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229A -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229A
KR20010108229A KR1020017010423A KR20017010423A KR20010108229A KR 20010108229 A KR20010108229 A KR 20010108229A KR 1020017010423 A KR1020017010423 A KR 1020017010423A KR 20017010423 A KR20017010423 A KR 20017010423A KR 20010108229 A KR20010108229 A KR 20010108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ic acid
ascorbate
acid
ascorbic acid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스시어리조셉
리오르단닐에이치
Original Assignee
더 센터 포 더 임프루브먼트 오브 휴먼 펑셔닝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센터 포 더 임프루브먼트 오브 휴먼 펑셔닝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 센터 포 더 임프루브먼트 오브 휴먼 펑셔닝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0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산 및/또는 그의 수용성염을 단독으로 혹은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과 조합하여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제는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임상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Use of lipoic acid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in the treatment of cancer}
현재 암치료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수술, 방사선 치료 및 화학요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법들은 병의 어떤 형태에서는 성공적이지만 암을 치료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성공적이지는 못하다. 더우기, 전통적인 치료요법은 흔히 구역, 구토, 심장 독성, 골수 억제 및 이차 암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염)는 화학요법제의 대체제 또는 그와 결합하여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보조제(adjuvant)로 제안되었다. (본 출원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아스코르브산이 표시하는 것은 음이온 성분, 아스코르브산염을 포함하며, 이때 아스코르브산염은 산이든, 혹은 대표적으로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 칼슘염을 포함하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하나이든 그 어떤 것도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염"이라는 언급에 포함된다.) 아스코르브산은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기도 하고, 세포외 기질을 강화시킴으로써 종양이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기도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아직까지 결론적으로 입증된 바 없다. 아스코르브산염을 10 g/일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임상 실험에서 성공적인 경우도 있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아주 고용량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은 우선적으로 종양 세포에 독성을 보인다. 이러한 우선적인 독성은 아스코르브산염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생산을 매개하고 정상 세포에 비하여 종양 세포에 카탈라아제가 더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과산화수소가 종양 세포에서 더욱 강한 독성을 보일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따라서 암치료를 위하여 정맥으로 고용량의 아스코르브산염을 투여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미국 특허 제 5,639,787호에 기술되어 있다.
항암제로 고용량의 정맥 아스코르브산염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혈장 아스코르브산염을 임상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정맥 주입후에 아스코르브산염 혈장 농도를 먼저 측정하면 시험관내(in vitro) 단일층 배양에서 자란 종양 세포를 죽이기에 필요한 농도보다는 더 높다. 그러나, 3차원 시험관내 종양으로 자란 종양 세포를 죽이기에는 그보다 훨씬 높은 농도의 아스코르브산염이 필요하다. 중공 섬유 "충실성" 종양 모델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하여는 500 mg/dL 의 과도한 아스코르브산염 농도가 필요할 것으로 관찰된다. 현재, 정맥으로 주입하여 사람에게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는 최대 아스코르브산 혈장 농도는 대략 500 mg/dL이고,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급격하게 떨어지는 피크 농도이다. 아스코르브산염이 비교적 인간에게 무해하기는 하지만, 높은 혈장 농도가 요구된다는 것은 안전하게 혈장에서의 아스코르브산염의 유효한 농도를 높이거나, 혹은 필요한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아스코르브산염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다는 뜻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암 치료요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아스코르브산과 조합하여 투여되는 치료제로서의 리포산(lipoic acid)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염은 선택적으로 종양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만, 임상적으로 유효한 용량은 너무 높다. 리포산과 그의 수용성 나트륨염은 양자 모두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염의 3차원 시험관내(in vitro) 종양과 마우스 종양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약제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고, 예비 실험에서 병을 안정화시키거나 해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9일 동안 배양하여 중공 섬유 종양으로 성장시키고 48시간 동안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염 단독으로 또는 리포산과 조합하여 처치한 SW620 결장암 종양 세포의 용량 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처치한 리포산의 농도는 5 mg/dl 또는 20 mg/dl이었다. 아스코르브산염을 투여하지 않은 상태의 생존 비율을 SFO라하고, SFO값이 반으로 줄어든 생존 비율을 얻기 위하여 처치된 아스코르브산염 용량 LC50과 함께 나타내었다. SFO및 LC50값의 표준편차는 곡선-적응 프로그램인 갈레이다그래프 (KaleidaGraph; 시너지 소프트웨어사)로 계산하였다.
도 2는 9일 동안 배양하여 중공 섬유 종양으로 성장시키고 48시간 동안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염 단독으로 또는 리포산의 나트륨염과 조합하여 처치한 SW620 결장암 종양 세포의 용량 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조합한 처치에서, 리포산 대 아스코르브산염은 1:10 이었다. 실험을 3회 반복하여 데이타를 얻었다. 대조군값의 반으로 생존 비율을 줄이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브산염의 용량인 LC50을 얻었다. LC50값의 표준편차는 곡선-적응 프로그램인 갈레이다그래프로 계산하였다.
도 3은 80분 이상으로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60 그램을 전립선암 환자의 정맥으로 주입하여 얻은 혈장 아스코르브산염 농도를 나타낸다. 24시간 이상의 기간동안 얻은 혈장 아스코르브산염 농도를 2 구획, 4 매개변수 약물동력학 모델에 적응시켰다. 상기 모델의 개요를 도면에 나타내었다. 하기 매개변수값을 얻었다: KX= 0.124 분-1, K1= 0.124 분-1, K2= 0.038 분-1. 혈장 부피, VP는 30dl로 고정시켰다.
도 4는 아스코르브산염이 혈액으로 전달되고 제거되는 2 구획, 4 매개변수 약물동력학 모델로부터 얻은 예측된 혈장 아스코르브산염 농도를 나타낸다. 혈장 대 시간의 곡선을 25, 50, 75, 100 및 125 g/일의 상이한 주입 용량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주입 속도 G(t)는 도면에서 나타난 다양한 값으로 맞추었다. 주입은 계속적으로 하였다. 구획 모델의 매개변수값은 다음과 같다: KX= 0.124 분-1, K1= 0.124 분-1, K2= 0.038 분-1. 혈장 부피, VP는 30dl로 고정시켰다.
도 5는 아스코르브산염과 리포산의 처치동안에 췌장암 마커인 CA-19-9(units/혈청mL)이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시간은 처치를 시작한때로부터 일수로 나타내었다. 리포산을 매일 2번 300 m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아스코르브산염은 일주에 15 그램 용량으로 정맥으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상기 용량을 치료를 시작한 날로부터 한달후에는 일주에 25 그램씩 두번으로 증량하였고, 그 이후에 점차적으로 증량하여 30, 50 및 최종적으로는 75 그램을 일주일에 두번씩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산 및/또는 리포산의 수용성 염을 투여함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포산은 100 - 1000 mg/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600 mg/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요법과 함께 리포산 또는 조합 요법을 사용하는 암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포산을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정맥으로 아스코르브산을 15 - 700 g/주로 투여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200 g/주이다.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바람직한 비율은 약 1:1 내지 약 3500: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100:1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간 또는 다른 동물의 암치료에 사용되며 리포산과 아스코르브산을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바람직한 비율은 약 1:1 내지 약 3500:1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100:1이다. 아스코르브산염의 용량은 매일 1회 주입시 2 -25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포산의 농도는 100 - 1000 mg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리포산과 조합하여 아스코르브산을 투여함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약물은 세포내 충실성 종양과 유사한 시험관내 배양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입증된 바에 따라 환자의 혈장에서 약물의 농도가 암세포에 독성을 가지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기조는 아스코르브산염이 리포산과 조합되어 투여되면 시험관내 충실성 종양 모델에서 세포독성을 유도하는데 요구되는 아스코르브산염의 양이 유의하게 줄어드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발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아스코르브산염 대 리포산이 10 대 1인 경우 50%의 종양 세포를 죽이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브산염 농도가 아스코르브산염 단독으로 종양 세포를 죽이는데 필요한 농도의 대략 5분의 일까지 줄어든다.
이는 매우 놀라운 결과인데, 왜냐하면 리포산이 적혈구에서 아스코르브산염이 매개하는 과산화수소 생성을 저해하는 유리 라디칼 포획자이기 때문이다. 아스코르브산염과 조합하여 리포산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은 종양에 대하여 유효한 독성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브산염의 양이 생체내 즉, 정맥주입을 통하여 조합물이 투여된 환자의 혈장내에서 성공적으로 복제되는 양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아스코르브산과 리포산의 목표량은 환자를 괴롭히는 암의 형태에 따라 유사한 세포주에서의 세포 독성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목표량은 가능하다면 환자로부터 채취한 악성 세포의 시험관내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어진 아스코르브산염의 용량 혹은 정맥 투여 스케쥴로 특정되지 않는다. 한시간에서 여덟시간의 주입 또는 주입 펌프를 이용한연속적인 주입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포산 투여의 도구를 특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청구항과 함께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DL-α-리포산(DL-6,8-티옥트산)은 임상 등급 또는 연구시약 등급으로 시판되는 지질친화성 항산화제이다. 지질친화 형태가 생체내 사용에 더 좋지만, 어떤 시험관내 실험은 산과 수용액인 소디움 바이카르보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리포산으로부터 생산된 수용성 염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출원의 목적에 부합하는 리포산은 지질친화성 산과 수용성 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다른 재료 및 방법이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시험하는데 이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를 이하 설명한다.
실시예 1은 암치료에 아스코르브산과 리포산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의 용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단층에 수행된 독성 연구를 기술한다.
실시예 1
세포 단층에서의 독성시험
종양 조직 유래 및 정상 조직 유래의 비사멸성 세포 단층에서의 아스코르브산과 리포산(나트륨염)의 독성을 시험하였다. 충실성 종양에서, 증식성 세포는 가끔 휴지의, 비증식성 세포에서 보다 처치에 더 민감하다. 세포 단층에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의 증식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산재성 도말 밀도(96웰 플레이트에서 6K/웰)와 휴지 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융합성 밀도(96웰 플레이트에서 24K/웰)를 사용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산재성 또는 융합성 밀도로 도말하고 다양한 용량의 항산화제가 보충된 성장배지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표준 비색기술에 의하여 세포수를 계산하였다. 대조구의 세포수에 대하여 주어진 항산화제 용량에 따른 세포수를 계산하여 데이타를 분석하고 용량-반응 데이타를 시그마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비처리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50%로 세포수를 줄이는데 필요한 용량인 LC50값을 시그마 데이타에 적합하게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사용된 인간세포 타입 및 밀도 LC50(mg/dL)
세포주 기원 밀도 아스코르브산염 리포산
EVC-304 내피 산재성 149 ± 16 127 ± 15
융합성 데이타 없슴 데이타 없슴
SW620 결장 선암종 산재성 30 ± 4 34 ± 2
융합성 39 ± 14 24 ± 2
SK-MEL 흑색종 산재성 15 ± 2 70 ± 20
융합성 78 ± 16 22 ± 2
Mia PaCa 췌장 암종 산재성 53 ± 6 80 ± 21
융합성 308 ± 33 109 ± 45
MCF-7 유방암종 산재성 12 ± 1 125 ± 31
융합성 23 ± 3 60 ± 245
이러한 데이타는 리포산이 고용량에서 세포에 독성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우기, 네가지 종양 세포주(SW620, SK-MEL, Mia PaCa 및 MCF-7)에 대한 연구에서 LC50값이 정상 조직(EVC-304)으로부터 유래한 세포주에서의 값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는 정상 세포에서보다 종양 세포에 더 큰 독성을 가진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리포산이 과산화수소를 생산한다는 어떠한 보고도 없었기 때문에 매우 놀라운 결과였다; 사실, 리포산은 아스코르브산염이 적혈구에서 과산화수소 생성을 매개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리포산의 LC50값이 세포 밀도에는 전혀 의존적이지 않았으며, 이는 그의 독성능이 세포증식에무관하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반대로 아스코르브산염의 데이타는 융합성 세포에서 더욱 저항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이 충실성 종양에 작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 시험관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중공 섬유 충실성 시험관내 종양에서의 조합요법 시험
아스코르브산염과 리포산을 조합한 실험은 SW620 중공 섬유 충실성 종양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시험관내 종양 모델에는, SW620 세포가 삼차원적으로 성장하여 대략 500μm 직경의 실린더형 종양 덩어리를 형성하며, 이는 미세환경이라는 개념과 유사하며 충실성 생체내 종양의 미세구역과는 증식상 이질적이다. 충실성 종양의 경우에는 약물이 중공 섬유 종양의 내부까지 확산에 의하여 침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은 단층 세포보다 약효시험에서 만만치않은 시험을 제공한다.
SW602 중공 섬유 충실성 종양은 종전에 기술된 바대로 성장시켰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PVDF 중공 섬유(500 KD 분자량 컷오프, 대략 100 mm의 벽두께를 가진 500 mm 내경, 스펙트럼 메디컬사)를 한주동안 메탄올에 담가두었다가 세포배양 배지(항생제, 글루타민 및 10% 어린 송아지 혈청을 함유한 RPMI 배지)에 보관함으로써 세포 배양에 사용하도록 준비하였다. SW620 결장 암종 세포는 107세포/ml 의 농도로 세포 배양 배지에 준비하여 중공 섬유내로 주입하였다. 다음에 상기 섬유를약 2 cm 간격으로 열로 봉합하여 세포를 그 내부에 가두어두었다. 그후 SW620 중공 섬유를 페트리 디쉬에서 사흘간 배양하였다. 사흘후, 마그네틱바가 150 rpm으로 젖는 50 ml 세포배양 배지가 담긴 회전 플라스크에 중공 섬유를 옮기거나 150 rpm의 회전 셰이커위의 6웰 플레이트에 옮기는 방법으로 중공섬유를 흔들리는 배지로 이전시킨다. 세포 배양 배지는 3일째와 6일째 날에 보충하였다. 8일 혹은 9일째날에, SW620 중공 섬유 종양을 서로 상이한 용량의 아스코르브산염과 리포산 혹은 리포산 나트륨이 함유된 세포 배양 배지가 담긴 24 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회전 셰이커에서 하루나 이틀동안 배양한 다음, 중공 섬유 종양을 세척하고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섬유밖으로 배출시켰다. 실린더형의 종양세포 덩어리를 피펫으로 아래위로 움직이게 하여 트립신에 노출시킴으로써 단일 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 다음에 세포배양 배지를 부가하여 트립신의 작용을 정지시켰다. 생존한 비율을 종전에 기술된 바에 따라 확인하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세포를 각 웰당 5000 세포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6일 동안 배양하였다. 생존한 세포 군집을 SRP 비색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생존 비율은 비처리 중공 섬유 종양에서의 세포 SRP 염색에 대한 특정 용량에서의 SRP 염색의 비로 표현하였다.
SW620 중공 섬유에 대한 리포산의 효과를 도 1 에 도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리포산 농도는 아스코르브산염 농도가 변화하여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이러한 데이타에 의하면 리포산 그 자체가, 시험된 두 농도에서, 삼차원적으로 성장하는 종양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보였다; 더우기, 리포산은 아스코르브산염의 독성을 증폭시켜서 아스코르브산염 단독일때보다 훨씬 낮은 용량에서 생존 비율을 감소시켰다.20 mg/dL의 리포산 존재하에서 아스코르브산염의 LC50값은 대략 리포산 부재시의 값의 절반이었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스코르브산염 효과에 대한 이러한 영향은 종래에 전혀 예견되지 못하였다. 리포산이 아스코르브산염에 의하여 과산화수소로 전환되는 유리 라디칼을 포획하는 능력은 독성능이라기 보다 보호능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비타민 E와 같은 다른 지질친화성 항산화제와 같이 리포산도 환원된 탈수소아스코르브산염(dehydroascorbate) 형태로부터 아스코르브산염으로 재순환시킬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의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순환된 아스코르브산염이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의 생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세포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아스코르브산염 산화 산물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어떠한 임의의 세포독성 효과가 감소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층 세포 데이타에 의해서 암시되는 바와 같이, 리포산이 아스코르브산염에 저항하는 휴지세포를 죽이는 것을 도울수 있다하더라도 리포산이 아스코르브산염의 독성을 증강시키는 메카니즘은 분명하지 않다.
아스코르브산염 대 리포산의 비를 100:1(LC50에서 리포산의 농도가 5 내지 10 mg/dL이 되도록 함)로 하는 대신 아스코르브산염 농도와 리포산의 농도를 변화시켜서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계속된 실험에서 리포산의 효과는 SW620 중공섬유 종양에 대한 아스코르브산염 LC50을 줄여서 대략 절반이 되게 하였다. 리포산에 의한 시험관내 실험이 그의 소수성 성향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리포산에 대한 아스코르브산염 비를 높이기 위하여 리포산의 친수성 나트륨염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스코르브산염 대 리포산 나트륨염의 비가 10:1이 되도록 하여 SW620 중공 섬유 종양 세포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비율에서 리포산 나트륨은 아스코르브산염 LC50을 리포산의 부재시에는 490 mg/dL에서 리포산의 존재하에는 90 mg/dL로 거의 5분의 1 수준으로 줄일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의 중요성은, 중공섬유 종양에서의 독성을 위하여 요구되는 아스코르브산염의 농도를 정맥 주입동안 혈장에서 얻어질 수 있는 농도에 견주어보면 알 수 있다. 490 mg/dL 의 혈장 아스코르브산염 농도는 90 mg/dL 값보다 훨씬 더 달성하고 유지하기 어렵다.
조합 요법의 생체내 투여의 용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는 정맥 투여 후의 혈청에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아스코르브산염의 약물동력학적 연구:본 발명의 암시
임상에서의 리포산과 아스코르브산염 조합 요법의 가능성있는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동력학적 측정 및 구획화 분석을 이용하였다. 전이성 전립선 암으로 진단된 75살의 남성 코카서스인에게 멸균수에 녹인 65 g의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염을 80분 동안 정맥으로 주사하였다. 24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혈액 시료를 취하여 얼린 다음 비색 분석법으로 아스코르브산염 함량을 결정하였다. 혈장 및 조직에서의 아스코르브산염 흡수(uptake) 및 제거(clearance)의 2 구획, 4 매개변수 모델에 데이타를 적응시켜 아스코르브산염 혈장 농도를 시간의 함수로 도 3에 도시하였다. 피크 혈장값이 460 mg/dL로 얻어졌고,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연속적인 주입으로 농도가 더 길게 연장되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2 구획 모델을 사용하였고, 다양한 용량으로 아스코르브산염을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론적인 혈장 아스코르브산염 곡선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제 1상 시험이 연속적인 아스코르브산염 주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과정하에 있으며 현재 거의 완성단계이다. 50 g/일까지의 용량이 시험되었고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에 주어진 모델링 결과로부터, 상기 용량이 24시간 경과후에 약 52 mg/dL의 혈장농도를 생산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 2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24시간 동안 52 mg/dL의 아스코르브산염에 노출된 SW620 중공 섬유 종양 세포는 90 %보다 큰 생존 비율을 가진다: 반대로, 리포산과 조합하여 같은 아스코르브산염 용량에 노출된 같은 종양 세포는 단지 60 %의 생존 비율을 가진다.
따라서, 약물동력학적 데이타 및 모델과 결합된 중공 섬유 시험관내 종양에서의 용량-반응 데이타는 아스코르브산염이 리포산과 조합하여 사용되었을때 임상적으로 달성가능한 용량에서 독성이 있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시험을 생체내 암 모델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생쥐 종양 모델에서 독성 시험
리포산 단독 또는 아스코르브산염과 조합하여(아스코르브산염:리포산=10:1) 마우스 종양에 대하여 베이징 연구소에서 시험하였다. C57 마우스를 20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B16 흑색종 세포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48시간 경과한 다음, 5주간 격일로 1회씩 종양 부위 근처에 피하 주사로 약물을 투여하였다. 처치후 10일, 17일 및 24일째에 종양 크기를 측정하였다. 리포산 단독으로 또는 아스코르브산염과 조합하여 처치된 마우스의 종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작았다. 24일째의 데이타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처치군 상대적 종양 크기 동물 생존율
대조군 100% 14/20(70%)
리포산 단독 60%(p<0.01) 18/20(90%)
리포산 및 아스코르브산염 51%(p<0.01) 13/20(65%)
동물 생존율은 조합물이 덜 우수하지만 리포산은 아스코르브산염이 있거나 없거나 마우스 종양에 독성을 보였다. 리포산 단독으로 사용한 결과가 놀랍긴 하지만, 전체적인 실험은 항암제로 리포산을 아스코르브산염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유용성을 확인시켜 준다. 따라서 하기 임상 연구에서 조합요법을 시작하였다.
실시예 5
조합요법을 이용한 임상 시험
제 1 임상 시험
1998년 12월 1일에 65세의 코카서스 여성의 치료를 시작하였다. 그 한해전에 그녀는 척수가 연관된 저급의 소세포 악성 림프종으로 진단을 받았다. 이러한 병의 예상되는 과정이 순환성 혈소판의 끊임없는 감소이기 때문에 순환성 혈소판수는 골수에서 전이성 적하의 좋은 지표가 된다. 게다가, 리포산 요법의 시작 직전의 6개월내에 그녀의 혈소판 수가 239,000에서 160,000으로 떨어져서 환자로 지명되었다. 그녀의 영양 결핍에 적응하기 위한 다른 영양 보충과 함께 매일 300 mg의 리포산처방이 내려졌다. 두달후에, 그녀는 일주일에 두번 50 그램의 정맥 비타민 C 요법을 시작하였다. 첫방문 6개월후, 그녀의 아스코르브산염 용량은 일주일에 두번 75 그램으로 높아졌다. 치료 동안에 환자의 혈소판 수준은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암에서 정상적으로 예견되는 100,000 이하로는 떨어지지 않았다. 리포산 치료를 시작한지 6개월 후에, 그녀의 혈소판 수는 190,000로 안정되었다.
제 2 임상 시험
1996년 12월 3일 70세의 코카서스 남성이 전립선 암으로 진단을 받았다. 그는 1997년 1월에 전통적인 화학요법을 받는 것으로 선택하였다. 전립선암의 종양 마커의 하나는 CA-19-9로 알려진 탄수화물(carbohydrate) 항원이다. 환자의 항원 수준은 첫번째 화학요법 처치후에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1997년 10월까지 그의 CA-19-9 수준은 7,400 units/혈청mL 수준까지 증가하였다. 그때 그에게는 환자에게 부족한 다른 영양의 보충은 물론, 매주 두번 15 그램의 정맥 비타민 C와 하루에 두번 300 mg 경구 리포산 섭취의 처방이 주어졌다. 한달후 그의 비타민 C 용량을 일주일에 2회 25 그램으로 높였다. 2개월 내에, 환자의 항원 수준은 3,200 units/혈청 mL 로 떨어졌다. 그때 그의 비타민 C 용량은 30, 50 및 최종적으로 75 그램까지 증량적으로 상승하였다. 1998년 1월에, 환자는 리포산 및 아스코르브산염 치료를 계속하고 화학요법은 중지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CA-19-9 수준은 계속해서 떨어졌다. 1998년 3월에, 환자의 CA-19-9은 700 units/혈청mL 이었다. 치료의 시간경과 동안의 환자의 CA-19-9 수준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치료 6개월후인1998년 3월에 환자는 아스코르브산염 및 리포산 요법을 그만두었다. 그는 4개월후에 사망하였다.
제 3 임상 연구
간으로 전이된 결장직장암으로 진단을 받은 53세의 코카서스 남성이 간에 전이된 부분을 대부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환자는 낮은 용량의 5-플루오로우라실 화학요법, 정맥 비타민 C 및 경구 리포산 투여를 시작하였다. 비타민 C의 용량은 100 그램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정맥 주입으로 일주일에 2번 투여하였다. 그가 암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선언된 1998년 3월까지 요법이 계속되었다. 1998년 12월에도 환자는 여전히 재발하지 않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리포산과 조합하여 아스코르브산을 투여함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며, 아스코르브산염이 리포산과 조합되어 투여되면 종양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유도하는데 요구되는 아스코르브산염의 양이 유의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포산은 아스코르브산염와 조합하여 항암제의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암의 성장을 느리게 하거나 정지시키는 치료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포산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100 - 25,000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300 - 600 mg/일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산은 다른 처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처치는 상기 리포산과 조합하여 상기 암의 성장을 느리게 하거나 정지시키기에 효과적인 농도인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효과적인 양은 15 내지 700 g/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효과적인 양은 15 내지 200 g/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효과적인 양은 50 내지 500 g/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5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35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9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 1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유효량의 리포산과 유효량의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35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대 리포산의 중량비는 약 10:1 내지 약1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의 농도가 2 - 25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리포산의 농도가 100 - 25,00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17010423A 1999-02-16 2000-02-11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KR20010108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9,872 US6284786B1 (en) 1999-02-16 1999-02-16 Treatment of cancer using lipoic acid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US09/249872 1999-02-16
PCT/US2000/003656 WO2000048594A1 (en) 1999-02-16 2000-02-11 Use of lipoic acid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in the treatment of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29A true KR20010108229A (ko) 2001-12-07

Family

ID=2294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423A KR20010108229A (ko) 1999-02-16 2000-02-11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284786B1 (ko)
EP (1) EP1152758A1 (ko)
JP (1) JP2002537253A (ko)
KR (1) KR20010108229A (ko)
CN (1) CN1338932A (ko)
AU (1) AU2880500A (ko)
CA (1) CA2362288A1 (ko)
MX (1) MXPA01008279A (ko)
WO (1) WO2000048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877B1 (ko) * 2004-12-23 2006-12-05 한서제약 주식회사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2586B1 (es) * 1999-11-25 2002-07-01 Moraleda Manuel Gomez Composicion que comprende aceites ozonizados y/o otros productos naturales y/o sinteticos ozonizados, y su empleo en composiciones farmaceuticas, cosmeticas, dieteticas o de suplementos alimentarios, en los campos humano y veterinario
US6664287B2 (en) * 2000-03-15 2003-12-16 Bethesda Pharmaceuticals, Inc. Antioxidants
US20020076470A1 (en) 2000-10-31 2002-06-20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US8669282B2 (en) 2000-10-31 2014-03-11 Hill's Pet Nutrition, Inc. Companion animal compositions including lipo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7547673B2 (en) * 2001-09-13 2009-06-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herapeutics for cancer using 3-bromopyruvate and other selective inhibitors of ATP production
AU2003230644A1 (en) * 2002-03-14 2003-09-29 Ercole L. Cavalieri A unifying mechanism and methods to prevent canc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04175692A (ja) * 2002-11-25 2004-06-24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抗腫瘍剤
US6787163B2 (en) * 2003-01-21 2004-09-07 Dennis H. Harris Therapeutic treatment for blood sugar regulation
US20060003027A1 (en) * 2004-06-30 2006-01-05 Zhou James H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ide effects of indole-3-carbinol and derivatives
US20090176864A1 (en) * 2004-11-24 2009-07-09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Hepatic and Immune Function In An Animal
CA2588709C (en) * 2004-11-24 2015-07-14 Hill's Pet Nutrition, Inc. Use of lipoic acid to improve hepatic clearance of xenobiotic substances
CN104304671A (zh) 2004-12-29 2015-01-28 希尔氏宠物营养品公司 抑制动物学习和/或记忆减退的方法
US8252742B2 (en) 2004-12-30 2012-08-28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a senior animal
CA2592844C (en) * 2004-12-30 2012-10-09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a senior animal
US8722112B2 (en) 2005-07-14 2014-05-13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animals
CN1895671B (zh) * 2005-12-08 2012-11-28 淮北辉克药业有限公司 治疗病毒型肝病的复方制剂
US8324175B2 (en) 2006-02-16 2012-12-04 Young Hee K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20100203110A1 (en) * 2006-12-18 2010-08-1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herapeutics for Cancer Using 3-Bromopyruvate and Other Selective Inhibitors of ATP Production
WO2008106640A1 (en) * 2007-03-01 2008-09-04 Cedars-Sinai Medical Center Antioxidant polymers containing [1,2]-dithiolane moieties and uses thereof
US9205112B2 (en) * 2007-04-23 2015-12-08 Creative Medical Health, Inc. Combination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CN102089276A (zh) * 2008-03-04 2011-06-08 罗伯特·绍尔 酶结构、活性和/或表达水平的调节
JP2011516473A (ja) * 2008-04-04 2011-05-26 ショール,ロバート 医薬組成物
US9101537B2 (en) 2008-07-25 2015-08-11 Reven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ES2464729T3 (es) * 2008-08-21 2014-06-0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ocedimientos y composiciones para la administración de 3-halopiruvato y compuestos relacionados para el tratamiento del cáncer
FR2937867B1 (fr) * 2008-11-03 2011-03-04 Biorebus Associa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l acide lipoique et l acide hydroxycitrique a titre de principes actifs.
CN102387801A (zh) 2009-01-29 2012-03-21 高荣禧 癌症治疗用组合物和方法
WO2011138565A1 (fr) 2010-05-05 2011-11-10 Biorebus Associa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l'acide lipoïque, l'acide hydroxycitrique et une somatostatine a titre de principes actifs
FR2959668B1 (fr) * 2010-05-05 2012-07-13 Biorebus Associa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l'acide lipoique, l'acide hydroxycitrique et une somatostatine a titre de principes actifs
CN103327986B (zh) * 2010-07-22 2018-05-25 雷文制药有限公司 包含使用磁偶极子稳定化溶液的治疗或改善疾病并增强表现的方法
US9427450B2 (en) 2012-01-31 2016-08-30 Xon Cells, Inc. Therapeutic immune modulation by stem cell secreted exosomes
CN103360437B (zh) * 2013-04-27 2015-10-21 江苏教育学院 一种硫辛酸糖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AU2015206629B2 (en) 2014-01-14 2020-03-0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yclodextrin compositions encapsulating a selective ATP inhibitor and uses thereof
RU2017143884A (ru) * 2015-05-29 2019-07-01 Альбатросс Текнолоджис Лимитед Сшитая гиалуроновая кислота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EP3370712A4 (en) 2015-11-06 2019-10-09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S OF TREATING HEPATIC FIBROSIS BY ADMINISTERING 3-BROMOPYRUVATE
WO2019016928A1 (ja) * 2017-07-20 2019-01-24 Delta-Fly Pharma株式会社 がん細胞の代謝の特異性に基づく新規抗悪性腫瘍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670A (en) 1992-06-05 1996-10-29 Asta Medica Aktiengesellschaft Combination medications containing alpha-lipoic acid and related
DE4218572A1 (de) 1992-06-05 1993-12-09 Asta Medica Ag Synergistische Kombination von Arzneimitteln enthaltend als Wirkstoff alpha-Liponsäure, Dihydroliponsäure, deren Metaboliten sowie die oxidierten und reduzierten Enantiomere der alpha-Liponsäure wie die R-alpha-Liponsäure oder S-alpha-Liponsäure sowie Metaboliten der alpha-Liponsäure mit den Vitaminen A, B1-6, B12, C und E
HU213677B (en) 1993-11-09 1997-12-29 Immunal Kf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umor disea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AU8768098A (en) * 1997-08-04 1999-02-22 Christopher J. Berry Method of treating disease using a tocotrienol and alpha-lipoic acid r derivatives or an ester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877B1 (ko) * 2004-12-23 2006-12-05 한서제약 주식회사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880500A (en) 2000-09-04
CA2362288A1 (en) 2000-08-24
JP2002537253A (ja) 2002-11-05
US6448287B1 (en) 2002-09-10
EP1152758A1 (en) 2001-11-14
WO2000048594A1 (en) 2000-08-24
CN1338932A (zh) 2002-03-06
US6284786B1 (en) 2001-09-04
US20020037917A1 (en) 2002-03-28
MXPA01008279A (es)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8229A (ko)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JP5075927B2 (ja) 固形腫瘍を予防および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Teicher et al. Influence of an anti‐angiogenic treatment on 9L gliosarcoma: oxygenation and response to cytotoxic therapy
EP0279379B1 (en) Interstitial administration of perfluorchemical emulsions for reoxygenation of hypoxic tumor cells
EP0167263A1 (en) Drug-containing matrices for introduction into cellular lesion areas
CN108452303A (zh) 一种载双药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665003A (zh) 一种双载药无载体纳米粒及其制备方法
US5130145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nit-cancer activity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Farrell et al. Effect of ibuprofen on tumor growth in the C6 spheroid implantation glioma model
KR20130118981A (ko) 다형 교모세포종의 치료를 위한 마시텐탄 포함 조합물
Bleday et al. Inhibition of rat colon tumor isograft growth with dequalinium chloride
EP2026657A1 (en) Anti-canc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6036289A (zh) 一种增强铁死亡治疗效果的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93727A (zh) 一种有效抗恶性肿瘤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AU2009220942B2 (en) Methods of treatment employing prolonged continuous infusion of Belinostat
Sutton et al. Reduction of vinblastine neurotoxicity in mice utilizing a collagen matrix carrier
US20080038376A1 (en) Anti-canc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Teicher et al. 1, 2-Dithiol-3-thione and dithioester analogues: potential radioprotectors
CN108853507A (zh) 一种抗肿瘤的增效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Storm et al. Systemic BCNU enhances the efficacy of local delivery of a topoisomerase I inhibitor against malignant glioma
EP2056839A1 (en) Combination approaches to cancer treatment
Teicher et al. Effect of pH, oxygenation, and temperature on the cytotoxicity and radiosensitization by etanidazole
Tofilon et al. The effects of N-methylformamide on artificial and spontaneous metastases from a murine hepatocarcinoma
TW202126298A (zh) 用於癌症治療之組合及其應用
CN117717613A (zh) 用于改善类风湿性疾病的姜黄素组合药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