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580A -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580A
KR20020061580A KR1020020037923A KR20020037923A KR20020061580A KR 20020061580 A KR20020061580 A KR 20020061580A KR 1020020037923 A KR1020020037923 A KR 1020020037923A KR 20020037923 A KR20020037923 A KR 20020037923A KR 20020061580 A KR20020061580 A KR 20020061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let
heat sink
heat dissipatio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혁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치티 filed Critical (주)디에이치티
Priority to KR102002003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580A/ko
Publication of KR2002006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부인접부에 유입공(101)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연장함몰부(102)와, 상기 연장함몰부(102)와 인접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103)가 등간격으로 연속연장되어 형성된 방열판100)과; 상기 방열판(100)의 유입공(101)이 연통되고, 인접한 제1방열판(102)의 연장함몰부(102)와 제2방열판(203)의 연장돌출부(103)가 상호간에 교차접촉되게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된 방열판군(200)과; 상기 제1방열판(202)과 우측인접한 제2방열판(203)의 유입공(101)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되고, 상기 제1방열판(202)의 좌측인접한 제2방열판(203)과는 외측단부 부분이 용접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방열판이 용접됨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110)와; 상기 방열판군(20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입구(121)가 형성되고, 타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출구(12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유입구(121), 유출구(122)와 연통되며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동로(130); 그리고, 상기 본체(120)의 출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유동로(130)가 형성된 인접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타원형상(oblong type)의 방열판을 이용함에 의해 상당길이(thermal length)가 길어짐과 동시에, 유동로가 형성된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로 열교환 유체가 유동됨에 의해 열교환효율이 증가되고, 고온고압 및 저온저압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가열, 응축, 냉각, 증발에 모두 적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oblong ty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타원형(oblong type)의 방열판을 상호간에 적층함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두개의 유체이동로를 상호간에 인접시켜 따로이 형성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체이동로의 상호인접에 의해 압력이 분산되어 고압에도 유용하에 동작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의 기본은 A유체와 B의 유체가 유동되는 공간에서 상호간의 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을 교환시키는 방법으로 열적 평형을 이루려는 현상으로 인하여, 목적의 유체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가열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장치의 주쟁점은 접촉되는 상호유체간의 열적교환이 빠른시간내에 이루어져야만 하고, 다른 곳에 열이 분산되지 않으면서 상호간에만 열 교환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기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328275호에 열교환기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4변형을 이루는 여러 개의 제1전열판(S1) 및 제2전열판(S2)을 산접기선(L1) 및 골접기선(L2)을 통하여 번갈아 연설하여서 된 절판소재(21)를 이 산ㆍ골접기선(L1, L2)에서 꼬불꼬불 꺾인 형상으로 절곡함에 따라, 축방향으로뻗은 고온유체통로(4) 및 저온유체통로(5)를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하고,
반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여러 개의 산접기선(L1)에 반지름방향 외부케이싱(6) 및 외측도관부재(8o, 10o)를 납땜하여, 반지름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여러 개의 골접기선(L2)에 반지름방향 내부케이싱(7) 및 내측도관부재(8i, 10i)를 납땜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뻗은 고온유체통로(4) 및 저온유체통로(5)의 반지름방향 외주 및 내주를 폐쇄함과 동시에, 고온유체통로(4)에 이어지는 고온유체도입ㆍ배출도관(13, 14) 및 저온유체통로(5)에 이어지는 저온유체도입ㆍ배출도관(17, 18)을 형성하고, 고온유체통로(4)의 축방향 양단의 개구부에 고온유체통로입구(11) 및 고온유체통로출구(12)를 형성한 다음,
저온유체통로(5)의 축방향 양단을 제1, 제2전열판(S1, S2)에 돌출설치한 앞ㆍ뒷부분 볼록부(24F, 24R)끼리를 납땜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고온유체통로출구(12)측의 반지름방향 외부케이싱(6)과 외측도관부재(8o, 10o) 및 반지름방향 내부케이싱(7)과 내측도관부재(8i, 10i)의 한편에 저온유체통로입구(15)를 형성하고, 상기 고온유체통로입구(11)측의 반지름방향 외부케이싱(6)과 외측도관부재(8o, 10o) 및 반지름방향 내부케이싱(7)과 내측도관부재(8i, 10i)의 다른편에 저온유체통로출구(16)를 형성시킨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상기 저온유체통로 및 고온유체통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간격이 다르게 배치 형성된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유체가 일정한 흐름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고온유체통로와 저온유체통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은 차이가 있는 바,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1전열판 및 제2전열판이 왜곡되어 유체의 흐름이 정확하지 못하게 됨에 의해 열교환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세째, 저온유체통로입구 및 저온유체통로출구를 상기 저온유체통로가 형성된 곳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되며, 연소가스통로 입구 및 연소가스통로출구도 각각의 고온유체통로에 따로이 형성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판을 적층하여 형성시킨 열교환기가 존재하나, 상기 원형플레이트 형상의 열교환기는 유체의 배분은 골고루 이루어지지만 큰 온도구배의 열전달은 불가능하며, 열용량은 크지 않으면서 부피가 큰 유체인 가스 등의 열전달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형상으로 형성된 타원형(oblong type)의 방열판을 상호간에 적층함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두개의 유체이동로를 상호간에 인접시켜 따로이 형성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유체이동로의 상호인접 및 방열판의 유체이동로가 상호간에 접촉됨에 의해 압력을 분산시켜 고압에도 유용하에 동작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형성된 두개의 유체이동로는 입구 및 출구가 하나로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됨에 의해 입구 및 출구를 여러개 형성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의 전체측면도.
도2 - 도1의 2-2선 단면도.
도3 - 도2의 3-3선 확대 단면도.
도4 - 도2의 4-4선 확대 단면도.
도5 -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의 사시도.
도6 - 방열판의 적층된 열교환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
도7 - 적층된 방열판의 용접부위를 나타낸 도.
도8 -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
도9 - 열교환장치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열판 101 : 유입공
102 : 연장함몰부 103 : 연장돌출부
110 : 용접부 111 : 내부용접부
112 : 외부용접부 120 : 본체
121 : 유입구 122 : 유출구
123 : 부강부 124 : 입구
125 : 출구 130 : 제1유동로
140 : 제2유동로 200 : 방열판군
201 : 측면방열판 202 : 제1방열판
203 : 제2방열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부인접부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연장함몰부와, 상기 연장함몰부와 인접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가 등간격으로 연속연장되어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유입공이 연통되고, 인접한 제1방열판의 연장함몰부와 제2방열판의 연장돌출부가 상호간에 교차접촉되게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된 방열판군과; 상기 제1방열판과 우측인접한 제2방열판의 유입공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되고, 상기 제1방열판의 좌측인접한 제2방열판과는 외측단부 부분이 용접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방열판이 용접됨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와; 상기 방열판군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출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입구,유출구와 연통되며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동로; 그리고, 상기 본체의 출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유동로가 형성된 인접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타원형상(oblong type)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함몰부 및 연장돌출부는 상기 유입공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로는 외측단부부분이 용접된 제1방열판과 제2방열판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로는 유입공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된 제1방열판과 제2방열판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동로와 제2유동로는 적층된 방열판 사이에 번갈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출입구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대각선으로 반대쪽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유체가 빠져나가는 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는 본체의 외주면에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면접촉되고, 유동로가 형성된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로 열교환 유체가 유동됨에 의해 열교환효율이 증가되고, 고온고압 및 저온저압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가열, 응축, 냉각, 증발에 모두 적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의 사시도이고, 도6은 방열판의 적층된 열교환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7은 적층된 방열판의 용접부위를 나타낸 도이고, 도8은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9는 열교환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장치는 크게 방열판(100)과, 방열판군(200)과, 용접부(110)와, 본체(120)와, 제1유동로(130) 그리고 제2유동로(140)로 구성된다.
먼저 방열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방열판(100)은 대략 타원형상(oblong type)으로 구성되며, 단부인접부분에 유입공(1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101)은 유체가 유입되는 곳과 유출되는 곳으로 통상 2개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00)에는 상기 유입공(101)을 중심으로 소정 경사지게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연장함몰부(102)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동시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연장돌출부(103)가 상기 연장함몰부(102)의 형성에 의해 연장함몰부(102) 사이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100)에 형성된 연장함몰부(102) 및 연장돌출부(103)는 형식상 붙여진 명칭이며 상기 방열판(100)을 뒤집게 되면 연장함몰부(102)가 연장돌출부(103)가 되고 연장돌출부(103)가 연장함몰부가 되는 형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열판(100)인 경우 대략 타원형상(oblong type)으로 되어 있으며, 타원형상의 방열판(100)은, 원판형태의 방열판에 비해 상당길이(thermal length)가 길어짐에 의해 열효율이 증가된다.
한편 상기 방열판(100)의 유입공(101) 인접부 및 단부 인접부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용접부(110)를 형성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방열판(100)이 적층되어 방열판군(200)을 형성하는 바, 방열판군(200)의 형성은 다수개의 방열판(100)을 적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먼저 방열판군(200)의 좌측이나 우측 끝면에 형성된 측면방열판(201)의 유입공(101)에는 후술하는 본체(120)의 유입구(121) 및 유출구(122)가 연결된다. 측면 방열판(201)과 연통되는 본체(120)인 경우 유입구(121)가 하측에 형성되면 유출구(122)는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방열판(201) 사이에는 다수개의 방열판이 적층되게 된다.
즉,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이 교대로 삽입되는 형태로 다수개의 방열판이 적층되게 되며 상기 적층된 방열판의 유입공(101)은 상호간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방열판(202)(203)은 편의상 붙인 명칭이지 방열판의 형상이나 모양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즉, 제1(202),제2(203),제1(202),제2(203),제1(202),제2(203), ......, 순서로 방열판이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인접된 방열판은 상호간에 접촉되는 바, 상기 제1방열판(202)에 돌출된 연장돌출부(103)와, 상기 제2방열판(203)에 연장함몰부(102)의 형성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상호간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돌출부(103)와 연장함몰부(102)의 형성은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해 상호간에 교차되게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판 사이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유동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적층된 방열판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가 유체유동로가 된다.
그런데 상기 유체유동로는 후술하는 제1유동로(130)와, 제2유동로(140)로 구별지어진다.
상기 적층된 방열판은 용접부(11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용접부(110)는 크게 내부 용접부(111)와 외부 용접부(112)로 구분 지어진다.
상기 내부용접부(111)는 인접한 제1, 제2방열판(202)(203)의 유입공(101)측을 용접함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방열판(202)과 우측인접한 제2방열판(203)이 접촉되게 되면, 상기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의 유입공(101)부분은 서로간에 접촉되게 되며 상기 유입공(101)을 상호간에 용접시킴에 의해 내부용접부(11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방열판(202)과 우측인접한 제2방열판(203)의 유입공을 용접하는 형태로 한조의 방열판에 내부용접부(111)를 형성시킨다.
상기 외부용접부(112)는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의 외측단부부분을 상호간에 용접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방열판(202)과 좌측 인접한 제2방열판(203)이 접촉되면 상기 제1방열판(202)과 상기 좌측인접한 제2방열판(203)의 단부부분은 서로간에 접촉되게 되며 상기 단부부분을 용접하는 형태로 한조의 방열판에 외부용접부(112)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용접부(110)의 형성은 제1방열판(202)을 중심으로 우측부분 제2방열판(203)과는 내부용접부(111)가 형성되고, 좌측부분 제2방열판(203)과는 외부용접부(1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방열판군(200)은 제1, 제2, 제1, 제2, 제1,제2,....., 방열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됨과 동시에 내부용접부(111)와 외부용접부(112)가 교대로 형성된다.
용접부(110)가 형성되면, 상기 접촉되는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의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의 유동로는 크게 제1유동로(130)와 제2유동로(140)로 구별되며, 본체(120)가 형성됨에 의해 제2유동로(140)는 상호간에 연통되게 된다.
상기 제1유동로(130)는 상기 외측단부부분이 용접된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로(112)는 유입공(101) 부분이 용접된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동로(111)와 제2유동로(112)는 차례로 적층된 방열판군(200)에 교대로 형성된다.
즉, 제1, 제2, 제1, 제2, 제1, 제2,..... 유동로가 교차로 번갈아 가면서 형성된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방열판군(200)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방열판(201)에는 밀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군(200)의 원주면과는 소정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이 타원형상(oblong type)으로 형성된 바, 방열판군(200)의 외부용접부(112)는 원형의 곡면용접부와 직선용접부로 형성되며, 직선용접부인 경우 유체유동로의 내부압력이 집중되게 되므로 본체(120)에 상기 직선용접부의 압력을 지탱시키는 보강부(123)를 따로이 형성시킨다. 상기 보강부(123)는 방열판의사이드 압력작용 시 방열판이 받는 인장력을 보강하여 방열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압력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방열판(201)의 일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입구(121)가 형성되며, 본체(120)의 타측에는 상기 측면방열판(201)의 타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21)로 유입된 유체는 첫번째에 형성된 제1유동로(130)로 유입되어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유출구(122)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유입구(121)로 유입된 유체 중 일부는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형성된 제1유동로(130)로 유입된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를 유동한 후, 유출구(122)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21)로 유입된 유체는 교대로 형성된 제1유동로(130)를 유동한 후 유출구(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유동로(140)와 연통된 입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124)와 가장 먼 반대쪽에 출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124)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입공(101)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된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로(140)를 따라 방열판 전체를 유동한 후 상기 출구(125)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원주면은 상기 방열판군의 원주면과 소정이격되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본체(120)의 입구(124)로 유입된 유체는 일부는 연통된 제2유동로(140)를 따라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를 유동한 후,출구(125)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부는 원주면을 따라 유동하고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한 후, 다시 원주면을 따라 유동하여 출구(125)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124)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 사이의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됨에 의해 상기 제1유동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와 상호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제1방열판(202) 및 제2방열판(203)으로 구성된 방열판군(200)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의 유입공(101) 부분을 용접시킨 내부용접부(111)를 형성시키고, 인접된 제1방열판(202)과 제2방열판(203)의 외주 단부부분을 용접시킨 외부용접부(112)를 형성시킨 후 유입구(121), 유출구(122), 입구(124), 출구(125)가 형성된 본체(120) 내부에 상기 방열판군(2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군(200)의 외부용접부(112) 중 직선부분은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123)를 따로이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방열판의 유입공(101)은 본체(120)의 유입구(121)와 유출구(122)에만 연통되도록 형성시키며, 상기 본체(120)의 원주면은 상기 방열판군의 원주면과는 소정 이격시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성시킨 다음, 상기 유입구(121)를 통하여 저온유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입구(124)를 통하여 고온 유체를 유입시키면, 상기 저온유체는 상기 제1유동로(130)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상기 고온유체는 상기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하게 되어 상기 제1유동로(130) 및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되는 유동 유체 상호간은 면접촉에 의해 상호간에 열교환된다.
그런 다음, 제1유동로(130)를 따라 유동된 유체는 유출구(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된 유체는 출구(1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1유동로(130)와 제2유동로(14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 상호간에는 면접촉에 의한 열교환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동로(130) 및 제2유동로(140)는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유동로(130) 측의 압력이 높고 제2유동로(140)측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도 상기 방열판의 왜곡현상은 최소화 된다.
더구나, 상기 제1방열판(202), 제2방열판(203)은 서로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연장함몰부(102) 및 연장돌출부(103)가 상호간에 접촉됨에 의해 일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은 접촉부를 통하여 고루 분산되어 압력에 의한 방열판의 훼손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는 콘덴서, 쿨러, 히터, 난방 및 급탕용 열교환기, 증발기 및 컴프레서의 에어쿨러 시스템 등의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방열판을 상호간에 적층함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두개의 유체이동로를 상호간에 인접시켜 따로이 형성하여 접촉되는 유체를 상호간에 면접촉시킴에 의해 열교환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있다.
그리고, 유체이동로의 상호인접 및 방열판의 유체이동로가 상호간에 접촉됨에 의해 압력을 분산시키고 방열판 자체도 상호간에 접촉됨에 의해 고압을 균등분산시켜 고압에도 유용하게 동작된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5)

  1. 단부인접부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연장함몰부와, 상기 연장함몰부와 인접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가 등간격으로 연속연장되어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유입공이 연통되고, 인접한 제1방열판의 연장함몰부와 제2방열판의 연장돌출부가 상호간에 교차접촉되게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된 방열판군과;
    상기 제1방열판과 우측인접한 제2방열판의 유입공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되고, 상기 제1방열판의 좌측인접한 제2방열판과는 외측단부 부분이 용접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방열판이 용접됨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와;
    상기 방열판군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유입공과 연통된 유출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입구, 유출구와 연통되며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동로; 그리고,
    상기 본체의 출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유동로가 형성된 인접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타원형상(oblong type)으로 형성되며, 상기연장함몰부 및 연장돌출부는 상기 유입공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로는 외측단부부분이 용접된 제1방열판과 제2방열판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로는 유입공의 단부가 상호간에 용접된 제1방열판과 제2방열판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동로와 제2유동로는 적층된 방열판 사이에 번갈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출입구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대각선으로 반대쪽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유체가 빠져나가는 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본체의 외주면에 보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롱 타입 열교환장치.
KR1020020037923A 2002-07-02 2002-07-02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KR20020061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23A KR20020061580A (ko) 2002-07-02 2002-07-02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23A KR20020061580A (ko) 2002-07-02 2002-07-02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80A true KR20020061580A (ko) 2002-07-24

Family

ID=2772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23A KR20020061580A (ko) 2002-07-02 2002-07-02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15B1 (ko) * 2006-08-01 2007-11-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편이 채소류의 위해미생물 저감화 및 선도 연장을 위한이온수를 이용한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15B1 (ko) * 2006-08-01 2007-11-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편이 채소류의 위해미생물 저감화 및 선도 연장을 위한이온수를 이용한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568B1 (en) Radial flow heat exchanger
JP5142987B2 (ja) 複数の流体の熱交換器
EP2160560B1 (en) Heat exchanger for a boiler
JP2007178053A (ja) 熱交換器
JP4334965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US9068780B2 (en) Twist vane counter-parallel flow heat exchanger apparatus and method
JP2010121925A (ja) 熱交換器
US20070235174A1 (en) Heat exchanger
JP2003021486A (ja) 熱交換器
JPH10213382A (ja) 複合熱交換器
EP1998131B1 (en) Gas cooler for hot-water supply system
CN110431663B (zh) 热交换器
JP2008106969A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20020061580A (ko) 오브롱 타입 열교환 장치
JP2012021668A (ja) 熱交換器
JP2005274028A (ja) 燃焼装置
JP7339034B2 (ja) プレート積層型熱交換器
KR100389699B1 (ko) 수냉식 열교환기
US10697708B2 (en) Heat exchangers
JPH0449494Y2 (ko)
JP4549228B2 (ja) プレート熱交換器
JP2003314975A (ja) 熱交換器
JP2003314976A (ja) 熱交換器
EP4148366A1 (en) A heat exchanger
JP7018814B2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