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905A -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905A
KR20020074905A KR1020010014974A KR20010014974A KR20020074905A KR 20020074905 A KR20020074905 A KR 20020074905A KR 1020010014974 A KR1020010014974 A KR 1020010014974A KR 20010014974 A KR20010014974 A KR 20010014974A KR 20020074905 A KR20020074905 A KR 2002007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dish
radish extract
phas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용
금경수
추영국
정헌영
정장현
Original Assignee
정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현 filed Critical 정장현
Priority to KR102001001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905A/ko
Publication of KR2002007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계에 대한 약리학적 효과가 입증된 무 추출물과 한의학에서 소화기능 개선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특정비율로 혼합 처방하여 소화기능의 개선은 물론 변비의 예방 및 치료,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생체 대사능의 개선 등에 탁월한 기능성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개념의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Constituents for herbal healthy food containing radish extracts}
본 발명은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계에 대한 약리학적 효과가 입증된 무 추출물과 한의학에서 위장관의 기능 개선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특정비율로 혼합 처방하여 소화기능의 개선은 물론 변비의 예방 및 치료,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에 탁월한 기능성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개념의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채소류의 대표적 식물인 무에 대한 약리학적 작용으로 항암작용(Adv. Exp. Med. Biol., 289; 153-163, 1991; Am. J. Epidemiol., 144; 1015-1025, 1996)과 간 해독작용(Biosci. Biotechnol. Biochem., 59; 1882-1886, 1995; Arch. Biochem. Biophys., 316; 797-802, 1995)이 미국과 일본에서 이루어졌고, 최근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는 무 추출물이 장관 운동의 활성을 촉진하는 약리학적 작용 기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J. Pharm. Pharmacol., 52; 1031-1-36, 2000)에 발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의 효능으로 구전되어지고 있는 숙취 해소 및 소화불량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무 추출물은 그 동안 여러 가지 방법과 조성으로 각종 기능성 식품이나 혼합물로 사용되어 왔으며, 건강음료에 사용하는 발명도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들의 경우 대개는 무 추출물이 가지는 소화기능에 의존하여 막연한 기대에서 음료조성물로 이용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이러한, 무 추출물의 경우 그 효과가 다양하게 연구되어 그 적용이 매우 기대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그 무 추출물 특유의 향취와 섭취 후의 미감과 특유의 뒷맛을 개선하지 못하여 현실적으로 제품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무 추출물에 대한 약리학적 효능과 작용기전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효능을 개선, 증대시킴과 동시에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그 효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무 추출물에 적절한 유효 활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배합 처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식생활의 서구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음주나 만성피로 등 간 기능 저하, 그리고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소화기계와 간 기능의 약화로 인한 변비, 숙취, 피로감 등이 현대인의 주요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어서, 이러한 일상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일거에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천연 건강보조식품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무 추출물의 제품화 실패를 극복하고 인체에 매우 유익하고 특히 소화기능과 간 기능 등의 복합적 기능을 발현하는 새로운 개념의 무 추출물 관련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무 추출물에 특정의 약리 효과를 가지는 한약재를 엄선하여 소정량 혼합 처방함으로서 종래에 기대할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 추출물에 특정의 엄선된 한약재를 혼합 처방하여 소화기능과 간 기능을 개선하고 변비의 치료와 예방, 숙취해소 등에 효과가 있는 신개념의 복합 기능성 천연 건강식품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6 각각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 추출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6의 실험결과에 따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대하여 효능 효과를 실험한 시험예 7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무 추출물 건조중량 100 ∼ 500 중량부에 대하여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및 빈랑을 각각 5 ∼ 50 중량부씩 혼합하여 물로 가열 추출한 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어 왔던 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한방 성분으로서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 등 5가지 한약재를 소정량씩 가하여 물로 가열하고 추출하여 만들어진 추출물로서, 무 추출물과 특정 한방재를 효과적으로 혼합 처방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 추출물이 장관 운동의 활성을 촉진하는 약리학적 작용 기전이 있다는 놀라운 사실에 기초하여 여기에 한약재 조성을 오랜 경험적 처방과 과학적, 약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매우 특정화하여 효과적으로 배합하는 경우 소화 기관과 간장 기능의 개선, 혈류 개선, 생체 대사능의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새로운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무 추출물은 예를 들어 무를 증류수에 세척하여 잘게 부순 다음 액상 형태로 분쇄하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여 순수 액상만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액상 무 추출물을 동결 건조한 분말 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무 추출물을 너무 소량 사용하면 소화 기능과 간 기능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너무 과량 사용하면 복용 후 미감 떨어지고 복용 후의 뒷맛이 좋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지나친 소화가스의 생성으로 간혹 불편을 느낄 수가 있어 좋지 못하다. 또한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는 설사와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방성분으로 첨가하는 성분들은 한의학에서 소화 기능 개선에 효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들로서, 목향은 행기(行氣)의 작용으로 위장의 체기(滯氣)를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화불량, 식욕감퇴, 복만통증(腹滿痛症) 등의 증상에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오약은 산한온통(散寒溫通)의 작용으로 흉복사역(胸腹邪逆)한 기(氣)를 유통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한울기체(寒鬱氣滯)로 인한 복통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소회향은 이기지통(理氣止痛)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주로 한산(寒疝) 증상을 다스리는데 응용하며 소화 기능의 약화를 개선,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각은 기(氣)를 유통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소화불량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빈랑은 이기행체(理에氣行滯), 소적완사(消積緩瀉)의 효능이 있어 임상적으로 식적기체(食積氣滯), 배변장해, 이급후중(裏急後重) 등의 증상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한약재들은 오랜 연구 끝에 소화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들의 복합 처방에 관해서는 특별히 유의성있는 제안이 이루어진 바 없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들 한약재와 무 추출물의 효과적인 복합 처방으로 서로간의 상승 보완 작용을 일으켜 장관의 운동을 좋게 하고 간장의 알콜 해독에 대한 조력은 물론 간의 해독 기능에 관련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촉진시켜 변비와 숙취해소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약 성분인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바랍직하게는 각각 동량을 사용하며, 무 추출물 건조중량 100 ∼ 5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각각 5 ∼ 50 중량부씩,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10 ∼ 30 중량부씩을 건조중량으로 첨가하여 물 중에서 가열 추출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무 추출물 건조중량 100 ∼ 500 중량부에다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각각 5 ∼ 50 중량부 취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증류수 400 ∼ 100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0 ∼ 800㎖를 가한 다음, 90 ∼ 110℃에서 1 ∼ 5시간 가열하여 용출된 용액상의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이렇게 제조된 용액을 회수하고, 여과한 추출용액상의 조성물, 또는 이 추출용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분말상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무(일정량)를 증류수로 세척하여 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예컨대 쥬스기(juice extractor)로 무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여과용 필터로 추출액을 여과 시키는 방법으로 용액상의 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여과액에는 무에서 유래하는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여과액을 동결 건조하면 일반적으로는 추출물 여과액 1L에 대하여 예를들어 67 - 75g (71 ± 2.8g, 평균치 ± 표준편차)정도 분량의 분말을 전형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무 추출물은 무의 품종에 따라 수분함량의 차이가 있으므로 그 액상의 추출물에 대한 건조 후의 중량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무 추출물의 사용량을 건조중량으로 하여 기준으로 삼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 추출물과 한약제 성분의 사용량들은 다소 과량 섭취한다고 하여도 임상학적으로도 부작용은 거의없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무를 비롯한 한약재들은 바람직하게도 안전계수가 매우 높은 것들을 엄선하였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규명된 약리학적 작용에 근거하여 볼 때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각 성분들은 과량 복용으로 인하여 예측될 수 있는 대표적인 부작용은 설사, 혈압강하, 말초순환장해 등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도 지극히 상식이상으로 과량 복용하였을 경우에나 극히 미미하게 관찰될 수 있는 정도로서 임상학적으로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식품으로 누구나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에 큰 비중을 두고 부작용 없이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성분, 그리고 활성이 탁월하고 상호 보완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들만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한 것에도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요한 특징적 요소 중의 하나는 종래 무 추출물에서 문제가 되었던 특유의 냄새와 복용 후의 뒷맛의 문제를 개선한 것인 바, 이것은 한약재를 이용한 효과적인 처방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가열 처리하여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 추출물을 예컨대 95℃에서 2시간 가열하였을 때 위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약리학적 효능은 전혀 변화가 없으면서도 무의냄새가 현저하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 처리에 의한 약리학적 효능의 저하나 파괴가 전혀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상품성이 크게 개선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한약재의 적절한 배합과 효과적인 열처리 공정의 채용으로 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냄새와 맛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서의 최대 난점이었던 조성물의 상품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걸죽한 용액상의 조성물이나, 맑은 용액상의 조성물 또는 분말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필용에 따라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상의 조성물 자체로도 제품화할 수 있으나, 물에 타먹는 엑기스나 분말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액상 또는 통상의 부형제와 가미제를 가하여 드링크제로 제품화 할 수도 있고, 분말상을 캡슐 또는 정제로 하거나 그레뉼상, 펠릿상으로 제조하여 단위 포장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으로 적절한 처리를 통하여 주사제로 만들 수도 있고, 다른 유효 기능성 식품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약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의 첨가물로도 사용 가능하고, 과자, 사탕, 인스턴트 식품 등의 기능성 천연 첨가제로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순수한 천연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장기간 복용이나 다소 과다 섭취하여도 해롭지 않는 안전한 식품으로서 일반인들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는 순수 천연의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 추출물의 뒷맛이 좋지 못한 점을 한약재의 배합 처방으로 하여 개선하였는 바, 이것은 한약재가 무 추출물에 대한 일종의 고미제 역할을 하고 소정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바람직한 복용 상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성인 60Kg 체중을 기준으로 100 ∼ 1000mg씩 하루 1 ~ 4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에 예시한 각종 제형이나 다양한 방법으로 복용하는 경우 소화기능을 개선하고, 간기능을 회복하여 주며, 변비의 얘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숙취해소나 만성 피로감을 경감하여 항상 가벼운 몸 상태를 유지하는데 효험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경우도 포함한다.
제조예 1
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분 함량과 당도가 비교적 높은 백광 품종의 무를 증류수에 세척하여 잘게 부순 다음 쥬스기를 이용하여 액상 형태로 분쇄하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여 순수 액상만 회수하여 액상의 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무 추출물 3ℓ를 동결건조기로 건조시켜 213g의 무 건조 추출물을 분말 형태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아세틸콜린은 장관운동을 조절하는 주 신경전달물질이다. 무 추출물이 장관운동을 촉진하는 효능을 비교, 검토하고자 아세틸콜린에 의한 적출 장관의 연동운동을 조사하였다. 체중 240g의 웅성 Sprague-Dawley 랫트의 십이지장, 공장, 회장을 3-5cm 길이로 Locke액에 적출하였다. 적출 장관을 Locke액이 충진된 magnus 관에 고정하고 30분 정도 방치하여 안정된 후, 아세틸콜린 농도에 따른 장관 운동의 정도를 Phygiograph로 측정하였다. 아세틸콜린은 농도 의존성으로 장관 수축운동을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회장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상기 시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작성된 적출 장관을 이용하여 무 추출물이 장관 수축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건조 분말을 사용하였다. 무 추출물은 농도 의존성으로 장관 운동을 증대시켰으며, 그 효능은 1㎍/㎖에서 최고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장관 부위에 대한 영향은 회장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 추출물이 장관 운동 조절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효능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 증가의 약리학적 작용 기전을 규명하였다. 상기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적출 장관 (회장)에 상기 제조예 2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무 추출물을 아세틸코린 수용체 작용 저해제인 아트로핀(atropine)을 농도별로 전 처치한 장관에 처리하였다. 아트로핀은 농도 의존성으로 아세틸콜린과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을 억제하였으며, 두 약물간의 억제 비율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은 콜린성 수용체를 매개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결과는 다음 표 3과 도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약리학적 이론에서 아세틸콜린이 작용하는 수용체는 무스카린성 수용체와 니코틴성 수용체이다. 무스카린성 수용체는 장관 평활근의 운동 조절에 주로 관여하는 반면 니코틴 수용체는 주로 근육과 같은 골격근에 작용한다. 무 추출물이 작용하는 수용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니코틴성 수용체 작용 저해제인 hexamethonium과 아세틸코린 수용체 작용 저해제인 아트로핀을 전 치치한 적출 장관에 아세틸코린과 무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적출 장관 (회장)의 제작법은 시험예 1과, 무 추출물의 제조법은 제조예 2와 같다. Hexamethonium은 아세틸콜린 및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아트로핀은 이들 약물에 의한 장관운동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무 추출물은 아세틸콜린의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장관 운동에 대한 무 추출물의 특이적 효능을 증명하는 것으로 골격근에 대한 부작용이 극히 미약하거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결과는 다음 표 4와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상기 시험예 4의 결과를 보다 명확하게 증명함과 동시에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M1, M2, M3, M4)의 작용 저해제가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방법은 상기 시험예 4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수용체 아형 중에서 M3 및 M4 작용 저해제는 아세틸콜린 및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을 가장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 추출물에 의한 장관 운동의 약리학적 작용 기전은 아세틸콜린에 의한 장관 운동의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결과는 다음 표 5와 도 5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이상의 시험예에서 증명된 것과 같이 무 추출물은 적출 장관의 운동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능이 있다. 이러한 결과가 생체내에서도 일어나는지를 증명하기 위하여 in vivo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무 추출물은 제조예 2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0g의 ICR 마우스를 16시간 절식시켜 장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시험을 실시하였다. 장관 수송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12% 활성탄 용액을 만들고 여기에 5% 아라비아검을 첨가한 용액을 조제하였다.
무 추출물을 경구 투여 한 후 20분간 방치하여 준비된 활성탄 용액 0.2ml을 경구 투여한다. 15분 후 마우스를 마취하고 개복한 다음 소장 전체를 적출한 다음 활성탄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무 추출물의 수송력 평가를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수송력(%) = 활성탕의 이동 거리/소장 전체 길이
아트로핀의 억제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험 개시 10분전에 아트로핀을 피하주사 하였다. 무 추출물은 장관 운동에 의한 활성탄의 수송을 현저하게 개선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아트로핀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체내에서도 무 추출물은 장관 운동을 현저하게 증대시켜 소화 기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 결과는 다음 표 6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상기 시험예 6의 결과는 무 추출물이 생체내에서도 장관 운동을 개선할 수 있는 약리학적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효능을 보단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개발하고자 한의학에서 소화기능 개선 및 신체 활성 유지에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는 한약제를 무 추출물에 처방 조제하였다.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각각 20g 취하여 제조예 1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무 추출물 3ℓ와 증류수 600㎖에 혼합하였다. 이들 혼합 처방을 95℃에서 2시간 가열하여 용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분말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5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되 다음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각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제조한 조성물은 용액상, 엑기스상, 액상, 드링크제, 캡슐상, 정제, 그래뉼상, 펠릿상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히 제품화 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장관 수송력에 대한 동결건조 분말의 영향을 상기 시험예 6에서와 실시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처방은 장관 수송력을 현저하게 개선하였으며, 이러한효과는 무 추출물 단독에 의한 장관 수송력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무 추출물을 이용한 상기 실시예 1의 한약처방이 위 장관운동이나 소화기능의 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변비완화 효과는 물론 간기능의 개선이나 대사성 개선, 혈류 개선의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하고, 본 발명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가치를 과학적 시험결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결과는 다음 표 8과 도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종래의 일반적인 무 추출물과는 달리 소화기계에 대한 약리효과가 입증된 무 추출물에다 한의학에서 소화기능 개선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특정비율로 혼합처방하여 새로운 개념의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서, 소화기능의 개선은 물론 변비의 예방 및 치료,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대사성 개선, 혈류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기능성 천연 복합식품으로 크게 유용할 뿐 만 아니라, 복용 후의 미감과 뒷맛이 크게 개선되고 각종 제형과 첨가제로서 다양하게 상품화할 수가 있어서 제품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무 추출물 건조중량 100 ∼ 500 중량부에 대하여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및 빈랑을 각각 5 ∼ 50 중량부씩 혼합하여 물로 가열 추출한 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용액상, 엑기스상, 액상, 드링크제, 분말상, 캡슐상, 정제, 그래뉼상 또는 펠릿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무 추출물 건조중량 100 ∼ 500 중량부에다 목향, 오약, 소회향, 지각, 빈랑을 각각 5 ∼ 50 중량부를 취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증류수 400 ∼ 1000㎖를 가한 다음, 90 ∼ 110℃에서 1 ∼ 5시간 가열 용출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14974A 2001-03-22 2001-03-22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20020074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974A KR20020074905A (ko) 2001-03-22 2001-03-22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974A KR20020074905A (ko) 2001-03-22 2001-03-22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905A true KR20020074905A (ko) 2002-10-04

Family

ID=2769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974A KR20020074905A (ko) 2001-03-22 2001-03-22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9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1434B2 (en) * 2003-04-08 2008-06-03 Herbalscience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of Areca catechu
CN102716384A (zh) * 2012-05-18 2012-10-10 李晓林 一种茶的制备方法
KR20160009345A (ko) * 2014-07-16 2016-01-26 (주)아스터젠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숙취 해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용 조성물
CN105341608A (zh) * 2015-12-28 2016-02-24 许启太 槟榔可乐及其制备方法
KR101654737B1 (ko) * 2016-01-05 2016-09-06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8611A (ko) * 2020-08-31 2022-03-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포대 허브관광농원 허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1434B2 (en) * 2003-04-08 2008-06-03 Herbalscience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of Areca catechu
CN102716384A (zh) * 2012-05-18 2012-10-10 李晓林 一种茶的制备方法
KR20160009345A (ko) * 2014-07-16 2016-01-26 (주)아스터젠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숙취 해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용 조성물
CN105341608A (zh) * 2015-12-28 2016-02-24 许启太 槟榔可乐及其制备方法
KR101654737B1 (ko) * 2016-01-05 2016-09-06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19574A1 (ko) * 2016-01-05 2017-07-13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8611A (ko) * 2020-08-31 2022-03-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포대 허브관광농원 허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4097B2 (ja) 抗肥満組成物
KR100425022B1 (ko) 가공인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Xu et al. Natural medicines for alcoholism treatment: a review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JP2009511468A5 (ko)
US5324516A (en) Galenic composition for decreas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10960638A (zh) 一种降尿酸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546167A (zh) 一种具有健脾利湿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00197429A1 (en) Dietary supplement for glycemia control and diabetes prevention
CN112006137A (zh) 一种健脾养胃苏菔茶及其制备方法
CN105878803B (zh) 一种具有防治酒精性肝损伤的人参竹叶组合物
KR101179766B1 (ko) 녹용을 이용한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20020074905A (ko)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1293645B1 (ko) 신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010066713A (ko) 다이어트 인삼제품 제조방법
KR20030055127A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CN101380452A (zh) 一种无醇型藿香祛暑液体口服制剂的制备方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569686A (zh) 一种解酒组合物、具有解酒功效的片剂及其制备方法
KR100204166B1 (ko) 항스트레스 조성물
JP2007131605A (ja) 不定愁訴改善組成物及び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227

Effective date: 200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