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899A -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 Google Patents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899A
KR20000030899A KR1020000015268A KR20000015268A KR20000030899A KR 20000030899 A KR20000030899 A KR 20000030899A KR 1020000015268 A KR1020000015268 A KR 1020000015268A KR 20000015268 A KR20000015268 A KR 20000015268A KR 20000030899 A KR20000030899 A KR 2000003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ridge
box
mobil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철
Original Assignee
김소희
용마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희, 용마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소희
Priority to KR102000001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899A/ko
Publication of KR2000003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5Securing by deformation of the we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silient means, e.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개의 교각에 의하여 PC보 또는 강재 박스보를 주형으로 구비하는 교량에 있어서, 교량 하단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에는 자주식으로 주행하는 주행장치로 케이지를 현가하여, 교량의 전체 하단면과 교각에의 접근을 용이하고 신속한 이동식 점검대차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이동식 점검대차에 승강장치로 일정거리 하방으로 승강되는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의 상단부로 올라서서 교좌장치나 주형의 상태를 점검, 보수할 수 있고, 경간 중간부의 주형 하단면에서는 케이지함체내에 탑승한 상태에서 포괄적으로 육안에 의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승강케이지를 타고 작업자가 교각 기둥부에 내려가서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점검대차는 종래의 고정식 및 이동식 점검시설들에 비하여 도로면이나 출입사다리를 통하지 않고도 교량 하단면과 교각에의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고 신속하면서, 작업반경이 넓어지고, 출입사다리와 고정식 점검대의 설비 제거로 인하여 상당한 시설비와 보수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동과 점검의 용이성에 의하여 교량의 점검횟수 및 점검 효율을 높여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inspection car of moving for bridge}
본 발명은 각종 교량의 하부면에서 실시되는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교량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주형(main girder) 하단면에서 교량의 전 구간을 자주식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점검대차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교량은 여러 개의 교각 상단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단위부재의 강재 박스보(steel box girder)나 PC보(prestressed concrete girder)와 같은 여러 형태의 주형을 설치하여 건설된다.
이러한 교량의 특성에 의하여 시공 후에는 교각, 교좌장치 및 주형의 하부에 대하여 상시 점검 및 보수를 실시하여야만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를 위한 교량 점검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지금까지 교량에 설치된 점검시설은 고정식 및 이동식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이들 종래의 점검시설들은 작업자의 접근에 문제점이 있고, 작업반경이 한정되며, 시설비가 높은 단점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교량용 점검시설의 일 구성인 차량형 점검시설은, 교량의 도로면을 주행하는 점검차량에 주형의 하부면으로 작업자를 접근시킬 수 있는 작업대차를 갖는 구성인 바, 이 구성은 점검차량을 반드시 교량의 도로면을 운행하면서 점검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교량의 차량 소통에 상당한 지장을 주며, 또한 작업자를 주형의 하부면으로 접근시키는 작업대차의 접근범위가 주로 교각의 상단과 주형의 측단으로 만 한정되어서, 교각의 기둥부나 교각과 교각 사이에 위치되는 주형의 중간부 하단면에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종합적인 점검 보수시설로는 적합치 못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다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일 구성인 고정식 점검대는,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교각들에 대하여 교각의 상단인 코핑(coping)의 측면 둘레에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일정 넓이의 발판을 고정시켜 점검통로를 형성하고, 작업자는 도로면에서 상기 작업통로에 이르는 출입사다리를 통하여 접근하는 구성인 바,
이 구성도 작업자가 고정식 점검대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각개의 교각마다 반드시 교량의 도로면에서 출입사다리를 통하여 출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점검대가 교각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작업범위가 교각의 상단과 교좌장치등에 한정되어, 교각의 기둥부나 교각과 교각 사이에 위치되는 주형의 중간부 하단면에의 점검이나 보수작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다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일 구성으로서 국내 특허공고 제1999-182383호로 개시된 것과 같은 하단면 주행식의 이동형 작업대차는, 상부 PC보나 강재 박스보 주형으로 형성되고, 도로면의 양측방으로 날개부(cantilever)가 형성된 교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주형의 양측 날개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레일을 설치하여, 이 양측 레일에 자주식으로 이동하는 주행장치로 현가되어 교량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하단에 회전장치로 장착되는 긴 트러스형 하부작업대를 구비하여, 작업시에는 상기 하부작업대를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정열시키고, 경간이동시에는 좌우로 벌려서 교각에 간섭되지 않게 교각 외측방으로 회전시킨 후 이동하는 구성을 갖는 것인 바,
이 구성은 작업자가 케이지에 탑승하여 교량 전체의 교각들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트러스형 하부 작업대에 의하여 교각과 교각 사이에 위치되는 주형의 중간부 하단면의 점검이나 보수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교각 기둥부의 접근이 어렵고, 전체적으로 시설비가 고가이며, 경간사이의 작업대차 이동속도가 매우 느려서 작업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량 점검시설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교각 및 교량 하부면 전체에 접근이 용이하고 이동속도가 신속하며 시설비가 저렴한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교각의 상단 둘레에서 교각 기둥부에 대하여 하단까지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한 교량용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일 실시예 측면구성과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일 실시예 다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일 실시예 정면구성과 설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중 레일 설치상태 일 예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중 레일 설치상태 일 예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측면구성과 설치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측면구성과 설치도
도 8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정면구성과 설치도
도 9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평면구성과 설치도
도10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측면구성과 설치도
도11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배면구성도
도12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 일예도
도13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중 현가장치의 상세도
도14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중 승강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15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중 프레임 구성과 승강장치의 측면배치도
도16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승강장치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중 승강케이지의 체인 연결 구성도
도18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의 일 예 사용상태 정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서의 승강케이지 사용상태 일예도
도20은 본 발명의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레일 21 : 주형(강제 박스보) 22 : 연결보
23 : 주형의 하단면 24 : 교각 24a : 코핑 26 : 도로면
27 : 레일 고정판 28 : 보울트 29 : 레일브라켓
30 : 구동주행장치 30a : 아이들주행장치 31 : 구동휠
32 : 회동축 33,34 : 전방 좌우측 축수부재 35 : 구동모터
37 : 연결대 38 : 전방 현가축 38a : 후방 현가축
39 : 나사부 40 : 박스형 케이지 40a : 중앙함체
40b,40c : 좌,우측면함체 41,42 : 후방 좌우측 수직프레임
43,43a,44,44a : 현가대 41a,42a : 전방 좌우측 수직프레임
45 : 하부프레임 46 : 상부프레임 47 : 출입문 개폐용 체인
50,51 : 보조프레임 53 : 보조프레임 55 : 승강부프레임
56 : 투명창 58 : 출입구
60 : 트러스트 베어링 62 : 상부 스프링플랜지 64 : 스프링
65 : 하부 스프링플랜지 66 : 조임너트 67 : 워셔
68 : 풀림방지 너트 71 : 2열식 체인블럭 72 : 2열식 체인로울러
73 : 1열식 체인로울러 74 : 체인 75 : 발전기
76 : 유압유니트 77 : 작동제어장치 79 : 유압 브레이크
71a : 권선휠 76a : 권선모터
80 : 승강케이지 81 : 수직프레임 82 : 가로프레임
83 : 하단프레임 84 : 안내레일대 85 : 여닫이식 출입문
86 : 개폐식 출입문 87 : 사다리발판 88 : 체인브라켓
90 :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 91 : 유압실린더 92 : 전자석대
94 : 안전 결합구 95,96 : 전조등 및 비상등 97 : 풍량계
100 : 일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
140 : 다른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101)의 통형 케이지함체
200 : 다른 실시시예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
240 : 다른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통형 케이지함체
241 : 현가프레임 201 : 부양체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개의 교각에 의하여 PC보 또는 강재 박스보를 주형으로 구비하는 교량에 있어서,
일정 구간의 주형 하단면과 교각들의 상단 측면에 걸쳐서 일정 폭을 갖고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에 현가수단으로 상단이 좌우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측면으로 출입구가 설치되는 박스형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주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구동요소들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이동식 점검대차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일 실시예 구성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는 일 예의 강재 박스보 교량용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는 일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구성과 교량에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각도에서 부호 21은 일 예의 강제 박스보 교량을 구성하는 좌우 주형이고, 22는 좌우 주형간을 연결하는 연결보를, 23은 상기 주형(21)과 연결보(22)들의 하단면을 표시하며, 24는 주형을 받치는 교각을, 24a는 교각들의 상단부재인 코핑 (coping)을, 25는 교량슬라브를, 26은 교량의 도로면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주요 구성은 레일(20)과, 주행장치와, 박스형 케이지(40)와, 발전기(75)와, 작동제어장치(77)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20)은 H 형강재를 옆으로 눕혀서 또는 플랜지 폭이 넓은 I 형강재를 사용하여, 교량의 주형(21)들 하방에서는 주형(21)들과 주형 연결보(22)들의 하단면(23)에 용접 또는 보울팅으로 고정되는 고정판(27)의 하단에 보울트(28)에 의하여 고정되고, 주형들의 외측방에 위치한 교각(24)들의 코핑(24a) 둘레에서는 교각(24)들의 상단 외측단에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레일브라켓(29)들에 보울트들로 고정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된다(도4.5참조).
상기 주행장치는 구동주행장치(30)와 아이들주행장치(30a)로 구성된다.
구동주행장치(30)는 상기 레일(20)의 하단부 좌우 플랜지 상면에 각각 활접상태로 얹혀지는 좌우 구동휠(31)들과, 이 좌우 구동휠(31)들을 각각 회동축(32)으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하는 전방 좌우측 축수부재(33)(34)와, 상기 우측 축수부재 (34)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일측 회동축(3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5)와, 상기 전방 좌우측 축수부재(33)(34)들의 하단 사이에서 보울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대(37)와, 이 연결대(37)의 중간에 회동 자유롭게 축설되는 것으로 하단에 일정 길이의 나사부(39)를 갖는 전방 현가축(38)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5)는 비 구동시에 브레이크 기능을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아이들주행장치(30a)는 상기 구동주행장치(30)와 구동모터(35)가 없이 동일한 구성으로, 좌우 아이들휠들과, 이 아이들휠들을 각각 회동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축설하는 후방 축수부재(33a)와, 상기 후방 축수부재(33a)의 하단 사이에서 보울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대와, 이 연결대의 중심봉에 회동 자유롭게 축설되는 것으로 하단에 일정 길이의 나사부를 갖는 후방 현가축(38a)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형 케이지(40)는 수개의 골조형 프레임들과 외장판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좌우측으로는 각각 여닫이식 출입문(85)과 개폐식 출입문(86)이 설치되는 중앙함체(40a)와 이 중앙함체(40a)의 전 후방에서 각각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좌,우측면함체(40b)(40c)로 구성되어, 중앙함체(40a)를 형성하는 좌우측 수직프레임(41)(42)들에 연장된 두개의 현가대(43)(44)들에 의하여 상기 주행장치의 전, 후방 현가축(38)(38a)에 베어링부재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현가되고, 좌측면함체 (40b)에는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75)를 수용한다.
상기 박스형 케이지(40)의 중앙함체(40a)에는 일측으로 상기 발전기(75)와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77)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함체(40a)의 일 측면 중간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출입문(85)은 작업자의 탑승을 위한 것이고, 타측면 중간에 설치되는 개폐식 출입문(86)은 개폐식 출입문(86)은 하단이 하부프레임(45)에 힌지로 장착되고, 상단은 상부프레임(46)에 대하여 일정길이의 체인(47)으로 연결되며, 내측면에는 수개의 사다리발판(87)을 구비하여서, 작업시에는 개폐식 출입문(86)의 상단을 교각(24)의 측벽측으로 기대게 젖혀 열어서 작업자가 교각(24)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중 발전기(75)와 작동제어장치(77) 및 구동모터(35)들 간에 배선되는 전원선 및 제어선들은 생략 도시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0)는, 지면측에 있는 시작 교각의 측면에서부터 전체 교량의 하단면에 레일(20)을 설치하고, 레일의 시작부 하방으로 상기 이동식 점검대차를 정차시키고 작업자를 탑승시킬 수 있는 탑승대를 부가적으로 교량시설에 설치하여 실시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 예 구성의 강제 박스보 교량에서 레일(20)에 설치된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작동은, 탑승대에 정차된 케이지(40)의 중앙함체 (40a)에 작업자가 여닫이식 출입문(85)를 통하여 탑승하여 시동한다.
케이지(40)의 중앙함체(40a)에 탑승한 작업자는 작동제어장치(77)를 조작하여 발전기(75)를 기동시킨 후에, 주행장치중에서 구동주행장치(30)의 구동모터(35)를 전진방향으로 제어한다.
구동모터(35)가 전진방향으로 제어되면, 구동휠(31)들이 레일(20)을 타고 회전하게되어 주행장치의 전,후방 현가축(38)(38a)에 두 개의 현가대(43)(44)들로 현가된 케이지(40) 전체가 레일(20)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레일(20)을 타고 주행되는 케이지(40)가 소정의 작업구간에 이르면, 작동제어장치(77)에서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를 정지로 제어하여 점검대차(100)를 정차시킨다.
케이지(40)가 완전히 정지되면,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함체(40a)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가 중앙함체(40a)의 일 측면 개폐식 출입문(86)을 열어 교각 (24)의 측벽에 경사지게 기대어지게 외측으로 연다.
중앙함체(40a)의 개폐식 출입문(86)의 상단이 교각(24)의 측벽에 기대어지게 열리면, 작업자는 개폐식 출입문(86)의 안쪽에 설치된 발판(87)을 타고 교각(24)의 상단으로 올라가서 소정의 교좌장치나 주형하단면에 대한 제반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정차상태에서 일 교각(24)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실시 한 후에 다음 교각(24)이나 주형(21)의 하단면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위하여 점검대차 (100)을 이동할 때에는, 작업자가 중앙함체(40a)내로 탑승한 후에 열려진 개폐식 출입문(86)을 닫고, 다시 구동모터(35)를 제어하여 소정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점검작업이 주형(21)의 하단면(23)일 경우에는 중앙함체(40a)의 내부에 탑승한 작업자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주형(21)의 하단면(23)과 주형의 측면들을 점검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케이지(40)를 주행장치에 현가시키는 두개의 현가대 (43)(44)들은, 상기 주행장치의 전, 후방 현가축(38)(38a)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베어링부재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현가되므로서, 지그재그형으로 배선되는 레일(20)의 선로에서 코너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선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일과 주행장치의 구동휠 및 아이들휠들의 형상은 레일에 현가되어 원활한 주행과 안전성을 위하여 다른 구조로 대체 실시하거나 부가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장치와 케이지의 현가구성은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 실시예와 같이 중앙함체(40a)을 형성하는 좌우측 수직프레임(41)(42)들에 연장된 두개의 현가대(43)(44)들에 의하여 상기 주행장치의 전, 후방 현가축(38)(38a)에 베어링부재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현가되는 구성에서, 추가적으로 다른 쪽의 좌우측 수직프레임(41a)(42a)들에 두 개의 현가대(43a)(44a)들을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중앙함체(40a)가 주행장치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안전성을 높여준다.
또한 주행장치와 케이지함체의 현가구성은, 레일의 선로중 코너부의 원호형 선로를 주행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할 수 도 있는 것이며, 경사진 레일을 주행할 때 케이지함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구성에서 케이지(40)의 구성을 작업자의 안전성과 외형상의 미관을 고려하여 개선시킨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1)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1)는 주행장치와 개폐식 출입문(86) 및 여닫이식 출입문(85)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0)의 구성을 원용하되, 박스형 케이지(40)의 구성을 하나의 통형 케이지함체(140)로 구성하여, 중간부와 상부의 둘레에 투명창(56)을 구비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식 점검대차(101)의 함체가 전체적으로 투명창(56)을 제외하고 외부와 차폐되어, 빗물이나 눈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도로면이나 교량하부면에서의 낙뢰물에 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외형적으로 미관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들의 이동식 점검대차(100,101)들의 전원장치는 자가적인 전원설비인 발전기의 구성외에도 레일을 따라 평행하게 전력선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함체에는 상기 전력선로와 접속되는 전원트롤리바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의 이동식 점검대차(100,101)들에는 교각의 측방에 정차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함체내에서 교각으로의 출입할 때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이동대차를 교각의 측벽에 결속하는 정차안전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이 정차안전장치는 강재 교각이나 철근이 내부에 배근된 콘크리트재의 교각의 기둥 표면에 자력으로 밀착되는 전자석대와, 이 전자석대를 함체의 측면에서부터 일정 길이 출몰하는 작동장치로 구성된 전자석 로크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 로크장치의 부가적인 구성에 의하면, 이동식 점검대차를 교각 측방에 정차시킬때에 전자석 로크장치를 교각 측벽에 밀착시켜주므로서, 작업자의 출입시나 점검작업시에 이동식 점검대차의 요동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출입안전성을 높여준다.
상기한 일 실시예들의 이동식 점검대차(100,101)들은 점검범위가 레일이 설치된 교각 및 주형의 하단면에 한정되어 있는 바, 교량의 안전점검은 교각의 기둥부에도 실시될 때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다른 구성은, 상기한 일 구현예의 이동식 점검대차(100,101)의 구성과 작용을 보유하면서 교각의 기둥부까지 점검할 수 있는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은, 수개의 교각에 의하여 PC보 또는 강재 박스보를 주형으로 구비하는 교량에 있어서, 일정 구간의 주형 하단면과 교각들의 상단 측면에 걸쳐서 일정 폭을 갖고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에 상단이 유동 자유롭게 현가식으로 지지되고 측면에는 출입구가 설치되며 하부는 개방된 일정 부피의 통형 케이지함체와, 상기 케이지함체의 내부에 승강장치로 수용되어 케이지함체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높이 승,하강되며 측면에는 작업자 출입구를 갖는 승강케이지와, 상기 케이지함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전기 구동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케이지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구동요소들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와, 상기 케이지함체의 측벽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형과 교각의 표면에 접속하는 전자석 로크장치를 구비하는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 실시예 구성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9내지 도19에는 일 예의 강재 박스보 교량에 적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구성과 교량에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구성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들의 이동식 점검대차(100,10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구성중에서, 레일(20)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이동되는 주행장치와, 발전기(75)와, 작동제어장치(77) 및 통형의 케이지함체는 전술한 이동식 점검대차(100)와 이동식 점검대차 (101)의 구성을 원용한다.
단, 케이지함체는 하부가 일정 넓이로 개방된 통형의 케이지함체(240)로 되어, 내부에 승강케이지(80)와, 승강장치 및 승강구동장치를 구비함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주행장치에는 상기 레일(20)의 하단부 플랜지에 접속하는 유압 브레이크(79)가 설치되고, 통형의 케이지함체(240)의 일측면에는 유압식 작동수단을 갖는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를 구비한다.
상기 통형의 케이지함체(240)는 수개의 골조형 프레임들과 외장판으로 형성된 일정 부피의 함체로 되어, 상단이 상기 주행장치에 현가되며, 강화플라스틱재의 투명창(56)들이 중간 상단 둘레에 설치되고, 좌우측면에는 승강케이지(80)의 여닫이식 출입문(85)과 개폐식 출입문(86)을 위한 출입구(58)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승강장치에 의하여 하방 출입식의 승강케이지(80)를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승강장치의 구동원 및 케이지함체 전체의 구동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75)를 수용한다,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상단에는 전후방간에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현가프레임(241)이 설치되어,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주행장치(30)와 아이들주행장치 (30a)의 전후방 현가축(38)(38a)들에 상하로 탄력을 갖는 구성으로 현가된다.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주행장치(30)와 아이들주행장치(30a)에 연설된 전후방 현가축(38)(38a)들은, 상기 함체 상단의 현가프레임(41)의 전,후방 일측에 상하로 관통시킨 후, 현가축(38)(38a)들의 하단부를 트러스트 베어링(60)과 상부 스프링플랜지(62), 스프링(64), 하부 스프링플랜지(65), 조임너트(66),워셔(67) 및 풀림방지 너트(68)를 조립하여 상하로 탄력을 갖고 현가된다(도12 참조).
또한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내부에는 승강케이지(80)를 수용하는 승강장치의 설치를 위한 수개의 보조프레임(50)(51)들을 구비한다.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전방부 함실에는 보조프레임(50)에 유압유니트(76)가 설치되고, 후방부 함실에는 보조프레임(53)에 발전기(75)가 설치된다.
또한 전방부 중간 함실 상방측에는 중간 상부프레임을 가로지르게 고정된 보조프레임(51)에 좌우로 각각 상기 유압유니트(76)에 유압회로로 연결된 2열식 체인블럭(71)들이 설치된다.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 중간부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중간 상부프레임을 가로지르게 고정된 승강부프레임(55)이 설치되어, 전방측에는 2열식 체인로울러(72)들이, 후방측에는 1열식 체인로울러(73)들이 설치된다.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하단프레임(83) 하단에는 승강케이지(80)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대(84)가 네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대(84)는 단면상 L 형으로 되어 하단은 나팔형으로 형성된다.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 내부 전,후방 상단에는 상기 발전기(75), 유압유니트(76),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 및 유압 브레이크(79)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77)가 설치되고, 중간 함실 전,후방 하단에는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가 횡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는 유압유니트(76)와 유압회로로 연결되면서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내에서 승강케이지(80)의 전후방 중간 하부프레임(46)의 상단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91)와, 이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부착되어 승강케이지(80)의 전후방 외측단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석대(92)로 구성되어, 작동시에는 전자석대(92)가 교각(24)의 측벽에 접속하는 행정을 하여, 통형 케이지함체(240)를 안정되게 정차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케이지(80)는 상부가 개방되고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하단프레임 (83) 내측으로 수용되는 규격의 장방형 함체로 되어, 사방의 수직프레임(81)들에 수개의 가로프레임(82)들을 고정 연결한 골조로 형성된다.
승강케이지(80)의 좌우측면의 중간에는 각각 여닫이식 출입문(85)과 내면에 사다리발판(87)을 구비한 개폐식 출입문(86)이 설치되고, 나머지 측면과 하면은 외장판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케이지의 사방 수직프레임(81)들에는 각각 승강장치의 체인(74)이 하단까지 삽입되어 체인브라켓(88)들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승강케이지(80)의 좌우측 중간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출입문(85)과 개폐식 출입문(86)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바와같다.
상기 승강케이지(80)를 케이지함체(24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높이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의 구성은, 전방부 중간 함실 하방에 설치된 유압유니트(76)와, 이 유압유니트(76)와 유압회로로 연결된 2개의 2열식 체인블럭(71)들과,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 중간부에서 전,후방으로 각각 중간 상부프레임을 가로지르게 고정된 승강부프레임(51)에 설치된 2개의 2열식 체인로울러(72)들 및 1열식 체인로울러(73)들과, 상기 체인블럭(71)들로부터 체인로울러(72)들을 거쳐서 승강케이지(80)의 네귀 수직프레임(81)에 연결되는 수열의 체인(74)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94는 통형 케이지함체(240)에 승강케이지(80)를 인입시켰을 때에 로크되는 안전 결합구이며, 부호 95,96은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전,후방에 설치한 전조등 및 비상등이고, 부호 97은 풍량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발전기(75), 작동제어장치(77), 구동모터(35), 유압유니트(76),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들 간에 배선되는 전원선 및 제어선과, 유압유니트(76)와 유압 브레이크(79),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의 유압실린더(91)들 간에 배선되는 유압배선은 생략 도시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의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는, 시동 및 주행작동은 전술한 이동식 점검대차(100,101)들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작업자가 탑승하는 공간이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승강케이지(80)인 점에서 전술한 이동식 점검대차(100,101)들의 구성과 상이하고, 이 승강케이지(80)의 작동면에서 상이하다.
부가적으로는 주행장치에 설치한 유압 브레이크(79)의 작동과,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의 작동이 부가된다.
이를 설명하면, 교량의 하단면과 교각의 둘레에 설치된 레일(20)을 타고 주행되는 통형 케이지함체(240)가 소정의 작업구간에 이르면, 작동제어장치(77)에서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를 정지로 제어하여 정차시킨 후, 유압 브레이크(79)를 작동시켜 완전히 정지시킨다.
대차가 완전히 정지되면, 작동제어장치(77)에서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일 측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들의 유압회로와 전기회로를 제어하여, 일차적으로 유압실린더(91)를 작동시켜 전자석대(92)를 교각(24)의 측벽으로 접속시킨 후, 이어서 전자석대(92)의 전기회로를 접속한다.
교각(24)의 측벽에 접속된 전자석대(92)에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석대(92)는 교각(24)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자력이 작용하여 교각(24)의 측벽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통형 케이지함체(240)는 전체적으로 레일(20)과 교각(24) 측벽에 요동없이 지지된다.
정차된 통형 케이지함체(240)에서 도18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케이지(80)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가 승강케이지(80)의 일 측면에 설치된 개폐식 출입문 (86)을 조작하여 교각(24)의 측벽에 기댄 후, 발판(87)을 타고 교각(24)의 상단으로 올라가서 소정의 교좌장치나 주형하단면에 대한 제반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정차상태에서 일 교각(24)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실시 한 후에 다음 교각(24)이나 주형(21)의 하단면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위하여 이동할 때에는, 열려진 개폐식 출입문(86)을 닫고, 유압형 전자석 로크장치(90)의 전원을 차단하여 교각(24)에의 접속을 풀은 후에, 전자석대(92)들을 원 위치시키고, 유압 브레이크(79)를 해제한 후에 다시 구동모터(35)를 제어하여 소정의 작업위치로 점검대차를 이동시킨다.
점검작업이 주형(21)의 하단면(23)일 경우에는 승강케이지(80)의 내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육안으로 케이지함체(40)의 상부측 투명창(56)들을 통하여 육안검사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교각(24)의 상단부나 주형(21)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시의 통형 케이지함체(240) 사용과 구분하여, 작업자가 승강케이지에 탑승한 상태에서나 교각상단에서 접근할 수 없는 교각 기둥부에 대한 작업은 승강케이지(80)를 승하강시켜 실시한다.
교각 기둥부의 점검작업을 위하여서는 상술한 작동으로 소정의 교각(24) 근방에 통형 케이지함체(240)를 완전히 정차시킨 후에, 승강케이지(80)에 탑승한 작업자가 리모콘에 의하여 작동제어장치(77)를 조작하여 승강케이지(80)를 승하강시킨다.
먼저, 통형 케이지함체(240)에 승강케이지(80)를 결합상태로 로크하고 있는 안전 결합구(94)들을 해제한 후, 리모콘으로 작동제어장치(77)를 제어하여 유압유니트(76)를 하강으로 제어하면, 체인블럭(71)들이 하강으로 제어 작동되면서, 체인(74)에 매달린 승강케이지(80)를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하방을 통하여 교각의 기둥부를 따라 하강시키게 된다.
하강되는 승강케이지(80)가 소정의 작업위치에 이르면, 승강케이지(80)에 탑승한 작업자가 리모콘으로 작동제어장치(77)를 제어하여 유압유니트(76)를 정지로 제어하여서 승강케이지(80)를 정지시킨 후 소정의 점검,보수작업을 실시한다.
점검,보수작업이 완료되면, 하강행정과는 반대의 행정으로, 승강케이지(80)에 탑승한 작업자가 리모콘으로 다시 작동제어장치(77)를 제어하여 유압유니트(76)와 체인블럭(71)들을 상승으로 제어하여 승강케이지(80)를 올려서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승강케이지(80)가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안전 결합구(94)들을 체결하여 통형 케이지함체(240)와 승강케이지(80)를 결속시킨다.
상기와 같은 이동대차의 구성에 있어서, 통형 케이지함체(240)와 주행장치들의 현가구성은 전,후방 현가축(38)(38a)들에 회동이 자유롭고 상하로 탄력을 갖고 현가되는 구성이므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선되는 레일(20)의 선로에서 코너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선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에 수용되는 승강케이지의 승강장치의 구성은 다른 구성으로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5와 같이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일측 방에는 양측방으로 구동축이 분기되어 각각 좌우측 권선휠(71a)들을 구동하는 권선모터(76a)를 설치하고, 이 좌우측 권선휠(71a)들에는 2열식 중간로울러들과 1열식 중간로울러들을 거쳐서 상기 승강케이지(80)의 사방 수직프레임들 내부 하단에 설치된 브라켓들에 와이어를 걸어 감아서 구성하는 와이어 권선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의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의 구성에는, 도20에 도시한 바와같이 냇가나 강, 또는 바다와 같이 물속에 교각 기둥부가 설치된 장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강되는 승강케이지(80)가 수면 위에 안착할 수 있는 보트, 튜브 등의 부양체(201)를 승강케이지(80)의 하면에 착탈식 수단을 갖고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점검대차에 의하면, 작업자가 지면에서 접근이 용이한 탑승대에서 점검대차에 탑승한 후에 케이지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작동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주행장치를 제어하면 점검대차를 레일을 따라 자주식으로 주행시키면서 교량 전체의 주형 하단면이나 교각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각에 접근된 점검대차는 케이지함체에 설치된 전자석 로크장치를 주형의 하단면이나 교각의 측면에 접속시키면, 강재 박스보에서는 물론 철근이 내부에 배근된 콘크리트제의 교각이나 PC주형의 표면에 대하여 전자석 로크장치가 밀착되므로, 작업자가 출입구를 통하여 교각으로 출입할 때 및 점검대차를 교각 측벽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승강케이지를 하강시켜 작업할 때에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교각의 측방에 점검대차를 정차시킨 후에는 케이지함체에 설치된 출입문, 또는 승강케이지에 설치된 출입문을 통하여 교각의 상단부로 올라서서 교좌장치나 주형의 상태를 점검, 보수할 수 있고, 경간 중간부의 주형 하단면에서는 케이지함체내에 탑승한 상태에서 포괄적으로 육안에 의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케이지 부설형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에서는 점검대차를 교각의 일측 벽면에 근접하여 정차시킨 후에, 작동제어장치의 조작으로 승강장치를 제어하여서, 승강케이지를 대차의 하방으로 일정 거리 승하강시키면, 승강케이지가 교각의 기둥부 전체 높이에 걸쳐서 접근이 되므로 작업자가 승강케이지에 탑승한 상태에서 교각 기둥부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점검대차는 종래의 고정식 및 이동식 점검시설들에 비하여 도로면이나 출입사다리를 통하지 않고도 교량 하단면과 교각에의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고 신속하면서, 작업반경이 교량 전체의 하단면 및 교각의 기둥부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는 장점이 있고, 출입사다리와 고정식 점검대의 설비 제거로 인하여 상당한 시설비와 보수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동과 점검의 용이성에 의하여 교량의 점검횟수 및 점검 효율을 높이므로서 교량의 안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5)

  1. 수개의 교각에 의하여 PC보(prestressed concrete girder) 또는 강재 박스보를 주형으로 구비하는 교량에 있어서,
    일정 구간의 주형 하단면과 교각들의 상단 측면에 걸쳐서 일정 폭을 갖고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에 현가수단으로 상단이 좌우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측면으로 출입구가 설치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주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구동요소들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의 구성은, H 형강재를 레일(20)로 사용하여 교량의 주형(21)들 하방에서는 주형(21)들과 주형 연결보(22)들의 하단면(23)에 용접 또는 보울팅으로 고정되는 고정판(27)의 하단에 보울트(28)에 의하여 고정되고, 주형들의 외측방에 위치한 교각(24)들의 코핑(24a) 둘레에서는 교각(24)들의 상단 외측단에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레일브라켓(29)들에 보울트들로 고정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지그재그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은, 수개의 골조형 프레임들과 외장판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좌우측으로는 각각 여닫이식 출입문(85)과 개폐식 출입문(86)이 설치되는 중앙함실(40a)과, 이 중앙함체(40a)의 전 후방에서 각각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좌,우측면함체(40b)(40c)로 구성된 박스형 케이지(40)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함체(40a)을 형성하는 좌우측 수직프레임들에 연장된 수개의 현가대들에 의하여 상기 주행장치의 전, 후방 현가축에 베어링부재를 게재하여 현가축의 직교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현가되고, 상기 중앙함체(40a)의 내부 일측으로 상기 발전기(75)와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77)가 설치되며, 상기 좌측면함체(40b)에는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75)를 수용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점검대차(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에 케이지를 현가하는 수단은, 박스형 케이지(40)의 중앙함체(40a)를 형성하는 좌우측 수직프레임들에 연장된 수개의 현가대들에 의하여 주행장치의 축수부재에 전후방으로 회동자유롭게 축설된 전, 후방 현가축(38)(38a)에 베어링부재을 게재하여 축의 직교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현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구성에는, 점검대차를 교각의 측방에 안정되게 정차시키는 구성으로, 교각의 기둥 표면에 자력으로 밀착되는 전자석대와, 이 전자석대를 함체의 측면에서부터 일정 길이 출몰시키는 작동장치로 구성된 전자석 로크장치로 형성된 정차안전장치를 부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은, 상기 주행장치에 상단이 현가수단으로 현가되고, 수개의 골조형 프레임들과 외장판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지함체(401)와, 이 케이지함체(401)의 내부 일측으로 발전기(75)와 주행장치의 구동모터(35)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77)가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75)를 수용하며, 측면으로는 개폐식 출입문 및 여닫이식 출입문을 구비하며, 중간부와 상부의 둘레에는 투명창(56)을 구비한 이동식 점검대차(10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에 구비되는 출입문의 구성은, 상기 일 측면 중간에는 작업자 탑승용으로 여닫이식 출입문(85)을 설치하고, 타측면 중간에는 교각 승강용으로 하단이 케이지의 하부프레임에 힌지로 장착되고 상단은 상부프레임에 대하여 일정거리 제한한 간격으로 열리게 체인으로 연결되며, 내측면에는 수개의 사다리발판을 구비한 개폐식 출입문(86)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8. 수개의 교각에 의하여 PC보 또는 강재 박스보를 주형으로 구비하는 교량에 있어서, 일정 구간의 주형 하단면과 교각들의 상단 측면에 걸쳐서 일정 폭을 갖고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에 현가수단으로 상단이 현가축의 직교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하부는 개방된 일정 부피의 함체로 형성된 통형 케이지함체와,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의 내부에 승강장치로 수용되어 통형 케이지함체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높이 승,하강되며 작업자 출입구를 갖는 승강케이지와,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전기 구동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대차의 구동요소들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9. 제8항에 있어서 이동식 점검대차의 구성은, 레일(20)에 현가되어 자주식으로 이동되는 주행장치와, 발전기(75)와, 작동제어장치(77) 및 하부가 일정 규격으로 개방되며 중간 및 상부 둘레에 투명창(56)을 갖고 양측면에는 출입구(58)가 형성된 통형 케이지함체(240)로 구성되어,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내부에는 중앙측으로 상기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승강케이지(80)와, 상기 승강케이지(8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유압유니트와, 상기 유압유니트와 유압회로로 연결된 수개의 체인블럭들과,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 상부에서 승강부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수개의 체인로울러들로 구성된 승강장치를 구비하며, 내부 일측으로 점검대차의 작동부재들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77)를 구비하는 다기능형 이동식 점검대차(2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승하강되는 승강케이지를 작동시키는 승강장치의 구성은,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일측 방에 설치된 유압유니트(76)와, 이 유압유니트(76)에 유압회로로 연결된 2열식 체인블럭(71)들과,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중간 함실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각각 중간 상부프레임을 가로지르게 고정된 승강부프레임(55)에 전방측으로 설치된 2열식 체인로울러(72)들 및 후방측으로 설치된 1열식 체인로울러(73)들과, 상기 승강케이지(80)의 사방 수직프레임(81)들 내부 하단에 설치된 체인브라켓(88)들에는 각각 상기 2열식 체인블럭(71)들과, 2열식 체인로울러(72)들 및 1열식 체인로울러 (73)들에 연결한 체인(74)을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에는, 상기 레일의 하단 플랜지에 접속하는 유압브레이크를 일측 축수부재에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2. 제8항에 있어서 통형 케이지함체에는, 주형과 교각의 표면에 접속하는 전자석대와, 이 전자석대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전자석 로크장치를 상기 케이지함체의 측벽에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주행장치와 통형 케이지함체를 현가하는 현가장치의 구성은,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주행장치(30)와 아이들주행장치(30a)에 대하여, 상기 전,후방 현가축(38)(38a)들을 통형 케이지함체(240)의 현가프레임(241)의 전,후방 일측에 상하로 관통시킨 후, 현가축(38)(38a)들의 하단부를 트러스트 베어링 (60)과 상부 스프링플랜지(62), 스프링(64), 하부 스프링플랜지(65), 조임너트 (66), 워셔(67) 및 풀림방지 너트(68)를 조립한 구성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에 수용되는 승강케이지의 승강장치는,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의 일측 방에는 양측방으로 구동축이 분기되어 각각 좌우측 권선휠들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며, 이 좌우측 권선휠들에는 2열식 중간로울러들과 1열식 중간로울러들을 거쳐서 상기 승강케이지의 사방 수직프레임들 내부 하단에 설치된 브라켓들에 와이어를 걸어 감아서 구성하는 와이어 권선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케이지함체에 승강장치로 수용되는 승강케이지의 하단에는 착탈식 수단을 갖고 부양체를 부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KR1020000015268A 2000-03-25 2000-03-25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KR20000030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268A KR20000030899A (ko) 2000-03-25 2000-03-25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268A KR20000030899A (ko) 2000-03-25 2000-03-25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899A true KR20000030899A (ko) 2000-06-05

Family

ID=1965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268A KR20000030899A (ko) 2000-03-25 2000-03-25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89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1077A (zh) * 2013-12-19 2014-04-09 武汉武桥交通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悬挂式桥梁检查车的走行机构
CN104652264A (zh) * 2015-02-28 2015-05-27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悬挂式检查车
CN104894967A (zh) * 2015-06-29 2015-09-09 河南易博联城规划建筑设计有限公司洛阳分公司 一种桥梁检修自升降设备
CN108086170A (zh) * 2017-12-13 2018-05-29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移动模架及移动模架的过孔施工方法
CN109179276A (zh) * 2018-09-26 2019-01-11 国家电网公司 变电站用高空作业吊笼
CN110306428A (zh) * 2019-06-14 2019-10-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4687286A (zh) * 2022-04-02 2022-07-01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公跨铁桥梁检测车及其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8749U (ko) * 1989-03-31 1990-10-24
KR19980036861A (ko) * 1996-11-20 1998-08-05 김중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KR20010054382A (ko) * 1999-12-06 2001-07-02 전태수 아치형 교량의 교량점검대 주행장치
KR100337737B1 (ko) * 1996-08-08 2002-11-1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하부작업대회전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8749U (ko) * 1989-03-31 1990-10-24
KR100337737B1 (ko) * 1996-08-08 2002-11-1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하부작업대회전지지장치
KR19980036861A (ko) * 1996-11-20 1998-08-05 김중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KR20010054382A (ko) * 1999-12-06 2001-07-02 전태수 아치형 교량의 교량점검대 주행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1077A (zh) * 2013-12-19 2014-04-09 武汉武桥交通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悬挂式桥梁检查车的走行机构
CN104652264A (zh) * 2015-02-28 2015-05-27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悬挂式检查车
CN104652264B (zh) * 2015-02-28 2016-05-04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悬挂式检查车
CN104894967A (zh) * 2015-06-29 2015-09-09 河南易博联城规划建筑设计有限公司洛阳分公司 一种桥梁检修自升降设备
CN108086170A (zh) * 2017-12-13 2018-05-29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移动模架及移动模架的过孔施工方法
CN109179276A (zh) * 2018-09-26 2019-01-11 国家电网公司 变电站用高空作业吊笼
CN109179276B (zh) * 2018-09-26 2024-02-06 国家电网公司 变电站用高空作业吊笼
CN110306428A (zh) * 2019-06-14 2019-10-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0306428B (zh) * 2019-06-14 2024-03-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4687286A (zh) * 2022-04-02 2022-07-01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公跨铁桥梁检测车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06B1 (ko) 고속 도로 시공 방법 및 설비, 및 그 고속도로
KR100991190B1 (ko) 환상형 주행레일 이동식 교량 점검차와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및 보수방법
CN213328698U (zh) 一种高速铁路桥面系预制件安装设备
WO2019015243A1 (zh) 一种井道模块拼装***和拼装方法
KR20000030899A (ko)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RU206581U1 (ru) Эстакада сегментная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текущего ремонта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210049105U (zh) 一种自行式桥梁模板作业台车
JP4558663B2 (ja) ダム用構造物の作業用設備
KR200274862Y1 (ko)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용 주행장치
KR101111281B1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시설용 탑승장치
CN2388220Y (zh) 钢桁梁桥多向防电轻型维修车
CN201265270Y (zh) 立体停车设备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CN218839447U (zh) 悬挂式单轨列车开闭式检修平台
CN219237048U (zh) 空列一体化检修维护***
CN217460304U (zh) 一种高速铁路全封闭声屏障小型构件安装台车
KR0129416Y1 (ko) 교량점검장치
CN215857302U (zh) 一种跨座式单轨的检修车
CN215254393U (zh) 一种空轨列车的检修平台
CN218371324U (zh) 一种桥面系钢混施工辅助台车
CN2366454Y (zh) 移动耙斗式清污机
CN208718464U (zh) 一种立体车库应急消防机器人
KR0160337B1 (ko) 교량점검장치
JP2872374B2 (ja) 長尺な高所建造物及びその周辺部材の保守点検作業方法並びに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