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299A -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299A
KR20000055299A KR1019990003849A KR19990003849A KR20000055299A KR 20000055299 A KR20000055299 A KR 20000055299A KR 1019990003849 A KR1019990003849 A KR 1019990003849A KR 19990003849 A KR19990003849 A KR 19990003849A KR 20000055299 A KR20000055299 A KR 2000005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lecting plate
light collecting
pl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290B1 (ko
Inventor
박억병
김종훈
고재남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0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2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광학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써, 빛을 방출시키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과, 도광판을 통하여 액정패널의 반대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액정패널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도광판 및 반사판에 의하여 액정패널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확산집광판과, 확산집광판을 통과한 빛을 다시 집광시키는 집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광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반볼록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확산집광판의 하면에는 빛의 확산을 위하여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빛의 집광을 위하여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집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게 형성하고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A Backlight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부품의 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 등에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주변광의 밝기에 좌우되지 않고 항상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하도록 백라이트 시스템이 사용된다.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인 형광램프(2)와 반사갓(4)로 이루어진 램프부와, 반사판(6), 도광판(8), 제1확산판(10), 제1집광판(12), 제2집광판(14), 제2확산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반사판(6)과 도광판(8) 및 제1확산판(10), 제1집광판(12), 제2집광판(14), 제2확산판(16) 등의 광학부품은 사용자에게 빛을 집중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보다 긴 작동시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도광판(8)은 주로 PMMA수지 등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그 하면에는 TiO2등의 백색 반사 물질이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되고, 그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한다.
상기한 제1확산판(10)은 상기한 도광판(8)의 하면에 인쇄된 패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한 제1집광판(12)은 상기한 제1확산판(10)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한 제1집광판(12)의 하면인 제1확산판(10)으로부터 빛이 입사하는 면은 편평하게 형성하고, 상면인 제2집광판(14)으로 빛이 출사되는 면은 단면이 미세한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렌티큘러 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제2집광판(14)은 상기한 제1집광판(12)에 면하여 위치하며, 상기한 제1집광판(12)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제2집광판(14)은 하면인 제1집광판(12)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면은 편평하게 형성하며, 상면인 제2확산판(16)으로 빛이 출사되는 면은 단면이 미세한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렌티큘러 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4,542,449호에 기재된 방법인 제1집광판(12) 및 제2집광판(14)을 서로 수직하게 배열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또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은 제2집광판(14) 위에 제2확산판(16)을 사용하여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빛을 집중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보다 긴 작동시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많은 광학부품을 사용하므로,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될뿐만아니라 상대적으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광학부품의 수를 6개에서 4개로 줄여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집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한 상하 시야각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한 좌우 시야각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제안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은 빛을 방출시키는 광원부와, 상기한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과, 상기한 도광판을 통하여 액정패널 반대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액정패널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한 도광판 및 반사판에 의하여 액정패널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확산집광판과, 상기한 확산집광판을 통과하면서 확산 및 집광된 빛을 다시 집광시키는 집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광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반볼록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는 빛의 확산을 위하여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빛의 집광을 위하여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빛을 방출시키는 광원부(20)와, 상기한 광원부(2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30)과, 상기한 도광판(30)을 통하여 액정패널(60) 반대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액정패널(60)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8)과, 상기한 도광판(30) 및 반사판(28)에 의하여 액정패널(60)쪽으로 진행하는 빛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확산집광판(40)과,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을 통과하면서 확산 및 집광된 빛을 다시 집광시키는 집광판(50)을 포함한다.
상기한 광원부(20)는 상기한 도광판(30)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방출하는 광원(22)과, 상기한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한 도광판(30)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갓(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광원(22)으로는 열음극 형광램프와 냉음극 형광램프 등을 사용한다.
상기한 도광판(3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예를 들면 PMMA 수지 등)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광판(30)의 하면(3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한 반사판(28)이 접하여 설치된다.
상기한 도광판(30)의 상면(32)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이 접하여 설치되고, 아주 미세한 반볼록렌즈(36)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반볼록렌즈(36)는 100㎛ 이하의 지름(d)을 갖도록 형성하며, 특히 50㎛ 이하의 지름(d)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한 반볼록렌즈(36)는 지름(d)과 높이(h)의 관계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한다.
0 < h ≤ d/2
상기에서 d는 반볼록렌즈의 지름을 나타내고, h는 반볼록렌즈의 높이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한 반볼록렌즈(36)는 지름(d)과 높이(h)의 관계가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선호된다.
0 < h ≤ d/4
또 도 2에는 상기한 반볼록렌즈(36)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실제 도광판(3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의 위에 액정패널(60)까지 장착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한 경우에 화면 상의 전체적인 휘도 균일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 일정한 간격의 반볼록렌즈(36)를 배열하는 패턴은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반볼록렌즈(36)를 배열하는 패턴의 상세한 부분에 대한 기술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문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도광판(30)의 상면(32)에 단위면적 당 동일한 반볼록렌즈(36)의 수를 유지하면서 이를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은 상기한 도광판(30)의 상면에 접하여 위치하고,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에 위치하는 기층(42)과, 상기한 기층(42)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한 도광판(30)의 상면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확산층(44)과, 상기한 기층(42)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한 집광판(50)의 하면과 접하는 집광층(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기층(42)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존재하는 층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이 요구된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확산층(44)은 상기한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층으로서,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확산층(44)은 일정한 크기의 미세한 유리비드(glass bead) 등을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 등에 섞어 상기한 기층(42)의 위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확산층(44)은 임의의 패턴으로 양각 또는 음각된 엠보싱롤 (embossing roll)을 이용하여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 등을 상기한 기층(42)의 위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으면 다양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확산층(44)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은 상기한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확산 기능인데, 이는 헤이즈(haze)라는 물리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확산층(44)을 대략 10∼70% 정도의 헤이즈값을 갖도록 형성하며, 특히 대략 20∼40% 범위의 헤이즈값이 선호된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은 상기한 확산층(44) 및 기층(42)을 통과한 빛을 집광시키는 층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47)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렌티큘러 렌즈(47)는 단면에 있어서 이등변삼각형의 중심각(α)이 70∼110°의 범위에 있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47)는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22)인 형광램프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집광판(50)은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 상면에 접하여 위치하고,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집광판(5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에 접하는 기층(52)과, 상기한 기층(52)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을 통과한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층(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집광판(50)의 기층(52)은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기층(42)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집광판(50)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존재하는 층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이 요구된다.
상기한 집광판(50)의 집광층(54)은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집광판(50)의 집광층(54)도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과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55)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렌티큘러 렌즈(55)는 단면에 있어서 이등변삼각형의 중심각(β)이 70∼110°의 범위에 있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한 집광판(50)의 집광층(54)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55)는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22)인 형광램프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한 집광판(50)의 집광층(54)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55)의 가공방향과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47)의 가공방향 및 상기한 광원(22)인 형광램프의 배열방향이 모두 평행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확산층(44)에 의한 헤이즈값이 작을 때에는 간섭 무늬가 나타날 수도 있는 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확산집광판(40)의 집광층(46)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47)의 가공방향 및 상기한 집광판(50)의 집광층(54)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55)의 가공방향을 약간 어긋나게 배열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두 렌티큘러 렌즈(47), (55)의 가공 방향과 광원(22)인 형광램프의 배열방향은 평행하다.
상기에서 기본적으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서로 평행한 두 성분의 배열방향이 10°이내의 범위에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한 확산집광판(40) 및 집광판(50)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은 그 특성상 모두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흡수율이 매우 작거나 광흡수가 없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한 상하 및 좌우 시야각에 따른 휘도 특성을 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내부가 채워진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한 상하 및 좌우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내고, 내부가 빈 점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한 상하 및 좌우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다.
또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야각(θ)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휘도(L)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시야각(θ)이 0인 경우는 정면을 나타내고, 시야각(θ)이 양(+)인 경우는 사용자쪽에서 보아서 위쪽을 나타내며, 시야각(θ)이 음(-)인 경우는 사용자쪽에서 보아서 아래쪽을 나타낸다.
또 도 7에 있어서, 시야각(θ)이 0인 경우는 정면을 나타내고, 시야각(θ)이 양(+)인 경우는 사용자쪽에서 보아서 오른쪽을 나타내며, 시야각(θ)이 음(-)인 경우는 사용자쪽에서 보아서 왼쪽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의 광원(22)과 형광램프(2)는 각각 사용자쪽에서 보아서 아래쪽에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도록 배열하였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좌우 시야각의 휘도 특성에서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이 모든 시야각(θ)에서 높은 휘도값을 나타낸다.
또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하 시야각의 휘도 특성도 종래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이 별로 뒤떨어지지 않는 휘도값을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에 의하면, 조립되는 광학부품의 수가 종래 6개(예를 들면 반사판, 도광판, 제1확산판, 제1집광판, 제2집광판, 제2확산판)에서 4개(예를 들면 반사판, 도광판, 확산집광판, 집광판)로 감소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된다.

Claims (17)

  1.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광원과 반사갓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
    상기한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
    상기한 도광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반사판;
    상기한 도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확산집광판; 및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집광판을 포함하며,
    상기한 도광판의 한 측면에 상기한 광원부가 위치하고,
    상기한 도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미세한 반볼록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는 도광판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집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고,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광판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반볼록렌즈는 높이가 0보다 크고 반지름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반볼록렌즈는 높이가 0보다 크고 반지름을 2로 나눈 값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5. 제1항과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반볼록렌즈의 지름이 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6. 제1항과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반볼록렌즈의 지름이 50㎛ 이하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 하면의 헤이즈값이 10∼70%의 범위에 있도록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 하면의 헤이즈값이 20∼40%의 범위에 있도록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 형성하는 확산층은 임의의 패턴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 형성하는 확산층은 유리비드를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섞어 투명한 기층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 형성하는 확산층은 양각 또는 음각된 엠보싱롤을 이용하여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투명한 기층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의 중심각이 70∼110°범위에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의 중심각이 70∼110°범위에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16.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광원과 반사갓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
    상기한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
    상기한 도광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반사판;
    상기한 도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확산집광판; 및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집광판을 포함하며,
    상기한 도광판의 한 측면에 상기한 광원부가 위치하고,
    상기한 도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미세한 반볼록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는 도광판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집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고,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는 백라이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시스템에서,
    광원과 반사갓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
    상기한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
    상기한 도광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반사판;
    상기한 도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확산집광판; 및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위에 위치하는 집광판을 포함하며,
    상기한 도광판의 한 측면에 상기한 광원부가 위치하고,
    상기한 도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미세한 반볼록렌즈를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하면에는 도광판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집광판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는 이등변삼각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미세한 렌티큘러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확산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고,
    상기한 집광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의 가공방향이 상기한 광원부의 배열방향과 이루는 각이 -10∼+10°범위에 있도록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을 배열하는 방법.
KR10-1999-0003849A 1999-02-05 1999-02-05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백라이트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38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49A KR100387290B1 (ko) 1999-02-05 1999-02-05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백라이트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49A KR100387290B1 (ko) 1999-02-05 1999-02-05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백라이트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99A true KR20000055299A (ko) 2000-09-05
KR100387290B1 KR100387290B1 (ko) 2003-06-12

Family

ID=1957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849A KR100387290B1 (ko) 1999-02-05 1999-02-05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백라이트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2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033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Lcd 백라이트 모듈 및 그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제조 방법
KR100453336B1 (ko) * 2001-02-22 2004-10-1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665801B1 (ko) * 2004-10-28 2007-01-09 제일모직주식회사 복합기능 도광판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KR100852273B1 (ko) * 2007-04-13 2008-08-14 신홍우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KR100883096B1 (ko) * 2002-10-05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WO2014104783A1 (ko) * 2012-12-27 2014-07-03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광학 시트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504B2 (ja) * 1993-02-09 2001-08-20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
JPH06265892A (ja) * 1993-03-10 1994-09-22 Asahi Glass Co Ltd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518554B2 (ja) * 1993-03-23 2004-04-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及び該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面光源
JPH09145932A (ja) * 1995-11-24 1997-06-06 Konica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光学シート
JPH09211453A (ja) * 1996-02-05 1997-08-15 Omron Corp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面光源装置及び当該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を用いた機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033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Lcd 백라이트 모듈 및 그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제조 방법
KR100453336B1 (ko) * 2001-02-22 2004-10-1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883096B1 (ko) * 2002-10-05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649591B2 (en) 2002-10-05 2010-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membe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65801B1 (ko) * 2004-10-28 2007-01-09 제일모직주식회사 복합기능 도광판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KR100852273B1 (ko) * 2007-04-13 2008-08-14 신홍우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WO2014104783A1 (ko) * 2012-12-27 2014-07-03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광학 시트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290B1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058B1 (ko) 면광원 장치, 조명 유닛 및 광속 제어 부재
KR100864321B1 (ko) 프리즘 계곡부위에 무정형의 돌기형상을 가지는 광확산체를포함하는 디퓨져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US7995160B2 (en)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030184993A1 (en)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it
KR101178722B1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US744878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020041431A (ko) 면 광원 장치
JP2007086784A (ja) 光学板、それ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38085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WO2022000689A1 (zh) 视角扩散膜片及显示面板
KR100387290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및 백라이트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107732A (ko) 직하형용 발광면부재 및 직하형 면발광장치
JP200224457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10046582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KR20060063669A (ko) 확산집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JP3513944B2 (ja) バックライト
JP2003021726A (ja) 導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と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8262206A (ja) プリズムシート
JP2002258022A (ja) 光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と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24114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05703B1 (ko) 백라이트 장치
JP2007265744A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これに用いる光制御部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215729190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0978318B1 (ko) 소형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시트
JP2002277643A (ja) 導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と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