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804Y1 -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 Google Patents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804Y1
KR200181804Y1 KR2019970031915U KR19970031915U KR200181804Y1 KR 200181804 Y1 KR200181804 Y1 KR 200181804Y1 KR 2019970031915 U KR2019970031915 U KR 2019970031915U KR 19970031915 U KR19970031915 U KR 19970031915U KR 200181804 Y1 KR200181804 Y1 KR 200181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element
smoke
light receiving
main body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642U (ko
Inventor
윤현
Original Assignee
최만형
동방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형, 동방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만형
Priority to KR2019970031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8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8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할 때 일어나는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기집진구조를 이루기 위해 연기집진실(암상자)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에 장착되어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수광소자의 결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해 부메랑 형태로 돌출하여 빗살막(21)을 형성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의 본체(2)와, 상기 본체에는 4개의 절결편(41,41,42,42)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용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22)과, 상기 수납실(22)의 바닥에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이 인출되어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과,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연기집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의 저부에는 빗살막(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형성한 돌출돌기(51)와, 상기 본체(2)에 수광소자(3)를 수납하는 수납실(22)의 바닥에는 사각형으로 천공된 창구멍(24)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실(22)에 수납되는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의 리드선(31)과 고정핀(43)을 직접 회로기판(1)에 천공된 리드선 삽입공(11)과 통공(12)으로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연기집진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수납실에 수납되는 수광소자의 리드선과 센서커버의 고정핀이 본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회로기판에 삽입 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조립이 빠르고, 수광소자를 감싸는 센서커버가 벌어지지 않으면서 수광소자를 일체로 감싸주기 때문에 전자파를 방지 하는데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할 때 일어나는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기집진구조를 이루기 위해 연기집진실(암실)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에 장착되어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수광소자의 결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연기집진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해 부메랑 형태로 돌출하여 빗살막(21)을 형성하고 있는 연기감지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빗살막(21) 주위에 수광소자(3)를 삽입하기 위한 수납실(22)과, 상기 수납실(22)의 바닥인 본체(2)에는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이 인출되어 회로기판(1)에 천공된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기 위해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과, 상기 본체(5)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광소자(3)를 회로기판(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수광소자(3)를 연기감지 본체(2)의 빗살막(21) 주위에 형성된 수납실(22)에 넣어서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을 본체(2)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으로 인출한 다음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여 리드선(31)을 회로기판(1)에 납땜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수광소자(3)를 고정하기 위해서 항상 리드선(31)을 본체(2)에 천공된 2개의 가느다란 리드선인출공(22)과 또한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인출 및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 저하 즉 돌출된 수납실(22)에 삽입이 되면 가느다란 2개의 리드선 인출공(23)이 잘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을 인출시키는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은 물론 수광소자(3)가 회로기판(1)에 납땜하여 고정될 때에도 그 결합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또한 리드선(31)의 높낮이가 잘 맞지 않게 결합 되는 문제가 있어 본체(1)에 뚜껑(5)을 제대로 결합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수광소자(3)는 전자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4)에 의해 감싸여져 있다. 상기 커버(4)는 수광소자(3)를 감싸주기 위해 4개의 절결편(41,41)(42,42)에 의해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커버(4)에 의해서 수광소자(3)를 감싸게 되면 절결편(41,41)(42,42)들이 자주 벌어지게 되어 수광소자(3)가 분리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래서 전자파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커버(4)의 내부에 삽입이 되더라도 커버(4)는 수광소자(3)를 고정시켜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수광소자(3)는 자유자재로 커버(4)내에서 슬라이드되거나 노출됨은 물론 회로기판(1)과 결합시 커버(1)에서 분리되므로 회로기판(1)과의 결합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수광소자는 리드선이 암실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에 천공된 가느다란 2개의 리드공을 통하지 않고 직접 회로기판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에 수광소자의 리드선을 결합한후 본체를 결합함으로서 간단하고 빠르게 삽입하여 납땜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광소자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감싸주고 있는 커버가 항상 수광소자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줌은 물론 커버가 벌어져서 수광소자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부메랑 형태로 돌출하고 있는 빗살막에 의해 암실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에 뚜껑을 고정되게 덮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전식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로서,
(a)는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b)는 수광소자를 감싸고 있는 센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c)는 본체에 암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d)는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회로기판 2. 본체
3. 수광소자 4. 센서커버
5. 뚜껑 11. 리드선삽입공
22. 수납실 24. 창구멍
25. 암실 31. 리드선
41, 42. 절결편 44. 걸림돌기
45. 돌기(엠보싱) 51. 돌출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해 부메랑 형태로 돌출하여 빗살막(21)을 형성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의 본체(2)와, 상기 본체에는 4개의 절결편(41,41,42,42)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용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22)과, 상기 수납실(22)의 바닥에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이 인출되어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과,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연기집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의 저부에는 빗살막(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형성한 돌출돌기(51)와, 상기 본체(2)에 수광소자(3)를 수납하는 수납실(22)의 바닥에는 사각형을 천공한 창구멍(24)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실(22)에 수납되는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의 리드선(31)과 고정핀(43)을 직접 회로기판(1)에 천공된 리드선 삽입공(11)과 통공(12)으로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광소자(3)를 감싸기 위해서 고정핀(43)이 형성된 폭이 좁은 2개의 절결편(41,41)과 폭이 넓은 절결편(42,42)을 형성하고 있는 커버(4)는 상기 폭이 좁은 절결편(41,41)의 양측에 걸림돌기(44,44)를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절결편(42,42)에는 각각 하나 또는 두 개가 엠보싱으로 돌기(45)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광전식 연기집진장치는 실내의 천정 등에 부착시켜 실내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나오는 연기를 감지하여 별도의 경보장치를 작동케 하는 연기감지장치의 연기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회로기판(1)에 연기감지구조를 결합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연기유도관으로 안내시켜 연기감지구조내의 암실(25)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빛이 암실(25)내로 들어온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적외선 수광다이오드(26)에 수광되도록 하여 화제경보장치를 작동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고안의 연기집진구조를 살펴보면 연기감지 본체(2)에 형성된 수납실(22)에는 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가 수납하게 된다. 이때 수납실(22)에 수납된 수광소자(3)는 그 리드선(31)이 수납실(22)의 바닥을 통해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이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수납실(22)의 바닥에는 직사각형의 창구멍(24)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납실(22)에 창구멍(24)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을 종전과 같이 수납실(22)의 바닥에 가느다라게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으로 삽입하여야 하는 폐단을 줄이게 된 것이다. 즉, 창구멍(24)이 크게 천공되어 있으므로 센서커버(4)에 의해 감사여진 수광소자(3)의 리드선(31)과 고정핀(43)이 직접 본체(2)에서 인출되기 때문에 인출된 수광소자(3)의 리드선(31)과 센서커버(4)의 고정핀(43)은 직접 회로기판(1)에 형성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과 2개의 통공(12)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로기판(1)과 본체(2)는 후크식으로 결합이 된다.
여기서 상기의 설명은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를 본체(2)에 형성된 수납실(22)에 넣어서 회로기판(1)과 직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설명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를 직접 회로기판(1)과 결합시킨후 본체(2)를 회로기판(1)과 후크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수광소자(3)는 본체(2)의 수납실(22) 바닥에 천공된 창구멍(24)으로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광소자(3)를 회로기판(1)에 결합함에 있어서 리드선(31)의 높낮이가 일치하도록 조절이 됨과 동시에 일체로 쉽게 고정이 되므로 수광소자(3)의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광소자(3)를 감싸고 있는 커버(4)는 4개의 절결편(41,41)(42,42)으로 형성되어서 폭이 좁은 절결편(41,41)의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핀(43,43)은 회로기판(1)에 천공된 통공(12)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커버(4)는 수광소자(3)를 일체로 감싸기 위해서 폭이 넓은 절결편(42,42)의 면부에는 엠보싱처리된 각각의 돌기(45)에 의해 커버(4)내로 삽입이 되면 돌기(45)에 걸리게 되므로 커버(1)내에서 슬라이드 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또한 폭이 넓은 절결편(42,42)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폭이 좁은 절결편(41,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44,44)가 폭이 넓은 절결편(42,42)을 양측에서 잡아주게 되므로 4개의 절결편(41,41)(42,42)은 서로 일체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4개의 절결편(41,41)(42,42)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서 커버(4)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커버(4)는 수광소자(3)를 고정되게 감싸주게 되므로 수광소자(3)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기집진장치의 본체(2)에 암실(25)을 형성하기 위해서 원주형으로 돌출된 빗살막(21)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하여 뚜껑(5)의 저면에 형성된 원주형의 돌출돌기(51)가 빗살막의 내경에 끼워지게 되므로 뚜껑(5)은 암실(25)에 일체로 결합이 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기집진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수납실에 수납되는 수광소자의 리드선과 센서커버의 고정핀을 본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회로기판에 삽입 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조립이 빠르고, 수광소자를 감싸는 센서커버가 벌어지지 않으면서 수광소자를 일체로 감싸주기 때문에 전자파를 방지 하는데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외부의 광을 차단하기 위해 부메랑 형태로 돌출하여 빗살막(21)을 형성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의 본체(2)와, 상기 본체에는 4개의 절결편(41,41,42,42)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용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22)과, 상기 수납실(22)의 바닥에 수광소자(3)의 리드선(31)이 인출되어 회로기판(1)에 천공된 2개의 리드선삽입공(11)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천공된 2개의 리드선인출공(23)과,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연기집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덮는 뚜껑(5)의 저부에는 빗살막(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형성한 돌출돌기(51)와, 상기 본체(2)에 수광소자(3)를 수납하는 수납실(22)의 바닥에는 사각형으로 천공된 창구멍(24)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실(22)에 수납되는 센서커버(4)에 의해 감싸여진 수광소자(3)의 리드선(31)과 고정핀(43)을 직접 회로기판(1)에 천공된 리드선 삽입공(11)과 통공(12)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3)를 감싸기 위해서 고정핀(43)이 형성된 폭이 좁은 2개의 절결편(41,41)과 폭이 넓은 절결편(42,42)을 형성하고 있는 커버(4)는 상기 폭이 좁은 절결편(41,41)의 양측에 걸림돌기(44,44)를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절결편(42,42)에는 각각 하나 또는 두개가 엠보싱으로 돌기(45)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집진장치의 연기집진구조.
KR2019970031915U 1997-11-12 1997-11-12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KR200181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15U KR200181804Y1 (ko) 1997-11-12 1997-11-12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15U KR200181804Y1 (ko) 1997-11-12 1997-11-12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42U KR19990018642U (ko) 1999-06-05
KR200181804Y1 true KR200181804Y1 (ko) 2000-06-01

Family

ID=1951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915U KR200181804Y1 (ko) 1997-11-12 1997-11-12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8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42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885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3370032B2 (ja) 光電式煙感知器及び検煙部アッセンブリィ
CA1242257A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2005530256A (ja) 散光型煙警報器
US4584485A (en) Optical block in smoke detectors
GB2199941A (en) Scattered-light smoke detector
US5670947A (en) Light scattering smoke sensor
JP2008242627A (ja) 光電式煙感知器
SE9003022L (sv) Fotoelektrisk roekdetektor
KR200181804Y1 (ko) 광전식 연기감지장치의 연기집진구조
KR900005431A (ko) 테이프카세트
WO2018230225A1 (ja) 警報装置
JP3710111B2 (ja) 飛翔昆虫検知装置
JP3979032B2 (ja) 火災感知器
JP3338612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3035458B2 (ja) 光電式煙感知器
DE50302705D1 (de) Vorrichtung mit Gehäuse, mindestens einem Leistungsschalter und mindestens einer Steckeraufnahme
JP2010086378A (ja) 光電式煙感知器
JP3766912B2 (ja) 火災感知器
JP3032443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3338609B2 (ja) Ledホルダー、光学基台及びこれらを用いた光電式煙感知器
JP5153709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H0639438Y2 (ja) 光電式煙感知器
CN216253472U (zh) 一种可与86盒共用的烟雾报警器
JPS5829559B2 (ja) 光電式煙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