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189A -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189A
KR20010103189A KR1020000023728A KR20000023728A KR20010103189A KR 20010103189 A KR20010103189 A KR 20010103189A KR 1020000023728 A KR1020000023728 A KR 1020000023728A KR 20000023728 A KR20000023728 A KR 20000023728A KR 20010103189 A KR20010103189 A KR 2001010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larva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김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종 filed Critical 김기종
Priority to KR102000002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189A/ko
Publication of KR2001010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89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식물인 두충나무의 잎 또는 줄기를 물 또는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한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며 피부미백용, 피부상처 치유 및 개선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s comprising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질인 두충나무의 잎 또는 줄기를 물 또는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한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며 피부미백용, 피부상처 치유 및 개선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공해, 물리적 자극 등의 가혹한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노화되어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고 콜라겐이 분해되어 미용상의 심각한 트러블이 생겨날 수 있다.
주름형성과 가장 관계가 많은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 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및 세포분할과 분화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하여 감소하며,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하여 콜라겐의 양이 약 65 정도 감소하며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주름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피부내의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진피 매트릭스의 성분증가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상처치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콜라겐 합성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인산, TGF(tranforming growth factor, 발암증식인자) 등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그 외에 동물태반 추출물(JP 8-231370), 베툴린산(betulinic acid, JP 8-208424), 클로렐라추출물(JP 9-40523, JP 10-36283) 등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특허로는 율피 추출물(공개특허공보 제 1999-0039012호), 황백, 정향 당근 추출물(공개특허공보 제 1999-0075512호), 상륙, 토사자, 백강잠추출물(공개특허공보 제 2000-0013588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인 산은 불안정하고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펩타이드성의 인자들은 크기가 커서 피부흡수가 어렵고 기타 식물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거나 냄새, 색깔 등의 문제로 제형상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피부의 색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 세포(Melanocyte)가 만들어 내는 멜라닌이라는 검은색의 색소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 멜라닌색소는 색소세포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주변의 각질화 세포에 널리 분배됨으로써 피부의 색을 결정하게 된다.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등의 피부색소 이상증은 색소세포내의 멜라닌 생성이 이상적으로 활성화되어 과도하게 생성 침착되어 야기된다. 이러한 과색소 침착은 피부 미용상 관점에서 심각한 정신적 부담을 주어 정상적인 사회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예로부터 동양권의 여성들은 하얗고 고운 피부를 선호해왔고,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 왔다. 따라서 피부 색소 이상증 치료와 미용적 욕구 충족을 위한 미백제의 개발은 예로부터 많이 있어왔다.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및 이들의 유도체 등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및 의약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나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배합시의 제형의 안정성 측면 그리고 미백효과의 불충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미백물질들 외에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활성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 왔으며, 그중 상백피(일본공개특허 소55-44375, 소64-26507, 소64-83009, 평1-25687, 평5-139950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92-002109호, 제 97-021273호), 감초(일본공개특허 소60-214721, 소60-214728, 소63-23809, 소64-63506, 평1-149706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92-002109호, 제 97-025601호), 작약(일본공개특허 소61-246109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92-002111호), 계피(일본공개특허 소63-30403, 평5-139954), 고삼(일본공개특허 소64-26507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92-002110호), 갈근(일본공개특허 소60-214727, 소64-16709), 당귀(일본공개특허 소56-92211, 평4-26610), 목단피(일본공개특허 소60-214721, 소61-50915, 소61-246109), 반하(일본공개특허 평2-20702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96-033442호), 알로에(일본공개특허 소52-44375, 평2-207030, 평5-139950)등 다수의 식물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들 역시 안전성, 안정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고 아직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시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미백,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진 및 창상치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차로서 음용하는 두충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피부에 적용할 경우 주름개선 효과와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기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은 일명 사충, 사선, 목금, 두면, 두충 또는 당두충이라고도 하며, 예로부터 고유한 약용식물로서 당두충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며, 1과1속에 단일식물이다. 중국에서는 인삼보다 귀했기 때문에 환상의 약초로 불렸으며 선목으로 알려져 왔다. 두충은 은행나무처럼 암수 딴 그루이며, 두충잎은 느릅나무잎과 비슷한 타원형이며 봄에 작은 흰색의 꽃이 피며, 수피를 자르면 고무나무처럼 흰색의 고무질 유액이 흐른다. 두충은 병충해와 세균, 박테리아에강하며, 방충제 같은 농약을 살포하지 않아도 잘 자라며, 산성토양을 싫어하지만 토양개량 이외에는 손을 쓸 필요가 없는 식물이다.
두충의 효과에 대해서는 옛 문헌 등에서부터 언급이 되어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두충이 간, 신을 보하며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두충을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두충은 신혀로 허리가 조여들며 아프고 다리가 시큰시큰한 것도 잘 낳게 한다고 쓰여져 있고, '향약성집성방'에서는 두충은 허리와 다리통증을 낳게 하며 속을 보호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두충이 피부미백이나 피부주름개선 또는 피부상처치료에 좋다고 기재되어 있는 자료는 없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두충추출물은 두충의 잎 또는 두충 줄기의 껍질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 ~ 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탄소수 1 ~ 4의 저급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두충 잎이나 줄기껍질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 ~ 15배인 것이 적절하다.
두충으로부터 두충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한 통상적인 추출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냉각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한 추출기에서 50 ~ 95 ℃로 1 ~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 45 ℃에서 1~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두충 추출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두충추출물을 함유하여 특히 피부미백용, 피부상처 치유 및 개선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으로 사용될 경우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하기 실험 1 내지 5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미백용, 피부상처 치유 및 개선용, 피부노화 방지용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두충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0.001 중량미만으로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미백, 피부상처 치유 및 개선 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화합물들을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면 어떤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또는 팩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충의 잎과 잘게 썬 두충줄기 껍질 혼합물 1 kg을 50 중량에탄올수용액에15 ~ 30 ℃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70 ℃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두충추출물 56.5 g을 얻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 내지 표 3은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충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두충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유연화장수(스킨) 조성물
원료명 중량
두충추출물 0.1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3.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EDTA 0.02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피마자유 0.1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까지 잔액을 첨가
영양화장수
원료명 중량
두충추출물 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스테아릴 알콜 1.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4
리퀴드파라핀 10
식물성 오일 5
스쿠알란 2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4
글리세린 3
1,3-부틸렌글리콜 3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5
트리에탄올아민 0.14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까지 잔액을 첨가
영양크림
원료명 중량
두충추출물 0.5
친유성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 2.0
스테아릴알콜 2.5
스테아린산 1.3
밀랍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식물성 오일 1.0
리퀴드파라핀 5.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3.0
글리세린 2.5
트리에탄올아민 1.3
소듐히아루론네이트 0.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까지 잔액을 첨가
[실험예 1] 콜라겐 생성촉진효과
2.5 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well이 되도록 넣고, 70 ~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충추출물을 0.05 중량및 0.01 중량농도로 1일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일본 Takara Shuzo Co., Ltd. Catalog #: MK101)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켰다.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뛴 96-well plate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두충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위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콜라겐 합성() = (추출물 처리한 세포배양액 반응 흡광도 /대조군의 반응 흡광도 ) ×100
물질 생성율()
두충추출물 0.05 80
두충추출물 0.01 65
대조군 0
상기 표 4의 결과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두충추출물이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우수함을 보여 준다.
[실험예 2] 쥐에 대한 창상 치유효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두충추출물의 창상 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주령의 웅성래트를 이용하여 절개창에 있어서 상처부위의 재생의 질과 양을 잘 반영하는 장력 강도법을 사용하여 창상 치유효과를 실험하였다. 래트의 등부위 털을 제거한 후 메스로 절개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10 중량로 증류수에 녹인 후 매일 1회 0.5 ml/cm2씩 6일간 절개부위에 투여하였다. 6일후 실험에 이용한 래트를 도살하고 창상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절창선에 직교하는 폭 1 cm의 피부편을 개체마다 3표본씩 채취한 후 장력 측정기(Rheometer)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장력강도(Tensil strength, g/cm)를 재생된 콜라겐 섬유의 강도를 지표로 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두충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증류수만을 적용한 대조군의 장력강도를 100 로 하여 상대적 강도로 표시하였다.
물질 상대적 장력강도()
두충추출물 0.05 190
두충추출물 0.01 135
대조군 100
상기 표 5의 결과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두충추출물이 래트에 있어서 창상 치유효과가 우수함을 보여 준다.
[실험예 3] 티로시나제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억제실험
실시예 1에 의하여 추출한 두충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티로시나제 효소를 대상으로 기능억제 실험을 하였으며, 비교예로서 미백제의 유효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직산, 알부틴, 하이드로 퀴논, 감초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시료 15 ㎕를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에 넣고, 0.1 M 인산완충액(pH 6.86) 150 ㎕, 1.5 mM L-티로신용액 25 ㎕을 넣은 후, 2,380 단위/ml 머쉬룸 티로시나제(Sigma, USA)(0.05 M 인산완충액, pH 6.86) 7 ㎕를 첨가하여 30 ℃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에서 IC50값은 효소활성 저해율 50 에 달하는 저해물질의 농도이다.
[계산식 2]
저해율() = {[(D - C) - (B -A))] / (D - C)} × 100
A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B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D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물질 머쉬룸 티로시나제
IC50
두충추출물 0.025
코직산 0.037
알부틴 0.4
하이드로 퀴논 0.007
감초 추출물 0.014
상기 표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두충추출물의 티로시나제 IC50값이 0.025 로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인체 실험을 통한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는 30 ~ 40대 여성 30명을 두 그룹(A, B)으로 나누고, 상기 실시예 2의 크림과 상기 실시예 2의 영양크림에서 두충추출물을 뺀 크림(B)을 나누어주고 매일 1회씩 1개월간 도포하게 하였다.
1개월이 지난 다음 주름의 개선 정도, 피부탄력정도, 보습정도를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개선된 정도를 평균 내어서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 1개월 후 임상결과 A B
주름개선() 90 45
피부탄력개선도() 83 37
보습력개선() 85 42
상기 표 7의 결과는 본 발명의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개선, 피부탄력개선도 및 보습력개선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 준다.
[실험예 5]
얼굴에 기미 등의 색소침착이 있어 고민하는 피검자 60명(각 시료당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의 영양크림(시료 A)과 상기 실시예 2의 영양크림에서 두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시료(시료 B)를 아침 저녁에 각 1회씩 3개월간 매일 2회씩 얼굴의 기미부위에 바르게 하였다. 효과의 평가는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색소침착의 개선정도를 아래의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효과 탁월 : 색소침착이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효과 있음 : 색소침착이 아주 연해졌다.
약간 효과 있음 : 색소침착이 연해졌다.
효과 없음 : 변화 없음.
시료..A 시료.B
미백효과
* 효과 판정 기준
◎ : 피검자중 "효과 탁월"하거나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80 이상
○: 피검자중 "효과 탁월"하거나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50 이상 80 미만
△: 피검자중 "효과 탁월"하거나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30 이상 50 미만
×: 피검자중 "효과 탁월"하거나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30 미만
상기 표 8의 결과는 본 발명의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사용한 경우가 두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보여 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경우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막아주고, 상처의 재생을 돕는 콜라겐의 생성을증가시켜 주어 피부미백과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에 적용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경우에 있어서 실험에 응했던 대상자 전원이 부작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인체에도 무해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용, 피부 주름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충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추출물은 두충나무의 잎 또는 줄기를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23728A 2000-05-03 2000-05-03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103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28A KR20010103189A (ko) 2000-05-03 2000-05-03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28A KR20010103189A (ko) 2000-05-03 2000-05-03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89A true KR20010103189A (ko) 2001-11-23

Family

ID=4578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728A KR20010103189A (ko) 2000-05-03 2000-05-03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1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29534B1 (ko) * 2009-12-08 2011-04-18 김진홍 프로폴리스용 수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99213B1 (ko) * 2006-12-26 2013-08-2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방부제로서 두충, 현초 및 백굴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4161787A (zh) * 2014-08-01 2014-11-26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杜仲在制备药物中的新用途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821A (ja) * 1992-09-14 1994-04-05 Ichimaru Pharcos Co Ltd 杜仲葉抽出物含有化粧料
JPH0834741A (ja) * 1994-07-25 1996-02-06 Yukio Kazama 皮膚治療剤の製造方法
JPH1017436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10158179A (ja) * 1996-11-28 1998-06-16 Kao Corp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821A (ja) * 1992-09-14 1994-04-05 Ichimaru Pharcos Co Ltd 杜仲葉抽出物含有化粧料
JPH0834741A (ja) * 1994-07-25 1996-02-06 Yukio Kazama 皮膚治療剤の製造方法
JPH1017436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10158179A (ja) * 1996-11-28 1998-06-16 Kao Corp 皮膚外用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99213B1 (ko) * 2006-12-26 2013-08-2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방부제로서 두충, 현초 및 백굴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29534B1 (ko) * 2009-12-08 2011-04-18 김진홍 프로폴리스용 수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CN104161787A (zh) * 2014-08-01 2014-11-26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杜仲在制备药物中的新用途
KR102389270B1 (ko) * 2021-08-26 2022-04-22 주식회사 코팩스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201206494A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US20040115146A1 (en) Use of active extracts to lighten skin, lips, hair and/or nails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61433B1 (ko) 인삼추출물을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화장료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493845B1 (ko)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10103189A (ko) 두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78A (ko) 천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0914963B1 (ko) 백지, 오매, 반하 및 류기노 추출물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WO2011065699A2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20030039726A (ko)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0856A (ko) 승마 추출물의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와 이의제조방법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