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637A - 자동 수정 시계 - Google Patents

자동 수정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637A
KR20000035637A KR1019990052347A KR19990052347A KR20000035637A KR 20000035637 A KR20000035637 A KR 20000035637A KR 1019990052347 A KR1019990052347 A KR 1019990052347A KR 19990052347 A KR19990052347 A KR 19990052347A KR 20000035637 A KR20000035637 A KR 2000003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and
stepping motor
tim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418B1 (ko
Inventor
가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오오쯔 마나부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쯔 마나부,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쯔 마나부
Publication of KR2000003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14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01Internal gear therefor, e.g. for setting the second hand or for setting several clockwor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또한 신속하게 시각(時刻) 수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20),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30), 전파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초침 기어(23), 분침 기어(34), 시침 기어(36)가 위치되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40),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 및 전파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각으로 수정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제1 구동 장치 및 제2 구동 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초침의 시각 수정, 분침 및 시침의 시각 수정을 행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 수정 시계{AUTOMATIC CORRECTABLE TIMEPIECE}
본 발명은 정시(正時) 신호 등의 시각(時刻) 신호를 받아 시각을 수정하는 자동 수정 시계에 관한 것이다.
자동 수정 시계 중 전파를 이용하는 전파 수정 시계는 라디오국에서 발신되는 소정 주파수, 예컨대 일본 표준시(標準時)를 높은 정밀도로 전하는 장파(長波)(40 kHz)인 표준 시각 전파(JG2AS)를 수신하고, 이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소위 영(0)으로의 리셋을 행하는 것으로, 이 0으로의 리셋시에, 지침(指針)의 위치를 정확히 정시 등에 맞추기 위해, 지침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침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6-222164호,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6-30793호 등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전파 수정 시계에는, 초침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 장치와, 분침 기어 및 시침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장치와, 초침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광 반사형 센서와, 분침 및 시침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광 반사형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광 반사형 센서 및 제2 광 반사형 센서는 각각 발광 소자 및 수광(受光) 소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기어 및 시침 기어에 각각 형성된 검출 구멍과, 초침 기어 및 별개로 설치한 회전판에 각각 형성된 광 반사부가 각각 일치하였을 때에, 수광 소자가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하여 지침 위치를 검출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 센서로서, 상기 광 반사형 센서 대신에 광 투과형 센서를 이용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 광 투과형 센서를 이용한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는, 초침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기어,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기어에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이 투과 구멍을 통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대향시켜, 각 투과 구멍이 대향하여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수광 소자에서 수광되었을 때에, 지침 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침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한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광 검출 센서로서, 초침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대응시킨 광 검출 센서와,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대응시킨 광 검출 센서를 각각 따로따로 설치하면, 광 검출 센서 2개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장치가 대형화되고, 또, 비용이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개의 구동 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광 검출 센서의 단일화를 꾀하고자 한 경우, 지침을 구동하는 2개의 구동 장치의 각각의 모터 등이 충격 혹은 그 밖의 외적 요인에 의해 각각 회전하여 위상 어긋남을 일으켰을 때에, 이들 위상을 맞추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지침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은 검출 구멍을 마련한 경우에는, 모든 검출 구멍이 일치할 때까지 시간을 요하여, 마찬가지로 지침의 위치 검출에 장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 검출 센서로서, 광 투과형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점차로 퍼져나가는 형태로 되는 경우도 있어, 오검출(誤檢出)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조립후에 있어서, 개략적인 시분(時分)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에 수납된 기어에 새겨진 표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구멍을 뚫으면, 이 구멍으로부터 분진 등이 침입하고, 또, 외부의 광이 침입하여 오검출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또한 신속하게 시각 수정을 행할 수 있는 자동 수정 시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정 시계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정 시계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자동 수정 시계의 일부인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자동 수정 시계의 일부인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제1 피프스 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초침 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초침 기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서드 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분침 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시침 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분침 파이프 및 시침 파이프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 시각의 수정 구동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수정 구동에 있어서, 분침 기어, 시침 기어 및 양자의 합성에 의한 검출 수단의 출력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 시각의 수정 구동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계 본체
11 : 하측 케이스(제2 케이스)
11c : 부착 오목부(제2 배치부)
11d : 원형 관통 구멍
12 : 상측 케이스(제1 케이스)
12c : 부착 오목부(제1 배치부)
12d : 원형 관통 구멍
13 : 내부판
20 : 제1 구동 장치
21 : 제1 스테핑 모터(제1 구동원)
22 : 제1 피프스 기어(제1 전달 기어, 제1 검출용 기어)
22c : 투과 구멍
23 : 초침 기어(제2 검출용 기어, 제1 지침 기어)
23c : 투과 구멍
23d : 위치 결정 차광부
23e : 부세 스프링
23f : 절결 구멍
23g : 절결 구멍
30 : 제2 구동 장치
31 : 제2 스테핑 모터(제2 구동원)
32 : 제2 피프스 기어
33 : 서드 기어(제2 전달 기어, 제3 검출용 기어)
33c : 투과 구멍
34 : 분침 기어(제4 검출용 기어, 제2 지침 기어)
34c : 원호상 투과 구멍
34d : 원호상 투과 구멍
34e : 원호상 투과 구멍
34g : 홈(제1 지표)
34p : 분침 파이프
35 : 미니트 기어
36 : 시침 기어(제5 검출용 기어, 제2 지침 기어)
36c : 원호상 투과 구멍
36d : 원호상 투과 구멍
36e : 원호상 투과 구멍
36g : 홈(제2 지표)
36p : 시침 파이프
40 : 광 검출 센서(검출 수단)
42 : 발광 소자
44 : 수광 소자
50 : 수동 수정 장치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다음과 같은 구성을 이루는 발명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자동 수정 시계는 제1 지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와, 제2 지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지침에 직결된 제1 지침 기어, 상기 제2 지침에 직결된 제2 지침 기어가 시각 신호에 기초한 소정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 및 시각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각으로 수정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시각의 자동 수정을 행하는 자동 수정 시계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구동 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제1 지침의 시각 수정 및 상기 제2 지침의 시각 수정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제1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와, 상기 제1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전달 기어와, 상기 제1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초침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제2 스테핑 모터와, 상기 제2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전달 기어와, 상기 제2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분침 기어와, 상기 분침 기어에 연동(連動)하여 회전 구동되는 시침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테핑 모터 및 제2 스테핑 모터를 동일 출력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한 쪽은 상기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일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온(on)으로 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투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다른 쪽은 상기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상기 홀수와의 사이에 공약수가 없는 짝수일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투과 구멍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는, 제1 지침에 직결되는 제1 지침 기어, 제2 지침에 직결되는 제2 지침 기어를 시각 신호에 기초한 소정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져 시각의 자동 수정을 행할 때에, 제어부가 시각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제1 지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와 제2 지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1 지침의 시각 수정, 제2 지침의 시각 수정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 장치 및 제2 구동 장치의 각각의 구동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성의 자동 수정 시계에 있어서, 제1 구동 장치가 제1 스테핑 모터와, 제1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전달 기어와, 제1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초침 기어를 구비하고, 제2 구동 장치가 제2 스테핑 모터와, 제2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전달 기어와, 제2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분침 기어와, 분침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시침 기어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스테핑 모터 및 제2 스테핑 모터를 동일 출력 주파수로 구동하여,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일 때에 검출 수단의 출력이 온으로 되도록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한 쪽을 회전 제어하고,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와의 사이에 공약수가 없는 짝수일 때에 검출 수단의 출력이 온으로 되도록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다른 쪽을 회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정 시계 중에서 특히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의 지침 위치 검출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이 지침 위치 검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수정 시계는 시계 본체(10)내에 있어서, 지침인 초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20)와, 지침인 분침 및 시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30)와, 초침, 분침 및 시침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 투과형 광 검출 센서(40)와, 이용자가 손으로 직접 시각을 맞추는 수동 수정 장치(50)와, 라디오국에서 발신되는 소정 주파수, 예컨대 일본 표준시를 높은 정밀도로 전달하는 장파(40 kHz)인 표준 시각 전파(JG2AS)를 수신하고, 이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소위 0으로의 리셋 등을 행할 때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계 본체(10)는 서로 대향 접속되어 윤곽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로서의 하측 케이스(11) 및 제1 케이스로서의 상측 케이스(12)와, 이 하측 케이스(11) 및 상측 케이스(12)로 형성되는 공간내의 대략 중앙부에 하측 케이스(11)와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내부판(13)을 구비하고 있고, 공간내의 하측 케이스(11), 내부판(13), 상측 케이스(12)의 소정 위치에 대하여, 제1 구동 장치(20), 제2 구동 장치(30), 광 검출 센서(40), 수동 수정 장치(50), 제어부 등이 고정 혹은 피봇 지지되어 있다.
제1 구동 장치(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コ자형의 고정자(21a), 이 고정자(21a)의 한쪽 다리 부재에 감겨진 구동 코일(21b), 이 고정자(21a)의 다른 쪽 자극(磁極)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자(21c)에 의해 구성된 제1 스테핑 모터(21)와, 회전자(21c)의 피니온(21c')에 대경(大徑) 기어(22a)가 맞물린 제1 전달 기어(제1 검출용 기어)로서의 제1 피프스 기어(22; fifth gear)와, 이 제1 피프스 기어(22)의 소경 기어(22b)에 맞물린 제2 검출용 기어(제1 지침 기어)로서의 초침 기어(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스테핑 모터(21)는 고정자(21a)가 내부판(13)에 얹혀 고정되고, 회전자(21c)가 내부판(13)과 상측 케이스(12)에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제1 피프스 기어(22)는 대경 기어(22a)의 톱니수가 60개, 소경 기어(22b)의 톱니수가 15개로 형성되고, 하측 케이스(11) 및 상측 케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그 대경 기어(22a)가 제1 스테핑 모터(21)의 회전자(21c)[피니온(21c')]와 맞물려 회전자(21c)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로 감속시킨다. 이 제1 피프스 기어(22)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침 기어(23)와 겹치는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중심각(α1)이 120°]으로 배치된 3개의 원형을 이루는 투과 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 구멍(22c)은 광 검출 센서(40)의 검출 광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 하나는 제1 피프스 기어(22)를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 구멍(각도 결정 구멍)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초침 기어(23)는 대경 기어(23a)의 톱니수가 60개로 형성되고, 그 축부의 일단이 상측 케이스(12)에 피봇 지지되며, 하측 케이스(11)측으로 관통된 내부판(13)의 타단측에는 초침축(23b)이 압입되어 있으며, 이 초침축(23b)은 후술하는 분침 파이프(34p)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고, 그 선단에 초침(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이 초침 기어(23)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제1 피프스 기어(22)와 겹치는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중심각(α2)이 30°]으로 배치된 11개의 원형을 이루는 투과 구멍(23c)과, 1곳만 피치가 다른 위치 결정 차광부(23d)[투과 구멍(23c)과 투과 구멍(23c)과의 중심각이 6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피프스 기어(22)의 투과 구멍(22c)이 위치 결정 차광부(23d)에 대향한 후에 최초로 투과 구멍(23c)과 대향할 때에, 초침이 정시를 가리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과 구멍(23c)은 광 검출 센서(40)의 검출 광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 중 하나는 초침 기어(23)를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 구멍(각도 결정 구멍)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 투과 구멍(23c)의 내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길고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의 부세(付勢) 스프링(23e)이 절결 구멍(23f)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원호상 부세 스프링(23e)은 초침 기어(23)를 그 회전축 방향으로 부세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 차광부(23d)는 둘레 방향에서 절결 구멍(23f)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2개의 절결 구멍(23f)이 도중에서 끊겨 떨어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 구멍(23f)과 위치 결정 차광부(23e)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차광부(23d)의 영역에서 검출 광이 절결 구멍(23f)으로 돌아 들어가지 않고, 확실하게 이 위치 결정 차광부(23d)에서 검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검출 광이 돌아 들어감에 따른 오검출을 일으키기 쉬운 절결 구멍(23f)을 마련한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 결정 차광부(23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 결정 차광부(23d)를 초침 기어(22)의 회전 각도 위치의 위치 결정에 이용함으로써 확실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초침 기어(22)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11개)의 투과 구멍(23c)을 마련하는 대신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차광부(23d)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투과 구멍(23c)만을 남기고, 그 밖의 투과 구멍(23c)을 각각 절결 구멍(23g)과 일체적으로 뚫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하면, 검출 광의 통과를 허용하는 부분에서, 검출 광의 통과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하고, 또, 초침 기어(22)를 형성하는 재료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30)는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コ자형의 고정자(31a), 이 고정자(31a)의 한쪽 다리 부재에 감겨진 구동 코일(31b), 이 고정자(31a)의 다른 쪽 자극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자(31c)에 의해 구성된 제2 스테핑 모터(31)와, 회전자(31c)의 피니온(31c')에 대경 기어(32a)가 맞물린 중간 기어로서의 제2 피프스 기어(32)와, 이 제2 피프스 기어(32)의 소경 기어(32b)에 대경 기어(33a)가 맞물린 제2 전달 기어(제3 검출용 기어)로서의 서드 기어(33; third gear)와, 이 서드 기어(33)의 소경 기어(33b)에 대경 기어(34a)가 맞물린 제4 검출용 기어(제2 지침 기어)로서의 분침 기어(34)와, 이 분침 기어(34)의 소경 기어(34b)에 대경 기어(35a)가 맞물린 중간 기어로서의 미니트 기어(35; minute gear)와, 이 미니트 기어(35)의 소경 기어(35b)에 맞물린 제5 검출용 기어(제2 지침 기어)로서의 시침 기어(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스테핑 모터(31)는 고정자(31a)가 내부판(13)에 얹혀 고정되고, 회전자(31c)가 내부판(13)과 상측 케이스(12)에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제2 피프스 기어(32)는 대경 기어(32a)의 톱니수가 60개, 소경 기어(32b)의 톱니수가 15개로 형성되고, 내부판(13) 및 상측 케이스(12)에 피봇 지지되며, 그 대경 기어(32a)가 제2 스테핑 모터(31)의 회전자(31c)[피니온(31c')]와 맞물려 회전자(31c)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로 감속시킨다. 또한, 이 제2 피프스 기어(32)로서는 전술한 제1 피프스 기어(22)를 유용, 즉, 투과 구멍(22c)이 마련된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행할 수 있어 제품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서드 기어(33)는 대경 기어(33a)의 톱니수가 60개, 소경 기어(33b)의 톱니수가 10개로 형성되고, 축부의 일단이 상측 케이스(12)에 피봇 지지되고, 타단측이 내부판(13)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피프스 기어(32)의 회전을 감속하여 분침 기어(34)에 전달한다. 또한, 서드 기어(3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초침 기어(23) 및 제1 피프스 기어(22)와 겹치는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중심각(α3)이 36°]으로 배치된 10개의 원형을 이루는 투과 구멍(3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 구멍(33c)은 광 검출 센서(40)의 검출 광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 중 하나는 서드 기어(33)를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 구멍(각도 결정 구멍)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분침 기어(34)는 대경 기어(34a)의 톱니수가 60개, 소경 기어(34b)의 톱니수가 14개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소경 기어(3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분침 파이프(34p)가 측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침 파이프(34p)의 일단부가 내부판(13)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타단측의 축부는 후술하는 시침 기어(36)의 시침 파이프(36p)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분침 파이프(34p)는 하측 케이스(11)를 관통하여 시계의 문자판(도시하지 않음)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분침(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분침 기어(34)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초침 기어(23), 제1 피프스 기어(22), 서드 기어(33)와 겹치는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긴 3개의 원호상 투과 구멍(34c, 34d, 34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호상 투과 구멍(34c)과 원호상 투과 구멍(34d)은 중심각(α5)으로 30° 이격되어 형성되고, 원호상 투과 구멍(34d)과 원호상 투과 구멍(34e)은 중심각(α6)으로 30° 이격되어 형성되며, 또, 원호상 투과 구멍(34e)과 원호상 투과 구멍(34c)은 중심각(α7)으로 60°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원호상 투과 구멍(34e)과 원호상 투과 구멍(34c)과의 사이에 가장 폭이 넓은 차광부(A)가 형성되고, 원호상 투과 구멍(34c)과 원호상 투과 구멍(34d)과의 사이 및 원호상 투과 구멍(34d)과 원호상 투과 구멍(34e)과의 사이에 상기 차광부(A)보다도 폭이 좁은 차광부(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상 투과 구멍(34c)은 일단측의 원형부(34c')와, 타단측에서부터 연장되는 폭이 넓은 원호부(34c'')와, 양자를 연결하는 폭이 좁은 원호부(34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폭이 좁은 원호부(34c''')에 의해 구획되는 원형부(34c')는 검출 광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분침 기어(34)를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 구멍(각도 결정 구멍)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시침 기어(36)는 대경 기어(36a)의 톱니수가 40개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원통형의 시침 파이프(36p)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시침 파이프(36p)의 내부에 전술한 분침 파이프(34p)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시침 파이프(36p)는 하측 케이스(11)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11a)에 삽입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또, 그 선단측은 하측 케이스(11)를 관통하여 시계의 문자판(도시하지 않음)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시침(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침 기어(36)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초침 기어(23), 제1 피프스 기어(22), 서드 기어(33), 분침 기어(34)와 겹치는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긴 3개의 원호상 투과 구멍(36c, 36d, 36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호상 투과 구멍(36c)과 원호상 투과 구멍(36d)은 중심각(α8)으로 45° 이격되어 형성되고, 원호상 투과 구멍(36d)과 원호상 투과 구멍(36e)은 중심각(α9)으로 60° 이격되어 형성되며, 또, 원호상 투과 구멍(36e)과 원호상 투과 구멍(36c)은 중심각(α10)으로 30°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원호상 투과 구멍(36c, 36d, 36e)의 길이는 중심각(β1+β2, β3, β4)이 각각 75°, 60°, 9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원호상 투과 구멍(36e)과 원호상 투과 구멍(36c)과의 사이에 가장 폭이 좁은 차광부(C)가 형성되고, 원호상 투과 구멍(36c)과 원호상 투과 구멍(36d)과의 사이에 차광부(C)보다도 폭이 넓은 차광부(D)가 형성되고, 원호상 투과 구멍(36d)과 원호상 투과 구멍(36e)과의 사이에 차광부(D)보다도 폭이 넓은 차광부(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상 투과 구멍(36c)은 일단측에서부터 중심각(β1)으로 7.5°인 곳에 위치하는 원형부(36c')와, 타단측에서부터 연장되는 폭이 넓은 원호부(36c'')와, 양자를 연결하는 동시에 원형부(36c')의 양측에 위치하는 폭이 좁은 원호부(36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폭이 좁은 원호부(36c''')에 의해 구획되는 원형부(36c')는 검출 광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시침 기어(36)를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 구멍(각도 결정 구멍)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미니트 기어(35)는 대경 기어(35a)의 톱니수가 42개, 소경 기어(35b)의 톱니수가 10개로 형성되고, 하측 케이스(11)에 형성된 돌출부(11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대경 기어(35a)가 분침 파이프(34p)에 형성된 소경 기어(34b)에 맞물리고, 또, 소경 기어(35b)가 시침 기어(36)(36a)에 맞물려 분침 기어(34)의 회전을 감속시켜 시침 기어(36)에 전달한다.
광 검출 센서(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12)의 벽면에 고정된 회로 기판(41)에 부착된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42)와, 이 발광 소자(42)에 대향하도록 하측 케이스(11)의 벽면에 고정된 회로 기판(43)에 부착된 포토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수광 소자(4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42) 및 수광 소자(44)는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여러 가지 검출 신호 및 제어 신호 등의 전달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제1 피프스 기어(22), 초침 기어(23), 서드 기어(33), 분침 기어(34), 시침 기어(36) 모두가 동시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프스 기어(22)의 투과 구멍(22c), 서드 기어(33)의 투과 구멍(33c), 초침 기어(23)의 투과 구멍(23c), 분침 기어의 투과 구멍(34c)(34d, 34e), 시침 기어(36)의 투과 구멍(36c)(36d, 36e)이 서로 겹쳤을 때에, 발광 소자(42)로부터 발광된 검출 광이 수광 소자(44)에 의해 수광되고, 초침, 분침, 시침이 정시 등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42)는 상측 케이스(12)의 외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배치부로서의 부착 오목부(12c)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부착 오목부(12c)의 저면에는 소정 직경의 원형 관통 구멍(12d)이 뚫려 있다. 이 원형 관통 구멍(12d)은 발광 소자(42)로부터 발광되는 검출 광이 점차로 퍼져나가는 형태로 넓어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 넓어진 부분의 광을 차단하고 수속된 광만을 통과시켜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광 소자(44)는 하측 케이스(11)의 외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2 배치부로서의 부착 오목부(1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부착 오목부(11c)의 저면에는 소정 직경의 원형 관통 구멍(11d)이 뚫려 있다. 이 원형 관통 구멍(11d)은 발광 소자(42)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투과 구멍을 통과하여 온 광만을 가능한 한 통과시켜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피프스 기어(22), 서드 기어(33), 초침 기어(23), 분침 기어(34), 시침 기어(36)를 조립하는 경우는, 소정의 위치 결정 핀이 하측 케이스(11)의 원형 관통 구멍(11d), 위치 결정용으로서 이용되는 각각의 투과 구멍 및 상측 케이스(12)의 원형 관통 구멍(12d)을 관통하도록 순차로 조립한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12) 및 하측 케이스(11)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후, 위치 결정 핀을 뽑아 내고, 관통 구멍(12d)이 위치하는 부착 오목부(12c)에 발광 소자(42)를 부착하며, 또, 관통 구멍(11d)이 위치하는 부착 오목부(11c)에 수광 소자(44)를 부착한다.
이로써, 관통 구멍(12d, 11d)은 완전히 폐색되어, 상측 케이스(12) 및 하측 케이스(11)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외부의 광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광이 침입함에 따른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시의 위치 결정 구멍과 광 검출용의 투과 구멍을 겸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멍을 따로따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의 집약화,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수동 수정 장치(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분침 기어(34)의 소경 기어(34b) 및 시침 기어(36)의 대경 기어(36a)에 맞물리는 미니트 기어(35)와, 이 미니트 기어(35)의 대경 기어(35a)에 맞물리는 기어(51a)를 갖는 수동 수정축(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동 수정축(51)은 상측 케이스(12)의 외부에 위치되어져 이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만질 수 있는 헤드부(51b)와, 이 헤드부(51b)에서부터 연장되고 상측 케이스(12)에 형성된 개구(12e)에 삽입 관통되어 하측 케이스(11)에 형성된 돌출부(11e)에 대하여 피봇 지지된 기둥형 부분(51c)으로 이루어지며, 이 기둥형 부분(51c)의 하측 영역에 기어(51a)가 형성되어 있다.
수동 수정축(51)은 분침 기어(34)와 같은 위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술한 제2 구동 장치(30)에 의해 분침 기어(34)가 구동되고 있을 때에는 미니트 기어(35)를 통해 분침 기어(34)와 동일 위상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 구동 장치(30)의 비작동시에는 헤드부(51b)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침 위치를 수동 수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침 기어(23)의 초침축(23b)이 분침 기어(34)의 분침 파이프(34p)에 삽입 관통되고, 분침 기어(34)의 분침 파이프(34p)가 시침 기어(36)의 시침 파이프(36p)에 삽입 관통되어 있으므로, 초침 기어(23)와, 분침 기어(34)와, 시침 기어(36)는 각각의 회전 중심축이 공통되어 있고, 또, 시각을 표시할 때에, 초침이 60초 동안에 1회전, 분침이 60분 동안에1회전, 시침이 12시간에 1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분침 기어(34)의 분침 파이프(34p)의 선단부 및 시침 기어(36)의 시침 파이프(36p)의 선단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소정 폭을 이루며 연장되는 위치 결정을 위한 제1 지표로서의 홈(34g) 및 제2 지표로서의 홈(36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34g) 및 홈(36g)이 일직선에 나란히 위치되었을 때에 소정 시각, 예컨대 12시 00분을 가리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지표를 설치함으로써,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를 하측 케이스(11) 및 상측 케이스(12)로 둘러싸서 덮어 버린 후에도, 홈(34g 및 36g)이 일직선에 나란히 위치하여 있으면 미리 설정된 개략의 시각을 가리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를 기초로 하여 분침 및 시침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위치 맞춤 및 위치 확인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라인 및 검사 라인에서의 제조 시간 및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지표로서는 상기한 홈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점 등의 마크라도 좋다.
이어서, 본 전파 수정 시계의 시각 수정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시각 수정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피프스 기어(22), 초침 기어(23), 서드 기어(33), 분침 기어(34), 시침 기어(36)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테핑 모터(21) 및 제2 스테핑 모터(31)의 스텝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때, 제1 피프스 기어(22)는 제1 스테핑 모터(21)의 스텝 구동에 의해, 15스텝으로 1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그 결과, 초침 기어(23)는 60스텝으로 1회전한다. 한편, 서드 기어(33)는 제2 스테핑 모터(31)의 스텝 구동에 의해, 60스텝으로 1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그 결과, 분침 기어(34)는 360스텝으로 1회전하고, 시침 기어(36)는 4320스텝으로 1회전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리셋 혹은 전원 투입시에, 스타트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발광 소자(42), 즉 발광 다이오드가 소정의 출력 주파수로 기동되어 검출 광을 발한다(S1). 계속해서, 제1 스테핑 모터(21)가 펄스 구동되고(S2), 수광 소자(44), 즉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3).
여기서,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는 스텝 구동을 행하기 위한 펄스수를 가산할 때마다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고(S4), 펄스수가 9에 달하더라도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는 제2 스테핑 모터(31)가 1스텝(펄스) 구동되고(S5), 그 후 다시 제1 스테핑 모터(21)가 스텝 구동되어(S2) 초침 기어(23)가 회전 구동된다.
한편,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이 있는 경우는 초침 기어(23)가 빨리 감겨지고(S6), 제어부에 미리 기억된 출력 패턴과의 비교가 행해지며(S7),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초침 기어(23)가 빨리 감겨진다. 한편,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한 경우는, 그 시점(5번째 스텝에서도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다음에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를 얻었던 시점)에서 초침 기어(23)를 정지하고(제1 스테핑 모터(21)를 멈춤), 초침 기어(23)를 0으로 리셋시키는 위치까지 구동하여 정지한다(S8). 이 때, 초침은 소정 시각, 예컨대 정시(0초)의 위치로 수정된다.
계속해서, 제2 스테핑 모터(31)만을 소정의 출력 주파수로 펄스 구동하여 분침 기어(34)를 빨리 감는다(S9). 그리고,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 패턴과 제어부에 미리 기억된 출력 패턴과의 비교가 행해지고(S10),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다시 분침 기어(34)가 빨리 감겨진다. 한편,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제2 스테핑 모터(31)를 멈추어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의 구동을 정지한다(S11).
여기서, 상기 출력 패턴과 미리 기억된 패턴과의 비교에 의한 시각 수정은 3종류의 패턴 중 어느 하나에 맞춤으로써 행해진다. 즉, 분침 기어(34)에 의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 패턴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가 작용하는 오프(off)의 폭으로서, 2개의 폭이 좁은 B부와 하나의 폭이 넓은 A부가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으로 되고, 또, 시침 기어(36)에 의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 패턴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가 작용하는 오프의 폭이 3종류의 D부, E부, C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으로 되며, 양자를 합성한 출력 패턴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과, E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과, C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의 3종류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패턴으로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패턴 중 온(on)으로 되는 패턴 부분은 실제로는 서드 기어(33)의 차광부에 의해 오프로 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빨이 빠진 형태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D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4시 00분, E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8시 00분, C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12시 00분으로 하여 미리 설정해 두면, 이들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 제2 스테핑 모터(31)를 정지시킴으로써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 즉 분침 및 시침을 소정 시각으로 시각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테핑 모터(31)를 정지시킨 후,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을 오프로 하여 발광을 정지하고(S12), 시각 수정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동작을 행하는 전파 수정 시계에 따르면,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에 검출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투과 구멍으로서, 원호상 투과 구멍, 즉 긴 구멍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광 검출 센서(40)가 온으로 되는 범위가 넓어지고, 위치 검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초침의 시각 수정을 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시침 기어(36)에 3종류의 차광부(C, D, E)를 설치했기 때문에, 3곳 중 어느 한 곳을 검출하여 시각을 수정할 수 있고, 또, 가장 회전 속도가 느린 시침 기어(36)를 종래에 비하여 대략 1/3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침 및 시침의 시각 수정을 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의 다른 시각 수정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시각 수정 동작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피프스 기어(22), 초침 기어(23), 서드 기어(33), 분침 기어(34), 시침 기어(36)는 전술한 구동 방법과 같이, 각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테핑 모터(21) 및 제2 스테핑 모터(31)의 스텝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때, 제1 피프스 기어(22)는 제1 스테핑 모터(21)의 스텝 구동에 의해 15스텝으로 1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그 결과, 초침 기어(23)는 60스텝으로 1회전한다. 한편, 서드 기어(33)는 제2 스테핑 모터(31)의 스텝 구동에 의해 60스텝으로 1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되며, 그 결과, 분침 기어(34)는 360스텝으로 1회전하고, 시침 기어(36)는 4320스텝으로 1회전한다. 이 경우, 제1 피프스 기어(22)는 제1 스테핑 모터(21)에 의해 5스텝 구동될 때마다 1회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또, 서드 기어(33)는 제2 스테핑 모터(31)에 의해 6스텝 구동될 때마다 1회 검출 광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리셋 혹은 전원 투입시에, 스타트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발광 소자(42), 즉 발광 다이오드가 기동되어 검출 광을 발광한다 (S1). 이어서, 제1 스테핑 모터(21) 및 제2 스테핑 모터(31)가 동시에 동일 출력 주파수로 펄스 구동되고, 초침 기어(23) 및 분침 기어(34)[및 시침 기어(36)]가 회전 구동된다(S2). 다음에, 수광 소자(44), 즉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3).
여기서,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는, 다시 제1 스테핑 모터(21) 및 제2 스테핑 모터(31)가 펄스 구동되어 초침 기어(23) 및 분침 기어(34)[및 시침 기어(36)]가 회전 구동된다. 한편,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경우는, 일단 초침 기어(23) 및 분침 기어(34)[시침 기어(36)]가 정지되고(S4), 그 후, 초침 기어(23)가 빨리 감겨지고(S5), 제어부에 미리 기억된 출력 패턴과의 비교가 행해지며(S6),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초침 기어(23)가 빨리 감겨진다. 한편,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초침 기어(23)를 정지하고[제1 스테핑 모터(21)를 멈춤], 초침 기어(23)를 0으로 리셋시키는 위치까지 구동하여 정지한다(S7). 이 때, 초침은 소정 시각, 예컨대 정시(0초)의 위치로 수정된다.
이어서, 제2 스테핑 모터(31)만을 펄스 구동하여 분침 기어(34)를 빨리 감는다(S8). 그리고,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출력 패턴과 제어부에 미리 기억된 출력 패턴과의 비교가 행해지고(S9),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다시 분침 기어(34)가 빨리 감겨진다. 한편, 얻어진 출력 패턴과 기억된 출력 패턴이 적합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제2 스테핑 모터(31)를 멈추고,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의 구동을 정지한다(S10).
여기서, 상기 출력 패턴과 미리 기억된 패턴과의 비교에 의한 시각 수정은 전술한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3종류의 패턴 중 어느 한 곳에 맞춤으로써 행해진다. 즉, 분침 기어(34)에 의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 패턴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가 작용하는 오프의 폭으로서, 2개의 폭이 좁은 B부와 하나의 폭이 넓은 A부가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이 되고, 또, 시침 기어(36)에 의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 패턴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가 작용하는 오프의 폭이 3종류의 D부, E부, C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이 되며, 양자를 합성한 출력 패턴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과, E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과, C부, B부 및 A부가 조합된 패턴의 3종류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패턴으로 된다.
그래서, D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4시 00분, E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8시 00분, C부, B부 및 A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확인되었을 때를, 예컨대 12시 00분으로 하여 미리 설정해 두면, 이들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 제2 스테핑 모터(31)를 정지시킴으로써 분침 기어(34) 및 시침 기어(36), 즉 분침 및 시침을 소정 시각으로 시각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테핑 모터(31)를 정지시킨 후,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을 오프로 하여, 발광을 정지하고(S11), 시각 수정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동작을 행하는 전파 수정 시계에 따르면, 제1 스테핑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피프스 기어(22)와, 제2 스테핑 모터(31)에 의해 구동되는 서드 기어(33)에 있어서, 광 검출 센서(40)의 검출 광을 통과시키는 간격이 각각의 모터(21, 31)의 출력 펄스수로 홀수와 짝수가 되고 있으며, 이 홀수와 짝수에는 공약수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후 충격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제1 스테핑 모터(21)와 제2 스테핑 모터(31)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생겨 양자의 회전 위상이 어긋난 경우, 제1 스테핑 모터(21) 및 제2 스테핑 모터(31)를 동시에 회전 구동하여도 반드시 위상이 맞는 위치(광 검출 센서의 출력이 온으로 되는 위치)가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서드 기어(33)가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 제1 피프스 기어(22)는 제1 스테핑 모터(21)의 펄스수가 5펄스마다 즉 0, 5, 10, 15, 20, 25, 30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한편, 서드 기어(33)는 1펄스 어긋난 경우 1, 7, 13, 19, 25, 31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또, 2펄스 어긋난 경우 2, 8, 14, 20, 26, 32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3펄스 어긋난 경우 3, 9, 15, 21, 27, 33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4펄스 어긋난 경우 4, 10, 16, 22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5펄스 어긋난 경우 5, 11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1펄스 어긋난 경우는 25펄스, 2펄스 어긋난 경우는 20펄스, 3펄스 어긋난 경우는 15펄스, 4펄스 어긋난 경우는 10펄스, 5펄스 어긋난 경우는 5펄스인 곳에서 양자의 위상이 맞게 된다.
한편, 제1 피프스 기어(22)가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 서드 기어(33)는 제2 스테핑 모터(31)의 펄스수가 6펄스마다, 즉 0, 6, 12, 18, 24, 30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한편, 제1 피프스 기어(22)는 1펄스 어긋난 경우 1, 6, 11, 16, 21, 26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또, 2펄스 어긋난 경우 2, 7, 12, 17, 22, 27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3펄스 어긋난 경우 3, 8, 13, 18, 23, 28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4펄스 어긋난 경우 4, 9, 14, 19, 24, 29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키고, 5펄스 어긋난 경우 5, 10, 15, 20, 25, 30 … 펄스마다 검출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1펄스 어긋난 경우는 6펄스, 2펄스 어긋난 경우는 12펄스, 3펄스 어긋난 경우는 18펄스, 4펄스 어긋난 경우는 24펄스, 5펄스 어긋난 경우는 30펄스인 곳에서 양자의 위상이 맞게 된다.
즉, 초침의 위치 맞춤과 분침 및 시침의 위치 맞춤을 양 모터(21, 31)를 동시에 구동시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시각 수정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수정 시계에 따르면, 제1 지침에 직결되는 제1 지침 기어, 제2 지침에 직결되는 제2 지침 기어를 시각 신호에 기초한 소정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져 시각의 자동 수정을 행함에 있어서, 제1 지침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와 제2 지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제1 지침의 위치 맞춤, 제2 지침의 위치 맞춤을 행하므로, 양 구동 장치의 위상에 어긋남이 없는 한,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제1 지침으로서, 예컨대 초침, 제2 지침으로서 예컨대 분침 및 시침의 위치 맞춤 즉 시각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제1 구동 장치를 제1 스테핑 모터와, 제1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전달 기어와, 제1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초침 기어에 의해 구성하고, 제2 구동 장치를 제2 스테핑 모터와, 제2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전달 기어와, 제2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분침 기어와, 분침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시침 기어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제1 스테핑 모터 및 제2 스테핑 모터를 동일한 출력 주파수로 구동하고,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일 때에 검출 수단의 출력이 온으로 되도록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한쪽을 회전 제어하며,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와의 사이에 공약수가 없는 짝수일 때에 검출 수단의 출력이 온으로 되도록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다른 쪽을 회전 제어함으로써, 양 구동 장치에 있어서 위상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라도, 확실하게 초침, 분침, 시침의 위치 맞춤 즉 시각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제1 지침(指針)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장치와, 제2 지침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지침에 직결되는 제1 지침 기어, 상기 제2 지침에 직결되는 제2 지침 기어가 시각 신호에 기초한 소정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 및 시각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각으로 수정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시각의 자동 수정을 행하는 자동 수정 시계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구동 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제1 지침의 시각 수정 및 상기 제2 지침의 시각 수정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정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제1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와, 상기 제1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전달 기어와, 상기 제1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초침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제2 스테핑 모터와, 상기 제2 스테핑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전달 기어와, 상기 제2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분침 기어와, 상기 분침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시침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테핑 모터 및 제2 스테핑 모터를 동일 출력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한 쪽은 상기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홀수일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투과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달 기어 및 제2 전달 기어의 다른 쪽은 상기 모터의 출력 펄스수가 상기 홀수와의 사이에 공약수가 없는 짝수일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투과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정 시계.
KR19990052347A 1998-11-30 1999-11-24 자동 수정 시계 KR100666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059098A JP3673416B2 (ja) 1998-11-30 1998-11-30 自動修正時計
JP98-340590 199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37A true KR20000035637A (ko) 2000-06-26
KR100666418B1 KR100666418B1 (ko) 2007-01-11

Family

ID=1833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52347A KR100666418B1 (ko) 1998-11-30 1999-11-24 자동 수정 시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73416B2 (ko)
KR (1) KR100666418B1 (ko)
CN (1) CN1104669C (ko)
TW (1) TW3986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5519B1 (en) 2007-12-26 2017-11-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oning system
CN105242514A (zh) * 2015-11-18 2016-01-13 成都天奥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指针式马达齿轮箱
CN114185257B (zh) * 2021-10-15 2023-02-14 成都天奥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手表时分秒三针位置自动检测***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364Y2 (ja) * 1992-09-29 1997-08-2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時計の指針位置検出装置
JP2648079B2 (ja) * 1993-01-26 1997-08-2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電波修正時計
JPH09166671A (ja) * 1995-09-28 1997-06-24 Helmut Hechinger Gmbh & Co 時計針の位置決め装置
JP3295315B2 (ja) * 1996-10-18 2002-06-24 セイコークロック株式会社 時計機械体
JP3328518B2 (ja) * 1996-11-06 2002-09-24 セイコークロック株式会社 時計機械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418B1 (ko) 2007-01-11
CN1104669C (zh) 2003-04-02
JP2000162339A (ja) 2000-06-16
JP3673416B2 (ja) 2005-07-20
CN1255658A (zh) 2000-06-07
TW398637U (en) 200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8049B2 (ja) 針位置検出装置
JP3514644B2 (ja) 自動修正時計
JP4650472B2 (ja) 針位置検出装置
JPH10142356A (ja) 時計機械体
JP2009156576A (ja) 針位置検出装置
JPH10123266A (ja) 時計機械体
KR20000035636A (ko) 자동 수정 시계
KR100666418B1 (ko) 자동 수정 시계
JP3625253B2 (ja) 自動修正時計
JP3673415B2 (ja) 自動修正時計
JP3562791B2 (ja) 自動修正時計
JPH06222164A (ja) 電波修正時計
JP2000275365A (ja) 時計の駆動装置
JP6755714B2 (ja) ムーブメントおよび電子時計
JP2005315809A (ja) 電波修正時計
JP5141677B2 (ja) 針位置検出装置及び指針式時計
JP3673432B2 (ja) 自動修正時計
WO2017068887A1 (ja) 電子時計
JP3643278B2 (ja) 電波修正時計の指針位置検出方法及び指針位置修正装置
JP3534648B2 (ja) 自動修正時計
JP4993006B2 (ja) 針位置検出装置及び針位置検出方法
JP4726595B2 (ja) 時刻信号中継装置および時刻修正システム
JP3499455B2 (ja) 時計の指針位置検出装置
JP2010243313A (ja) 指針位置検出装置および電子時計
JP2610081B2 (ja) 時計の指針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