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889A -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889A
KR20000075889A KR1019997007968A KR19997007968A KR20000075889A KR 20000075889 A KR20000075889 A KR 20000075889A KR 1019997007968 A KR1019997007968 A KR 1019997007968A KR 19997007968 A KR19997007968 A KR 19997007968A KR 20000075889 A KR20000075889 A KR 2000007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diaphragm
stiffness
flexural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마헨리
칼럼스마틴
해리스닐
Original Assignee
에이지마, 헨리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마, 헨리,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지마, 헨리
Publication of KR2000007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장치는 두께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적절한 조작 음향주파수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는 음향작용과 일치한 표면에서의 본래 굴곡파진동의 공진모드 공간분포에 의해 음향작용을 일으키는 굴곡파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한다. 굴곡강성도변화를 포함한 강성도 공간분포는 부적절한 부재로부터 굴곡파 트랜스듀서에 적절한 위치를 얻고 또한 우수한 공진식 음향작용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질량중심과 기하중심에서 피스톤형 구동 및 굴곡파여자의 복합작용을 하는 부재를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음향장치 {ACOUSTIC DEVICE}
공동 국제출원 GB96/02145에서는 부재의 엣지까지 연장되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두께의 음향조작면적에서 굴곡파를 통해 입력진동에너지를 유지 및 전달할 수 있는 음향패널부재의 성질, 구조 및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개시했다. 특히 상기 면적을 관통/통과하는 부등방성 굽힘강도가 있거나 없어 주변공기와 음향결합하기에 바람직한 상기면적 전반에 분포된 공진형 진동기소를 구비하고; 또한 음향 트랜스듀서 수단 특히 상기 면적내의 음향진동반응 및 특히 전기신호에 관련하여 효과적인 작동 혹은 이동부품에서 상기 면적내의 진동반응의 음향크기에 대응하는 결정적인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한 각종 특이성 패널구성도 분석하였다. 또한 어떤 공간이나 실내에 잔향을 남기거나 음향여과 혹은 음향 "보이싱" 처리하기 위해 트랜스듀서 수단이 없는 "수동"음향장치; 또한 사운드로 변환될 입력신호를 공급했을 때 소리공급원인 광역대 확성기와 또한 다른 신호로 변환될 사운드에 노출되었을 때의 마이크로폰 등에 포함된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부착한 "활동"음향장치 등의 부재에 관한 PCT 출원에서도 그 용도를 찾을 수 있다.
UK 특허출원 (P.5840)은 음향장치 등에서의 패널부재를 위한 굴곡파 트랜스듀서 수단의 기하형태나 위치에 대한 정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기계적 임피던스 특성을 이용하는 것에 고나계한다. 상기 출원 및 PCT출원의 내용을 본 발명의 이해을 위해 참고한다.
이 발명은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시행되고 또한 굴곡파작용과 피스톤작용을 만족하게 조합시킬 수 있는 패널부재를 이용하는 확성기 형태의 활동음향장치 (또한 하기하는 분배식 음향라디에이터/공진패널이라고도 한다)에 관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대해 더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측면이 발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1차로, 본 발명은 패널부재내 굴곡파 작용에 관계하여 특히, 상기의 PCT 및 UK 특허출원에서 발표한 것과 상이한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에서의 실현위치 즉, 상기 PCT 출원에서, 특히 오프셋이 아닌 물체중심 및 기하위치를 포함하여 다른 부분을 제공할 수 있는 활동 음향장치에 관계한다.
2차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 혹은 기하형태라해도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유효한 분포의 공진식 진동을 제공하는 패널부재내의 굴곡파 작용에 따른 음향장치에 관계한다.
3차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의 내용에서 유리한 장점으로 소개된 것과 다른 구성 및 기하형태의 패널부재에서 유효한 분포의 공진식 진동을 제공하는 패널부재내의 굴곡파 작용에 따른 음향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유효한 구체예는 음향조작을 위해 상기의 고유한 공간분포된 음향굴곡파 작용을 간단히 여자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과 대체로 유사한 음향기능효과의 공진식 진동기소의 공간분포를 제공하는 고유기능을 가진 패널부재를 사용하며; 보통 다른 특정구조 등의 규정에 따라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에서와 같이 고유의 패널부재내 진동을 선택적으로 억제 혹은 발생시키거나 또는 각종 주파수범위를 제공할 경우, 이러한 고유분포의 공진식 작용이 특정한 설계요건에 따르지않아 사실상 트랜스듀서 수단의 기하형태나 위치에 대해 부적합한패널부재에서 다른 음향작용을 변형시키는 방법은 쓰지않는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방법과 수단은 굴곡파 작용 및 원하는 음향조작에 관련하여 음향활성적인 패널부재의 적어도 일부면적에서 강도변화의 공간분포를 수반한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각 위치에 상기 PCT 및 UK출원에서 기술한 위치로부터 트랜스듀서수단이 변위하는 것과 직접관련하거나 혹은, 부적절한 구성 혹은 기하형태의 패널부재를 굴곡파 작용에 따른 공진식 진동의 공간분포, 또는 굴곡강도의 다양한 공간분포나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위치, 아니면 이 두가지 모두가 원인이되어 다소 상이한 실제의 공진식분포를 수반한 음향조작에 바람직한 구성이나 기하형태에 더욱 가깝게 만들수도 있다.
상기 PCT출원의 내용을 패널부재 전체 혹은 일부인 음향작용범위에 걸쳐 2개좌표 방향으로 혹은 이 좌표대로 분해할 수 있고 크기가 일정한 여러방향의 굴곡강도를 가진 패널부재에 대해 연장적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구현예에서 바람직한 패널부재는 표준좌표로 일정하게 분해할 수 없거나 임의의 방향에 놓인 작용범위에서 특정한 방향을 따라 굴곡강도의 변화가 생긴다.
굴곡강도의 공간변화는 따라서 음향패널부재의 두께 변화로 쉽게 달성할 수 있으나 그 밖에도, 샌드위치형 구조물의 스킨이나 또는 보탕 합성재질로된 단일구조의 보강재의 두께와 밀도 혹은 인장강도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패널부재에 있어서, 통상의 분석실험으로는 음향 공진식 진동의 실제공간분포 변화를 정확하게 또한 완전하게 확인정량화하는 연구가 거의 불가능하며, -상기 PCT출원에서 특정한 등방성 혹은 부등방성 구체예에서 해당방향으로 유사한 기하형태 및 평균강도를 가진 경우라도- 현재 굴곡파 작용을 수반한 음향기능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지 못하거나 큰 장애가 생기면 이것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의 기본 구성/기하형태는 (공진식 진동의 공간분포상에서), 상기한 관점에서 2개군이 매우 유용한 정도까지 유지될 수 있다.
1군은 이미 예시한 바와 같이, 특히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 내용과 같은 등방성 혹은 비등방성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 나타난 구성 혹은 기하형태를 가진 음향작용 패널부재내의 트랜스듀서수단에 더욱 적절한 위치를 제공하며, 이것은 트랜스듀서수단의 "본래"위치를 (상기 출원에서) 한편에서 다른편으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굴곡강도에 의해 혹은 상기의 본래위치에 의해 구현되는 특정위치까지 변위시켜 얻는 것이다. 더 큰 굴곡강도의 구역은 상기의 본래위치를 이동시켜 이 구역으로부터, 보통은 한편에서 다른편으로 벗어나게 하거나 혹은 굴곡강도가 더 작은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 굴곡강도가 더 작은 구역은 본래구역으로 이동한다. 다른군은 상기 PCT출원 및 UK출원에서와 같이 우수한 분포방식의 음향조작에 특별히 바람직하지 않은 더큰 전체 패널부재 기하형태의 적어도 개념적인 준-기하형태를 형성하는데 부분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 이러한 준-기하형태는 불완전하며 그 자체로서는 특별히 중요치않으나 분포된 음향조작에 대한 효과가 우수한 부분정의는 상기한 장점을 달성하지못할 경우 특정한 장점을 가진 구성이나 기하형태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개선효과는 부분적으로 저주파수에서 공진방식을 분포시키는 것이나 더 큰 주파수의 굴곡파 작용 및 공진식 분포를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즉, 고주파수 공진식 진동분포가 부분 준-기하형태를 지나치게된다.
원하는 굴곡강도 패널부재의 공간변화를 쉽게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의 PCT 및 UK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코어어층은 균일한 등방성 혹은 비등방성 구조로 되고 코어층을 감싸는 스킨층을 가진 샌드위치형 구도도 포함한다. 두께변화는 강도의 공간분포를 원하는 형태로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값이다. 발포재같은 변형재의 경우, 이러한 두께변화는 선별압축하거나 분쇄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달성한다. 즉, 가열제어 및 원하는 프로파일에 맞게 압력을 가하며 스킨층을 형성한 뒤에도 실행할 수 있다 (스킨층 재료의 스트레치 특성에 따라). 또한 특히 등급별로 국소강화나 약화처리한 부재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드로우셀 혹은 벌집형 재료 즉, 궁극의 샌드위치형구조물의 스킨에서 스킨까지 연장되는 셀의 사각형체나 또는 부서지지않는 합성재로된 견고한 형상물에서, 원하는 두께의 형상/프로파일을 선택하면 두께변화는 쉽게 달성할 수 있다. 기하중심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지는 않으나 분쇄 아닌 스키밍처리시 질량중심이 변화하게된다. 또한 이와 별도로 기존의 코어에서 두께/강도변화를 조사하면, 이것은 질량중심의 변화가 없으므로 피스톤작용 및 굴곡파 작용을 조합하는 트랜스듀서수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작용은 트랜스듀서 위치 및 불균형 공기압 영향에 의한 질량분포에 기인한 미분모먼트를 피할 목적으로 질량중심 및 기하중심과 동심상에 위치할 경우 가장이상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질량중심은 물론 기하중심에 따라 쉽게 위치변경되며 원하는 강도의 공간분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질량을 패널부재에 선택부가하면 된다. 즉, 고주파수 음향작용에서 벗어나지 않고 저주파수 굴곡파 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질량 다시말해서, 음향작용에 영향을 미치지않을 정도도 소량으로 패널의 공동에 적절히 장착된 소중량의 물체를 말한다.
트랜스듀서 위치수단에 있어서 '본래'위치의 한편에서 다른편으로 벗어나는 한방향으로 강도가 증가하면, 또는 대향방향으로 강도가 감소하면, 상기 한방향에서 기하중심을 향하는 트랜스듀서 수단의 위치가 된다. 강도증가/감소는 패널부재의 형태 때문에 두께/강도 증가가 패널부재의 엣지로 가면서 감소하거나 혹은 두께/강도 감소가 더욱 가속화되며 따라서 패널부재가 균일한 엣지두께를 가지게된다.
이외에도, 1군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징은 굴곡파 작용 혹은 피스톤작용 등에 관계없이 음향 트랜스듀서수단의 위치가 동심상에 있다해도, 패널부재의 질량중심 혹은 기하중심과 동심상에 있지않은 음향작용범위에서 굴곡강도의 분포와 함께 음향굴곡파 작용이 가능한 패널부재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패널부재의 강도 공간분포가 중심상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2가지 방식이 있으며, 그중 하나는 질량중심을 결정하는것으로서 강도의 제1모먼트를 0으로 설정하고 비교적 고강도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강도의 "고중심" 이라고 한다); 또다른 하나는, 강도의 역에 대한 제1모먼트를 0으로 설정하고 이는 저강도에 해당한다 ("저중심"이라고 한다). 상기 PCT출원에서 분석한 등방성 혹은 비등방성의 패널부재에서, 강도의 "고중심" 및 "저중심"은 사실상 동심형이며 보통 질량중심 및 기하중심과 동심상에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강도분포로된 패널부재의 경우 "고중심"과 "저중심"은 서로 구별되며 질량중심 혹은 기하중심으로부터 멀리있다.
굴곡파 작용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유효위치(상기 PCT 및 UK출원의 내용과 분석에서 밝혀진 위치로부터)의 유효 혹은 이론적변위 (바람직한 강도분포에 의해)에서, 상기의 변위는 강도의 "저중심"방향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이론적 변위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거나 혹은, 상응한 분포에서 굴곡강도를 변화시킬 구조설계상의 기준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강도의 "고중심"방향에서 멀어진다. 상기 "저중심"에서 문제의 패널부재 엣지 방향으로 굴곡강도의 변화가 일어나고 보통은 "고중심" 쪽으로 여러방향에서의 다양한 크기와 속도로 강도가 증가한다.
벌집형 코어의 샌드위치형 구조물은 변화된 개별 셀 기하형태 때문에 원하는 강도분포를 가질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며 분포와 질량중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원하는 강도의 공간분포는 임의의 셀 단면적(아니면 형상), 셀높이(유효한 코어두께) 및 셀벽두께 등의 변화에 따르며 진행도는 원하는 정도의 증가/감소에 의존한다. 질량분포에 지장없이 굴곡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이론적인 동일한 셀면적에 대한 셀벽두께와 셀높이 또한 셀벽두께에 대한 셀면적과 셀높이를 변화시키면 가능하며 또한, 플라이층의 수와 특성의 변화를 포함한 스킨변화에 의해 증가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부재에서 겉보기 혹은 실제 굴곡파에 관하여 패널엣지에 대한 전이시간의 최소 및 최대 확산 측면에서 보통 대향하는 가장 효율적인 구동위치 및 강도의 "저중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도의 "저중심"과 트랜스듀서위치로부터 시작한다고 판단된다.
상술한 두 번째 측면에서, 강도분포를 갖는 패널부재 ("편심"이라고 한다)는 상기 패널이 특정한 형상 (즉 구성이나 기하형태)으로 되어 공지기술로는 특정한 형상에 대해 달성할 수 없었던 효율적인 음향 굴곡파 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응용가능하다.; 또한 공지의 적절한 형상에 관계된 부적절한 형상 뿐만아니라 이것과 무관하고 적어도 적절한 형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형상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실제로, 본 발명은 굴곡파 음향작용이 가능한 비정형 패널부재에서도 굴곡강도의 물리적으로 실현가능한 공간분포와, 상기의 작용에 적절한 분포의 공진특성을 부여하고 또한 이상적이라고 알려진 목표형상에 기준하지않은 때라도 굴곡파 작용 트랜스듀서수단에 특히 효율적인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절차는 시행착오를 거쳐 공간강도분포처럼 실험적으로 결정해야하나, "저중심"과 "고중심" 강도를 제공하는 점에 있어서 유한요소법 등을 이용해 분석해도 도움이 된다. 이것은 분석가능 여부를 떠나 공간강도분포 내에서 트랜스듀서수단에 적합한 위치에서 양성(접근/인력)효과 및 음성(멀어짐/척력)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에 있어서, 특정의 패널부재 기하형태 및 구조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진 것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는 구성 혹은 변형방법을 찾으면 유리하다. 대체로, 이것은 특히 성공적인 공간강도분포와 트랜스듀서 구동위치 같은 패널기하형태에서 구조의 세부사항을 표시하기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접근방식에서는 트랜스듀서 위치에 관심을 집중했다...목표기하형태로 원하는 구성의 패널부재와 또한 바람직하다고 공지되고 세부분석을 쉽게 행할 수 있는 대상기하형태의 패널부재로 가정하는 방법을 통해서, 원하는 목표 트랜스듀서위치가 대상기하형태의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트랜스듀서위치와 동심상에 놓이게된다. 따라서, 굴곡강도매핑 작업을 통해 목표 및 대상 기하형태의 동심상의 트랜스듀서위치에 상응하는 어떤 선택구성에서도 패널구조의 공지된/쉽게 분석가능한 굴곡강도를 목표기하형태에 대응한 변형에 적용하여 대상기하형태 내에서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교강도분포 및 목표기하형태 내에서의 음향굴곡파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목표 및 대상 기하형태의 엣지나 이것을 관통하는 동심형 트랜스듀서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라인을 포함한다 (굴곡파 전달/횡단 이라고 한다). 목표 및 대상 기하형태내 동일 구성라인의 상대길이에 따라 변형태가 달라지며 목표와 대상 기하형태의 엣지에 대해 상기 라인길이의 제3 및 4 파워를 수반한 비례성 변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단위면적(μ)당 굴곡강도(B)와 질량 즉, B/μ과 같이 적절한 관계가 동반된다. 관련된 대상기하형태보다 더 작은 목표기하형태에 대하여, 더 자연스럽고 중복에 적합하여 전자에 대한 후자의 잉여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변환처리과정의 극소화가 수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태의 목표 및 대상형태가 바람직하거나 또는 부적절한 목표기하형태에 가장 근접한 적절한 대상기하형태인 것에 반해, 목표기하형태는 공지의 이상적인 구성/구조형태와 상당히 다른 것이 현실적으로 나타났다.
공간굴곡강도와 등방성이고 연구 및 분석을 거친 상기 PCT출원의 패널은 대상 기하형태/구조의 출발점이 된다. 실제로, 전위값을 가진 또다른 구조/변환접근에서 (현재 통용의) 트랜스듀서위치가 대상기하형태/구조내에서 각면으로 굴곡강도를 분할하는 방식에 따라 목표기하형태/구조에 조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더,각종 기하형태에서 뿐만아니라, 굴곡강도분포 같은 한가지 종류의 목표기하형태에서, 실제로 주어진 기하형태/구성 (즉,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은 크게 저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 공진식 진동의 실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을 경우 다른 기하형태/구성을 모방하는 유사 혹은 관련 매핑처리도식을 이용할 수 있다.
피스톤형 및 굴곡파형 작용의 확성기부재에서, 질량 및 기하중심을 가진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의 동심성은 특히 한 위치에서 단일 트랜스듀서장치가 피스톤구동 및 굴곡파여자를 조합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피스톤작용만을 위한 1개의 트랜스듀서를 질량/기하중심의 동심상에 사용하고 다른 트랜스듀서는 굴곡파작용만을 위해 적절히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이때는 질량을 부가하여 (원하는 굴곡강도분포와 공동으로 부여할 수 없을 경우) 질량평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흥미를 끄는 것은, 피스톤식작용과 좀 떨어진 위치에서의 굴곡파작용을 모두 제공하는 단일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굴곡파 트랜스듀서 위치에 의해 (즉, 적절한 트랜스듀서구성에 의해) 간격두기가 가능하거나 혹은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의 응용업싱 발생할 때 유지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응용할 때 기하중심 또는 트랜스듀서 위치 등으로부터 변위된 질량중심을 가진 질량분포를 포함하기도 한다. 실제로, 굴곡강도와 질량의 변형은 적어도 패널부재의 음향조작범위에서 굴곡강도와 질량이 다양한 방식과 분포로 변화할 수 있으며 보통은, 여기서와 다른 특정방향으로 점차 변화한다. 또한 질량의 기하중심에 대해 비대칭인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PCT출원에서 보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면에서 섀시, 섀시에 지지된 트랜스듀서, 트랜스듀서에 구동결합한 강성 경량패널 다이어프램, 또한 다이어프램 주변을 감싸고 섀시속에 다이어프램을 장착하는 탄성엣지 서스펜션으로 구성된 확성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이때의 트랜스듀서는 비교적 저 오디오주파수에서 피스톤식으로 다이어프램을 구동시켜 오디오출력을 발생하고 또한 고 오디오주파수에서 굴곡파작용으로 다이어프램을 진동공진시켜 오디오출력을 발생하도록 조립한다. 이 조립체에서 트랜스듀서는 다이어프램의 질량중심/기하중심에 결합되고 다이어프램은 음향효과적인 공진작용을 하도록 변형을 포함한 굴곡강도 분포를 가진다 (질량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중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은 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트랜스듀서는 다이어프램의 기하중심에 결합되어있다. 다이어프램은 마주보는 스킨사이에 삽입된 경량의 셀형코어를 포함하며 스킨중 하나는 다이어프램의 엣지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스킨의 끝부분은 탄성서스펜션에 부착된다.
트랜스듀서는 전자기식이며 코일형성기에 장착된 이동식코일을 포함하고 코일형성기는 다이어프램에 구동식연결된다. 제2 탄성서스펜션은 코일형성기와 섀시사이에 연결된다. 코일형성기의 한쪽 말단은 다이어프램에, 또한 상기의 제2 탄성서스펜션은 코일형성기의 상기 말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3 탄성서스펜션은 코일형성기의 다른편 말단과 섀시 사이에 연결된다.
패널 다이어프램에 인접한 코일형성기의 말단은 패널 다이어프램을 한점에서 구동시키도록 결합된다. 원추형수단을 코일형성기와 패널 다이어프램 사이에 연결하여 이 목적을 달성한다.
코일형성기는 딱딱한 섹션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갈라진 유연한 섹션으로 포함하며 이것이 다이어프램을 피스톤식으로 구동시키고 편심 공진구동력을 다이어프램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술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또는 피스톤식 구동되고, 진동공진하는 강성 경량패널 확성기 구동유닛 다이어프램으로서, 다이어프램에 이것의 기하중심에 위치한 질량중심 및 또한 질량중심으로부터 분기된 강성도중심을 갖는다.
다음의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대해 더욱 상세히 도시 및 기술한다.
본 발명은 굴곡파에 의해 음향반응할 수 있으며 확성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음향장치에 관계한다.
도 1은 도 1(a)-(d)가 함께 변형코어재를 압축하거나 또는 코어나 합성재를 프로파일링하여 달성한 음향패널부재의 굴곡파 트랜스듀서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3개의 개략단면도.
도 2a, b, c는 타원형 음향패널부재의 개략 전체평면도 및 핵심단면도.
도 3a, b, c는 또다른 타원형 패널부재의 상기와 유사한 개략 전체평면도 및 핵심단면도.
도 4a, b, c는 부분타원형 홈/슬롯화로 더욱 적절한 원형상의 음향패널부재와 상기의 홈/슬롯화 처리를 하거나 하지않은 모델분포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5a, b, c는 직사각형 패널부재의 목표기하형태에 대한 강성도분포를 유도하는 매핑/구성/변환과 또한 그 결과의 단면/프로파일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다이어그램.
도 6a, b, c는 도5의 방법학에 따른 윤곽선그래프.
도 7a, b는 본 발명의 확성기 구동유닛의 한 구현체에 관한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8a, b는 또다른 확성기 구동유닛과 그 변형의 측단면도.
도 9a, b는 또다른 확성기 구동유닛과 그 변형의 측단면도.
도 10a, b는 피스톤작용 및 굴곡파작용을 응용할 확성기 구동커플링 혹은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다이어프램/패널부재에 장착한 세부도.
도 11a, b는 상기의 작용과 교차시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a)에서 직사각형 음향분포방식 패널부재(10A)는 상기 PCT 및 UK출원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하중심(12)에 떨어진 곳에 대각선(11)으로 표시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본래"위치(13)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응용에서, 트랜스듀서위치(13)는 패널부재(10A)의 기하중심(12)에 있고 이는 실선(15)을 따라 변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패널부재의 굴곡강도의 적절한 공간분포에 의해 달성된다. 그결과, 굴곡강성도는 기하중심(12)의 한면(도 1(a)의 우측면)과 반대측면(도 1(c)의 좌측면)에서 또한, 라인(15)측의 반대방향에서와 이것의 직선연장부(15G) 및(15L) 각각에 있는 "본래" 트랜스듀서위치(13)에서 상대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한다.
도 1(b)는 연장부(15G)와 (15L)을 포함한 라인(15) 상의 윤곽부로서 도 1(a)과 동일한 상태 즉 분포식 패널부재(10B)에 기하중심(12B)으로부터 떨어진 "본래" 트랜스듀서위치(13B)를 나타내며 사영선 (12P)(13P)를 참조한다. 도 1(b)는 패널부재(10B)의 실제구조에 대한 상세설명은 포함하지 않으며; 외곽실선(16X,Y)와 같이 단일체 형태나, 내측점선(17X,Y)과 같이 내부코어(18)에 스킨이 결합된 샌드위치형 대안체, 통상의 발포체나 벌집형 관통체 등을 나타낸다.
도 1(c)는 특히 도 1(c)에서 가상한 분포식 음향패널부재에 적합한 각종 발포재로 되어 변형가능하고 특히, 더 작은 두께로 부서질 수 있는 압축성재질의 코어(18C)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코어(18C)의 두께가 도 1(c)에서 보듯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감소하므로 부서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의 셀은 원형의 오픈상태에서(19X) 편평해지는(19Y) 상태로 변한다. 물론, 이러한 셀은 반드시 크기가 비슷하거나 일반적인 배열로 되고 혹은 최대두께에서 원형으로 오픈된 상태일 필요가 없다 (부분압축된 발포형태의 발포재가 적절하다). 코어(18C)는 대향하는 스킨(17A,B)와 함께 도시된다. 정상인 경우에도 스킨(17A,B)상에 결합되기 전 원하는 프로파일로 변형할 수 있으나, 스킨(17A,B)과 함께 압축변형되지 않았을 경우 패널부재(10C)가 분포식 음향작용에 적합하다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코어(18C)와 패널부재(10C)의 두께증감은 굴곡강성도의 증감에 상응한다.; 또한 지적된 강도전개 프로파일 및 강성도는 변화시 기하중심(12C)과 트랜스듀서 위치(13C)의 동심화를 가져온다. 화살표(13S)와 원안의 (12C), (13C)를 참조한다. 파쇄변형은 열저항이 수반되며 적절한 프로파일의 압력판을 이용한다. 패널부재(10C)의 질량중심에는 변화없으며 예컨대, 질량중심은 기하중심(12C)와 동심상에 있고 또한 트랜스듀서 위치(13C)와도 동심상에 있다.
코어밀도의 기여도가 낮을 때, 즉, 굴곡강성도가 우세할 때, 코어질량기여의 선형변수를 무시하고 적절한 공간두께분포를 달성할 수 있다...고분자 발포체 혹은 조직된 벌집 샌드위치형 또는 단일형태의 등방성코어의 두께를 성형하여 원하는 공간두게분포를 달성하고; 또한 그러한 구조를 조직가공 혹은 성형주조할 수 있다.
도 1(d) 는 저면의 점진적감소가 수반된 분포식 음향패널부재(10D)를 보여주며 이것은 두께는 도 1(c) 와 유사한 프로파일로 감소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동일한 효과 즉, 트랜스듀서 위치(13D)가 기하중심(12D)과 동심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효과에 대해 다소 상이하며 예컨대 패널부재(10D)에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상이하다. 어떤 재료는 단일형 보강합성재 혹은 스킨부착된 코어 등 전형적인 형태로서 스킨사이에 걸친 관통셀을 가진 벌집형구조를 포함한다. 도 1(d)의 발포셀형태(19Z)는 선택에 따라 분쇄되거나 분쇄에 부적절한 발포재를 사용한 것에 관계한다; 그러나, 밀도상에 큰 변화는 없음을 가리키는 정도에 불과한다. 물론, 화살표(CM)의 방향으로 기하중심에서 떨어지는 등 질량분포와 패널부재의 질량중심 상의 변화가 생긴다. 기하중심(12D)과 질량중심 전체의 동심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패널부재(10D)는 블라인드 호올(23) 속에 위치한 평형물(22)을 가진 것으로서 기계적 혹은 접착고정한 부쉬나 슬리이브 속에 준탄성수단(24)에 의해 부착되며 관성압축기는 적절한 진동분포의 고주파수에서 패널부재(10D)로부터 점차 탈착된다. 1개이상의 평형물(22)은 연장선(15L)을 통과하여 180 °미만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행렬화되어있고 또한 동일한 질량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라인(15L)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질량이 감소한다.
간단히 말해서, 더 복잡한 경사가 정상이라해도, 공통의 동일엣지 두께를 포함하여 1B의 부분을 통과하면서 두께가 경사화하거나 또는 라인(15-15G)에서 벗어나 점차 감소한다(L). 크기에 대한 굴곡주파수의 기하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임의의 형상에서, 크기가 증가하면 진동의 기본주파수가 감소하거나 그 반대이다. 트랜스듀서위치의 이동효과는 이동방향의 굴곡에 대한 패널크기를 축소하는 것과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a-c와 3a-c에 있어서, 패널부재는 모두 대체로 타원형이며 (20A)와 (30A)이 등방성이고 기하중심(25) 및 질량중심(35)에서 동심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체 패널 기하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 강성도분포는 "고중심"(강성도) 또는 "저중심"(연성도 혹은 유연성) 에 관하여 (25), (35)에서 중심화한다. 덧붙여서, 도 2a와 3a는 확성기와 같이 패널부재(20A),(30A)의 공진식 음향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작하거나 굴곡파작용에 대해 가장 바람직한 위치(26),(36)을 보여준다.
도 2b, c 및 3b, c에 있어서, 패널(10B), (20B)와 (30B)의 중심위치는 각각 (25), (26) 및 (35)로 표시하며, (36)은 기하중심과 질량중심(25, 35) 양쪽에 관계하나 현재는 역시 음향효과적인 굴곡파 트랜스듀서 위치(26),(36)에 대응한다. 도 2a, 3a에 비교하여, 트랜스듀서위치(26),(36)는 굴곡강성도의 분포에 의해 효과적으로 변위했으며 강성도의 "고"중심과 "저"중심의 변위는 대체로 기하중심(25),(35)에 대해 대향하는 (27),(28) 및 (37)로 표시된다. 이 상이한 비대칭 강성도분포는 특히 이들의 높이 결국, 패널부재의 두께(20A),(30A)와 이들의 면적과 밀도(도 3b,c 참조)에서처럼 셀(29),(39)에 대한 점진적 변화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 혹은, 밀도(도 2b, c를 참조)를 제외한 이들의 면적과 벽두께의 경우 질량분포의 큰 변화없이 바람직한 강성도분포를 달성하고 이에따라 질량중심은 기하중심과 트랜스듀서 위치 양측과 동심상에 있다 (25, 26; 35, 36).
강성도와 계속해서 면적분포 변화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은 비평면식 형성 즉, 굴곡이나 곡선 등을 도입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방식에 강성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혹은 도 1(a)의 연장선(15G),(L)를 따라 표면상에 홈이나 슬롯 또는 새김눈을 만들어 강성도를 감소시키거나 이 강성도를 크게하는 리브형성을 줄이는 것이다. (도면에는 없으나 유한요소법 등을 컴퓨터연산가능함).
도 4a는 특히 여자하는 트랜스듀서수단의 중심위치를 가진 분포식 음향패널부재로서 부적절하다고 알려진 원형구성이나 기하형태로된 음향패널부재(40)에 대한 분포식 굴곡파작용의 개선을 위해 내측면 홈파기, 금긋기 혹은 새김처리 등을 응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기존의 불충분한 성능은 특히 동심진동 패턴에 상응하고 당해 전문가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b의 모드형 주파수분포로 나타난다. 도 4c에서 나타낸 개선점은 적절한 타원체가 아니라도, 분포식 음향패널부재(도 2, 3 참조)와 같이 아주 우수한 구성/기하형태에 속하는 타원체의 일부(45)에 홈파기, 금긋기 혹은 새김처리하여 달성하였다. 그러나, 저주파수 모드작용에 대한 효과는 홈(45)의 열린말단을 지나쳐 연장할 수 있다. 홈(45)의 형상은 복합요소패턴화와 같이, 유한요소법으로 실현하며 이것은 일반적인 실행기술이다. 원형패널부재의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떨어져있는 아치형상체가 축소되고 유한요소법에 의해 쉽게 다듬어진다.
도 5a, 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목표(51A,B)와 대상(52A,B) 구성/기하형태와 유사한 구조와 변형을 가리킨다. 다양한 길이와 굴곡강성도에 따라 처리된 구성라인(53A,B)는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체에 적용할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5b의 방법은 특히 대상 구성/기하형태(52B)가 한쪽 모서리에서 연장된 부분에 의해 이 모서리에 위치한 목표 구성/기하형태(51B)로부터 효과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공지의 트랜스듀서 위치(54B) 및 분석된 등방성 형상체(52B)가 단순히 목표형상체(51B)의 기하중심과 동심상에 놓이게된다. 도 5c는 도 5b의 방법에 따라 목표형상체(51A)의 목표부재(50)를 통과하는 부분을 보여준다.
B/μ지수나 B 혹은 μ 변수값을 다른 상수와 함께 방사상으로(53B) 검사하고 또한 형상패널(52B)로부터 패널(51B)까지 수학적매핑처리 결과 상기 방향(53B)에서 굴곡강도가 스킨-코어 샌드위치형 패널이나 혹은 스킨이 없는 단일 고체형합성구조물인지에 따라 강성도분포를 길이의 4배 및 두께의 2배나 3배를 포함한 배율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b의 방식에서 길이매핑의 비례관계 측정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도 6b는 필요한 (목표)굴곡작용이 도 6a의 측정결과와 또한 물성 특히 길이의 4배(실선), 샌드위치형 구조의 두께(점선)의 1/4배, 또한 단일구조물의 두께(이음선)의 4/3배 등 강성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도시한다. 샌드위치형 구조물에서, 스킨강성도(장력강도)는 길이의 4배에 이른다.; 또한 스킨두께는 4/3배이다. 도 6c에서는 4각형 목표패널부재에서 3% 댐핑으로, 굴곡강성도 분포없이, 모드형 밀도매핑처리에 대해 도시한다. 상기 PCT출원에서는 대상 1.134:1면 등방성 패널부재에 대해 한면의 차이에 대해서만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4각형패널은 스킨변수들 특히 두께(h)와 영율(E)에 따라 굴곡강성도분포를 이용하여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와 7b에 있어서, 확성기 구동유닛은 쉘로우 원형바스켓이나 또는 구멍이난 외측돌출주변플랜지(71F)를 가진 접시형태로 형성한 개방프레임 형태의 섀시를 포함하며 이결과 구동유닛은 배플 (도면에 없음)에 종래방식대로 확성기 엔클로우저(도면에 없음) 등에 장착할 수 있다. 섀시(71)는 폴편(74A, B) 사이에 샌드위치삽입된 마그네트(73)을 포함하고 또한 모터의 구동결합 혹은 작동형 이동부재를 구성할 튜브형 코일(75) 형성기가 장착될 환형틈을 제공할 전동식 구동모터 형태의 트랜스듀서를 받쳐준다.
코일형성기는 탄성서스펜션(76A,B) 상에 설치하고 양측말단은 마그네트조립체의 틈새에서 축방향운동할 코일형성기(75)를 안내한다. 코일형성기(75)의 한쪽 말단은 결합체(77)를 이용하여, 확성기 구동유닛의 음향 라디에이터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고 또한 벌집형 재료로된 경량의 셀형코어(70C)를 앞 뒤 스킨(70F,R) 사이에 샌드위치삽입된 경량형 강성패널의 후면에 고정시킨다. 패널(70)은 대체로 질량중심과 동심성을 제공하는 굴곡강성도분포가 되며 기하중심에는 굴곡파 여자기위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를 참조하면, 프론트스킨은 주변/서스펜션과 효과적으로 작용하거나 원추체와 합칠 때 일반적인 원형상으로 된다. 후방 스킨은 직사각형을 선택하여 분포방식에 적합한 합성패널을 형성한다 (도 10a과 10b의 미분커플러로 직접 구동시킨다).
분포식 패널섹션을 간단히 중심구동시킬 때, 공간강성도 제어 등으로 선행모드식 분포에 따라 본 발명대로 상기의 패널섹션을 설계하면 모드형 구동점 혹은 구역을 기하형태 및 질량중심에 근접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형태의 드라이버구축 및 기하형태에서 고주파수에서의 우수한 모드형 구동 및 저주파수에서의 피스톤조작이 가능하다.
패널(70)의 프론트스킨(70F)이 패널의 엣지 아래로 연장하고 주변부를 섀시(71)의 지지를 받는 서스펜션(77) 또는 로울서라운드에 부착하여 패널이 자유 피스톤운동할 수 있게한다. 트랜스듀서(72)는 저주파수에서 패널(70)이 피스톤운동하고고주파수에서는 진동하여 패널에 굴곡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길이에서처럼 공진시킨다.
도 8a와 8b에서의 조립배열은 섀시(81)가 쉘로우어인 경우만 제외하고 모터(72)가 섀시(81) 외부에 있고 커플러/액추에이터 코일 형성기(85)가 변형 서스펜션(86)과 함께 섀시속으로 연장된다. 도 9b의 변형은 소형 네오디뮴 모터(82N)과 코일형성기(85)의 섹션별 엔드리덕션(85A)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9a와 9b의 조립배열은 도 8a 및 8b와 유사하나 코일형성기(95)의 연장말단(95A, B)가 2중 원추형섹션의 각각을 포함하는 것이 상이하며 이것의 첨두말단(95P)은 기하중심에서 경량 강성패널 다이어프램(90)의 후면에 부착된다.
도 10a, b는 세미-연성재료로된 경량의 강성패널(100)에 부착될 구동말단(107)의 주요 아치형 주변부(108)와, 또한 동일한 말단의 아아치형 주변부(109)가 있는 다이어프램 커플러/액추에이터(100), 편리하게는 구동모터(도면에 없음)의 코일형성기를 도시한다. 고주파수에서 커플러/액추에이터는 주변부(109)에 의해 굴곡파작용을 여자하며 따라서 커플러/액추에이터(105)의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패널(100)에 진동에너지를 여자시킨다. 세미-연성 때문에 주요 아치형 주변말단부(108)는 고주파수에서 사실상 정지상태가 된다. 따라서, 드라이브의 실제 동작위치는 동일방식 및 동일수단(105)으로 실시할 때라도 주파수에 따라 달라진다.
직접결합부와 세미-연성부의 간단한 도시에 따른 경우를 다수의 고정접점 및 더 복잡한 세미-연성조립배열에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즉, 2개이상의 분포식 패널부재 트랜스듀서 위치되 수반될 수 있다. 세미-연성부는 두께와 팽창성 측면에서 경사형 혹은 등급구분되거나 다수단계별로 구분되어 패널 음향성능 기준에 따라 계산된 결합강성도 등급화가 가능하므로, 커플러/액추에이터(105)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기하중심/질량중심에서 벗어난 굴곡파 트랜스듀서위치를 갖는 분포식 음향패널이나 혹은 공지의 PCT 및 UK출원의 트랜스듀서 위치에 적합한 패널 등에 관계없이 전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미분식 주파수커플러(105)는 전동식여자기에 사용된 통상의 모터코일을 가진다. 상기 커플러(105)는 예정치수나 직경의 별도기소이며 유사직경의 모터코일을 부착면 일부로서 응용하기에 적합하고 분포식 음향패널부재의 하나이상의 선구동 트랜스듀서 위치를 주파수응답이 분포식 음향패널 다이어프램부재(100)내 굴곡형 진동에 의해 발생할 때 강성말단부에서 여자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저주파수에서, 반-탄성부/인서어트(108)는 액추에이터/커플러(105)의 전체환경을 질량중심운동의 평형화에 적합하게 조성하는데 기여하며 따라서 저주파수에서 피스톤작용이 절절히 일어난다. 패널부재(100)의 기본굴곡주파수와 커플러/액추에이터부(108)의 탄성은 음향력을 피스톤형에서 굴곡진동부위의 주파수범위로 적절히 유연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또한 부품(108)의 복수단계식 이동 혹은 (108A)에서와 같은 경사식 이동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커플러(108)의 조작은 교차부를 포함하여 음향패널에 가해진 속도변화의 윤곽을 그린 도 11a를 참조한다. 저주파수에서 세미-연성부(108)는 평형화한 피스톤방식으로 패널부재(100)에 동력을 제공한다. 피스톤작용은 진동형 패널부재(100)의 기계적임피던스를 예상할 때 또한 편심위치에서 여자될 때 주파수증가시 감퇴한다. 따라서, 고주파수에서의 실질적인 속도기여는 커플러의 강성오프셋 섹터에서 일어난다.
도 11b는 또한 피스톤 드라이브의 변위 및 주파수에 따른 분포식 여자위치를 보여준다. 저주파수에서 피스톤구동점은 질량중심으로 예상된다. 주파수 증가시 굴곡파 여자위치는 중심에서 벗어나 이동하며 패널형태, 또한 복합커플러/액추에이터 직경 및 부품의 기하형태를 적절히 선택하여 진동식일 때의 적절한 분포위치와 근접한 곳에서 구동하도록 배치한다.
상기의 도 7a, b에서,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은 직경이 150 내지 200mm이고 분포식 패널부재의 "본래의" 트랜스듀서 위치를 150Hz 내지 500Hz 범위에서 적절한 굴곡조작한다. 피스톤조작은 이보다 낮은 주파수 즉, 30Hz에서 적절한 음향장치에 대해 효과적이며 상한범위에서는 패널부재가 굴곡조작의 범위에 들어가므로 감소된다.
본 발명 커플러의 미분주파수는 분포식 음향패널부재를 사용하기 위한 정밀한 기능을 한다. 예컨대, 패널에서 주파수로 구동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소형 엔클로우져의 벽고정부에 인접한 경우 또한 응답변화환경에서 주파수제어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세미-연성부품 혹은 인서어트의 1개 이상의 등급 혹은 크기나 면??을 커플러 기하형태에 적절히 이용하여 주파수 모드패턴의 구동점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혹은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고 방사형태의 음향을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다.

Claims (52)

  1. 두께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적절한 조작 음향주파수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는 음향작용과 일치한 표면에서의 본래 굴곡파진동의 공진모드 공간분포에 의해 음향작용을 일으키는 굴곡파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한편 상기의 부재는 상기의 음향작용을 달성하기에 부적절한 기하형태나 구성으로되며, 또한 부재는 부재가 음향작용을 위한 공진모드의 공간분포에 더욱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만드는 것에 관계된 굴곡강성도변화를 포함한 굴곡강성도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부재는 음향작용을 일으킬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굴곡강성도 공간분포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3. 두께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적절한 조작 음향주파수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는 음향작용과 일치한 표면에서의 본래 굴곡파진동의 공진모드 분포에 의해 음향작용을 일으키는 굴곡파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부재는 음향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계된 굴곡강성도변화를 포함한 굴곡강성도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4. 두께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적어도 횡방향 연장부의 음향작용범위에서 굴곡파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한편 상기의 부재는 적절한 조작 음향주파수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는 음향작용과 일치한 상기범위에서의 본래 굴곡파진동의 공진모드 분포를 사전결정하는 굴곡강성도를 포함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상기 부재에서 공간분포를 갖는 굴곡강성도는 상기범위에서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계된 굴곡강성도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5. 제2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의 굴곡강성도 변화는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의 위치 각 측면에 대한 크고작은 굴곡강성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굴곡강성도 변화는 상기 부재의 기하중심이나 상기범위의 각 측면에 대한 크고작은 굴곡강성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의 굴곡강성도 변화는 상기의 측면에 대해 여러방향으로 높거나 낮은 가상중심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부재의 두께크기의 대소가 각각 굴곡강성도 분포의 강성도크기 대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변형재질 두께가 선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재질이 두께 감소를 위해 선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의 제조방법.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음향작용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는 또다른 추가질량을 선별제공하는 관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추가질량이 저주파수 음향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크기보다 작고 또한, 고주파수 음향작용을 위한 추가질량을 분리시키는데 효과적인 부재와 관계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3.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각 질량제공수단이 상기 부재의 질량중심을 위한 추가질량을 갖고 또한 상기 부재의 원하는 위치에 질량제공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는 상기부재의 기하중심과 동심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셀 구성벽을 가진 코어에 스킨이 있는 샌드위치형 구조로 되며 상기 벽은 상기 부재에 예정된 질량분포를 제공할 때 상기 스킨 사이의 두께를 변화시켜 연장하고 또한 다양한 단면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셀 구성벽을 가진 코어에 스킨이 있는 샌드위치형 구조로 되며 상기 벽은 상기 부재에 예정된 질량분포를 제공할 때 상기 스킨 사이의 두께를 변화시켜 연장하고 또한 다양한 두께의 셀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7. 제15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질량분포는 상기 부재나 범위의 기하중심에 중심을 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8.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강성도의 변화는 상기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국소원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원인은 약화홈, 슬롯 또는 틈새를 상기 부재에 제공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0. 제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강성도 분포의 국소변화는 상기부재의 약화홈, 슬롯 또는 틈새를 상기 부재에 제공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굴곡강성도 분포의 국소변화가 고주파수형 굴곡파의존성 진동을 국소변화보다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2.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스킨형 구조이고 굴곡강성도 변화에 스킨 파라미터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두께가 스킨 파라미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4. 제22항 또는 23항에 있어서,
    영의 모듈이 스킨 파라미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25. 음향장치용 패널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공진모드의 공간분포에 의해 바람직한 음향작용을 위해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로 되고, 또한 굴곡강성도 변화가 없을 때 겉보기위치로부터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한 실제위치의 변위에 따라 굴곡강성도의 공간분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의 변화는 적절한 실제위치와 상기 겉보기위치의 대향면에 대한 크고작은 굴곡강성도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패널부재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의 크고작은 굴곡강성도는 적절한 위치 및 겉보기위치를 통해 이론상의 직선 연장부를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2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변화를 포함한 굴곡강성도의 공간분포없이 공진모드의 공간분포에 의해 바람직한 음향작용을 위해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로 되고, 적합치않은 구성이나 기하형태의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을 위해 바람직한 실제위치 및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의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과 동심상에 중복될 때 상기의 적합치않은 구성이나 기하형태 및 적합한 기하형태 사이의 차이를 기준하고 또한 양측 구성이나 기하형태를 관통하는 방향 및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에서 굴곡강성도의 변형을 기준하여 굴곡강성도 변화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복위치는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에 완전포함된 부적합 구성이나 기하형태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29. 제27항 또는 28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복위치는 적합 및 부적합 구성이나 기하형태의 엣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30. 제27항, 28항 또는 29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합한 구성이나 기하형태는 실제의 부적합 구성이나 기하형태의 엣지로부터의 연장부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31. 제27항 내지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형은 부재의 샌드위치형 구조크고작은 굴곡강성도는 적절한 위치 및 겉보기위치를 통해 이론상의 직선 연장부를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32. 제25항 내지 31항 중 어느항에 따라 제조한 부재를 포함하는 음향장치.
  3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작용을 일으키는 굴곡파 트랜스듀서수단의 위치는 피스톤작용 음향 트랜스듀서수단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있고 굴곡파와 피스톤작용을 하는 음향 트랜스듀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향장치.
  35. 섀시, 상기 섀시에 의해 지지되는 트랜스듀서, 트랜스듀서에 구동결합된 경량의 강성패널 다이어프램, 또한 다이어프램을 둘러싸고 섀시속에 다이어프램을 고정하게된 탄성엣지 서스펜션을 포함하여된 확성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저 오디오주파수에서 피스톤식으로 다이어프램을 구동시켜 오디오출력을 발생하고 또한 고주파수에서 굴곡파로 다이어프램을 진동하여 공진시켜 오디오출력을 발생하도록 조립배열되며 이에따라 트랜스듀서는 질량중심이나 기하중심에 조작연결되고 또한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의 음향공진작용이 가능하도록하는 변화를 포함한 굴곡강성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원형 혹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37. 제35항 또는 36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양쪽 스킨 사이에 샌드위치된 경량의 셀형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중 하나는 다이어프램의 엣지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스킨의 말단부는 탄성서스펜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39. 제35항 내지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분포식 공진패널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0. 제35항 내지 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전자기식이며 코일형성기 상에 설치된 이동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형성기는 다이어프램에 조작식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성기와 섀시 사이에 연결된 제2 탄성서스펜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성기의 한 말단이 다이어프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탄성서스펜션이 상기 말단에 인접배치되며 또한 제3 탄성서스펜션은 코일형성기의 다른편 말단과 섀시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3. 제35항 내지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 다이어프램에 인접한 코일형성기의 말단이 한점에서 패널 다이어프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코일형성기와 패널 다이어프램 사이에 연결된 원추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45. 피스톤식으로 구동되고 또한 굴곡파로 공진할 수 있도록 진동되며, 또한 기하중심에 질량중심이 위치하고 질량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강성도분포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량형 강성패널 확성기 구동장치 다이어프램.
  46. 제35항 내지 4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확성기.
  47. 하나의 축상에 중심위치한 다이어프램을 피스톤식으로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에 편심형 공진여자를 발생시키는 오프셋연성 및 강성 구동커플링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액추에이터.
  48. 하나의 축상에 중심위치한 다이어프램을 저주파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성부품에 의해 피스톤식으로 구동시키고 또한 고주파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강성부품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에 편심형 공진여자를 발생시키는 오프셋연성 및 강성 구동커플링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액추에이터.
  49. 다이어프램을 저주파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성부품에 의해 피스톤식으로 구동시키고 또한 고주파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강성부품에 의해 분포식 음향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굴곡파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을 여자시키는 오프셋연성 및 강성 구동커플링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확성기 구동장치 액추에이터.
  50. 제47항, 48항 또는 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부품은 또한 피스톤구동에도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추에이터.
  51. 제47항 내지 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튜브형 부재의 말단주변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추에이터.
  52. 튜브형 부재가 다이어프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51항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된 확성기 구동장치.
KR1019997007968A 1997-03-04 1998-02-27 음향장치 KR20000075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4486.1 1997-03-04
GBGB9704486.1A GB9704486D0 (en) 1997-03-04 1997-03-04 Acoustic devices et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889A true KR20000075889A (ko) 2000-12-26

Family

ID=1080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968A KR20000075889A (ko) 1997-03-04 1998-02-27 음향장치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EP (2) EP1133212A3 (ko)
JP (1) JP2001513967A (ko)
KR (1) KR20000075889A (ko)
CN (1) CN1157999C (ko)
AR (1) AR011920A1 (ko)
AT (1) ATE231677T1 (ko)
AU (1) AU735051B2 (ko)
BG (1) BG103669A (ko)
BR (1) BR9808169A (ko)
CA (1) CA2283381A1 (ko)
CZ (1) CZ310299A3 (ko)
DE (1) DE69810905T2 (ko)
EA (1) EA002480B1 (ko)
EE (1) EE9900386A (ko)
ES (1) ES2191925T3 (ko)
GB (1) GB9704486D0 (ko)
GE (1) GEP20022748B (ko)
HK (1) HK1022398A1 (ko)
HU (1) HUP0002652A3 (ko)
ID (1) ID20143A (ko)
IL (1) IL131485A0 (ko)
NO (1) NO994288D0 (ko)
NZ (1) NZ336943A (ko)
PL (1) PL335366A1 (ko)
SK (1) SK119499A3 (ko)
TR (1) TR199902177T2 (ko)
TW (1) TW462199B (ko)
WO (1) WO1998039947A1 (ko)
YU (1) YU39599A (ko)
ZA (1) ZA9816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41B1 (ko) * 2007-01-31 2009-02-10 욘 싱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음향의 물리적 특성을 따르는 전대역 단일체 음향막을 갖는 음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6994D0 (en) * 1998-04-02 1998-06-03 New Transducers Ltd Acoustic device
GB9818959D0 (en) * 1998-09-02 1998-10-21 New Transducers Ltd Panelform loudspeaker
GB2360665B (en) * 1998-06-22 2003-01-15 Slab Technology Ltd Loudspeakers
RO121307B1 (ro) 1998-06-22 2007-02-28 Slab Technology Limited Difuzor audio
GB9903044D0 (en) * 1999-02-11 1999-03-3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US6839444B2 (en) 2000-11-30 2005-01-04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s
GB0029098D0 (en) * 2000-11-30 2001-01-10 New Transducers Ltd Vibration transducer
WO2002078391A2 (en) * 2001-03-23 2002-10-03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acoustic radiator
US7120263B2 (en) 2001-03-23 2006-10-10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acoustic radiator
US7002070B2 (en) 2001-06-22 2006-02-21 Shelley Katz Electronic piano
US7548854B2 (en) 2002-01-31 2009-06-16 Awi Licensing Company Architectural sound enhancement with pre-filtered masking sound
US7010143B2 (en) * 2002-08-22 2006-03-07 Tai-Yan Kam Rectangular panel-form loudspeaker and its radiating panel
CA2553744A1 (en) * 2003-01-22 2004-08-05 Shelley Katz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ound
WO2006011604A1 (ja) * 2004-07-30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ピーカ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284955B2 (en) 2006-02-07 2012-10-09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158337B2 (en) 2004-08-10 2018-12-18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848118B2 (en) 2004-08-10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1431312B2 (en) 2004-08-10 2022-08-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JP4779526B2 (ja) * 2005-09-15 2011-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ネルスピーカ
US10069471B2 (en) 2006-02-07 2018-09-0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701505B2 (en) 2006-02-07 2020-06-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11202161B2 (en) 2006-02-07 2021-12-1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9615189B2 (en) 2014-08-08 2017-04-04 Bongiovi Acoustics Llc Artificial ea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generat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10848867B2 (en) 2006-02-07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JP4793018B2 (ja) * 2006-02-20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振動板と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
DE102007041850A1 (de) * 2007-09-03 2009-03-05 Robert Bosch Gmbh Ultraschallsensor mit einem Trägerelement und einer Membran, wobei die Membran in das Trägerelement eingebettet ist
GB0811015D0 (en) * 2008-06-17 2008-07-23 Deben Acoustics Improved acoustic device
KR101436271B1 (ko) 2010-08-23 2014-08-29 노키아 코포레이션 터치 감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햅틱 및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H704183A2 (fr) * 2010-12-02 2012-06-15 Montres Breguet Sa Membrane de rayonnement acoustique pour une boite a musique ou une montre a sonnerie.
US9264004B2 (en) 2013-06-12 2016-02-16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narrow bandwidth digital signal processing
US9883318B2 (en) 2013-06-12 2018-01-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stereo field enhancement in two-channel audio systems
US9906858B2 (en) 2013-10-22 2018-02-27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820883B2 (en) 2014-04-16 2020-11-03 Bongiovi Acoustics Llc Noise reduction assembly for auscultation of a body
US9615813B2 (en) 2014-04-16 2017-04-11 Bongiovi Acoustics Llc. Device for wide-band auscultation
US10639000B2 (en) 2014-04-16 2020-05-05 Bongiovi Acoustics Llc Device for wide-band auscultation
US9628917B2 (en) * 2014-07-23 2017-04-18 Bose Corporation Sound producing system
US9564146B2 (en) 2014-08-01 2017-02-07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in deep diving environment
US9638672B2 (en) 2015-03-06 2017-05-02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coustic information from a resonating body
DE102015217778B4 (de) * 2015-09-17 2019-05-29 Robert Bosch Gmbh Akustischer Sensor mit einer Membran und einem elektroakustischen Wandler
US9621994B1 (en) 2015-11-16 2017-04-11 Bongiovi Acoustics Llc Surface acoustic transducer
WO2017087495A1 (en) 2015-11-16 2017-05-26 Bongiovi Acoustics Llc Surface acoustic transducer
GB2551723B (en) 2016-06-27 2018-11-28 Amina Tech Limited Speaker Panel
GB2564061B (en) * 2016-06-27 2020-12-16 Amina Tech Limited Speaker panel
EP3273210B1 (de) * 2016-07-18 2022-05-18 VEGA Grieshaber KG Vibrationsgrenzstandsscha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ibrationsgrenzstandsschalter
GB2568282B (en) 2017-11-10 2020-11-25 Amina Tech Limited Flat panel loudspeaker
AU2019252524A1 (en) 2018-04-11 2020-11-05 Bongiovi Acoustics Llc Audio enhanced hearing protection system
WO2020028833A1 (en) 2018-08-02 2020-02-06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WO2022121590A1 (zh) * 2020-12-09 2022-06-16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发声板及投影屏幕
CN112584288B (zh) * 2020-12-09 2023-03-14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发声板及投影屏幕
CN113642202A (zh) * 2021-06-29 2021-11-12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厚度薄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8795A (en) * 1978-11-20 1980-05-23 Sony Corp Speaker
GB2074812B (en) * 1980-04-21 1984-0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diaphragm
JPH01311795A (ja) * 1988-06-10 1989-12-15 Minebea Co Ltd スピーカ用振動板
EP0541646B1 (en) * 1990-08-04 1995-01-11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In Her Britannic Majesty's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Panel-form loudspeaker
UA51671C2 (uk) * 1995-09-02 2002-12-16 Нью Транзд'Юсез Лімітед Акустичний пристрі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41B1 (ko) * 2007-01-31 2009-02-10 욘 싱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음향의 물리적 특성을 따르는 전대역 단일체 음향막을 갖는 음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4288L (no) 1999-09-03
CZ310299A3 (cs) 1999-12-15
TR199902177T2 (xx) 2000-01-21
ZA981662B (en) 1998-09-03
EP1133212A3 (en) 2006-01-11
EP0965245B1 (en) 2003-01-22
BG103669A (en) 2000-03-31
WO1998039947A1 (en) 1998-09-11
BR9808169A (pt) 2000-05-16
HUP0002652A3 (en) 2001-11-28
HK1022398A1 (en) 2000-08-04
PL335366A1 (en) 2000-04-25
EP1133212A2 (en) 2001-09-12
CN1249892A (zh) 2000-04-05
EA002480B1 (ru) 2002-06-27
AU6305398A (en) 1998-09-22
DE69810905T2 (de) 2003-12-24
ES2191925T3 (es) 2003-09-16
EP0965245A1 (en) 1999-12-22
CA2283381A1 (en) 1998-09-11
AR011920A1 (es) 2000-09-13
SK119499A3 (en) 2000-08-14
DE69810905D1 (de) 2003-02-27
TW462199B (en) 2001-11-01
ATE231677T1 (de) 2003-02-15
ID20143A (id) 1998-10-08
GEP20022748B (en) 2002-07-25
EA199900793A1 (ru) 2000-04-24
EE9900386A (et) 2000-04-17
HUP0002652A2 (hu) 2000-12-28
NZ336943A (en) 2001-02-23
JP2001513967A (ja) 2001-09-04
YU39599A (sh) 2001-12-26
NO994288D0 (no) 1999-09-03
IL131485A0 (en) 2001-01-28
GB9704486D0 (en) 1997-04-23
AU735051B2 (en) 2001-06-28
CN1157999C (zh)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889A (ko) 음향장치
US6442282B2 (en) Acoustic devices
CZ20003591A3 (cs) Akustické zařízení
KR20010031264A (ko) 공진식 패널형 확성기
KR20010074943A (ko) 굴곡파 모드를 이용하는 패널형 음향장치
EP1283002A2 (en) Loudspeaker having an acoustic panel and an electrical driver
JPH08508111A (ja) 騒音及び振動防止用能動発泡プラスチック
TWI468030B (zh) 聲音轉換器中之點激勵配置
US6590992B1 (en) Speaker device
MXPA99008120A (en) Acoustic device
KR20010080941A (ko) 굴곡파 원리에 따르는 음향 장치
AU5400401A (en) Acoustic device
JP2005506013A (ja) ラウドスピーカ
NZ509425A (en) A loudspeaker drive unit actuator for driving a diaphragm
GB2373126A (en) Loudspeaker driver with adapted natural resonance frequency
JPH09215348A (ja) 振動モータ
Tanaka et al. Cluster power flow control of a distributed-parameter planar structure for generating a vibration-free zone
JP2021190792A (ja) スピーカ、解析装置、及び解析方法
CN116261860A (zh) 用于在气体环境中发射横向声波的声学装置
Constantin et al. THEORETICAL RESEARCH REGARDING THE MODELING OF THE ULTRASONIC PIEZOCERAMIC ASSEMBLY
JP2000115877A (ja) 出力音源
JPH01174198A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