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530A -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530A
KR20010076530A KR1020000003727A KR20000003727A KR20010076530A KR 20010076530 A KR20010076530 A KR 20010076530A KR 1020000003727 A KR1020000003727 A KR 1020000003727A KR 20000003727 A KR20000003727 A KR 20000003727A KR 20010076530 A KR20010076530 A KR 2001007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data
education
forward data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인권
Original Assignee
전경훈
(주)쿠운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훈, (주)쿠운 소프트 filed Critical 전경훈
Priority to KR102000000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530A/en
Publication of KR2001007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530A/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a real time remote education is provided to append and integrate a TTS(text to speech) technique and an Internet messenger technique(TTT; text to text) to a real time dynamic image technique, an Internet advertisement technique(VTV), and a learning homepage manufacturing technique. CONSTITUTION: A server device(30) comprise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network, an interface unit outputting forward data unit being outputt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reverse data being interr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first socket server stipulating a coming and going of data on the network, an education server having a morgue, a TTS server converting text-typed forward data into reverse data of a voice signal, a massager server converting text-typed forward data into text-typed reverse data, a VTV(voice to voice) server communicating forward data of a voice signal into reverse data of a voice signal, a real time dynamic image server, and an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each device for processing the forward data. The first terminal device(10) for a lecturer comprise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learning software and stores lecture data in the morgue and provides a lectur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20) for a learner comprises the second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learning software.

Description

실시간 원격 교육시스템{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및 네트워크 상에서의 인터넷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WWW) 규정 및 그 관련 기술을 응용한 인터넷상에서의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on the Internet using the Internet World Wide Web (WWW) regulations and related technologies on computers and networks.

최근 전세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인터넷(Internet)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동화상 음성 등의 데이터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세계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버들이 있다. 이들 서버들 중 월드와이드웹은 구조의 단순성과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초기의 월드와이드웹은 단지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는 데에 그쳤지만, 지금은 그림 정보뿐만 아니라 동화상도 제공하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환경을 구축하여 더욱 더 인기를 얻고 있다.Recently, the Internet, which connects networks around the world, has become widespread, and data such as moving picture voices, which are desired by users, is provided to the world regardless of place. There are various servers on the Internet that provide information. Among these servers, the World Wide Web is gaining popularity worldwide by providing many services such as structure simplicity and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The early World Wide Web only provided a variety of information quickly, but now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by building a Common Gateway Interface (CGI) environment that provides not only picture information but also moving images.

한편, 실시간 원격교육은 강의자와 수강자가 거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했을 때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격교육의 종래 방법에는 먼저 전파나 케이블에 의한 교육방송을 들 수 있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TV를 통해 교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원격교육방법으로는 비디오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갖춘 두 교실에서 강사와 학생이 한정된 교육내용으로 서로 비디오를 통하여 얼굴 및 화면을 보면서 교육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일반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육방법인데, 이는 LAN(Local Area Network)이나 WAN(Wide Area Network)상으로 연결된 두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용 영상 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영상 및 그래픽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교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LAN은 근접위치에서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며, WAN은 LAN의 거리망 보다 넓은 지역에서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real-time distance education refers to training when lecturers and students are located at a distance.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uch distance education, first, education broadcasting by radio waves or cables is mentioned. This is a way to educate on TV at a given time. Another distance education method is a video education method, which is a method in which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in the two classrooms equipped with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have limited education contents and watch the face and the screen through video with each other. Lastly, it is a training method using a general network, which allows two users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to exchange video and graphic data on the fly using a dedicated video telephone system that shares data. How to educate Here, the LAN refers to a network connecting computers in close proximity, and the WAN refers to a network connecting computers in a wider area than the LAN.

이중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교육방법이 최근 인터넷의 보급 및 활성화됨에 따라 널리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학교나 학원의 수업에 참가하기 위하여 1마일 이상의 장거리를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 종래의 방법은 수강자가 직접 학교나 학원에까지 가서 교육을 받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은 장거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하고도 폭넓은 강의를 받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방법은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다.Recently, the distance education method using the dual network has been widely attempted due to the spread and activation of the Internet. For example, when a long distance of one mile or more is required to attend a school or academy, the conventional method is inconvenient for a student to go to a school or academy directly and receive education.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is continuously spreading because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receive various and wide lectures without moving.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은 실시간 동영상 기술, 인터넷방송기술(VTV; Voice To Voice), 학습홈페이지 제작기술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원격교육은 이러한 기술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어느 정도 통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제 학교나 학원에서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같은 실제성을 수강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으로 원격교육을 제공하는 동영상기술경우에는 거의 보지도 못할 정도의 화질과 잡음이 많은 음질이 제공되어 자주 끊기는 등의 지루하고, 따분하며 오히려 학습효과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Distance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is made using real-time video technology,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VTV), and learning homepage production technology. However, distance education is not currently integrated into one of these technologies, and even if it is integrated to some extent, it does not provide students with the practicality of taking a lecture in a real school or academy. For example, in the case of video technology that provides distance education in real time, there are problems such as boring, boring, and rather hindering learning effects, such as being frequently interrupted by providing a picture quality and a lot of noise that are hardly seen.

또한, 수강을 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강의를 하는 강의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수행되지 못하여 수강자들 각각에 맞는 교육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강의의 질이 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lecturers as well as the students are not able to provide a teaching method for each student, the quality of the lecture is degra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시간 동영상기술, 인터넷방송기술(VTV) 및 학습홈페이지 제작기술 외에 TTS(Text To Speech)기술 및 인터넷메신저기술(TTT; Text To Text) 등을 추가하여 이를 통합한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real-time video technology,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VTV) and learning home page production technology, TTS (Text To Speech) technology and Internet messenger technology (TTT; Text To Text) It is to provide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incorporating this by adding suc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강자들뿐만 아니라 강의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manage lecturers as well as lectur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의 단말장치 및 서버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device of th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접속부 42:인터페이스부40: connection part 42: interface part

44: 운영시스템부 46: 웹서버부44: operating system section 46: web server section

48: TTS시스템부 50: 소켓서버부48: TTS system unit 50: socket server unit

52: 메신저서버부 54: 교육서버부52: messenger server unit 54: education server unit

56: 저장부 74: 교육소프트웨어56: storage 74: education softwa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나오는 포워드데이터(Forward Data) 및 상기 접속부로 들어가는 리버스데이터(Reverse Data)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상에서의 데이터의 왕래를 규정하는 제 1소켓서버와; 자료실을 가진 교육서버와; 텍스트(Text) 형태의 포워드데이터를 음성신호(Speech)의 리버스데이터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서버와; 텍스트형태의 포워드데이터를 텍스트형태의 리버스테이터로 통신하는 메신저서버와; 음성신호의 포워드데이터를 음성신호의 리버스데이터로 통신하는 VTV(Voice To Voice)서버와; 실시간동화상서버와;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장치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o a network;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forward data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reverse data entering the connection unit; A first socket server defining a data exchange on the network; An education server having a library; A text-to-speech (TTS) server for converting text-type forward data into reverse data of a speech signal; A messenger server for communicating the forward data in text form to a river stator in text form; A voice to voice (VTV) server for communicating forward data of the voice signal as reverse data of the voice signal; A real time video server; A server devic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each device to process the forward data;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리버스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교육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상기 교육서버의 자료실에 강의자료를 저장하고,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자용 제 1 단말장치와;A first terminal device for lecturers having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education software, storing lecture material in a data room of the education server, and providing lectures;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2입력장치와, 상기 리버스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교육소프트웨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강자용 제 2단말장치를 포함하고,A second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 for learners having education software,

상기 제 1단말장치의 강의자가 상기 서버장치에 포워드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장치의 운영시스템은 상기 교육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강의자료를 상기 제 1 및 제 2단말장치의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교육소프트웨어는 상기 제 1 단말장치의 강의자 또는 제 2 단말장치의 수강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TTS서버, 상기 메신저서버, 상기 VTV서버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제어시키는 포워드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장치의 상기 운영시스템부는 상기 포워드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여 리버스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장치에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진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When the lecturer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ransmits forward data to the server devic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erver device controls the education server to output the stored lecture data to the output devic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The education software transmits forward data to the server device, wherein the lecturer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or the learner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TTS server, the messenger server, and the VTV server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operating system unit of the server device provides a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forward data to transmit reverse data and execut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또한, 상기 서버장치는 긴급한 사정으로 강의를 듣지 못한 수강자들을 위하여 실시된 강의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ecture data carried out for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the lecture due to urgent circumstances.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며, 상기 네트워크의 통신수단으로 케이블 또는 위성을 이용할 수 있다.The network is the Internet, and cable or satellite may be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방송기술(VTV), TTS기술, 인터넷메진저기술(TTT) 및 학습홈페이지 제작기술 등이 하나로 통합된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제 학교나 학원에 출석하여 받는 강의와 같이 효과적인 수업을 수강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들에게 각각의 수강자들의 학습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되고, 이를 이용한 숙제관리기능, 성적관리기능, 시험지작성기능 등을 통하여 수강자들뿐만 아니라 강의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효과적인 교육을 수강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when using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integrated with one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VTV), TTS technology, Internet major technology (TTT) and learning homepage produc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school or academy You can provide students with effective instruction, such as attending classes. In addition, lecturers are automatically provided with the learning information of each learner, and through the homework management function, grade management function, and test paper writing function, the lecturers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lecturers as well as the lecturers. Can be provided 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의 단말장치 및 서버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device of th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은 수강자의 복수의 제 1단말장치(10)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와 강의자의 제 2단말장치(20)와 서버장치(30)로 구성된다.Th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devices 10 of a participant,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20 and a server device 30 of a lecturer.

상기 서버장치(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40)와, 인터페이스부(42)와, 운영시스템부(44)와, 웹서버부(46)와, TTS시스템부(Text to Speech Sysytem;48)와, 소켓서버부(Socket Server;50)와, 메신저서버부(52)와, 교육서버부(54)와, 저장부(56)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rver device 30 includes a connection unit 40, an interface unit 42, an operating system unit 44, a web server unit 46, and a TTS system unit (Text to Speech Sysytem). 48, a socket server unit 50, a messenger server unit 52, an education server unit 54, and a storage unit 56;

상기 운영시스템(44)부는 사용자 인증, 사용자 정보, 강의 자료 및 동영상 정보 위치값(URL) 등의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DB Server)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강의를 수행케하는 동영상기술 및 인터넷방송기술(VTV; Video To Video)서버를 가지고 있으며, 서버장치(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한다.The operating system 44 is a database server that manages all data such as user authentication, user information, lecture materials, and video information location values (URL), and video technology and the Internet to perform lectures in real time on the Internet. It has a broadcasting technology (VTV; Video To Video) server,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device (30).

또한, 상기 TTS시스템부(48)는 텍스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의 키보드를 통하여 텍스트를 입력을 하면, 입력된 텍스트는 통신라인을 통하여 TTS시스템(48)으로 전송된다. TTS시스템(48)은 입력된 텍스트를 분석하고 확성기로 전송되는 합성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를 전달받은 확성기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TTS system unit 48 serves to convert text into a voice signal.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the input text is transmitted to the TTS system 48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The TTS system 48 analyzes the input text and generates a synthesized speech signal sent to the loudspeaker. The loudspeaker receiving the signal outputs a voice signal.

또한, 상기 소켓서버부(50)는 프로세서 간 프로토콜로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기능을 한다. 즉, 수강자는 {{::DoLogin::}}, {{::LoginOK::}}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기능로그인, 전자칠판 좌표값, 대화시 대화내용, 초대 메시지 등 모든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간의 통신 내용을 이러한 클라이언트/서버간의 패켓전송을 기본으로 서버와 대화를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ocket server unit 50 functions as an interprocessor protocol for interproces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 is required to log in all the clients such as function login, copyboard coordinates, conversation contents during the conversation, and invitation messages provided in the form of {{:: DoLogin ::}} and {{:: LoginOK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server is based on the packet transfer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또한, 메신저서버부(52)는 특정 포트(Port)를 통해서 소켓서버로 접근해서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인증된 사용자끼리 특정 형태의 패켓(Packet)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messenger server unit 52 accesses a socket server through a specific port, passes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database server, and allows authenticated users to send and receive a specific type of packet.

또한, 교육서버부(54)는 강의자가 강의를 개설하고 개설된 강의를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education server unit 54 serves to provide a lecturer to the lecturer by opening the lecture.

또한, 저장부(56)는 상기 교육서버(54)의 강의를 실시간으로 수강하지 못한 수강자들를 위하여 강의 자료 및 기타 교육자료를 보관·저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6 serves to store and store lecture materials and other training materials for students who failed to take the lectures of the training server 54 in real time.

또한, 상기 수강자의 제 1 및 제 2 단말장치(10)(20)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부(60)와,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구비한 입력부(66)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출력부(64)를 가지고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62)와, 상기 인터페이스부(62)의 출력단에 연결된 운영시스템(68)과, 이에 의해 동작되는 소켓서버부(50)와,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교육소프트웨어(74)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10 and 20 of the participan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60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an input part 66 and a display including a keyboard and a mouse for inputting various data. An interface unit 62 having an output unit 64 having a device and outputting the input contents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n operating system 6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terface unit 62, and a socket server operated by the same. It has a section 50 and educational software 74 capable of internet access.

상기 교육소프트웨어(74)는 상기 서버장치(30)의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상기 서버장치(30)가 제공하는 서비스, 즉 동영상기술, 인터넷방송기술, TTS기술, 메신저기술 및 학습 포탈 홈페이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education software 74 is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web server of the server device 30,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device 30, that is, video technology,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TTS technology, messenger technology, and learning portal homepage It is structured to use technology.

상기 교육소프트웨어(74)에서 이용하는 동영상기술, 인터넷방송기술, TTS 기술, 메신저기술 및 학습 포탈 홈페이지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video technology,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TTS technology, messenger technology, and learning portal homepage technology used in the education software 7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동영상기술은 MPEG-4 압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MPEG-4는 MPEG-3의 다음 버전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압축기술로서 적은 용량으로 최고의 음질을 제공하는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윈도우 메디아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 6.4 이후 기본 포맷으로 제공되는 압축방식이다. 상기 제 1단말장치(10)의 교육소프트웨어(74)는 MPEG-4 압축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성있는 동영상기술을 제공한다.The moving pictur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PEG-4 compression. MPEG-4 is a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provided in the next version of MPEG-3. It is provided as a basic format after Windows Media Player 6.4 provided by Microsoft, which provides the best sound quality with a small capacity. It is a compression method. The education software 74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 provides a stable video technology using MPEG-4 compression technology.

또한, 실시간 인터넷방송기술은 공지의 인터넷방송 서버인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윈도우 NT 라이센스(License)로 제공되는 윈도우 메디아 스트림 서버(Window Media Stream Sever)를 제어해서 동영상을 제공해주는 RTVCS(Real Time Vedio Communication Sever)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상기교육소프트웨어(74)에서 수강자와 강의자의 간의 대화는 1대 1 대화형식이 아닌 1대 다수의 형태로 방송과 같은 형태로 수업이 진행된다. 상기 RTVCS는 앞에서 언급한 MPEG-4 압축 코덱(Cpdec)을 기본으로 하는 인터넷방송 서비스로서, 상기 교육소프트웨어(74)는 특정 에일리어스(Alias)와 포트(Port)를 통해 수강자와 강의자의 동영상을 제공받아 동영상 서비스를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l-time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RTVCS (Real Time Vedio Communication Sever), which provides a video by controlling the Windows Media Stream Server provided by a Windows NT license (License) from Microsoft, a well-known Internet broadcasting server. ) Developed and used on its own. In the educational software 74,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cturer is not one-to-one conversation format, but one-to-many forms of lessons in the form of broadcasting. The RTVCS is an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the MPEG-4 compression codec (Cpdec) mentioned above, and the education software 74 displays video of students and lecturers through a specific alias and port. The video service will be provided.

또한, TTS기술은 현재 미국의 음성인식 전문회상인 포닉스(Fornix)사가 개발한 AV-2000이라는 TTS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TTS가 단순히 한정된 발음 웨이브(Wave)파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TTS시스템(48)라면, 본 발명에 따른 TTS시스템의 경우에는 단어에 대한 약 400MB에 이르는 음성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어 그것을 서버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들에게 그 음성을 조합해서 거의 원음에 가까운 형태의 발음, 억양 등을 제공한다. 상기 교육소프트웨어에서는 전자사전 자동읽기 기능 및 음성채팅이 어려울 경우 TTS를 이용한 수업을 위해서 제공되게 된다.In addition, the TTS technology is a TTS program called AV-2000, developed by Fornix, a speech recognition professional in the US, and the TTS system 48 in which the existing TTS is simply provided using a limited pronunciation wave file. If the T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ice library of about 400MB for a word and stores it in a server, the user can combine the voice to provide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the like in the form of almost the original sound. do. In the educational software, the electronic dictionary automatic reading function and voice chat is provided for the class using the TTS.

또한, 인터넷 메신저 기술은 소켓통신을 이용한 메신저서비스로서, 특정 포트를 열어 그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하고 서버로 접속해 일정의 패켓(Packet)을 전달하는 형태의 기술이다. 즉, 특정 포트를 통해서 소켓서버로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인증된 사용자끼리 특정 형태의 패켓을 파싱(일정 패턴의 문자를 원하는 정보만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하는 형태의 기술이다. 또한, 소켓기술을 응용한 전자칠판 기능을 추가하여 마우스 움직임의 포인터를 상대방에게 소켓을 이용해서 그 데이터를 패켓으로 만들어 전송함으로 강의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전자칠판은 공지의 웹브라우저 즉,익스플로어(Explore) 및 넷스케이프(Netscape) 등과 호환이 되며, 따라서 마이크로소프-워드(MS-Word) 및 HTML 등의 문서형태를 모두 전자칠판으로 불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messenger technology is a messenger service using socket communication. The Internet messenger service opens a specific port, communicates through the port, connects to a server, and delivers a predetermined packet. In other words, after accessing a socket server through a specific port and authenticating a user through a database server, the authenticated users parse a specific type of packet (a task of bringing a certain pattern of characters to only desired information). to be. In addition, by adding the electronic board function that applies the socke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ecture by sending the pointer of the mouse movement to the other party by using the socket to transmit the data into a packet. The copyboard is compatible with a known web browser, that is, Explore and Netscape, etc. Therefore, all document types such as Microsoft Word and HTML can be called and used as copyboards. .

마지막으로 학습 포탈 홈페이지 기술은 학습포탈사이트 겸 학습 카테고리와 사이트 제작기술로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와 ASP(Active Sever Page)를 이용하여 자료를 관리하고 수강자 및 강의자를 관리한다.Lastly, the learning portal homepage technology is a learning portal site, a learning category, and a site production technology. It uses the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and the Active Sever Page (ASP) to manage materials and manage students and lecturer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에서 강의자의 강좌개설과 수강자의 강의 신청 및 강의 진행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lecturer's course opening, the lecturer's lecture application, and the course progress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철저한 테스트를 통하여 채용된 강의자들이 제 2단말장치(20)에서 서버장치(30)에 접속한 후,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NT 네트워크(Windows NT Network)를 이용하여 교육서버의 일정크기의 개인별 폴더에 개설하고자 하는 강좌의 자료를 입력하면, 서버장치(30)는 각각의 강의자들로부터 입력된 강좌의 자료를 교육서버부(54)의 자료실에 저장한다. 그 후, 수강자들이 제 1단말장치(10)를 통하여 서버장치(30)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각각의 카테고리화된 강좌 자료를 살펴본 후,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정보 등을 등록하여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특정 강좌를 선택·신청한다. 이때, 등록된 수강자는 강의를 위하여 교육소프트웨어(74)를 다운 받아야 한다.Lecturers employed through thorough testing are connected to the server device 30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20, and preferably opened in a personal folder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education server using a Windows NT network. When the data of the course to be input is input, the server device 30 stores the data of the course input from each lecturer in the data room of the education server unit 54. Afterwards, the participants access the web server of the server device 30 through the first terminal device 10 and look at each of the categorized course materials, and then register user authentication and user information at a desired time. Select and apply for a specific course. At this time, the registered student should download the training software 74 for the lecture.

강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수강자는 먼저 제 1단말장치(10)의 교육소프트웨어(74)를 구동시키고,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장치(30)에 접속하여 특정 포트로 지정된 강좌에 접속하여 강의를 제공받게 된다.In order to attend the lecture, the learner first runs the education software 74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 accesses the server device 30 through the Internet, and accesses the lecture designated by a specific port to receive the lecture. .

이때, 강의는 실시간 동화상기술 및 인터넷 방송기술(VTV)을 통하여 진행된다. 따라서 수강자들은 실제 강의실에서와 같이, 강사와 마주 대하며 강의를 받는 효과를 얻는다. 강의 중 강의자가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전자칠판기능, 수강자들의 발언권관리기능, TTS기능 등이 있다. 강의가 시작되면 강의자는 자신의 개인 폴더의 자료실에 올려놓았던 자료를 특정 형식의 주소에 의해서 전자칠판에 올릴 수 있다. 이 전자칠판기능은 수강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TTS 기능은 수강자들에게 표준적인 영어 발음이나 자료의 문장을 읽어줄 때 정확하고 사전적인 발음을 위해서 수업 중 강의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중 수강자의 질문이 있을 경우 발언권 요청을 하면 강사는 그것에 대해 판단을 해서 특정 수강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게 된다. 발언권이 부여된 수강자는 전자칠판기능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질문 내용 등을 강의자 및 다른 수강자들과 공유하게 됨으로서 효과적인 수업이 유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cture is conducted through real-time moving picture technology and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VTV). Therefore, participants will have the effect of facing the lecturer as they would in a real classroom. The functions available to lecturers during the lecture include the electronic blackboard function, the voi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students, and the TTS fun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lecture, the lecturer can post to the copyboard by a specific format of address that he has placed in his personal folder's archive. This copyboard function can be used by students. In addition, the TTS function can be used at the request of the lecturer during the class for accurate and dictionary pronunciation when reading the standard English pronunciation or sentence of material to the learners. In addition, if a student asks for a right to speak during the class, the instructor makes a judgment about it and gives the right to speak to a specific student. Participants who are given the right to speak can use the copyboard function to share their questions with lecturers and other learners, leading to effective instruction.

또한, 강의자는 웹서버의 수강자관리기능, 제공강좌관리기능, 숙제관리기능, 성적관리기능, 시험지작성기능 등을 이용하게 된다. 수강자 관리기능에는 출결관리, 강좌별 게시판 관리, 수강자 정보보기, 게시물에 대한 변경 및 삭제 등이 있고, 제공 강좌관리기능에는 강좌신청, 강좌폐강, 강좌정보변경 등이 있으며, 숙제관리기능에는 강좌별 숙제확인 숙제점수입력 등이 있고, 성적관리기능에는 성적입력 및 수정 등이 있으며, 시험지작성기능에는 시험지답지 입력 후 시험지 자동생성 및 자동채점기능 등이 있는데, 시험지와 답지를 입력하면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및 ASP (Active Sever Page)의 형태로 시험지가 생성되어 시험 후 채점도 자동으로 되어 학생성적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lecturer will use the web server's attendant management function, provided course management function, homework management function, grade management function, test paper writing function. Participant management functions include attendance management, class bulletin board management, student information viewing, and change and deletion of posts. Course management functions include course application, course closing, and course information change. Homework check Homework score input, etc. The grade management function includes grade input and correction, and the test paper preparation function includes the test sheet automatic generation and automatic scoring function after entering the test answer sheet, and the CGI (Common Gateway) Test paper is created in the form of interface and ASP (Active Sever Page), and after the test, scoring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student achievement database.

상술한 숙제관리기능을 통하여 강의자는 강의도중 수강자들에게 숙제를 제출 할 수 있는데, 강의자가 숙제를 제출하면 수강자들에게 숙제가 있다는 메시지가 가게 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숙제제출 데이터가 들어가게 된다. 그런 후, 숙제를 제출하기 위해서 수강자는 웹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을 한 후, 숙제제출기능을 이용하여 제출하게 되고, 강의자는 웹서버의 숙제관리기능을 통하여 그 제출 및 제출여부의 확인하여 평가한 후 각 수강자의 숙제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할 수 있다.Through the homework management function described above, the lecturer can submit the homework to the students during the lecture. When the lecturer submits the homework, the message is sent to the students, and the homework submission data is entered into the database server. Then, in order to submit the homework, the student can access the homepage of the web server and submit it using the homework submission function. The lecturer checks and evaluates the submission and submission through the homework management function of the web server. Afterwards, students can enter an evaluation score for each student's homework.

또한, 수강자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강의 시간에 정상적인 강의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수강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장치(30)의 저장부(56)에 저장되어 있는 강의 내용을 받아 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er does not receive a normal lecture at the time of the lecture due to unavoidable reasons, the learner may receiv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6 of the server device 30 through the Internet.

또한, 수강자들은 강사에게 메모를 남길 수 있는 메모기능, 강좌별 숙제를 담당 강의자에게 제출하는 숙제제출기능, 각 과목당의 통지표를 표시하는 통지표확인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tudents may use a memo function to leave a memo to the instructor, a homework submission function to submit homework for each class to a lecturer in charge, and a notice table checking function to display a notice table for each subject.

상술한 강의자 및 수강자에게 제공되는 기능들을 통하여 우선 강의자들은 수강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강자에 상대로한 강의자들의 관리에 대한 평가할 수 있으므로 강의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기능들을 통하여, 실제 학교에서와 같이, 강의자들은 담임선생님이 되어 수강자들을 데이터화된 자료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e functions provided to the lecturers and learners described above, the lecturers can manage the lecturers systematically, and based on this, the lecturers can evaluate the management of the lecturers against the lecturers,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lecturers. In other words, through the above functions, as in an actual school, lecturers can be classroom teachers and effectively manage the students through data-based materials.

상술한 기능 이외에도 웹메시지기능 및 전자사전기능 등이 있다. 웹메시지기능은 웹서버 내에 등록된 모든 사람들은 메신저서버를 통하여 언제든지 상대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동작된다. 또한, 전자사전기능이 제공되어 TTS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영어학습의 경우 샘플문장이나 단어를 읽어줌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놓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re are a web message function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function. The web message function is a function that allows anyone registered in a web server to send a message to a counterpart at any time through a messenger server. In addition, the electronic dictionary function is provided using the TTS technology,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ish learning can be placed to the effect of learning by reading the sample sentences or words.

한편, 자유 강의실이 개설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전문 강사가 아닌 일반 학생들이 개설할 수 있는 강의실로 실시간 화상강의와 TTS기술 등은 지원되지 않는다. 즉, 자유강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전자칠판과 채팅뿐이다.On the other hand, a free lecture room may be opened. This is a classroom that can be opened by non-professional instructors, and real-time video lectures and TTS technology are not supported. That is, the only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free classroom are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the cha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방송기술(VTV), TTS기술, 인터넷메진저기술(TTT) 및 학습홈페이지 제작기술 등이 하나로 통합된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제 학교나 학원에 출석하여 받는 강의와 같이 효과적인 수업을 수강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들에게 각각의 수강자들의 학습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되고, 이를 이용한 숙제관리기능, 성적관리기능, 시험지작성기능 등을 통하여 수강자들뿐만 아니라 강의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효과적인 교육을 수강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that integrates the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VTV), TTS technology, Internet major technology (TTT) and learning homepage production technology, et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school I can provide students with an effective class, such as lectures they attend. In addition, lecturers are automatically provided with the learning information of each learner, and through the homework management function, grade management function, and test paper writing function, the lecturers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lecturers as well as the lecturers. Can be provided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통신수단은 케이블 또는 위성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eans for accessing the Internet may use a cable or satellit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인은 알 수 있을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나오는 포워드데이터(Forward Data) 및 상기 접속부로 들어가는 리버스데이터(Reverse Data)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상에서의 데이터의 왕래를 규정하는 제 1소켓서버와; 자료실을 가진 교육서버와; 텍스트(Text) 형태의 포워드데이터를 음성신호(Speech)의 리버스데이터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서버와; 텍스트형태의 포워드데이터를 텍스트형태의 리버스테이터로 통신하는 메신저서버와; 음성신호의 포워드데이터를 음성신호의 리버스데이터로 통신하는 VTV(Voice To Voice)서버와; 실시간동화상서버와;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장치와;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a network;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forward data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reverse data entering the connection unit; A first socket server defining a data exchange on the network; An education server having a library; A text-to-speech (TTS) server for converting text-type forward data into reverse data of a speech signal; A messenger server for communicating the forward data in text form to a river stator in text form; A voice to voice (VTV) server for communicating forward data of the voice signal as reverse data of the voice signal; A real time video server; A server devic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each device to process the forward data;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리버스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교육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상기 교육서버의 자료실에 강의자료를 저장하고,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자용 제 1 단말장치와;A first terminal device for lecturers having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education software, storing lecture material in a data room of the education server, and providing lectures; 상기 포워드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2입력장치와, 상기 리버스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교육소프트웨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강자용 제 2단말장치를 포함하고,A second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forward data,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reverse data, and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 for learners having education software, 상기 제 1단말장치의 강의자가 상기 서버장치에 포워드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장치의 운영시스템은 상기 교육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강의자료를 상기 제 1 및 제 2단말장치의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교육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단말장치의 강의자 또는 제 2 단말장치의 수강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TTS서버, 상기 메신저서버, 상기 VTV서버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제어시키는 포워드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장치의 상기 운영시스템부는 상기 포워드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여 리버스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장치에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진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When the lecturer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ransmits forward data to the server devic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erver device controls the education server to output the stored lecture data to the output devic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The education software transmits forward data to the server device, wherein the lecturer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or the learner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TTS server, the messenger server, and the VTV server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unit of the server apparatus controls ea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rward data to transmit reverse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apparatus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버장치는 실시된 강의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The server device is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ecture data carried ou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The network is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the Intern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의 통신수단은 케이블인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network is a cable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의 통신수단은 위성을 이용하는 실시간 원격교육시스템.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network is a real-time distance edu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KR1020000003727A 2000-01-26 2000-01-26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KR200100765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27A KR20010076530A (en) 2000-01-26 2000-01-26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27A KR20010076530A (en) 2000-01-26 2000-01-26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530A true KR20010076530A (en) 2001-08-16

Family

ID=1964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727A KR20010076530A (en) 2000-01-26 2000-01-26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530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07A (en) * 2000-07-07 2001-07-23 황인수 Two-way Live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KR20010097625A (en) * 2000-04-25 2001-11-08 김교현 Apparatus and Method for cyber education
KR20020010987A (en) * 2000-07-31 2002-02-07 한용석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on internet and media for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KR20020015211A (en) * 2000-08-21 2002-02-27 이승호 Remote education system for business
KR20020039792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image and text data used on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KR101116837B1 (en) * 2011-06-14 2012-02-28 주식회사 디지탈웨어 Broadcasting system for school
KR101217473B1 (en) * 2012-02-15 2013-01-30 이인철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using of function on well- known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625A (en) * 2000-04-25 2001-11-08 김교현 Apparatus and Method for cyber education
KR20010068207A (en) * 2000-07-07 2001-07-23 황인수 Two-way Live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KR20020010987A (en) * 2000-07-31 2002-02-07 한용석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on internet and media for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KR20020015211A (en) * 2000-08-21 2002-02-27 이승호 Remote education system for business
KR20020039792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image and text data used on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KR101116837B1 (en) * 2011-06-14 2012-02-28 주식회사 디지탈웨어 Broadcasting system for school
KR101217473B1 (en) * 2012-02-15 2013-01-30 이인철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using of function on well- known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Distance language learning: Interactivity and fourth-generation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Lamy Oral conversations online: Redefining oral competence in synchronous environments
Heins et al. Spoken interaction in online and face-to-face language tutorials
TW201044331A (en) Interactive teaching system
Wang et al. The affordances of WeChat Voice Messaging for Chinese EFL learners during private tutoring
KR20000037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ducational program via the internet
KR20010065751A (en) An education method,which makes use of AVATA,in 3D internet space
KR20010076530A (en)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KR20000054844A (en) Method of education by a 3D cyber character, 3D cyber education space and realtime mutual voice supports at internet
Aoki et al. A Typology for Distance Education-Tool for Strategic Planning.
KR20170073187A (en) Next E-Learning Live Video Lecture System and How It Works
KR20010007738A (en) Remote study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users via internet and the system of the same
TW202347275A (en) Live teaching system
KR20020011050A (en) Remote Education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on the Internet
KR100352390B1 (en) Internet teaching method providing for remote editing
KR20000058461A (en) System for English education on the internet
KR20000036950A (en)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for teaching and test in english
JP2002169901A (en) Group participation education system using internet
KR2003007980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education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ice method thereby
JP2002244542A (en) Edu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for learner, terminal device for teacher, method for remote education by data communication, and medium with education system program stored therein
KR20220127608A (en) Multiple user-to-user remote learning methods using the Internet
KR20030057796A (en) Method for languige education through the network
KR20020071410A (en) System for linguistic education using Internet Phone and method thereof
Hricko Understanding section 508 and its implications for distance education
Wulandari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eaching English Speaking At Indonesian Senior High School: Benefits And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