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442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42A
KR20010030442A KR1020000055088A KR20000055088A KR20010030442A KR 20010030442 A KR20010030442 A KR 20010030442A KR 1020000055088 A KR1020000055088 A KR 1020000055088A KR 20000055088 A KR20000055088 A KR 20000055088A KR 20010030442 A KR20010030442 A KR 2001003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electrode
electrodes
sustain electrode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라신스케
가와베가즈야
하라다시게키
하시모토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3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금속 후막만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전극을 구비한 AC형 PDP의 고휘도화를 도모하기 위해, 금속 후막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전극(10), (20)은 (i) 제 2 방향 D2를 따라서 연장하는 베이스부(15), (25)와 (ii) 베이스부(15), (25)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5), (25)에 대해서 다른 쪽의 유지 전극(20), (10) 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6), (26)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6), (26)은 (ii-1) 베이스부(15), (25)의 제 2 방향 D2에 있어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연장하는 각각 2개의 제 1 부분(161), (261), (ii-2) 제 1 부분(161), (261)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단부 중에서 다른 쪽의 유지 전극(20), (10) 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2 방향 D2를 따라서 연장하고 2개의 제 1 부분(161), (261)끼리를 접속하는 제 2 부분(162), (262) 및 (ii-3) 제 1 부분(161), (261)의 제 2 부분(162), (262)에서 먼 측에 결합되어 상기 2개의 제 1 부분(161), (261)끼리를 접속하는 제 3 부분(163), (263)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AND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고도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교류형의 PDP (이하, 「AC형 PDP」라고도 한다)의 고휘도화 등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30에 종래의 AC형 PDP(101P)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C형 PDP(101P)는 전면 패널(101FP)과 배면 패널(101RP)로 크게 구별된다.
전면 패널(101FP)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소다 석회(라임)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51)의 주면 상에 나트륨(Na) 등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투명 유전체 박막층(55P)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박막층(55P)은 예를 들면 CVD법 등의 박막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소다 석회 유리 등은 온도가 상승하면 절연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동작시의 발열에 의해 AC형 PDP(101P)의 동작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유전체 박막층(55P)은 후술하는 각 유지 전극(10P), (20P)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유전체 박막층(55P)의 유리 기판(51)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에 유지 전극쌍(30P)을 이루는 띠형상의 유지 전극(10P) 및 유지 전극(20P)이 소정의 간격(방전갭) g를 거쳐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지 전극(10P), (20P)는 여러 개가 스트라이프형상을 이루고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전극(10P), (20P)는 유전체 박막층(55P)의 상기 표면상에 형성된 투명 전극(11P), (21P)와 상기 투명 전극(11P), (21P)의 유리 기판(51)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에 형성된 금속 전극(「모(母)전극」또는「버스 전극」이라고도 한다)(12P), (22P)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발광은 유리 기판(51)측에서 취출(取出)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형광체(75R), (75G), (75B)에서 변환 생성된 가시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면서 방전면적 즉 전극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투명 전극(11P), (21P)가 채용된다.
이 때, 투명 전극(11P), (21P)만으로는 전극 저항이 높기 때문에 상기 투명 전극(11P), (21P)와 금속 전극(12P), (22P)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 전극(10P), (20P)의 저저항화를 도모하고 있다.
투명 전극(11P), (21P)로서 예를 들면 ITO나 SnO2등이 적용되고, 금속 전극(12P), (22P)로서 예를 들면 Ag 등의 후막이나 Cr/Cu/Cr의 3층 구조 또는 Aℓ/Cr의 2층 구조 등의 적층된 박막이 적용된다.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도 30중으로의 도시화는 생략하지만, 각 금속 전극(12P), (22P)와 각 투명 전극(11P), (21P) 사이에 각 금속 전극(12P), (22P)와 동일한 사이즈의 흑색의 패턴(이하, 전극 내 흑색층이라고도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내 흑색층은 각 금속 전극(12P), (22P)와 각 투명 전극(11P), (21P)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유전체 박막층(55P)의 상기 표면상으로서 인접하는 유지 전극쌍(30P) 사이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흑색 패턴(소위, 블랙 스트라이프)(76P)이 유지 전극(10P), (20P)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도 30중의 절단 부분에만 블랙 스트라이프(76P)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극 내 흑색층과는 달리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블랙 스트라이프(76P)가 도전성 재료인 경우, 블랙 스트라이프(76P)가 전극으로서 작용해서 유지 전극쌍(30P)과의 사이에서 방전(오방전)이 유기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전극 내 흑색층 및 블랙 스트라이프(76P)에 의하면, AC형 PDP(101P)의 표시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101FP) 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광의 반사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컨트라스트(계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밝은 환경 하에서는 (i) PDP를 발광시키고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 휘도와 (ii) PDP를 발광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와의 비(比)에 의해 컨트라스트가 결정되고, 일정한 발광 휘도 하에서는 외광의 반사 휘도가 작을수록 컨트라스트는 높아진다. 이 때문에, 외광의 반사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전극 내 흑색층 및 블랙 스트라이프(76P)에 의하면 그것이 가능하다.
이 때, 후술하는 방전 셀에 의해 전면 패널(101FP)과 배면 패널(101RP)로 규정되는 방전 공간 내에서 발생한 발광은 AC형 PDP(101P)의 외부로 취출될 때 전극 내 흑색층보다 방전 공간 측에 배치된 불투명한 금속 전극(12P), (22P)에 의해 차광되므로,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내 흑색층은 금속 전극(12P), (22P)와 동일한 사이즈이므로, 전극 내 흑색층을 마련한 것에 의해서 개구율이, 따라서 발광 휘도가 저하하는 일은 없다.
또,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유지 전극(10P), (20P)와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방전 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표시발광에 관계없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블랙 스트라이프(76P)를 마련해도 휘도저하는 적다.
그리고, 유전체 박막층(55P) 및 유지 전극(10P), (20P)를 덮고 투명한 유전체층(52)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층(52)은 유지 전극(10P), (20P) 끼리를 서로 절연함과 동시에 전면 패널(101FP)과 배면 패널(101RP)로 규정되는 방전공간 또는 상기 방전 공간 내에서 형성되는 방전에 의해 유지 전극(10P), (20P)를 절연하는 역할이 있다. 또, 유전체층(52)상에 예를 들면 MgO로 이루어지는 보호막(53)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53)은 유전체층(52)을 방전 공간 내에서 형성되는 방전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2차 전자 방출막으로서 기능해서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배면 패널(101RP)은 유리 기판(71)의 주면 상에 여러 개의 띠형상의 라이트 전극(72)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기판(71)의 상기 주면 상에 라이트 전극(72)을 덮고 유전체층(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전체층(73)의 유리 기판(71)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으로서 인접하는 2개의 라이트 전극(72) 사이에 상당하는 영역에 라이트 전극(72)과 평행을 이루고 연장하는 격벽 내지는 배리어(장벽) 리브(단지,「리브」라고도 한다)(74)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74)의 유리 기판(71)과는 반대측의 단부 내지는 정상부는 예를 들면 흑색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흑색화되어 있다. 이러한 흑색 부분(74T)은 블랙 스트라이프 또는 블랙 매트릭스라고 불리고, 표시발광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인접하는 격벽(74)과 유전체층(73)에 의해 형성되는 U자형 홈의 내면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각 U자형 홈마다 적색(R) 발광용, 녹색(G) 발광용 또는 청색(B) 발광용의 형광체 내지는 형광체층(75R), (75G), (75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73)을 갖지 않는 구조의 배면 패널도 있다.
전면 패널(101FP)과 배면 패널(101RP)은 양 유리 기판(51), (71)의 상기 각 주면이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유지 전극(10P), (20P)와 라이트 전극(72)이 입체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주위가 기밀 봉지(밀봉)되어 있다.
전면 패널(101FP)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에 형성되어 형광체층(75R), (75G), (75B)에 의해서 구획되는(격벽(74)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도 좋다) 스트라이프 형상의 방전 공간 내에 크세논(Xe),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방전 가스가 봉입된다. 또, 유지 전극쌍(30P) 또는 방전갭 g와 라이트 전극(72)의 입체 교차점이 각각 1개의 방전 셀 내지는 발광 셀을 구성한다.
AC형 PDP(101P)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의 원리는 대략 이하와 같다. 즉, 유지 전극쌍(30P)에 AC 펄스를 부가해서 방전갭 g를 거쳐서 방전 가스를 방전시키고, 상기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을 형광체층(75R), (75G), (75B)에 의해서 가시광으로 변환한다. 이 가시광이 유리 기판(51)측에서 취출되어 표시발광을 이룬다.
이 때, 각 발광 셀의 발광/비발광은 이하와 같이 해서 제어된다. 우선, 표시발광을 발생시키는 원하는 발광 셀에 있어서 라이트 전극(72)과 유지 전극(10P) 또는 (20P) 사이에서 미리 방전(기록 방전)을 형성한다. 이 방전에 의해 상기 원하는 발광 셀의 보호막(53)상에 벽전하가 형성된다. 그 후, 유지 전극(30P)에 소정의 전압(유지 전압)을 인가하여 상술한 벽전하가 형성된 발광 셀에만 방전(유지 방전)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말하면, 벽전하를 갖는 발광 셀에서는 방전이 발생하고, 벽전하를 갖지 않는 발광 셀에서는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전압값의 유지 전압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발광 셀을 선택해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 전압의 공급은 AC형 PDP(101P)의 전면에 대해서 일제히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투명 전극(11P), (21P)로서 ITO나 SnO2등의 투명한 도전성 박막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다용되는 ITO와 SnO2를 비교한다. ITO는 SnO2에 비해 도전성, 투명성, 패터닝 가공성의 점에서 우수하지만, 내화학 안정성이나 내열성은 SnO2보다 낮다. 또, 일반적으로 ITO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 법이나 이온 도금법 등의 물리증착법에 의해서 성막되므로, 대면적으로의 형성 및 양산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SnO2는 ITO의 상술한 특성과는 반대의 특성을 갖는다. 즉, 내화학 안정성이나 내열성은 ITO보다 우수하다. 또, 일반적으로 SnO2는 화학증착법(CVD법)에 의해서 성막되므로, 대면적으로의 형성 및 양산화에 대응하기 쉽다. 반대로, 도전성, 투명성은 ITO보다 낮고 상술한 우수한 내화학 안정성에 기인해서 ITO보다 고정밀도 내지는 고선명도의 패터닝을 형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ITO와 SnO2의 각 특성에는 일장일단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최선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P), (20P)는 투명 전극(11P), (21P)와 금속 전극(12P), (22P)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금속 전극(12P), (22P)의 형성 시에 정확한 얼라이먼트(정렬)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얼라이먼트에 불량이 발생하면 제조효율을 저하시켜 버린다
이와 같은 투명 전극의 재료선정 및 얼라이먼트를 필요 없게 할 수 있는 AC형 PDP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0-1497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1은 그와 같은 AC형 PDP(102P)를 전면 패널 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적인 상면도로서, 유지 전극쌍(130P)과 격벽(74)만을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130P)은 유지 전극(110P) 및 유지 전극(120P)으로 이루어지고, 유지 전극(110P), (120P)는 4개의 띠형상의 미세 전극 내지는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로 구성된다. 각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격벽(7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세선 전극(112aP)과 세선 전극(122aP) 사이의 간극(틈)이 방전갭 g를 이루고, 세선 전극(112bP), (122bP)→세선 전극(112cP), (122cP)→세선 전극(112dP), (122dP)의 순번으로 방전갭 g에서 멀어진다.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는 투명 도전성 박막이 아니라 투명 도전막보다 저저항의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지 전극(110P), (120P)는 각각이 상술한 모(母)전극(12P), (22P)에 상당하는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로 구성된다.
AC형 PDP(102P)에서는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 사이의 각 틈(간극)에서 가시광을 취출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전극(110P), (120P)는 4개의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로 이루어지므로, 전극면적 내지는 방전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AC형 PDP(101P)가 갖는 투명 전극(11P), (21P)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화면 표시에 필요한 휘도를 일정 정도로 얻을 수 있다.
유지 전극(110P), (120P)에 의하면, 상술한 AC형 PDP(101P)가 갖는 투명 전극(11P), (21P)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분만큼 제조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 공정이 간략화된다. 또,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설비도 불필요하다. 이들의 결과,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AC형 PDP(101P), (102P)에 있어서, 1개의 발광 셀로부터의 발광 휘도를 전면 패널 측에서 관측한 경우, 그 분포에는 이하와 같은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 이것을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2중의 (a)는 AC형 PDP(101P)의 모식적인 상면도로서, 투명 전극(11P), (21P) 및 격벽(74)만을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32중의 (b)에 투명 전극(11P), (21P)의 연장 방향을 따른 휘도분포를 도시하고, 도 32중의 (c)에 격벽(74)의 연장 방향을 따른 휘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32중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74)의 측벽면에 가까울수록 휘도가 높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형광체층(75R), (75G), (75B)의 상기 측벽면상의 부분(특히, 유지 전극(10P), (20P)에 가까운 부분)은 유전체층(73)(도 30 참조)상의 부분보다 방전갭 g에 가까운 분만큼 많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이나 유리 기판(51)에 가까운 분만큼 가시광을 AC형 PDP(101P)의 외부로 취출할 때의 손실이 적은 것이 이유라고 고려된다. 또, 도 32중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전갭 g에 가까울수록 휘도가 높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방전강도 즉 자외선량이 방전갭 g 부근에서 가장 크고 방전갭 g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고려된다. 이들에 의하면, 방전갭 g 및 격벽(74)의 쌍방에 가까울수록 휘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2의 휘도분포를 감안하면, AC형 PDP(102P)에서는 가시광의 취출량, 따라서 AC형 PDP의 휘도가 최적화 내지는 최대화되어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도 31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가 격벽(74)과 (입체)교차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방전갭g 부근 및 격벽(74) 부근의 고휘도의 발광을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가 차광해 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각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 사이의 인접 간격을 넓게 하면, 개구율을 높여 발광의 취출량, 따라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접 간격을 넓게 하면, 각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가 각각 독립된 전극으로서 기능(작용)하게 되므로, 4개의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가 일체적으로 작용해서 형성하도록 유지 전극(110P), (120P)로서의 전계가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 전극(110P), (120P)로의 인가 전압을 변화시키면, 세선 전극(112aP), (122aP) 사이에서의 방전→세선 전극(112bP), (122bP) 사이에서의 방전→···과 같이 여러 단계의 스텝에서 방전이 확산되는 현상이 출현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지 전극(110P), (120P)로의 인가 전압의 설정값의 여하에 따라서는 방전을 불안정하게 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세선 전극(112bP), (122bP) 사이에서의 방전이 형성되어 있는 방전 셀과 세선 전극(112cP), (122cP) 사이에서의 방전이 형성되어 있는 방전 셀이 혼재하는 상황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방전의 불안정성은 휘도불균일로서 관측되기 때문에, AC형 PDP의 표시품질을 저하시켜 버린다. 또, 이러한 방전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설정 전압의 매우 정확한 제어가 요구된다.
또, 개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 자체의 폭을 가늘게 하면 좋지만, 상기 폭이 가늘어질수록 패터닝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AC형 PDP(101P)의 전극 내 흑색층 및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모두 컨트라스트의 향상이라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전극 내 흑색층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면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개의 공정에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금속 등의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극을 구비하면서도 고휘도의 발광을 얻을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기 제 1의 목적의 실현과 함께, 휘도 불균일 등이 억제되어 높은 표시품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확실하게 패터닝 형성 가능한 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인접하는 전극쌍 사이에서의 오방전을 억제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AC형 PDP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3은 오방전의 발생/비발생에 관해서 돌출부의 길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쌍 사이의 간격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격벽 근방의 휘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AC형 PDP의 휘도와 발광 효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변형예 1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변형예 2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변형예 2에 관한 AC형 PDP의 다른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변형예 3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1은 실시예 3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2는 실시예 3의 변형예 1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3은 실시예 3의 변형예 2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4는 실시예 3의 변형예 3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5는 실시예 3의 변형예 4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6은 실시예 4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7은 실시예 4에 관한 AC형 PDP의 다른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8은 실시예 5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19는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 유전체층의 두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0은 실시예 6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21은 실시예 6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22는 실시예 6에 관한 AC형 PDP의 전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23은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24는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25는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26은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27은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28은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29는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의 전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종단면도,
도 30은 종래의 AC형 PDP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1은 종래의 AC형 PDP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도 32는 종래의 AC형 PDP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10j, 10m, 10n, 10q, 10r, 20, 20a∼20j, 20m, 20n, 20q, 20r : 유지 전극(전극)
30, 30a∼30j, 30m, 30n, 30q, 30r : 유지 전극쌍(전극쌍)
15, 25 : 베이스부
16, 16a∼16j, 16m, 16n, 16q, 16r, 26, 26a∼26j, 26m, 26n, 26q, 26r : 돌출부
16K, 16aK1, 16aK2, 16iK, 16mK, 16nK, 26K, 26aK1, 26aK2, 26iK, 26mK, 26nK : 개구부
17, 27 : 연결부 51 : 유리 기판(투명 기판)
51S : 주면 52, 54 : 유전체층
53 : 보호막(2차 전자 방출막) 55 : 하지층
72 : 라이트 전극(대향 전극) 74 : 격벽
75R, 75G, 75B : 형광체(층) 76 : 흑색 패턴(흑색의 절연층)
101∼103 PDP, 101F, 103F : 전면 패널(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제 1 기판)
101RP : 배면 패널(제 2 기판)
161, 161d, 161j, 261, 261d, 261j 제 1 : 부분
162, 162j, 162m, 162n, 162q, 162r, 162R, 162G, 162B, 262, 262j, 262m, 262n, 262q, 262r, 262R, 262G, 262B : 제 2 부분
163, 163e, 163f, 263, 263e, 263f : 제 3 부분
164, 264 : 제 4 부분 b, w6, wg : 길이
d : 거리 g : 방전갭
p : 피치 D1∼D3 : 방향
(1)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한쪽의 주면 측에 배치되어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주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전극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쌍을 이루는 각 상기 전극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대면해서 방전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쌍을 이루는 다른 쪽의 상기 전극 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각 상기 돌출부의 각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대면해서 상기 방전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는 O자형, L자형 및 U자형중의 적어도 1개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내지 (3)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중에서 상기 방전갭과 대면해서 상기 방전갭을 형성하는 방전갭 형성부는 상기 돌출부중에서 상기 방전갭 형성부 이외의 부분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내지 (4)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배열하는 여러 개의 상기 전극쌍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피치를 기호 p(㎛)로 표기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방전갭 각각의 상기 돌출 방향과 평행한 상기 방향에 따른 각 길이를 각 기호 b(㎛), g(㎛)로 표기할 때, b((p-g-115)/2.42로 인가되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내지 (5)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는 여러 개의 상기 전극쌍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쌍과 상기 투명 기판 사이 및 인접하는 상기 전극쌍의 사이의 쌍방에 흑색의 절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내지 (6)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전극쌍을 여러 개 구비하고, 모든 상기 돌출부의 전극 면적이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7)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를 피복하는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고, 각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극면적이 상기 유전체층의 각 상기 돌출부를 피복하는 각 두께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2차 전자 방출막을 더 구비하고, 각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극 면적이 상기 2차 전자 방출막의 각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각 2차 전자 방출 효율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상기 (1) 내지 (9)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전극 사이에 상기 전극과 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투명 기판의 연화점 이하의 형성 온도에 있어서 형성된 투명한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페이스트형상 재료의 도포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1) 내지 (10)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대면해서 배치되고 띠형상의 대향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향 전극을 따라서 연장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측벽면상에 배치된 형광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판 측에서 본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이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11)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제 1 기판의 측에서 본 경우, 상기 돌출부중에서 상기 전극쌍을 이루는 다른 쪽의 상기 전극 측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상기 격벽이 70㎛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본 발명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제 1 기판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교대로 배치된 여러 개의 상기 대향 전극 및 상기 격벽을 구비하고, 인접한 상기 격벽의 대면하는 양 상기 측벽면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공간 단위로 규정된 소정의 발광색을 발생하는 상기 형광체층이 배치되어 있고, 각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극 면적이 각 상기 돌출부가 대면하는 상기 공간내의 상기 형광체층의 각 상기 소정의 발광색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에 관한 AC형 PDP(101)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AC형 PDP(10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중의 I-I 선에 있어서의 종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적인 종단면도이다. AC형 PDP(101)은 전면 패널 내지는 앞면 기판(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또는 제 1 기판)(101F)의 구조 특히 유지 전극쌍(전극쌍)(30)의 구조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는 유지 전극쌍(30)과 격벽(74)을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고, 도 2에서는 전면 패널(101F)을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AC형 PDP(101) 및 후술하는 실시예 2 등에 관한 각 AC형 PDP의 배면 패널 내지는 배면 기판(제 2 기판)으로서 도 30의 종래의 배면 패널(101RP)(도 1 및 도 2에 도시하지 않음)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도 30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진행한다. 또한, AC형 PDP(101) 및 후술하는 실시예 2 등에 관한 각 AC형 PDP는 소위 3전극면 방전형의 AC형 PDP로서, 그의 배면 패널의 여러 가지를 상기 AC형 PDP(101) 등에 적용 가능하다.
전면 패널(101F)은 예를 들면 소다 석회 유리나 고 왜곡(변형)점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투명 기판)(51)을 구비한다. 유리 기판(51)의 주면(51S)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방향 D1, D2와 평행을 이루고 즉 제 1 및 제 2 방향 D1, D2의 쌍방과 수직인 제 3 방향 D3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
유리 기판(51)의 주면(51S) 상에 투명 유전체 유리로 이루어지는 하지층(55)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층(55)은 나트륨(Na) 등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다. 하지층(55)의 두께는 약 5∼10㎛ 이다. 하지층(55)은 하기와 같이 해서 형성된다. 우선, 유리 분말에 수지, 용제 등을 부가해서 페이스트형상으로 한 재료(소위,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를 스크린 인쇄법이나 다이 코트법, 로울 코트법 등에 의해서 주면(51S) 상에 도포한다. 그 후, 상기 페이스트형상 재료를 소정의 온도에 의해 건조하고, 예를 들면 550℃∼600℃ 정도의 소성 온도로 소성한다. 이 때, 하지층(55)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는 유리 기판(51)의 연화점 이하의 열변형이 적은 온도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상기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는 유리 기판(51)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로 소성 가능한 재료를 의미하고, 상기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로 형성된 유전체를 저융점 유리라고 한다.
상기 주면(51S)과는 반대측의 하지층(55)의 표면상에 유지 전극쌍(30)이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유지 전극쌍(30)은 유리 기판(51)의 주면(51S)측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 전극쌍(30)은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의 유지 전극(10), (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유지 전극(10), (20)이 은(Ag)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유지 전극(10), (20)으로서 그 밖의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를 적용 가능하다. 이 때, 이러한 재료의 반사율은 예를 들면 Ag와 같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유지 전극에 의한 차광을 실질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발광 중에 유지 전극에 의해서 차광된 빛은 상기 전극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또 방전 셀의 내벽에서 반사되며, 최종적으로 전면 패널 측에서 취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지 전극(10)은 (i) 제 2 방향 D2를 따라서 연장하는 베이스부(15)와 (ii) 베이스부(15)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5)에 대해서 유지 전극(20) 측으로 연장하는 가지부 내지는 돌출부(16)와 크게 구별된다. 여러 개의 베이스부(15) 및 돌출부(16)가 제 2 방향 D2를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여러 개의 돌출부(16)가 베이스부(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여러 개의 베이스부(15)의 배열 내지는 연결에 대해서 돌출부(16)는 다른 쪽의 유지 전극(2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6)는 프레임형상 내지는 O자형으로 결합된 제 1 부분(161)∼제 3 부분(163)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부분(161)∼제 3 부분(163)에 의해 개구부(16K)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ii-1) 제 1 부분(161)은 베이스부(15)의 제 2 방향 D2에 있어서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 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6)의 제 1 부분(161)은 인접하는 2개의 베이스부(15)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ii-2) 제 2 부분(162)은 제 1 부분(161)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단부 중에서 다른 쪽의 유지 전극(20)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2 방향 D2를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제 2 부분(162)은 상술한 2개의 제 1 부분(161)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또, (ii-3) 제 3 부분(163)은 제 1 부분(161)의 제 2 부분(162)에서 먼 측에 결합되어 상술한 2개의 제 1 부분(161)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AC형 PDP(101)에서는 제 3 부분(163), 베이스부(15) 및 제 1 부분(161) 중에서 제 3 부분(163)과 베이스부(15) 사이에 배치된 부분이 일체화되어 있고, 그들 여러 개에 의해서 띠형상 전극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돌출부(16), (26)이 베이스부(15), (25)에서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베이스부(15), (25)는 후술하는 방전갭 g에서 먼 위치 내지는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유지 전극(20)은 상술한 베이스부(15)와 동등한 베이스부(25) 및 상술한 돌출부(16)와 동등한 돌출부 내지는 가지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돌출부(26)는 각각 상술한 제 1 부분(161)∼제 3 부분(163)과 동등한 제 1 부분(261)∼제 3 부분(263)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부분(261)∼제 3 부분(263)이 상술한 개구부(16K)와 동등한 개구부(26K)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유지 전극(10), (20)은 제 2 방향 D2를 따른 대칭선(도시하지 않음)에 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돌출부(16)와 돌출부(26), 상세하게는 제 2 부분(162)과 제 2 부분(262)이 소정의 간격(방전갭 g를 이룬다)을 거쳐서 평행을 이루고 대면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배열되는 유지 전극쌍(30)끼리의 간격 g2, 상세하게는 (i) 하나의 유지 전극쌍(30)의 돌출부(16), (26)과 (ii) 상기 하나의 유지 전극쌍(30)과 인접하는 다른 유지 전극쌍(30)의 돌출부(26), (16)의 간격 g2는 인접하는 상기 하나 및 다른 유지 전극쌍(30) 사이에서 오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치수로 설정된다. 이하에 인접하는 유지 전극쌍(30)의 간격 g2의 치수 설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 오방전은 예를 들면 유지 방전 시에 발생한다. 즉, 유지 방전은 벽전하를 갖는 방전 셀에서만 형성되지만, 유지 방전을 형성하는 동작 시에는 모든 유지 전극쌍(30) 사이에 교류적인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간격 g2가 작기 때문에 벽전하를 갖고 있지 않은 인접하는 방전 셀로까지 방전이 확산되면, 상기 벽전하를 갖고 있지 않은 방전 셀에 있어서도 방전(오방전)이 유기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인접하는 방전 셀 사이에서 서로 방전이 미치지 못하도록 간격(92)은 하기와 같이 규정된다.
여기서, 도 3에 오방전의 발생/비발생에 관해서 각 돌출부(16), (26)의 제 1 방향 D1에 따른 길이 b(㎛)와 간격 g2(㎛)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g2= 0. 42b+115
인 관계를 만족시키는 직선을 경계로 해서 상측의 영역 즉,
g2 〉0. 42b+115
인 영역에서는 오방전이 발생하기 어렵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방향 D1을 따른 방전 셀의 피치 p(㎛)는 예를 들면 동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방전갭(9) 사이의 간격 또는 인접한 유지 전극쌍(30)의 각 유지 전극(10) 사이의 간격으로서 규정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2×b+g+g2
인 관계가 있다.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b〈(p-g-115)/2. 42
인 관계식이 도출된다. 방전 셀의 피치 p는 PDP의 설계 내지는 규격에 의해 결정되고 또한 방전갭 g는 방전 개시 전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AC형 PDP(101)에서는 이들의 값 p(㎛), g(㎛)에 따라서 상기 식 3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각 돌출부(16), (26)의 길이 b(㎛)를 결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배열되는 유지 전극쌍(30) 사이에서의 오방전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유지 전극(10), (20)은 이하와 같이 해서 형성된다. 우선, 하지층(55)의 상기 표면상에 감광성을 갖는 Ag를 포함하는 페이스트형상 재료(이하, 단지 「Ag 페이스트」라고 한다)를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Ag 페이스트를 노광 및 현상하여 상술한 형상으로 패터닝하고, 이것을 소성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지 전극(10), (20)이 형성된다. 이 때, 소성 온도는 예를 들면 550℃∼600℃ 정도의 온도로 설정한다.
또한, 감광성을 갖지 않는 Ag페이스트를 이용해도 유지 전극(10), (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조후의 Ag페이스트 상에 패터닝된 레지스트를 배치하고 상기 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해서 Ag페이스트를 패턴 에칭한다. 또는, 리프트 오프법에 의해서 (감광성을 갖지 않는) Ag페이스트를 패터닝해도 좋다. 또, 그 밖의 형성 방법에 의해서 또는 그 밖의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페이스트형상 재료에 의해서 유지 전극(10), (20)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 유지 전극쌍(30) 및 하지층(55)을 피복해서 투명 유전체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52)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52)의 기판(51)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에 보호막(2차 전자 방출막)(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층(52) 및 보호막(5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유전체층(54)」라고도 한다. 유전체층(52)은 상술한 하지층(55)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형성된다. 보호막(53)은 예를 들면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이루어지고 진공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도 30 참조)은 격벽(74)(여기서는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연장한다)과 유지 전극(10), (20)의 베이스부(15), (25)가 (입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그의 둘레가장자리부가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로 형성된 방전 공간 내에 소정의 방전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유지 전극쌍(30) 또는 방전갭 g와 라이트 전극(72)의 입체 교차점이 각각 1개의 방전 셀 내지는 발광 셀을 구성한다.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제 3 방향 D3에서 AC형 PDP(101)의 전면 패널(101F)을 본 경우에 돌출부(16), (26)과 격벽(74)이 중첩되지 않도록(오버랩되지 않도록) 유지 전극(10), (20) 및 격벽(74)의 치수·형상 및 배치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 AC형 PDP(101)을 전면 패널(101F) 측에서 본 경우, 제 1 부분(161), (261)과 격벽(74)의 간격 내지는 거리(의 최소값)d가 대략 7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여기서, 기술하는 도 32 중의 (b)에 있어서의 격벽(74) 근방의 휘도 분포의 상세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AC형 PDP(101P)(도 30 참조)의 투명 전극(11P) 또는 (21P)를 거친 발광의 강도 내지는 휘도를 격벽(74)과 수직인 방향(도 1 등에 있어서의 제 2 방향 D2에 상당)을 따라서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4에 의하면, 격벽(74)의 측벽면에서 70㎛ 정도까지의 범위 내는 휘도가 비교적 높은 영역이며, 대략 70㎛ 이상 떨어지면 휘도는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AC형 PDP(101)에서는 격벽(74) 근방의 휘도가 높은 부분을 차광하지 않도록, 돌출 부분(16), (26)과 격벽(74)의 간격d가 대략 7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배면 패널(101RP) 중에서 유리 기판(71)과 띠형상의 라이트 전극(대향 전극)(72)(도 30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제 2 기판」이라고 할 때, AC형 PDP(101)의 구조를 이하와 같이 받아들일 수 있다. 즉, 라이트 전극(72)을 따라서 연장하는 격벽(74)은 전면 패널(제 1 기판)(101F)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격벽(74)의 측벽면상에 형광체층(75R), (75G), (75B)(도 30 참조)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전면 패널(101F)과 제 2 기판과 격벽(74)으로 구획된 공간 단위로 규정된 형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층(75R), (75G), (75B)가 인접한 격벽(74)의 대면하는 양 측벽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AC형 PDP(10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도 30의 종래의 AC형 PDP(101P)와 같이 투명 전극을 갖지 않기 때문에 투명 전극의 재료의 선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유지 전극(10), (20)은 종래의 AC형 PDP(101P)의 유지 전극(10P), (20P)와 같이 투명 전극과 모전극(금속 전극)의 2층 구조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2층 구조의 형성을 위한 얼라이먼트가 전혀 불필요하다. 또, 투명 전극 및 모전극의 쌍방의 형성 장치를 준비할 필요성이 없고 또한 투명 전극 형성을 위한 재료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그 분만큼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AC형 PDP(102P0이 개시되는 상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0-149774호에서는 유지 전극(110P), (120P)를 Cr/Cu/Cr이나 Aℓ/Cr 등의 다층 박막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AC형 PDP(101)의 유지 전극(10), (20)은 Ag페이스트를 이용한 후막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후막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박막 다층 구조보다 전기 저항이 작다. 또, 제조 장치 비용이 저렴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 방법도 박막 형성 프로세스보다 간편하다.
또한, 유지 전극쌍을 이루는 각 유지 전극이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서 다른 쪽의 유지 전극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전극 구조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8-227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서는 상기 유지 전극을 투명 전극 재료만으로 형성하고 있어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는 상술한 유지 전극(10), (20)과는 다르다. 또, 유지 전극(10), (20)을 단지 투명 전극으로 치환하는 것만으로는 유지 전극(10), (20)보다 저항이 높아져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지는 하지층(55)과 후막의 유지 전극(10), (20)의 조합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AC형 PDP(101P)의 유전체 박막층(55P)(도 30 참조)과 같은 박막의 유전체층상에 유지 전극(10), (20)과 동등한 후막 전극을 형성하면 상기 후막 전극의 소성 시에 (종단면에 있어서의) 각부(角部) 내지는 에지가 부풀어오르게 되지만(이렇게 부풀어오르는 형상은 「에지 컬」이라고 불린다),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지는 하지층(55)과 후막의 유지 전극(10), (20)의 조합에 의하면 이 에지 컬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에지 컬의 억제작용은 예를 들면 유전체층(52)의 소성 시에 있어서 하지층(55)이 연화되고 이러한 연화에 의해서 발생한 하지층(55)의 표면 장력이 유지 전극(10), (20)을 끌어당기는(인장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고 고려된다. 이 때, 상술한 에지 컬을 갖는 후막 전극 상에 유전체층(52)을 형성한 경우, 유전체층(52)의 에지 컬 근방상의 두께는 에지 컬의 높이 분만큼 후막 전극의 다른 부분상의 동일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에지 컬 근방에 있어서 유전체층(52)의 절연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해, AC형 PDP(101) 또는 전면 패널(101F)에 의하면, 유지 전극(10), (20)에 에지 컬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지 전극(10), (20)상의 유전체층(52)(또는 (54))의 두께는 균일하다. 이 때문에, 유전체층(52)의 상술한 절연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AC형 PDP(101)의 안정적인 동작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하지층(55)은 투명 기판의 연화점 이하의 열변형이 적은 형성 온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연화 시에 있어서도 유리 기판(51)이 열 변형하는 일이 없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지층(55)은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를 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소성해서 형성되므로, 종래의 유전체 박막층(55P)을 형성하기 위한 CVD법 등의 박막 형성 프로세스보다 제조 장치비용을 삭감하여 저렴하게 하지층(55)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 등의 후막 형성을 위한 제조 장치는 다른 후막, 예를 들면 유전체층(52)나 유지 전극(10), (20)의 형성 장치와 공용 가능하므로, 제조 장치 비용의 삭감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AC형 PDP(101)에 의하면, 종래의 AC형 PDP(102P)보다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우선, 돌출 부분(16), (26)과 격벽(74)이 대략 70㎛ 이상 떨어져 있으므로, 격벽(74) 근방의 고휘도의 발광을 취출할 수 있다.
게다가, AC형 PDP(101)에서는 유지 전극(10), (20)중에서 격벽(74)과 중첩하는 것은 베이스부(15), (25)뿐이다. 이 때문에, 격벽(74) 근방에서 발생되는 고휘도의 발광(도 32중의 (b) 참조)을 도 31의 종래의 AC형 PDP(102P)보다 많이 취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2중의 (b) 및 (c)의 쌍방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74) 근방에서 발생하는 고휘도의 발광 중에서도 방전갭 g에 가까울수록 발광휘도가 더욱 높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베이스부(15), (25)는 방전갭 g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AC형 PDP(102P)의 세선 전극(112aP), (122aP)나 세선 전극(112bP), (122bP)에 의해서 차광되고 있던 상술한 고휘도의 발광을 유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 돌출부(16), (26)는 개구부(16K), (26K)를 갖기 때문에 제 1 방향 D1을 따른 휘도분포(도 32중의 (c) 참조)에 있어서의, 방전갭 g 근방의 고휘도의 발광도 유효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C형 PDP(101)에서는 고휘도의 발광을 차광하지 않도록 돌출부(16), (26) 및 베이스부(15), (25)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유지 전극(10), (20)에 의한 가시광의 차광량이 종래의 AC형 PDP(102P)의 유지 전극(110P), (120P)보다 적다. 그 결과, AC형 PDP(101)에 의하면 가시광의 취출 효율이 향상되어 종래의 AC형 PDP(102P)보다 고휘도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즉,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의 발광효율을 측정한 결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휘도에 있어서 AC형 PDP(101)의 발광효율(특성선 α으로 나타낸다)은 종래의 AC형 PDP(102P)의 발광효율(특성선β로 나타낸다)보다 약 20% 정도 높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AC형 PDP(101)에서는 방전갭 g에서 형성된 방전은 인가 전압을 증대하면, 제 1 부분(161), (261)을 따라 베이스부(15), (25)측 내지는 제 3 부분(163), (263) 측으로(여러 단계의 스텝이 아니라) 1회의 스텝으로 확대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AC형 PDP(102P)에 있어서 세선 전극(112aP)∼(112dP), (122aP)∼(122dP) 사이의 각 틈새(간극)를 확대시킨 경우와 같이 방전이 여러 단계의 스텝으로 확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AC형 PDP(101)에 의하면, 여러 단계의 스텝에 의한 방전의 확대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휘도 불균일은 관측되지 않는다. 또, 방전의 스텝형상의 확대가 발생하는 전압 영역을 피해서 설정해야 하는 인가 전압의 마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돌출부(16), (26)은 제 1 부분(161), (261)을 각각 2개씩 갖는다. 이 때문에, 가령 각 제 1 부분(161), (261) 중의 1개가 단선한 경우라도 다른 1개가 동시에 단선하지 않으면 제 2 부분(162), (262)로의 급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유지전극(10), (20)의 역할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AC형 PDP(101) 내지는 전면 패널(101F)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AC형 PDP를 높은 제조효율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 상에 직접 Ag(은)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이것을 소성하여 전극을 형성하면, Ag이 유리 기판 중으로 확산해 버려 유리 기판의 전극과 접하는 부분 및 그 주변 부분이 변색(황변)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변색은 Ag 전극 형성후의 고온 처리 예를 들면 유전체층(52)에 상당하는 유전체층의 소성 공정에서도 발생, 진행할 수 있다. 또, 유리 기판 중에 Na 등의 알칼리 금속의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Ag의 유리 기판으로의 확산에 의한 변색이 현저하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AC형 PDP(101)에서는 전면 패널(101F)이 하지층(55)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색이 대폭 억제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하지층(55)은 Na 등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하지층(55) 자체의 변색은 매우 적다. 또, 유리 기판(51)중의 Na 이온 등의 유지 전극 내지는 Ag전극(10), (20)으로의 확산은 하지층(55)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하지층(55)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리 기판(51)의 변색은 현저하게 적다. 그 결과, 유리 기판의 변색 부분의 투과율이 비변색 부분보다 낮기 때문에 관측되는 불균일(얼룩)이 AC형 PDP의 비표시 시 및 표시 시에 있어서 보이는 일은 없다. 즉, 상술한 변색에 의한 표시품질의 저하가 유기되지 않는다.
(실시예 1의 변형예 1)
상술한 유지 전극쌍(30) 대신에 도 6에 도시되는 유지 전극(10a), (20a)로 이루어지는 유지 전극쌍(30a)을 적용해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a), (20a)는 (i)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ii) 상술한 제 1 부분(161), (261)∼제 3 부분(163), (263)에 부가해서, 제 4 부분(164), (264)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6a), (26a)로 구성된다.
제 4 부분(164)은 제 1 부분(161)의 제 2 방향 D2에 있어서의 단부에 결합되고, 2개의 제 1 부분(161)끼리를 접속한다. 이 때, 2개의 제 1 부분(161)과 제 2 부분(162) 및 제 4 부분(164)에 의해 개구부(16aK1)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 부분(161)과 제 3 부분(163) 및 제 4 부분(164)에 의해 개구부(16aK2)가 형성된다. 한편, 제 4 부분(264)은 상기 제 4 부분(164)과 마찬가지로 배치되고, 각 개구부(16aK1), (16aK2)와 마찬가지의 각 개구부(26aK1), (26aK2)가 형성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제 4 부분(164), (264)가 제 1 부분(161), (261)의 제 2 방향 D2에 있어서의 단부의 대략 중앙에서 결합되고 제 2 방향 D2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 4 부분(164), (264)를 상기 단부의 제 1 부분(161), (261) 또는 제 3 부분(163), (263) 근방에 형성해도 좋고 제 2 방향 D2에 대해 기울어진(경사진) 형상이어도 좋다.
돌출부(16a), (26a)는 제 4 부분(164), (264) 분만큼 돌출부(16), (26)보다 전극면적이 넓기 때문에, 더욱 많은 방전 전류를 공급해서 방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휘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전극면적이라는 것은 ① 해당 돌출부 자체의 면적 또는 ② 돌출부 및 돌출부 주변의 전계의 삼출(eduation) 범위의 합계면적을 말한다.
(실시예 1의 변형예 2)
한편, 상술한 유지 전극(10), (20) 및 유지 전극(10a), (20a)는 각각 개구부(16K), (26K), 개구부(16aKl), (16aK2), (26aK1), (26aK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개구형상을 상술한 감광성을 갖는 Ag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패터닝하는 경우, 이러한 개구부에 현상 나머지(residue)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노광후의 Ag페이스트에 대해서 그의 측면 방향(제 3 방향 D3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의 현상액의 침투(penetration)가 예를 들면 제 1 부분(161), (261)의 개구부(16K), (26K)를 형성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대한 그것보다 적은 것에 기인한다.
이에 대해서, 이 변형예 2에 관한 유지 전극쌍(30g)을 이루는 유지 전극(10g), (20g)에 의하면 상술한 현상나머지를 저감할 수 있다. 도 7의 상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g), (20g)의 돌출부(16g), (26g)는 L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6g), (26g)는 도 1의 돌출부(16), (26)이 갖는 2개의 제 1 부분(161), (261)을 1개만 갖는다. 특히, 돌출부(16g)의 제 1 부분(161)과 돌출부(26g)의 제 1 부분(261)은 서로 방전갭 g(의 중심)를 거쳐서 회전대칭의 위치에 있다.
유지 전극(10g), (20g)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16K), (26K)와 같은 개구형상을 갖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현상나머지가 발생하기 어려워 현상이 용이하다.
그런데, 유지 전극(10), (20) 등에서는 개구부(16K), (26K) 등을 양호하게 패턴 형성하기 위해서 개구형상을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설계할 필요가 있고, 발광 셀의 소형화 즉 AC형 PDP의 고선명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개구형상의 크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유지 전극(10g), (20g)는 개구형상을 갖지 않아 현상이 용이한 분만큼 유지 전극(10), (20)등에 비해 AC형 PDP의 고선명화에 적합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6g)의 제 1 부분(161)과 돌출부(26g)의 제 1 부분(261)은 서로 방전갭 g(의 중심)를 거쳐서 회전대칭의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에 제 2 방향 D2를 따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상술한 격벽(74) 근방의 고휘도발광을 차광하는 것은 제 1 부분(161), (261)중 어느 한쪽뿐이다. 따라서, 유지 전극(10), (20)에 비해 상기 위치 어긋남에 기인한 휘도의 저하가 작아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돌출부(16g)의 제 1 부분(161)과 돌출부(26g)의 제 1 부분(261)을 방전갭 g에 대해(제 2 방향 D2와 평행한 대칭선(도시하지 않음)에 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하더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에 제 1 부분(161), (261)이 격벽(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이 위치 어긋남에 기인한 휘도의 저하를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부분(161), (261)을 상술한 회전대칭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방전 내지는 발광이 방전 셀 내에서 한쪽의 격벽(74)측으로 치우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품질 상 바람직하다.
도 8에 이 변형예 2에 관한 다른 유지 전극(10h), (20h)를 도시한다. 유지 전극(10h), (20h)에 의해서도 상기 유지 전극(10g), (20g)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30h)을 이루는 유지 전극(10h), (20h)의 돌출부(16h), (26h)는 F자형(따라서 L자형을 포함하고 있다)을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6h), (26h)는 돌출부(16a), (26a)(도 6참조)가 갖는 2개의 제 1 부분(161), (261)을 1개만 갖는다. 또, 상술한 유지 전극(10g), (20g)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6h)의 제 1 부분(161)과 돌출부(26h)의 제 1 부분(261)은 서로 방전갭 g(의 중심)를 거쳐서 회전대칭의 위치에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3)
도 9에 이 변형예 3에 관한 유지 전극(10i), (20i)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30i)을 이루는 유지 전극(10i), (20i)에서는 제 2 방향 D2를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16i), (26i)와 연결부(17), (27)에 의해 격벽(74)을 타고 넘는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6i)는 상기 유지 전극(10g)(도 7참조)과 마찬가지로 L자형을 이루고 있는 한편, 상기 유지 전극(10g)과는 달리 제 2 방향 D2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16i)의 제 1 부분(161)이 격벽(74)을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제 2 방향 D2를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16i)의 제 2 부분(162)의 단부 중에서 제 1 부분(161)과는 결합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끼리가 격벽(74)을 타고 넘어 제 2 방향 D2로 연장하는 연결부(17)를 거쳐서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술한 인접하는 돌출부(16i), 연결부(17) 및 베이스부(15)에 의해 개구부(16iK)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방향 D2를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26i)의 제 2 부분(262)도 상기 연결부(17)와 마찬가지의 연결부(27)를 거쳐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6iK)와 마찬가지의 개구부(26iK)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유지 전극(10g), (20g)(도 7 참조)과 마찬가지로 동일 방전 셀 내의 제 1 부분(161), (261)은 서로 방전갭 g(의 중심)를 거쳐서 회전대칭의 위치에 있다.
유지 전극(10i), (20i)에 의해서도 돌출부(16i), (26i)에 기인해서 상기 유지 전극(10g), (20g)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유지 전극(10i), (20i)의 개구부(16iK), (26iK)는 상기 개구부(16K), (26K)(도 1 참조)보다 크기 때문에, 유지 전극(10i), (20i)에 의하면 유지 전극(10), (20)보다 현상나머지가 발생하기 어렵다.
(실시예 2)
상술한 유지 전극쌍(30) 대신에 도 10에 도시하는 유지 전극(10b), (20b)로 이루어지는 유지 전극쌍(30b)을 적용해도 좋다. 도 10과 상술한 도 6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b), (20b)는 (i)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ii) 이하의 구조를 갖는 돌출부(16b), (26b)를 구비한다. 돌출부(16b), (26b)는 제 3 부분(163), (263)을 갖지 않고, 상술한 유지 전극(10a), (20a)가 갖는 2개의 제 1 부분(161), (261)을 1개만 구비한다. 또, 제 1 부분(161), (261)과 제 4 부분(164), (264)는 교차하고 있고, 이 교차 부분을 제 1 부분(161), (261) 및 제 4 부분(164), (264)에서 공유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상술한 1개의 제 1 부분(161), (261)이 인접하는 격벽(74)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제 2 부분(162), (262)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단부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부분(161), (261)은 제 1 방향 D1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 4 부분(164), (264)를 갖지 않는 T자형(L자형을 2개 조합한 형상이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으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돌출부(16b), (26b)의 제 1 부분(161), (261)은 격벽(74)으로부터 70㎛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유지 전극(10b), (20b)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유지 전극(10b), (20b)에 의하면, 제 1 부분(161), (261)이 1개뿐이므로, 상술한 AC형 PDP(101)이나 상술한 유지 전극쌍(30a)을 갖는 AC형 PDP에 비해 가시광의 취출 효율을 증대시켜 발광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에,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유지 전극(10b), (20b)에 의하면 상기 위치 어긋남에 의한 휘도의 저하가 유지 전극(10), (20)에 비해 대폭으로 적다는 효과가 있다.
즉, 유지 전극(10), (20)은 제 1 부분(161), (261)을 각각 2개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이 상대적으로 제 2 방향 D2로 어긋난 경우에 한쪽의 제 1 부분(161), (261)이 격벽(74)에 접근해서 격벽(74)근방의 고휘도 발광을 차광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유지 전극(10b), (20b)는 각각 제 1 부분(161), (261)을 1개씩밖에 갖지 않고, 또 제 1 부분(161), (261)은 인접하는 격벽(74)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도 어긋난 제 1 부분(161), (261)이 격벽(74) 근방의 고휘도 발광을 차광하는 일은 거의 없다. 또, 어긋난 제 2 부분(162), (262) 및 제 4 부분(164), (264)가 상기 고휘도 발광을 차광하는 경우에도 제 1 부분(161), (261)과는 달리 그 차광 영역은 고휘도 발광 영역의 일부뿐이다. 이 때문에, 유지 전극(10), (20)에 비해 상술한 위치 어긋남에 의한 유지 전극(10b), (20b)가 차광하는 양이 바꾸어 말하면 휘도의 저하가 대폭으로 적다.
또, 유지 전극(10b), (20b)는 개구부를 갖지 않으므로, 그 분만큼 유지 전극(10), (20)보다 전극 패턴의 형성이 용이하여 고선명화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감광성 Ag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제 1 부분(161), (261)의 폭(제 2 방향 D2를 따른 치수)은 최소라도 30㎛ 정도이다. 유지 전극(10), (20)의 경우, 개구(16K), (26K)를 정밀도 좋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구(16K), (26K)는 제 2 방향 D2를 따라 60㎛ 이상 필요하다. 또, 제 1 부분(161), (261)은 격벽(74)으로부터 70㎛ 이상 떨어져 배치하는 점도 고려하면, 유지 전극(10), (20)의 경우 인접하는 격벽(74)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는
30×2+60+70×2=260(㎛)
이상으로 된다. 이에 대해서, 유지 전극(10b), (20b)에서는 인접하는 격벽(74)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는
30+70×2=170(㎛)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유지 전극(10b), (20b) 쪽이 방전 셀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피치가 좁은 경우에 즉 고선명화에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의 고선명화는 유지 전극(10b), (20b)와 마찬가지로 제 1 부분(161), (261)을 1개밖에 갖지 않는 상술한 유지 전극(10g), (20g) 및 유지 전극(10h), (20h)에 대해서도 타당하다.
또, 돌출부(16b), (26b)는 제 1 부분(161), (261)이 1개이므로, 돌출부(16), (26)에 비해 전극 면적이 작다. 이 때문에, 방전 전류가, 따라서 구동 회로의 부담이 작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동일한 구동 주파수에 의해서 더욱 고휘도의 발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전극 면적이 더욱 큰 유지 전극(10), (2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부분(161), (261)과 격벽(74)의 측벽면 상의 형광체층의 거리는 유지 전극(10), (20) 쪽이 가깝다. 방전 전류는 전극위치에 집중하는 것을 감안하면, 방전 시에 발생하는 자외선의 형광체층으로의 도달량을 더욱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유지 전극(10), (2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11에 실시예 3에 관한 유지 전극쌍(30j)을 이루는 유지 전극(10j), (20j)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전극(10j), (20j)는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이하에 설명하는 돌출부(16j), (26j)를 구비한다. 또한, 돌출부(16j), (26j)는 도 1의 개구부(16K), (26K)와 마찬가지의 개구부(16jK), (26jK)를 갖는다.
도 11과 상술한 도 1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6j), (26j)의 제 2 부분(그 자체가 방전갭 형성부에 해당한다)(162j), (262j)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g는 돌출부(16), (26)의 제 2 부분(162), (262)보다 짧다. 이에 대해서, 돌출부(16j), (26j) 및 돌출부(16), (26)의 쌍방에 있어서 제 3 부분(163), (263)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제 2 부분(162j), (262j)의 상기 길이 wg는 돌출부(16j), (26j)중에서 제 2 부분(162j), (262j) 이외의 부분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제 1 방향 D1)과 수직인 방향(제 2 방향 D2)을 따른 길이 w6보다 짧다. 이 때문에, 제 3 부분(163), (263)은 제 2 부분(162j), (262j)보다 길고, 유지 전극(10j), (20j)의 제 1 부분(161j), (261j)는 제 1 방향 D1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제 1 부분(161), (261)과 격벽(74)의 간격 내지는 거리 d의 최소값은 대략 7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유지 전극쌍(30j) 및 유지 전극쌍(30)의 쌍방의 방전갭 g의(제 1 방향 D1을 따른) 치수가 동일한 경우, 제 2 부분의 길이의 차이에 기인해서 유지 전극쌍(30j) 쪽이 방전공간에 인가되는 최대 전계가 작다. 이 때문에, 유지 전극쌍(30j)의 방전개시 전압 Vf는 유지 전극쌍(30)에 비해 높다.
이에 대해서, 유지 전극(10j), (20j)에 의하면 제 2 부분이 짧은 분만큼 제 2 부분(162j), (262j)와 격벽(74)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의 위치 어긋남의 여유도를 넓게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유지 전압 Vs를 저하해 가면, 방전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의 전압 Vs0이 존재한다.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의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해서, 제 2 부분과 격벽(74)의 거리가 임의의 값 이하로 되면, 이 거리의 감소에 수반해서 상기 전압 Vs0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 구동 전압마진이 전압 Vs0 및 각 방전 셀의 방전 특성의 편차에 따라서 방전개시 전압 Vf의 최소값과 상기 전압 Vs0의 최대값 사이로 설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AC형 PDP 내에 전압 Vs0이 높은 방전 셀이 존재하면 구동전압 마진이 좁아져 버려 동작의 불안정을 초래하게 된다. 제조면에서 보면 제조효율(양품률)이 저하해 버린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j), (20j)에 의하면 위치 어긋남의 여유도를 넓게 취할 수 있으므로, 유지 전극(10), (20)에 비해 안정 동작이 가능한 AC형 PDP를 제조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제 2 부분의 길이의 차이에 기인해서 돌출부(16j), (26)j의 전극면적, 따라서 돌출부 내지는 유지 전극에 의한 차광면적은 돌출부(16), (26)보다 작다. 즉, 개구율이 크다. 특히, 돌출부(16j), (26j)에 의하면, 돌출부(16), (26)보다 방전갭 g 부근의 개구율이 크기 때문에, 방전 갭 g 부근의 고휘도 발광(도 32중의 (c) 참조)을 더욱 유효하게 이용하여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부분(163), (263)은 제 2 부분(162j), (262j)보다 길기 때문에, 제 3 부분(163), (263)이 제 2 부분(162j), (262j)와 동등한 경우와는 달리 방전을 확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발광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실시예 3의 변형예 1)
도 12에 이 변형예 1에 관한 유지 전극쌍(30m)을 이루는 유지 전극(10m), (20m)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전극(10m), (20m)은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이하에 설명하는 돌출부(16m), (26m)을 구비한다. 또한, 돌출부(16m), (26m)은 도 1의 개구부(16K), (26K)와 마찬가지의 개구부(16mK), (26mK)를 갖는다.
유지 전극(10m), (20m)의 돌출부(16m), (26m)은 유지 전극(10), (20)과 마찬가지의 제 1 부분(161), (261) 및 제 3 부분(163), (263)과 제 2 부분(162m), (262m)을 구비한다. 돌출부(16m), (26m)의 제 2 부분(162m), (262m)은 (i) 방전갭 g와 대면해서 이 방전갭 g를 형성하는 방전갭 형성부 및 (ii) 이 방전갭 형성부와 제 1 부분(161), (261)을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방전갭 형성부는 상술한 제 2 부분(162j), (262j)(도 11 참조)에 상당하고, 그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는 상술한 제 2 부분(162j), (262j)와 동등하다. 결합부는 제 1 방향 D1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제 2 부분(162m), (262m) 및 제 1 부분(161), (261)에 의해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 때, 방전갭 형성부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g는 돌출부(16m), (26m)중에서 방전갭 형성부이외의 부분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6보다 짧다.
유지 전극(10m), (20m)에 의하면, 제 2 부분(162m), (262m)의 방전 갭 형성부가 제 2 부분(162j), (262j)와 마찬가지이므로, 유지 전극(10j), (20j)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유지 전극(10m), (20m)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유지 전극(10m), (20m)의 제 1 부분(161), (261)은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연장하기 때문에, 이 제 1 부분(161), (261)은 유지 전극(10j), (20j)보다 격벽(74)에, 따라서 격벽(74)의 측벽면 상의 형광체층에 가깝다. 따라서, 유지 전극(10j), (20j)보다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돌출부(161m), (261m)의 개구부(16mK), (26mK)는 돌출부(16j), (26j)의 개구부(16jK), (26jK)에 비해 제 2 부분 측이 넓게 개구(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감광성 Ag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유지 전극(10m), (20m)은 유지 전극(10j), (20j)에 비해 현상나머지가 발생하기 어렵다.
(실시예 3의 변형예 2)
도 13에 이 변형예 2에 관한 유지 전극쌍(30n)을 이루는 유지 전극(10n), (20n)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3과 상술한 도 12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n), (20n)의 돌출부(16n), (26n)의 제 2 부분(162n), (262n)은 도 12의 제 2 부분(162m), (262m)이 둥근 형상을 갖고, 제 1 부분(161), (261) 및 제 2 부분(162m), (262m)에 의해 U자형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6n), (26n)은 (i) 유지 전극(10m), (20m)의 제 1 부분(161), (261)과 (ii) 돌출부(16n), (26n)의 개구부(16nK), (26nK)내에 중심을 갖는 반원호 형상의 제 2 부분(162n), (262n)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유지 전극(10n), (20n)에서는 제 2 부분(162n), (262n)중에서 서로 대면해서 방전갭 g를 형성하는 방전갭 형성부는 반원호 형상의 정상 근방이 상당하고, 이 방전갭 형성부는 돌출부(16n), (26n)중에서 방전갭 형성부 이외의 부분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6보다 짧다.
유지 전극(10n), (20n)에 의해서도 상술한 유지 전극(10m), (20m)이 발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의 변형예 3)
도 14에 이 변형예 3에 관한 유지 전극쌍(30q)을 이루는 유지 전극(10q), (20q)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전극(10q), (20q)는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이하에 설명하는 돌출부(16q), (26q)를 구비한다.
도 14와 도 1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q), (20q)의 제 2 부분(162q), (262q)는 T자형을 이루고 있고, T자의 가로막대기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T자의) 동체부」와 같이 표현한다)이 제 1 부분(161), (261)과 결합하고, T 자의 세로막대기에 해당하는 부분(이하「(T 자의) 다리부」와 같이 표현한다)이 대향하는 유지 전극(20q), (10q)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다리부의 단부가 방전갭 g를 형성하고 있고, 방전갭 형성부에 해당한다. 제 2 부분(162q), (262q)의 다리부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g는 예를 들면 도 11의 제 2 부분(162j), (262j)의 동일길이 wg와 동일정도로 설정된다. 이 때, 제 2 부분(162q), (262q)의 형상에 기인해서 상기 길이 wg는 돌출부(16q), (26q)중에서 제 2 부분의 다리부 이외의 부분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w6보다 짧다.
돌출부(16q), (26q)의 전극 면적 내지는 개구율이 도 1의 돌출부(16), (26)과 동일한 경우, 제 2 부분의 형상의 차이에 기인해서 돌출부(16q), (26q) 쪽이 방전갭g근방의 개구율이 크다. 따라서, 유지 전극(10q), (20q)에 의하면, 방전갭g 근방의 고휘도 발광(도 32중의 (c)참조)을 더욱 유효하게 이용하여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변형예 4)
도 15에 이 변형예 4에 관한 유지 전극쌍(30r)을 이루는 유지 전극(10r), (20r)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전극(10r), (20r)은 도 10의 유지 전극(10b), (20b)의 제 2 부분(162), (262) 및 제 4 부분(164), (264)가 베이스부(15), (25)의 측으로 어긋나 배치된 형상에 상당한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0r), (20r)의 제 2 부분(162r), (262r)은 도 14의 제 2 부분(162q), (262q)와 마찬가지의 T자형을 이루고 있고, 제 2 부분(162r), (262r)의 다리부(방전갭 형성부)가 방전갭g를 형성하고, 동일 동체부가 제 1 부분(161), (26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제 2 부분(162r), (262r)의 다리부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g는 돌출부(16r), (26r)중에서 상기 다리부 이외의 부분(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162r), (262r)의 동체부 및 제 4 부분(164), (264))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 w6보다 짧다.
또한, 도 15에서는 상기 길이 wg가 제 1 부분(161), (261)의 폭(제 2 방향 D2를 따른 길이)과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길이 wg를 제 1 부분(161), (261)의 폭보다 길게 설정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유지 전극(10q), (20q)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유지 전극(10r), (20r)에 의하면 유지 전극(10b), (20b)보다 방전갭g 근방의 고휘도 발광(도 32중의 (c) 참조)을 더욱 유효하게 이용하여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유지 전극(10r), (20r)에 의하면 유지 전극(10b), (20b)가 발휘하는 상술한 효과 예를 들면 전면 패널(101F)과 배면 패널(101RP)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나 전극 패턴이 형성하기 쉽다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전극(10), (20) 등은 개구부(16K), (26K) 등을 갖기 때문에, 개구부(16K), (26K)를 상술한 감광성을 갖는 Ag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패터닝하는 경우, 이러한 개구부에 현상나머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 10의 유지 전극(10b), (20b)의 제 2 부분(162), (262) 및 제 4 부분(164), (264)와 같이 다른 부분과 결합하지 않고 또는 도중에 끊겨(중간에서 절단되어) 고립된 선단 부분을 갖는 경우, 상술한 감광성의 Ag페이스트의 현상 시에 이러한 선단 부분에 패턴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상술한 선단 부분에서는 현상액이 제 1 및 제 2 방향 D1, D2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침투할 수 있으므로, 노광된 부분 특히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51) 근방 부분에서는 에칭이 너무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턴의 현상나머지나 박리는 감광성을 갖지 않는 Ag페이스트와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유지 전극(10), (20) 등을 패터닝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현상나머지는 현상 시간을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저감할 수는 있지만, 현상 시간을 너무 길게 하면 개구형상 이외의 부분에서 패턴의 박리가 발생해 버린다. 한편, 상술한 고립된 선단 부분이 박리하지 않도록 현상 시간을 설정하면, 다른 부분이 충분히 패터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 4에 관한 유지 전극(10c), (20c)에 의하면, 상술한 현상나머지나 박리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30c)을 이루는 유지 전극(10c), (20c)는 (i)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ii) 상술한 돌출부(16), (26)(도 1참조)에서 제 3 부분(163), (263)을 제거한 구조 즉 U자형 내지는「コ」형의 돌출부(16c), (26c)로 이루어진다. 유지 전극(10c), (20c)는 상술한 개구형상이나 고립된 선단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Ag페이스트의 현상나머지나 박리를 저감하여 확실한 패턴형성을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적절한 형상으로 패터닝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하한값)과 박리가 발생하는 시간(상한값)에 의해 규정되는 현상 시간의 마진을 더욱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유지 전극형성 공정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 관한 다른 전극 구조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30d)을 이루는 유지 전극(10d), (20d)에서는 돌출부(16d), (26d)에서는 돌출부(16d), (26d)는 도 16의 제 1 부분(161), (261) 대신에 제 1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부분(161d), (261d)를 갖는다. 유지 전극(10d), (20d)에 의하면, 상술한 유지 전극(10c), (20c)가 발휘하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베이스부(15), (25)와 제 1 부분(161d), (261d)가 이루는 각도 및 제 1 부분(161d), (261d)와 제 2 부분(162), (262)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 큰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각도는 90도 보다 작아도 좋다.
(실시예 5)
한편, 종래의 AC형 PDP(101P), (102P)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발광휘도의 균형(밸런스)을 조정한 후에 컬러 표시를 한다. 왜냐하면, 동일한 양의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형광재료의 특성에 기인해서 각 형광체층(75R), (75G), (75B)에서 발광되는 가시광의 휘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AC형 PDP(101P), (102P)에서는 원하는 색온도의 백색을 얻기 위해서 상기 3색의 각 발광 시간을 조절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의 펄스수에 각 형광체(75R), (75G), (75B)의 발광 특성에 따라서 규정되는 소정의 계수를 승산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 전극(10P), (20P), 유지 전극(110P), (120P)에 입력하는 실제의 펄스수를 각 발광색마다 조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 5에 관한 AC형 PDP(102)에서는 그와 같은 신호 처리를 없앨 수 있다. 이하에 도 18을 이용하여 AC형 PDP(102)를 설명한다. 도 18은 상술한 도 1에 상당하는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또한, AC형 PDP(102)는 유지 전극(10), (20)의 형상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동일 양의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에 얻어지는 발광휘도의 크기로서 (적색))(녹색))(청색)인 서열이 있는 경우를 1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C형 PDP(102)에서는 돌출 부분(16), (26)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치수를 각 돌출부(16), (26)이 대면하는 형광체(75R), (75G), (75B)의 발광색마다 다르게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16), (26)이 대면하는 AC형 PDP(102)의 전면 패널(제 1 기판), 상술한 제 2 기판 및 격벽(7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형광체(75R), (75G), (75B)의 발광색마다 돌출 부분(16), (26)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6), (26)의 제 2 부분(162), (262) 및 제 3 부분(163), (263)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각 치수를 (적색 발광용의 형광체(75R)와 대면하는 제 2 부분(162R), (262R) 및 제 3 부분(163R), (263R)((녹색 발광용의 형광체(75G)와 대면하는 제 2 부분(162G), (262G) 및 제 3 부분(163G), (263G)((청색 발광용의 형광체(75B)와 대면하는 제 2 부분(162B), (262B) 및 제 3 부분(163B), (263B)인 대소관계로 설정한다.
이러한 치수설정에 의하면, 돌출부(16), (26)의 제 2 방향 D2를 따른 치수가 길수록 즉, 돌출부(16), (26)의 전극 면적이 넓을 수록 방전 전류(따라서,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량)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치수의 차이에 의해서 각 발광색용의 형광체층(75R), (75G), (75B)에 조사하는 자외선량을 발광색마다 보정,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AC형 PDP(102)에서는 각 발광색의 발광 셀에 있어서 동일 회수 내지는 동일 펄스수로 방전시킨 경우에 전체 발광색의 합이 원하는 백색 색온도로 되도록, 돌출부(16), (26)의 상기 치수가 각각 조정, 설정된다. 또한, 방전갭 g의 치수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AC형 PDP(102)에 의하면 돌출부(16), (26)의 상기 치수를 다르게 할 뿐이라는 간편한 방법에 의해서, 원하는 백색 색온도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AC형 PDP(101P), (102P)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처리 및 그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를 없앨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류량이 전극면적에 의존하는 점을 감안하면, 돌출부(16), (26)을 이루는 제 1 부분(161), (261)∼제 3 부분(163), (263)의 각 폭의 설정에 의해 전극면적을 다르게 해도 좋다.
(실시예 6)
일반적으로, 유전체층(52)은 형성 방법에 기인한 두께의 분포를 갖는다. 보호막(53)은 박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전체층(52)의 상기 두께 분포는 유전체층(54)의 두께 분포에 반영된다. 예를 들면, 스크린인쇄법에 의해 형성한 유전체층(52)의 두께 분포의 모식도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중의 (a)에는 전면 패널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이 전면 패널의 중심 PC를 통과하여 제 2 방향 D2와 평행한 X-X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를 도 19중의 (b)에 도시하고, 상기 중심 PC를 통과하여 제 1 방향 D1과 평행한 Y-Y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를 도 19중의 (c)에 도시한다.
도 19중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51)의 긴 변을 따른 유전체층의 두께 분포는 대략 균일하다. 이에 대해서, 도 19중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51)의 짧은 변에 따른 유전체층의 두께 분포는 전면 패널의 중심 PC 근방에서 가장 두껍고, 단부로 감에 따라서 얇아지고 있다. 이것은 스크린 판의 장력의 분포에 기인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유전체층(52)이 두께 분포를 갖고 있으면, 해당 두께 분포에 대응한 재현성이 있는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여 AC형 PDP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휘도 불균일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전면 패널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유전체층(52)을 형성하면 좋다. 그런데, 예를 들면 사십 인치와 같은 큰 유리 기판(51)상에 균일한 두께의 유전체층(52)을 형성하는 것은 기존의 형성 방법에서는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실시예 6에서는 유전체층(52) 또는 유전체층(54)이 두께분포를 갖고 있어도 휘도 불균일이 유기되지 않는 AC형 PDP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유전체층(52)은 도 19중의 (b) 및 (c)에 도시한 상술한 두께 분포를 갖는 것으로 하겠지만, 각종 두께분포에 대해 이하의 설명은 타당하다.
실시예 6에 관한 AC형 PDP에서는 유전체층(52)이 얇은 부분을 이루는 전면 패널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단부 부근에 도 20에 도시하는 상술한 돌출부(16), (26)을 구비한 유지 전극쌍(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방향 D1을 따라서 전면 패널의 중심 PC측으로 감에 따라서 즉 유전체층(52)이 두껍게 됨에 따라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돌출부(16e), (26e) 또는 돌출부(16f), (26f)를 갖는 유지 전극쌍(30e) 또는 유지 전극쌍(30f)을 배치한다.
여기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유지 전극쌍(30e), (30f)를 설명한다. 우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쌍(30e)은 유지 전극(10e), (20e)로 이루어지고, 유지 전극(10e), (20e)는 상술한 (i) 베이스부(15), (25)를 갖는다. (ii) 유지 전극(10e), (20e)의 돌출부(16e), (26e)는 상술한 제 1 부분(161), (261) 및 제 2 부분(162), (262)와 상술한 제 3 부분(163), (263)(도 1참조)에 상당하는 제 3 부분(163e), (263e)를 구비한다. 단, 제 3 부분(163e), (263e)는 제 1 부분(161), (261)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단부와 결합해서 2개의 제 1 부분(161), (261) 끼리를 접속한다.
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전극(30f)은 유지 전극(10f), (20f)로 이루어지고, 유지 전극(10f), (20f)는 (i) 상술한 베이스부(15), (25)와 (ii) 상술한 제 1 부분(161), (261), 제 2 부분(162), (262) 및 상술한 제 3 부분(163e), (263e)와 동등한 제 3 부분(163f), (263f)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6f), (26f)를 구비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163e), (263e)는 4각형을 이루고 있고,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163f), (263f)는「コ」형 내지는 U자 형을 하고 있다.
즉, 도 20, 도 21 및 도 22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52)이 두껍게 됨에 따라서, 돌출부(16), (26)→돌출부(16e), (26e)→돌출부(16f), (26f)의 순번과 같이 돌출부(16), (26)을 방전갭 g와는 반대측으로 신장시킨 형상으로 한다. 이러한 유전체층(52)의 두께에 따른 돌출부의 전극면적의 설정에 의하면, 유전체층(52)이 두꺼운 부분일수록 더욱 넓은 전극면적을 갖는 돌출부가 배치되어 더욱 많은 방전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52)의 두께 분포에 의존하지 않고 전체 방전 셀에 있어서 소정량의 자외선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시예 6에 관한 AC형 PDP에 의하면, 전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부분(163f), (263f)를 제 3 부분(163e), (263e)와 마찬가지로 4각형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6의 변형예 1)
또, 보호막(53)이 그의 면내에서 2차 전자 방출 효율의 분포를 갖는 경우에도 이 분포에 대응한 휘도 불균일이 관측된다. 이러한 2차 전자 방출 효율의 면내 분포는 보호막(53)의 성막 장치 자체에 의존한다. 또, 이 성막 장치 내에 있어서의 (유전체층(52)이 형성된) 유리 기판(51)의 배치 위치나 배치 매수 등의 성막 조건에도 의존한다. 즉, 성막 장치마다 및 성막 조건마다 2차 전자 방출 효율의 분포에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그와 같은 경향을 찾아낸 다음에 각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각 2차 전자 방출 효율에 따라서 각 돌출부의 전극면적을 규정하는 것에 의해서 구체적으로는 2차 전자 방출 효율이 더욱 낮은 부분의 아래쪽에 더욱 넓은 전극면적을 갖는 돌출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상술한 휘도 불균일을 저감, 제거할 수가 있다.
물론, 상기 2차 전자 방출 효율의 분포 및 유전체층(52)의 두께 분포의 쌍방에 따라서 돌출부의 전극면적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상기 변형예 1을 포함한다)에 관한 AC형 PDP를 상술한 AC형 PDP(102)와 같이 백색 색온도의 설계도 고려한 상태에서 돌출부의 전극면적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품질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 실시예 5 및 6에 관한 각 AC형 PDP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예 1의 변형예 1 등에 관한 유지 전극쌍(30a) 등을 적용해도 좋고, 다른 전극면적의 유지 전극을 조합시켜 유지 전극쌍을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7)
도 23 및 도 24에 실시예 7에 관한 AC형 PDP(103) 또는 전면 패널(103F)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상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중의 II-II 선에 있어서의 종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적인 종단면도에 해당한다. 또한, 여기서 전면 패널(103F)이 유지 전극(10), (20)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다른 유지 전극(10a), (20a) 등의 경우에도 이하의 설명은 타당하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층(55)을 거쳐서 유리 기판(51)의 상측에 유지 전극(10), (20)을 구비한다. 특히, 하지층(55)의 유리 기판(51)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에 흑색 패턴(흑색의 절연층)(76)이 형성되어 있다. 흑색 패턴(76)은 (i) 유지 전극(10), (20)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유지 전극(10), (20)과 하지층(55)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 및 (ii) 블랙 스트라이프(76P)(도 30 참조)와 마찬가지로 도 23의 상면도에 있어서 제 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유지 전극쌍(3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흑색 패턴(76)은 예를 들면 산화 크롬이나 산화철 등의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면 패널(103F)은 상술한 도 2의 유전체층(52) 및 보호막(53)을 구비하지만,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도 23 및 도 24중으로의 이들의 도시화는 생략하고 있다. 또, 전면 패널(103F)과 함께 AC형 PDP를 구성하는 배면 패널로서 종래의 배면 패널(101RP)을 적용할 수 있다.
전면 패널(103F) 및 이 전면 패널(103F)을 구비한 AC형 PDP에 의하면, 흑색 패턴(76)에 의해서 외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흑색 패턴(76)을 갖지 않는 경우보다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AC형 PDP(101P)(도 30 참조)에 있어서 전극 내 흑색층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편, 블랙 스트라이프(76P)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실시예 7에 관한 흑색 패턴(76)은 그의 배치장소에 관계없이 절연성 재료 내지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서 전면 패널(103F)과 종래의 전면 패널(101FP)과는 다르다.
다음에, 도 25∼도 29의 각 종단면도를 참조하면서, 흑색 패턴(76) 및 유지 전극(10), (2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유리 기판(51)의 주면(51S) 상에 하지층(55)을 형성한다. 그 후, 하지층(55)의 노출 표면상에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를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나 다이코트법에 의해 도포해서 감광성 흑색 후막(76A)을 형성한다(도 25 참조). 특히, 상기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형상 재료 내지는 감광성 흑색 후막(76A)은 산화 크롬이나 산화철 등의 흑색 안료 및 네거티브형의 감광성 수지를 포함한다.
그 후, 마스크 등을 이용해서 감광성 흑색 후막(76A)을 패턴 노광하고, 흑색 패턴(76) 중에서 상술한 인접하는 유지 전극쌍(3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76A1)의 감광성 수지를 중합시킨다(도 26 참조).
다음에, 감광성 흑색 후막(76A)의 노출 표면상에 네거티브형의 감광성 Ag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감광성 Ag 후막(36A)을 형성한다(도 27 참조).
그 후, 유지 전극(10), (20)의 형상에 대응한 개구를 갖는 마스크 등을 이용해서 감광성 Ag 후막(36A) 및 감광성 흑색 후막(76A)의 미노광 영역 내지는 미중합 영역(76A2)을 감광시킨다. 이러한 노광에 의해서, 감광성 Ag 후막(36A) 중에서 후에 유지 전극(10), (20)으로 되는 영역(36A1)에 중합을 일으킴과 동시에 미노광 영역(76A2) 중에서 상기 영역(36A1)과 하지층(55) 사이의 영역(76A3)에 중합을 일으킨다(도 28 참조). 영역(76A3)은 후에 흑색 패턴(76) 중에서 유지 전극(10), (20)과 하지층(55)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된다.
그리고, 현상을 실행하고, 감광성 Ag후막(36A)의 미중합 영역(36A2) 및 감광성 흑색후막(76A)의 미중합 영역(76A2)을 제거한다(도 29 참조). 그 후, 남은 감광성 Ag후막(36A1) 및 감광성 흑색후막(76A1), (76A3)을 소성해서 유지 전극(10), (20) 및 흑색 패턴(76)을 형성한다(도 24참조). 또한, 이 다음에 유전체층(52) 및 보호막(53)이 형성되어 전면 패널(103F)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 패턴(76)은 그의 배치장소에 관계없이 전체가 절연성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흑색 패턴(76)을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의 전극 내 흑색층 및 블랙 스트라이프(76P)와 같이 별개의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전혀 없다. 즉, 종래의 전면 패널(101RP)보다 적은 공정수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면 패널(103F) 및 AC형 PDP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지 전극(10), (20)의 패터닝 시에 감광성 Ag 후막(36A) 및 감광성 흑색후막(76A)을 동시에 내지는 일괄해서 노광시킨다. 이 때문에, 유지 전극(10), (20)과 흑색 패턴(76)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감광성 Ag후막(36A) 및 감광성 흑색후막(76A)을 동시에 현상하므로, 이러한 점에 있어서도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1 발명에 의하면, 각 돌출부는 각 베이스부에서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즉 베이스부는 방전갭에서 먼 위치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한 경우, 방전 갭 부근에 베이스부를 갖는 구조에 비해 베이스부가 차광하는 가시광의 양이 적다. 따라서, 더욱 많은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에 의하면, 고휘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2 발명에 의하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에 의해 예를 들면 T 자형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에 의한 가시광의 차광량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휘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방전갭을 형성하는 제 2 부분이 제 1 부분과 결합하고 있으므로, 전극쌍을 이루는 각 전극이 여러 개의 세선 전극으로 구성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달리, 인가 전압을 증대시켜도 방전갭에서 발생한 방전을 (여러 단계의 스텝이 아니고) 한 번의 스텝에서 베이스부 측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여러 단계의 스텝에 의한 방전의 확대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휘도 불균일을 갖지 않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인가 전압의 설정마진을 상술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넓게 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O자형, L자형 및 U자형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형상을 포함하므로, 그와 같은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나 틈을 통해서 더욱 많은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부분의 2개와 제 2 부분에 의해 U 자형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패터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4 발명에 의하면, 방전 갭 근방의 고휘도 발광을 더욱 많이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5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전극쌍 사이에서의 오방전을 억제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6 발명에 의하면, 흑색의 절연층에 의해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극쌍과 투명 기판 사이 및 인접하는 전극쌍 사이의 각 흑색의 절연층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쌍방의 흑색의 절연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7 발명에 의하면, 각 돌출부(또는 각 방전 셀)마다 방전 전류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전 전류량의 설정, 따라서 자외선량의 설정에 의해서 휘도 불균일이 개선되고 또한 원하는 백색 색온도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8 발명에 의하면, 유전체층이 두께 분포를 갖는 경우에 해당 분포에 대응하는 휘도 불균일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9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자 방출막의 2차 전자 방출 효율에 분포가 있는 경우에 해당 분포에 대응하는 휘도 불균일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기판에 관한 제 10 발명에 의하면, 하지층은 투명 기판의 연화점 이하의 형성 온도로 형성된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페이스트형상 재료의 도포 및 소성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페이스트형상 재료의 소성 온도를 하지층이 연화될 수 있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소위 에지 컬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때, 투명 기판은 열 변형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를 피복하는 유전체층의 에지 컬에 기인한 절연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제 1 발명에 의하면, 제 1 기판의 측에서 본 경우, 돌출부와 격벽이 중첩하지 않기 때문에, 격벽의 측벽면상의 형광체층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돌출부가 차광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더욱 많은 가시광을 취출해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12)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11)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13)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양의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에 얻어지는 발광 휘도의 크기의 발광색마다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백색 색온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한쪽의 주면 측에 배치되어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주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전극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쌍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성 재료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쌍을 이루는 각 상기 전극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대면해서 방전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쌍을 이루는 다른 쪽의 상기 전극 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각 상기 돌출부의 각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대면해서 상기 방전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3.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대면해서 배치되고 띠형상의 대향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향 전극을 따라서 연장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측벽면상에 배치된 형광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판 측에서 본 경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이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00055088A 1999-09-21 2000-09-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20010030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75099 1999-09-21
JP99-266750 1999-09-21
JP2000085838A JP2001160361A (ja) 1999-09-21 2000-03-2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085838 2000-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42A true KR20010030442A (ko) 2001-04-16

Family

ID=2654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088A KR20010030442A (ko) 1999-09-21 2000-09-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22072B1 (ko)
JP (1) JP2001160361A (ko)
KR (1) KR20010030442A (ko)
TW (1) TW466526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91B1 (ko) * 2001-04-04 2004-03-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581857B1 (ko) * 2002-12-17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메쉬형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590031B1 (ko) * 2004-05-25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5757B1 (ko) * 2004-07-02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757571B1 (ko) * 2005-06-29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49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6561B1 (ko) * 2006-10-26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6603B1 (ko) * 2007-03-08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3970B1 (ko) * 2007-05-31 2008-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9182858B2 (en) 2011-08-02 2015-11-1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Method for burying conductive mesh in transparent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7118B2 (ja) 2000-02-24 200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069583B2 (ja) * 2000-03-28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1595586A (zh) * 2000-03-31 2005-03-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板及其制造方法
US7133005B2 (en) * 2000-07-05 2006-11-07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JP2002279905A (ja) * 2001-03-19 2002-09-27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88213B2 (ja) * 2001-03-21 2005-08-24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電極構造
JP2003008092A (ja) * 2001-06-20 2003-01-10 Mutsuo Munekata 積層型圧電素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型圧電素子用封止材料
JP4507470B2 (ja) * 2001-07-13 2010-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US6853136B2 (en) 2001-08-20 2005-02-08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delta discharge cell arrangement
KR100437789B1 (ko) * 2001-12-05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071623B2 (en) 2002-04-18 2006-07-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sma display
KR20040002308A (ko) * 2002-06-29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274B1 (ko) * 2002-07-04 2006-09-1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791265B2 (en) * 2002-07-09 2004-09-14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ing electrode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JP2004055489A (ja) 2002-07-24 2004-02-19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282107B (en) 2002-08-09 2007-06-01 Au Optronics Corp Electrod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CN100403479C (zh) * 2002-08-29 2008-07-1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显示器的电极对结构
US7323818B2 (en) 2002-12-27 2008-01-2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2004214166A (ja) 2003-01-02 2004-07-29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1435639B1 (en) 2003-01-02 2010-07-28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TWI317965B (en) * 2003-03-07 2009-1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1469501A3 (en) * 2003-03-25 2006-04-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TWI220762B (en) * 2003-05-02 2004-09-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for plasma display panel
JP4137013B2 (ja) 2003-06-19 2008-08-2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327083B2 (en) 2003-06-25 2008-02-0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20050001551A1 (en) * 2003-07-04 2005-01-06 Woo-Tae Kim Plasma display panel
US7425797B2 (en) 2003-07-04 2008-09-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protrusion electrode with indentation and aperture
US7208876B2 (en) * 2003-07-22 2007-04-2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0536215B1 (ko) * 2003-08-05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37615B1 (ko) * 2003-08-14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00463096C (zh) * 2003-10-15 2009-02-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交流型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578795B1 (ko) * 2003-10-23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306548C (zh) * 2003-11-18 2007-03-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交流型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589369B1 (ko)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4B1 (ko) * 2004-05-1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1906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264233A1 (en) * 2004-05-25 2005-12-01 Kyu-Hang Lee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599686B1 (ko) * 2004-05-31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40B1 (ko) * 2004-06-18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7B1 (ko) * 2004-06-23 2009-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12661A (ja) * 2004-06-28 2006-01-12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78972B1 (ko) 2004-06-30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3158B1 (ko) * 2004-08-07 2006-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316B1 (ko) * 2004-09-21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31560A (ko) * 2004-10-08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314B1 (ko) * 2004-10-11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2008034105A (ja) * 2004-11-16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73328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3437B1 (ko) * 2004-12-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22035A (ja) 2005-02-14 2006-08-24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46315B1 (ko) * 2005-03-30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15952B2 (ja) * 2005-03-31 2010-08-04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86821B1 (ko) * 2005-04-27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719552B1 (ko) * 2005-06-20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035B1 (ko) * 2005-07-01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3B1 (ko) * 2005-08-0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09B1 (ko) * 2005-08-06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770750A3 (en) * 2005-09-30 2009-03-11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22263B1 (ko) * 2005-11-04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93B1 (ko) * 2005-12-30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50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0679B1 (ko) * 2006-05-30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1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06306B1 (ko) * 2006-06-09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3230A (ko) * 2006-08-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042565A1 (en) * 2006-08-18 2008-0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TW200811809A (en) * 2006-08-18 2008-03-01 Marketech Int Corp Plasma display panel with high brightness
KR20080017204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0906B1 (ko) 2006-12-11 200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11529B1 (ko) 2006-12-11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9163933A (ja) * 2007-12-28 2009-07-23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90076668A (ko) * 2008-01-09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005097A (ko) * 2009-07-09 2011-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극 배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6492A (en) * 1979-06-08 1981-06-30 Modern Controls, Inc. Plasma display panel
US4554537A (en) 1982-10-27 1985-11-19 At&T Bell Laboratories Gas plasma display
JPS59119644A (ja) * 1982-12-25 1984-07-10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
JP3423742B2 (ja) * 1993-08-24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43167B2 (ja) 1994-02-23 2003-09-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57377B2 (ja) * 1994-04-20 2003-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352821B2 (ja) 1994-07-08 2002-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283028A (ja) * 1996-04-17 1997-10-31 Matsushita Electron Corp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01220B2 (ja) 1996-11-18 200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226834B1 (ko) * 1997-06-27 1999-10-15 구자홍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전극 구조
US5952781A (en) * 1998-03-09 1999-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e for high contrast gas discharge panel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91B1 (ko) * 2001-04-04 2004-03-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581857B1 (ko) * 2002-12-17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메쉬형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590031B1 (ko) * 2004-05-25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5757B1 (ko) * 2004-07-02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757571B1 (ko) * 2005-06-29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49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6561B1 (ko) * 2006-10-26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6603B1 (ko) * 2007-03-08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3970B1 (ko) * 2007-05-31 2008-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9182858B2 (en) 2011-08-02 2015-11-1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Method for burying conductive mesh in transparent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60361A (ja) 2001-06-12
US6522072B1 (en) 2003-02-18
TW466526B (en)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4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20000061879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전계집중부를 가진 유전체층 제조방법
JP200002131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870314B2 (en) Panel assembly for PD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99900625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블랙매트릭스 형성방법
KR200501182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306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4161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157855B2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30029697A (ko) 얼라인마크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53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007891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3350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66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47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1070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6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JP200318770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325732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51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36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블랙매트릭스 형성방법과 그 구조
KR1007087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42641A (ko) 색온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294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610

Effective date: 2006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