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877A -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877A
KR20020063877A KR1020027004703A KR20027004703A KR20020063877A KR 20020063877 A KR20020063877 A KR 20020063877A KR 1020027004703 A KR1020027004703 A KR 1020027004703A KR 20027004703 A KR20027004703 A KR 20027004703A KR 20020063877 A KR20020063877 A KR 2002006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water
whitening
o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노노리야스
마츠모토미호
Original Assignee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8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8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추출물을 피부개선 성분, 특히 노화방지성분 및/또는 미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상기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함으로써 각 효과가 강화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특히 피부노화 방지제 및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Skin-care agents, skin antiaging agents, whitening agents and external skin preparations}
본 발명은 미용효과, 특히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어 주름과 늘어짐 등이 형성되는 피부의 노화를 예방·개선할 수 있는 피부노화 방지효과 및,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 등을 예방·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면서 안정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와 동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피부개선제, 미백제 및 피부노화 방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한 결과,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가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 특히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어 주름과 늘어짐 등이 형성되는 피부의 노화를 예방·개선할 수 있는 피부노화 방지효과 및,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 등을 예방·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피부개선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추출물을 미백성분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성분(A) 및 (B)에서 선택한 외용제의 하나 또는 둘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A)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
(B) 미백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세포부활제, 자외선 방지제, 혈액순환 촉진제, 보습제
여기에서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은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각 효과를 강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피부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개선제는 원하는 피부 부위에 직접 도포하여도 되고,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사용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를 강화시킨 피부개선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백제는 피부를 미백하는 목적으로 직접 도포하여도 되고,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의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가 강화된 미백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는 원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고, 또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의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를 강화시킨 피부노화 방지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개선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미백제 및/또는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미백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피부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올리브(Olea europaea L.) 식물로부터 얻어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개선 효과, 특히 피부의 주름, 늘어짐을 예방·개선하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그을음을 개선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미백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 올리브 식물로부터 얻어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와 미백제, 피부노화 방지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들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유지(油脂), 특히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는 산화되기 쉬워 품질저하, 영양성·기능성 저하의 큰 원인이 된다.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도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은 필수지방산인 영양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근래 EPA, DHA 등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생리활성에서 주목되고, 이들을 함유하는 많은 음식물 등이 시중에 나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은 산화안정성이 극히 부족하기 때문에 항산화제의 첨가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항산화제가 없는 실정이다.
생물은 산소를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얻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너지 대사(metabolism) 중 산소가 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중간체로 활성산소종(active oxygen species)이 생성된다. 일반적인 활성산소종으로는 대식세포(macrophages)의 자극 등으로 방출되는 초과산화물(superoxide)과 방사선의 노출 등으로 생성되는 히드록시 라디칼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과도한 방사선과 자외선의 조사(照射), 화학물질과 담배의 섭취등의 외적 유인(誘因)과 허혈(虛血) 재환류(re-circulation), 염증, 스트레스 및 노화 등의 내적 요인이 원인이 되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체내에서 과잉으로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일반적으로 화학적 반응성이 높고, 생체내에서 인접한 지질, 핵산 및 단백질 등의 성분과 쉽게 반응하여 여러가지 질병으로 이어져 산화적 장애를 초래한다. 활성산소종의 일종인 초과산화물은 여러가지 질병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동맥 안의 LDL은 초과산화물에 의해 산화되어 포말세포(foam cells)를 형성하여 동맥경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산은 생체에 발암(發癌)등의 심각한 장애를 준다(Halliwell B. and Gutteridge M. C., Biochem. J. 1984, 219: 1-14).
이와 같은 활성산소종의 생체에서의 독성이 밝혀지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소거하는 활성을 가진 활성산소종 소거물질 등의 항산화제가 생체내 또는 식품, 의약품, 농약 등에 함유된 성분을 산화적으로 저하하는 방지제로 유용하고, 식품산업, 특히 수산가공업, 건강식품, 영양식품 이외에 의약품·농약분야 및 화장품 분야에서 실제로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화학합성품으로 이루어진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의 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BHA(butyl hydroxyanisole)와 BHT(butyl hydroxy toluene) 등의 화학합성 항산화제는 그 사용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 다른 항산화제도 식물유 유래의 토코페롤류 등 유용성(비수용성)인 것이 많아, 실제 사용되는데 있어서 제약을 받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가운데 지금까지 여러가지 항산화제가 주로 천연물 유래의 원료로부터 추출되어 그 응용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으로는 효소 단백질인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이하 "SOD"라 한다) 등이,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으로는 만니톨(mannitol), 트립토판 및 포름산 등을 들 수 있다(예들 들면, 오야기 요시히코 "SOD와 활성산소종 조절제-그 약리적 작용과 임상응용" pp. 224∼228, 일본의학관 1989년).
그러나, SOD는 효소 단백질이기 때문에 열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고 또 경구투여하는 경우 투여한 효소의 대부분은 소화·배설되어 버려서 그 실제 효력은 극히 적었다. 또한 히드록시 라디칼을 효율적으로 소거할 수 있는 실용적인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항산화제를 공업적으로 다량으로, 동시에 안정하게 얻는 일은 어려운 것이다. 또 보통 종래의 SOD는 초과산화물에 대해서만 소거효과가 있고, 히드록시 라디칼에 대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동일하게 만니톨은 초과산화물을 소거할 수 없다.
소비자들이 강하게 요구하는 천연물 유래에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원료로는 참깨 탈지 찌꺼기 등에서 얻은 수용성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61-26342호). 또 그 탈지 찌꺼기 추출물에는리그난 배당체(lignan glycosides)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그 리그난 배당체가 강력한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8-208685호). 그러나 이 참깨 종자 등에 함유된 리그난 배당체는 초과산화물에 대한 소거활성이 강하지 않다.
이와 같은 가운데 1종류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활성만이 아니라, 초과산화물과 히드록시 라디칼등, 복수 종류의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강력한 소거활성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의 안정공급이 요구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공업적으로 실용화된 예는 거의 없다. 게다가 두가지 소거활성을 가지는 유효성분의 공급은 거의 없고 따라서 그러한 소거 활성물질의 안정적인 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에 탄력(tenseness)고 윤기(gloss)를 주고, 주름과 늘어짐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른바 피부의 노화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는 여러가지 타입의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가 알콜류(글리세린과 소르비톨 등),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s),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예를 들면 아미노산, 젖산염, 소듐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sodium pyrrolidone carboxylate) 및 우레아(urea)), 세포간지질(스핑고지질(sphingolipids), 인지질, 콜레스테롤), 피지류 이물질(올리브유, 호호바유(jojoba oil), 스쿠알란(squalane)) 등의 보습성분을 배합한 화장료; 또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F(리놀레산) 또는 비타민 H(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의 비타민류, 호르몬류, 식물 추출물(글리시레트산(glycyrrhetic acid), β-카로텐(β-carotene)), 동물 추출물(태반유체(placenta liquid), 로얄제리(royal jelly)) 등의 세포 부활성분을 배합한 화장료가 있다. 또한 피부의 검버섯, 주름을 눈에 띄지않도록 표면처리를 해준 티탄 파우더와 활석 파우더(talc powder)를 배합한 화장료도 여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노화현상의 척도가 되는 피부의 주름과 늘어짐을 형성하는 주요 원인으로 피부의 진피세포(dermal tissues)에서 구성성분의 질적, 양적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진피조직에서는 섬유성 단백질성분으로 콜라겐 섬유와 탄성섬유(엘라스틴), 2종류가 존재하지만, 이것이 여러가지의 외적 또는 내적 요인에 의해 단백질 변성을 일으켜 피부의 탄력성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주름과 늘어짐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는 요인의 하나로 콜라겐 섬유간의 가교결합 (crosslinks)이 있다. 이 가교결합은 유년기 때는 콜라겐 섬유의 강도를 증가시키므로 중요하고, 가교효소에 의해 촉진된다. 그러나 이것이 충분히 성숙한 후에도 생체 내에서 효소의 작용없이 콜라겐 섬유간에 불필요한 가교를 생성한다. 현재 활성산소가 상기 가교생성 단계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히로세 수베루 외, J. Soc. Cosmet. Chem. Japan, 1993, Vol. 26, No. 4, pp. 289-294).
콜라겐은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산출되고 섬유아세포 스스로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이 산출과 분해의 발란스에 의해 콜라겐의 양이 조직내에서 적당히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피부의 일광 노출부 또는 이른바 빛으로 노화된 피부에 있어서는 그 조직내의 콜라겐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카다 등은 활성효소가 섬유아세포에 작용하여 이 콜라겐 생산능력을 저하시키고, 결국 이것은 콜라겐 분해능력을 촉진시키는 것임을 알아내고 활성효소의 영향으로 피부조성 내의 콜라겐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오카다 토미오, 코소-카이회지, 1993, Vol. 17, No. 4, pp. 202-206).
더욱이 상기의 섬유성 성분의 사이는 조직간 기질 또는 무코다당류 (mucopolysaccharides; 주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구성)로 채워져 있는데, 활성산소가 작용하면 무코다당류의 단편화(저분자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졌다(카시무라 나오키, "활성산소", pp. 464-468, 쿄리츄출판, 1990).
또한 활성산소에는 초과산화물(O2 -), 단일항 산소(singlet oxygen;1O2), 히드록시 라디칼(·OH) 및 과산화수소(H2O2)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히드록시 라디칼은 반응성이 높고, 생물장애 작용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나카 등은 콜라겐과 글루코오스가 메일러드(Maillard) 반응을 일으켜 콜라겐이 가교를 생성하는 실험 시스템을 사용하고, 여기에서 여러가지 활성산소의 소거제를 첨가하여 콜라겐 가교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과산화물 및 단일항산소의 소거제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제에서 콜라겐 가교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인지하였다. 또 동시에 여러가지 활성효소를 사용하여 히아루론산의 단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히드록시 라디칼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을 인지하였다(다나카 히로시외, 코소-카이회지, 1993, Vol. 17, No. 4, pp. 207-213).
활성산소가 생체내 성분의 산화와 생체 노화의 원인의 하나로 깊게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 있어서도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활성산소의 영향을 받는다. 피부는 항상 외부와 접하고 있어 항상 강한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부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부는 이 끊임없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하여 각종의 방어기작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질층(horny layer)은 자외선을 반사, 흡수, 산란하는 물리적 광방어를 하고 있고, 또한 표피에서는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소거하기 위하여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로 대표되는 각종의 생체내 항산화물질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초과산화물을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기 생체내 SOD의 작용으로 불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의 상태에 있을 때는 각종의 산화반응의 진행은 미연에 방지되고 있지만, 과도하게 햇볕에 그을리거나 하는 비정상적인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이 방어기작이 파괴되어 피부염과 색소증가, 피부암등의 원인이 되는 외에, 계속적인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노화 등의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활성산소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그것을 제거하는 것이 피부의 주름과 늘어짐의 형성에 의한 피부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제로는 만니톨, 트립토판, 티오우레아 (thiourea), 포름산, 알콜 등만이 알려져 있지만, 또한 미량으로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제는 거의 없고, 이것을 공업적으로 다량으로 안정하게 입수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검은 피부와 검버섯, 주근깨는 일반적으로 햇볕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자극, 호르몬의 비정상화 또는 유전적 요소 등으로 멜라닌세포(melanocyte)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멜라닌세포에서 합성된 멜라닌 색소가 피부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침착(沈着)하여 발생한다. 이와 같이 멜라닌 색소의 비정상적인 침착을 개선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혹은 그 유도체, 히드로퀴논(hydroquinone) 유도체, 글루타치온(glutathione) 및 콜로이달 설퍼(colloidal sulfur) 등의 미백제가 지금까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미백제에서는 미약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만을 가지거나, 산화되기 쉬운 불안정한 점, 더욱이 특유의 악취와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각각 단독으로 화장료에 배합할 경우,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효과가 높고 안전하며 안정하게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그을음을 개선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제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옛날부터 사람들이 많이 먹어온 식물 중 하나인 올리시아(Oleaceae)과 올리브속의 올리브 식물이 있다. 올리브는 오래전부터 재배되어온 식물로, 현재에는 지중해 연안이 대표적인 재배지역이다. 용도로는 특히 올리브유로하여 중요시 되고 있고, 유럽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을 포함하는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올리브유는 여러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고, 옛날부터 경험적으로 약용이나 화장용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또한 올리브 열매는 그대로 식용에도 사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존식으로 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올리브는 안정적으로 입수가 가능하고 또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식물재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올리브유를 착유시킨 부분에 남는 올리브유 찌꺼기는 비료와 연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최근 올리브유와 관련하여 올리브유가 비교적 산화되기 어려운 식물유라는 것이 밝혀졌고, 그 안에 함유된 미량성분인 폴리페놀류가 주목되어 그 생리적 작용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International Olive Oil Council. New Food Industry, 1992, Vol. 34, No. 4, pp. 28-52). 그러나 올리브와 관련하여 올리브유 이외에 대하여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고, 특히 올리브 식물내의 추출성분이 강한 활성산소제거기능 및 탁월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 더욱이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가 우수한 미백효과와 피부노화 방지효과 등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지금까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의, 주로 열매 또는 종자, 나아가 과실의 껍질, 종자의 껍질, 잎, 줄기 및 싹등에서 또는 이들의 건조물, 분쇄물, 탈지시킨 것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그 추출물은 강한 활성산소 제거기능, 특히 초과산화물과 히드록시 라디칼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소거하는 활성산소 제거기능과 비정상적인 멜라닌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 특히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어 주름과 늘어짐 등이 형성되는 피부 노화를 예방·개선할 수 있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 등을 예방·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지지만, 특히 올리브 식물의 열매 및/또는 종자에서 적합하게 얻어질 수 있으며, 또한 탈지시킨 올리브 식물의 열매 및/또는 종자에서 얻어진 추출물은 쓸모없는 유분등을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 올리브 식물에서는 올리브유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되는 생성물인 압착잔사, 추출잔사, 압착유, 추출유, 탈고무유 찌꺼기, 다크 오일(dark oil), 폐탈색제, 탈취 찌꺼기(scum), 착유(搾油) 쥬스, 배수(排水), 폐여과재를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압착잔사와 추출잔사등의 착유 찌꺼기뿐만 아니라 오일 찌꺼기와 보통은 폐기하는 올리브유의 착유공정 중에서 생성되는 배수에서도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올리브의 유용한 활용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그 추출물을 피부개선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고, 특히 미백성분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추출물과 미백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세포부활제, 자외선 방지제, 혈액순환 촉진제, 보습제 중에서 선택한 약효제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에 우수한, 강한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는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게 되고, 특히 우수한 미백효과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에서 그 피부외용제의 보존성이 향상되는 등 산화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우수한 천연성분, 특히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이다. 또한 피부개선 효과로 특히 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로, 자외선 노출로 인한 자극이나 비정상적인 호르몬 분비 또는 유전적 요소 등으로 멜라닌세포가 활성화되어, 멜라닌세포에서 합성되는 멜라닌 색소가 비정상적으로 침착하는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검은 피부와 검버섯, 주근깨, 그을음을 개선 혹은 방지하는 미백효과와, 피부의 주름과 늘어짐 등을 예방·개선하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배합량은 특히 제한받지는 않으나, 그 피부외용제에서 요구하는 각효과의 강도에 따라 적당한 양의 추출물을 배합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리브 식물 등으로부터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가 친수성 유기용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가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종제에서 함유시킨 추출물은 우수한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또한 그 단위원료 각각의 수율도 높다. 이러한 두가지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에서, 단위원료 각각의 수율을 곱한 활성산소 제거기능 수량지수에 대하여, 그 밖의 천연원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값을 가진다. 과초산화물 소거활성에 관해서는 단위원료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수량지수가 100이상, 대략 100∼3250 정도로, 참깨와 비교해 볼 때 1∼650 배로 높은 수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한 항산화효과 및 피부노화 방지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과 비교하여도 동등이상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알부틴을 양성조절(positive control)하였을 때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를 표시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는 조추출물 레벨이 0.5∼5 정도이고, 한편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한 경우에는 10∼50 정도로, 비정상적인 멜라닌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강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알부틴과 비교하여 B-16 멜라노마(melanoma) 세포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피부에의 독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추출물은 피부에 나쁜 영향을 적게 주는 안전한 것이다. 또한 알부틴 등에 비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제보다도 많은 양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로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에 미치는 미백효과는 알부틴등과 비교하여 한층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와 실제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양을 감안한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도 알부틴과 비교한 경우 조추출 레벨에서도 1∼10정도이고,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한 경우에도 10∼50 정도로 실제로 피부에 주어지는 미백효과는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화장료등에 고농도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료 등은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높다.
더욱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처리로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한 가용분(可溶分) 회수처리 및/또는 불용분(不溶分) 회수처리, 물-소수성 유기용매와의 액체-액체 분배처리, 재결정처리, 재침전처리, 냉각에 의해 생성된 분출물을 회수하는 처리 등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분획·정제처리로는 재결정, 재침전, 정상(normal phase) 및/또는 역상(reverse phase)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탈색처리 및 탈취처리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탈색 또는/및 탈취처리된, 미백효과 또는 피부의 노화 방지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이 농축·정제처리 등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의 활성산소 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2차적으로 얻어진 효과인 피부개선 효과, 미백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산화방지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물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농축처리시킨 경우, 조추출물의 몇배에 해당하는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를 가지게 되고,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알부틴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 수치화한 것)를 알부틴과 비교하면 8∼20으로 대단히 우수한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분획·정제처리를 하여 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처리를 할 수 있고, 또 탈색·탈취 등의 처리를 하여 무색, 무취가 되도록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색과 악취에 의한 제한을 받지 않고 폭넓은 분야에서 폭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추출처리와 농축처리 및/또는 정제처리의 조합은 특히 제한받지는 않지만, 올리브 식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한 후, 얻어진 추출액에서 친수성 유기용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수용성층에서 석출한 수불용분(水不溶分)을 회수하여 농축한다. 석출한 수불용분은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으로 회수할 수 있으나, 그 회수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수용액에 물을 첨가·교반하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액의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를 제거한 건조상태의 추출물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물을 첨가·교반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여과 등을 통해 그 수불용분을 회수하여 농축처리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을 정상 및/또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재결정으로 분획·정제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특히 미백제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의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따라 각각의 효과를 강화·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개선제, 미백제 및 피부노화 방지제는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직접 피부에 도포할 수도 있고, 또는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배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피부개선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미백제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외용제는 상기한 피부외용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추출물은 올리브라는 식물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인체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일반적인 식물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료로 사용한 올리브 식물(Olea europaea L.)은 일본산, 유럽산 등의 산지에서, 식용 또는 착유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은 천연식물인 올리브 식물의, 주로 열매 또는 종자에서 얻어질 수 있고, 아울러 그 껍질, 잎, 줄기 및 싹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건조물, 분쇄물, 탈지물에서도 적당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브 식물의 열매와 그 탈지물 등에 물을 첨가하거나 증기로 찌는 등의 가습처리를 행한 경우 상기 올리브 식물의 열매와 그 탈지물 등이 적당히 팽윤하기 때문에 추출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특히 올리브 식물의 탈지물에서는 추출물이 고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탈지물에서는 추출물이 대단히 높은 수율로 얻어지고, 얻어진 추출물에서 유분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탈지시킨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지고, 미백효과 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 올리브 식물 또는 그 탈지물에 함유되는 지질성분을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탄화수소; 초산 에틸 에스테르 등의 저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에틸 에테르등의 공지의 비수용성의 유기용매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추출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처리를 되풀이한 탈지물도 이용할 수 있다.
올리브 식물에서 물 및/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식물에서 물, 수분함유 알콜, 무수알콜,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1종 또는 2종이상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올리브 식물에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유기용매로는 친수성 유기용매, 소수성 유기용매 모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유기용매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1-프로판올 및 1-부탄올 등의 1가 알콜; 2-프로판올, 2-부탄올 등의 2가 알콜; 2-메틸-2-프로판올 등의 3가 알콜;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액상의 다가 알콜;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피리딘,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sulfoxide),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및 아세트산 등의 공지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고, 소수성 유기용매로는 헥산, 시클로헥산, 사염화탄소(carbontetrachloride),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벤젠 및 톨루엔 등 공지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1종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식물조직에의 침투성, 추출효율 면에서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또한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유기용매로 메틸알콜, 에틸알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알콜;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용매 및 그 수분함유 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올리브 식물에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식물을 물, 수분함유 저가 알콜, 무수저가 알콜로 추출한다.
각 기능을 가지는 추출성분의 용해성에 대한 특성을 이용하여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분함유율이 높은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함유율이 높은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또한 소수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좋고, 특정 용매의 조합에 의해 용해성을 향상시킨용매를 사용하여도 좋다.
추출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온도는 5∼95℃, 바람직하게는 5∼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5℃로 하고, 상온에서도 적당히 추출할 수 있다.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압력은 상압, 가압 또는 흡인 등에 의한 감압 등에서 적당히 추출할 수 이다. 또 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흔들어 추출하거나 교반기 등이 갖춰진 추출기로도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다른 추출조건에 의존하지만, 수분에서 수시간으로 장시간에 걸쳐 충분히 추출시키는데, 생산설비, 수율 등의 생산조건에 의해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또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는 원료에 대하여 1∼100 배의 양(질량/질량; 이하동일), 바람직하게는 1∼20 배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 및 그 후의 회수방법을 살펴보면,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또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분함유 저가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는 경우에는 친수성 유기용매가 10∼95 질량%로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20∼95 질량%의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을 30∼95 질량%로 조절한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를 고려하여 넣는 경우,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에서의 추출에 있어서,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10 질량%이상인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40 질량% 이상의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40∼80 질량%로 조제된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얻어진 추출물이 가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강도를 고려하여 넣는 경우, 수분함량 친수성 유기용매에서의 추출에 있어서,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10 질량%이상인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기용매 함량이 10∼95 질량%의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95 질량%로 조제된 수분함유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피부로의 도포를 고려하는 경우 인체에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면, 물, 수분함유 저가 알콜, 무수저가 알콜 등 모두 추출하여도 된다. 또한 물 및/또는 알콜로 추출하는 것도 좋다.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 및 그 후의 회수 면에서는 물 및/또는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또한 수분함유 알콜에서 추출처리하는 경우에는 알콜 함량이 10∼95 질량%인 수분함유 알콜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20∼95 질량%의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히 알콜 함량이 20∼80질량%의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30∼95 질량%로 조제된 수분함유 알콜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알콜이 저가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를 고려하여 넣는 경우, 알콜 함량이 10 질량% 이상인 수분함유 알콜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40 질량%의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40∼80 질량%로 조절된 수분함유 알콜이 좋다. 특히 상기 알콜이 저가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추출물이 가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강도를 고려하여 넣는 경우, 알콜 함량이 10 질량% 이상인 수분함유 알콜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10∼95 질량%의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콜 함량이 30∼95 질량%로 조절된 수분함유 알콜이 좋다. 특히 상기 알콜이 저가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콜은 메틸알콜, 에틸알콜, 1-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1가 알콜; 2-프로판올, 2-부탄올 등의 2가 알콜; 2-메틸-2-프로판올 등의 3가 알콜 및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액상 다가 알콜 등의 공지의 용매를 들 수 있고, 상기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생산비용의 면 및 증류에 의한 용매제거 등의 핸들링 (handling) 면에서 보아도 특히 저가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저가 알콜로는 탄소수가 1∼4인 공지의 알콜, 예를 들면 상기의 1,2,3가 혹은 액상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콜을 1종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올리브유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압착잔사, 추출잔사, 압착유, 추출유, 탈고무유 찌꺼기, 다크오일, 폐탈색제, 탈취 찌꺼기(scum), 착유(搾油) 쥬스, 배수(排水), 폐여과재 등의 생성물도 올리브 식물에 포함되고, 여기에서도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올리브의 유효활용의 면에서도 바람직한 추출물의 제조방법이다.
여기에서 올리브유의 착유공정에서 생기는 배수에서도 본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산소 제거기능과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올리브유를 착유하는데 올리브 열매를 압착하고 유분과 수분을 함유한 쥬스를 얻고, 이 쥬스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올리브유를 얻는데, 이 수용액상 부분 안에 생기는 분출물을 회수하는 것으로 적당히 피부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종양세포 증식억제·사멸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물 및/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한 추출에 의해,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의 수용성 성분은 항산화효과,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강한 반면에 물에 거의 녹지 않는 난수용성(難水溶性) 및/또는 유용성의 추출물에서는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에서 용매, 수분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피부용제에 사용하는 건조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용매, 수분의 제거는 감압증류, 감압·진공건조, 동결건조, 스프레이 드라잉(spray drying)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용매, 수분을 함유한 그대로도 좋고, 또한 용매만 제거한 수용액 상태를 얻을 수도 있다. 더욱이 용매, 수분제거의 정도를 조정하여 추출물의 농도가 조절되고, 결국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강도가 조정되어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수용액을 조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료단위당 활성산소 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등을 가지는 추출물을 다른 천연원료와 비교하여도 높은 수율로, 예를 들면 참깨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1∼10배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및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5이상인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탈지물에서의 추출물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스테롤(sterol) 및 토코페롤 등의 유용성 성분은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유용성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올리브유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압착잔사, 추출잔사, 압착유, 추출유, 탈고무유 찌꺼기, 다크유(dark oil), 폐탈색제, 탈취 찌꺼기(scum), 착유(搾油) 쥬스, 배수(排水) 및 폐여과재 등의 생성물에서도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올리브의 극히 우수한 유효이용방법으로, 생산비용 면에서 볼때도 우수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농축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농축처리에 대한 것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농축처리가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한 가용분 회수처리 및/또는 불용분 회수처리, 물-소수성 유기용매에서의 액체-액체 분배처리, 재결정처리, 재침전처리, 냉각에 의해 생성된 분출물을 회수하는 처리 등에서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이상의 처리에 의해, 적당히 농축처리할 수 있다. 특히 물에서의 용해성을 이용한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시킨 추출물은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물에의 용해성을 이용한 농축방법을 사용하여 물에 쉽게 녹는 성분, 즉 수용성 성분과 물에 용해하기 어려운 및/또는 물에 용해하지 않는 성분, 즉 난수용성 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성 성분의 농축물은 난수용성 성분에 비해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고, 반면에 난수용성 성분의 농축물은 수용성 성분의 농축물에 비해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상기 농축방법 중 하나로 올리브 식물에서 얻은 추출액에서 용매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농축물을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용매만을 제거한 수용액에 있어서 수용성분과 불용성분을 여과처리, 원심분리처리, 상층액분리 (decantation) 처리 등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탈수·건조시켜서 강한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수용성 농축물과,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난수용성 농축물을 별도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번의 농축공정으로 항산화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높은 농축물과 피부 미백효과가 높은 농축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효율면에서도 대단히 우수한 농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 식물에서 추출하여 건조한 추출물에 물을 첨가·교반하여 물에 용해하기 어려운 성분 및/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분, 즉 난수용성 성분과 물에 쉽게 녹는 성분으로 분배하여 대폭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활성산소 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추출물 중에 물에 쉽게 녹는 성분, 즉 수용성 성분과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및/또는 물에 녹지않는 성분, 즉 난수용성 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수용성 성분의 농축물은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높은 반면, 난수용성 성분의 농축물은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매우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올리브 식물에서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농축물은 올리브 식물에서의 추출물 전체와 추출물 내의 난수용성 성분과 비교하여도 항산화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난수용성 성분은 올리브 식물에서의 추출물 전체와 추출물 내의 수용성 농축물과 비교하여도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이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수용성 농축물 또는 난수용성 농축물은 올리브 식물에서 추출물을 물에 첨가·교반한 후 분출한 부분을 여과 등에 의해 채취하여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정하여 얻어진 상기의 수용성 성분의 성분량과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난수용성 성분의 양과 멜라닌생성억제기능의 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용제의 조합에 의해 액체-액체 분배로 농축할 수 있다. 용제의 조합은 절대적으로 규정하기 어렵지만, 예를 들면 물과 소수성 유기용매의 조합을 들 수 있고, 소수성 유기용매로는 헥산,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초산에틸, n-부탄올, 벤젠 및 톨루엔 등의 공지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체-액체 분배에 의하면 수용액상의 물을 제거하여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농축물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용매상의 용매를 제거하여 쉽게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농축처리한 것은 분획 및/또는 정제처리할 수 있다. 이것으로 상기 농축한 것 이상으로 농축할 수 있다.
분획·정제처리하는 것의 이점으로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등의 각 효과를 대단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분획·정제처리한 경우,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불필요한 색을 나타내지 않게 적당히 배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분획·정제처리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받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정상 및/또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재결정, 재침전, 탈색처리 및 탈취처리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적당히 분획·정제처리할 수 있다.
특히 크로마토그래피 중에서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방법은 본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 농축물을 분해하지 않고 높은 수율로 분획·정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는 구체적으로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과 농축물을 분획·정제처리하는 경우에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분리능력, 처리량, 공정수 등을 고려하여 보면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적당하다.
여기에서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실리카겔을 고정상(固定相)으로 하고, 헥산-초산에틸 혼합액,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 등을 이동상(移動相)으로 한 칼럼을 제작하고, 올리브 식물의 추출물 혹은 그 농축물을 부하율(負荷率) 0.1∼5%(wt(질량)/v(부피))로 하여, 단일이동상에 의한 연속적 용출법 혹은 용매극성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적 용출법으로 정해진 분획을 용출시키는 방법이다.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옥타데실 실란(octadecyl silane; ODS)을 고정상으로 물-메탄올 혼합액,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물-아세톤 혼합액 등을 이동상으로 한 칼럼을 제작하고, 올리브 식물의 추출물 혹은 그 농축물을 부하율 0.1∼5%(wt(질량)/v(부피))로 하여, 단일용매에 의한 연속적 용출법 혹은 용매극성을 순차적으로 저하시키는 단계적 용출법으로 정해진 분획을 용출시키는 방법이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는 원리적으로는 상기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동일하고, 보다 신속하면서 높은 분리효능에서의 분획·정제를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키는 것으로 대단히 농축할 수 있고, 동시에 불순물이 제거되는 상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방법을 1종 또는 2종이상 조합시키는 것으로 각 효과를 얻기 위한 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각 효과의 강도, 특성 등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의 농축처리는 원하는 만큼 반복하거나 또는 다른 농축처리를 조합하는 것도 좋다. 유사하게 분획·정제처리도 원하는 만큼 반복하고 다른 분획·정제처리를 조합하는 것도 좋다. 아울러 농축처리를 수행한 후에 분획·정제처리하는 것도 좋고, 분획·정제처리를 수행한 후에 분획·정제처리를 하는 것도 좋고, 농축처리를 한 후에 분획·정제처리를 수행하고 다시 농축처리를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의 조합이외의 방법으로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에서 농축처리한 것, 또 분획 및/또는 정제처리한 것을 탈색 및/또는 탈취처리한 경우, 불필요한 성분이 제거되고 또 무색∼염색 및/또는 무취∼무취에 가까운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색상과 냄새로 인한 사용의 제한을 받지않으므로, 폭넓은 용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탈색방법으로는 활성탄처리와 백토처리 등을 들 수 있고, 탈취방법으로는 동일하게 활성탄처리, 백토처리 외에도, 초임계추출(supercritical extraction)과 수증기 증발(steam distillatio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리브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압착잔사, 추출잔사, 압착유, 추출유, 탈고무유 찌꺼기, 다크 오일(dark oil), 폐탈색제, 탈취 찌꺼기(scum), 착유(搾油) 쥬스, 배수(排水), 폐여과재와 같은 생성물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농축, 분획정제하여 활성산소 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이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정제처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강도의 특성 등을 나타낼 수 있고, 또 적당한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항산화제, 미백제, 항암제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각 효과의 강도 등의 상세한 설계가 가능하며, 또한 다른 기능성 물질과의 상승효과로 인한 대폭적인 기능강화도 기대할 수 있다.
또 각 기능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복수기능을 가지는 것에서 여러가지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으로, 기능의 설계를 할 수 있다.
또한 물에 용해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그 용해특성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에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 사용하는 추출물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성분은 특히 수성 제품에 알맞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에 쉽게 용해하는 성분,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성분,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물서 적당히 용해·분산이 되기 때문에 수성의 제품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식물유 유래의 토코페롤류 등의 일반적인 항산화제는 유용성(비수용성)인 것이 많아 실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제약을 받는 일이 많은 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성분은 수용성(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이기 때문에 응용범위가 대단히 넓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제는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수용성 혹은 에멀젼 타입 음식물 등에 폭넓은 범위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켜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 특히 화장료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수용성의 화장료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용도의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난수용성 성분은 특히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우수한 것이 발견되었다. 난수용성 부분은 경피흡수성이 좋기 때문에 피부에 그 효과를 알맞게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멀젼 타입에서의 사용은, 특히 단순한 추출물 단계에서는 오일에 용해하기 어려운 성분, 오일에 용해되지 않는 성분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유지 등에서 이용하려면 불용분을 제거하는 등 정제를 거친 추출물을 배합한다든가 또는 물 및 유화제를 배합하여 유화물(乳化物)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부가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처리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추출물은 활성산소 제거기능과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활성산소 제거기능으로는 생체내 또는 식품, 의약품, 농약 등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 포착, 소거, 불균등화, 분해하는 등의 기능을 보인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활성산소종 생성의 원인이 되는 금속이온의 킬레이트화 및 불활성화에 의한 활성산소생성 억제, 생성된 활성산소종 소거 또는 분해, 효소 등에 의한 불균등화, 라디칼의 포착 또는 안정화에 의한 라디칼 연쇄반응의 억제 및 차단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활성산소종으로는 주로 초과산화물, 히드록시 라디칼, 퍼히드록시 라디칼(perhydroxy radicals), 과산화수소 및 단일항 산소 등이 있고, 또한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 등의 과산화물 및 그로부터 파생하는 자유 라디칼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활성산소종은 식품과 생체내에서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 등의 여러가지 성분을 강력하게 산화하고, 본래의 성분과는 다른 성분으로 변환 또는 분해해 버린다. 따라서 이 기능은 생체내 또는 피부외용제 등에 함유하는 성분의 산화적 악화의 방어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그 중에서도 특히 높은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및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진다.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으로는 산소분자의 1 전자환원에 의해 생성되는 초과산화물을 불균등화, 불활성화하는 활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생체네에 존재하는 초과산화물은 백혈구와 미토콘드리아등에서 생성되고, 산소를 이용한 생명활동에 있어서 그 생성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초과산화물은 반응성이 비교적 적고, 철과 일산화질소 등으로 한정되어 반응하지만, 과산화수소의 생성원이 되는 등 다른 활성산소종의 생성에 관여하고, 생체성분에 산화적 손상을 유발하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 후 바로 소거되어야 하는 주요 활성산소종이다.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는 초과산화물 소거효과를 가지고, 원핵생물에서도 보유하고 있는 생체내산소이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생체성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생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SOD의 경우 효소 단백질로 안정성이 부족하고 경구투여시 대부분 배설되기 쉬우므로 실제적인 효과가 극히 적다. 그래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섭취 혹은 피부에 도포하여 안정적으로 그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질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생체내 성분을 보호하고, 건강한 몸과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단순한 추출물이면서도, 강한 초과산화물 활성 소거기능을 가지는 성분의 항산화제인 BHA를 웃도는 강력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지니고 있어, 초과산화물 소거제, 지질과산화방지제로 이용하는 외에도 생체내에서 산화방지제(생체내 항산화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은 여러가지 요인으로 생성되는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착, 안정화시키는 활성이다. 예를 들면, 히드록시 라디칼은 산소를 이용한 생명활동에 있어서는 그 생성을 피할 수는 있지만, 여러가지의 활성산소종 가운데 대단히 반응성에 높은 화학종으로, 생체성분을 산화 손상시켜 얻어지는 가장 독성이 강한 활성산소종이다. 상기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경로의 하나로는 생체내에서 존재하는 철 이온이 과산화수소와 초과산화물에 관여하는 펜톤반응 (Fenton's reaction)을 들 수 있는데, 생체내에서는 히드록시 라디칼에 대하여 유효한 제거기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섭취는 필수불가결하다. 이 히드록시 라디칼의 제거제로는 만니톨, 트립토판 및 포름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거제들 중에는 단일구성 기질인데도 불구하고 고농도로 첨가하여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섭취 또는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것으로 상기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효과적으로 생체성분을 보존하는 것으로 건강한 몸과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물 레벨로도 매우 적은 양으로 히드록시 라디칼을 소거(예를 들면, 리놀레산의 과산화(peroxidation)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히드록시 라디칼 제거제와 비교하여도 월등한 효과가 있은 것을 알 수 있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제, 지질과산화 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고, 생체내에서 산화방지제(생체내 항산화제), 지질 등의 산화되기 쉬운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류, 화장료, 의약품 및 사료등의 모든 제품의 보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항산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SOD는 초과산화물에 대해서만 소거효과를 보이고, 히드록시 라디칼에 대해서는 거의 소거활성이 없고, 또한 만니톨은 초과산화물을 소거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두 가지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소거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강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및 강한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이라는 두 가지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폭넓고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효과면에서는 초과산화물 소거활성과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에 해당하는 두 가지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므로 생체내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가지면서, 아울러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에 의해 지질과산화방지 효과에서 피부외용제 이외에, 식품류, 화장료, 의약품 및 사료 등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피부의 노화현상인 주름과 늘어짐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콜라겐섬유의 가교중합 이외에, 콜라겐 생산능력의 저하와 콜라겐 분해능력의 촉진 등에 의한 콜라겐양의 감소, 조직간 기질 또는 무코다당류(주로 히아루론산)의 단편화(저분자화)가 있는데, 여기에 모두 활성산소가 관여하고 있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요인을 일으키는 활성산소종 중에서도 가장 반응성이 높은 것이 히드록시 라디칼이고, 이것이 주름과 늘어짐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또한 초과산화물은 그 자체의 반응성은 비교적 낮지만, 과산화수소의 생성원이 되고, 히드록시 라디칼등 다른 여러가지 활성산소종의 발생요인이 된다. 따라서 그 자체의 반응성은 낮지만, 생체성분 등의 매우 큰 산화손상에 관여하는 중요한 활성산소종이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피부의 노화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인 히드록시 라디칼이라는 아주 강력한 활성산소종을 불활성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활성산소종의 생성원인 초과산화물을 불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효과면에서는 추출물이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의 두가지 활성을 겸비하는 것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발생한 노화의 원인물질을 불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노화 방지에 한층더 기여한다.
다른 천연 항산화물과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비교해보면, 비교적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참깨 찌꺼기 유래의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은 5∼10 유닛/(㎎/㎖)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은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이 20∼65 유닛/(㎎/㎖)으로 참깨 찌꺼기 유래 추출물의 2∼13배로 대단히 높은 효과를 가진다.
여기에서 본 방법은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강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더욱이 그 단위원료의 수율도 높다. 상기 두 추출물에서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에 단위원료의 수율을 곱하여 활성산소 제거기능 수량지수를 구하면(수학식 1), 다른 천연원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이 나왔다. 즉 단위원료에서 얻어진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총량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강한 제품은 물론 다른 천연의 항산화제 등과 교체하는 경우, 단위원료에서 얻어지는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총량이 크게 하므로 보다 많은 제품을 제작할 수가 있고, 다시 말해서 이것은 비용면에서의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단위원료로부터 얻어지는 활성산소 제거기능 수량지수가 높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활성산소 제거기능 수량지수를 참고로하여 알맞은 생산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활성산소 제거기능 수량지수 = 활성산소 제거기능의 강도 ×단위원료의 수율(%)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에 대해 설명하면 단위원료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수량지수(수학식 2)가 대략 100∼3250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단위원료에서 얻어진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수량지수가 100 이상인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참깨와 비교하는 경우,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수량지수가 5∼100 이므로 참깨의 경우보다 1∼650배정도 높은 수치이다. 즉 동일한 단위원료에서 1∼650 배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이 얻어지는 것이다.
초과산화물 제거활성 수량지수 = 초가산화물 소거활성(유닛/(㎎/㎖)) ×단위원료의 수율(%)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강한 메라닌 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으로는 자외선 노출, 호르몬 이상, 유전정보 등의 자극을 받은 멜라닌세포에 의해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과 호르몬 이상 등으로 멜라닌이 자극을 받아 여기서 생합성된 멜라닌 색소가 피부에 침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을 막을 수 있다면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예방·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섭취함으로써 몸의 내면으로,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몸의 외면으로그 효과를 발현시키고 희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지표로 하여 평가한다. 상기 방법으로는 B-16 멜라노마 세포를 사용한 배양실험 시스템에서 그 세포의 백색화 정도(白色化度)(멜라닌생성 억제기능)와 세포독성을 비교평가한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멜라닌 생산능력을 가지는 세포로서, 배양에 의해 자연에서 증식하는 세포가 흑색을 띠게 된다. 상기 증식 시스템에서 멜라닌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존재하면 세포의 흑색화가 억제되어 상대적으로 백색화가 된다. 그래서 검체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흑색화 정도에 대한 검체 첨가시의 백색화 정도를 비교평가한다. 또한 물질에 따라서는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는 것이 있다. 이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세포생존율을 검체을 첨가하지 않은 것과 검체을 첨가한 것으로 비교한다. 이 세포의 백색화 정도와 세포생존율을 합쳐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평가한다.
B-16 멜라노마 세포를 사용한 세포배양 시스템에서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방법의 실례로는 6-공(well) 배양기에 배지를 2㎖/well로 분배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를 정해진 양으로 접종하고 37℃에서 5% 이산화탄소에서 배양한다. 다음날, 원하는 농도가 되도록 검체시료(올리브 각종 추출물) 조제액을 첨가혼합하고 배양을 계속한다. 배양 5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재차 검체시료 조제액을 첨가한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PBS(phosphate buffered physiological saline; 인산완충 생리식염수)에서 세척한 후 세포의 백색화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는 검체시료 조제액 대신에 알부틴(양성조절) 용액 3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 세포의 백색화도 및 검체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대조군)으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얻은 백색화도를 비교하여 평가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물 레벨이면서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미백효과가 강한 미백제인 알부틴과 코지산(kojic acid)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며 아울러 비타민 C-인산 마그네슘을 훨씬 웃도는 매우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알부틴을 양성조절한 것을,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로 표시하면 조추출물은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0.5∼5 정도로, 추출물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대단히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0.5 이상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농축과 분획·정제를 행하면 더욱 향상되고,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도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물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하여 농축한 추출물은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8∼20 정도까지 향상된다.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 A ÷B
A: 양성조절의 농도(알부틴 300ppm)
B: 양성조절(알부틴 300ppm) 첨가시와 동일한 백색화도를 발현하는 검체시료의 농도(ppm)
본 발명의 추출물은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 매우 낮기 때문에 피부에 독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미백제로 넓게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을 양성조절한 것을, 하기 수학식 4로 구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지수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지수가 낮고 알부틴과 비교하여 피부에 대한 독성이 낮다.
세포에 대한 독성지수 = C ÷D
C: B-16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율이 10%이하가 되는 양성조절의 농도(알부틴 500ppm)
D: B-16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율이 10% 이하가 되는 검체시료의 농도
여기에서 세포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구한다.
세포생존율(%) = (E ÷F) ×100
E: 각 검체 첨가시의 생존세포수
F: 검체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세포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미백제로 공지의 알부틴 등에 비해 피부에 대한 독성이 적기 때문에 다량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실제로 피부에 주는 미백효과는 대단히 크고, 상기의 알부틴과 비교하여도 그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화장료 등에 비교적 고농도로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료 등은 피부에 대하여 높은 미백효과를 가지게 된다.
알부틴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및 피부에 대한 독성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양과 그 미백효과의 총량, 즉 실질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주어지는 미백효과의 지표로 하는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를 하기 수학식 6으로 구할 수 있다. 이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는 알부틴을 양성조절한 경우, 1∼10 정도로 매우 높으므로 알부틴에 비해서도 실제로 피부에 주어지는 미백효과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실질 미백효과지수가 1 이상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한층 더 농축·정제를 거치면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도 높아지며, 예를 들어 물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하여 농축시킨 추출물은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8∼20 정도까지 향상된다.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피부에 대한 독성지수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이 강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단위원료당 수율도 높다. 상기 두 가지 사실에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강도에 단위원료당 수율을 곱한 하기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 의해 구해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및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에 대하여 다른 천연원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대단히 높은 수치가 얻어진다. 즉 단위원료당 얻어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총량이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산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강한 제품은 물론 다른 천연의 미백제 등과 교체하는 경우, 단위원료에서 얻어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및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총량이 크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비용면에서의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단위원료당 수율(%)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단위원료당 수율(%)
본 발명의 추출물과 다른 천연 추출물의 각각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및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등을 비교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비교적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강한 참깨 찌꺼기 유래의 수용성 추출물에 비해 피부에 대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는 조추출물에서 2∼15배 정도로 높고, 농축과 분획·정제를 수행하면 10∼50배 정도로 대단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는 2∼15배 정도로, 수율은 1∼10배 정도이고,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는 2∼30배 정도,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는 2∼40배 정도가 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다른 천연의 미백성분과 비교하여도 피부에 대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및 수율 등이 높은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가 대한 높기 때문에 단위원료당 얻어지는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총량(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산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강한 제품은 물론, 다른 천연의 미백제 등과 교체하는 경우, 단위원료에서 얻어지는 미백효과의 총량이 크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비용면에서의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를 지표로 하여, 알맞은 생산조건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활성산소 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활성산소 제거기능으로는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2차적인 효과로 인해 피부의 노화 방지 효과와 미백효과등의 피부개선 효과 및 산화방지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피부외용제는 피부에 대한 우수한 노화 방지 효과 및 강력한 미백효과를 가지며, 매우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이다.
여기에서 피부외용제로는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 의약품, 의약부외품 및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지만, 예로 들어 보면 유액 (milky lotions), 크림, 화장수, 팩 및 세정제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입술 연지(lip colors) 및 파운데이션(foundations)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두피용 화장료및, 연고제, 분산제, 크림제 및 외용액제 등의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이미지가 좋은 올리브 유래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정신적인 상쾌감, 안심감을 주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원료인 올리브는 안정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식물원료이다. 천연 유래인 식품·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올리브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추출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기능을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고, 피부개선 효과, 특히 피부의 노화 방지 효과, 미백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는데, 그 추출물을 농축, 분획·정제처리하여 각 기능을 향상시킨 것과 각 기능의 강도 등을 조절한 효과 전체의 조합을 설계할 수 있다. 추출물의 농축조건 등을 조정하여 요구되는 강도의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인데, 이 추출물의 함량은 목적하는 피부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 등의피부개선 효과, 사용양태, 사용량, 추출물의 농축과 분획·정제정도 등에 의해 다르나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보면 0.0001∼50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30 질량%, 아주 바람직하게는 0.05∼30 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20 질량%가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피부미용 개선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에 대한 노화 방지 성분 및/또는 미백성분을 가지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고 특히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함유되는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할 수 있고, 이러한 처리조건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의 효과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효과를 설계·조정할 수 있다.
피부개선 효과로는 자외선노출, 호르몬 발란스의 변화, 유전적 프로그램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발생하는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를 개선 혹은 방지하는 효과, 피부의 그을음을 경감하는 효과,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가 되게 하고, 또는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 효과, 피부의 윤기·탄력을 주는 효과, 피부를 생기있게 하고, 또는 생기있는 피부를 유지하는 효과, 피부의 노화현상 진행을 억제·방지하는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직접 눈에 보이는 효과는 아니지만 피지성분의 산화 약화 등에 의한 채취 등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고, 이것도 넓은 의미에서의 피부개선 효과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본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산소 억제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에 의해 상기의 모든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개선 혹은 방지하는 미백효과 및 피부의 노화현상 진행을 억제·방지하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면에 있어서 우수하다.
피부노화 방지 효과로는 자외선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광노화, 호르몬 발란스의 변화 및 활성산소상해 등의 나이를 먹으면서 수반하는 피부의 노화를 예방·개선하는 효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름과 늘어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자외선 노출과 생명활동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 피부의 구성성분인 지질, 당질, 단백질 등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할 수 있다면 상기의 주름과 늘어짐, 그리고 피부의 노화를 예방·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및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 등의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활성산소종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주름과 늘어짐 등의 피부 노화를 개선 혹은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진다.
피부노화 방지 효과에 관해서는 실제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크림, 화장수, 유액 등의 여러가지 피부외용제 등을 처방하고, 그 피부외용제를 사용한 여성 패널에 의해 관능평가시험을 하여 평가할 수 있다. 즉 처방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등에 대하여 20대에서 50대의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고, 매일 아침과 밤에 2회씩, 여러 주 동안에 걸쳐 피부에 도포한다. 도포에 의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는피부의 탄력, 윤기를 부여하고 또한 주름과 늘어짐을 개선하는 효과에 있어서, 아주 효과가 있음, 약간의 효과가 있음 및 효과가 없음의 3단계의 관능시험결과를 얻어서 평가할 수 있었다.
이 평가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등은 비교 제품으로 한 참깨 탈지분 추출물을 배합한 경우에 비해서도 동등 이상의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가진다.
미백효과로는 자외선 노출, 호르몬 발란스의 변화, 유전적 프로그램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개선 혹은 방지하는 효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과 호르몬 발란스의 변화 등에 의해 멜라닌 세포가 자극되어, 여기에서 생합성되는 멜라닌 색소가 피부에 침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예방·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개선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진다.
미백효과에 있어서도 실제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크림, 화장수, 유액 등의 여러가지 피부외용제 등을 처방하고, 그 피부외용제를 사용한 여성 패널에 의해 관능평가시험을 하여 평가할 수 있다. 즉, 처방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등에 대하여 20대에서 50대의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 2회씩, 여러주에 걸쳐 피부에 도포한다. 도포에 의한 미백효과는 피부의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에 대해서, 효과가 있음, 약간의 효과가 있음 및 효과가 없음의 3단계로 관능시험한 결과를 얻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피부외용제 등은 비교 제품으로 우수한 미백제인 알부틴, 코지산 등을 배합한 경우와 비교하여도 동등 이상의 미백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외용제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진다.
이 피부외용제에 함유시킨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서는 조추출물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강화하기도 한다. 또한 활성산소 제거기능 및 멜라닌생성 억제기능 중 하나를 강화한 것도 적당하고, 이것을 혼합한 것도 적당하다. 농축처리 등에 의해 얻어진 2차적 효과인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등의 피부개선 효과도 강화되기 때문에 피부외용제에서 요구되는 효과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외용제의 형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에 첨가하는 미백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세포부활제, 혈액순환촉진제 및 보습제 가운데 선택된 약효제의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그외의 약효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과 각 약효제의 상승효과도 기대된다. 구체적인 약효제는 각각 아래엣 기재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경우 약효제의 배합량은 약효제의 종류에 따라 서로다르지만 아래에 표시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과 조합시킨 경우,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보다 높은 미백효과 및 피부개선 효과 등을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이외의 다른 미백제로는 비타민 C, 그 유도체 및 그 염, 알부틴, 글루타치온 및 태반추출물(placenta extracts), 딸기제라늄(strawberry geranium) 추출물, 율무씨(coix seeds) 추출물, 스쿠텔라리아 뿌리(scutellaria roots) 추출물, 해조(marine algae) 추출물 및 밀(wheat)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미백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비타민 C, 그 유도체 및 그 염, 알부틴, 글루타치온 및 태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미백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해서 바람직하게는 0.00001∼1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5%의 범위가 좋다. 본 발명의 미백제와 병용하는 경우, 상기 미백제와 본 발명의 미백제와는 0:100∼95:5(질량비)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반 추출물과 식물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 형태로 상기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범위의 양을 사용하면 우수한 미백 및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고 또한 사용감이 좋은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항산화제로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 카탈라아제(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 peroxidase) 등의 효소류,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dibuthyl hydroxytoluene), 부틸 히드록시아니졸(butyl hydroxyanisole); β-카로텐(β-carotene) 등의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및 그유도체; 몰식자산(gallic acid) 및 엘라지산(ellagic acid) 등의 타닌산류 (tannin); 및 그 유도체; 플라본(flavone), 카테킨(catechin), 퀘세틴(quercetin) 및 류코안토시아니딘(leucoanthocyanidin) 등의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유비퀴논(ubiquinone)과 비타민 K 등의 퀴논류(quinones); 티아민류 및 그 염; 리브플라빈(riboflavin)과 리보플라빈 아세테이트 등의 리보플라빈류; 피리독신 히드록시클로라이드(pyridoxine hydrochloride) 및 피리독신 디옥타노에이트(pyridoxine dioctanoate) 등의 피리독신류; 니코틴산 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및 벤질 니코티네이트(benzyl nicotinate) 등의 니코틴산류, 빌리루빈(bilirubin), 만니톨 (mannitol), 트립토판(tryptophane), 히스티딘(histidine),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틴산(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항산화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퀘세틴 및 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항산화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의 범위가 적당하다. 식물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고형분 형태로 상기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면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의 발현이 보이고, 피부내에서의 과산화 지질의 생성에 의한 피부의 염증, 검은 피부화(黑化), 노화를 방지는 동시에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항염증제로는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 글리시레트산(glycyrrheticacid), 알란토인(allantoin), 아줄렌(azulene), 메페남산(mefenamic acid),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인도메타신(indometacin), 이부프로펜(ibu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ε-아미노카프론산(ε-aminocaproic acid), 하이드로 코르티존 (hydrocortisone), 펜테놀(panthenol) 및 그 유도체 및 그 염, 산화아연(zinc oxide), 디클로페낙 나트륨(diclofenac sodium), 알로에 추출물, 차조기(beefsteak plant) 추출물, 쑥(mugwort) 추출물, 카모마일(camomile) 추출물, 컴프리(comfrey) 추출물, 생귀소바 뿌리(sanguisorba root) 추출물 및 크레송(water-cress)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레트산 및 그 유도체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항염증제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5%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 의 범위가 적당하다. 식물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 고형분의 형태로 상기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사용하면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나고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세포부활제로는 로얄제리, 감광소(photosensitizers),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어린 송아지의 혈액 추출액,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사과산(mal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세린(serine), 글루탐산(glutamicacid),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테아닌(theanine),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pyrrolidone carboxylic acid), 효모 추출물, 젖산균(lactobacillus) 추출물,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bifidum) 추출물 및 발효대사(fermented metabolic)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세포부활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시트르산, 사과산, 젖산, 세린 및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세포부활제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의 범위가 적당하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 고형분의 형태로 상기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사용하면 살이 거칠어지는데 있어서 우수한 개선효과가 발현되고,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자외선 방지제로는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스라니릭산(anthranilic acid) 메틸 에스테르 등의 안스라니릭산계 자외서 흡수제;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메틸 p-메톡시-시나메이트(p-methoxy-cinnamate) 등의 시나민산계 자외선 흡수제,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방지제; 유로카닌산(urocanic acid) 에틸 에스테르 등의 유로카닌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 벤조일 메탄(4-t-buthyl-4'- methoxybenzoyl methane),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2-(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옥시벤젠(oxybenzene), 산화티탄 (titanium oxide), 미립자 산화티탄(fine particulate titanium oxide) 및 산화아연(zinc oxid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방지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메틸 P-메톡시-시나메이트,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있어서, 자외선 방지제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의 범위가 적당하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면 우수한 자외선 방지 효과가 발현되고,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혈액순환 촉진제로는 쓴풀(swertia herb) 엑기스, 세파란틴(cepharanthine),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 노나노익산 바닐릴아미드(nonanoic acid vanillylamide), 캅사이신(capsaicine), 진저론 (zingerone), 칸타리스 팅크(cantharides tincture), 익타몰(ichthammol), 카페인(caffeine), 타닌산(tannic acid), α-보르네올(α-borneol), 시클란델레이트(cyclandelate), 시나리진(cinnarizine), 톨라졸린(tolazoline),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베라파밀(verapamil), γ-오리자놀(γ-oryzanol), 장뇌 (camphor), 히노키티올(hinokitiol); 리파아제(lipases) 및 파파인(papain) 등의 효소류, 고추 추출물, 쓴풀(swertia herb) 추출물, 아르니카(arnica) 추출물, 홍화(safflower) 추출물 및 일본산 안젤리카(angelica) 뿌리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혈액순환 촉진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세파란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γ-오리자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에 있어서, 혈액순환 촉진제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의 범위가 적당한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면 우수한 혈액순환 촉진 효과가 발현되고,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 디글리세린(diglycer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의 다가 알콜류;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케라틴(keratin) 등의 단백질 또는 그 유도체 및 가수분해물 및 그 염; 글리신(glyc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및 아르기닌(arginine) 등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소르비톨(sorbitol), 크실리톨(xyl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트리하로스(trehalose), 이노시톨 (inositol), 글루코오스(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및 그 유도체; 덱스트린(dextrin) 및 그 유도체; 벌꿀 등의 당류; D-판테놀(D-panthenol) 및 그 유도체;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및 그 염; 콘드로이틴(chondroitin) 황산 등의 무코다당류(mucopolusaccharides); 피롤리돈(pyrrolidone) 카르복실산염, 우레아(urea), 인지질(phospholipids), 당지질(glycolipids), 세라마이드(ceramide) 및 젖산 나트륨(sodium lact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보습제 가운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콜라겐, 엘라스틴 및 케라틴 등의 단백질; 히아루론산 및 그 염; 콘드로이드 황산 등의 무코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보습제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총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 범위에서 사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가 발현되고, 또한 우수한 미백, 피부개선 효과를 보이는 피부외용제를 얻게 된다.
상기의 미백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세포부활제, 자외선 방지제, 혈액순환 촉진제 및 보습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보통의 피부외용제로 알려진 여러 가지 형상의 기제와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의 배합형태를 예로 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액, 크림, 화장수, 팩, 세정제, 메이크업 화장료, 분산액, 연고 등의 화장료와 외용의약품 및 의약부외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즉, 물(정제수, 온천수, 지하수등), 유제(medicinal oils), 계면활성제, 금속 비누, 겔화제(gelatinizing agents), 파우더, 알콜류, 수용성 고분자, 피막형성제(film-forming agents), 수지(resins), 포접화합물(clathrate compounds), 항균제, 향료, 소취제(deodorants), 염류(salts), pH 조정제, 청량제(refrigerants), 식물·동물·미생물 유래의 추출물,수렴제(astringents), 지질누출방지제(lipid-leakage blocking agents),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s), 각질용해제(keratin-solubilizing agents), 효소, 호르몬류 및 비타민류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적당한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각각 아래에 기재한 것과 같다. 이때 아래에서 예시하는 "유도체"에는 형성 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유제(medicinal oil)는 기제의 구성성분 또는 사용성, 사용감을 좋게 하는 것으로, 보통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고, 천연 유래이든지, 합성유이든지, 혹은 고체, 반고체, 액체 등의 성상(性狀)에 상관없고, 탄화수소류, 왁스류, 지방산류, 고급 알콜류, 에스테로오일, 실리콘 오일류, 불소원자 함유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쿠알란(squalane) 및 바세린(vaseline) 등의 탄화수소류; 올리브 기름, 피마자 기름(castor oil), 호호바 기름(jojoba oil), 밍크 기름(mink oil), 마카데미아 넛오일(macademia nets oil), 살구 기름(apricot oil), 파시크 기름(persic oil), 홍화 기름(safflower oil), 해바라기 기름, 아보카도 기름(avocado oil), 머두홈 오일(meduhome oil), 동백나무 기름(camellia oil), 아몬드 기름(almond oil), 들기름(perilla oil), 참기름(sesame oil), 지치 기름(borage oil), 카카오 버터(cacao butter) 및 시버터(shea butter) 등의 식물과 동물 유래의 유지(油脂); 및 노란색 비스왁스(bees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및 경랍(spermaceti) 등의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유제 등의 유화(emulsification) 및 가용화(solubilization) 등을 위해 사용되고, 음이온성, 양이온성(cationic), 비이온성(nonionic) 및 양성적인(amphoteric)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비누로는 지방산 등의 알칼리염 이외의 금속염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아르산염 알루미늄, 스테아르산염 마그네슘 및 라우린산아연(zinc laurate) 등을 들 수 있다.
겔화제는 피부외용제의 안정화, 사용성 및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고,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N-lauroyl-L-glutamic acid)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 팔미트산 에스테르(dextrin palmitic acid esters)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기변성점토광물 등을 들 수 있다.
파우더는 주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착색과 피부의 은폐, 또는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하는 등의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며, 그 형상(구상(球狀), 침상(針狀), 판상(板狀) 등)과 입자크기(연무상(煙霧狀), 미립자, 안료급(顔料級) 등), 입자구조(다공질(多孔質), 무공질(無孔質) 등)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무기파우더 (inorganic powders)로는 황산 바륨, 탄산 칼슘, 활석(talc), 운모, 합성운모, 마이카(mica), 고령토(kaolin), 견운모(sericite), 규산(silicic acid), 무수규산,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세라믹 파우더 및 질화붕소(boron nitride)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파우더로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및 라우로일 리신(lauroyl lysine) 등을 들 수 있고, 유색안료로는 산화철, 카본블랙(carbon black), 산화크롬, 감청색(iron blue) 및 군청색 (ultramarine) 등의 무기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lake)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을 들 수 있고, 펄(pearl) 안료로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창연산염화물(bismuth oxychloride), 산화티탄 피복 창연산염화물, 산화티탄 피복 활석, 생선비늘 박편 및 산화티탄 피복 착색운모 등이 있고, 그외의 타르색소, 코치닐(cochineal) 등의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파우더를 복합하거나 유제, 실리콘 또는 불소원자 함유 화합물로 표면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류로는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가 알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피부외용제의 안정화, 사용성 및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고, 또 보습효과를 얻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수용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카라기난(carrageenan), 펙틴(pectin), 한천(agar) 및 로커스트빈 검(locust bean gum)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 검(xanthan gum)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카세인(casein) 및 젤라틴(gelatin) 등의 동물계 고분자; 녹말(starch)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및 결정(crystalline)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카르복시비닐 고분자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헥토라이트 (hectorit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안에는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yrrolidone) 등의 피막형성제도 포함된다.
동물 또는 미생물 유래 추출물로는 어린 송아지 혈액 추출액, 혈청제거 단백질, 비장(脾臟), 닭의 알성분, 알의 외막(chorion) 추출물, 볏(cockscomb) 추출물, 조가비(shell) 추출물, 조개살(shellfish meat) 추출물, 로얄제리, 실크 단백질 및 그 분해물 또는 그 유도체, 헤모글로빈 또는 그 분해물, 락토페린(lactoferrin) 또는 그 분해물, 오징어 등의 연체동물, 생선살 등, 포유류, 조류, 조개류, 곤충류, 어류, 연체동물류 및 갑각류 등의 동물 유래의 추출물, 영지 추출물 등의 미생물 유래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미생물 유래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효과, 세포부활효과, 미백효과, 항염증효과, 피부노화방지 효과, 활성산소 제거효과, 혈액순환 촉진효과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로는 식물의 추출부위와 추출방법 등에서 특별히 제한을 받지않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뿌리, 줄기, 몸통, 나무껍질, 새싹, 잎, 꽃, 열매, 종자 등에서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건조, 잘게 썰기, 압착, 혹은 발효 등 적당하게 처리하여 여러가지 알맞은 용매를 사용하여 저온 또는 실온∼가온 하에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를 예로 들면 물; 메틸알콜 및 에틸알콜 등의 저가 일차알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액상 다가 알콜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헥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등의 친유성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고, 그밖에 스쿠알란 등의 유성성분 등으로 추출하여도 된다. 얻어진 추출액은 여과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흡착, 탈색, 정제하여 용액상, 파스트(paste)상, 겔상, 분말상으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출물의 효과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한번더 탈취, 탈색 등의 정제처리를 할 수도 있다. 식물로는 아스파라거스(asparagus), 장미열매, 나무딸기, 고삼(sophora roots), 계혈등(鷄血藤; Spatholobus suberectus Dunn), 오가피 (acanthopanacis cortex), 커피, 벼, 아시아세럼 뿌리(asiasarum roots), 산사나무 (crataegus), 백합, 작약 초본(herbaceous peony), 차, 일본 너도밤나무(beech), 홉(hops), 일본 왜성모과나무(dwarf quince), 바위취(Saxifraga stronifera Meerburg), 마시멜로(marshmallow), 안젤리카 케이스케이 코이드즈(Angelica keiskei Koidz), 사철쑥(Artemisia capillaries Herba), 쐐기풀(nettle), 황백 (phellodendron bark), 고추나물(Hypericum erectum), 금은화(lonicerae flos), 세이지(Salvia officinalis), 자근자초(lithospermum roots), 백자작나무(white birch), 무환자나무(Sapindus mukurossi Gaertn.), 중국 자운영(milk vetch), 보리, 대추나무, 로즈마리(rosemary), 황련(coptis rhizome), 자몽(grapefruit), 용담(gentian), 금송화(Saponaria officinalis L.), 일본 아이리스, 지황뿌리 (rehmannia roots), 천궁(cnidium rhizome), 라바테라(tree mallow), 조롱나무(witch-hazel; 잎), 머위(coltsfoots), 일본 및 중국 자두 (plum), 보리자나무(Tilia miqueliana), 칠엽수(horse-chestnut) 및 마르멜로 (Cydonia oblongaMill)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효과, 세포부활효과, 미백효과, 항염증효과, 피부노화 방지효과, 활성산소 제거효과, 혈액순환 촉진효과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항균제로는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p-옥시벤조산 에스테르, p-클로로-m-크레졸(p-chloro-m-cresol),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페녹시 에탄올 (phenoxy ethanol) 및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isopropyl methyl phenol)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색소, 증점제, 향료, 미용성분 등을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젖당(lactose), 글루코오스 등의 당류;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실리케이트(silicates; 염) 및 탄산칼슘 등의 부형제; 셀룰로오스, 전분, 젤라틴 및 당류 등의 결합제; 한천 파우더, 젤라틴 파우더, 알긴산 나트륨,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탄산칼슘 등의 붕괴제와 같이 약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체에도 고체에도, 반고체상, 에멀젼, 무스(mousse)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유액, 크림, 화장수, 미용액, 클린징, 팩, 세정제, 파운데이션 등과 그 외의 분산상, 과립상, 연고상 등, 여러가지 제형의 피부외용제로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올리브에서 적당히 얻어진 것으로, 올리브에 함유된 상기 이외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올리브에 함유된 상기 이외의 성분을 예로 들면, 오레아노린산(oleanolic acid) 및 우르솔산(ursolic acid) 등의트리테르펜(triterpenes)류;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캄페스테롤 (campesterol) 등의 스테롤류; 오류로페인(Oleuropein), 베르바스코시드 (Verbascosid), 리그스트로시드(Ligstrosid), 타이로솔(tyrosol), 히드록시 타이로솔(hydroxytyrosol) 및 루틴(rutin) 등의 폴리페놀류 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각각의 성분이 가지는 효과를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올리브 열매에서 추출된 유분을 함유하는 함유추출물(含油抽出物)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함유(含油) 조성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미백효과를 가지는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중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은 올리브유에도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유성성분으로 올리브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더욱 적당한 미백효과 등을 가지는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더욱이 유분을 함유하는 열매에서 추출하는 경우, 유분을 함유하는 함유추출물을 얻을 수 있지만, 유분을 포함한 열매에서 추출된 함유추출물은 피부외용제가 유분을 필요로 하는 것인 경우에 적당히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함유추출물에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올리브 100%의 유화조성물이 얻어지고, 그것을 피부외용제에 배합할 수 있다. 특히 피부외용제는 에멀젼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유화조성물은 적당히 배합 혹은 다른 물질을 배합하기 위한 기제(base)로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조성물은 올리브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연 생성물이고, 합성품과 비교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의 이미지도 좋기 때문에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좋은 인상과 안심감을 주고, 올리브 전체의 유효활용면에서도 매우 적절한 활용방법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상기의 유화제로는 비이온성으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POE) 소르비탄(sorbitan)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 에테르, 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s) 및 POE 경화피마자유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음이온성으로 지방산 비누 및 알킬 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종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미백제, 피부노화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에 대하여 살펴본다. 유효성분이라는 것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그 함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목적으로 하는 피부개선 효과의 정도, 사용양태, 사용량, 추출물의 농축과 분획·정제 정도 등에 의해 다르게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상기에서 서술한 형태의 함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예로 들어보면 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9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99.5 질량%가 적당하다.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이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가 강화된 피부개선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피부개선제는 수용성 성분 및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수성체계와 유성체계에서의 사용함으로써, 불용분을 제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화하는 것으로도 적당히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피부개선제는 인체와 그 외의 식품, 의약품, 비료, 사료 및 피부외용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구 등의 내복용으로도 가능하며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부개선제를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를 아름답게 할 목적으로 직접 도포하여도 되고, 피부외용제 등의 원료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노화 방지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에 대한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및/또는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제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유효성분이라는 것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에서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말하고,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목적으로 하는 피부에 대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의 정도, 사용양태, 사용량, 추출물의 농축과 분획·정제 정도 등에 의해 다르게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형태에서 함량은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지만, 예로 들어보면 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9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99.5 질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95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90 질량%가 적당하다.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이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가 강화된 피부노화 방지제를 얻을 수 있다.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는 수용성이므로 수성체계에서 이용하는 것이 특히 적당하다. 유성체계에서도 에멀젼화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피부노화 방지제는 인체와 그 외의 식품, 의약품, 비료, 사료 및 피부외용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구 등의 내복용으로도 가능하며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를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노화방지 효과를 주는 목적으로 직접 도포하여도 되고, 피부외용제 등의 원료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백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미백효과를 가지는 추출물 및/또는 상기 미백제를 함유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유효성분이라는 것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에서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말하고,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목적으로 하는 미백효과의 정도, 사용양태, 사용량, 추출물의 농축과 분획·정제 정도 등에 의해 다르게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형태에서 함량은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지만, 예로 들어보면 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9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99.5 질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95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90 질량%가 적당하다. 추출물은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을 수 있고, 이 추출물을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하여 효과가 강화된 미백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미백제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난수용성이므로 유성체계에서 이용하는 것이 특히 적당하다. 수성체계에서도 에멀젼화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미백제는 인체와 그 외의 식품, 의약품, 비료, 사료 및 피부외용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구 등의 내복용으로도 가능하며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백제를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를 미백하는 목적으로 직접 도포하여도 되고, 피부외용제 등의 원료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피부개선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제화(製劑化)할 수 있는데,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하는 것이 적당하다. 피부개선제가 가지는 피부의 노화방지효과와 미백효과 등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수용성 성분의 분획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제가 노화방지효과가 강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의 난수용성 성분의 분획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제는 미백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피부개선효과에 따라서 수요성 성분 및/또는 난수용성 성분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도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는데,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된 것이 좋고, 특히 수용성 성분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관하여 수용성 성분의 분획을 함유하는 것이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의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그 수용성 성분을 농축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백제도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지만,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된 것이 좋고, 특히 난수용성 성분을 농축 및/또는 분획·정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관하여 난수용성 성분의 분획을 함유하는 것이 상기 미백제의 미백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그 난수용성 성분을 농축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건조하여 분말의 고체상으로 한 것, 물과 용매에서 희석하여 액상으로 한 것, 그외에 유액상, 겔상으로 한 것, 모두 사용가능한데, 파우더, 캡슐제(경질캡슐제 및 연질캡슐제), 과립제(코팅된 미립자, 환약, 알약, 액상제,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서방화제(徐放化劑) 등)등에 의해 제제화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제제는 공지의 제조학적 제법으로 준비하고, 제제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기제, 운반제, 부형제, 분쇄제, 윤활제 및 착색제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제제에서 사용하는 운반제 및 부형제를 예로 들면, 젖당,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감자녹말, 옥수수녹말,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감초가루(powdered glycyrrhiza) 및 용담가루(powdered gentian) 등이 있다.
상기 제제에서 사용하는 결합제를 예로 들면, 전분, 트래거캔스 고무(tragacanth gum), 젤라틴, 당밀(syrup),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상기 제제에서 사용하는 분쇄제를 예로 들면, 전분, 한천, 젤라틴 가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및 알긴산 나트륨 등이 있다.
상기 제제에서 사용하는 윤활제를 예로 들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활석, 수소첨가식물유 및 매크로골(macrogol) 등이 있다.
상기 제제에서 사용하는 착색제로는 일반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정제(錠劑; 알약), 과립제를 조제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수크로오스,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정제된 셸락(shellac), 젤라틴, 글리세린, 소르비톨,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phthalate) 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메타크릴산 중합체 등으로 피막하여도 되고, 둘 이상의 층으로 피막하여도 된다. 또 에틸 셀룰로오스나 젤라틴과 같은 물질의 캡슐에 넣어도 된다.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의 형태로는 고체, 반고체, 반고체상 또는 액상의 제제를 들 수 있다.
액상 제제를 예로 들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제 혹은 로션제등의 유상액, 외용 팅크제 등이 있다. 이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탄올, 유분,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를 포함한다.
반고체 제제로는 유성연고, 친수성 연고 등의 연고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 바세린(vaseline),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분, 계면활성제 등의 기제 또는 운반제를 포함한다.
반고체 또는 고체 제제로는 경질 플라스터(hard plaster; 고무 플라스터, 플라스터 등), 필름제, 테이프제, 습포제, 팩제, 목욕 의약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연고무 및 부타디엔고무, SBR, SIS 등의 합성고무 등의 고무계 고분자, 젤라틴, 카오린(kaolin) 및 산화아연 등의 이상화제(泥狀化劑),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나트륨 등의 친수성 고분자, 아크릴수지, 유동 파라핀(liquid paraffin) 등의 점착부여제, 물, 그 외의 유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경피흡수 촉진제와 같은 보조제 또는 방향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부개선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개선제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피부개선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피부개선제는 피부외용제에서 목적으로 하는 효과의 정도, 사용양태, 사용량, 피부개선제의 강도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30 질량% 이지만, 여기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추출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함량이 0.0001∼3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10 질량% 인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노화 방지제 및/또는 상기 미백제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및 미백제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피부에 대한 노화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는 각각 피부외용제가 목적으로 하는 효과의 정도, 사용양태, 사용량, 피부노화 방지제 및 미백제의 강도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30 질량% 이지만, 여기에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추출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함량이 0.0001∼3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10 질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백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은 요구하는 미백효과의 강도, 배합하는 대상물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의 화장료 등의 피부외용제에서의 배합량은 원료의 차이와 각각의 수용성 성분의 차이에 의해 일률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렵지만, 예로 들어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경우는 0.05∼3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0 질량% 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 및/또는 미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인체에 안전하고, 보존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및/또는 피부노화 방지제는 화장료,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함유량은 얻고자 하는 피부에 대한 노화 방지효과의 강도, 배합하는 대상물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특별히 아래에 표기한 함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 및/또는 피부에 대한 노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인체에 안전하고, 보존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노화방지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방지 효과와 미백효과에 의한 피부개선 효과, 혹은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어, 주름과 늘어짐의 형성을 방지하는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효과와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그을음 등을 방지하는 우수한 미백효과에 의해 피부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올리브 식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올리브유의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여 보통은 폐기해 버리는 생성물에서도 적절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비용면,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면, 자원활용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9, 비교예 1에 걸쳐서 각종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수율에 대해서는 하기 수학식 9에서 구하였다.
추출물의 수율 = 본 추출물의 질량(주 1)÷추출전 원료의 질량(주 2)
주 1: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킨 후, 질량(g)을 측정
주 2: 본 발명의 추출물을 용제 등으로 추출하기 직전의 열매, 찌꺼기 (seedcake) 및 종자의 질량(g)을 측정
실시예 1
일본산 올리브(Olea europaea L.)의 건조열매(종자 포함) 1㎏을 분쇄하여 3ℓ의 헥산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4번 반복한 탈지 열매에서 종자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재차 5배 부피량의 헥산으로 3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완전히 유분을 제거하여 탈지분 229g을 얻었다. 이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12.7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및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와 세포생존율의 결과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8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79.7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7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97.8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5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11.1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4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12.9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2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10.6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3.5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물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18.2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아세톤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아세톤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51.5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THF 함량이 60질량%인 수분함유 THF를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54.3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AN함량이 60 질량%의 수분함유 AN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49.6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종자를 제거한 올리브의 건조열매 1㎏을 분쇄하고, 그 분쇄한 열매에 2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한 추출물 238.5g을 얻었고, 이 추출물에 헥산 1.5ℓ, 물 1.5ℓ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분액시켜 수용액상을 농축건조하여 분배 추출물 126.4g을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올리브 종자 500g을 분쇄하여 그 분쇄한 종자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42.0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이탈리아산 올리브(Olea europaea L.)를 착유하여 얻어진 압착잔사 1㎏에 3ℓ의 헥산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얻은 탈지잔사(848g)에서 종자 및 상관없는 물질들을 여과 등으로 적당히 제거하고 탈지분 196g을 얻었다. 이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9.2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7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17.4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이탈리아산 올리브(Olea europaea L.)를 착유하여 얻어진 압착잔사 1㎏에 3ℓ의 헥산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얻은 탈지잔사(848g)에서 종자 등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여 분쇄탈지잔사 873g을 얻었다. 이 분쇄탈지잔사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39.5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분쇄탈지잔사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얻어진 여액을에서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고 추출물의 수용액층 부분에 물에 녹지 않는 수불용분 회수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총량이 830g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원심분리 처리하여 침전분을 제거한 후 상층액분리를 통해 회수한 상등액을 건조하여 농축물 22.9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100g에 물 2ℓ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원심분리처리한 후 상등액은 상층액분리를 통해 제거하고 남아 있는 침전물을 건조하여 추출농축물 10.0g을 얻었다.
농축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추출물 100g에 물 2ℓ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원심분리처리한 후 상등액은 상층액분리를 통해 제거하고 남아 있는 침전물을 건조하여 추출농축물 42.0g을 얻었다.
농축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건조 참깨 종자 1㎏을 분쇄하고, 3ℓ의 헥산을 첨가하여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참깨 탈지분 526.4g을 얻었다. 이 참깨 탈지분에 10배 부피량의 에탄올 함량이 60 질량%인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그런다음 모두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추출물 58.2g을 얻었다.
상기 참깨 종자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및 히드록시 라다칼 소거활성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를 표 3에,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에서는 합성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지는 합성의 항산화제인 BHA에 관한 것으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의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에서는 비타민 C-인산 마그네슘, 비교예 4에서는 코지산에 관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세포백색화도와 세포생존율)을 표 3에,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하, 활성산소제거기능,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에 대하여 그 평가방법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활성산소제거기능에 대해서는 초과산화물 소거활성,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에 대한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의 평가방법>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의 평가는 "과산화지질실험법(카네다 요수시 및 우에다 노부오, 이시야쿠출판(주), 1993, pp. 136-15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완충액(pH 10.2) 1.2㎖에 1㎎/㎖의 EDTA 용액 50㎕, 1.5㎎/㎖의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용액 50㎕, 0.6㎎/㎖의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nitroblue tetrazolium; NBT) 용액 50㎕, 0.5㎎/㎖의 크산틴(xanthine) 용액 50㎕, 및 올리브 추출물을 정해진 농도에서 용해시킨 "시료용액" 0.1㎖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여기에 0.1 유닛/㎖ 크산틴 옥시다아제(XOD) 용액 50㎕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1㎎/㎖의 염화구리 용액 50㎕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후 560㎚의 흡광도값(G)을 측정하고, "시료용액" 대신에 같은 양의 "완충액"을 첨가한 물질을 대조용액으로 하여 동일하게 흡광도값(H)을 측정하였다. 또한 염화구리 용액과 "시료용액" 또는 "완충액"의 첨가순서를 거꾸로 한 것을 각각 시약 블랭크로 하여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값을 g와 h로 표기하였다.
한편, 비교용의 항산화제로는 시판하는 항산화제인 부틸 히드록시아니졸 (butyl hydroxyanisole; BHA)을 사용하였다. BHA에 대해서는 상기의 측정방법을 아래에서 기재한 부분을 변경하여 흡광도값(G)을 측정하였다. 즉, 탄산나트륨 완충액(pH 10.2)은 1.25㎖의 첨가량,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해진 농도로 용해한 "BHA 용액"은 50㎕의 첨가량으로 하고, 또 XOD 용액은 0.2 유닛/㎖의 농도로 조제한 것을 사용한다. "BHA 용액" 대신에 같은 양의 "메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용액으로 하여, 흡광도값(H)을 측정하였다. 또한 염화구리 용액과 "BHA 용액" 또는 "메탄올"의 첨가 순서를 거꾸로 한 것을 각각 시약 블랭크로 하여 동일하게 흡광도값을 측정하고 각각의 값을 g와 h로 표기하였다.
그런 다음 아래의 수학식 10에서 초과산화물의 소거활성을 산출하였다. 여기에서 하기 수학식의 I는 측정용액 안의 시료농도를 표시한 것으로, 초과산화물이 소거되는 것으로 흡광도값이 0.1 감소하는 활성을 1 유닛으로 정의하였다. 이 활성값이 높을수록 초과산화물 소거작용이 강한 것으로 표시된다.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유닛/(㎎/㎖)) = {(H-h-(G-g)}/(I×0.1)
원 료 추 출 액 수율(%) 초과산화물소거활성[유닛/(㎎/㎖)] 초과산화물소거활성수량지수
실시예 1 탈지분 ① 60%:수분함유 에탄올 49.2 60 2952
실시예 2 탈지분 ① 80%:수분함유 에탄올 34.8 31.2 1087
실시예 3 탈지분 ① 70%:수분함유 에탄올 42.7 68 2904
실시예 4 탈지분 ① 50%:수분함유 에탄올 48.5 58 2813
실시예 5 탈지분 ① 40%:수분함유 에탄올 49.3 56.3 2775
실시예 6 탈지분 ① 20%:수분함유 에탄올 48.3 33.6 1623
실시예 7 탈지분 ① 100%:무수 에탄올 5.9 25.9 153
실시예 8 탈지분 ① 51.6 24.8 1281
실시예 9 탈지분 ① 60%:수분함유 아세톤 22.5 17.1 385
실시예 10 탈지분 ① 60%:수분함유 THF 23.7 18.9 448
실시예 11 탈지분 ① 60%:수분함유 AN 21.7 14.1 306
실시예 12 종자를 제거한건조열매 60%:수분함유 에탄올 12.6 42.4 534
실시예 13 탈지종자분쇄물 60%:수분함유 에탄올 8.4 25.4 213
실시예 14 탈지분 ② 60%:수분함유 에탄올 9.8 23.4 229
실시예 15 탈지분 ② 70%:수분함유 에탄올 8.9 29.5 263
실시예 16 탈지분 ③ 60%:수분함유 에탄올 4.5 22.8 103
실시예 17 실시예 16의농축물 수용성 부분 회수 2.6 39.5 103
비교예 1 참깨 탈지분 60%:수분함유 에탄올 11.1 7 77
비교예 2 BHA 25 -
추출액의 %는 용제의 함량을 나타내며, 질량%를 의미한다.
탈지분 ① : 일본산 올리브의 건조열매에서 종자를 제거하여 탈지시킨 것
탈지분 ② : 이탈리아산 올리브의 압착잔사에서 종자를 제거하여 탈지시킨 것
탈지분 ③ : 이탈리아산 올리브의 압착잔사를 탈지시킨 것(종자포함)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매우 강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물, 무수 알콜 및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의 추출물인데도 대표적인 합성 항산화물질인 BHA와 비교하여도 동일∼2배 정도의 소거활성을 보인다. 단순한 추출물 단계에서도 매우강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수율이 높기 때문에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수량지수는 더욱 높게 된다. 이 지수에서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조건의 천연원료에서 보다 더 많고 강한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의 평가방법>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반응계는 펜톤반응(Fenton's reaction)으로 히드록시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그 히드록시 라디칼과 지방산과의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말론디알데히드 (malondialdehyde; MDA)를 티오바르비투린산(thiobarbituric acid)과 반응시켜 생성하는 티오바르비투린산-MDA 부가물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정해진 농도로 용해한 측정대상물을 리놀레산 용액(2㎎/㎖)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sodium dodecylsulfate; SDS, 2㎎/㎖)를 포함하는 30mM의 트리스(tris) 염산완충액(pH 7.4) 0.46㎖에 용해하고, 2.5mM 과산화수소 용액 0.02㎖ 및 2.5mM 염화철(Ⅱ) 용액 0.02㎖를 첨가하여 5시간동안 37℃로 가온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농축물 및 정제물을 함유하지 않고 동일하게 반응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가온한 후 10㎎/㎖ 부틸 히드록시톨루엔(butyl hydroxytoluene; BHT) 에탄올 용액 0.01㎖에 용해하였다. TBA 12g 및 SDS 16.2㎎을 증류수 2.3㎖에 용해하고, 거기에 20%(v/v) 염산 완충액(pH 4.0) 1.5㎖ 및 상기 반응액 0.2㎖를 첨가하여 95℃에서 1시간동안 가온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한 후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함유한 반응액의 흡광도를 J, 대조군의 흡광도를 K로 하고, 그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율을 아래의 수학식 11에서 산출하였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율이 높은 것이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작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율(%) = {1-(K-J/K}×100
상기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율(%)이 50%가 되는 측정대상물의 농도를 비교하여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의 강도를 비교한다.
원 료 추 출 액 수율(%) 히드록시 라디칼소거율이 50%가되는 검체농도(㎎/㎖)
실시예 1 탈지분 ① 60%: 수분함유 에탄올 49.2 0.69
비교예 1 고상탈지분 60%: 수분함유 에탄올 11.2 0.65
추출액의 %는 용제의 함량을 표시한 것으로 질량%를 의미한다.
탈지분 ① : 일본산 올리브의 건조열매에서 종자를 제거하고 탈지한 것
상기 표 2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에 있어서도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이 강하여 참깨 종자에서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동등한 정도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참깨 종자에서의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과 본 발명의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소거활성을 비교해 보면 약 8∼9배이다. 이와 같이 본 추출물은 강한 초과산화물 소거활성과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의 두가지 활성산소에 대해 모두 우수한 활성산소 제거기능을 가지는 추출물인 것을 알 수 있다.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방법>
6공 배양기에 배지를 2㎖/well 씩 분배하고, B-16 멜라노마 세포를 정해진 양만큼 각 웰에 접종하여 37℃에서 이산화탄소 농도 5%로 하여 배양하였다. 다음날 정해진 농도가 되도록 검체시료(올리브 각종 추출물) 조제액을 첨가 혼합하여 계속 배양하였다. 배양 5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재차 검체시료 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PBS(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세포의 백색화도로 평가하였다.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의 평가는 검체시료 조제액 대신에 알부틴(양성조절) 300㎍/㎖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조작하여 세포의 백색화도 및 검체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백색화도와 비교하여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세포의 백색화도의 평가기준은 이하에서 표시한 대로이다.
++ : 양성조절보다 세포의 백색화도 등급이 높은 것
+ : 양성조절과 동등한 세포의 백색화도를 보이는 것
± : 양성조절보다 높지 않지만, 대조군보다는 높은 백색화도 등급을 보이는 것
- : 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인 것
세포생존율은 각 첨가농도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를 상기 수학식 3으로 산출하고, 동일하게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를 상기 수학식 6으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를 상기 수학식 7로,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회수지수를 상기 수학식 8로 산출하였다.
농도(ppm)
25 30 50 75 100 150 200 300 400 450 500 600 900 1000 1200
실시예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8 ++21 N.D.
실시예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2 N.D.
실시예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0 N.D.
실시예4 -100 -100 ±100 ±100 ±100 +100 ++100 ++77 ++30 N.D.
실시예5 -100 -100 ±100 ±100 ±100 +100 +64 ++26 N.D.
실시예6 ±100 +100
실시예7 -100 ±100 +100 ++100 ++100 ++100 ++96 ++46 N.D.
실시예1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81 ++38 N.D.
실시예13 -100 -100 ±77 ±67 +60 ++55 ++44 ++21 ++14 N.D.
실시예14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2 ++36 ++N.D.
실시예15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N.D.
실시예16 -100 -100 ±100 +100 ++100 ++ ++100 ++100 ++100 ++100 ++100 ++100 ++35 N.D.
실시예18 ±100 +100 ++100 ++100 ++100 ++100 ++100 ++89 ++22 N.D.
실시예19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5 ++36 N.D.
비교예1 -100 -100 -99 ±100 ±98 +95 ++90 N.D.
비교예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4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5 ++81 ++66 ++23 N.D.
N.D.는 세포생존율이 10% 이하인 것을 나타냄
세포백색도의 기준이 되는 알부틴의 농도는 300ppm 이다.
알부틴이 N.D.가 되면 농도는 500ppm이 된다.
원 료 용제 농축 수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지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억제기능수량지수
실시예1 탈지분① 40% 수분함유에탄올 49.2 1.0 2.4 49.2 118.1
실시예2 탈지분① 20% 수분함유 에탄올 34.8 1.0 2.0 34.8 69.6
실시예3 탈지분① 30% 수분함유 에탄올 42.7 1.0 2.0 42.7 85.4
실시예4 탈지분① 50% 수분함유 에탄올 48.5 0.8 1.8 36.4 87.3
실시예5 탈지분① 60% 수분함유 에탄올 49.3 0.6 1.4 29.6 71.0
실시예6 탈지분① 80% 수분함유 에탄올 48.3 0.5 1.5 24.2 72.5
실시예7 탈지분① 무수 에탄올 5.9 1.2 2.4 7.1 14.2
실시예12 열매(종자제거) 40% 수분함유 에탄올 12.6 1.0 2.4 12.6 30.2
실시예13 종자 35% 수분함유 에탄올 8.4 0.7 1.6 5.6 13.4
실시예14 탈지분② 40% 수분함유 에탄올 9.8 4.0 8.0 39.2 78.4
실시에15 탈지분② 30% 수분함유 에탄올 8.9 4.0 7.2 35.6 64.1
실시예16 탈지분③ 40% 수분함유 에탄올 4.5 4.0 8.0 18.0 36.0
실시예18 탈지분① 40%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성분제거법 4.9 10.0 10.0 49.0 49.0
실시에19 탈지분② 40% 수분함유 에탄올 수용성분제거법 5.0 10.0 10.0 50.0 50.0
비교예1 참깨탈지분 40% 수분함유 에탄올 11.1 0.3 0.7 3.7 7.4
비교예3 비타민C-Mg3(PO4)2 - - 0.5 - - -
비교예4 코지산 - - 1.0 1.2 - -
탈지분 ① : 일본산 올리브의 건조열매에서 종자를 제거하여 탈지시킨 것
탈지분 ② : 이탈리아산 올리브의 압착잔사에서 종자를 제거하여 탈지시킨 것
탈지분 ③ : 이탈리아산 올리브의 압착자사를 탈지시킨 것(종자포함)
상기 표 3 및 표 4의 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원료에서 단순한 추출물의 형태로, 우수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는 미백효과가 강한 미백제로 공지된 알부틴과 코지산과 동등 이상의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고, 더욱이 비타민 C 인산 마그네슘을 훨씬 웃도는 매우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진다. 또한 독성이 적기 때문에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지수도 알부틴 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로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14, 비교예 1을 비교하여 알아본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강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같은 조건의 원료에서 높은 수율로 얻을수 있기 때문에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 실질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수량지수를 다른 천연 원료에 비해 월등히 높게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 18과 실시예 19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농축함으로써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이 월등히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는 물에 대한 용해특성을 이용하여 물에 쉽게 용해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농축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알부틴의 10배정도로 매우 강한 피부에 대한 멜라닌생성 억제기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피부개선효과에 대해서는 실제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크림, 화장수, 유액 등의 여러가지 피부외용제 등을 처방하고, 그것을 여성 패널에게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특히 피부에 대한 노화방지효과 및 미백효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를 아래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0 : 크림
각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하여 표 5에 표시한 조성 및 아래의 제조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여 그 피부노화 방지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성 분(%) 본 발 명 비 교
1 2 3 4 5 6 1 2
(1) 비스왁스 6.0 6.0 6.0 6.0 6.0 6.0 6.0 6.0
(2) 세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3) 환원 라놀린 5.0 5.0 5.0 5.0 5.0 5.0 5.0 5.0
(4) 스쿠알렌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5)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4.0
(6) 친유성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7) POE-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OE.O.) 2.0 2.0 2.0 2.0 2.0 2.0 2.0 2.0
(8) 실시예 1의 추출물 0.25
(9) 실시예 3의 추출물 0.25
(10) 실시예 5의 추출물 0.25
(11) 실시예 13의 추출물 0.25
(12) 실시예 14의 추출물 0.25
(13) 실시예 16의 추출물 0.25
(14) 비교예 1의 추출물 0.25
(15)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16)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피부노화 방지효과 효과있음 11 13 10 9 9 8 4 0
약간효과있음 4 2 5 5 5 6 4 3
효과없음 0 0 0 1 1 1 7 12
(제조방법)
A. 성분 (1)∼(6) 및 (15)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를 유지한다.
B. 성분 (7)∼(14) 및 (17)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를 유지한다.
C. A에 B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D. 냉각하면서 (16)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시험방법)
검사받을 각 크림의 적정량을 20∼54세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에 2번씩, 8주간에 걸쳐 세안후에 얼굴에 도포하였다. 도포하여 피부의 노화 방지효과를 아래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 가 내 용
효과 있음 피부에 탄력, 윤기가 부여되고, 주름과 늘어짐이 개선되었다
약간 효과있음 피부에 탄력, 윤기가 약간 부여되고, 주름과 늘어짐이 다소 개선되었다
효과 없음 사용전과 변화가 없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1∼6의 크림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탄력, 윤기가 부여되고, 주름과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어 아름다운 피부로 만들어 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1∼6의 크림은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효과를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1 : 크림
각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하여 표 6에 표시한 조성 및 아래의 제조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여 그 미백효과를 조사하여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성 분(%) 본 발 명 비 교
1 2 3 4 5 1 2 3 4 5
(1) 비스왁스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2) 세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3) 환원 라놀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4) 스쿠알렌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5)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6) 친유성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7) POE-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2OE.O.)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8) 비타민C인산마그네슘 0.05
(9) 코지산 0.05
(10) 알부틴 0.05
(11) 실시예 1의 추출물 0.05
(12) 실시예 13의 추출물 0.05
(13) 실시예 14의 추출물 0.05
(14) 실시예 16의 추출물 0.05
(15) 실시예 19의 추출물 0.05
(16) 비교예 1의 추출물 0.05
(17)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1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9)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미백효과 효과있음 9 8 12 12 15 5 9 9 4 0
약간효과있음 4 5 3 3 0 7 4 3 6 1
효과없음 2 2 0 0 0 3 2 3 5 14
(제조방법)
A. 성분 (1)∼(6) 및 (17)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다.
B. 성분 (7)∼(16) 및 (19)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다.
C. A에 B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D. 냉각하면서 (16)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시험방법)
검사받을 각 크림의 적정량을 27∼54세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에 2번씩, 12주간에 걸쳐 세안후에 얼굴에 도포하였다. 도포하여 피부의 미백효과를 아래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 가 내 용
효과 있음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이 눈에 띄게 없어졌다
약간 효과있음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이 다소 눈에 띄게 없어졌다
효과 없음 사용전과 변화가 없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1∼5의 크림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그을음" 등의 발생을 방지, 개선할 수 있어 아름다운 피부로 만들어 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배합한 1∼5의 크림은 알부틴, 코지산 및 비타민 C 인산 마그네슘등을 배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2 : 화장수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처 방 (%)
(1) 글리세린 5.0
(2) 1,3-부틸렌 글리콜 6.5
(3) 폴리옥시데닐렌(20E.O.)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1.2
(4) 에탄올 8.0
(5) 실시예 1의 추출물 3.0
(6) 방부제 적량
(7) 향료 적량
(8)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 (3), (4), (6) 및 (7)을 혼합하여 용해한다.
B. 성분 (1), (2), (5) 및 (8)을 혼합하여 용해한다.
C. A와 B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23 : 유액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유액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폴리옥시에틸렌(10 E.O.)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2) 폴리옥시에틸렌(60 E.O.)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이트 0.5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0
(4) 스테아르산 0.5
(5) 베헤닐 알콜(Behenyl Alcohol) 0.5
(6) 스쿠알렌 8.0
(7) 실시예 10의 추출물 0.05
(8) 방부제 0.1
(9)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1
(10) 수산화 나트륨 0.05
(11) 에틸 알콜 5.0
(12) 정제수 잔량
(13) 향료 적량
(제조방법)
A. 성분 (8)∼(12)를 가열혼합하여, 70℃로 유지한다.
B. 성분 (1)∼(6)을 가열혼합하여, 70℃로 유지한다.
C. B에 A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균일하게 유화한다.
D. C를 냉각한 후 (7), (13)을 첨가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24 : 크림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폴리옥시에틸렌(40 E.O.)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0
(2)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자기유화제) 5.0
(3) 스테아르산 5.0
(4) 베헤닐 알콜 0.5
(5) 스쿠알렌 15.0
(6) 세틸 이소옥타노에이트 5.0
(7) 부틸 파라벤(Paraben) 0.1
(8) 메틸 파라벤 0.1
(9) 1,3-부틸렌 글리콜 5.0
(10) 실시예 12의 추출물 0.05
(11) 정제수 잔량
(12) 향료 적량
(제조방법)
A. 성분 (1)∼(7)를 70℃에서 가열용해한다.
B. 성분 (8)∼(11)을 70℃에서 가열한다.
C. A를 B에 첨가하고 냉각하면서 성분(12)를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2의 화장수, 실시예 23의 유액 및 실시예 24의 크림은 모두 경시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부여하며, 주름 및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피부의 "그을음" 등이 발생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검버섯 등이 색소 침착도 개선할 수 있어, 투명감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만들어준다.
실시예 25 : 팩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폴리비닐 알콜 20.0
(2) 에탄올 20.0
(3) 글리세린 5.0
(4) 카올린(Kaolin) 6.0
(5) 실시예 9의 추출물 0.5
(6) 방부제 적량
(7) 향료 적량
(8)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 (1), (3), (4) 및 (8)을 혼합하여, 70℃로 가열하고 교반한다.
B. 성분 (2), (6) 및 (7)을 혼합한다.
C. 상기 B를 먼저 A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냉각하여 (5)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팩을 얻었다.
D. C를 냉각한 후 (7), (13)을 첨가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25의 팩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에 탄력, 윤기가 부여되고, 주름 및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고, 또 동시에 피부결을 정돈하고, 피부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도 개선할 수 있어, 투명감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만들어준다.
실시예 26 : 액상 파운데이션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액상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라놀린 7.0
(2) 액상 파라핀 5.0
(3) 스테아르산 2.0
(4) 세타놀 1.0
(5) 글리세린 5.0
(6) 트리에탄올아민 1.0
(7)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0.7
(8) 정제수 잔량
(9) 운모 15.0
(10) 활석 6.0
(11) 산화티탄 3.0
(12) 착색안료 6.0
(13) 실시예 1의 추출물 0.05
(14) 자외선흡수제 적량
(15) 향료 적량
(제조방법)
A. 성분 (1)∼(4)를 혼합용해한다.
B. A에 성분 (9)∼(12)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C. 성분 (5)∼(8)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70℃로 유지한다.
D. B에 C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유화한다.
E. D를 냉각한 후 (13)∼(15)를 첨가하여 액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26의 액상 파운데이션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으로 인한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또한 피부에 탄력, 윤기를 부여하고, 주름 및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동시에 햇볕 그을림 등으로 인한 검은 피부화와 검버섯을 방지하였다.
실시예 27 :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스테아르산 2.0
(2) 세타놀 1.0
(3)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20 E.O.) 0.5
(4)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2-에틸헥실 p-메톡시 시나메이트 8.0
(6)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12.0
(7) 1,3-부틸렌 글리콜 10.0
(8)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9) 트리에탄올아미드 0.5
(10) 실시예 3의 추출물 0.25
(11) 정제수 잔량
(12) 방부제 적량
(13) 산화티탄 3.0
(14) 향료 적량
(제조방법)
A. 성분 (1)∼(6)을 가열혼합하여 75℃로 유지한다.
B. 성분 (7)∼(12)를 가열혼합하여 75℃로 유지한다.
C. A를 B에 서서히 첨가한다.
D. C를 냉각하면서 (13)∼(14)를 첨가하여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27의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으로 인한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또한 피부에 탄력, 윤기를 부여하고, 주름 및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었다.
실시예 28 :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을 제조하였다.
처 방 (%)
(1) 스테아르산 2.0
(2) 세타놀 1.0
(3)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20 E.O.) 0.5
(4)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2-에틸헥실 p-메톡시 시나메이트 8.0
(6)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12.0
(7) 1,3-부틸렌 글리콜 10.0
(8)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9) 트리에탄올아미드 0.5
(10) 실시예 14의 추출물 0.05
(11) 정제수 잔량
(12) 방부제 적량
(13) 산화티탄 3.0
(14) 향료 적량
(제조방법)
A. 성분 (1)∼(6)을 가열혼합하여 75℃로 유지한다.
B. 성분 (7)∼(12)를 가열혼합하여 75℃로 유지한다.
C. A를 B에 서서히 첨가한다.
D. C를 냉각하면서 (13)∼(14)를 첨가하여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28의 햇볕 그을림 방지용 유액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으로 인한 검은 피부화를 방지하였다.
실시예 29 : 겔연고
아래에 기재한 처방 및 제조방법으로 겔연고를 제조하였다.
처 방 (%)
(1)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1.0
(2) 트리에탄올아민 1.0
(3) 1,3-부틸렌 글리콜 10.0
(4) 실시예 10의 추출물 0.05
(5)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 (1) 및 (3)∼(5)를 혼합용해한다.
B. A에 성분 (2)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연고를 얻었다.
실시예 29의 겔연고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부여하고, 주름 및 늘어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피부결을 정돈하고, 피부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도 개선할 수 있어, 투명감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만들어 주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개선 효과, 특히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부여하고, 주름 및 늘어짐의 형성을 방지하는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효과 및 검은 피부, 검버섯, 주근깨 및 그을음 등을 방지하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정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며 보존안정성에서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와 피부노화 방지제 및 미백제는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강한 피부노화 방지효과 및 미백효과를 부여하며, 또한 피부외용제의 원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 올리브 식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올리브유의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폐기되고 있는 생성물에서도 적당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안정적인 공급면에서, 자원의 유효활용면에서도 바람직하다.

Claims (20)

  1.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미백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세포부활제, 자외선 방지제, 혈액순환 촉진제, 보습제 중에서 선택된 약효제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처리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올리브 식물의 건조열매의 탈지분을 수분함유 알콜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함유 알콜이 알콜함량이 10∼95 질량% 이고, 탄소수가 1∼4개인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7.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로 추출처리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제.
  10.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로 추출처리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13.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올리브 식물 및/또는 올리브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로 추출처리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농축처리 및/또는 분획·정제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방지제.
  16.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방법.
  17.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피부개선제로 사용하는 방법.
  18.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항산화제로 사용하는 방법.
  19.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미백제로 사용하는 방법.
  20. 올리브 식물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피부노화 방지제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27004703A 1999-10-14 2000-10-13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KR20020063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03999 1999-10-14
JPJP-P-1999-00293038 1999-10-14
JPJP-P-1999-00293039 1999-10-14
JP29303899 1999-10-14
PCT/JP2000/007134 WO2001026670A1 (fr) 1999-10-14 2000-10-13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877A true KR20020063877A (ko) 2002-08-05

Family

ID=2655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703A KR20020063877A (ko) 1999-10-14 2000-10-13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82763B2 (ko)
EP (1) EP1230926A4 (ko)
JP (1) JP4025546B2 (ko)
KR (1) KR20020063877A (ko)
CN (1) CN1409637A (ko)
AU (1) AU768306B2 (ko)
CA (1) CA2385139A1 (ko)
WO (1) WO20010266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92A (ko) * 2002-08-29 2004-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782517B1 (ko) 2006-03-22 2007-12-06 (주)아르떼르화장품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121615B1 (ko) * 2009-09-14 2012-02-28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1421049B1 (ko) * 2008-02-29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18401T3 (es) * 2000-03-28 2004-11-16 Birken Gmbh Emulsion que contiene un extracto de plantas que incluye triterpeno,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la emulsion asi como para la obtencion del extracto de plantas.
DE10035190C5 (de) 2000-07-20 2009-07-16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uoreszenzmessung
EP1315691B2 (en) * 2000-09-01 2017-09-13 Creagri, Inc. Method of obtaining a hydroxytyrosol-rich composition from vegetation water
US7713569B2 (en) * 2000-09-01 2010-05-11 Creagri, Inc. Hydroxytyrosol-rich composition from olive vegetation wa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340501A4 (en) * 2000-11-30 2004-09-22 Nisshin Oillio Ltd EMBELLISHING FOODS AND BEVERAGES AND EMBELLISHING PERORAL PREPARATIONS
JP4583655B2 (ja) * 2001-05-08 2010-11-17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抗アレルギー皮膚外用組成物
JPWO2003028475A1 (ja) * 2001-09-28 2005-01-1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五環性トリテルペン類を含有する飼料及び肥料
JPWO2003029391A1 (ja) * 2001-09-28 2005-01-1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オレアノール酸および/またはマスリン酸を含有する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1297821A1 (en) * 2001-10-01 2003-04-02 Hive of Beauty (Europe) BVBA Skin treatment compositions
FR2830195B1 (fr) * 2001-10-03 2004-10-22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et dermopharmaceutiques pour les peaux a tendance acneique
FR2834886B1 (fr) * 2002-01-22 2005-10-14 Silab Sa Procede d'obtention d'un principe actif a partir d'agarum cribosum, notamment pour lutter contre la pigmentation
EP1482909B1 (en) 2002-02-13 2018-07-04 Creagri,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DE10213031A1 (de) * 2002-03-22 2003-10-02 Cognis Deutschland Gmbh Verwendung von Extrakten des Olivenbaumes in Wasch-, Spül- und Reinigungsmitteln
US20040033246A1 (en) * 2002-06-25 2004-02-19 Kose Corporation Cosmetic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and agent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US20040071797A1 (en) * 2002-10-09 2004-04-15 Dennis Donald P. Method and formulation for suppressing mold
CN100463666C (zh) * 2002-11-07 2009-02-25 株式会社高丝 皮肤外用剂组成物
US20060147397A1 (en) * 2002-11-07 2006-07-06 Kose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40195549A1 (en) * 2003-04-04 2004-10-07 Clifford Adams Lipid-soluble formulations containing mixtures of antioxidants
US20050214413A1 (en) * 2003-08-26 2005-09-29 Manna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ied release of nutritional supplements
US7999003B2 (en) * 2003-08-26 2011-08-16 Mannatech, Incorporated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to
JP2005082522A (ja) * 2003-09-08 2005-03-31 Kanebo Cosmetics Inc 美白化粧料
FR2864785B1 (fr) * 2004-01-06 2006-02-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feuille d'olivier et un extrait d'eau de vegetation des olives
KR101072133B1 (ko) * 2004-01-15 2011-10-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효능을 상승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CN102258503B (zh) 2004-01-22 2019-08-16 迈阿密大学 局部辅酶q10制剂及其使用方法
FR2867071B1 (fr) * 2004-03-02 2006-06-09 Occitane 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a base d'olive
JP4526839B2 (ja) * 2004-03-05 2010-08-18 株式会社資生堂 角層中の酸化タンパク質を指標とする角層の透明性・保水性を評価する方法
US20050244354A1 (en) * 2004-04-30 2005-11-03 Sam Speron Oxygenated personal care products
FR2869541B1 (fr) * 2004-04-30 2007-12-28 Expanscience Sa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du d-mannoheptulose et/ou du perseitol dans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liees a une modification de l'immunite innee
US20050276765A1 (en) * 2004-06-10 2005-12-15 Paul Nghiem Preventing skin damage
ITMI20041627A1 (it) * 2004-08-06 2004-11-06 Lachifarma S R L Lab Chimi Co Processo per il recupero di tirosolo idrossitirosolo e altri componenti fenolici da acque di vegetazione e metodo di ossidazione catalitica di tirosolo a idrossitirosolo
JP2008509224A (ja) * 2004-08-09 2008-03-27 クレアグ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炎症状態を治療するためのオリーブ組成物及び方法
KR20060087817A (ko)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태평양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219433A (ja) * 2005-02-10 2006-08-24 Kanebo Cosmetics Inc 紫外線傷害予防剤
US20060182705A1 (en) * 2005-02-11 2006-08-17 Cruse Maria K Composition for reduction and prevention of wrinkles on the skin
US7348034B2 (en) * 2005-03-07 2008-03-2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lant based formulations for improving skin moisture, texture, and appearance
JP2006306791A (ja) * 2005-04-28 2006-11-09 Kanebo Cosmetics Inc 養毛剤
FR2885804A1 (fr) * 2005-05-17 2006-11-24 Engelhard Corp Compositions de soins pour la peau, produits les contenant et procedes les utilisant
US9789149B2 (en) 2005-07-19 2017-10-17 Creagri, Inc. Vegetation water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WO2007012379A2 (de) * 2005-07-27 2007-02-01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3-hydroxycumarin-derivaten
US20070065515A1 (en) * 2005-09-22 2007-03-22 Key Douglas J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lines and wrinkles and improving skin quality
US7575764B2 (en) * 2005-10-01 2009-08-18 Elc Management Llc Compositions comprising hypsizygus ulmarius extract
US7785637B2 (en) * 2006-09-28 2010-08-31 Himalaya Global Holdings Ltd. Herbal composition for maintaining/caring the skin around the eye,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TW200831125A (en) * 2006-12-08 2008-08-01 Pola Chem Ind Inc A discrimination method of skin barrier function, the screening method of skin barrier function reinforced material by using the discrimination method, the skin barrier function reinforced materials, and the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the skin barrier
EP2022471A1 (en) * 2007-08-07 2009-02-1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hair
EP2022469A1 (en) * 2007-08-07 2009-02-1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hair
ES2637516T3 (es) * 2008-01-25 2017-10-13 Bayer Consumer Care Ag Procedimiento de selección de antioxidantes para su uso en composiciones aplicadas tópicamente
US20090246156A1 (en) * 2008-03-31 2009-10-01 Audrey Kunin Anti-acne sunscreen composition
EP2280718B1 (en) * 2008-04-01 2016-07-27 Lucas Meyer Cosmetics Canada Inc. Extracts from plants of the tsuga genus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irritation and/or infection
EP2271325A4 (en) 2008-04-11 2011-11-09 Cytotech Labs Llc METHODS AND USE OF INDUCING APOPTOSIS IN CANCER CELLS
JP2009280550A (ja) * 2008-05-26 2009-12-03 Sanei Gen Ffi Inc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
EP2352489A4 (en) * 2008-11-12 2012-11-28 Univ Rutgers PREPARATION AND USE OF POUTERIA LUCUMA EXTRACT &xA;
WO2010132486A2 (en) 2009-05-11 2010-11-18 Cytotech Labs, Llc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oncological disorders using epimetabolic shifters, multidimensional intracellular molecules, or environmental influencers
US20110160143A1 (en) * 2009-12-28 2011-06-30 Perricone Nicholas V Topical Acyl Glutathione Psoriasis Compositions
US9492416B2 (en) * 2010-06-30 2016-11-15 Nestec S.A. Use of caftaric acid and lactic bacterium in food supplement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JP2012056887A (ja) * 2010-09-09 2012-03-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オリーブ糖脂質を含有する抗炎症剤
CN102125512B (zh) * 2011-02-25 2012-06-27 广州市天吻娇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祛斑功能的组合物
KR101933732B1 (ko) 2011-04-04 2018-12-28 버그 엘엘씨 중추 신경 시스템 종양들의 치료 방법
CN102504823A (zh) * 2011-11-08 2012-06-20 江南大学 一种橄榄酚类天然抗氧化剂的制备方法
WO2013190542A2 (en) * 2012-06-17 2013-12-27 Kamedis Ltd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US9408790B2 (en) * 2012-12-11 2016-08-09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mpositions with near infra-red (NIR) light-emitting material and methods therefor
CN103007174B (zh) * 2012-12-28 2014-07-02 东兴市仁健养生保健有限公司 一种养颜美白丸及其制备方法
FR3001391B1 (fr) * 2013-01-29 2017-07-07 Oreal Utilisation de cellules vegetales d'iridacee elicitees dans le traitement des peaux sensibles
WO2014168993A1 (en) 2013-04-08 2014-10-16 Berg Llc Treatment of cancer using coenzyme q10 combination therapies
EP2813221A1 (en) 2013-06-13 2014-12-17 Natac Biotech, S.L. Combination of pentacyclic triterpenes and hydroxytyrosol and derivatives thereof
ES2825083T3 (es) 2013-09-04 2021-05-14 Berg Llc Métodos de tratamiento contra el cáncer mediante infusión continua de coenzima Q10
RU2554826C1 (ru) * 2014-07-02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Забайк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ЗабГУ") Био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жи
BR102015003242B1 (pt) * 2015-02-12 2020-07-28 E.M.S.S.A composição cosmética e uso da mesma
JP6883569B2 (ja) * 2015-09-11 2021-06-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タンパク質及びポリアルコキシ脂肪族化合物を含む組成物
GB2552926A (en) 2016-06-29 2018-02-21 Oriflame Cosmetics Ag Method
CN105997769A (zh) * 2016-08-02 2016-10-12 青川县青源林农产品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橄榄渣面膜及其制备方法
CN105997770A (zh) * 2016-08-02 2016-10-12 青川县青源林农产品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橄榄保湿水及其制备方法
CN106860032B (zh) * 2016-10-25 2021-04-09 咏达生医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气态皮肤供氧美白产品及其应用
CN107233279A (zh) * 2017-05-31 2017-10-10 广西顺帆投资有限公司 一种利用橄榄油渣制备的润肤霜
BR112020009867A2 (pt) 2018-01-04 2020-11-03 Amryt Research Limited composição formadora de cremosidade
CN107970176B (zh) * 2018-01-22 2021-04-20 吉安智企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提取物及其在制备防晒霜中的应用
JP2021017404A (ja) * 2019-07-18 2021-02-15 東亜化成株式会社 メラニン産生抑制剤、皮膚用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CN115282097A (zh) * 2022-08-19 2022-11-04 澳宝化妆品(惠州)有限公司 一种水青冈树皮提取物及含有其的护肤组合物
CN115501133A (zh) * 2022-09-01 2022-12-23 优得多糖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酸豆籽多糖及其制备方法与在制备具有护肤作用的产品中的应用
CN115531238A (zh) * 2022-11-07 2022-12-30 苏州日月年世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2952A (en) * 1992-06-16 1993-09-07 Dimitrios Tritsarolis Facial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JP3499616B2 (ja) * 1994-10-20 2004-02-2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への応用
ES2173131T3 (es) * 1995-02-02 2002-10-16 Nestle Sa Mezcla de aceites para productos cosmeticos.
JPH0978061A (ja) * 1995-09-18 1997-03-25 ヤヱガキ醗酵技研株式会社 抗酸化剤
EP0811678A1 (fr) * 1996-06-08 1997-12-1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Extraction d'antioxydants
FR2772235B1 (fr) * 1997-12-12 2000-07-21 Fabre Pierre Sante Composition polyphenolique, utile comme complement alimentaire, nutraceutique ou composition cosmetique
IT1298283B1 (it) * 1998-02-19 1999-12-20 B & T S R L Uso dell'estratto delle foglie di olea europea come antiradicalico
JP3993936B2 (ja) * 1998-05-22 2007-10-17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化粧料組成物
JP2000119155A (ja) * 1998-10-14 2000-04-2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0128765A (ja) * 1998-10-20 2000-05-09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
JP2001002550A (ja) * 1999-06-18 2001-01-09 Ichimaru Pharcos Co Ltd オリーブ葉抽出物、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JP4136203B2 (ja) * 1999-07-13 2008-08-20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皮膚外用剤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92A (ko) * 2002-08-29 2004-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782517B1 (ko) 2006-03-22 2007-12-06 (주)아르떼르화장품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421049B1 (ko) * 2008-02-29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1615B1 (ko) * 2009-09-14 2012-02-28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0926A4 (en) 2006-03-15
AU7686600A (en) 2001-04-23
JP4025546B2 (ja) 2007-12-19
US6682763B2 (en) 2004-01-27
US20020176903A1 (en) 2002-11-28
CN1409637A (zh) 2003-04-09
CA2385139A1 (en) 2001-04-19
WO2001026670A1 (fr) 2001-04-19
AU768306B2 (en) 2003-12-04
EP1230926A1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5546B2 (ja) 美肌剤、皮膚の抗老化剤、美白剤および皮膚外用剤
EP1570839B1 (en) 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958968B2 (ja) 皮膚外用剤及び美白剤
WO2002047656A1 (fr) Compositions pouvant retarder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JP4091825B2 (ja) 皮膚外用剤
JP2002205933A (ja) ラン科植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KR20070069204A (ko) 이상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07210915A (ja) 皮膚外用剤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181198A (ja) 美肌剤、皮膚の抗老化剤、美白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02212087A (ja) 皮膚外用剤
JP2003063925A (ja) 皮膚外用剤
JP3754646B2 (ja) 皮膚外用剤
JP2002284663A (ja) 化粧料組成物
JP2002363057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01181197A (ja) オリーブ抽出物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H09175980A (ja) 化粧料
KR100614465B1 (ko) 유근피, 백합, 반하, 백급 및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