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167A -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 Google Patents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167A
KR20010044167A KR1020000077784A KR20000077784A KR20010044167A KR 20010044167 A KR20010044167 A KR 20010044167A KR 1020000077784 A KR1020000077784 A KR 1020000077784A KR 20000077784 A KR20000077784 A KR 20000077784A KR 20010044167 A KR20010044167 A KR 2001004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rimary
club
slab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두환
Original Assignee
윤요현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요현,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윤요현
Priority to KR102000007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167A/ko
Publication of KR2001004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2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several units arranged one after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중 보,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거푸집을 KS 표준시방서에서 요구하는 취지를 만족하면서도 상기 표준시방서의 거푸집 존치 기간보다 조기에 구조물로부터 분리시켜 거푸집 설치공정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기를 절감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탈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공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구조 엔지니어의 요구강도 이상 발현되면 상기 수평부재의 측면 거푸집(14)을 해체하고, 수평부재 하부 면의 하나 건너 인접한 거푸집의 양 단부에 1차 동바리(20)로써 지지하고 상기 1차 동바리(20)로 지지된 거푸집을 제외한 거푸집, 최초 동바리(10), 멍에(11), 장선(12)을 해체하고, 노출된 콘크리트 면에 2차 동바리(30)를 설치하고, 상기 2차 동바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1차 동바리(20)가 지지하던 거푸집 및 1차 동바리(20)를 해체하고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되면 상기 2차 동바리(30)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면 거푸집을 조기에 해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Method of earlier-separating dies for forming the lower part of con'c beam or slab from 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중 수평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 거푸집을 조기에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 중 보,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거푸집을 표준 시방서에서 요구하는 효과를 보유하면서도 상기 표준 시방서에서 명시하는 기간보다 조기에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거푸집 탈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KS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 의하면 보 및 슬라브 하부의 거푸집의 존치기간은 타설된 보 및 슬라브 콘크리트의 설계강도가 100% 발현될 때까지 존속되어야 했다. 건물의 형상에 따라서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부 층에 사용된 보 및 슬라브의 거푸집은 상부 층에서도 재사용 가능함이 보통이다. 그러나 보 및 슬라브 콘크리트가 설계강도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이상 소요된다. 따라서 건물 하부 층의 보 및 슬라브 하부 면에 설치된 거푸집은 일정기간 상부 층의 보 및 슬라브 거푸집 작업시에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비축해야 하는 거푸집의 양 및 존치 기간을 완료한 거푸집의 이동거리가 증대되어 거푸집 자재비와 거푸집 운반에 소요되는 노무비 및 공기가 더 소요되어 공사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 및 슬라브 하부 거푸집을 조기에 분리하여 상층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자재 절감 및 공사 노무비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KS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취지를 충족시키면서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되지 않은 보 및 슬라브와 같은 수평 구체의 하부 거푸집을 조기에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보 하부면 거푸집 조기 탈형 공법을 도시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2는 일반적으로 보를 형성하기 위한 보 하부면의 거푸집 설치구조 및 최초 동바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차 동바리를 설치한 보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차 동바리가 지지하는 거푸집을 제외한 나머지 거푸집, 멍에, 장선 및 최초 동바리를 해체한 보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1차 동바리 및 2차 동바리를 설치한 보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1차 동바리 및 보 하부면의 거푸집을 전부 해체하고 2차 동바리만을 남긴 보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조공정을 도시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슬라브 하부면 거푸집 조기 탈형 공법을 도시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9는 일반적으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슬라브 하부면의 거푸집 설치구조 및 최초 동바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차 동바리를 슬라브 하부면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11는 본 발명의 제1차 동바리가 지지하는 거푸집을 제외한 나머지 거푸집, 멍에, 장선 및 최초 동바리를 해체한 슬라브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1차 동바리 및 2차 동바리를 설치한 슬라브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13는 본 발명의 슬라브 하부면에서 1차 동바리 및 보 하부면의 거푸집을 전부 해체하고 2차 동바리만을 남긴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최초 동바리 11 : 멍에
12 : 장선 13 : 보 하부면 거푸집
14 : 보 측면 거푸집 15 : 슬라브 하부면 거푸집
20 : 1차 동바리 30 : 2차 동바리
40 : 보 50 : 슬라브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보(40) 하부면 거푸집 조기 탈형 공법을 도시한 단면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멍에(11) 또는 장선(12)을 지지하지 않고 바로 보(40) 하부 면의 합판 거푸집을 지지하는 1차 동바리(20) 및 상기 합판 거푸집이 해체된 후 콘크리트 면을 직접 지지하는 2차 동바리(30)를 이용한 거푸집 해체 방법이다. 상기 보(40) 하부 면을 형성하기 위한 합판 거푸집은 보(40)의 형상, 크기 및 작업 조건에 따라 형상,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40)의 폭은 1m 를 초과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므로 보(40)의 길이 방향에서의 하중을 고려하여 합판 거푸집의 크기를 계획한다.
본 발명에서 보(40)의 하부 면을 형성하기 위한 합판 거푸집(13)의 크기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상기 거푸집(13)의 장변이 너무 긴 경우에 상기 1차 동바리(20)는 단위 거푸집(13)마다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 건너씩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의 장변 길이가 너무 길면 상기 1차 동바리(20)의 설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설계강도가 발현되지 않은 보(40)에 무리한 하중을 부담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40)의 춤, 폭을 고려하여 상기 거푸집(13)의 크기는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보(40) 하부 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장변의 길이가 0.8m ~ 1.8m 인 것이 적당하다. 철근 콘크리트조 골조 공정에서, 거푸집의 설치 작업은 구조물 부위 별로 차이가 있다. 통상적으로 보(40) 및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의 하부 면의 거푸집(13)은 거푸집의 하중, 철근 또는 철골의 하중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모두 지탱하여야 하기 때문에 30cm~90cm 정도의 간격으로 최초 동바리(10)가 세워지고 상기 최초 동바리(10) 위에 멍에(11)를 설치하고 상기 멍에(11) 위에 장선(12)을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장선(12) 위에 합판 거푸집(13)을 설치한다. 상기 멍에(11)나 장선(12)은 최초 동바리(10)로부터 받게 되는 지지력을 넓은 면적으로 균등히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적용시 상기 구조물의 하부 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13), 장선(12), 멍에(11) 및 최초 동바리(10)는 해체 작업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견고한 결합을 지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1차 동바리(20) 및 2차 동바리(30)와 구분하기 위하여 당초 설치되는 동바리를 최초 동바리(10)라 칭하였다.
도2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보(40) 하부 면 거푸집을 조기에 해체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저면도 및 단면 개략도로서,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구조 엔지니어의 요구치 이상 발현되면, 보(40) 측면 거푸집을 해체한다. 보(40)에 가해지는 하중이 보(40) 측면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신속한 공기의 진행을 위해서 어느 정도 경화되면 신속히 해체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보(40) 하부 면의 하나 건너 인접한 거푸집의 양 단부에 상기 1차 동바리(20)로써 지지한다. 상기 1차 동바리(20)는 합판 거푸집(13)의 표면을 지지하여야 상기 멍에(11)나 장선(12)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상기 1차 동바리(20)의 설치가 완료되면 1차 동바리(20)가 설치되지 않은 보(40) 하부 면의 거푸집(13), 최초 동바리(10), 멍에(11), 장선(12)을 해체하고 노출된 콘크리트 면에 2차 동바리(30)를 설치한다. 상기 2차 동바리(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1차 동바리(20)와 인접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2차 동바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1차 동바리(20)가 지지하던 거푸집 및 1차 동바리(20)를 해체한다. 그리고 상기 2차 동바리(30)는 28일 정도 콘크리트가 설계기준강도를 발현할 때까지 존치시킨다. 상기 2차 동바리(30)는 기둥으로부터 사방으로 90cm 이내의 범위에는 반드시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보(40)에 작용하는 하중이 그 범위에서 가장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1차 동바리(20) 및 2차 동바리(30)의 설치 위치는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고 구체적인 위치 및 개수는 경우에 따라 변동된다.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을 슬라브 하부면 거푸집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보(40)에 적용되는 방법과 유사하나 슬라브는 측면 거푸집이 독립하여 있는 경우는 드물고 그 측면은 벽체에 막혀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상기 보(40)는 그 폭이 좁으나 상기 슬라브(50)는 그 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거푸집(15)이 사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1차 동바리(20)가 설치된 거푸집에 인접한 거푸집에는 1차 동바리(20)가 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거푸집이 해체된 후 노출된 콘크리트 슬라브 면에 2차 동바리(3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1차 동바리(20)와 2차 동바리(30)의 설치간격은 구조엔지니어의 요구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슬라브 거푸집(15)은 전술한 보 하부 면 거푸집(13)처럼 그 크기와 형상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KS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취지를 충족시키면서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되지 않은 보 및 슬라브와 같은 수평 구체의 하부 거푸집을 조기에 분리할 수 있게 하여 거푸집 설치공정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기를 절감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7)

  1. 철근 콘크리트조 공사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구조엔지니어의 요구치 이상 발현되면,
    보 측면 거푸집(14)을 해체하고;
    보 하부 면의 하나 건너 인접한 거푸집마다 1차 동바리(20)를 설치하고;
    상기 1차 동바리(20)로 지지된 거푸집을 제외한 나머지 거푸집, 최초 동바리(10), 멍에(11), 장선(12)을 해체하고;
    거푸집이 해체되어 노출된 보 하부 콘크리트 면에 2차 동바리(30)를 설치하고;
    상기 2차 동바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1차 동바리(20)가 지지하던 거푸집(13) 및 1차 동바리(20)를 해체하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되면 상기 2차 동바리(30)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2차 동바리(30)는 기둥으로부터 70cm ~ 90cm 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3. 제1항에서, 상기 보 하부 면에 설치되는 거푸집(13)은 그 장변의 길이가 0.8m ~ 1.8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1차 동바리(20)는 그가 지지하는 거푸집(13)의 양변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5. 철근 콘크리트조 공사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구조엔지니어의 요구치 이상 발현되면,
    1차 동바리(20)를 슬라브 하부 면의 거푸집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1차 동바리(20)가 설치된 거푸집에 인접한 거푸집, 최초동바리(10), 멍에(11) 및 장선(12)을 해체하고;
    상기 거푸집이 해체되어 노출된 콘크리트 슬라브 면에 2차 동바리(30)를 설치하고;
    상기 2차 동바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1차 동바리(20)가 지지하던 거푸집(13) 및 1차 동바리(20)를 해체하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되면 상기 2차 동바리(30)를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6. 제5항에서, 상기 슬라브(50) 하부 면에 설치되는 거푸집(13)은 그 장변의 길이가 0.8m ~ 1.8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1차 동바리(20)는 그가 지지하는 거푸집(13)의 양변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하부 형틀 조기 탈형 공법.
KR1020000077784A 2000-12-18 2000-12-18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KR20010044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84A KR20010044167A (ko) 2000-12-18 2000-12-18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84A KR20010044167A (ko) 2000-12-18 2000-12-18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67A true KR20010044167A (ko) 2001-06-05

Family

ID=1970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784A KR20010044167A (ko) 2000-12-18 2000-12-18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410B1 (ko) * 2002-11-07 2004-12-17 페리유한회사 슬래브 거푸집 시공 방법
KR100614794B1 (ko) * 2004-12-21 2006-08-22 박무용 격층시공을 이용한 건축공법
CN113309341A (zh) * 2021-07-05 2021-08-27 贵州建工集团第四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高效低耗组合模架体系及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188A (en) * 1964-03-11 1966-03-08 Kwikform Ltd Shuttering system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US3915423A (en) * 1973-06-29 1975-10-28 Acrow Eng Ltd Formwork fitment for a prop
US4147321A (en) * 1976-10-07 1979-04-03 C. Evans & Sons Limited Drop-head support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188A (en) * 1964-03-11 1966-03-08 Kwikform Ltd Shuttering system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US3915423A (en) * 1973-06-29 1975-10-28 Acrow Eng Ltd Formwork fitment for a prop
US4147321A (en) * 1976-10-07 1979-04-03 C. Evans & Sons Limited Drop-head support assembl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거푸집작업조를 중심으로 한 공동주택골조 공사의 공정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pp14-19, 1996.02) *
논문(프리쇼어(preshore)와 리쇼어(reshore)를 이용한 슬래브 형틀설계 표준화를 통한 고층건물의 공기단축공법 연구, 2000.0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410B1 (ko) * 2002-11-07 2004-12-17 페리유한회사 슬래브 거푸집 시공 방법
KR100614794B1 (ko) * 2004-12-21 2006-08-22 박무용 격층시공을 이용한 건축공법
CN113309341A (zh) * 2021-07-05 2021-08-27 贵州建工集团第四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高效低耗组合模架体系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CN110409811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CN113605443A (zh) 一种高低跨混凝土底板施工结构及其方法
KR20190050550A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N111648411B (zh) 下翻式后浇带换撑结构及施工方法、后浇带施工方法
KR100544368B1 (ko)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시공하는 방법
KR20220049720A (ko)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KR20010044167A (ko) 보,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 하부 형틀 조기 탈형공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20200107332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 슬래브 동시 시공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50079301A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CN215368705U (zh) 一种楼面后浇带浇筑模具结构
JP2980567B2 (ja) 支承装置の交換方法
KR100631030B1 (ko) 피씨플레이트 및 그 피씨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의 슬래브시공방법
CN20751302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梁结构
JP6710064B2 (ja) 免震レトロフィットにおける建物の取り合い部分の施工方法と建物
KR20040097801A (ko)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CN115637776B (zh) 一种走道夹层结构建筑及其施工方法
CN110565847B (zh) 用于超高层消防电梯井道墙体的施工方法及钢筋混凝土墙
KR20020075133A (ko) 설비덕트를 포함하는 개량 t형 슬래브 및 이와 관련한 공법
CN216428029U (zh) 一种箱涵结构
KR102111883B1 (ko) 아파트와 지하주차장 접합부에서의 트랜스퍼 거더 pc화 공법
KR200351238Y1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KR101962709B1 (ko) 트랜치가 형성된 합성 데크 슬래브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