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410A - 무선 이어폰마이크.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폰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410A
KR20000063410A KR1020000038718A KR20000038718A KR20000063410A KR 20000063410 A KR20000063410 A KR 20000063410A KR 1020000038718 A KR1020000038718 A KR 1020000038718A KR 20000038718 A KR20000038718 A KR 20000038718A KR 20000063410 A KR20000063410 A KR 2000006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ignal
microphone
circuit
wireless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조
Original Assignee
박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조 filed Critical 박창조
Publication of KR2000006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할수 있도록 마이크가 부착된 무선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마이크이어폰은 휴대전화기와 코드로 연결(유선)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코드는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한 코드를 제거하고 휴대전화기와 마이크이어폰을 무선으로 직접 연결 작동하도록 고안함으로써, 휴대전화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마이크를 모기계(母機)와 자기계(子機)로 분리 구성하였으며,
모기계는 2-3Cm의 극히 짧은 코드를 통하여 휴대전화기와 접속되고, 모기계와 자기계간은 무선 송수신으로 접속된다.
모기계는 유선 접속된 휴대전화기로 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무선 접속된 자기계에 전달하고, 자기계는 이 전달된 수신음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또 자기계의 마이크론부에서 집음된 음성신호를 반대로 모기계를 통하여 휴대전화기에 전달하도록 고안 되었다.
이와같이 휴대전화기와 마이크이어폰간을 무선처리함으로서 휴대폰전화의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이어폰마이크.{WIRELESS EARPHONE-MIKE}
본 발명은 이어폰마이크에 관하여, 특히 휴대전화, 피.에이취.에스(PHS)등의 통신단말기기에 사용하는 이어폰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마이크의 형태를 대별하면, 스피커와 마이크가 분리된 분리형 스피커와 마이크가 한 개의 하우징에 함께 설치된 일체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두 형태 모두 스피커와 마이크는 코드와 코드 끝에 설치된 프러그를 통하여 휴대전화기, 피.에이취.에스(PHS)의 본체에 연결되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분리형 이어폰마이크를 도 7에 따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통신기기 혹은 음향기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공삽입형(耳孔揷入型)이어폰으로써, 이어폰부51과 플러그부52를 코드53으로 연결하고, 마이크로폰부54를 코드53의 중간 위치에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어폰마이크는 휴대전화, PHS 등의 통신단말기와는 코드53으로 접속된다. 이 코드 53을 통하여 휴대전화기로부터 음성신호가 이어폰마이크의 이어폰부51에 전달 되고, 이어폰마이크의 마이크론부54에서 집음된 음성신호는 휴대전화기에 전달된다.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운전중 휴대전화등의 사용 금지 또는 제한추세로 불구하고 핸드프리 장치의 일종인 이어폰마이크의 사용이 활발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코드53의 존재를 들수 있다.
즉, 종래의 이어폰마이크는 휴대전화, PHS등의 통신단말기와 코드53으로 접속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해서 휴대시에는 코드53을 묶음으로 한다던가 접는다던가 하지 않으면 안되고, 사용시 특히 착신시에는 급히 코드53을 끌어 당긴다던가 하여 코드53이 엉키고 실제로 통화가능 상태가 되기까지는 꽤 시간이 요하게 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운전중등 다른 사람이 그다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을 시에는 휴대전화 등을 양복 가슴주머니에 넣는다던가, 별도 차내에 설치한 전용홀더에 비치하여 미리 코드53을 늘어트린 상태로 통화에 대비해 두는 경우에는 쉬프트레바(Shift Lever)나 좌석의 시트벨트(Seat Belt)에 이어폰마이크 본체가 걸린다던가 코드53이 엉켜버리는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운전자가 차에서 벗어날 때 무의식중에 휴대전화만을 가지고 내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이때, 휴대전화와 연결된 이어폰마이크 본체가 차 안에 남아 있는 상태로 자동차 문을 닫게 되면, 코드53의 줄이 끼어 단선이 된다던가 이어폰마이크 본체를 파손시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결국 종래의 이어폰마이크는 기능이나 효과면에 있어서 이용자나 관련자 등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 편리성을 훼손시키고 있는 코드53의 존재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용을 주저하고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바 있는 종래의 코드가 딸린 이어폰마이크가 지니는 과제에따라 제안하는 것으로서,
이어폰마이크를 모기계(母機)와 자기계(子機)로 나누어, 모기계의 플러그에 의해 직접 혹은 극히 짧은 코드를 통하여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기에 접속하여 모기계와 자기계 사이에 여러 가지 문제점의 원인이 되고 있는 코드를 제거한 이변성(利便性)이 높은 무선이어폰마이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전체 형태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사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모기계의 주요부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2-1은 모기계의 정면도, 도 2-2는 모기계의 측면도, 도 2-3은 도 2-1의 A - A'선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자기계의 주요부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3-1은 자기계의 정면도, 도 3-2는 자기계의 측면도, 도 3-3은 도 3-1의 B-B'선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한 실시 형태의 회로를 표시한 블록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모기계를 휴대전화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자기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이어폰마이크를 나타낸 개념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모기계(母機)
C 자기계(子機)
1 모기계 본체
2 휴대 스트랩(Strap)형 송신안테나
3 접속플러그 (接續Plug)
4 수신안테나 겸용 죠인트코드(Joint Cord)
5 메인스위치 (Main Switch)
6 연결끈(連結紐)
7 케이스(Case)
8a 회로기판(回路基板)
8b 회로기판(回路基板)
9 전자부품군(電子部品群)
10 배터리 포트(Battery Port)
11 배터리 전원(Battery 電源)
12 꼭지(Top)
13 통공(通孔)
14 핀(Pin)
15 전지덮개(Battery Cover)
21 자기계 본체(子機本體)
22 이어폰부(Earphone部)
23 지지환(支持環)
24 마이크로폰부(Microphone部)
25 지지막대(支持Bar)
26 서브스위치(Sub-Swithch)
27 케이스(Case)
28a 회로기판(回路基板)
28b 회로기판(回路基板)
29 전자부품군(電子部品群)
30 배터리 포트(Battery Port)
31 배터리 전원(Battery 電源)
32 마이크로폰(Microphone)
33 송신안테나(送信 Antenna)
34 수신안테나(受信 Antenna)
35 전지덮개(電池蓋)
36 소형스피커(小型Speaker)
T 휴대전화기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모기계에 관한 그림으로서, 도 2-1은 정면도, 도 2-2는 우측면도, 도 2-3은 도 2-1의 A-A'선을 따라가는 단면도, 도 3은 자기계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3-1는 정면도, 도 3-2은 우측면도, 도 3-3은 도면 3-1의 B-B'선을 따라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회로불록(Block)도, 도 5는 모기계를 휴대전화에 부착시킨 상태와 자기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는 크게 나누어 모기계 P와 자기계 C로 이루어지며, 우선 모기계에 대해 설명한다.
모기계 P는 도면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기계 본체1과 휴대스트랩형 송신안테나2와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기(이하 '휴대전화기'라 함)의 이어폰짹에 접속되는 접속플러그3과 본체1과 접속플러그3과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신안테나와 겸용의 짧은 쪼인트코드4와 모기계 본체1 정면의 중앙부에 배치한 메인스위치5와 휴대전화와의 접속시에 위에서 말한 접속플러그3의 탈락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끈6으로 구성 되었다.
모기계 본체1은 도 2와 도 3에 표시된바와 같이 ABS등의 수지재료로 형성한 케이스7의 내부에 각종 전자부품군9을 탑재한 2매의 회로기판 8a, 8b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 중 모기계 본체1의 정면쪽으로의 회로기판 8a에는 배터리포트 10을 비치하여 3V전지를 직열로 2개 수용하여 배터리전원11으로 하고 있다.
또한 모기계 본체1 정면의 회로기판8a 중앙부분에는 메인스위치5가 장치되고, 이 메인스위치5의 두부(頭部)는 케이스7의 정면의 중앙부에서 외부로 노정(露呈)되어있으며, 케이스7의 배면의 상방부(背面上方部)는 전지교환시에 탈착 가능한 전지덮개1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7의 상단부에는 통공(通孔)13을 가지고 있는 꼭지(Top)12가 케이스와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꼭지12의 통공13에는 연결끈6의 한끝이 매여져 있으며, 케이스7의 하단부에는 핀14에 의해 휴대 스트랩형 송신안테나2를 좌우로 회전하며 움직일수 있도록 부착하였다.
또한 모기계 본체1의 측면으로 부터는 수신 안테나를 겸용한 짧은 죠인트코드4의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접속프러그3을 부착 시켰다.
다음에 자기계 C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계 C는 도 3-1과 3-2에 표시된바와 같이 자기계 본체21과 이공삽입형 이어폰부22와 자기계 본체21의 동체부(胴體部) 주위에 좌우로 쉽게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맞춘 지지환(支持環)23과 앞쪽 끝에 마이크로폰부24를 배치하여 기간부(基幹部)를 지지환23에 일체적으로 고착시킨 지지막대 25와 자기계 본체21 배면의 중앙 약간 상부에 배치한 서브스위치2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계 본체21은 도 3-3에 표시한바와 같이 ABS등의 수지재료로 형성한 케이스27의 내부에 각종 전자부품군29를 탑재한 2매의 회로기판28a, 28b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중 자기계 본체21 정면의 회로기판 28b에는 배터리포트30을 설치하여 3V 전지를 수용하여 배터리 전원31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자기계 본체21의 배면의 회로기판28b 상단부 쪽에는 서브스위치26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서브스위치26의 머리부(頭部)는 케이스27의 배면 중앙 약간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케이스27의 서브스위치26 바로 윗부분은 전지 교환시에 탈착 가능한 전지덮개3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계 본체21의 동체 주위에는 통상(桶狀)의 지지환23이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이 지지환23에는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지지막대25의 기간부가 고착 되어 있다. 지지막대25는 휘어질수 있는 (Flexible)튜브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있으며, 이 지지막대25의 끝쪽 내부 공간에는 단일지향성(單一指向性)의 마이크로폰32을 내장하여 마이크로폰부24를 구성함과 동시에 송신안테나33과 수신안테나34가 지지막대25의 내부 공간을 따라 부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환23은 약 200도(度)정도의 회동각도(回動角度)를 갖고 있어, 마이크로폰32과 회로기판28과의 접속코드(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에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기계 본체21의 정면 윗쪽에는 이공삽입형의 이어폰부22를 형성하였고, 이 이어폰부22에는 소형 스피커36을 내장 시켰다.
다음에 본 발명의 무선이어폰마이크의 사용방법과 사용상태 및 회로의 작동상황에 대하여 도 4과 도 5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에 표시한바와 같이 모기계 P의 접속플러그23을 휴대전화 T의 이어폰짹에 꽂아 접속함과 동시에 연결끈6의 선단부를 휴대전화 T의 휴대스트랩 연결용의 통공(通孔)에 연결하고, 메인스위치 5를 ON으로 조작하면, 도면 4에 표시된 모기계 P의 인식신호확인회로와 수신회로 및 필터회로 만으로 전력이 투입되어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는 통화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휴대스트랩형 송신안테나2와 연결끈6의 길이는 휴대스트랩형 송신안테나2를 손으로 쥐고 휴대전화 T를 아래로 내려뜨린 상태에서 접속플러그3에 지나친 하중이 걸리지 않는 길이로 설정한다.
그리고 면 5에 표시된바와 같이 자기계C의 이어폰부22를 귓구멍에 삽입하여 지지막대25의 각도(角度) 등을 조정함으로써 통화 준비가 완료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왼쪽 귀(左耳)에 자기계 C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오른쪽 귀(右耳)에 장착하고자 할 때는 지지환23을 오른쪽으로 돌려주면 된다.
또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프렉시블튜브(Flexible Tube)로 형성한 지지막대25의 각도나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착신시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착신시의 벨(Bell)신호 또는 바이브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자기계C의 서브스위치26을 ON 조작하면, 도 4에 표시한 인식신호발신회로로부터 송신회로 및 필터회로를 경유하여 모기계 P에 대해 30KHz 정도의 주파수인식신호가 130KHz 정도의 주파수 캐리어파를 사용하여 발신된다.
이 인식신호는 모기계P 필터회로 및 수신회로를 경유하여 인식신호확인회로로 수신되어 특정의 자기계C라는 것이 확인되면, 모기계P와 자기계C의 전체회로의 전원이 ON 상태로 된다.
그리고 모기계P로 부터는 접속플러그23, 수신안테나 겸용 죠인트코트4 및 휴대전화 입출력회로를 경유하여 음성신호가 발신되고, 이 음성신호는 자기계C의 필터회로, 수신회로 및 증폭회로를 경유하여 소형스피커36에서 음성으로 재생된다.
또한 동시에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은 마이크로폰32로 집음(集音)되어, 증폭회로, 송신회로 및 필터회로를 경유하여 음성신호로서 발신되고, 이 음성신호는 모기계P의 필터회로, 수신회로 및 휴대전화 입출력회로를 경유하여 휴대전화T에 송신되어 이것들에 의해 통화가 가능해 진다.
다음에 사용자가 휴대전화로부터 발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위에서 설명한 착신시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를 통화준비 완료상태로 하고 휴대전화를 통상시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모기계P와 자기계C의 회로가 착신시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식신호로서 음성주파수대역(音聲周彼數帶域)보다 약간 높은 30KHz정도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음성신호 및 인식신호의 케리어파에는 130MHz 정도의 주파수를 채용한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이것들은 적시(適時)에 선택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선이어폰마이크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자기계에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자기계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자기계로부터 오는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특정의 자기계라는 것을 인식하는 인식신호확인회로와 배터리 전원과 안테나와, 통신단말기와의 접속플러그와, 죠인트코드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모기계와,
이어폰부와 마이크로폰부를 겸비하여 모기계로 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인식신호발신회로와 당해 인식신로발신회로에서 발신하는 인식신호와 마이크로폰부에서 집음한 음성신호등을 모기계에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배터리 전원과, 안테나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기계와 함께 구성함으로써,
휴대시에 코드를 묶는다던가 접을 필요가 없고, 또 자동차 운전중에도 쉬프트레바나 좌석안전띠에 이어폰마이크 본체가 걸린다던가 코드가 엉키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운전자가 하차할 시에 휴대전화만을 지참하고 이어폰마이크 본체를 차내에 남겨둔체로 자동차 문을 닫았을 경우에도 코드가 끼어 단선이 되어 버린다던가, 이어폰마이크 본체를 파손 시키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상적인 휴대시 혹은 자동차 운전중이라 할지라도, 어떤 경우에도 착신시에 급하게 코드를 끌어 당겨야 하는 일없이 즉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폰부를 지지막대의 끝쪽에 배치하고, 지지막대의 기간부를 자기계의 케이스에 좌우로 쉽게 움직일수 있도록 부착함으로써 좌우 어느 쪽의 귀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자기계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지지막대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체재성(體裁性)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막대를 가연성(可軟性)튜브로 형성하였으므로 이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마이크로폰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모기계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어느 한쪽을 휴대용 스트랩으로 형성하여 다른 쪽을 죠인트코드와 겸용함으로써 체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효율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대기상태로 하기 위한 메인스위치를 모기계에 설치하고, 통화상태로 바꿔주기 위한 서브스위치는 자기계에 설치함으로서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억제함과 동시에 자기계를 장착하는 즉시 스위치 조작이 가능하며, 특히 착신시 등은 즉시 통화가 가능해 진다.
또한 배터리 전원을 충전 가능한 2차전지와 1차전지가 공용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진 등의 긴급사태에도 대응이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이어폰마이크에는 종래의 이어폰마이크의 중대 결점이었던 코드를 없앰으로써 극히 이변성이 높은 무선이어폰마이크를 시장에다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통신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자기계(子機)에다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자기계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자기계로부터의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특정의 자기계라고 하는 것을 인식하는 인식신호 확인회로와, 배터리 전원과 안테나와, 통신단말기와의 접속플러그와, 쪼인트코드(연결줄)로 이루어지는 모기계(母機)와,
    이어폰부(部)와 마이크로폰부를 겸비하고 모기계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인식신호와, 인식신호 발신회로와 당해(當該) 인식신호 발신회로에서 발신한 인식신호와 마이크로폰부에서 집음(集音)한 음성신호를 모기계에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배터리 전원과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자기계와 함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無線)이어폰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부를 지지막대(支持Bar)의 선단측(先端側)에 배치하여 지지막대의 기간부를 자기계의 케이스에 회동자재(回動自在)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자기계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지지막대에다 병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4. 제2항과 제3항에 있어서, 지지막대를 가연성 튜브(可軟性튜브,Flexible Tube)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에 있어서, 모기계(母機械)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어느 한쪽을 휴대용스트랩(Strap)형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편을 죠인트코드(연결코드:Joint Cord)와 겸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6. 제1항에서 제5항까지에 있어서, 대기상태로 하기 위한 메인스위치를 모기계에다 설치하여 통화상태로 하기 위한 서브스위치를 자기계에다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7. 제1항에서 제6항까지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을 충전 가능한 2차전지와 1차전지를 공용 가능케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이어폰마이크.
KR1020000038718A 1999-11-11 2000-07-06 무선 이어폰마이크. KR20000063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049499A JP2001156900A (ja) 1999-11-11 1999-11-11 マイク付きイヤフォン
JP???(???)11-320 1999-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410A true KR20000063410A (ko) 2000-11-06

Family

ID=1812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18A KR20000063410A (ko) 1999-11-11 2000-07-06 무선 이어폰마이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56900A (ko)
KR (1) KR200000634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24B1 (en) * 2001-04-27 2003-01-24 Chang Jig Bae Slit antenna for wireless headset and wireless earphone
KR20030096649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 이어폰
KR100673363B1 (ko) * 2005-07-05 2007-01-24 인종익 휴대단말기 손잡이겸용 무선이어폰
KR100996041B1 (ko) * 2003-04-18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20200000288U (ko) 2018-07-26 2020-02-05 양동우 무선 마이크장치
CN112956173A (zh) * 2018-12-29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920B2 (ja) * 2004-08-02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レスイヤホン及びコード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23A (ko) * 1998-12-22 1999-03-25 이각종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20000003709A (ko) * 1998-06-29 2000-01-25 최기석 핸드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20000018204A (ko) * 2000-01-20 2000-04-06 손효석 휴대폰의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200194750Y1 (ko) * 2000-03-29 2000-09-01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09A (ko) * 1998-06-29 2000-01-25 최기석 핸드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19990024223A (ko) * 1998-12-22 1999-03-25 이각종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20000018204A (ko) * 2000-01-20 2000-04-06 손효석 휴대폰의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200194750Y1 (ko) * 2000-03-29 2000-09-01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24B1 (en) * 2001-04-27 2003-01-24 Chang Jig Bae Slit antenna for wireless headset and wireless earphone
KR20030096649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 이어폰
KR100996041B1 (ko) * 2003-04-18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100673363B1 (ko) * 2005-07-05 2007-01-24 인종익 휴대단말기 손잡이겸용 무선이어폰
KR20200000288U (ko) 2018-07-26 2020-02-05 양동우 무선 마이크장치
CN112956173A (zh) * 2018-12-29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56900A (ja) 200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029B1 (en)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US20050164636A1 (en) Induc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30165237A1 (en) Integrated headset for any two-way-communication device
US6731951B1 (en) Portable wireless equipment
TWI275287B (en) Bluetooth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bluetooth earpiece
JPH01321738A (ja) 携帯無線電話機の保護ケース
KR19980070257A (ko) 3단 절첩식 셀룰러 전화기
KR20000063410A (ko) 무선 이어폰마이크.
JP3775962B2 (ja) 携帯型無線情報端末装置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6186904A (ja) ヘッドセット装置
CN203691459U (zh) 手机挂绳天线
KR100317903B1 (ko) 벨트와일체로결합된핸드폰
JP3751895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CN201008176Y (zh) 一种无线电信多功能耳机
JPH1168904A (ja) マイク・イヤホン分離型携帯電話機
JPH07231293A (ja) 移動通信機のバッテリ充電方式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10025887A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200303914Y1 (ko) 유,무선 겸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이어폰
KR200233031Y1 (ko) 핸드폰 겸용 헤드셋
JP2001251207A (ja) 携帯電話機
JP2001168965A (ja) イヤホン装着型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