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173A - 고정구,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 Google Patents

고정구,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173A
KR20000022173A KR1019980710591A KR19980710591A KR20000022173A KR 20000022173 A KR20000022173 A KR 20000022173A KR 1019980710591 A KR1019980710591 A KR 1019980710591A KR 19980710591 A KR19980710591 A KR 19980710591A KR 20000022173 A KR20000022173 A KR 2000002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fastener
fixture
flang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03B1 (ko
Inventor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Original Assignee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메데벨로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메데벨로프 아베 filed Critical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Priority to KR10-1998-071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뼈조직에 고정된 하나이상의 고정구(1)에 보철물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구(1)는 보철물용 고착부(8)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착부(8)는 보철물에 유지 표면(13)과 결합하는 지지 표면(9)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례에 따라, 이것의 지지 표면(9)상의 이러한 고정구(1)에는 변형 장치(18)가 제공되어있다. 이것은 지지 표면(9)과 유지 표면(13)사이에 오정렬을 보정하도록 지지 표면(9)에 수직인 방향으로 성형되어 변형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례에 따라, 또한 변형 장치는 대응되는 방법으로 보철물 지지 표면(13)에 정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장치를 갖춘 고정구를 구비한 보철물 고정 장치를 결합한다.

Description

고정구,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본 발명은 첫 번째로는 청구범위 1 항의 전술부에 기술된 형태의 고정구, 두 번째로는 청구범위 제 12 항의 전술부에 기술된 형태의 보철물 고정 장치 및 세 번째로는 청구 범위 제 15 항의 전술부에 기술된 형태의 보철물에 관한것이다.
다른 타입의 보철물, 예를들어 치과용 보철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람의 뼈 조직에 고정물을 임플랜트(implant)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고정구의 고정을 영구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른 것들중에서, 재료 선택 및 조작 기술과 관련하여 다수의 인자가 충족되어야만 한다. 실제적으로, 미세 함몰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순수 티탄으로 제조된 Branemark 교수에 의해 개발된 고정구는 매우 우수하고 장기간의 고정 능력을 갖는다. 스크류형 고정구는 뼈, 예를들어 턱뼈에 적용되며 그리고 특정 기간에, 통상적으로 수개월동안 치료(뼈일체화)를 하여야 한다. 이후에, 보철물이 고정구상에 설치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타입의 고정구에는 외측 나사부가 제공되며, 이에따라 이것은 임플랜트(implant)된 스크류이고, 이들은 뼈 조직으로 제조된 구멍안에 이들을 나사식으로 고정함에 의해 부착된다. 때때로 이 홀에는 나사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지만 자동 태핑(self tapping) 스크류로 나사식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고정구는 이들이 상당한 부하에 노출되기 전에 치유를 위해서는 보다 짧거나 또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고정구상에서, 다른 타입의 보철물을 부착시킬수 있으며 치과 보철물에 있어서 고정구에 대해 개별적인 치아, 예컨데 하나의 치아를 부착시킬수 있지만 또한 2개 이상의 고정구가 다수의 치아 또는 전체의 한열로된 치아를 포함하는 브릿지 구조물에 대한 부착점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이 고정구는 그들의 자유 단부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디자인된다.
보철물이 고착되어 지는 고정구의 자유 단부, 예컨데 고착 단부에는 보철물에 대응 고착 장치를 결합할수 있는 형태의 고착 장치가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보철물 또는 보철물 지지 요소상의 유지 표면이 고정구의 고착 단부에서 지지 표면과 접촉되도록 정렬된 부착물을 갖춘다. 지지 및 유지 표면은 충분히 만족스런 작용성을 보장하도록 평행하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단지 하나의 고정구의 수단에 의해서 부착된 타입의 보철물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는데 이것은 이러한 경우 보철물이 제위치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때 나사식 접합부에 의해 고정구에 통상적으로 고착된 보철물이 전체 면적에 걸쳐 고정구의 지지 표면과 접촉되도록 힘이 가해진 유지 표면을 갖추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에, 보철물은 하나 이상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될 것이다. 이것은 특히 일렬의 치아를 포함하는 보철물이 부착되어 질 때 턱의 재개조와 관련되어 질 때 이루어지지만 또한 몸체의 다른 부분에 대해 사용되는 보철물에 대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보철물 및 이러한 보철물을 위한 홀더가 하나 또는 그이상의 고정구에 부착될 때, 먼저 보철물이 제위치에 부착되어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고정구가 특정 위치로 보철물에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것은 고정구의 지지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유지 표면이 강제적으로 상기 지지 표면에 의해 결정된 그것의 방향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된다. 보철물을 제 2 고정구 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고정구에 나사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오정렬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구에서의 대응 유지 및 지지 표면이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뼈 조직내에서 고정구를 고정하려 할 때, 물론 지지 표면을 갖추는 것은 가능한한 가장 큰 정확성으로 서로 연관되어 의도한 방향으로 있다는 것을 가정하며, 이들 방향은 보철물에서 대응 유지 표면에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고정구 표면은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최소한 평행하게 놓여져야 한다.
이러한 것을 완전하게 이룩하는 것은 어렵다. 사실상 고정된 고정구가 의도한 것으로부터 방향이 벗어난다는 것을 예상하여야한다. 2개 이상의 고정구를 충분하게 평행하게 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높이를 정확하게 맞출수 있는 가능성은 멀다. 단지 약간의 정도로 벗어나는 것은 상술한바와 같이 보철물이 고정구에 부착될 때 지지 표면 및 유지 표면사이에서의 결합이 결여되게 된다. 보철물 요소 또는 보철물 홀더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완전하게 단단한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결합은 엘레멘트 또는 홀더에 의해서는 보정될수없다. 대신에, 하나이상의 고정구의 지지 표면의 접촉이 열악해지며 보철물이 고정구에 부착되도록 나사식 접합부에서 조여질 때 보철물의 구조가 변형된다. 그밖에도, 이들 변형은 뼈 조직 아래로 전파된다. 이것은 환자에 대해서 불편함 및 곤란을 일으키는 한편 보철물의 작용성을 떨어뜨리고 그것의 수명 예상치를 짧게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턱뼈 재개조와 관련하여 통상적이며 치아 보철물을 갖는 상부 구조물은 고정구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부착물 바아에 의해 제위치에서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고정구중에서 이러한 평행성의 부족은 특히 개별적으로 폭넓게 적용하도록 의도하지는 않은 예비제조된 상부 구조물의 사용과 관련하여 주요한 문제를 갖는다. 이러한 부정확성을 보정하기 위해서 고정구와 보철물사이의 중간 탄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이미 EP 제 0126 624호, EP 제 0 126 624 호, 및 EP 제 0466 267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바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구의 방향 또는 이들의 높이 위치가 의도한것과 충분하게 맞추어지지 않을 때 직면하게 되는 상술한 단점을 제거하고 그리고 특정 보정 요소를 삽입하지 않고서도 의도한 것을 달성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것은 청구범위 1 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을 나타내는 청구범위 1 항의 전술부에 청구된 형태의 고정구 수단에 의해, 청구범위 제 12 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을 나타내는 전술부에 청구된 형태의 보철물 고정 장치의 수단에 의해 그리고 청구 범위 제 15 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을 나타내는 기술된 전술부에 청구된 형태의 보철물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오정렬이 발생할 때 고정구에서의 지지 표면 또는 보철물에서의 유지 표면에 각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성형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변형 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변형 장치가 대응되는 범위에 따라 변형될 것이다. 이 결과에 따라, 유지 표면은 오정렬에도 불구하고 지지 표면과 충분한 작용을 하여 접촉할 것이다. 각 방향의 오정렬은 이러한 변형 장치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보유기 장치의 조임은 환자의 뼈 조직에서의 임의의 변형을 실행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구는 최소한 회전방향으로 대칭되는 부분들을 갖추도록 디자인되며, 이것의 지지 표면은 이것의 중앙축에 수직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 장치는 중앙축과 공축이며 적절하게는 원통형인 축방향으로 정렬된 플랜지로서 디자인된다.
최적의 변형 분포를 제공하도록 플랜지 원형 지지 표면에 주변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플랜지가 중앙 축으로부터 가능한한 긴 거리 만큼 떨어져 위치될것이라는 사실 때문에 발생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에는 슬롯이 제공되며 축방향으로 외향되어 경사져서, 변형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의 외부 단부가 뾰족하도록 하고, 예컨데 예리하도록 하여서, 변형에 대해 향상된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고정구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은 고정구를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에서 취한 확대도이다.
도 5-7은 도 4에 도시된것에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5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한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고정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것의 한부분을 취한 길이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의 한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한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의 목적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101)은 보철물의 한부분, 예를들어 치아 브릿지를 위한 브릿지 기초부를 나타낸 것이다. 보철물(101)은 턱뼈에 만들어진 홀안으로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구 수단에 의해 사람의 턱뼈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단지 2개의 고정구(102, 103)만을 도시하였으며, 단지 상부 단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각 고정구는 고정되어지는 턱뼈의 홀에 의해 결정된 방향을 취한다. 매우 빈번하게, 이들 홀은 완전한 평행이 아니며, 이것은 고정구(102, 103)의 대응되는 상호간의 오정렬을 유발한다. 보철물(101)이 제 1 고정구에 대해 조여질 때, 이 보철물(101)은 이 보철물(101)상의 대응 유지 표면(105)가 지지 표면(104)와 접촉되게될 때 제 1 고정구의 지지 표면(104)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 위치로 힘이 가해진다.
이어서, 만약 제 2 고정구(103)가 제 1 고정구(102)와 평행으로부터 각이 편향된다면, 제 2 고정구(103)에 위치된 나사식 접합부를 조이는 것은 보철물상의 대응 유지 표면(107)과 관련된 제 2 고정구 지지 표면(106)의 오정렬을 유발하여 접촉이 거의 (10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 대 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양쪽 고정구가 보철물(101)에 대해 조여질 때, 토오크는 각 고정구에서 화살표로 도시된것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할 것이다. 이러한 토오크는 고정구가 고정되는 턱뼈내에서 변형을 일으킬 것이다. 이러한 것의 악영향은 처음에 기술한바와 같다. 고정구 유지 표면의 위치가 높이와 관련하여 맞추어지지 않는다면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도 2는 사람의 하부 턱뼈에 고정된 고정 단부를 갖는 고정구(1)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구 (1)의 상부 단부, 이것의 고착 단부에서, 이것에 부착되는 치아 보철물 브릿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아(3)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고정구(1)의 고정부(7)는 그것의 단부에서 슬롯(6)이 제공된 원뿔형 부분(5)을 갖추고 있는 나사 부분(7)을 갖도록 디자인된다. 티탄으로 제조된 고정부(7)는 턱뼈(2)내에 미리 드릴링된 홀안으로 자동 태핑나사식으로 고정된다. 고정구의 상부 단부, 고착 단부는 단일 부품을 형성하도록 고정부(7)와 조합될수있거나 또는 보다 통상적으로는 분리 장치로서정렬될 수 있는 간극부(8)를 포함하며, 이 분리 장치는 내삽식 보어(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부(7)로 나사식 고정된다.
고착 단부에는 바아(3)에 적용되도록된 다른 부착 장치와 결합하는 부착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2개는 서로 부착된다. 고착 단부의 부착 장치는 고정구 길이 방향축 A에 수직으로 정렬된 지지 표면(9), 지지 표면(9)으로부터 뻗어있으며 6각형의 외부 프로파일을 갖춘 축방향으로 정렬된 돌출부(10), 및 돌출부의 상단과 연관되어 축방향으로 정렬된 고정구내의 내삽식 보어(12)를 포함한다. 바아(3)의 대응 부착 장치는 유지 표면(13)을 포함하는 이것의 바닥 표면의 영역, 관통 보어(14), 보어의 상부 단부에서의 원통형의 원추형 부분(15), 보어의 하부 단부에서의 육각형 원추형 부분(16) 및 보유기 스크류(17)을 포함한다.
바아(3)은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제 1(도시되어 있지 않음)고정구의 방향에 따라 좌우되는 방향을 형성한다.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방향의 정상 정렬B는 고정구(1)의 도시된 방향A에 대응되도록 하려한다. 이러한 것은 도면의 경우가 아니다. 대신에, 이들사이에서 α°의 각 편향이 일어난다. 또한 대응 각 편향은 지지 표면(9) 및 유지 표면(13)사이에서 일어난다.
고정구의 유지 표면(9)에는 베어링 표면(9)의 외주부에서 정렬되어 있으며 이것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플랜지(18)의 형태의 변형 장치가 제공된다. 플랜지는 약 0.05㎜로서 상대적으로 얇으며 높이는 약 0.15㎜이다. 고정구(1)가 조임 스크류(17)에 의해 바아(3)상에서 단단하게 당겨질 때, 플랜지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지지 표면의 일부는 바아(3)의 지지 표면(13)과 직접 접촉할 것이다. 표면이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는 플랜지(18)상의 단일 지점에서 접촉이 발생된다. 스크류를 연속적으로 조이는 것은 이 위치에서 플랜지(18)를 변형시키고 그리고 스크류가 더 조여질 때, 이 변형은 플랜지(18)의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변형은 소성이 있기 때문에, 형태상의 변경이 유지된다. 도면의 좌측면은 이 형태(19)로 변형된 플랜지를 도시하고 있다. 변형된 플랜지는 바아(3)의 베어링 표면(13)과 평행하고 전체 범위에 걸쳐 접촉하는 단부 표면을 취할 것이다. 이에따라 각 편향α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지며 고정구(1)와 바아(3)사이에서 우수한 접촉이 수행되도록 하며 턱뼈(2)에서 변형이 발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고정구(1)의 상부 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것은 파단선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간극부(8)에서 대응되는 나사식 스터드 단부(도시되지 않았음)를 결합한 나사식 보어(20)의 수단에 의해 고정구의 간극부(8)가 고정부(7)에 어떻게 부착될수있는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은 간극부(8)의 상부 단부에서 지지 표면(9)의 외주부에 제공된 축방향 플랜지(18)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명확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도 4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플랜지를 통해 취한 큰 축척의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 18은 두께가 균일하며 축방향에 수직한 부분으로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8a 및 18b)의 외부 단부에는 그들의 내외부 측면에 각각 베벨(21a, 21b)가 제공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것과는 다르다. 양쪽 경우에, 이들 베벨은 플랜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뻗어있어서 뾰족한, 예컨데 날카로운 에지가 외부 단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베벨은 다르게 정렬될수 있어서 이것은 플랜지의 폭의 단지 일부분만을 너머 뻗어서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평편한 에지 표면을 남기도록 한다. 이와 유사하게 플랜지에는 내측면 및 외측면상에 베벨이 제공될 수 있다. 초기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경사도는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저항성은 스크류가 조여질수록 더욱 증가한다.
도 7에서, 변형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플랜지(18c)를 포함하고, 이격부(8) 주변에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원형 슬롯(22)은 나머지 간극부(8)로부터 축방향으로 플랜지(18c)를 분리한다. 압력이 상단 측면에서 가장 벗어난 지점에서 집중될 때, 이것은 고리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슬롯(22)을 향해 하향 방향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플랜지(18c)가 변형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18e)에는 플랜지(18e)의 변형을 촉진시키는 슬롯(23)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은 도 9에서 더 큰 축척을 취하였다. 도 8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슬롯(23)은 전체 플랜지(18e)를 통해 축방향으로 뻗어있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축방향의 범뤼로 단지 일부분만을 통해 뻗어있다. 도 9의 경우에는, 낮은 초기 변형 조항성이 얻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장점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한 치아 보철물 장치를 도시하였다. 치아 보철물 장치는 이 치아 보철물 및 바아(4)가 제공되어 있는 브릿지(30)를 갖춘 상부 구조물을 구비하며 이 바아(4)에는 브릿지(30)가 보어(4)의 나사식 홀(32)내의 다수의 스크류(31)의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바아(4)는 3개의 고정구(1)에 의해 사람의 턱뼈내에 고정되며 이 고정구에는 바아(4)가 다수의 스크류(17)의 수단에 의해 부착되며, 이들중 각각은 바아에서 홀(14)을 통해 통과되며 적절한 고정구(1)에서 나사식 보어안으로 나사식 고정된다. 각각의 지지 표면(9)은 바아(4)에서 대응 유지 표면(13)과 접촉되게 될것이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랜지(18)에 의해 이전에 기술된 방식으로 임의의 각 편향이 취해질 것이다.
도 12는 이전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타입의 바아(4')의 측면도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개별적인 유지 표면(13')은 바아의 바닥 측면에서 고착홀(14')에 인접해서 위치된다. 각각의 유지 표면(13')에는 고착홀(14')과 동심인 축방향으로 정렬된 플랜지(18')이 제공된다.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 13은 이 플랜지(18')가 어떻게 정렬되어 있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플랜지(18')는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의 대응 플랜지를 교체한다. 여기서 고정구의 지지 표면의 장치에 의해 취해지는 것 대신에 변형은 바아(4')의 유지 표면(13')에서 변형 장치에 의해 흡수된다. 다른 것과 관련하여,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장치는 이전에 기술된것과 동일한 작용하기 때문에, 본원에서 더 설명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랜지(18')로서 형성된 변형 장치는 변형 장치가 고정구에 위치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른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4)

  1. 보철물을 지지하도록 뼈조직(2)과 뼈일체화하여 임플랜트하기 위한 고정구(1)로서, 상기 고정구(1)에는 보철물을 고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부착부(8)를 뼈 조직(2)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부(7)가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8)에는 보철물에 유지 표면(13)을 결합하도록 정렬된 지지 표면(9)이 제공되어 있는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9)에는 상기 고정구(1)와 일체식 부분인 변형 장치(18)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표면(9)은 상기 지지 표면(9)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성형되어 변형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방향으로 대칭인 몸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몸체는 상기 고정구(1)상에서 중앙축(A)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표면(9)이 상기 중앙 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장치(18)가 축방향으로 정렬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가 원통형이고 상기 중앙축과 공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9)이 원형이고 상기 지지 표면(9)의 외주부에 상기 플랜지(18)가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e)에 슬롯(23)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축방향에서의 외부 단부에서의 상기 플랜지(18a, 18b)가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의 외부 측면 또는 반경방향의 내부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정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a, 18b)의 축방향의 외부 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뾰족한, 예컨데 예리한 에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8)의 모든 주변에는 상기 지지 표면(9)의 내측면에 단거리에서 반경 방향의 슬롯(22)이 장착되어져서, 상기 지지 표면(9)과 상기 슬롯(22)사이에서 변형 장치로서 사용되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링형 플랜지(18c)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치아 보철물(30)을 지지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11. 적어도 2개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보철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는 청구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르며, 상기 보철물 고정 장치가 상기 고정구를 결합하는 보철물 기초부(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고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표면(13)이 동일 평면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철물 고정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기초부(4)가 인체의 턱뼈에 맞추어지도록 궁형을 이루고 있으며 치아 보철물(30)에 부착되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고정 장치.
  14. 다수의 부착 유닛(14')과 유지 표면(13')을 포함하고 있는 보철물로서, 다수의 상기 부착 유닛(14')은 이 보철물에 또는 분리된 보철물 기초부(4')상에 직접 정렬되며, 또한 상기 유지 표면(13')은 보철물이 상기 고정구에 부착될 때, 상기 유지 표면(13')이 적절한 고정구에서 지지 표면과 접촉되도록 정렬된 보철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지 표면(13')에는 변형 장치(18')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변형 장치(18')가 상기 유지 표면(13')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KR10-1998-0710591A 1996-06-27 1997-06-12 인공치근,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KR10046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591A KR100465403B1 (ko) 1996-06-27 1997-06-12 인공치근,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2555-6 1996-06-27
KR10-1998-0710591A KR100465403B1 (ko) 1996-06-27 1997-06-12 인공치근,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173A true KR20000022173A (ko) 2000-04-25
KR100465403B1 KR100465403B1 (ko) 2005-06-01

Family

ID=4366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591A KR100465403B1 (ko) 1996-06-27 1997-06-12 인공치근,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399A2 (ko) * 2009-02-05 2010-08-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399A2 (ko) * 2009-02-05 2010-08-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090399A3 (ko) * 2009-02-05 2010-11-2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25225B1 (ko) * 2009-02-05 2011-04-0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03B1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0305B1 (en) Fixture, prosthesis anchoring device and prosthesis
US5026285A (en) Enossal individual tooth implant and locking tool for use with such an implant
JP3953113B2 (ja) 義歯システム
US11877909B2 (en) Dental implant set
US5030095A (en) Angled abutment for endosseous implants
JP3488493B2 (ja) 骨組織内に固定するためのアンカ要素
US4824372A (en) Apparatus for the fixation of a single-tooth restoration
US5324199A (en) Fixture for anchoring in bone tissue
US5069622A (en) Spacer
US5564926A (en)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JP3001300B2 (ja) 骨に取付ける単一歯植込み部材
US5975904A (en) Articulated bone reconstruction bar
JPH05501671A (ja) 骨合成デバイス用、特に背柱矯正用移植片
JP2574695B2 (ja) スペーサ
US5554027A (en) Prosthesis system for replacing teeth
KR20090129407A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KR200700090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EP3357450B1 (en) Rotating attachment for a dental implant
JP3638952B2 (ja) スペーサ部材
KR100465403B1 (ko) 인공치근, 보철물 고정 장치 및 보철물
US20230310123A1 (en) Maxillary skeletal expander and maxillary skeletal expanding system
US20230233294A1 (en) Tie-base with conical screw for dental implants
US5888066A (en) Converter assembly for threaded dental implants
KR100517475B1 (ko) 치아보철물장치,이치아보철물장치용부품및사용방법
KR200282971Y1 (ko) 풀림이 방지된 인공치아 임플란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