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774Y1 -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 Google Patents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774Y1
KR200217774Y1 KR2019990000461U KR19990000461U KR200217774Y1 KR 200217774 Y1 KR200217774 Y1 KR 200217774Y1 KR 2019990000461 U KR2019990000461 U KR 2019990000461U KR 19990000461 U KR19990000461 U KR 19990000461U KR 200217774 Y1 KR200217774 Y1 KR 200217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housing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5791U (en
Inventor
김성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74Y1/en
Publication of KR20000015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9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74Y1/en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량의 현상제를 별도로 보관하여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수납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새현상기로 교체할 때 까지 문서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developer separately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developer storage chamber of the developer housing, thereby printing the document until the new developer is replaced when all the developer is consumed inside the developer housing. To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현상제 수납실이 형성된 현상제 하우징과; 감광 유니트와 현상 유니트로 이루어진 프로세스 유니트가 배치되며, 현상제가 현상 유니트로 이동 가능하게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A developer housing in which a developer storage chamber is formed; A process unit comprising a photosensitive unit and a developing unit is disposed, the process unit housing is coupled to be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eveloper housing to move the developer to the developing unit, the develop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현상제 수납실과는 별도로 구획되는 보조 현상제 수납부를 형성하되, 보조 현상제 수납부에는, 현상제 수납실과 연통되는 현상제 배출공 및 현상제 수납실의 현상제가 소모되었을 때 현상제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and the developer discharg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and the developer discharging hole are opened when the developer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is exhaust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be installed.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Image Forming Device of Printer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량의 현상제를 별도로 보관하여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수납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새현상기로 교체할 때 까지 문서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a copying machine, a facsimile, etc.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 developer separately and supplying the developer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of a developer hous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inting a document until a new develope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developer is consumed inside the developer housing.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는 공급 및 현상롤러로 이루어진 현상 유니트와 감광롤러로 이루어진 감광 유니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유니트와, 이 프로세스 유니트를 내장하는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과, 현상 유니트로 공급되는 현상제가 수납되며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에 결합 설치되는 현상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다.A developing unit detachably mount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to form an image on a recording material includes a process unit including a developing unit consisting of a feeding and developing roller and a photosensitive unit consisting of a photosensitive roller, and a built-in process unit. It consists of a process unit housing, and a developer housing that is housed in the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ing unit and coupled to the process unit housing.

도 1은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현상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기록지에 문자를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device appli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a copying machine, a facsimile, etc. employ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characters on recording paper.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 수납실(11)에 수납된 현상제(2)는 현상제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토너 공급 부재인 교반기(3)에 의해 교반되어지며, 교반되어진 현상제(2)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As shown, the developer 2 contained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 of the developer housing 1 is stirred by the stirrer 3 which is a toner suppl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developer housing 1. The agitated developer 2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by friction and thus has a constant charge.

그후, 전하를 가지게 된 현상제(2)는 교반기(3)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4)측으로 운반된다.Thereafter, the charged developer 2 is conveyed to the supply roller 4 side by the rotation of the stirrer 3.

공급롤러(4)와 맞물려 회전하는 현상롤러(5)에는 현상제(2)가 그 주연 표면에 부착되는데, 독터-블레이드(6)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마찰 전기 대전 상태의 현상제층이 형성된다.The developer 2 is attached to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5, which meshes with the feed roller 4, and the developer-blade 6 forms a developer layer of a triboelectrically charged state of constant thickness.

대전롤러(7)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대전롤러(7)와 맞물려 회전하는 감광드럼(8)의 표면은 균일하게 (-)극성으로 대전된다.By the electrical action of the charging roller 7,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8, which is engaged with the charging roller 7 and rotates, is uniformly charged with (-) polarity.

여기서, 감광드럼(8)의 특정 부분에는 노광부(미도시)에서 발생된 이미지데이터에 따른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Here, a specific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8 is exposed by a laser beam according to image data generated by an exposure unit (not shown)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감광드럼(8)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제(2)가 형성된 현상롤러(5)와 맞물려 회전함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상이 된다. 즉, 감광드럼(8)에는 현상제가 형성된다.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8 is developed by engaging with the developing roller 5 in which the developer 2 is formed and rotating to become a visible image. That is, a developer is formed in the photosensitive drum 8.

한편, 카세트(미도시)에 장착된 기록지(9)는 픽업롤러(미도시)에 의해 감광드럼(8)과 맞물려 회전하는 전사롤러(10)측으로 급지된다. 그후, 기록지(9)는 정착부(미도시)인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상(image)이 정착되어짐으로써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recording paper 9 mounted on the cassette (not shown) is fed to the transfer roller 10 side which is engaged with the photosensitive drum 8 and rotated by the pickup roller (not shown). Thereafter, the recording paper 9 is subjected to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between the heating roller and the compression roller, which is a fixing unit (not shown), so that an image is fixed so that desired printing is performed.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 수납실(11)에 수납된 현상제(2)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기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veloper 2 housed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 of the developer housing 1 is exhausted according to the long-term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developer is replaced with a new one. Must be replaced.

이때, 이 현상제의 교체 시기에 사용자가 긴급한 문서를 인쇄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현상제가 가득 충진된 새로운 현상기로 새로 구입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설치하기 전까지는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2) 부족으로 인해 인쇄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needs to print an urgent document at the time of replacement of the developer, the developer of the developer housing 1 may be replaced with a new developer filled with the developer and install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 There was a problem that printing could not be performed due to lack.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정량의 현상제를 별도로 보관하여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수납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새현상기로 교체할 때 까지 문서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eveloper separately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developer storage chamber of the developer housing, all the developer is consumed inside the developer hous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print a document until it is replaced with a new develop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배출공과 스폰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and the sponge of the auxiliary develope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현상제 하우징1' :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1: developer housing 1 ': process unit housing

5 : 현상 유니트8 : 감광 유니트5: developing unit 8: photosensitive unit

11 : 현상제 수납실20 : 보조 현상제 수납부11: developer storage chamber 20: auxiliary developer storage unit

20a : 현상제 배출공21 : 레버 부재20a: developer discharge hole 21: lever member

21a : 힌지23 : 개폐 부재21a: hinge 23: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현상제 수납실이 형성된 현상제 하우징과; 감광 유니트와 현상 유니트로 이루어진 프로세스 유니트가 배치되며, 현상제가 현상 유니트로 이동 가능하게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제 수납실과는 별도로 구획되는 보조 현상제 수납부를 형성하되, 보조 현상제 수납부에는, 현상제 수납실과 연통되는 현상제 배출공 및 현상제 수납실의 현상제가 소모되었을 때 현상제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eloper housing formed with a developer storage chamber; And a process unit comprising a photosensitive unit and a developing unit, the process unit housing being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eveloper housing so as to move the developer into the developing unit. An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chamber, wherein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opens and closes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and opening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when the developer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is exhau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are install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배출공과 스폰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elop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and the sponge of the auxiliary develope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하우징(1)의 상측 내벽에는 하방향으로 현상제 배출공(20a)이 형성된 보조 현상제 수납부(20)가 설치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an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20 in which a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is provided on an upper inner wall of the developer housing 1.

이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에는 소정량, 예를 들면, 10∼30그램 정도의 현상제(2')가 수납된다.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contains a developer 2 'of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about 10 to 30 grams.

이 현상제(11')의 수납량은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2)가 모두 소모되어 새로운 현상기를 구입하여 교체할 시기동안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developer 11 'is such that the developer 2 of the developer housing 1 is exhausted so that printing can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of purchase and replacement of a new developer.

이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현상제 배출공(20a)은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 수납실(11)과 연통된다.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communicates with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 of the developer housing 1.

여기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현상제 하우징(1)의 상부측 일부분을 현상제 수납실(11)과 별도로 구획하는 판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상의 부재에 현상제 배출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ate-like member for dividing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developer housing 1 separately from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 may be provided, and a developer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plate-like member. have.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상측벽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0b)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20b)에는 힌지(21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레버 부재(21)가 설치된다.An opening 20b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upper wall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and the lever member 21 is provided in the opening 20b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21a.

레버 부재(21)의 일단부는 보조 현상제 수납통(2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며, 그 타단부는 현상제 하우징(1)의 상측 내벽을 관통하여 현상제 하우징(1)의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연장된다.One end of the lever member 21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eveloper container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penetrates the upper inner wall of the developer housing 1 to the outside of the developer housing 1 for a predetermined length. It extends to protrude.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레버 부재(21)의 단부에는 현상제 배출공(20a)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23)가 설치되는 바, 이 개폐 부재(23)는 바람직하게 스폰지 재질로 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21)의 단부에 브라케트(2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레버 부재(21)의 회동시 현상제 배출공(20a)을 개폐하게 된다.At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is provided. It is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via the bracket 22 to open and close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when the lever member 21 is rotated.

여기서, 개폐 부재(23)는 현상제 배출공(20a)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현상제 배출공(20a)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현상제의 누출을 막는 밀봉재 역을 수행한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sealing material to prevent leakage of the developer in a state in which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is closed.

그리고, 개폐 부재(23)를 스폰지 이외에도 고무 재질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of cours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can be used as a rubber material in addition to the spong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23)는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공(20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바, 그 이유는 충분히 현상제 배출공(20a)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formed in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The reason for this is sufficient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To cover it.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바닥면은 소정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세하게 설명하면, 힌지(21a)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 부재(21)의 단부로부터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레버 부재(21)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되도록 형상으로 곡면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n detail,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pivots around the hinge 21a. To form a curved surface in a shape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auxiliary developer storage portion 20 to the bottom surface is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21.

즉, 현상제 배출공(20a)의 상면에서 레버 부재(21)의 단부까지의 거리(L)보다 현상제 배출공(20a)이외의 다른 지점의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의 바닥면에서 레버 부재(21)의 단부까지의 거리(L')를 더 크게 형성한다.(L > L')That is,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at a point other tha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than the distance 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to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The distance L 'to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is made larger (L> L').

상기와 같이, L > L'이 되도록 하는 이유는 레버 부재(21)가 회동되어 그 단부에 설치된 개폐 부재(23)인 스폰지가 현상제 배출공(20a)을 가릴 때 압축되어 개폐 부재(23)와 현상제 배출공(20a)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현상제(2')가 누출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for the L> L 'is that when the lever member 21 is rotated and the sponge which i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3 provided at its end is compressed to cover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And a gap betwee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and the developer 2 'does not leak.

미설명 부호 1a는 현상제 하우징(1)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로서, 레버 부재(21)의 회동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ence numeral 1a is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developer housing 1, and serve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lever member 21 is rot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화상형성장치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 수납실(11)에 수납된 현상제(2)가 모두 소모되어 용지에 인쇄가 더 이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상제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 부재(21)를 도 4에 도시된 실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힌지(21a)를 중심으로, 레버 부재(21)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된다.If the developer 2 stored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 of the developer housing 1 is exhausted due to the long-term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user cannot use the developer housing ( When the lever member 21 which protrudes outside of 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yncope arrow shown in FIG. 4, the lever member 2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centering on the hinge 21a.

이렇게 되면, 레버 부재(21)의 단부에 브라케트(22)를 매개로 설치된 개폐 부재(23)인 스폰지는 현상제 배출공(20a)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현상제 하우징(1)의 바닥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현상제 배출공(20a)을 개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ponge, which i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provided at the end of the lever member 21 via the bracket 22, mov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veloper housing 1 spaced apart from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to ope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상기와 같이 현상제 배출공(20a)이 개방됨에 따라, 보조 현상제 수납부(20)에 수납된 현상제(2')는 현상제 배출공(20a)을 통해 현상제 하우징(1)의 현상제 수납실(11)로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현상제 수납실(11)에는 현상제가 일정량이 채워지게 된다.As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developer 2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is developed in the developer housing 1 through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20a. It falls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1, and thus a certain amount of developer is filled in the developer storage chamber 11.

따라서, 새로운 현상기로 구입하여 교체할 시기 동안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printing can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of purchase and replacement with a new developing device.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 현상제 수납부(20)를 현상제 하우징(1)의 상부 외측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2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developer housing 1.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량의 현상제를 수납할 수 있는 보조 현상제 수납부를 현상제 하우징에 별도로 설치하여 현상제 하우징의 현상제 수납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새현상기로 교체할 때 까지 문서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develope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developer housing so that the developer may be supplied to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of the developer housing. After the developer is exhausted, the document can be printed until it is replaced with a new developer.

Claims (4)

현상제 수납실이 형성된 현상제 하우징과; 감광 유니트와 현상 유니트로 이루어진 프로세스 유니트가 배치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 유니트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프로세스 유니트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A developer housing in which a developer storage chamber is formed; A process unit comprising a photosensitive unit and a developing unit is disposed, the process unit housing is coupled to be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developer housing to move the developer to the developing unit; ,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는 별도로 구획되는 보조 현상제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에는,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 연통되는 현상제 배출공 및 현상제 수납실의 현상제가 소모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An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wherein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and the developer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are exhausted in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develop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의 내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며, 타단부는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레버 부재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installed rotatably around the hinge inside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one end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other end is the auxiliary A lever member extending out of the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버 부재의 회동시 상기 현상제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ixed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lever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to open and close the developer discharge hole when the lever member is rot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는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조 현상제 수납부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는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3. The developer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developer housing, and an end portion of the lever member extending out of the auxiliary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protrudes out of the developer housing. And a develop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에 브라케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3. The develop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a sponge fixed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lever member via a bracket.
KR2019990000461U 1999-01-18 1999-01-18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KR2002177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61U KR200217774Y1 (en) 1999-01-18 1999-01-18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61U KR200217774Y1 (en) 1999-01-18 1999-01-18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91U KR20000015791U (en) 2000-08-16
KR200217774Y1 true KR200217774Y1 (en) 2001-03-15

Family

ID=5475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61U KR200217774Y1 (en) 1999-01-18 1999-01-18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7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91U (en)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789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gent cartridge
JPH11109742A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202106051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478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198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JP2005284244A (en) Toner container, toner replenishing device,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16597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13863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98724A (en) Powder container and developing device using it
KR200217774Y1 (en) image formming device of printer
KR100532123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JP2021067836A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513578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09776B2 (en) Image forming device
JPH08179610A (en) Developing device
JP3170500B2 (en) Color image recording device
JPH01296261A (en) Image forming device
JP7404630B2 (en) Image forming device
JP524437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362565B1 (en) Toner Supply Control Device
KR940006377B1 (en) Developing cassette in a copier
JPH08286484A (en) Image forming device,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er replenishing container
JPH05224530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JPH01250974A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H07295360A (en) Develo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