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36B1 -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36B1
KR102304836B1 KR1020170169980A KR20170169980A KR102304836B1 KR 102304836 B1 KR102304836 B1 KR 102304836B1 KR 1020170169980 A KR1020170169980 A KR 1020170169980A KR 20170169980 A KR20170169980 A KR 20170169980A KR 102304836 B1 KR102304836 B1 KR 10230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heating element
fabric
heating pad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671A (ko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이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민 filed Critical 이창민
Publication of KR2019005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상 카본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발열 패드는 하부 원단; 상기 하부 원단층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원단;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부 부직포 사이에 샌드 위치된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 및 상기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열 패드는 선상 발열체를 사용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열의 분산성이 높아 개선된 국부 가열성을 가진다. 또한, 선상 발열체와 섬유 사이의 접합성이 좋아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Heating pad using a line-shaped carbon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상 카본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 원단에 부착해서 섬유 원단의 발열을 유도하는 카본 발열체는 크게 선상 발열체와 면상 발열체로 구분된다.
선상 발열체는 10 마이크론 직경의 가는 카본 섬유를 다발 형태로 묶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본 섬유의 직조 과정이 요구되는 면상 발열체에 비해서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면상 발열체에 비해서 발열 면적이 넓지 않아서, 섬유 원단에서 선상 발열체가 위치한 부위에서만 발열이 이루어지는 국소 발열 문제, 즉 섬유 원단이 전체적으로 따듯하지 않고, 선상 발열체가 있는 곳만 뜨겁고, 선상 발열체가 없는 곳은 차갑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상 발열체를 다발형태로 만들고 특수한 재질로 피복하여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피복체가 발열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선상 발열체와 원단의 접촉 면적이 좁아서 쉽게 탈착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주식회사 와룡 산업에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7-125114에서는 카본 섬유를 꼬아서 만든 선상 발열체를 따라서 용융상태의 핫멜트(hot melt)를 분사하여 선상 발열체를 섬유 원단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부착 내구성을 향상시키지만, 발열의 국소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선상 발열체는 수십 내지 수백 가닥의 마이크로 카본 섬유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 전선에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하게 연결되더라도 사용 중 쉽게 단락되는 문제가 남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한 발열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한 발열 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발열 균일성이 높은 발열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발열 균일성이 높은 발열 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발열 균일성이 높으며, 선상 발열체와 전원선의 결합 안정성이 높은 발열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상 발열체와 섬유 원단과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발열 균일성이 높으며, 선상 발열체와 전원선의 결합 안정성이 높은 발열 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패드는
하부 원단;
상기 하부 원단층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원단;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부 부직포 사이에 샌드 위치된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 및
상기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섬유 원단의 내측에 부착된 부직포가 탄소 섬유의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하고, 부직포로의 열전달을 야기하여, 국소 가열을 완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들은 1-50㎛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5-40㎛의 직경,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의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탄소 섬유들, 바람직하게는 500~3000 가닥,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가닥,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2,000 가닥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탄소 섬유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들은 국소 가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전선과 연결되는 부위에서만 다발을 이루며, 다른 부위에서는 다발로 묶이지 않고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는 양단에서 각각 하나의 전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탄소 섬유들이 전선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성 페이스트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이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은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들은 방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되고 길고 납작하게 연장된 얇은 터널형 이층 필름으로 감싸질 수 있다. 터널형 필름은 선상 발명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전선에서부터 타단이 연결되는 전선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들과 전선을 연결하는 전도성 페이스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하부 부직포와 상부 부직포 사이에 샌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선들의 타단은 휴대용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패드는 방수를 위해서 원단의 상하면에 추가로 방수천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잭의 침수를 막을 수 있도록 잭을 커버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패드의 외면에는 밸크로의 일측이 부착되어, 의복에 부착된 밸크로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의복에는 발열 패드가 부착되는 밸크로와, 밸크로에 부착된 발열 패드를 커버하는 커버와, 발열 패드에 연결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패드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써모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패드는 5V의 전압으로 1~2 암페어의 전류를 이용해서 발열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하부 원단의 일면에 하부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부직포 위에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를 부착하고,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전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선상 발열체가 샌드위치 되도록 하부 부직포 위에 상부 부직포를 덮어서 부착하는 단계; 및
상부 부직포 위에 상부 원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 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와 전선의 연결은 선상발열체의 양단에서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은을 함유한 전도성 페이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직포와 원단의 부착은 멜팅 파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와 선상 발열체의 부착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열 패드는 선상 발열체를 사용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열의 분산성이 높아 개선된 국부 가열성을 가진다. 또한, 선상 발열체와 섬유 사이의 접합성이 좋아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분 AA'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발열 패드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패드를 의복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하부 모직 위에 하부 부직포를 덧대고 모직 위에 폴리에스터 혹은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80~200마이크로미터의 파우더를 고루 뿌려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0.1t )
도 6은 하부 부직포 위에 폴리에스터 혹은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80~200마이크로미터의 비드타입의 접착제를 고루 뿌려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0.1t )
도 7은 부직포 위에 폴리우레탄(100마이크로미터)필름을 배열한 사진이다.
도 8은 다수의 탄소(카본)필라멘트 다발의 양끝단에 도전성 수지도료를 도포시켜 각각의 필라멘트에 전류가 고르게 흐르게 하여 발열성능을 극대화 시키는 사진이다.
도 9는 다수의 탄소(카본)필라멘트 다발의 도전성 수지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양끝단과 DC 입력단의 +와 -를 필라멘트와 결합시키고 절연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상부 부직포(폴리프로필렌계열의 흑색시트)를 덮고 그 위에 동일한 파우더를 뿌려준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상부 원단(모직)을 포개어 놓고 110~130℃의 온도를 모직 위에 골고루 가한 상태를 나태는 사진이다.
도 12는 완성된 발열 패드에 내부에 폴리우레탄 코팅이되어 있는 방수원단을 쌓고 그 외부에 고주파로 가공하여 내수성을 갖도록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선상 발열체가 터널형 필름 봉지재에 둘러싸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는 터널형 필름봉지재에 둘러싸인 선상발열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평면도, (b) 선분AA'에 따른 단면도
하기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발열 패드(100)는 하부 원단(110)과, 상기 하부 원단(100)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부직포(120)과, 상기 하부 부직포(1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30)와, 상기 상부 부직포(13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원단(140)과, 상기 하부 부직포(120)와 상부 부직포(130) 사이에 샌드 위치된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150)과, 하부 부직포(120)와 상부 부직포(130) 사이에서 샌드 위치되어 선상 발열체(150)의 양단에 연결되는 전선(160)들로 이루어진다.
하부 섬유 원단(110)과 상부 원단(140)은 모직을 사용하였으며, 하부 부직포(120)과 상부 부직포(130)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선상 발열체(150)은 약 1800가닥의 동일한 길이의 탄소 섬유(15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소 섬유는 거의 100% 탄소원자로 구성된 무기섬유로「미세한 흑연 결정 구조를 가진 섬유상의 탄소 물질」을 말한다. 즉, 프리커서(precursor)라 불리는 전 단계 섬유를 소성하여 탄소만을 남기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PAN계탄소 섬유이다. 약 5㎛의 직경을 가지며, 10-1~10- 2Ωㆍcm의 전기 비저항을 갖는다. 선상 발열체(150)의 양단에는 은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152)를 통해서 전선(160)과 연결된다.
하부 섬유 원단(110)과 하부 부직포(120) 사이에는 접합층(170)이 형성된다. 접합은 하부 섬유 원단(110)의 표면에 폴리에스터 혹은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80~200마이크로미터 직경의 접착용 파우더를 고루 뿌려 도포한 후 프레스로 누르면서 가열하여 융착시켜 접합시킨다.
하부 부직포(120) 위에는 띠 형태로 절개된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융착용 폴리우레판 필름(171)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선상 발열체(150)의 양단에 전도성 페이스트나 전도성 수지 도료를 도포하고, 전선(160)을 연결한다. 추가로 접착용 파우더 가루를 도포한 후, 상부 부직포(130)을 덮어서 융착하여 접합층(170)을 형성하고, 상부 부직포(130) 위에 접착용 파우더 가루를 도포하고, 상부 섬유 원단(140)을 적층하고 접착시킨다. 상부 부직포(130)와 상부 원단(140) 사이에 접착층(170)이 형성된다.
선상 발열체(150)는 전선과 접하는 양단에서는 하나의 다발을 형성하지만, 양단 사이에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2~100개의 작은 다발로 나뉘어져 배열될 경우, 면상 발열체와 같이 발열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발의 높이가 낮아져 하부 부직포(120)와 선상 발열체(150)의 접합력과, 하부 부직포(120)와 상부 부직포(130)의 접합력이 개선된다.
발열 패드(100)에서 돌출된 전선은 배터리 플러그(230), 또는 배터리 연결용 USB 등에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에 연결된다. 배터리는 5V의 낮은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패드(100)을 세탁할 수 있도록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코팅이 되어 있는 방수포(180)를 접어서 발열 패드(100)를 사이에 넣고, 고주파를 이용해서 가열하여, 방수성 발열 패드(200)을 제조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성 발열 패드(200)의 일면에는 암 밸크로(210)가 부착되고, 의복(300)의 내면에는 수밸크로(310)이 형성되어 결합된다. 의복(300)의 내면에는 방수성 발열 패드(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하는 것을방지하도록 커버(320)가 형성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상 발열체(150)는 전선(160)에서부터 전선까지 투명한 PE 필름으로 이루어진 터널형 이중 필름(151) 내부를 통과하여 연결된다.
100: 발열 패드
110: 하부 원단
120: 하부 부직포
130: 상부 부직포
140; 상부 원단
150: 선상 발열체
160: 전선
170: 접합층

Claims (6)

  1. 하부 원단,
    상기 하부 원단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원단,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부 부직포 사이에 샌드위치된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 및
    상기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는 발열패드,
    여기서, 상기 하부원단, 하부부직포, 상부부직포와, 상부 원단사이에는 각각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선상 발열체는 1~50 ㎛의 직경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기 비저항이 10-1~10-2Ωㆍcm인 500~3,000가닥의 탄소 섬유들들이 2~100 개의 작은 다발로 나뉘어 배열되며, 상기 선상 발열체들의 양단과 전선은 전도성 페이스트를 통해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전선은 발열 패드 외부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발열패드의 상하면에 부착된 방수포와;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된 배터리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발열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은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연결되며, 상부 부직포와 하부 부직포 사이에서 융착성 필름에 의해서 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발열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발열체는 필름 봉지재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발열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성 발열 패드가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방수성 발열 패드를 덮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의복.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9980A 2017-11-15 2017-12-12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4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2176 2017-11-15
KR1020170152176 2017-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71A KR20190055671A (ko) 2019-05-23
KR102304836B1 true KR102304836B1 (ko) 2021-09-24

Family

ID=6668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80A KR102304836B1 (ko) 2017-11-15 2017-12-12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22B1 (ko) 2022-10-24 2023-07-13 최흥모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장치
KR102577307B1 (ko) 2022-10-24 2023-09-12 최흥모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87B1 (ko) * 2013-08-14 2015-07-28 광자에너지연구소(주) 면상 발열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94A (ja) * 1994-07-13 1996-01-30 Nichifu Co Ltd 屋根用融雪シート
KR20090020346A (ko) * 2007-08-23 2009-02-26 염한균 금속 섬유를 이용한 발열 매트
KR101102840B1 (ko) * 2010-01-28 2012-01-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방수, 투습, 및 제전성을 가진 면상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87B1 (ko) * 2013-08-14 2015-07-28 광자에너지연구소(주) 면상 발열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22B1 (ko) 2022-10-24 2023-07-13 최흥모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장치
KR102577307B1 (ko) 2022-10-24 2023-09-12 최흥모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71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36B1 (ko)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228562A1 (en) Heater sewn on clothes
US10863780B2 (en) Component for garment or textile product
KR101303186B1 (ko) 카본사 dc 전열시트
CN109309972A (zh) 一种柔性防水电热膜及其制备方法
TW200925344A (en) Electric heating fabric device
KR20110053864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KR101231918B1 (ko) 전열시트 제조방법
CN209949459U (zh) 一种石墨烯发热膜,及基于该发热膜的衬衣
KR101162715B1 (ko) 카본 발열선을 이용한 발열시트
CN205610952U (zh) 可水洗的远红外线电热布
KR102194580B1 (ko) 에어로젤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복합재
US8592725B1 (en) Taped sealed heating system for low voltage heated garments
CN206413207U (zh) 一种保温发热片及含其穿戴衣物或潜水服装
KR20190002113U (ko) 금속나노와이어 코팅 발열시트 전극구조
KR20110053863A (ko)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KR102098314B1 (ko) 발열 매트리스 패드의 제조 방법
KR20130126556A (ko) 발열사 및 이를 이용한 방한용 패드 및 이에 적용되는 발열사 접속 기판
CN203968412U (zh) 耐弯折加热片
KR102012356B1 (ko) 전기절연 코팅된 발열선과 도전대가 결합물에 의해 접합된 구조의 직조발열체
CN212970144U (zh) 一种可水洗直流安全电压电热毯
CN213244383U (zh) 低压石墨烯电热毯
RU25133U1 (ru) Гибки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KR102116632B1 (ko)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CN208971831U (zh) 一种柔性恒温发热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