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015A - 압력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015A
KR20020005015A KR1020017013715A KR20017013715A KR20020005015A KR 20020005015 A KR20020005015 A KR 20020005015A KR 1020017013715 A KR1020017013715 A KR 1020017013715A KR 20017013715 A KR20017013715 A KR 20017013715A KR 20020005015 A KR20020005015 A KR 2002000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gas
flap
housing memb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톰자크스타니스라우스
프랑크쿠르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0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공급 장치의 압력 밸브, 특히 압력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접점 접속플랩(20)은 연결물질(24)에 의해 압력 밸브(2)의 하우징 부재(4)에 견고하게 및 내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점 접속플랩(20)에는 삽입 핀(20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핀(20a)에는 접지를 위한 케이블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 밸브{Pressure valve}
DE 197 12 155 A1 및 대응 특허 WO 98/42973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배치물 내에 지지되어 있는 전기 전도성 구성부재를 보여준다. 그 전기 전도성 구성부재에는 전기 전도성 연결부가 접속되어 있다.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 전기 전도성 구성부재는 전기 도체의 전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간행물들은 여러 실시예를 보여준다. 한 실시예에서는 압력 조절기의 하우징에 삽입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에는 플랩이 스탬핑 형성되어 있고 그 플랩은 삽입 결합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의 경우, 플랩을 스탬핑함으로써 하우징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그래서 압력 조절기가 결코, 특히 자동차의 엔진 공간의 영역에는 배치될 수 없다는 점이 결점이다. 상기 간행물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 플랩이 지지클램프에 땜질 형성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특수한 지지클램프가 사용되어야 하고 이 지지클램프의 제조를 위한 비용이 상승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 다른 결점은, 전기적 연결부가 직접 압력 조절기의 하우징에 형성되지 않아, 상황에 따라서는 압력 조절기의 하우징과의 전기적 접촉이 불량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간행물에 표시된 추가의 실시예에서는, 탄성 소자를 통해압력 조절기의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추가적인 탄성 소자들이 필요하다는 결점과 또한 사용된 부품의 표면들 사이에 과도 전기 저항, 특히 압력 조절기의 하우징과 전기 연결부가 접속되어 있는 탄성 소자 사이에 과도 저항이 생긴다는 결점을 갖는다.
독일 공개특허 공보 DE 195 26 524 A1은 자동차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밸브를 보여주고 있다. 이 압력 밸브는 연료 유입 접속부 및 연료 유출 접속부를 갖고 있다. 압력 밸브의 상부 하우징 부재에는 대기에 대한 또는 내연기관의 흡인 압력을 위한 관형 접속부가 고정되어 있다. DE 195 26 524 A1에 표시되어 있는 압력 밸브는 연료 분배관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연료 분배관이 전기 비전도 재료로 구성될 때에는, 압력 밸브에 정전기 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압력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압력 밸브를 측방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한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변형된 실시예의 한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역시 측방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추가 실시예의 투시도.
상기 종래 기술에 반해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압력 밸브는, 접점 접속플랩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용이해지며 접점 접속플랩과 압력 밸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간단한 방법으로 또한 대단히 확실하게 보장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주 청구항에 기재된 압력 밸브의 유리한 구체화 및 개선이 가능해진다.
가스-접속부가 용융 가능한 땜납일 수 있는 연결물질을 통해 압력 밸브와 연결되면, 한 공동 작업 단계에서 가스-접속부와 하우징 부재 사이의 연결과, 접점 접속플랩과 압력 밸브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추가의 이점이 얻어질 수있다.
가스-접속부가 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이 관이 접점 접속플랩에 배치된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하게 하면,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가스-접속부와 하우징 부재 사이의 연결 및 접점 접속플랩과 압력 밸브 사이의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관통구멍이 관 형태로 형성된 가스-접속부를 완전히 둘러싸면, 연결이 큰 비용 드리지 않고 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탁월한 밀봉 및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전이 지점에 고정된 접점 접속플랩은, 하우징 부재가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접점 접속플랩에 의해 전이 지점의 부위에 있어 보강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선정된, 특히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압력 밸브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 내의압력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내연기관으로서는 예컨대 자동차 엔진이 고려될 수 있다. 연료는 예컨대 휘발유 또는 디젤유를 말하는데, 휘발유가 특히 용이하게 인화되기 때문에, 적어도 연료가 휘발유일 때에는 본 발명에 따라 압력 밸브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도 1은 바람직하게 선정된 특히 유리한 제 1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는 이 실시예의 한 상세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는 압력 밸브의 종단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모든 도면에서 같거나 또는 비슷한 부재들에는 같은 기호가 부여되어 있다. 달리 언급되거나 또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 도면에 따라 언급된 것과 도시된 것은 다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설명으로부터 다른 것이 성립하지 않는 한, 여러 실시예들의 개별 내용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압력 밸브(2)를 도시한다. 압력 밸브(2)는 하우징 부재(4)를 갖고 있다. 이 하우징 부재(4)는 예컨대 박판으로부터 스탬핑해 얻어진 수 개의 개별 부재들을 서로 접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 부재(4)는 예컨대 남비 모양으로 성형된 두 단위 부재들을 서로 연부 절곡 결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압력 밸브(2)는 연료 유입-접속부(6), 연료 유출-접속부(8), 가스-접속부(10), 제 1 패킹 링(12) 및 제 2 패킹 링(14)을 갖고 있다. 연료 유입-접속부(6)는 하우징 부재(4) 내로 스탬핑 형성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료 유출-접속부(8)는 예컨대 하우징 부재(4) 내로 압력 밀봉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접속관에 위치한다. 연료는 연료 유입-접속부(6)를 통해 압력 밸브(2) 내로 유입하고, 연료는 연료 유출-접속부(8)를 통해 압력 밸브(2)로부터 다시 유출한다.
압력 밸브(2)는 예컨대 전기 비전도성 합성재료로 구성된 연료 분배관에 설치된다. 연료 분배관은 보다 양호한 명시를 위해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압력 밸브(2)는 예컨대 연료 분배관에 배치된 구멍 내로 삽입 설치된다. 연료 분배관에는 구멍에까지 이르는 유입관 및 구멍으로부터 유출하는 유출관이 있다. 그 유입관은 연료를 압력 밸브(2)의 연료 유입-접속부(6)에 인도하고, 유출관은 연료를 압력 밸브(2)의 연료 유출-접속부(8)로부터 예컨대 소모기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저장용기에 인도한다. 제 1 패킹(12)은 연료 분배관에 있는 구멍 및 유입관을 외부에 대해 밀봉한다. 제 2 패킹(14)은 연료 분배관을 통해 연료 유입부(6)에 이르는 연료 유입부를, 연료 유출 접속부(8)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유출관의 연료에 대해 밀봉한다.
압력 밸브(2)는 예컨대 독일 공개 특허공보 DE 197 26 524 A1에 기재되고 도시된 것과 같은 연료 분배관 내에 설치된다. 압력 밸브는 내부에 있어서는 예컨대 DE 197 12 155 A1 및 WO 98/42973 또는 DE 195 26 739 A1 및 US 5,509,390 또는 DE 195 26 524 A1에 기재되고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압력 밸브(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내부 부재들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간행물에 표시되어 있는 가능성들 중 어느 것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압력 밸브(2)는 예컨대 압력 제어 밸브 또는 압력 조절 밸브 또는 차압 제어 밸브 또는 차압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압력 밸브(2)의 내부에는 예컨대 연료실과 압력실이 있다. 막 종류가 압력실을 연료실로부터 분리한다. 연료 유입-접속부(6)가 연료실 내로 이어진다. 가스-접속부(10)를 통해, 압력 밸브(2)의 압력실은 양호한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는 않은 관을 통해 예컨대 내연기관의 흡인관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접속부(10)를 통해 예컨대 흡인관을 지배하는 저압이 압력 밸브(2) 내에 배치된 압력실 내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2)의 외각면에는 전이 지점(16)이 있다. 가스 접속부(10)는 전이 지점(16)에서 압력 밸브(2)의 하우징 부재(4)로 접합한다. 가스-접속부(10)와 하우징 부재(4) 사이의 전이 지점(16)은, 가스-접속부(10)와 하우징 부재(4) 사이에 밀봉 연결이 보장되도록, 즉 압력 밸브(2)가 주위에 대해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스-접속부(10)는 예컨대 전기 전도성 박판으로 구성된 관재이다. 하우징 부재(4)는 예컨대 전기 전도성 박판으로부터 스탬핑 취출된 남비형 부재이다. 가스-접속부(10)를 하우징 부재(4)와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 부재(4)에는 원통형 외각면에 개구(18; 도 2)가 배치된다. 개구(18)는, 가스-접속부(10)가 작은 유극으로 개구(18)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결정된다.
전이 지점(16)에는 가스-접속부(10)가 연결물질(24)을 사용한 가운데 견고하게 하우징 부재(4)와 연결된다. 연결은 예컨대 땜질, 예컨대 경질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용융 가능한 연결 물질(24)은 바람직하게는 구리 땜이다. 따라서 연결 물질(24)은 보통 전기 전도성이 대단히 양호하다.
전이 지점(16)의 영역에는 접점 접속플랩(20)이 있다. 접점 접속플랩(20)은 관통구멍(22)을 갖고 있다. 관통구멍(22)은, 관형 가스-접속부(10)가 관통구멍(2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가스-접속부(10)는 하우징 부재(4)로부터 먼 그의 단부에 융기부(10a)를 갖고있기 때문에, 압력 밸브(2)의 조립시 이 접속부를 하우징 부재(4)의 개구(18) 내로 삽입하기 전에 접점 접속플랩(20)의 관통구멍(22)을 통해 가스-접속부(10)를 삽입시키면 된다.
접점 접속플랩(20)이 가스-접속부(10)에 끼워지고 가스-접속부(10)가 관통구멍(22) 내로 삽입된 후, 관형 가스-접속부(10), 접점 접속플랩(20) 및 하우징 부재(4)는 전이 지점(16)의 영역에서 연결물질(24)을 사용하여 서로 땜질된다.
도 3은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가스-접속부(10) 대신에 변형된 가스-접속부(10')가 있다. 가스-접속부(10')는 융기부를 갖고있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점 접속플랩(20)을 그의 관통구멍(22)으로 직접 가스-접속부의 밖(도면의 맨 좌측)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스-접속부(10') 위로 끼울 수 있다.
가스-접속부(10, 10')의 하우징 부재(4)와의 압력 밀봉 방식 땜질 및 접점 접속플랩(20)의 고정은 한 공통 작업단계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접점 접속플랩(20)의 고정을 위해서는 추가의 비용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접점 접속플랩(20)과 가스-접속부(10, 10') 사이 그리고 접점 접속플랩(20)과 하우징 부재(4) 사이에, 내구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이 양호하며 절대적으로 확실한 탁월한 연결이 얻어질 수 있다.
전이 지점(16)으로부터 먼 쪽의 접점 접속플랩(20)의 단부는 하우징 부재(4)를 지나 돌출한다. 접점 접속플랩(20)의 이 단부는 삽입 핀(20a)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 핀(20a)은, 접점 접속플랩(20)의 이 단부에 자동차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삽입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삽입 결합부에는 전기 케이블이 위치된다. 그 케이블은 자동차의 전극과 연결되는데, 이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전기적 물질이다. 삽입 결합부의 삽입에 의해 케이블은 아주 용이하게 접점 접속플랩(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압력 밸브(2)가 삽입 설치되는 부재가 전기 비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도, 압력 밸브(2)와 하우징 부재(4) 및/또는 가스-접속부(10, 10')가 일정한 전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접점 접속플랩(20)은 연결물질(24)을 통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또한 내구적으로 견고하게 가스 접속부(10, 10') 및 하우징 부재(4)와 연결된다. 연결물질(24)은 접점 접속플랩(20), 하우징 부재(4) 및 가스-접속부(10, 10') 사이에 확실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가스-접속부(10, 10') 또는 하우징 부재(4)가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도, 접점 접속플랩(20)과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다른 부재, 하우징 부재(4) 및 가스-접속부(10, 1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은 여전히 보장된다.
연결물질(24)이 적당히 열이 가해져 유동화되면 이 물질은 연결할 부재들 사이의 틈 안으로 유입한다. 연결물질(24)은 큰 영역을 통해 부재들 사이의 틈으로, 즉 접점 접속플랩(20), 하우징 부재(4) 및 가스-접속부(10, 10') 사이의 틈으로 유입하기 때문에, 접점 접속플랩(20)으로 인해, 추가 비용 없이 개구(18)의 영역에 있어 하우징 부재(4)의 기계적 보강 및 하우징 부재(4)와 가스-접속부(10, 10') 사이 연결의 보강도 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된 부재들로 된, 가스-접속부(10, 10')와 하우징 부재(4)로 조립한다. 그러나 사용시, 처음부터 가스-접속부(10, 10')와 하우징 부재(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변형예의 경우, 하우징 부재(4)가 가스-접속부(10, 10')로 전이하는 전이 지점(16)에 접점 접속플랩(20)을 배치하고 연결물질(24)로 고정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 변형예에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전이 지점(16)에서 접점 접속플랩(20)과 하우징 부재(4) 사이 내지 접점 접속플랩(20)과 압력 밸브(2) 사이에 아주 양호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바람직하게 선정된 특히 유리한 추가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점 접속플랩(20)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는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홈(26)은 도 1에 도시된 관통구멍(22) 대신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미리 가스-접속부(10)를 하우징 부재(4)의 개구(18) 내에 삽입하고 그런 후 가스-접속부(10)의 융기부(10a)를 고려할 필요 없이 접점 접속플랩(20)를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하우징 부재(4), 연료 유입-접속부(6), 연료 유출-접속부(8) 및 전이 지점(16)에서 하우징 부재(4)와 연결되어 있는 가스-접속부(10, 10')를 구비한, 자동차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밸브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접점 접속플랩(20)이 배치되고, 이 접점 접속플랩(20)은 전이 지점(16)에서 전기 전도성 연결물질(24)에 의해 압력 밸브(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접속부(10, 10')는 연결물질(24)을 통해 하우징 부재(4)와 압력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접속플랩(20)은 관통구멍(22)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접속부(10, 10')는 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관은 관통구멍(22)을 통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접속플랩(20)은 홈(26)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접속부(10, 10')는 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관은 홈(26)을 통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4)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접속부(10, 10')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물질(24)은 땜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접속플랩(20)은 전기적 삽입 연결부의 삽입 핀(20a)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밸브(2)는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연료 분배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밸브.
KR1020017013715A 2000-02-29 2001-02-26 압력 밸브 KR20020005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9592.5 2000-02-29
DE10009592A DE10009592A1 (de) 2000-02-29 2000-02-29 Druckventil
PCT/DE2001/000729 WO2001065108A1 (de) 2000-02-29 2001-02-26 Druck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015A true KR20020005015A (ko) 2002-01-16

Family

ID=763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715A KR20020005015A (ko) 2000-02-29 2001-02-26 압력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57647A1 (ko)
EP (1) EP1177377A1 (ko)
JP (1) JP2003525391A (ko)
KR (1) KR20020005015A (ko)
DE (1) DE10009592A1 (ko)
WO (1) WO20010651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98B1 (ko) * 2006-12-04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한 평판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938A (en) * 1971-12-23 1974-06-04 Fischer & Porter Co Electrode holder for electromagnetic flowmeters
GB1586254A (en) * 1977-06-22 1981-03-18 Lucas Industries Ltd Fuel injection nozzle unit for supply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28264A (en) * 1986-10-10 1988-03-01 Walbro Corporation Fuel delivery system with pressure-controlled electric pump
US5133323A (en) * 1991-06-25 1992-07-28 Siemens Automotive L.P. Intake manifold pressure compensation for the closed-loop pressure regulation of a fuel pump
US5337718A (en) * 1992-06-02 1994-08-16 Walbro Corporatio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with heat-pressure response
US5579739A (en) * 1994-01-14 1996-12-03 Walbro Corporation Returnless fuel system with demand fuel pressure regulator
JP3834797B2 (ja) * 1994-12-28 2006-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DE19526524A1 (de) 1995-07-20 1997-01-23 Pierburg Ag Brennstoffdruckregel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712155A1 (de) 1997-03-22 1998-09-2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724165A1 (de) * 1997-06-07 1998-12-10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anordnung zum Halten eines Aggregats an einem Körper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838555A1 (de) * 1997-08-30 1999-03-04 Mannesmann Vdo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Kraftstoffbehälter
DE19813204A1 (de) * 1998-03-25 1999-09-30 Bosch Gmbh Robert Flansch eines Kraftstoff-Fördermoduls und Kraftstoff-Fördermodu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998B1 (ko) * 2006-12-04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한 평판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25391A (ja) 2003-08-26
EP1177377A1 (de) 2002-02-06
WO2001065108A1 (de) 2001-09-07
DE10009592A1 (de) 2001-08-30
US20020157647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7132B (zh) 电加热器、加热装置和加热***
EP1304477B1 (en) Multi-point fuel injection module
US6109543A (en) Method of preheating fuel with an internal heater
US6102303A (en) Fuel injector with internal heater
KR0185732B1 (ko) 전자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
JP2583550B2 (ja) 電磁作動式燃料噴射弁を電気的に接点接続する装置
JP2006513353A (ja) 電気コネクタを備えた燃料インジェクタ
US6543137B1 (en) Method for mounting a valve module of a fuel injector
JP4335450B2 (ja) 燃料噴射弁
KR20020005015A (ko) 압력 밸브
JP2004518051A (ja) 燃料噴射器が燃料レールの内側に固着された燃料システム
US4482093A (en) Fuel injection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854267B2 (ja) 内燃機関の筒内燃料噴射装置
CN106948988B (zh) 用于计量流体的阀
JP3999733B2 (ja) 内燃機関の筒内燃料噴射装置
JP3854266B2 (ja) 内燃機関の筒内燃料噴射装置
JP3436198B2 (ja) 燃料噴射弁
JP3944158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2019105162A (ja) ケースの接合構造
JP3901682B2 (ja) 内燃機関の筒内燃料噴射装置
JP3975193B2 (ja) 内燃機関の筒内燃料噴射装置
EP0801222A1 (en) Automatic choke apparatus for engine
JP4042976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EP1780402B1 (en) Connector, connector-actor unit, inj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actor to the injector
EP2107234A1 (en) Actuator arrangement and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