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383A -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약제 - Google Patents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383A
KR20020009383A KR1020007010843A KR20007010843A KR20020009383A KR 20020009383 A KR20020009383 A KR 20020009383A KR 1020007010843 A KR1020007010843 A KR 1020007010843A KR 20007010843 A KR20007010843 A KR 20007010843A KR 20020009383 A KR20020009383 A KR 2002000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ophene
dihydro
dioxide benzo
group
phenyl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니시미키오
가츠베노부오
곤노미토시
기시모토다다미츠
Original Assignee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노 도시오
Publication of KR2002000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및/또는 인터류킨-12-생산 억제제에 관한(식 중의 기호는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음).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는 각종 염증성 질환, 패혈증, 다발성 골수종, 형질 세포성 백혈병, 골다공증, 악액질, 건선, 신장염, 신장 세포암, 카포시 육종, 만성 관절 류머티즘, 고감마 글로불린혈증, 캐슬맨병, 심방내 점액종, 당뇨병, 자기 면역 질환, 간염, 다발성 경화증, 대장염, 이식편쌍 숙주병,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제{FUSED THIOPHENE DERIVATIVE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AS THE ACTIVE INGREDIENT}
시토킨은 생체 방어 기구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다하는 다기능성 인자로서, 여러 가지 생명 현상에 깊게 관여하고 있다. 그러나 질환에 있어서도, 그 과잉 생산 혹은 그것에 대한 과잉 반응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예가 많이 존재한다.
IL-6은 T 세포, B 세포, 대식세포, 신메산기움(腎メサンギウム) 세포, 섬유 아세포 등 각종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시토킨으로서, B 세포의 항체 생산 세포로의 분화 유도, T 세포의 활성화, 혈소판 증가 유도, 간세포로부터의 급성기 단백질의 생산 유도 등 다양한 생리 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각종 염증, 자기 면역 및 종양성 질환에 있어서, 이상한 IL-6의 생산이 관찰되고, 이들 질환의 병원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다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또한 IL-6을 강제적으로 발현시킨 모델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 있어서 각종 병태가 재현되고, IL-6 생산 이상과 질환의 관련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Biochem. J.,265, 621(1990),Immunol. Today,11, 443(1990),J. Autoimmun.,5Suppl A, 123(1992),Clin. Immunol. Immunopathol.,62, S60(1992) 참조).
IL-12는 대식세포, 수상세포 등의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시토킨으로서, 내추럴 킬러(이하, NK라 약기함) 세포의 활성화, NK 세포 및 T 세포로부터의 인터페론-γ(이하, IFN-γ라 약기함) 생산 유도, Th1과 Th2의 밸런스 제어 등의 작용이 알려져 있다. 헬퍼 T 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촉진하는 Th1과 액성 면역을 돕는 Th2로 나누어지지만, IL-12는 헬퍼 T 세포 전구 세포로부터의 Th1 유도로 작용한다. 이에 이어 더욱 분화 유도된 Th1 세포의 IFN-γ 생산을 유도하고, 또한 킬러 활성을 항진시킨다고 하는 작용을 통하여 IL-12는 장기 상해로 이어지는 염증성 면역 반응을 야기하는 중심적인 시토킨으로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Blood,84, 4008(1994) 참조).
따라서, IL-6 및/또는 IL-12 생산 억제에 의해 염증성 질환을 대표로 하는 각종 병태에 대한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들 시토킨을 대상으로 하여 그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신규한 질환 치료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화합물의 임상 응용으로서는, IL-6 및/또는 IL-12의 생산 이상, 혹은 이들에 대한 과잉 반응이 병태의 성인 및 증가 악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질환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IL-6 생산 억제제로서는, 예컨대 각종 염증성 질환, 패혈증, 다발성 골수종, 형질 세포성 백혈병, 골다공증, 악액질, 건선, 신장염, 신장 세포암, 카포시 육종, 만성 관절 류머티즘, 고감마 글로불린혈증, 캐슬맨병, 심방내 점액종, 당뇨병, 자기 면역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들을 수 있다(J. Immunol.,145, 4185(1990),J. Exp. Med.,172, 1505(1990),J. Clin. Invest., 87, 739(1991),J. Clin. Invest.,89, 1681(1992),EMBO J.,13, 1189(1994),Hematol. Oncol. Clin. North Am.,11, 159(1997) 참조). 또한 IL-12 생산 억제제로서는, 예컨대 각종 염증성 질환, 당뇨병, 간염, 다발성 경화증, 대장염, 이식편쌍 숙주병, 만성 관절 류머티즘, 감염증, 자기 면역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들 수 있다(J. Exp. Med.,181, 817(1995),J. Exp. Med.,181, 381(1995),J. Exp. Med.,182, 1281(1995),Ann, NY Acad. Sci.,795, 371(1996),Int. Immunol.,8, 569(1996),Proc. Natl. Acad. Sci. USA,92, 4823(1996) 참조).
또한,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의약품의 제조 중간체로서 중요한 화합물이며, 효율이 좋은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예컨대,
(1) 미국 특허 제3,629,438호 및 동 제3,686,216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X로 표시되는 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 유도체가 곰팡이 제거 및 살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XX는 할로겐, 니트로,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카르복시 또는 설포닐할로겐를 나타내고,
YX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며,
ZX는 알킬, 알콕시, 할로겐, 카르복시, 할로알킬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고,
aX는 0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며,
bX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cX는 0 또는 1∼5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는
dX는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2) FR1,585,930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Y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이뇨제의중간체 화합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생물 활성의 기재는 없다.
상기 화학식에서 R1Y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3알킬기를 나타내고, R2Y및 R3Y는 수소 원자 또는 C1∼3알킬기를 나타낸다.
(3) SU591474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Z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항경련 활성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Z, R1Z, R2Z및 R3Z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4) EP50326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U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배뇨 촉진 활성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기의 설명은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였음).
상기 화학식에서 R1U및 R2U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또는 1 또는 2개의 할로겐 원자, 수산기, C1∼6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고, R3U는 수소 원자 또는 ZU를 나타내며, ZU는 C1∼6알킬기 또는 CR4UR5UR6U를 나타내며, R4U및 R5U는 수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고, R6U는 COOH, CH2-OH, C1∼6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XU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6알킬기를 나타내고, nU는 1 또는 2를 나타내며, mU는 0∼2를 나타낸다.
(5) WO9527710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저비중 리포 단백(LDL)의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기의 설명은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였음).
상기 화학식에서 R'V는 t-부틸기를 나타내고, R1V는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며, 점선은 임의의 결합을 나타내고, R2V및 R3V는 수소 원자, 치환되어도 좋은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도 좋은 알케닐기를 나타내며, R4V는 임의의 결합이 존재할 때에는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고, 임의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R3V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며, nV는 0∼2를 나타낸다.
(6)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0-298180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W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도파민 수용체 길항 작용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AZ는 화학식또는(이들 화학식 중, ZW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1W, R2W, R3W및 R4W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등을 나타냄)을 나타내고; EW및 FW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질소 원자 또는 XW혹은 YW로 치환되어도 좋은 CH; XW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6알킬옥시, C3∼8시클로알킬옥시 또는 C3∼8시클로알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3알킬옥시; Y는 화학식(식 중, GW는 -CONH-, -C(O)O-, -NHCO- 또는 -OC(O)-; R5W는 (a)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6알킬, (b) C3∼8시클로알킬, (c) C7∼12스피로알킬, (d) C7∼12비시클로알킬, (e) 아릴, (f) 아랄킬, (g) 헤테로아릴알킬, (h) 페닐기에 의해 치환되어도 좋은 비방향성 복소환기, 혹은 (i) C3∼8시클로알킬 C1∼3알킬을 나타낸다. 그 각각은,
i)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6알킬, ii)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8알킬옥시, iii) C1∼3할로알킬, iv) 할로겐, v) C3∼8시클로알킬, vi) 카르복시, vii) 알킬옥시카르보닐, viii) 아실, ix) 포르밀 또는 x) 니트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도 좋으며; nW는 1∼3의 정수, pW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CH2)nW및 (CH2)pW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C1∼6알킬 또는 C1∼3할로알킬에 의해 치환되어도 좋다.
(7)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0-513470호 명세서에는 하기 화학식 T를갖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 허용 가능한 염 혹은 용매화물이 IL-6의 효과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T및 R3T는 독립적으로 수소, -CH3, -C(O)-(C1∼6알킬) 또는 -C(O)-ArT(ArT은 경우에 따라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임)이며;
R2T는 피롤리디노, 헥사메틸렌이미노 및 피페리디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8)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1-49765호 명세서에서는, 하기 화학식 S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우수한 신경 변성 억제 작용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S및 R2S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혹은 R1S와 R2S는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3 내지 8원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하고, R3S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저급 알킬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 R4S는 (1)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 (2)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를 가지며,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3) 아실, XS및 YS는 각각 산소 원자 또는 산화될 수도 있는 황 원자이며,은 단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고, AS환은 화학식 -XS-R4S(식 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함)로 표시되는 기 이외에 치환기를 더 갖고 있어도 좋은 벤젠환을 나타낸다. 단,가 단결합, 또한 XS및 YS가 산소 원자일 때, R4S는 아실기가 아니다.
(9) 또한, 이하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
화합물 (1):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56),
화합물 (2): 6-니트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65),
화합물 (3):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38),
화합물 (4):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40),
화합물 (5): 4,5-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4-4),
화합물 (6): 4,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5-5),
화합물 (7): 4,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6-6),
화합물 (8): 5,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7-7),
화합물 (9): 5,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8-8),
화합물 (10): 6,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036-09-9),
화합물 (11): 4-카르복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02539-83-3),
화합물 (12): 6-(2,2-비스(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18675-43-7),
화합물 (13): 4-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13687-26-8),
화합물 (14): 5-(2-(N-(5-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N-메틸아미노)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88110-86-3),
화합물 (15): 5-(2-히드록시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88111-49-1),
화합물 (16): 5-브로모-7-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4-5),
화합물 (17): 7-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5-6),
화합물 (18): 5-브로모-6-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6-7),
화합물 (19): 5-브로모-4-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7-8),
화합물 (20): 6-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8-9),
화합물 (21): 4-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19076-29-0),
화합물 (22): 6-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20503-40-6),
화합물 (23): 6-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20503-41-7),
화합물 (24): 6-(4-디에틸아미노페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33431-95-7),
화합물 (25): 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CAS 등록 번호 37049-39-1),
화합물 (26): 1,1-디옥사이드티에노[3,2-b]피리딘(CAS 등록 번호 37049-40-4),
화합물 (27): 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CAS 등록 번호 37049-41-5),
화합물 (28): 5-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51956-01-5),
화합물 (29): 5-(3-메틸-5-옥소-4,5-디히드로피라졸-1-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51956-06-0),
화합물 (30): 4-(2-(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일)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57011-92-4),
화합물 (31): 7-메틸-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CAS 등록 번호 76905-90-3),
화합물 (32):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CAS 등록 번호 825-44-5),
화합물 (33): 4-(4-메톡시페닐)-1,1-디옥사이드티에노[3,2-c]피리딘(CAS 등록 번호 97104-25-1).
(10) 또한,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컨대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참고문헌(日本化學雜誌) 1966, 87(2), 186-189,J. Org. Chem., 1953, Vol. 18, 1511 및J. Org. Chem.1973, Vol. 38, 146]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2에서 Me는 메틸기, Ac는 아세틸기, NBS는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나타낸다.
반응식 2로 표시되는 방법은 전체 공정수가 5 또는 6개의 공정이고, 또한, 화학식 XI-A-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의 산화 반응에서는, 고가의 산화은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6-49058호 명세서에서는 이하의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3에서,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방법은 전체 공정수가 5개의 공정이고, 또한, 전체 수율이 2∼3% 정도이다.
또한, 참고 문헌[Tetrahedron Letters,1996, Vol. 37, No. 19, 3243 및 Tetrahedron Letters 1990, Vol. 31, No. 28, 4011]에는 케톤을 니트릴로 변환시킨 후, 탈수소시켜 방향환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이 개시되어 있다(반응식 4).
또한, 상기 반응식 4에서, TMS는 트리메틸실릴기를 나타내고, DDQ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을 나타낸다.
이 반응은 화학식 XI-C-1로 표시되는 환형 케톤을 시아노히드린으로 변환시킨 후, 탈수시켜 화학식 XI-C-2로 표시되는 니트릴로 하고, 계속해서 산화제로 탈수소시켜 화학식 XI-C-2로 표시되는 방향족 니트릴을 얻는 반응이다.
본 발명은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축합 티오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이하, IL-6이라 약기함) 및/또는 인터류킨-12(이하, IL-12라 약기함) 생산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결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들의 비독성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IL-6 및/또는 IL-12 생산 억제제 및 상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신규의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비독성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간체인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IL-6 및/또는 IL-12 생산 억제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헤테로환 화합물은 지금까지 IL-6 및/또는 IL-12 생산 억제제로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는 화합물이다. 또한,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는 신규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신규 제조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내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종래법에서는 5∼6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개 공정으로 공정수가 단축되어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대량 합성에 있어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도 확인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및/또는 인터류킨-12 생산 억제제,
화학식 I
상기 화학식에서,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는
또는
(ii)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단,가 이중 결합을 나타낼 때, Y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가 단일 결합을 나타낼 때, Y는를 나타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며, q는 0 또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C1∼8알킬렌기, C2∼8알케닐렌기 또는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며,
(i) 벤젠환 또는
(ii)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환 헤테로환 아릴을 나타내고,
(i) C3∼15의 단환, 이환, 삼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환, 이환 또는 삼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p개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니트로기,
(v) 시아노기,
(vi) 할로겐 원자,
(vii) Cyc1기,
(viii) 할로겐 원자 또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ix) -A1-A2-A3을 나타내고,
A1
(i) 단결합,
(ii) C1∼8알킬렌기,
(iii) C2∼8알케닐렌기 또는
(iv)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고,
A2
(i) -O-기,
(ii) -NR3-기,
(iii) -C(O)-기,
(iv) -CH(OH)-기,
(v) -C(O)NR4-기,
(vi) -NR5C(O)-기,
(vii) -C(O)O-기,
(viii) -OC(O)-기,
(ix) -SO2NR6-기,
(x) -NR7SO2-기,
(xi) -C(O)NR9O-기,
(xii) -OC(O)NR10-기,
(xiii) -NR11C(O)NR1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를 나타내며,
[각 기 중,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또는 Cyc1기, -OR14기(기 중, R1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또한, A2에 의해 나타낸 각 기는 우측의 결합손이 A3에 결합되는 것으로 함],
A3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1기 또는
(vi) 이하의 (a)∼(i)에서 선택되는 1∼3개의 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a) 할로겐 원자,
(b) 시아노기,
(c) -P(O)(R15)2기,
(d) -Si(R16)3기,
(e) Cyc1기,
(f) -C(O)R17기,
(g) -OR18기,
(h) -NR19R20기,
(i) -SR21기;
복수 존재하는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7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수산기,
(iv) C1∼8알콕시기,
(v) Cyc1기 또는
(vi) -NR22R23기[기 중, R2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3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1기 또는 Cyc1기 또는 NR24R25기(R24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1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yc1기 또는
(v) Cyc1기, Si(R26)3기(기 중, 복수의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OR27기(기 중, R2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2∼5아실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9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페닐기 또는
(iv)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0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O)R28기[기 중, R28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1기 또는 NR29R30기(기 중, R29및 R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냄],
(iv) Cyc1기 또는
(v) Cyc1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21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또는
(iii) Cyc1기를 나타내고,
Cyc1기는
(i) C3∼15의 단환, 이환, 삼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환, 이환 또는 삼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디페닐메틸기, (xi) 트리페닐메틸기, (xii) Cyc2기, (xiii) -OR31기, (xiv) -SR32기, (xv) -NR33R34기, (xvi) -SO2NR35R36기, (xvii) -C(O)R37기 또는 (xviii) Cyc2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R31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3은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4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Cyc2기를 나타내며,
R35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6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OR38기, -NR39R40기, Cyc2기 또는 Cyc2기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8, R39, R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yc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Cyc2기는
(i) C3∼15의 단환, 이환, 삼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환, 이환 또는 삼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OR41기, (xi) -SR42기, (xii) -NR43R44기, (xiii) -SO2NR45R46기, (xiv) -C(O)R47기, (xv)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xvi) 페닐기로 치환되어도 좋으며,
R41, R42, R43, R44, R45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4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q개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OR48기,
(v) -NR49R50기,
(vi) -C(O)R51기,
(vii) 니트로기,
(viii) 시아노기,
(ix) 할로겐 원자 또는
(x) -OR48기, -NR49R50기, -C(O)R51기, 할로겐 원자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4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3기 또는
(vi) 할로겐 원자, -OR52기, -NR53R54기, -C(O)R55기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49및 R5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R59기를 나타내고,
R51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60R61기를 나타내며,
R5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53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C2∼8알키닐기 또는 -C(O)R56기(기 중, R56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며, R55는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57R58기(기 중, R57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9는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60및 R6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Cyc3기는
(i) C3∼15의 단환, 이환, 삼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환, 이환 또는 삼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1∼8알콕시기, (iii) 니트로기, (iv) 할로겐 원자, (v) 시아노기, (vi) 수산기, (vii) 벤질옥시기, (viii) -NR62R63기, (ix) -COOR64기, (x) 트리할로메틸기, (xi) 트리할로메톡시기, (xii) 페닐기, (xiii) 페녹시기, (xiv) 페닐티오기, (xv) 페닐기, 페녹시기, 페닐티오기, 수산기, -NR62R63기 또는 -COOR64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62및 R6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6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A2가 (vi) -NR5C(O)-기, (x) -NR7SO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일 때, A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신규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상기 화학식에서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는
또는
(ii)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단,가 이중 결합을 나타낼 때, Y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가 단일 결합을 나타낼 때, Y는를 나타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p는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0 또는 1∼5의 정수를 나타내며,
Z는 단결합, C1∼8알킬렌기, C2∼8알케닐렌기 또는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고,
(i) 벤젠환 또는
(ii)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환 헤테로환 아릴을 나타내며,
(i) C3∼15의 단환, 이환, 삼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환, 이환 또는 삼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p개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니트로기,
(v) 시아노기,
(vi) 할로겐 원자,
(vii) Cyc1기,
(viii) 할로겐 원자 또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ix) -A1-A2-A3을 나타내며,
A1
(i) 단결합,
(ii) C1∼8알킬렌기,
(iii) C2∼8알케닐렌기 또는
(iv)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고,
A2
(i) -O-기,
(ii) -NR3-기,
(iii) -C(O)-기,
(iv) -CH(OH)-기,
(v) -C(O)NR4-기,
(vi) -NR5C(O)-기,
(vii) -C(O)O-기,
(viii) -OC(O)-기,
(ix) -SO2NR6-기,
(x) -NR7SO2-기,
(xi) -C(O)NR9O-기,
(xii) -OC(O)NR10-기,
(xiii) -NR11C(O)NR1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0-기를 나타내며,
(각 기 중,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또는 Cyc1기, -OR14기(기 중, R1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또한, A2에 의해 나타낸 각 기는 우측의 결합손이 A3에 결합되는 것으로 함),
A3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1기 또는
(vi) 이하의 (a)∼(i)에서 선택되는 1∼3개의 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a) 할로겐 원자,
(b) 시아노기,
(c) -P(O)(R15)2기,
(d) -Si(R16)3기,
(e) Cyc1기,
(f) -C(O)R17기,
(g) -OR18기,
(h) -NR19R20기,
(i) -SR21기;
복수 존재하는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7
(1)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수산기,
(iv) C1∼8알콕시기,
(v) Cyc1기 또는
(vi) -NR22R23기[기 중, R2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3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1기 또는 Cyc1기 또는 NR24R25기(R24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1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n) C2∼8알케닐기,
(iv) Cyc1기 또는
(v) Cyc1기, Si(R26)3기(기 중, 복수의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OR27기(기 중, R2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2∼5아실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9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페닐기 또는
(iv)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0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O)R28기[기 중, R28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1기 또는 NR29R30기(기 중, R29및 R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냄],
(iv) Cyc1기 또는
(v) Cyc1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21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또는
(iii) Cyc1기를 나타내고,
Cyc1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디페닐메틸기, (xi) 트리페닐메틸기, (xii) Cyc2기, (xiii) -OR31기, (xiv) -SR32기, (xv) -NR33R34기, (xvi) -SO2NR35R36기, (xvii) -C(O)R37기 또는 (xviii) Cyc2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R31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3은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4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Cyc2기를 나타내며,
R35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6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OR38기, -NR39R40기, Cyc2기 또는 Cyc2기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8, R39, R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yc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으은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Cyc2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 (ix) 할로겐 원자, (x) -OR41기, (xi) -SR42기, (xii) -NR43R44기, (xiii) -SO2NR45R46기, (xiv) -C(O)R47기, (xv)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xvi) 페닐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41, R42, R43, R44, R45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4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q개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OR48기,
(v) -NR49R50기,
(vi) -C(O)R51기,
(vii) 니트로기,
(viii) 시아노기,
(ix) 할로겐 원자 또는
(x) -OR48기, -NR49R50기, -C(O)R51기, 할로겐 원자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4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3기 또는
(vi) 할로겐 원자, -OR52기, -NR53R54기, -C(O)R55기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49및 R5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R59기를 나타내며,
R51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60R61기를 나타내고,
R5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53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C2∼8알키닐기 또는 -C(O)R56기(기 중, R56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며,
R55는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57R58기(기 중, R57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9는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60및 R6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Cyc3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1∼8알콕시기, (iii) 니트로기, (iv) 할로겐 원자, (v) 시아노기, (vi) 수산기, (vii) 벤질옥시기, (viii) -NR62R63기, (ix) -COOR64기, (x) 트리할로메틸기, (xi) 트리할로메톡시기, (xii) 페닐기, (xiii) 페녹시기, (xiv) 페닐티오기, (xv) 페닐기, 페녹시기, 페닐티오기, 수산기, -NR62R63기 또는 -COOR64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62및 R6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6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1) A2가 (vi) -NR5C(O)-기, (x) -NR7SO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일 때, A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2)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며,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낼 때, n은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3)가 단일 결합을 나타내며, Y가를 나타내고, n이 2를 나타내며, m이 0 또는 2를 나타내고, p가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며, A환 및 B환이 벤젠환을 나타내고, R1이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낼 때, q는 0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4)가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Y가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m이 0 또는 2를 나타내며, p가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환 및 B환이 벤젠환을 나타내며, R1이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q가 1∼5의 정수를 나타낼 때, R2는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5)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1을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낼 때, R1은 할로겐 원자, C1∼8알킬기, 페닐설포닐아미노기, 2-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3-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4-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C1∼8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보닐기로 치환된 C1∼8알콕시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6)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며,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이 2를 나타내며, p가 2를 나타내고,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내며, 하나의 R1이 페닐설포닐아미노기, 2-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3-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또는 4-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를 나타낼 때, 또 하나의 R1은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7)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2∼3을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내고, 하나의 R1이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C1∼8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보닐기로 치환된 C1∼8알콕시기를 나타낼 때, 다른 R1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8)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3∼4를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낼 때, 2∼3개의 R1은 동시에 t-부틸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9) 하기 (1) 내지 (32)의 화합물을 제외한다:
(1)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 6-니트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 4,5-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 4,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 4,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 5,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 5,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 6,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 4-카르복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 6-(2,2-비스(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 4-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 5-(2-(N-(5-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N-메틸아미노)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 5-(2-히드록시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 5-브로모-7-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 7-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 5-브로모-6-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 5-브로모-4-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 6-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 4-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 6-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 6-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 6-(4-디에틸아미노페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 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25) 1,1-디옥사이드티에노[3,2-b]피리딘,
(26) 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27) 5-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5-(3-메틸-5-옥소-4,5-디히드로피라졸-1-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 4-(2-(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일)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 7-메틸-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3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또는
(32) 4-(4-메톡시페닐)-1,1-디옥사이드티에노[3,2-c]피리딘].
<3>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의 제조 방법, 및
<4> 하기 화학식 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시아노화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X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어서 이것을 탈수소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으며, 이어서 이것을 가수분해 반응시키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이성체는 이것을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및 알키닐렌기에는 직쇄인 것 및 분기쇄인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중 결합, 환, 축합환에 있어서의 이성체(E, Z, 시스, 트랜스체), 비대칭 탄소의 존재 등에 의한 이성체(R, S체, α, β체, 거울상 이성체, 부분입체 이성체), 선광성을갖는 광학 활성체(D, L, d, l체), 크로마토그래프 분리에 의한 극성체(고극성체, 저극성체), 평형 화합물, 이들의 임의 비율의 화합물, 라세미 혼합물은 전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I 및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N-옥사이드 유도체란 화학식 I 및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질소 원자가 산화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1∼8알킬기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C2∼8알케닐기란 비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부타디에닐, 펜타디에닐, 헥사디에닐, 헵타디에닐, 옥타디에닐, 헥사트리에닐, 헵타트리에닐, 옥타트리에닐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C2∼8알키닐기란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헵티닐, 옥티닐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C1∼8알킬렌기란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C2∼8알케닐렌기란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부테닐렌, 펜테닐렌, 헥세닐렌, 헵테닐렌, 옥테닐렌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C2∼8알키닐렌기란 에티닐렌, 프로피닐렌, 부티닐렌, 펜티닐렌, 헥시닐렌,헵티닐렌, 옥티닐렌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할로겐 원자란 염소, 브롬, 불소,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C1∼8알콕시기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옥틸옥시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트리할로메틸기란 염소, 브롬, 불소, 요오드 원자에 의해 3중 치환된 메틸기이다.
트리할로메톡시기란 염소, 브롬, 불소, 요오드 원자에 의해 3중 치환된 메톡시기이다.
C2∼5아실기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발레릴기 및 이들의 이성체이다.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일환 헤테로환 아릴로는 피리딘, 피리딘-N-옥사이드, 피라진, 피라진-N-모노옥사이드, 피라진-N-디옥사이드, 피리미딘, 피리미딘-N-모노옥사이드, 피리미딘-N-디옥사이드, 피리다진, 피리다진-N-모노옥사이드, 피리다진-N-디옥사이드 환 등을 들 수 있다.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으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벤젠, 펜탈렌, 인덴, 나프탈렌, 아줄렌, 플루오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아세나프틸렌, 비페닐렌, 퍼히드로펜탈렌, 퍼히드로인덴, 디히드로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퍼히드로나프탈렌, 퍼히드로아줄렌, 퍼히드로플루오렌, 퍼히드로페난트렌, 퍼히드로안트라센, 퍼히드로아세나프틸렌, 퍼히드로비페닐렌 환 등을 들 수 있다.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복소환이란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복소환 아릴 또는 그 일부 또는 전부 포화된 것이 포함된다.
상기한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복소환 아릴로는 피롤, 피롤-N-옥사이드, 이미다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라졸, 피리딘, 피리딘-N-옥사이드, 피라진, 피라진-N-모노옥사이드, 피라진-N-디옥사이드, 피리미딘, 피리미딘-N-모노옥사이드, 피리미딘-N-디옥사이드, 피리다진, 피리다진-N-모노옥사이드, 피리다진-N-디옥사이드, 아제핀, 디아제핀, 푸란, 피란, 옥세핀, 옥사제핀, 티오펜, 티아인(티오피란), 티에핀,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옥사디아졸, 옥사아진, 옥사디아진, 옥사아제핀, 옥사디아제핀, 티아디아졸, 타아아진, 타아디아진, 티아아제핀, 티아디아제핀, 인돌, 이소인돌,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이소벤조티오펜, 인다졸, 퀴놀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프탈라진, 나프틸리딘, 나프틸리딘-N-모노옥사이드, 나프틸리딘-N-디옥사이드, 퀴녹살린, 퀴녹살린-N-모노옥사이드, 퀴녹살린-N-디옥사이드, 퀴나졸린, 퀴나졸린-N-모노옥사이드, 퀴나졸린-N-디옥사이드, 신놀린, 벤조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이미다졸, 카르바졸, 아크리딘 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복소환에서 일부 또는 전부 포화된 것으로는 피롤린, 피롤리딘, 피롤리딘-N-옥사이드, 이미다졸린, 이미다졸리딘, 트리아졸린, 트리아졸리딘, 테트라졸린, 테트라졸리딘,디히드로피리딘, 디히드로피리딘-N-옥사이드, 디히드로피라진, 디히드로피라진-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피라진-N-디옥사이드, 디히드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리미딘-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피리미딘-N-디옥사이드, 디히드로피리다진, 디히드로피리다진-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피리다진-N-디옥사이드, 피페리딘, 피페리딘-N-옥사이드, 피페라진, 피페라진-N-모노옥사이드, 피페라진-N-디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N-모노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N-디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진,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진-N-모노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진-N-디옥사이드, 디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히드로피란, 테트라히드로피란, 디히드로티오펜, 테트라히드로티오펜, 디히드로티아인(디히드로티오피란), 테트라히드로티아인(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 디히드로옥사졸, 테트라히드로옥사졸, 디히드로이소옥사졸, 테트라히드로이소옥사졸, 디히드로티아졸, 테트라히드로티아졸, 디히드로이소티아졸, 테트라히드로이소티아졸, 모르폴린, 모르폴린-N-옥사이드, 티오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N-옥사이드, 인돌린, 이소인돌린, 디히드로벤조푸란, 퍼히드로벤조푸란, 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퍼히드로이소벤조푸란, 디히드로벤조티오펜, 퍼히드로벤조티오펜, 디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 퍼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 디히드로인다졸, 퍼히드로인다졸, 디히드로퀴놀린, 디히드로퀴놀린-N-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테트라히드로퀴놀린-N-옥사이드, 퍼히드로퀴놀린, 퍼히드로퀴놀린-N-옥사이드, 디히드로이소퀴놀린, 디히드로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퍼히드로이소퀴놀린, 퍼히드로이소퀴놀린-N-옥사이드, 디히드로프탈라진, 테트라히드로프탈라진, 퍼히드로프탈라진, 디히드로나프틸리딘, 디히드로나프틸리딘-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나프틸리딘-N-디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나프틸리딘, 테트라히드로나프틸리딘-N-모노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나프틸리딘-N-디옥사이드, 퍼히드로나프틸리딘, 퍼히드로나프틸리딘-N-모노옥사이드, 퍼히드로나프틸리딘-N-디옥사이드, 디히드로퀴녹살린, 디히드로퀴녹살린-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퀴녹살린-N-디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N-모노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N-디옥사이드, 퍼히드로퀴녹살린, 퍼히드로퀴녹살린-N-모노옥사이드, 퍼히드로퀴녹살린-N-디옥사이드, 디히드로퀴나졸린, 디히드로퀴나졸린-N-모노옥사이드, 디히드로퀴나졸린-N-디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N-모노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N-디옥사이드, 퍼히드로퀴나졸린, 퍼히드로퀴나졸린-N-모노옥사이드, 퍼히드로퀴나졸린-N-디옥사이드, 디히드로신놀린, 테트라히드로신놀린, 퍼히드로신놀린, 디히드로벤조옥사졸, 퍼히드로벤조옥사졸, 디히드로벤조티아졸, 퍼히드로벤조티아졸, 디히드로벤조이미다졸, 퍼히드로벤조이미다졸, 벤조옥사제핀, 벤조옥사디아제핀, 벤조티아아제핀, 벤조티아디아제핀, 벤조아제핀, 벤조디아제핀, 인돌로옥소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옥사제핀, 인돌로옥사디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옥사디아제핀, 인돌로티아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티아아제핀, 인돌로티아디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티아디아제핀, 인돌로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아제핀, 인돌로디아제핀, 인돌로테트라히드로디아제핀, 벤조프라잔, 벤조티아디아졸, 벤조트리아졸, 캄파, 이미다졸티아졸, 디히드로카르바졸,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퍼히드로카르바졸, 디히드로아크리딘, 테트라히드로아크리딘, 퍼히드로아크리딘, 1,3-디옥사인단, 1,4-디옥소인단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 또는 2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다.
n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 또는 2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다.
p로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
q로서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다.
Z로서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C1∼8알킬렌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결합이다.
로서 바람직하게는, 피리딘환 또는 벤젠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벤젠환이다.
로서 바람직하게는, C5∼10의 단일환 또는 이중환식 탄소환 또는 1∼3개의 질소 원자, 1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단일환 또는 이중환식의 헤테로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시클로헥산환, 티오펜환, 푸란환, 피리딘환, 피리미딘환, 이미다졸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또는 티오펜환이다.
R1로서 바람직하게는, C1∼8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Cyc1기, 할로겐 원자 또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A1-A2-A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A1-A2-A3이다.
A1로서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C1∼8알킬렌기, C2∼8 알케닐렌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C1∼8알킬렌기이다.
A2로서 바람직하게는, -O-기, -NR3-기, -C(O)-기, -C(O)NR4-기, -NR5C(O)-기, -C(O)O-기, -NR13C(O)O-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O-기, -NR3-기, -C(O)-기, -C(O)NR4-기, -NR5C(O)-기이다.
A3으로 바람직하게는, C1∼8알킬기, Cyc1기 또는 Cyc1기, -C(O)R17기, -NR19R20기, -OR18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C2∼8알케닐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yc1또는 -NR19R20으로 치환된 C1∼8알킬기이다.
Cyc1로서 바람직하게는 C5∼10의 단일환 또는 이중환식 탄소환 또는 1∼3개의질소 원자, 1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단일환 또는 이중환식의 헤테로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5∼10의 단일환 탄소환 또는 1∼2개의 질소 원자 및/또는 1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단일환 헤테로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피페리딘환, 피페라진환, 피롤리딘환, 피리딘환, 모르폴린환이다.
R19, R20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든 비독성염을 포함한다. 예컨대, 일반적인 염, 산 부가염, 수화물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된다. 염은 독성이 없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칼륨, 나트륨 등)염, 알칼리 토류 금속(칼슘, 마그네슘 등)염, 암모늄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아민염(테트라메틸암모늄, 트리에틸아민,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시클로펜틸아민, 벤질아민, 펜에틸아민, 피페리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민, 리신, 아르기닌, N-메틸-D-글루카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산 부가염으로 변환된다. 산부가염은 독성이 없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산부가염으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유산염, 타르타르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구연산염, 안식향산염, 메탄설폰산염, 에탄설폰산염, 벤젠설폰산염, 톨루엔설폰산염, 이세티온산염, 글루쿠론산염과 글루콘산염과 같은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화물로 변환할 수도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의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화학식 I-F, 화학식 I-G, 화학식 I-H, 화학식 I-J, 화학식 I-K, 화학식 I-L, 화학식 I-M, 화학식 I-N, 화학식 I-O, 화학식 I-P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들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식 중, A1'는 단결합 또는 C1∼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는 -O-기, -NR3-기, -C(O)-기, -C(O)NR4-기 또는 -NR5C(O)-을 나타내며,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학식 I-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I-N'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하에 나타낸 (1)∼(4)는 시판되고 있는 공지 화합물이지만, 지금까지 IL-6 생산 억제제 및/또는 IL-12 생산 억제제로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화합물 (1)∼(4) 및 이들의 비독성염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화합물로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자면,
화합물 (1):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56):
화합물 (2): 6-니트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65):
화합물 (3):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38):
화합물 (4):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메이브릿지사, 카탈로그 번호 KM 08140):
보다 바람직한 것은 이하에 나타내는 공지의 화합물, 표 1에서 표 78에 기재한 화합물 및 실시예에 기재한 화합물 및 이들의 화합물의 비독성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표에서, 3-Py는 피리딘-3-일기를 나타내고, Me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Et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Pr은 n-프로필기를 나타내며, i-Pr는 이소프로필기를 나타내고, t-Bu는 t-부틸기를 나타내며,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방법 또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하기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이하의 [1]∼[14]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1]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a)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1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a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적당한 유기 용매(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t-부틸알콜 등)중에서 1∼1.2 당량의 산화제(과산화수소, 과요오드산나트륨, 아질산아실, 과붕소산나트륨, 과산(예컨대, 3-클로로과벤조산, 과아세트산 등), 퍼옥시모노황산칼륨, 과망간산칼륨, 크롬산 등)의 존재하에 -4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b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적당한 유기 용매(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t-부틸알콜 등)중에서 과잉의 산화제(과산화수소, 과요오드산나트륨, 아질산아실, 과붕소산나트륨, 과산(예컨대, 3-클로로과벤조산, 과아세트산 등), 퍼옥시모노황산칼륨, 과망간산칼륨, 크롬산 등)의 존재하에 20∼60℃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2]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치환된 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2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2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탈기(염소, 브롬, 요오드, 메실기 또는 토실기 등)를 갖는 해당하는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2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2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테르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 또는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혹은 그 수용액 혹은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0∼10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1-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2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2b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2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테르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디클로로메탄,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벤젠, 톨루엔 등)중, 아조 화합물(아조디카르복실산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산디이소프로필, 1,1'-(아조디카르보닐)디피페리딘, 1,1'-아조비스(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및 포스핀 화합물(트리페닐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메틸포스핀 등)의 존재하에 해당 알콜 화합물과 0∼6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3]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d)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3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3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3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3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3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중, 염기(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0∼10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3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3b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1-3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c) 화학식 I-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3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보닐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3c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1-3c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등)중, 환원제(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 트리아세톡시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붕소나트륨, 팔라듐-탄소 등)의 존재하에, 또한 필요에 따라 산(아세트산, 염산 수용액 등)의 존재하에 -20∼6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d) 화학식 I-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3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3d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1-3d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3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4]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4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4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4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4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4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4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4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아미드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1) 산 할로겐화물을 이용하는 방법
2) 혼합 산 무수물을 이용하는 방법
3)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
이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산할로겐화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산할로겐화물(염화옥살릴, 염화티오닐 등)과 -20℃∼환류 온도에서 반응시키고, 얻은 산할로겐화물을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아민과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2) 혼합 산 무수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산 할로겐(염화피발로일, 염화토실, 염화메실 등) 또는 산 유도체(클로로포름산에틸, 클로로포름산이소부틸 등)와, 0∼40℃에서 반응시켜 얻은 혼합 산 무수물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아민과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3)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과 아민을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축합제(1,3-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요오드, 프로판인산 환형 무수물 등)를 이용하여 1-히드록시벤즈트리아졸(HOBt)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서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들 1), 2) 및 3)의 반응은 모두 불활성 가스(아르곤, 질소 등) 분위기하에서 무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화학식 I-1-4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4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4b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4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아미드화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4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5]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에스테르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5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5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에스테르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5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5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5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1) 산할로겐화물을 이용하는 방법
2) 혼합 산 무수물을 이용하는 방법
3)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
이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산할로겐화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산할로겐화물(염화옥살릴, 염화티오닐 등)과 -20℃∼환류 온도에서 반응시켜 얻은 산할로겐화물을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알콜과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2) 혼합 산 무수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산할로겐화물(염화피발로일, 염화토실, 염화메실 등) 또는 산 유도체(클로로포름산에틸, 클로로포름산이소부틸 등)와, 0∼40℃에서 반응시켜 얻은 혼합 산 무수물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알콜과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3)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카르복실산과 알콜을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등)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축합제(1,3-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CDI),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요오드, 프로판인산 환형 무수물 등)를 이용하여 1-히드록시벤즈트리아졸(HOBt)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서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들 1), 2) 및 3)의 반응은 모두 불활성 가스(아르곤, 질소 등) 분위기하에 무수 조건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화학식 I-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5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5b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5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5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6]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6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6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SO3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설폰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6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6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SO3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설폰아미드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설폰산을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또는 무용매로 산할로겐화물(염화옥살릴, 염화티오닐 등)과 -20℃∼환류 온도에서 반응시켜 얻은 할로겐화을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아민과 불활성 유기 용매(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중,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1-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6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설포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설폰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6b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6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설폰아미드화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6a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7]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7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7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7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7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7a가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 등)중, 염기(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DBU), 트리에틸아민, 수소화나트륨 등) 존재하에 0∼10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8]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8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8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8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8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8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8a의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며,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9]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9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할로포름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9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9중 적어도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9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9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염화메틸렌, 디에틸에테르등)중, 염기(트리에틸아민, 피리딘등)의 존재하에 -78∼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10]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0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할로포름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0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0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0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0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상기 화학식 I-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11]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1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1-1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0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I-1-11a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포르밀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I-1-11a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그리나드 시약 또는 리튬을 갖는 해당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1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1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포르밀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등)중, -78∼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1-1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I-1-11b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1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1]의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n-1-11b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12]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2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등)중, 산화제(이산화망간, 염화옥살릴, 이크롬산피리디늄 등)을 이용하여 -78∼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13]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I-1-1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니트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I-1-1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니트로기 환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3은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3중 적어도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3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3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니트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니트로기의 환원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가수소분해 반응 및 유기 금속을 이용한 환원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이 가수소 분해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불활성 용매[에테르계(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등), 알콜계(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등), 벤젠계(예컨대, 벤젠, 톨루엔 등), 케톤계(예컨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니트릴계(예컨대, 아세토니트릴등), 아미드계(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물,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용매 등]중, 수소화 촉매(예컨대, 팔라듐-탄소, 팔라듐 블랙, 팔라듐, 수산화팔라듐, 이산화백금, 니켈, 라니-니켈, 염화루테늄 등)의 존재하에 무기산(예컨대, 염산, 황산, 차아염소산, 붕산, 테트라플오로붕산 등) 또는 유기산(예컨대, 아세트산, p-톨루엔설폰산,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서 상압또는 가압하의 수소 분위기하 또는 포름산암모늄 존재하에 0∼2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염을 이용하여도 좋다.
유기 금속을 이용한 환원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물과 혼화되는 용매(에탄올, 메탄올 등)중, 염산 수용액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유기 금속(아연, 철, 주석, 염화주석, 염화철 등)을 이용하여 50∼15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14]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 또는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4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의 -COOH기,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가 각각 보호된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1-14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칼리 가수분해, 산성 조건하에서의 탈보호 반응, 실릴기의 탈보호 반응 또는 가수소 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4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4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1-14a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1-14a중 적어도 1개의 기가 보호된 -COOH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t-부틸기 및 벤질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보호된 수산기(예컨대, 메톡시메틸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아세틸기, 벤질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또는 보호된 아미노기(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메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중,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 또는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등) 혹은 그 수용액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0∼4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산성 조건하에서의 탈보호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디옥산, 아세트산에틸, 아니솔 등)중, 유기산(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요오드화트리메틸실릴 등) 또는 무기산(염산, 황산 등) 혹은 이들의 혼합물(브롬화수소아세트산 등)중, 0∼1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실릴기의 탈보호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물과 혼화할 수 있는 유기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중,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를 이용하여 0∼4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가수소 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은 상기 [13]에서 기재한 가수소 분해 반응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중, 하기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하의 [15]∼[1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5]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m이 0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5a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1a 또는 화학식 I-1-1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n-2-15a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다른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공지이며(J. Am. Chem. Soc.,72, 1985(1950),J. Org. Chem.,54, 4232(1989) 참조),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등)중, 알칼리 금속의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 또는 3급 아민(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혹은 그 수용액 혹은 이들 혼합물을 이용하여 0∼40℃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b) 화학식 I-2-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0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5b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m이 0을 나타내고, n이 1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5a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환원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유기 용매(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환원제(수소화리튬알루미늄, 수소화디이소부틸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0∼80℃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16]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m이 1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2-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1] 기재의 화학식 I-1-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17]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m이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c)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1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7a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1a 또는 화학식 I-1-1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n-2-17a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15] 기재의 화학식 I-2-15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b) 화학식 I-2-1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0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7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학식 V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환원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수소 첨가 반응 또는 트리에틸실란을 이용한 환원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이 수소 첨가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불활성 용매[에테르계(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등), 알콜계(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등), 벤젠계(예컨대, 벤젠, 톨루엔 등), 케톤계(예컨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니트릴계(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등), 아미드계(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물,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용매 등]중, 수소화 촉매(예컨대, 팔라듐-탄소, 팔라듐 블랙, 팔라듐, 수산화팔라듐, 이산화백금, 니켈, 라니-니켈, 염화루테늄 등)의 존재하에 무기산(예컨대, 염산, 황산, 차아염소산, 붕산,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등) 또는 유기산(예컨대, 아세트산, p-톨루엔설폰산,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서 상압 또는 가압하의 수소 분위기하 또는 포름산암모늄 존재하에 0∼2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염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트리에틸실란을 이용한 환원 반응은 공지이며, 예컨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 트리에틸실란 존재하에 0∼1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c) 화학식 I-2-1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n이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7c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m이 0을 나타내고, n이 2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5a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모든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1]에 기재한 화학식 I-1-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한 [15]∼[17]의 방법 이외에도 이하에 나타낸 [18]∼[30]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18]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8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8및 R2-2-18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18및 R2-2-18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18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8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탈기(염소, 브롬, 요오드, 메실기 또는 토실기 등)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8a및 R2-2-18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18a및 R2-2-18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테르화 반응은 [2] 기재의 화학식 I-1-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화학식 I-2-18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8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8b및 R2-2-18b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18b및 R2-2-18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테르화 반응은 [2] 기재의 화학식 I-1-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19]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d)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9및 R2-2-19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 R1-2-19및 R2-2-19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9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9a및 R2-2-19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19a및 R2-2-19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3] 기재의 화학식 I-1-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화학식 I-2-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9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요오드)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9b및 R2-2-19b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2-19b및 R2-2-19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3] 기재의 화학식 I-1-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c) 화학식 I-2-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9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보닐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9c및 R2-2-19c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2-19c및 R2-2-19c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3] 기재의 화학식 I-1-3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d) 화학식 I-2-1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19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19d및 R2-2-19d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R1-2-19d및 R2-2-19d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은 [3] 기재의 화학식 I-1-3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0]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0및 R2-2-20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0및 R2-2-20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2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0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0a및 R2-2-20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0a및 R2-2-20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아미드화 반응은 [4] 기재의 화학식 I-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화학식 I-2-2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0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0b및 R2-2-20b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0b및 R2-2-10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아미드화 반응은 [4] 기재의 화학식 I-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1]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에스테르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1및 R2-2-21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1및 R2-2-21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에스테르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2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1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1a및 R2-2-21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1a및 R2-2-21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은 [5] 기재의 화학식 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화학식 I-2-2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1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1b및 R2-2-21b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1b및 R2-2-21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은 [5] 기재의 화학식 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2]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a)∼(b)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2및 R2-2-22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2및 R2-2-2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 화학식 I-2-2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SO3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V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설폰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2a및 R2-2-22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단, R1-2-22a및 R2-2-22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SO3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설폰아미드화 반응은 [6] 기재의 화학식 I-1-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화학식 I-2-2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2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설포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설폰아미드화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2b및 R2-2-22b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2b및 R2-2-22b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설폰아미드화 반응은 [6] 기재의 화학식 I-1-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3]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3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3및 R2-2-23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3및 R2-2-23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3a및 R2-2-23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3a및 R2-2-23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7] 기재의 화학식 I-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4]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4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4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해당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4및 R2-2-24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4및 R2-2-24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4a및 R2-2-24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4a및 R2-2-24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7] 기재의 화학식 I-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5]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5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할로포름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5및 R2-2-25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5및 R2-2-25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5a및 R2-2-25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5a및 R2-2-25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9] 기재의 화학식 I-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6]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6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할로포름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6및 R2-2-26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6및 R2-2-26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옥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6a및 R2-2-26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단, R1-2-26a및 R2-2-26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9] 기재의 화학식 I-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7]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7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포르밀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7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해당 그리나드 시약 또는 리튬을 갖는 해당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7및 R2-2-27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7및 R2-2-27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7a및 R2-2-27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7a및 R2-2-27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포르밀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11] 기재의 화학식 I-1-1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8]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8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2-2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8및 R2-2-28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R1-2-28및 R2-2-28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치환된 카르보닐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산화 반응은 [12] 기재의 화학식 I-1-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29]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니트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29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니트로기 환원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9및 R2-2-29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9및 R2-2-29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29a및 R2-2-29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29a및 R2-2-29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니트로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니트로기의 환원 반응은 [13] 기재의 화학식 I-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30]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중, R1또는 R2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 수산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 또는 아미노기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3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의 -COOH기,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가 각각 보호된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2-30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칼리 가수분해, 산성 조건하에서의 탈보호 반응, 실릴기의 탈보호 반응 또는 가수소 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30및 R2-2-30은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30및 R2-2-30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COOH기,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R1-2-30a및 R2-2-30a는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2-30a및 R2-2-30a중 적어도 하나의 기가 보호된 -COOH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t-부틸기 및 벤질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보호된 수산기(예컨대, 메톡시메틸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아세틸기, 벤질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또는 보호된 아미노기(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으로 보호되어 있음)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알칼리 가수분해, 산성 조건하에서의 탈보호 반응, 실릴기의 탈보호 반응 또는 가수소 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은 [14] 기재의 화학식 I-1-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보호 반응이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탈보호 반응, 예컨대 알칼리 가수분해, 산성 조건하에서의 탈보호 반응, 가수소 분해에 의한 탈보호 반응을 의미하고, 이들 반응을 구분하여 이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 화합물이 용이하게 제조된다.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t-부틸기 및 벤질기를 들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용이하게 또 선택적으로 이탈 가능한 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참고 문헌[T. W. Greene,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윌리, 뉴욕, 1991]에 기재된 것이 이용된다.
수산기의 보호기로서는 메톡시메틸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아세틸기, 벤질기를 들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용이하게 또 선택적으로 이탈가능한 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참고 문헌[T. W. Greene,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윌리, 뉴욕, 1991]에 기재된 것이 이용된다.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들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용이하게 또 선택적으로 이탈가능한 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참고 문헌[T. W. Greene,ProtectiveGroups in Organic Synthesis, 윌리, 뉴욕, 1991]에 기재된 것이 이용된다.
화학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그 자체가 공지이거나 이하의 반응식 혹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중의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출발 원료로서 이용되는 화학식 III,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I, 화학식 VII 또는 화학식 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그 자체가 공지이거나 혹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화학식 I-1-1c에 있어서, A가 벤젠환을 나타내고, R'가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며, p가 1을 나타내고, R'가 4위치에 결합된 화합물, 즉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주요 중간체이다. 상기 화학식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응식 5에 표시된다. 다음에 각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XI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X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은,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아세토니트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등)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중, 루이스산(요오드화아연,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티탄, 과염소산리튬, 4불화붕소리튬, 6불화인리튬 등) 및 시아니드 유도체(트리메틸실릴시아니드, 디에틸알루미늄시아니드, 혹은 디에틸시아노포스포네이트 등)의 존재하에 0∼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화학식 XII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은, 예컨대, 불활성 유기 용매(벤젠,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이들의 혼합 용매 등)중, 산화제(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 클로라닐(2,3,5,6-테트라클로로-1,4-벤조퀴논) 등)의 존재하에 실온∼환류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혹은 예컨대, 유기 용매(에틸렌 글리콜, 올레산,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중, 수소 수용체(니트로벤젠, 말레산, 시클로헥센, 올레산, 1,5-시클로옥타디엔, 페닐아세틸렌, 2-부틴산 등) 및 금속 촉매(팔라듐-탄소, 수산화팔라듐, 팔라듐 블랙, 팔라듐, 이산화백금, 니켈, 라니-니켈, 염화루테늄 등)의 존재하에 60℃∼환류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은, 예컨대, 알콜계 용매(에틸렌 글리콜, t-부탄올, 벤질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중, 알칼리(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존재하에 60℃∼환류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명세서중의 각 반응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은 통상의 정제 수단, 예컨대,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서의 증류, 실리카겔 또는 규산마그네슘을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혹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세정, 재결정 등의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정제는 각 반응마다 수행하여도 좋고, 몇가지 반응 종료후에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의 광학 이성체는 일반적인 광학 분할 방법(예컨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할, 부분입체 이성체염 혹은 포접 화합물로서의 결정화에 따른 분할, 우선 정출법 에 따른 분할 등)에 의해 얻을 수 있거나 혹은 일반적인 비대칭 합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약리 활성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이 IL-6 및/또는 IL-12 생산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은 이하의 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1) IL-6 생산 억제 활성 및 세포 독성의 측정
[실험 방법]
1.5 x 104개의 사람의 폐의 상피에서 유래된 세포주 A549 세포를 100 ㎕의 0.5% 소태아 혈청(이하, FBS와 약기함) 첨가 달벳코 개변 이글 배지(DMEM)에 현탁하여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속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각종 용매에 용해한 여러가지 농도의 피검 화합물 20 ㎕ 및 DMEM에 용해한 12.5 ng/㎖ 농도의 종양 괴사 인자 -α[TNF-α(Genzyme사, Cat. No. TNF-H)] 80 ㎕를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200 ㎕의 배양 상청을 회수하여, 생산된 IL-6량을 효소 결합 면역 솔벤트 분석(ELISA)법[R&D Systems사, Cat. No. D6050]으로 측정하고, 피검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산출하여 50% 생산 억제 농도(IC50)를 구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세포에는 10% FBS 첨가 DMEM에 용해한 0.5 ㎎/㎖의 농도의 브롬화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리늄[이하, MTT라 약기함(同人化學硏究所, Cat. No. 345-01821)] 용액 100 ㎕를 첨가하여 3 시간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제거한 후, 100 ㎕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690 ㎚을 대상 파장으로 하여 570 ㎚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피검 화합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은 20 μM 이하의 IC50으로 IL-6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실시예 20(4)의 프리체(フリ-體) 화합물은 IC50이 4.4 μM에서 IL-6 생산을 억제하고, 세포 독성도 10 μM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2) IL-12 생산 억제 활성 및 세포 독성의 측정
실험 방법
피콜 비중 원심법(Pharmacia Biotech사, Cat. No. 17-1440-02)으로 건강한 정상인의 혈액으로부터 조정한 2.0x105개의 말초혈 단핵구를 170 ㎕의 10% FBS 첨가 RPMI1640 배지에 현탁하여 각종 용매에 용해한 여러가지 농도의 피검 화합물 10 ㎕및 10% FBS 첨가 RPMI1640 배지에 용해한 6000 유닛/㎖의 농도의 인터페론-γ(IFN-γ(Serotec사, Cat. No. PHP050)) 10 ㎕를 첨가하여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 속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거기에 10% FBS 첨가 RPMI1640 배지에 용해한 6 ㎍/㎖ 농도의 리포 다당[LPS(Difco사, Cat. No. 3120-25-0)] 10 ㎕를 첨가하여 20 시간의 배양한 후 150 ㎕의 배양 상청을 회수하고, 생산한 IL-12량을 ELISA법(R&D Systems사, Cat. No. D1200)으로 측정하여 피검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산출하여 50% 생산 억제 농도(IC50)를 구하였다(J. Exp. Med.,183, 147(1996) 참조). 150 ㎕의 배양 상청을 제거한 세포에는 10% FBS 첨가 RPMI1640 배지에 용해한 1 ㎎/㎖ 농도의 MTT 용액 50 ㎕를 첨가하여 3 시간 배양하였다. 거기에 0.04 N 염산 함유 2-프로판올 100 ㎕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690 ㎚을 대상 파장으로 하여 570 ㎚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피검 화합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은 10 μM 이하의 IC50에서 IL-12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실시예 20(4)의 염산염 화합물은 IC50이 0.11 μM에서 IL-12 생산을 저해하고, 세포 독성도 1 μM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독성]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의 독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의약으로서 이용하기 위해 충분히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적용]
본 발명 화합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 특히 사람에 있어서, IL-6 및/또는IL-12 생산을 저해하는 것으로, 예컨대 각종 염증성 질환, 패혈증, 다발성 골수종, 형질 세포성 백혈병, 골다공증, 악액질, 건선, 신장염, 신장 세포암, 카포시 육종, 만성 관절 류머티즘, 고감마 글로불린혈증, 캐슬맨병, 심방내 점액종, 당뇨병, 자기 면역 질환, 간염, 다발성 경화증, 대장염, 이식편쌍 숙주병,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그 비독성의 염, 산부가염 또는 그 수화물을 상기한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형태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치료 효과, 투여 방법, 처리 시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성인 1 인당, 1 회에 대해, 1 ㎎에서 1,000 ㎎의 범위에서 1일 1회에서 수회 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성인 1 인당, 1회에 대해, 0.1 ㎎∼100 ㎎의 범위에서, 1일 1회에서 수회 비경구 투여(바람직하게는, 정맥내 투여)되거나 또는 1일 1 시간∼24 시간의 범위에서 정맥내에 지속 투여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투여량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한,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할 때에는 경구 투여를 위한 내복용 고형제, 내복용 액제 및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 외용제, 좌제 등으로 이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내복용 고형제에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등이 포함된다. 캡슐제에는 경질 캡슐 및 연질 캡슐이 포함된다.
이러한 내복용 고형제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은 그 대로이거나 또는 부형제(락토오스, 만니톨, 글루코오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등), 결합제(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든,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 붕괴제(섬유소 글리콜산칼슘 등), 윤활제(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 안정제, 용해 보조제(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 등과 혼합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하여 이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코팅제(백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로 피복되어도 좋고, 또한, 2 이상의 층으로 피복되어도 좋다. 또한, 젤라틴과 같은 흡수 가능한 물질의 캡슐도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내복용 액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제, 현탁제·유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제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희석제(정제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 등)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된다. 또한, 이 액제는 습윤제, 현탁화제, 유화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보존제, 완충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로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및 용시(用時) 용제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이용하는 고형의 주사제를 포함한다. 주사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을 용제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시켜 이용된다. 용제로서, 예컨대 주이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식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 등 및 이들의 조합이 이용된다. 또한, 이 주사제는 안정제, 용해 보조제(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폴리솔베이트 80(등록상표) 등), 현탁화제,유화제, 무통화제, 완충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은 최종 공정에서 멸균하거나 무균 조작법에 의해 제조, 조제된다. 또한, 무균의 고형제, 예컨대 동결 건조품을 제조하고, 그 이용전에 무균화 또는 무균의 주이용 증류수 또는 다른 용제에 용해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기타 제제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처방되는 외용액제, 연고제, 도포제, 흡입제, 분무제, 좌제 및 질내 투여를 위한 페서리 등이 포함된다.
분무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희석제 이외에 아황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안정제와 등장성을 부여하는 완충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혹은 구연산과 같은 등장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분무제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2,868,691호 및 동제3,095,355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하, 참고예 및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의 개소 및 TLC에 표시되어 있는 괄호 안의 용매는 이용한 용출 용매 또는 전개 용매를 나타내고, 비율은 체적비를 나타낸다.
NMR의 부분에 표시되어 있는 괄호 안의 용매는 측정에 이용한 용매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1 g)의 테트라히드로푸란(10 ㎖)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55 ㎖)과 티오페놀(798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였다. 또한, 얻은 화합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화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18 g)을 얻었다.
TLC: Rf 0.4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5-7.18(9H, m), 4.98(1H, t, J=7Hz), 3.80(1H, dd, J=14, 7Hz), 3.51(1H, dd, J=14, 7Hz).
실시예 1(1)∼1(18)
티오페놀 대신에 해당 티올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1-7.66(m, 3H), 7.58-7.51(m, 1H), 7.42(dd, J=5.4, 1.4Hz, 1H), 7.14(dd, J=3.6, 1.4Hz, 1H), 7.00(dd, J=5.4, 3.6Hz, 1H), 4.78(t-형, J=6.9Hz, 1H), 3.80(dd, J=14.0, 7.2Hz, 1H), 3.51(dd, J=14.0, 6.6Hz, 1H).
실시예 1(2)
3-(4-메틸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5-7.57(m, 4H), 7.42(d, J=8.0Hz, 2H), 7.21(d, J=8.0Hz, 2H), 4.80(t-형, J=6.5Hz, 1H), 3.85(dd, J=14.0, 7.5Hz, 1H), 3.38(dd, J=14.0, 6.0Hz, 1H).
실시예 1(3)
3-(4-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2-7.45(4H, m), 7.36(2H, d, J=7Hz), 6.85(2H, d, J=7Hz), 4.83(1H, t, J=7Hz), 3.83(3H, s), 3.74(1H, dd, J=13, 7Hz), 3.46(1H, dd, J=13, 7Hz).
실시예 1(4)
3-(4-클로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8-7.67(m, 4H), 7.32(d, J=8.0Hz, 2H), 7.25(d, J=8.0Hz, 2H), 4.83(t-형, J=7.0Hz, 1H), 3.83(dd, J=14.5, 6.5Hz, 1H), 3.52(dd, J=14.5, 7.8Hz, 1H).
실시예 1(5)
3-(4-플루오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0-7.32(m, 6H), 7.04(t-형, J=8.8Hz, 2H), 4.90(t-형, J=6.6Hz, 1H), 3.78(dd, J=13.6, 7.6Hz, 1H), 3.50(dd, J=13.6, 6.4Hz, 1H).
실시예 1(6)
3-(4-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5(dd, J=15, 7.5Hz, 1H), 3.75(dd, J=15, 7.5Hz, 1H), 4.80(t, J=7.5Hz, 1H), 5.60(s, 1H), 6.75(d, J=7.5Hz, 2H), 7.30(d, J=7.5Hz, 2H), 7.45-7.80(m, 4H).
실시예 1(7)
3-(3-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0(dd, J=15, 7.5Hz, 1H), 3.85(dd, J=15, 7.5Hz, 1H), 5.00(t, J=7.5Hz, 1H), 5.65(s, 1H), 6.75-7.00(m, 3H), 7.10-7.30(m, 1H), 7.50-7.80(m, 4H).
실시예 1(8)
3-(2-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5(dd, J=12.5, 5.0Hz, 1H), 3.70(dd, J=12.5, 7.5Hz, 1H), 4.80(dd, J=7.5, 5.0Hz, 1H), 6.65(s, 1H), 6.90(t, J=7.5Hz, 1H), 7.00(d, J=7.5Hz, 1H), 7.30-7.80(m, 6H).
실시예 1(9)
3-(피리딘-4-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3.58(dd, J=13, 6Hz, 1H), 4.00(dd, J=13, 6Hz, 1H), 5.22(t, J=6Hz, 1H), 7.20(m, 2H), 7.69(m, 4H), 8.51(m, 2H).
실시예 1(10)
3-(피리미딘-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3.71(dd, J=14, 7Hz, 1H), 4.24(dd, J=14, 7Hz, 1H), 5.70(t, J=7Hz, 1H), 7.10(t, J=5Hz, 1H), 7.52-7.85(m, 4H), 8.58(d, J=5Hz, 2H).
실시예 1(11)
3-(티아졸-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5(dd, J=13, 4Hz, 1H), 3.81(dd, J=13, 7Hz, 1H), 5.60(dd, J=7, 4Hz, 1H), 7.57-7.80(m, 6H).
실시예 1(12)
3-(3-메틸푸란-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2.27(s, 3H), 3.39(dd, J=14.0Hz, 6.0Hz, 1H), 3.75(dd, J=14.0Hz, 6.0Hz, 1H), 4.69(t, J=6.0Hz, 1H), 6.07(d, J=2.0Hz, 1H), 7.25(d, J=2.0Hz, 1H), 7.48-7.77(m, 4H).
실시예 1(13)
3-(3-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0(dd, J=12.5, 7.5Hz, 1H), 3.75(s, 3H), 3.80(dd,J=12.5, 7.5Hz, 1H), 5.00(t, J=7.5Hz, 1H), 6.85-7.05(m, 3H), 7.20-7.30(m, 1H), 7.50-7.80(m, 4H).
실시예 1(14)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60(dd, J=15, 7.5Hz, 1H), 3.90(s, 3H), 3.95(dd, J=15, 7.5Hz, 1H), 5.25(t, J=7.5Hz, 1H), 7.30-7.80(m, 7H), 7.95-8.05(m, 1H).
실시예 1(15)
3-시클로헥실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2(헥산:아세트산에틸=3:1);
NMR(CDCl3): δ 1.26-2.10(m, 10H), 2.80-2.93(m, 1H), 3.52(dd, J=13.4, 7.4Hz, 1H), 3.92(dd, J=13.4, 7.4Hz, 1H), 4.68(t, J=7.4Hz, 1H), 7.47-7.54(m, 1H), 7.59-7.67(m, 1H), 7.70-7.75(m, 2H).
실시예 1(16)
3-(나프탈렌-1-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3.51(dd, J=13.6, 5.8Hz, 1H), 3.64(dd, J=13.6Hz, 7.3Hz, 1H), 5.01(t-형, J=6.4Hz, 1H), 7.40-7.79(m, 8H), 7.90-7.94(m, 2H), 8.52-8.56(m, 1H).
실시예 1(17)
3-(2-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5(dd, J=12.5, 7.5Hz, 1H), 3.75(dd, J=12.5, 7.5Hz, 1H), 3.90(s, 3H), 5.10(t, J=7.5Hz, 1H), 6.90-7.00(m, 2H), 7.30-7.80(m, 6H).
실시예 1(18)
3-(1-메틸이미다졸-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3.54(dd, J=14, 3Hz, 1H), 3.65(s, 3H), 4.04(dd, J=14, 9Hz, 1H), 6.58(d, J=2.7Hz, 1H), 6.65(d, J=2.7Hz, 1H), 6.95(dd, J=9, 3Hz, 1H), 7.56(m, 1H), 7.67(m, 2H), 7.85(m, 1H).
실시예 2
3-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퍼옥시모노황산칼륨(알드리치사 제조 「옥손」(상품명), 이하, 옥손이라 약기함; 2.14 g)에 물(10 ㎖)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0.961 g)의 메탄올(50 ㎖) 용액에 0℃에서 상기에서 조제한 옥손 수용액(5.5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x2)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화하여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61 ㎎)을 얻었다.
TLC: Rf 0.1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5-7.45(9H, m), 4.57(1H, t, J=7Hz), 3.98(1H, dd, J=14, 7Hz), 3.19(1H, dd, J=14, 7Hz).
실시예 2(1)∼2(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1) 및 실시예 1(14)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1)
3-(티오펜-2-일)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0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5-7.50(4.5 H m), 7.50-7.25(1.5H, m), 7.25-7.10(1H, m), 4.99(0.5H, dd, J=8.4, 4Hz), 4.81(0.5H, dd, J=8.4, 4Hz), 4.02(0.5H, dd, J=14.2, 4.4Hz), 3.72-3.40(1.5H, m).
실시예 2(2)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90(dd, J=12.5, 7.5Hz, 1H), 4.00(s, 3H), 4.00(dd, J=12.5, 7.5Hz, 1H), 5.05(t, J=7.5Hz, 1H), 7.55-7.90(m, 5H), 8.10-8.25(m, 3H).
실시예 3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옥손(2.14 g)에 물(10 ㎖)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0.961 g)의 메탄올(50 ㎖) 용액에 실온으로 상기에서 조제한 옥손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x2)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화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54 g)을 얻었다.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65-3.85(m, 2H), 5.10(dd, J=10, 5.0Hz, 1H), 7.40-7.80(m, 8H), 8.05(d, J=10Hz, 1H).
실시예 3(1)∼3(17)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1)∼1(17)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같이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1)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08(d, J=5.0Hz, 1H), 7.82-7.66(m, 5H), 7.20(dd, J=5.0, 3.8Hz, 1H), 5.82(dd, J=9.4, 3.1Hz, 1H), 4.07(dd, J=15.4, 9.4Hz, 1H), 3.83(dd, J=15.4, 3.1Hz, 1H).
실시예 3(2)
3-(4-메틸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1(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04(1H, d, J=8Hz), 7.82-7.58(3H, m), 7.53(2H, d, J=9Hz), 7.28(2H, d, J=9Hz), 5.08(1H, dd, J=11, 8Hz), 3.86-3.55(2H, m), 2.42(3H, s).
실시예 3(3)
3-(4-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04(1H, d, J=8Hz), 7.88-7.60(3H, m), 7.54(2H, d, J=7Hz), 6.91(2H, d, J=7Hz), 5.06(1H, t, J=7Hz), 3.85(3H, s), 3.80-3.60(2H, m).
실시예 3(4)
3-(4-클로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02(1H, d, J=8Hz), 7.85-7.58(3H, m), 7.58-7.32(4H, m), 5.09(1H, t, J=7Hz), 3.90-3.65(2H, m).
실시예 3(5)
3-(4-플루오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03(1H, d, J=8Hz), 7.90-7.45(5H, m), 7.20-7.00(2H, m), 5.08(1H, t, J=7Hz), 3.80-3.75(2H, m).
실시예 3(6)
3-(4-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3OD+CDCl3): δ 7.97(1H, d, J=7Hz), 7.85-7.55(3H, m), 7.46(2H, d, J=9Hz), 6.84(2H, d, J=9Hz), 5.09(1H, t, J=7Hz), 3.90-3.60(2H, m).
실시예 3(7)
3-(3-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DMSO-d6): δ 9.83(1H, brs), 7.90-7.78(1H, m), 7.78-7.50(3H, m), 7.42-7.08(4H, m), 5.28-5.10(1H, m), 3.90-3.58(2H, m).
실시예 3(8)
3-(2-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DMSO-d6): δ 7.90-7.42(6H, m), 7.13(1H, d, J=8Hz), 6.98(1H, t, J=7Hz), 5.71(1H, dd, J=9, 5Hz), 3.86(1H, dd, J=14, 5Hz), 3.65(1H, dd, J=14, 9Hz).
실시예 3(9)
3-(피리딘-4-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3.87(dd, J=15, 3Hz, 1H), 4.03(dd, J=15, 9Hz, 1H), 5.94(dd, J=9, 3Hz, 1H), 7.70(dd, J=4, 2Hz, 2H), 7.81(m, 4H), 8.88(dd, J=4, 2Hz, 2H).
실시예 3(10)
3-(피리미딘-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디클로로메탄);
NMR(DMSO-d6): δ 4.00(dd, J=16, 4Hz, 1H), 4.12(dd, J=16, 9Hz, 1H), 6.17(dd, J=9, 4Hz, 1H), 7.78(m, 3H), 7.90(m, 2H), 9.09(dd, J=5, 1Hz, 2H).
실시예 3(11)
3-(티아졸-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87(dd, J=15, 9Hz, 1H), 4.20(dd, J=15, 5Hz, 1H), 5.39(dd, J=9, 5Hz, 1H), 7.61-7.81(m, 4H), 7.99-8.08(m, 2H).
실시예 3(12)
3-(3-메틸푸란-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3:2);
NMR(CDCl3): δ 2.39(s, 3H), 3.78(dd, J=15, 4Hz, 1H), 3.88(dd, J=15, 8Hz, 1H), 5.00(dd, J=8, 4Hz, 1H), 5.98(d, J=2Hz, 1H), 7.18(d, J=2Hz, 1H), 7.60-7.80(m, 3H), 8.02(m, 1H).
실시예 3(13)
3-(3-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65-3.90(m, 2H), 3.75(s, 3H), 5.10(dd, J=10, 5.0Hz, 1H), 7.10-7.50(m, 4H), 7.60-7.80(m, 3H), 8.00(d, J=7.5Hz, 1H).
실시예 3(14)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9(염화메틸렌:아세트산에틸=9:1);
NMR(CDCl3): δ 8.01-7.97(m, 1H), 7.84-7.63(m, 7H), 6.06(dd, J=9.0, 4.5Hz, 1H), 4.04(s, 3H), 3.92(dd, J=14.0, 4.5Hz, 1H), 3.63(dd, J=14.0, 9.0Hz, 1H).
실시예 3(15)
3-시클로헥실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13-1.68(m, 8H), 1.90-1.96(m, 1H), 2.15-2.19(m, 1H), 3.07-3.23(m, 1H), 3.87(dd, J=14.5, 8.2Hz, 1H), 3.95(dd, J=14.5, 5.2Hz, 1H), 4.96(dd, J=8.2, 5.2Hz, 1H), 7.63-7.83(m, 3H), 7.96-8.00(m, 1H).
실시예 3(16)
3-(나프탈렌-1-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38(dd, J=14.4, 8.8Hz, 1H), 3.77(dd, J=14.4, 5.0Hz, 1H), 5.31(dd, J=8.8, 5.0Hz, 1H), 7.60-7.81(m, 7H), 8.00-8.05(m, 1H), 8.22-8.28(m, 2H), 8.72-8.77(m, 1H).
실시예 3(17)
3-(2-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DMSO-d6): δ 3.65(dd, J=15, 10Hz, 1H), 3.80(dd, J=15, 5.0Hz, 1H), 4.00(s, 3H), 5.55(dd, J=10, 5.0Hz, 1H), 7.05-7.20(m, 2H), 7.60-7.95(m, 6H).
실시예 4
3-(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3(6)에서 제조한 화합물(283 ㎎)의 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에 N-클로로에틸피페리딘(193 ㎎)과 탄산세슘(1.0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x3),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86 ㎎)을 얻었다.
TLC: Rf 0.54(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 δ 8.03(1H, d, J=7Hz), 7.85-7.55(3H, m), 7.53(2H, d, J=9Hz), 6.92(2H, d, J=9Hz), 5.05(1H, t, J=7Hz), 4.13(2H, t, J=6Hz), 3.85-3.60(2H, m), 2.76(2H, t, J=6Hz), 2.49(4H, brt, J=6Hz), 1.68-1.45(6H, m).
실시예 4(1)∼4(4)
실시예 3(6)∼3(8)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4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1)
3-(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 δ 8.03(1H, d, J=7Hz), 7.90-7.40(5H, m), 6.93(2H, d, J=7Hz), 5.18-4.95(1H, m), 4.14(2H, t, J=6Hz), 3.90-3.60(2H, m), 2.91(2H, t, J=6Hz), 2.75-2.40(4H, m), 1.84-1.74(4H, m).
실시예 4(2)
3-(4-(2-(모르폴린-4-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 δ 8.05(1H, d, J=7Hz), 7.85-7.40(5H, m), 6.91(2H, d, J=7Hz), 5.06(1H, t, J=7Hz), 4.13(2H, t, J=6Hz), 3.95-3.50(6H, m), 2.80(2H, t, J=6Hz), 2.70-2.40(4H, m).
실시예 4(3)
3-(3-벤질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02(1H, d, J=7Hz), 7.85-7.52(3H, m), 7.52-7.10(9H, m), 5.15-4.85(3H, m), 3.80-3.45(2H, m).
실시예 4(4)
3-(2-벤질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3(1H, dd, J=8, 2Hz), 7.85-7.30(10H, m), 7.25-7.08(2H, m), 5.52(1H, dd, J=9, 5Hz), 5.28(2H, s), 3.79(1H, dd, J=14, 5Hz), 3.48(1H, dd, J=14, 9Hz).
실시예 5
3-(4-(피리딘-2-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3(6)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N-클로로에틸피페리딘 대신에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4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5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65-8.55(1H, m), 7.80-7.20(9H, m), 7.00-6.90(2H, m), 5.20(2H, s), 4.85(1H, t, J=7.5Hz), 3.75(1H, dd, J=12.5, 7.5Hz), 3.45(1H, dd, J=12.5, 7.5Hz).
실시예 5(1)∼5(9)
실시예 1(6)∼1(8)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1)
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70-8.60(2H, m), 7.80-7.30(8H, m), 7.00-6.90(2H, m), 5.05(2H, s), 4.85(1H, t, J=5Hz), 3.75(1H, dd, J=15, 5Hz), 3.45(1H, dd, J=15, 5Hz).
실시예 5(2)
3-(4-(피리딘-4-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65-8.60(2H, m), 7.80-7.30(8H, m), 7.00-6.90(2H, m), 5.10(2H, s), 4.85(1H, t, J=5Hz), 3.75(1H, dd, J=15, 5Hz), 3.45(1H, dd, J=15, 5Hz).
실시예 5(3)
3-(4-(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3OD): δ 1.90-2.10(m, 2H), 3.30-3.50(m, 1H), 3.50-4.00(m, 3H), 4.00-4.20(m, 2H), 4.90-5.10(m, 1H), 6.80-7.00(m, 2H), 7.30-7.50(m, 2H), 7.50-7.80(m, 4H).
실시예 5(4)
3-(3-(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3.50(dd, J=12.5, 7.5Hz, 1H), 3.80(dd, J=12.5, 7.5Hz, 1H), 4.95-5.10(m, 1H), 5.00(s, 2H), 6.90-7.10(m, 3H), 7.20-7.40(m, 2H), 7.50-7.80(m, 5H), 8.50-8.70(m, 2H).
실시예 5(5)
3-(3-(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95-2.05(m, 2H), 3.50(dd, J=12.5, 7.5Hz, 1H), 3.80(dd, J=12.5, 7.5Hz, 1H), 3.85(t, J=7.5Hz, 2H), 4.05(t, J=7.5Hz, 2H), 5.00(t, J=7.5Hz, 1H), 6.80-7.05(m, 3H), 7.20-7.30(m, 1H), 7.50-7.80(m, 4H).
실시예 5(6)
3-(2-(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3OD): δ 3.50(dd, J=15, 5.0Hz, 1H), 3.85(dd, J=15, 7.5Hz, 1H), 5.20(dd, J=7.5, 5.0Hz, 1H), 5.25(s, 2H), 7.00(t, J=7.5Hz, 1H), 7.20(d,J=7.5Hz, 1H), 7.35-7.70(m, 7H), 8.00(d, J=7.5Hz, 1H), 8.50(dd, J=5.0, 2.5Hz, 1H), 8.70(d, J=2.5Hz, 1H).
실시예 5(7)
3-(2-(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2.05-2.10(m, 2H), 2.30-2.60(m, 1H), 3.50(dd, J=15, 5.0Hz, 1H), 3.70(dd, J=15, 7.5Hz, 1H), 3.90(t, J=5.0Hz, 2H), 4.20-4.40(m, 2H), 5.10(dd, J=7.5, 5.0Hz, 1H), 6.90-7.00(m, 2H), 7.30-7.80(m, 6H).
실시예 5(8)
3-(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톨루엔: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80-7.10(6H, m), 6.80(2H, d, J=10Hz), 5.10-4.70(2H, m), 4.00(2H, t, J=5Hz), 3.75(1H, dd, J=15, 7.5Hz), 3.60-3.40(3H, m), 1.45(9H, s).
실시예 5(9)
3-(3-(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0-7.50(4H, m), 7.40-7.20(1H, m), 7.05-6.70(3H, m), 5.05-4.90(2H, m), 3.95(2H, t, J=5Hz), 3.80(1H, dd, J=15, 5Hz), 3.60-3.40(3H, m), 1.45(9H, s).
실시예 6
3-(4-(피리딘-2-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4(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60-8.55(1H, m), 7.90-7.60(7H, m), 7.50(1H, d, J=7.5Hz), 7.40-7.30(1H, m), 7.20(2H, d, J=7.5Hz), 5.70(1H, dd, J=10, 2.5Hz), 5.30(2H, s), 4.00(1H, dd, J=15, 10Hz), 3.75(1H, dd, J=15, 2.5Hz).
염산염:
TLC: Rf 0.49(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9:1);
NMR(CD3OD): δ 3.80(dd, J=15, 2.5Hz, 1H), 3.95(dd, J=15, 10Hz, 1H), 5.50(dd, J=10, 2.5Hz, 1H), 5.60(s, 2H), 7.20(d, J=7.5Hz, 2H), 7.55-8.00(m, 4H), 7.70(d, J=7.5Hz, 2H), 8.05-8.25(m, 2H), 8.60-8.95(m, 2H).
실시예 6(1)∼6(9)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1)∼5(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고, 또한, 필요하면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1)
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70-8.55(2H, m), 8.10-8.00(1H, m), 7.80-7.50(6H, m), 7.40-7.30(1H, m), 7.10-6.90(2H, m), 5.15(2H, s), 5.20-5.00(1H, m), 3.90-3.70(2H, m).
염산염:
TLC: Rf 0.38(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9:1);
NMR(CD3OD): δ 3.80(dd, J=15, 2.5Hz, 1H), 3.95(dd, J=15, 10Hz, 1H), 5.45(s, 2H), 5.45-5.55(m, 1H), 7.20(d, J=10Hz, 2H), 7.60-8.00(m, 4H), 7.60(d, J=10Hz, 2H), 8.10-8.20(m, 1H), 8.70-9.00(m, 3H).
실시예 6(2)
3-(4-(피리딘-4-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2(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60(2H, d, J=5Hz), 7.90-7.65(6H, m), 7.45(2H, d, J=5Hz), 7.20(2H, d, J=7.5Hz), 5.75(1H, dd, J=7.5, 2.5Hz), 5.30(2H, s), 4.00(1H, dd, J=15, 7.5Hz), 3.80(1H, dd, J=15, 2.5Hz).
염산염:
TLC: Rf 0.35(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9:1);
NMR(DMSO-d6): δ 3.80(dd, J=15, 2.5Hz, 1H), 4.00(dd, J=15, 10Hz, 1H), 5.55(s, 2H), 5.75(dd, J=10, 2.5Hz, 1H), 7.25(d, J=10Hz, 2H), 7.65-7.90(m, 4H), 7.70(d, J=10Hz, 2H), 7.95(d, J=7.5Hz, 2H), 8.90(d, J=7.5Hz, 2H).
실시예 6(3)
3-(4-(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2.05(5중선, J=5.0Hz, 2H), 3.70-3.90(m, 2H), 3.85(t, J=5.0Hz, 2H), 4.15(t, J=5.0Hz, 2H), 5.05(t, J=7.5Hz, 1H), 6.90(d, J=10Hz, 2H), 7.50(d, J=10Hz, 2H), 7.60-7.80(m, 3H), 8.05(d, J=7.5Hz, 1H).
실시예 6(4)
3-(3-(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6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2:1);
NMR(CD3OD): δ 3.85(dd, J=15, 5.0Hz, 1H), 3.95(dd, J=15, 10Hz, 1H), 5.35(d, J=12.5Hz, 1H), 5.45(d, J=12.5Hz, 1H), 5.55(dd, J=10, 5.0Hz, 1H), 7.20-7.85(m, 7H), 7.95(d, J=7.5Hz, 1H), 8.15(dd, J=10, 7.5Hz, 1H), 8.75(d, J=7.5Hz, 1H), 8.85(d, J=5.0Hz, 1H), 9.00(s, 1H).
실시예 6(5)
3-(3-(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1.90-2.20(m, 2H), 3.65-3.90(m, 4H), 3.95-4.20(m, 2H), 5.10(dd, J=10, 5.0Hz, 1H), 7.10-7.30(m, 3H), 7.30-7.45(m, 1H), 7.60-7.80(m, 3H), 8.00(d, J=5.0Hz, 1H).
실시예 6(6)
3-(2-(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1(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2:1);
NMR(DMSO-d6): δ 3.70(dd, J=15, 2.5Hz, 1H), 3.95(dd, J=15, 10Hz, 1H), 5.60(s, 2H) 5.75(dd, J=10, 2.5Hz, 1H), 7.20-7.35(m, 1H), 7.40-7.60(m, 2H),7.60-7.90(m, 5H), 7.95-8.10(m, 1H), 8.60(d, J=7.5Hz, 1H), 8.90(d, J=5.0Hz, 1H), 9.05(s, 1H).
실시예 6(7)
3-(2-(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2.00-2.30(m, 2H), 2.50-2.80(m, 1H), 3.55(dd, J=15, 10Hz, 1H), 3.80(dd, J=15, 5.0Hz, 1H), 3.95(t, J=5.0Hz, 2H), 4.25-4.50(m, 2H), 5.65(dd, J=10, 5.0Hz, 1H), 7.10-7.20(m, 2H), 7.60-7.80(m, 4H), 7.80-7.95(m, 2H).
실시예 6(8)
3-(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1.40(s, 9H), 3.80(dd, J=15, 2.5Hz, 1H), 3.90-4.15(m, 5H), 5.75(dd, J=10, 2.5Hz, 1H), 6.90-7.10(m, 1H), 7.10(d, J=7.5Hz, 2H), 7.60-7.85(m, 4H), 7.65(d, J=7.5Hz, 2H).
실시예 6(9)
3-(3-(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5(s, 9H), 3.45-3.55(m, 2H), 3.70-4.00(m, 4H), 4.85-5.00(m, 1H), 5.10(dd, J=10, 5.0Hz, 1H), 7.00-7.50(m, 4H), 7.60-7.80(m, 3H),8.05(d, J=7.5Hz, 1H).
실시예 7
3-(4-(2-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200 ㎎)의 디옥산(25 ㎖)과 메탄올(5 ㎖) 용액에 실온에서 4N 염산-디옥산 용액(10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60 ㎎)을 얻었다.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3:1);
NMR(CD3OD): δ 3.35(t, J=5.0Hz, 2H), 3.80(dd, J=15, 5.0Hz, 1H), 3.95(dd, J=15, 10Hz, 1H), 4.30(t, J=5.0Hz, 2H), 5.45(dd, J=10, 5.0Hz, 1H), 7.10(d, J=7.5Hz, 2H), 7.60(d, J=7.5Hz, 2H), 7.60-8.00(m, 4H).
실시예 7(1)
3-(3-(2-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4:3:1);
NMR(CD3OD): δ 3.25-3.45(m, 2H), 3.80-4.00(m, 2H), 4.15-4.35(m, 2H), 5.55(dd, J=7.5, 2.5Hz, 1H), 7.20-7.50(m, 4H), 7.60-8.00(m, 4H).
실시예 8
3-(4-(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합물(105 ㎎)과 90% 파라포름알데히드(87 ㎎)의 아세트산(3 ㎖)과 메탄올(3 ㎖) 혼합 용액에 0℃에서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86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3:1)에 의해 정제하였다. 또한, 얻은 화합물인 디옥산(25 ㎖)과 메탄올(5 ㎖) 용액에 실온에서 4N 염산-디옥산 용액(10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5 ㎎)을 얻었다.
TLC: Rf 0.4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3:1);
NMR(CD3OD): δ 3.10(s, 6H), 3.60(t, J=5.0Hz, 2H), 3.80(dd, J=15, 2.5Hz, 1H), 3.95(dd, J=15, 10Hz, 1H), 4.45(t, J=5.0Hz, 2H), 5.50(dd, J=10, 2.5Hz, 1H), 7.10(d, J=7.5Hz, 2H), 7.60(d, J=7.5Hz, 2H), 7.60-8.00(m, 4H).
실시예 8(1)
3-(3-(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7(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2:1);
NMR(DMSO-d6): δ 2.80(s, 6H), 3.50(t, J=5.0Hz, 2H), 3.85(dd, J=15, 2.5Hz, 1H), 4.00(dd, J=15, 10Hz, 1H), 4.30-4.55(m, 2H), 5.90(dd, J=10, 2.5Hz, 1H), 7.30-7.60(m, 4H), 7.70-7.90(m, 4H).
실시예 9
5-니트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 대신에 5-니트로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3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52(1H, d, J=2Hz), 8.38(1H, dd. J=8.4, 2.0Hz), 7.89(1H, d, J=8.4Hz), 7.48-7.36(5H, m), 4.97(1H, dd, J=7.2, 6.8Hz), 3.92(1H, dd, J=13.6, 7.2Hz), 3.60(1H, dd, J=13.6, 6.8Hz).
실시예 9(1)∼9(17)
5-니트로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 대신에 해당 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9(1)
6-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2(dd, J=13.6Hz, 6.8Hz, 1H), 3.81(dd, J=13.6Hz, 6.8Hz, 1H), 3.86(s, 3H), 4.92(t, J=6.8Hz, 1H), 7.14-7.21(m, 2H), 7.32-7.40(m, 3H), 7.40-7.43(m, 2H), 7.57-7.61(m, 1H).
실시예 9(2)
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1(헥산:디클로로메탄=1:4);
NMR(CDCl3): δ 3.60(dd, J=14.0Hz, 1.8Hz, 1H), 3.71(dd, J=14.0Hz, 6.9Hz, 1H), 3.91(s, 3H), 5.05(dd, J=6.9Hz, 1.8Hz, 1H), 7.07(dd, J=8.1Hz, 0.7Hz, 1H), 7.29-7.37(m, 4H), 7.48-7.56(m, 3H).
실시예 9(3)
5-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1(dd, 1H, J=14, 5Hz), 3.79(dd, 1H, J=14, 5Hz), 3.88(s, 3H), 4.92(t, 1H, J=5Hz), 7.04(dd, 1H, J=5Hz, 2Hz), 7.13(d, 1H, J=2Hz), 7.35(m, 3H), 7.44(m, 2H), 7.63(d, 1H, J=5Hz).
실시예 9(4)
7-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2-7.38(1H, m), 7.58-7.28(6H, m), 6.79(1H, d, J=8.4Hz), 4.89(1H, t, J=7.6Hz), 3.97(3H, s), 3.78(1H, dd, J=13.5, 7.6Hz), 3.52(1H, dd, J=13.5, 7.6Hz).
실시예 9(5)
4-클로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3.68(dd, J=14.2, 3.0Hz, 1H), 3.75(dd, J=14.2, 5.6Hz, 1H), 5.00(dd, J=5.6, 3.0Hz, 1H), 7.35-7.40(m, 3H), 7.49-7.59(m, 3H), 7.64-7.69(m, 2H).
실시예 9(6)
5-(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5(s, 9H), 3.60(dd, J=12.5, 2.5Hz, 1H), 3.75(dd, J=12.5Hz, 7.5Hz, 1H), 4.50(dd, J=15, 5.0Hz, 1H), 4.85(dd, J=15, 7.5Hz, 1H), 5.00-5.20(m, 2H)7.30-7.45(m, 3H), 7.50-7.75(m, 5H).
실시예 9(7)
4,7-디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0-7.30(5H, m), 7.20(1H, d, J=7.8Hz), 4.89(1H, dd, J=5.8, 2.2Hz), 3.75-3.55(2H, m), 2.60(3H, s), 2.54(3H, s).
실시예 9(8)
4,6-디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6-7.24(7H, m), 4.90(1H, dd, J=6.0, 1.8Hz), 3.80-3.66(2H, m), 2.56(3H, s), 2.42(3H, s).
실시예 9(9)
4-에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5-7.30(8H, m), 4.99(1H, dd, J=5.9, 2.4Hz), 3.75-3.57(2H, m), 2.98(2H, q, J=7.6Hz), 1.37(3H, t, J=7.6Hz).
실시예 9(10)
4-메톡시-5-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99(1H, d, J=8.0Hz), 7.60-7.50(3H, m), 7.45-7.35(3H, m), 5.11(1H, dd, J=5.9, 2.8Hz), 4.45(2H, q, J=7.0Hz), 4.09(3H, s), 3.75-3.60(2H, m), 1.44(3H, t, J=7.0Hz).
실시예 9(11)
4-브로모-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헥산:아세트산에틸=3:1);
NMR(CDCl3): δ 3.69(dd, J=13.9, 2.8Hz, 1H), 3.74(dd, J=13.9, 5.3Hz, 1H), 4.94(dd, J=5.3, 2.8Hz, 1H), 7.37-7.39(m, 3H), 7.45(t, J=7.8Hz, 1H), 7.57-7.60(m, 2H), 7.71(d, J=7.8Hz, 1H), 7.84(dd, J=7.8, 0.9Hz, 1H).
실시예 9(12)
4-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9(dd, J=13.9, 5.9Hz, 1H), 3.81(dd, J=13.9, 7.5Hz, 1H), 4.93(dd, J=7.5, 5.9Hz, 1H), 7.17(dd, J=8.0, 0.5Hz, 1H), 7.25-7.51(m, 7H).
실시예 9(13)
5-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1(dd, J=14.0, 7.0Hz, 1H), 3.78(dd, J=14.0,7.0Hz, 1H), 4.89(t, J=7.0Hz, 1H), 6.32(s, 1H), 6.94(dd, J=5.0Hz, 2.0Hz, 1H), 7.12(d, J=2.0Hz, 1H), 7.35(m, 3H), 7.43(m, 2H), 7.58(d, J=5.0Hz, 1H).
실시예 9(14)
6-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54(dd, J=13.8, 5.9Hz, 1H), 3.83(dd, J=13.8, 7.4Hz, 1H), 4.91(t-형, J=6.6Hz, 1H), 7.10-7.15(m, 2H), 7.31-7.42(m, 5H), 7.51-7.56(m, 1H).
실시예 9(15)
7-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0-7.20(5H, m), 7.11(1H, d, J=8.0Hz), 6.85(1H, d, J=8.0Hz), 6.68(1H, dd, J=32.6, 6.6Hz), 4.91(1H, t, J=7.5Hz), 3.79(1H, dd, 14, 7.5Hz), 3.50(1H, dd, J=14, 7.5Hz).
실시예 9(16)
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9(dd, J=14.0, 7.0Hz, 1H), 3.85(dd, J=14.0, 8.0Hz, 1H), 4.91(dd, J=8.0, 7.0Hz, 1H), 7.40(m, 5H), 7.58(dd, J=8.0, 5.0Hz, 1H), 8.08(m, 1H), 8.76(m, 1H).
실시예 9(17)
4,7-디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9.25(2H, brs), 7.55-7.45(2H, m), 7.40-7.30(3H, m), 6.96(1H, d, J=8.8Hz), 6.85(1H, d, J=8.8Hz), 5.09(1H, dd, J=7.4, 1.6Hz), 3.71(1H, dd, 13.9, 7.4Hz), 3.50(1H, dd, J=13.9, 1.6Hz).
실시예 10
5-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화합물(790 ㎎)의 클로로포름(45 ㎖) 용액에 0℃에서 3-클로로과벤조산(70% 순도, 1.21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3:2)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497㎎)을 얻었다.
TLC: Rf 0.3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98(dd, J=15.5, 3.0Hz, 1H), 4.19(dd, J=15.5, 9.3Hz, 1H), 5.95(dd, J=9.3, 3.0Hz, 1H), 7.59-7.67(m, 2H), 7.78-7.84(m, 3H), 8.11(d, J=8.6Hz, 1H), 8.41(d, J=2.0Hz, 1H), 8.51(dd, J=8.6, 2.0Hz, 1H).
실시예 10(1)∼10(16)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9(1)∼9(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3-클로로과벤조산 대신에 옥손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1)
6-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66-3.82(m, 2H), 3.87(s, 3H), 5.00(dd, J=7.5, 5.5Hz, 1H), 7.06(d, J=2.4Hz, 1H), 7.24(dd, J=8.8, 2.4Hz, 1H), 7.46-7.54(m, 2H), 7.63-7.71(m, 3H), 7.86(d, J=8.8Hz, 1H).
실시예 10(2)
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9(s, 3H), 3.76(dd, J=14.9, 9.2Hz, 1H), 4.31(dd, J=14.9, 1.3Hz, 1H), 5.23(dd, J=9.2, 1.3Hz, 1H), 6.90(d, J=8.0Hz, 1H), 7.31(d, J=7.8Hz, 1H), 7.45-7.54(m, 3H), 7.58-7.68(m, 1H), 7.72-7.77(m, 2H).
실시예 10(3)
5-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70(dd, J=12, 8Hz, 1H), 3.77(dd, J=12, 4Hz, 1H), 3.94(s, 3H), 5.01(dd, J=8, 4Hz, 1H), 7.12(d, J=8Hz, 1H), 7.44(s, 1H), 7.53(m, 3H), 7.68(m, 3H).
실시예 10(4)
7-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7.80-7.55(6H, m), 7.27(1H, d, J=8.2Hz), 7.15(1H, d, J=8.2Hz), 5.73(1H, dd, J=9.5, 3.4Hz), 3.91(1H, dd, J=15, 9.5Hz), 3.87(3H, s), 3.69(1H, dd, J=15, 3.4Hz).
실시예 10(5)
4-클로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15:1);
NMR(CDCl3): δ 3.79(dd, J=15.0, 9.2Hz, 1H), 4.24(dd, J=15.0, 1.0Hz, 1H), 5.26(dd, J=9.2, 1.0Hz, 1H), 7.46-7.66(m, 6H), 7.77-7.81(m, 2H).
실시예 10(6)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5(s, 9H), 3.75(dd, J=15, 10Hz, 1H), 3.85(dd, J=15, 2.5Hz, 1H), 4.40(dd, J=15, 5.0Hz, 1H), 4.95(dd, J=15, 7.5Hz, 1H), 5.35(m, 2H), 7.45-7.90(m, 8H).
실시예 10(7)
4,7-디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DMSO-d6): δ 7.81-7.70(3H, m), 7.70-7.55(2H, m), 7.48(1H, d, J=7.8Hz), 7.38(1H, d, J=7.8Hz), 5.73(1H, t, J=5.2Hz), 3.84(2H, d-형, J=5.2Hz), 2.40(3H, s), 2.36(3H, s).
실시예 10(8)
4,6-디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DMSO-d6): δ 7.82-7.70(3H, m), 7.70-7.55(2H, m), 7.42(2H, d, J=5.4Hz), 5.73(1H, t, J=4.8Hz), 3.86-3.80(2H, m), 2.38(6H, s).
실시예 10(9)
4-에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8-7.40(8H, m), 5.22(1H, d, J=9.2Hz), 3.99(1H, d, J=15.2Hz), 3.76(1H, dd, J=15.2, 9.2Hz), 3.07(2H, dq, J=7.6, 2.2Hz), 1.33(3H, t, J=7.6Hz).
실시예 10(10)
4-메톡시-5-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1(1H, d, J=8.0Hz), 7.83-7.45(5H, m), 7.41(1H, d, J=8.0Hz), 5.28(1H, d-형, J=8.0Hz), 4.42(2H, q, J=7.0Hz), 4.17(1H, dd, J=15, 1.6Hz), 3.86(3H, s), 3.75(1H, dd, J=15, 8.0Hz), 1.43(3H, t, J=7.0Hz).
실시예 10(11)
4-브로모-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79(dd, J=15.0, 9.2Hz, 1H), 4.23(dd, J=15.0, 1.1Hz, 1H), 5.23(d-형, J=8.8Hz, 1H), 7.44-7.54(m, 3H), 7.62-7.70(m, 2H), 7.78-7.83(m, 3H).
실시예 10(12)
4-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3.96(dd, J=15.0, 8.4Hz, 1H), 4.08(dd, J=15.0, 1.8Hz, 1H), 5.51(dd, J=8.4, 1.8Hz, 1H), 7.00(d-형, J=8.0Hz, 1H), 7.16(d, J=7.0Hz, 1H), 7.47(t, J=8.0Hz, 1H), 7.56-7.63(m, 2H), 7.71-7.81(m, 3H).
실시예 10(13)
5-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3.66(dd, J=14, 4Hz, 1H), 3.90(dd, J=14, 9Hz, 1H), 5.71(dd, J=9, 4Hz, 1H), 7.07(m, 2H), 7.55-7.82(m, 6H), 10.80(brs, 1H).
실시예 10(14)
6-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3.73(dd, J=15.2, 3.2Hz, 1H), 3.96(dd, J=15.2, 9.2Hz, 1H), 5.60(dd, J=9.2, 3.2Hz, 1H), 6.94(s-형, 1H), 7.16(d-형, J=8.4Hz, 1H), 7.50(d, J=8.4Hz, 1H), 7.57-7.64(m, 2H), 7.71-7.76(m, 3H).
실시예 10(15)
7-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7.80-7.45(6H, m), 6.98(2H, d, J=8.4Hz), 5.66(1H, dd, J=9.6, 3.2Hz), 3.85(1H, dd, J=15, 9.6Hz), 3.68-3.58(1H, m).
실시예 10(16)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TLC: Rf 0.2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65(dd, J=15, 8Hz, 1H), 3.74(dd, J=15, 6Hz, 1H), 5.04(dd, J=8, 6Hz, 1H), 7.58(m, 2H), 7.69(m, 4H), 8.48(m, 1H), 8.86(m, 1H).
실시예 11
5-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화합물(110 ㎎)의 에탄올(7.5 ㎖)과 아세트산에틸(7.5 ㎖)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 5% 팔라듐-탄소(20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상품명)를 통과시켜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2: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94 ㎎)을 얻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29(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3.61(dd, J=14.6, 8.3Hz, 1H), 3.70(dd, J=14.6, 5.6Hz, 1H), 4.34(brs, 2H), 4.94(dd, J=8.3, 5.6Hz, 1H), 6.79(dd, J=8.0, 2.0Hz, 1H), 7.21(d, J=2.0Hz, 1H), 7.40(d, J=8.0Hz, 1H), 7.49-7.55(m, 2H), 7.63-7.74(m, 3H).
염산염:
TLC: Rf 0.47(디클로로메탄:메탄올=18:1);
NMR(DMSO-d6): δ 3.53(dd, J=14.9, 3.8Hz, 1H), 3.75(dd, J=14.9, 9.4Hz, 1H), 5.58(dd, J=9.4, 3.8Hz, 1H), 6.76(dd, J=8.6, 2.1Hz, 1H), 6.90(d, J=2.1Hz, 1H), 7.31(d, J=8.6Hz, 1H), 7.57-7.65(m, 2H), 7.72-7.79(m, 3H).
실시예 12
5-아세틸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91 ㎎)의 피리딘(2 ㎖)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1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발명 화합물(86 ㎎)을 얻었다.
TLC: Rf 0.2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2.24(s, 3H), 3.66(dd, J=14.8, 8.3Hz, 1H), 3.75(dd, J=14.8, 5.2Hz, 1H), 5.04(dd, J=8.3, 5.2Hz, 1H), 7.49-7.59(m, 3H), 7.66-7.75(m, 3H), 7.87-7.94(m, 2H), 8.04(s-형, 1H).
실시예 13
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0(6)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2:1);
NMR(DMSO-d6): δ 3.80-4.00(m, 2H), 4.35(d, J=15Hz, 1H), 4.55(d, J=15Hz, 1H), 6.30-6.40(m, 1H), 7.60-7.70(m, 2H), 7.75-7.95(m, 5H), 8.00-8.15(m, 1H), 8.30-8.65(m, 2H).
실시예 14
4-(N,N-디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5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2:1);
NMR(DMSO-d6): δ 2.65 및 2.70(모두 s, 총 3H), 2.85 및 2.90(모두 s, 총 3H), 3.80(d, J=12.5Hz, 1H), 4.05(dd, J=12.5, 7.5Hz, 1H), 4.50-4.70(m, 1H), 4.70-4.90(m, 1H), 6.35(d, J=7.5Hz, 1H), 7.60-8.00(m, 7H), 8.20-8.35(m, 1H), 10.85(brs, 1H).
실시예 15
4-메톡시-5-포르밀-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리튬알루미늄하이드리드(54 ㎎)의 테트라히드로푸란(10 ㎖) 현탁액에 -78℃에서 실시예 10(10)에서 제조한 화합물(300 ㎎)의 테트라히드로푸란(10 ㎖) 용액을 적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51 ㎎)을 얻었다.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3.80(dd, J=15.2, 9.3Hz, 1H), 4.05(s, 3H), 4.14(dd, J=15.2, 1.4Hz, 1H), 5.28(dd, J=9.3, 1.4Hz, 1H), 7.46-7.54(m, 3H), 7.63-7.78(m, 3H), 8.05(d, J=8.0Hz, 1H), 10.33(d, J=0.6Hz, 1H).
실시예 16
4-메톡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티오페네티올과 4-메톡시벤조티오펜-1,1-디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7(디클로로메탄:헥산=4:1);
NMR(CDCl3): δ 3.66(d, J=15.5, 5.4Hz, 1H), 3.73(dd, J=15.5, 4.2Hz, 1H), 3.95(s, 3H), 4.88(dd, J=5.4, 4.2Hz, 1H), 7.01(dd, J=5.4, 3.6Hz, 1H), 7.09(d, J=8.0Hz, 1H), 7.19(dd, J=3.6, 1.2Hz, 1H), 7.27(d, J=8.0Hz, 1H), 7.44(dd, J=5.4, 1.2Hz, 1H), 7.53(t, J=8.0Hz, 1H).
실시예 17
4-메톡시-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6(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10:1);
NMR(CDCl3): δ 3.73(s, 3H), 3.79(dd, J=15.0, 9.2Hz, 1H), 4.23(dd, J=15.0, 1.2Hz, 1H), 5.32(dd, J=9.2, 1.2Hz, 1H), 7.04(d, J=8.0Hz, 1H), 7.11(dd, J=4.9, 3.8Hz, 1H), 7.30(d, J=8.0Hz, 1H), 7.53(dd, J=3.8, 1.4Hz, 1H), 7.59(t, J=8.0Hz, 1H), 7.73(dd, J=4.9, 1.4Hz, 1H).
실시예 18
4-(4-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1.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30 ㎖) 용액에 4-니트로벤질브롬화물(947 ㎎)과 탄산칼륨(1.0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x3),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1 g)을 얻었다.
TLC: Rf 0.2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25(2H, d, J=8.5Hz), 7.71(2H, d, J=8.5Hz), 7.60-7.20(7H, m), 7.10(1H, d, J=8Hz), 5.32(2H, s), 5.11(1H, dd, J=7, 2Hz), 3.85-3.55(2H, m).
실시예 18(1)∼18(40)
실시예 9(12)∼9(15) 또는 실시예 9(17)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8(1)
4-(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4-7.42(3H, m), 7.32-7.19(6H, m), 7.10(1H, d, J=8.0Hz), 6.95-6.84(3H, m), 5.01(1H, dd, J=6.6, 2.2Hz), 4.31(2H, t, J=6.0Hz), 4.20(2H, t, J=6.0Hz), 3.69(1H, dd, J=13.9, 6.6Hz), 3.59(1H, dd, J=13.9, 2.2Hz), 2.31(2H, 5중선, J=6.0Hz).
실시예 18(2)
4-벤질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4-7.26(12H, m), 7.13(1H, d, J=9.0Hz), 5.22(2H, s), 5.03(1H, dd, J=6.0, 2.6Hz), 3.71(1H, dd, J=13.8, 6.0Hz), 3.63(1H, dd, J=13.8, 2.6Hz).
실시예 18(3)
4-(3-벤질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13(5중선, J=6.0Hz, 2H), 3.58(dd, J=14.0, 2.4Hz, 1H), 3.67(dd, J=14.0, 6.6Hz, 1H), 3.69(t, J=6.0Hz, 2H), 4.22(t, J=6.0Hz, 2H), 4.44(d, J=12.0Hz, 1H), 4.52(d, J=12.0Hz, 1H), 4.92(dd, J=6.6, 2.4Hz, 1H), 7.08(d-형, J=7.4Hz, 1H), 7.26(s, 5H), 7.30-7.35(m, 4H), 7.43-7.54(m, 3H).
실시예 18(4)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3.62(dd, J=14.0, 2.2Hz, 1H), 3.72(dd, J=14.0, 6.2Hz, 1H), 5.04(dd, J=6.2, 2.2Hz, 1H), 5.23(s, 2H), 7.15(dd, J=8.0, 1.0Hz, 1H),7.26-7.45(m, 7H), 7.54(t, J=8.0Hz, 1H), 7.85-7.92(m, 1H), 8.63(dd, J=4.7, 2.0Hz, 1H), 8.76(dd, J=2.0, 0.6Hz, 1H).
실시예 18(5)
4-(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18(1H, d, J=8Hz), 8.10(1H, d, J=8Hz), 7.92-7.68(3H, m), 7.68-7.40(4H, m), 7.40-7.22(4H, m), 7.16(1H, d, J=8Hz), 5.53(2H, s), 5.18(1H, dd, J=7, 2Hz), 3.76(1H, dd, J=14, 7Hz), 3.66(1H, dd, J=14, 2Hz).
실시예 18(6)
4-(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62(1H, d, J=5Hz), 7.80-7.58(2H, m), 7.58-7.38(3H, m), 7.38-7.18(5H, m), 7.11(1H, d, J=8Hz), 5.35(2H, s), 5.15(1H, dd, J=7, 2Hz), 3.85-3.58(2H, m).
실시예 18(7)
4-(피리딘-4-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78-8.55(2H, m), 7.65-7.18(9H, m), 7.07(1H, d, J=8Hz), 5.23(2H, s), 5.11(1H, dd, J=7, 2Hz), 3.82-3.53(2H, m).
실시예 18(8)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48-8.35(m, 2H), 7.67-7.33(m, 9H), 6.95(d, J=8.0Hz, 1H), 5.01(d-형, J=8.5Hz, 1H), 4.15-3.86(m, 4H), 2.81(t, J=7.0Hz, 2H), 2.21-2.01(m, 2H).
실시예 18(9)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4(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2.06-2.17(m, 2H), 3.57(dd, J=14.0, 2.2Hz, 1H), 3.67(dd, J=14.0, 6.6Hz, 1H), 3.91(br, 2H), 4.27(t, J=5.8Hz, 2H), 5.05(dd, J=6.6, 2.2Hz, 1H), 7.11(d, J=8.0Hz, 1H), 7.30-7.38(m, 4H), 7.49-7.56(m, 3H).
실시예 18(10)
5-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0.95(t, J=7.0Hz, 3H), 1.38-1.47(m, 4H), 1.82(5중선, J=6.8Hz, 2H), 3.51(dd, J=15, 7Hz, 1H), 3.79(dd, J=15, 7Hz, 1H), 4.00(t, J=6.8Hz, 2H), 4.89(t, J=7.0Hz, 1H), 7.01(dd, J=8, 2Hz, 1H), 7.12(d, J=2Hz, 1H), 7.36-7.38(m, 3H), 7.41-7.43(m, 2H), 7.61(d, J=8Hz, 1H).
실시예 18(11)
5-(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5(1H, d, J=8.5Hz), 7.45-7.42(2H, m), 7.34-7.29(5H, m), 7.21(1H, d, J=2.2Hz), 7.09(1H, dd, J=8.5, 2.2Hz), 7.00(1H, t, J=7.0Hz), 6.95(1H, d, J=8.5Hz), 4.93(1H, t, J=7.0Hz), 4.38(4H, m), 3.78(1H, dd, J=14.0, 7.0Hz), 3.52(1H, dd, J=14.0, 7.0Hz).
실시예 18(12)
5-(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10(5중선, J=6.5Hz, 2H), 3.60(dd, J=14, 6.7Hz, 1H), 3.82(dd, J=14, 6.7Hz, 1H), 3.89(t, J=6.5Hz, 2H), 4.20(t, J=6.5Hz, 2H), 4.98(t, J=6.7Hz, 1H), 7.20(dd, J=8.5, 2.2Hz, 1H), 7.35-7.47(m, 6H), 7.61(d, J=8.5Hz, 1H).
실시예 18(13)
5-(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3.51(dd, J=9.0, 4.5Hz, 1H), 3.79(dd, J=9.0, 5.0Hz, 1H), 4.91(t-형, J=4.7Hz, 1H), 5.14(s, 2H), 7.11(dd, J=5.6, 1.6Hz, 1H), 7.21(d, J=1.6Hz, 1H), 7.33-7.42(m, 6H), 7.65(d, J=5.6Hz, 1H), 7.77(dt, J=5.4, 1.3Hz, 1H), 8.63(dd, J=3.2, 1.3Hz, 1H), 8.70(d, J=1.3Hz, 1H).
실시예 18(14)
5-(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36-8.28(m, 2H), 7.78-7.55(m, 4H), 7.42-7.36(m, 5H), 7.01(d, J=8.0Hz, 1H), 5.11(d-형, J=9.0Hz, 1H), 4.12(t, J=7.0Hz, 2H), 3.88-3.64(m, 2H), 3.05(t, J=7.0Hz, 2H), 2.35-2.26(m, 2H).
실시예 18(15)
6-(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1-7.56(1H, m), 7.43-7.25(7H, m), 7.19-7.15(2H, m), 6.95-6.89(3H, m), 4.91(1H, t-형, J=6.6Hz), 4.22(2H, t, J=6.0Hz), 4.15(2H, t,J=6.0Hz), 3.80(1H, dd, J=13.8, 7.3Hz), 3.51(1H, dd, J=13.8, 7.3Hz), 2.28(2H, 5중선, J=6.0Hz).
실시예 18(16)
6-벤질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3-7.58(1H, m), 7.45-7.31(10H, m), 7.27-7.23(2H, m), 5.10(2H, s), 4.92(1H, t-형, J=6.7Hz), 3.81(1H, dd, J=13.7, 7.5Hz), 3.52(1H, dd, J=13.7, 6.1Hz).
실시예 18(17)
6-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1(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0-7.55(1H, m), 7.43-7.31(5H, m), 7.19-7.12(2H, m), 4.91(1H, t, J=6.8Hz), 3.99(2H, t, J=6.6Hz), 3.80(1H, dd, J=13.8, 7.3Hz),3.51(1H, dd, J=13.8, 6.2Hz), 1.80(2H, 5중선, J=7.0Hz), 1.50-1.30(4H, m), 0.92(3H, t, J=7.0Hz).
실시예 18(18)
6-(2-(모르폴린-4-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4:1);
NMR(CDCl3): δ 7.60(1H, d, J=8.4Hz), 7.42-7.32(5H, m), 7.22-7.16(2H, m), 4.92(1H, t-형, J=6.8Hz), 4.15(2H, t, J=5.8Hz), 3.81(1H, dd, J=13.8, 7.2Hz), 3.73(4H, t-형, J=4.6Hz), 3.52(1H, dd, J=13.8, 6.1Hz), 2.82(2H, t, J=5.8Hz), 2.57(4H, t-형, J=4.6Hz).
실시예 18(19)
6-(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2.06(5중선, J=6.1Hz, 2H), 3.51(dd, J=13.6, 6.2Hz, 1H), 3.80(dd, J=13.6, 7.4Hz, 1H), 3.85(t, J=6.1Hz, 2H), 4.17(t, J=6.1Hz, 2H), 4.92(t-형, J=6.8Hz, 1H), 7.16-7.21(m, 2H), 7.32-7.45(m, 5H), 7.57-7.61(m, 1H).
실시예 18(20)
6-(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3.53(dd, J=13.6, 6.2Hz, 1H), 3.82(dd, J=13.6, 7.2Hz, 1H), 4.93(t-형, J=6.6Hz, 1H), 5.12(s, 2H), 7.23-7.28(m, 2H), 7.33-7.46(m, 6H), 7.61-7.65(m, 1H), 7.75-7.79(m, 1H), 8.63(dd, J=5.0, 1.6Hz, 1H), 8.70(d, J=1.6Hz, 1H).
실시예 18(21)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33(1H, brs), 8.22(1H, dd, J=8, 2Hz), 7.76(1H, d, J=7.8Hz), 7.70-7.48(2H, m), 7.48-7.16(7H, m), 5.21(2H, s), 4.93(1H, t-형, J=6.8Hz), 3.83(1H, dd, J=13.6, 7.6Hz), 3.54(1H, dd, J=13.6, 6.2Hz).
실시예 18(22)
6-(3-브로모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3:1);
NMR(CDCl3): δ 2.35(5중선, J=7.5Hz, 2H), 3.55(t, J=7.5Hz, 2H), 3.59(dd, J=15, 7Hz, 1H), 3.80(dd, J=15, 7Hz, 1H), 4.18(t, J=7.5Hz, 2H), 4.92(t, J=7Hz, 1H), 7.20(dd, J=9, 2Hz, 1H), 7.34-7.43(m, 6H), 7.60(d, J=9Hz, 1H).
실시예 18(23)
7-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8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4(1H, t, J=7.8Hz), 7.45-7.21(6H, m), 6.91(1H, d, J=8.6Hz), 4.88(1H, t, J=7.6Hz), 4.11(2H, t, J=7.0Hz), 3.77(1H, dd, J=13.6, 7.6Hz), 3.50(1H, dd, J=13.6, 7.6Hz), 1.87(2H, 5중선, J=7.0Hz), 1.50-1.30(4H, m), 0.92(3H, t, J=7.2Hz).
실시예 18(24)
7-(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8(1H, t, J=7.8Hz), 7.45-7.25(8H, m), 7.06(1H, d, J=8.4Hz), 7.05-6.90(3H, m), 4.89(1H, t, J=7.6Hz), 4.58-4.45(2H, m), 4.45-4.35(2H, m), 3.78(1H, dd, J=13.6, 7.6Hz), 3.52(1H, dd, J=13.6, 7.6Hz).
실시예 18(25)
7-(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0-6.60(8H, m), 4.90(1H, t, J=6.8Hz), 4.36-4.26(2H, m), 3.90(2H, br) 3.79(1H, d, J=13.8, 6.8Hz), 3.52(1H, dd, J=13.8, 6.8Hz), 2.50-2.05(2H, m).
실시예 18(26)
7-(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8.66(1H, d, J=2.2Hz), 8.57(1H, dd, J=4.8, 1.8Hz), 7.93(1H, d, J=8.2Hz), 7.56(1H, t, J=8.2Hz), 7.45-7.30(4H, m), 6.97(1H, d,J=8.2Hz), 5.30(2H, s), 4.92(1H, t, J=7.0Hz), 3.82(1H, dd, J=13.8, 7.8Hz), 3.54(1H, dd, J=13.8, 7.8Hz).
실시예 18(27)
4-(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7-7.46(3H, m), 7.37-7.32(4H, m), 6.93(1H, d-형, J=8.0Hz), 5.16(1H, dd, J=6.6, 2.0Hz), 4.61(2H, s), 3.72(1H, dd, J=13.9, 6.6Hz), 3.61(1H, dd, J=13.9, 2.0Hz), 1.49(9H, s).
실시예 18(28)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1.50(s, 9H), 3.48(dd, J=14, 6.7Hz, 1H), 3.82(dd, J=14, 6.7Hz, 1H), 4.66(s, 2H), 4.95(t, J=6.7Hz, 1H), 7.18(dd, J=9, 2.3Hz, 1H) 7.40-7.53(m, 6H), 7.62(d, J=9Hz, 1H).
실시예 18(29)
6-(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1(1H, d, J=8.7Hz), 7.44-7.32(5H, m), 7.24(1H, dd, J=8.7, 2.6Hz), 7.08(1H, d, J=2.6Hz), 4.91(1H, t-형, J=6.7Hz), 4.56(2H, s), 3.80(1H, dd, J=13.7, 7.3Hz), 3.51(1H, dd, J=13.7, 6.1Hz), 1.49(9H, s).
실시예 18(30)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4(1H, t, J=7.6Hz), 7.45-7.27(6H, m), 6.80(1H, d, J=8.0Hz), 4.90(1H, t, J=7.6Hz), 4.69(2H, s), 3.79(1H, dd, J=13.6, 7.6Hz), 3.52(1H, dd, J=13.6, 7.6Hz), 1.46(9H, s).
실시예 18(31)
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1.35(s, 9H), 3.46-3.66(m, 2H), 3.62(dd, J=14.2, 2.2Hz, 1H), 3.73(dd, J=14.2, 6.8Hz, 1H), 4.11-4.25(m, 2H), 5.06(dd, J=6.8, 2.2Hz, 1H), 5.39(br, 1H), 7.08(d, J=7.6Hz, 1H), 7.31-7.39(m, 4H), 7.44-7.57(m, 3H).
실시예 18(32)
4-(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38(s, 9H), 2.00-2.11(m, 2H), 3.33-3.44(m, 2H), 3.59(dd, J=14.0, 2.2Hz, 1H), 3.69(dd, J=14.0, 6.6Hz, 1H), 4.17(t, J=5.9Hz, 2H), 4.90(br, 1H), 5.08(dd, J=6.6, 2.2Hz, 1H), 7.08(dd, J=8.1, 0.7Hz, 1H), 7.29-7.38(m, 4H), 7.48-7.56(m, 3H).
실시예 18(33)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1.46(s, 9H), 3.52(dd, J=15, 6Hz, 1H), 3.56(t, J=7.5Hz, 2H), 3.80(dd, J=15, 6Hz, 1H), 4.10(t, J=7.5Hz, 2H), 4.88(t, J=6Hz, 1H), 4.99(br, 1H), 7.03(dd, J=9, 2Hz, 1H), 7.12(d, J=2Hz, 1H), 7.35-7.47(m, 5H),7.64(d, J=9Hz, 1H).
실시예 18(34)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4(s, 9H), 2.01(5중선, J=6.2Hz, 2H), 3.32(q, J=6.2Hz, 2H), 3.51(dd, J=13.6, 6.0Hz, 1H), 3.80(dd, J=13.6, 7.4Hz, 1H), 4.06(t, J=6.2Hz, 2H), 4.69(br, 1H), 4.91(t-형, J=6.8Hz, 1H), 7.14-7.21(m, 2H), 7.32-7.45(m, 5H), 7.59(d, J=8.4Hz, 1H).
실시예 18(35)
6-(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6(s, 9H), 3.51(dd, J=13.8, 6.2Hz, 1H), 3.55(q, J=5.2Hz, 2H), 3.81(dd, J=13.8, 7.4Hz, 1H), 4.06(t, J=5.2Hz, 2H), 4.92(t-형, J=6.4Hz, 1H), 4.96(br, 1H), 7.13(d, J=2.4Hz, 1H), 7.18(dd, J=8.5, 2.4Hz, 1H), 7.32-7.45(m, 5H), 7.60(d, J=8.5Hz, 1H).
실시예 18(36)
7-(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0-7.24(7H, m), 6.94(1H, d, J=8.4Hz), 5.38(1H, bs), 4.90(1H, t, J=7.4Hz), 4.30-4.05(2H, m), 3.79(1H, dd, J=13.7, 7.4Hz), 3.60-3.40(3H, m), 1.42(9H, s).
실시예 18(37)
4-(N-(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0-7.42(3H, m), 7.42-7.25(4H, m), 7.04(1H, d, J=8.2Hz), 5.05(1H, dd, J=6.6, 2.2Hz), 4.80-4.60(1H, m), 3.85-3.32(6H, m), 2.15-1.65(4H, m), 1.48(9H, s).
실시예 18(38)
4,7-비스[(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53-7.30(5H, m), 7.20-6.85(2H, m), 5.40(2H, brs), 5.03-4.85(1H, m), 4.25-4.00(4H, m), 3.90-3.40(6H, m), 1.43(18H, s).
실시예 18(39)
4-(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44(1H, s), 8.24(1H, d, J=8.4Hz), 7.86(1H, d, J=8.0Hz), 7.65-7.20(8H, m), 7.14(1H, d, J=7.2Hz), 5.31(2H, s), 5.13(1H, dd, J=2.6Hz, 6.6Hz), 3.80-3.56(2H, m).
실시예 18(40)
4,7-비스(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75-8.72(1H, m), 8.70-8.50(4H, m), 7.96-7.82(2H, m), 7.46-7.24(6H, m), 7.05(1H, d, J=9.0Hz), 6.93(1H, d, J=9.0Hz), 5.25(2H, s),5.15(2H, s), 5.01-4.95(1H, m), 3.81-3.59(2H, m).
실시예 19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8(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1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17(5중선, J=6.0Hz, 2H), 3.08(dd, J=14.0, 8.6Hz, 1H), 3.94(t, J=6.0Hz, 2H), 3.98(dd, J=14.0, 4.8Hz, 1H), 4.32(t, J=6.0Hz, 2H), 4.15(dd, J=8.6, 4.8Hz, 1H), 7.18(d, J=7.9Hz, 1H), 7.35(d, J=7.9Hz, 1H), 7.55-7.66(m, 6H).
실시예 20
4-(4-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7(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DMSO-d6): δ 8.25(2H, d, J=9Hz), 7.78-7.52(6H, m), 7.52-7.20(4H, m), 5.74(1H, d, J=9Hz), 5.26(1H, d, J=14Hz), 4.99(1H, d, J=14Hz), 4.19(1H, d, J=15Hz), 4.00(1H, dd, J=15, 9Hz).
실시예 20(1)∼20(39)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8(1)∼18(3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같이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3-클로로과벤조산 대신에 옥손을 이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0(1)
4-(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20(5중선, J=6.0Hz, 2H), 3.70(dd, J=14.8, 9.3Hz, 1H), 3.99-4.28(m, 4H), 4.20(dd, J=14.8, 1.2Hz, 1H), 5.19(dd, J=9.3, 1.2Hz, 1H), 6.89-7.01(m, 4H), 7.21-7.50(m, 6H), 7.52-7.60(m, 1H), 7.65-7.70(m, 2H).
실시예 20(2)
4-벤질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73(dd, J=15.0, 9.0Hz, 1H), 4.22(d, J=15.0Hz, 1H), 4.88(d, J=11.7Hz, 1H), 4.99(d, J=11.7Hz, 1H), 5.28(d, J=9.0Hz, 1H), 7.04(d, J=7.8Hz, 1H), 7.26-7.40(m, 8H), 7.49-7.58(m, 2H), 7.64-7.69(m, 2H).
실시예 20(3)
4-(3-벤질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96(5중선, J=6.1Hz, 2H), 3.57-3.67(m, 2H), 3.67(dd, J=14.9, 9.2Hz, 1H), 3.82-3.92(m, 1H), 3.98-4.09(m, 1H), 4.21(dd, J=14.9, 0.5Hz, 1H), 4.46(d, J=12.1Hz, 1H), 4.56(d, J=12.1Hz, 1H).5.05(dd, J=9.2, 0.5Hz, 1H), 6.94(d, J=8.4Hz, 1H), 7.22-7.27(m, 6H), 7.35-7.60(m, 4H), 7.65-7.69(m, 2H).
실시예 20(4)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7(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95(dd, J=15.0, 8.8Hz, 1H), 4.16(dd, J=15.0, 1.2Hz,1H), 4.93(d, J=12.5Hz, 1H), 5.15(d, J=12.5Hz, 1H), 5.66(d-형, J=8.0Hz, 1H), 7.35-7.45(m, 5H), 7.55-7.72(m, 4H), 7.80(dt, J=8.0, 1.4Hz, 1H), 8.56(dd, J=5.0, 1.4Hz, 1H), 8.61(d, J=1.4Hz, 1H).
염산염:
TLC: Rf 0.17(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98(dd, J=15.2, 8.6Hz, 1H), 4.16(d, J=15.2Hz, 1H), 5.10(d, J=12.8Hz, 1H), 5.29(d, J=12.8Hz, 1H), 5.85(d, J=8.6Hz, 1H), 7.38-7.59(m, 5H), 7.66-7.75(m, 3H), 7.94(dd, J=8.0, 5.4Hz, 1H), 8.38(d, J=8.0Hz, 1H), 8.84(d, J=5.4Hz, 1H), 8.88(s, 1H).
메탄설폰산염:
TLC: Rf 0.31(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2.37(3H, s), 4.00(dd, J=15.0, 8.8Hz, 1H), 4.17(d-형, J=15.4Hz, 1H), 5.13(d, J=13.0Hz, 1H), 5.32(d, J=13.0Hz, 1H), 5.85(d-형, J=8.0Hz, 1H), 7.39-7.45(m, 4H), 7.52-7.59(m, 1H), 7.66-7.77(m, 3H), 8.05(dd, J=8.2, 5.8Hz, 1H), 8.49(d, J=8.2Hz, 1H), 8.89-8.92(m, 2H).
실시예 20(5)
4-(N-옥사이드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 δ 8.77(1H, d, J=8Hz), 8.00-7.75(4H, m), 7.75-7.63(3H, m), 7.63-7.45(2H, m), 7.45-7.22(3H, m), 7.17(1H, d, J=8Hz), 5.72-5.25(3H, m), 4.28(1H, d, 15Hz), 3.84(1H, dd, J=15, 9Hz).
실시예 20(6a)
4-(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 δ 8.61(1H, d, J=4Hz), 7.88-7.18(10H, m), 7.04(1H, d, J=8Hz), 5.37(1H, d, J=9Hz), 5.11(1H, d, J=14Hz), 4.98(1H, d, J=14Hz), 4.24(1H, d, J=15Hz), 3.78(1H, dd, J=15, 9Hz).
실시예 20(6b)
4-(N-옥사이드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09(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DMSO-d6): δ 8.42-8.22(1H, m), 7.90-7.20(11H, m), 5.83(1H, d, J=8.5Hz), 5.18(1H, d, J=15Hz), 4.93(1H, d, J=15Hz), 4.21(1H, d, J=15Hz), 4.03(1H, dd, J=15, 8.5Hz).
실시예 20(7)
4-(피리딘-4-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6(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DMSO-d6): δ 8.57(2H, d, J=6Hz), 7.80-7.15(10H, m), 5.75(1H, d, J=9Hz), 5.15(1H, d, J=14Hz), 4.90(1H, d, J=14Hz),4.19(1H, d, J=15Hz),4.00(1H, dd, J=15, 9Hz).
염산염:
TLC: Rf 0.31(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8.93(d, J=6.5Hz, 2H), 8.00(d, J=6.5Hz, 2H), 7.74-7.68(m, 3H), 7.60-7.54(m, 1H), 7.47-7.42(m, 3H), 7.33(d, J=8.0Hz, 1H), 5.93(d, J=9.0Hz, 1H), 5.46(d, J=16.0Hz, 1H), 5.18(d, J=16.0Hz, 1H), 4.19(d, J=15.0Hz, 1H), 4.03(dd, J=15.0, 9.0Hz, 1H).
메탄설폰산염:
TLC: Rf 0.31(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8.94(d, J=6.3Hz, 2H), 8.03(d, J=6.3Hz, 2H), 7.74-7.68(m, 3H), 7.60-7.55(m, 1H), 7.47-7.42(m, 3H), 7.34(d, J=8.0Hz, 1H), 5.92(d, J=9.0Hz, 1H), 5.46(d, J=16.0Hz, 1H), 5.19(d, J=16.0Hz, 1H), 4.19(d, J=15.0Hz, 1H), 4.03(dd, J=15.0, 9.0Hz, 1H), 2.38(s, 3H).
실시예 20(8)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CDCl3+CD3OD): δ 8.50-8.36(2H. m), 7.80-7.23(9H, m), 7.00(1H, d, J=8Hz), 5.27(1H, d, J=9Hz), 4.26-3.68(4H, m), 2.88(2H, t, J=7Hz), 2.20-1.90(2H, m).
실시예 20(9)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02(5중선, J=5.6Hz, 2H), 2.28(t, J=5.6Hz, 1H), 3.71(dd, J=14.8, 9.2Hz, 1H), 3.91(m, J=5.6Hz, 2H), 4.05(dd, J=14.8, 1.0Hz, 1H), 4.10-4.17(m, 2H), 5.28(d-형, J=8.8Hz, 1H), 7.08(d, J=8.4Hz, 1H), 7.23(d, J=7.8Hz, 1H), 7.42-7.62(m, 4H), 7.66-7.73(m, 2H).
실시예 20(10)
5-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0.96(t, J=8Hz, 3H), 1.42(m, 4H), 1.86(m, 2H), 3.70(dd, J=14, 8Hz, 1H), 3.80(dd, J=14, 6Hz, 1H), 4.07(m, 2H), 5.00(dd, J=8, 6Hz, 1H), 7.10(dd, J=8, 2Hz, 1H), 7.44(d, J=2Hz, 1H), 7.46-7.77(m, 6H).
실시예 20(11)
5-(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70(dd, J=14, 8Hz, 1H), 3.77(dd, J=14, 6Hz, 1H), 4.41(m, 4H), 5.02(dd, J=8, 6Hz, 1H), 7.00(m, 3H), 7.19(dd, J=8, 2Hz, 1H), 7.30-7.77(m, 9H).
실시예 20(12)
5-(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11(m, 2H), 3.65(dd, J=14, 8Hz, 1H), 3.78(dd, J=14, 5Hz, 1H), 3.89(m, 2H), 4.25(m, 2H), 5.01(dd, J=8, 5Hz, 1H), 7.12(dd, J=9, 2Hz, 1H), 7.45-7.77(m, 7H).
실시예 20(13)
5-(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79(dd, J=15.1, 3.2Hz, 1H), 4.00(dd, J=15.1, 9.4Hz, 1H), 5.27(s, 2H), 5.74(dd, J=9.4, 3.2Hz, 1H), 7.20(d, J=2.2Hz, 1H), 7.36(dd, J=8.7, 2.2Hz, 1H), 7.47(dd, J=7.8, 4.9Hz, 1H), 7.57-7.65(m, 2H), 7.71-7.82(m,4H), 7.91(dt, J=7.8, 2.0Hz, 1H), 8.58(dd, J=4.9, 2.0Hz, 1H), 8.71(d, J=2.0Hz, 1H).
염산염:
TLC: Rf 0.65(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0:1);
NMR(DMSO-d6): δ 3.77(dd, J=15.0, 3.4Hz, 1H), 3.99(dd, J=15.0, 9.6Hz, 1H), 5.43(s, 2H), 5.77(dd, J=9.6, 3.4Hz, 1H), 7.30(d, J=2.0Hz, 1H), 7.41(dd, J=8.8, 2.2Hz, 1H), 7.59-7.66(m, 2H), 7.74-7.82(m, 4H), 8.02(dd, J=8.4, 5.6Hz, 1H), 8.57(d-형, J=8.4Hz, 1H), 8.88(d-형, J=5.6Hz, 1H), 9.04(s-형, 1H).
메탄설폰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2.37(3H, s), 3.77(dd, J=15.0, 3.3Hz, 1H), 4.00(dd, J=15.0, 9.3Hz, 1H), 5.77(dd, J=9.3, 3.3Hz, 1H), 7.31(d, J=2.2Hz, 1H), 7.41(dd, J=8.7, 2.2Hz, 1H), 7.59-7.66(m, 2H), 7.74-7.83(m, 4H), 8.06(dd, J=8.0, 5.6Hz, 1H), 8.61(d-형, J=8.0Hz, 1H), 8.91(dd, J=5.6, 1.0Hz, 1H), 9.07(d, J=1.6Hz, 1H).
실시예 20(14)
5-(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2(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3OD): δ 8.80(1H, s), 8.71(1H, d, J=6Hz), 8.56(1H, d, J=8Hz), 8.02(1H, t, J=7Hz), 7.85-7.42(6H, m), 7.27(1H, d, J=10Hz), 7.14(1H, s), 5.50-5.32(1H, m), 4.16(2H, t, J=6Hz), 3.98-3.65(2H, m), 3.10(2H, t, J=7Hz), 2.40-2.10(2H, m).
실시예 20(15)
6-(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29(5중선, J=6.0Hz, 2H), 3.65-3.81(m, 2H), 4.15(t, J=6.0Hz, 2H), 4.21(t, J=6.0Hz, 2H), 4.99(dd, J=7.3, 5.9Hz, 1H), 6.89-6.99(m, 3H), 7.08(d, J=2.2Hz, 1H), 7.23(dd, J=8.8, 2.2Hz, 1H), 7.25-7.33(m, 2H),7.45-7.52(m, 2H), 7.62-7.70(m, 3H), 7.85(d, J=8.8Hz, 1H).
실시예 20(16)
6-벤질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71(dd, J=14.7, 7.7Hz, 1H), 3.80(dd, J=14.7, 5.5Hz, 1H), 5.00(dd, J=7.7, 5.5Hz, 1H), 5.10(s, 2H), 7.15(d, J=2.5Hz, 1H), 7.30(dd, J=8.5, 2.5Hz, 1H), 7.40-7.53(m, 7H), 7.63-7.71(m, 3H), 7.87(d, J=8.5Hz, 1H).
실시예 20(17)
6-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0.94(t, J=6.4Hz, 3H), 1.42(m, 4H), 1.81(m, 2H), 3.70(dd, J=14.9, 7.6Hz, 1H), 3.79(dd, J=14.9, 5.7Hz, 1H), 3.99(t, J=6.4Hz, 2H), 5.00(dd, J=7.6, 5.7Hz, 1H), 7.04(d, J=2.4Hz, 1H), 7.23(dd, J=8.8, 2.4Hz, 1H),7.46-7.54(m, 2H), 7.64-7.72(m, 3H), 7.84(d, J=8.8Hz, 1H).
실시예 20(18)
6-(2-(모르폴린-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4:1);
NMR(CDCl3): δ 2.56(t, J=4.5Hz, 4H), 2.81(t, J=5.6Hz, 2H), 3.70-3.77(m, 6H), 4.14(t, J=5.6Hz, 2H), 5.01(dd, J=7.5, 5.7Hz, 1H), 7.08(d, J=2.3Hz, 1H), 7.25(dd, J=8.7, 2.3Hz, 1H), 7.47-7.54(m, 2H), 7.64-7.72(m, 3H), 7.83(d, J=8.7Hz, 1H).
염산염: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4:8:1);
NMR(CD3OD): δ 3.43-3.53(m, 4H), 3.68(t, J=4.8Hz, 2H), 3.80(dd, J=15.4, 8.4Hz, 1H), 3.95(dd, J=15.4, 4.0Hz, 1H), 3.92-4.02(m, 4H), 4.51(t, J=4.8Hz, 2H), 5.45(dd, J=8.4, 4.0Hz, 1H), 7.33(d, J=2.6Hz, 1H), 7.42(dd, J=8.8, 2.6Hz, 1H), 7.55-7.63(m, 2H), 7.71-7.81(m, 4H).
실시예 20(19)
6-(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2.06(5중선, J=6.0Hz, 2H), 3.71(dd, J=14.6, 7.5Hz, 1H), 3.79(dd, J=14.6, 5.6Hz, 1H), 3.85(t, J=6.0Hz, 2H), 4.16(t, J=6.0Hz, 2H), 5.00(dd, J=7.5, 5.6Hz, 1H), 7.08(d, J=2.4Hz, 1H), 7.24(dd, J=8.8, 2.4Hz, 1H), 7.47-7.55(m, 2H), 7.64-7.71(m, 3H), 7.84(d, J=8.8Hz, 1H).
실시예 20(20)
6-(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9(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78(dd, J=15.2, 3.1Hz, 1H), 4.01(dd, J=15.2, 9.2Hz,1H), 5.29(s, 2H), 5.69(dd, J=9.2, 3.1Hz, 1H), 7.42-7.47(m, 3H), 7.58-7.66(m, 3H), 7.74-7.82(m, 3H), 7.89(dt, J=8.0, 1.0Hz, 1H), 8.57(dd, J=4.8, 1.6Hz, 1H), 8.69(d, J=1.6Hz, 1H).
염산염:
TLC: Rf 0.39(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78(dd, J=15.2, 3.0Hz, 1H), 4.01(dd, J=15.2, 9.4Hz, 1H), 5.72(dd, J=9.4, 3.0Hz, 1H), 7.46-7.51(m, 2H), 7.59-7.66(m, 3H), 7.75-7.83(m, 3H), 7.99(dd, J=8.0, 5.4Hz, 1H), 8.52(d, J=8.0Hz, 1H), 8.87(dd, J=5.4, 1.2Hz, 1H), 8.99(d, J=1.2Hz, 1H).
실시예 20(21)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8.36-8.34(m, 1H), 8.25-8.20(m, 1H), 7.93(d-형, J=7.6Hz, 1H), 7.82-7.72(m, 4H), 7.68-7.58(m, 3H), 7.50-7.43(m, 2H), 5.70(dd, J=9.4, 3.0Hz, 1H), 5.40(s, 2H), 4.02(dd, J=15.2, 9.4Hz, 1H), 3.79(dd, J=15.2,3.0Hz, 1H).
실시예 20(22)
6-(3-브로모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35(m, 2H), 3.60(t, J=6.0Hz, 2H), 3.70-3.91(m, 2H), 4.17(t, J=6.0Hz, 2H), 5.01(dd, J=14, 7Hz, 1H), 7.09(d, J=3.0Hz, 1H), 7.25(m, 1H), 7.53(m, 2H), 7.67(m, 3H), 7.89(m, 1H).
실시예 20(23)
7-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0-7.43(7H, m), 6.99(1H, d, J=8.2Hz), 5.01(1H, dd, J=8.6, 5.4Hz), 4.07(2H, t, J=6.8Hz),3.73-3.68(2H, m), 1.80(2H, 5중선.,J=6.8Hz), 1.50-1.20(4H, m), 0.89(3H, t, J=6.8Hz).
실시예 20(24)
7-(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0-6.88(13H, m), 5.01(1H, dd, J=8.1, 5.4Hz), 4.50-4.40(2H, m), 4.40-4.31(2H, m), 3.76-3.70(2H, m).
실시예 20(25)
7-(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5-7.40(7H, m), 7.07(1H, d, J=8.0Hz), 5.05(1H, dd,J=8.4, 5.4Hz), 4.26(2H, t, J=5.8Hz), 3.85-3.65(4H, m), 2.03(2H, 5중선, J=5.8Hz).
실시예 20(26a)
7-(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0:1);
NMR(DMSO-d6): δ 8.85-8.75(2H, m), 8.27(1H, d, J=7.6Hz), 7.92-7.55(7H, m), 7.43(1H, d, J=8.2Hz), 7.26(1H, d, J=7.6Hz), 5.80(1H, dd, J=9.4, 3.2Hz), 5.51(2H, s), 3.99(1H, dd, J=15.3, 9.4Hz), 3.77(1H, dd, J=15.3, 3.2Hz).
실시예 20(26b)
7-(N-옥사이드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3:1);
NMR(DMSO-d6): δ 8.38(1H, s), 8.30(1H, d, J=5.4Hz), 7.90-7.42(8H, m), 7.39(1H, d, J=7.8Hz), 7.23(1H, d, J=7.8Hz), 5.78(1H, dd, J=9.7, 3.4Hz), 5.39(2H, s), 3.99(1H, dd, J=15, 9.7Hz), 3 . 78(1H, dd, J=15, 3.4Hz).
실시예 20(27)
4-(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8(s, 9H), 3.76(dd, J=14.9, 9.2Hz, 1H), 4.16(d, J=16.0Hz, 1H), 4.25(dd, J=1.9, 1.2Hz, 1H), 4.31(d, J=16.0Hz, 1H), 5.36(dd, J=9.2, 1.2Hz, 1H), 6.82(dd, J=8.1, 0.7Hz, 1H), 7.35(d, J=7.4Hz, 1H), 7.44-7.57(m, 3H), 7.59-7.67(m, 1H), 7.78-7.83(m, 2H).
실시예 20(28)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53(s, 9H), 3.74(d-형, J=6Hz, 2H), 4.67(m, 2H), 5.00(t, J=6Hz, 1H), 7.17(dd, J=8, 2Hz, 1H), 7.45(d, J=2Hz, 1H), 7.50(m, 2H), 7.55(d, J=8Hz, 1H), 7.66(m, 3H).
실시예 20(29)
6-(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8(s, 3H), 3.67-3.83(m, 2H), 4.56(s, 2H), 5.00(dd, J=7.4, 5.6Hz, 1H), 6.99(d, J=2.6Hz, 1H), 7.29(dd, J=8.8, 2.6Hz, 1H), 7.46-7.53(m, 2H), 7.61-7.70(m, 3H), 7.89(d, J=8.8Hz, 1H).
실시예 20(30)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0-7.47(7H, m), 6.91-6.86(1H, m), 5.02(1H, dd, J=8.3, 5.6Hz), 4.64(2H, s), 3.76-3.72(2H, m), 1.44(9H, s).
실시예 20(31)
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3.42-3.56(m, 1H), 3.63-3.76(m, 1H), 3.73(dd, J=15.2, 9.6Hz, 1H), 4.02-4.34(m, 2H), 4.10(dd, J=15.2, 1.2Hz, 1H), 5.29(dd, J=9.6, 1.2Hz, 1H), 5.78(br, 1H), 7.02(d-형, J=7.5Hz, 1H), 7.22(d, J=7.5Hz, 1H), 7.40-7.64(m, 4H), 7.21-7.76(m, 2H).
실시예 20(32)
4-(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1.41(s, 9H), 1.93(m, 2H), 3.35(m, 2H), 3.72(dd, J=15.0, 9.0Hz, 1H), 3.99(t, J=6.1Hz, 2H), 4.09(d, J=15.0Hz, 2H), 4.95(br, 1H), 5.35(d, J=9.0Hz, 1H), 7.02(d, J=7.5Hz, 1H), 7.25(d, J=7.5Hz, 1H), 7.43-7.67(m, 4H), 7.70-7.75(m, 2H).
실시예 20(33)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7(s, 9H), 3.54(m, 2H), 3.66(dd, J=15, 8Hz, 1H),3.80(dd, J=15, 5Hz, 1H), 4.13(t, J=5Hz, 2H), 5.00(dd, J=8, 5Hz, 1H), 5.00(br, 1H), 7.12(dd, J=8, 2Hz, 1H), 7.44(d, J=2Hz, 1H), 7.55(m, 3H), 7.72(m, 3H).
실시예 20(34)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1.44(s, 9H), 2.01(5중선, J=6.2Hz, 2H), 3.32(q, J=6.2Hz, 2H), 3.71(dd, J=14.6, 7.7Hz, 1H), 3.79(dd, J=14.6, 5.5Hz, 1H), 4.06(t, J=6.2Hz, 2H), 4.68(br, 1H), 5.00(dd, J=7.7, 5.5Hz, 1H), 7.05(d, J=2.4Hz, 1H), 7.23(dd, J=8.8, 2.4Hz, 1H), 7.47-7.54(m, 2H), 7.64-7.72(m, 3H), 7.85(d, J=8.8Hz, 1H).
실시예 20(35)
6-(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46(s, 9H), 3.56(q, J=5.4Hz, 2H), 3.71(dd, J=14.8, 7.7Hz, 1H), 3.79(dd, J=14.8, 5.6Hz, 1H), 4.06(t, J=5.4Hz, 2H), 4.97(br, 1H), 5.00(dd, J=7.7, 5.6Hz, 1H), 7.05(d, J=2.6Hz, 1H), 7.24(dd, J=8.8, 2.6Hz, 1H), 7.47-7.55(m, 2H), 7.65-7.72(m, 3H), 7.88(d, J=8.8Hz, 1H).
실시예 20(36)
7-(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72-7.40(7H, m), 7.04(1H, d, J=8.2Hz), 5.22(1H, bs), 5.02(1H, dd, J=8.7, 5.0Hz), 4.25-4.10(2H, m), 3.85-3.65(2H, m), 3.60-3.46(2H, m), 1.42(9H, s).
실시예 20(37)
4-(N-(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0-7.38(6H, m), 7.23(1H, d, J=8Hz), 7.05(1H, d, J=8Hz), 5.23(1H, d, J=9Hz), 4.70-4.45(1H, m), 4.08(1H, d, J=15Hz), 3.95-3.60(2H, m), 3.72(1H, dd, J=15, 9Hz), 3.50-3.22(2H, m), 2.15-1.58(4H, m), 1.48(9H, s).
실시예 20(38)
4,7-비스[(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3);
NMR(CDCl3): δ 7.77(2H, d, J=8.2Hz), 7.70-7.55(1H, m), 7.55-7.40(2H, m), 6.95(2H, s), 5.71(1H, brs), 5.40-5.15(2H, m), 4.20-3.30(10H, m), 1.43(18H, s).
실시예 20(39)
4-(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CD3OD): δ 8.35(1H, s), 8.27(1H, d, J=8Hz), 7.87(1H, d, J=8Hz), 7.80-7.50(5H, m), 7.50-7.25(3H, m), 7.13(1H, d, J=8Hz), 5.36(1H, d-형, J=9Hz), 5.25-4.98(2H, m), 4.11(1H, dd, J=15, 1Hz), 3.76(1H, dd, J=15, 9Hz).
실시예 21
4-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20(27)에서 제조한 화합물(105 ㎎)의 디클로로메탄(5 ㎖) 용액에 0℃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재결정화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63 ㎎)을 얻었다.
TLC: Rf 0.20(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CDCl3+CD3OD): δ 3.79(dd, J=14.9, 9.0Hz, 1H), 4.23(dd, J=14.9, 1.0Hz, 1H), 4.26(d, J=16.1Hz, 1H), 4.43(d, J=16.1Hz, 1H), 5.45(dd, J=9.0, 1.0Hz, 1H), 6.91(d, J=8.0Hz, 1H), 7.36(d, J=7.6Hz, 1H), 7.45-7.59(m, 3H), 7.62-7.70(m, 1H), 7.77-7.81(m, 2H).
실시예 21(1)∼21(3)
실시예 20(2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28)∼20(30)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1(1)
5-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CDCl3+CD3OD): δ 3.79(d-형, J=6Hz, 2H), 4.76(s, 2H), 5.10(t, J=6Hz, 1H), 7.20(dd, J=8, 2Hz, 1H), 7.39(d, J=2Hz, 1H), 7.51(d, J=8Hz, 1H), 7.55(m, 2H), 7.69(m, 3H).
실시예 21(2)
6-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CDCl3+CD3OD): δ 3.70-3.85(m, 2H), 4.68(s, 2H), 5.07(t-형, J=6.6Hz, 1H), 7.07(d, J=2.5Hz, 1H), 7.32(dd, J=8.8, 2.5Hz, 1H), 7.47-7.55(m, 2H), 7.63-7.73(m, 3H), 7.83(d, J=8.8Hz, 1H).
실시예 21(3)
7-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9(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10:1);
NMR(CDCl3+DMSO-d6): δ 7.52-7.26(6H, m), 7.20(1H, d, J=7.8Hz), 6.77(1H,d, J=8.2Hz), 4.98(1H, dd, J=7.8, 5.6Hz), 4.52(2H, s), 3.58-3.54(2H, m).
실시예 22
4-(N-(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화합물(480 ㎎)의 염화티오닐(10 ㎖) 현탁액을 15분간 환류하였다. 염화티오닐을 증류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5 ㎖)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3-(아미노메틸)피리딘(0.15 ㎖)과 트리에틸아민(1 ㎖)의 염화메틸렌(10 ㎖) 용액에 빙냉하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00: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421 ㎎)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9(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4.03(dd, J=14.9, 8.4Hz, 1H), 4.11(d, J=14.5Hz, 1H),4.12(dd, J=14.9, 1.6Hz, 1H), 4.33(dd, J=15.3, 6.0Hz, 1H), 4.44(dd, J=15.3, 6.0Hz, 1H), 4.57(d, J=14.5Hz, 1H), 6.00(dd, J=8.4, 1.6Hz, 1H), 7.24(d, J=8.0Hz, 1H), 7.34(dd, J=8.0, 4.7Hz, 1H), 7.40(d, J=8.0Hz, 1H), 7.49-7.54(m, 2H), 7.63-7.73(m, 5H), 8.39(t, J=6.0Hz, 1H), 8.46(dd, J=4.7, 1.7Hz, 1H), 8.51(d, J=1.7Hz, 1H).
염산염:
TLC: Rf 0.49(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4.04(dd, J=15.0, 8.7Hz, 1H), 4.12(d, J=14.7Hz, 1H), 4.13(dd, J=15.0, 1.5Hz, 1H), 4.49(dd, J=15.8, 6.2Hz, 1H), 4.57(dd, J=15.8, 6.2Hz, 1H), 4.60(d, J=14.7Hz, 1H), 6.15(dd, J=8.7, 1.5Hz, 1H), 7.25(d, J=8.2Hz, 1H), 7.40(d, J=7.6Hz, 1H), 7.52-7.57(m, 2H), 7.64(d, J=8.2Hz, 1H), 7.68-7.74(m, 3H), 7.93(dd, J=8.0, 5.5Hz, 1H), 8.37(d, J=8.0Hz, 1H), 8.68(t, J=6.2Hz, 1H), 8.78(d, J=5.4Hz, 1H), 8.81(s 1H).
실시예 22(1) 및 22(2)
3-(아미노메틸)피리딘 대신에 해당 아민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2(1)
4-((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9(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CDCl3): δ 2.24(s, 6H), 2.51(t-형, J=6.0Hz, 2H), 3.49(m, J=6.0Hz, 2H), 3.77(dd, J=15.3, 9.6Hz, 1H), 4.05(dd, J=15.3, 1.3Hz, 1H), 4.53(d, J=14.2Hz, 1H), 4.64(d, J=14.2Hz, 1H), 5.39(d-형, J=9.0Hz, 1H), 7.04(d, J=8.0Hz, 1H), 7.27(d, J=8.0Hz, 1H), 7.42-7.48(m, 2H), 7.57(t, J=8.0Hz, 1H), 7.59-7.65(m, 1H), 7.70-7.74(m, 2H), 7.94(br, 1H).
염산염:
TLC: Rf 0.29(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2.76(s, 6H), 3.14-3.18(m, 2H), 3.44-3.56(m, 2H), 4.00(dd, J=15.0, 9.3Hz, 1H), 4.03(d, J=14.4Hz, 1H), 4.17(d, J=15.0Hz, 1H), 4.50(d, J=14.4Hz, 1H), 6.24(d-형, J=8.7Hz, 1H), 7.25(d, J=8.0Hz, 1H), 7.39(d, J=8.0Hz, 1H), 7.56-7.62(m, 2H), 7.64(t, J=8.0Hz, 1H), 7.70-7.77(m, 3H), 8.23(t, J=5.5Hz, 1H).
실시예 22(2)
4-((N-벤질-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1:1);
NMR(CDCl3): δ 2.22(s, 3H), 2.29(s, 3H), 2.44-2.55(m, 2H), 3.29-3.35(m, 1H), 3.56-3.60(m, 1H), 3.73-3.75(m, 2H), 4.60(d, J=15.0Hz, 0.5H), 4.67(s-형, 1H), 4.76(d, J=15.0Hz, 0.5H), 4.88(s, 1H), 4.94-5.00(m, 1H), 5.05(d, J=15.0Hz, 0.5H), 5.18(d, J=15.0Hz, 0.5H), 7.10-7.36(m, 6H), 7.41-7.53(m, 4H), 7.61-7.68(m, 3H).
실시예 23
4-(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3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1(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66-2.78(m, 1H), 3.02-3.12(m, 1H), 3.83-4.18(m, 4H), 6.23(d-형, J=6.6Hz, 1H), 7.27(d, J=8.0Hz, 1H), 7.39(d, J=7.6Hz, 1H), 7.58-7.68(m, 3H), 7.72-7.79(m, 3H), 8.02(br, 2H).
실시예 23(1)∼23(7)
실시예 20(3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32)∼20(38)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3(1)
4-(3-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4:1);
NMR(DMSO-d6): δ 1.85-1.93(m, 2H), 2.93(q, J=6.4Hz, 2H), 3.87-4.08(m, 2H), 3.97(dd, J=15.0, 8.4Hz, 1H), 4.11(dd, J=15.0, 1.4Hz, 1H), 5.65(dd,J=8.4, 1.4Hz, 1H), 7.26(d, J=7.8Hz, 1H), 7.33(d, J=7.8Hz, 1H), 7.59-7.78(m, 6H), 8.15(br, 3H).
실시예 23(2)
5-(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2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7.81-7.72(m, 4H), 7.66-7.59(m, 2H), 7.32-7.27(m, 2H), 5.77(dd, J=9, 3.5Hz, 1H), 4.27(m, 2H), 3.94(dd, J=15, 9Hz, 1H), 3.71(dd, J=15, 3.5Hz, 1H), 3.38-3.32(m, 2H).
실시예 23(3)
6-(3-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05(5중선, J=6.8Hz, 2H), 2.95(t, J=6.8Hz, 2H), 3.76(dd, J=15.2, 3.0Hz, 1H), 4.00(dd, J=15.2, 9.4Hz, 1H), 4.18(t, J=6.8Hz, 2H), 5.70(dd, J=9.4, 3.0Hz, 1H), 7.29-7.38(m, 2H), 7.56-7.67(m, 3H), 7.76-7.79(m, 3H), 8.08(br, 2H).
실시예 23(4)
6-(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1:1);
NMR(DMSO-d6): δ 3.22(t, J=4.9Hz, 2H), 3.79(dd, J=15.1, 3.0Hz, 1H), 4.01(dd, J=15.1, 9.4Hz, 1H), 4.32(t, J=4.9Hz, 2H), 5.73(dd, J=9.4, 3.0Hz, 1H), 7.35(d, J=2.4Hz, 1H), 7.40(dd, J=8.8, 2.4Hz, 1H), 7.62(d, J=8.8Hz, 1H), 7.64-7.66(m, 2H), 7.76-7.81(m, 3H), 8.35(br, 3H).
실시예 23(5)
7-(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8(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DMSO-d6): δ 8.18(3H, brs), 7.83-7.60(6H, m), 7.40(1H, d, J=8Hz), 7.22(1H, d, J=8Hz), 5.81(1H, dd, J=9.6, 3.2Hz), 4.44-3.30(2H, m), 3.96(1H, dd, J=15, 9.6Hz), 3.76(1H, dd , J=15, 3.2Hz), 3.18(2H, t, J=6Hz).
실시예 23(6)
4-(피페리딘-4-일)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DMSO-d6): δ 8.91(2H, brs), 7.90-7.52(6H, m), 7.41(1H, d, J=8Hz), 7.33(1H, d, J=8Hz), 5.71(1H, d, J=7Hz), 4.95-4.70(1H, m), 4.20-3.80(2H, m), 3.50-2.95(4H, m), 2.30-1.60(4H, m).
실시예 23(7)
4,7-비스[(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2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4:1:1);
NMR(DMSO-d6): δ 8.10(6H, brs), 7.85-7.70(3H, m), 7.70-7.50(2H, m), 7.37(1H, d, J=8.6Hz), 7.23(1H, d, J=8.6Hz), 6.14(1H, d, J=6.0Hz), 4.50-4.15(2H, m), 4.15-3.90(4H, m), 3.85-3.65(1H, m), 3.25-3.15(2H, m), 3.15-2.90(1H, m).
실시예 24
4-(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화합물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CDCl3): δ 2.33(s, 6H), 2.52-2.77(m, 2H), 3.72(dd, J=15.0, 9.4Hz, 1H), 3.79-3.89(m, 1H), 4.00-4.12(m, 1H), 4.18(dd, J=15.0, 1.1Hz, 1H), 5.35(d-형, J=8.8Hz, 1H), 6.99(d, J=8.2Hz, 1H), 7.28(d, J=7.2Hz, 1H), 7.43-7.66(m, 4H), 7.72-7.77(m, 2H).
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CD3OD): δ 3.05(s, 6H), 3.52-3.76(m, 2H), 3.83-3.99(m, 2H), 4.38-4.63(m, 2H), 5.89(t, J=5.4Hz, 1H), 7.30(d, J=7.7Hz, 1H), 7.39(d, J=7.7Hz, 1H), 7.51-7.59(m, 2H), 7.66-7.78(m, 4H).
실시예 24(1)∼24(5)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3(1)∼23(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4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단, 실시예 23(1) 및 실시예 23(3)의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 실시예 24(1b) 및 실시예 24(3b)의 화합물도 생성하였다.
실시예 24(1a)
4-(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CDCl3): δ 1.86(5중선, J=7.0Hz, 2H), 2.26(s, 6H), 2.47(t, J=7.0Hz, 2H), 3.74(dd, J=15.0, 9.2Hz, 1H), 3.83-4.03(m, 2H), 4.21(dd, J=15.0, 1.2Hz, 1H), 5.25(d-형, J=8.8Hz, 1H), 6.99(d, J=7.8Hz, 1H), 7.24(d, J=7.8Hz, 1H), 7.48-7.74(m, 6H).
염산염:
TLC: Rf 0.3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15(m, 2H), 2.80(s, 6H), 3.31(t, J=7.5Hz, 2H), 3.75(dd, J=15.2, 9.2Hz, 1H), 4.15(t, J=6.2Hz, 2H), 4.31(dd, J=15.2, 1.1Hz, 1H), 5.69(dd, J=9.2, 1.1Hz, 1H), 7.32-7.39(m, 2H), 7.55-7.72(m, 3H), 7.80-7.85(m, 3H).
실시예 24(1b)
4-(3-(N-시아노메틸-N-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1);
NMR(CDCl3): δ 1.88(5중선, J=6.6Hz, 2H), 2.38(s, 3H), 2.69(m, 2H), 3.51(d, J=17.0Hz, 1H), 3.61(d, J=17.0Hz, 1H), 3.73(dd, J=15.0, 9.4Hz, 1H), 3.96(m, 2H), 4.13(dd, J=15.0, 1.0Hz, 1H), 5.28(d-형, J=8.4Hz, 1H), 7.00(d, J=7.8Hz, 1H), 7.24(d, J=7.8Hz, 1H), 7.42-7.74(m, 6H).
실시예 24(2)
5-(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23(s, 6H), 2.66(t, J=6Hz, 2H), 3.77(dd, J=15, 3Hz, 1H), 3.98(dd, J=15, 10Hz, 1H), 4.10(m, 2H), 5.71(dd, J=10, 3Hz, 1H), 7.05(d,J=2Hz, 1H), 7.25(dd, J=9, 2Hz, 1H), 7.58-7.84(m, 6H).
염산염:
TLC: Rf 0.5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84(s, 6H), 3.56(m, 2H), 3.75(dd, J=15, 4Hz, 1H), 3.97(dd, J=15, 9Hz, 1H), 4.45(m, 2H), 5.76(dd, J=9, 4Hz, 1H), 7.22(d, J=2Hz, 1H), 7.33(dd, J=9, 2Hz, 1H), 7.64(m, 2H), 7.79(m, 4H).
실시예 24(3a)
6-(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CDCl3): δ 1.97(5중선, J=6.6Hz, 2H), 2.25(s, 6H), 2.44(t, J=6.6Hz, 2H), 3.71(dd, J=14.6, 7.6Hz, 1H), 3.79(dd, J=14.6, 5.6Hz, 1H), 4.07(t, J=6.6Hz, 2H), 5.00(dd, J=7.6, 5.6Hz, 1H), 7.08(d, J=2.6Hz, 1H), 7.23(dd, J=8.8, 2.6Hz, 1H), 7.46-7.54(m, 2H), 7.63-7.72(m, 3H), 7.85(d, J=8.8Hz, 1H).
염산염:
TLC: Rf 0.5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2.17(m, 2H), 2.78(s, 6H), 3.20(t, J=7.9Hz, 2H), 3.77(dd, J=15.4, 3.2Hz, 1H), 4.00(dd, J=15.4, 9.4Hz, 1H), 4.18(t, J=6.0Hz, 2H), 5.71(dd, J=9.4, 3.2Hz, 1H), 7.30-7.38(m, 2H), 7.58-7.67(m, 3H), 7.75-7.79(m, 3H).
실시예 24(3b)
6-(3-(N-시아노메틸-N-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헥산:트리에틸아민=6:3:1);
NMR(CDCl3): δ 1.97(5중선, J=6.5Hz, 2H), 2.38(s, 3H), 2.65(t, J=6.5Hz, 2H), 3.54(s, 2H), 3.71(dd, J=14.8, 7.8Hz, 1H), 3.79(dd, J=14.8, 5.2Hz, 1H), 4.06(t, J=6.5Hz, 2H), 5.00(dd, J=7.8, 5.2Hz, 1H), 7.07(d, J=2.6Hz, 1H), 7.23(dd, J=9.0, 2.6Hz, 1H), 7.47-7.55(m, 2H), 7.65-7.72(m, 3H), 7.84(d, J=9.0Hz, 1H).
실시예 24(4)
6-(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1:1);
NMR(CDCl3): δ 2.34(s, 6H), 2.75(t, J=5.4Hz, 2H), 3.74(dd, J=14.8, 7.8Hz, 1H), 3.79(dd, J=14.8, 5.4Hz, 1H), 4.09(t, J=5.4Hz, 2H), 5.00(dd, J=7.8, 5.4Hz, 1H), 7.06(d, J=2.4Hz, 1H), 7.28(dd, J=8.8, 2.4Hz, 1H), 7.47-7.52(m, 2H), 7.62-7.69(m, 3H), 7.84(d, J=8.8Hz, 1H).
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1:1);
NMR(DMSO-d6): δ 2.83(d, J=4.5Hz, 6H), 3.50-3.54(m, 2H), 3.78(dd, J=15.0, 3.0Hz, 1H), 4.01(dd, J=15.0, 9.4Hz, 1H), 4.49(t, J=5.1Hz, 2H), 5.73(dd, J=9.4, 3.0Hz, 1H), 7.41-7.44(m, 2H), 7.60-7.67(m, 3H), 7.77-7.80(m, 3H), 10.83(br, 1H).
실시예 24(5)
7-(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6:3:1);
NMR(DMSO-d6): δ 7.85-7.60(6H, m), 7.37(1H, d, J=8.2Hz), 7.22(1H, d, J=8.2Hz), 5.81(1H, dd, J=9.4, 3.2Hz), 4.65-4.56(2H, m), 3.97(1H, dd, J=15, 9.4Hz), 3.75(1H, dd, J=15, 3.2Hz), 3.56-3. 45(2H, m), 2.82(6H, s).
실시예 25
4-(3-아미노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0(3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34(클로로포름:테트라히드로푸란:28% 암모니아수=100:50:1);
NMR(DMSO-d6): δ 7.80-7.55(4H, m), 7.49(2H, t, J=8Hz), 7.31(2H, dd, J=12, 8Hz), 7.02(1H, t, J=8Hz), 6.60-6.45(2H, m), 5.54(1H, d, J=9Hz), 5.10(2H, bs), 4.91(1H, d, J=12Hz), 4.69(1H, d, J=12Hz), 4.20(1H, d, J=15Hz), 3.98(1H, dd, J=15, 9Hz).
실시예 26
4-(3-(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25에서 제조한 화합물(143 ㎎)의 피리딘(6 ㎖) 용액에 니코티닐클로라이드염산염(77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27 ㎎)을 얻었다.
TLC: Rf 0.34(아세트산에틸:메탄올:28% 암모니아수=100:10:1);
NMR(DMSO-d6): δ 9.12(1H, d, J=2Hz), 8.77(1H, dd, J=5, 2Hz), 8.31(1H, d, J=8Hz), 7.82(1H, s), 7.78-7.52(7H, m), 7.52-7.25(5H, m), 7.19(1H, d,J=7Hz), 5.59(1H, d, J=8.5Hz), 5.11(1H, d, J=12Hz), 4.86(1H, d, J=12Hz), 4.20(1H, d, J=15Hz), 4.01(1H, dd, J=15, 8.5Hz).
실시예 26(1)
4-(2-(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25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6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하면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3.36-3.55(m, 2H), 3.81-3.88(m, 1H), 4.02(dd, J=15.0, 8.7Hz, 1H), 4.04-4.10(m, 1H), 4.13(dd, J=15.0, 1.3Hz, 1H), 5.61(d-형, J=7.5Hz, 1H), 7.31(d, J=8.1Hz, 1H), 7.35(d, J=7.2Hz, 1H), 7.48(dd, J=8.1, 4.8Hz, 1H), 7.56-7.68(m, 3H), 7.71-7.77(m, 3H), 8.15(dt, J=8.1, 1.8Hz, 1H), 8.65-8.68(m, 1H), 8.68(dd, J=4.8, 1.8Hz, 1H), 8.98(d, J=1.8Hz, 1H).
염산염:
TLC: Rf 0.4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3.41-3.56(m, 2H), 3.83-3.89(m, 1H), 4.01(dd, J=15.0, 8.7Hz, 1H), 4.07-4.12(m, 1H), 4.12(dd, J=15.0, 1.2Hz, 1H), 5.67(d-형, J=7.5Hz, 1H), 7.31(d, J=8.0Hz, 1H), 7.34(d, J=8.0Hz, 1H), 7.56-7.61(m, 2H), 7.65(t, J=8.0Hz, 1H), 7.71-7.76(m, 3H), 7.83(dd, J=8.1, 5.4Hz, 1H), 8.59(dt, J=8.1, 1.6Hz, 1H), 8.87(dd, J=5.4, 1.6Hz, 1H), 9.10(t, J=5.4Hz, 1H), 9.19(d, J=1.6Hz, 1H).
실시예 27
5-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53 ㎎)의 에탄올(19.5 ㎖) 용액에 물(0.5 ㎖), 아세트산(0.4 ㎖) 및 벤젠설폰산나트륨염(940 ㎎)을 순차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시간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결정을 물, 에탄올, 헥산으로 순차 세정하고,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81 ㎎)을 얻었다.
TLC: Rf 0.3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2.52(s, 3H), 3.66(dd, J=14.6, 8.7Hz, 1H), 3.77(dd,J=14.6, 4.9Hz, 1H), 5.02(dd, J=8.7, 4.9Hz, 1H), 7.41-7.57(m, 4H), 7.64-7.69(m, 3H), 7.80(s-형, 1H).
실시예 27(1)∼실시예 27(5)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해당 벤조[b]티오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7(1)
5-(4-클로로페닐카르보닐)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8:1);
NMR(DMSO-d6): δ 3.74(dd, J=15.1, 3.7Hz, 1H), 3.95(dd, J=15.1, 9.3Hz, 1H), 5.83(dd, J=9.3, 3.7Hz, 1H), 7.58-7.65(m, 2H), 7.66(d, J=8.7Hz, 2H), 7.73-7.83(m, 4H), 8.04(d, J=8.7Hz, 2H), 8.10(dd, J=8.8, 2.0Hz, 1H), 8.40(d, J=2.0Hz, 1H), 10.86(s, 1H).
실시예 27(2)
4-시아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8:1);
NMR(DMSO-d6): δ 3.95(dd, J=15, 10Hz, 1H), 4.15(d, J=15Hz, 1H), 5.80(d, J=10Hz, 1H), 7.60-7.80(m, 2H), 7.80-7.90(m, 3H), 7.95(t, J=7.5Hz, 1H), 8.20(d, J=7.5Hz, 1H), 8.35(d, J=7.5Hz, 1H).
실시예 27(3)
6-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3.97(dd, J=15.3, 3.0Hz, 1H), 4.16(dd, J=15.3, 9.3Hz, 1H), 6.00(dd, J=9.3, 3.0Hz, 1H), 7.62-7.67(m, 2H), 7.79-7.83(m, 3H), 8.02(d, J=8.4Hz, 1H), 8.61(s-형, 1H), 8.62(dd, J=8.4, 2.1Hz, 1H).
실시예 27(4)
4,7-디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3.27(s, 3H), 3.85(s, 3H), 3.96(dd, J=15.2, 8.8Hz, 1H), 4.12(dd, J=15.2, 1.5Hz, 1H), 5.49(dd, J=8.8, 1.5Hz, 1H), 7.12(d, J=9.0Hz, 1H), 7.21(d, J=9.0Hz, 1H), 7.60-7.78(m, 5H).
실시예 27(5)
4,7-비스(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1.52-1.57(m, 2H), 1.83(5중선, J=6.3Hz, 2H), 3.43(q, J=6.3Hz, 2H), 3.55(q, J=5.8Hz, 2H), 3.60-3.67(m, 1H), 3.80-3.87(m, 1H), 3.96(dd, J=14.8, 9.0Hz, 1H), 4.09(d-형, J=14.8Hz, 1H), 4.08-4.21(m, 2H), 4.46(t, J=5.1Hz, 1H), 4.52(t, J=5.1Hz, 1H), 5.45(d-형, J=7.8Hz, 1H), 7.14(d,J=9.0Hz, 1H), 7.20(d, J=9.0Hz, 1H), 7.58-7.63(m, 2H), 7.72-7.77(m, 3H).
실시예 28
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후기 실시예 107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음)(270 ㎎)에 염화티오닐(2.0 ㎖)을 첨가하여 2시간 가열 환류시킨 후, 농축하였다. 염화메틸렌(6.0 ㎖) 및 트리에틸아민(260 ㎎)에 용해한 (피리딘-3-일메틸)아민(154 ㎎)에 먼저 얻은 클로라이드의 염화메틸렌(4.0 ㎖) 용액을 적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 및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5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4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헥산의 혼합 용매로부터 재결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30 ㎎)을 얻었다.
TLC: Rf 0.48(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8.56(d, J=2.1Hz, 1H), 8.53(dd, J=4.5, 2.1Hz, 1H), 7.93(dd, J=7.2, 0.6Hz, 1H), 7.79-7.72(m, 2H), 7.70(dd, J=7.5, 0.6Hz, 1H), 7.55(t, J=7.8Hz, 1H), 7.31(dd, J=7.8, 4.5Hz, 1H), 6.86(t, J=6.3Hz, 1H),6.77(d, J=7.2Hz, 1H), 4.65(d, J=6.3Hz, 2H).
실시예 28(1)∼28(33)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카르복실산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 실시예 28(3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4-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과 피리딘-3-일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켰다.
실시예 28(1)
4-(4-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50:1);
NMR(CDCl3): δ 7.75(d, J=7.4Hz, 1H), 7.56(t, J=7.4Hz, 1H), 7.47(d, J=7.4Hz, 1H), 7.40-7.20(m, 6H), 6.78(d, J=7.0Hz, 1H), 3.83(m, 2H), 3.55(s, 2H), 3.34(m, 2H), 2.55(m, 2H), 2.37(m, 2H).
실시예 28(2)
4-(N-(2-(피리딘-3-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61(M+MeOH+H)+, 329(m+H)+.
실시예 28(3)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30(M+MeOH+H)+, 298(M+H)+.
실시예 28(4)
4-(2,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90(d, J=7.5Hz, 1H), 7.75(d, J=7.5Hz, 1H), 7.60(d, J=7.5Hz, 1H), 7.55(t, J=7.5Hz, 1H), 7.25(d, J=10Hz, 1H), 6.75(d, J=7.5Hz, 1H), 6.60-6.40(m, 3H), 4.55(d, J=7.5Hz, 2H), 3.85(s, 3H), 3.80(s, 3H).
실시예 28(5)
4-(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0(아세트산에틸:메탄올=8:1.5);
NMR(CDCl3): δ 7.90(d, J=7.5Hz, 1H), 7.80(d, J=7.5Hz, 1H), 7.60(d, J=7.5Hz, 1H), 7.55(t, J=7.5Hz, 1H), 7.50-7.20(m, 5H), 6.75(d, J=7.5Hz, 1H), 6.05-5.95(m, 1H), 4.10-3.90(m, 1H), 3.55(s, 2H), 3.00-2.90(m, 2H), 2.30-2.10(m, 2H), 2.10-1.90(m, 2H), 1.70-1.50(m, 2H).
염산염:
TLC: Rf 0.44(메탄올:아세트산에틸=1:10);
NMR(CD3OD): δ 7.90-7.75(m, 3H), 7.75-7.45(m, 6H), 7.08(d, J=7.0Hz, 1H), 4.34(s, 2H), 4.27-4.05(m, 1H), 3.61-3.42(m, 2H), 3.33-3.10(m, 2H), 2.34-2.15(m, 2H), 2.12-1.81(m, 2H).
메탄설폰산염:
TLC: Rf 0.44(메탄올:아세트산에틸=1:10);
NMR(CD3OD): δ 7.89-7.74(m, 3H), 7.73-7.60(m, 1H), 7.60-7.45(m, 5H), 7.08(d, J=7.0Hz, 1H), 4.34(s, 2H), 4.27-4.03(m, 1H), 3.68-3.38(m, 2H), 3.38-3.06(m, 2H), 2.67(s, 3H), 2.38-1.72(m, 4H).
실시예 28(6)
4-(피리딘-4-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9(아세트산에틸:메탄올=19:1);
NMR(CDCl3+CD3OD): δ 8.50(d, J=7Hz, 2H), 8.25(broad-t, J=7Hz, 1H), 7.95
(d, J=7Hz, 1H), 7.80(d, J=8Hz, 2H), 7.60(t, J=8Hz, 1H), 7.30(d, J=7Hz, 2H), 6.80(d, J=7Hz, 1H), 4.60(d, J=7Hz, 2H).
실시예 28(7)
4-(2-t-부톡시카르보닐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헥산=3:2);
NMR(CDCl3): δ 8.00(d, J=7Hz, 1H), 7.80(d, J=8Hz, 1H), 7.70(d, J=8Hz, 1H), 7.60(t, J=8Hz, 1H), 6.95(broad-s, 1H), 6.80(d, J=7Hz, 1H), 3.70(q, J=7Hz, 2H), 2.60(t, J=7Hz, 2H), 1.45(s, 9H).
실시예 28(8)
4-(티오펜-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50(t, J=7Hz, 1H), 7.95(d, J=6Hz, 1H), 7.85(d, J=8Hz, 1H), 7.75(d, J=8Hz, 1H), 7.55(t, J=8Hz, 1H), 7.25(d, J=6Hz, 1H), 7.05(d, J=3Hz, 1H), 6.95(dd, J=3Hz 및 6Hz, 1H), 6.80(d, J=6Hz, 1H), 4.75(d, J=7Hz, 2H).
실시예 28(9)
4-벤질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DMSO-d6): δ 7.99(d, J=7.2Hz, 1H), 7.81-7.75(m, 2H), 7.56(t, J=7.5Hz, 1H), 7.43(t, J=5.7Hz, 1H), 7.40-7.27(m, 5H), 6.78(d, J=7.2Hz, 1H), 4.63(d, J=5.7Hz, 2H).
실시예 28(10)
4-(피리딘-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56(d, J=5.1Hz, 1H), 8.05(dd, J=7.2, 0.9Hz, 1H), 7.84(t, J=7.2Hz, 1H), 7.73(dt, J=0.9, 7.8Hz, 1H), 7.68(t, J=5.1Hz, 1H), 7.61(t, J=7.8Hz, 1H), 7.33(d, J=7.8Hz, 1H), 7 . 59-7.23(m, 2H), 6.78(d, J=6.9Hz, 1H), 4.76(d, J=5.1Hz, 2H).
실시예 28(11)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5(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8.04(dd, J-7.2, 0.9Hz, 1H), 7.80(dt, J=7.8, 0.9Hz, 1H), 7.72(dd, J=7.8, 0.9Hz, 1H), 7.59(t, J=7.8Hz, 1H), 7.02(bs, 1H), 6.77(d, J=7.2Hz, 1H), 3.54(q, J=5.7Hz, 2H), 2.58(t, J=5.7Hz, 2H), 2.50-2.40(m, 4H), 1.76-1.43(m, 6H).
염산염:
TLC: Rf 0.60(염화메틸렌: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20(br. s, 1H), 9.25-9.10(m, 1H), 8.01(d, J=7.0Hz, 1H), 7.99(d, J=7.0Hz, 1H), 7.93(d, J=6.9Hz, 1H), 7.73(t, J=7.0Hz, 1H), 7.47(d, J=6.9Hz, 1H), 3.80-3.60(m, 2H), 3.60-3.50(m, 2H), 3.45-3.15(m, 2H), 3.10-2.80(m, 2H), 2.00-1.70(m, 5H), 1.55-1.30(m, 1H).
실시예 28(12)
4-((1S)-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5(d, J=7.2Hz, 1H), 7.81(d, J=7.8Hz, 1H), 7.77(d, J=7.8Hz, 1H), 7.59(t, J=7.8Hz, 1H), 6.78(d, J=7.2Hz, 1H), 6.56(d, J=8.4Hz, 1H), 4.64(dd, J=8.4, 4.2Hz, 1H), 2.36-2.27(m, 1H), 1.51(s, 9H), 1.02(d, J=6.9Hz, 3H), 0.98(d, J=6.9Hz, 3H).
실시예 28(13)
4-(2-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7.95(broad peak, 1H), 7.95(d, J=7Hz, 1H), 7.80(d, J=8Hz, 1H), 7.78(d, J=8Hz, 1H), 7.55(t, J=8Hz, 1H), 7.50-7.20(m, 2H), 7.20-7.00(m, 2H), 6.77(d, J=7Hz, 1H), 4.62(d, J=7Hz, 2H).
실시예 28(14)
4-(3-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40(broad peak, 1H), 7.98(d, J=7Hz, 1H), 7.85(d, J=8Hz, 1H), 7.80(d, J=8Hz, 1H), 7.55(t, J=8Hz, 1H), 7.40-7.25(m, 1H), 7.20-6.90(m, 3H), 6.80(d, J=7Hz, 1H), 4.60(d, J=7Hz, 2H).
실시예 28(15)
4-(3-메틸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95(d, J=7Hz, 1H), 7.75(d, J=8Hz, 1H), 7.65(d, J=8Hz, 1H), 7.52(t, J=8Hz, 1H), 7.30-7.20(m, 1H), 7.20-7.10(m, 3H), 6.75(d, J=7Hz, 1H), 6.40(broad peak, 1H), 4.60(d, J=7Hz, 2H), 2.40(s, 3H).
실시예 28(16)
4-(2-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4(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7.93(d, J=7Hz, 1H), 7.85-7.70(m, 3H), 7.55(t, J=8
Hz, 1H), 7.30(m, 2H), 6.92(m, 2H), 6.78(d, J=7Hz, 1H), 4.60(d, J=7Hz, 2H), 3.90(s, 3H).
실시예 28(17)
4-(2,3-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7.97(d, J=7.2Hz, 1H), 7.77(d, J=7.6Hz, 1H), 7.76(d, J=7.6Hz, 1H), 7.73(broad peak, 1H), 7.54(t, J=7.6Hz, 1H), 7.06(t, J=7.8Hz, 1H), 7.00-6.85(m, 2H), 6.77(d, J=7.2Hz, 1H), 4.63(d, J=5.6Hz, 2H),3.90(s, 3H), 3.88(s, 3H).
실시예 28(18)
4-(3,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57(t-형, J=5.8Hz, 1H), 7.97(d, J=7.2Hz, 1H), 7.86(d, J=7.8Hz, 1H), 7.77(d, J=7.8Hz, 1H), 7.57(t, J=7.8Hz, 1H), 7.00-6.80(m, 4H), 4.53(d, J=5.8Hz, 2H), 3.88(s, 3H), 3.87(s, 3H).
실시예 28(19)
4-(2,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78(t, J=6.0Hz, 1H), 7.97(dd, J=7.0Hz 및 1.0Hz, 1H), 7.89(dd, J=7.6Hz 및 1.0Hz, 1H), 7.79(d, J=7.6Hz, 1H), 7.59(t, J=7.6Hz,1H), 7.20-6.90(m, 3H), 6.82(d, J=7.0Hz, 1H), 4.60(d, J=6.0Hz, 1H).
실시예 28(20)
4-(3,4,5-트리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00(broad peak, 1H), 7.98(dd, J=7.2Hz 및 1.0Hz, 1H), 7.82(dd, J=7.6Hz 및 1.0Hz, 1H), 7.78(d, J=7.6Hz, 1H), 7.56(t, J=7.6Hz, 1H), 6.79(d, J=7.2Hz, 1H), 6.61(s, 2H), 4.54(d, J=5.8Hz, 2H), 3.86(s, 6H), 3.83(s, 3H).
실시예 28(21)
4-(벤즈이미다졸-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8.97(t, J=5.6Hz, 1H), 8.08(d, J=7.2Hz, 1H), 7.94(dd, J=7.8Hz 및 1.0Hz, 1H), 7.79(dd, J=7.8Hz 및 1.0Hz, 1H), 7.62-7.50(m, 3H), 7.30-7.15(m, 2H), 6.81(d, J=7.2Hz, 1H), 4.85(d, J=5.6Hz, 2H).
실시예 28(22)
4-(3,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7(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9.11(t, J=5.8Hz, 1H), 7.98(dd, J=7.2Hz 및 1.0Hz, 1H), 7.93(dd, J=7.6Hz 및 1.0Hz, 1H), 7.81(d, J=7.6Hz, 1H), 7.62(t, J=7.6Hz, 1H), 7.00-6.90(m, 2H), 6.90(d, J=7.2Hz, 1H), 6.80-6.68(m, 1H), 4.55(d, J=5.8Hz, 2H).
실시예 28(23)
4-(N-벤질-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9(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80-7.70(m, 1H), 7.65-7.47(m, 2H), 7.47-7.25(m, 5H), 7.15-7.00(m, 1H), 6.80-6.72(m, 1H), 4.78 및 4.44(각각 s, 총 2H), 3.12 및 2.84(각각 s, 총 3H).
실시예 28(24)
4-(4-니트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9.20(t, J=5.8Hz, 1H), 8.20(d, J=8Hz, 2H), 7.98(d, J=7Hz, 1H), 7.93(d, J=7.5Hz, 1H), 7.81(d, J=7.5Hz, 1H), 7.62(t, J=7.5Hz, 1H), 7.57(d, J=8Hz, 2H), 6.89(d, J=7Hz, 1H), 4.67(d, J=5.8Hz, 2H).
실시예 28(25)
5-(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아세트산에틸);
NMR(CDCl3+CD3OD): δ 7.98(dd, J=8.0Hz, 1.2Hz, 1H), 7.88(d, J=1.2Hz, 1H), 7.77(d, J=8.0Hz, 1H), 7.31(d, J=6.8Hz, 1H), 6.81(d, J=6.8Hz, 1H), 3.78(t, J=4.8Hz, 2H), 3.57(t, J=4.8Hz, 2H).
실시예 28(26)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63(M+MeOH+H)+, 331(M+H)+.
실시예 28(27)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8.23(d, J=8.1Hz, 1H), 8.03(t, J=5.7Hz, 1H), 7.55(d, J=8.1Hz, 1H), 7.41(d, J=6.9Hz, 1H), 6.76(d, J=6.9Hz, 1H), 3.94(s, 3H), 3.57(q, J=5.7Hz, 2H), 2.53(t, J=5.7Hz, 2H), 2.30(s, 6H).
실시예 28(28)
5-디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CDCl3): δ 7.52-7.38(m, 3H), 6.75(d, J=7.4Hz, 1H), 3.93(s, 3H), 3.15(s, 3H), 2.88(s, 3H).
실시예 28(29)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48(dd, J=7.5, 0.9Hz, 1H), 7.42(dd, J=6.9, 0.9Hz, 1H), 7.38(d, J=7.5Hz, 1H), 6.74(d, J=6.9Hz, 1H), 3.95(s, 3H), 3.80-3.56(m, 2H), 3.30-3.20(m, 2H), 1.90-1.75(m, 2H), 1.75-1.40(m, 6H).
실시예 28(30)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82(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8.31(d, J=7.8Hz, 1H), 7.54(s, 2H), 7.45(d, J=6.9Hz, 1H), 7.33-7.20(m, 2H), 7.20-7.07(m, 1H), 6.77(d, J=6.9Hz, 1H), 3.97(s, 3H), 3.90-3.66(m, 2H), 3.25-3.10(m, 2H).
실시예 28(31)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51(d, J=7.8Hz, 1H), 7.46(d, J=7.8Hz, 1H), 7.43-7.35(m, 2H), 7.30-7.20(m, 1H), 7.06-6.99(m, 2H), 6.76(d, J=6.9Hz, 1H), 4.10-3.90(m, 2H), 3.98(s, 3H), 3.54-3.37(m, 2H),3.20-2.90(m, 4H).
실시예 28(32)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3(d, J=7.8Hz, 1H), 7.49(d, J=7.5Hz, 2H), 7.46-7.40(m, 2H), 7.40-7.27(m, 2H), 6.75(d, J=7.5Hz, 1H), 3.94(s, 3H), 3.90-3.80(m, 2H), 3.35-3.20(m, 2H), 3.04-2.94(m, 2H), 2.68-2.60(m, 4H), 2.58-2.40(m, 2H).
실시예 28(33)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33(M+MeOH+H)+, 301(M+H)+.
실시예 29
4-(3-(피롤-1-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70 ㎎), 트리페닐포스핀(630 ㎎)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300 ㎎)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 ㎖)에 용해하고,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323 ㎎)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4 ㎖) 용액을 적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3 ㎖)을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473 ㎎)을 얻었다.
TLC: Rf 0.4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5-7.35(m, 2H), 7.30(d, J=8Hz, 1H), 6.97(d, J=8Hz, 1H), 6.75-6.54(m, 3H), 6.16(t, J=2Hz, 2H), 4.12(t, J=6Hz, 2H), 4.00(t, J=6Hz, 2H), 2.27(q, J=6Hz, 2H).
실시예 30∼30(13)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상당하는 알콜 유도체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에 상당하는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또는,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알콜 유도체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에 해당 알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9로 표시되는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0
4-(퀴놀린-2-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23(d, J=8Hz, 1H), 8.09(d, J=8Hz, 1H), 7.95-7.68(m, 2H), 7.68-7.50(m, 3H), 7.50-7.22(m, 2H), 7.14(d, J=8Hz, 1H), 6.66(d, J=7Hz, 1H), 5.49(s, 2H).
실시예 30(1)
4-(2-(피롤-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7.55-7.22(m, 3H), 6.94(d, J=8Hz, 1H), 6.73(t, J=2Hz, 2H), 6.62(d, J=7Hz, 1H), 6.19(t, J=2Hz, 2H), 4.32(s, 4H).
실시예 30(2)
4-(2-(4-메틸티아졸-5-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8.63(s, 1H), 7.58-7.37(m, 2H), 7.31(d, J=8Hz, 1H), 7.03(d, J=8Hz, 1H), 6.64(d, J=8Hz, 1H), 4.26(t, J=6Hz, 2H), 3.31(t, J=6Hz, 2H), 2.46(s, 3H).
실시예 30(3)
4-(3-(피리딘-4-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53(dd, J=1.6, 4.5Hz, 2H), 7.60-7.22(m, 3H), 7.14(d, J=5.8Hz, 2H), 7.00(d, J=8.0Hz, 1H), 6.62(d, J=7.4Hz, 1H), 4.09(t, J=6.2Hz, 2H), 2.84(t, J=7.4Hz, 2H), 2.19(5중선, J=6.2Hz, 2H).
실시예 30(4)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8-7.38(m, 2H), 7.30(d, J=7.6Hz, 1H), 7.04(d, J=8.2Hz, 1H), 6.61(d, J=7.0Hz, 3.15-2.50(m, 4H), 1.45(s, 9H).
실시예 30(5)
4-(2-(피롤리딘-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 δ 7.55-7.35(m, 2H), 7.29(d, J=7Hz, 1H), 7.06(d, J=8Hz, 1H), 6.61(d, J=7Hz, 1H), 4.22(t, J=6Hz, 2H), 2.94(t, J=6Hz, 2H), 2.64(t, J=6Hz, 4H), 2.20-1.65(m, 4H).
실시예 30(6)
4-(2-(피페리딘-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 δ 7.60-7.58(m, 2H), 7.29(d, J=8Hz, 1H), 7.07(d, J=8Hz, 1H), 6.61(d, J=7Hz, 1H), 4.21(t, J=6Hz, 2H), 2.80(t, J=6Hz, 2H), 2.51(t, J=6Hz, 4H), 1.90-1.35(m 6H).
실시예 30(7)
4-(2-(2-아세틸옥시에톡시)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7.58-7.38(m, 2H), 7.31(d, J=7Hz, 1H), 7.08(d, J=9Hz, 1H), 6.62(d, J=7Hz, 1H), 4.25(t, J=5Hz, 4H), 3.88(t, J=5Hz, 2H), 3.76(t, J=5Hz, 2H), 2.07(s, 3H).
실시예 30(8)
4-(2-(4-벤질피페라진-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7(클로로포름:메탄올=5:1);
NMR(CDCl3): δ 7.58-7.38(m, 2H), 7.38-7.18(m, 6H), 7.05(d, J=8Hz, 1H), 6.60(d, J=7Hz, 1H), 4.35-4.05(m, 2H), 3.52(s, 2H), 2.85(t, J=6Hz, 2H), 2.78-2.35(m, 8H).
실시예 30(9)
4-디에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52(d, J=7.0Hz, 1H), 7.46(t, J=8.0Hz, 1H), 7.32(d, J=8.0Hz, 1H), 7.05(d, J=8.0Hz, 1H), 6.63(d, J=7.0Hz, 1H), 4.80(s, 2H), 3.41(q, J=7.2Hz, 2H), 3.36(q, J=7.2Hz, 2H), 1.23(t, J=7.2Hz, 3H), 1.15(t, J=7.2Hz, 3H).
실시예 30(10)
4-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5-7.35(m, 3H), 7.15(d, J=7.5Hz, 1H), 6.70(d, J=7.5Hz, 1H), 4.90(s, 2H).
실시예 30(11)
5-(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36(M+MeOH+H)+, 304(M+H)+.
실시예 30(12)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0(d, J=8.6Hz, 1H), 7.33(d, J=7.0Hz, 1H), 7.18(d, J=8.6Hz, 1H), 6.93(d, J=7.0Hz, 1H), 5.00(br, 1H), 4.24(t, J=5.2Hz, 2H), 3.57(q, J=5.2Hz, 2H), 1.45(s, 9H).
실시예 30(13)
5-((2E)-3-에톡시카르보닐-2-프로페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5(d, J=8.8Hz, 1H), 7.14(d, J=6.8Hz, 1H), 7.12-6.85(m, 4H), 6.74(d, J=6.8Hz, 1H), 6.23-6.10(m, 1H), 4.82-4.73(m, 2H), 4.23(q, J=7.0Hz, 2H), 1.31(t, J=7.0Hz, 3H).
실시예 31
4-(2,4-디메톡시페닐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198 ㎎)을 아세토니트릴(10 ㎖)에 용해하고, 2,4-디메톡시벤질아민·염산염(188 ㎎)과 트리에틸아민(0.26 ㎖)의 아세토니트릴(6 ㎖)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헥산=1:1→2: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13 ㎎)을 얻었다.
TLC: Rf 0.29(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3-7.39(m, 4H), 7.07(d, J=8.0Hz, 1H), 6.66(d, J=7.0Hz, 1H), 6.49-6.39(m, 2H), 3.83(s, 2H), 3.81(s, 3H), 3.79(s, 3H), 3.72(s, 2H), 1.98(s, 1H).
실시예 31(1)∼31(12)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2,4-디메톡시벤질아민·염산염에 해당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1(1)
4-(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37(아세트산에틸:메탄올=5:1);
NMR(CD3OD): δ 9.11(d, J=1.7Hz, 1H), 8.92(dd, J=5.5, 1.7Hz, 1H), 8.73(dt, J=8.2, 1.7Hz, 1H), 8.10(dd, J=8.2, 5.5Hz, 1H), 7.94-7.90(m, 2H), 7.84(d, J=7.4Hz, 1H), 7.20(t, J=7.4Hz, . 1H), 7.18(d, J=7.4Hz, 1H), 4.68(s, 2H), 4.63(s, 2H).
실시예 31(2)
4-(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299(M+MeOH+H)+, 267(M+H)+.
실시예 31(3)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16(M+MeOH+H)+, 284(M+H)+.
실시예 31(4)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599(2M+MeOH+H)+, 567(2M+H)+, 316(m+MeOH+H)+, 284(m+H)+.
실시예 31(5)
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71(d, J=7.0Hz, 1H), 7.62(t, J=4.6Hz, 1H), 7.44(d, J=4.6Hz, 2H), 7.35-7.25(m, 5H), 6.68(d, J=7.0Hz, 1H), 3.60(s, 2H), 3.51(s, 2H), 2.46(brs, 8H).
2염산염:
TLC: Rf 0.32(아세트산에틸);
NMR(CD3OD): δ 7.86(d, J=7.2Hz, 1H), 7.76-7.70(m, 2H), 7.63(d, J=7.8Hz, 1H), 7.58-7.47(m, 5H), 7.07(d, J=7.2Hz, 1H), 4.38(s, 2H), 4.13(s, 2H), 3.41(br, 4H), 3.13(br, 4H).
실시예 31(6)
4-(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74(M+MeOH+H)+, 342(M+H)+.
실시예 31(7)
4-(4-에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69(M+MeOH+H)+, 337(M+H)+.
실시예 31(8)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649(2M+MeOH+H)+, 617(2M+H)+, 341(M+MeOH+H)+, 309(M+H)+.
실시예 31(9)
4-(4-(피리딘-4-일)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74(M+MeOH+H)+, 342(M+H)+.
실시예 31(10)
4-벤질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6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2(d, J=7.2Hz, 1H), 7.56(d, J=7.5Hz, 1H), 7.52(d, J=7.5Hz, 1H), 7.46(t, J=7.5Hz, 1H), 7.39-7.24(m, 5H), 6.69(d, J=7.2Hz, 1H), 3.89(s, 2H), 3.81(s, 2H), 1.59(s, 1H).
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3OD): δ 7.95-7.18(m, 8H), 7.15(d, J=7Hz, 1H), 6.98(d, J=7Hz, 1H), 4.48(s, 2H), 4.36(s, 2H).
실시예 31(11)
4-(1-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CDCl3): δ 7.65(d, J=7.0Hz, 1H), 7.61(d, J=6.8Hz, 1H), 7.56-7.40(m, 2H), 7.34-7.22(m, 5H), 6.68(d, J=7.0Hz, 1H), 3.91(s, 2H), 3.50(s, 2H), 2.91-2.77(m, 2H), 2.60-2.43(m, 1H), 2.12-1.95(m, 2H), 1.95-1.80(m, 2H), 1.60-1.32(m, 3H).
2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CD3OD): δ 7.97(d, J=7.2Hz, 1H), 7.95(d, J=7.8Hz, 1H), 7.88(d, J=7.5Hz, 1H),7.65-7.55(m, 3H), 7.50-7.40(m, 4H), 4.42(s, 2H), 4.33(s, 2H), 3.80-3.40(m, 3H), 3.10-2.95(m, 2H), 2.50-2.35(m, 2H), 2.35-2.05(m, 2H).
실시예 31(12)
4-(모르폴린-4-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아세트산에틸:염화메틸렌=1:1);
NMR(CDCl3): δ 7.69(d, J=7.2Hz, 1H), 7.64(t, J=4.8Hz, 1H), 7.46(d, J=4.8Hz, 2H), 6.71(d, J=7.2Hz, 1H), 3.68(t, J=4.5Hz, 4H), 3.60(s, 2H), 2.44(t, J=4.5Hz, 4H).
실시예 32
4-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42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50 ㎖)에 용해하고, 탄산칼륨(3.10 g) 및 브로모에탄(44.3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2.08 g)을 얻었다.
TLC: Rf 0.24(아세트산에틸:헥산=1:4);
NMR(CDCl3): δ 8.25(d, J=7.4Hz, 1H), 8.20(d, J=7.8Hz, 1H), 7.88(d, J=7.8Hz, 1H), 7.61(t, J=7.8Hz, 1H), 6.84(d, J=7.4Hz, 1H), 4.44(q, J=7.2Hz, 2H), 1.44(t, J=7.2Hz, 3H).
실시예 32(1)
4-벤질옥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브로모에탄 대신에 벤질브롬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MS(APCI, Pos.): m/z 301(M+H)+.
실시예 33
4-(피리딘-3-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브로모-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492 ㎎)의 디메틸포름아미드(5.0 ㎖)용액에 디에틸(3-피리딜)보란(440 ㎎), 인산3칼륨(637 ㎎)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16 ㎎)을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50: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490 ㎎)을 얻었다.
TLC: Rf 0.59(클로로포름:메탄올=9:1);
MS(APCI, Pos.): m/z 276(M+MeOH+H)+, 244(M+H)+.
실시예 33(1)
6-(피리딘-3-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브로모-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6-브로모-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및 디에틸(3-피리딜)보란을 이용하여 실시예 3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MS(APCI, Pos.): m/z 276(M+MeOH+H)+, 244(M+H)+.
실시예 34
4-(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하기 실시예 72에서 제조한 화합물(519 ㎎)에 티오닐클로라이드(2.1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알칼리로 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92 ㎎)을 얻었다.
TLC: Rf 0.42(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43(d, J=7.0Hz, 1H), 8.08(d, J=7.8Hz, 1H), 7.78(d, J=7.8Hz, 1H), 7.56(t, J=7.8Hz, 1H), 6.76(d, J=7.0Hz, 1H), 4.13(s, 2H), 1.40(s, 6H).
실시예 35∼35(68)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28∼28(33), 실시예 29, 실시예 30∼30(13), 실시예 31∼31(12), 실시예 32∼32(1), 실시예 33∼33(1), 실시예 34에서 제조한 화합물 또는 해당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5
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4(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9.41(t, J=5.7Hz, 1H), 8.67(d, J=1.8Hz, 1H), 8.46(dd. J=4.8, 1.8Hz, 1H), 8.06(d, J=6.3Hz, 1H), 7.96(d, J=6.9Hz, 1H), 7.90-7.67(m, 5H), 7.66-7.58(m, 2H), 7.36(dd, J=8.1, 5.1Hz, 1H), 6.27(d, J=6.9Hz, 1H), 4.54(d, J=5.7Hz, 2H), 4.10(dd, J=15.6, 9.3Hz, 1H), 3.98(dd, J=15.6, 1.5Hz, 1H).
염산염: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70-9.62(br, 1H), 8.95(s, 1H), 8.75(d, J=5.4Hz, 1H), 8.55(d, J=7.5Hz, 1H), 8.13(d, J=7.5Hz, 1H), 7.98(d, J=6.9Hz, 1H), 7.94(d, J=7.5Hz, 1H), 7.91-7.85(m, 1H), 7.81-7.72(m, 1H), 7.67-7.58(m, 4H), 6.21(d, J=9.0Hz, 1H), 4.76(dd, J=15.6, 6.0Hz, 1H), 4.62(dd, J=15.6, 5.1Hz, 1H),4.07(dd, J=15.0, 9.0Hz, 1H), 3.93(d, J=15.0Hz, 1H).
실시예 35(1)
4-(4-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6(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DMSO-d6): δ 11.60-11.40 및 11.40-11.20(각각 br, 총 1H), 8.05-7.52(m, 10H), 7.51-7.23(m, 3H), 5.88 및 5.81(각각 d, J=9.3Hz, 총 1H), 4.80-3.85(m, 6H), 3.70-2.78(m, 6H).
실시예 35(2)
4-(N-(2-(피리딘-3-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27(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DMSO-d6): δ 8.96 및 8.81(각각 s, 총 1H), 8.75 및 8.73(각각 d,J=5.4Hz, 총 1H), 8.55 및 8.32(각각 d, J=7.5Hz, 총 1H), 7.95-7.62(m, 9H), 5.81 및 5.79(각각 d, J=8.4Hz, 총 1H), 4.15-3.84 및 3.73-3.62(각각 m, 총 4H), 3.50-3.05(m, 2H), 3.16 및 3.13(각각 s, 총 3H).
실시예 35(3)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염화메틸렌:메탄올=9:1);
NMR(DMSO-d6): δ 8.84(t, J=5.4Hz, 1H), 7.98-7.90(m, 2H), 7.84(d, J=7.5Hz, 1H), 7.81-7.73(m, 3H), 7.69-7.60(m, 2H), 6.36(d, J=8.9Hz, 1H), 4.58(t, J=5.1Hz, 1H), 4.09(dd, J=15.3, 8.9Hz, 1H), 3.9 6(d, J=15.3Hz, 1H), 3.67-3.53(m, 2H), 3.53-3.35(m, 6H).
실시예 35(4)
4-(2,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염화메틸렌:메탄올=95:5);
NMR(DMSO-d6): δ 9.04(t, J=5Hz, 1H), 8.03(d, J=7.2Hz, 1H), 7.92(d, J=7.2Hz, 1H), 7.90-7.70(m, 5H), 7.62(t, J=7.2Hz, 1H), 7.32(d, J=8.4Hz, 1H), 6.57(d, J=2.4Hz, 1H), 6.47(dd , J=8.4, 2.4Hz, 1H), 6.27(d, J=8.5Hz, 1H), 4.47(dd, J=15, 5Hz, 1H), 4.29(dd, J=15, 5Hz, 1H), 4.08(dd, J=15, 8.5Hz, 1H), 3.97(d, J=15Hz, 1H), 3.83(s, 3H), 3.74(s, 3H).
실시예 35(5)
4-(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0(염화메틸렌:메탄올=9:1);
NMR(CDCl3+CD3OD): δ 8.00-7.50(m, 8H), 7.45-7.20(m, 5H), 6.25(dd, J=7.5, 2.5Hz, 1H), 4.10-3.90(m, 1H), 3.80(dd, J=15, 2.5Hz, 1H), 3.70-3.60(m,1H), 3.55(s, 2H), 3.10-2.90(m , 2H), 2.30-1.95(m, 4H), 1.90-1.70(m, 2H).
염산염:
TLC: Rf 0.40(메탄올:아세트산에틸=1:10);
NMR(CD3OD): δ 8.04-7.43(m, 13H), 6.15(dd, J=8.2Hz, 2.6Hz, 1H), 4.35(s, 2H), 4.34-4.06(m, 1H), 3.94(dd, J=15.2Hz, 8.2Hz, 1H), 3.83(dd, J=15.2Hz, 2.6Hz, 1H), 3.74-3.08(m, 4H), 2.56-1.56(m, 4H).
메탄설폰산염:
TLC: Rf 0.40(메탄올:아세트산에틸=1:10);
NMR(CD3OD): δ 8.06-7.44(m, 13H), 6.14(dd, J=8.2Hz, 2.6Hz, 1H), 4.34(s, 2H), 4.32-4.12(m, 1H), 4.01-3.77(m, 2H), 3.68-3.08(m, 4H), 2.69(s, 3H), 2.54-1.74(m, 4H).
실시예 35(6)
4-(피리딘-4-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45(t. J=7Hz, 1H), 8.50(d, J=8Hz, 2H), 8.10(d, J=8Hz,1H), 8.00(d, J=8Hz, 1H), 7.90(t, J=8Hz, 1H), 7.80-7.55(m, 5H), 7.45(d, J=8Hz, 2H), 6.30(dd, J=1Hz 및 7Hz, 1H), 4.55(m, 2H), 4.10(dd, J=7Hz 및 15Hz, 1H), 4.00(dd, J=1Hz 및 15Hz, 1H).
실시예 35(7)
4-(2-t-부톡시카르보닐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아세트산에틸:헥산=3:2);
NMR(DMSO-d6): δ 8.90(t, J=7Hz, 1H), 8.00-7.55(m, 8H), 6.25(dd, J=1Hz 및 7Hz, 1H), 4.10(dd, J=7Hz 및 15Hz, 1H), 3.95(dd, J=1Hz 및 15Hz, 1H), 3.45(m, 2H), 2.60(t, J=7Hz, 2H).
실시예 35(8)
4-(티오펜-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7(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DMSO-d6): δ 9.40(t, J=7Hz, 1H), 8.00-7.60(m, 8H), 7.40(d, J=6Hz, 1H), 7.10(d, J=4Hz, 1H), 7.00(dd, J=4Hz 및 6Hz, 1H), 6.30(dd, J=1Hz 및 7Hz, 1H), 4.75(dd, J=7Hz 및 16Hz, 1H), 4.55(dd, J=7Hz 및 16Hz, 1H),4.10(dd, J=7Hz 및 12Hz, 1H), 4.00(dd, J=1Hz 및 12Hz, 1H).
실시예 35(9)
4-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8(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DMSO-d6): δ 8.74(t, J=5.7Hz, 1H), 8.03(dd, J=7.8, 0.9Hz, 1H), 7.93-7.80(m, 3H), 7.78-7.68(m, 2H), 7.59(t, J=7.8Hz, 2H), 7.50(d, J=6.9Hz, 2H), 7.39-7.20(m, 3H), 6.36(d, J=7.8Hz, 1H), 4.71(dd, J=14.9, 5.7Hz, 1H), 4.62(dd, J=14.9, 5.7Hz, 1H), 3.86(d, J=15.0Hz, 1H), 3.69(dd, J=15.0, 7.8Hz, 1H).
실시예 35(10)
4-(피리딘-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6(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9.42(t, J=6.3Hz, 1H), 8.54(d, J=5.1Hz, 1H), 8.11(d, J=7.5Hz, 1H), 7.97(d, J=8.1Hz, 1H), 7.95-7.82(m, 1H), 7.80-7.70(m, 4H).7.62(t, J=8.1Hz, 2H), 7.55(d, J=8.1Hz, 1H), 7.30-7.24(m, 1H), 6.30(d, J=8.7Hz, 1H), 4.65(dd, J=16.0, 4.8Hz, 1H), 4.54(dd, J=16.0, 4.8Hz, 1H), 4.10(dd, J=15.6, 4.8Hz, 1H), 4.00(d, J=15.6, 9.3Hz, 1H).
실시예 35(11)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0(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90-7.78(m, 4H), 7.75-7.64(m, 2H), 7.62-7.51(m, 2H),7.42(bs, 1H), 6.29(d, J=8.1Hz, 1H), 3.84(dd, J=15.0, 1.5Hz, 1H), 3.75-3.60(m, 2H), 3.58-3.45(m, 1H), 2.77-2.60(m , 2H), 2.55-2.40(m, 4H), 1.80-1.40(m, 6H).
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25(br. s, 1H), 9.32(t, J=5.4Hz, 1H),8.10(dd, J=7, 1.4Hz, 1H), 8.00-7.80(m, 2H),7.80-7.70(m, 3H), 7.70-7.55(m, 2H),6.30(d, J=8Hz, 1H), 4.14(dd, J=15, 8Hz, 1H), 3.97(d, J=15Hz, 1H), 3.90-3.70(m, 2H),3.70-3.50(m, 2H), 3.50-3.10(m, 3H), 3.10-2.80(m, 2H), 2.00-1.60(m, 4H), 1.60-1.20(m, 1H).
메탄설폰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9.13(t, J=5Hz, 1H), 9.00(br. s, 1H), 8.05(dd, J=7, 1.4Hz, 1H), 8.00-7.80(m, 2H), 7.80-7.70(m, 3H), 7.70-7.55(m, 2H), 6.28(d, J=8.2Hz, 1H), 4.12(dd, J=16, 8.2Hz, 1H), 3.94(d, J=16Hz, 1H), 3.90-3.50(m, 5H), 3.50-3.20(m, 2H), 3.15-2.90(m, 2H), 2.00-1.60(m, 4H), 1.60-1.30(m, 1H).
실시예 35(12a)
4-((1S)-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9(dd, J=7.5, 0.9Hz, 1H), 7.87-7.84(m, 3H), 7.75(t, J=7.5Hz, 1H), 7.72-7.67(m, 1H), 7.60-7.55(m, 2H), 6.80(d, J=8.8Hz, 1H), 6.25(d, J=8.7Hz, 1H), 4.67(dd, J=8.8, 3.9Hz, 1H), 3.80(d-형, J=15.0Hz, 1H), 3.65(dd, J=15.0, 8.7Hz, 1H), 2.47-2.41(m, 1H), 1.54(s, 9H), 1.12(d, J=7.0Hz, 3H), 1.06(d, J=7.0Hz, 3H).
(페닐설포닐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의 입체는 결정되어 있지 않지만, 단일물임)
실시예 35(12b)
4-((1S)-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8(d, J=7.8Hz, 0.5H), 7.91-7.80(m, 3.5H), 7.76-7.67(m, 2H), 7.60-7.55(m, 2H), 6.92(d, J=8.1Hz, 0.5H), 6.84(d, J=8.7Hz, 0.5H), 6.25(dd, J=9.3, 1.5Hz, 0.5H), 6.18(dd, J=9.3, 1.5Hz, 0.5H), 4.66(dd, J=8.7, 3.9Hz, 0.5H), 4.62(dd, J=8.1, 5.3Hz, 0.5H), 3.87(dd, J=15.0, 1.5Hz, 0.5H), 3.80(dd, J=15.0, 1.5Hz, 0.5H), 3.67(dd, J=15.0, 9.3Hz, 0.5H), 2.41-2.36(m, 0.5H), 2.33-2.24(m, 0.5H), 1.54(s, 4.5H), 1.46(s, 4.5H), 1.11(d, J=6.9Hz, 1.5H), 1.07(d, J=6.9Hz, 1.5H), 1.06(d, J=6.9Hz, 1.5H), 1.05(d, J=6.9Hz, 1.5H).
실시예 35(13)
4-(2-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35(t, J=7Hz, 1H), 8.05(d, J=8Hz, 1H), 7.95(d, J=8Hz, 1H), 7.85(t, J=8Hz, 1H), 7.80-7.50(m, 6H), 7.40-7.10(m, 3H), 6.25(d, J=10Hz, 1H), 4.60(dd, J=16Hz 및 7Hz, 1H), 4.45(dd, J=16Hz 및 7Hz, 1H), 4.10(dd, J=16Hz 및 10Hz, 1H), 4.00(d, J=16Hz, 1H).
실시예 35(14)
4-(3-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40(t, J=7Hz, 1H), 8.05(d, J=8Hz, 1H), 7.95(d, J=8Hz, 1H), 7.85(t, J=8Hz, 1H), 7.80-7.70(m, 3H), 7.70-7.55(m, 2H), 7.45-7.20(m, 3H), 7.05(m, 1H), 6.25(d, J=10Hz, 1H), 4.55(d, J=7Hz, 2H), 4.10(dd, J=16Hz 및10Hz, 1H), 3.97(dd, J=16Hz, 1H).
실시예 35(15)
4-(3-메틸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9(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31(t, J=6.0Hz, 1H), 8.06(d, J=7.6Hz, 1H), 7.96(d, J=7.6Hz, 1H), 7.85(t, J=7.6Hz, 1H), 7.80-7.70(m, 3H), 7.70-7.55(m, 2H), 7.30-7.15(m, 3H), 7.15-7.00(m, 1H), 6.31(dd, J=8.6Hz 및 2.0Hz, 1H), 4.48(m, 2H), 4.10(dd, J=15Hz 및 8.6Hz, 1H), 3.98(dd, J=15Hz 및 2.0Hz, 1H), 2.27(s, 3H).
실시예 35(16)
4-(2-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15(t-형, J=6Hz, 1H), 8.08(d, J=7.5Hz, 1H), 7.95(d, J=7.5Hz, 1H), 7.85(t, J=7.5Hz, 1H), 7.80-7.70(m, 3H), 7.70-7.55(m, 2H), 7.50-7.35(m, 1H), 7.35-7.20(m, 1H), 7.10-6.80(m, 2H), 6.28(d, J=8Hz, 1H), 4.57(dd, J=16Hz 및 6Hz, 1H), 4.35(dd, J=16Hz 및 6Hz, 1H), 4.10(dd, J=15.5Hz 및 8Hz, 1H), 4.00(d, J=15.5Hz, 1H), 3.85(s, 3H).
실시예 35(17)
4-(2,3-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22(t, J=5.5Hz, 1H), 8.05(d, J=7.0Hz, 1H), 7.95(d, J=7.0Hz, 1H), 7.85(t, J=7.0Hz, 1H), 7.80-7.70(m, 3H), 7.70-7.57(m, 2H), 7.15-6.90(m, 3H), 6.29(dd, J=8.5Hz 및 2.0Hz, 1H), 4.62(dd, J=15.0Hz 및 5.5Hz, 1H), 4.38(dd, J=15.0Hz 및 5.5Hz, 1H), 4.11(dd, J=15.5Hz 및 8.5Hz, 1H), 3.99(dd, J=15.5Hz 및 2.0Hz, 1H), 3.82(s, 6H).
실시예 35(18)
4-(3,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27(t, J=6.0Hz, 1H), 8.04(d, J=7.5Hz, 1H), 7.95(d, J=7.5Hz, 1H), 7.85(t, J=7.5Hz, 1H), 7.80-7.70(m, 3H), 7.70-7.57(m, 2H), 7.44(s, 1H), 7.00-6.85(m, 2H), 6.31(dd, J=8.6Hz 및 1.4Hz, 1H), 4.45(m, 2H), 4.11(dd, J=15.0Hz 및 8.6Hz, 1H), 3.99(dd, J=15.0Hz 및 1.4Hz, 1H), 3.73(s, 3H), 3.72(s, 3H).
실시예 35(19)
4-(2,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9(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41(t, J=5.8Hz, 1H), 8.09(dd, J=7.6Hz 및 1.5Hz, 1H), 7.98(dd, J=7.6Hz qnd 1.5Hz, 1H), 7.87(t, J=7.6Hz, 1H), 7.80-7.70(m, 3H), 7.70-7.57(m, 2H), 7.50-7.35(m, 1H), 7.35-7.07(m, 2H), 6.26(dd, J=15Hz 및 8.4Hz, 1H), 4.54(d, J=5.8Hz, 2H), 4.10(dd, J=15Hz 및 8.4Hz, 1H), 3.97(dd, J=15Hz 및 2.0Hz, 1H).
실시예 35(20)
4-(3,4,5-트리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8(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31(m, 1H), 8.06(d, J=7.6Hz, 1H), 7.95(d, J=7.6Hz, 1H), 7.85(t, J=7.6Hz, 1H),7.80-7.70(m, 3H), 7.70-7.55(m, 2H), 6.79(s, 2H), 6.32(d, J=8.4Hz, 1H), 4.61(dd, J=15.2Hz 및 6.6Hz, 1H), 4.37(dd, J=15.2Hz 및 4.6Hz, 1H), 4.12(dd, J=15Hz 및 8.4Hz, 1H), 3.99(d, J=15Hz, 1H), 3.73(s, 6H), 3.61(s, 3H).
실시예 35(21)
4-(벤즈이미다졸-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2.23(broad-s, 1H), 9.48(m, 1H), 8.17(d, J=7Hz, 1H), 8.00-7.80(m, 2H), 7.80-7.70(m, 3H), 7.70-7.45(m, 4H), 7.20-7.10(m, 2H), 6.29(d, J=8Hz, 1H), 4.89(dd, J=16Hz 및 6Hz, 1H), 4.51(dd, J=16Hz 및 5Hz, 1H), 4.13(dd, J=15Hz 및 8Hz, 1H), 3.99(d, J=15Hz, 1H).
실시예 35(22)
4-(3,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44(t, J=5.6Hz, 1H), 8.11(d, J=7.4Hz, 1H), 7.98(d, J=7.4Hz, 1H), 7.88(t, J=7.4Hz, 1H), 7.80-7.70(m, 3H), 7.70-7.55(m, 2H), 7.30-7.00(m, 3H), 6.29(dd, J=8.5Hz 및 2Hz, 1H), 4.55(m, 2H), 4.11(dd, J=15Hz 및 8.5Hz, 1H), 3.98(dd, J=15Hz 및 2Hz, 1H).
실시예 35(23)
4-(N-벤질-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NMR(CDCl3): δ 8.00-7.25(m, 13H), 6.00-5.90(m, 1H), 5.19(d, J=15Hz) 및 5.03(d, J=18Hz, 총 1H), 4.49(d, J=15Hz) 및 4.40(d, J=18Hz, 총 1H), 3.75(dd, J=2Hz 및 15Hz, 1H), 3.63(dd, J=8.5Hz 및 15Hz, 1H), 3.18 및 3.12(각각 s, 총 3H).
실시예 35(24)
4-(4-니트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52(m, 1H), 8.30-7.55(m, 13H), 6.27(d, J=6.4Hz, 1H), 4.65(m, 2H), 4.10(dd, J=15.5Hz 및 6.4Hz, 1H), 3.97(d, J=15.5Hz, 1H).
실시예 35(25)
5-(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아세트산에틸:메탄올=95:5);
NMR(DMSO-d6): δ 8.79(t, J=5.7Hz, 1H), 8.18(brs, 1H), 8.14(d, J=8.1Hz, 1H), 7.91(d, J=8.1Hz, 1H), 7.82-7.75(m, 3H), 7.68-7.58(m, 2H), 5.83(dd, J=9.4Hz, 3.0Hz, 1H), 4.77(t, J=5.7Hz, 1H), 4.03(dd, J=15.0Hz, 9.6Hz, 1H), 3.84(dd, J=15.0Hz, 3.0Hz, 1H), 3.54(q, J=5.7Hz, 2H), 3.36(q, J=5.7Hz, 2H).
실시예 35(26)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2(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8.59-8.56(m, 2H), 8.04(d, J=8.5Hz, 1H), 7.74-7.68(m, 3H), 7.58-7.53(m, 1H), 7.47-7.31(m, 5H), 5.16(d, J=8.5Hz, 1H), 4.68(dd, J=15.0, 6.0Hz, 1H), 4.59(dd, J=15.0, 6.0Hz, 1H), 4.11(d, J=15.0Hz, 1H), 3.77(dd, J=15.0, 8.5Hz, 1H), 3.67(s, 3H).
염산염:
TLC: Rf 0.32(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9.37(t, J=5.5Hz, 1H), 8.90(s, 1H), 8.84(d, J=5.5Hz, 1H), 8.49(d, J=8.0Hz, 1H), 8.02(dd, J=8.0, 5.5Hz, 1H), 7.85-7.75(m, 4H), 7.67-7.56(m, 3H), 5.70(d, J=9.0Hz, 1H), 4.72-4.60(m, 2H), 4.15(d, J=15.0Hz, 1H), 4.02(dd, J=15.0, 9.0Hz, 1H), 3.56(s, 3H).
실시예 35(27)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4(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CDCl3): δ 8.00(d, J=8.0Hz, 1H), 7.76-7.73(m, 2H), 7.67-7.61(m, 1H), 7.51-7.41(m, 3H), 7.32(bt, J=5.0Hz, 1H), 5.23(t, J=9.0Hz, 1H), 4.19(d, J=15.0Hz, 1H), 3.81(dd, J=15.0, 9.0Hz, 1H), 3.77(s, 3H), 3.64-3.42(m, 2H), 2.51(t, J=6.0Hz, 1H), 2.28(s, 6H).
염산염:
TLC: Rf 0.24(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10.47(br, 1H), 8.90(t, J=5.5Hz, 1H), 7.86-7.76(m, 4H), 7.69-7.64(m, 2H), 7.56(d, J=8.0Hz, 1H), 5.69(d, J=8.5Hz, 1H), 4.13(d, J=15.0Hz, 1H), 4.00(d, J=15.0, 8.5Hz, 1H), 3.65-3.60(m, 2H), 3.63(s, 3H), 3.25(t, J=6.0Hz, 2H), 2.82(s, 6H).
실시예 35(28)
5-디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7.83(d, J=8.0Hz, 2H), 7.44(t, J=7.5Hz, 1H), 7.63(dd, J=8.0Hz, 7.5Hz, 2H), 7.49(d, J=8.0Hz, 1H), 7.46(d, J=7.5Hz, 1H), 5.63(d, J=8.5Hz, 1H), 4.13(d, J=14.5Hz, 1H), 4.02(dd, J=14.5Hz, 8.5Hz, 1H), 3.59(s, 3H), 3.01(s, 3H), 2.78(s, 3H).
실시예 35(29)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1(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7.87-7.70(m, 3H), 7.70-7.60(m, 2H), 7.60-7.53(m, 2H),5.67(d, J=8.7Hz, 1H), 4.26(d, J=15.0Hz, 1H), 4.05(dd, J=15.0, 8.7Hz, 1H), 3.70-3.54(m, 2H), 3.48(s, 3H), 3.20-3.15(m, 2H),1.85-1.40(m, 8H).
실시예 35(30)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4(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8.13(d, J=7.8Hz, 1H), 7.87(d, J=7.5Hz, 1H), 7.83-7.70(m, 2H), 7.70-7.56(m, 2H), 7.66(t, J=7.8Hz, 2H), 7.31(d, J=7.5Hz, 1H), 7.25(t, J=7.5Hz, 1H), 7.12(t, J=7.5Hz, 1H), 5.72(d, J=8.7Hz, 1H), 4.39-3.97(m, 2H), 3.76(dd, J=18.6, 8.7Hz, 1H), 3.70-3.50(m, 1H), 3.57(s, 3H), 3.21-3.08(m, 2H).
실시예 35(31)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8(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DMSO-d6): δ 7.94-7.86(m, 1H), 7.77-7.66(m, 2H), 7.64-7.50(m, 4H), 7.44-7.16(m, 2H), 7.10-6.99(m, 2H),5.38-5.27(m, 1H), 4.26-4.00(m, 2H), 3.95 및 3.78(각각 s, 총 3H), 3.90-3.65(m, 2H), 3.50-2.80(m, 6H).
실시예 35(32)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1(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93-7.86(m, 1H), 7.74-7.43(m, 7H), 7.40-7.30(m, 3H), 5.31-5.20(m, 1H), 4.24-3.64(m, 7H), 3.34-3.10(m, 2H), 3.06-2.90(m, 2H), 2.70-2.30(m, 6H).
실시예 35(33)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9.31(t, J=6.0Hz, 1H), 9.05(d, J=1.5Hz, 1H), 8.72(dd, J=5.0, 1.5Hz, 1H), 8.23(dt, J=8.0, 1.5Hz, 1H), 7.87-7.63(m, 8H), 7.52(dd, J=8.0, 5.0Hz, 1H), 6.05(d, J=8.5Hz, 1H), 5.01(dd, J=16.0, 6.0Hz, 1H), 4.78(dd, J=16.0, 6.0Hz, 1H), 4.02(dd, J=15.3, 8.5Hz, 1H), 3.86(d, J=15.3Hz, 1H).
염산염:
TLC: Rf 0.3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9.63-9.59(m, 1H), 9.20(s, 1H), 8.86(d, J=5.0Hz, 1H), 8.57-8.54(m, 1H), 7.87-7.63(m, 9H), 6.11(d, J=8.5Hz, 1H), 5.02(dd, J=15.8, 5.7Hz, 1H), 4.80(dd, J=15.8, 5.7Hz, 1H), 4.00(dd, J=15.5, 8.5Hz, 1H), 3.86(d, J=15.5Hz, 1H).
실시예 35(34)
4-(3-(피롤-1-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75-7.35(m, 6H), 7.24(d, J=8Hz, 1H), 6.93(d, J=8Hz, 1H), 6.68(t, J=2Hz, 2H), 6.15(t, J=2Hz, 2H), 5.21(d, J=9Hz, 1H), 4.53-4.00(m, 2H), 4.10(d, J=15Hz, 1H), 4.00-3.65(m, 2H), 3.73(dd, J=9, 15Hz, 1H), 2.19(5중선, J=5Hz, 2H).
실시예 35(35)
4-(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1(벤젠: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42(d, J=9Hz, 1H), 8.03(d, J=8Hz, 2H), 7.90-7.20(m, 11H), 5.80(d, J=8Hz, 1H), 5.31(d, J=13Hz, 1H), 5.09(d, J=13Hz, 1H), 4.24(d, J=15Hz, 1H), 4.02(dd, J=8, 15Hz, 1H).
염산염: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8.64(d, J=8.5Hz, 1H), 8.20(d, J=8.5Hz, 1H), 8.13(d,J=8.5Hz, 1H), 7.92(t-형, J=8.5Hz, 1H), 7.81-7.65(m, 5H), 7.48-7.31(m, 5H), 5.91(d, J=9.0Hz, 1H), 5.42(d, J=13.5Hz, 1H), 5.21(d, J=13.5Hz, 1H), 4.22(d, J=15.0Hz, 1H), 4.02(dd, J=9.0Hz, 1H).
실시예 35(36)
4-(2-(피롤-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CD3OD): δ 7.85-7.58(m, 3H), 7.58-7.42(m, 3H), 7.28(d, J=8Hz, 1H), 6.92(d, J=8Hz, 1H), 6.74(t, J=2Hz, 2H), 6.18(t, J=2Hz, 2H), 5.16(d, J=9Hz, 1H), 4.30-4.05(m, 5H), 3.73(dd, J=9, 15Hz, 1H).
실시예 35(37)
4-(2-(4-메틸티아졸-5-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25(아세트산에틸);
NMR(CD3OD): δ 9.88(s, 1H), 7.80-7.40(m, 6H), 7.26(d, J=8Hz, 1H), 7.25(d, J=8Hz, 1H), 5.48(d, J=9Hz, 1H), 4.42-4.18(m, 2H), 4.08(d, J=15Hz, 1H), 3.92(dd, J=9, 15Hz, 1H), 3. 55-3.15(m, 2H), 2.60(s, 3H).
실시예 35(38)
4-(3-(피리딘-4-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6(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53(dd, J=1, 5Hz, 2H), 7.78-7.35(m. 6H), 7.25(d, J=7Hz, 1H), 7.17(d, J=6Hz, 2H), 6.95(d, J=8Hz, 1H), 5.17(d, J=9Hz, 1H), 4.14(d, J=15Hz, 1H), 4.05-3.82(m , 2H), 3.74(dd, J=9, 15Hz, 1H), 2.87(t, J=6Hz, 2H), 2.10(5중선, J=6Hz, 2H).
염산염:
TLC: Rf 0.39(아세트산에틸:메탄올:암모니아수=100:10:1);
NMR(DMSO-d6): δ 8.83(d, J=6Hz, 2H), 7.90(d, J=5Hz, 2H), 7.85-7.52(m,6H), 7.34(d, J=8Hz, 1H), 7.24(d, J=8Hz, 1H), 5.64(d, J=9Hz, 1H), 4.18(d, J=15Hz, 1H), 4.00(dd, J=9, 15Hz, 1H), 3.10-2.80(m, 2H), 2.10-1.60(m, 2H).
실시예 35(39)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3OD): δ 7.95-7.45(m, 6H), 7.40-7.05(m, 2H), 5.53(d, J=9Hz, 1H), 4.15(d, J=15Hz, 1H), 3.92(dd, J=9, 15Hz, 1H), 4.05-3.55(m, 4H), 3.20-2.40(m, 2H), 2.00-1.20(m, 5H), 1.47 및 1.44(각각 s, 9H).
실시예 35(40)
4-(2-(피롤리딘-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7(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5-7.68(m, 2H), 7.68-7.35(m, 4H), 7.28(d, J=8Hz, 1H), 6.97(d, J=8Hz, 1H), 5.30(d, J=9Hz, 1H), 4.23(d, J=15Hz, 1H), 4.15-3.95(m, 1H), 3.95-3.70(m, 1H), 3.74(dd, J=9, 15Hz, 1H), 2.78(t, J=6Hz, 2H), 2.70-2.45(m, 4H), 1.95-1.60(m, 4H).
염산염:
TLC: Rf 0.36(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CD3OD): δ 7.98-7.82(m, 2H), 7.80-7.45(m, 4H), 7.34(d, J=8Hz, 1H), 7.26(d, J=8Hz, 1H), 6.20-6.05(m, 1H), 4.75-4.50(m, 1H), 4.50-4.25(m, 1H), 4.10-3.85(m, 2H), 3.85-3.45(m, 4H), 3.30-2.90(m, 2H), 2.40-2.00(m, 4H).
실시예 35(41)
4-(2-(피페리딘-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4(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5-7.67(m, 2H), 7.67-7.36(m, 4H), 7.27(d, J=8Hz, 1H),6.97(d, J=8Hz, 1H), 5.29(d, J=9Hz, 1H), 4.25(d, J=15Hz, 1H), 4.18-3.92(m, 1H), 3.92-3.65(m, 1H), 3.74(dd, J=9, 15Hz, 1H), 2.62(t, J=6Hz, 2H), 2.46(t, J=6Hz, 4H), 1.90-1.35(m, 6H).
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CD3OD): δ 7.95-7.75(m, 2H), 7.75-7.45(m, 4H), 7.32(d, J=8Hz, 1H), 7.30(d, J=8Hz, 1H), 6.05-5.85(m, 1H), 4.75-4.38(m, 2H), 3.95-3.42(m, 6H), 3.15-2.85(m, 2H), 2.35-1.35(m, 6H).
실시예 35(42)
4-(2-(2-아세틸옥시에톡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7(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7.82-7.70(m, 2H), 7.65-7.35(m, 4H), 7.27(d, J=8Hz, 1H), 7.00(d, J=8Hz, 1H), 5.30(d, J=9Hz, 1H), 4.32-4.05(m, 4H), 4.05-3.88(m, 1H), 3.84-3.75(m, 5H), 2.05(s, 3H).
실시예 35(43)
4-(2-(4-벤질피페라진-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2(클로로포름:메탄올=5:1);
NMR(CDCl3): δ 7.80-7.68(m, 2H), 7.68-7.37(m, 4H), 7.37-7.18(m, 6H), 6.96(d, J=8Hz, 1H), 5.27(d, J=9Hz, 1H), 4.22(d, J=15Hz, 1H), 4.15-3.94(m, 1H), 3.94-3.70(m, 1H), 3.72(dd , J=9, 15Hz, 1H), 3.52(s, 2H), 2.68(t, J=6Hz, 2H), 2.63-2.35(m, 8H).
2염산염:
TLC: Rf 0.28(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3OD): δ 7.90-7.22(m, 13H), 6.13-6.00(m, 1H), 4.68-4.35(m, 2H), 4.46(s, 2H), 4.10-3.40(m, 12H).
실시예 35(44)
4-디에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83-7.77(m, 2H), 7.68-7.59(m, 1H), 7.56-7.45(m, 3H), 7.32(d, J=7.6Hz, 1H), 7.01(d, J=7.6Hz, 1H), 5.44(d, J=8.8Hz, 1H), 4.59(d, J=14.5Hz, 1H), 4.51(d, J=14.5Hz, 1H), 4.15(d, J=15.0Hz, 1H), 3.74(dd, J=15.0, 8.8Hz, 1H), 3.39(q, J=7.0Hz, 2H), 3.30(q, J=7.0Hz, 2H), 1.22(t, J=7.0Hz, 3H), 1.14(t, J=7.0Hz, 3H).
실시예 35(45)
4-시아노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7.82-7.72(m, 4H), 7.68-7.60(m, 2H), 7.50(d, J=8.0Hz, 1H), 7.41(d, J=8.0Hz, 1H), 5.60(dd, J=9.0, 1.2Hz, 1H), 5.04(d, J=16.0Hz, 1H), 4.90(d, J=16.0Hz, 1H), 4.20(dd, J=15.2, 1.2Hz, 1H), 4.00(dd, J=15.2, 9.0Hz,1H).
실시예 35(46)
5-(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37-8.36(m, 1H), 8.31-8.29(m, 1H), 7.76-7.71(m, 3H), 7.66-7.61(m, 1H), 7.49-7.43(m, 3H), 7.27-7.25(m, 2H), 5.25(dd, J=9.5, 1.0Hz, 1H), 5.16(d, J=12.5Hz, 1H), 5.12(d, J=12.5Hz, 1H), 4.15(dd, J=15.0, 1.0Hz, 1H), 3.90(s, 3H), 3.81(dd, J=15.0, 9.5Hz, 1H).
염산염:
TLC: Rf 0.27(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76(d, J=2.5Hz, 1H), 8.52(d, J=5.0Hz, 1H), 8.15(dd, J=8.5, 2.5Hz, 1H), 7.93-7.74(m, 5H), 7.65-7.60(m, 3H), 5.78(d, J=8.5Hz, 1H), 5.35(s, 2H), 4.17(d, J=15.0Hz, 1H), 4.06(dd, J=15.0, 8.5Hz, 1H), 3.69(s, 3H).
실시예 35(47)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86-7.70(m, 4H), 7.63-7.54(m, 2H), 7.41(d, J=8.8Hz, 1H), 5.69(dd, J=9.0, 1.8Hz, 1H), 5.07(br, 1H), 4.38-4.22(m, 2H), 3.90(dd, J=15.0, 1.8Hz, 1H), 3.75(dd, J=15.0, 9.0Hz, 1H), 3.68-3.52(m, 2H), 1.46(s, 9H).
실시예 35(48)
5-((2E)-3-에톡시카르보닐-2-프로페닐)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2-7.65(m, 3H), 7.62-7.46(m, 4H), 7.15(dd, J=8.7, 2.1Hz, 1H), 7.08(dt, J=15.6, 4.2Hz, 1H), 6.20(dt, J=15.6, 2.1Hz, 1H), 5.01(dd, J=8.7, 4.8Hz, 1H), 4.87-4.81(m, 2H), 4.24(q, J=7.2Hz, 2H), 3.77(dd,J=14.7, 4.8Hz, 1H), 3.70(dd, J=14.7, 8.7Hz, 1H), 1.31(t, J=7.2Hz, 3H).
실시예 35(49)
4-(2,4-디메톡시페닐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5(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9(dd, J=6.9, 1.5Hz, 1H), 7.64-7.50(m, 5H), 7.46-7.41(m, 2H), 7.01(d, J=8.0Hz, 1H), 6.45(d, J=2.5Hz, 1H), 6.43(dd, J=8.0, 2.5Hz, 1H), 6.06(dd, J=9.3, 1.2Hz, 1H), 4.51(d, J=14.1Hz, 1H), 3.91(d, J=14.1Hz, 1H), 3.85(dd, J=15.0, 1.2Hz, 1H), 3.81(s, 3H), 3.78(s, 3H), 3.73(d, J=13.0Hz, 1H), 3.66(d, J=13.0Hz, 1H), 3.65(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35(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40(br, 2H), 8.20-8.11(m, 1H), 7.86-7.59(m, 7H), 7.42(d, J=8.4Hz, 1H), 6.61-6.56(m, 2H), 6.09(dd, J=6.8, 3.0Hz, 1H), 4.65(d, J=13.8Hz, 1H), 4.38(d, J=13.8Hz, 1H), 4.22-4.06(m, 2H), 3.88-3.85(m, 2H),3.80(s, 3H), 3.79(s, 3H).
실시예 35(50)
4-(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4(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3OD): δ 9.21(s, 1H), 8.95(d, J=5.6Hz, 1H), 8.92-8.84(m, 1H), 8.22(dd, J=6.6, 2.2Hz, 1H), 8.16(dd, J=8.0, 5.6Hz, 1H), 7.93-7.74(m, 5H), 7.68-7.58(m, 2H), 6.20(dd, J=8.6, 1.6Hz, 1H), 4.96(d, J=13.2Hz, 1H), 4.83-4.70(m, 3H), 3.92(dd, J=15.4, 8.6Hz, 1H), 3.77(dd, J=15.4, 1.6Hz, 1H).
실시예 35(51)
4-(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51(클로로포름:메탄올:트리에틸아민=9:1:1);
NMR(DMSO-d6): δ 10.85-10.50(br, 1H), 10.10-9.75(br, 1H), 9.72-9.40(br, 1H), 8.22(dd, J=5.4, 3.0Hz, 1H), 7.90-7.85(m, 2H), 7.82-7.75(m, 3H), 7.67-7.59(m, 2H), 6.47(t 형, J=1.5Hz, 1H), 4.72(brd, J=12.0Hz, 1H), 4.51(brd, J=12.0Hz, 1H), 3.91-3.84(m, 2H), 3.70-3.30(m, 4H), 2.85(s, 6H).
실시예 35(52)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0.15-9.90(br, 1H), 8.24(d, J=6.6Hz, 1H), 7.95-7.72(m, 5H), 7.69-7.58(m, 2H), 6.16(d, J=8.7Hz, 1H), 5.80-5.10(br, 2H), 5.11(brd, J=13.8Hz, 1H), 4.70(brd, J=13.8Hz, 1H), 4.02(dd, J=15.0, 8.7Hz, 1H), 3.94-3.70(m, 4H), 3.82(d, J=15.0Hz, 1H), 3.47-3.18(m, 3H), 3.12-2.92(m, 1H).
실시예 35(53)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6(염화메틸렌:메탄올=9:1);
NMR(DMSO-d6): δ 9.40-9.10(br, 2H), 8.16(dd, J=6.3, 2.4Hz, 1H), 7.91-7.75(m, 5H), 7.68-7.59(m, 2H), 6.29(dd, J=7.5, 2.4Hz, 1H), 4.90-4.30(br, 1H), 4.75-4.63(m, 1H), 4.50-4.35(m, 1H), 3.90(dd, J=15 . 6, 7.5Hz, 1H), 3.84(dd, J=15.6, 2.4Hz, 1H), 3.74(t, J=5.1Hz, 2H), 3.58-3.47(m, 4H), 3.28-3.15(m, 2H).
실시예 35(54)
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9(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CDCl3): δ 7.68-7.57(m, 4H), 7.56-7.50(m, 2H), 7.50-7.42(m, 2H), 7.36-7.20(m, 5H), 6.33(d, J=9.0Hz, 1H), 4.69(d, J=14.1Hz, 1H), 3.90(d,J=15.0Hz, 1H), 3.72(dd, J=15.0, 9.0Hz, 1H), 3.51(s, 2H), 3.41(d, J=14.1Hz, 1H), 2.70-2.25(m, 8H).
2염산염:
TLC: Rf 0.29(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DMSO-d6): δ 8.30-7.95(br, 1H), 7.93-7.72(m, 5H), 7.70-7.55(m, 4H), 7.50-7.40(m, 3H), 6.65-6.20(br, 1H), 5.40-4.20(br, 4H), 4.50-4.10(br, 2H), 3.98(dd, J=15.6, 9.0Hz, 1H), 3.84(d, J=15.6Hz, 1H), 3.70-2.80(m, 6H).
실시예 35(55)
4-(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3(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CDCl3): δ 8.23-8.16(m, 1H), 7.71-7.52(m, 6H), 7.52-7.42(m, 3H), 6.68-6.62(m, 2H), 6.30(d, J=9.0Hz, 1H), 4.76(d, J=14.1Hz, 1H), 3.89(d, J=15.0Hz, 1H), 3.73(dd, J=15.0, 9.0Hz, 1H), 3.62-3. 45(m, 4H), 3.49(d,J=14.1Hz, 1H), 2.73-2.61(m, 2H), 2.58-2.44(m, 2H).
3염산염:
TLC: Rf 0.43(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DMSO-d6): δ 12.05-11.70(br, 1H), 8.35(d, J=6.3Hz, 1H), 8.15-8.09(m, 1H), 7.96-7.84(m, 3H), 7.83-7.75(m, 3H), 7.68-7.58(m, 2H), 7.24(d, J=8.7Hz, 1H), 6.93(t, J=6.3Hz, 1H), 6.46(d, J=8.7Hz, 1H), 4.87(d, J=13.8Hz, 1H), 4.62(d, J=13.8Hz, 1H), 4.55-4.30(m, 2H), 4.00(dd, J=15.0, 8.7Hz, 1H), 3.83(d, J=15.0Hz, 1H), 3.72-3.50(m, 2H), 3.50-3.15(m, 4H).
실시예 35(56)
4-(4-에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CDCl3): δ 7.69-7.52(m, 6H), 7.51-7.41(m, 2H), 6.16(d, J=9.0Hz, 1H), 4.71(d, J=14.4Hz, 1H), 4.15(q, J=7.2Hz, 2H), 3.91(d, J=15.0Hz, 1H),3.74(dd, J=15.0, 9.0Hz, 1H), 3.54-3.39(m, 5H), 2.55-2.46(m, 2H), 2.41-2.29(m, 2H), 1.27(t, J=7.2Hz, 3H).
염산염: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19:1);
NMR(DMSO-d6): δ 11.60-11.30(br, 1H), 8.40-8.20(br, 1H), 8.00-7.74(m, 5H), 7.68-7.58(m, 2H), 6.31(brd, J=8.1Hz, 1H), 4.98-4.70(m, 1H), 4.70-4.52(m, 1H), 4.20-3.89(m, 2H), 4.07(q, J=7.2Hz, 2H), 3.82(d, J=15.3Hz, 1H), 3.77-3.60(m, 1H), 3.52-2.90(m, 6H), 1.18(t, J=7.2Hz, 3H).
실시예 35(57)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1(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70-7.50(m, 6H), 7.50-7.41(m, 2H), 6.29(d, J=9.0Hz, 1H), 4.72(d, J=14.1Hz, 1H), 3.91(d, J=15.0Hz, 1H), 3.73(dd, J=15.0, 9.0Hz, 1H), 3.63(t, J=5.1Hz, 2H), 3.43(d, J=14.1Hz , 1H), 2.80-2.30(m, 10H).
2염산염:
TLC: Rf 0.31(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1.50-10.60(br, 1H), 8.30-8.00(br, 1H), 7.88-7.73(m, 5H), 7.67-7.58(m, 2H), 6.60-6.30(br, 1H), 5.80-4.92(br, 2H), 4.92-4.10(br, 1H), 3.99(dd, J=15.0, 8.7Hz, 1H), 3.86(d, J=15.0Hz, 1H), 3.81-3.74(m, 2H), 3.73-2.80(m, 10H).
실시예 35(58)
4-(4-(피리딘-4-일)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6(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8.14(d, J=6.6Hz, 2H), 7.88-7.81(m, 1H), 7.81-7.74(m, 3H), 7.74-7.68(m, 2H), 7.67-7.59(m, 2H), 6.78(d, J=6.6Hz, 2H), 6.21(d, J=9.0Hz, 1H), 4.16(d, J=14.4Hz, 1H), 4.05(dd, J=1 5.0, 9.0Hz, 1H), 3.86(d, J=15.0Hz, 1H), 3.57(d, J=14.4Hz, 1H), 3.42-3.18(m, 4H), 2.43(t, J=4.8Hz, 4H).
3염산염:
TLC: Rf 0.36(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4.20-13.80(br, 1H), 12.30-11.90(br, 1H), 8.46-8.20(br, 1H), 8.35(d, J=6.9Hz, 2H), 7.98-7.82(m, 2H), 7.82-7.74(m, 3H), 7.67-7.57(m, 2H), 7.25(d, J=6.9Hz, 2H), 6.48(brd, J=8.7Hz, 1H), 5.05-4.75(m, 1H), 4.75-4.52(m, 1H), 4.52-4.15(m, 2H), 3.98(dd, J=15.3, 8.7Hz, 1H), 3.95-3.55(m, 6H), 3.84(d, J=15.3Hz, 1H).
실시예 35(59)
4-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4(dd, J=7.2, 1.5Hz, 1H), 7.65-7.51(m, 5H), 7.45-7.40(m, 2H), 7.36-7.25(m, 5H), 5.84(dd, J=9.3, 1.0Hz, 1H), 4.49(d, J=14.1Hz, 1H), 3.98(d, J=14.1Hz, 1H), 3.85(d, J=12.7Hz, 1H), 3.84(dd, J=15.0, 1.0Hz, 1H), 3.77(d, J=12.7, 1H), 3.65(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49(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87(brs, 1H), 9.57(brs, 1H), 8.16(d, J=6.6Hz, 1H), 7.90-7.75(m, 3H), 7.75-7.57(m, 6H), 7.50-7.41(m, 3H), 6.33-6.25(m, 1H), 4.67(d, J=13.5Hz, 1H), 4.40(d, J=13.5Hz, 1H), 4.30(s, 2H), 3.93-3.80(m, 2H).
실시예 35(60)
4-(1-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CDCl3): δ 7.70(dd, J=7.3, 1.3Hz, 1H), 7.65-7.41(m, 7H), 7.32-7.24(m, 5H), 6.09(dd, J=9.3, 1.0Hz, 1H), 4.61(d, J=14.0Hz, 1H), 3.98(d, J=14.0Hz, 1H), 3.87(dd, J=15.0, 1.0Hz, 1H), 3.72(dd, J=15.0, 9.3Hz, 1H), 3.50(s, 2H), 2.90-2.81(m, 2H), 2.58-2.51(m, 1H), 2.09-1.96(m, 3H), 1.83-1.79(m, 1H), 1.52-1.38(m, 2H).
2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CD3OD): δ 8.16-8.12(m, 1H), 7.91-7.74(m, 5H), 7.65-7.49(m, 7H), 6.06(dd, J=8.4, 1.8Hz, 1H), 4.84-4.68(m, 2H), 4.36(br, 2H), 3.90(dd, J=15.4, 8.4Hz, 1H), 3.77(dd, J=15.4, 1.8Hz, 1H), 3.80-3.60(m, 3H), 3.30-3.15(m, 2H), 2.58-2.43(m, 2H), 2.35-2.13(m, 2H).
실시예 35(61)
4-(모르폴린-4-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8-7.51(m, 6H), 7.48-7.42(m, 2H), 6.21(dd, J=9.3, 0.9Hz, 1H), 4.68(d, J=14.3Hz, 1H), 3.91(dd, J=15.0, 0.9Hz, 1H), 3.74(dd, J=15.0, 9.3Hz, 1H), 3.74-3.64(m, 4H), 3.45(d, J=14.3Hz, 1H), 2.58-2.52(m, 2H), 2.40-2.33(m, 2H).
염산염: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11.48(br, 1H), 8.31(d, J=7.2Hz, 1H), 7.94-7.79(m, 5H),
7.68-7.62(m, 2H), 6.44(d, J=8.1Hz, 1H), 4.85-4.79(m, 1H), 4.62-4.57(m, 1H), 4.05-3.81(m, 6H), 3.50-3.13(m, 4H).
실시예 35(62)
4-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염화메틸렌);
NMR(CDCl3): δ 8.24(dd, J=7.8Hz, 1.5Hz, 1H), 7.86(dd, J=7.8Hz, 1.5Hz, 1H), 7.75(t, J=7.8Hz, 1H), 7.71-7.64(m, 3H), 7.56-7.47(m, 2H), 6.19(dd, J=9.3Hz, 1.5Hz, 1H), 4.53-4.40(m, 2H), 3.94(dd, J=15.0Hz, 1.5Hz, 1H), 3.77(dd, J=15.0Hz, 9.3Hz, 1H), 1.47(t, J=7.2Hz, 3H).
실시예 35(63)
4-벤질옥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19:1);
NMR(CDCl3): δ 8.26(dd, J=7.5, 1.2Hz, 1H), 7.85(dd, J=7.8, 1.2Hz, 1H), 7.78-7.70(m, 1H), 7.69-7.60(m, 3H), 7.55-7.47(m, 4H), 7.47-7.35(m, 3H), 6.13(dd, J=9.3, 1.2Hz, 1H), 5.45(d, J=12.3Hz, 1H), 5.40(d, J=12.3Hz, 1H), 3.91(dd, J=15.0, 1.2Hz, 1H), 3.73(dd, J=15.0, 9.3Hz, 1H).
실시예 35(64)
4-(피리딘-3-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11(s, 1H), 8.86(d, J=5.4Hz, 1H), 8.57(d, J=5.4Hz, 1H), 7.99-7.84(m, 4H), 7.73-7.64(m, 1H), 7.53-7.43(m, 2H), 7.42-7.35(m, 2H), 5.99(dd, J=7.2, 3.0Hz, 1H), 4.07(dd, J=15.3, 7.2Hz, 1H), 4.01(dd, J=15.3, 3.0Hz, 1H).
실시예 35(65)
6-(피리딘-3-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6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29(d, J=2.1Hz, 1H), 8.85(d, J=5.1Hz, 1H), 8.76(d, J=7.8Hz, 1H), 8.37(s, 1H), 8.29(dd, J=8.4, 2.1Hz, 1H), 7.96(dd, J=8.4, 5.1Hz, 1H), 7.89-7.75(m, 4H), 7.71-7.60(m, 2H), 5. 93(dd, J=9.3, 3.0Hz, 1H), 4.06(dd, J=15.0, 9.3Hz, 1H), 3.85(dd, J=15.0, 3.0Hz, 1H).
실시예 35(66)
4-(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23(d, J=6.0Hz, 1H), 7.73-7.67(m, 2H), 7.67-7.54(m, 3H), 7.48-7.40(m, 2H), 6.36(dd, J=9.0Hz, 1.8Hz, 1H), 4.26(d, J=7.5Hz, 1H), 4.22(d, J=7.5Hz, 1H), 3.89(dd, J=15.0Hz, 1.8Hz, 1H), 3.78(dd, J=15.0Hz,9.0Hz, 1H), 1.50(s, 3H), 1.45(s, 3H).
실시예 35(67)
6-브로모-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4(염화메틸렌);
NMR(DMSO-d6): δ 8.13(d, J=2.0Hz, 1H), 8.02(dd, J=8.5, 2.0Hz, 1H), 7.83-7.76(m, 3H), 7.67-7.60(m, 3H), 5.79(dd, J=9.5, 3.0Hz, 1H), 4.05(dd, J=15.5, 9.5Hz, 1H), 3.85(dd, J=15.5, 3.0Hz, 1H).
실시예 35(68)
6-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7.79-7.71(m, 3H), 7.64-7.56(m, 2H), 7.28(d, J=8.5Hz, 1H), 6.89(dd, J=8.5, 2.2Hz, 1H), 6.68(d, J=2.2Hz, 1H), 6.00(s, 2H), 5.47(dd, J=9.2, 3.0Hz, 1H), 3.89(dd, J=15.2, 9.2Hz, 1H), 3.64(dd, J=15.2, 3.0Hz, 1H).
실시예 36∼36(3)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카르복실산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6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8.40(d, J=4.8Hz, 1H), 7.75(d, J=7.0Hz, 1H), 7.65(d, J=7.8Hz, 1H), 7.59(d, J=7.8Hz, 1H), 7.44(d, J=7.0Hz, 1H), 3.89(s, 3H), 2.78(d, J=4.8Hz, 3H).
실시예 36(1)
4-디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CDCl3): δ 7.76(dd, J=7.0Hz, 1.4Hz, 1H), 7.58(t, J=7.0Hz, 1H), 7.51(dd, J=7.0Hz, 1.4Hz, 1H), 7.33(d, J=6.8Hz, 1H), 6.78(d, J=6.8Hz, 1H), 3.17(s, 3H), 3.00(s, 3H).
실시예 36(2)
4-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8.22(brs, 1H), 7.96(d, J=7.2Hz, 1H), 7.88(d, J=8.0Hz, 1H), 7.78(brs, 1H), 7.67(t, J=8.0Hz, 1H), 7.55(d, J=8.0Hz, 1H), 7.43(d, J=7.2Hz, 1H).
실시예 36(3)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헥산=1; 1);
NMR(CDCl3+DMSO-d6): δ 7.96(dd, J=7.2, 0.9Hz, 1H), 7.81-7.76(m, 2H),7.56(t, J=7.8Hz, 1H), 7.51(t, J=5.7Hz, 1H), 7.40-7.38(m, 1H), 6.78(d, J=7.2Hz, 1H), 6.37-6.30(m, 2H), 4.62( d, J=5.7Hz, 2H).
실시예 37∼37(6)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해당 알콜 유도체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에 상당하는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또는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알콜 유도체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에 해당 알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7
4-(2-(피리딘-4-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헥산:아세트산에틸=1:3);
NMR(CDCl3): δ 8.56(d, J=6.0Hz, 2H), 7.46(t, J=8.0Hz, 1H), 7.31(d, J=7.2Hz, 1H), 7.29(d, J=8.0Hz, 1H), 7.21(d, J=6.0Hz, 2H), 7.04(d, J=8.0Hz, 1H), 6.60(d, J=7.2Hz, 1H), 4.33(t, J=6.5Hz, 2H), 3.14(t, J=6.5Hz, 2H).
실시예 37(1)
4-(2-(피리딘-3-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56(d, J=1.8Hz, 1H), 8.52(dd, J=4.8, 1.8Hz, 1H), 7.60(d, J=8.2Hz, 1H), 7.45(t, J=7.6Hz, 1H), 7.35(d, J=7.6Hz, 1H), 7.28(dd, J=7.0Hz, 1H), 7.26(d, J=7.6Hz, 1H), 7.03(d, J=8.2Hz, 1H), 6.60(d, J=7.0Hz, 1H), 4.30(t, J=6.4Hz, 2H), 3.15(t, J=6.4Hz, 2H).
실시예 37(2)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3(d, J=7.2Hz, 1H), 7.47(t, J=8.0Hz, 1H), 7.34(d, J=8.0Hz, 1H), 6.94(d, J=8.0Hz, 1H), 6.65(d, J=7.2Hz, 1H), 4.72(s, 2H), 4.27(q, J=7.0Hz, 2H), 1.30(t, J=7.0Hz, 3H).
실시예 37(3)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28(d, J=8.4Hz, 1H), 7.24(d, J=2.6Hz, 1H), 7.17(d, J=7.0Hz, 1H), 7.05(dd, J=8.4, 2.6Hz, 1H), 6.63(d, J=7.0Hz, 1H), 4.68(s, 2H), 4.29(q, J=7.0Hz, 2H), 1.31(t, J=7.0Hz, 3H).
실시예 37(4)
6-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36(d, J=8.4Hz, 1H), 7.34(dd, J=2.6, 0.8Hz, 1H), 7.20(dd, J=7.0, 0.8Hz, 1H), 7.14(dd, J=8.4, 2.6Hz, 1H), 6.69(d, J=7.0Hz, 1H), 4.84(s, 2H).
실시예 37(5)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64(d, J=8.2Hz, 1H), 7.15(d, J=6.8Hz, 1H), 6.98-6.86(m, 2H), 6.74(d, J=6.8Hz, 1H), 4.69(s, 2H), 4.29(q, J=7.2Hz, 2H), 1.31(t, J=7.2Hz, 3H).
실시예 37(6)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46(dd, J=8.6Hz, 7.0Hz, 1H), 7.14(d, J=7.0Hz, 1H), 6.96(d, J=7.0Hz, 1H), 6.89(d, J=8.6Hz, 1H), 6.68(d, J=7.0Hz, 1H), 4.84(s, 2H), 4.28(q, J=7.0Hz, 2H), 1.29(t, J=7.0Hz, 3H).
실시예 38∼38(3)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브로모에탄에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8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98(d, J=8.0Hz, 1H), 7.51-7.36(m, 7H), 6.73(d, J=7.0Hz, 1H), 5.38(s, 2H), 3.87(s, 3H).
실시예 38(1)
5-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22(dd, J=8.0, 1.0Hz, 1H), 8.03(d, J=1.0Hz, 1H),7.79(d, J=8.0Hz, 1H), 7.15(d, J=7.0Hz, 1H), 6.80(d, J=7.0Hz, 1H), 4.43(q , J=7.0Hz, 1H), 1.42(t, J=7.0Hz, 3H).
실시예 38(2)
7-메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8.11(d, J=8Hz, 1H), 7.66(t, J=8Hz, 1H), 7.55(d, J=8Hz, 1H), 7.20(d, J=7Hz, 1H), 6.77(d, J=7Hz, 1H), 4.05(s, 3H).
실시예 38(3)
7-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13(dd, J=7.6Hz, 1.2Hz, 1H), 7.65(t, J=7.6Hz, 1H), 7.52(dd, J=7.6Hz, 1.2Hz, 1H), 7.18(d, J=6.8Hz, 1H), 6.76(d, J=6.8Hz, 1H), 4.53(q, J=7.2Hz, 2H), 1.48(t, J=7.2Hz, 1H).
실시예 39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카르복시-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934 ㎎)의 벤젠(15 ㎖) 현탁액을 가열 환류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디-t-부틸아세탈(4.02 g)을 적가하여 1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헥산=1:10)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942 ㎎)을 얻었다.
TLC: Rf 0.25(아세트산에틸:헥산=1:4);
NMR(CDCl3): δ 7.87(d, J=7.8Hz, 1H), 7.47(d, J=7.8Hz, 1H), 7.45(d, J=7.0Hz, 1H), 6.73(d, J=7.0Hz, 1H), 3.95(s, 3H), 1.62(s, 9H).
실시예 40
5-((E)-2-(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4-메톡시벤조[b]티오펜
62.5% 수소화나트륨(920 ㎎)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40 ㎖)에 현탁하고, 실온에서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5.83 g)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0 ㎖) 용액을 적가하여 1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5-포르밀-4-메톡시벤조[b]티오펜(3.84 g)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0 ㎖) 용액을 적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산(1.5 ㎖)을 첨가하여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9: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5.17 g)을 얻었다.
TLC: Rf 0.37(헥산:아세트산에틸=5:1);
NMR(CDCl3): δ 8.13(d, J=16.2Hz, 1H), 7.62-7.41(m, 4H), 6.53(d, J=16.2Hz, 1H), 4.29(q, J=7.2Hz, 2H), 4.00(s, 3H), 1.36(t, J=7.2Hz, 3H).
실시예 41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벤조[b]티오펜
실시예 40에서 제조한 화합물(5.16 g)을 에탄올(100 ㎖)에 용해하고, 10% 팔라듐탄소(200 ㎎)를 첨가하여 수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9: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23 g)을 얻었다.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5:1);
NMR(CDCl3): δ 7.56(d, J=8.1Hz, 1H), 7.41(q, J=5.4Hz, 2H), 7.20(d, J=8.1Hz, 1H), 4.14(q, J=7.2Hz, 2H), 3.97(s, 3H), 3.07(t, J=8.0Hz, 2H), 2.66(t, J=8.0Hz, 2H), 1.24(t, J=7.2Hz, 3H).
실시예 42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단,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였음).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45-7.36(m, 3H), 6.70(d, J=6.8Hz, 1H), 4.15(q, J=7.4Hz, 2H), 3.92(s, 3H), 3.01(t, J=7.6Hz, 2H), 2.62(t, J=7.6Hz, 2H), 1.24(t, J=7.4Hz, 3H).
실시예 43
5-(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5-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 대신에 (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34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39(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08(dd, J=8.0Hz, 1.2Hz, 1H), 7.98(d, J=1.2Hz, 1H), 7.75(d, J=8.0Hz, 1H), 7.23(d, J=7.0Hz, 1H), 6.77(d, J=7.0Hz, 1H), 4.16(s, 2H), 1.40(s, 6H).
실시예 44∼44(24)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36∼36(2), 실시예 37∼37(6), 실시예 38∼38(3), 실시예 39, 실시예 42, 실시예 36(3), 실시예 43에서 제조한 화합물 또는 해당 유도체 및 티오페놀에 상당하는 티올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4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8(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CDCl3): δ 8.10(d, J=5.6Hz, 1H), 7.56(d, J=5.6Hz, 1H), 7.54-7.48(m, 2H), 7.43-7.35(m, 3H), 7.17(brs, 1H), 5.07(dd, J=4.6Hz, 1.4Hz, 1H), 4.04(s, 3H), 3.72(dd, J=9.4Hz, 4.6Hz, 1H), 3.63(dd, J=9.4Hz, 1.4Hz, 1H), 3.07(d,J=4.8Hz, 3H).
실시예 44(1)
4-디메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CDCl3): δ 7.78(dd, J=7.5Hz, 1.8Hz, 1H), 7.63-7.51(m, 4H), 7.43-7.34(m, 3H), 5.41(dd, J=7.8Hz, 1.8Hz, 1H), 3.74(dd, J=14.1Hz, 7.8Hz, 1H), 3.61(dd, J=14.1Hz, 1.8Hz, 1H), 3.17(s, 3H), 3.00(s, 3H).
실시예 44(2)
4-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9(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8.19(brs, 1H), 7.96-7.64(m, 4H), 7.52-7.30(m, 5H), 5.87(d, J=7.4Hz, 1H), 4.10(dd, J=14.6Hz, 7.4Hz, 1H), 3.61(d, J=14.6Hz, 1H).
실시예 44(3)
4-(2-(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50(d, J=6Hz, 2H), 7.60-7.13(m, 9H), 7.07(d, J=8Hz, 1H), 4.93(dd, J=2, 7Hz, 1H), 4.50-4.15(m, 2H), 3.80-3.50(m, 2H), 3.15(t, J=7Hz, 2H).
실시예 44(4)
4-(2-(피리딘-3-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57(d, J=1.8Hz, 1H), 8.48(dd, J=5.0Hz, 1.8Hz, 1H), 7.63(m, 1H), 7.54-7.32(m, 7H), 7.19(dd, J=7.8Hz, 4.0Hz, 1H), 7.05(d, J=8.0Hz,1H), 4.97(dd, J=6.2Hz, 1.8Hz, 1H), 4.32(m, 2H), 3.67(dd, J=14.2Hz, 6.2Hz, 1H), 3.58(dd, J=14.2Hz, 1.8Hz, 1H), 3.16(t, J=7.2Hz, 2H).
실시예 44(5)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7-7.53(m, 2H), 7.49(d, J=8.1Hz, 1H), 7.38-7.33(m, 4H), 6.96(d, J=8.1Hz, 1H), 5.16(dd, J=7.0, 1.8Hz, 1H), 4.71(s, 2H), 4.28(q, J=7.2Hz, 2H), 3.72(dd, J=14.0, 7.0Hz, 1H), 3.62(dd, J=14.0, 1.8Hz, 1H), 1.30(t, J=7.2Hz, 3H).
실시예 44(6)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2(d, J=8.7Hz, 1H), 7.43-7.40(m, 2H), 7.35-7.33(m, 3H), 7.25(dd, J=8.7, 2.4Hz, 1H), 7.10(d, J=2.4Hz, 1H), 4.91(t, J=6.8Hz, 1H), 4.66(s, 2H), 4.28(q, J=7.2Hz, 2H), 3.81(dd, J=13.7, 6.8Hz, 1H), 3.52(dd, J=13.7, 6.8Hz, 1H), 1.31(t, J=7.2Hz, 3H).
실시예 44(7)
6-시아노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4(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69(d, J=8.4Hz, 1H), 7.44-7.41(m, 2H), 7.38-7.34(m, 3H), 7.28(dd, J=8.4, 2.4Hz, 1H), 7.24(d, J=2.4Hz, 1H), 4.93(t, J=6.9Hz, 1H), 4.83(s, 2H), 3.83(dd, J=13.7, 6.9Hz, 1H), 3.54(dd, J=13.7, 6.9Hz, 1H).
실시예 44(8)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64(d, J=8.6Hz, 1H), 7.48-7.30(m, 5H), 7.15(d, J=2.2Hz, 1H), 7.06(dd, J=8.6Hz, 2.2Hz, 1H), 4.90(t, J=7.0Hz, 1H), 4.69(s, 2H), 4.29(q, J=7.4Hz, 2H), 3.79(dd, J=13.6Hz, 7. 0Hz, 1H), 3.50(dd, J=13.6Hz, 7.0Hz, 1H), 1.32(t, J=7.4Hz, 3H).
실시예 44(9)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55(t, J=8.4Hz, 1H), 7.46-7.27(m, 6H), 6.82(d, J=8.4Hz, 1H), 4.91(dd, J=7.6Hz, 6.6Hz, 1H), 4.80(s, 2H), 4.26(q, J=7.2Hz, 2H), 3.80(dd, J=13.6Hz, 7.6Hz, 1H), 3.54(dd, J=13.6Hz, 6.6Hz, 1H), 1.28(t, J=7.2Hz, 3H).
실시예 44(10)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9(d, J=8.0Hz, 1H), 7.54-7.34(m, 1H), 5.40(s, 2H), 5.08(dd, J=6.0, 2.5Hz, 1H), 3.97(s, 3H), 3.69(dd, J=14.0, 6.0Hz, 1H), 3.60(dd, J=14.0, 2.5Hz, 1H).
실시예 44(11)
5-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36(s, 1H), 8.20(d, J=8.2Hz, 1H), 7.78(d, J=8.2Hz, 1H), 7.47-7.33(m, 5H), 4.97(t, J=7.0Hz, 1H), 4.44(q, J=7.0Hz, 2H), 3.84(dd, J=13.7, 7.0Hz, 1H), 3.54(dd, J=13.7, 7.0Hz, 1H), 1.43(t, J=7.0Hz, 3H).
실시예 44(12)
7-메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12(d, J=7.8Hz, 1H), 7.93(d, J=7.8Hz, 1H), 7.72(t, J=7.8Hz, 1H), 7.48-7.33(m, 5H), 4.92(dd, J=7.6Hz, 6.8Hz, 1H), 4.01(s, 3H), 3.86(dd, J=13.6Hz, 7.6Hz, 1H), 3.56(dd, J=1 3.6Hz, 6.8Hz, 1H).
실시예 44(13)
7-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13(d, J=7.8Hz, 1H), 7.91(d, J=7.8Hz, 1H), 7.72(t, J=7.8Hz, 1H), 7.46-7.38(m, 2H), 7.38-7.30(m, 3H), 4.92(dd, J=7.8Hz, 6.9Hz, 1H), 4.48(q, J=7.2Hz, 2H), 3.84(dd, J=13.5Hz, 7.8Hz, 1H), 3.55(dd, J=13.5Hz, 6.9Hz, 1H), 1.44(t, J=7.2Hz, 3H).
실시예 44(14)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아세트산에틸:헥산=1:4);
NMR(CDCl3): δ 7.88(d, J=8.0Hz, 1H), 7.58-7.49(m, 2H), 7.46(d, J=8.0Hz, 1H), 7.43-7.34(m, 3H), 5.10(dd, J=6.0Hz, 2.8Hz, 1H), 4.08(s, 3H), 3.70(dd, J=13.8Hz, 6.0Hz, 1H), 3.61(dd, J=13.8Hz, 2.8Hz, 1H), 1.63(s, 9H).
실시예 44(15)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55-7.50(m, 2H), 7.44(s, 2H), 7.43-7.30(m, 3H), 5.08(dd, J=6.9, 2.1Hz, 1H), 4.15(q, J=7.2Hz, 2H), 4.05(s, 3H), 3.68(dd, J=15.2, 7.2Hz, 1H), 3.60(dd, J=15.2, 2.1Hz, 1H), 3.18-3.00(m, 2H), 2.66(t, J=7.8Hz, 2H), 1.25(t, J=7.2Hz, 3H).
실시예 44(16)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아세트산에틸:벤젠=1:2);
NMR(DMSO-d6): δ 9.24(t, J=5.6Hz, 1H), 7.93-7.82(m, 2H), 7.77-7.66(m, 1H), 7.55-7.51(m, 1H), 7.47-7.31(m, 5H), 6.37-6.29(m, 2H), 5.75(d, J=7.6Hz, 1H), 4.46(d, J=5.6Hz, 2H), 4.12(dd, J=14.2Hz, 7.6Hz, 1H), 3.62(d, J=14.2Hz, 1H).
실시예 44(17)
5-(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32(brs, 1H), 8.12(d, J=8.2Hz, 1H), 7.75(d, J=8.2Hz,1H), 7.50-7.30(m, 5H), 4.96(dd, J=7.2Hz, 6.6Hz, 1H), 4.18(s, 2H), 3.82(dd, J=13.8Hz, 7.2Hz, 1H), 3.54(dd, J=13.8Hz, 6. 6Hz, 1H), 1.42(s, 6H).
실시예 44(18)
3-벤질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2(dd, J=13.8Hz, 6.3Hz, 1H), 3.69(dd, J=13.8Hz, 7.8Hz, 1H), 3.78(d, J=13.7Hz, 1H), 3.86(d, J=13.7Hz, 1H), 4.53(t-형, J=7.1Hz, 1H), 7.27-7.33(m, 5H), 7.46-7.56(m, 1H), 7.59-7.62(m, 2H), 7.71(d, J=7.6Hz, 1H).
실시예 44(19)
3-(3,4-디클로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48(dd, J=13.6Hz, 5.8Hz, 1H), 3.83(dd, J=13.6Hz, 7.6Hz, 1H), 4.97(t-형, J=6.8Hz, 1H), 7.23(dd, J=8.3Hz, 2.2Hz, 1H), 7.41(d, J=8.3Hz,1H), 7.51(d, J=2.2Hz, 1H), 7.54-7.62(m, 1H), 7.66-7.69(m, 2H), 7.74(d, J=76Hz, 1H).
실시예 44(20)
3-(4-니트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5(염화메틸렌);
NMR(CDCl3): δ 3.55(dd, J=13.8Hz, 6.0Hz, 1H), 3.97(dd, J=13.8Hz, 7.5Hz, 1H), 5.20(t-형, J=6.8Hz, 1H), 7.47(d, J=8.7Hz, 2H), 7.55-7.64(m, 1H), 7.68-7.70(m, 2H), 7.79(d, J=7.6Hz, 1H), 8.19(d, J=8.7Hz, 2H).
실시예 44(21)
5-히드록시메틸-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4(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8(d, J=7.8Hz, 1H), 7.55-7.47(m, 3H), 7.39-7.35(m, 3H), 5.08(dd, J=6.6, 2.5Hz, 1H), 4.84(d, J=6.0Hz, 2H), 4.06(s, 3H), 3.69(dd,J=13.9, 6.6Hz, 1H), 3.58(dd, J=13.9, 2.5Hz, 1H), 2.15(t, J=6.0Hz, 1H).
실시예 44(22)
4-히드록시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77-7.66(m, 2H), 7.61(d, J=7.4Hz, 1H), 7.57-7.44(m, 2H), 7.43-7.32(m, 3H), 5.20(dd, J=6.8, 2.0Hz, 1H), 5.03(s, 2H), 3.72(dd, J=14.0, 6.8Hz, 1H), 3.62(dd, J=14.0, 2.0Hz, 1H), 2.45-2.15(br, 1H).
실시예 44(23)
6-플루오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2(아세트산에틸:헥산=1:4);
NMR(CDCl3): δ 7.70(ddd, J=7.6Hz, 4.4Hz, 0.4Hz, 1H), 7.47-7.29(m, 7H), 4.93(t, J=7.0Hz, 1H), 3.84(dd, J=13.8Hz, 7.0Hz, 1H), 3.55(dd, J=13.8Hz, 7.0Hz, 1H).
실시예 44(24)
4-플루오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아세트산에틸:헥산=1:4);
NMR(CDCl3): δ 7.64-7.45(m, 4H), 7.42-7.27(m, 4H), 5.06(dd, J=7.4Hz, 2.8Hz, 1H), 3.77(dd, J=14.2Hz, 7.4Hz, 1H), 3.63(dd, J=14.2Hz, 2.8Hz, 1H).
실시예 44(45)∼45(2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4∼44(15) 및 실시예 44(18)∼44(24)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5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8.47(q-형, J=3.4Hz, 1H), 7.87-7.73(m, 3H), 7.69-7.60(m, 3H), 7.50(d, J=5.4Hz, 1H), 5.65(d, J=6.0Hz, 1H), 4.13(d, J=10.2Hz, 1H), 3.98(dd, J=10.2Hz, 6.0Hz, 1H), 3.59(s, 3H), 2.77(d, J=3.4Hz, 3H).
실시예 45(1)
4-디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7.93-7.73(m, 6H), 7.70-7.62(m, 2H), 5.86(d, J=9.3Hz, 1H), 4.12(dd, J=15.3Hz, 9.3Hz, 1H), 3.91(d, J=15.3Hz, 1H), 3.07(s, 3H), 3.03(s, 3H).
실시예 45(2)
4-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메탄올:아세트산에틸=5:95);
NMR(DMSO-d6): δ 8.30(brs, 1H), 8.03(d, J=7.8Hz, 1H), 7.91(d, J=7.8Hz, 1H), 7.86-7.72(m, 5H), 7.68(brs, 1H), 7.63(t, J=7.8Hz, 1H), 6.37(d, J=9.3Hz, 1H), 4.08(dd, J=15.3Hz, 9.3Hz, 1H), 3.95(d, J=15.3Hz, 1H).
실시예 45(3)
4-(2-(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5(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58(d, J=6Hz, 2H), 7.80-7.35(m, 6H), 7.35-7.14(m, 3H), 6.98(d, J=8Hz, 1H), 5.12(d, J=9Hz, 1H), 4.30-4.05(m, 3H), 3.70(dd, J=9, 15Hz, 1H), 3.25-2.90(m, 2H).
염산염:
TLC: Rf 0.25(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DMSO-d6): δ 8.83(d, J=6.6Hz, 2H), 7.96(d, J=6.6Hz, 2H), 7.78-7.58(m, 6H), 7.35-7.30(m, 2H), 5.40(d, J=8.5Hz, 1H), 4.36-4.28(m, 1H), 4.19-4.12(m, 1H), 4.11(d, J=15.0Hz, 1H), 3.98(dd, J=15.0, 8.5Hz, 1H), 3.24-3.15(m,1H), 3.11-3.01(m, 1H).
메탄설폰산염:
TLC: Rf 0.25(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DMSO-d6): δ 8.85(d, J=6.6Hz, 2H), 7.98(d, J=6.6Hz, 2H), 7.78-7.58(m, 6H), 7.35-7.30(m, 2H), 5.39(d, J=8.5Hz, 1H), 4.36-4.29(m, 1H), 4.19-4.13(m, 1H), 4.11(d, J=15.0Hz, 1H), 3.97(dd, J=15.0, 8.5Hz, 1H), 3.25-3.17(m, 1H), 3.11-3.02(m, 1H).
실시예 45(4)
4-(2-(피리딘-3-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46(d, J=1.8Hz, 1H), 8.43(dd, J=4.8Hz, 1.8Hz, 1H), 7.86-7.54(m, 6H), 7.42-7.30(m, 4H), 5.43(d, J=7.4Hz, 1H), 4.26-3.82,(m, 4H), 2.75(t, J=6.6Hz, 2H).
염산염:
TLC: Rf 0.1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88(s, 1H), 8.80(d, J=5.7Hz, 1H), 8.49(d, J=7.8Hz, 1H), 8.04-7.92(m, 1H), 7.78-7.54(m, 6H), 7.30(d, J=7.8Hz, 1H), 7.29(d, J=8.4Hz, 1H), 5.47(d, J=7.8Hz, 1H), 4.34-4.20(m, 1H), 4.16-3.91(m, 3H), 3.19-2.94(m, 2H).
실시예 45(5)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2-7.78(m, 2H), 7.68-7.60(m, 1H), 7.58-7.44(m, 3H), 7.36(d, J=8.0Hz, 1H), 6.86(d, J=8.0Hz, 1H), 5.38(d, J=8.5Hz, 1H), 4.45(d, J=16.2Hz, 1H), 4.30(d, J=16.2Hz, 1H), 4.25(q, J=7.0Hz, 2H), 4.24(d, J=15.0Hz, 1H), 3.76(dd, J=15.0, 8.5Hz, 1H), 1.30(t, J=7.0Hz, 3H).
실시예 45(6)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0(d, J=8.8Hz, 1H), 7.71-7.62(m, 3H), 7.55-7.46(m, 2H), 7.30(dd, J=8.8, 2.4Hz, 1H), 7.02(d, J=2.4Hz, 1H), 5.00(dd, J=7.8, 5.4Hz, 1H), 4.67(s, 2H), 4.28(q, J=7.2Hz, 2H), 3.80(dd, J=15.0, 5.4Hz, 1H), 3.72(dd, J=15.0, 7.8Hz, 1H), 1.30(t, J=7.2Hz, 3H).
실시예 45(7)
6-시아노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DMSO-d6): δ 7.81-7.75(m, 3H), 7.68-7.60(m, 3H), 7.53(d, J=2.5Hz, 1H), 7.48(dd, J=8.5, 2.5Hz, 1H), 5.73(dd, J=9.5, 3.0Hz, 1H), 5.33(s, 2H), 4.03(dd, J=15.0, 9.5Hz, 1H), 3.81(dd, J=15.0, 3.0Hz, 1H).
실시예 45(8)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73-7.61(m, 3H), 7.58-7.45(m, 3H), 7.44(d, J=2.2Hz, 1H), 7.18(dd, J=8.8Hz, 2.2Hz, 1H), 5.00(t, J=7.0Hz, 1H), 4.78(s, 2H), 4.33(q, J=7.2Hz, 2H), 3.81-3.65(m, 2H), 1.35(t, J=7.2Hz, 3H).
실시예 45(9)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7(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72-7.47(m, 7H), 6.91(d, J=6.9Hz, 1H), 5.03(dd, J=8.7Hz, 5.4Hz, 1H), 4.76(s, 2H), 4.24(q, J=7.2Hz, 2H), 3.79(dd, J=14.7Hz, 5.4Hz, 1H), 3.73(dd, J=14.7Hz, 8 . 7Hz, 1H), 1.27(t, J=7.2Hz, 3H).
실시예 45(10)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0(d, J=8.0Hz, 1H), 7.76-7.71(m, 2H), 7.63-7.55(m, 1H), 7.47-7.36(m, 8H), 5.37(s, 2H), 5.24(dd, J=9.0, 1.0Hz, 1H), 4.16(dd, J=15.0, 1.0Hz, 1H), 3.74(s, 3H), 3.73(dd, J=15.0, 9.0Hz, 1H).
실시예 45(11)
5-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8.23(d-형, J=8.0Hz, 1H), 8.12(s, 1H), 7.97(d, J=8.0Hz, 1H), 7.85-7.78(m, 3H), 7.69-7.61(m, 2H), 5.91(dd, J=9.3, 3.2Hz, 1H), 4.38(q, J=7.0Hz, 2H), 4.10(dd, J=15.3, 9.3Hz, 1H), 3.91(dd, J=15.3, 3.2Hz, 1H),1.35(t, J=7.0Hz, 3H).
실시예 45(12)
7-메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23(d, J=8.1Hz, 2H), 7.81(t, J=8.1Hz, 1H), 7.72-7.64(m, 3H), 7.55-7.47(m, 2H), 5.07(dd, J=9.3Hz, 4.8Hz, 1H), 3.97(s, 3H), 3.84(dd, J=14.7Hz, 4.8Hz, 1H), 3.75(dd, J=14.7Hz , 9.3Hz, 1H).
실시예 45(13)
7-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25(d, J=7.8Hz, 1H), 8.23(d, J=7.8Hz, 1H), 7.80(t, J=7.8Hz, 1H), 7.73-7.65(m, 3H), 7.56-7.48(m, 2H), 5.06(dd, J=9.3Hz, 4.8Hz, 1H), 4.44(q, J=7.2Hz, 2H), 3.83(dd, J=14.7Hz, 4.8Hz, 1H), 3.73(dd, J=14.7Hz,9.3Hz, 1H), 1.40(t, J=7.2Hz, 3H).
실시예 45(14)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80(d, J=8.1Hz, 1H), 7.78(d, J=7.8Hz, 2H), 7.66(t, J=7.8Hz, 1H), 7.51(t, J=7.8Hz, 2H), 7.37(d, J=8.1Hz, 1H), 5.27(dd, J=9.3Hz, 1.2Hz, 1H), 4.14(dd, J=15.0Hz, 1.2Hz, 1H), 3.86(s, 3H), 3.74(dd, J=15.0Hz, 9.3Hz, 1H), 1.61(s, 9H).
실시예 45(15)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77-7.70(m, 2H), 7.61(t, J=7.5Hz, 1H), 7.50-7.35(m, 4H), 5.19(dd, J=9.3, 1.8Hz, 1H), 4.23(dd, J=15.0, 1.8Hz, 1H), 4.16(q, J=7.2Hz, 2H), 3.81(dd, J=15.0, 9.3Hz, 1H), 3.80(s, 3H), 3.00-2.87(m, 2H), 2.65-2.40(m, 2H), 1.27(t, J=7.2Hz, 3H).
실시예 45(16)
3-벤질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3.89(dd, J=15.0Hz, 9.3Hz, 1H), 3.98(d, J=14.0Hz, 1H), 4.03(dd, J=15.0Hz, 3.6Hz, 1H), 4.31(d, J=14.0Hz, 1H), 4.91(dd, J=9.3Hz, 3.6Hz, 1H), 7.21-7.35(m, 5H), 7.62-7.71(m, 2H), 7.80-7.90(m, 2H).
실시예 45(17)
3-(3,4-디클로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7.98(d, J=2.1Hz, 1H), 7.75-7.89(m, 5H), 7.63(dd, J=8.4, 2.1Hz, 1H), 5.91(dd, J=8.0, 4.4Hz, 1H), 4.04(dd, J=15.4, 8.0Hz, 1H), 3.95(dd, J=15.4, 4.4Hz, 1H).
실시예 45(18)
3-(4-니트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8.41(d, J=8.8Hz, 2H), 8.04(d, J=8.8Hz, 2H), 7.76-7.85(m, 4H), 5.97(dd, J=9.0, 3.2Hz, 1H), 4.04(dd, J=15.4, 9.0Hz, 1H), 3.90(dd, J=15.4, 3.2Hz, 1H).
실시예 45(19)
5-히드록시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1(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7.80-7.72(m, 4H), 7.64-7.51(m, 3H), 5.66(dd, J=8.5, 1.5Hz, 1H), 5.43(t, J=5.5Hz, 1H), 4.52(d, J=5.5Hz, 1H), 4.13(dd, J=15.0, 8.5Hz, 1H), 4.00(dd, J=15.0, 1.5Hz, 1H), 3.58(s, 3H).
실시예 45(20)
4-히드록시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4(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84(d, J=7.5Hz, 1H), 7.72-7.63(m, 2H), 7.62-7.53(m, 3H), 7.51-7.44(m, 2H), 5.53(d, J=9.3Hz, 1H), 5.08(d, J=13.5Hz, 1H), 5.01(d, J=13.5Hz, 1H), 3.87(d, J=15.0Hz, 1H), 3.75( dd, J=15.0, 9.3Hz, 1H), 3.00-1.80(br, 1H).
실시예 45(21)
6-플루오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DMSO-d6): δ 7.85-7.58(m, 8H), 5.77(dd, J=9.6Hz, 2.7Hz, 1H), 4.07(dd, J=15.6Hz, 9.6Hz, 1H), 3.87(dd, J=15.6Hz, 2.7Hz, 1H).
실시예 45(22)
4-플루오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9(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DMSO-d6): δ 7.83-7.57(m, 8H), 5.81(dd, J=9.0Hz, 1.5Hz, 1H), 4.09(dd, J=15.6Hz, 1.5Hz, 1H), 3.99(dd, J=15.6Hz, 9.0Hz, 1H).
실시예 46
5-메톡시카르보닐-4-에톡시벤조[b]티오펜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5-메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벤조[b]티오펜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 대신에 요오드화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4(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82(d, J=8Hz, 1H), 7.63(d, J=8Hz, 1H), 7.54(d, J=6Hz, 1H), 7.43(d, J=6Hz, 1H), 4.21(q, J=7Hz, 2H), 3.95(s, 3H), 1.49(t, J=7Hz, 3H).
실시예 47
5-카르복시-4-에톡시벤조[b]티오펜
실시예 46에서 제조한 화합물(1.11 g)에 메탄올(10 ㎖) 및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을 첨가하여 30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산성으로 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02 g)을 얻었다.
TLC: Rf 0.06(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8.09(d, J=8Hz, 1H), 7.75(d, J=8Hz, 1H), 7.52(d, J=6Hz, 1H), 7.49(d, J=6Hz, 1H), 4.44(q, J=7Hz, 2H), 1.58(t, J=7Hz, 3H).
실시예 48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47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벤질브롬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6(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85(d, J=8Hz, 1H), 7.62(d, J=8Hz, 1H), 7.56-7.26(m, 7H), 5.40(s, 2H), 4.15(q, J=7Hz, 2H), 1.37(t, J=7Hz, 3H).
실시예 49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8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단,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였음).
TLC: Rf 0.10(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99(d, J=8Hz, 1H), 7.60-7.30(m, 7H), 6.72(d, J=7Hz, 1H), 5.38(s, 2H), 4.03(q, J=7Hz, 2H), 1.31(t, J=7Hz, 3H).
실시예 50∼50(2)
요오드화에틸 대신에 해당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46→실시예 47→실시예 48→실시예 4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의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0
5-벤질옥시카르보닐-4-헥실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97(d, J=8Hz, 1H), 7.55-7.30(m, 7H), 6.72(d, J=7Hz, 1H), 5.38(s, 2H), 3.93(t, J=7Hz, 2H), 1.80-1.45(m, 2H), 1.45-1.10(m, 6H), 0.90(t, J=7Hz, 3H).
실시예 50(1)
5-벤질옥시카르보닐-4-부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4(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98(d, J=8Hz, 1H), 7.58-7.38(m, 7H), 6.72(d, J=7Hz, 1H), 5.38(s, 2H), 3.94(t, J=7Hz, 2H), 1.78-1.50(m, 2H), 1.50-1.20(m, 2H), 0.92(t, J=7Hz, 3H).
실시예 50(2)
5-벤질옥시카르보닐-4-옥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97(d, J=8Hz, 1H), 7.60-7.25(m, 7H), 6.72(d, J=7Hz, 1H), 5.38(s, 2H), 3.92(t, J=7Hz, 2H), 1.82-1.45(m, 2H), 1.45-1.05(m, 10H), 0.89(t, J=7Hz, 3H).
실시예 51∼51(3)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49 및 실시예 50∼50(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1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90(d, J=8Hz, 1H), 7.78-7.66(m, 2H), 7.64-7.30(m, 9H), 5.34(s, 2H), 5.17(d, J=9Hz, 1H), 4.30(dd, J=1, 15Hz, 1H), 4.10-3.60(m, 3H), 1.13(t, J=7Hz, 3H).
실시예 51(1)
5-벤질옥시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8(d, J=8Hz, 1H), 7.78-7.64(m, 2H), 7.60-7.28(m, 9H), 5.34(s, 2H), 5.15(d, J=9Hz, 1H), 4.32(dd, J=1, 15Hz, 1H), 4.00-3.46(m, 3H), 1.75-1.05(m, 8H), 0.91(t, J=7Hz, 3H).
실시예 51(2)
5-벤질옥시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8(d, J=8Hz, 1H), 7.78-7.64(m, 2H), 7.60-7.28(m, 9H), 5.34(s, 2H), 5.15(d, J=9Hz, 1H), 4.32(dd, J=1, 15Hz, 1H), 4.02-3.48(m, 3H), 1.70-1.10(m, 4H), 0.87(t, J=7Hz, 3H).
실시예 51(3)
5-벤질옥시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7(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8(d, J=8Hz, 1H), 7.76-7.64(m, 2H), 7.60-7.26(m, 9H), 5.34(s, 2H), 5.15(d, J=9Hz, 1H), 4.32(dd, J=1, 15Hz, 1H), 4.00-3.46(m, 3H), 1.75-1.05(m, 12H), 0.90(t, J=7Hz, 3H).
실시예 52
5-카르복시-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합물(670 ㎎)을 아세트산에틸(50 ㎖)에 용해하고, 10% 팔라듐 탄소(220 ㎎)를 첨가하여 수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3 ㎖)에 가열 용해하고, 헥산(5 ㎖)을 첨가하여 결정화하였다. 결정을 여과하여 분별한 후, 건조시켜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471 ㎎)을 얻었다.
TLC: Rf 0.21(클로로포름:아세트산=10:1);
NMR(CDCl3+아세톤-d6): δ 8.02(d, J=8Hz, 1H), 7.86-7.72(m, 2H), 7.72-7.58(m, 1H), 7.58-7.32(m, 3H), 5.33(d, J=9Hz, 1H), 4.30(d, J=15Hz, 1H), 4.24-4.06(m, 1H), 4.20(bs, 1H), 4.02-3. 74(m, 2H), 1.25(t, J=7Hz, 3H).
실시예 52(1)∼52(3)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1(1)∼51(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2(1)
5-카르복시-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클로로포름:아세트산=10:1);
NMR(CDCl3+아세톤-d6): δ 8.00(d, J=8Hz, 1H), 7.88-7.72(m, 2H), 7.72-7.56(m, 1H), 7.56-7.34(m, 3H), 5.32(d, J=9Hz, 1H), 4.31(dd, J=1, 15Hz, 1H), 4.20(brs, 1H), 4.14(dt, J=7, 9Hz, 1H), 4.02-3.66(m, 2H), 1.80-1.45(m, 2H), 1.45-1.12(m, 6H), 0.91(t, J=7Hz, 3H).
실시예 52(2)
5-카르복시-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클로로포름:아세트산=10:1);
NMR(CDCl3+아세톤-d6): δ 8.00(d, J=8Hz, 1H), 7.86-7.72(m, 2H), 7.72-7.56(m, 1H), 7.56-7.34(m, 3H), 5.32(d, J=9Hz, 1H), 4.31(dd, J=1, 15Hz, 1H), 4.20(brs, 1H), 4.15(dt, J=7, 9Hz, 1H), 4.00-3.66(m, 2H), 1.74-1.48(m, 2H), 1.48-1.20(m, 2H), 0.92(t, J=7Hz, 3H).
실시예 52(3)
5-카르복시-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클로로포름:아세트산=10:1);
NMR(CDCl3+아세톤-d6): δ 8.00(d, J=8Hz, 1H), 7.84-7.72(m, 2H), 7.72-7.57(m, 1H), 7.57-7.34(m, 3H), 5.33(d, J=9Hz, 1H), 4.31(dd, J=1, 15Hz, 1H), 4.13(dt, J=7, 9Hz, 1H), 4.10(brs, 1H), 4.00-3.66(m, 2H), 1.74-1.43(m, 2H), 1.43-1.05(m, 10H), 0.90(t, J=7Hz, 3H).
실시예 53∼53(3)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52∼52(3)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 대신에 해당 알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3
5-메톡시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5(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91(d, J=8Hz, 1H), 7.84-7.72(m, 2H), 7.72-7.57(m, 1H), 7.57-7.32(m, 3H), 5.21(d, J=9Hz, 1H), 4.28(dd, J=1, 15Hz, 1H), 4.20-4.00(m, 1H), 3.93(s, 3H), 3.95-3.68(m, 2H), 1.26(t, J=7Hz, 3H).
실시예 53(1)
5-메톡시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9(d, J=8Hz, 1H), 7.82-7.69(m, 2H), 7.69-7.55(m, 1H),7.55-7.30(m, 3H), 5.19(d, J=9Hz, 1H), 4.30(d, J=15Hz, 1H), 4.08(dt, J=7, 9Hz, 1H), 3.93(s, 3H), 3.95-3.55(m, 2H), 1.80-1.46(m, 2H), 1.46-1.15(m, 6H), 0.92(t, J=7Hz, 3H).
실시예 53(2)
5-메톡시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7(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9(d, J=8Hz, 1H), 7.82-7.68(m, 2H), 7.68-7.55(m, 1H), 7.55-7.34(m, 3H), 5.19(d, J=9Hz, 1H), 4.31(dd, J=1, 15Hz, 1H), 4.05(dt, J=7, 9Hz, 1H), 3.93(s, 3H), 3.88-3.60(m, 2H), 1.80-1.50(m, 2H), 1.50-1.18(m, 2H), 0.94(t, J=7Hz, 3H).
실시예 53(3)
5-메톡시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클로로포름:헥산:메탄올=5:5:1);
NMR(CDCl3): δ 7.89(d, J=8Hz, 1H), 7.80-7.69(m, 2H), 7.69-7.55(m, 1H), 7.55-7.34(m, 3H), 5.19(d, J=9Hz, 1H), 4.30(dd, J=1, 15Hz, 1H), 4.06(dt, J=7, 9Hz, 1H), 3.93(s, 3H), 3.90-3.58(m , 2H), 1.80-1.45(m, 2H), 1.45-1.10(m, 10H), 0.90(t, J=7Hz, 3H).
실시예 54∼54(19)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52∼52(3)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4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3(클로로포름:메탄올=5:1);
NMR(CDCl3): δ 7.90(d, J=8Hz, 1H), 7.78-7.15(m, 10H), 5.33 및 5.19(각각 d, J=9Hz, 총 1H), 4.40-3.50(m, 6H), 3.40-2.25(m, 10H), 1.30-1.10(m, 3H).
실시예 54(1)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5(클로로포름:메탄올=5:1);
NMR(CDCl3): δ 7.90(d, J=8Hz, 1H), 7.80-6.85(m, 10H), 5.33 및 5.21(각각 d, J=9Hz, 총 1H), 4.45-3.55(m, 6H), 3.50-2.80(m, 6H), 1.25(t, J=7Hz, 3H).
실시예 54(2)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클로로포름:메탄올=5:1);
NMR(CDCl3): δ 8.24 및 8.11(각각 d, J=8Hz, 총 1H), 8.00-7.15(m, 7H), 5.15(d, J=9Hz, 1H), 4.50-3.30(m, 6H), 2.54(t, J=7Hz, 2H), 2.32(s, 6H), 1.45-1.20(m, 3H).
실시예 54(3)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9(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7.87(d, J=8Hz, 1H), 7.80-7.20(m, 6H), 5.32 및 5.20(각각 d, J=9Hz, 총 1H), 4.40-2.90(m, 8H), 2.10-1.00(m, 11H).
실시예 54(4)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CDCl3): δ 8.29(d, J=8Hz, 1H), 8.05-6.90(m, 10H), 5.38-5.10(m, 1H), 4.50-3.40(m, 6H), 3.16(t, J=8Hz, 2H), 1.40-1.00(m, 3H).
실시예 54(5)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7(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9(d, J=8Hz, 1H), 7.76-7.20(m, 10H), 5.30 및 5.17(각각 d, J=9Hz, 총 1H), 4.25(d, J=15Hz, 1H), 4.20-3.50(m, 5H), 3.50-2.80(m, 4H), 2.80-2.20(m, 6H), 1.90-1.05(m, 8H), 0.90(t, J=7Hz, 3H).
실시예 54(6)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6(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DMSO-d6): δ 8.31(s, 1H), 8.00-6.95(m, 10H), 5.66(d, J=9Hz, 1H), 4.32(d, J=15Hz, 1H), 4.22-2.70(m, 11H), 1.60-1.02(m, 8H), 0.87(t, J=7Hz, 3H).
실시예 54(7)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8.21 및 8.07(각각 d, J=8Hz, 총 1H), 7.90-7.10(m, 7H), 5.13(d, J=9Hz, 1H), 4.32(d, J=15Hz, 1H), 4.25-3.35(m, 5H), 2.56 및 2.57(각각 t, J=6Hz, 총 2H), 2.33(s, 6H), 2.05-1.10(m, 8H), 0.92(t, J=7Hz, 3H).
실시예 54(8)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6(d, J=8Hz, 1H), 7.78-7.20(m, 6H), 5.30 및 5.18(각각 d, J=9Hz, 총 1H), 4.25(d, J=15Hz, 1H), 4.35-3.00(m, 7H), 2.10-1.10(m, 16H), 0.91(t, J=7Hz, 3H).
실시예 54(9)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29(d, J=8Hz, 1H), 8.10-6.80(m, 10H), 5.40-5.05(m, 1H),4.50-3.35(m, 6H), 3.16(t, J=8Hz, 2H), 1.90-0.95(m, 8H), 0.95-0.75(m, 3H).
실시예 54(10)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6(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8(d, J=8Hz, 1H), 7.80-7.00(m, 10H), 5.30 및 5.18(각각 d, J=9Hz, 총 1H), 4.40-3.45(m, 6H), 3.45-2.80(m, 4H), 2.80-2.15(m, 6H), 2.00-1.10(m, 4H), 0.97 및 0.91(e ach t, J=7Hz, 총 3H).
실시예 54(11)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5(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9(d, J=8Hz, 1H), 7.80-7.17(m, 8H), 7.17-6.85(m, 2H), 5.31 및 5.19(각각 d, J=9Hz, 총 1H), 4.40-3.55(m, 6H), 3.55-2.70(m, 6H), 2.00-1.15(m, 4H), 0.99 및 0.94(각각 t, J=7Hz, 총 3H).
실시예 54(12)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1(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8.08(d, J=8Hz, 1H), 7.85-7.35(m, 6H), 7.25(broad peak, 1H), 5.13(d, J=9Hz, 1H), 4.32(d, J=15Hz, 1H), 4.05-3.66(m, 3H), 3.66-3.35(m, 2H), 2.52(t, J=7Hz, 2H), 2.3 1(s, 6H), 1.90-1.15(m, 4H), 0.96(t, J=7Hz, 3H).
실시예 54(13)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9(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85(d, J=8Hz, 1H), 7.76-7.20(m, 6H), 5.29 및 5.18(각각 d, J=9Hz, 총 1H), 4.25(d, J=15Hz, 1H), 4.25-3.60(m, 4H), 3.60-3.00(m, 3H), 2.10-1.10(m, 12H), 0.96 및 0.92(각각 t, J=7Hz, 총 3H).
실시예 54(14)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8.29(d, J=8Hz, 1H), 8.05-7.42(m, 6H), 7.42-6.95(m, 4H), 5.36-5.06(m, 1H), 4.50-3.40(m, 6H), 3.16(t, J=7Hz), 1.90-1.05(m, 4H), 0.81(t, J=7Hz, 3H).
실시예 54(15)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6(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9(d, J=8Hz, 1H), 7.80-7.20(m, 10H), 5.30 및 5.17(각각 d, J=9Hz, 총 1H), 4.25(d, J=15Hz, 1H), 4.30-3.55(m, 5H), 3.55-2.80(m, 4H), 2.80-2.25(m, 6H), 1.90-1.05(m, 12H), 0.88(t, J=7Hz, 3H).
실시예 54(16)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74(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9(d, J=8Hz, 1H), 7.82-6.85(m, 10H), 5.31 및 5.19(각각d, J=9Hz, 총 1H), 4.38-2.70(m, 12H), 1.90-1.05(m, 12H), 0.89(t, J=7Hz, 3H).
실시예 54(17)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4(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99(d, J=8Hz, 1H), 7.92-7.10(m, 7H), 5.30-5.00(m, 1H), 4.40-3.45(m, 6H), 2.70(t, J=6Hz, 2H), 2.46(s, 6H), 1.95-1.05(m, 12H), 0.90(t, J=7Hz, 3H).
실시예 54(18)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5(d, J=8Hz, 1H), 7.88-7.15(m, 6H), 5.29 및 5.18(각각 d, J=9Hz, 총 1H), 4.40-3.00(m, 8H), 2.10-1.05(m, 20H), 0.90(t, J=7Hz, 3H).
실시예 54(19)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29(d, J=8Hz, 1H), 8.10-6.80(m, 10H), 5.40-5.05(m, 1H), 4.60-3.40(m, 6H), 3.16(t, J=8Hz, 2H), 1.90-1.00(m, 12H), 0.85(t, J=7Hz, 3H).
실시예 55
5-히드록시-4-포르밀벤조[b]티오펜
5-히드록시벤조[b]티오펜(3.0 g)의 염화메틸렌(60 ㎖) 용액에 0℃에서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4.52 ㎖) 및 사염화티탄(5.48 ㎖)을 적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얼음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50 g)을 얻었다.
TLC: Rf 0.69(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11.97(s, 1H), 10.55(s, 1H), 7.96(d, J=8.8Hz, 1H), 7.77(d, J=5.6Hz, 1H), 7.72(d, J=5.6Hz, 1H), 7.02(d, J=8.8Hz, 1H).
실시예 56
5-벤질옥시-4-포르밀벤조[b]티오펜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5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 대신에 벤질브롬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10.81(s, 1H), 8.43(d, J=5.6Hz, 1H), 8.00(d, J=8.8Hz, 1H), 7.68(d, J=5.6Hz, 1H), 7.55-7.30(m, 5H), 7.15(d, J=8.8Hz, 1H), 5.28(s, 2H).
실시예 57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실시예 56에서 제조한 화합물(1.24 g)의 염화메틸렌(9.0 ㎖) 용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246 ㎎) 및 메탄올(3.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N 염산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25 g)을 얻었다.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76(d, J=8.8Hz, 1H), 7.54-7.28(m, 7H), 7.12(d, J=8.8Hz, 1H), 5.20(s, 2H), 5.04(br-s, 2H), 2.30-2.12(br, 1H).
실시예 58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7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화합물을 얻었다(단,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였음).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1(d, J=7.0Hz, 1H), 7.56(d, J=7.0Hz, 1H), 7.48-7.34(m, 5H), 7.02(d, J=8.4Hz, 1H), 6.75(d, J=7.0Hz, 1H), 5.18(s, 2H), 4.84(brs, 2H), 2.26-2.10(br, 1H).
실시예 59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58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티오페놀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0(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19:1);
NMR(CDCl3): δ 7.67(d, J=8.4Hz, 1H), 7.57-7.48(m, 2H), 7.46-7.32(m, 8H), 7.16(d, J=8.4Hz, 1H), 5.24(s, 2H), 5.19(dd, J=6.6, 1.8Hz, 1H), 4.99(d, J=6.0Hz, 2H), 3.71(dd, J=14.0, 6.6Hz, 1H), 3.59(dd, J=14.0, 1.8Hz, 1H), 2.59(t, J=6.0Hz, 1H).
실시예 60
5-벤질옥시-4-브로모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59에서 제조한 화합물(1.45 g)의 염화메틸렌(15 ㎖)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1.38 g)을 첨가하고, 사브롬화탄소(1.74 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62 g)을 얻었다.
TLC: Rf 0.7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6(d, J=8.8Hz, 1H), 7.60-7.51(m, 2H), 7.50-7.30(m, 8H), 7.12(d, J=8.8Hz, 1H), 5.27(s, 2H), 5.15(dd, J=6.8, 1.6Hz, 1H), 5.02(d, J=10Hz, 1H), 4.94(d, J=10Hz, 1H), 3.74(dd, J=13.8, 6.8Hz, 1H), 3.60(dd, J=13.8, 1.6Hz, 1H).
실시예 61
5-벤질옥시-4-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암모니아 수용액(6.75 ㎖)의 테트라히드로푸란(30 ㎖) 용액에 실시예 60에서 제조한 화합물(1.60 g)의 테트라히드로푸란(30 ㎖) 용액 및 탄산칼륨(700 ㎎)을 순차 첨가하여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20: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747 ㎎)을 얻었다.
TLC: Rf 0.0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3(d, J=8.5Hz, 1H), 7.58-7.48(m, 2H), 7.46-7.28(m, 8H), 7.14(d, J=8.5Hz, 1H), 5.23(s, 2H), 5.13(dd, J=6.4, 1.6Hz, 1H), 4.12(d, J=13.6Hz, 1H), 4.02(d, J=13.6Hz, 1H), 3.70(dd, J=14.0, 6.0Hz, 1H), 3.59(dd, J=14.0, 1.6Hz, 1H).
실시예 62
5-벤질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61에서 제조한 화합물(735 ㎎)을 테트라히드로푸란(12 ㎖) 및 물(3.0 ㎖)에 용해하고, 0℃에서 탄산수소나트륨(165 ㎎) 및 디-t-부틸디카르보네이트(43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867 ㎎)을 얻었다.
TLC: Rf 0.73(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0-7.56(m, 3H), 7.48-7.30(m, 8H), 7.12(d, J=8.8Hz, 1H), 5.66(br-d, J=5.8Hz, 1H), 5.22(s, 2H), 5.20-4.88(m, 2H), 4.25-4.10(m, 1H), 3.71(dd, J=14.0, 6.8Hz, 1H), 3.56(d, J=14.0Hz, 1H), 1.41(s, 9H).
실시예 63
5-벤질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단,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였음).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3-7.76(m, 2H), 7.71-7.64(m, 1H), 7.60(d, J=8.7Hz, 1H), 7.56-7.38(m, 7H), 7.19(d, J=8.7Hz, 1H), 6.05(brd, J=6.9Hz, 1H), 5.27-5.15(m, 1H), 5.25(s, 2H), 5.10-4.95(m, 1H), 4.27-4.16(m, 1H), 3.81(dd, J=15.3, 2.1Hz, 1H), 3.74(dd, J=15.3, 8.1, 1H), 1.37(s, 9H).
실시예 64
5-벤질옥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8.18(brs, 3H), 7.86(d, J=9.0Hz, 1H), 7.83-7.75(m, 3H), 7.67-7.48(m, 5H), 7.47-7.33(m, 3H), 6.37(dd, J=6.0, 3.9Hz, 1H), 5.41(d, J=12.3Hz, 1H), 5.33(d, J=12.3Hz, 1H), 4.44(d, J=13.8Hz, 1H), 4.24(d, J=13.8Hz, 1H), 3.90-3.76(m, 2H).
실시예 65
5-히드록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10.75(s, 1H), 7.75-7.58(m, 3H), 7.56-7.41(m, 3H), 7.18(d, J=8.6Hz, 1H), 6.35-6.50(m, 1H), 5.24-5.15(m, 1H), 4.76-4.60(m, 1H),4.34(dd, J=16.0, 5.4Hz, 1H), 3.86-3.66(m, 2H), 1.37(s, 9H).
실시예 66∼66(1)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65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에 해당 알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의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6
5-메톡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6-7.75(m, 2H), 7.74-7.47(m, 4H), 7.14(d, J=8.8Hz, 1H), 6.10-6.00(m, 1H), 5.32-5.18(m, 1H), 5.10-4.92(m, 1H), 4.25-4.10(m, 1H), 4.00(s, 3H), 3.85-3.65(m, 2H), 1.38(s, 9H).
실시예 66(1)
5-(3-페닐프로필)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7-7.73(m, 2H), 7.73-7.40(m, 6H), 7.40-7.16(m, 3H), 7.07(d, J=8.8Hz, 1H), 6.55-6.30(br, 1H), 6.07-5.95(m, 1H), 5.26-5.12(m, 1H), 5.10-4.90(m, 1H), 4.20-4.05(m, 2H), 3.86-3.64(m, 2H), 2.86(t, J=7.0Hz, 2H), 2.33-2.15(m, 2H), 1.38(s, 9H).
실시예 67∼67(1)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66∼66(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7
5-메톡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9(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DMSO-d6): δ 8.19(brs, 3H), 7.89-7.76(m, 4H), 7.68-7.60(m, 2H), 7.47(d, J=8.7Hz, 1H), 6.39(t, J=5.4Hz, 1H), 4.47-4.28(br, 1H), 4.25-4.08(br, 1H), 3.98(s, 3H), 3.82(d, J=5.4Hz, 2H).
실시예 67(1)
5-(3-페닐프로필)옥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8.14(brs, 3H), 7.86-7.76(m, 4H), 7.68-7.61(m, 2H), 7.45(d, J=8.7Hz, 1H), 7.34-7.27(m, 4H), 7.25-7.15(m, 1H), 6.45-6.34(m, 1H), 4.47-4.13(m, 4H), 3.89-3.75(m, 2H), 2.86-2.73(m, 2H), 2. 22-2.08(m, 2H).
실시예 68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59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단,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였음).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2-7.58(m, 3H), 7.56-7.30(m, 8H), 7.20(d, J=8.8Hz, 1H), 5.53(dd, J=8.4, 1.8Hz, 1H), 5.33(d, J=11.8Hz, 1H), 5.25(d, J=11.8Hz, 1H), 5.10-5.01(m, 2H), 3.87(dd, J=15.4, 1.8Hz, 1H), 3.75(dd, J=15.4, 1.8Hz, 1H), 3.40-3.28(m, 1H).
실시예 69
5-벤질옥시-4-카르복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444 ㎎)의 염화메틸렌(10 ㎖) 용액에 2크롬산피리디늄(564 ㎎) 및 황산마그네슘(50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여 분별하였다. 여과액을 1N 염산에 첨가하여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로 세정하여 건조시켰다. 이 고체를 디메틸포름아미드(16 ㎖) 및 물(4.0 ㎖)에 용해하고, 2-메틸-2-부텐(0.48 ㎖), 인산이수소나트륨(120 ㎎) 및 아염소산나트륨(358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N 염산에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세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05 ㎎)을 얻었다.
TLC: Rf 0.17(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3.52(s, 1H), 7.92-7.68(m, 4H), 7.67-7.30(m, 8H), 5.88(d, J=9.0Hz, 1H), 5.37(s, 2H), 4.09(dd, J=15.0, 9.0Hz, 1H), 3.88(d, J=15.0Hz, 1H).
실시예 70
5-벤질옥시-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69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28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5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9.05(t, J=6.0Hz, 1H), 8.59(d, J=1.5Hz, 1H), 8.41(dd, J=4.8, 1.5Hz, 1H), 7.85(d, J=8.7Hz, 1H), 7.80-7.72(m, 3H), 7.65-7.55(m, 4H), 7.48-7.41(m, 2H), 7.38-7.30(m, 3H), 7.15(dd, J=8.1, 4.8Hz, 1H), 5.96(d, J=9.0Hz, 1H), 5.29(s, 2H), 4.63(dd, J=15.0, 6.0Hz, 1H), 4.35(dd, J=15.0, 6.0Hz, 1H), 4.06(dd, J=15.0, 9.0Hz, 1H), 3.87(d, J=15.0Hz, 1H).
실시예 71
5-히드록시-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70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9(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1.70(br, 1H), 9.10-8.90(br, 1H), 8.66(d, 1H), 8.44(dd, 1H), 7.88-7.81(m, 1H), 7.78-7.68(m, 3H), 7.67-7.54(m, 3H), 7.34(dd, J=7.5, 4.8Hz, 1H), 7.23(d, J=8.7Hz, 1H), 6.14(d, J=9.0Hz, 1H), 4.67(dd, J=15.3, 6.3Hz, 1H), 4.39(dd, J=15.3, 5.4Hz, 1H), 4.02(dd, J=15.0, 9.0Hz, 1H), 3.84(d, J=15.0Hz, 1H).
실시예 72∼72(31)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 실시예 72(9)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5-카르복시-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6-디메틸아미노헥산올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72
4-(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4(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05(brs, 1H), 7.91(d, J=7.4Hz, 1H), 7.76(d, J=7.0Hz, 1H), 7.75(d, J=7.4Hz, 1H), 7.63(t, J=7.4Hz, 1H), 7.43(d, J=7.0Hz, 1H), 4.87(t, J=5.8Hz, 1H), 3.54(d, J=5.8Hz, 2H), 1.29(s, 6H).
실시예 72(1)
4-(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72(t, J=5.6Hz, 1H), 7.95(d, J=7.4Hz, 1H), 7.88-7.80(m, 2H), 7.66(t, J=7.4Hz, 1H), 7.45(d, J=7.0Hz, 1H), 4.77(t, J=5.6Hz, 1H), 3.53(q, J=5.6Hz, 2H), 3.33(q, J=5.6Hz, 2H).
실시예 72(2)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7.76(d, J=7.5Hz, 1H), 7.57(t, J=7.5Hz, 1H), 7.47(dd, J=7.5, 1.2Hz, 1H), 7.32(dd, J=7.2, 1.2Hz, 1H), 6.79(d, J=7.2Hz, 1H), 4.26-4.19(m, 1H), 4.03-3.96(m, 1H), 3.88-3.78(m, 2H), 3.35(br, 2H), 2.72-2.67(m, 2H), 2.67-2.60(m, 2H), 2.50-2.42(m, 2H).
실시예 72(3)
4-(N-메틸-N-메톡시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8(dt, J=7.8, 1.0Hz, 1H), 7.72(dd, J=7.8, 1.0Hz, 1H), 7.57(t, J=7.8Hz, 1H), 7.41(dd, J=7.0, 1.0Hz, 1H), 6.76(d, J=7.0Hz, 1H), 3.49(s, 3H), 3.40(s, 3H).
실시예 72(4)
4-(4-(티아졸-2-일설파모일)페닐)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10.71(s, 1H), 7.98(d, J=7.5Hz, 1H), 7.90-7.67(m, 6H), 7.67(t, J=7.8Hz, 1H), 6.97(d, J=7.5Hz, 1H), 6.94(d, J=5Hz, 1H), 6.52(d, J=5Hz, 1H), 5.30(broad peak, 1H).
실시예 72(5)
4-((1R)-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5(dd, J=7.2, 1.0Hz, 1H), 7.81(d, J=7.8Hz, 1H), 7.76(dd, J=7.8, 1.0Hz, 1H), 7.59(t, J=7.8Hz, 1H), 6.78(d, J=7.2Hz, 1H), 6.55(d, J=8.4Hz, 1H), 4.64(dd, J=8.4, 4.5Hz, 1H), 2.36-2.25(m, 1H), 1.51(s, 9H), 1.02(d, J=6.9Hz, 3H), 0.98(d, J=6.9Hz, 3H).
실시예 72(6)
6-(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CDCl3): δ 7.66(s, 1H), 7.54(s, 1H), 7.45(d, J=7.0Hz, 1H), 7.40-7.20(m, 5H), 6.73(d, J=7.0Hz, 1H), 6.40-6.20(m, 1H), 4.10-3.90(m, 1H), 3.97(s, 3H), 3.53(s, 2H), 3.00-2.80(m, 2H), 2.30-2.10(m, 2H), 2.10-1.90(m, 2H), 1.70-1.50(m, 2H).
실시예 72(7)
6-(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14:4:1);
NMR(CDCl3): δ 7.71(s, 1H), 7.57(s, 1H), 7.46(d, J=6.9Hz, 1H), 7.10-7.00(m, 1H), 6.71(d, J=6.9Hz, 1H), 3.98(s, 3H), 3.52(q, J=5.5Hz, 2H), 2.53(t, J=5.5Hz, 2H), 2.28(s, 6H).
실시예 72(8)
6-(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9(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DMSO-d6): δ 9.36(t, J=6.0Hz, 1H), 8.58(s, 1H), 8.48(d, J=4.5Hz, 1H), 7.88(s, 1H), 7.81(s, 1H), 7.75(d, J=7.8Hz, 1H), 7.64(d, J=7.0Hz, 1H), 7.42(d, J=7.0Hz, 1H), 7.36(dd, J=7.8, 4.5Hz, 1H), 4.53(d, J=6.0Hz, 2H), 3.99(s, 3H).
실시예 72(9)
5-(6-디메틸아미노헥실)옥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6(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12.60-12.30(br, 1H), 7.96(d, J=7.4Hz, 1H), 7.54-7.43(m, 2H), 6.76(d, J=7.2Hz, 1H), 4.35(t, J=6.6Hz, 2H), 3.97(s, 3H), 3.06-2.90(m, 2H), 2.81(s, 3H), 2.79(s, 3H), 2.03-1.73(m, 4H), 1.57-1.35(m, 4H).
실시예 72(10)
4-(4-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5(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78(dd, J=7.2, 1.2Hz, 1H), 7.59(t, J=7.2Hz, 1H), 7.48(dd, J=7.2, 1.2Hz, 1H), 7.32(d, J=6.9Hz, 1H), 6.80(d, J=6.9Hz, 1H), 3.85-3.70(m, 2H), 3.65-3.45(m, 2H), 3.45-3.24(m, 4H), 1.47(s, 9H).
실시예 72(11)
4-(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3(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9.35(bs, 2H), 7.96(d, J=6.9Hz, 1H), 7.80-7.73(m, 2H), 7.60(d, J=7.2Hz, 1H), 7.51(d, J=7.2Hz, 1H), 4.00-3.80(m, 2H), 3.60-3.40(m, 2H), 3.30-3.15(m, 2H), 3.15-3.00(m, 2H).
실시예 72(12)
4-(4-(4-메톡시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0(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97(t, J=4.2Hz, 1H), 7.71(d, J=4.2Hz, 2H), 7.58-7.43(m, 2H), 7.54(d, J=4.2Hz, 2H), 7.01(d, J=8.4Hz, 2H), 4.65-4.50(m, 1H), 4.30-4.20(m, 2H), 3.78(s, 3H), 3.70-3 . 00(m, 8H).
실시예 72(13)
4-(4-(4-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00-7.92(m, 1H), 7.80-7.64(m, 8H), 7.60-7.35(m, 5H), 4.65-4.50(m, 1H), 4.48-4.30(m, 2H), 3.70-3.00(m, 8H).
실시예 72(14)
4-(4-(나프탈렌-1-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7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42-7.30(m, 1H), 8.13-7.77(m, 4H), 7.76-7.40(m, 7H), 4.93-4.76(m, 2H), 4.66-4.53(m, 1H), 3.64-3.00(m, 8H).
실시예 72(15)
4-(4-(4-에틸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7.98(t, J=4.2Hz, 1H), 7.71(d, J=4.2Hz, 2H), 7.56(d, J=7.2Hz, 1H), 7.52(d, J=7.2Hz, 1H), 7.47(d, J=7.8Hz, 2H), 7.31(d, J=7.8Hz,2H), 4.66-4.45(m, 1H), 4.33-4 . 20(m, 2H), 3.66-3.00(m, 8H), 2.63(q, J=7.5Hz, 2H), 1.19(t, J=7.5Hz, 3H).
실시예 72(16)
4-(4-(나프탈렌-2-일카르보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72(s, 1H), 8.20-7.93(m, 5H), 7.80-7.64(m, 4H), 7.60(d, J=7.2Hz, 1H), 7.55(d, J=7.2Hz, 1H), 5.30-5.10(m, 2H), 4.60-4.40(m, 1H), 3.80-3.10(m, 8H).
실시예 72(17)
4-(4-(피리딘-2-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6(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8.69(d, J=5.1Hz, 1H), 8.00-7.90(m, 2H), 7.75-7.64(m, 3H), 7.60-7.46(m, 3H), 4.50(s, 2H), 4.09-3.90(m, 2H),3.67-3.59(m, 2H), 3.48-3.35(m, 2H), 3.33-3.20(m, 2H).
실시예 72(18)
4-(4-(피리딘-3-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6(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8.90(s, 1H), 8.80-8.73(m, 1H), 8.36-8.30(m, 1H), 7.98-7.92(m, 1H), 7.80-7.66(m, 3H), 7.57(d, J=7.2Hz, 1H), 7.52(d, J=7.2Hz, 1H), 4.50-3.00(m, 10H).
실시예 72(19)
4-(4-벤조일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2(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79(d, J=7.5Hz, 1H), 7.59(t, J=7.5Hz, 1H), 7.53-7.36(m, 6H), 7.34(d, J=6.0Hz, 1H), 6.81(d, J=7.5Hz, 1H), 4.00-3.25(m, 8H).
실시예 72(20)
4-(4-(푸란-2-일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80(d, J=6.9Hz, 1H), 7.61(t, J=7.8Hz, 1H), 7.51(d, J=7.8Hz, 2H), 7.35(d, J=6.9Hz, 1H), 7.11(d, J=3.6Hz, 1H), 6.81(d, J=6.9Hz, 1H), 6.52(d, J=3.6Hz, 1H), 4 . 06-3.36(m, 8H).
실시예 72(21)
4-(4-벤질카르보닐 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7(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77(d, J=7.5Hz, 1H), 7.57(t, J=7.5Hz, 1H), 7.48-7.14(m, 6H), 7.28(d, J=7.2Hz, 1H), 6.78(d, J=7.2Hz, 1H), 3.86-3.00(m, 10H).
실시예 72(22)
4-(2-(피롤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 δ 8.00(dd, J=7.5Hz 및 1Hz, 1H), 7.79(dt, J=7.5Hz 및 1Hz,
1H), 7.72(dd, J=7.5Hz 및 1Hz, 1H), 7.57(t, J=7.5Hz, 1H), 6.90(broad s, 1H), 6.76(d, J=7.5Hz, 1H), 3.55(m, 2H), 2.73(t, J=6Hz, 2H), 2.57(m, 4H), 1.80(m, 4H).
실시예 72(23)
4-(3-(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9(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 δ 9.30(broad s, 1H), 8.17(d, J=7.5Hz, 1H), 7.78(d, J=7.5Hz, 1H), 7.64(d, J=7.5Hz, 1H), 7.52(t, J=7.5Hz, 1H), 6.76(d, J=7.5Hz, 1H), 3.58(m, 2H), 2.76(t, J=6Hz, 2H), 2.5 9(m, 4H), 2.00-1.70(m, 6H).
실시예 72(24)
4-(4-(2-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64(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7.97-7.90(m, 1H), 7.74-7.65(m, 2H), 7.57(d, J=7.2Hz, 1H), 7.51(d, J=7.2Hz, 1H), 7.20-7.10(m, 2H), 7.06-6.93(m, 2H), 3.90-3.78(m,2H), 3.45-3.34(m, 2H), 3.00-2.90(m, 2H), 2.85-2.74(m, 2H), 2.27(s, 3H).
실시예 72(25)
4-(4-(3-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8(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8.00-7.92(m, 1H), 7.74-7.66(m, 2H), 7.56(d, J=7.2Hz, 1H), 7.49(d, J=7.2Hz, 1H), 7.14(t, J=7.8Hz, 1H), 6.90-6.80(m, 2H), 6.71(d, J=7.8Hz, 1H), 3.90-3.80(m, 2H), 3. 46-3.36(m, 2H), 3.36-3.24(m, 2H), 3.18-3.08(m, 2H), 2.56(s, 3H).
실시예 72(26)
4-(4-(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9(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8.00-7.90(m, 1H), 7.74-7.66(m, 2H), 7.56(d, J=7.2Hz, 1H), 7.50(d, J=7.2Hz, 1H), 7.20-6.96(m, 4H), 3.90-3.80(m, 2H), 3.46-3.36(m, 2H), 3.18-3.06(m, 2H), 3.02-2.90(m, 2H).
실시예 72(27)
4-(4-(4-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8.00-7.90(m, 1H), 7.74-7.65(m, 2H), 7.54(d, J=6.9Hz, 1H), 7.49(d, J=6.9Hz, 1H), 7.14-6.97(m, 4H), 3.89-3.78(m, 2H), 3.45-3.34(m,2H), 3.30-3.19(m, 2H), 3.13-3.00(m, 2H).
실시예 72(28)
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22(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8.00-7.92(m, 1H), 7.77-7.66(m, 2H), 7.58(d, J=6.9Hz, 1H), 7.50(d, J=6.9Hz, 1H), 7.13-7.08(m, 2H), 6.96-6.86(m, 2H), 4.10-3.70(m, 2H), 3.72(s, 3H), 3.54-3.40(m, 2H), 3 . 38-3.22(m, 2H), 3.20-3.06(m, 2H).
실시예 72(29)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헥산=2:1);
NMR(DMSO-d6): δ 7.98-7.93(m, 1H), 7.74-7.67(m, 2H), 7.56(d, J=6.9Hz, 1H), 7.49(d, J=6.9Hz, 1H), 7.48-7.40(m, 1H), 7.27-7.16(m, 2H), 7.14-7.07(m, 1H), 3.88-3.67(m, 2H), 3.46-3.34(m, 4H), 3.27-3.18(m, 2H).
실시예 72(30)
4-((3R)-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92(dd, J=1.0Hz 및 7.0Hz, 1H), 7.77(d, J=7.5Hz, 1H), 7.68(dd, J=1.0Hz 및 7.5Hz, 1H), 7.54(t, J=7.5Hz, 1H), 7.40-7.20(m, 5H), 6.75(d, J=7.0Hz, 1H), 6.70(m, 1H), 4.65(m, 1H), 3.66(s, 2H), 3.05-2.95(m, 1H), 2.78(dd, J=1.0Hz 및 10Hz, 1H), 2.60(dd, J=6.0Hz 및 10Hz, 1H), 2.50-2.20(m, 2H), 1.85-1.70(m, 1H).
실시예 72(31)
4-((3S)-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92(dd, J=1.0Hz 및 7.0Hz, 1H), 7.77(d, J=7.5Hz, 1H), 7.68(dd, J=1.0Hz 및 7.5Hz, 1H), 7.54(t, J=7.5Hz, 1H), 7.40-7.20(m, 5H), 6.75(d, J=7.0Hz, 1H), 6.70(m, 1H), 4.65(m, 1H), 3.66(s, 2H), 3.05-2.95(m, 1H), 2.78(dd, J=1.0Hz 및 10Hz, 1H), 2.60(dd, J=6.0Hz 및 10Hz, 1H), 2.50-2.20(m, 2H), 1.85-1.70(m, 1H).
실시예 73∼73(29)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해당 알콜 유도체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에 상당하는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또는 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알콜 유도체 및 1-(3-히드록시프로필)피롤에 해당 알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 실시예 73(26)∼73(29)의 화합물은 탄산칼륨 대신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73
5-아세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아세트산에틸:헥산:염화메틸렌=1:1:1);
NMR(CDCl3): δ 7.65(d, J=8.2Hz, 1H), 7.15(d, J=6.8Hz, 1H), 6.92(dd, J=8.2Hz, 2.2Hz, 1H), 6.87(d, J=2.2Hz, 1H), 6.75(d, J=6.8Hz, 1H), 4.64(s, 2H), 2.30(s, 3H).
실시예 73(1)
5-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72(d, J=8.4Hz, 1H), 7.18(d, J=7.2Hz, 1H), 7.07(dd, J=8.4, 2.4Hz, 1H), 6.98(d, J=2.4Hz, 1H), 6.79(d, J=7.2Hz, 1H), 4.86(s, 2H).
실시예 73(2)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4(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3(d, J=8.4Hz, 1H), 7.13(d, J=6.9Hz, 1H), 6.91(dd, J=8.4, 2.4Hz, 1H), 6.88(d, J=2.4Hz, 1H), 6.73(d, J=6.9Hz, 1H), 4.58(s, 2H), 1.49(s, 9H).
실시예 73(3)
5-(3-(에톡시카르보닐)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1(d, J=8.7Hz, 1H), 7.12(d, J=6.9Hz, 1H), 6.94(dd, J=8.7, 2.0Hz, 1H), 6.84(d, J=2.0Hz, 1H), 6.71(d, J=6.9Hz, 1H), 4.15(q, J=7.2Hz, 2H), 4.08(t, J=6.6Hz, 1H), 2.51(t, J=6.6Hz, 1H), 2.13(5중선, J=6.6Hz, 1H), 1.26(t, J=7.2Hz, 3H).
실시예 73(4)
5-(4-(에톡시카르보닐)부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1(dd, J=8.4, 0.9Hz, 1H), 7.12(dd, J=6.9, 0.9Hz, 1H), 6.93(dd, J=8.4, 2.4Hz, 1H), 6.84(d, J=2.4Hz, 1H), 6.71(d, J=6.9Hz, 1H), 4.13(q, J=7.0Hz, 2H), 4.03(t, J=6.0Hz, 2H), 2.39(t, J=7.0Hz, 2H), 1.88-1.80(m, 4H), 1.26(t, J=7.0Hz, 3H).
실시예 73(5)
4-(피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5.19(s, 2H), 6.63(d, J=7.0Hz, 1H), 7.13(d, J=8.0Hz, 1H), 7.33(d, J=8.0Hz, 1H), 7.37(dd, J=8.0Hz, 5.0Hz, 1H), 7.45(dd, J=7.0Hz, 1.0Hz, 1H), 7.49(t, J=8.0Hz, 1H), 7.75(dt, J=8.0Hz, 2.0Hz, 1H), 8.64(dd, J=5.0Hz, 2.0Hz, 1H), 8.70(d, J=2.0Hz, 1H).
실시예 73(6)
4-(피리딘-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염화메틸렌: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66(d, J=6.0Hz, 2H), 7.51(dd, J=7.0, 1.0Hz, 1H), 7.47(t, J=8.0Hz, 1H), 7.36-7.31(m, 3H), 7.03(d, J=8.0Hz, 1H), 6.67(d, J=7.0Hz, 1H), 5.21(s, 2H).
실시예 73(7)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7(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70(d, J=7.5Hz, 2H), 7.60-7.30(m, 5H), 7.10(d, J=10Hz, 1H), 6.65( d, J=7.5Hz, 1H), 5.25(s, 2H).
실시예 73(8)
4-(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3(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0-7.40(m, 1H), 7.40-7.30(m, 2H), 7.10(d, J=7.5Hz,1H), 6.60(d, J=7.5Hz, 1H), 4.90(s, 2H), 2.40(s, 3H), 2.30(s, 3H).
실시예 73(9)
4-(4-메톡시카르보닐페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8(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8.10(d, J=7.5Hz, 2H), 7.55-7.30(m, 5H), 7.10(d, J=10Hz, 1H), 6.65(d, J=7.5Hz, 1H), 5.25(s, 2H), 3.95(s, 3H).
실시예 73(10)
4-(벤조트리아졸-1-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8.20-8.10(m, 1H), 7.70-7.30(m, 7H), 6.65(s, 2H), 6.60(d, J=7.5Hz, 1H).
실시예 73(11)
4-(2,6-디메틸페닐)카르바모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5-7.40(m, 4H), 7.20-7.00(m, 4H), 6.75(d, J=7.5Hz, 1H), 4.80(s, 2H), 2.20(s, 6H).
실시예 73(12)
4-트리메틸실릴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0-7.35(m, 2H), 7.30-7.10(m, 2H), 6.60(d, J=7.5Hz, 1H), 3.70(s, 2H), 0.20(s, 9H).
실시예 73(13)
4-(피리딘-2-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8.70-8.55(m, 1H), 7.85-7.70(m, 1H), 7.60-7.20(m, 5H), 7.10(d, J=7.5Hz, 1H), 6.65(d, J=7.5Hz, 1H), 5.35(s, 2H).
실시예 73(14)
4-(2-(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3(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8.98(dd, J=1.8 , 0.9Hz, 1H), 8.72(dd, J=4.5, 1.8Hz, 1H), 8.12(dt, J=8.0, 1.8Hz, 1H), 7.49-7.42(m, 2H), 7.28(d, J=7.0Hz, 1H), 7.08(d, J=8.0Hz, 1H), 6.83(br, 1H), 6.58(d, J=7.0Hz, 1H), 4.30(t, J=5.4Hz, 2H), 3.93(q, J=5.4Hz, 2H).
실시예 73(15)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2(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CD3OD): δ 8.52-8.25(m, 2H), 7.80-7.18(m, 5H), 7.07(d, J=8Hz, 1H), 6.68(d, J=7Hz, 1H), 4.14(t, J=7Hz, 2H), 2.87(t, J=7Hz, 2H), 2.35-2.10(m, 2H).
실시예 73(16)
4-(2-(피리딘-2-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9(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
NMR(CDCl3): δ 8.57(d, J=5Hz, 1H), 7.64( dt, J=2, 7Hz, 1H), 7.45(t, J=8Hz, 1H), 7.35-6.98(m, 5H), 6.56(d, J=7Hz, 1H), 4.50(t, J=7Hz, 2H), 3.29(t, J=7Hz, 2H).
실시예 73(17)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3(아세트산에틸:헥산=1:1);
NMR(CDCl3): δ 7.55-7.38(m, 2H), 7.30(d, J=8Hz, 1H), 7.07(d, J=8Hz, 1H), 6.23(d, J=7Hz, 1H), 4.70-4.50(m, 1H), 3.85-3.58(m, 2H), 3.50-3.28(m, 2H), 2.15-1.88(m, 2H), 1.88-1.66(m, 2H), 1.47(s, 9H).
실시예 73(18)
4-(5-메틸-1-트리틸이미다졸-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55-7.23(m, 14H), 7.23-7.00(m, 6H), 6.56(d, J=7Hz, 1H), 5.13(s, 2H), 1.45(s, 3H).
실시예 73(19)
4-(1,2,4-옥사디아졸-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9.70(s, 1H), 7.62(t, J=8.0Hz, 1H), 7.57(d, J=6.9Hz, 1H), 7.50(d, J=8.0Hz, 1H), 7.46(d, J=8.0Hz, 1H), 7.31(d, J=6.9Hz, 1H), 5.58(s, 2H).
실시예 73(20)
6-(피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69(d, J=1.7Hz, 1H), 8.62(dd, J=5.0, 1.7Hz, 1H), 7.77(d, J=7.8Hz, 1H), 7.39-7.27(m, 3H), 7.18(d, J=7.0Hz, 1H), 7.09(dd, J=8.2, 2.2Hz, 1H), 6.58(d, J=7.0Hz, 1H), 5.14(s, 2H).
실시예 73(21)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MS(APCI, Pos.): m/z 318(M+H)+.
실시예 73(22)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4(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27-7.23(m, 2H), 7.16(d, J=6.9Hz, 1H), 7.01(dd, J=8.3, 2.3Hz, 1H), 6.60(d, J=6.9Hz, 1H), 4.69(br, 1H), 4.08(t, J=6.6Hz, 2H), 3.32(q, J=6.6Hz, 2H), 2.01(5중선, J=6.6Hz, 2H), 1.44(s, 9H).
실시예 73(23)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45(dd, J=8.5, 7.5Hz, 1H), 7.12(d, J=6.9Hz, 1H),6.94(d, J=7.5Hz, 1H), 6.86(d, J=8.5Hz, 1H), 6.66(d, J=6.9Hz, 1H), 4.72(s, 2H), 1.46(s, 9H).
실시예 73(24)
6-(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
NMR(CD3OD): δ 8.35(d, J=3.0Hz, 1H), 8.17(d, J=4.0Hz, 1H), 7.60-7.50(m, 1H), 7.53(d, J=7.2Hz, 1H), 7.45-7.35(m, 3H), 6.87(d, J=7.2Hz, 1H), 5.27(s, 2H), 3.98(s, 3H).
실시예 73(25)
4,7-비스(3-히드록시프로필)-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7.34(d, J=7.0Hz, 1H), 7.04(d, J=9.2Hz, 1H), 6.97(d, J=9.2Hz, 1H), 6.54(d, J=7.0Hz, 1H), 4.24(t, J=5.8Hz, 2H), 4.14(t, J=5.8Hz,2H), 3.89(t, J=5.8Hz, 2H), 3.83(t, J=5.8Hz, 2H), 2.00-2.08(m, 4H).
실시예 73(26)
5-카르복시-4-에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3OD): δ 8.00(d, J=7Hz, 1H), 7.61(dd, J=1, 7Hz, 1H), 7.52(dd, J=1, 7Hz, 1H), 7.03(d, J=7Hz, 1H), 4.16(q, J=7Hz, 2H), 1.42(t, J=7Hz, 3H).
실시예 73(27)
5-카르복시-4-부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3OD): δ 7.98(d, J=7Hz, 1H), 7.58(dd, J=1, 7Hz, 1H), 7.51(dd, J=1, 7Hz, 1H), 7.03(d, J=7Hz, 1H), 4.01(t, J=7Hz, 2H), 1.95-1.66(m, 2H), 1.66-1.36(m, 2H), 0.99(t, J=7Hz, 3H).
실시예 73(28)
5-카르복시-4-헥실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3OD): δ 7.98(d, J=7Hz, 1H), 7.58(dd, J=1, 7Hz, 1H), 7.51(dd, J=1, 7Hz, 1H), 7.03(d, J=7Hz, 1H), 4.10(t, J=7Hz, 2H), 1.95-1.65(m, 2H), 1.65-1.05(m, 6H), 0.92(t, J=7Hz, 3H).
실시예 73(29)
5-카르복시-4-옥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0(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3OD): δ 7.98(d, J=7Hz, 1H), 7.57(dd, J=1, 7Hz, 1H), 7.51(dd, J=1, 7Hz, 1H), 7.03(d, J=7Hz, 1H), 4.10(t, J=7Hz, 2H), 1.95-1.65(m, 2H), 1.65-1.05(m, 10H), 0.90(t, J=7Hz, 3H).
실시예 74∼74(5)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해당 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브로모에탄에 상당하는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단, 실시예 7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1몰 당량의 브로모에탄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74
5-에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11.37(s, 1H), 8.07(d, J=8.0Hz, 1H), 7.52(dd, J=7.0, 0.8Hz, 1H), 7.24(dd, J=8.0, 0.8Hz, 1H), 6.66(d, J=7.0Hz, 1H), 4.47(q, J=7.0Hz, 2H), 1.45(t, J=7.0Hz, 3H).
실시예 74(1)
5-에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98(d, J=7.4Hz, 1H), 7.49(t, J=7.4Hz, 2H), 6.75(d, J=7.4Hz, 1H), 4.43(q, J=7.0Hz, 2H), 3.97(s, 3H), 1.43(t, J=7.0Hz, 3H).
실시예 74(2)
5-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94(d, J=7.8Hz, 1H), 7.52-7.42(m, 2H), 6.74(d, J=7.2Hz, 1H), 5.38-5.19(m, 1H), 3.96(s, 3H), 1.40(d, J=6.2Hz, 6H).
실시예 74(3)
5-(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97(d, J=7.8Hz, 1H), 7.53-7.43(m, 2H), 6.75(d, J=7.2Hz, 1H), 4.15(d, J=6.8Hz, 2H), 3.97(s, 3H), 2.20-1.98(m, 1H), 1.03(d, J=6.6Hz, 6H).
실시예 74(4)
6-메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5(t, J=1.0Hz, 1H), 7.75(d, J=1.0Hz, 1H), 7.46(dd, J=7.0, 1.0Hz, 1H), 6.74(d, J=7.0Hz, 1H), 3.98(s, 3H), 3.96(s, 3H).
실시예 74(5)
6-메톡시메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8(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99(s, 1H), 7.79(s, 1H), 7.47(d, J=7.0Hz, 1H), 6.76(d, J=7.0Hz, 1H), 5.52(s, 2H), 4.00(s, 3H), 3.58(s, 3H).
실시예 75∼75(2)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2,4-디메톡시벤질아민·염산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의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단, 실시예 75 및 실시예 75(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을 아민 유도체에 대하여, 2몰 당량 이상 이용하였다.
실시예 75
4-(N-(피리딘-2-일메틸)-N-(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4-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메탄올:염화메틸렌=1:10);
NMR(CDCl3): δ 8.59(d, J=4.6Hz, 1H), 7.72-7.55(m, 3H), 7.55-7.38(m, 4H), 7.35-7.16(m, 3H), 7.10(d, J=7.8Hz, 1H), 6.68(d, J=7.0Hz, 2H), 3.76(s, 4H), 3.73(s, 2H).
실시예 75(1)
4-(피리딘-2-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3OD+CDCl3): δ 8.75-8.52(m, 1H), 7.96-7.72(m, 4H), 7.64(t, J=8Hz, 1H), 7.55-7.25(m, 2H), 6.93(d, J=7Hz, 1H), 4.43(s, 2H), 4.38(s, 2H).
실시예 75(2)
4-(N-(2,4-디메톡시페닐메틸)-N-(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4-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7(아세트산에틸:벤젠=1:1);
NMR(CDCl3): δ 7.65-7.55(m, 2H), 7.50-7.38(m, 4H), 7.07-6.99(m, 1H), 6.87(d, J=7.0Hz, 2H), 6.57(d, J=7.0Hz, 2H), 6.48-6.40(m, 2H), 3.81(s, 3H), 3.63(s, 3H), 3.60(s, 4H), 3.45(s, 2H).
실시예 76∼76(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에 상당하는 유도체 및 티오페놀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이하의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6
4,7-디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7(헥산:염화메틸렌=1:10);
NMR(CDCl3): δ 7.52-7.47(m, 2H), 7.35-7.32(m, 3H), 7.02(d, J=8.9Hz, 1H), 6.91(d, J=8.9Hz, 1H), 5.00(dd, J=7.0, 1.6Hz, 1H), 3.92(s, 3H), 3.85(s, 3H), 3.73(dd, J=13.9, 7.0Hz, 1H), 3.59(dd, J=13.9, 1.6Hz, 1H).
실시예 76(1)
6-브로모-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2:1);
NMR(CDCl3): δ 7.83(d, J=1.8Hz, 1H), 7.75(dd, J=8.3, 1.8Hz, 1H), 7.58(d, J=8.3Hz, 1H), 7.43-7.40(m, 2H), 7.37-7.34(m, 3H), 4.88(t, J=6.9Hz, 1H), 3.80(dd, J=13.8, 6.9Hz, 1H), 3.50(dd, J=13.8, 6.9Hz, 1H).
실시예 77
5-아세틸옥시-4-니트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5-히드록시-4-니트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을 이용하여 실시예 1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9(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8.32(dd, J=8.0, 1.0Hz, 1H), 7.78(d, J=7.0Hz, 1H), 7.76(d, J=8.0Hz, 1H), 7.69(dd, J=7.0, 1.0Hz, 1H), 2.35(s, 3H).
실시예 78∼78(1)
실시예 6(8)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35(39) 및 실시예 35(47)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8
4-(피페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1 및 0.50(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3OD): δ 7.85-7.42(m, 6H), 7.35-7.18(m 2H), 5.68-5.50(m, 1H), 4.15-3.90(m, 3H), 3.90-3.50(m, 2H), 3.50-3.30(m, 1H), 3.20-2.90(m, 2H), 2.45-2.15(m, 1H), 2.15-1.40(m, 4H).
실시예 78(1)
5-(2-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17(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DMSO-d6): δ 8.25(br, 3H), 8.16(d, J=8.7Hz, 1H), 7.86-7.65(m, 6H), 5.99(d, J=7.2Hz, 1H), 4.63-4.50(m, 2H), 4.15-4.00(m, 2H), 3.30-3.26(m, 2H).
실시예 79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35(42)에서 제조한 화합물(258 ㎎)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47% 브롬화수소 수용액(1.0 ㎖)을 첨가하여 1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하여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74 ㎎)을 얻었다.
TLC: Rf 0.22(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85-7.72(m, 2H), 7.66-7.34(m, 4H), 7.25(d, J=8Hz, 1H), 6.99(d, J=8Hz, 1H), 5.34(d, J=9Hz, 1H), 4.19(d, J=15Hz, 1H), 4.25-3.95(m, 3H), 3.95-3.55(m, 7H), 2.50(brs, 1H).
실시예 80
4-(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2(1)에서 제조한 화합물(369 ㎎)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5 ㎖) 및 염화메틸렌(40 ㎖)에 용해하고, -78℃로 냉각한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0.30 ㎖)을 첨가하여 -78℃에서 2시간 교반하여 0℃까지 승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2.5시간 교반한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0.15 ㎖)을 첨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N 염산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헥산=1:1)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97 ㎎)을 얻었다.
TLC: Rf 0.5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42(d, J=7.0Hz, 1H), 8.10(d, J=7.8Hz, 1H), 7.80(d, J=7.8Hz, 1H), 7.57(t, J=7.8Hz, 1H), 6.77(d, J=7.0Hz, 1H), 4.46(t, J=9.4Hz, 2H), 4.13(t, J=9.4Hz, 2H).
실시예 80(1)
5-(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2(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28(2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39(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10(dd, J=7.8Hz, 1.2Hz, 1H), 7.97(d, J=1.2Hz, 1H), 7.76(d, J=7.8Hz, 1H), 7.25(d, J=6.8Hz, 1H), 6.78(d, J=6.8Hz, 1H), 4.50(t,J=9.6Hz, 2H), 4.11(t, J=9.6Hz, 2H).
실시예 81∼81(1)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45(10) 및 실시예 35(6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2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도시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1
5-카르복시-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2(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DMSO-d6): δ 7.91(d, J=8.0Hz, 1H), 7.86-7.74(m, 3H), 7.68-7.61(m, 2H), 7.56(d, J=8.0Hz, 1H), 5.68(d, J=8.5Hz, 1H), 4.19(d, J=15.5Hz, 1H), 4.01(dd, J=15.5, 8.5Hz, 1H), 3.66(s, 3H).3.35(br, 1H).
실시예 81(1)
4-카르복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1(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3.78(s, 1H), 8.24(d, J=7.5Hz, 1H), 8.05(d, J=7.8Hz, 1H), 7.91-7.84(m, 1H), 7.82-7.74(m, 3H), 7.69-7.61(m, 2H), 6.27(dd, J=7.8, 2.1Hz, 1H), 4.20-3.95(m, 2H).
나트륨염:
TLC: Rf 0.11(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8.22(dd, J=7.4Hz 및 1.4Hz, 1H), 7.95-7.85(m, 3H), 7.85-7.70(m, 2H), 7.70-7.55(m, 2H), 6.62(dd, J=8.0Hz 및 2.0Hz, 1H), 4.10(dd, J=15Hz 및 8.0Hz, 1H), 3.95(dd, J=15Hz 및 2.0Hz, 1H).
실시예 82
4-포르밀-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45(20)에서 제조한 화합물(1.46 g)의 염화메틸렌(40 ㎖) 용액에 이크롬산피리디늄(2.44 g) 및 황산마그네슘(1.0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여 분별하였다. 여과액에 1N 염산을 첨가하여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로 세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03 g)을 얻었다.
TLC: Rf 0.6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DMSO-d6): δ 10.29(s, 1H), 8.29(dd, J=7.4, 1.2Hz, 1H), 8.16(dd, J=7.6, 1.2Hz, 1H), 8.03-7.92(m, 1H), 7.86-7.72(m, 3H), 7.71-7.57(m, 2H), 6.41(dd, J=8.0, 2.2Hz, 1H), 4.08(dd, J=15.2, 8.0Hz, 1H), 3.97(dd, J=15.2, 2.2Hz, 1H).
실시예 83∼83(3)
실시예 20(2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73(2), 실시예 73(23), 실시예 28(12) 및 실시예 72(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3
5-카르복시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아세트산에틸:메탄올=5:1);
NMR(DMSO-d6): δ 7.75(dd, J=8.3, 0.9Hz, 1H), 7.53(dd, J=6.9, 0.9Hz, 1H), 7.34(d, J=6.9Hz, 1H), 7.16(d, J=2.7Hz, 1H), 7.07(dd, J=8.3, 2.7Hz, 1H), 4.83(s, 2H).
실시예 83(1)
7-카르복시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1(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DMSO-d6): δ 7.57(t, J=7.8Hz, 1H), 7.51(d, J=6.9Hz, 1H), 7.25(d, J=6.9Hz, 1H), 7.11(d, J=7.8Hz, 2H), 4.92(s, 2H).
실시예 83(2)
4-((1S)-1-카르복시-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DMSO-d6): δ 8.89(d, J=7.8Hz, 1H), 7.97(d, J=7.3Hz, 1H), 7.81(d, J=7.3Hz, 1H), 7.77(d, J=7.3Hz, 1H), 7.69(t, J=7.3Hz, 1H), 7.48(d, J=7.3Hz, 1H), 4.33(dd, J=7.8, 6.0Hz, 1H), 2.23-2.12(m, 1H), 0.97(d, J=6.6Hz, 3H), 0.96(d, J=6.6Hz, 3H).
실시예 83(3)
4-((1 R)-1-카르복시-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DMSO-d6): δ 8.89(d, J=7.8Hz, 1H), 7.97(d, J=7.3Hz, 1H), 7.81(d, J=7.3Hz, 1H), 7.77(d, J=7.3Hz, 1H), 7.69(t, J=7.3Hz, 1H), 7.47(d, J=7.3Hz, 1H), 4.33(dd, J=7.8, 6.0Hz, 1H), 2.25-2.13(m, 1H), 0.97(d, J=6.6Hz, 3H), 0.96(d, J=6.6Hz, 3H).
실시예 84
5-(3-카르복시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3(3)에서 제조한 화합물(98 ㎎)의 디메틸설폭시드(5.0 ㎖) 용액에 인산염 완충액(pH 7.4, 25 ㎖) 및 돼지 간장 에스테라아제(1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N 염산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90 ㎎)을 얻었다.
TLC: Rf 0.26(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62(d, J=8.4Hz, 1H), 7.13(d, J=6.8Hz, 1H), 6.95(dd, J=8.4, 2.2Hz, 1H), 6.85(d, J=2.2Hz, 1H), 6.73(d, J=6.8Hz, 1H), 4.10(t, J=6.2Hz, 2H), 2.58(t, J=7.0Hz, 2H), 2.24-2.07(m, 2H).
실시예 84(1)
5-((2E)-3-카르복시-2-프로페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3(3)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30(1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4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14(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3OD): δ 7.64(d, J=8.8Hz, 1H), 7.38(d, J=7.0Hz, 1H), 7.16-7.00(m, 3H), 6.95(d, J=7.0Hz, 1H), 6.13(dt, J=15.8, 2.0Hz, 1H), 4.89-4.80(m, 2H).
실시예 85
5-(4-페닐부틸)아미노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페닐부틸아민(164 ㎎) 및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화합물(366 ㎎)을 염화메틸렌(3.0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황산나트륨(1.0 g)을 첨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63 ㎎), 메탄올(3.0 ㎖) 및 4N 염화수소 디옥산 용액(0.3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하여 분별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100:5)로 정제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40 ㎎)을 얻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2(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7.80-7.50(m, 6H), 7.33-7.12(m, 6H), 5.34(d, J=4.8Hz, 1H), 4.15-3.90(m, 4H), 3.75(s, 3H), 2.98(t, J=7.8Hz, 2H), 2.63(t, J=7.8Hz, 2H), 1.88-1.60(m, 4H).
염산염:
TLC: Rf 0.42(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9.49(bs, 2H), 7.93(d, J=8.1Hz, 1H), 7.77-7.70(m, 2H), 7.65(t, J=8.1Hz, 1H), 7.50(t, J=8.1Hz, 2H), 7.35-7.12(m, 6H), 5.27(d, J=8.1Hz, 1H), 4.18-4.02(m, 2H), 3.98(d, J=15.0Hz, 1H), 3.88(s, 3H), 3.85(dd, J=15.0, 8.1Hz, 1H), 3.00-2.85(m, 2H), 2.63(t, J=7.5Hz, 2H), 2.00-1.60(m, 4H).
실시예 85(1)
5-(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4-페닐부틸아민 대신에 (피리딘-3-일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85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35(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CDCl3): δ 8.59(d, J=2.0Hz, 1H), 8.55(dd, J=4.8, 2.0Hz, 1H), 7.80-7.65(m, 4H), 7.58(d, J=6.0Hz, 1H), 7.43(dd, J=7.6, 2.0Hz, 3H), 7.30(dd, J=7.6, 4.8Hz, 1H), 5.20(d, J=8.2Hz, 1H), 4.17(d, J=13.4Hz, 1H), 3.95-3.70(m,5H), 3.80(s, 3H).
2염산염:
TLC: Rf 0.35(클로로포름:메탄올=10:1);
NMR(DMSO-d6): δ 10.35(brs, 1H), 10.15(bs, 1H), 9.03(s, 1H), 8.85(d, J=5.2Hz, 1H), 8.55(d, J=8.4Hz, 1H), 8.06(d, J=8.4Hz, 1H), 7.95-7.72(m, 4H), 7.70-7.55(m, 3H), 5.85-5.77(m, 1H), 4.40-4.00(m, 6H), 3.69(s, 3H).
실시예 86
6-디메틸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35(68)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48(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7.81-7.74(m, 3H), 7.66-7.58(m, 2H), 7.40(d, J=9.0Hz, 1H), 7.09(dd, J=9.0, 2.5Hz, 1H), 6.80(d, J=2.5Hz, 1H), 5.56(dd, J=9.5, 3.0Hz, 1H), 3.91(dd, J=15.0, 9.5Hz, 1H), 3.67(dd, J=15.0, 3.0Hz, 1H), 2.99(s, 6H).
실시예 87
4-(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81(1)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피리딘-3-일메틸)아민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2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2(클로로포름: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DMSO-d6): δ 10.40-10.20(br, 1H), 9.19(t, J=5.4Hz, 1H), 8.13(d, J=6.9Hz, 1H), 7.94(d, J=7.5Hz, 1H), 7.87(d, J=7.8Hz, 1H), 7.84-7.72(m, 3H), 7.67-7.58(m, 2H), 6.27(d, J=9.0Hz, 1H), 4.13(dd, J=9.0, 15.0Hz, 1H), 3.96(d, J=15.0Hz, 1H), 3.77-3.55(m, 2H), 3.40-3.22(m, 2H), 2.87-2.74(m, 6H).
실시예 88∼88(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18(40), 실시예 20(4) 및 실시예 45(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산화제로서 옥손 대신에 3-클로로과벤조산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8
4,7-비스(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CDCl3): δ 8.65-8.60(m, 3H), 8.57(dd, J=5.0, 1.5Hz, 1H), 7.90-7.80(m, 2H), 7.68-7.65(m, 2H), 7.60-7.55(m, 1H), 7.41-7.31(m, 4H), 7.01(d, J=9.0Hz, 1H), 6.98(d, J=9.0Hz, 1H), 5.25(d, J=13.0Hz, 1H), 5.21(dd, J=9.5, 1.0Hz, 1H), 5.20(d, J=13.0Hz, 1H), 4.96(d, J=12.0Hz, 1H), 4.87(d, J=12.0Hz, 1H), 4.12(dd, J=15.0, 1.0Hz, 1H), 3.75(dd, J=15.0, 9.5Hz, 1H).
실시예 88(1)
4-(N-옥사이드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DMSO-d6): δ 8.29(s, 1H), 8.20(d, J=6.2Hz, 1H), 7.73-7.57(m, 4H), 7.51-7.31(m, 6H), 5.77(d, J=8.8Hz, 1H), 5.10(d, J=12.8Hz, 1H), 4.90(d, J=12.8Hz, 1H), 4.18(d, J=15.0Hz, 1H), 3.95(dd, J=15.0, 8.8Hz, 1H).
실시예 88(2)
4-(2-(N-옥사이드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3(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8.11(d, J=6.9Hz, 2H), 7.79-7.72(m, 3H), 7.65-7.60(m, 3H), 7.34(d, J=7.5Hz, 1H), 7.28-7.25(m, 3H), 5.41(d, J=8.5Hz, 1H), 4.16(d, J=15.0Hz, 1H), 4.15-3.90(m, 2H), 4.02(dd, J=15.0, 8.5Hz, 1H), 2.88-2.66(m, 2H).
실시예 89
4-메톡시-3-(4-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28(27)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티오페놀 대신에 4-머캅토페놀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7(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0-7.00(m, 3H), 7.35(d, J=7.5Hz, 2H), 6.80(d, J=7.5Hz, 2H), 6.00(s, 1H), 4.90(dd, J=5.0, 1.2Hz, 1H), 3.90(s, 3H), 3.75-3.50(m, 2H).
실시예 90
4-메톡시-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12)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89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4-니트로벤질브롬화물에 상당하는 할로겐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8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22(아세트산에틸).
실시예 91
4-메톡시-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대신에 실시예 90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39(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5:5);
NMR(DMSO-d6): δ 9.05(br.s, 1H), 8.90(d, J=5.0Hz, 1H), 8.55(d, J=7.5Hz, 1H), 8.00(dd, J=7.5, 5.0Hz, 1H), 7.80-8.60(m, 3H), 7.50-7.15(m, 4H), 5.60-5.40(m, 3H), 4.20(d, J=15Hz, 1H), 4.00(dd, J=15, 7.5Hz, 1H), 3.45(s, 3H).
실시예 92∼92(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28(27) 및 실시예 28(26)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티오페놀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의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92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CDCl3): δ 8.10(d, J=8.0Hz, 1H), 7.67(br, 1H), 7.55-7.48(m, 3H), 7.39-7.36(m, 3H), 5.10(dd, J=6.5, 2.0Hz, 1H), 4.06(s, 3H), 3.71(dd, J=14.0, 6.5Hz, 1H), 3.61(dd, J=14.0, 2.0Hz, 1H), 3.57(q, J=6.0Hz, 2H), 2.53(t, J=6.0Hz, 2H), 2.29(s, 6H).
실시예 92(1)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6(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8.60-8.52(m, 2H), 8.06(d, J=8.0Hz, 1H), 7.77-7.74(m, 2H), 7.53-7.45(m, 3H), 7.37-7.30(m, 4H), 5.03(dd, J=6.5, 2.0Hz, 1H), 4.67(d, J=6.0Hz, 2H), 3.92(s, 3H), 3.70(dd, J=14.0, 6.5Hz, 1H), 3.58(dd, J=14.0, 2.0Hz, 1H).
실시예 93
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2,4-디메톡시벤질아민·염산염 대신에 1-(2-아미노에틸)피페리딘을 이용하여 실시예 3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1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0:5:5);
NMR(CDCl3): δ 7.75-7.60(m, 2H), 7.60-7.40(m, 2H), 6.70(d, J=7.5Hz, 1H), 3.90(s, 2H), 2.70(t, J=7.5Hz, 2H), 2.50-2.20(m, 4H), 2.40(t, J=7.5Hz, 2H), 1.65-1.35(m, 6H).
2염산염:
TLC: Rf 0.28(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0.5);
NMR(DMSO-d6+피리딘-d5): δ 8.15(d, J=7.5Hz, 1H), 8.00(d, J=7.5Hz, 1H), 7.90(d, J=7.5Hz, 1H), 7.70(t, J=7.5Hz, 1H), 7.50(d, J=7.5Hz, 1H), 4.40(s, 2H), 3.55-3.30(m, 4H), 3.30-3.10(m, 4H), 1.90-1.70(m, 4H), 1.65-1.50(m, 2H).
실시예 94
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9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18(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90:5:5);
NMR(CDCl3): δ 7.80-7.40(m, 8H), 6.10(d, J=10Hz, 1H), 4.60(d, J=15Hz, 1H), 3.95(d, J=15Hz, 1H), 3.90(d, J=15Hz, 1H), 3.75(dd, J=15, 10Hz, 1H), 2.80-2.60(m, 2H), 2.60-2.20(m, 6H), 1.60-1.30(m, 6H).
2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0.5);
NMR(DMSO-d6+피리딘-d5): δ 8.35(d, J=7.5Hz, 1H), 8.00-7.75(m, 5H), 7.65(t, J=7.5Hz, 2H), 6.70(d, J=7.5Hz, 1H), 4.80(d, J=15Hz, 1H), 4.50(d,J=15Hz, 1H), 4.20-3.95(m, 2H), 3.65-3.35(m, 4H), 3.30-3.00(m, 4H), 2.00-1.70(m, 4H), 1.70-1.40(m, 2H).
실시예 95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벤조[b]티오펜
4-카르복시벤조[b]티오펜(3.2 g)의 t-부탄올(170 ㎖)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7.5 ㎖)을 첨가하고, 디페닐포스포릴아미드(4.2 ㎖)를 첨가하여 95℃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0 g)을 얻었다.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3:1);
NMR(CDCl3): δ 7.81-7.78(m, 1H), 7.60(d, J=8.0Hz, 1H), 7.44-7.24(m, 3H), 6.74(br, 1H), 1.55(s, 9H).
실시예 96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5에서 제조한 화합물(3.0 g)의 클로로포름(100 ㎖) 용액에 0℃에서 메타클로로과벤조산(8.2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하여 하룻밤 방치한 후,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로 정제하고, 앞서 말한 결정과 합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0 g)을 얻었다.
TLC: Rf 0.41(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83-7.80(m, 1H), 7.49(t, J=7.5Hz, 1H), 7.46-7.43(m, 1H), 7.31(dd, J=7.2, 1.0Hz, 1H), 6.70(d, J=7.2Hz, 1H), 6.54(br, 1H), 1.53(s, 9H).
실시예 97
4-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실시예 96에서 제조한 화합물(2.5 g)의 아세트산에틸(30 ㎖)에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1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1.8 g)을 얻었다.
TLC: Rf 0.29(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3OD): δ 7.63(dd, J=7.0, 1.0Hz, 1H), 7.61(t, J=7.5Hz, 1H), 7.54(dt, J=7.5, 1.0Hz, 1H), 7.42(dd, J=7.5, 1.0Hz, 1H), 7.08(d, J=7.0Hz, 1H).
실시예 98
4-(4-플루오로벤질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97에서 제조한 화합물(100 ㎎)과 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192 ㎎) 및 트리에틸아민(1 ㎖)의 디메틸포름아미드(3 ㎖) 용액에 프로판인산 환상 무수물(50%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 3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여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한 후, 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 재결정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 0.6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10.27(s, 1H), 7.88-7.82(m, 1H), 7.64(d, J=7.0Hz, 1H), 7.61-7.55(m, 2H), 7.41-7.34(m, 3H), 7.16(t, J=9.0Hz, 2H), 3.75(s, 2H).
실시예 98(1)∼98(5)
실시예 97에서 제조한 화합물과, 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에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98로 표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98(1)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18(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10.69(s, 1H), 9.17(d, J=2.0Hz, 1H), 8.80(dd, J=5.0, 2.0Hz, 1H), 8.34(dt, J=7.8, 2.0Hz, 1H), 7.82(dd, J=7.5, 1.5Hz, 1H), 7.72-7.63(m, 3H), 7.60(dd, J=7.8, 5.0Hz, 1H), 7.36(d, J=7.2Hz, 1H).
실시예 98(2)
4-(3-클로로벤조일)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10.62(s, 1H), 8.07(t, J=1.5Hz, 1H), 7.96(dt, J=7.7, 1.5Hz, 1H), 7.78(dd, J=7.7, 1.5Hz, 1H), 7.73-7.64(m, 4H), 7.60(t, J=7.7Hz, 1H), 7.35(d, J=6.6Hz, 1H).
실시예 98(3)
4-벤질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75-7.72(m, 1H), 7.48-7.35(m, 7H), 7.29(br, 1H), 6.79(d, J=7.2Hz, 1H), 6.58(d, J=7.2Hz, 1H), 3.79(s, 2H).
실시예 98(4)
4-(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1(아세트산에틸:메탄올=4:1);
NMR(CDCl3): δ 9.52(br, 1H), 8.06(m, 1H), 7.56-7.48(m, 2H), 7.28-7.25(m, 1H), 6.73(d, J=7.0Hz, 1H), 3.15(s, 2H), 2.44(s, 6H).
실시예 98(5)
4-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10.05(s, 1H), 7.89-7.83(m, 1H), 7.70(d, J=7.0Hz, 1H), 7.61-7.55(m, 2H), 7.33(d, J=7.0Hz, 1H), 2.12(s, 3H).
실시예 99∼99(10)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하기 실시예 107에서 제조하였음)과 (피리딘-3-일메틸)아민 대신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로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99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6(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8.19(dd, J=7.0Hz 및 1.0Hz, 1H), 8.05(broad s, 1H), 7.95(dd, J=8.0Hz 및 1.0Hz, 1H), 7.79(d, J=8.0Hz, 1H), 7.60(t, J=8.0Hz, 1H), 6.75(d, J=7.0Hz, 1H), 3.50-3.35(m, 6H), 2.46(t, J=8.0Hz, 2H), 2.20-2.00(m, 2H), 1.90-1.70(m, 2H).
실시예 99(1)
4-(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0(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3:1:1);
NMR(CDCl3): δ 8.03(dd, J=7.2Hz 및 1.0Hz, 1H), 7.79(dt, J=7.8Hz 및1.0Hz, 1H), 7.69(dd, J=7.8Hz 및 1.0Hz, 1H), 7.57(t, J=7.8Hz, 1H), 6.77(d, J=7.2Hz, 1H), 3.49(m, 2H), 2.67(t, J=6.0Hz, 2H), 2.58(q, J=7.2Hz, 4H), 1.04(t, J=7.2Hz, 6H).
실시예 99(2)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1(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91(d, J=7.0Hz, 1H), 7.74(m, 1H), 7.55-7.40(m, 2H), 7.13(dd, J=9.0Hz 및 7.4Hz, 1H), 6.73(d, J=7.0Hz, 1H), 6.70-6.55(m, 3H), 6.35(broad s, 1H), 3.75-3.50(m, 4H), 3.19(q, J=7.0Hz, 2H), 2.29(s, 3H), 1.16(t, J=7.0Hz, 3H).
실시예 99(3)
4-(2,4,6-트리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3(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DMSO-d6): δ 7.89(d, J=7.0Hz, 1H), 7.80-7.65(m, 3H), 7.55(t, J=7.4Hz, 1H), 6.88(d, J=7.0Hz, 1H), 6.17(s, 2H), 4.56(d, J=4.8Hz, 2H), 3.84(s, 6H), 3.82(s, 3H).
실시예 99(4)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3(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8.00-7.93(m, 1H), 7.76-7.66(m, 2H), 7.58(d, J=6.9Hz, 1H), 7.52(d, J=6.9Hz, 1H), 5.40(bs, 1H), 4.64-4.46(m, 1H), 6.85-3.73(m, 2H), 3.70-3.00(m, 10H).
실시예 99(5)
4-(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64(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CDCl3): δ 7.78(d, J=7.5Hz, 1H), 7.59(t, J=7.5Hz, 1H), 7.47(d, J=7.5Hz, 1H), 7.36(s, 5H), 7.32(d, J=6.9Hz, 1H), 6.79(d, J=6.9Hz, 1H), 5.16(s, 2H), 3.88-3.72(m, 2H), 3.70-3.56(m, 2H), 3.54-3.40(m, 2H), 3.40-3.25(m, 2H).
실시예 99(6)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5(클로로포름:메탄올=9:1);
NMR(CDCl3): δ 7.80-7.20(m, 4H), 6.75(d, J=6.8Hz, 1H), 3.80-3.50(m, 2H), 3.35-3.10(m, 2H), 2.70-2.10(m, 6H), 1.70-1.20(m, 6H), 1.26 및 1.06(각각t, J=7.0Hz, 총 3H).
실시예 99(7)
4-(3-(이미다졸-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클로로포름:메탄올=4:1);
NMR(CDCl3): δ 7.95(d, J=7.0Hz, 1H), 7.72(d, J=7.6Hz, 1H), 7.69(d, J=7.6Hz, 1H), 7.52(t, J=7.6Hz, 1H), 7.55(broad s, 1H), 7.41(s, 1H), 6.98(s, 1H), 6.96(s, 1H), 6.76(d, J=7.0Hz, 1H), 4.07(t, J=6.6Hz, 2H), 3.44(q, J=6.6Hz, 2H), 2.14(m, 2H).
실시예 99(8)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염화메틸렌:메탄올=9:1);
NMR(CDCl3): δ 7.85-7.30(m, 4H), 6.76(d, J=7.2Hz, 1H), 3.74 및 3.30(각각 t, J=6.0Hz, 총 2H), 3.14 및 2.88(각각 s, 총 3H), 2.70-2.10(m, 6H), 1.70-1.30(m, 6H).
실시예 99(9)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26(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00-7.92(m, 1H), 7.74-7.65(m, 2H), 7.56(d, J=6.9Hz, 1H), 7.52(d, J=6.9Hz, 1H), 7.21(s, 1H), 7.03-6.95(m, 2H), 6.07(s, 2H), 4.64-4.50(m, 1H), 4.28-4.15(m, 2H), 3.70-2 . 96(m, 8H).
실시예 99(10)
4-(4-((2E)-3-페닐-2-프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염산염
TLC: Rf 0.1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00-7.92(m, 1H), 7.76-7.65(m, 2H),7.58(d, J=6.9Hz, 1H), 7.53-7.46(m, 2H),7.51(d, J=6.9Hz, 1H), 7.45-7.28(m, 3H), 6.84(d, J=15.3Hz, 1H), 6.47-6.33(m, 1H), 4.60(m, 1H), 3.98-3.84(m, 2H), 3.70-2.97(m, 8H).
실시예 100∼100(24)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81(1)에서 제조된 화합물 및 (피리딘-3-일)에틸아민 대신에 해당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8에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0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3(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DMSO-d6): δ 9.29(t, J=5.5Hz, 1H), 7.99(d, J=7.6Hz, 1H), 7.95(d, J=7.6Hz, 1H), 7.83(t, J=7.6Hz, 1H), 7.79-7.76(m, 3H), 7.67-7.60(m, 3H), 6.48-6.35(m, 2H), 6.25(d, J=9.0Hz, 1H), 4.55(dd, J=15.5, 5.5Hz, 1H), 4.40(dd,J=15.5, 5.5Hz, 1H), 4.10(dd, J=15.3, 9.0Hz, 1H), 4.00(d, J=15.3Hz, 1H).
실시예 100(1)
4-(2,4,6-트리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55(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40(t, J=4.8Hz, 1H), 7.89-7.86(m, 2H), 7.86-7.69(m, 4H), 7.67-7.58(m, 2H), 6.25(s, 2H), 6.18(dd, J=8.1, 2.1Hz, 1H), 4.46-4.30(m, 2H), 4.11-3.94(m, 2H), 3.77(s, 9H).
실시예 100(2)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4(아세트산에틸:메탄올=2:1);
NMR(CDCl3): δ 8.20-8.08(m, 1H), 8.02(d, J=7.5Hz, 1H), 7.83-7.62(m, 5H), 7.59-7.49(m, 2H), 6.40(dd, J=9.3, 1.2Hz, 1H), 3.89-3.61(m, 4H), 3.51-3.33(m, 2H), 3.32-3.20(m, 1H), 3.20-3.06(m, 1H), 2.53-2.33(m, 2H), 2.15-1.88(m, 3H), 1.85-1.74(m, 1H).
실시예 100(3)
4-((3S)-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고극성체:
TLC: Rf 0.27(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8:0.05);
NMR(CDCl3): δ 7.90-7.80(m, 4H), 7.75-7.66(m, 2H), 7.62-7.53(m, 2H), 7.37-7.13(m, 5H), 6.70(d, J=8.7Hz, 1H), 6.24-6.17(m, 1H), 4.74-4.62(m, 1H), 3.80(dd, J=15.0, 1.5Hz, 1H), 3.68(d, J=12.9Hz, 1H), 3.63(dd, J=15.0, 9.3Hz, 1H), 3.57(d, J=12.9Hz, 1H), 3.00-2.86(m, 2H), 2.72(dd, J=9.9, 6.3Hz, 1H), 2.51-2.31(m, 2H), 1.89-1.77(m, 1H).
저극성체:
TLC: Rf 0.3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8:0.05);
NMR(CDCl3): δ 7.94-7.87(m, 2H), 7.87-7.78(m, 2H), 7.75-7.66(m, 2H), 7.64-7.56(m, 2H), 7.41-7.23(m, 5H), 6.73(d, J=8.1Hz, 1H), 6.28-6.21(m, 1H), 4.71-4.59(m, 1H), 3.80(dd, J=14.7, 1.2Hz, 1H), 3.64(s, 2H), 3.62(dd, J=14.7, 9.3Hz, 1H), 2.95-2.84(m, 1H), 2.80-2.67(m, 2H), 2.46-2.30(m, 2H), 2.12-1.95(m, 1H).
*의 절대 배치의 결정은 행해지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고극성체 및 저극성체는 각각 단일의 광학 활성체이다.
실시예 100(4)
4-(2-(피롤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4:2:0.5);
NMR(CDCl3): δ 7.93-7.78(m, 4H), 7.75-7.66(m, 2H), 7.63-7.53(m, 2H), 7.10(brs, 1H), 6.31-6.24(m, 1H), 3.83(dd, J=15.0, 1.5Hz, 1H), 3.73-3.49(m ,3H), 2.80(t, J=5.7Hz, 2H), 2.69-2.53(m, 4H), 1.86-1.73(m, 4H).
염산염:
TLC: Rf 0.3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4:2:0.5);
NMR(DMSO-d6): δ 9.18(t, J=5.4Hz, 1H), 8.14(d, J=7.5Hz, 1H), 7.96-7.90(m, 1H), 7.85(t, J=7.5Hz, 1H), 7.81-7.72(m, 3H), 7.67-7.58(m, 2H), 6.27(d, J=9.3Hz, 1H), 4.13(dd, J=15.6, 9.3Hz, 1H), 3.96(d, J=15.6Hz, 1H), 3.78-3.50(m, 4H), 3.48-3.28(m, 2H), 3.06-2.94(m, 2H), 2.09-1.78(m, 4H).
실시예 100(5)
4-(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4:2:0.5);
NMR(CDCl3): δ 7.92-7.80(m, 4H), 7.76-7.66(m, 2H), 7.62-7.56(m, 2H), 7.03(brs, 1H), 6.29(dd, J=9.0, 1.5Hz, 1H), 3.84(dd, J=14.4, 1.5Hz, 1H), 3.72-3.44(m, 3H), 2.73(t, J=6.0Hz, 2H), 2.60(q, J=7.2Hz, 4H), 1.04(t, J=7.2Hz, 6H).
염산염:
TLC: Rf 0.49(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4:2:0.5);
NMR(DMSO-d6): δ 10.32(brs, 1H), 9.30-9.20(m, 1H), 8.08(d, J=7.5Hz, 1H), 7.94(d, J=7.5Hz, 1H), 7.86(t, J=7.5Hz, 1H), 7.82-7.72(m, 3H), 7.68-7.58(m, 2H), 6.29(d, J=9.3Hz, 1H), 4.12(dd, J=15.6, 9.3Hz, 1H), 3.96(d, J=15.6Hz, 1H), 3.80-3.57(m, 2H), 3.40-3.08(m, 6H), 1.24(t, J=7.2Hz, 6H).
실시예 100(6)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9(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CDCl3): δ 7.94-7.87(m, 2H), 7.82(d, J=6.9Hz, 1H), 7.75-7.67(m, 1H), 7.67-7.54(m, 4H), 7.17-7.11(m, 1H), 6.72-6.64(m, 2H), 6.56(d, J=7.8Hz, 1H), 6.49(brs, 1H), 6.26(dd, J=9.0, 1.2Hz, 1H), 3. 81(dd, J=14.7, 1.2Hz, 1H), 3.77-3.47(m, 5H), 3.43(q, J=7.2Hz, 2H), 2.30(s, 3H), 1.15(t, J=7.2Hz, 3H).
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CD3OD): δ 7.98-7.60(m, 6H), 7.59-7.26(m, 6H), 6.36-6.15(m, 1H),4.09-3.89(m, 4H), 3.88-3.40(m, 4H), 2.44(s, 3H), 1.17(t, J=7.2Hz, 3H).
실시예 100(7)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9(염화메틸렌:메탄올=6:1);
NMR(CDCl3): δ 8.00-7.55(m, 8H), 5.85(d, J=8Hz, 1H), 3.85-3.30(m, 6H), 2.85-2.50(m, 2H), 2.55(m, 2H), 2.40(m, 2H), 1.80-1.40(m, 6H), 1.34 및 1.36(각각 t, J=7Hz, 총 3H).
염산염:
TLC: Rf 0.29(염화메틸렌:메탄올=6:1);
NMR(CDCl3+DMSO-d6): δ 11.30(broad s, 1H), 7.95-7.60(m, 8H), 5.89(d, J=8Hz, 1H), 4.20-3.80(m, 3H), 3.80-3.20(m, 7H), 3.00(m, 2H), 2.11(m, 2H), 2.00(m, 3H), 1.50(m, 1H), 1.41(t, J=7Hz, 3H).
실시예 100(8)
4-(3-(이미다졸-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0(염화메틸렌:메탄올=4:1);
NMR(CDCl3): δ 7.90-7.50(m, 9H), 7.56(s, 1H), 6.98(s, 1H), 6.93(s, 1H), 6.27(dd, J=2Hz 및 7Hz, 1H), 4.20-3.95(m, 2H), 3.80-3.55(m, 3H), 3.30(m, 1H), 2.13(m, 2H).
염산염:
TLC: Rf 0.50(염화메틸렌:메탄올=4:1);
NMR(CDCl3+DMSO-d6): δ 9.59(s, 1H), 9.49(t-형, 1H), 8.23(t, J=4.4Hz, 1H), 7.85-7.60(m, 5H), 7.60-7.40(m, 4H), 7.29(s, 1H), 6.23(dd, J=4.0Hz 및 6.8Hz, 1H), 4.65-4.35(m, 2H), 3.82(m, 2H), 3.65(m, 1H), 3.25(m, 1H), 2.40(m, 1H), 2.20(m, 1H).
실시예 100(9)
4-((3R)-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저극성체:
TLC: Rf 0.3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8:0.05);
NMR(CDCl3): δ 7.94-7.87(m, 2H), 7.87-7.78(m, 2H), 7.75-7.67(m, 2H), 7.64-7.56(m, 2H), 7.38-7.26(m, 5H), 6.68(d, J=8.1Hz, 1H), 6.28-6.20(m, 1H), 4.73-4.59(m, 1H), 3.80(dd, J=14.7, 1.5Hz, 1H), 3.66(s, 2H), 3.63(dd, J=14.7, 9.3Hz, 1H), 2.96-2.87(m, 1H), 2.82-2.66(m, 2H), 2.47-2.30(m, 2H), 2.12-1.86(m, 1H).
고극성체:
TLC: Rf 0.27(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1:8:0.05);
NMR(CDCl3): δ 7.90-7.78(m, 4H), 7.74-7.65(m, 2H), 7.62-7.52(m, 2H), 7.36-7.13(m, 5H), 6.79(d, J=8.4Hz, 1H), 6.25-6.18(m, 1H), 4.72-4.60(m, 1H), 3.80(dd, J=15.0, 1.5Hz, 1H), 3.65(d, J=12.9Hz, 1H), 3.62(dd, J=15.0, 9.0Hz, 1H), 3.54(d, J=12.9Hz, 1H), 2.96-2.83(m, 2H), 2.72(dd, J=9.9, 6.3Hz, 1H), 2.49-2.32(m, 2H), 1.90-1.73(m, 1H).
*의 절대 배치의 결정은 행해지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고극성체 및 저극성체는 각각 단일의 광학 활성체이다.
실시예 100(10)
4-(3-(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4:0.5);
NMR(CDCl3): δ 9.16-9.06(m, 1H), 7.91-7.84(m, 2H), 7.84-7.77(m, 2H), 7.75-7.62(m, 2H), 7.61-7.53(m, 2H), 6.44-6.37(m, 1H), 3.85(dd, J=14.7, 1.2Hz, 1H), 3.80-3.61(m, 2H), 3.59-3.44(m, 1H), 2.91-2.72(m, 2H), 2.71-2.59(m, 4H), 2.00-1.63(m, 6H).
염산염:
TLC: Rf 0.26(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4:0.5);
NMR(DMSO-d6): δ 10.43(brs, 1H), 9.00(t, J=5.7Hz, 1H), 8.02(d, J=7.5Hz, 1H), 7.94(d, J=7.5Hz, 1H), 7.90-7.74(m, 4H), 7.71-7.61(m, 2H), 6.30(d, J=9.0Hz, 1H), 4.11(dd, J=15.0, 9.0Hz, 1H), 3.94(d, J=15.0Hz, 1H), 3.60-3.10(m, 6H), 3.10-2.78(m, 2H), 2.11-1.73(m, 6H).
실시예 100(11)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9(염화메틸렌:메탄올=6:1);
NMR(CDCl3): δ 8.05-7.55(m, 8H), 5.88(dd, J=8.8Hz 및 2.0Hz, 1H), 4.00-3.55 및 3.30(각각 m, 총 4H), 3.20 및 3.17(각각 s, 총 3H), 2.80-2.35(m, 6H), 1.70-1.40(m, 6H).
염산염:
TLC: Rf 0.29(염화메틸렌:메탄올=6:1);
NMR(DMSO-d6): δ 10.49(broad s, 1H), 8.15(d, J=6.2Hz, 1H), 8.00-7.60(m, 7H), 5.87(d, J=8.8Hz, 1H), 4.25-3.70(m, 4H), 3.70-2.80(m, 6H), 3.33 및 3.16(각각 s, 총 3H), 2.00-1.60(m, 5H), 1.44(m, 1H).
실시예 100(12)
4-(3,5-디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5(염화메틸렌:아세트산에틸=4:1);
NMR(DMSO-d6): δ 9.26(t, J=5.8Hz, 1H), 7.78(d, J=7.6Hz, 1H), 7.91(dd, J=7.6, 1.0Hz, 1H), 7.84(dd, J=7.0, 1.0Hz, 1H), 7.13(t, J=7.6Hz, 1H), 7.45(d, J=7.0Hz, 1H), 6.51(d, J=2.2Hz, 2H), 6.39(t, J=2.2Hz, 1H), 4.42(d, J=5.8Hz, 2H), 3.73(s, 6H).
실시예 100(13)
4-(3-(피페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40(broad s, 1H), 9.08(t, J=5.3Hz, 1H), 8.10-7.60(m, 8H), 6.33(d, J=9.2Hz, 1H), 4.13(dd, J=15.0Hz 및 9.2Hz, 1H), 3.94(d, J=15.0Hz,1H), 3.60-3.00(m, 6H), 2.80(m, 2H), 2.05(t, J=6.5Hz, 2H), 1.73(m, 5H), 1.36(m, 1H).
실시예 100(14)
4-(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6(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01(s, 1H), 9.27(t, J=5.7Hz, 1H), 8.09(d, J=7.0Hz, 1H), 7.97(d, J=7.0Hz, 1H), 7.88(t, J=7.0Hz, 1H), 7.80-7.76(m, 3H), 7.68-7.60(m, 2H), 6.36(d, J=9.0Hz, 1H), 4.11(dd, J=15.3Hz 및 9.0Hz, 1H), 3.96(d, J=15.3Hz, 1H), 3.90-3.60(m, 4H), 3.33(m, 1H), 3.18(m, 1H), 1.42(d, J=6.6Hz, 3H), 1.38(d, J=6.6Hz, 3H), 1.34(d, J=6.6Hz, 3H), 1.32(d, J=6.6Hz, 3H).
실시예 100(15)
4-(2-(모르폴린-4-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1.14(broad s, 1H), 9.27(broad t-형, 1H), 8.13(d, J=7.5Hz, 1H), 7.93(d, J=7.5Hz, 1H), 7.86(t, J=7.5Hz, 1H), 7.82-7.70(m, 3H), 7.70-7.60(m, 2H), 6.30(d, J=8.4Hz, 1H), 4.14(dd, J=15.6Hz 및 8.4Hz, 1H), 4.00-3.65(m, 7H), 3.65-3.00(m, 6H).
실시예 100(16)
4-(N-2-(피페리딘-1-일)에틸-N-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70 및 10.66(각각 broad s, 총 1H), 8.00-7.65(m, 8H), 5.83(d, J=8.7Hz, 1H), 4.14(dd, J=15.3Hz 및 8.7Hz, 1H), 4.00-3.70(m, 3H),3.65-3.10(m, 6H), 3.10-2.80(m, 2H), 2.00-1.60(m, 6H), 1.40(m, 1H), 0.98 및 0.86(각각 t, J=7.2Hz, 총 3H).
실시예 100(17)
4-(N-2-(피페리딘-1-일)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5(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5:0.5);
NMR(DMSO-d6): δ 10.78(broad s, 1H), 8.00-7.60(m, 8H), 5.90(d, J=9.2Hz, 1H), 4.40-4.03(m, 3H), 4.00-2.80(m, 8H), 2.00-1.60(m, 5H), 1.40(m, 1H), 1.44 및 1.28, 총 6H).
실시예 100(18)
4-(4-벤조일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8(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95-7.80(m, 3H), 7.80-7.56(m, 5H), 7.42(s, 5H), 5.92(dd, J=9.0, 1.5Hz, 1H), 4.40-4.00(m, 2H), 3.90-3.40(m, 6H), 3.72(dd, J=15.0, 1.5Hz, 1H), 3.65(dd, J=15.0, 9.0H z, 1H).
실시예 100(19)
4-(4-(4-에틸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5(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88-7.73(m, 6H), 7.67-7.63(m, 2H), 7.47(d, J=7.0Hz, 2H), 7.21(d, J=7.0Hz, 2H), 5.87(dd, J=10.0, 1.5Hz, 1H), 4.16(bs, 2H), 4.05(dd, J=15.0, 10.0HZ, 1H), 3.79(dd, J=15.0, 1.5Hz, 1H), 3.30-2.90(m, 8H), 2.58(q, J=8.0Hz, 2H), 1.17(t, J=8.0Hz, 3H).
실시예 100(20)
4-(4-(4-페닐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5(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88-7.78(m, 3H), 7.78-7.72(m, 3H), 7.67-7.58(m, 7H), 7.48-7.41(m, 3H), 7.38-7.34(m, 1H), 5.88(d, J=9.5Hz, 1H), 4.21(bs, 2H), 4.10-3.70(m, 8H), 4.06(dd, J=15.5, 9.5Hz, 1H), 3.79(d, 15.5Hz, 1H), 3.19(s, 2H).
실시예 100(21)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4(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86-7.76(m, 4H), 7.74(d, J=8.0Hz, 2H), 7.64(t, J=8.0Hz, 2H), 7.08(bs, 1H), 6.98-6.92(m, 1H), 6.83(d, J=8.0Hz, 1H), 5.96-5.92(m, 2H), 5.86(d, J=8.5Hz, 1H), 4.15-3.70(m, 2H), 4.04(dd, J=15.0, 8.5Hz,1H), 3.78(d, J=15.0Hz, 1H), 3.15-2.80(m, 8H).
실시예 100(22)
4-(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80(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96-7.80(m, 4H), 7.76(d, J=7.5Hz, 2H), 7.66(t, J=7.5Hz, 2H), 7.45-7.36(m, 5H), 5.89(d, J=8.7Hz, 1H), 5.11(s, 2H), 4.13(dd, J=14.7, 8.7Hz, 1H), 3.93(d, J=14.7Hz, 1H), 3.80-3.40(m, 8H).
실시예 100(23)
4-(4-(2-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80(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7.97-7.90(m, 2H), 7.90-7.74(m, 4H), 7.74-7.63(m, 2H), 7.23-7.10(m, 2H), 7.10-6.83(m, 2H), 5.92(d, J=9.6Hz, 1H), 4.15(dd, J=15.3, 9.6Hz, 1H), 3.93(d, J=15.3Hz, 1H), 3.92-3.80(m, 2H), 3.08-2.90(m, 6H), 2.30(s, 3H).
실시예 100(24)
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75(염화메틸렌:메탄올=10:1);
NMR(DMSO-d6): δ 8.02-7.92(m, 2H), 7.92-7.73(m, 4H), 7.72-7.64(m, 2H), 7.36-7.14(m, 2H), 7.00-6.90(m, 2H), 5.91(d, J=9.6Hz, 1H), 4.20-3.76(m, 4H), 4.14(dd, J=15.3, 9.6Hz, 1H), 3.93(d, J=15.3Hz, 1H), 3.72(s, 3H), 3.45-3.26(m, 4H).
실시예 101∼101(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28(11), 73(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하에 나타내는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1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40(메탄올:물:아세트산=1:1:0.1);
NMR(CDCl3): δ 7.81(dd, J=7.6, 1.1Hz, 1H), 7.75(dd, J=7.6, 1.1Hz, 1H), 7.61(t, J=7.6Hz, 1H), 7.56-7.53(m, 2H), 7.38-7.35(m, 3H), 6.91(br, 1H), 5.74(dd, J=7.3, 1.3Hz, 1H), 3.72(dd, J=13.9, 7.3Hz, 1H), 3.68-3.58(m, 1H), 3.60(dd, J=13.9, 1.3Hz, 1H), 3.55-3.45(m, 1H), 2.55(t, J=5.8Hz, 2H), 2.38(br, 4H), 1.56-1.48(m, 4H), 1.44-1.39(m, 2H).
실시예 101(1)
4-(2-(피리딘-2-일)에틸)옥시-3-페닐티오-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TLC: Rf 0.3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8.54(ddd, J=4.8, 1.7, 1.0Hz, 1H), 7.54(dt, J=7.7, 1.7Hz, 1H), 7.49(t, J=8.0Hz, 1H), 7.43-7.40(m, 2H), 7.34-7.22(m, 5H), 7.15-7.10(m, 2H), 4.91(dd, J=6.9, 1.8Hz, 1H), 4.52(t, J=6.6Hz, 2H), 3.66(dd, J=13.8, 6.9Hz, 1H), 3.57(dd, J=13.8, 1.8Hz, 1H), 3.31(t, J=6.6Hz, 2H).
실시예 102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4-니트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28(11)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벤젠설폰산나트륨염 대신에 4-니트로벤젠설폰산나트륨염을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염산염으로 변환하여 다음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프리체:
TLC: Rf 0.40(메탄올:물:아세트산=5:5:0.5);
NMR(CDCl3): δ 8.35(d, J=8.7Hz, 2H), 8.01(d, J=8.7Hz, 2H), 7.91(dd, J=7.5, 1.7Hz, 1H), 7.81(dd, J=7.5, 1.7Hz, 1H), 7.76(t, J=7.5Hz, 1H), 7.59(br, 1H), 6.42(dd, J=9.2, 1.5Hz, 1H), 3.88(dd, J=15.0, 1.5Hz, 1H), 3.75(dd,J=15.0, 9.2Hz, 1H), 3.75-3.64(m, 1H), 3.57-3.48(m, 1H), 2.77-2.65(m, 2H), 2.53(br, 4H), 1.66-1.57(m, 4H), 1.52-1.45(m, 2H).
염산염:
TLC: Rf 0.40(메탄올:물:아세트산=5:5:0.5);
NMR(DMSO-d6): δ 9.98(br, 1H), 9.28(br, 1H), 8.42(d, J=8.7Hz, 2H), 8.11(d, J=7.5Hz, 1H), 8.03(d, J=8.7Hz, 2H), 7.97(d, J=7.5Hz, 1H), 7.89(t, J=7.5Hz, 1H), 6.41(dd, J=7.3, 3.2Hz, 1H), 4.16(dd, J=15.5, 7.3Hz, 1H), 4.10(dd, J=15.5, 3.2Hz, 1H), 3.72-3.70(m, 2H), 3.57-3.48(m, 2H), 3.32-3.25(m, 2H), 2.96(br, 2H), 1.82-1.68(m, 5H), 1.45-1.35(m, 1H).
실시예 103∼103(41)
4-브로모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4-메틸설포닐옥시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및 2,4-디메톡시벤질아민·염산염에 상당하는 아민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1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염으로 변환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3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8(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4 drops)): δ 8.16(d, J=7.5Hz, 1H), 7.90(t, J=7.5Hz, 1H), 7.85-7.73(m, 4H), 7.64-7.55(m, 2H), 6.18-6.10(m, 1H), 4.93(d, J=14.4Hz, 1H), 4.60(d, J=14.4Hz, 1H), 4.03(dd, J=15.6, 9.0Hz, 1H), 3.84(dd, J=15.6, 0.9Hz, 1H), 3.72-3.00(m, 8H), 2.74(s, 3H), 2.00-1.55(m, 6H).
실시예 103(1)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5(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64(brs, 2H), 8.21(d, J=6.3Hz, 1H), 7.89-7.74(m, 5H), 7.67-7.58(m, 2H), 7.18-7.04(m, 1H), 6.96-6.50(m, 3H), 6.46(dd, J=6.9, 3.0Hz, 1H), 4.73-4.59(m, 1H), 4.49-4.35(m, 1H), 3.97-3.80(m, 2H), 3.80-3.58(m, 2H),3.50-3.33(m, 2H), 3.29-3.10(m, 2H), 2.25(s, 3H), 1.06(t, J=6.9Hz, 3H).
실시예 103(2)
4-(N-벤질-N-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67(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CD3OD+피리딘-d5): δ 7.92(d, J=7.2Hz, 1H), 7.71-7.58(m, 4H), 7.57-7.45(m, 3H), 7.32-7.15(m, 5H), 5.84(dd, J=8.4, 1.8Hz, 1H), 4.33(d, J=14.7Hz, 1H), 3.90-3.62(m, 4H), 3.60(d , J=13.2Hz, 1H), 2.65(q, J=7.2Hz, 2H), 1.14(t, J=7.2Hz, 3H).
실시예 103(3)
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3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DMSO-d6): δ 10.66(brs, 1H), 9.96(brs, 1H), 9.76(brs, 1H), 8.26-8.26(m, 1H), 7.91-7.74(m, 5H), 7.67-7.57(m, 2H), 6.54-6.45(m, 1H), 4.83-4.65(m, 1H), 4.60-4.42(m, 1H), 3.96-3.82(m, 2H), 3.70-3.37(m, 4H), 3.28-3.10(m, 4H), 1.26(t, J=7.2Hz, 6H).
실시예 103(4)
4-(4-메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83(brs, 1H), 9.54(brs, 1H), 8.16(d, J=6.9Hz, 1H), 7.89-7.75(m, 3H), 7.75-7.68(m, 2H), 7.68-7.59(m, 2H), 7.50(d, J=8.1Hz, 2H), 7.25(d, J=8.1Hz, 2H), 6.29(dd, J=4.8, 3.9Hz, 1H), 4.72-4.58(m, 1H), 4.44-4.32(m, 1H), 4.25(brs, 2H), 3.93-3.80(m, 2H), 2.32(s, 3H).
실시예 103(5)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7(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1 방울)): δ 8.24(d, J=7.5Hz, 1H), 7.92-7.69(m, 5H), 7.61-7.52(m, 2H), 6.21-6.10(m, 1H), 5.15(d, J=14.4Hz, 1H), 4.70(d, J=14.4Hz, 1H), 4.05(dd, J=15.3, 9.0Hz, 1H), 3.84(dd, J=15.3, 0.9Hz, 1H), 3.76-2.80(m, 10H), 1.98-1.50(m, 6H), 1.45(t, J=7.2Hz, 3H).
실시예 103(6)
4-(2-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9(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51(brs, 2H), 8.21-8.11(m, 1H), 7.89-7.75(m, 3H), 7.74-7.58(m, 4H), 7.51(d, J=7.5Hz, 1H), 7.47-7.38(m, 1H), 7.08(d, J=8.1Hz, 1H), 7.01(t, J=7.5Hz, 1H), 6.16-6.06(m, 1H), 4.77-4.62(m, 1H), 4.52-4.37(m,1H), 4.31-4.12(m, 2H), 3.95-3.82(m, 2H), 3.81(s, 3H).
실시예 103(7)
4-(3-페닐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7(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50(brs, 1H), 9.17(brs, 1H), 8.16(d, J=6.3Hz, 1H), 7.90-7.73(m, 5H), 7.68-7.58(m, 2H), 7.35-7.16(m, 5H), 6.44(dd, J=6.9, 3.0Hz, 1H), 4.69-4.54(m, 1H), 4.45-4.31(m , 1H), 3.95-3.79(m, 2H), 3.14-2.95(m, 2H), 2.68(t, J=7.2Hz, 2H), 2.09-1.91(m, 2H).
실시예 103(8)
4-(3,5-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43(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94(brs, 1H), 9.65(brs, 1H), 8.17(d, J=6.9Hz, 1H), 7.90-7.75(m, 3H), 7.75-7.67(m, 2H), 7.67-7.58(m, 2H), 6.87(d, J=2.1Hz, 2H), 6.55(t, J=2.1Hz, 1H), 6.30(t, J=4.5Hz, 1H), 4.72-4.57(m, 1H), 4.43-4.28(m, 1H), 4.23(brs, 2H), 4.00-3.67(m, 2H), 3.75(s, 6H).
실시예 103(9)
4-((3R)-1-벤질피롤리딘-3-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 δ 8.20(d, J=6.9Hz, 1H), 7.91-7.70(m, 5H), 7.66-7.54(m, 4H), 7.53-7.43(m, 3H), 6.18-6.05(m, 1H), 4.77(d, J=14.1Hz, 1H), 4.67-4.32(m, 4H), 4.02-3.66(m, 5H), 3.62-3.38(m, 1H), 2.88-2.40(m, 2H).
실시예 103(10)
4-((3S)-1-벤질피롤리딘-3-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 δ 8.20(d, J=6.9Hz, 1H), 7.91-7.70(m, 5H), 7.66-7.54(m, 4H), 7.53-7.43(m, 3H), 6.18-6.04(m, 1H), 4.78(d, J=12.9Hz, 1H), 4.68-4.32(m, 4H), 4.02-3.66(m, 5H), 3.62-3.38(m, 1H), 2.88-2.40(m, 2H).
실시예 103(11)
4-(2-페닐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65-7.40(m, 8H), 7.30-7.15(m, 5H), 5.90(dd, J=9.3, 0.9Hz, 1H), 4.66(d, J=14.2Hz, 1H), 3.92(d, J=14.2Hz, 1H), 3.73(dd, J=15.0, 0.9Hz, 1H), 3.42(dd, J=15.0, 9.3Hz, 1H), 3.01-2.74(m, 4H).
염산염:
TLC: Rf 0.28(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55(br, 1H), 9.35(br, 1H), 8.18(dd, J=6.2, 2.5Hz, 1H), 7.94-7.87(m, 2H), 7.82-7.78(m, 3H), 7.67-7.62(m, 2H), 7.38-7.33(m, 2H), 7.29-7.25(m, 3H), 6.41(dd, J=7.5, 2.1Hz, 1H), 4.69-4.6 5(m, 1H), 4.45-4.41(m, 1H), 3.92(dd, J=15.3, 7.5Hz, 1H), 3.84(dd, J=15.3, 2.1Hz, 1H), 3.32-3.25(m, 2H), 3,08-2.98(m, 2H).
실시예 103(12)
4-(N-벤질-N-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71(dd, J=7.2, 1.2Hz, 1H), 7.64-7.49(m, 5H), 7.44-7.39(m, 2H), 7.34-7.20(m, 5H), 6.08(dd, J=9.3, 1.0Hz, 1H), 4.66(d, J=14.1Hz, 1H), 3.88(dd, J=15.0, 1.0Hz, 1H), 3.69(dd, J=15.0, 9.3Hz, 1H), 3.61(d, J=12.9Hz, 1H), 3.53(d, J=14.1Hz, 1H), 3.47(d, J=12.9Hz, 1H), 2.16(s, 3H).
염산염:
TLC: Rf 0.42(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3OD+피리딘-d5): δ 7.92(d, J=7.5Hz, 1H), 7.73-7.63(m, 5H), 7.56-7.50(m, 2H), 7.37-7.31(m, 5H), 5.99(dd, J=7.0, 3.0Hz, 1H), 4.52(d, J=14.4Hz, 1H), 3.94-3.85(m, 3H), 3.83(d, J=13.0Hz, 1H), 3.76(d, J=13.0Hz, 1H), 2.32(s, 3H).
실시예 103(13)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CDCl3): δ 7.72(dd, J=7.5, 1.5Hz, 1H), 7.65-7.54(m, 4H), 7.51(dd, J=7.5, 1.5Hz, 1H), 7.47-7.42(m, 2H), 5.98(t-형, J=5.1Hz, 1H), 4.56(d, J=13.8Hz, 1H), 3.91-3.87(m, 3H), 3.40-3.30(m, 4H), 2.67-2.53(m, 2H), 2.41-2.38(m, 2H), 2.05-1.95(m, 2H), 1.78-1.69(m, 2H).
염산염:
TLC: Rf 0.2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9.32(m, 1H), 9.08(m, 1H), 8.14(dd, J=6.3, 2.1Hz, 1H), 7.90-7.78(m, 5H), 7.67-7.62(m, 2H), 6.40(dd, J=7.5, 2.0Hz, 1H), 4.66-4.60(m, 1H), 4.43-4.37(m, 1H), 3.94-3.81(m, 2H), 3.38-3.25(m, 4H), 3.03-2.97(m, 2H), 2.26(t, J=8.0Hz, 2H), 1.99-1.83(m, 4H).
실시예 103(14)
4-(4-아미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7.90(dd, J=7.0, 2.0Hz, 1H), 7.80-7.61(m, 7H), 6.97(d, J=8.5Hz, 2H), 6.52(d, J=8.5Hz, 2H), 5.81(dd, J=8.0, 1.8Hz, 1H), 4.93(s, 2H), 4.01(d, J=14.7Hz, 1H), 3.91(dd, J=15.0, 8.0Hz, 1H), 3.84(dd, J=15.0, 1.8Hz, 1H), 3.77(d, J=14.7Hz, 1H), 3.48(s, 2H).
염산염:
TLC: Rf 0.47(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9.90(br, 1H), 9.59(br, 1H), 8.18(dd, J=7.0, 1.5Hz, 1H), 7.88-7.60(m, 9H), 7.21(d, J=7.8Hz, 2H), 6.37-6.34(m, 1H), 4.70-4.64(m, 1H), 4.42-4.32(m, 1H), 4.28(s, 2H), 3.93-3.82(m, 2H).
실시예 103(15)
4-(4-((2E)-3-페닐-2-프로페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7.65-7.20(m, 13H), 6.52(d, J=15.9Hz, 1H), 6.30(dd, J=9.3, 1.2Hz, 1H), 6.26(dt, J=15.9, 6.8Hz, 1H), 4.70(d, J=14.3Hz, 1H), 3.91(dd, J=15.0, 1.2Hz, 1H), 3.73(dd, J=15.0, 9.3Hz, 1H), 3.42(d, J=14.3Hz, 1H), 3.16(d, J=6.8Hz, 2H), 2.60-2.40(m, 8H).
염산염:
TLC: Rf 0.4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3OD+D2O): δ 7.93(d, J=7.0Hz, 1H), 7.78-7.72(m, 4H), 7.66(d, J=7.0Hz, 1H), 7.61-7.50(m, 2H), 7.41-7.33(m, 3H), 6.95(d, J=15.6Hz, 1H),6.33(dt, J=15.6, 7.7Hz, 1H), 6.16(d, J=9.0Hz, 1H), 4. 54(d, J=14.5Hz, 1H), 4.02(dd, J=15.0, 9.0Hz, 1H), 3.96(d, J=7.7Hz, 2H), 3.89(d, J=15.0Hz, 1H), 3.85(d, J=14.5Hz, 1H), 3.42(br, 4H), 3.29(br, 4H).
실시예 103(16)
4-(2-아미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0(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4(d, J=7.5Hz, 1H), 7.65-7.55(m, 2H), 7.51-7.39(m, 5H), 7.09(dt, J=7.5, 1.5Hz, 1H), 6.97(dd, J=7.5, 1.5Hz, 1H), 6.67(dt, J=7.5, 1.5Hz, 1H), 6.63(dd, J=7.5, 1.5Hz, 1H), 5.43(dd, J=9.5, 1.2Hz, 1H), 4.29(d, J=14.3Hz, 1H), 4.02(d, J=14.3Hz, 1H), 3.88(d, J=12.6Hz, 1H), 3.82(dd, J=15.0, 1.2Hz, 1H), 3.81(d, J=12.6Hz, 1H), 3.66(dd, J=15.0, 9.5Hz, 1H).
염산염:
TLC: Rf 0.3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8.17(dd, J=6.3, 2.4Hz, 1H), 7.87-7.71(m, 5H), 7.66-7.61(m, 2H), 7.50(br, 2H), 7.29(dd, J=7.5, 1.2Hz, 1H), 7.13(dt, J=7.5, 1.2Hz, 1H), 6.75(d, J=7.5Hz, 1H), 6.63(t, J=7.5Hz, 1H), 6.21(t-형, J=5.0Hz, 1H), 4.72(d, J=13.8Hz, 1H), 4.46(d, J=13.8Hz, 1H), 4.26-4.17(m, 2H), 3.93-3.82(m, 2H).
실시예 103(17)
4-(4-벤질피페리딘-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CDCl3): δ 7.66-7.56(m, 4H), 7.53-7.51(m, 2H), 7.48-7.43(m, 2H), 7.30-7.25(m, 2H), 7.21-7.11(m, 3H), 6.36(d, J=9.3Hz, 1H), 4.62(d, J=14.4Hz, 1H), 3.89(d, J=15.0Hz, 1H), 3.71(dd, J=15.0, 9.3Hz, 1H), 3.35(d, J=14.4Hz, 1H), 3.04-3.00(m, 1H), 2.53(d, J=6.9Hz, 2H), 2.55-2.50(m, 1H), 2.05(dt, J=11.5, 2.5Hz, 1H), 1.85(dt, J=11.5, 2.5Hz, 1H), 1.74-1.68(m, 1H), 1.62-1.15(m, 2H), 1.35(dt, J=12.0, 3.5Hz, 1H), 1.16-1.02(m, 1H).
염산염:
TLC: Rf 0.50(헥산:아세트산에틸=1:1);
NMR(DMSO-d6): δ 10.42(br, 1H), 8.22(d, J=7.0Hz, 1H), 7.92-7.72(m, 5H), 7.65-7.60(m, 2H), 7.31-7.15(m, 5H), 6.30(d, J=9.0Hz, 1H), 4.72(dd, J=13.8, 5.3Hz, 1H), 4.53(dd, J=13.8, 5.3Hz, 1H), 4.02(dd, J=15.3, 9.0Hz, 1H), 3.83(d, J=15.3Hz, 1H), 3.42-3.39(m, 1H), 3.12-3.00(m, 3H), 2.60-2.42(m, 2H), 1.79-1.49(m, 5H).
실시예 103(18)
4-(4-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5(dd, J=7.0, 1.2Hz, 1H), 7.66-7.51(m, 5H), 7.47-7.42(m, 2H), 7.32(d, J=8.4Hz, 2H), 7.24(d, J=8.4Hz, 2H), 5.81(dd, J=9.3, 1.3Hz, 1H), 4.48(d, J=14.0Hz, 1H), 3.99(d, J=14.0Hz, 1H), 3.86(dd, J=15.0, 1.3Hz, 1H), 3.84(d, J=13.3Hz, 1H), 3.78(d, J=13.3Hz, 1H), 3.68(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4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86(br, 1H), 9.55(br, 1H), 8.16(dd, J=6.6, 1.8Hz, 1H), 7.88-7.72(m, 5H), 7.67-7.62(m, 4H), 7.53(d, J=8.4Hz, 2H), 6.31(dd, J=6.2, 3.5Hz, 1H), 4.70-4.66(m, 1H), 4.43-4.39(m, 1H), 4.32(s, 2H), 3.90(dd, J=15.5, 6.2Hz, 1H), 3.84(dd, J=15.5, 3.5Hz, 1H).
실시예 103(19)
4-(3-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1(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6(dd, J=7.0, 1.2Hz, 1H), 7.67-7.40(m, 7H), 7.30-7.14(m, 4H), 5.80(dd, J=9.2, 1.4Hz, 1H), 4.48(d, J=14.0Hz, 1H), 3.99(d, J=14.0Hz, 1H), 3.87(dd, J=15.4, 1.4Hz, 1H), 3.86(d, J=13.6Hz, 1H), 3.77(d, J=13.6Hz, 1H), 3.69(dd, J=15.4, 9.2Hz, 1H).
염산염:
TLC: Rf 0.51(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92(br, 1H), 9.62(br, 1H), 8.18(dd, J=6.6, 1.8Hz, 1H), 7.88-7.74(m, 6H), 7.67-7.59(m, 3H), 7.52-7.45(m, 2H), 6.39(dd, J=5.7, 4.2Hz, 1H), 4.74-4.69(m, 1H), 4.44-4.40(m, 1H), 4.35(s, 2H), 3.90(dd, J=15.6, 5.7Hz, 1H), 3.84(dd, J=15.6, 4.2Hz, 1H).
실시예 103(20)
4-(3-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1(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5(dd, J=7.2, 1.2Hz, 1H), 7.65-7.50(m, 5H), 7.46-7.40(m, 2H), 7.26-7.21(m, 1H), 6.86-6.79(m, 3H), 5.81(dd, J=9.3, 1.2Hz, 1H), 4.48(d, J=14.1Hz, 1H), 3.98(d, J=14.1Hz, 1H), 3.84(d, J=13.5Hz 1H), 3.84(dd, J=15.0, 1.2Hz, 1H), 3.80(s, 3H), 3.74(d, J=13.5Hz, 1H), 3.66(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41(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83(br, 1H), 9.55(br, 1H), 8.16(dd, J=6.6, 1.8Hz, 1H), 7.89-7.78(m, 3H), 7.73-7.61(m, 4H), 7.36(t, J=7.9Hz, 1H), 7.30(d, J=2.5Hz, 1H), 7.15(d, J=7.9Hz, 1H), 7.00(dd, J=7.9, 2.5Hz, 1H), 6.27(dd, J=6.0, 3.9Hz, 1H), 4.70-4.65(m, 1H), 4.42-4.37(m, 1H), 4.29(br, 2H), 3.89(dd, J=15.5, 6.0Hz, 1H), 3.84(dd, J=15.5, 3.9Hz, 1H), 3.78(s, 3H).
실시예 103(21)
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2(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7(dd, J=7.2, 1.2Hz, 1H), 7.67-7.52(m, 5H), 7.47-7.39(m, 4H), 7.15(dd, J=8.3, 2.0Hz, 1H), 5.76(dd, J=9.5, 1.2Hz, 1H), 4.45(d, J=13.8Hz, 1H), 4.00(d, J=13.8Hz, 1H), 3.86(dd, J=15.0, 1.2Hz, 1H), 3.84(d, J=13.8Hz, 1H), 3.78(d, J=13.8Hz, 1H), 3.70(dd, J=15.0, 9.5Hz, 1H).
염산염:
TLC: Rf 0.42(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94(br, 1H), 9.62(br, 1H), 8.17(dd, J=6.6, 2.1Hz, 1H), 7.96(d, J=1.8Hz, 1H), 7.89-7.73(m, 6H), 7.67-7.60(m, 3H), 6.40(dd, J=5.5, 4.2Hz, 1H), 4.75-4.68(m, 1H), 4.45-4.40(m, 1H), 4.35(s, 2H), 3.95(dd, J=15.5, 5.5Hz, 1H), 3.85(dd, J=15.5, 4.2Hz, 1H).
실시예 103(22)
4-(1,3-디옥사인단-5-일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3(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3(dd, J=7.5, 1.2Hz, 1H), 7.65-7.49(m, 5H), 7.46-7.41(m, 2H), 6.77(d, J=1.5Hz, 1H), 6.74(d, J=8.0Hz, 1H), 6.69(dd, J=8.0, 1.5Hz, 1H), 5.95-5.94(m, 2H), 5.88(dd, J=9.5, 1.0Hz, 1H), 4.50(d, J=14.0Hz, 1H), 3.96(d, J=14.0Hz, 1H), 3.86(dd, J=15.0, 1.0Hz, 1H), 3.77(d, J=13.0Hz, 1H), 3.68(d, J=13.0Hz, 1H), 3.68(dd, J=15.0, 9.5Hz, 1H).
염산염:
TLC: Rf 0.43(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78(br, 1H), 9.47(br, 1H), 8.15(dd, J=6.6, 1.8Hz, 1H), 7.88-7.72(m, 5H), 7.66-7.61(m, 2H), 7.25(d, J=1.5Hz, 1H), 7.08(dd, J=7.8, 1.5Hz, 1H), 6.99(d, J=7.8Hz, 1H), 6.30(t-형, J=4.5Hz, 1H), 6.05(s, 2H), 4.67-4.61(m, 1H), 4.38-4.33(m, 1H), 4.23(s, 2H), 3.93-3.83(m, 2H).
실시예 103(23)
4-(2,3-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6(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1(dd, J=7.0, 1.3Hz, 1H), 7.63-7.48(m, 5H), 7.45-7.39(m, 2H), 7.00(t, J=7.8Hz, 1H), 6.84(dd, J=7.8, 1.5Hz, 1H), 6.78(dd, J=7.8, 1.5Hz, 1H), 6.06(dd, J=9.3, 1.3Hz, 1H), 4.52(d, J=14.1Hz, 1H), 3.92(d, J=14.1Hz, 1H), 3.86(s, 3H), 3.85(dd, J=15.0, 1.3Hz, 1H), 3.80(d, J=13.3Hz, 1H), 3.76(s, 3H), 3.73(dd, J=15.0, 9.3Hz, 1H), 3.69(d, J=13.3Hz, 1H).
염산염:
TLC: Rf 0.36(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70-9.60(br, 2H), 8.17(dd, J=6.6, 2.1Hz, 1H), 7.89-7.73(m, 5H), 7.67-7.62(m, 2H), 7.25-7.21(m, 1H), 7.15-7.13(m, 2H), 6.12(dd, J=6.8, 2.5Hz, 1H), 4.71-4.67(m, 1H), 4.45-4.41(m, 1H), 4.32-4.20(m, 2H), 3.93-3.83(m, 2H), 3.83(s, 3H), 3.80(s, 3H).
실시예 103(24)
4-(3,4,5-트리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20(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9(dd, J=7.2, 1.2Hz, 1H), 7.66-7.52(m, 5H), 7.47-7.42(m, 2H), 6.54(s, 2H), 5.72(dd, J=9.3, 1.2Hz, 1H), 4.45(d, J=14.0Hz, 1H), 4.03(d, J=14.0Hz, 1H), 3.86(s, 6H), 3.84(s, 3H), 3.84(dd, J=15.0, 1.2Hz, 1H), 3.82(d, J=13.5Hz, 1H), 3.74(d, J=13.5Hz, 1H), 3.66(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20(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9.98(br, 1H), 9.63(br, 1H), 8.18(dd, J=6.6, 1.5Hz, 1H), 7.89-7.78(m, 3H), 7.72-7.60(m, 4H), 7.06(s, 2H), 6.30(dd, J=6.0, 3.5Hz, 1H), 4.69-4.66(m, 1H), 4.39-4.37(m, 1H), 4.24(s, 2H), 3.92-3.84(m, 2H), 3.80(s, 6H), 3.67(s, 3H).
실시예 103(25)
4-(4-(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9(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Cl3): δ 7.66-7.52(m, 6H), 7.48-7.43(m, 2H), 6.18(dd, J=9.0, 1.0Hz, 1H), 4.69(d, J=14.3Hz, 1H), 3.89(dd, J=15.0, 1.0Hz, 1H), 3.72(dd, J=15.0, 9.0Hz, 1H), 3.49-3.35(m, 4H), 3.45(d, J=14.3Hz, 1H), 2.52-2.45(m, 2H), 2.36-2.29(m, 2H), 1.46(s, 9H).
염산염:
TLC: Rf 0.49(헥산:아세트산에틸=1:2);
NMR(CD3OD): δ 8.11(d, J=7.2Hz, 1H), 7.92-7.83(m, 2H), 7.77-7.73(m, 3H), 7.60-7.55(m, 2H), 6.03(dd, J=8.7, 1.0Hz, 1H), 5.01(d, J=14.3Hz, 1H), 4.71(d, J=14.3Hz, 1H), 4.22(br, 2H), 3.99(dd, J=15.3, 8.7Hz, 1H), 3.84(dd, J=15.3, 1.0Hz, 1H), 3.65-3.25(br, 6H), 1.47(s, 9H).
실시예 103(26)
4-(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3(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 δ 8.18(d, J=7.5Hz, 1H), 7.97-7.76(m, 5H), 7.70-7.60(m, 2H), 6.20-6.12(m, 1H), 4.85(d, J=13.8Hz, 1H), 4.67(d, J=13.8Hz, 1H), 4.01-3.50(m, 8H), 1.44(d, J=6.3Hz, 12H).
실시예 103(27)
4-(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37(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 δ 8.18(d, J=7.5Hz, 1H), 7.97-7.76(m, 5H), 7.69-7.60(m, 2H), 6.17-6.10(m, 1H), 4.86(d, J=13.8Hz, 1H), 4.69(d, J=13.8Hz, 1H), 4.05-3.90(m, 5H), 3.89-3.71(m, 3H), 3.67-3.53(m, 2H), 3.5 1-3.33(m, 4H).
실시예 103(28)
4-(N-2-(피페리딘-1-일)에틸-N-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51(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1);
NMR(CDCl3): δ 7.68(d, J=7.2Hz, 1H), 7.64-7.46(m, 5H), 7.44-7.39(m, 2H), 6.29(dd, J=9.3, 1.2Hz, 1H), 4.69(d, J=14.4Hz, 1H), 3.90(dd, J=15.0,1.2Hz, 1H), 3.72(dd, J=15.0, 9.3Hz, 1H), 3.58(d, J=14.4Hz, 1H), 2.70-2.30(m, 10H), 1.57-1.38(m, 8H), 0.79(t, J=7.2Hz, 3H).
염산염:
TLC: Rf 0.51(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1);
NMR(CD3OD+피리딘-d5): δ 7.93(d, J=7.2Hz, 1H), 7.74-7.68(m, 4H), 7.61-7.52(m, 3H), 6.01(dd, J=8.7, 1.2Hz, 1H), 4.38(d, J=14.7Hz, 1H), 3.99(dd, J=15.3, 8.7Hz, 1H), 3.89(dd, J=15.3, 1.2Hz, 1H), 3.85(d, J=14.7Hz, 1H), 3.27-3.22(m, 2H), 3.14(br, 4H), 2.97-2.81(m, 2H), 2.61-2.45(m, 2H), 1.85-1.77(m, 4H), 1.65-1.53(m, 4H), 0.89(t, J=7.3Hz, 3H).
실시예 103(29)
4-(N-2-(피페리딘-1-일)에틸-N-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8(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1);
NMR(CDCl3): δ 7.77(d, J=7.2Hz, 1H), 7.65-7.47(m, 5H), 7.45-7.40(m, 2H), 6.09(d, J=9.0, 1.0Hz, 1H), 4.54(d, J=15.0Hz, 1H), 3.88(dd, J=15.0,1.0Hz, 1H), 3.74(d, J=15.0Hz, 1H), 3.73(dd, J=15.0, 9.0Hz, 1H), 2.84(sept, J=6.6Hz, 1H), 2.57-2.51(m, 2H), 2.38-2.17(m, 6H), 1.55-1.48(m, 4H), 1.42-1.35(m, 2H), 1.06(d, J=6.6Hz, 3H), 1.03(d, J=6.6Hz, 3H).
염산염:
TLC: Rf 0.48(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9:1);
NMR(CD3OD+피리딘-d5): δ 7.99(d, J=7.5Hz, 1H), 7.75-7.70(m, 4H), 7.61-7.54(m, 3H), 5.93(dd, J=8.7, 1.5Hz, 1H), 4.27(d, J=15.6Hz, 1H), 3.99(dd, J=15.3, 8.7Hz, 1H), 3.96(d, J=15.6Hz, 1H), 3.88(dd, J=15.3, 1.5Hz, 1H), 3.20-2.80(m, 9H), 1.82-1.75(m, 4H), 1.63-1.58(m, 2H), 1.17-1.14(m, 6H).
실시예 103(30)
4-(3,4-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19(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7.76(dd, J=7.2, 1.0Hz, 1H), 7.65-7.51(m, 5H), 7.46-7.41(m, 2H), 6.84-6.82(m, 3H), 5.79(d, J=9.3Hz, 1H), 4.47(d, J=14.0Hz, 1H), 4.00(d, J=14.0Hz, 1H), 3.87(s, 6H), 3.85(d, J=15.0Hz, 1H), 3.82(d, J=13.2Hz, 1H), 3.73(d, J=13.2Hz, 1H), 3.66(dd, J=15.0, 9.3Hz, 1H).
염산염:
TLC: Rf 0.19(아세트산에틸);
NMR(DMSO-d6): δ 10.00-9.70(br, 2H), 8.38-8.28(m, 1H), 8.06-7.94(m, 3H), 7.88-7.76(m, 4H), 7.56(d, J=1.4Hz, 1H), 7.27(dd, J=8.4, 1.4Hz, 1H), 7.18(d, J=8.4Hz, 1H), 6.43-6.38(m, 1H), 4.80(d, J=12.8Hz, 1H), 4.53(d, J=12.8Hz, 1H), 4.40(s, 2H), 4.13-4.00(m, 2H), 3.94(s, 6H).
실시예 103(31)
4-(3-(2-메틸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33(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0.5);
NMR(CD3OD): δ 8.18(d, J=7.2Hz, 1H), 7.92-7.73(m, 5H), 7.67-7.57(m, 2H), 6.22-6.23(m, 1H), 4.80(d, J=13.5Hz, 1H), 4.62(d, J=13.5Hz, 1H), 3.98-3.91(m, 1H), 3.83-3.74(m, 1H), 3.64-2.98(m, 7H), 2.37-2.17(m, 2H), 2.07-1.52(m, 6H), 1.41(d, J=6.3Hz, 3H).
실시예 103(32)
4-(4-(피페리딘-1-일)피페리딘-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41(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0.5);
NMR(D2O): δ 8.17-8.08(m, 1H), 8.03-7.94(m, 2H), 7.91-7.82(m, 1H), 7.79-7.73(m, 2H), 7.72-7.62(m, 2H), 4.71(d, J=14.4Hz, 1H), 4.65(d, J=14.4Hz, 1H), 4.21-4.05(m, 2H), 3.87-3.75(m, 1H), 3.69-3.48(m, 4H), 3.38-2.98(m, 4H), 2.52-2.32(m, 2H), 2.19-1.93(m, 4H), 1.91-1.65(m, 3H), 1.59-1.40(m, 1H).
실시예 103(33)
4-(3-(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25(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 δ 8.16(d, J=7.2Hz, 1H), 7.95-7.74(m, 5H), 7.69-7.59(m, 2H), 6.17-6.08(m, 1H), 4.78(d, J=14.1Hz, 1H), 4.62(d, J=14.1Hz, 1H), 4.02-3.88(m, 1H), 3.85-3.73(m, 1H), 3.73-2.76(m, 8H), 2.3 8-2.21(m, 2H), 2.14-1.44(m, 6H).
실시예 103(34)
4-(3-브로모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50(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9.83(brs, 1H), 9.56(brs, 1H), 8.16(d, J=6.6Hz, 1H), 7.90-7.70(m, 6H), 7.68-7.58(m, 4H), 7.41(t, J=7.5Hz, 1H), 6.41-6.28(m, 1H), 4.80-4.60(m, 1H), 4.52-4.22(m, 3H), 3.96-3.80(m, 2H).
실시예 103(35)
4-(4-니트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염산염
TLC: Rf 0.34(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DMSO-d6): δ 10.05(brs, 1H), 9.79(brs, 1H), 8.29(d, J=8.1Hz, 2H), 8.18(d, J=6.6Hz, 1H), 7.94-7.70(m, 7H), 7.67-7.57(m, 2H), 6.48-6.33(m, 1H), 4.83-4.64(m, 1H), 4.59-4.35(m, 3H), 3.95-3.81(m, 2H).
실시예 103(36)
4-(4-아미노설포닐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0(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7.93(dd, J=7.0, 1.5Hz, 1H), 7.79-7.66(m, 7H), 7.63-7.58(m, 2H), 7.53(d, J=8.0Hz, 2H), 7.31(s, 2H), 5.93(dd, J=8.3, 1.5Hz, 1H), 4.07(d, J=14.1Hz, 1H), 3.95(dd, J=15.0, 8.3Hz, 1H), 3.87(dd, J=15.0, 1.5Hz, 1H), 3.82(d, J=14.1Hz, 1H), 3.75(s, 2H), 2.86(br, 1H).
염산염:
TLC: Rf 0.40(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9.80(br, 1H), 9.52(br, 1H), 8.15(d, J=7.0Hz, 1H), 7.89-7.74(m, 9H), 7.67-7.62(m, 2H), 7.44(s, 2H), 6.37-6.32(m, 1H), 4.78-4.70(m, 1H), 4.47-4.41(m, 1H), 4.41(s, 2H), 3.96-3.84(m, 2H).
실시예 103(37)
4-(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10(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2:1);
NMR(CD3OD+D2O): δ 7.96(d, J=7.8Hz, 1H), 7.80-7.67(m, 5H), 7.61-7.56(m, 2H), 6.16(dd, J=9.0, 1.3Hz, 1H), 4.60(d, J=14.5Hz, 1H), 4.01(dd, J=15.4, 9.0Hz, 1H), 3.95(d, J=14.5Hz, 1H), 3.89(dd, J=15.4, 1.3Hz, 1H), 3.37-3.33(m, 4H), 2.98-2.90(m, 4H).
실시예 103(38)
4-(2,4,6-트리메톡시벤질)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3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CDCl3): δ 7.69(dd, J=7.0, 1.5Hz, 1H), 7.64-7.49(m, 5H), 7.45-7.40(m, 2H), 6.19(dd, J=9.0, 1.0Hz, 1H), 6.12(s, 2H), 4.50(d, J=14.3Hz, 1H), 3.88(d, J=14.3Hz, 1H), 3.85(dd, J=15.0, 1.0Hz, 1H), 3.81(s, 3H), 3.75(s, 6H), 3.73(d, J=12.6Hz, 1H), 3.65(d, J=12.6Hz, 1H), 3.64(dd, J=15.0, 9.0Hz, 1H).
염산염:
TLC: Rf 0.38(아세트산에틸:메탄올=9:1);
NMR(DMSO-d6): δ 9.11(br, 1H), 8.94(br, 1H), 8.16-8.13(m, 1H), 7.88-7.87(m, 2H), 7.84-7.79(m, 1H), 7.71-7.61(m, 4H), 6.31(s, 2H), 5.92(dd, J=8.0, 1.8Hz, 1H), 4.66-4.62(m, 1H), 4.39-4.34(m, 1H), 4.18-4 . 13(m, 1H), 3.97-3.91(m, 1H), 3.92(dd, J=15.3, 8.0Hz, 1H), 3.83(dd, J=15.3, 1.8Hz, 1H), 3.82(s, 3H), 3.79(s, 6H).
실시예 103(39)
4-(피페리딘-1-일)카르보닐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프리체:
TLC: Rf 0.4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CDCl3): δ 7.75(dd, J=6.9, 2.1Hz, 1H), 7.66-7.60(m, 3H), 7.58-7.53(m, 2H), 7.48-7.43(m, 2H), 6.13(dd, J=9.0, 1.2Hz, 1H), 4.61(d, J=13.8Hz, 1H), 3.97(d, J=13.8Hz, 1H), 3.87(dd, J=15.0, 1. 2Hz, 1H), 3.75(dd, J=15.0, 9.0Hz, 1H), 3.58(t, J=5.2Hz, 2H), 3.50(d, J=16.0Hz, 1H), 3.41(d, J=16.0Hz, 1H), 3.30(t, J=5.2Hz, 2H), 1.69-1.55(m, 6H).
염산염:
TLC: Rf 0.42(아세트산에틸:메탄올:트리에틸아민=8:1:1);
NMR(DMSO-d6): δ 9.63(br, 1H), 9.18(br, 1H), 8.11(d, J=7.2Hz, 1H), 7.93-7.80(m, 5H), 7.70-7.64(m, 2H), 6.28(dd, J=6.0, 4.0Hz, 1H), 4.83(d, J=13.2Hz, 1H), 4.32(d, J=13.2Hz, 1H), 4.28-4.16(m, 2H), 3.85(dd, J=15.3, 6.0Hz, 1H), 3.80(dd, J=15.3, 4.0Hz, 1H), 3.54-3.50(m, 2H), 3.37-3.32(m, 2H),1.64-1.49(m, 6H).
실시예 103(40)
4-(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22(메탄올: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2:8:0.5);
NMR(CD3OD+D2O): δ 8.16(d, J=7.5Hz, 1H), 7.94-7.75(m, 5H), 7.68-7.58(m, 2H), 6.15-6.08(m, 1H), 4.81(d, J=13.8Hz, 1H), 4.63(d, J=13.8Hz, 1H), 4.01-3.88(m, 1H), 3.86-3.76(m, 1H), 3.75-3.62(m, 4H), 3.6 2-3.38(m, 4H), 2.20-2.06(m, 4H).
실시예 103(41)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TLC: Rf 0.51(아세트산에틸:트리에틸아민=6:0.5);
NMR(CD3OD+D2O): δ 7.90(d, J=7.5Hz, 1H), 7.79-7.52(m, 7H), 7.04-6.96(m, 2H), 6.95-6.87(m, 1H), 6.15-6.07(m, 1H), 6.01(s, 2H), 4.45(d, J=14.4Hz, 1H), 4.25(s, 2H), 4.01(dd, J=15.6, 8.7Hz, 1H), 3.90( dd, J=15.6, 1.2Hz, 1H), 3.77(d, J=14.4Hz, 1H), 3.50-3.10(br, 4H), 2.98-2.63(br, 4H).
실시예 104
4-시아노-6,7-디히드로벤조[b]티오펜
요오드화아연(6.2 g)의 아세토니트릴(200 ㎖) 현탁액에 4-케토-4,5,6,7-테트라히드로티아나프텐(20 g) 및 트리메틸실릴아니드(18 ㎖)를 순차 첨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피리딘(65 ㎖)에 용해시킨 후, 옥시염화인(15 ㎖)을 실온에서 적가하여 30분간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시켜 이소프로판올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염산, 물,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표제 화합물(17 g)을 얻었다.
TLC: Rf 0.45(헥산:아세트산에틸=3:1);
NMR(CDCl3): δ 7.12(d, J=5.4Hz, 1H), 7.07(d, J=5.4Hz, 1H), 6.62(t, J=4.8Hz, 1H), 2.93(t, J=9.0Hz, 2H), 2.60(td, J=9.0, 4.8Hz, 2H).
실시예 105
4-시아노벤조[b]티오펜
실시예 104에서 제조한 화합물(17 g)을 벤젠(200 ㎖)에 용해하여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30 g)을 첨가하였다. 1시간 환류시킨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혼합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100:1)로 정제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표제 화합물(14.5 g)을 얻었다.
TLC: Rf 0.40(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7.45(t, J=7.5Hz, 1H), 7.60(d, J=5.0Hz, 1H), 7.70(d, J=5.0Hz, 1H), 7.75(d, J=7.5Hz, 1H), 8.10(d, J=7.5Hz, 1H).
실시예 106
4-카르복시벤조[b]티오펜
1) 실시예 105에서 제조한 화합물(14.5 g)의 에틸렌 글리콜(50 ㎖) 현탁액에 85% 수산화칼륨(19 g)을 첨가하여 1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에 부어 산성으로 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 혼합 용매로 재결정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표제 화합물(12.2 g)을 얻었다.
또한, 상기 표제 화합물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2) 실시예 104에서 제조한 화합물(1.61 g), 니트로벤젠(2.46 g), 에틸렌글리콜(10 ㎖) 및 10% 팔라듐 탄소(161 ㎎)의 혼합물을 200℃에서 3시간, 180℃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150℃에서 85% 수산화칼륨(1.98 g)을 첨가하여 18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물(10 ㎖) 및 활성탄을 첨가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아세트산에틸(20 ㎖)로 세정하고, 수층에 진한 염산(2.5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물,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25 ㎖)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1.46 g)을 얻었다.
TLC: Rf 0.10(헥산:아세트산에틸=4:1);
NMR(CDCl3): δ 8.32(dd, J=5.6, 1.0Hz, 1H), 8.27(dd, J=7.6, 1.0Hz, 1H), 8.18-8.11(m, 1H), 7.68(d, J=5.6Hz, 1H), 7.51-7.41(m, 1H).
실시예 107
4-카르복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106에서 제조한 화합물(35 g)을 메탄올(720 ㎖)에 현탁하여 실온에서 옥손(362 g)의 순수한 물(720 ㎖) 현탁액을 첨가하여 4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건조하여 이하의 물성치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30 g)을 얻었다.
TLC: Rf 0.18(아세트산에틸);
NMR(CDCl3): δ 8.28(d, J=7.5Hz, 1H), 8.26(d, J=7.5Hz, 1H), 7.94(d, J=7.5Hz, 1H), 7.66(t, J=7.5Hz, 1H), 6.87(d, J=7.5Hz, 1H).
본 발명 화합물의 별도 제조예
실시예 35(49)∼(61), 실시예 70, 실시예 94, 실시예 103∼103(29)에서 제조한 화합물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08 또는 실시예 109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1) 예컨대, 실시예 35(50)에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08
4-(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2염산염
아르곤 분위기하에 실시예 8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에 3-(아미노메틸)피리딘(73 ㎕)의 디메틸포름아미드(1 ㎖) 용액을 첨가하고, 5% 팔라듐-탄소(50 ㎎)를 더 첨가하여 수소로 치환시켜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 농축시킨 후,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25:1)로 정제하고(231 ㎎),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염산염으로 하며,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함으로써, 본 발명 화합물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35(52)에 표시되는 화합물의 프리체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09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실시예 82에서 제조한 화합물(168 ㎎)의 디클로로메탄(2 ㎖) 현탁액에 디에탄올아민(53 ㎕),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63 ㎎), 진한 염산(2 방울), 메탄올(0.5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 용매(염화메틸렌 및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본 발명 화합물(50 ㎎)을 얻었다.
2) 실시예 81(1)에서 제조한 화합물은 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대신에 실시예 107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7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해당 프리체로 변환함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3) 실시예 35∼35(32), 실시예 45(1)∼45(2), 실시예 70, 실시예 71, 실시예 87에서 제조한 화합물은 실시예 10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35(11)에서 제조한 화합물은 실시예 81(1)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프리체 또는 나트륨염 및 푸란-2-일메틸아민 대신에 2-(피페리딘-1-일)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0으로 표시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도 제조할수 있다.
제제예
제제예 1
이하의 각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한 후, 타정하여 1정 속에 50 ㎎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100정을 얻었다.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 5.0 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붕괴제) …… 0.2 g
·스테아린산마그네슘(윤활제) …… 0.1 g
·미결정 셀룰로오스 …… 4.7 g
제제예 2
이하의 각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한 후,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멸균하고, 5 ㎖씩 앰플에 충전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동결 건조하여 1 앰플중 20 ㎎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앰플 100개를 얻었다.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 2.0 g
·만니톨 …… 20 g
·증류수 …… 500 ㎖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및/또는 인터류킨-12 생산 억제제.
    화학식 I
    [상기 화학식에서,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는또는
    (ii)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단,
    가 이중 결합을 나타낼 때, Y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가 단일 결합을 나타낼 때, Y는을 나타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며,
    q는 0 또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C1∼8알킬렌기, C2∼8알케닐렌기 또는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며,
    (i) 벤젠환 또는
    (ii)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일환 헤테로환 아릴을 나타내고,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p개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니트로기,
    (v) 시아노기,
    (vi) 할로겐 원자,
    (vii) Cyc1기,
    (viii) 할로겐 원자 또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ix) -A1-A2-A3을 나타내고,
    A1
    (i) 단결합,
    (ii) C1∼8알킬렌기,
    (iii) C2∼8알케닐렌기 또는
    (iv)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며,
    A2
    (i) -O-기,
    (ii) -NR3-기,
    (iii) -C(O)-기,
    (iv) -CH(OH)-기,
    (v) -C(O)NR4-기,
    (vi) -NR5C(O)-기,
    (vii) -C(O)O-기,
    (viii) -OC(O)-기,
    (ix) -SO2NR6-기,
    (x) -NR7SO2-기,
    (xi) -C(O)NR9O-기,
    (xii) -OC(O)NR10-기,
    (xiii) -NR11C(O)NR1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를 나타내고,
    [각 기 중,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또는 Cyc1기, -OR14기(기 중, R1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또한, A2에 의해 나타낸 각 기는 우측의 결합손이 A3에 결합되는 것으로 함),
    A3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1기 또는
    (vi) 이하의 (a)∼(i)에서 선택되는 1∼3개의 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a) 할로겐 원자,
    (b) 시아노기,
    (c) -P(O)(R15)2기,
    (d) -Si(R16)3기,
    (e) Cyc1기,
    (f) -C(O)R17기,
    (g) -OR18기,
    (h) -NR19R20기,
    (i) -SR21기;
    복수 존재하는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7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수산기,
    (iv) C1∼8알콕시기,
    (v) Cyc1기 또는
    (vi) -NR22R23기(기 중, R2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3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1기 또는 Cyc1기 또는 NR24R25기(R24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1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yc1기 또는
    (v) Cyc1기, Si(R26)3기(기 중, 복수의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OR27기(기 중, R2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2∼5아실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9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페닐기 또는
    (iv)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0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O)R28기(기 중, R28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1기 또는 NR29R30기(기 중, R29및 R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냄),
    (iv) Cyc1기 또는
    (v) Cyc1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21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또는
    (iii) Cyc1기를 나타내고,
    Cyc1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디페닐메틸기, (xi) 트리페닐메틸기, (xii) Cyc2기, (xiii) -OR31기, (xiv) -SR32기, (xv) -NR33R34기, (xvi) -SO2NR35R36기, (xvii) -C(O)R37기 또는 (xviii) Cyc2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R31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3은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4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Cyc2기를 나타내며,
    R35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6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OR38기, -NR39R40기, Cyc2기 또는 Cyc2기 또는-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8, R39, R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yc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Cyc2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OR41기, (xi) -SR42기, (xii) -NR43R44기, (xiii) -SO2NR45R46기, (xiv) -C(O)R47기, (xv)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xvi) 페닐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41, R42, R43, R44, R45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4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q개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OR48기,
    (v) -NR49R50기,
    (vi) -C(O)R51기,
    (vii) 니트로기,
    (viii) 시아노기,
    (ix) 할로겐 원자 또는
    (x) -OR48기, -NR49R50기, -C(O)R51기, 할로겐 원자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4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3기 또는
    (vi) 할로겐 원자, -OR52기, -NR53R54기, -C(O)R55기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49및 R5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R59기를 나타내고,
    R51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60R61기를 나타내며,
    R5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53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C2∼8알키닐기 또는 -C(O)R56기(기 중, R56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3기 또는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5는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57R58기(기 중, R57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며,
    R59는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60및 R6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Cyc3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 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1∼8알콕시기, (iii) 니트로기, (iv) 할로겐 원자, (v) 시아노기, (vi) 수산기, (vii) 벤질옥시기, (viii) -NR62R63기, (ix) -COOR64기, (x) 트리할로메틸기, (xi) 트리할로메톡시기, (xii) 페닐기, (xiii) 페녹시기, (xiv) 페닐티오기, (xv) 페닐기, 페녹시기, 페닐티오기, 수산기, -NR62R63기 또는 -COOR64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62및 R6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6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A2가 (vi) -NR5C(O)-기, (x) -NR7SO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일 때, A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제1항에 기재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각종 염증성 질환, 패혈증, 다발성 골수종, 형질 세포성 백혈병, 골다공증, 악액질, 건선, 신장염, 신세포암, 카포시 육종, 만성 관절 류머티즘, 고감마 글로불린혈증, 캐슬맨병, 심방내점액종, 당뇨병, 자기 면역 질환, 간염, 다발성 경화증, 대장염, 이식편대 숙주병,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1)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 6-니트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 4,5-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 4,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 4,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 5,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 5,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 6,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 4-카르복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 6-(2,2-비스(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 4-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 5-(2-(N-(5-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N-메틸아미노)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 5-(2-히드록시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 5-브로모-7-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 7-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 5-브로모-6-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 5-브로모-4-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 6-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 4-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 6-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 6-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 6-(4-디에틸아미노페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 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25) 1,1-디옥사이드티에노[3,2-b]피리딘,
    (26) 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27) 5-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5-(3-메틸-5-옥소-4,5-디히드로피라졸-1-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 4-(2-(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일)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 7-메틸-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3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 4-(4-메톡시페닐)-1,1-디옥사이드티에노[3,2-c]피리딘,
    (33) 5-((E)-2-(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4-메톡시벤조[b]티오펜,
    (34)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벤조[b]티오펜,
    (35) 5-메톡시카르보닐-4-에톡시벤조[b]티오펜,
    (36) 5-카르복시-4-에톡시벤조[b]티오펜,
    (37)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벤조[b]티오펜,
    (38) 5-히드록시-4-포르밀벤조[b]티오펜,
    (39) 5-벤질옥시-4-포르밀벤조[b]티오펜,
    (40)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벤조[b]티오펜,
    (41)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벤조[b]티오펜,
    또는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류킨-6 및/또는 인터류킨-12 생산 억제제.
  4.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신규의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화학식 IA
    상기 화학식에서,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는
    또는
    (ii)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단,가 이중 결합을 나타낼 때, Y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가 단일 결합을 나타낼 때, Y는을 나타냄)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며,
    q는 0 또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C1∼8알킬렌기, C2∼8알케닐렌기 또는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며,
    (i) 벤젠환 또는
    (ii)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일환 헤테로환 아릴을 나타내고,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p개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니트로기,
    (v) 시아노기,
    (vi) 할로겐 원자,
    (vii) Cyc1기,
    (viii) 할로겐 원자 또는 Cyc1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ix) -A1-A2-A3을 나타내고,
    A1
    (i) 단결합,
    (ii) C1-8 알킬렌기,
    (iii) C2∼8알케닐렌기 또는
    (iv) C2∼8알키닐렌기를 나타내며,
    A2
    (i) -O-기,
    (ii) -NR3-기,
    (iii) -C(O)-기,
    (iv) -CH(OH)-기,
    (v) -C(O)NR4-기,
    (vi) -NR5C(O)-기,
    (vii) -C(O)O-기,
    (viii) -OC(O)-기,
    (ix) -SO2NR6-기,
    (x) -NR7SO2-기,
    (xi) -C(O)NR9O-기,
    (xii) -OC(O)NR10-기,
    (xiii) -NR11C(O)NR1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를 나타내고,
    (각 기 중,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또는 Cyc1기, -OR14기(기 중, R1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또한, A2에 의해 나타낸 각 기는 우측의 결합손이 A3에 결합되는 것으로 함),
    A3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1기 또는
    (vi) 이하의 (a)∼(i)에서 선택되는 1∼3개의 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a) 할로겐 원자,
    (b) 시아노기,
    (c) -P(O)(R15)2기,
    (d) -Si(R16)3기,
    (e) Cyc1기,
    (f) -C(O)R17기,
    (g) -OR18기,
    (h) -NR19R20기,
    (i) -SR21기;
    복수 존재하는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복수 존재하는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17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수산기,
    (iv) C1∼8알콕시기,
    (v) Cyc1기 또는
    (vi) -NR22R23기(기 중, R2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23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1기 또는 Cyc1기 또는 NR24R25기(R24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페닐기,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1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yc1기 또는
    (v) Cyc1기, Si(R26)3기(기 중, 복수의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8알킬기를 나타냄) 또는 -OR27기(기 중, R2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2∼5아실기를 나타냄)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19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페닐기 또는
    (iv) 페닐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20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O)R28기(기 중, R28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1기 또는 NR29R30기(기 중, R29및 R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냄),
    (iv) Cyc1기 또는
    (v) Cyc1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21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또는
    (iii) Cyc1기를 나타내고,
    Cyc1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디페닐메틸기, (xi) 트리페닐메틸기, (xii) Cyc2기, (xiii) -OR31기, (xiv) -SR32기, (xv)-NR33R34기, (xvi) -SO2NR35R36기, (xvii)-C(O)R37기 또는 (xviii) Cyc2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R31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3은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4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Cyc2기를 나타내며,
    R35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6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2기를 나타내며,
    R3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OR38기, -NR39R40기, Cyc2기 또는 Cyc2기 또는 -C(O)-Cyc2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38, R39, R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yc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Cyc2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고,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옥소기, (v) 시아노기, (vi) 니트로기, (vii) 트리할로메틸기, (viii) 트리할로메톡시기, (ix) 할로겐 원자, (x) -OR41기, (xi) -SR42기, (xii) -NR43R44기, (xiii) -SO2NR45R46기, (xiv) -C(O)R47기, (xv)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 또는 (xvi) 페닐기로 치환되어도 좋으며,
    R41, R42, R43, R44, R45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47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q개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i) C1∼8알킬기,
    (ii) C2∼8알케닐기,
    (iii) C2∼8알키닐기,
    (iv) -OR48기,
    (v) -NR49R50기,
    (vi) -C(O)R51기,
    (vii) 니트로기,
    (viii) 시아노기,
    (ix) 할로겐 원자 또는
    (x) -OR48기,-NR49R50기, -C(O)R51기, 할로겐 원자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48
    (i) 수소 원자,
    (ii) C1∼8알킬기,
    (iii) C2∼8알케닐기,
    (iv) C2∼8알키닐기,
    (v) Cyc3기 또는
    (vi) 할로겐 원자, -OR52기, -NR53R54기, -C(O)R55기 또는 Cyc3기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또는 C2∼8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49및 R5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OR59기를 나타내고,
    R51은 수소 원자, C1∼8알킬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60R61기를 나타내며,
    R52는 수소 원자, C1∼8알킬기, Cyc3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R53및 R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C2∼8알케닐기, C2∼8알키닐기 또는 -C(O)R56기(기 중, R56은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Cyc3기 또는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며, R55는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NR57R58기(기 중, R57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8알킬기 또는 Cyc3기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9는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60및 R6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고,
    Cyc3기는
    (i)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 또는
    (ii)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을 나타내며,
    이들 탄소환 또는 헤테로환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i) C1∼8알킬기, (ii) C1∼8알콕시기, (iii) 니트로기, (iv) 할로겐 원자, (v) 시아노기, (vi) 수산기, (vii) 벤질옥시기, (viii) -NR62R63기, (ix) -COOR64기, (x) 트리할로메틸기, (xi) 트리할로메톡시기, (xii) 페닐기, (xiii) 페녹시기, (xiv) 페닐티오기, (xv) 페닐기, 페녹시기, 페닐티오기, 수산기, -NR62R63기 또는 -COOR64기로 치환된 C1∼8알킬기 또는 C1∼8알콕시기로 치환되어도 좋고,
    R62및 R6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R64는 수소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a) A2가 (vi) -NR5C(O)-기, (x) -NR7SO2-기, (xiv) -NR13C(O)O-기 또는 (xv) -OC(O)O-기일 때, A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b)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며,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낼 때, n은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c)이 단일 결합을 나타내며, Y가를 나타내고, n이 2를 나타내며, m이 0 또는 2를 나타내고, p가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며, A환 및 B환이 벤젠환을 나타내고, R1이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낼 때, q는 O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d)가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Y가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m이 0 또는 2를 나타내며, p가 0 또는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환 및 B환이 벤젠환을 나타내며, R1이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며, q가 1∼5의 정수를 나타낼 때, R2는 C1∼8알킬기, C1∼8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e)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1을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낼 때, R1은 할로겐 원자, C1∼8알킬기, 페닐설포닐아미노기, 2-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3-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4-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수산기, C1∼8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카르복시기, 수산기, C1∼8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보닐기로 치환된 C1∼8알콕시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f)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2를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내고, 하나의 R1이 페닐설포닐아미노기, 2-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3-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 또는 4-메틸페닐설포닐아미노기를 나타낼 때, 또 하나의 R1은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g)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2∼3을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내고, 하나의 R1이 수산기, C1∼8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C1∼8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보닐기로 치환된 C1∼8알콕시기를 나타낼 때, 다른 R1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8알킬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며,
    (h)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n이 2를 나타내고, p가 3∼4를 나타내며, A환이 벤젠환을 나타낼 때, 2∼3개의 R1은 동시에 t-부틸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하고,
    (i) 하기 (1) 내지 (32)의 화합물을 제외한다:
    (1)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 6-니트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 4,5-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 4,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 4,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 5,6-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 5,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 6,7-디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 4-카르복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 6-(2,2-비스(에톡시카르보닐)에테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 4-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 5-(2-(N-(5-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N-메틸아미노)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 5-(2-히드록시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 5-브로모-7-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 7-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 5-브로모-6-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 5-브로모-4-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 6-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 4-브로모-5-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 6-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 6-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 6-(4-디에틸아미노페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 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25) 1,1-디옥사이드티에노[3,2-b]피리딘,
    (26) 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27) 5-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5-(3-메틸-5-옥소-4,5-디히드로피라졸-1-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 4-(2-(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3-일)에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 7-메틸-1,1-디옥사이드티에노[2,3-c]피리딘,
    (31)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또는
    (32) 4-(4-메톡시페닐)-1,1-디옥사이드티에노[3,2-c] 피리딘].
  5. 제4항에 있어서,가 이중 결합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6. 제4항에 있어서,가 단일 결합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7. 제4항에 있어서,가 벤젠환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8. 제4항에 있어서,가 1∼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의 단일환 헤테로환 아릴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9. 제4항에 있어서,가 C3∼15의 단일환, 이중환, 삼중환식 탄소환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10. 제4항에 있어서,가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4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 헤테로환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11. 제4항에 있어서,가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12. 제4항에 있어서,이 1∼4개의 질소 원자, 1∼2개의 산소 원자 및/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11∼18원의 단일환, 이중환 또는 삼중환식 헤테로환인 것인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
  13.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1) 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 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 3-(4-메틸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 3-(4-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 3-(4-클로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 3-(4-플루오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 3-(4-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 3-(3-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 3-(2-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 3-(피리딘-4-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 3-(피리미딘-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 3-(티아졸-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 3-(3-메틸푸란-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 3-(3-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 3-시클로헥실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 3-(나프탈렌-1-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 3-(2-메톡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 3-(1-메틸이미다졸-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 3-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 3-(티오펜-2-일)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 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 3-(4-메틸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 3-(4-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 3-(4-클로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3-(4-플루오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 3-(4-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 3-(3-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 3-(2-히드록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 3-(피리딘-4-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 3-(피리미딘-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 3-(티아졸-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 3-(3-메틸푸란-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 3-(3-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 3-(2-메톡시카르보닐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 3-시클로헥실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 3-(나프탈렌-1-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 3-(2-메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 3-(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 3-(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 3-(4-(2-(모르폴린-4-일)에톡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 3-(3-벤질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 3-(2-벤질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 3-(4-(피리딘-2-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 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8) 3-(4-(피리딘-4-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9) 3-(4-(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0) 3-(3-(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1) 3-(3-(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2) 3-(2-(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3) 3-(2-(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4) 3-(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5) 3-(3-(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6) 3-(4-(피리딘-2-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7) 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8) 3-(4-(피리딘-4-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9) 3-(4-(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0) 3-(3-(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1) 3-(3-(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2) 3-(2-(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3) 3-(2-(3-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4) 3-(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5) 3-(3-(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6) 3-(4-(2-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7) 3-(3-(2-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8) 3-(4-(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9) 3-(3-(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0) 5-니트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1) 6-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2) 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3) 5-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4) 7-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5) 4-클로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6) 5-(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7) 4,7-디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8) 4,6-디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9) 4-에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0) 4-메톡시-5-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1) 4-브로모-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2) 4-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3) 5-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4) 6-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5) 7-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6) 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티에노[2,3-b]피리딘,
    (87) 4,7-디히드록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8) 5-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9) 6-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0) 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1) 5-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2) 7-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3) 4-클로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4)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5) 4,7-디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6) 4,6-디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7) 4-에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8) 4-메톡시-5-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9) 4-브로모-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0) 4-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1) 5-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2) 6-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3) 7-히드록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4) 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티에노 [2,3-b]피리딘,
    (105) 5-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6) 5-아세틸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7) 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8) 4-(N,N-디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9) 4-메톡시-5-포르밀-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0) 4-메톡시-3-(티오펜-2-일)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1) 4-메톡시-3-(티오펜-2-일)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2) 4-(4-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3) 4-(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4) 4-벤질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5) 4-(3-벤질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6)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7) 4-(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8) 4-(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9) 4-(피리딘-4-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0)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1)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2) 5-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3) 5-(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4) 5-(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5) 5-(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6) 5-(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7) 6-(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8) 6-벤질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9) 6-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0) 6-(2-(모르폴린-4-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1) 6-(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2) 6-(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3)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4) 6-(3-브로모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5) 7-펜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6) 7-(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7) 7-(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8) 7-(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9) 4-(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0)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1) 6-(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2)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3) 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4) 4-(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5)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6)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7) 6-(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8) 7-(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9) 4-(N-(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0) 4,7-비스[(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1) 4-(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2) 4,7-비스(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3)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피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4) 4-(4-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5) 4-(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6) 4-벤질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7) 4-(3-벤질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8) 4-(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9) 4-(N-옥사이드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0) 4-(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1) 4-(N-옥사이드피리딘-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2) 4-(피리딘-4-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3)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4) 4-(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5) 5-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6) 5-(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7) 5-(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8) 5-(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9) 5-(3-(피리딘-3-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0) 6-(3-페닐옥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1) 6-벤질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2) 6-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3) 6-(2-(모르폴린-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4) 6-(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5) 6-(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6)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7) 6-(3-브로모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8) 7-펜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9) 7-(2-페닐옥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0) 7-(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1) 7-(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2) 7-(N-옥사이드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3) 4-(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4)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5) 6-(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6)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7) 4-(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8) 4-(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9)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0)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1) 6-(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2) 7-(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3) 4-(N-(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4) 4,7-비스[(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5) 4-(3-니트로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6) 4-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7) 5-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8) 6-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9) 7-카르복시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0) 4-(N-(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1) 4-((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2) 4-((N-벤질-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3) 4-(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4) 4-(3-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5)5-(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6) 6-(3-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7) 6-(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8) 7-(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9) 4-(피페리딘-4-일)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0) 4,7-비스[(2-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1) 4-(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2) 4-(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3) 4-(3-(N-시아노메틸-N-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4) 5-(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5) 6-(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6) 6-(3-(N-시아노메틸-N-메틸아미노)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7) 6-(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8) 7-(2-(N,N-디메틸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9) 4-(3-아미노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0) 4-(3-(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페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1) 4-(2-(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2) 5-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3) 5-(4-클로로페닐카르보닐)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4) 4-시아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5) 6-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6) 4,7-디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7) 4,7-비스(3-히드록시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8) 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9) 4-(4-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0) 4-(N-(2-(피리딘-3-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1)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2) 4-(2,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3) 4-(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4) 4-(피리딘-4-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5) 4-(2-t-부톡시카르보닐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6) 4-(티오펜-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7) 4-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8) 4-(피리딘-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9)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0) 4-((1S)-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1) 4-(2-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2) 4-(3-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3) 4-(3-메틸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4) 4-(2-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5) 4-(2,3-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6) 4-(3,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7) 4-(2,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8) 4-(3,4,5-트리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9) 4-(벤즈이미다졸-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0) 4-(3,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1) 4-(N-벤질-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2) 4-(4-니트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3) 5-(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4)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5)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6) 5-디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7)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8)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9)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0)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1)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2) 4-(3-(피롤-1-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3) 4-(퀴놀린-2-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4) 4-(2-(피롤-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5) 4-(2-(4-메틸티아졸-5-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6) 4-(3-(피리딘-4-일)프로필)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7)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8) 4-(2-(피롤리딘-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9) 4-(2-(피페리딘-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0) 4-(2-(2-아세틸옥시에톡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1) 4-(2-(4-벤질피페라진-1-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2) 4-디에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3) 4-시아노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4) 5-(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5)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6) 5-((2E)-3-에톡시카르보닐-2-프로페닐)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7) 4-(2,4-디메톡시페닐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8) 4-(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9) 4-(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0)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1)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2) 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3) 4-(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4) 4-(4-에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5)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6) 4-(4-(피리딘-4-일)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7) 4-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8) 4-(1-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9) 4-(모르폴린-4-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0) 4-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1) 4-벤질옥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2) 4-(피리딘-3-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3) 6-(피리딘-3-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4) 4-(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5) 6-브로모-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6) 6-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7)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8) 4-디메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9) 4-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0) 4-(2-(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1) 4-(2-(피리딘-3-일)에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2)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3)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4) 6-시아노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5)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6)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7) 5 -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8) 5-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9) 7-메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0) 7-에톡시카르보닐-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1)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2)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3)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4) 5-(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5) 3-벤질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6) 3-(3,4-디클로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7) 3-(4-니트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8) 5-히드록시메틸-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9) 4-히드록시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0) 6-플루오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1) 4-플루오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2)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3) 4-디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324) 4-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5) 4-(2-(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6) 4-(2-(피리딘-3-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7)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8)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9) 6-시아노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0)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1)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2)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3) 5-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4) 7-메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5) 7-에톡시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6)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7)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8) 3-벤질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9) 3-(3,4-디클로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0) 3-(4-니트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1) 5-히드록시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2) 4-히드록시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3) 6-플루오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4) 4-플루오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5)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6) 5-벤질옥시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7) 5-벤질옥시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8) 5-벤질옥시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9) 5-카르복시-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0) 5-카르복시-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1) 5-카르복시-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2) 5-카르복시-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3) 5-메톡시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4) 5-메톡시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5) 5-메톡시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6) 5-메톡시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7)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8)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9)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0)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1)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에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2)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3)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4)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5)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6)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헥실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7)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8)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9)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0)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1)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부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2)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3)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4)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5)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6)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옥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7)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8) 5-벤질옥시-4-브로모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9) 5-벤질옥시-4-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0) 5-벤질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1) 5-벤질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2) 5-벤질옥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3) 5-히드록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4) 5-메톡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5) 5-(3-페닐프로필)옥시-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6) 5-메톡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7) 5-(3-페닐프로필)옥시-4-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8)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9) 5-벤질옥시-4-카르복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0) 5-벤질옥시-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1) 5-히드록시-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2) 4,7-디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3) 6-브로모-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4) 4-(피페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5) 5-(2-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6)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7) 5-카르복시-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8) 4-카르복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9) 4-포르밀-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0) 5-(4-페닐부틸)아미노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1) 5-(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4-메톡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2) 6-디메틸아미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3) 4-(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4) 4,7-비스(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5) 4-(N-옥사이드피리딘-3-일메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6) 4-(2-(N-옥사이드피리딘-4-일)에틸)옥시-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7) 4-메톡시-3-(4-히드록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8) 4-메톡시-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9) 4-메톡시-3-(4-(피리딘-3-일메틸옥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0)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1)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2) 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3)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4) 4-(2,4,6-트리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5)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6) 4-((3S)-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7) 4-(2-(피롤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8) 4-(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9)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0)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1) 4-(3-(이미다졸-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2) 4-((3R)-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3) 4-(3-(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4)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5) 4-(3,5-디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6) 4-(3-(피페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7) 4-(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8) 4-(2-(모르폴린-4-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9) 4-(N-2-(피페리딘-1-일)에틸-N-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0) 4-(N-2-(피페리딘-1-일)에틸-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1) 4-(4-벤조일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2) 4-(4-(4-에틸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3) 4-(4-(4-페닐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4)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 -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5) 4-(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6) 4-(4-(2-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7) 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8) 4-(2-(피리딘-2-일)에틸)옥시-3-페닐티오-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9)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0)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3-(4-니트로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1)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2)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3) 4-(N-벤질-N-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4) 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5) 4-(4-메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6)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7) 4-(2-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8) 4-(3-페닐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9) 4-(3,5-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0) 4-((3R)-1-벤질피롤리딘-3-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1) 4-((3S)-1-벤질피롤리딘-3-일)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2) 4-(2-페닐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3) 4-(N-벤질-N-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4)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5) 4-(4-아미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6) 4-(4-((2E)-3-페닐-2-프로페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7) 4-(2-아미노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8) 4-(4-벤질피페리딘-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9) 4-(4-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0) 4-(3-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1) 4-(3-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2) 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3) 4-(1,3-디옥사인단-5-일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4) 4-(2,3-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5) 4-(3,4,5-트리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6) 4-(4-(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7) 4-(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 -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468) 4-(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9) 4-(N-2-(피페리딘-1-일)에틸-N-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0) 4-(N-2-(피페리딘-1-일)에틸-N-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1) 4-(3,4-디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2) 4-(3-(2-메틸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3) 4-(4-(피페리딘-1-일)피페리딘-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4) 4-(3-(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5) 4-(3-브로모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6) 4-(4-니트로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7) 4-(4-아미노설포닐벤질)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8) 4-(피페라진-1-일)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9) 4-(2,4,6-트리메톡시벤질)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80) 4-(피페리딘-1-일)카르보닐메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 -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81) 4-(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3-페닐설포닐-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82)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인 것인 화합물.
  14.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1) 4-(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 4-(4-벤질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 4-(N-(2-(피리딘-3-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 4-(2,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 4-(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 4-(피리딘-4-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 4-(2-t-부톡시카르보닐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 4-(티오펜-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 4-벤질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 4-(피리딘-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 4-(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 4-((1S)-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 4-(2-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 4-(3-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 4-(3-메틸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 4-(2-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 4-(2,3-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 4-(3,4-디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0) 4-(2,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1) 4-(3,4,5-트리메톡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2) 4-(벤즈이미다졸-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3) 4-(3,5-디플루오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4) 4-(N-벤질-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5) 4-(4-니트로페닐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6) 5-(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7) 5-(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8) 5-(2-디메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29) 5-디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0) 5-(2,3,4,5,6,7-헥사히드로-1H-아제핀-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1) 5-(2,3-디히드로인돌-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2) 5-(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3) 5-(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4)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5) 4-(3-(피롤-1-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6) 4-(퀴놀린-2-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7) 4-(2-(피롤-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8) 4-(2-(4-메틸티아졸-5-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39) 4-(3-(피리딘-4-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0)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1) 4-(2-(피롤리딘-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2) 4-(2-(피페리딘-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3) 4-(2-(2-아세틸옥시에톡시)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4) 4-(2-(4-벤질피페라진-1-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5) 4-디에틸카르바모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6) 4-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7) 5-(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8) 5-(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4-니트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49) 5-((2E)-3-에톡시카르보닐-2-프로페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0) 4-(2,4-디메톡시페닐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1) 4-(피리딘-3-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2) 4-(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3)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4) 4-(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5) 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6) 4-(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7) 4-(4-에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8)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59) 4-(4-(피리딘-4-일)피페라진-1-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0) 4-벤질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1) 4-(1-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2) 4-(모르폴린-4-일)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3) 4-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4) 4-벤질옥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5) 4-(피리딘-3-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6) 6-(피리딘-3-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7) 4-(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8) 5-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69) 4-디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0) 4-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1) 4-(푸란-2-일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2) 4-(2-(피리딘-4-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3) 4-(2-(피리딘-3-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4) 4-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5) 6-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6) 6-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7) 5-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8) 7-에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79)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0) 5-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1) 7-메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2) 7-에톡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3) 5-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4) 5-(2-(에톡시카르보닐)에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5) 5-(4,4-디메틸-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6) 5-벤질옥시카르보닐-4-에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7) 5-벤질옥시카르보닐-4-헥실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8) 5-벤질옥시카르보닐-4-부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89) 5-벤질옥시카르보닐-4-옥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0) 5-벤질옥시-4-히드록시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1) 4-(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2) 4-(2-히드록시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3)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4) 4-(N-메틸-N-메톡시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5) 4-(4-(티아졸-2-일설파모일)페닐)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6) 4-((1R)-1-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7) 6-(1-벤질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8) 6-(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99) 6-(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0) 5-(6-디메틸아미노헥실)옥시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1) 4-(4-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2) 4-(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3) 4-(4-(4-메톡시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04) 4-(4-(4-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5) 4-(4-(나프탈렌-1-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06) 4-(4-(4-에틸페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7) 4-(4-(나프탈렌-2-일카르보닐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08) 4-(4-(피리딘-2-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09) 4-(4-(피리딘-3-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10) 4-(4-벤조일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1) 4-(4-(푸란-2-일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12) 4-(4-벤질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3) 4-(2-(피롤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4) 4-(3-(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5) 4-(4-(2-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6) 4-(4-(3-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7) 4-(4-(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8) 4-(4-(4-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19) 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0)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1) 4-((3R)-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2) 4-((3S)-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3) 5-아세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4) 5-시아노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5) 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6) 5-(3-(에톡시카르보닐)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7) 5-(4-(에톡시카르보닐)부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8) 4-(피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29) 4-(피리딘-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0)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옥시-3-페닐티오-2,3-디히드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1) 4-(3,5-디메틸이소옥사졸-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2) 4-(4-메톡시카르보닐페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3) 4-(벤조트리아졸-1-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4) 4-(2,6-디메틸페닐)카르바모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5) 4-트리메틸실릴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6) 4-(피리딘-2-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7) 4-(2-(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8) 4-(3-(피리딘-3-일)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39) 4-(2-(피리딘-2-일)에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0) 4-(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1) 4-(5-메틸-1-트리틸이미다졸-4-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2) 4-(1,2,4-옥사디아졸-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3) 6-(피리딘-3-일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4) 6-(3-니트로페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5) 6-(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6) 7-t-부톡시카르보닐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7) 6-(피리딘-3-일옥시)메틸-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8) 4,7-비스(3-히드록시프로필)-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49) 5-카르복시-4-에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0) 5-카르복시-4-부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1) 5-카르복시-4-헥실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2) 5-카르복시-4-옥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3) 5-에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4) 5-에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5) 5-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6) 5-(2-메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7) 6-메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8) 6-메톡시메톡시카르보닐-4-메톡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59) 4-(N-(피리딘-2-일메틸)-N-(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4-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0) 4-(피리딘-2-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1) 4-(N-(2,4-디메톡시페닐메틸)-N-(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4-일메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2) 5-아세틸옥시-4-니트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3) 4-(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4) 5-(4,5-디히드로옥사졸-2-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5) 5-카르복시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6) 7-카르복시메틸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7) 4-((1S)-1-카르복시-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8) 4-((1R) -1-카르복시-2-메틸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69) 5-(3-카르복시프로필)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0) 5-((2E)-3-카르복시-2-프로페닐)옥시-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1) 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메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2) 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3) 4-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4) 4-(4-플루오로벤질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5) 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6) 4-(3-클로로벤조일)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7) 4-벤질카르보닐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8) 4-(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79) 4-아세틸아미노-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0) 4-(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1) 4-(2-디에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2) 4-(2-(N-에틸-N-(3-메틸페닐)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3) 4-(2,4,6-트리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4) 4-(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5) 4-(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6) 4-(N-에틸-N-2-(피페리딘-1-일)에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87) 4-(3-(이미다졸-1-일)프로필)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88) 4-(N-2-(피페리딘-1-일)에틸-N-메틸)카르바모일-1,1-디옥사이드벤조 [b]티오펜,
    (189) 4-(4-(1,3-디옥사인단-5-일메틸)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190) 4-(4-((2E)-3-페닐-2-프로페닐)피페라진-1-일)카르보닐-1,1-디옥사이드벤조[b]티오펜,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염인 것인 화합물.
  15. 제4항에 기재한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축합 티오펜 유도체, 이들의 N-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비독성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6. 하기 화학식 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시아노화 반응을 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X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어서 이것을 탈수소 반응으로 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으며, 이어서 이것을 가수분해 반응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화학식 XIV
    화학식 XI
KR1020007010843A 1998-04-01 1999-03-31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약제 KR20020009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21098 1998-04-01
JP98-104210 1998-04-01
JP99-46887 1999-01-19
JP4688799 1999-01-19
PCT/JP1999/001648 WO1999051587A1 (fr) 1998-04-01 1999-03-31 Derives de thiophene condenses et medicaments contenant ceux-ci comme principe act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83A true KR20020009383A (ko) 2002-02-01

Family

ID=2638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843A KR20020009383A (ko) 1998-04-01 1999-03-31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약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20391B1 (ko)
EP (1) EP1067128A4 (ko)
KR (1) KR20020009383A (ko)
AU (1) AU3053199A (ko)
WO (1) WO199905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31143A1 (en) * 2000-01-27 2001-08-07 Cytovia, Inc. Substituted nicotinamides and analogs as activators of caspases and inducers of apoptosis and the use thereof
US6608053B2 (en) * 2000-04-27 2003-08-19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Fused heteroaryl derivatives
CA2409821A1 (en) * 2000-05-18 2002-11-18 Yoshikazu Ikeda Novel benzothiophene derivatives
DE10133927A1 (de) * 2001-07-12 2003-01-23 Bayer Ag Benzodioxinothiophen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7563810B2 (en) 2002-11-06 2009-07-21 Celgene Corporation Methods of using 3-(4-amino-1-oxo-1,3-dihydroisoindol-2-yl)-piperidine-2,6-dione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myeloproliferative diseases
US8034831B2 (en) 2002-11-06 2011-10-11 Celgene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myeloproliferative diseases using 4-(amino)-2-(2,6-Dioxo(3-piperidyl)-isoindoline-1,3-dione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ies
US7094790B2 (en) * 2003-05-07 2006-08-22 Abbott Laboratories Fused bicyclic-substituted amines as histamine-3 receptor ligands
JP2007501804A (ja) * 2003-08-08 2007-02-01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位開口型のナトリウムチャネルのインヒビターとして有用な組成物
US20050107350A1 (en) * 2003-08-22 2005-05-19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bone disorders with a cyclooxygenase-2 inhibitor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 bone disorder treatment agent and compositions therewith
US7868037B2 (en) * 2004-07-14 2011-01-11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US7781478B2 (en) * 2004-07-14 2010-08-24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US8013006B2 (en) * 2004-07-14 2011-09-06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US7772271B2 (en) * 2004-07-14 2010-08-10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MX2007000762A (es) * 2004-07-22 2007-04-02 Ptc Therapeutics Inc Tienopiridinas para tratamientode hepatitis c.
SG156636A1 (en) * 2004-10-12 2009-11-26 Decode Genetics Ehf Carboxylic acid peri -substituted bicyclics for occlusive artery disease
JP2009013065A (ja) * 2005-10-14 2009-01-22 Astellas Pharma Inc 縮合へテロ環化合物
CN102702044A (zh) * 2006-01-20 2012-10-03 先灵公司 作为γ分泌酶抑制剂的碳环和杂环芳基砜化合物
TW200900408A (en) * 2007-03-02 2009-01-01 Kyowa Hakko Kogyo Kk Fused pyridine derivative
US8318928B2 (en) * 2008-12-15 2012-11-27 Glenmark Pharmaceuticals, S.A. Fused imidazole carboxamides as TRPV3 modulators
CA2914966A1 (en) * 2010-04-05 2011-10-13 Mannkind Corporation Ire-1alpha inhibitors
EP3072891A1 (en) * 2015-03-24 2016-09-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New Toll-Like Receptor 9 Antagonists
US20190060286A1 (en) 2016-02-29 2019-02-2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 Chemotherapeutic Methods
CN110981868B (zh) * 2019-11-05 2021-08-31 中山大学 咪唑并吡啶类化合物、包含该化合物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0800A (en) 1954-10-28 1960-03-29 Kloetzel 4-thianaphtheneacetic acids and preparation thereof
US3629438A (en) 1969-01-23 1971-12-21 Uniroyal Inc Benzothiophene-1 1-dioxide derivatives as fungicides and bactericides
US3686216A (en) 1969-01-23 1972-08-22 Uniroyal Inc Benzothiophene 1,1-dioxide derivative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SU591474A1 (ru) 1976-05-24 1978-02-05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Ан Таджикской Сср -Арилсульфониламины бензо-(в)тиофен-1,1-диоксидов,обладающих спазмолитической и холиноли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US4436748A (en) 1980-10-20 1984-03-13 Hoechst-Roussel Pharmaceuticals Inc. Benzo[b]thiophenes
US4737519A (en) 1983-12-14 1988-04-12 The Upjohn Company Substituted naphthalenes, indoles, benzofurans, and benzothiophenes as lipoxygenase inhibitors
EP0146348B1 (en) 1983-12-14 1991-07-31 The Upjohn Company Substituted naphthalenes, indoles, benzofurans and benzothiophenes as lipoxygenase inhibitors
US5093351A (en) 1989-01-05 1992-03-03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Substituted indole, benzofuran and benzothiophene derivatives as 5-lipoxygenase inhibitors
US5552415A (en) * 1993-12-21 1996-09-03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Alzheimer's Disease
AU683552B2 (en) 1994-04-11 1997-11-13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4,6-DI-t-butyl-2,3-dihydrobenzothiophene derivative
US5521213A (en) * 1994-08-29 1996-05-28 Merck Frosst Canada, Inc. Diaryl bicyclic heterocycles as inhibitors of cyclooxygenase-2
CN1173819A (zh) 1995-02-06 1998-02-18 伊莱利利公司 抑制il-6作用的方法
US5484808A (en) * 1995-02-09 1996-01-16 Eli Lilly And Company Methods of inhibiting cell-cell adhesion
US6294537B1 (en) * 1995-03-17 2001-09-25 Sanofi-Synthelabo Compounds which are specific antagonists of the human NK3 receptor and their use as medicinal products and diagnostic tools
US5863936A (en) * 1995-04-18 1999-01-26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DE19534868A1 (de) * 1995-09-20 1997-03-27 Bayer Ag Benzothiophen-2-carboxamid-S,S-dioxide für den Antifouling-Einsatz
JPH09310078A (ja) 1996-05-22 1997-12-02 Tonen Corp ベンゾチオフェンの微生物的分解方法
CA2214072C (en) * 1996-08-29 2006-11-14 Eli Lilly And Company Benzo [b] thiophene compounds, intermediates, processes, compositions, and methods
TNSN97092A1 (ar) * 1996-09-18 1999-12-31 Agouron Pharma مثبطات انزيم بروتيني فلزي وتركيبات صيدلانية تحتوي على تلك المثبتطات واستخدامها الصيدلاني وطرق ومركبات وسيطة مفيدة لتحضير التركيبات المذكورة.
JP4166296B2 (ja) 1997-04-25 2008-10-15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ドーパミン受容体拮抗作用を有する化合物
US7008950B1 (en) 1997-06-05 2006-03-0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Benzofurans as suppressors of neurodegeneration
GB9725953D0 (en) * 1997-12-08 1998-02-04 Pfizer Ltd Compounds useful in therapy
US6271642B1 (en) 1998-02-13 2001-08-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vanced battery controller with state of charge control
US6251936B1 (en) * 1998-05-12 2001-06-26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Benzothiophenes, benzofurans, and indol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DE60105195T2 (de) * 2000-12-05 2005-09-08 F. Hoffmann-La Roche Ag Benzofuran- und benzothiophen-derivative als selektive cox-2 inhibito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55555B1 (en) 2003-04-29
EP1067128A4 (en) 2001-11-21
US20030073706A1 (en) 2003-04-17
US6420391B1 (en) 2002-07-16
AU3053199A (en) 1999-10-25
EP1067128A1 (en) 2001-01-10
WO1999051587A1 (fr) 199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9383A (ko) 축합 티오펜 유도체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약제
EP3538526B1 (en) Cyclobutane- and azetidine-containing mono and spirocyclic compounds as alpha v integrin inhibitors
JP3155536B2 (ja) アミノブタン酸誘導体
JP5366349B2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有効な置換ピロロピリジノン誘導体
KR101564634B1 (ko) 축합 아미노디하이드로 티아진 유도체
CN1764650B (zh) 2,3,6-三取代的-4-嘧啶酮衍生物
KR102090780B1 (ko) 혈전색전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인자 xia 억제제로서 치환된 피롤리딘
EP1833816B1 (en) Substituted piperidines as renin inhibitors
EP3268360B1 (en) Lactams as inhibitors of rock
AU2017359023A1 (en) 3-substituted propionic acids as alpha v integrin inhibitors
KR20120094084A (ko)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WO2001040227A1 (fr) Derives triazaspiro[5.5]undecane et medicaments contenant ces derives en tant que principe actif
EP1148053A1 (en) 2h-phthalazin-1-one derivatives and drugs comprising these derivatives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17519025A (ja) チオフェン−2−イル−ピリジン−2−イル−1h−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可溶性グアニル酸シクラーゼ活性化剤としてのその使用
KR20160090304A (ko) 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EP3538528A1 (en) Pyrrole amides as alpha v integrin inhibitors
JPWO2005105743A1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JP2014518853A (ja) 新規な二環式窒素含有ヘテロアリールtgr5受容体調節因子
TWI794880B (zh) 作為組蛋白去乙醯酶6抑制劑之新穎化合物及包含其之醫藥組合物
JP3202994B2 (ja) 選却的トロンビン抑制剤として有用な芳香族アミジン誘導体
EP0641323A1 (en) Carbostyril derivatives as matrix metalloproteinases inhibitors
KR102537615B1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1,3,4-옥사다이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TW200932741A (en) Piperidine derivative
EP1661898A1 (en) Bicyclic piperazine compound and use thereof
TWI475021B (zh) 新穎(雜環-四氫吡啶)(哌基)-1-烷酮及(雜環-二氫吡咯啶)(哌基)-1-烷酮衍生物及其作為p75抑制劑之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