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00A -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 Google Patents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00A
KR20010013900A KR1019997011922A KR19997011922A KR20010013900A KR 20010013900 A KR20010013900 A KR 20010013900A KR 1019997011922 A KR1019997011922 A KR 1019997011922A KR 19997011922 A KR19997011922 A KR 19997011922A KR 20010013900 A KR20010013900 A KR 2001001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lymer material
water
absorbent polymer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안도
가쓰유키 사토이
요시유키 소가와
Original Assignee
시게루 안도
요시유키 소가와
가쓰유키 사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루 안도, 요시유키 소가와, 가쓰유키 사토이 filed Critical 시게루 안도
Publication of KR2001001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대상물에 따라 변형가능한 가환성을 구비하여, 연소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연소방지시트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시트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단순히 방수를 흡수하여 함수층을 형성하는 속측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뿐만아니라, 내화·내열·단열·방수·탄력·보호성의 기능을 갖는 속측의 기재층과 적층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연소를 방지하는 효과를 보다 한 층 높이고, 더불어 대상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Sheet and cover for preventing burning by spreading fire, and combined fire-extinguishing sheet and disaster-preventing clothing}
근년에 급속한 기술혁신, 또는 소방법 등의 규정에 따라, 여러 가지 내화구조·설비 등이 개발되어, 또한 보급되고 있다. 일반가정내에서는, 방화벽으로부터 난연성(難燃性)건재·난연성커튼 등의 사용, 그리고 소화기 설치 등의 방화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호텔·공장 등의 대규모시설에는, 보다 엄격한 소방법의 규정과, 화재경보기나 소화전 또는 스프링클러 등의 설치가 의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종업원등에 대한 방화훈련 등의 정기적인 실시 등에 의해, 방화에 대한 의식의 향상도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설비·기술의 대부분은, 발화지점이 되는 화재의 발생이나 실화 때의 초기방지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물론 자기의 책임에 있어서, 발화지점이 되는 것은 앞서의 설비 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만, 근린에서 대규모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과연 연소를 방지할 수 있을까?
통상, 일본의 사원 등에서 전통적인 건축물, 불상 등 중요문화재의 대부분은 목조이다. 사원 등의 수지내의 건축물은, 일정간격·거리가 있어 연소의 가능성은 낮을지도 모르지만, 그 대부분은 아주 가깝게 산림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근년은 물이 부족하거나 공기가 건조한 경우가 많고, 따라서 대규모의 산림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수목의 벌채나 소화제의 살포, 방수만으로는 연소를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대규모의 산림화재의 발생은, 일본뿐만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 또는 연소방지커버는, 중요한 건축물이나 불상, 회화 등에는 전용커버에 의해, 또한 통상의 경우에는,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에 의해 연소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초기소화를 위해서나 피난 때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소화시트로서, 또는 방재코트 등으로 겸용할 수 있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이러한 흡수시트로서 이용하여, 물에 젖는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다.
1) 「수괴(水槐)소화방화방법」(실개소 61-284260호 공보) 함수섬유에 흡수시켜, 수괴로 함으로써 수유(水濡)피해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
2) 「누수방지흡수시트」(실개평 04-147850호 공보) 흡수시트를 이용하여 누수개소(箇所)의 조기발견과 방염성을 목적으로 한 것.
3) 「흡수시트」(실개평 04-234640호 공보) 집합주택의 누수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
4) 「흡수시트구조」(실개평 04-132934호 공보) 방수에 따른 실내침수, 수도관파열시의 물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것.
이들 선행기술의 주목적은, 방수나 누수 등에 의한 수유피해의 감소이고, 물을 흡수하기 위한 시트로서의 이용이다. 따라서, 대상물의 내열이나 단열은 고려되지 않고, 연소의 방지효과는 적다.
또한, 함수층을 착의 등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착의 등에 흡수시켜 방화용으로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다.
5) 「간이단열시트」(실개평 01-145138호 공보) 금속막과 섬유질기체·스폰지상 기체를 중합하고, 흡수시트를 이용한 피난용두건·착의.
6) 「방화용착의에 사용가능한 복합섬유구조물」(실개평 09-267441호 공보)물을 흡수시킴으로써 내열성·단열성·흡수성·보수성 및 방화성을 갖도록 한 것.
7) 「화재 등에 있어서 피난용 또는 수용물 담는 박스」(실개소 48-94299호 공보) 함수층을 이용한 물건 담기의 발명.
8) 「내화단열재 및 내화단열용기」(실개평 03-223597호 공보) 내화·단열의 기능을 갖지만, 미리 함수층을 형성하여 보수(保水)시켜 둔다는 발명이다.
10) 「방화시트」(실개소 61-118728호 공보) 섬유매트와 플라스틱시트를 탈착자재로 결합시킨 일체화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시에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내화성에 우수하다. 용접공사나 부엌의 방화 등을 주목적으로 발명되었기 때문에, 경량이면서 굴곡성에도 우수하다. 다만, 플라스틱시트를 이용하고 있고, 그 때문에 대상물의 내열·방화기능은 낮다.
상기 종래의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의 방지를 주목적으로 한 발명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스로 방지할 수 없는 근린화재나 거대화재·산림화재 등으로부터의 연소의 방지이다.
일본에는 예로부터 전해지는,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 역사적인 문화재가 많이 존재한다. 더구나, 그 대부분은 목조건축물이다. 이들 중요문화재 등은, 반드시 후세에까지 남기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는, 이들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 건축물이나 불상, 회화 등을 비롯하여, 개별의 국보나 중요문화재 등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다.
귀중한 국보나 중요문화재의 근처에는, 방화조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배후에 따른 산림화재 등으로부터 대상물을 지켜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들 국보나 중요문화재가 존재하는 장소는, 산중(山中) 등의 소화활동에 있어서도 불편한 곳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가 있으면, 방화조 등의 설비가 있는 것만으로 매우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국보나 중요문화재 등을 반드시 후세에까지 남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일본 내의 모든 건축물마다에, 전용의 연소방지커버를 준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렇다고 역사적인 문화재이외는 소실하여도 좋다라는 이유는 되지 않는다. 그래서, 일반적인 건축물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연소방지시트도 고안하였다. 화재의 규모나 대상물의 크기는, 때때로 다른 것이 당연하다. 그래서, 연소방지시트는 상황에 따라 크기를 바꿀 수 있도록, 종횡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하였다. 또한, 시가지 등의 화재의 경우에는, 전주나 전선 등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거기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전선과 연소방지시트가 접촉할 가능성도 가정하여, 속층은 절연기능도 더불어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방수를 흡수하여 함수층을 형성하는 속측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뿐만 아니라, 내화·내열·단열·방수·탄력·보호성의 기능을 갖는 속측의 기재층(基材層)과의 적층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연소를 방지하는 효과를 보다 한 층 높이고, 더불어 대상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연소방지시트 또는 연소방지커버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연소방지를 위한 것뿐만 아니라, 초기소화를 위해서나 피난 때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소화시트로서, 또는 방재코트 등으로 겸용할 수 있는, 신규한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구비하여, 경량으로 취급이나 운반이 간단한 연소방지시트에 관한 것이며, 유연성을 갖고 있어, 종횡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상물에 대한 피복 등에 적용하기 쉽고, 더욱이 흡수 또는 함수(含水)시켜 확실하게 연소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연소방지시트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대상물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연소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연소방지커버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고분자재료를 구비하여, 경량으로 취급이나 운반이 간단한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에 관한 것이며, 적층시트상(狀)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있어 대상물에 대한 피복 등에 적용하기 쉽고, 더욱이 흡수 또는 함수시켜 확실하게 소화 또는 방재를 도모할 수 있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a는 흡수전의 상태, 도 1b는 흡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연소방지시트의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연소방지시트의 연결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를 불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를 하프커버로서 건축물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의 실시예에 있어서, 함수시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7a는 소화시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도 7b는 방재용피복으로서 사용하는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의 실시예에 있어서,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8a는 소화시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도 8b는 방재용피복으로서 사용하는 예이다.
도 9는 그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한 구조의 것을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방재코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대상물에 따라 변형가능한 가환성을 구비하여, 연소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연소방지시트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시트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에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이 호스(hose)류 등의 급수수단을 구비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일정사이즈로 형성되며, 또한 가장자리에 연결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별의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결수단에 종횡으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가장자리에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층을 형성한 위에 연결수단을 설치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연결수단이 로프(rope)류인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연결수단이 착탈가능한 후크(hook)류인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는,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불상이나 회화 등으로 대표되는 중요문화재나 개별의 중요한 대상물의 외형에 맞는 형상을 구비하여, 대상물 전체를 덮는 전용커버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는,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신사불각 등의 거대건축물류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상물의 한 면의 형상에 맞는 전용의 하프(half)커버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는,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는 연소방지커버를 평상시는 건조상태로 보관하고, 연소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연소방지커버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커버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이, 호스류 등의 급수수단을 구비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과 방수시트층을 적층하여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적층시트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함수시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그 적소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연결수단이, 버튼, 후크, 면패스너(fastener)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소화시트로서 이용되는 경우,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속측으로 하여 함수시켜 사용하고, 또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겉측으로 하여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방재용피복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겉측으로 하여 함수시켜 사용하고, 또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속측으로 하여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연소방지시트(1)는, 도 1a와 같이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2)과,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3)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상물에 따라 변형가능한 가환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소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연소방지시트(1)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시트(1)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으로 흡수시켜, 도 1b와 같이 함수층(2')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으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가교체와 같은 흡수성고분자재료가 사용된다. 이들 흡수성고분자재료에는 각종 등급의 것이 시판되고 있고, 흡수량도 용적으로 하여 10∼500배에 이르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임의로 선택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고분자재료를 섬유상, 스폰지상, 그 밖의 형태에 있어서 단독으로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섬유 등과 혼방하거나, 또한 각종 소재에 혼합 또는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방지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보다 높은 강도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을 얻을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기재층(3)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3)으로는, 불연성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그 밖의 금속제시트류, 불연처리 및 내수처리를 실행한 퀼팅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시트류 또는 플라스틱시트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과 각종 발포제 등에 따라 저밀도로 한, 바람직하게는 불연성의 단열층과 적층구조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3)은, 그 밖에 단열성, 절연성, 내열성 등도 구비하고 있고, 대상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은, 이 기재층(3)위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거나, 열융착이나 봉제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의 표면을 부직포나 필름 등으로 피복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부직포나 필름 등을 망상(網狀)으로 하거나, 펀칭등의 수단으로 통수성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는 물주입구(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고, 그렇게 하면 수도꼭지 등에 접속하여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급수할 수 있다. 물론, 물주입구에 튜브(tube)류를 연결하고, 이를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의해 부설하여 놓으면 보다 효과적이다.
이상의 연소방지시트(1)는, 적절한 사이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100∼150cm 사방의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발생시에 직접 이 연소방지시트(1)를 욕조 등에 저장된 수중에 담가서, 수분을 충분히 포함하게 한 뒤에 함수층(2')의 면을 아래로 하여, 직접 불타고 있는 부분에 덮어 씌워서 소화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가스풍로나 조리유(油) 등의 화재의 소화에 유효하다.
물론, 상기 연소방지시트(1)는 3∼10cm 정도의 사이즈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연결하여, 건축물이나 불상, 회화 등을 비롯한, 국보나 중요문화재 등의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도에서 4, 5는 연소방지시트(1)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연결수단이고, 4는 연소방지시트(1)의 기재층(3)의 가장자리를 겉과 속의 어느 쪽으로든 꺾어 접어서 형성한 보강층, 5는 보강층(4)에 적당간격으로 설치한 복수의 소공(小孔), 6은 로프류이다. 따라서, 로프류(6)를 소공(5)에 통과시켜 복수의 연소방지시트(1)를 종횡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건축물이나 불상, 회화 등을 비롯한, 국보나 중요문화재등의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에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상기 로프류(6)에 대체하여, 착탈가능한 후크류, 면패스너 등의 패스너류, 버튼이나 후크류, 핀류, 요철의 조합, 초음파가공, 호스류 등을 연결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호스류에 의하면, 위에 설명한 물주입구를 사용하여, 또는 수도꼭지 등에 직접연결하여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물을 충분히 급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연결하면, 인접한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도 물을 급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연소방지시트(1)는, 미리 플라스틱파이프나 금속제의 와이어, 앵글재 등을 이용한 골조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둘 수 있다. 그리고, 연소방지시트(1)가 함수하여도 그 자중( 自重)에 견딜 수 있고,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이 취약하여도, 손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옥외, 옥내의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골조를 구비한 연소방지시트(1)는, 연결수단에 의해 그 다수를 연결함으로써, 자립가능한 방화벽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옥외에 있어서는 가옥이나 전주, 나무숲 등을 이용하여 방화벽을 만들고, 옥내에 있어서는 기둥이나 후크(건물에 설치된, 또는 연소방지시트(1)에 미리 부착하여 놓았다) 등을 이용하여 방화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연소방지시트(1)를 건조상태로 접어 개어서 보존하여 두고, 필요한 때에 전개하여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국보나 중요문화재 등이 연소의 가능성이 높게 된 경우에, 방수나 급수 등에 의해 겉측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함수층(2')을 형성시킴으로써, 방화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즉, 화재 때문에 주위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함수층(2')(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조금씩 방출되어 기화하여, 수증기가 된다. 이 작용에 의해, 함수층(2')의 부분에 있어서 기화열을 빼앗아 온도의 상승이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정기적인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방수나 급수 등을 계속함으로써, 또한, 이 작용을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이 경우, 속측의 기재층(3)의 방수작용에 의해, 대상물을 수유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기재층(3)이 갖는 내화·단열·절연 등의 작용에 의해, 보다 한층 높은 연소방지효과를 얻게 되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방지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각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2)과,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3)으로 구성된 연소방지커버(11)를, 불상으로 이루어진 중요한 대상물(12)의 외형에 맞는 형상으로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대상물(12) 전체를 덮는 전용커버로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할 때에는, 방수 등에 의해 겉측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함수층(2')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방화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2)과,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3)으로 구성된 연소방지커버(21)를, 신사불각 등의 거대한 건축물류(22)의 외형에 맞는 형상으로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류(22)의 단면만을 덮는 전용하프커버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할 때에 방수 등에 의해 겉측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2)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함수층(2')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방화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도, 연소방지커버(21)에 미리 플라스틱파이프나 금속제의 와이어, 앵글재 등을 이용한 골조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둘 수 있다. 그리고, 연소방지커버(21)가 함수하여도 그 자중에 견딜 수 있고,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이 취약하여도, 손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방지시트(1)나 연소방지커버(21)에 조립한 골조는 별도로, 독립한 구조물로 이루어진 골조를 준비하여 두고,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에 배치하여 두면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연소방지시트(1)나 연소방지커버(21)는 경량대로 사용할 수 있고, 더구나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이 취약하여도, 손해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이 예서는, 건축물의 지붕내장(루핑재 등)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연소방지시트(31)는, 적어도 방수시트층(32)과 흡수성고분자재료층(33)을 구비하고 있고, 기와 등의 지붕재(34)의 아래에, 방수시트층(32)이 위에 흡수성고분자재료층(33)이 아래가 되도록 부설한다.
이와 같이 하면, 못(35) 등으로 지붕재(34)를 고정한 경우에, 강우 등에 있어서 흡수성고분자재료층(33)이 흡수하기 때문에 지붕의 기초부분으로의 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흡수한 수분은 청천(晴天) 때에 건조시켜 흡수성고분자재료층(3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수시트에 못 등을 사용하여 지붕재를 고정한 경우와 같이 비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만일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방수 등에 의해 흡수성고분자재료층(33)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지붕속전체에 방화기능을 갖게 하여 연소방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내외벽의 벽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축물 등에 또한 한 층 효과적인 연소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함수시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8은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며, 도 9는 그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이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과, 방수시트층(43)을 적층하여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41)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적층시트(41)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으로 함수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도 7은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에 함수시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7a는 소화시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을 속측으로 하여,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에 함수시켜 화재에 직접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 7b는 방재코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을 겉측으로 하여,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으로 함수시켜 불꽃이 튀는 쪽에 적용하는 것이다.
도 8은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8a는 소화시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을 겉측으로 하여, 방수시트층(43)을 화재에 적용하여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b는 방재코트로서 사용하는 예이고, 방수시트층(43)을 겉측으로 하여, 불꽃이 튀는 쪽에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41)는, 도 9와 같이 그 적소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수단으로서는, 버튼(44), 후크, 면패스너(45)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두부의 배후에 위치하는 한 쌍의 면패스너(45)를 연결하고, 목 아래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버튼(44)을 연결하여 피난하는 자가 두부에 적용하여, 방재두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예는, 도 9와 동일한 구조의 것을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방재코트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 예의 방재코트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42)을 겉측으로 하여 함수시켜, 이것을 불꽃이 튀는 쪽에 적용하는 것이다. 물론, 겉과 속을 반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재코트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어린학생 등이 재해시나 긴급시의 피난 때에 사용하는, 방재두건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흡수성고분자재료층과 방수시트층의 2층 구조에 대한 설명이 대부분이지만, 샌드위치상의 3층구조나 반복하여 적층한 다층구조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 또는 연소방지커버에 있어서는, 흡수·함수를 목적으로 하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겉측으로 하여, 화재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물에 적용한다. 그리고, 연소의 가능성이 높게 된 경우에 방수 등에 의해 겉층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시킨다. 그 후 화재 때문에 주위의 온도가 높게 되어, 함수층(흡수성고분자재료층)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이 조금씩 방출되어 수증기가 된다. 이 증발작용에 의해, 함수층의 부분에 있어서는 온도의 상승이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 방지된다. 물론, 정기적으로 방수 등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또한 방화작용을 지속시킬 수 있다.
덧붙여, 속측의 내화 및 내수성이 있는 기재층의 방수작용에 의해 대상물을 수유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기재층의 내열·단열·절연 등의 작용에 따라, 보다 한 층 높은 연소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은, 단순히 초기소화 때의 소화시트로서 뿐만 아니라, 피난 때의 방재용피복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가정에 상비하여 긴급 때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의 용도를 하기에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인명을 지키기 위한 용도)
·소방대원 등이 화재현장 등에 있어서, 너무나 화력이 강한 경우 등에, 자기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하여, 소방복 위에 입는 코트 또는 퇴피코트로서 사용.
·화재현장내 등의 인명구조를 행할 때, 구조할 사람을 감싸는 구명시트·씌우는 구명코트·간단하게 방화벽으로서의 역할을 갖게 하는 등의 구출시트·화력이 약해질 때까지 씌워 두는 퇴피코트로서 사용.
(인명과 재물 모두를 지키기 위한 용도)
·가스풍로 등에 씌우는 소화시트에 버튼·후크·면패스너 등을 구비하여, 재해시에 피난할 때, 흡수시켜 방재두건·방재피난용코트로서 사용.
·통상은 침대커버·소파커버·커튼·벽걸이 장식품(이송의 반대측을 겉으로 하여 그림 등이 그려진 것) 등으로 사용하고, 만일의 경우에 흡수시켜 소화시트 또는 방재피난용코트로서 사용.
(재물을 지키기 위한 용도)
·화재현장 등에 있어서, 소방기기를 화재나 열·수유 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시트·커버로서 사용.
·화재현장 등에 있어서, 차량이나 항공기 등의 중요물을 지키기 위한 시트·커버로서 사용.
·중요물의 수송시 등에, 중요물을 완전히 수비하기 위한 전용커버·전용케이스로서 사용.
·건축물자재 등으로서, 누수방지와 화재시의 방화벽을 겸비하기 위하여, 벽의 내장, 마루의 내장으로서 사용.
(화재시의 방수에 의한 수유피해의 감소에도 유효)
·건물내 등의 간이방화벽으로서 시트의 사용.

Claims (16)

  1.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대상물에 따라 변형가능한 가환성을 구비하여, 연소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연소방지시트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시트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방지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은 물주입구 등의 급수수단을 구비하는 연소방지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정사이즈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연결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별의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종횡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연소방지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보강층을 형성한 위에 연결수단을 설치하는 연소방지시트.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로프류인 연소방지시트.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착탈가능한 후크류인 연소방지시트.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통수가능한 호스류인 연소방지시트.
  8.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불상 등으로 대표되는 중요문화재나 개별의 중요한 대상물의 외형에 맞는 형상을 구비하여, 대상물의 전체를 덮는 전용커버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방지커버.
  9.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며, 신사불각 등의 거대건축물류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상물의 한 면의 형상에 맞는 전용의 하프커버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방지커버.
  10.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포함하는 연소방지커버를 평상시는 건조상태로 보관하며, 연소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연소방지커버로 대상물을 화재로부터 차단함과 동시에, 다량의 물을 연소방지커버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흡수시켜, 함수층을 형성하여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방지커버.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은 물주입구 등의 급수수단을 구비하는 연소방지커버.
  12. 적어도 방수를 흡수 또는 함수할 수 있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과, 방수시트층을 적층하여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적층시트의 흡수성고분자재료층으로 함수시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13. 제 12항에 있어서,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그 적소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버튼, 후크, 면패스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소화시트로서 이용되는 경우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속측으로 하여 함수시켜 사용하고, 또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겉측으로 하여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16.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사이즈의 적층시트가, 방재용피복으로서 이용되는 경우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겉측으로 하여 함수시켜 사용하고, 또는 흡수성고분자재료층을 속측으로 하여 함수시키지 않고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KR1019997011922A 1998-04-16 1999-04-16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KR20010013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05958 1998-04-16
JP10595898 1998-04-16
JP10-169617 1998-06-17
JP16961798 1998-06-17
JP11-32197 1999-02-10
JP11032197A JP2000070395A (ja) 1998-04-16 1999-02-10 類焼防止シ―ト、類焼防止カバ―、消火シ―ト兼防災用被服
PCT/JP1999/002058 WO1999053999A1 (fr) 1998-04-16 1999-04-16 Feuille et couverture ignifuges servant a empecher la propagation du feu et feuille ignifuge et vetement anti-brulure comb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00A true KR20010013900A (ko) 2001-02-26

Family

ID=2728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22A KR20010013900A (ko) 1998-04-16 1999-04-16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50323A4 (ko)
JP (1) JP2000070395A (ko)
KR (1) KR20010013900A (ko)
AU (1) AU750967B2 (ko)
CA (1) CA2294191A1 (ko)
WO (1) WO19990539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94B1 (ko) * 2007-07-04 2008-10-16 백윤기 방화용 프레임 충진 물질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방화부재 제조방법
KR102164234B1 (ko) * 2020-01-08 2020-10-12 (주)테라조경 산불 방재장치와 이를 이용한 산불 방재방법
KR20210017718A (ko) * 2019-08-09 2021-02-17 양희성 방화 담요
KR20210081671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에 설치되는 위험감지 경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34902A1 (en) * 2003-04-23 2004-11-19 Shigetomi Komatsu Antiflaming fire extinguishing agent
US9700077B2 (en) 2004-03-19 2017-07-1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US7437774B2 (en)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20050208857A1 (en) 2004-03-19 2005-09-2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DE112004002916A5 (de) * 2004-04-27 2007-05-24 Andreas Peter Hoffmann Flüssigkeitsabsorbierendes textilähnliches flexibles Material als Feuer- und/oder Hitzeschutz zum stationären oder mobilen Gebrauch
US8187984B2 (en) 2006-06-09 2012-05-2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2008057099A (ja)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US8389100B2 (en) 2006-08-29 2013-03-05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5671589B1 (ja) * 2013-09-26 2015-02-18 日本セイフティー株式会社 遮水シート
JP6654049B2 (ja) * 2016-01-07 2020-02-26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炎シート及び防炎シートを用いた延焼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4299A (ko) 1972-03-13 1973-12-05
JPS5099797U (ko) * 1974-01-14 1975-08-19
JPS5351673Y2 (ko) * 1974-12-27 1978-12-09
JPS61118728A (ja) 1984-11-15 1986-06-06 Sony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
JPS61284260A (ja) 1985-06-10 1986-12-15 片岡 新之助 水塊消火防火方法
JPS63122554U (ko) * 1987-02-02 1988-08-09
JPH01145138A (ja) 1987-11-16 1989-06-0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簡易断熱シート
US4970169A (en) * 1989-05-19 1990-11-13 Cabot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non-porous surface area of carbon black
JPH03223597A (ja) 1989-11-07 1991-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火断熱材および耐火断熱容器
JPH04132934A (ja) 1990-09-26 1992-05-07 Jun Kawai 湿潤持続性高分子構造体
JPH04234640A (ja) 1991-01-08 1992-08-24 Yokohamashi 吸水シート
AU3188495A (en) * 1994-08-24 1996-03-14 Ipt (Uk) Limited Fire block material
JP3021848U (ja) * 1995-08-23 1996-03-12 宝養生資材株式会社 溶接火花の消火マット
JP3366179B2 (ja) 1996-03-29 2003-01-14 トスコ株式会社 防災用着衣に使用できる複合繊維構造物
US5885912A (en) * 1997-10-08 1999-03-23 Bumbarger; Thomas H. Protective multi-layered liquid retaining composite
US6125941A (en) * 1997-11-12 2000-10-03 Life Tech Systems Inc. Fire blank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94B1 (ko) * 2007-07-04 2008-10-16 백윤기 방화용 프레임 충진 물질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방화부재 제조방법
KR20210017718A (ko) * 2019-08-09 2021-02-17 양희성 방화 담요
KR20210081671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에 설치되는 위험감지 경보장치
KR102164234B1 (ko) * 2020-01-08 2020-10-12 (주)테라조경 산불 방재장치와 이를 이용한 산불 방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70395A (ja) 2000-03-07
WO1999053999A1 (fr) 1999-10-28
EP1050323A4 (en) 2002-07-17
CA2294191A1 (en) 1999-10-28
EP1050323A1 (en) 2000-11-08
AU3344699A (en) 1999-11-08
AU750967B2 (en) 200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941A (en) Fire blanket
KR20010013900A (ko)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US8851198B2 (en) Tractable, fire-resistant, thermo-insulated covers and enclosures
US20100294520A1 (en) Fire shield system
JP2000317005A (ja) 防火シート
JP2023133534A (ja) 防災設備
US6521362B2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fire prevention and safety apparatus called FireCover
US9381387B2 (en) Fire-protection mechanism
RU145455U1 (ru) Покровное изделие для реактивного тушения огня
WO2015122796A1 (ru) Покровное изделие для реактивного тушения огня
CN114667170A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JP7340682B2 (ja) 防災器具及び防災設備
JP2021087754A (ja) 消火器具及び消火設備
JP2023106386A (ja) 防災設備
AU3297702A (en) Protective fire blanket
CN213359885U (zh) 一种新型多功能消防门
CN108379759A (zh) 防止火灾时延烧的方式
KR20220014630A (ko) 화재진압용 질식포
CA2862068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14370194A (zh) 防火防震安全屋
RU2690805C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US20100200251A1 (en) Fitted fire resistant tent with closures for close fit relationship
US5792542A (en) Fire retarding fluid mat
CN217275828U (zh) 一种防火双面伪装网
CN112076424B (zh) 一种防火厨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