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846A -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846A
KR20010113846A KR1020017011950A KR20017011950A KR20010113846A KR 20010113846 A KR20010113846 A KR 20010113846A KR 1020017011950 A KR1020017011950 A KR 1020017011950A KR 20017011950 A KR20017011950 A KR 20017011950A KR 20010113846 A KR20010113846 A KR 2001011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re
lever
locking system
eccentric lever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울 크로이첸베크
Original Assignee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페슐레거
Publication of KR2001011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로 작동가능한 폐쇄 실린더(10)를 갖는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폐쇄 실린더(10)가 릴리스 위치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폐쇄 실린더(10)는 편심 레버(30)에 의해 폐쇄 부재에 작용한다. 편심 레버(30)에 대해 양축 방향으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가 배치되며,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와 편심 레버(30)가 회전에 의해 결합될 때, 양 레버는 보호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위치에서 폐쇄 부재는 작동되지 않는다. 실린더 코어(11)는 키에 의해 안전 위치로 계속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위치에서 편심 레버(30)는 블록킹되고 키가 실린더 코어(11) 내로 삽입되거나 실린더 코어(11)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높은 작동 안전을 달성하고 작동 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와 편심 레버(30) 사이에는 커플링 부재(55)가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55)는 보호 위치와 릴리스 위치에서 양 레버(30, 40)를 회전불가능하게 결합시키지만, 안전 위치에서는 분리된다. 또한 실린더 코어(11)와 편심 레버(30) 사이에는 커플 부재가 배치되는데, 상기 커플 부재는 실린더 코어의 역 회전시 편심 레버의 안전 위치로부터 부동작 위치로 리턴된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LOCKING FUNCTIONS IN THE REAR END OF A MOTOR VEHICLE}
서문에 제시된 방식의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편심 레버는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양 레버는 항상 동시에 회전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레버가 보호 위치에 존재할 경우 실린더 코어의 안전 위치에서는 작동 장애가 야기되지만, 이러한 작동 장애는 장치 외부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제거되어,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는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를 릴리스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 실린더 내에서 키를 실린더 코어 내로 삽입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적어도 방해하는 재밍(jamming)이 야기된다. 상기와 같은 재밍은 예컨대 키에 의해 제어되는 텀블러와 상기 텀블러에 배치된, 폐쇄 실린더 내부의 차단 채널 사이에 생성된다.
또한 공지된 로킹 장치에서 실린더 코어의 회전은 안전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한 쌍의 레버를 릴리스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해 매우 큰 각도값 이상을 요구하며,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 장치의 폐쇄 실린더가 처음으로 작동될 수 있다.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안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키는 부동작 위치를 넘어서서 실린더 코어가 릴리스 위치에 이를때까지 회전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키가 크게 회전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부적절하고 작동 안전이 손상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서문에 제시된 방식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장치 이외에도 자동차의 차문에는 고유의 폐쇄 부재들을 갖는 부가의 로킹 장치들이 있다. 상이한 장치들이 중심에서 서로 매칭되도록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는 개별 로킹 장치에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에 작용하여,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를 2개의 회전 위치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정상 작동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에 연결된 편심 레버는 이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 즉 관련 폐쇄 부재가 작동되지 않는 보호 위치로 이르게 되거나, 또는 폐쇄 부재가 작동되는 릴리스 위치로 이르게 된다.
로킹 장치는 종동부와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넌-포지티브하게 연결된 키로 작동가능한 실린더 코어를 갖는 폐쇄 실린더를 갖는다. 상기 종동부는 이미 언급된 편심 레버에 대해 양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키 작동 후에 실린더 코어를 자동으로 부동작 위치로 전환시키는 펄스 스프링이 제공되는데, 상기 부동작 위치는 보호 위치와 릴리스 위치의 사이에 놓여있다. 이와 같은 부동작 위치에서 키는 실린더 코어 내로 삽입되거나 실린더 코어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실린더 코어는 키에 의해 보호 위치를 넘어서서 놓여있는 안전 위치로 계속 회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안전 위치에서 편심 레버가 블록킹된다. 또한 안전 위치에서 키는 실린더 코어 내로 삽입되거나 실린더 코어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도 1은 도 2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부 조망도이고,
도 2는 장치의 폐쇄 실린더의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3은 교차선III-III을 따라 절단된,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4a+4b는 실린더 코어가 점으로 표시되어 있는, 교차선IV-IV을 따라 절단된, 2개의 상이한 위치에 있는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a+5b는 폐쇄 실린더는 정상 위치에 존재하지만, 관련 편심 레버는 폐쇄 부재에 대해 보호되거나 또는 릴리스된 위치를 갖는, 도 2의 교차선V-V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5c+5d는 폐쇄 실린더가 안전 위치에 있을 때, 도 5a 및 5b에 상응하는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6a+6b는 부품들이 도 5a 또는 5b의 위치에 존재할 경우, 교차선VI-VI을 따라 절단된,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6c+6d는 폐쇄 실린더 또는 부품들이 도 5c 또는 5d의 위치에 있을 경우, 도 6a 및 6b와 동일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된 작동 장애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높은 작동 안전을 갖는, 청구항 1항의 서문에 제시된 안전한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와 편심 레버 사이에는 하나의 커플링 부재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보호 위치 간의 정상적인 각도 영역 내에서의 키 회전이 부동작 위치를 거쳐 릴리스 위치에까지 이르게 될 경우 양 레버는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위치가 존재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는 양 레버가 분리된다. 안전 위치에서 나타나는 작동 장애는 발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가 풀어져서 편심 레버와 종동하지 않으면서 보호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폐쇄 실린더 내부에서는 재밍이 나타날 수 없다. 또한 실린더 코어와 편심 레버 사이에는 커플 부재가 배치되는데, 상기 커플 부재는 안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키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전에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가 릴리스 위치로 제공될 경우에 편심 레버와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 키는 조금 회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실린더 코어는 안전 위치로부터 나와 부동작 위치에까지 전환됨으로써, 그때까지 보호 위치에 있는 편심 레버가 릴리스 위치로 이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은 회전 각도는 매우 조작이 잘 되고 로킹 장치의 작동을 쉽게 만든다.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 및 장점들은 종속항, 하기의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킹 장치는 리어 플랩(rear flap)에 대한 폐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자동차의 뒤쪽에 존재한다. 로킹 장치에는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폐쇄 실린더(10)가 속하며, 상기 폐쇄 실린더(10)는 2개의 섹션(11, 12)으로 나누어진 실린더 코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코어(11, 12)는 고정된 하우징(13) 내에 지지되고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키에 의해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코어는 외부 섹션(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섹션(12)의 정면 단부는 보호 캡(14)을 가지며 키를 수용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폐쇄 채널(15)을 갖는다. 상기 실린더 코어의 외부 섹션(12)의 정면 단부는 보호 캡(14)에 의해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차체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여기서, 폐쇄 채널(15)은 접근하기 쉽다. 실린더 코어의 외부 섹션(12)에는 키에 의해 작동가능한 텀블러(16)가 배치되며, 상기 텀블러(16)의 위치는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상기 실린더 코어의 다른 섹션(11)은 외부 섹션(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섹션(11)은 자동차의 내부로 향하기 때문에, 상기 섹션(11)은 "내부 섹션"이라고 표기될 것이다. 상기 내부 섹션(11)은 양축 방향으로 상이하게 배치된 부품(20, 30, 40)을 지지한다. 실린더 코어의 양 섹션(11, 12) 사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과부하 커플링도 존재할 수 있다. 외부 섹션(12)에 정해진 한계치 보다 낮은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면, 양 코어 섹션(11, 12) 사이에는 회전 불가능한 연결이 존재한다. 따라서, 외부 섹션(12)의 키 회전에 의해 내부 섹션(11)이 동시에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침입 장구 등에 의해 이러한 한계치를 초과하는 회전 모멘트가 외부 섹션에 작용함으로써, 과부하 커플링은 내부 섹션(11)을 실린더 코어의 외부 섹션(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침입 장구에 의해 종동된 외부 섹션(12)은 하우징(14) 내에서 무부하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내부 섹션(11) 및 상기 내부 섹션(11)에 배치된 부품들(20, 30, 40)의 회전은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부품들에는 우선 실린더 코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방향 돌출부(21) 및 방사형 돌출부(22)를 갖는 종동부(20)가 속한다. 또한 축방향의 종동부 돌출부(21)의 옆에는 고정된 하우징 돌출부(75)가 존재한다. 상기 돌출부(21, 75)는 도 3의 단면에 대해 변위된 축방향 평면에 놓여있고 실린더 코어(11)의 주변에 놓인 펄스 스프링(25)의 양 아암(26, 2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펄스 스프링(25)에 의해 실린더 코어는 수직 선(50)으로 표시된 부동작 위치에 고정된다. 삽입된 키에 의해 실린더 코어(11)는 도 1의 선(51)으로 표시된 회전 위치 또는 선(51')으로 표시된 회전 위치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서 53 또는 53'로 표시된 관련 회전 각도는 동일하고 각각 55°에 놓이게 된다. 실린더 코어(11, 12)가 키에 의해 회전 위치(51 또는 51')로 제공되고나서, 키가 풀리게 되면, 실린더 코어(11, 12)는 펄스 스프링(25)에 의해 자동으로 부동작 위치(50)로 리턴된다. 이러한 회전(53, 53')을 가능하게 하고 제한하기 위해서, 도 3에 따른 하우징(13)은 창(29)에 제공되며, 상기 창(29)은 종동부 돌출부(22)용 단부 스토퍼(28, 28')를 갖는다.
이는 도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다. 단면상으로 볼 때 종동부(20)로부터 단지 하나의 축방향 종동부 핑거(23)만이 도시되며, 상기 종동부 핑거(23)는 2개의 방사형 쇼울더(24, 24')에 의해 제한된다. 도 5a에서 도 1의 위치(51)에까지의 회전 및 도 5b에서 실린더 코어(11)의 위치(51')에까지의 역 회전이 이루어질 지라도, 도 5a, 5b에서 종동부 핑거(23)는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여기서, 도 5a의 쇼울더(24) 및 도 5b의 쇼울더(24')는 상응하는 편심 레버(30)의 대향 쇼울더(34 또는 34')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편심 레버(30)는 장치의 부가의 부품이다.
상기 편심 레버(30)는 지지부(33)에 의해 실린더 코어(1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33)는 언급된 대향 쇼울더(34, 34')를 갖는다. 화살표(18) 방향으로 키가 회전함으로써 편심 레버(30)는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 이르게 되며, 상기 위치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되고 상기 위치의 상태는 보조선(31)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1 폐쇄 부재(45)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부가의 관련 폐쇄 부재가 작동되지 않는 위치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편심 레버(30)는 "보호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45)는 도 1의 가이드 로드(35)에서 이동가능한 시프트이며, 상기 시프트는 로드(35) 위에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대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폐쇄 부재(45)의 대향 위치에서 폐쇄 부재는 작동된다.
이에 반해 실린더 코어(11)가 키에 의해 화살표(18')로 표시된 대향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미리 언급된 쇼울더(24') 및 대향 쇼울더(34')는 상호 작용하고 편심 레버를 도 5b에 도시된 다른 위치(30')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위치(30')는 도 1에 파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위치(30')의 상태는 보조선(31')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폐쇄 부재(45)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위치에서 후속하는 폐쇄 부재가 작동된다. 따라서, 핸들 등의 작동에 의해 이 위치(30')에서 자물쇠가 열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30')는 편심 레버의 "릴리스 위치"로서 증명된다.
개방에 따른 장치의 부가의 부품은 도 6a에 따른 소위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이며,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측면은 이미 언급된 지지부(33)의 삽입하에서 지지부(43)와 함께 편심 레버(30)로부터 실린더 코어(11)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이미 언급된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의 구동 장치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로드에 의해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베어링 눈(42)에 고정된다.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아직 언급되지 않은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 또는 도 1에서는 실선으로 표시되고 보조선(41)으로 표시된, 키의 대향 회전(18')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다른 위치(40')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40')는 도 6b에 도시되고 보조선(41')으로 표시된다.
도 2에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지지부(43)에 의해 실린더 코어(11)의 내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단부에서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보호 링(19)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2 및 도 6a에 따르면 양 레버(30, 30)는 정상적인 방식으로 커플링 부재(55)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55)는 스프링 부하를 받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은 방사형 가이드(44) 내에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핀(55)은 폐쇄 실린더(11)의 축 방향으로 볼 때 2개의 부재(56, 57)로 나눠질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부재(56, 57)는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커플링 부재(56) 및 제어 부재(57)로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부재(56, 57)는 도 6a에 도시된 프로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양 레버(30, 40)의 지지부(43, 33)는 방사형 개구(36, 46)를 가지며, 상기 방사형 개구(36, 46)는 핀(55)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핀(55)은 스프링(58)에 의해 도 6a의 화살표(59)의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이를 통해, 핀(55)의 제어 부재(57)의 내부 단부는 실린더 코어(11)의 제어면(37)에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개선된 가이드를 위해 내부 단부는 제어 부재(57)에 의해 둥근형태로 형상화되며, 인접한 짧은 커플링 부재(56)의 내부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편심 레버(30)의 지지부(33)는 방사형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방사형 개구(46)는 핀(55)의 프로필 폭까지 지지부(43)에 의해 제한되며, 지지부(33) 내의 방사형 개구(36)의 폭은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양 핀 부재(56, 57)에 대해 상이한 내부 폭을 갖는다. 상기 방사형 개구(36)는 커플링 부재(56)의 영역에서 좁게 측정되기 때문에, 도 6a 및 6b에 도시될 수 있는 경우 양 레버(30, 40)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양 레버(30, 40)는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언급된 키 회전(18, 18')에 의해, 또는 이와 마찬가지로 언급된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에 의해 한편으로는 언급된 위치(30, 40) 사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위치(30', 40') 사이에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달성된, 후속하는 폐쇄 부재에 대한 폐쇄 부재(45)의 작동 위치 및 비작동 위치 때문에 선(31 또는 41)으로 표시된 양 레버(30, 40)의 위치는 "보호 위치"로서 증명되며, 선(31' 또는 41')으로 표시된 양 레버의 다른 위치(30', 40')는 이미 언급되었던 "릴리스 위치"이다.
편심 레버(30)의 지지부(33) 내에 제공된 단계화된 방사형 개구(36)는 핀(55)의 긴 제어 부재(57)의 영역 내에서 도 6a에 도시된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은 회전 단부 스토퍼(38, 38')로 제한된다. 상기 회전 단부 스토퍼(38, 38')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선(41, 41')으로 표시된 위치(40, 40') 간의 각도차(47)에 상응하여, 편심 레버(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며, 실린더 코어(11)는 도 1에서 보조선(52)으로 특징지워진 "안전 위치"에 존재한다.
도 1의 안전 위치(52)는 중간 위치(50)로부터 시작하여 실린더 코어(11)의 폐쇄 위치에 의해 각도값(54) 만큼 달성되며, 상기 각도값(54)은 이미 기술된 회전각(53) 보다 크다. 상기 각도값(54)은 본 발명의 경우 90°이다. 상기 각도값(54)은 도 4b의 횡단면도에 도시되며, 상기 횡단면도는 점선으로 도시된 실린더 코어(11)의 안전 위치(52)를 제시한다. 실린더 코어(11)의 부동작 위치(50)는 도 4a에 도시되며 도 4b에는 보조선(50)으로 마킹된다. 실린더 코어(11)의 직경 방향 채널(48)에는 스프링 및 2개의 볼(49)이 배치된다. 상기 볼(49)은 도 4a 및 4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스프링력에 의해 리세스(29 또는 29') 내에 방사형 외부로 삽입되며, 상기 리세스(29 또는 29')는 종동부(20)의 링형 개구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4a에 따른 정상적인 경우 및 도 4b에 따른 특수한 경우 우선 종동부(20)와 실린더 코어(11) 간의 넌-포지티브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동부의 링형 개구 및 실린더 코어(11)의 외부는 둥글지 않은 윤곽을 갖는다. 이를 통해, 도 4a의 정상적인 경우의 회전 스토퍼(39) 또는 도 4b의 특수한 경우의 다른회전 스토퍼(39')가 종동부(20)와 실린더 코어(11) 사이에서 작동한다.
도 4a의 정상적인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부(20)는 보조선(50)으로 표시된 부동작 위치로부터 화살표(18, 18')의 방향으로 도 1의 안전된 회전 위치 또는 릴리스된 회전 위치(51, 51')로 전환된다. 도 4a에서 볼 때, 양 부품(20, 11)은 함께 이동된다. 이는 우선 2개의 볼(49) 및 리세스(29) 간의 넌-포지티브한 연결때문에 생성된다. 그러나, 도 4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품들(20, 11) 간의 포지티브한 결합도 생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포지티브한 연결은 볼(32) 등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볼(32)은 종동부(20)의 방사형 개구(62) 내에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왜냐하면, 상기 볼(32)은 부분 횡단면으로 볼 때 실린더 코어(11)의 방사형 홈(63) 내로 삽입되기 때문이다. 도 4a에 따른 스프링 코어(11)의 회전(18, 18')시 종동부(20)는 포지티브하게 종동된다. 도 4a의 정상적인 경우 양 부품들(20, 11)은 회전시 동시에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코어(11)가 안전 위치(52)로 전환될 경우 정상적인 경우에서 도 4b의 특수한 경우로 변경된다. 하우징(13)의 내부면에는 방사형 대향 홈(64)이 존재하며, 상기 홈(64) 내로 도 4a에 따라 우선 함께 이동되는 유닛(11, 20)의 출발 회전(65) 후에 볼(32)이 이르게 된다. 이러한 출발 회전(65)은 도 1에 도시된 회전각(53) 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출발 회전(65) 후에 볼(32)은 대향 홈(64)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실린더 코어(11)의 방사형 홈(63)으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상기 볼(32)은 방사형 개구(62) 내에서 도 4b에서 66으로 표기된 실린더 코어(11)의 윤곽 표면으로부터 대향 홈(64)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하우징(13)과 종동부(20) 간의 포지티브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동부(20)의 특수한 상태는 도 5c 및 5d에서 23''으로 표기된 종동부 핑거(23'')에 의해 알 수 있다. 이러한 포지티브한 연결 후에 종동부(20)는 정지한다. 도 4b에 도시된 완전한 각도값(54)에 이를때까지, 도 4a에 도시된 실린더 코어(11)가 회전(67)을 할 때 2개의 볼(49)은 우선 리세스(29)로부터 돌출되며, 도 4a의 회전 스토퍼(39)는 풀어진다. 그리고 나서, 볼은 회전 변위된 리세스(29') 내부의 종동부(20)의 링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된 제 2 고정 위치가 생성된다. 그리고 나서, 둥글지 않은 윤곽 때문에 회전 스토퍼(39')는 양 부품들(11, 20)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회전 각도값(54)이 실린더 코어(11)에 의해 제한된다.
도 4b의 안전 위치에서 도 5c 내지 6d에 도시된 비가 형성될 수 있다. 키 채널(15)은 안전 위치(52) 내에서 도 5a 내지 6d의 부동작 위치(50)에 대해 수직인 위치를 갖는다. 안전 위치에서 키가 실린더 코어(11) 내로 삽입되거나 실린더 코어(11)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이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부가의 차단 채널에 의해 하우징(13)의 내부에서 달성되며,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텀블러(16)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기계 장치들 때문에 안전 위치(52) 내에서 편심 레버(30)는 기본적으로 보조선(31)으로 표시된 보호 위치 내에 존재하며, 상기 보호 위치에서 관련 폐쇄 부재는 작동되지 않는다. 도 5c 및 5d에서 볼 때 편심 레버(30)는 보호 위치(31) 내에 블록킹된다. 위치(23'')에 존재하는 종동부 핑거는 쇼울더(24)에 의해 편심 레버(30)의 상응하는 대향 쇼울더(34)를 지지한다. 이때문에, 도 5c의 화살표(68)의 방향으로 볼 때 침입 장구등에 의한 역 회전은 가능하지 않다.
실린더 코어(11)의 안전 위치(52) 내에서 도 6c에 언급된 바와 같이 편심 레버(30)에 대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의 분리가 달성된다. 이는 실린더 코어(11)의 제어면(37)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면(11)은 핀(55)의 긴 제어 부재(57)의 단부를 스프링력(59)에 대해 방사형 외부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공통 핀(55)의 인접한 커플링 부재(56)가 편심 레버(30)의 방사형 개구(36) 내에 있는 좁은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나와서, 오목한 단부에 의해 관련 지지부(33)를 릴리스한다. 이를 통해, 분리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는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의 구동 장치의 도 6c에 도시된 보호 위치로부터 나와 도 6d에 도시된 릴리스 위치(40')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위치(52) 내에 블록킹된 편심 레버(30)는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도 6d에 따른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의 릴리스 위치(40') 내에서도 폐쇄 부재는 작동될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폐쇄 부재는 비작동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도 6d의 경우에서도 핀(55)은 분리된 위치 내에 존재한다. 왜냐하면, 제어 부재(57)의 단부는 실린더 코어(11)의 제어면(37)의 볼록한 연장부(69)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면(37)은 간단하게 실린더 코어(11)의 둘레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린더 코어(11)와 편심 레버(30) 사이에는 롤러로 이루어진 하나의 커플 부재(60)가 제공된다. 상기 롤러(60)는 실린더 코어(11) 내에 제어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1)이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의 지지부(43)의 내부면에는 대향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2)이 배치된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3)는 느슨하게 수용된 롤러(60)를 위한 방사형 홀(70)을 갖는다.
도 6c 및 6d의 안전 위치(52) 내에 있는 편심 레버(30)의 블록킹 상태 및 방사형 홀(70) 내에서의 회전때문에, 롤러(60)는 61로 표기된 회전 위치에 존재한다. 도 6c의 보호 위치(40) 내에서 대향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2)을 갖는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에는 롤러(60)가 설치되지만, 이는 도 6d의 릴리스 위치(40') 내에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지지부(43) 내에 제공된 대향 프로필의 볼록한 영역(73)이 볼(60)을 실린더 코어(11)의 오목한 영역(71) 내로 가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볼록한 영역(73)은 간단하게 레버 지지부(43)의 내부 링 표면으로 형성된다.
도 6d에서 실린더 코어(11)가 도 6d의 역 회전 화살표(18'')의 방향으로 볼 때 안전 위치(52)로부터 나와 또다시 부동작 위치(50)로 전환될 경우에는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가 릴리스 위치(40')에서 정지한다. 제어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1)의 단부는 그때까지 정지해있던 롤러(60)에 충돌할 경우, 도 4b의 회전 화살표(74)로 표시된 종동부(20)의 출발 역 회전후에는 자유롭게 된다. 여기서, 볼(32)은 또다시 실린더 코어(11)의 방사형 홈(6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볼(49)과 종동부(20)의 다른 리세스 쌍(29) 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종동부(20)는 정상적인 폐쇄 이동시와 같이 자동으로 부동작 위치(50)로 역회전한다. 여기서, 편심 레버(30)는 실린더 코어(11) 및 롤러(60)에 의해 릴리스 위치(30')로 회전된다. 양 위치(50, 52) 사이에 존재하는 90°의 각도값(54) 만큼 역 회전(18'')이 이루어질 때, 동시에 편심 레버(30)가 도 1에 도시된 완전한 각도값(47) 만큼 회전된다. 키는 50과 52 사이의 각도값(54)에 상응할 때 계속 회전될 필요가 없다. 이는 편리하고 간단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도 6b에 따르면 2개의 레버(30', 40')는 또다시 개별 릴리스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롤러(60)는 도 6b의 회전 위치(61')로 이르게 되며, 상기 회전 위치(61')에서 롤러(60)는 또다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에 속한 대향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2)에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핀(55)은 또다시 커플링 위치로 이르게 되며, 상기 커플링 위치에서 2개의 레버(30', 40')는 재차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레버(30', 40')는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42에서 삽입되는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보호 위치(30, 40)로 전환될 수 있다. 커플 부재(60)에 관련해서 하기의 제어 운동이 나타난다.
도 5b 및 6b에서 18로 표기된 키 회전시 우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종동부 핑거(23)의 쇼울더(24) 및 지지부(33)의 대향 쇼울더(34)에 의해서도 편심 레버(30')가 종동됨으로써, 방사형 홀(70)은 지지부(33) 내에서 롤러(60)를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롤러(60)는 실린더 코어(11)의 외부면(69)에 작동하며, 그리고 나서 상기 둘레면(69)은 제어 프로필의 볼록한 영역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제어 프로필은 도 6a에 따라 최종적으로 롤러(60)를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대향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2) 내로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양 레버(30, 40) 간의 제 2의 포지티브한 결합이 존재한다. 여기서, 커플링 작용을갖는 핀(55) 이외에도 롤러(60)는 2개의 레버(30, 40)를 결합시킨다.

Claims (8)

  1. 키로 작동가능한 실린더 코어(11, 12)를 갖는 폐쇄 실린더(10),
    실린더 코어(11)에 포지티브하게(32, 62, 63) 및/또는 넌-포지티브하게(49, 29; 49', 29')에 연결된, 실린더 코어(11)에 대해 양축 방향으로 배치된 종동부(20),
    종동부(20)의 실린더 코어(11)의 키 작동(18, 18')에 의해 관련 폐쇄 부재가 작동되지 않는 보호 위치(30, 31)와 폐쇄 부재를 작동시키는 릴리스 위치(30; 31') 사이에서 전환되는, 종동부(20)에 대해 양축 방향으로 배치된 편심 레버(30),
    편심 레버(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 종동부(20)에 대해 양축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
    보호 위치와 릴리스 위치(40, 41; 40', 41') 사이에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를 전환시키는 중심 로킹 시스템 장치, 및
    보호 위치 또는 릴리스 위치(51, 51')로 키를 작동시킨(18, 18') 후에 실린더 코어(11)를 자동으로 그 사이에 놓인 부동작 위치(50)로 리턴시키며, 상기 부동작 위치(50)에서 키가 처음으로 삽입되거나 빼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펄스 스프링(25)을 포함하며,
    실린더 코어(11)는 안전 위치(52)로 계속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위치(52)에서 편심 레버(30)는 보호 위치(31) 내에 블록킹되고 키가 두 번째로 실린더 코어(11) 내로 삽입되거나 실린더 코어(11)로부터 빼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뒤쪽에 있는 폐쇄 기능용 폐쇄 부재에 있어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와 편심 레버(30) 사이에는 하나의 커플링 부재(55)가 배치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55)는 보호 위치, 부동작 위치, 그리고 릴리스 위치(31, 41; 50; 31', 41')에서 2개의 레버(30, 40)를 회전불가능하게 연결시키지만, 안전 위치(52)에서는 분리되며,
    실린더 코어(11)와 편심 레버(30) 사이에는 커플 부재(60)가 배치되며, 상기 커플 부재(60)는 안전 위치(52)에서 실린더 코어(11)를 회전 불가능하게 편심 레버(30)에 커플링시키고,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가 릴리스 위치(40', 41')로 제공될 경우에 실린더 코어(11)의 키가 역 회전(18'')할 때 릴리스 위치(30', 31')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코어는 커플링 부재(55)용 제어면(37, 69)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부재(55)는 제어면(37, 69)에 대해 스프링 부하(59)를 받으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와 편심 레버(30)에 대해, 커플링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제어면(37, 69)을 통해 커플링 부재(55)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 또는 편심 레버(30) 내에 종축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 핀(55)이며, 상기 핀(55)은 짧은 커플링 부재(56) 및 긴 제어 부재(57)로 나누어지며,
    상기 핀(55)은 편심 레버(30, 33) 및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 43)의 방사형 개구(36; 46) 내로 삽입되며, 상기 방사형 개구(36; 46) 내에서 커플링 부재(56)는 함께 회전되지만, 제어 부재에는 릴리스(38, 38')가 배치되고,
    단부 스토퍼(38, 38')는 편심 레버(30)에 대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의 회전에 상응하는, 보호 위치와 릴리스 위치(31; 31') 간의 각도차(47)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어 부재(57)의 내부 단부는 실린더 코어(11)의 제어면(37, 69)에 탄성적으로(59)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 부재(60)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실린더 코어(11)는 제어 프로필(71, 69)을 가지며,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는 커플 부재(60)용 대향 프로필(72)을 가지며,
    상기 제어 프로필 및 대향 프로필(71, 69; 72)의 프로필 형태는 커플 부재(60)의 전환(61; 61') 및 편심 레버(30, 30')의 회전 종동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 부재는 상기 편심 레버(30)의 방사형 홀(70) 내에 느슨하게 배치되는 롤러(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60)의 횡단면의 일부는 실린더 코어(11)의 제어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1)의 방사형 내부로 가압되며, 상기 영역(71)에서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가 릴리스 위치(41')에 제공될 때, 안전 위치(52)로부터 부동작 위치(50)로의 실린더 역 회전(18'')의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실린더 코어(11)와 편심 레버(40') 사이에 회전불가능한 연결이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롤러(60)의 횡단면의 일부가 실린더 코어(11) 내의 제어 프로필의 볼록한 영역(69)으로부터 상기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 43) 내의 대향 프로필의 오목한 영역(72) 내에서 방사형 외부로 가압되고, 상기 편심 레버(30, 33)와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 43)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레버(30, 33) 및 종동부(20, 33)는 쌍으로 상호작용하는 2개의 쇼울더(24, 24') 및 대향 쇼울더(34, 34')를 가지며, 상기 쇼울더(24, 24') 및 대향 쇼울더(34, 34')는 키가 회전(18, 18')할 때 보호 위치와 릴리스 위치(31, 31') 사이에서 편심 레버(30)를 전환시키도록 야기하며,
    상기 편심 레버(30)를 실린더 코어(11)의 안전 위치(52)에 블록킹하는 것은 상기 종동부(20, 23'')에 배치된 하나의 쇼울더(24)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쇼울더(24)는 이에 상응하는 편심 레버(30, 33)의 대향 쇼울더(3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코어(11)는 서로 연결된 2개의 섹션(11, 12), 다시 말해 키를 수용하는(15) 외부 섹션(12) 및 종동부(20), 편심 레버(30) 및 중심 로킹 시스템 레버(40)를 지지하는 내부 섹션(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코어의 2개의 섹션(11, 12) 사이에는 과부하 커플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장치.
KR1020017011950A 1999-03-19 2000-03-20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KR200101138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2321A DE19912321C1 (de) 1999-03-19 1999-03-19 Verschlu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ließfunktionen am Heck eines Fahrzeugs
DE19912321.7 1999-03-19
PCT/EP2000/002437 WO2000057010A1 (de) 1999-03-19 2000-03-20 Verschlu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liessfunktionen am heck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46A true KR20010113846A (ko) 2001-12-28

Family

ID=790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950A KR20010113846A (ko) 1999-03-19 2000-03-20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65914A1 (ko)
JP (1) JP2002540325A (ko)
KR (1) KR20010113846A (ko)
CN (1) CN1344346A (ko)
AU (1) AU3291600A (ko)
BR (1) BR0009096A (ko)
DE (1) DE19912321C1 (ko)
WO (1) WO2000057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574U1 (de) * 2001-04-26 2002-08-26 Kaba Gege Gmbh Schliesszylinder
DE20202987U1 (de) 2002-02-26 2002-08-22 Bks Gmbh, 42549 Velbert Schließzylind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3555A1 (de) * 1985-04-16 1986-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chliesseinrichtung fuer eine zentralverriegel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DE3939097A1 (de) * 1989-11-25 1991-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rehverschlus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tueren
DE4202698C2 (de) * 1992-01-31 1995-11-02 Huelsbeck & Fuerst Verschluß für Türen, Hauben o. dgl., insbesondere von Fahrzeugen, wie Kraftfahrzeugen
DE4316223A1 (de) * 1992-05-18 1993-11-25 Ewald Witte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schlösser
DE4410783C1 (de) * 1994-03-28 1995-04-27 Huelsbeck & Fuerst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an Kraft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
DE19525499A1 (de) * 1995-07-13 1997-01-16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für einen rastenden Halt zwischen zwei Teilen,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schloß
DE19626914C1 (de) * 1996-07-04 1997-10-09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ß für Türen, Hauben, Klappen o. dgl., insbesondere von Fahrzeugen, wie Kraftfahrzeugen
DE19746381C1 (de) * 1997-10-21 1999-01-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üsselbetätigbaren Schließzylinder, der zugleich als Druckhandhabe zum Betätigen von Schloßgliedern 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40325A (ja) 2002-11-26
DE19912321C1 (de) 2000-12-14
AU3291600A (en) 2000-10-09
BR0009096A (pt) 2001-12-26
CN1344346A (zh) 2002-04-10
EP1165914A1 (de) 2002-01-02
WO2000057010A1 (de) 200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432A (en)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US5077938A (en) Reversible screw-and-nut actuating device and sliding door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7227092B2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ic switching device with locking device
US5775147A (en)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motor vehicle locking
JPH0557391B2 (ko)
KR20060135886A (ko)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SK286193B6 (sk) Uzatváracie zariadenie najmä na ovládanie a vykonávanie uzatváracích funkcií na vozidlách
HU226577B1 (en) Window and/or door fitting
RU2270309C2 (ru) Комбинация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замка и ключа
JP2000207979A (ja) 安全スイッチ
US4947664A (en) Lock cylinder
KR20010102411A (ko)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KR20010031312A (ko) 록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푸싱 장치로도사용되는 키 작동 가능한 폐쇄 실린더를 갖춘 폐쇄 장치
JPH04231571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カバーあるいはドアの鎖錠装置
KR100301175B1 (ko) 자체조정플런저스위치
FI79168B (fi) Doerrlaos.
KR20010113846A (ko) 특히 자동차의 뒤쪽에 배치된 폐쇄 기능용 로킹 장치
EP0657605B1 (en) Cylinder lock-key Combination
KR100640353B1 (ko) 자동차에서 잠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잠금 장치
CN212271839U (zh) 解锁钥匙
KR100423107B1 (ko) 자물쇠 부착 로크장치
KR20010031824A (ko) 열쇠 작동식 실린더 코어를 가진 잠금 장치
EP1160403B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CA2486799C (en) Manual disconnect apparatus and method
KR100383974B1 (ko) 테일게이트의 어린이 보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