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340Y1 -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 Google Patents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340Y1
KR200174340Y1 KR2019970011038U KR19970011038U KR200174340Y1 KR 200174340 Y1 KR200174340 Y1 KR 200174340Y1 KR 2019970011038 U KR2019970011038 U KR 2019970011038U KR 19970011038 U KR19970011038 U KR 19970011038U KR 200174340 Y1 KR200174340 Y1 KR 200174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abric
plate
wove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585U (ko
Inventor
김서곤
Original Assignee
김서곤
주식회사솔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곤, 주식회사솔고 filed Critical 김서곤
Priority to KR2019970011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3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보호판의 접착력을 높이고 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가 생략되어 직조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발열선이 씨줄 또는 날줄에 직조된 직물 발열판과, 상기한 직물 발열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가열 압착되고 외부와의 절연과 열전달을 행하는 한쌍의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상 발열체를 제공한다.
직물 발열판에 직조되는 복수의 발열선을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발열선 묶음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한다.

Description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본 고안은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 발열판의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를 생략하여 보호판의 접착력을 높이고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열선을 소정의 묶음씩 직렬로 연결하여 발열 효율을 높인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한 발열체는 전기난로나 전기곤로 또는 가열로 등에 사용되는 소정 굵기의 저항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상 발열체와 전기담요나 침대 또는 온열치료기 등에 사용되는 소정 두께 이하의 저항선으로 이루어지는 면상 발열체가 있다.
상기한 면상 발열체는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된 흑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방식과, 가는 저항선을 나선형으로 감은 발열선을 씨줄 또는 날줄로 사용하여 직조한 직물 발열판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한 직물 발열판(2)은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섬유(천연섬유나 합성섬유)가 일정한 간격으로 씨줄(6)과 날줄(8)로 촘촘하게 직조되고, 가는 저항선(12)인 니크롬선을 소정의 섬유에 나선형으로 감은 복수의 발열선(10)을 전류를 인가하는 인입선(4)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씨줄 또는 날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직조한다.
상기한 소정의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나 그라스얀 등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직물 발열판(2)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열을 가하면 용융되어 밀착되고 절연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형성된 한쌍의 보호판을 배치하여 상기한 보호판을 가열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한다.
상기한 보호판은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상 발열체는 인입선(4)을 통하여 발열선(10)의 저항선(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저항선(12)에서 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소정의 섬유와 보호판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면상 발열체는 직물 발열판(2)의 씨줄(6)과 날줄(8)이 촘촘하게 직조되므로 씨줄(6)과 날줄(8)의 틈새 사이로 가열 압착되는 보호판이 용융되어 밀착되는 면적이 작아 보호판 서로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면상 발열체는 발열선(10)의 저항선(12) 모두를 병렬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인 합성저항값을 어느 일정 한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저항선(12)이 어느 한부분에 조그마한 흠집이라도 발생되면 그 부분의 저항값이 높아져서 국부과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 발열판의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를 생략하여 보호부재의 접착력을 높이고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열선을 소정의 묶음씩 직렬로 연결하여 발열 효율을 높인 면상 발열체 및 발열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면상 발열체는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가 생략되어 직조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발열선이 씨줄 또는 날줄에 직조된 직물 발열판과, 상기한 직물 발열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가열 압착되고 외부와의 절연과 열전달을 행하는 한쌍의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직물 발열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직조되는 발열선은 소정의 섬유에 저항선을 나선형상으로 감아 형성하고, 복수의 발열선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형성하고 상기한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의 면상 발열체에 의하면, 직물 발열판을 이루는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를 생략하여 직조하므로 가열 압착되는 한쌍의 보호판이 용융되어 접착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착력이 커지고 일정하게 압착되어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며, 복수의 발열선이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하므로 발열 면적이 큰 경우에도 발열 효율이 높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물 발열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상세도.
도 5는 도 3의 C부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직물 발열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저항선의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종래 직물 발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D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직물 발열판 22:발열선 23:저항선 24:인입선
26:씨줄 28:날줄 29:접착공간 32:보호판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26)과 날줄(28)이 직조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26)의 일부가 생략되어 직조되며 소정의 패턴으로 발열선(22)이 날줄에 직조된 직물 발열판(20)과,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가열 압착되고 외부와의 절연과 열전달을 행하는 한쌍의 보호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에 소정의 패턴으로 직조되는 발열선(22)은 소정의 섬유에 저항선(23)을 나선형상으로 감아 형성한다.
상기한 저항선(23)은 텅스텐 합금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지름이 대략 0.05㎜ 정도인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직물 발열판(20)을 형성하는 씨줄(26)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날줄(28)의 일부를 생략하여 직조하여도 좋고, 씨줄(26)과 날줄(28)의 일부를 생략하여 직조하여도 좋다.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을 형성하는 씨줄(26) 또는 날줄(28)에 사용되는 소정의 섬유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소정의 섬유로는 대략 20수 4합의 합성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그라스얀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에는 발열선(22)의 저항선(23)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입선(24)이 양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한 인입선(24)은 구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지름이 대략 0.08㎜ 정도인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인입선(24)에는 외부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25)이 연결된다.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에 있어서는 씨줄(26) 또는 날줄(28)의 일부(예를 들면, 소정의 간격으로 1∼3가닥의 씨줄 또는 날줄)를 생략하여 직물 발열판(20)의 양쪽에서 가열 압착시키는 보호판(32)이 용융되어 접착되는 소정의 넓이로 다수의 접착공간(29)을 형성한다.
상기한 보호판(32)은 절연성과 열전달율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직물 발열판(20)의 일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26)과 날줄(28)이 직조되어 형성되고, 씨줄(26) 또는 날줄(28)에 소정의 패턴으로 직조되는 복수의 발열선(22)을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발열선 묶음(R1), (R2), (R3), (R4), (R5), (R6)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복수의 발열선 묶음(R1), (R2), (R3), (R4), (R5), (R6)을 서로 직렬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보호판(32)을 배치하여 가열 압착할 때에 씨줄(26) 또는 날줄(28)의 일부를 생략하여 직조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접착공간(29)으로 보호판(32)이 용융되어 접착되므로 접착력이 크고 밀착이 잘 이루어지므로 열의 발산 효율이 높게 유지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상기한 직물 발열판(20)의 인입선(24)에 연결된 접속선(25)을 전원에 접속시키면, 상기한 발열선(22)의 저항선(23)에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씨줄(26)과 날줄(28)을 형성하는 소정의 섬유와 상기한 보호판(32)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에 의하면, 직물 발열판을 이루는 씨줄 또는 날줄의 일부를 생략하여 직조하므로 접착공간이 형성되어 가열 압착되는 한쌍의 보호판이 용융되어 접착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착력이 커지고 일정하게 압착되어 표면이 고르게 형성된다.
또 복수의 발열선을 병렬로 연결하여 형성한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하므로 발열선을 모두 병렬로 연결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을 얻을 수가 있고 발열 효율이 높다.
그리고 병렬로 연결하는 발열선의 수와 직렬로 연결하는 발열선 묶음의 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의 합성저항값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발열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발열선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발열선의 저항선에 흠집이 발생하여도 전체 합성저항값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국부과열이 발생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열이 이루어진다.

Claims (6)

  1.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의 일부가 생략되어 직조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발열선이 날줄에 직조된 직물 발열판과, 상기한 직물 발열판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가열 압착되고 외부와의 절연과 열전달을 행하는 한쌍의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상 발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물 발열판은 소정의 간격으로 1∼3가닥의 씨줄을 생략하여 상기한 보호판이 용융되어 접착되는 접착공간을 형성하는 면상 발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물 발열판에 직조되는 복수의 발열선을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발열선 묶음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한 면상 발열체.
  4. 소정의 패턴으로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과 날줄이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씨줄의 일부가 생략되어 직조되고 상기한 날줄에는 소정의 패턴으로 발열선이 직조되는 직물 발열판.
  5. 제4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1∼3가닥의 씨줄을 생략하여 접착 공간을 형성하는 직물 발열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정의 패턴으로 직조되는 발열선은 일부를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발열선 묶음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복수의 발열선 묶음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물 발열판.
KR2019970011038U 1997-05-19 1997-05-19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KR200174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38U KR200174340Y1 (ko) 1997-05-19 1997-05-19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38U KR200174340Y1 (ko) 1997-05-19 1997-05-19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85U KR19980066585U (ko) 1998-12-05
KR200174340Y1 true KR200174340Y1 (ko) 2000-04-01

Family

ID=1950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38U KR200174340Y1 (ko) 1997-05-19 1997-05-19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295B1 (ko) 2017-09-13 2018-08-23 주식회사 유니웜 카본사 패턴 공급수단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편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295B1 (ko) 2017-09-13 2018-08-23 주식회사 유니웜 카본사 패턴 공급수단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편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8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6612A (en) Net circuit type heating and warming equipment
CA1154489A (en) Heat-shrinkable cover sheet
TW200925344A (en) Electric heating fabric device
KR101484107B1 (ko) 전기 담요/카펫을 위한 가열 기구, 그의 제조 방법 및 가열 시스템
KR100491225B1 (ko) 탄소섬유사 발열직물과 이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면상발열체
KR200174340Y1 (ko) 면상 발열체 및 직물 발열판
JPH1140329A (ja) 面状発熱体
KR101162715B1 (ko) 카본 발열선을 이용한 발열시트
KR102304836B1 (ko)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3863A (ko)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JPH1197160A (ja) 面状発熱体
JPH0828094A (ja) 屋根用融雪シート
KR20240041698A (ko) 온열 매트
KR101269195B1 (ko) 도전사와, 이를 이용한 선상 발열원단
KR200412695Y1 (ko) 탄소섬유사와 도선과의 연결구조
KR200195313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온열매트
KR102012356B1 (ko) 전기절연 코팅된 발열선과 도전대가 결합물에 의해 접합된 구조의 직조발열체
CN219248090U (zh) 一种应用于电池制作过程中的碳纤维加热板
JPH0620316Y2 (ja) リ−ド線接続端子付織物状発熱体
CN209731599U (zh) 取暖垫
KR101890510B1 (ko) 전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8150A (ko) 전자계 차폐 기능을 갖는 면상 발열체
JPS6056369B2 (ja) プラスチツクシ−スケ−ブルの接続用補助テ−プ
RU2064733C1 (ru) Плоски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KR960005899Y1 (ko) 발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