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597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597A
KR20000052597A KR1019990063212A KR19990063212A KR20000052597A KR 20000052597 A KR20000052597 A KR 20000052597A KR 1019990063212 A KR1019990063212 A KR 1019990063212A KR 19990063212 A KR19990063212 A KR 19990063212A KR 20000052597 A KR20000052597 A KR 2000005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charging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누마가미아쯔시
고지마히사요시
이소베히로노부
무라야마가즈나리
호시노부하루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5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1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과, (b)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 중심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 회전 중심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또는 기록 매체를 형성하는 전자 사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스기,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일체로 포함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적어도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포함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했으며, 이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수단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유지 보수를 위한 서비스맨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의 사용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매우 널리 사용된다.
상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배치된 현상 유닛 프레임 및 현상제로서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챔버 프레임을 일체로 포함하는 현상 유닛과; 감광 드럼을 지지하고 세척 블레이드 등을 내장하고 현상 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세척 유닛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형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을 보다 개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보다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체로서 우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립체로서 우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현상제를 사용하여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과, (b)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하는 대전 부재를 지지하며 제1 방향, 즉,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방향, 즉,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봇 중심에 대해 피봇 가능한 대전 유닛을 포함하며,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면도.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면도.
도8은 우측 전방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9는 좌측 후방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0은 좌측 후방에서 본 거꾸로 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1은 대전 유닛의 전면도.
도12는 블레이드가 제거된 상태의 도11에 도시된 대전 유닛의 전면도.
도13은 후방 커버가 제거된 현상 유닛의 배면도.
도14는 전방 커버가 제거된 현상 유닛의 전면도.
도15는 현상 유닛의 후방 커버의 내향 면의 사시도.
도16은 현상 유닛의 전방 커버의 내측부의 사시도.
도17은 현상 유닛의 측면도.
도18은 현상 슬리브의 지지부의 정면도.
도19는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용 지지부와 구동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20은 피구동 측부 상의 드럼 플랜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대전 유닛
D : 현상 유닛
7 : 감광 드럼
8 : 대전 장치
10 : 현상 수단
11 : 브러시
12 : 현상 유닛 프레임
13 : 대전 유닛 프레임
14 : 주 조립체
18 : 셔터
22 : 대전 롤러 베어링
23 : 단부 커버
32 : 피봇 아암
33 : 지지 샤프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방향은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방향에 수직하고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좌측 또는 우측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수단의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하고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측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절하게 설치된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측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는 감광 드럼 즉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31Y, 31M, 31C, 31Bk), 토너 화상이 일시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4a), 기록 매체(2) 상에 벨트(4a)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40), 중간 전사 벨트(4a)와 2차 전사 롤러(40) 사이에서 기록 매체(2)를 이송 및 공급하는 급지 수단, 기록 수단(2)을 전사 수단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 정착 수단 및 배지 수단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기록용 종이, OHP 시트, 직물 등)를 저장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급지 카셋트(3a)를 포함한다. 작동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시트들은 픽업 롤러(3b)에 의해 급지 카셋트(3a)로 분배되고 기록 매체 시트들을 분리하여 이들을 하나씩 방출하는 지연 롤러쌍(3b)으로 이송된다. 다음에, 기록 시트들은 이송 롤러(3d, 3f)에 의해 정합 롤러쌍(3g)으로 하나씩 이송된다.
정합 롤러쌍(3g)에 이송된 기록 매체(2)가 도착한 순간, 정합 롤러쌍(3g)은 정지하고, 기록 매체(2)가 정합 롤러쌍의 닙에 접촉하게 될 때, 비스듬해지면 바르게 정렬된다.
4개 드럼식 풀-칼러 시스템에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Y(옐로우), BM(마젠타), BC(시안) 및 BB(블랙)의 각각은 화상 담지 부재를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다. 시스템에는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BY, BM, BC 및 BB에 대응하는 4개의 광학 스캐닝 시스템 1Y, 1M, 1C 및 1Bk가 제공된다. 작동에 있어서, 토너 화상은 화상 신호에 대응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Y, BM, BC 및 BB의 각각에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다음, 이 화상은 대응하는 전사 롤러(4 : 4Y, 4M, 4C 및 4Bk)에 의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중간 전사 벨트(4a)상에 층으로 전사된다.
그후, 중간 전사 벨트(4a)상의 토너 화상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2차 전사 롤러(40)와 중간 전사 벨트(4a)의 사이의 닙으로 전달된 기록 매체(2)상에 전사된다. 다음에, 토너 화상은 정착 장치에서 기록 매체(2)에 정착되고, 다음에 기록 매체(2)는 한쌍의 방출 롤러(3h, 3i)에 의해 장치 주본체(14)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6)으로 방출된다.
상술한 화상 형성부(31Y, 31M, 31C, 31Bk)의 각각에 있어서, 광학 스캐닝 시스템(1Y, 1M, 1C, 1Bk)을 제외한 구성 요소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Y, BM, BC, BB)의 구성 요소들이다. 본 화상 형성 장치에서 모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구조상 동일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Y)와 관련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Y)에 있어서, 대전 수단, 노출부, 현상 수단 및 전사 개구는 감광 드럼(7)의 원주면 주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캐리어를 포함하는 2개의 요소 현상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유기 광전도체 등이 감광 드럼(7)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감광 드럼(7)의 감광 재료의 표면은 102- 104cm의 범위로 전기 저항을 갖는 표층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정질 실리콘이 감광 드럼(7)의 감광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런 감광 드럼은 전하가 감광 드럼(7)으로 주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오존 발생의 방지와 전기 에너지 소비의 감소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대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7)은 알루미늄 드럼의 원주면상에 음성 대전 유기물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대전 수단은 자기 캐리어를 채택한 브러시형 대전 장치이다.
대전 장치(8)는 중공 원통 롤러이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대전 롤러(8a)와 대전 롤러(8b)내에 고정 위치한 자석(8b)를 포함한다. 초기 전사 후 감광 드럼(7)의 원주면에 잔존한 토너는 화살표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대전 장치(8)로 취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수단(10)으로서, 잠상을 현상하는 2개의 구성 요소 자기 브러시를 사용하는 방법이 채택된다.(비접촉 현상에 따른 2개의 구성 요소임)
도2는 2개 구성 요소 자석 브러시를 이용하는 본 실시예의 현상 수단(10)을 도시한다. 현상 슬리브(10d)는 중공 원통 부재이며,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현상 슬리브(10d) 내에는 자석(10c)이 고정 설치된다. 현상 슬리브(10d)는 감광 드럼(7)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상 슬리브(10d)와 감광 드럼(7)은 서로 최근접한 지점에서 현상 슬리브(10d)와 감광 드럼(7)의 주연면들이 서로 반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7)과 현상 슬리브(10d)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되며, 그 사이에 0.1 내지 1.0 ㎜의 간극이 유지되어서 현상제가 감광 드럼(7)과 접촉하여 감광 드럼(7)의 주연면 상의 화상을 현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와 혼합되는 토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0)에 의해 분할된 케이싱 내에 위치된다. 케이싱 내에는, 교반 나사(10g, 10h)가 케이싱 내에서 토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도시 안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케이싱 내로 공급된 후에, 토너는 교반 나사(10g)의 종단부 중 하나에 인접하여 케이싱 내에 착륙하고, 교반 나사(10g)에 의해 교반되면서 다른 종단부쪽으로 이송된다. 다른 종단부에 도달하면, 토너는 격벽(10f) 내의 구멍을 통해 격벽(10)의 다른 측면 상의 공간 내로 이동하고, 교반 나사(10h)에 의해 교반되면서 다시 반대쪽 종단부, 즉 이송되기 시작한 종단부로 이송된다. 그런 후에, 토너는 격벽(10) 내의 다른 구멍을 통해 본래의 공간으로 다시 이동된다. 즉, 토너는 교반 나사(10g, 10h)에 의해 교반되면서 케이싱 내에서 순환한다.
이 시점에서, 2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자석 브러시에 기초한 현상 방법을 사용하는 현상 장치(4)의 사용에 의해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는 현상 과정을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시스템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현상 슬리브(10d)가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는 자석(10c)의 극성에 의해 현상 슬리브(10d)의 주연면으로 픽업된다. 그런 후에, 현상 슬리브(10d)가 더욱 회전함에 따라, 현상 슬리브(10d)의 주연면 상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10d)의 주연면에 수직 위치된 조절 블레이드(10e)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그 결과, 현상제의 박막 층이 현상 슬리브(10d)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 슬리브(10d)가 더욱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의 박막 층 내의 현상제 입자들은 자석의 주 극성, 즉 자석(10c)의 현상 극성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브러시의 형태로 응집된다. 감광 드럼(7) 상의 잠상은 브러시 형상의 현상제 입자들의 응집물 내의 토너 입자들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가시화)된다. 그후, 현상제의 박막 층은 반발적 자기장에 의해 현상제 용기(10a)로 회수된다.
현상 슬리브(10d)에 DC 및 AC 전압이 전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인가된다. 2개 구성 요소 계통 현상 방법의 경우에, AC 전압의 인가는 일반적으로 현상 효율을 높이고, 화상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화상에 "포그(fog)"가 생기게 하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AC 전압이 인가되면, 일반적으로 현상 슬리브(10d)에 인가되는 DC 전압과 감광 드럼(7)의 표면 대전 사이에는 전위차가 형성되어, 현상 과정 중에 감광 드럼(7)의 비화상 영역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현상된 토너 화상은, 무단 벨트(4a), 구동 롤러(4b), 피동 롤러(4c) 및 2차 전사용 역회전 롤러(4d)를 포함하는 중간 전사 장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4a)에 전사된다. 무단 벨트(4a)는 롤러(4b, 4c, 4d) 둘레에 인장되어 도1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사 벨트(4a)의 루프 내에는, 전사 대전 롤러(4Y, 4M, 4C, 4Bk)가 고전압원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면서, 즉 토너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대전되면서, 감광 드럼(7)에 대항하여 벨트(4a) 상에 압력을 가하도록 벨트 루프의 내측면 상에서 벨트(4a)와 접촉하게 설치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감광 드럼(7) 상의 토너 화상은 상부 측면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4a)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4a)의 재료로는 폴리이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우레탄, 및 플루오르화 고무 및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와 같은 다른 절연 플라스틱이 사용되어 양호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 전사 후에, 소정량의 토너가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한다(전사 잔여 토너). 이런 전사 잔여 토너가 대전 장치를 통과할 때 지나가면, 다음 화상 형성 중에 잔류 화상(잔류 토너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친 감광 드럼(7)은 소정 전위 수준으로 대전되는 데 실패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선행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친 다음 화상은 밝거나 어둡게 된다(이하, 이런 현상을 소위 고스트라 한다). 즉, 전사 잔여 토너는 대전 자석 브러시가 감광 드럼(7)과 접촉해 있는 대전 스테이션을 통과한 후에, 잔류 화상 또는 잔류 토너에 의해 형성된 화상은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잔류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7)이 회전함에 따라 전사 잔여 토너가 대전 스테이션을 통과할 때, 전사 잔여 토너가 자석 브러시 계통 대전 장치(8) 내로 안내되어, 선행 화상의 이력이나 흔적이 제거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사 잔여 토너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AC 전압이 자석 브러시 계통 대전 장치(8)에 인가되면, 진동하는 전기장이 감광 드럼(7)과 대전 장치(8) 사이에 생성되어 토너가 대전 장치(8) 내로 더욱 용이하게 안내되게 한다. 비록 많은 경우에 감광 드럼(7) 상의 잔류 토너가 전사 과정 중에 발생하는 분리 토출 등에 의해 생성되는 양전하 토너 입자 및 음전하 토너 입자의 혼합이더라도, 전사 잔류 토너가 자기 브러시계 대전 장치(8) 내에 쉽게 취해질 수 있는 것을 고려하며, 전사 잔류 토너의 극성이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브러시(11)는 대전 바이어스와 반대 극성을 갖는 바이어스를 인가하도록 중간 전사 장치(4)와 자기 브러시계 대전 장치(8) 사이에 감광 드럼(7)과 접촉 위치된다. 이런 배치로, 전사 잔류 토너 내의 양전하 토너 입자는 자기 브러시계 대전 장치(8)를 지나가는 반면, 전사 잔류 토너 내의 음전하 토너 입자는 전도성 브러시(11)에 의해 일시적으로 포획되어서, 그의 음극을 잃고, 감광 드럼(7) 상에 다시 뿜어진다. 본 공정은 전사 잔류 토너가 자기 브러시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게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 구조)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 BY, BM, BC 및 BB)는 서로 연결된 현상 유닛(D) 및 대전 유닛(C)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D)에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현상 수단(10) 및 드럼(7)과 세척 수단(10)이 장착된 현상 유닛 프레임(12)이 마련된다. 대전 유닛(C)에는 롤러(3a), 블레이드(8c), 브러시(11) 등이 장착된 대전 유닛 프레임(13)과, 대전 롤러(8a)와, 조절기 블레이드(8c)와, 대전 브러시(11)가 마련된다. 연결된 현상 유닛(D) 및 대전 유닛(C)은 (도4의) 전방 커버(16) 및 커버(17)에 의해 전후방측이 각각 덮여서 그들을 서로에 대해 적절히 위치시킨다.
도2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위치(a, b) 사이에서 움직임으로써 전사 개구를 폐쇄 또는 노출시키는 셔터(18)도 마련된다. 전사 개구는 현상 유닛 프레임(12)과 대전 유닛 프레임(13) 사이에 마련된다. 셔터(1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에 있을 때 감광 드럼(7)이 외부 빛에 노출되거나 잘못 다룸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설치한 후에 감광 드럼(7)이 중간 전사 벨트(4a)와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구성품이다.
바이어스가 전도성 브러시(11)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 장치(4)의 일측 상에서 전도성 브러시(11)에 전기적으로 부착한다. 만일 전사 잔류 토너가 전도성 브러시(11)에 어느 정도 이상의 양만큼 부착하면,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되거나 이동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떨어지고, 떨어진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교환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위치되는 책상, 마루 바닥의 표면, 또는 사용자의 옷 그리고 손을 오염시킨다. 셔터(18)는 이런 종류의 문제를 방지하는데 또한 효과적이다.
도3 내지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BY, BM, BC 및 BB)의 투영도로서, 도3은 정면도, 도4는 우측면도, 도5는 좌측면도, 도6은 평면도, 그리고 도7은 후면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부 사시도로서, 도8은 우측 정면 코너 위에서 대각선 방향에서 본 도면, 도9는 우측 후면 코너 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본 도면, 그리고 도10은 우측 후면 위에서 대각선 방향에서 본 뒤집힌 도면이다. 도3 내지 도10에서 셔터(18)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2에서, 대전 유닛(C)은 대전 유닛 프레임(13)과 대전 유닛 프레임(13) 내에 일체로 배치된 대전 롤러(8a), 조절기 블레이드(8c) 및 대전 브러시(11)를 포함한다. 도2, 도4, 도8, 도9 및 도10에서, 대전 유닛 프레임(1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부 쉘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2 및 도10에서,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바닥 코너벽(13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감광 드럼(7)에 평행 연장되어, 감광 드럼(7)의 주연면으로부터 작은 간극을 유지한다. 바닥 코너벽(13a)으로부터, 벽(13a)은 사실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고 상부에서 내향 굴곡하여, 코너부(13c)를 형성한다. 코너부(13c)의 내부 모서리로부터, 상부벽(13d)은 사실상 수직 연장하여, 대략 키이 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전 유닛 프레임(13)을 제공한다. 상부벽(13d) 아래에는 빈 공간이 있다. 대전 유닛 프레임(13)에는 대전 유닛 프레임(13)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품 부착부(13e, 13f)가 마련되어, 하나에 대해 하나씩 종단부에 위치된다.
도11은 내부에서 본 대전 유닛(C)의 측면도이다. 대전 유닛 프레임(13)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설치되는 방향에서 보아 트레일링 측 상에 대전 롤러 베어링(22) 및 단부 커버(23)가 마련되며, 이것들은 베어링(22) 및 커버(23) 모두에 걸쳐 놓인 나사에 의해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종방향 단부에 부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정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대전 유닛(C)의 다른 종방향 단부에는 나사를 사용하여 대전 유닛 프레임(13)에 고정된 기어 유닛(24)이 마련된다.
내부에서 볼 때 대전 유닛(C)의 측면도인 도12에서, 조절기 블레이드(8c) 및 지지판(8d)이 제거된 상태로, 한 쌍의 블레이드 부착 시트(13g), 즉 구성 요소 부착부(13e, 13f)에서 조금 상승된 편평부에는 암형 나사(13h) 및 다우얼형 돌출부(13ia)가 마련된다. 대응 시트(13g)에서 조금 함몰된 편평부는 스펀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편평부에 붙여진 실링 부재(21g)로 덮여있다. 또한, 대전 유닛(C)에는 펠트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한 쌍의 실링 부재(21b)가 제공되고, 현상기가 대전 롤러(8a)의 축의 외주면을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실링 부재(21b)는 대전 롤러(8a)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한 반원통형 밀봉부(8a1)의 내면을 따라 하나씩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종방향 단부들에 부착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수직인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일부의 단면 형상은 호형이고, 그 초점은 대전 롤러(8a)의 축선 상에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금속 재료로 형성된 조절기 블레이드(8c)는 대전 롤러(8a)로부터 작은 간극을 보유하는 소형 나사(8j)를 사용하여 금속 지지 판(8d)에 고정된다. 금속 지지판(8d)은 홈형 단면을 갖는다. 금속 지지판(8d)은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시트부(13g)의 다우얼형 돌출부(13i) 둘레에 끼워맞춤되고, 금속 지지판(8d)의 구멍을 통해 배치된 소형 나사(8k)가 시일부(13g)의 암형 나사 구멍(13h)에 나사 결합될 때, 금속 지지판(8d)은 실링 부재(21a)를 가압하면서 시트부(13g)와 접촉된다. 또한, 이런 금속 지지판(8d)의 부착중에, 실링 부재(21a)는 시트부(13g)에 인접한 부분을 가로질러 금속 지지판(8d)에 의해 가압된다. 금속 지지판(8d)은 상당히 견고하고, 양 종방향 단부들에 의해 대전 유닛 프레임(13)에 고정되며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견고성을 보강한다. 구성 요소 부착부(13e)로부터 구성 요소 부착부(13f)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금속 지지 부재(8d)에 고정된 금속 지지판(8d)의 후면에는 이면 부재(25)가 있다.
(대전 유닛의 부착)
대전 유닛(C)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의해 둘러싸이고 도2에 도시된 피봇 축(SC)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후방 측면 상의 종방향 단부에서 대전 유닛 프레임(13)에 고정된 기어 유닛(24)에는 원통형 샤프트부(26a)가 제공되고, 그 위치는 전술한 피봇 축(SC)의 위치에 대응하며, 반면에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다른 종방향 단부에서 단부 덮개(23)에는 원통형 구멍(23a)이 제공되고, 그 위치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축(SC)의 위치에 대응한다.
도2를 보면, 현상 유닛 프레임(12)은 하부(12f), 측벽부(12g), 단부벽(12h)(후방) 및 단부벽(12i)(전방)을 포함한다. 하부(12)는 격벽(10f)에 의해 분리된 전술한 교반 나사(10g, 10h)를 보유하고, 직사각형 블레이드(10e)가 부착된 한 쌍의 시트부(12e)를 마련한다. 측벽부(12g)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상류측으로부터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벽을 구성한다. 단부벽(12h, 12i)은 도13, 도14,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 단부들을 구성한다. 단부벽(12h)에는 구멍(12j)이 제공되고, 그 구멍에서 베어링이 대전 유닛(C)의 전술한 원통형 샤프트부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도록 끼워맞춤된다. 단부벽(12i)에는 구멍(12m)이 제공되고, 그 직경은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원통형 구멍(23e)의 직경과 동일하다. 대전 유닛(C)을 현상 유닛 프레임(12)과 결합할 때, 대전 유닛(C)의 원통형 구멍(23)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i)의 구멍(12m)과 정렬되고, 대전 유닛(C)의 원통형 샤프트부(26a)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h)의 구멍(12j) 내에 삽입된다. 그후, 후방 덮개(17),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선단 측면 상의 덮개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종방향 단부와 정렬되고, 후방 덮개(17) 내의 공간에서 종방향으로 돌출된 중공 원통부의 형태인 샤프트 지지부(17a)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구멍(12j)에 끼워맞춤되고, 원통형 샤프트부(26a)는 샤프트 지지부(17a)의 원통형 중공부로 끼워맞춤된다. 전방 측면에서, 구멍(12m)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대전 유닛(C)의 구멍(23a)으로 끼워맞춤되도록, 지지 샤프트(27)(도11 및 도14)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i)의 구멍(12m)을 통해 배치된다. 결국, 대전 유닛(C)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의해 선회식으로 지지되고, 원통형부(26a), 즉 대전 유닛(C)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는 단부 덮개(17)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며, 다른 종방향 단부 상의 대전 유닛(C)의 구멍(23a)의 벽은 지지 샤프트(27)에 의해 지지된다.
도6 및 도8을 참조하면,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상부 측면에서, 상부벽(29)은 소형 나사(28)를 사용하여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고정되고, 따라서 상부벽(29)의 모서리를 안내부(12a)로, 즉 내측면 상에서 측벽(12g)의 상부 및 단부벽(12h)으로 끼워맞춤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부벽(29)에는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압축 스프링(30)을 각각 보유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29a)가 제공되고, 스프링(30)은 상부벽(29) 및 대전 유닛 프레임(13) 사이에 가압된다. 대전 유닛(C)은 대전 유닛(C)을 피봇 축(S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방향으로 이런 코일 스프링(30)에 의해 발생된 압력하에서 유지된다.
도11을 참조하면, 대전 롤러(8a)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는 축받이부(8a2)가 제공되고, 그 축받이부는 대전 롤러의 주요부보다 직경이 작고 그와 동축상이며 자유 회전 이격 링(8n)과 끼워맞춤된다. 이격 링(8n)은 화상 형성 범위의 외측부에서 전술한 압축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감광 드럼(7)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전술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a)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대전 롤러(8a) 및 감광 드럼(7)은 그 외주면들의 이동이 서로 반대가 되고 그 외주면들 사이의 간극이 가장 작고 대전 롤러(8a) 및 감광 드럼(7)의 외주면들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방향으로 유입되는 전사-잔류 토너가 대전 장치의 도포에 의해 수집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전술한 구조를 참조하면, 피봇 축(SC)과 대전 롤러(8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대전 롤러(8a)의 중심과 감광 드럼(7)을 연결하는 선에 거의 직각이다.
도2를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10d)는 가압점(S1v)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여 현상 유닛 프레임(12)을 향해 또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으로부터 이동되도록 현상 프레임(12)에 부착된다. 도17을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10d)의 각 종단부에는 현상 슬리브(10d)의 본체보다 직경이 더 작고 본체보다 직경이 현상 간극에 상당하는 양만큼 더 큰 이격 링(10j)과 함께 끼워 맞춤되는 저널부(10d1)가 구비된다. 또한, 저널(10d1)은 이격 링(10j)의 외측의 피봇 아암(32)과 함께 끼워 맞춰진다.
피봇 아암(32)과 그 인접부의 단면도인 도18을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10d)에 직각인 평면에서, 피봇 아암(32)의 기부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을 통해 종방향으로 놓인 지지 샤프트(33, 피봇 축)에 의해 피봇식으로 지지되며,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양 단부벽(12h, 12i) 내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피봇 아암(32)에는 지지 샤프트(33) 위에 대략 일직선으로 위치된 베어링 구멍과, 베어링 구멍(32a) 위에 위치된 정지부(32b)가 구비된다. 또한, 피봇 아암(32)에는 스프링 시트(37c)가 구비되며, 그 표면은 가압 중심(S1v), 즉, 지지 샤프트(33)의 중심과 베어링 구멍(32a)을 연결하는 선에 대략 직각이다.
현상 슬리브(10d)의 각각의 종단부에 위치된 저널부(10d1)는 피봇 아암(32)의 베어링 구멍(3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 시트(32c)와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12h(12i))에 구비된 스프링 시트(12n) 사이에서, 압축 스프링(35)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장치에서, 피봇 아암(32)은 가압 중심(S1v)(지지 샤프트(33)의 중심)을 중심으로 피봇 아암(32)을 감광 드럼(7)을 향해 피봇 운동시키는 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스프링(35)에 의해 발생된 압력 하에 유지되며, 이것은 또한 현상 슬리브(10d)의 둘레에 끼워맞춤된 이격 링(10j)을 화상 형성 범위 밖의 부분 상에서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과 접촉시킨다. 그 결과, 현상 슬리브(10d)의 주연 표면과 감광 드럼(7) 사이에서 소정의 간극(0.2 내지 10 mm)이 유지된다.
전술한 정지부(3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 현상 슬리브 커버(36)와 접촉함으로써 피봇 아암(32)이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외부(도18)로 피봇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을 완결한 후에, 정지부(32b)는 현상 슬리브 커버(36)와 접촉하지 않는다. 현상 슬리브 커버(36)는 전방 측면의 피봇 아암(32)으로부터 후방 측면의 피봇 아암으로 연장되며, 나사부를 갖춘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고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설치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조물)
첨부된 몇몇 도면, 예컨대, 도3 및 도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치에 있어 후미 측면으로부터 좌우 측면으로 각각 연장된 플랜지 형상의 안내부(12a, 29b)가 구비된다. 이들 안내부(12a, 29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설치되거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때 도1의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 대응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과 맞물린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전기 접촉부가 구비되며, 이것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설치됨에 따라 장치의 주 조립체 측면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고압 전원에 연결된 장치의 주 조립체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 및 도8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보아 후미측에 있으며 감광 드럼(7)에 연결되는 드럼 접지 접촉부(101)가 구비된다. 도7,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전도성 브러시(11)에 연결된 전도성 브러시용의 접촉부(102)와, 대전 롤러(8a)에 연결된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03)와, 현상 슬리브(10d)에 연결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04)가 구비된다. 접촉부(102, 103, 104)는 후방측,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보아 선단측에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후방측, 즉, 접촉부(102, 103, 104)와 동일한 측면에 있는 I.C. 장착 커넥터(105)가 구비된다. 커넥터(10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설치됨에 따라 장치의 주 조립체측의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와 연결되어, 장치의 주 조립체 상의 제어 장치가 화상 형성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I.C. 장착 커넥터(105) 내에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용 이력을 기록 또는 판독하도록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커플러 형상의 3개의 구동력 수용부가 구비되며, 그 회전축은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회전 축과 일치한다. 이것들은 후방측,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보아 선단측에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설치됨에 따라, 3개의 구동력 수용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대응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후방 측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후방벽으로부터 노출된 드럼 커플링(37d), 대전부 커플링(38), 및 현상부 커플링(39)이 구비된다.
(감광 드럼 지지 및 구동 수단)
드럼 커플링(37d)은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들에 고정된 드럼 플랜지(37)의 종방향 단부에서 제공된다.
도19는 감광 드럼(7)의 지지 방법과 감광 드럼(7)의 구동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감광 드럼(7)은 중공 알루미늄 실린더(7a)와, 알루미늄 실린더(7a)의 외주면 상에 피복된 감광 기층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7)에는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들의 작은 직경 부분을 알루미늄 실린더(7a) 내로 가압함으로써 구동측 및 비구동측 상에서 각각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들에 연결되는 한 쌍의 드럼 플랜지(37 및 41)가 제공된다. 드럼 샤프트(42)는 드럼 플랜지(37 및 41)의 중심을 관통하여 놓여 있다. 드럼 샤프트(42)의 일단부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i)에 제공되는 관통 구멍(12b)을 통해 끼워진다. 핀(43)은 반경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42)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가압되며, 핀(43)은 비구동측 상의 드럼 플랜지(41)의 외향면 내에 위치되고 비구동측 상의 드럼 플랜지(41)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밖으로 연장되는 직선 홈 내에 정확하게 끼워진다. 드럼 샤프트(42)와 드럼 실린더(7a) 사이를 전기 접속하기 위해, 비구동측 상의 드럼 플랜지(41)에는 드럼 플랜지(41)의 내향면에 고정된 전도성 스프링(44)이 제공된다. 전도성 스프링(44)이 드럼 플랜지(41)에 고정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스프링(44)은 드럼 플랜지(41)에 제공되는 다우얼형 돌출부(41b) 주위에 끼워지고, 다음에 다우얼형 돌출부(41b)는 용융 및 응고된다. 전도성 스프링(44)의 일단부는 스프링(44)의 탄성 때문에 드럼 실린더(7a)의 내향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스프링(44)의 타단부도 스프링(44)의 탄성 때문에 드럼 샤프트(42)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i)에 부착된 드럼 접지 접촉부(101)의 일단부는 접촉부(101)의 탄성 때문에 드럼 샤프트(42)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제공되는 상기 드럼 접지 접촉부(101)의 타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노출되고, 외부 접촉부로서 역할을 한다.
단부벽부(12i)에는 관통 구멍(12b)을 양방향으로 지지하는 드럼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홈(12c)이 제공되어, 핀(4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 동안에 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단부벽부(12i)를 관통하여 놓일 수 있다.
구동측 상의 드럼 플랜지(37)는 내부로부터 순서에 따라 드럼 실린더(7a) 내로 끼워지는 부착부(37a)와, 드럼 실린더(37a)의 종방향 단부와 접촉되는 리브부(37b)와, 리브 부분(37b)의 직경보다 작은 저널부(37c)와, 저널부(37c)의 외면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형 커플러부(37d)를 포함한다. 구동측 상의 드럼 플랜지(37)는 성형된 단일편 구성 요소이다.
저널부(37c)는 칼라(56)가 저널부(37c)와 샤프트 지지부(17a)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h)의 구멍(12d) 내로 삽입된 후방 덮개(17)의 일체부인 샤프트 지지부(17a) 내에 회전되도록 끼워진다.
도20을 참조하면, 수형 커플러부(37d)은 꼬인 이등변 삼각형 프리즘 형태이다. 이러한 수형 커플러부(37d)의 외접원의 직경은 저널부(37c)의 외접원의 직경보다 작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되는 구동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고정된 모터(45)와, 피니언 기어(46)와, 중간 기어(47)와, 대형 기어(48)와, 대형 기어(48)용 샤프트(49)와, 대형 기어(48)용 샤프트(49)를 지지하는 베어링(51)과, 암형 커플러 샤프트(52)를 포함한다. 중간 기어(47)는 피니언 기어(46) 및 대형 기어(48)와 결합되고, 회전되도록 지지된다. 대형 기어(48)용 샤프트(49)는 대형 기어(48)에 고정되고, 샤프트(49)의 내향 단부에 압력 끼워맞춤되는 축 정렬부(57)이 제공된다.
베어링(51)은 대형 기어(48)용 샤프트(49)가 축방향 이동하지 않도록 대형 기어(48)용 샤프트(49)를 지지한다. 암형 커플러부(52a)에는 수형 커플러부(37d)가 축방향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꼬인 이등변 삼각형 프리즘 형태의 구멍이 제공된다. 수형 커플러부(37d)가 암형 커플러부(52b) 내로 결합될 때, 이등변 삼각형 프리즘 형태의 수형 커플러부(37d)의 종방향 모서리는 이등변 삼각형 프리즘 형태의 암형 커플러부(52a)의 대응면과 접촉된다. 결국, 수형 커플러부(37d)의 회전축은 암형 커플러부(52a)의 회전축과 정렬된다. 축 정렬부(57)의 외주면과 암형 커플러부의 내향면 사이에는 반경 방향 관점에서 매우 작은 간극이 제공되어, 반경 방향으로의 매우 작은 이동이 축 정렬부(57)에 제공된다. 암형 커플러 샤프트(52)는 샤프트(52)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압력 하에서 유지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에 대해 외향 이동될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내부 위치에서 유지된다.
드럼 샤프트(42)가 비구동측 상에 지지되는 드럼 샤프트(42)의 일부는 드럼 샤프트(42)가 비구동측을 향해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드럼 샤프트(42)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토퍼 링(53)이 끼워진다.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부벽부(12i)에 고정된 전방 덮개(16)에 고정된 기어 케이스(54) 내에 끼워진 기어(55)는 드럼 샤프트(42) 주위에 끼워지고, 드럼 샤프트(42)는 샤프트 스토퍼 링(53)의 외향면이 축방향 관점에서 베어링 케이스(54)의 내향면과 접촉됨에 따라 비구동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대조적으로, 감광 드럼(7)의 피동측을 향한 이동은 드럼 플랜지(37)의 저널부(37c)의 주위로 끼워진 칼라부(56)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구조에 관해서는, 샤프트 지지부(17a)와 베어링(55) 사이의 거리는 베어링(55)을 향하는 샤프트 스토퍼 링(53)과 샤프트 지지부(17a)를 향하는 칼라부(56)의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되어 감광 드럼(7)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동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설치됨에 따라 카트리지 프레임[현상 유닛 프레임(12), 전방 커버(16) 및 후방 커버(17)]은 종방향으로 상기 장치 주 조립체(14)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드럼 샤프트(42)의 단부(42a)는 축 정렬부(57)의 중앙 구멍(57a) 내로 끼워지고, 수형 커플러부(37d)는 암형 커플러부(52a) 내로 끼워진다. 이어서, 모터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 기어(46), 중간 기어(47) 및 대형 기어(48)가 회전하여 암형 커플러 샤프트(52)가 대형 기어(48)용 기어축(49)과 축정렬부(57)를 통해 회전한다. 암형 커플러 샤프트(52)의 회전에 의해, 암수형 커플러부(37d, 52a)가 모두 비틀린 삼각 프리즘의 형태이고 그 비틀린 방향이 수형 커플러부(37d)가 암형 커플러부(52a)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수형 커플러부(37d)의 단부는 암형 커플러부(52a)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그 결과, 감광 드럼(7)은 축방향으로 정확히 위치된 암형 커플러 샤프트(52)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한다.
수형 커플러부(37d)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의 설치 직후에 암형 커플러부(52b)와 결합되지 않을 때, 수형 커플러부(37d)의 내향 표면은 암형 커플러부(52b)의 암형 커플러부(구멍; 52a)의 모서리로 가압되고, 따라서 암형 커플러 샤프트(52)는 암형 커플러 샤프트(52)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가압하는 스프링의 탄성에 대항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게 된다. 그러나, 수형 커플러부(37d) 및 암형 커플러부(52b)는 회전 상태가 동기화되는 순간에 즉시 상호 결합된다. 2개의 결합부 사이의 회전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감광 드럼(7)이 암형 커플러 샤프트(52)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감광 드럼(7)은 수형 커플러부(37d)의 내향 표면과 암형 커플러부(구멍; 52d)의 하부 표면 사이의 접촉 대신에 드럼 플랜지(37)의 저널부(37c) 주위에 끼워져서 리브(37b)와 접촉하는 칼라부(56)와 후방 커버(17)의 샤프트 지지부(17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정확히 위치되도록 상기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감광 드럼, 현상 수단, 및 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대전 수단을 일체로 마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구조적 형상, 즉 카트리지 프레임을 갖는 감광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적 형상과 감광 드럼의 구동력 수용부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상의 구동 부재와 결합 및 해제시키기 위한 구조적 형상이 또한 대부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및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을 일체로 마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제거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일체로 마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제거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카트리지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을 일체로 마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제거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예의 설명을 요약하고 보충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태양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a)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7), 현상제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기적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대전 수단(10),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7)을 지지하는 프레임(12) 및 현상 수단(10)을 마련한 현상 유닛(D)과, b)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8)을 마련한 프레임(13)을 포함하며; 프레임(13)은 대전 수단(8)을 지지하고 현상 수단(1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2)에 연결되거나 이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은 대전 수단(8)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태양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서, 대전 수단(8)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이 현상 수단(1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대전 수단 및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은 상호간에 정확히 위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서, 대전 수단(8)은 대전 롤러(8a)를 마련하고, 대전 수단(8)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의 회동 축은 감광 드럼(7)의 중심과 대전 롤러(8a)의 중심을 연결시키는 직선에 수직한 직선 상에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4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3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대전 롤러(8a)에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a) 사이에서 소정 간극을 보장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접촉하는 한 쌍의 링(8e)이 설비되고, 대전 롤러(8a)를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서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30)은 대전 수단(8)을 지지하는 프레임(13)과 현상 수단(10)을 지지하는 프레임(12)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대전 유닛은 구조가 간단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태양 내지 제4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대전 수단(8)은 자성 캐리어를 사용하는 자성 브러시형 대전 장치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6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5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대전 수단(8)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의 외주면의 이동 방향에 관하여 자성 브러시형 대전 장치의 상류측에 있는 전도성 브러시(11)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7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6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대전 바이어스에 대해 극성이 반대인 바이어스가 전도성 브러시(11)에 인가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8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3 태양 내지 제7 태양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대전 수단(8)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대전 롤러(8a)를 따라 대전 롤러(8a)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전 유닛 프레임(13)과,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일단부에 고정된 대전 롤러(8a)를 지지하는 베어링(22)과, 베어링(22)의 외부측에서 프레임(13)에 고정되고 대전 수단(8)을 지지하는 프레임(13)의 피벗 중심으로서 역할하며 구멍(23a)을 마련한 단부 덮개(23)와, 대전 유닛 프레임(13)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대전 수단(18)을 지지하는 프레임(13)의 피벗 중심으로서 역할하는 원통형 중공부(26a)를 마련한 기어 케이스(26)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9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8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기어 케이스(26)에는 대전 롤러(8a)를 지지하는 기어부가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9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구동력 수용부는 기어 케이스(26)의 원통형 중공부(26a) 내에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1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0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기어 케이스(26)는 구동력 수용부로부터 대전 롤러(8a)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부 구성 요소까지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24G)을 지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2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현상 수단(10)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현상 수단(10)의 현상 슬리브(10d), 현상 블레이드(10e),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및 대전 유닛(C)을 지지하는 현상 유닛 프레임(12)과,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들에 고정된 전방 및 후방 덮개(16, 17)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2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에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 부착되고 구동력 수용부로서 역할하는 비틀린 등변 다각형 프리즘 형태인 돌출부가 제공되며, 후방 덮개(17), 즉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 덮개에는 다각형 돌출부(37d)가 관통 노출되는 구멍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4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3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후방 덮개(17), 즉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 덮개에는 대전 유닛(C)의 구동력 수용부가 관통 노출되는 구멍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5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현상 수단(10)을 지지하는 프레임(12)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설치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6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5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설치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는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안내 레일을 따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는 안내부(12a, 29b)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7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6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안내부(12a, 29b)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종방향 상부 모서리들에 하나씩 위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8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7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현상 유닛 프레임(12)에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주구조물에 고정된 상부벽(29)이 제공되고, 안내부(12a)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주구조물의 일부인 반면에, 안내부(29b)는 상부벽(29)의 일부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19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8 태양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현상 유닛 프레임(12)에의 종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현상 유닛 프레임(12)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폭이 좁으며, 이것은 다중 칼라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줄인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형성하기 위해 대전 수단(8)과 결합하는 유닛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해서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수단(10)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및 현상 수단(1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21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0 태양에 따른 유닛에서, 현상 수단(10)을 지지하는 프레임(12)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전 수단(8)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3)을 피봇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형성하기 위해 대전 수단(8)을 마련한 유닛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8)과,
대전 수단(8)을 지지하고, 현상 수단(10)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2)과 연결될 수 있거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23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2 태양에 따른 유닛에서, 대전 수단(8)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에는 현상 수단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2)을 피봇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현상 수단(10))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D)과,
(b)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전 부재(대전기(8))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 중심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 회전 중심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전 유닛(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서 대전 유닛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격 롤러(10j))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 항목에 있어서, 대전 수단이 대전 롤러(8a)를 포함하며, 스토퍼가 종단부 각각에 마련되고, 스토퍼가 대전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접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 항목에 있어서, 대전 롤러에는 그 주연면 상에 자기 캐리어가 마련되고,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상기 자기 캐리어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 항목에 있어서, 대전 유닛은 그 일단부에 회전 중심이 될 부재(샤프트(26a))가 도입되도록 하는 구멍(23a)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이 될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 항목, 제2 항목, 제3 항목, 제4 항목 또는 제5 항목에 있어서, 대전 유닛이 대전 부재(8)와 조절 블레이드(8c)와 전도성 브러시(11)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블레이드가 대전 롤러(8a) 형태의 대전 부재의 주연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전도성 브러시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대전 롤러의 상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 항목에 있어서, 전도성 브러시가 대전 롤러에 인가된 대전 바이어스 전압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10)의 종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 및 탈거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전도성 브러시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는 브러시 바이어스 접점(102)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대전 롤러에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는 대전 바이어스 접점(103)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대전 롤러(슬리브, 10d)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점(104)이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 항목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 접점(1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점은 선단측과는 반대인 장착 방향에 대해 후연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도록 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10)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D)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전 부재(8)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 중심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 회전 중심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전 유닛(C)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b)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공급 롤러, 3d, 3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관련해서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강성이 큰 현상 유닛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정밀하게 위치되어서, 고화질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전 수단은 대전 유닛 형태이다. 따라서, 대전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사이에는 정밀한 간극이 형성되며, 대전 수단의 강성은 더 크다. 또한, 대전 유닛 및 현상 유닛은 뒤에 연결되도록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보다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과,
    (b)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 중심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 회전 중심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서 대전 유닛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수단은 대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종단부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대전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접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에는 그 주연면 상에 자기 캐리어가 마련되고,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상기 자기 캐리어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대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유닛에는 그 일단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부재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유닛은 대전 부재와 조절 블레이드와 전도성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블레이드는 대전 롤러 형태의 대전 부재의 주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브러시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대전 롤러의 상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브러시는 대전 롤러에 인가된 대전 바이어스 전압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 및 탈거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전도성 브러시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는 브러시 바이어스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대전 롤러에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는 대전 바이어스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대전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점이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기 접지시키는 접지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점은 선단측과는 반대인 장착 방향에 대해 후미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도록 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 중심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대전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 회전 중심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전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b)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9990063212A 1998-12-28 1999-12-28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00052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2563A JP2000194248A (ja) 1998-12-28 1998-12-28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98-372563 199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597A true KR20000052597A (ko) 2000-08-25

Family

ID=1850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212A KR20000052597A (ko) 1998-12-28 1999-12-28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42359B1 (ko)
EP (1) EP1016943A3 (ko)
JP (1) JP2000194248A (ko)
KR (1) KR20000052597A (ko)
CN (1) CN1258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377B2 (en) * 2002-06-15 2006-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color image using th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913B2 (ja) * 2000-10-24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リーブユニット取付方法
JP4677093B2 (ja) * 2000-12-2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162203A (ja) * 2001-09-13 2003-06-06 Canon Inc 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90227B2 (ja) * 2001-12-21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手段移動機構、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15917A (ja) 2002-01-24 2003-07-30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72362B2 (ja) 2002-03-14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84209B2 (ja)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80755B2 (en) * 2002-09-30 2005-12-27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3913153B2 (ja) * 2002-09-30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接点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14006B2 (ja) * 2002-09-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78100B2 (en) * 2002-09-30 2005-12-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JP3720802B2 (ja) * 2002-11-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747195B2 (ja) * 2002-11-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01733B2 (en) * 2003-01-21 2004-10-05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Printer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or refurbishing
JP3970217B2 (ja) *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5B2 (ja) * 2003-10-24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JP4086766B2 (ja) *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3885062B2 (ja) *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58749B2 (en) *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5074B2 (ja) * 2004-05-11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0882B2 (ja) * 2004-10-06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649B1 (ja) 2006-12-28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移動部材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50156B2 (ja) * 2011-09-09 2016-07-1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RU2593437C2 (ru) 2011-11-09 2016-08-1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и блок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JP5962379B2 (ja) * 2012-09-21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160325B2 (ja) * 2013-07-19 2017-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1536793S (ko) * 2015-03-31 2015-11-02
JP1536791S (ko) * 2015-03-31 2015-11-02
JP1536792S (ko) * 2015-03-31 2015-11-02
JP1536790S (ko) * 2015-03-31 2015-11-02
JP1536825S (ko) * 2015-05-27 2015-11-02
JP1536824S (ko) * 2015-05-27 2015-11-02
CN114153130A (zh) 2016-09-30 2022-03-08 佳能株式会社 调色剂盒和调色剂供应机构
MY197113A (en) 2016-09-30 2023-05-26 Canon Kk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JP2020148881A (ja) * 2019-03-13 2020-09-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787A (ja) * 1989-10-16 1991-06-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273987A (ja) * 1993-03-23 1994-09-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04635A (ja) * 1993-10-06 1995-04-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20195A (ja) * 1995-10-24 1997-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作像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371A (en) * 1980-02-04 1981-08-29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S59165073A (ja) * 1983-03-10 1984-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862212A (en) * 1987-03-03 1989-08-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2127652A (ja) 1988-11-08 1990-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4985330A (en) 1988-11-08 1991-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hotosensitive material for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2262673A (ja) * 1989-04-03 1990-10-25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471284A (en) 1990-01-19 1995-11-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depletion detection feature
US5235383A (en) 1990-08-31 1993-08-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5442421A (en) 1990-10-01 1995-08-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521693A (en) 1991-05-14 1996-05-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same
US5249026A (en) 1991-05-17 1993-09-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process cartridge mountable on same
JP3005114B2 (ja) 1991-07-19 2000-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前記クリーニング装置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585895A (en)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US5283616A (en) 1991-12-19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bearing for supporting a developing roller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44B1 (en) 1992-09-04 1997-03-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6806C (zh) 1992-09-04 1997-12-24 佳能株式会社 处理暗盒、装配处理暗盒的方法和成象设备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613060B1 (en) 1993-02-24 2003-06-2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having support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apparatus
US5966566A (en)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289689A (ja) 1993-04-01 1994-10-18 Hitachi Metals Ltd 画像形成方法
US5523825A (en) * 1993-09-17 1996-06-04 Sanyo Electric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echarger
JP3267465B2 (ja) 1994-06-24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596395A (en) 1994-09-21 1997-01-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system having a single device for moving a charging member and a transfer member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768658A (en) 1995-07-21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59245B2 (ja) 1995-10-25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869901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2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97590B2 (ja)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2465B2 (ja) *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11250B2 (ja) 1996-07-31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53938A (ja) 1996-09-26 1998-06-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69804B2 (ja) 1996-09-2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52370B2 (ja) 1996-11-14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7801B2 (ja) 1996-12-25 2002-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トナー容器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2043A (ja) 1997-0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50377A (ja) * 1999-02-26 2000-09-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34033A (ja) * 1999-07-15 2001-0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787A (ja) * 1989-10-16 1991-06-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273987A (ja) * 1993-03-23 1994-09-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04635A (ja) * 1993-10-06 1995-04-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20195A (ja) * 1995-10-24 1997-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作像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377B2 (en) * 2002-06-15 2006-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color image using th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2359B1 (en) 2002-08-27
EP1016943A2 (en) 2000-07-05
EP1016943A3 (en) 2001-05-16
CN1258865A (zh) 2000-07-05
JP2000194248A (ja) 200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259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3768706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248810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102131B1 (en) Space securing member, developing device,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US70855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898391B2 (en) Process cartridge, electric contac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345164B1 (en) Shutter pin and developing cartridge
US72723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rtridge including a photoconductive drum with axis shaft having a minimal rotational eccentricity,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16086B1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US7158749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223775A1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336905A2 (en) Stable mounting of 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021532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594454B2 (en) Electric contact member an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ic contact member
JP2002062735A (ja) 現像装置
JP7267781B2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EP2597534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371063B1 (ko) 현상 기구 및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에너지 공급부
US6654583B2 (en) Developing apparatus
US65228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detachably attachable thereto
US6411791B2 (en)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a developer charging member shaft and a holding member including a shaft guide groove
US114549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earing members for transfer roller
JP2001350320A (ja) 帯電ユニット取り付け方法及び帯電ユニット交換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