부재(122)를 구비한다. 판부재(120)와 이동안내부재(122) 사이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안내부재(122)가 충분히 이동하여 판부재(120)가 바퀴받침대(80) 밖으로 빠져 나오면, 판부재(120)는 경사지게 된다.
상기 진입안내판(84)의 구동장치(86)는 다수의 로프쌍과 구동모터(134), 로프방향전환롤러들을 구비한다. 구동모터(134)는 전진용보빈축(130)과 후퇴용보빈축(131)을 구동한다. 이들 전진용보빈축(130)과 후퇴용보빈축(131)은 서로 기어로 맞물려 있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전진용보빈축(130)에는 전진용 로프쌍(124)이 후퇴용보빈축(131)에는 후퇴용 로프쌍(125)이 감긴다. 전진용 로프쌍(124)의 로프는 롤러(128a,128b,128c,128d,128e,128f)를 거쳐 이동안내부재(122)에 결합된다. 후퇴용 로프쌍(125)의 로프는 롤러(129a,129b,129c,129d,129e)를 거쳐 이동안내부재(122)에 결합된다. 도10의 사시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퀴받침대(80)의 끝부분에 설치된 롤러(128f)의 작용에 의해 전진용 로프쌍(124)을 감아들이면, 진입안내판(84)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롤러(128e,128f,129e)는 바퀴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128d,129d)는 샤시 상에 설치된다. 한편, 롤러(128b,128c,129b,129c)는 바퀴받침대(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롤러설치판(136) 위에 설치된다. 이 롤러설치판(136)은 샤시(76)에 고정된 탄성부재지지판(128)에 인장 탄성부재(바람직하기로는 인장코일스프링)(140)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는 바퀴받침대(80)를 펼쳤을 때 뿐아니라 접었을 때에도 탄성부재가 롤러설치판을 당겨 로프에 충분한 인장력을 주기 위함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모터(134)를 구동하여 전진용보빈축이 전진용 로프쌍(124)을 감아들이도록 회전하면, 전진용 로프쌍(124)의 로프들이 감겨져 당겨진다. 이 때 후퇴용보빈축은 역회전하므로 후퇴용 로프쌍(125)의 로프들은 풀려나간다. 결국 전진용 로프쌍(124)의 로프들은 이동안내부재(122)를 당기고 경사판부재를 당긴다. 충분히 진입안내판(84)이 바퀴받침대(80)로부터 빠져 나오면 경사판부재(120)가 힌지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어 차량이 쉽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다. 모터(134)를 역회전하면, 위와는 반대로 작용하여 진입안내판(84)이 후퇴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주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태로 대문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없을 때에는 바퀴받침대(80)는 안쪽으로 모아져 있다. 차량을 주차할 때에는 주차대(18)는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수평방향 이송장치(78)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103)를 구동하면 동력전달축(102)이 회전하고 이것이 뒤쪽의 안내롤러를 회전시켜, 주차대(18)를 앞쪽(도로쪽)으로 이동시킨다. 주차대(18)의 아래의 앞쪽에 있는 롤러지지대(96)는 제2삽입레일(62)과 연결되어 있어 제2삽입레일, 제1삽입레일을 끌어내게 된다.
주차대(18)의 수평이동이 완료되면, 상하이동을 위하여 구동모터(42)를 동작시킨다. 회전은 동력전달축(44)을 통하여 동력전달체인(49)을 통하여 체인구동휠(46)로 전달된다. 체인구동휠(46)의 동작에 의해 상하이동 체인(48)은 아래로 내려간다. 그러면, 지지팔(64)에 있는 바퀴(72)가 기둥(14)을 따라 안내되면서 주차대(18)가 아래로 하강한다. 주차대(18)가 가장 아래 위치까지 하강하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2)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바퀴받침대(80)의 구동장치(82)에 구비된 구동모터(112)를 동작시키면, 동력전달축(114)이 회전한다. 회전은 베벨기어에 전달되고 이어서 리드스크루(118)가 회전한다. 리드스크루(118)의 회전에 의해 바퀴받침대(80)가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진입안내판(84)의 전진이 시작된다. 진입안내판의 구동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이 진입한 후에, 고정턱장치(104)의 고정턱(108)을 잡아 당겨 차량의 앞바퀴 뒤에 고정턱(108)을 위치시킨다. 그런 후, 진입안내판(84)을 후퇴시켜 바퀴받침대(80)에 삽입한다.
진입안내판(84)의 후퇴 후에 상승을 위하여 구동모터(42)를 동작시킨다. 회전은 동력전달축(44)을 통하여 동력전달체인(49)을 통하여 체인구동휠(46)로 전달된다. 체인구동휠(46)의 동작에 의해 상하이동 체인(48)이 당겨진다. 그러면, 지지팔(64)에 있는 바퀴(72)가 기둥(14)을 따라 안내되면서 주차대(18)가 위로 상승한다. (이러한 상태를 차량을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 도3, 도4, 도5다.) 주차대(18)가 최상부에 도달하면, 전방 안내레일과 외곽레일이 만나고, 이 상태를 센서(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구동모터(42)의 작동이 정지된다.
주차대(18)가 최상부에 도달한 후에는 수평이동이 시작된다. 처음과는 반대로 뒤쪽으로 수평 이동한다. 구동모터(103)를 구동하면 동력전달축(102)이 회전하고 이것이 뒤쪽의 안내롤러를 회전시켜, 주차대(18)를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주차대(18)의 아래의 앞쪽에 있는 롤러지지대(96)는 제2삽입레일(62)과 연결되어 있어 제2삽입레일을 제1삽입레일안쪽으로 밀고, 제1 삽입레일을 외곽레일 및 후방 안내레일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된다.
주차된 차량을 내릴 때 및 주차된 차량이 출차한 후 주차대를 원위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과정과 유사하며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상기 실시예의 주차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순서가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퀴받침대(80)의 이동은 주차대(18)의 수평이동 시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듯, 2개 이상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주차장치는 구비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에 필요한 구성 및 기능은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되는데, 이들은 대체로 기둥덮개 안쪽과 같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주차공간이 없는 주택에도 주차장치를 설치하여 주차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차장치에서는 주차대가 상승한 후 수평이동하므로, 주차상태에서 도로쪽으로 튀어나오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른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특히, 수평레일의 길이가 주차대의 이동에 따라 가변될 수 있어 공간차지가 적어진다. 바퀴받침판이 들어가고 나오는 구조이므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진입안내판의 구조에 의해 도로의 노면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쉽게 주차할 수 있다. 기초에 기둥이 설치되어 구조가 견고하다. 기초에 설비가 수납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기둥덮개와 가리개가 마련되어 외관이 미려하다. 고정턱장치가 마련되어 차량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경이나 수정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 사항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팔과,
    상기 지지팔 위에 마련되며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인 수평방향 레일과,
    상기 수평레일 위에 설치되며, 그 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 주차팔레트와,
    상기 지지팔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는 상하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주차팔레트를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면 아래에 설치하는 버팀말뚝이 마련된 기초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기초 위에 상기 기둥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에는 설비수납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덮개와,
    상기 수평방향 레일 또는 지지팔이 연결되며, 상기 수평방향 레일 또는 지지팔의 하강 시 열리고, 상승 시 닫히는 기둥 가리개를 더 구비한 주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방향 레일은 상기 지지팔에 연결된 고정레일부재와 상기 고정레일부재에 끼워지는 이동레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레일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재의 끝단이 상기 주차팔레트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주차팔레트의 수평이동 시 상기 이동레일부재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7. 제5항과 제6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팔레트가 최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수평방향레일과 일직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기둥에 고정된 후방 레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레일부재는 상기 후방 레일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8. 제1항과 제5항과 제6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평이동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수평방향 레일 위에서 굴러가는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팔에 연결된 체인 또는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체인 또는 로프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구동장치는 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체인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체인블록과, 상기 체인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팔레트는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면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위치면과 지면 사이를 연결해 주는 진입안내판을 구비하여, 상기 바퀴 위치면이 상기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차량이 주차팔레트 위로 진입 또는 출차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팔레트는
    메인프레임과,
    주차팔레트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바퀴받침대와,
    상기 바퀴받침대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받침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이 주차할 때에는 상기 바퀴받침대는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벌려주고, 차량이 주차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바퀴받침대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그 폭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구동장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전달 축과,
    상기 바퀴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는 리드스크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팔레트는 상기 바퀴받침대의 일단부에 마련된 진입안내판을 구비하여, 지면과 바퀴받침판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6. 제11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안내판에 연결되어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입안내판 구동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진입안내판을 차량이 진입하거나 차량이 출차하는 동안에만 상기 주차팔레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안내판은 상기 바퀴받침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안내판은 이동안내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부재에 힌지연결된 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진입안내판 구동장치는
    상기 이동안내부재에 연결된 전진용 로프와,
    상기 이동안내부재에 연결된 후퇴용 로프와,
    상기 전진용로프를 감아들이기 위한 전진용 보빈축과,
    상기 후퇴용로프를 감아들이기 위한 후퇴용 보빈축과,
    상기 양 보빈축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팔레트는 주차된 자동차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는 바퀴고정턱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바퀴고정턱장치는
    궤도홈이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궤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턱부재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고정턱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궤도홈에 일렬로 늘어선 한 쌍의 고정턱부재를 구비하며,
    제1 고정턱부재에 고정된 로프는 고정턱부재의 뒤쪽 베이스에 마련된 롤러에서 방향전환되어 제2 고정턱부재에 연결되며, 제2 고정턱부재에 고정된 로프는 고정턱부재의 뒤쪽 베이스에 마련된 롤러에서 방향전환되어 제1 고정턱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고정턱부재는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기둥 사이에는 주택의 대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H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팔은 상기 형강의 플랜지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바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KR2020000028656U 2000-10-14 2000-10-14 주차장치 KR200218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56U KR200218264Y1 (ko) 2000-10-14 2000-10-14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56U KR200218264Y1 (ko) 2000-10-14 2000-10-14 주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331A Division KR20000072815A (ko) 2000-09-29 2000-09-29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264Y1 true KR200218264Y1 (ko) 2001-03-15

Family

ID=7308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656U KR200218264Y1 (ko) 2000-10-14 2000-10-14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2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50B1 (ko) 2011-06-09 2013-07-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CN108798111A (zh) * 2018-07-20 2018-11-13 宁波工程学院 一种双层剪式升降横移停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50B1 (ko) 2011-06-09 2013-07-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CN108798111A (zh) * 2018-07-20 2018-11-13 宁波工程学院 一种双层剪式升降横移停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114B1 (ko) 차량용 2단 주차설비
KR200218264Y1 (ko) 주차장치
CN100475172C (zh) 为残疾人配置在车辆上的升降装置
KR20000072815A (ko) 주차장치
CN115613582A (zh) 一种建筑工地基坑全封闭结构及其施工方法
CN210342816U (zh) 一种安全性高的双层立体车库
CN112177399A (zh) 一种地下双层立体车库
JP7433691B2 (ja) 太陽光パネル設置システム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2544846B2 (ja) ガレ―ジ付ユニット住宅
CN221226965U (zh) 一种机电安装用的电缆架设支撑装置
CN216945980U (zh) 一种建筑施工用的提升装置
CN212609210U (zh) 一种地下空间逆作法施工的支护结构
CN214780483U (zh) 基于垂直动力架的导轨升降机
JP2004232453A (ja) 駐車装置
CN213806961U (zh) 一种市政工程围栏
CN211588938U (zh)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切割装置
CN220086806U (zh) 输电架空线路跨越施工装置
JP2000213194A (ja) 立体駐輪場
CN210689647U (zh) 一种工程测量放线装置
CN221053028U (zh) 一种弧形开合膜结构
CN214229142U (zh) 一种大棚自动卷帘装置
CN219192487U (zh) 一种水下锚系装置
CN2778974Y (zh) 一种地下车库
JPH08128020A (ja) 車止めの昇降ポール飛出し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