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05Y1 - 상·하수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05Y1
KR200216805Y1 KR2020000024060U KR20000024060U KR200216805Y1 KR 200216805 Y1 KR200216805 Y1 KR 200216805Y1 KR 2020000024060 U KR2020000024060 U KR 2020000024060U KR 20000024060 U KR20000024060 U KR 20000024060U KR 200216805 Y1 KR200216805 Y1 KR 200216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sewer
water
sewage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주
Original Assignee
박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주 filed Critical 박장주
Priority to KR2020000024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05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땅속에 매몰되는 상수관, 폐수관 또는 하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는 헤드부(15)가 형성된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기 전에 하수관(11, 11')의 단부(20)의 둘레에 고무패킹(23)이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의 단부(20)가 서로 일렬로 배치된 후 2개의 클램프(25, 25')가 2개의 볼트(35, 36) 및 너트(37, 38)에 의해 하수관(11, 11')의 헤드부(1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부식 그리고 열 팽창 및 수축에 의한 하수관 연결부위의 누수가 방지되고, 작업현장까지 하수관들과 클램프를 각각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송이 편리하고, 2개의 볼트를 좌우측에서 조이는 간단한 작업으로 하수관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수관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EWER PIPES OR WATER PIPES}
본 고안은 땅속에 매몰되는 상수관, 폐수관 또는 하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상·하수관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테이퍼져 있으며 체결부를 클램프로 체결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하수관 연결장치는 제 1 하수관(3)과 제 2 하수관(5)의 단부를 서로 맞대에 일치된 후 고무패킹(6)이 상기 제 1 하수관(3)과 제 2 하수관(5)의 연결부에 끼워지고 밴드 타입의 연결수단(7)을 상기 고무패킹(6)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볼트(9)가 상기 연결결수단(7)을 조임으로서 2개의 하수관(3, 5)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수관 연결장치는 고무패킹의 부식으로 인한 누수 및 열 팽창 및 수축에 의한 하수관 연결부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밴드 타입의 연결수단을 체결하는 공정이 번거롭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부식 그리고 열 팽창 및 수축에 의한 하수관 연결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하수관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테이퍼져 있으며 체결부를 클램프로 체결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의 일예는 헤드부가 형성된 상·하수관들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고, 상·하수관들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기 전에 상·하수관들의 단부 둘레에 고무패킹이 배치되고, 상·하수관들의 단부가 서로 일렬로 배치된 후 2개의 클램프가 2개의 볼트 및 2개의 너트에 의해 상·하수관의 헤드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수관은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수관과 하수관의 연결구조가 같기 때문에 설명의 간략·명확성을 위해 이하 하수관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하수관의 헤드부는 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수관의 외경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굴절되어 하수관의 외경면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법선에 대해 30。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패킹은 내경이 하수관의 외경과 같으며, 외경이 하수관의 헤드부의 수평부와 같고, 두께가 단부의 소정 간격의 2배 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와, 상기 2개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반원 형태의 바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내주면의 단면 형상이 'ㄷ' 형상이며, 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가 하수관의 헤드부의 경사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상·하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하수관 15 : 헤드부
20 : 단부 23 : 고무패킹
25 : 클램프 35, 36 : 볼트
37, 38 : 너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는 헤드부(15)가 형성된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기 전에 하수관(11, 11')의 단부(20)의 둘레에 고무패킹(23)이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의 단부(20)가 서로 일렬로 배치된 후 2개의 클램프(25, 25')가 2개의 볼트(35, 36 ; 도 4 및 도 5 참조) 및 너트(37, 38 ; 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 하수관(11, 11')의 헤드부(15)에 체결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하수관들은 다수개가 서로 일렬로 배치되며,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하수관(11)만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수관(11)의 헤드부(15)는 단부(20)에서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수관(11)의 외경면(1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6)와, 상기 수직부(16)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17)와, 상기 수평부(17)에서 굴절되어 하수관(11)의 외경면(12)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8)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8)의 경사각(α)은 법선(일점쇄선으로 도시됨)에 대해 30。 의 경사를 이룬다. 상기 경사각(α)이 30。 이하일 경우에는 클램프(25, 25')의 체결력이 약하여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 이상일 경우에는 슬립 형산이 없어 마찰에 의해 클램프(25, 25')의 잠금작용이 원할하지 못하여 작업이 어렵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무패킹(23)은 내경이 하수관(11)의 외경과 같으며, 외경이 하수관(11)의 헤드부(15)의 수평부(17)와 같고, 두께가 단부(20)의 소정 간격(d)의 2배 보다 약간 크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고무패킹(23)이 하수관(11)에서 돌출되지 않고, 클램프(25, 25')를 체결할 때 고무패킹(23)이 압축되면서 하수관(11, 11') 사이의 틈새를 막아 수누 현상을 방지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클램프(25, 25')는 2개가 서로 대칭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25)는 볼트(35, 36) 및 너트(37, 38)에 의해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26, 27)와, 상기 2개의 플랜지(26, 27)를 연결하는 반원 형태의 바디부(28)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28)는 내주면의 단면 형상이 'ㄷ' 형상이며, 단부에 경사부(29, 30)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29, 30)가 하수관(11)의 헤드부(15)의 경사부(18)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상·하수관 연결구조는 하수관(11, 11')의 단부(20)의 둘레에 고무패킹(23)이 끼워진 상태에서 2개의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고, 그 후 2개의 클램프(25, 25')가 2개의 볼트(35, 36) 및 너트(37, 38)에 의해 하수관(11, 11')의 헤드부(15)에 체결된다. 이 때 클램프(25)의 본체(28)의 경사부(29, 30)가 하수관(11, 11')의 헤드부(15)의 경사부(18)를 가압하므로서 2개의 하수관(11, 11')의 단부(20)가 완전 밀착되고, 고무패킹(23)에 의해 하수관(11, 11')의 단부가 밀봉된다. 이와같이 클램프(25)의 가압작용과 압축된 고무패킹(23)에 의해 하수관의 누수가 완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는 부식 그리고 열 팽창 및 수축에 의한 하수관 연결부위의 누수가 방지되고, 작업현장까지 하수관과 클램프를 각각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송이 편리하고, 2개의 볼트를 좌우측에서 조이는 간단한 작업으로 하수관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위의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외에 여러 가지 방식을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상·하수관 연결구조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헤드부(15)가 형성된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기 전에 하수관(11, 11')의 단부(20)의 둘레에 고무패킹(23)이 배치되고, 하수관(11, 11')의 단부(20)가 서로 일렬로 배치된 후 2개의 클램프(25, 25')가 2개의 볼트(35, 36) 및 너트(37, 38)에 의해 하수관(11, 11')의 헤드부(1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1)의 헤드부(15)는 단부(20)에서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수관(11)의 외경면(1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6)와, 상기 수직부(16)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17)와, 상기 수평부(17)에서 굴절되어 하수관(11)의 외경면(12)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8)의 경사각(α)은 법선에 대해 30。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23)은 내경이 하수관(11)의 외경과 같으며, 외경이 하수관(11)의 헤드부(15)의 수평부(17)와 같고, 두께가 단부(20)의 소정 간격(d)의 2배 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5)는 볼트(35, 36) 및 너트(37, 38)에 의해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26, 27)와, 상기 2개의 플랜지(26, 27)를 연결하는 반원 형태의 바디부(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8)는 내주면의 단면 형상이 'ㄷ' 형상이며, 단부에 경사부(29, 30)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29, 30)가 하수관(11)의 헤드부(15)의 경사부(18)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20000024060U 2000-08-25 2000-08-25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216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60U KR200216805Y1 (ko) 2000-08-25 2000-08-25 상·하수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60U KR200216805Y1 (ko) 2000-08-25 2000-08-25 상·하수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427A Division KR20020016231A (ko) 2000-08-25 2000-08-25 상·하수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05Y1 true KR200216805Y1 (ko) 2001-03-15

Family

ID=730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60U KR200216805Y1 (ko) 2000-08-25 2000-08-25 상·하수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231A (ko) * 2000-08-25 2002-03-04 박장주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489471Y1 (ko) 2019-02-09 2019-06-21 김상수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231A (ko) * 2000-08-25 2002-03-04 박장주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489471Y1 (ko) 2019-02-09 2019-06-21 김상수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7754A (en) Pipe joint for preventing separation
US4779900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US8313124B2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US4896903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US4635970A (en) Thrust rod anchor for pipe joint restraint systems
US8651530B2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JPS6124593B2 (ko)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JPH0236837B2 (ko)
JP6327897B2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JP2001032978A (ja) 管継手構造
KR20020016231A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100749701B1 (ko) 파이프연결구
JPH0669574U (ja)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KR200414274Y1 (ko) 파이프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960001359Y1 (ko) 관 연결용 클램프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102524410B1 (ko)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KR100518465B1 (ko) 도로 및 건축 공사용 배수로관 연결 조임 장치
JP3003786U (ja) 内部止水バンド
JP2000081186A (ja) サドル付分水栓
KR200346571Y1 (ko)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익스팬션 조인트의 이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