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174A -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174A
KR20020069174A KR1020020009704A KR20020009704A KR20020069174A KR 20020069174 A KR20020069174 A KR 20020069174A KR 1020020009704 A KR1020020009704 A KR 1020020009704A KR 20020009704 A KR20020009704 A KR 20020009704A KR 20020069174 A KR20020069174 A KR 2002006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ll
body fluid
dimensional
dimension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561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야미키코이치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종래의 체액 흡수성 물품은 점착층으로 속옷에 고착시켜 사용했을 때에 속옷의 움직임과 함께 이면층이 이동하고, 이 때 액 흡수 영역이 국부에서 위치가 틀어지거나 멀어지는 경우가 있다.
체액 흡수성 물품의 흡수층(3) 위에 투액성 시트(8)로 형성된 입체벽(10)이 설치되어 있다. 입체벽(10)은 고정단(11a, 11b)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12a, 12b)과, 기립벽(12a, 12b)의 상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넓어지는 피부 접촉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피부 접촉부(12e)는 탄성부재(13)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T자 형상으로 기립하고, 이 힘으로 피부 접촉부(12e)가 국부에 밀착한다. 따라서 점착층에 의해 속옷에 고정된 이면층(2)이 움직여도 피부 접촉부(12e)는 국부에 밀착하고, 경혈(經血)은 입체벽(10)으로부터 흡수층(3)으로 부여되어 흡수되게 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경혈을 흡수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몸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쉽게 틀어지지 않는 체액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은 그 본체부가 불투액성의 이면층, 투액성 표면층 및 상기 이면층과 상기 표면층 사이에 설치된 흡수층을 갖고 있다. 또한 통상은 상기 이면층의 외면에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점착층을 속옷에 점착시킴으로써 속옷에 대한 생리용 냅킨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생리용 냅킨에는 그 흡수 영역의 중앙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신체의 국부에 상기 볼록부를 밀착시킴으로써 국부에의 밀착성을 높이려고 하고 있는 것이 있다.
흡수 영역의 중앙부에 볼록부가 형성된 종래의 생리용 냅킨으로서는, 실개평5-3372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나 특표평 10-50448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들은 모두 생리용 냅킨의 액 수용측의 중앙부에 액 흡수 능력을 갖는 볼록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볼록부를 신체의 국부에 밀착시킴으로써 경혈의 포착 능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생리용 냅킨의 볼록부가 생리용 냅킨 본체의 액 수용측에 자유도를 갖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면층의 외면을 점착층으로 속옷의 내측에 고착시킨 경우에, 속옷이 신체로부터 위치가 틀어지거나 속옷과 함께 생리용 냅킨의 위치가 틀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가 신체의 국부로부터 멀어지기 쉽다.
특히 신체에의 긴박력이 약한 속옷을 착용하고, 이 속옷에 상기 점착층에 의해 생리용 냅킨을 고착하고 있는 때에는 보행시 또는 취침시 등에 속옷이 고간부로부터 멀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도 함께 고간부로부터 들뜨게 되어 볼록부와 국부와의 밀착성이 저하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상기 볼록부는 주로 친수성 섬유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습윤시에 상기 볼록부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 볼록부가 액을 흡수한 상태에서 신체로부터의 장착 압력을 받으면 수축하기 쉽고, 그 결과, 속옷과 함께 생리용 냅킨이 국부로부터 위치가 틀어졌을 때에 볼록부가 국부와 밀착하는 만큼의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없어 국부로부터 멀어지기 쉽다.
또한 친수성의 섬유층으로 형성된 상기 볼록부는 액을 흡수하여 신체와의 장착 압력으로 눌려 찌부러트려졌을 때에 덩어리형으로 되기 쉽고, 덩어리형이 된 볼록부의 강직감이 신체에 대하여 위화감을 주기 쉬워진다.
또한, 종래의 생리용 냅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면층을 점착층을 통해 속옷에 고착시켜, 속옷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생리용 냅킨을 국부에 일체감을 가지며 장착시키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과 국부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속옷과 신체 사이에서 흡수층이나 이면층을 넓은 면적으로 개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신체의 국부에 맞닿은 부분이 본체에 대하여 자유도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분이 국부에 밀착하기 쉽게 되어 장착감이 양호하고 또한 경혈을 흡수층으로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한 체액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 물품을 국부와 일체감을 가지며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국부와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한 체액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7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7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 7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체액 흡수성 물품
1a, 1b : 체액 흡수성 물품의 양측 가장자리
2 : 이면층
2a : 이면층의 연장부
3 : 흡수층
3a, 3b : 흡수층의 양측 가장자리
5 : 측부 플랩
6 : 전후 플랩
8 : 투액성 시트
8a : 표면층
8b : 연장부
10, 10A, 10B : 입체벽
11a : 제1 고정단
11b : 제2 고정단
12a, 12b : 기립벽
12c, 12d : 자유단
12e : 피부 접촉부
13, 14 : 탄성부재
15 : 친수성 재료층
17 : 투액성 시트
17a : 표면층
18 : 투액성 시트
21 : 제1 투액성 시트
21a : 표면층
22 : 제2 투액성 시트
22a : 표면층
30A, 30C, 30E, 30G : 제1 입체벽
30B, 30D, 30F, 30H : 제2 입체벽
31a : 제1 고정단
31b : 제2 고정단
32a, 32b : 기립벽
33a, 33b : 자유단
34a, 34b : 피부 접촉부
41 : 투액성 시트
42 : 고정단
43a, 43b : 기립벽
44a, 44b : 피부 접촉부
45a, 45b : 자유단
본 발명은 이면층 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데,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는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체벽은 상기 중앙부로부터의 기립 기점이 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보다도 흡수층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벽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의 상부로부터 상기 흡수층의 양측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 만곡된 피부 접촉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가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본 발명의 형태는 이면층 위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는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한쪽 측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단과, 상기 흡수층의 다른 쪽 측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고정단 사이에 연장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에 의해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의 상부로부터 흡수층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좌우 양측으로 넓어져 양측부에 자유단을 갖는 피부 접촉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의 상면이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 본 발명의 형태는 이면층 위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보다도 중앙측에 고정단을 갖는 제1 입체벽 및 제2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입체벽과 제2 입체벽은 흡수층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제1 입체벽과 제2 입체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으로부터 흡수층의 상기 측 가장자리를 향해 외측으로 만곡되어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보다도 흡수층의 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피부 접촉부가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의 상면이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을 따르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한쪽 측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층 위로 연장되는 제1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다른 쪽 측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층 위로 연장되는 제2 시트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체벽의 기립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기립벽은 적어도 그 일부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의 고정단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고정단의 대향 거리가 상기 흡수층의 상기 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본 발명의 형태는 상기 흡수층 위의 중앙부에 투액성 시트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상기 중앙부와의 접합부로부터 한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입체벽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입체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입체벽의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피부 접촉부와 상기 기립벽의 적어도 한쪽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 상기 제1 입체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와 상기 기립벽의 적어도 한쪽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 혹은 상기 제1 입체벽의 기립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기립벽 사이에 친수성 재료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 등이다.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의 외면에 고정용 점착층을 설치하면, 종래의 생리용 냅킨과 마찬가지로 이면층을 속옷의 내면에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입체벽을 여성기에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액 흡수성 물품은 상기 입체벽이 여성기의 음순 내측으로 삽입되어 착용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부 접촉부가 여성기의 음순 내측으로 삽입되어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면층의 외면에 고정용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음순의 폐쇄력(다무는 힘)에 의해 물품 전체가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체벽, 특히 상기 피부 접촉부를 음순 내부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입체벽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50∼70 ㎜이고, 상기 입체벽의 자유단 사이의 폭이 20∼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면층과 상기 흡수층과의 적층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80∼120 ㎜이고, 폭 치수가 4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을 덮는 투액성 표면층이 설치되고, 상기 표면층 위에 상기 입체벽의 고정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체액 흡수성 물품(1)을 액 수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체액 흡수성 물품(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a, 1b)와, 앞 가장자리(1c) 및 뒤 가장자리(1d)를 갖고 있다.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불투액성 이면층(2)의 크기는 체액 흡수성 물품(1) 전체의 크기와 일치하고 있다. 상기 이면층(2) 위에 흡수층(3)이 중첩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3)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3a, 3b) 및 앞 가장자리(3c) 와 뒤 가장자리(3d)를 갖고 있고, 상기 이면층(2) 보다도 훨씬 작은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3)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액 흡수 영역(4)이다.
도 2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층(3)의 양측 가장자리(3a, 3b)와,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양측 가장자리(1a, 1b) 사이에 측부 플랩(5, 5)이 형성되어 있고, 흡수층의 앞 가장자리(3c) 및 뒤 가장자리(3d)와,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앞 가장자리(1c) 및 뒤 가장자리(1d)와의 사이에 전후 플랩(6, 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액 흡수성 물품(1)의 표면에는 투액성 시트(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층(3)이 설치된 액 흡수 영역(4) 위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길이 L로 나타내는 영역에는 상기 투액성 시트(8)로 형성된 입체벽(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L)에서는, 상기 흡수층(3)의 한쪽 측 가장자리(3a)로부터 중앙을 향해 소정 거리로 멀어진 위치에 제1 고정단(11a)이 설치되고, 흡수층(3)의 다른 쪽 가장자리(3b)로부터 중앙을 향해 소정 거리로 멀어진 위치에 제2 고정단(1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단(11a)과 제2 고정단(11b)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투액성 시트(8)에 의해 상기 입체벽(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단(11a)과 제2 고정단(11b)은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O)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단(11a)과 제2 고정단(11b)에서는, 상기 투액성 시트(8)와 흡수층(3)의 상면이 상기 중심선(O-O)과 평행한 연속선, 또는 간헐선 부분에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열 융착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시트(8)는 상기 흡수층(3)의 한쪽 측 가장자리(3a)로부터 제1 고정단(11a)에 이르는 부분 및 상기 투액성 시트(8)의 상기 흡수층(3)의 다른 쪽 측 가장자리(3b)로부터 제2 고정단(11b)에 이르는 부분이 흡수층(3)의 표면을 덮는 표면층(8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액성 시트(8)는 흡수층(3)의 양측 가장자리(3a, 3b)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연장부(8b, 8b)로 되어 있다. 상기 이면층(2)도 상기 흡수층(3)의 양측 가장자리(3a, 3b)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연장부(2a, 2a)로 되어 있고, 상기 측부 플랩(5, 5)에서는, 상기 이면층(2)의 연장부(2a, 2a)와, 상기 표면층(8)의 연장부(8b, 8b)가 핫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 플랩(6, 6)에 있어서도, 이면 시트(2)의 상기 흡수층(3)의 앞 가장자리(3c) 및 뒤 가장자리(3d)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투액성 시트(8)의 상기 흡수층(3)의 앞 가장자리(3c) 및 뒤 가장자리(3d)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영역(L)에 설치된 입체벽(10)은 도 2의 단면도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형상이다. 상기 입체벽(10)에는 상기 투액성 시트(8)가 상기 제1 고정단(11a)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12a)과, 상기 제2 고정단(11b)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시트(8)는 상기 기립벽(12a)과 기립벽(12b)의 상부로부터 중심선(O-O)에 대하여 좌우 대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입체벽(10)은 단면이 T자 형상으로 되고, 좌우 양측의 자유단(12c, 12d)이 상기 제1 고정단(11a) 및 제2 고정단(11b)보다도, 측 가장자리(3a, 3b) 측에 위치하며, 상기 자유단(12c)과 자유단(12d) 사이의 부분이 띠 모양의 피부 접촉부(12e)로 되어 있다. 이 피부 접촉부(12e)의 상면은 자유단(12c)과 자유단(12d) 사이에 걸쳐진 상기 투액성 시트(8)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부 접촉부(12e)의 상면은 투액성이다.
도 1에 도시된 영역(L)의 전후단, 즉 상기 입체벽(10)의 전단(10C)과,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앞 가장자리(1c) 사이 및 상기 입체벽(10)의 후단(10d)과, 체액흡수성 물품(1)의 뒤 가장자리(1d) 사이의 영역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시트(8)에 의해 평평한 절첩부(8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첩부(8c)의 면 전체가 상기 흡수층(3)의 표면에 접착되며, 또한 전후 플랩(6, 6)에서는, 상기 절첩부(8c)가 상기 이면층(2)의 상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상기 입체벽(10) 및 도 3에 도시된 절첩부(8c)에서는, 상기 투액성 시트(8)의 절첩부에 실 모양 또는 띠 모양 등의 형태의 복수의 탄성부재(13)가 개재되어 접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입체벽(10)에서는,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12e)에 탄성부재(1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13)는 상기 피부 접촉부(12e)의 자유단(12c, 12d)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소정 길이의 늘려진 상태로 상기 투액성 시트(8)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체액 흡수성 물품(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3)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10C)과 후단(10d)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끌리고, 그 결과, 체액 흡수성 물품(1)은 이면층(2)이 외측으로 볼록형이 되도록 만곡 변형한다. 이 만곡 변형 상태가 되는 결과, 상기 입체벽(10)의 피부 접촉부(12e)의 자유단(12c, 12d)이 표면층(8a)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영역(L)에서는, 입체벽(10)이 T자 상태로 기립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변형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체액 흡수성 물품(1) 전체의 기본 구조가 동일하고, 상기 영역(L)에 설치된 입체벽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된 입체벽(10)과 서로 다르다.
도 4에 도시된 입체벽(10A)에서는, 제1 고정단(11a)과 제2 고정단(11b)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12a, 12b)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이 접합부에 복수의 탄성부재(14)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피부 접촉부(12e)에서는, 자유단(12c)과 자유단(12d)의 내측 부분에 상기 탄성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액 흡수성 물품(1)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3) 및 탄성부재(14)의 쌍방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체액 흡수성 물품(1)이 만곡 형상이 되고, 상기 영역(L)에 있어서 입체벽(10A)이 T 자형으로 기립한다.
또한, 상기 피부 접촉부(12e)에서는, 투액성 시트(8) 사이에 친수성 재료층(15)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재료층(15)은 액 흡수 능력 및 액 유지 능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투액성 시트(8) 보다도 단위 면적당 액의 유지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액 유지 능력을 가지며 또한 피부에의 접촉감이 부드럽다면, 두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친수성 재료층(15)은 티슈 페이퍼, 에어 레이드 펄프, 면 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혹은 소수성 합성수지 섬유, 또는 친수 처리된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된 투액 능력이 우수한 것을 친수성 재료층(15)으로 하여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이면 시트(2) 위에 흡수층(3)이 설치되고, 그 위에 투액성 시트(17)가 중첩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시트(17)는 양측 가장자리(3a, 3b) 사이에서 흡수층(3)을 덮는 표면층(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액성 시트(17)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3a, 3b)로부터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7b, 17b)를 갖고 있고, 측부 플랩(5, 5)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2)의연장부(2a, 2a)와 상기 연장부(17b, 17b)가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입체벽(10B)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18)가 상기 표면층(17a) 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체벽(10B)을 구성하는 투액성 시트(18)는 상기 표면층(17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17)에 접합된 제1 고정단(11a) 및 제2 고정단(11b)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12a, 12b)을 갖고 있지만, 이 기립벽(12a, 12b)은 그 상단에서 서로 접합된 접합부(12f)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접합부(12f) 위에 양측에 자유단(12c, 12d)을 갖는 띠 모양의 피부 접촉부(12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체액 흡수성 물품(1) 및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변형예의 체액 흡수성 물품(1)은 모두 이면층(2)의 외면(도시 하측의 면)에 점착층을 설치함으로써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의 내면에 점착 고정시켜 종래의 생리용 냅킨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면층(2)을 상기 점착층을 통해 속옷의 내면에 고착시키고, 상기 속옷을 신체에 장착함으로써 체액 흡수성 물품(1)은 액 수용측이 신체의 국부에 맞대어지도록 착용된다.
장착 상태에서는, T자 형상으로 기립하려 하고 있는 상기 입체벽(10, 10A, 10B)의 피부 접촉부(12e)가 국부에 밀착하고, 또한 흡수층(3)이 신체에 압박되며, 기립벽(12a, 12b)이 휘어 피부 접촉부(12e)와, 표면층(8a) 또는 표면층(17a)이 거의 밀착한 상태가 된다. 단, 상기 입체벽(10, 10A, 10B)의 피부 접촉부(12e)는 탄성부재(13 및 14)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표면층(8a) 또는 표면층(17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압되고 있기 때문에, 피부 접촉부(12e)는 항상 국부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긴박력이 약한 속옷을 착용하고 있을 때에, 속옷의 위치가 틀어지고, 점착층을 통해 상기 속옷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이면층(2)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져도 기립벽(12a, 12b)의 자유 변형에 의해 피부 접촉부(12e)는 항상 국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국부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피부 접촉부(12e)를 투과하고, 또한 표면층(8a) 또는 표면층(17a)을 투과하여 흡수층(3)에 흡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속옷과 함께 이면층(2)이 가로 방향으로 움직여 이것과 함께 흡수층(3)이 가로 방향으로 틀어졌다고 해도 상기 피부 접촉부(12e)가 국부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경혈은 피부 접촉부(12e)로부터 기립벽(12a, 12b)을 투과하고, 또한 표면층(8a) 또는 표면층(17a)을 투과하여 흡수층(3)에 이를 수 있으며, 따라서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측방으로 경혈이 새는 일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벽(10, 10A, 10B)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L)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 두면, 상기 피부 접촉부(12e)가 국부의 음순 부근에 밀착하는 동시에, 둔부의 간극에도 밀착하게 되어 취침시 등에 둔부 방향으로 경혈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부(12e)를 투과하여 경혈은 주로 흡수층(3)에 의해 흡수되지만, 흡수층(3)이 습윤 상태가 되어 강직 상태가 되어도 국부에는 입체벽(10, 10A, 10B)의 피부 접촉부(12e)가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층(3)의 강직감이 국부에 직접 전해지기 어려워 장착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피부 접촉부(12e)에 친수성 재료층(15)이 설치되어 이 친수성 재료층(15)도 어느 정도의 액 흡수 능력 및 액 유지 능력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재료층(15)을 흡수층(3)에 비하여 얇은 것으로 해 두거나 또는 상기 흡수층(3)에 비하여 연질인 것으로 해 두면, 피부 접촉부(12e)가 강직감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피부에의 접촉 감촉이 양호해진다.
또한,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흡수층(3) 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액성 시트(17)가 설치되어 표면층(17a)이 형성되고, 이 투액성 시트(17) 위에 입체벽(10, 10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8)가 고정단(11a, 11b)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립벽(12a, 12b)의 내부, 즉 기립벽(12a)을 형성하는 시트와, 기립벽(12b)을 형성하는 시트 사이에 상기 친수성 재료층(15)과 동일한 친수성 재료층이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친수성 재료층이 기립벽(12a, 12b)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이 친수성 재료층도 경혈의 흡수 능력을 약간 갖게 되어 체액 흡수성 물품(1)의 측방으로 경혈이 새는 일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기립벽(12a, 12b)의 내부에 설치된 친수성 재료층을 흡수층(3)에 비하여 얇은 것으로 하거나 또는 흡수층(3) 보다도 연질인 것으로 하면, 친수성 재료층이 기립벽(12a, 12b)이 휘는 것을 방해하기 어렵게 되어 입체벽의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체액 흡수성 물품(1A)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 및 도10은 상기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7의 단면도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크기의 이면층(2) 위에 흡수층(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의 중심선(O-O)을 사이에 개재시켜 한쪽 측에서는, 제1 투액성 시트(21)가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한쪽 측 가장자리(1a)로부터 상기 중심선(O-O) 부근까지 연장되고, 제2 투액성 시트(22)가 다른 쪽 측 가장자리(1b)로부터 중심선(O-O) 부근까지 연장되고 있다.
상기 제1 투액성 시트(21)와 제2 투액성 시트(22)는 2겹으로 포개져 있고, 상기 중심선(O-O) 부근의 제1 고정단(31a)과 제2 고정단(31b)에서, 상기 양 투액성 시트(21, 22)가 흡수층(3)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31a, 31b)에서는, 상기 양 시트(21, 22)와 상기 흡수층(3)이 중심선(O-O)과 평행한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선 또는 간헐선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있다.
상기 2겹으로 포개진 제1 투액성 시트(21), 상기 흡수층(3)의 측 가장자리(3a)로부터 제1 고정단(31a)에 있어서 표면층(3)을 덮는 부분이 표면층(21a)으로 되어 있고, 상기 흡수층(3)의 측 가장자리(3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연장부(21b)로 되어 있다. 상기 이면층(2)의 상기 측 가장자리(3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a)와 상기 연장부(21b)가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측부 플랩(5)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투액성 시트(22)도 흡수층(3)의 측 가장자리(3b)와 제2 고정단(31b) 사이에서 흡수층(3)을 덮는 표면층(22a)이 형성되어 있고, 측부 플랩(5)에 있어서, 이면층(2)의 연장부(2a)와, 제2 투액성 시트(22)의 연장부(22b)가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전후 플랩(6, 6)에 있어서, 제1 투액성 시트(21) 및 제2 투액성 시트(22)와, 이면층(2)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단(31a)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투액성 시트(21)에 의해 제1 입체벽(30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단(31b)으로부터 기립하는 제2 투액성 시트(22)에 의해 제2 입체벽(3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입체벽(30A)과 제2 입체벽(30B)은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형상이며, 제1 고정단(31a)과 제2 고정단(31b)으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기립벽(32a, 32b)과, 그 상단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만곡된 피부 접촉부(34a, 3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립벽(32a)과 기립벽(32b)은 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피부 접촉부(34a)는 제1 고정단(31a)보다도 측 가장자리(3a)측에 위치하는 자유단(33a)을 가지며, 피부 접촉부(34b)는 제2 고정단(31b)보다도 측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하는 자유단(33b)를 갖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전후 단부(도 6의 입체벽(30A, 30B)의 전후 단부(30C, 30D)보다도 외측)에서는, 상기 제1 투액성 시트(21)와 제2 투액성 시트(22)에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역방향으로 절첩된 절첩부(21c, 22c)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흡수층(3) 또는 이면층(2) 위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제1 투액성 시트(21)와 제2 투액성 시트(22)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입체벽(30A)과 제2 입체벽(30B)의 전단(30C) 및 후단(30D)이, 상기 탄성부재(35)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고, 체액 흡수성 물품(1A)이 만곡하여 상기 제1 입체벽(30A)과 제2 입체벽(30B)이 표면층(21a, 2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T자 형상으로 기립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면층(2)에 설치된 점착층을 속옷에 고착시켜 착용했을 때에, 제1 입체벽(30A)과 제2 입체벽(30B)이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입체벽(10, 10A, 10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피부 접촉부(34a, 34b)가 신체의 국부에 밀착하여 이면층(2)이 움직여도 피부 접촉부(34a, 34b)와 국부와의 밀착성을 유지하기 쉽다.
상기 피부 접촉부(34a, 34b)는 투액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접촉부(34a, 34b)에 부여된 경혈이 피부 접촉부(34a, 34b)를 투과하고, 기립벽(32a, 32b)을 따라 흡수층(3)으로 흡수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상기 흡수층(3) 위에 투액성 시트(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액성 시트(23) 중의 흡수층(3)을 덮는 부분이 표면층(23a)으로 되며, 흡수층(3)의 측 가장자리(3a, 3b)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연장부(23b, 23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 플랩(5, 5)에서는, 상기 이면층(2)의 연장부(2a, 2a)와 상기 연장부(23b, 23b)가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시트(23) 위에 제1 투액성 시트(21)와 제2 투액성 시트(22)가 각각 2겹으로 포개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 투액성 시트(21)는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측 가장자리(1a)로부터 표면층(23a) 위까지 연장되고, 중앙부에 있어서, 고정단(31a)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입체벽(30C)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투액성 시트(22)는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측 가장자리(1b)로부터 표면층(23a) 위까지 연장되고, 중앙부에 있어서, 고정단(31b)으로부터 기립하는 제2 입체벽(30D)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입체벽(30C)은 기립벽(32a)과 피부 접촉부(34a)를 가지며, 제2 입체벽(30D)도 기립벽(32b)과 피부 접촉부(34b)를 갖고 있다. 또한 각각의 입체벽(30C, 30D)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것에서는, 제1 고정단(31a)과 제2 고정단(31b) 사이에 거리(W2)가 벌려져 각각 제1 고정단(31a)과 제2 고정단(31b)이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흡수층(3) 위에 투액성 시트(23)가 설치되어 흡수층(3)을 덮는 표면층(2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제1 투액성 시트(21)에 의해 제1 입체벽(30E)이 형성되며, 제2 투액성 시트(22)에 의해 제2 입체벽(30F)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입체벽(30E, 30F)은 기립벽(32a, 32b)과 피부 접촉부(34a, 34b)를 갖고 있다.
상기 입체벽(30E, 30F)에서는, 피부 접촉부(34a, 34b)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36)가 부착되어 있지만, 기립벽(32a, 32b)에도 탄성부재(37)가 부착되고, 그 결과, 양 입체벽(30E, 30F)은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으로 함께 Σ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기립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전후 단부에 있어서, 제1 투액성 시트(21)와 제2 투액성 시트(22)가 각각 Σ형상을 상하로 찌부러뜨린평평한 상태로 절첩되고, 절첩된 각 시트(21, 22)가 투액성 시트(23)의 표면에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부재(36, 37)의 탄성 수축력으로 체액 흡수성 물품(1A)이 만곡했을 때에, 제1 입체벽(30E)과, 제2 입체벽(30F)이 Σ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기립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이면층(2)에 설치된 점착층을 속옷에 고착하여 착용했을 때에, 각각의 피부 접촉부(34a, 34b)가 신체의 국부에 밀착하여 속옷과 함께 이면층(2)이 움직였을 때에, 피부 접촉부(34a, 34b)와 국부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측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34a)와 피부 접촉부(34b)가 서로 독립된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각각의 피부 접촉부(34a, 34b)를 개별로 국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면층(2)이 움직이거나 피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여도 피부 접촉부(34a, 34b)와 국부가 밀착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것에서는, 각각의 입체벽(30E, 30F)이 Σ형상이기 때문에, 입체벽이 피부와의 접촉 압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탄성 복원력이 높아지고, 피부 접촉부(34a, 34b)와 국부와의 밀착성이 더욱 좋아진다.
도 11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것은 외면에 점착층을 갖는 이면층(2) 위에 흡수층(3)이 설치되고, 그 위에 투액성 시트(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액성 시트(23)의 일부가 흡수층(3)의 표면을 덮는 표면층(23a)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액성 시트(23) 위에 2겹으로 포개진 투액성 시트(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시트(41)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이며, 적어도 도 6에 도시된 L1의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가 상기 표면층(23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23)의 표면에 직선 또는 간헐선형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용착되어 고정단(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단(42)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에 제1 입체벽(30G)이, 다른 쪽 측에 제2 입체벽(30H)이 각각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입체벽(30G)에는 기립벽(43a)과 피부 접촉부(44a)가 형성되고, 제2 입체벽(30H)에는 기립벽(43b)과 피부 접촉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액성 시트(41)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부재(46)가 부착되어 있다.
체액 흡수성 물품(1A)의 전후 단부에서는, 상기 투액성 시트(41)의 전면이 표면층(23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23)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6)의 탄성 수축력으로 체액 흡수성 물품 전체가 만곡하는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입체벽(30G, 30H)은 그 자유단(45a, 45b)이 투액성 시트(23)로부터 멀어지도록 기립하고 있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및 제2 입체벽(30G, 30H)의 피부 접촉부(44a, 44b)가 서로 개별로 거동하여 탄성적으로 신체의 국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접촉부의 양측 자유단 사이의 폭 치수(W3: 도 4와 도 5에서는 W3의 표시를 생략함)는 10∼60 ㎜ 범위, 바람직하게는 20∼50 ㎜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 ㎜ 범위로 설치된다. 또한, 흡수층(3)의 측 가장자리(3a)와 측 가장자리(3b)와의 폭 치수(W1: 도 4, 도 5, 도 7, 도 11에서는 W1의 표시를 생략함)에 대하여, 상기 W3은 20%∼70% 범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접촉부의 자유단 사이의 폭 치수를 상기 범위내로 하면,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가 신체의 국부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입체벽의 2개의 기립벽의 기립 기점이 되는 고정단 사이의 거리(W2)는 0∼40 ㎜이 바람직하고, 0∼30 ㎜가 더욱 바람직하며, 0∼20 ㎜가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W2와 흡수층(3)의 폭 치수(W1)와의 비 W2/W1은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를 상기 바람직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6에 있어서 상기 입체벽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세로 방향의 길이(L, L1)는 150∼400 ㎜ 범위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200∼360 ㎜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단으로부터, 입체벽의 기립 높이는 5∼50 ㎜, 바람직하게는 1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 범위이다.
다음에 상기 모든 실시예의 체액 흡수성 물품(1, 1A)은 여성기의 음순 내부로 삽입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체벽(10, 10A, 10B, 30A, 30B, 30C, 30D, 30E, 30F, 30G, 30H)의 피부 접촉부를 음순 내부에 장착하고, 음순의 폐쇄력으로 상기 입체벽을 여성기에 유지시켜, 이에 따라 체액 흡수성 물품(1, 1A) 전체가 여성기와 일체감을 갖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면층(2)의 외면에는 점착층을 설치하지 않고, 이면층(2)을 속옷의 내면에 고착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착 방법이라면, 체액 흡수성 물품(1, 1A)은 여성기에 유지된 착용 상태가 되고, 속옷이 고간부에 대하여 위치가 틀어져도 체액 흡수성 물품(1, 1A)이 여성기로부터 위치가 쉽게 틀어지지 않는다.
경혈은 최초로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가 수용하게 되지만, 피부 접촉부를 투과하여 기립벽을 따라 흡수층(3)으로 흡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접촉부에 친수성 재료층(15)이 설치되어 있으면, 이 친수성 재료층(15)도 경혈의 흡수 능력을 약간 갖게 되어 상기 친수성 재료층(15)으로 흡수할 수 없던 경혈이 그 밑에 위치하는 흡수층(3)으로 흡수되게 된다.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가 음순 사이에서 유지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도 7,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대칭 형상의 각각의 피부 접촉부가 독립하고 있고, 쌍을 이루는 피부 접촉부가 독립적으로 음순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체벽과 제2 입체벽이 가로 방향으로 조금 떨어져 위치하고, 상호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피부 접촉부를 음순내에 유지하기 쉬워진다.
상기 도 7,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내에 도 4에 도시된 친수성 재료층(15)과 동일한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된 구조라도 좋다. 피부 접촉부내에 상기 친수성 재료층을 설치하면, 피부 접촉부의 두께가 늘어 어느 정도의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피부 접촉부를 음순 사이에서 유지했을 때에, 상기 음순 사이에서 쉽게 멀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7의실시예에 있어서, 기립벽(32a)과 기립벽(32b) 사이에 상기 친수성 재료층(15)과 동일한 얇은 친수성 재료층을 개재시켜도 좋고, 도 7,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립벽(32a, 32b) 또는 기립벽(43a, 43b)의 각각을 형성하는 2겹의 시트 사이에 상기 얇은 친수성 재료층을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입체벽이 음순 사이에서 유지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은 종래의 속옷으로 고착하는 생리용 냅킨 보다도 전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전체의 치수가 작아도 여성기와 흡수층(3)의 위치가 쉽게 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혈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이면층(2)을 흡수층(3) 보다도 충분히 크게 할 필요는 없고, 이면층(2)과 흡수층(3)을 거의 동일한 크기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좌우의 측부 플랩(5, 5)과 전후 플랩(6, 6)을 각각 폭이 5 ㎜ 이하 나아가서는 3 ㎜ 이하의 좁은 폭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액 흡수성 물품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가 음순 사이에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피부 접촉부의 자유단 사이의 폭 치수(W3)는 20∼40 ㎜, 입체벽이 형성되는 영역의 세로 방향의 길이(L, L1)는 50∼7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물품 전체의 길이는 L0이 80∼120 ㎜, 폭 치수(W0)가 40∼60 ㎜ 정도의 비교적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각 부재의 구성 재료를 설명한다.
상기 이면층(2)은 PE 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필름, 상기 필름과 종이 또는, 필름과 부직포를 접합시킨 라미네이트 소재 등의 불투액성 시트로 형성된다.혹은, 상기 이면층(2)이 무기 충전제를 함유한 수지 시트를 일부 또는 전면에서 연신하고, 다공질화시킨 투습성 수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면층(2)의 외면에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 등에 걸리게 하기 위한 점착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층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물품 길이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사용시까지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층(3)은 면형 펄프의 적층체, 티슈 페이퍼의 적층체, 에어 레이드 펄프, 혹은 열 융착 섬유를 혼합시킨 에어 레이드 부직포, 또는 친수성 처리를 실시한 발포 시트, 셀룰로오즈 발포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한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재료로서는, 아크릴산을 주성분으로 한 중합물, 전분/아크릴산의 그라프트 중합물, 전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입상물 혹은 섬유상물 등이 있다.
상기 흡수층(3)은 JIS L 1096에 기초한 45도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 측정 시험에 있어서, 그 측정치가 5∼70 ㎜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라면, 상기 흡수층(3)이 비틀어지도록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에게 지나친 경질감을 부여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강연도를 이 범위내로 할 때에는, 상기 흡수층에 대하여, 압착 조구에 의한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여 보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흡수층(3)의 두께 치수는 1.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표면층(17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17), 도 9 내지 도 11에도시된 표면층(23a)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23)에는, 예컨대 에어 레이드 펄프와 같이 습윤 강도를 갖는 흡수 소재를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투액성 재료인 개공 플라스틱 필름, 혹은 친수성 처리를 실시한 소수성 합성수지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개공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입체벽(10, 10A, 10B, 30A, 30B, 30C, 30D, 30E, 30F)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투액성 재료)로서는, 부피감이 풍부하고, 액체의 잔존성이 낮은 통기성 부직포, 또는 액체의 차폐성 효과가 높은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이다. 예컨대 상기 통기성 부직포는 심초형 구조의 복합섬유에 의해 구성되고, 단위 중량이 20∼40 g/㎡ 범위내이며, 두께 치수가 0.3∼1.5 ㎜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 플라스틱 필름이라면, 단위 중량은 20∼35 g/㎡ 범위내이며, 밀도가 O.9O×106∼O.93×106g/㎤ 범위내인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개공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개공율은 30∼70%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구멍부의 형상은 원, 마름모꼴, 다각형 등이어도 좋고, 특별히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멍부의 각 면적이나 배열 양식 등도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입체벽을 형성하는 투액성 시트(투액성 재료)로서는,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등이어도 좋다. 이들 부직포는 상기 복합섬유 외에 비스코스레이온, 아세테이트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블로 부직포 등이어도 좋다.
상기 개공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는 단체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혹은 같은 것을 여러 장 중첩시켜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다른 종류의 것을 중첩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각 입체벽의 피부 접촉부의 상면이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기립벽은 불투액성의 소수성 소재나 발수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입체벽에서는 국부에 밀착하는 피부 접촉부가 투액성이라면, 피부 접촉부를 투과한 경혈이 상기 불투액성의 소재를 따라 흡수층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 경우, 입체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흡수층의 표면에 투액성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서는, 중앙부에 설치된 투액성 입체벽이 국부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기 때문에, 이면층을 속옷에 고착시켜 착용한 경우에, 속옷과 함께 이면층이 움직여 흡수층이 설치된 흡수 영역이 피부로부터 틀어지거나 멀어지거나 하여도 입체벽과 국부와의 밀착에 의해 경혈을 확실하게 흡수층으로 유도할 수 있고, 체액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경혈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체벽을 여성기의 음순 사이에 유지시키도록 하여 체액 흡수성 물품을 여성기에 일체감을 부여하도록 착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체액 흡수성 물품이 여성기로부터 멀어지거나 위치가 쉽게 틀어지지 않게 되어 경혈이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Claims (19)

  1. 이면층 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는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체벽은 상기 중앙부로부터의 기립 기점이 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보다도 흡수층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벽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의 상부로부터 상기 흡수층의 양측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 만곡된 피부 접촉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가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3. 이면층 위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는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한쪽 측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단과, 상기 흡수층의 다른 쪽 측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고정단 사이에 연장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에 의해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의 상부로부터 흡수층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좌우 양측으로 넓어져 양측부에 자유단을 갖는 피부 접촉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의 상면이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4. 이면층 위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층이 설치된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위에는 그 양측 가장자리보다도 중앙측에 고정단을 갖는 제1 입체벽 및 제2 입체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입체벽과 제2 입체벽은 흡수층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제1 입체벽과 제2 입체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벽과, 상기 기립벽으로부터 흡수층의 상기 측 가장자리를 향해 외측으로 만곡되어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보다도 흡수층의 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피부 접촉부가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피부 접촉부의 상면이 투액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벽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입체벽에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입체벽이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한쪽 측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층 위로 연장되는 제1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체벽은 상기 흡수층의 다른 쪽 측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층 위로 연장되는 제2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의 기립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기립벽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의 고정단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고정단의 대향 거리가 상기 흡수층의 상기 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위의 중앙부에 투액성 시트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상기 중앙부와의 접합부로부터 한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입체벽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입체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벽의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와 상기 기립벽의 적어도 한쪽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와 상기 기립벽의 적어도 한쪽 내부에 친수성 재료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벽의 기립벽과, 상기 제2 입체벽의 기립벽 사이에 친수성 재료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3.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의 외면에 고정용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벽이 여성기의 음순 내측에 삽입되어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가 여성기의 음순 내측에 삽입되어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의 외면에 고정용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음순의 폐쇄력에 의해 물품 전체가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벽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50∼70 ㎜이고, 상기 입체벽의 자유단 사이의 폭이 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과 상기 흡수층과의 적층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80∼120 ㎜이고, 폭 치수가 40∼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19.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을 덮는 투액성 표면층이 설치되고, 상기 표면층 위에 상기 입체벽의 고정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
KR1020020009704A 2001-02-23 2002-02-23 생리용 흡수 제품 KR10080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8479 2001-02-23
JPJP-P-2001-00048479 2001-02-23
JP2001169004A JP4017839B2 (ja) 2001-02-23 2001-06-05 生理用吸収製品
JPJP-P-2001-00169004 2001-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74A true KR20020069174A (ko) 2002-08-29
KR100804561B1 KR100804561B1 (ko) 2008-02-20

Family

ID=2660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704A KR100804561B1 (ko) 2001-02-23 2002-02-23 생리용 흡수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20120247A1 (ko)
EP (1) EP1234562B1 (ko)
JP (1) JP4017839B2 (ko)
KR (1) KR100804561B1 (ko)
CN (1) CN1251656C (ko)
AT (1) ATE290842T1 (ko)
DE (1) DE60203206T2 (ko)
MY (1) MY126208A (ko)
SG (1) SG108833A1 (ko)
TW (1) TW5267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438A (ko) * 2012-02-14 2014-09-2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신규의 레그 개더를 구비한 흡수체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042B2 (ja) * 2001-05-22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間パッド
KR100948898B1 (ko) * 2002-11-18 2010-03-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부착용 보조 패드
JP4392170B2 (ja) * 2003-01-17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554276B2 (ja)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54275B2 (ja)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55616B2 (ja) 2004-06-11 2010-10-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間パッド
JP4712376B2 (ja)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648698B2 (ja) 2004-12-28 2011-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712374B2 (ja)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653537B2 (ja) * 2005-03-29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630802B2 (ja) * 2005-11-18 2011-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4008B2 (ja) * 2005-11-18 2012-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304714B (zh) 2005-11-18 2012-01-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TW200806271A (en) * 2006-04-05 2008-02-01 Uni Charm Corp Absorbent wearing article and flexible structure with multiple tubiform portions
EP2636395A1 (en) * 2007-08-24 2013-09-11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body
US7918837B2 (en) * 2007-10-31 2011-04-05 Mcneil-Ppc, Inc. Body-attachable sanitary napkin
US8480387B2 (en) 2010-08-12 2013-07-0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having a three dimensional profile
US8394316B2 (en)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98915B2 (en)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88329B2 (en) 2010-08-12 2013-03-05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JP4960487B2 (ja) * 2010-10-15 2012-06-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971491B2 (ja) * 2010-10-15 2012-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6126843B2 (ja) * 2012-12-27 2017-05-1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おむつカバー
US9675498B2 (en)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BR112017013213B1 (pt) 2014-12-30 2022-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com camada de folha superior elevada em contato com a pele
KR101804106B1 (ko) 2014-12-30 2017-12-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DE112017000447T5 (de) 2016-02-29 2018-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ptionsartikel mit Flachrückenschutzmerkmal
WO2017151490A1 (en) 2016-02-29 2017-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US10646380B2 (en) * 2016-04-01 2020-05-12 Asalia Vargas Feminine night pad
CN106333794A (zh) * 2016-08-24 2017-01-18 广东茵茵股份有限公司 易弯折一次性吸湿用品
CN110381902A (zh) * 2017-03-31 2019-10-2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CN110494110B (zh) 2017-03-31 2022-07-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WO2018183627A1 (en)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2122A (en) * 1964-01-22 1967-05-30 Emily M Daniel Diaper with pleat for forming a feces bag
US6706029B1 (en) * 1987-09-07 2004-03-1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2892843B2 (ja) * 1990-12-18 1999-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5591150A (en) * 1991-07-23 1997-0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SE509615C2 (sv) * 1992-01-30 1999-02-1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för engångsanvändning uppvisande läckagebarriärer bildade medelst elastiska element
CA2090797A1 (en) * 1992-12-02 1994-06-03 Mary Anne Bruemmer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barrier means
CA2123329C (en) * 1993-12-17 2005-01-11 Mary Eva Garvie Weber Liquid absorbent material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US5669896A (en) * 1994-06-16 1997-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comprising dual containment flaps
USH1614H (en) * 1994-08-19 1996-11-05 Mayer; Katherine L. Body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
US5853403A (en) *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GB2296445B (en) * 1994-12-27 1998-12-30 Kao Corp Sanitary napkin
USH1630H (en) * 1995-03-01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plural upstanding leg cuffs
US5954705A (en) * 1995-06-13 1999-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3091397B2 (ja) * 1995-09-12 2000-09-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9716730T2 (de) * 1996-05-28 2003-03-20 Kao Corp Absorbierender artikel mit bei kontakt mit flüssigkeit schrumpfenden elementen
EP0910321B1 (en) * 1996-06-04 2002-10-02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6191340B1 (en) * 1996-07-01 2001-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decoupled, randomly arranged absorbent structure
JP3442943B2 (ja) * 1996-10-23 2003-09-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843067A (en) * 1996-11-04 1998-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ntainment cuff
TW538745U (en) * 1997-05-29 2003-06-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3449523B2 (ja) * 1997-08-29 2003-09-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316688B1 (en) * 1998-04-27 2001-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JPH11313851A (ja) * 1998-05-01 1999-11-16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GB2341096B (en) * 1998-09-02 2002-11-13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product
JP3294203B2 (ja) * 1998-09-08 200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503233B1 (en) * 1998-10-02 2003-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body fit under dynamic conditions
BR9903096A (pt) * 1999-12-29 2001-09-18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higiênico
US6627786B2 (en) * 2001-11-26 200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wetness sensation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438A (ko) * 2012-02-14 2014-09-2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신규의 레그 개더를 구비한 흡수체 물품
US9539152B2 (en) 2012-02-14 2017-01-10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new leg gath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5930A1 (en) 2006-06-22
SG108833A1 (en) 2005-02-28
ATE290842T1 (de) 2005-04-15
US20020120247A1 (en) 2002-08-29
CN1378828A (zh) 2002-11-13
EP1234562B1 (en) 2005-03-16
DE60203206D1 (de) 2005-04-21
EP1234562A3 (en) 2004-03-24
MY126208A (en) 2006-09-29
TW526751U (en) 2003-04-01
DE60203206T2 (de) 2006-05-18
KR100804561B1 (ko) 2008-02-20
EP1234562A2 (en) 2002-08-28
CN1251656C (zh) 2006-04-19
JP2002320638A (ja) 2002-11-05
JP4017839B2 (ja)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561B1 (ko) 생리용 흡수 제품
JP4754528B2 (ja) 吸収性物品
JP4855533B2 (ja) 吸収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KR100804562B1 (ko) 생리대
JP4789793B2 (ja) 吸収性物品
KR100906706B1 (ko) 생리대
JP4771756B2 (ja) 吸収性物品
KR101013481B1 (ko) 흡수성 물품
KR20100118585A (ko) 흡수성 물품
KR19990083328A (ko) 흡수성물품
WO2020066234A1 (ja) 吸収性物品
KR20160065125A (ko) 흡수성 물품
KR102346040B1 (ko) 흡수성 물품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906705B1 (ko) 생리대
JPH0549660A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7190296A (ja) 吸収性物品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3224044U (ja) 吸収性物品
JP4630802B2 (ja) 吸収性物品
JP2020137731A (ja) 吸収性物品
WO2021020452A1 (ja) 吸収性物品
JP2018079035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