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542A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디스크 배출 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디스크 배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542A
KR20010007542A KR1020000035737A KR20000035737A KR20010007542A KR 20010007542 A KR20010007542 A KR 20010007542A KR 1020000035737 A KR1020000035737 A KR 1020000035737A KR 20000035737 A KR20000035737 A KR 20000035737A KR 20010007542 A KR20010007542 A KR 2001000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chucking
sli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누마타코이치
타마야마류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0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5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여기에 나타낸 것은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 장착부와 함께 디스크를 척킹하는 척킹부와, 상기 척킹부는 디스크 로딩 개시시에 디스크를 결합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가지고, 디스크가 척킹되는 척킹위치와 디스크 로딩이 개시되는 로딩위치와 사이의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척킹위치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 디스크 배출 기구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disk loading mechanism, and disk eject mechanism}
본 발명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 디스크 배출 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스크에 관하여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장착부에 디스크를 로딩하기 위한 디스크 로딩 기구 및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크를 배출하기 위한 디스크 배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신호를 기록 혹은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관하여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알려져 왔다.
그러한 이미 알려진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대개 스핀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기에 적합한 디스크 테이블과 디스크 테이블에 대향하는 척킹판(chucking plate)을 포함한다. 중앙의 구멍을 지닌 디스크가 디스크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하우징(housing)을 통해서 형성되는 디스크 삽입/배출구로부터 삽입될 때, 디스크는 디스크 중앙의 구멍이 디스크 테이블에 상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로딩 기구에 의해서 하우징으로 당겨진다. 상기 조건에서, 디스크 테이블이나 척킹판은 상승기구에 의해서 올려지거나 내려지며, 따라서 디스크 테이블과 척킹판 사이의 디스크를 척킹한다.
종래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는, 하우징이 투명재료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를 하우징의 바깥쪽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창과 함께 제공됨으로써, 하우징에서의 디스크 존재여부를 하우징의 바깥쪽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크는 하우징에 제공된 배출 기구에 의해서 배출된다. 종래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는, 디스크의 로딩시, 하우징으로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가 삽입되며, 그 후에 디스크는 로딩 방향에서 디스크를 가세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척킹위치로 당겨진다. 반대로, 디스크의 배출시에, 디스크는 우선 배출 방향에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며, 그 후에 배출 방향에서 디스크를 가세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된다. 감소된 수의 부품과 대향하는 방향을 갖는 그러한 가세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장치는 디스크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 가세력의 방향으로 역전되기에 적합한 토글(toggle)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배출조작시에, 디스크가 배출 레버에 의해서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토글 스프링의 바이어스하는 힘의 방향은 대개 역전되며, 그후 디스크는 배출 레버 보다는 토글 스프링에 의해서 배출된다.
디스크 테이블에 대향하는 척킹판을 갖는 상기 종래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서, 척킹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는 척킹판의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두께는 두꺼우며,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해를 야기한다.
또한, 디스크 테이블과 척킹판에 의한 척킹 조작이 디스크가 척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시작되기 전에, 디스크는 디스크 테이블 및 척킹판과 아직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 등으로 인하여 척킹 위치에 위치한 디스크의 정렬이 어긋나는 경우에, 척킹 조작은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종래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는, 하우징에 디스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하우징이 투명재료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하우징의 바깥쪽에서도 디스크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부에 창이 제공된다. 그러나, 디스크의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럽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디스크인지 하우징의 내부구조의 일부인지를 쉽게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이런 식으로, 하우징에서의 디스크의 존재여부를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디스크를 배출하기 위해서 토글 스프링을 사용하는 상기 종래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예를 들면, 배출 레버가 이동하기에 충분한 공간은 하우징 내부의 설치공간의 제한으로 인하여 확보될 수 없다. 따라서, 배출 방향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 디스크를 확실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 기구를 고안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게다가, 토글 스프링은 가세력의 방향을 바꾸도록 야기시키는 소위 불감대역(dead band)을 갖는다. 그러나, 토글 스프링의 불감대역이 에이징(aging)등으로 인하여 다양해질 수 있으며, 비록 디스크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지라도 토글 스프링이 역전되지 않아서 디스크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하고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디스크 장착부와, 상기 디스크 장착부와 함께 상기 디스크를 척킹하며 디스크 장착 개시시에 상기 디스크를 결합하기 위한 디스크 결합부를 갖는 상기 척킹부 및 상기 척킹부를 지지하며 상기 디스크가 척크되도록하는 척킹 위치와 상기 디스크의 로딩이 시작되도록 하는 로딩위치 사이에서 상기 척킹부를 상기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디스크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크가 로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3은 내부 케이스와 디스크 테이블 및 내부 케이스의 양쪽에 제공되는 광학 픽업(pickup)을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지 베이스(base)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지지판을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 베이스와 홀더(holder) 및 배출 레버(lever)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투시도이다.
도 8은 셔터(shutter)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셔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셔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지지 베이스의 하부에 제공되는 홀더 및 필수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드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된 판스프링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판 지지부재 및 판 지지부재에 지지된 척킹판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드 부재의 지지/결합부에 지지된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투시도이다.
도 15는 센서(sensor)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은 센서 부재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링크 레버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크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삽입된 디스크에 의해서 센서 부재가 추축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지지 슬라이더가 배출 레버와 조작 링(ring)을 접촉시키기 위해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지지 슬라이더가 그것의 이동가능한 범위에서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 근처에 지지 슬라이더가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에 지지 슬라이더가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디스크 어댑터에 장착된 약 8cm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어댑터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디스크로서 사용되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재생장치이다.
도면부호(1)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나타낸다.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는 다양한 필수 부재 및 기구가 설치된 하우징(2)을 갖는다(도 1 내지 도 3 참조).
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상측부(3)와 하측부(4)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하우징(2)의 외부 형태는 실제적으로 원형이며 편평하다. 하우징(2)은 디스크 삽입/배출구(2a)와 함께 형성된 전면을 가지며, 도 1 내지 도 3의 양 화살표 A1-A2에 의해서 나타나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슬라이딩 손잡이(sliding knob)(5)와 함께 제공된 측면을 갖는다. 슬라이딩 손잡이(5)는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바깥쪽으로 추축으로 돌출되기에 적합한 추축부(5a)를 갖는다.
하우징(2)의 상측부(3)는 전단 근처에 창(6)과 함께 형성되는 상부면을 갖는다. 창(6)은 투명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 내부의 일부는 창(6)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상측부(3)의 상부면도 또한 슬라이딩 손잡이(5) 근처에 누름 버튼(7)과 함께 제공된다. 하우징(2)의 하측부(4)는 원주로 서로 간격져서 다양한 조작 스위치(8)와 함께 제공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0)는 하측부(4)의 내부 바닥면의 댐퍼(damper)(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지지되며, 스핀들 모터(11)와 광학 픽업(12)이 내부 케이스(10)에 제공된다.
스핀들 모터(11)는 내부 케이스(10)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스핀들 모터(11)의 모터축은 내부 케이스(1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착부로서 제공되는 디스크 테이블(13)은 스핀들 모터(11)의 모터축 상단에 고정된다.
디스크 테이블(13)은 외부의 형태가 원형이며, 실제적으로 하측부(4)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디스크 테이블(13)은 환상부(13a) 및 환상부(13a)의 중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중심부(13b)로 구성된다. 자석(도시하지 않음)이 디스크 테이블(13)에 삽입된다.
내부 케이스(10)는 상부의 개구(10a)와 함께 형성되며, 광학 픽업(12)은 상측의 개구(10a)에 노출되기 위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광학 픽업(12)은 이동 베이스(12a) 및 이동 베이스(12a)에 지지된 양축의 엑튜에이터(actuator)(12b)를 갖는다. 한 쌍의 베어링부(12c)는 이동 베이스(12a)의 맞은 편 끝에 설치된다. 베어링부(12c)는 한 쌍의 가이드 축(12d)에 슬라이드하게 지지된다. 예를들면, 피드 스크류(feed screw)(도시하지 않음)를 회전함으로써, 광학 픽업(12)은 디스크 테이블(13)에 장착된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 베이스(20)는 상측의 하우징(2)에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20)는 지지판(30)과 전면판(40)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30)은 상판부(31) 및 상판부(31)에 대향하는 측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좌우측부(32,33), 그리고 상판부(31)의 후단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부(34)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34)는 서로 간격져서 측면으로 제공된다.
한쌍의 좌우 탈구(31a)는 상판부(31)의 중심부 측면에 형성된다. 탈구(31a)는 상판부(31)에 세로로 확장되며, 서로 떨어져서 측면으로 제공된다.
제 1가이드 구멍(31b)은 좌탈구(31a)의 좌측에서 상판부(31)의 왼쪽에 형성된다. 제 1가이드 구멍(31b)은 상판부(31)의 세로로 확장되며, 실제적으로 좌탈구(31a)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제 2가이드 구멍(31c)은 우탈구(31a)의 우측에서 상판부(31) 오른쪽에 형성된다. 제 2가이드 구멍(31c)은 우탈구(31a)의 중심부에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우탈구(31a)의 후단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판부(31)를 세로로 연장한다. 제 3가이드 구멍(31d)은 제 2가이드 구멍(31c)의 우측에 있는 상판부(31)의 오른쪽에 형성된다. 제 3가이드 구멍(31d)은 각 탈구(31a)의 중심부에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각 탈구(31a)의 전단 앞의 위치로 상판부(31)를 세로로 연장한다.
한쌍의 좌우의 아치형 가이드 구멍(31e, 31f)은 상판부(31)의 앞쪽에 형성된다. 좌가이드 구멍(31e)은 제 1가이드 구멍(31b)의 좌측에 위치하며, 우가이드 구멍(31f)은 제 3가이드 구멍(31d)의 우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구멍(31e, 31f)은 상판부(31)의 중심부로부터 그것의 전단으로 바깥쪽의 측면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약간 아치형으로 되어있는 삽입구(31g)는 상판부(31)의 우단부에 형성된다.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은 상판부(31)의 두 개의 탈구(31a)사이에 형성되며, 센서 탈구(35a)는 그것의 전단 근처의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을 통해서 형성된다. 스토퍼 탭(stopper tab)(35b)은 센서 탈구(35a)의 후측에 세로로 확장된 부분(35)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스토퍼 탭(35b)은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의 전면을 향하여 아래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다.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은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은 후단부(35c)를 갖는다.
제 1경사부(35d)는 센서 탈구(35a)의 후단 근처에 형성된다. 제 1경사부(35d)는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의 후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 2경사부(35e)는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의 협지부(35c) 전면의 절반부로서 형성된다. 제 2경사부(35e)는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의 전방을 향하여 위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세로로 연장된 부분(35)의 제 1경사부(35d)의 후단과 제 2경사부(35e)의 전단 사이의 부분은 다른 부분으로부터 약간 올라가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40)은 주부(41)와 아치형부(42) 및 한쌍의 결합부(43)와 일체로 형성된다. 주부(41)가 호형으로 되어 있음으로서 그 결과 후면의 가장자리는 실제적으로 측면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며, 후면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끝에 연속된 전면의 가장자리는 실제적으로 전면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아치형이다. 판 노출구(41a)는 주부(41)의 중심부의 측면으로 형성된다. 제 1자석(50)은 그것의 전단부에서 주부(41)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결합부(43)는 아치형부(42)에 대향하는 끝의 근처에 형성되며, 아치형부(42)는 결합부(43)를 통해서 주부(41)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전면판(40)의 주부(41)의 후단부는 지지판(30)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레버(60)는 그것의 우부에서 지지판(30)의 상판부(31)의 상부면에 추축으로 지지된다. 배출 레버(60)는 실제적으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누름부(61)와 함께 그것의 일단에 형성된다. 아치형의 가이드 구멍(62)은 제 1누름부(61)근처에 형성되며, 상판부(31)에 설치된 지지축(31h)은 가이드 구멍(62)를 통하여 삽입된다. 제 2누름부(63)는 실제적으로 가이드 구멍(62)의 근처에 배출 레버(60)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다.
작동축(64)은 아래쪽으로 돌출되기 위해서 배출 레버(60)의 다른 끝부에 형성되며, 지점(65)은 배출 레버(60)의 중간부에 형성됨으로써 지점(65)과 작동축(64)사이의 거리는 지점(65)과 가이드 구멍(62)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지점(65)과 제 2누름부(63)사이의 거리는 지점(65)과 제 1누름부(61)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인장 스프링(66)은 제 1누름부(61)가 실제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에서 배출 레버(60)로 바이어스하는 힘을 인가하기 위해서 지점(65) 근처의 배출 레버(60)와 상판부(31)의 일부 사이에 연결된다. 배출 레버(60)는 가이드 구멍(62)에 삽입된 지지축(31h)에 의해서 가이드되듯이 지점(65)에 대하여 추축으로 이동한다. 배출 레버(60)의 추축이동범위는 지지축(31h)에 대하여 접하게 되는 그것의 대향하는 말단 사이의 가이드 구멍(6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기구(70)의 다양한 부재들이 상판부(31)와 지지판(30)의 우측부(33)에 지지된다.
조작기구(70)의 구성요소로서의 조작 레버(71)는 우측부(33)에 세로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레버(71)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부(71a)와 함께 그것의 전단에 형성된다. 또한, 축부(71b)는 바깥쪽 측면으로 돌출되기 위해서 조작 레버(71)의 중심부에 세로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손잡이(5)(도 1 내지 도 3 참조)는 축부(71b)에 장착됨으로써, 슬라이딩 손잡이(5)가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 조작 레버(71)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링 리테이너 핀(spring retainer pin)(33a)은 그것의 전단 근처에서 우측부(33)에 형성되며, 복귀 스프링(72)은 작동하는 레버(71)를 전방으로 가세하기 위해서 조작 레버(71)의 축부(71b)와 우측부(33)의 스프링 리테이너 핀(33a)사이에 연결된다.
조작 기구(70)의 구성요소로서 삽입된 레버(73)는 우측부(33) 근처에서 상판부(31)의 하부면에 세로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삽입된 레버(73)는 우측부(33)로부터 바깥쪽의 측면으로 돌출된 눌림부(73a)와 함께 형성된다. 조작 레버(71)가 배출 레버(60)의 작동축(64)이 삽입구(31g)의 전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뒤쪽으로 이동할 때, 삽입 레버(73)의 눌림부(73a)는 조작 레버(71)의 누름부(71a)에 의해서 뒤쪽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작동축(64)은 삽입 레버(73)의 후단에 의해서 뒤쪽으로 눌려진다. 결과적으로, 배출 레버(60)가 도 6의 화살표(R2)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지점(65)에 대하여 추축으로 움직인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셔터(shutter)부재가 나타나 있다. 셔터 부재(80)는 아치형의 닫힘부(81) 및 닫힘부(81)의 맞은편 끝에 연속되는 한 쌍의 좌우 지지부(82, 83)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왼쪽의 지지부(82)는 그것의 전단에서 지지판(30)의 좌측부(32)로 추축으로 지지되며, 오른쪽의 지지부(83)는 그것의 전단에서 지지판(30)의 우측부(33)로 추축으로 지지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84)은 셔터부재(80)를 아래쪽, 즉 하우징(2)의 디스크 삽입/배출구(2a)가 셔터부재(80)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가세하기 위해서 우측부(33)의 하단부와 우측부(33)에 지지된 우지지부(83) 사이에 연결된다.
도 6과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holder)(90)가 나타나 있다. 홀더(90)는 베이스부(91), 한 쌍의 좌우지지부(92) 및 한쌍의 좌우연장부(93, 94)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부(91)는 측면으로 연장되며, 지지판(30)의 상판부(31)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좌우지지부(92)는 그것의 후부에서 베이스부(91)의 좌우끝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며, 지지판(30)의 좌우지지부(34)에 각각 추축으로 지지된다. 좌우연장부(93, 94)는 서로 분리되기 위해서 그것의 전단부에서 베이스부(91)의 좌우끝으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히 돌출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지지부재(95) 및 제 2지지부재(96)는 연장부(93, 94)의 전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승 부재(97)는 그것의 좌우후단에서 제 1지지부재(95) 및 제 2지지부재(96)로 추축으로 지지된다. 리테이너(98)는 하우징(2)의 하측부(4)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승 부재(97)는 그것의 좌우전단에서 리테이너(98)의 좌우단으로 추축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홀더(90)가 추축으로 이동할 때, 제 1지지부재(95) 및 제 2지지부재(96)는 홀더(90)의 추축이동에 따라서 동시에 오르내림으로써, 상승 부재(97)는 그것의 후단이 오르내리는 것과 같은 식으로 추축으로 이동한다.
상승 부재(97)는 판모양의 부재이며, 한쌍의 롤러 지지구(97a)와 함께 서로 분리되어 측면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롤러(99a)는 롤러 지지부재(99)를 통하여 롤러 지지구(97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우측에 위치한 제 2지지부재(96)는 연동기구(interlocking mechanism)(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제공된다. 연동기구는 조작기구(70)의 작동에 의해서 홀더(90)를 추축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작동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지지성분(95, 96)은 오르내리며, 상승 부재(97)는 추축으로 이동한다.
도 6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해제부재(100)는 홀더(90)의 지지부(92)의 외면에 장착된다. 각각의 해제부재(100)는 기울어진 면(100a)과 함께 전면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도 12, 13 및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슬라이더(200)는 지지판(30)의 상판부(31)의 하부면에 세로로 슬라이드하게 지지된다. 지지 슬라이더(200)는 슬라이드 부재(110), 슬라이드 부재(110)에 장착된 판스프링부재(120) 및 슬라이드 부재(110)에 추축으로 지지된 판 지지부재(130)로 구성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10)는 실제적으로 직사각형의 주부(111) 및 그것의 후단에서 주부(111)의 맞은편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지지/결합부(1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측면으로 연장된 한쌍의 슬라이드구(111a)는 서로 측면으로 공간적으로 떨어지기 위해서 주부(111)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개구(113)는 주부(111) 중심부의 측면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지지부(114) 및 한 쌍의 제 2지지부(115)는 개구(113)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제 1지지부(114)는 서로 측면으로 대향하기 위해서 개구(113)의 전단 근처에 위치하며, 제 2지지부(115)는 서로 측면으로 대향하기 위해서 개구(113)의 후단 근처에 위치한다.
네 개의 지지축(116, 117, 118 및 119)은 주부(11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다. 지지축(116, 117)은 서로 세로로 공간적으로 떨어지기 위해서 개구(113)의 좌측에 위치한다. 지지축(118)은 주부(111)의 후단 근처에서 개구(113)의 우측에 위치한다. 지지축(119)은 주부(111)의 전단에서 지지축(118)의 우측에 위치한다. 지지축(116, 117)은 지지판(30)의 제 1가이드 구멍(31b)에 슬라이드하게 지지된다. 지지축(118)은 지지판(30)의 제 2가이드 구멍(31c)에 슬라이드하게 지지된다. 지지축(119)은 지지판(30)의 제 3가이드 구멍(31d)에 슬라이드하게 지지된다. 지지축(119)은 배출 작동시에 배출 레버(60)의 제 1 누름부(61)에 의해서 눌려지기 위해서 눌림부로서 제공된다.
각각의 지지/결합부(112)는 주부(111)와 돌출된 후방에 연속된 지지부(112a) 및 지지부(112a)로부터 바깥쪽의 측면으로 돌출된 스프링 리테이너부(112b)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112a)는 바깥쪽의 측면으로 돌출된 지지축(112c)과 함께 제공되며, 유지부재(140)는 지지축(112c)에 추축으로 지지된다.
각 유지부재(140)는 지지부(141), 지지부(141)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부(142), 스토퍼부(142)의 하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수용부(143) 및 지지부(141)로부터 측면의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 접착부(144)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유지부재(140)의 지지부(141)는 슬라이드 부재(110)의 지지축(112c)에 상응하여 추축으로 지지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145)은 각 유지부재(140)의 스토퍼부(142)와 슬라이드 부재(110)에 상응하는 스프링 리테이너부(112b)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 14의 화살표(P1)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의 회전력은 상응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145)에 의해서 각각의 유지부재(140)에 인가되며, 각 유지부재(140)의 탄성 접촉부(144)는 슬라이드 부재(110)의 상응하는 지지부(112a)의 상단과 탄성접촉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재(120)는 실제적으로 전면으로 U-형의 개구를 갖는 베이스부(121), 베이스부(121)의 측면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스프링부(122), 베이스부(121)의 좌우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측부(123), 서로 대향하기 위해서 측부(123)의 전단으로부터 측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제 2스프링부(124)와 일체로 형성된다. 판스프링부재(120)의 기초부(121)는 개구(113)의 바로 뒤에서 주변부의 슬라이드 부재(1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3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지지부재(130)는 세로로 연장된 부재이며, 한쌍의 지지부(131)는 판 지지부재(130)의 후단 근처에 형성된다. 판 지지부재(130)의 지지부(131)는 슬라이드 부재(110)의 제 1지지부(114)에 각각 추축으로 지지된다. 판 지지부재(130)는 판 지지부(132)로서 공급되는 원형의 전단부를 갖는다. 판 지지부(132)는 중앙의 지지구(132a)를 갖는다.
지지부(131)의 후측에 있는 판 지지부재(130)의 후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한쌍의 스프링 접촉부(133)는 판 지지부재(130)의 두 갈래로 갈라진 후단에 형성된다.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2스프링부(124)는 그 하측으로부터 판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접촉부(133)와 탄성접촉한다. 따라서, 판 지지부(132)를 내리는 방향의 회전력은 판스프링부재(120)에 의해서 판 지지부재(130)에 인가되며, 지지부(131)의 바로 앞쪽에 있는 판 지지부재(130)의 부분은 그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부재(110)의 전단부와 탄성접촉한다. 또한, 제 2자석(134)은 판 지지부(132)와, 슬라이드 부재(110)의 전단부와 탄성접촉을 하는 상기 탄성접촉부의 사이에서 판 지지부재(130)의 하측부에 장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성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척킹판(150)을 나타낸다. 척킹판(150)은 실제적으로 원형의 척킹부(151), 척킹부(151)의 중심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축부(152) 및 축부(152)의 상단에 제공되는 작은 원형의 중지부(153)로 구성된다. 척킹부(151)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중앙의 결합부(151a)와 함께 형성된다.
중앙결합부(151a)는 중앙결합부(151a)의 바깥 지름이 하측으로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과 같은 원추대형을 갖는다. 또한, 축부(152)의 축길이는 판 지지부재(130)의 판지지부(132)의 두께보다 크고, 축부(152)의 지름은 판지지부(132)의 지지구멍(132a)의 지름보다 작다.
척킹판(150)은 축부(152)가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경사가능하게 되도록 판지지부(132)의 지지구멍(132a)을 통해서 삽입되고, 중지부(153)가 지지구멍(132a)의 주변에 있어서 판지지부(132)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판지지부재(130)의 판지지부(132)에 지지된다. 지지 슬라이더(200)가 그 이동 가능한 범위의 전단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척킹판(150)은 전면판(40)의 판노출구멍(41a)에 노출되도록 위치되므로서 척킹판(150)이 판노출구멍(41a)을 통해서 상부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해서, 센서부재(sensor member)(160)를 나타낸다. 센서부재(160)는 연결부(161), 센싱(sensing)부(162) 및 한쌍의 지지부(16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161)는 측면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규제부재(161a)를 갖춘 그 측면의 중앙에 형성된다. 센싱부(162)는 연결부(161)의 측면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접촉부(162a)는 아래로 돌출되도록 센싱부(162)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접촉부(162a)는 센서부재(160)의 후측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전단 경사면(162b)을 갖는다.
지지부(163)는 연결부(161)의 측면의 대향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지지부(163)는 슬라이드부재(110)의 제 2지지부재(115)에 대해서 그 전단에 추축으로 지지된다. 센싱부(162)의 하측면은 지지부(163)의 전단 뒤의 위치에 오목부(162c)를 형성하고,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1스프링부(122)는 그 하측으로부터 센싱부(162)의 오목부(162c)와 탄성접촉한다. 따라서, 센싱부(162)의 슬라이드 접촉부(162a)를 아래로 내리는 방향을 갖는 가세력이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1스프링부(122)에 의해 센서부재(160)에 인가되고, 센서부재(160)의 규제부(161a)는 지지판(30)의 스토퍼 탭(stopper tab)(35b)에 근접하거나 접촉하여 위치된다.
도 17 및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한 쌍의 L형 링크레버(170)는 그 전단 근처의 지지판(30)의 하부면에 추축으로 지지된다. 지점(170a)은 각 링크레버(17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결합핀(17b)은 각 링크레버(17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링크레버(170)의 결합핀(170b)은 슬라이드부재(110)의 슬라이드구멍(111a)과 슬라이드하게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링크레버(170)는 지지슬라이더(200)의 슬라딩 조작과 함께 추축으로 이동되고, 결합핀(170b)이 슬라이드구멍(111a)에 슬라이드된다.
각 링크레버(170)는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으로 형성되고, 토글 스프링(180)은 각 링크레버(170)의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과 지지판(30)의 하측면 사이에 삽입된다. 각 토글스프링(180)은 그 가세력 방향으로 반전가능하게 된다. 즉, 지지슬라이더(200)가 소정의 기준위치의 전측에 위치되면 지지슬라이더(200)는 링크레버(170)를 통해서 토글스프링(180)에 의해 전방으로 가세되는 반면에 지지슬라이더(200)가 소정의 기준위치의 후측에 위치되면, 지지슬라이더(200)는 링크레버(170)를 통해서 토글스프링(180)에 의해 후방으로 가세된다.
링크레버(170)의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은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판(30)의 가이드 구멍(31e, 31f)과 슬라이드하게 각각 결합된다. 조작링(171)은 그 상단부의 우측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의 바깥 원주에 장착된다. 조작링(171)은 배출조작시 배출레버(60)의 제 2누름부(63)에 의해 눌려지는 조작부로서 제공된다.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는 대략 12cm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300)와 대략 8cm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400)에 대해서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할 수 있다. 디스크(4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디스크(400)는 디스크 어댑터(500)에 장착되고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삽입된다. 디스크 어댑터(500)는 중심개구(500a)를 갖도록 원주형으로 된다. 디스크(400)가 디스크 어댑터(500)에 장착되는 경우에, 디스크(400)의 기록면은 디스크 어댑터(500)의 중심개구(500 a)에 노출된다(도 26참조).
이제는 셔터부재(80)의 개폐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300)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삽입되고 척킹판(150)과 디스크테이블(13)에 의해 척킹되면, 셔터부재(80)는 추축으로 아래로 이동되어 셔터부재(80)의 폐쇄부(81)에 의해 디스크 삽입/배출구(2a)를 폐쇄한다. 슬라이딩 손잡이(5)는 디스크(300)의 척킹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화살표(A1)방향의 이동단으로 조작되면, 디스크(300)는 척크되지 않는다. 동시에, 셔터부재(80)는 추축으로 위로 이동되어 디스크 삽입/배출구(2a)를 개방하고, 디스크(300)는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소정량 만큼 배출된다. 배출된 디스크(300)가 조작자에 의해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인출된 후 조차도, 셔터부재(80)는 이동되지 않고 디스크 삽입/배출구(2a)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디스크(300)를 인출한 후, 다른 디스크가 개방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바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크(300)로부터 인출된 후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다른 디스크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에, 하우징(2)에 설치된 누름버튼(7)을 조작자가 누름으로서 추축으로 셔터부재(80)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폐쇄부(81)에 의해 디스크 삽입/배출구(2a)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하우징(2)내로 먼지 등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삽입/배출구(2a)가 패쇄부(81)에 의해 폐쇄되는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화살표(A1) 방향의 위치(A3)로 슬라이드 손잡이(5)가 조작되면, 셔터부재(80)는 추축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어 디스크 삽입/배출구(2a)를 개방한다. 따라서, 디스크(300)는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하우징(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셔터부재(80)의 개폐동작을 디스크(300)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동일한 조작이 디스크(300) 이외의 디스크 어댑터(500)에 장착된 디스크(400)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경우에 인가된다.
이제는 디스크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로딩조작을 도 18 내지 2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로딩조작 개시 이전의 상태에서, 지지슬라이더(200)는 그 이동범위의 전단에 배치되고, 슬라이드부재(110)의 지지축(116, 118 및 119)는 지지판(30)의 제 1가드구멍(31b), 제 2가이드구멍(31c) 및 제 3가이드구멍(31d)의 전단에 각각 배치된다(도 18참조). 또한, 센서부재가 이와 같이 센서부재(160)의 슬라이드 접촉부(162a)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1스프링부(122)의 가세력을 받고, 센서부재(160)의 규제부(161a)의 후면이 지지판(30)의 스토퍼탭(35b)에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위치된다(도 19참조).
지지슬라이더(200)가 이동범위의 전단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척킹판(150)은 디스크 로딩개시가 허가되는 로딩 준비위치에 유지된다. 이 로딩 준비위치에서, 척킹부(151)의 전단은 주부(41)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 1자석(50)에 자성적으로 이끌림으로서 척킹부(151)는 전면측을 향해 위로 경사지게 된다(도 19참조). 로딩 준비위치의 척킹판(150)은 하우징(2)의 상부(3)에 설치된 창(6)에 노출되므로서 척킹판(150)이 창(6)을 통해서 하우징(2)의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도 1참조).
디스크(300)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면, 척킹판(150)의 경사진 척킹부(151)는 디스크(300)에 의해 눌려지고, 그 척킹부(151)는 그 자기력에 대해서 제 1자석(50)으로부터 분리되므로서, 척킹부(151)가 실제적으로 수평인 상태가 된다(도 20 참조).
디스크(300)의 삽입중에, 척킹판(150)은 디스크(300)의 상부면에 각각 놓여 그 위로 각각 슬라이드 한다. 디스크(300)의 삽입 이전에, 척킹부(151)는 제 1자석(50)에 의해 전면측을 향해 위로 경사져서 유지된다. 따라서, 디스크(300)를 삽입할 때 디스크(300)와 척킹판(150)의 간섭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하우징(2)으로 디스크(30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
더욱이, 디스크(300)의 하부면이 상승부재(9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99a)와 회전 접촉하여 삽입되므로서, 하우징(2)내로 디스크(300)의 삽입이 원활해진다.
더욱이 디스크(300)의 삽입중에, 디스크(300)가 슬라이드부재(110) 아래로 이동되고 센서부재(160)의 경사면(162b)과 슬라이드 접촉되어 간다. 따라서, 센서부재(160)는 슬라이드 접촉부(162a)가 올라가도록 판스프링부재(120)의 가세력에 대해서 추축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센서부재(160)의 저지부(161a)는 지지판(30)의 스토퍼탭(35b) 아래의 위치로 낮아지고, 그것에 의해 지지슬라이더(200)가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도 20참조).
또한 디스크(300)가 삽입되면, 디스크(300)의 외주는 슬라이드부재(110)의 지지/결합부(112)에 지지된 지지부재(140)의 스토퍼부(142)에 대해서 접합되고, 수용부(143)에 유지된다(도 21참조). 이때에, 하방의 가세력이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2스프링부(124)에 의해 판지지부재(130)를 통해서 척킹판(150)에 인가되기 때문에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는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00a)과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부(151a)는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00a)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디스크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디스크(300)의 외주가 유지부재(140)의 수신부(143)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디스크(300)가 더 삽입되면, 유지부재(140)의 스토퍼부(142)는 디스크(300)에 의해 눌려 지지슬라이더(200)를 뒤로 이동시킨다(도 22참조). 디스크(300)는 또한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가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00a)과 결합되는 상태에서 뒤로 이동된다. 이때에,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2스프링부(124)는 그 하부측으로부터 판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접촉부(133)와 탄성접촉한다. 따라서, 스프링 접촉부(133)는 지지판(30)의 세로 연장부(35)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판지지부재(130)와 척킹판(150)은 뒤로 이동되는 동안 실제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지지슬라이더(200)의 후방 이동중에, 링크레버(170)는 토글스프링(180)의 전방 가세력에 대해서 추축으로 이동된다(도 21참조). 이때에, 링크레버(170)의 결합핀(170b)은 슬라이드부재(110)의 슬라이드구멍(111a)으로 이동되고, 링크레버(170)의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은 가이드구멍(31e, 31f)으로 이동된다.
오른쪽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을 오른쪽 가이드구멍(31f)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른쪽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에 장착된 조작링(171)은 또한 가이드구멍(31f)을 따라서 이동하고 배출레버(60)의 제 2누름부(63)와 접촉하여 그것을 누른다(도 21참조). 따라서, 배출레버(60)의 제 1누름부(61)가 뒤로 이동하고 배출레버(60)의 조작축(64)이 지지판(30)의 삽입구멍(31g)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배출레버(60)가 추축으로 이동된다.
디스크(300)의 삽입에 따라서 뒤로 이동되는 지지슬라이더(200)는 소정의 기준 위치에 이르면, 토글스프링(180)은 그들의 가세력 방향으로 반전된다. 따라서, 토글스프링(180)의 후방 가세력은 링크레버(170)를 통해서 지지슬라이더(200)로 인가된다. 따라서, 지지슬라이더(200)는 소정의 기준위치를 통과한 후 토글스프링(180)의 가세력에 의해 뒤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가 그 중심구멍(300a)에 결합된 디스크(300)는 자동적으로 하우징(2)으로 당겨진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동가능 범위의 후단 근처의 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드부재(110)의 지지/결합부(112)에 장착된 유지부재(140)의 탄성 접촉부(144)는 지지판(30)의 지지부(34)에 장착된 해제부재(100)의 경사면(100a)의 하단부에 대하여 인접하게 된다.
또한 지지슬라이더(200)가 이 위지부로부터 뒤로 이동하면, 탄력 접촉부(144)는 경사면(100a)으로 미끄러지고, 유지부재(140)는 토션코일스프링(143)의 스프링력에 대해서 추축으로 이동됨으로써 수신부(143)의 전단이 낮아진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이동범위의 후단에 도달하면 즉, 판지지부재(130)에 지지된 척킹판(150)이 척킹준비위치로 다다르면, 디스크(300)는 유지부재(140)로부터 해제된다(도 25참조).
동시에, 조작기구(70)의 삽입레버(73)는 배출레버(60)의 전방향 이동 조작축(64)에 의해 눌려 이동된다. 따라서, 제 2지지부재(96)에 설치된 연동기구는 조작되어 홀더(90)를 추축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홀더(90)의 전단이 낮아진다. 홀더(90)의 추축이동에 따라서, 제 1 및 제 2지지부재(95, 96)는 동기하여 낮아지고, 따라서 상승부재(97)는 추축으로 이동됨으로서 그 후단이 낮아진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지지슬라이더(200)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에서, 디스크(300)는 유지부재(140)로부터 해제되고, 제 1 및 제 2지지부재(95, 96)는 동기하여 낮아져 상승부재(97)를 추축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그 후단이 낮아진다. 따라서, 디스크(300)는 낮아지고 그 중심구멍(300a)은 디스크테이블(13)의 중심부(13b)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지지슬라이더(200)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에서, 판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접촉부(133)는 지지판(30)의 세로 연장부(35)의 협지부(35c)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고 그 협지부(35c)로부터 위로 돌출되며, 판지지부재(130)는 추축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전단부가 판스프링부재(120)의 제 2스프링부(124)의 스프링력에 의해 낮아진다(도 25참조). 따라서, 척킹판(150)은 낮아지고 그 사이에 낀 디스크(300)와 디스크테이블(13)에 매설된 자석에 자성적으로 이끌린다. 즉, 디스크(300)는 디스크테이블(13)과 척킹판(150)에 의해 척킹됨으로서 디스크(300)용 로딩조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300)가 디스크테이블(13)과 척킹판(150)에 의해 척킹되면, 셔터부(80)는 추축으로 낮아져 셔터부재(80)의 폐쇄부(81)에 의해 삽입/배출구(2a)를 폐쇄된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에 다다르고 디스크(300)가 척킹되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 척킹판(150)은 하우징(2)의 외부로부터 창(6)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다(도 2참조). 따라서, 창(6)을 통해서 척킹판(150)의 가시도(visibility)를 확인함으로써 디스크(300)가 하우징(2)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하우징(2)의 디스크(300)의 존재 여부는 편평한 매끄러운 면을 가지는 디스크(300)가 창(6)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므로서 판정된 경우와 비교해서 확실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판별될 수 있다.
하우징(2)의 하부에 설치된 재생용 조작스위치(8)를 디스크용 로딩조작을 종료한 후에 종료하면, 스핀들모터(11)는 디스크테이블(13)을 회전하도록 구동됨으로서 디스크테이블(13)과 척킹판(150)에 의해 척킹된 디스크(300)를 회전한다. 동시에, 광학픽업(12)이 동작되어 디스크(300)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하우징(2)의 하부(4)에 설치된 중지용 다른 조작스위치(8)가 재생조작 중에 조작되면, 스핀들모터(11)가 중지되어 디스크(300)의 회전이 중지된다. 동시에, 광학픽업(12)의 조작도 중지되어 재생조작을 종료한다.
재생조작을 종료한 후 하우징(2)에 설치된 슬라이드 손잡이(5)를 방향(A1)으로 조작하면, 디스크(300)가 척킹해제되어 배출조작을 개시한다. 동시에, 셔터부재(80)는 추축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폐쇄부(81)에 의해 폐쇄된 디스크 삽입/배출구(2a)를 개방한다.
이제는 디스크(300)에 대한 배출조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드 손잡이(5)가 조작되면, 조작레버(71)가 이동되어 조작기구(70)를 조작함으로서 홀더(90)가 그 전단이 상승하는 식으로 추축으로 이동된다. 홀더(90)의 추축 이동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부재(95, 96)가 동기하여 상승됨으로서, 상승부재(97)는 그 후단이 상승되는 식으로 추축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척크된 디스크(300)는 제 1 및 제 2지지부재(95, 96) 그리고 상승부재(97)에 의해 상승됨으로서 디스크테이블(13)과 척킹판(150)으로부터 디스크(300)를 해제한다. 즉, 디스크(300)는 척킹판(150)과 함께 상승되어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가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30a)과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조작레버(71)의 후방 이동에 의해, 삽입레버(73)의 눌림부(73a)는 조작레버(71)의 누름부(71a)에 의해 뒤로 눌려짐으로서, 배출레버(60)의 조작축(64)이 삽입레버(73)에 의해 뒤로 눌려진다. 따라서, 배출레버(60)는 제 1누름부(6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식으로 추축으로 이동된다.
지지슬라이더(200)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후단 즉, 판지지부재(130)에 지지된 척킹판(150)의 척킹준비위치에서, 슬라이드 부재(110)의 지지축(119)이 배출레버(60)의 제 1누름부(61)에 대하여 인접하게 된다(도 24참조). 더우기, 이 상태에서, 우측 링크레버(170)의 스프링 리테이너핀(170c)에 창착된 조작링(171)은 배출레버(60)의 제 2누름부(63)에 인접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근접하는 것이다(도 24참조). 따라서, 조작레버(71)의 이동에 의해 배출레버(60)의 추축이동과 함께, 지지축(119)은 제 1누름부(61)에 의해 전방으로 눌려 지지슬라이더(200)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도 23참조). 따라서, 디스크(300)는 상승부재(97)에 지지된 롤러(99a)와 회전접촉으로 전방으로 매끄럽게 이동된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유지부재(140)의 탄성접촉부(144)는 해제부재(100)의 경사면(100a)에 따라서 낮아지고, 유지부재(140)는 토션코일스프링(145)의 스프링력에 의해 추축으로 이동되어 디스크(300)를 유지시킨다. 더우기, 지지판(30)의 협지부(35c)로부터 위로 돌출된 판지지부재(130)의 스프링접촉부(133)는 세로연장부(35)의 하부면과 다시 접촉함으로서, 판지지부재(130)와 척킹판(150)은 실제적으로 수평이 된다.
지지축(119)에 대해서 배출레버(60)의 제 1누름부(61)의 누름조작에 의해 디스크(300)와 함께 지지슬라이더(200)의 전방 이동 중, 배출레버(60)의 제 2누름부(63)는 조작링(171)이 인접하게 되고 제 1누름부(61)는 지지축(119)으로부터 분리된다(도 21참조). 따라서, 배출레버(60)가 또 추축으로 이동되면, 조작링(171)은 제 2누름부(63)에 의해 눌려 우측 링크레버(170)를 통해서 지지슬라이더(200)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킨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전방 이동중에 소정의 기준위치로 다다르면, 토글 스프링(180)은 가세력의 방향으로 반전된다. 따라서, 토글스프링(180)의 전방향 가세력이 링크레버(170)를 통해서 지지스라이더(200)에 인가된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약간 전방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조작링(171)은 제 2누름부(63)에 의해 전방으로 밀린다.
따라서, 배출레버(60)의 제 1누름부(61)에 의해 눌려 이동되는 지지슬라이더(200)가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전방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배출레버(60)의 제 2푸시부(63)에 의해 조작링(171)이 밀린다. 따라서, 토글스프링(180)은 토글스프링(180)의 불감대역(dead band) 이외의 제 2누름부(63)에 의해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슬라이더(200)에 전방 이동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디스크(300)는 확실하게 배출된다.
토글스프링(180)이 제 1누름부(61)의 가압 만으로 반전되는 경우에는, 토글스프링(180)이 반전될 때까지 배출레버(61)의 길이는 지지축(119)을 누르도록 계속해서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출레버(60)가 소정의 위치로 추축으로 이동되면, 제 1누름부(61)의 누름조작은 제 2누름부(63)의 누름조작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출레버(60)는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소형화 및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토글스프링(180)이 반전된 후, 지지슬라이더(200)는 토글스프링(180)의 가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서 중심구멍(300a)이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와 결합하는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지지슬라이더(200)가 이동가능한 범위의 전단으로 이동되면. 디스크(300)에 대한 배출조작은 종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300)는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소정량만큼 배출된다.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배출된 디스크(300)를 인출함으로써, 디스크(300)는 하우징(2)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디스크(300)가 디스크 삽입/베출구(2a)로부터 소정량만큼 배출되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00a)은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크(300) 전체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튀어나올 가능성이 없다. 더우기, 디스크 삽입/배출구(2a)가 디스크(300)의 배출상태에서 아래로 향하게 하는 경우에도, 디스크(300)가 아래로 떠어질 가능성이 없다.
더우기, 척킹판(150)의 전방향 이동 후에 배출조작이 종료되는 상태에 있어서, 척킹판(150)은 하우징(2)의 전단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조작 종료상태에 있어서, 디스크(300)는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소정량만큼 항상 배출되고, 이 소정의 배출량이 증대됨으로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에 있어서, 로딩조작 및 배출조작이 척킹판(150)을 이동함으로써 실행된다. 척킹판(150) 및 척킹판(150)을 지지하기 위한 판지지부재(130)는 디스크(300)의 반경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진 관계로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디스크(300)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배출되면, 그 로딩준비위치에 있는 척킹판(150)의 결합부(151a)는 디스크(300)의 중심구멍(300a)과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한 디스크(300)와 척킹판(150) 사이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크(300)에 대한 적정한 척킹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1)의 로딩조작 및 배출조작을 대략 12cm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3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설명하였지만, 디스크(300)에 대해서 로딩조작 및 배출조작이 디스크(300) 대신에 디스크 어댑터(500)에 장착된 디스크(40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인가할 수 있다.
디스크 어댑터(500)에 장착된 디스크(400)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디스크(400)는 센서부재(160)의 슬라이드 접촉부(162a)와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서 센서부재(160)를 추축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슬라이더(200)는 이동가능하게 된다(도 26참조). 디스크테이블(13)과 척킹판(150) 사이에 디스크(400)를 척킹하는 경우에, 디스크 어댑터(500)는 척킹조작에 지장없는 위치로 후퇴한다.
디스크(400)가 장착되지 않는 디스크 어댑터(500)가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실수로 삽입되는 경우에, 디스크 어댑터(500)의 중심개구(500a)가 센서부재(160)에 노출된다(도 27참조). 따라서, 디스크 어댑터(500)가 하우징(2)에 또 삽입되더라도, 센서부재(160)의 규제부(161a)는 지지판(30)의 스토퍼 탭(35b)에 대하여 인접하고 그것에 의해 디스크 어댑터(500)의 삽입을 규제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디스크 어댑터(500)의 오삽입을 판단할 수 있다.
더우기, 디스크 어댑터(500)만이 오삽입되는 경우에도, 로딩 준비위치에 있어서 제 1자석(50)의 자력에 의해 경사지는 척킹판(150)이 디스크 어댑터(500)에 의해 밀려 제 2자석(134)에 자성적으로 이끌려 실제적으로 수평상태가 된다. 따라서, 오삽입된 디스크 어댑터를 디스크 삽입/배출구(2a)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디스크 어댑터(500)가 척킹판(150)과 간섭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크 어댑터(500)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척킹판(150)과 디스크 어댑터(5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만할 수 있는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만 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디스크에 대해서 정보를 기록 및 재생을 모두 할 수 있는 장치에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다양한 부분의 구체적인 형태 및 구조는 단지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형태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스크가 척킹판과 결합되는 상태에서 디스크가 척킹판으로 이동된다. 로딩조작은 척킹판을 이동함으로써 실행된다. 척킹판과 척킹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두께가 줄어 들 수 있다.
더욱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그 로딩준비위치에 있는 척킹판은 디스크 로딩 개시시에 디스크와 결합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한 디스크와 척킹판 사이의 위치 엇갈림의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크에 대해서 적절한 디스크 척킹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더욱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디스크의 존재 여부는 척킹판이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창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 디스크의 존재 여부는 편평하고 매끄러운 면을 갖는 디스크가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창을 통해서 인식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디스크의 존재여부의 판정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기구에 있어서, 디스크가 척킹판과 결합되는 상태에서 척킹판으로 이동된다. 로딩 조작은 척킹판으로 이동함으로써 실행된다. 척킹판과 척킹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져서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디스크 로딩기구에 있어서, 그 로딩준비위치에 있는 척킹판은 디스크 로딩개시시에 디스크와 결합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한 디스크와 척킹판 사이의 위치 엇갈림의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크에 대해서 적절한 척킹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배출기구에 있어서, 토글스프링은 배출레버에 의해 누름조작 중에 항상 반전된다. 토글스프링은 토글스프링의 불감대역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확실하게 반전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이동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디스크는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디스크 배출기구에 있어서, 눌린부와 조작부는 2개의 누름부에 의해 연속해서 눌려짐으로써 토글 스프링은 크기가 줄어든 배출레버에 의해 반전될 수 있다.

Claims (14)

  1.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디스크 장착부와,
    상기 디스크 장착부와 함께 상기 디스크를 척킹하는 척킹부와 상기 척킹부는 디스크 로딩 개시시에 상기 디스크를 결합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디스크가 척킹되는 척킹위치와 상기 디스크 장착이 개시되는 장착위치 사이에 상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척킹부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척킹부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삽입되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상기 척킹부를 간격지도록 상기 디스크 장착부와 상기 척킹부 사이에 상기 디스크를 삽입하는 상기 척킹부를 자성적으로 끌어당기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저지상태를 취소하도록 삽입된 상기 디스크에 의해 눌려지는데 적합한 락부(locking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부에 의해 그 저지상태로 취소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디스크의 또 한번의 삽입에 의해 로딩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하고 로딩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과 함께 추축으로 이동되는데 적합한 링크레버(link 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링크레버의 결합된 부분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더를 가세(bias)하는 토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로딩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토글스프링은 배출 방향으로부터 상기 로딩방향까지 그 가세 방향으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장착부와 상기 척킹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척킹과 함께 상기 디스크의 삽입과 배출을 허가하는 디스크 삽입/배출부를 폐쇄하는 셔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의 폐쇄동작을 지시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로딩기구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장착하는 디스크 장착부와,
    상기 디스크 장착부와 함께 상기 디스크를 척킹하는 척킹부와, 상기 척킹부는 디스크 로딩 개시시에 상기 디스크를 결합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가 척킹되는 척킹위치와 상기 디스크 로딩이 개시되는 로딩위치와의 사이에 상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척킹부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기구.
  9. 창작된 디스크를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배출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되는데 인가되는 배출레버와,
    상기 배출레버의 상기 제 1누름부에 의해 눌리고 그것에 의해 상기 소정 방향에서 상기 배출레버의 조작과 함께 배출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배출레버의 조작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누름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제 2누름부에 의해 눌려지므로서 상기 배출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레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배출지시에 따라서 추축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누름부에 의해 눌려 상기 배출레버의 추축이동과 함께 상기 배출방향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배출레버의 추축이동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누름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제 2누름부에 의해 눌려 상기 배출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상기 제 2누름부에 의해 눌리는데 인가됨으로서 추축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배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배출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의 하류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출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가세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딩방향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위치의 하류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출방향에 대향하는 로딩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가세하는데 적합한 토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를 결합하는데 적합한 디스크 결합부를 가지는 척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척킹부는 상기 디스크 결합부가 상기 디스크와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배출레버를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하는데 인가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추축으로 이동되므로서, 상기 조작부의 상기 일부가 상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추축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배출기구.
KR1020000035737A 1999-06-30 2000-06-27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디스크 배출 기구 KR20010007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6817A JP2001014765A (ja) 1999-06-30 1999-06-30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ディスクイジェクト機構
JP99-186817 1999-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542A true KR20010007542A (ko) 2001-01-26

Family

ID=1619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737A KR20010007542A (ko) 1999-06-30 2000-06-27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디스크 배출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03724B1 (ko)
JP (1) JP2001014765A (ko)
KR (1) KR20010007542A (ko)
CN (2) CN1179341C (ko)
MY (1) MY133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2322U (en) * 2003-04-02 2004-01-11 Lite On It Corp Disk fixing device for optical disk drive
US20060070093A1 (en) * 2004-09-30 2006-03-30 Joy Mangano Combination candle centerpiece and side loading music CD player
WO2010070916A1 (ja) * 2008-12-18 2010-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再生表示装置
KR101806359B1 (ko) * 2012-01-11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노출형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2337B (en) * 1979-09-17 1984-07-25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disc loading mechnism
US5586094A (en) * 1994-07-28 1996-12-17 P&P Market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optical disc with grooved opposing disc transfer arms
EP1333437B1 (en) * 1997-01-31 2006-03-22 CLARION Co., Ltd. Disk apparatus and disk holder for use in the same
KR100238302B1 (ko) * 1997-07-14 2000-01-15 윤종용 디스크플레이어
JPH11312351A (ja) * 1998-04-28 1999-11-09 Sony Corp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14765A (ja) 2001-01-19
US6603724B1 (en) 2003-08-05
MY133402A (en) 2007-11-30
CN1179341C (zh) 2004-12-08
CN1279474A (zh) 2001-01-10
CN1545089A (zh)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4978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US20050180046A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JP362004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410707B1 (ko) 기록매체의로딩장치및기록재생장치
KR20010007542A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로딩 기구 및디스크 배출 기구
JPH10283706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523421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自動引込み装置
JPH11312351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11162068A (ja) ディスク装置
KR970002866B1 (ko) 자기 디스크 로딩 장치
JP367407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3799712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38542B2 (ko)
JP3591093B2 (ja) 記録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147841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268688B2 (ja) 記録再生装置
JP357269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2878087B2 (ja) ディスク装置
JP3752764B2 (ja) 記録媒体ローディング機構
JP3692576B2 (ja) 記録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4250789B2 (ja) 磁気ヘッドの昇降制御装置
JP3546868B2 (ja) ディスク装置
JP341549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526780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123454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