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943A - 항혈전성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혈전성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943A
KR20010052943A KR1020007014317A KR20007014317A KR20010052943A KR 20010052943 A KR20010052943 A KR 20010052943A KR 1020007014317 A KR1020007014317 A KR 1020007014317A KR 20007014317 A KR20007014317 A KR 20007014317A KR 20010052943 A KR20010052943 A KR 2001005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according
compound
rti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0910B1 (ko
Inventor
바슨요하네스에그베르터스마리아
반뵉켈콘스탄트아드리안안톤
뷔즈맨로지어크리스티안
드리프트롬프코르넬리아마리아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테이트 라이덴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테이트 라이덴,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버시테이트 라이덴
Publication of KR2001005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4Peptide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Derivatives thereof, e.g. bleomycin, phleomycin, muramylpeptides or vanc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9/001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the peptide sequence having less than 12 amino acids and not being part of a ring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프로드러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 중,
R1은 페닐, 나프틸,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리닐, 크로마닐 또는 캄포르 기인데, 이들 기는 (1-8C)알킬 또는 (1-8C)알콕시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 치환될 수 있으며,
R2및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8C)알킬이고,
R4는 (1-8C)알킬 또는 (3-8C)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비방향족 (4∼8)원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는 (1-8C)알킬 또는 SO2-(1-8C)알킬로 임의 치환 가능하며,
Q는 10 내지 70개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이고,
Z는 2개 내지 6개의 단당류 단위를 포함하는 음전하를 띤 올리고당 잔사인데, 상기 음전하는 양전하를 띤 짝이온에 의해 상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혈전 활성을 가지므로, 트롬빈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혈전성 화합물{ANTITHROMBOTIC COMPOUNDS}
혈청 프로테아제는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이들 프로테아제 그룹의 멤버로는, 예컨대 트롬빈, 트립신, 요소 VIIa, IXa, Xa, XIa, XIIa 및 프로테인 C가 있다.
트롬빈은 상기 응고 캐스케이드의 최종 혈청 프로테아제 효소이다. 트롬빈의 주 기능은 피브리노겐을 분해하여 피브린 단량체를 발생시키는 것인데, 이것은 가교되어 불용성 겔을 형성한다. 또한, 트롬빈은 상기 캐스케이드에서 요소 V 및 VIII를 더 일찍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 자체의 생산성을 조정한다. 또한, 트롬빈은 혈소판 응집, 내피세포 활성화 및 섬유아세포 증식을 야기하는 특이 수용체에 작용하는 경우, 세포 농도에 중요한 작용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트롬빈은 헤모스태시스(haemostasis) 및 혈전 형성에서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한다. 트롬빈 저해제는 광범위한 치료 용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 분야에서 대대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혈청 프로테아제인 요소 Xa는 프로트롬빈의 트롬빈 전환반응을 촉매화한다.
혈청 프로테아제, 더욱 구체적으로 트롬빈의 합성 저해제 개발에서, 벤즈아미딘 부위는 중요한 구조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그 천연 기질의 기본 아미노산인 Arg 및 Lys의 프로톤화 측쇄를 모의한다. 이러한 부위를 갖는 화합물이 광범위하고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타입의 강한 트롬빈 저해제의 대표적인 예로 아미노산 유도체인 Nα-(2-나프틸설포닐)-글리실-4-아미디노페닐알라닌-피페리다이드(NAPAP)(Sturzebecher, J. et al., Thromb. Res. 29, 635-642, 1983)가 있다. 그러나, NAPAP의 프로파일은 치료 용도로는 그리 매력적이지 못하다. 예컨대, 상기 화합물은 트롬빈 특이성이 낮고, 용해성이 불량하다. 그 후, NAPAP의 유도체[예, EP 0,236,163에 개시된 N-알킬 치환 유도체 또는 EP 0,558,961, Proc. Am. Pept. Symp., 13th(60 LXAW); 94; pp 643-5(Stuber, W. et al., Pept.: Chem., Struct. Biol.,), Proc. Int. Symp. Controlled Release Bioact. Mater. (PCRMEY, 10220178); 94; Vol. 21 st; pp. 712-12(Walter. E. et al.), 및 EP 0,513,543)에 기재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가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들 유도화반응이 NAPAP에 비해 약물학적 프로파일을 개선시킬 수는 있지만, 모든 상기 NAPAP-유도 화합물이 여전히 직접적인 트롬빈 저해제로서만 활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제한적인 혈장 반감기와 빠른 클리어런스를 갖는다(이에 따라 짧은 기간동안에만 항트롬빈 활성을 보임).
본 발명은 신규의 항혈전제,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뿐 아니라 상기 화합물을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프로드러그가 우수한 다기능성 항혈전제라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식 중,
R1은 페닐, 나프틸,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리닐, 크로마닐 또는 캄포르 기인데, 이들 기는 (1-8C)알킬 또는 (1-8C)알콕시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 치환될 수 있으며,
R2및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8C)알킬이고,
R4는 (1-8C)알킬 또는 (3-8C)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비방향족 (4∼8)원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는 (1-8C)알킬 또는 SO2-(1-8C)알킬로 임의 치환 가능하며,
Q는 10 내지 70개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이고,
Z는 2개 내지 6개의 단당류 단위를 포함하는 음전하를 띤 올리고당 잔사인데, 상기 음전하는 양전하를 띤 짝이온에 의해 상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트롬빈 활성을 가지나, 또한 이 화합물의 구조는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매개에 의한 것이 아닌 직접적인 항트롬빈(요소 IIa) 활성과 항트롬빈 III(AT-III) 매개된 항 Xa 활성 양자의 조정 가능한 혼합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중 저해제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장 반감기가 길다. 그 결과, NAPAP 및 앞에서 보고된 유도체에 비해 연장된 항트롬빈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소판 요소 4(PF4)의 중화작용을 막을 수 있다. 낮은 독성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의 유리한 점이다.
이중 저해제의 또 다른 타입이 EP 0,649,85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는 반대로, 상기 문헌에 개시된 공액 당류 화합물은 AT-III 매개된 항 Xa 활성 외에도, 간접적인 AT-III 매개된 항트롬빈 활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트롬빈 매개 질환 및 트롬빈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이는 응고 캐스케이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많은 혈전증 및 프로혈전증을 포함한다. 이들 증상은 심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혈전성정맥염, 혈전증 또는 색전증에서 기인한 동맥 폐색, 혈관성형술 또는 혈전 용해 도중 또는 그 후의 동맥 재폐색, 동맥 손상 또는 침입성 심장 처치 후의 재발협착증, 수술후의 정맥혈전증 또는 색전증, 급성 또는 만성 아테롬성경화증, 발작, 심근경색, 암 및 전이를 포함하나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투석 및 외과에서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체외 혈액 순환에서 항응고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험관내 항응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혼합 프로파일은 올리고당 잔사 Z의 성질 및 스페이서 Q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일정 범위의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2개 내지 6개의 당류 단위로 이루어진 음전하를 띤 어떠한 올리고당 잔사도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당한 화합물은 Z가 설페이트화 또는 포스포릴화된 올리고당 잔사인 화합물이다. 올리고당 잔사 Z은 EP 0,454,220 및 EP 0,529,715에 개시된 당류와 같이, 자체적으로 AT-III 매개된 항 Xa 활성을 갖는 올리고당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한 올리고당 잔사는 오당류 잔사이다. Z는 하기 화학식 II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 중, R5는 독립적으로 OSO3 -또는 (1-8C)알콕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페닐, 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 또는 나프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NR3R4은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낸다. R2은 H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의 화학 구조는 본 발명 화합물의 항혈전 활성에 거의 또는 전혀 중요하지 않으나, 완전히 경성은 아닌 것이 좋을 수 있다. 가요성이 큰 스페이서가 다른 것에 비해 적합하다.
또한, 합성상의 이유로 몇몇 스페이서가 다른 것에 비해 적적하다.
쉽게 사용 가능한 적당한 스페이서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III을 갖는 것이 있다:
-[(CH2)2O]m-[(CH2)n-NR3-C(O)]p-W-(CH2)s-
상기 식 중,
W는 -[1,4-페닐렌-NR3-C(O)]q-(CH2)r-S- 또는
-(CH2)t-S-(CH2)u-[O(CH2)2]v-O-(CH2)w-C(O)-NR3-이며,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8C)알킬이고,
m = 1 내지 12, n = 1 내지 8, p = 0 내지 4, q = 0 또는 1, r = 1 내지 8, s = 1 내지 8, t = 1 내지 8, u = 1 내지 8, v = 1 내지 12, w = 1 내지 8이고, 총 원자수는 10 내지 70이며,
-[(CH2)2O]m- 부위는 Q를 Z에 부착시키는 말단이다.
바람직한 스페이서는
-[(CH2)2O]5-(CH2)2-NH-C(O)-CH2-S-CH2-,
-[(CH2)2O]5-(CH2)2-NH-C(O)-CH2-S-(CH2)2-[O(CH2)2]3-O-CH2-C(O)-NH-(CH2)4-, 및
-[(CH2)2O]3-(CH2)2-NH-C(O)-1,4-페닐렌-NH-C(O)-CH2-S-CH2-이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설명에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사용된다.
상기 용어 (1-8C)알킬이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8개인 분지쇄 또는 미분지쇄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헥실 및 옥틸이 있다. 메틸 및 에틸이 바람직한 알킬 기이다.
상기 용어 (1-8C)알콕시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8개인 알콕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알킬 부위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메톡시가 바람직한 알콕시기이다.
상기 용어 (3-8C)시클로알킬이란 탄소 원자수가 3 내지 8개인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이 있다.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 바람직한 시클로알킬기이다.
스페이서 길이는 스페이서의 원자수로서, Z와 상기 분자의 펩티드 부분 사이 가장 짧은 사슬내 원자수를 계수하며, 스페이서에 연결된 올리고당 Z의 산소 원자는 계수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프로드러그"란 아미디노 부위의 아미노기를 히드록시 또는 (1∼6C)알콕시카보닐 기로 보호시킨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NAPAP(또는 NAPAP 동족체)를 글리신 위치에서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시스테인 또는 리신을 사용하여 유도체화시키고, 이어서 이 화합물을 (a) 올리고당 스페이서 잔사와 커플링시키거나 또는 (b) 스페이서와 커플링시킨 후, 티올기로 유도체화하고, 이어서 올리고당 잔사에 커플링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임의의 적당한 올리고당을 이러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문헌(예, EP 0,454,220 및 EP 0,529,715)에 공지된 올리고당 또는 시판하는 올리고당을 사용할 수 있다. 올리고당류는, 예컨대 Buijsman, R 등에 의해 기술된 방법(논문의 초록, 9th European Carbohydrate Symposium Utrecht 1997, Abstract A150)에 의해 적당한 때에 포스포릴화될 수 있다. 스페이서를 올리고당에 커플링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EP 0,649,854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의 한 처치 단계인 펩티드 커플링은 펩티드 단편의 커플링 - 또는 축합 - 용으로 당해 분야에서 통용되는 방법, 예컨대 아지드 방법으로, 혼합산 무수물 방법, 활성화 에스테르 방법 또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보디이미드 방법, 특히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및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과 같은 촉매성 및 라세미화 억제성 화합물의 첨가를 병행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개관은 문헌[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 Vol 3, E. Gross and J. Meienhofer, eds. (Academic Press, New York, 1981)]에 수록하였다.
상기 화합물내에 존재하는 아민 작용기는 N-보호기[tert-부틸옥시카보닐(Boc)기, 벤질옥시카보닐(Z)기,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기 또는 프탈로닐(Phth) 기와 같이, α-아미노기의 보호용으로 펩티드 화학에 통용되는 기]에 의해 합성 과정 동안 보호될 수 있다. 이 보호기의 제거는 보호기의 성질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다. 대개 보호기제거는 산성 조건 및 스캐빈저의 존재하에서 일어난다. 아미노 보호기 및 그 제거 방법에 대한 개관은 전술한 문헌[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 Vol 3]에 언급되어 있다.
유리 염기 형태로 발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학식 I의 유리 염기를 유기 또는 무기산, 예컨대 HCl, HBr, HI, H2SO4, H3PO4,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말레산, 말론산, 메탄설폰산, 푸마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를 지니므로, 순수한 에난시오머로서, 또는 에난시오머들의 혼합물로서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순수한 에난시오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 예컨대 광학 활성 산 및 그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염의 결정화 방법 또는 비대칭 컬럼을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이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에 대해서는, 곧은상 컬럼 또는 역상 컬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장내 또는 복강내 투여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및 이것의 조성물의 정확한 복용량 및 섭생법은 약제가 투여되는 개체의 요구, 고통 또는 요구 정도 및 개업의의 판단에 필히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투여는 흡수율에 더 많이 좌우되는 다른 투여 방법에 비해 더 낮은 복용량을 요한다. 그러나, 일일 복용량은 인간의 경우, 체중 1 ㎏ 당 0.001 내지 100 ㎎이 바람직하며, 체중 1 ㎏ 당 0.01 내지 10 ㎎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약제는 급성 항응고약 요법에서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그 약제는 상기 질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기타 화합물과 함께 투여된다.
예컨대, 표준 문헌[Gennaro 등.,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1990, 특히 8 파트 참조: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ir Manufacture]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혼합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고체 복용 단위, 예컨대 알약, 타정으로 압착될 수 있거나 또는 캡슐 또는 좌약으로 가공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적당한 액체에 의해, 상기 화합물은 또한 용액, 현탁액, 유탁액의 형태로, 예컨대 주사제로서 또는 분무제(예, 비강 분무제)로서 복용될 수 있다.
단위 복용형태, 예를 들면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충전제, 착색제, 중합체 결합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한 어떠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과 함께 투여할 수 있는 적당한 담체는 락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적당한 분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다음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였다.
DMAP =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TEA = 트리에틸아민
Z = 벤질옥시카보닐
Ac = 아세틸
MMTr = 모노메톡시트리틸
Bn = 벤질
DCHA = 디시클로헥실암모늄
EDCI =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
HOBt =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Pyr = 피리디닐
TEG =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HEG = 헥사에틸렌 글리콜
APA = 아미디노페닐알라닌
Cys = 시스테인
화합물의 번호는 반응식에서의 화합물을 언급하는 것이다.
4-O-(4-O-(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2,3,6-트리-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2,3,6-트리-O-아세틸-α/β-D-글루코피라노실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4)
피리딘(100 ㎖) 중의 말토트리오스(1)(2.0 g, 4.0 mmol) 교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6.2 ㎖, 65 mmol) 및 DMAP 촉매량(0.79 g, 6.5 mmol)을 첨가하였다. 5 시간 후, 그 반응 혼합물을 수성 탄산수소나트륨(1 M, 250 ㎖)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20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여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경 페트롤륨/에틸아세테이트, 1/1 내지 0/1, v/v)으로 정제하여 백색 포옴 상태의 화합물(2)(91% 수율, 3.5 g)를 얻었다. 화합물(2)(3.0 g, 3.1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34 ㎖, 3.4 mmol) 중의 히드라진 아세테이트 0.1 M 용액으로 처리하여 아노머의 탈아세틸화를 수행하였다.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50 ㎖)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1 M, 3 x 25 ㎖)로 세척한 뒤, 건조(황산마그네슘)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경 페트롤륨/에틸아세테이트, 3/2 내지 1/10, v/v)으로 정제하여 화합물(3)(92% 수율, 2.7 g)을 얻었다. 화합물(3)(2.7 g, 3.1 mmol)을 디클로로메탄(15 ㎖) 중에 용해하고,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1.7 ㎖)을 촉매량의 탄산세슘(0.2 g, 0.62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화합물(4)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경 페트롤륨/에틸 아세테이트/TEA, 50/49/1 내지 0/99/1, v/v/v)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4)(1.9 g, 71%)를 백색 포옴 상태로 얻었다.
N-벤질옥시카보닐-1-아미노헥사에틸렌 글리콜 4-O-(4-O-(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2,3,6-트리-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2,3,6-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6)
디클로로메탄(1.5 ㎖) 중의 공여체(4)(0.69 g, 0.76 mmol) 및 수용체(5)(0.31 g, 0.76 mmol)의 용액을 활성 분자체 4Å(250 ㎎) 존재하에서 아르곤 흐름하에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 용액을 -20℃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0.6 ㎖) 중의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염(15 ㎕)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10 분 후, TLC 분석(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을 통해 한가지 생성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다. 고체 탄산수소나트륨(0.3 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10 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디클로로메탄(50 ㎖)으로 희석한 후, 수성 탄산수소나트륨(1 M, 2 x 25 ㎖)으로 세척하고, 건조(황산마그네슘)시킨 뒤,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법(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0 내지 4% 메탄올)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6)(0.57 g, 56% 수율)을 얻었다.
N-벤질옥시카보닐-1-아미노헥사에틸렌 글리콜 4-O-(4-O-(α-D-글루코피라노실)-α-D-글루코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7)
화합물(6)(0.57 g, 0.43 mmol)을 메탄올(15 ㎖) 중의 칼륨 tert-부틸레이트(43 ㎎, Ac 1 mmol 당 10 ㎎)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1 시간 후, TLC 분석(에틸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5/7/4/1.6, v/v/v/v)을 통해 화합물(6)이 화합물(7)로 완전히 전환하였다는 것을 알았다. 그 반응을 Dowex 50 WX4-H+수지로 중화시켰다. 수지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7)(0.37 g, 95% 수율)을 얻었으며,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N-벤질옥시카보닐-1-아미노헥사에틸렌 글리콜 4-O-(4-O-(α-D-글루코피라노실-2,3,4,6-테트라키스-(디벤질포스페이트))-α-D-글루코피라노실-2,3,6-트리스(디벤질포스페이트))-β-D-글루코피라노시드 2,3,6-트리스(디벤질포스페이트)(9)
아세토니트릴(1 ㎖) 중의 1H-테트라졸(54 ㎎, 0.77 mmol)의 용액을 아세토니트릴/디옥산(2/1, v/v, 2 ㎖) 중의 화합물(7)(86 ㎎, 95 μmol) 및 화합물(8)(450 ㎎, 1.4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20℃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배쓰를 사용하여 냉각시킨 뒤, ter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0.75 ㎖)를 첨가하였다. 45 분간 교반한 후, TLC 분석하여 하나의 주 생성물이 존재함을 알았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100/0 내지 95/5, 디클로로메탄/메탄올, v/v)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9)(311 ㎎, 92% 수율)을 제공하였다.
1-아미노헥사에틸렌 글리콜 4-O-(4-O-(α-D-글루코피라노실 2,3,4,6-테트라키스 포스페이트)-α-D-글루코피라노실 2,3,6-트리포스페이트)-β-D-글루코피라노시드 2,3,6-트리포스페이트(10)
화합물(9)(311 ㎎, 87 μmol)을 아세트산 몇방울을 함유하는 tert-부탄올/물(6/1, v/v, 20 ㎖) 중에 용해하였다. 그 용액을 10% Pd/C(100 ㎎) 존재하에서 연속적인 수소 스트림하에 교반하였다. 3 시간 후, Pd/C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Dowex 50 WX4-Na+이온 교환하여 화합물(10)(179 ㎎, 98% 수율)을 얻었다.
N-2-나프탈렌설포닐-S-4-모노메톡시트리틸-(L)-시스테인(12)
시판하는 S-4-모노메톡시트리틸-(L)-시스테인(11)(0.34 g, 1 mmol), 디옥산(5 ㎖) 및 10% 수성 탄산나트륨(5 ㎖)의 교반 혼합물에 2-나프탈렌설포닐 염화물(0.25 g, 1.1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5% 수성 시트르산(50 ㎖)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산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2 x 5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황산마그네슘),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메탄올/디클로로메탄/트리에틸아민, 0/99/1 내지 4/95/1, v/v/v)으로 정제하여 화합물(12)(76% 수율, 0.44 g)을 얻었다.
N-2-나프탈렌설포닐-S-2-피리딘설페닐-(L)-시스테인(14)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란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1/18, v/v/v)을 화합물(12)(0.44 g, 0.76 mmol)에 첨가하였다. 20 분간 교반한 후, 그 혼합물을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2 x 50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혼합물 내 미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톨루엔과 함께 증발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얻어진 유리 티올(13)을 이소프로판올(2.5 ㎖)에 재용해하고, 이소프로판올/2 N 수성 아세트산(1/1, v/v, 20 ㎖) 중의 AldrithiolTM(1.7 g, 7.6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TLC 분석을 통해 반응이 완결된 것을 알았으며 그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중의 미량의 아세트산을 톨루엔과 함께 증발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아세톤(10 ㎖)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디시클로헥실아민(0.3 ㎖)을 첨가하였다. 그 후, 화합물(14)가 DCHA-염 형태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침전되었다. 그 침전물을 분리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에 용해한 뒤, 5% 수성 시트르산(2 x 30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황산마그네슘)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순수한 화합물(14)(55% 수율, 0.25 g)을 얻었다.
N(N(Nα-2-나프탈렌설포닐-S-2-피리딘설페닐-(L)-시스테이닐)-(D,L)-4-아미디노페닐알라닐)피페리딘(16)
N-((D,L)-4-아미디노페닐알라닐)피페리딘 2염산염(15)(0.13 g, 0.39 mmol) 및 시스테인 유도체(14)(0.16 g, 0.39 mmol)의 디메틸포름아미드(2 ㎖) 용액에 HOBt(58 ㎎, 0.42 mmol), EDCl(82 ㎎, 0.42 mmol) 및 N-에틸모르폴린(110 ㎕, 0.78 mmol)을 첨가하였다.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그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0 ㎖)으로 희석하고 물(2 x 1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먼저 디클로로메탄 중의 10 내지 20% 메탄올로 불순물을 제거한 뒤, 에틸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16/7/1.6/4, v/v/v/v)로 용리하여 생성물을 방출시킴)으로 정제한 후, Sephadex LH-20(용리액: 메탄올/디클로로메탄, 4/1, v/v) 상에서 겔 여과하여 균질 화합물(16)(70%, 0.19 g)을 얻었다.
말토트리오스-데카포스페이트(18)과 펩티드(16)의 축합 커플링
0.1 M Na2HP04완충액(1.0 ㎖, pH 7.5) 중의 말토트리오스-데카포스페이트(18)(21 ㎎, 9.8 μmol)의 용액에 메탄올(1 ㎖) 중의 N-히드록시숙신이미딜-2-브로모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용출하는 Sephadex G25 컬럼에 적용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수확하고 저온(25℃),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19)를 얻었다. NAPAP 유사체(16)(10 ㎎, 15 μmol)을 헬륨에 통과시키고 음파법으로 탈기시킨 0.1 M Na2HPO4완충액(0.75 ㎖, pH 7.0)과 메탄올(1 ㎖)의 혼합물 중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트리부틸포스핀(4.1 ㎕, 16 μ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교반하였다. 1 시간 후, HPLC 분석(등록상표 Lichospher RP18-컬럼)을 통해 2-피리딘설페닐 기가 완전히 분해되었음을 알았으며, 디메틸포름아미드(0.25 ㎖) 및 0.1 M Na2HPO4완충액(0.50 ㎖, pH 7.0) 중의 화합물(19)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 시간동안 교반한 후, 미정제 혼합물을 겔 여과법(Fractogel HW-40, 용리액: 0.15 M TEAB)으로 정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농축하고, 이어서 Dowex 50 WX-Na+이온 교환하여 동결건조 후 균질 공액체(I)(10.1 ㎎, 47% 수율)를 얻었다. 두가지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반예비 HPL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등록상표 LiChrospher RP-18 컬럼, 구배: 0.05 M 수성 TEAA 중의 17.5% 내지 22.5% CH3CN)으로 분리하여 부분입체 이성질체 I-a(보유 시간: 28.6 분)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I-b(보유 시간: 33.0 분)를 얻었다. 두가지 이성질체를 겔 여과법(Sephadex G-25 DNA-등급 Superfine)으로 탈염시키고, Dowex 50 WX-Na+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Na+형태로 변형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I-a): I-a:1H NMR(D2O, 600 MHz, HH-COSY): 말토트리오스:(환원성 말단) 4.65(bs, 1H, H1), 3.85(m, 1H, H2), 4.35(m, 1H, H3), 3.76(m, 1H, H4); 5.50(bs, 1H, H1'), 4.18(m, 1H, H2'), 4.10(m, 1H, H4'); (비환원성 말단) 5.71(bs, 1H, H1"), 4.09(m, 1H, H2"), 4.45(m, 1H, H3"), 4.15(m, 1H, H4"); 3.95-3.84(H5, 말토트리오스); 스페이서: 3.65-3.51(m, 22H, OCH2HEG), 3.35(m, 2H, CH2NH2), 3.15(s, 2H, SCH2(0)); 펩티드: 8.31(s, 1H, HaromNAS), 8.06-7.67(m, 6H, HaromNAS), 7.70, 7.17(2 x d, 4H, HaromAPA, J=7.8 Hz), 4.28(m, 1H, αCH APA), 3.91(m, 1H, αCH Cys), 3.30-3.04(m, 4H, CH2N 피페리딘), 2.82-2.62(m, 3H, βCH2Cys, βCH APA), 2.57(m, 1H, βCH' APA), 1.45-1.25(m, 6H, CH2피페리딘); ES-MS: [M-3H]3-724.1, [M-2H]2-1086.7.
부분입체이성질체 (I-b):1H NMR(D2O, 600 MHz, HH-COSY): 말토트리오스: (환원성 말단) 3.80(m, 1H, H2), 4.32(m, 1H, H3), 3.89(m, 1H, H4); 5.49(bs, 1H, H1'), 4.22(m, 1H, H2'), 4.11(m, 1H, H4'); (비환원성 말단) 5.70(bs, 1H, H1"), 4.22(m, 1H, H2"), 4.52(m, 1H, H3"), 4.24(m, 1H, H4"); 3.91-3.84(H5, 말토트리오스); 스페이서: 3.63-3.52(m, 22H, OCH2HEG), 3.35(t,, 2H, CH2NH2), 3.17(AB, 2H, SCH2(O)); 펩티드: 8.35(s, 1H, HaromNAS), 8.07-7.65(m, 6H, HaromNAS), 7.77, 7.22(2 x d, 4H, HaromAPA, J=7.8 Hz), 4.62(t, 1H, αCH APA, JαCH,βCH=7.3 Hz), 4.05(m, 1H, αCH Cys), 3.05-3.00(m, 4H, CH2N 피페리딘), 2.85-2.67(m, 4H, βCH2Cys, βCH2APA), 1.88-1.24(m, 6H, CH2피페리딘);
ES-MS: [M-3H]3-724.0, [M-2H]2-1086.2.
N-히드록시숙신이미딜-14-S-2-피리딘설페닐-14-메르캅토-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카노에이트(22)
스페이서(20)(0.75, 2,4 mmol)(P. Westerduin 등, Angew. Chem. Int. Ed. Engl. 1996, 35, 3, p331-333) 및 AldrithiolTM(2.6 g, 12.1 mmol)을 디클로로메탄(20 ㎖)에 용해하고, n-부틸아민(4 ㎖)으로 처리하였다.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50 ㎖) 중에 재용해하였으며, 5% 수성 시트르산(2 x 5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메탄올/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0/1/99 내지 6/1/93, v/v/v)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21)(0.80 g, 88% 수율)을 얻었다. 화합물(21)(0.80 g, 2.1 mmol)을 디클로로메탄(10 ㎖)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0.26 g, 2.3 mmol) 및 EDCI(0.45 ㎎, 2.3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 ㎖)으로 희석하고, 얼음물(20 ㎖)로 3회 세척한 뒤, 건조(황산마그네슘)시키고 농축시켜 화합물(22)(0.98 ㎎, 98% 수율)을 얻었다.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εN-tert-부틸옥시카보닐-Nα-벤젠설포닐-(L)-리신(24)
화합물(12)에 대해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화합물(23) 및 염화벤젠설포닐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0.86 g, 75% 수율)을 제조하였다.
εN-(14-S-2-피리딘설페닐-14-메르캅토-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카노일)-Nα-벤젠설포닐-(L)-리신(26)
화합물(24)(0.86 g, 2.2 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중의 3N 염화수소로 처리하였다. 15 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 내 미량의 산을 톨루엔과 함께 증발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미정제 화합물(25)을 디옥산/물(4/1, v/v, 2.5 ㎖) 혼합물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화합물(22)(0.98 g, 2.1 mmol) 및 DiPEA(1.1 ㎖, 6.6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으로 희석하고 5% 수성 시트르산(2 x 50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황산마그네슘)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0 ∼ 10% 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으로 정제하여 균질 화합물(26)(0.95 g, 67% 수율)을 얻었다.
N(N(Nε-(14-S-2-피린설페닐-14-메르캅토-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카노일)-Nα-벤젠설포닐-(L)-리시닐)-(D,L)-4-아미디노페닐알라닐)피페리딘(27)
화합물(16)에 대해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화합물(26) 및 화합물(15)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87 ㎎, 70% 수율)을 제조하였다.
말토트리오스-데카포스페이트(18)과 펩티드(27) II의 축합 커플링
화합물 I에 대해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화합물(18) 및 화합물(27)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미정제 생성물 II을 반예비 HPLC(등록상표 LiChrospher RP-18 칼럼)으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겔 여과법(Sephadex G-25 DNA-등급 Superfine)으로 탈염시키고, Dowex 50 WX4-Na+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Na+형태로 변형시킨 뒤, 동결건조시켜서 백색 보풀성(fluffy) 고체 상태의 순수한 화합물 II(8.5 ㎎, 화합물(18)로부터 23% 수율)를 제조하였다.
1H NMR(D2O, 600 MHz, HH-COSY): 말토트리오스(환원성 말단) 4.67(m, 1H, H1), 4.07(m, 1H, H2), 4.40(m, 1H, H3), 4.06(m, 1H, H4); 5.49(bs, 1H, H1'), 4.24(m, 1H, H2'), 4.66(m, 1H, H3'), 4.10(m, 1H, H4'); (비환원성 말단) 5.73(bs, 1H, H1"), 4.17(m, 1H, H2"), 4.38(m, 1H, H3"), 4.22(m, 1H, H4"); 3.95-3.82(H5, 말토트리오스); 스페이서: 4.03, 4.02(2 x s, 2H, OCH2C(O)), 3.73-3.59(m, 36H, OCH2TEG, HEG), 3.38(t, 2H, CH2NH2), 3.27, 3.26(2 x s, 2H, SCH2(O)), 2.75(2 x t, 2H, CH2S); 펩티드: 7.81-7.52(m, 5H, Harom, BS), 7.79, 7.76, 7.42, 7.41, (4 x d, 4H, HaromAPA), 4.87, 4.66(2 x t, 1H, αCH APA, JαCH,βCH=7.4 Hz), 4.07(m, 1H, αCH Lys), 3.37-3.73(m, 8H, εCH2Lys, βCH2APA, CH2N 피페리딘), 1.96-1.46(m, 12H, CH2피페리딘, β/γ, δCH2Lys);
ES-MS:[M+3H]3+801.2, [M+2H]2+1200.8.
부분적으로 보호된 오당류(30)
공지된 오당류(29)(53 ㎎, 49 μmol)(R. C. Buijsman 등, Chem, Eur, J. 1996, 2, 12, p1572-1577)를 디메틸포름아미드(0.25 ㎖) 및 물(1 ㎖)에 용해하고, N-(벤질옥시카보닐옥시)-숙신이미드(18 ㎎, 72 μmol) 및 N-에틸모르폴린(18.6 ㎖)로 처리하였다. 15 분간 교반한 후, TLC 분석(에틸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5/7/1.6/4, v/v/v/v)을 통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알았으며, 그 반응 혼합물을 RP-18 칼럼에 직접 도포하여, 물/메탄올(90/10 내지 60/40)로 용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수집하여 소량으로 농축시키고, 물 중의 Dowex 50 WX4-H+이온 교환 칼럼상에 적용하였다. 용출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순수한 화합물(30)(54 ㎎, 91% 수율)을 얻었다.
황산화된 오당류(32)
화합물(30)(54 ㎎, 45 μ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1 ㎖)에 용해하였다. 트리에틸아민 삼산화황 착물(0.51 g, 각 히드록실기에 대해 5 당량)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55℃ 질소 대기하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그 혼합물을 0℃로 냉각한 뒤, 수성 탄산수소나트륨(트리에틸아민 삼산화황 착물 1 당량에 대해 5 당량)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뒤, 소량으로 농축시키고, Sephadex G-25 칼럼에 도포하여 물 중의 10%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수거하고, 소량으로 농축시킨 뒤, 물로 용출하는 Dowex 50 WX4(Na+형태)의 칼럼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0.2 N 염화수소(1 ㎖)에 재용해시켜서 4℃에서 16 시간동안 방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0.1 N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Sephadex G-25 칼럼상에서 탈염화시킨 뒤, 물 중의 10%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여 균질 화합물(31)을 얻었다. 화합물(31)을 아세트산 몇방울을 함유하는 tert-부탄올/물(6/1, v/v, 20 ㎖)에 용해하였다. 그 용액을 10% Pd/C(100 ㎎)와 연속 수소 스트림하에 교반하였다. 3 시간 후, Pd/C 촉매를 여과법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순수한 화합물(32)(60 ㎎, 60% 수율)을 얻었다.
오당류(32)와 펩티드(16)의 축합 커플링
오당류(32)(15 ㎎, 6.5 μmol)을 0.1 M Na2HPO4완충액(2 ㎖, pH 7.5)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sulfo-SIABTM(16 ㎎, 33 μmol)을 첨가하였다. 어두운 곳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HPLC 분석(monoQ 음이온 교환)을 통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알았으며 미정제 화합물(34)을 Superdex 30 칼럼(물 중의 10% 아세토니트릴) 상에서 정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수거하고 저온(25℃)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헬륨을 통과시키고, 사용전 음파 처리하여 탈기시킨, 메탄올(1 ㎖)과 0.1 M Na2HPO4완충액(0.75 ㎖, pH 7.0) 혼합물 중의 NAPAP 동족체(16)(9 ㎎, 14 μmol)의 용액에, 트리부틸포스핀(3.9 ㎕, 15 μ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대기하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HPLC 분석(등록 상표 Lichrspher RP-18 칼럼)을 통해 2-피리딘설페닐 기가 완전히 분해되었음을 알았다. 디메틸포름아미드(0.25 ㎖)와 0.1 M Na2HPO4완충액(0.50 ㎖, pH 7.0) 중의 유도체화된 오당류(34) 용액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ephadex G-50 칼럼에 도포하고, 이것을 물 중의 10%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수거하고 소량으로 농축시켜서 Superdex 30 칼럼상에서 탈염시킨 뒤, 이것을 물 중의 10% 메탄올로 용출하였다. 농축 및 동결 건조시켜서 백색 고체 상태의 공액 화합물 III(9 ㎎, 52% 수율)을 얻었다.
1H NMR(D2O, 600 MHz, HH-COSY): δ 3.60, 3.53, 3.43(3 x s, 9H, CH3OE,G,H); 고리 D: 5.53(m, 1H, Hl), 4.15(m, 1H, H2), 4.58(m, 1H, H3), 3.56(m, 1H, H4), 3.92(m, 1H, H5), 4.26, 4.13(2 x m, 2H, H6, H6'); 고리 E: 4.70(d, 1H, H1, Jl.2=8.1 Hz), 4.21( m, 1H, H2), 3.62(m, 1H, H3), 3.92(m, 1H, H4), 3.74(m, 1H, H5); 고리 F: 5.39(d, 1H, H1, Jl.2=3.8 Hz), 4.22(m, 1H, H2), 4.56(m, 1H, H3), 3.83(t, 1H, H4, J3.4=J4.5=9.8 Hz), 4.12(m, 1H, H5); 고리 G: 5.15(bs, 1H, H1), 4.35(m, 1H, H2), 3.76(m, 1H, H3), 4.21(m, 1H, H4), 4.80(m, 1H, H5); 고리 H: 5.10(d, 1H, H1, Jl.2=3 6 Hz), 4.31(m, 1H, H2), 4.54(m, 1H, H3), 4.21(m, 1H, H4); 스페이서: 7.51, 7.53, 7.13, 7.12(4 x d, 4H, HaromSIAB), 3.73(m, 2H, CH2CH2NH2), 3.66(m, 12H, OCH2TEG), 3.31(m, 2H, CH2NH2); 펩티드: 8.27, 8.22(2 x s, 1H, HaromNAS), 7.98-7.60(m, 6H, HaromNAS), 7.71, 7.64, 7.46, 7.44(4 x d, 4H, HaromAPA), 4.60, 4.45(2 x t, 1H, αCH APA, JαcH,βCH=6.6 Hz), 4.00, 3.97(2 x m, 1H, αCH Cys), 3.10-2.85(m, 4H, CH2N 피페리딘), 2.82-2.70(m, 3H, βCH2Cys, βCH APA), 2.61(m, 1H, βCH, APA), 1.55-1.15(m, 6H, CH2피페리딘);
ES-MS: [M-H]-2680.6
이상의 제법을 다음 반응식으로 나타내었다.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다음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I. 항트롬빈 분석
트롬빈(요소 IIa)는 응고 캐스케이드의 한 요소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항트롬빈 활성을 트롬빈에 의해 발휘된 발색단 기질 s-2238의 가수분해 속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완충계내 항트롬빈 활성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험 화합물의 IC50수치를 평가하였다.
시험 배지: 트로메타민-NaCl-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TNP) 완충액
기준 화합물: I2581(Kabi)
부형제: TNP 완충액
최종 반응 혼합물 중에 2.5% 이하의 농도인 경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메틸설폭시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tert-부틸알코올을 사용하여 용해를 도울 수 있다.
방법 시약*
1. 트로메타민-NaCl(TN) 완충액
완충액의 조성:
트로메타민(Tris) 6.057 g(50 mmol)
NaCl 5.844 g(100 mmol)
물 1ℓ까지 채움
용액의 pH는 37℃에서 HCl(10 mmol·ℓ-1)로 7.4까지 조절하였다.
2. TNP 완충액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TN 완충액 중에 용해하여 3 g·ℓ-1농도를 얻었다.
3. S-2238 용액
하나의 바이알 S-2238(25 ㎎; Kabi Diagnostica, 스웨덴)을 20 ㎖ TN 완충액 중에 용해하여 1.25 ㎎·㎖-1(2 mmol·ℓ-) 농도를 얻었다.
4. 트롬빈 용액
사람의 트롬빈(16 000 nKat·바이알-1; Centraal Laboratorium voor Bloedtransfusie,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소재)를 TNP 완충액 중에 용해하여 835 nKat·㎖-1의 모액을 얻었다.
사용 직전, 이 용액을 TNP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3.34 nKat·㎖-1의 농도를 얻었다.
*- 사용된 모든 성분은 분석등급 성분이다.
- 수용액에 대해, 초정제수(Milli-Q 품질)을 사용하였다.
시험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 용액의 제조
시험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을 Milli-Q 물에 용해하여 10-2mol·ℓ-1의 모액 농도를 얻었다. 부형제로 각 농도를 단계별로 희석하여 10-3, 10-4및 10-5mol·ℓ-1농도를 얻었다. 모액을 비롯하여 상기 희석액들을 분석에 사용하였다(반응 혼합물 내 각각의 최종 농도: 3·10-3; 10-3; 3·10-4; 10-4; 3·10-5; 10-5; 3·10-6및 10-6mol·ℓ-1).
절차
실온에서, 시험 화합물, 기준 화합물 또는 부형제를 0.075 ㎖ 및 0.025 ㎖씩 교대로 피펫으로 취하여 미량역가 플레이트의 웰에 넣었다. 이들 용액을 0.115 ㎖ 및 0.0165 ㎖ TNP 완충액으로 각각 희석하였다. 0.030 ㎖ S-2238 용액의 분획을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예열한 뒤, 37℃에서 10 분간 항온기(Amersham)에서 진탕하면서 예비 항온 처리하였다. 예비 항온 처리 후, 트롬빈 용액 0.030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S-2238의 가수분해를 개시하였다. 그 플레이트를 37℃에서 항온(30 초간 진탕하면서)시켰다. 항온시킨 지 1 분 후에, 반응 속도 미량역가 플레이트 판독기(Twinreader plus, Flow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405 ㎚에서 각 시료의 흡광도를 2 분마다 90 분간 측정하였다.
LOTUS-MEASURE를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IBM 퍼스날 컴퓨터에 수집하였다. 각 화합물 농도(mol·ℓ-1(반응 혼합물) 단위로 표시함)에 대해, 그리고 바탕물질에 대한 흡광도를 반응 시간(분)에 대해 플롯하였다.
반응의 평가: 상기 분석 플롯으로부터 각 최종 농도에 대한 최대 흡광도를 계산하였다. Hafner 등에 따른 로그 변형 분석법(Arzneim.-Forsch./Drug Res. 1977; 27(II): 1871-3)을 사용하여 IC50수치(최종 농도, mol·ℓ-1단위로 표시함, 바탕물질의 최대 흡광도의 50%를 억제시킴)를 계산하였다.
항트롬빈 활성
실시예 IC50(mol·ℓ-1)
I(한가지 부분입체 이성질체) 2 x 10-7
II 8 x 10-6
III 3.5 x 10-7
II. 항 요소 Xa 분석
활성화된 요소 X(Xa)는 응고 캐스케이드의 한 요소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항 Xa 활성을 Xa에 의해 발휘된 발색단 기질 s-2222의 가수분해 속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완충계내 항 Xa 활성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험 화합물의 IC50수치를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하기한 절차 및 시험 조건은 전술한 항트롬빈 분석의 것과 유사하였다. 차이는 다음과 같다.
기준 화합물: 벤즈아미딘
부형제: TNP 완충액
최종 반응 혼합물 중에 1% 이하의 농도(DMSO에 대한 농도) 및 2.5% 이하의 농도(기타의 용매에 대한 농도)인 경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메틸설폭시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tert-부틸알코올을 사용하여 용해를 도울 수 있다.
방법 시약*
3. S-2222 용액
하나의 바이알 S-2222(15 ㎎; Kabi Diagnostica, 스웨덴)을 10 ㎖ 물 중에 용해하여 1.5 ㎎·㎖-1(2 mmol·ℓ-) 농도를 얻었다.
4. Xa 용액
소의 요소 Xa(71 nKat·바이알-1; Kabi Diagnostica)를 10 ㎖ TNP 완충액 중에 용해한 후, 30 ㎖ TNP 완충액으로 더 희석하여 1.77 nKat·㎖-1의 농도를 얻었다. 이 희석액은 사용시 새로 제조되어야 한다.
절차
S-2238 용액(항트롬빈 분석) 대신 전술한 S-2222 용액을 본 분석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항 요소 Xa 활성
실시예 U/㎎
III 885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프로드러그:
    화학식 I
    상기 식 중,
    R1은 페닐, 나프틸,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리닐, 크로마닐 또는 캄포르 기인데, 이들 기는 (1-8C)알킬 또는 (1-8C)알콕시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 치환될 수 있으며,
    R2및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8C)알킬이고,
    R4는 (1-8C)알킬 또는 (3-8C)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비방향족 (4∼8)원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는 (1-8C)알킬 또는 SO2-(1-8C)알킬로 임의 치환 가능하며,
    Q는 10 내지 70개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이고,
    Z는 2개 내지 6개의 단당류 단위를 포함하는 음전하를 띤 올리고당 잔사인데, 상기 음전하는 양전하를 띤 짝이온에 의해 상쇄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Z은 AT-III 매개된 항 Xa 활성을 자체적으로 갖는 올리고당으로부터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Z은 오당류 잔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Z은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II
    상기 식 중, R5는 독립적으로 OSO3 -또는 (1-8C)알콕시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1은 페닐, 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R2은 H이며, NR3R4은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Q는 하기 화학식 III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III
    -[(CH2)2O]m-[(CH2)n-NR3-C(O)]p-W-(CH2)s-
    상기 식 중,
    W는 -[1,4-페닐렌-NR3-C(O)]q-(CH2)r-S- 또는
    -(CH2)t-S-(CH2)u-[O(CH2)2]v-O-(CH2)w-C(O)-NR3-이며,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1-8C)알킬이고,
    m = 1 내지 12, n = 1 내지 8, p = 0 내지 4, q = 0 또는 1, r = 1 내지 8, s = 1 내지 8, t = 1 내지 8, u = 1 내지 8, v = 1 내지 12, w = 1 내지 8이고, 총 원자수는 10 내지 70이며,
    -[(CH2)2O]m- 부위는 Q를 Z에 부착시키는 말단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Q는,
    -[(CH2)2O]5-(CH2)2-NH-C(O)-CH2-S-CH2-,
    -[(CH2)2O]5-(CH2)2-NH-C(O)-CH2-S-(CH2)2-[O(CH2)2]3-O-CH2-C(O)-NH-(CH2)4-, 및
    -[(CH2)2O]3-(CH2)2-NH-C(O)-1,4-페닐렌-NH-C(O)-CH2-S-CH2-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보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치료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화합물을 혈전증 또는 기타 트롬빈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KR1020007014317A 1998-06-17 1999-06-11 항혈전성 화합물 KR100790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2037 1998-06-17
EP98202037.2 1998-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943A true KR20010052943A (ko) 2001-06-25
KR100790910B1 KR100790910B1 (ko) 2008-01-03

Family

ID=823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317A KR100790910B1 (ko) 1998-06-17 1999-06-11 항혈전성 화합물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6486129B1 (ko)
EP (1) EP1087992B1 (ko)
JP (1) JP4369052B2 (ko)
KR (1) KR100790910B1 (ko)
CN (1) CN1261450C (ko)
AR (1) AR019674A1 (ko)
AT (1) ATE405580T1 (ko)
AU (1) AU756493B2 (ko)
BR (1) BR9911300A (ko)
CA (1) CA2334863C (ko)
CO (1) CO5080750A1 (ko)
CY (1) CY1108567T1 (ko)
CZ (1) CZ299382B6 (ko)
DE (1) DE69939378D1 (ko)
DK (1) DK1087992T3 (ko)
ES (1) ES2312210T3 (ko)
HK (1) HK1034266A1 (ko)
HU (1) HU229088B1 (ko)
ID (1) ID26614A (ko)
IL (2) IL139955A0 (ko)
NO (1) NO326057B1 (ko)
NZ (1) NZ508623A (ko)
PE (1) PE20000700A1 (ko)
PL (1) PL199433B1 (ko)
PT (1) PT1087992E (ko)
RU (1) RU2225869C2 (ko)
SK (1) SK286755B6 (ko)
TR (1) TR200003710T2 (ko)
TW (1) TWI221156B (ko)
WO (1) WO1999065934A1 (ko)
ZA (1) ZA200007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9378D1 (de) * 1998-06-17 2008-10-02 Organon Nv Antithrombotische verbindungen
TWI289566B (en) * 1999-12-07 2007-11-11 N.V.Organon Antithrombotic compound
DE10049937A1 (de) * 2000-10-06 2002-04-11 Knoll Ag Niedermolekulare Inhibitoren von Serinproteasen mit Polyhydroxyalkyl- und Polyhydroxycycloalkylresten
DE10300049A1 (de) * 2003-01-03 2004-07-15 Morphochem AG Aktiengesellschaft für kombinatorische Chemie Neue Verbindungen, die Faktor VIIa inhibieren
ATE377017T1 (de) * 2002-01-31 2007-11-15 Morphochem Ag Komb Chemie Verbindungen, die faktor xa-aktiv t inhibieren
DE10330900B4 (de) * 2003-07-01 2006-09-14 Leibniz-Institut Für Polymerforschung Dresden E.V. Biomaterial mit einem modularen Beschichtungssystem zur Anwendung in Medizinprodukten mit direktem Blutkontakt
EP1574516A1 (en) * 2004-03-05 2005-09-14 Sanofi-Aventis Antithrombotic compound
TW200621794A (en) * 2004-10-06 2006-07-01 Akzo Nobel Nv Pulmonary administration of an antithrombotic compound
TWI403334B (zh) * 2004-12-23 2013-08-01 Merck Sharp & Dohme 包含生物素殘基之抗血栓雙重抑制劑
TWI376234B (en) * 2005-02-01 2012-11-11 Msd Oss Bv Conjugates of a polypeptide and an oligosaccharide
GB0507577D0 (en) 2005-04-14 2005-05-1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AU2006301240A1 (en) * 2005-10-10 2007-04-19 Msd Oss B.V. Antithrombotic compound
US8183228B2 (en) * 2005-10-10 2012-05-22 MSD OSS B.V. Netherlands Anticoagulant antithrombotic dual inhibitors comprising a biotin label
US8597632B2 (en) * 2008-10-03 2013-12-03 Glycan Biosciences Llc Anionic oligosaccharide conjugates
AU2020300002A1 (en) 2019-07-01 2022-02-24 Tonix Pharma Limited Anti-CD15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20240059781A1 (en) 2021-01-06 2024-02-22 Tonix Pharma Limited Methods of inducing immune tolerance with modified anti-cd154 antibod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84170B (pt) * 1986-01-24 1989-03-30 Sanofi Sa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derivados n alfa-substituidos das n alfa-aril-sulfonilaminoacil d-amidinofenil-alaninamidas
DE4115468A1 (de) 1991-05-11 1992-11-12 Behringwerke Ag Amidinophenylalan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ren verwendung und diese enthaltende mittel als antikoagulantien
DE4206858A1 (de) * 1992-03-05 1993-09-09 Behringwerke Ag Glycopept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pharmazeutische mittel
NZ264340A (en) * 1993-09-01 1995-04-27 Akzo Nobel Nv Bisconjugate comprising two saccharides and a space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L120722A (en) * 1996-05-08 1999-07-14 Akzo Nobel Nv Polysulfated tetrasacchar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69939378D1 (de) * 1998-06-17 2008-10-02 Organon Nv Antithrombotische 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65934A1 (en) 1999-12-23
DE69939378D1 (de) 2008-10-02
NZ508623A (en) 2002-11-26
RU2225869C2 (ru) 2004-03-20
NO326057B1 (no) 2008-09-08
NO20006317L (no) 2001-02-14
PL199433B1 (pl) 2008-09-30
AU756493B2 (en) 2003-01-16
ZA200007075B (en) 2002-02-28
TWI221156B (en) 2004-09-21
CO5080750A1 (es) 2001-09-25
US6486129B1 (en) 2002-11-26
BR9911300A (pt) 2001-04-03
AU4512999A (en) 2000-01-05
PT1087992E (pt) 2008-10-17
IL139955A0 (en) 2002-02-10
CY1108567T1 (el) 2014-04-09
HU229088B1 (en) 2013-07-29
JP4369052B2 (ja) 2009-11-18
CN1261450C (zh) 2006-06-28
CZ299382B6 (cs) 2008-07-09
JP2002518407A (ja) 2002-06-25
TR200003710T2 (tr) 2001-04-20
CA2334863C (en) 2011-02-15
ATE405580T1 (de) 2008-09-15
SK19222000A3 (sk) 2001-07-10
IL139955A (en) 2006-08-20
ID26614A (id) 2001-01-25
CZ20004735A3 (cs) 2001-08-15
EP1087992A1 (en) 2001-04-04
KR100790910B1 (ko) 2008-01-03
CN1305494A (zh) 2001-07-25
DK1087992T3 (da) 2008-11-24
PE20000700A1 (es) 2000-08-14
CA2334863A1 (en) 1999-12-23
HK1034266A1 (en) 2001-10-19
NO20006317D0 (no) 2000-12-12
PL345238A1 (en) 2001-12-03
ES2312210T3 (es) 2009-02-16
SK286755B6 (sk) 2009-05-07
EP1087992B1 (en) 2008-08-20
HUP0102764A2 (hu) 2001-12-28
HUP0102764A3 (en) 2003-11-28
AR019674A1 (es)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910B1 (ko) 항혈전성 화합물
CA2393042C (en) Antithrombotic compound
JP5632886B2 (ja) ビオチン残基を含む抗血栓性デュアルインヒビター
JP4705093B2 (ja) 抗血栓化合物
MXPA00012554A (en) Antithrombotic compounds
MXPA02005278A (en) Antithrombotic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