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560A - 정제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정제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60A
KR20000017560A KR1019990035635A KR19990035635A KR20000017560A KR 20000017560 A KR20000017560 A KR 20000017560A KR 1019990035635 A KR1019990035635 A KR 1019990035635A KR 19990035635 A KR19990035635 A KR 19990035635A KR 20000017560 A KR20000017560 A KR 2000001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data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apparatu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마쇼지
하마다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0001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신뢰성이 높고, 처리속도가 빠른데 더하여 환자에게 건네준 다음에도 검사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으며, 검사조제사의 검사노력을 완화할 수 있는 정제검사장치를 제공한다.
투과선(X선) 발생수단(14)에 의하여 정제포장물(12a)에 투과선(X선)을 조사하고, 이 투과선(X선) 검사수단(16)에 의하여 검출한다. 투과선(X선) 검출수단(16)의 검출결과로부터, 정제포장물(12a)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18)에 의하여 판별한다. 처방전 데이터로 정제포장물(12a)에 포장하여야 할 정수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정수데이터와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18)으로 판별된 정제의 개수와를 비교하여,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비교판정처리(18)에 의하여 판정한다.

Description

정제검사장치{TABLET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된 정제가 처방전대로 포장되어 있는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사하는 정제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포장장치에 의하여 포장된 정제가 처방전대로 포장되어 있는지 어떤지 여부의 검사는 일반적으로 조제사에 의하여 육안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조제사에 의한 검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가, 일본국 특개 소 63-294307호 공보나, 특공 평 4-17666호 공보 등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것들 검사장치는 포장된 정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정제의 종류와 개수를 감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들 검사장치는 포장지에 포장된 정제를 2차원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정제가 여러 개 포장되어 있을 경우에 정제의 겹침이나 접촉을 인식할 수 없어, 포장불량으로서 판정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 포장지에 백색페인트로 띠형상으로 문자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띠의 뒤쪽에 숨겨진 정제를 식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포장지의 안팎 2방향으로부터 촬영하였다 하여도 해소되지 않는다. 그래서, 포장직전의 정제를 1개 1개 분리하여 반송하고, 그것들 정제를 촬영하여 검사하는 장치가, 특개 평 5-337168호 공보나 특개 평 8-168727호 공보에 계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들 검사장치는 정제를 1개 1개 분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처리속도가 늦다. 또, 이것들 검사장치에 의하여 포장직전에 하게 되는 검사는, 실제에 포장된 상태의 검사는 아니므로, 어떤 포장지에 포장하여야 할 정제가 그 전후의 포장지에 혼입하는 경우가 있어도, 그것을 검출할 수 없어서 신뢰성이 낮다. 예컨대 아침과 낮에 복용하는 정제의 종류가 다를 경우, 아침복용의 정제가 포장된 포장지에 주간복용의 정제가 혼입하여도, 그래로 환자에게 건네어 복용되어, 약효가 없어질 염려가 있다. 또, 포장시에 나사나 스프링 등의 장치의 부품, 곤충,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고 있어도, 그대로 환자에게 건네어 복용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신뢰성이 높고, 처리속도가 빠른데 더하여, 환자에게 건낸후에도 검사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고, 검사조제사의 검사노력을 완화할 수 있는 정제검사장치를 제공함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하여야 할 정수(錠數)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정수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개수와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어쩐지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정제포장물이라 함음 포장봉지외에 뚜껑이 달린 원통형상 용기인 바이알병을 포함하고 있다. 또, 투과선이라 함은, X선외에 방사선, 물체를 투과하는 광선, 예컨대 적외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제1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고, 이것을 정제포장물에 포장하여야할 정수데이터와 비교하여,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포장된 정제의 검사가 간단 또한 신속하게 되어,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정제형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 할 정제의 종류를 추출하여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형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호출하여, 이 정제형상 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형상 등을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 등을 구비하였다.
상기 제2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여, 이것을 정제포장물에 포장되는 정제의 형상데이터와 비교하여,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발명과 마찬가지로 포장된 정제의 검사가 간단 또한 신속하게 됨에 더하여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정제형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 할 정제의 종류를 추출하여,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형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호출하고, 이 정제형상 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형상 등을 대응시켜서,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판별하는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판별하는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하여야 할 정제의 종류와 정수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정수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개수와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 등을 구비하였다.
상기 제3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 판별하고, 이것을 정제포장물에 포장하여야할 정수데이터와 비교하여 처방전 데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발명과 마찬가지로 포장된 정제의 검사가 간단 또한 신속하게 되는 결과,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은,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에 개수로서 환산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때, 또는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에 형상을 인식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때, 불량포장으로서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더욱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 이상한 판정을 받었을 경우, 해당하는 정제포장물에 마아크를 부여하는 표지(marking)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품을 간단히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은, 투과레벨로서 투과선을 검출하던가 또는 정제의 영상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영상자료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포착되어 그 정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정제 판별처리수단과,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 영상자료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호출하여 이 영상자료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에 겹쳐서 영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영상데이터 작성수단 등을 구비하였다.
상기 제4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정제의 종류를 판별하여,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 영상데이터를 투과선 검출데이터에 겹쳐서 영상데이터를 작성하므로, 포장된 정제를 영상데이터로 하여 볼 수 있으므로, 정제의 검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정제검사장치에서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이나, 상기 영상데이터를 처방전 데이터와 대응하여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정제의 검사가 더욱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서 제4의 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선 발생수단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을 조사방향이 다른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하고,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재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투과선 발생수단을 정제포장물의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재현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포장된 정제에 겹침이 있어도 그것들의 정제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검사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를 구비한 정제분포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타깃고정식 X선관의 단면도.
도 3은 타깃회전식 X선관의 단면도.
도 4는 연속 X선 발생 회로도.
도 5는 펄스 X선 발생 회로도.
도 6은 텅스텐 타깃의 포톤 스펙트럼도.
도 7은 텅스텐 타깃의 포톤 스펙트럼도.
도 8은 몰리브덴 타깃의 포톤 스펙트럼도.
도 9는 관전압 파형도.
도 10은 도 1의 정제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라인센서(전리상자 검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전리상자 펄스응답성을 나타낸 파형도.
도 13은 전리상자에 있어서의 가스압과 인가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라인센서(반도체 검출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5는 측정포인트를 설명하는 포장봉지의 사시도.
도 16은 분리장치를 구비한 도 10의 정제검출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폭사포인트의 피치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8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19는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0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1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2는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3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4는 X선 감쇠특성을 도시한 3차원 그래프.
도 25는 불량포장의 경우의 측정포인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6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의 감쇠폭을 도시한 그래프.
도 27은 라인센서의 투과량 출력데이터의 감쇠폭을 도시한 그래프.
도 28은 3차원 화상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판별기준 데이터의 1예를 도시한 3차원 그래프.
도 30은 판별기준 데이터의 1예를 도시한 3차원 그래프.
도 31은 마아크 부여장치의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33은 X선에 의한 그림자의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35는 라인센서의 x, y방향의 투과량 출력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36은 3차원 화상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3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38은 5°회전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39는 10°회전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40은 15°회전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41은 3차원 화상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44는 도 43의 정제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45는 측정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6은 데이터 처리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7은 판별기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4개의 조직으로된 조직의 X선 흡수계수를 나타낸 도면.
도 49는 반복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0은 푸우리에 변환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1은 g(k, w)의 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 52는 도 51을 개량한 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 53은 농도변환처리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4는 각종 함수표를 도시한 도면.
도 55는 도 54에 이어지는 각종 함수표를 도시한 도면.
도 56은 입출력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7은 화상중의 인접하는 2개의 소영역과, 그것들의 농도의 분산값을 나타낸 도면.
도 58은 필터함수를 나타낸 도면.
도 59는 그 밖의 필터함수를 나타낸 도면.
도 60은 화상을 검시하기 위한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1은 변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2는 (A)정제의 기억데이터, (B)는 결손부가있는 정제의 실측데이터, (C)는 기억데이터 보다 작은 정제의 실측데이터를 각기 나타낸 사시도.
도 63은 투과선으로서 적외선을 사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외선 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4는 투과선으로서 적외선을 사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외선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65는 도 64의 적외선 검사장치의 A-A선 단면도.
도 66은 쇼트키접합부에 n형 불순물 도입영역을 설치한 것 (a) 설치하지 않은 것 (b)에 있어서의 복귀전압과 출력신호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제검사장치
2 : 정제분포기(分包機)
12a : 포장봉지(피검사체)
14 : X선관(투과선 발생수단)
16 : 라인센서(투과선 검출수단)
17 : 마아크 부여장치(마아크 부여수단)
18 : 제어장치(정제개수 판정처리수단, 비교판정 처리수단,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 기억수단)
40 : CCD카메라(촬상수단)
101 : 적외선 발생장치(투과선 발생수단)
111 : 적외선 검출장치(투과선 검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정제검사장치(1)를 구비한 정제분포기(錠劑分包機)(2)는 제어장치(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정제 털어내기장치(4), 포장장치(5), 및 인쇄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정제 털어내기장치(4)는 정제가 종류별로 수용된 다수의 카세트(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제 털어내기장치(4)는 호스트 컴퓨터(8)로부터 개인용 컴퓨터(9)를 통하여 수신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카세트(7)로부터 정제를 털어낸다. 정제 털어내기장치(4)로 털어낸 장치(4)에서 털어내어진 정제는 호퍼(10)를 개재하여 포장장치(5)에 안내된다. 포장장치(5)는 로울(11)에서 일정량씩 송출되는 포장지(12)를 밀봉하여 포장한다. 포장지(12)의 이송량은 도면에 없는 부호기에 의하여 검출된다. 포장지(12)에는 복용시기, 환자명 등이 인쇄장치(6)에 의하여 인쇄된다. 포장지(12)에 포장된 정제는 다음에 설명하는 정제검사장치(1)에 의하여 검사된다.
정제검사장치(1)는, 투과선 발생장치인 X선관(14)과 그 제어장치(15), 투과선 검출장치인 라인센서(16), 마아크 부여장치(17), 및 제어장치(18) 등으로 되어 있다.
X선관(14)은 도 2에 도시한 타깃고정식 X선관(14a), 또는 도 3에 도시한 타깃회전식 X선관(14b)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타깃(target) 고정식 X선관(14a)은 유리관(19)내에 커버(20)로 덮여진 필라멘트로 된 음극(cathode)(21)과, 이 음극(21)에 대하여 2°∼20°정도 경사진 텅스텐이나 몰리브덴 등의 중금속으로 된 타깃(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음극(21)과 타깃(22)은 각기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타깃(22)의 후방에는 냉각오일을 분출하여 타깃(22)의 표면온도를 제어하는 냉각노즐(23)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단자에 도 4와 도 5에 도시한 전자회로에서 전압을 인가하면, 필라멘트(21)에서 타깃(22)으로 향하여 전자가 이동하고, 타깃(22)에서 베릴륨창(24)을 통하여 X선이 조사된다.
도 3에 도시한 타깃회전식 X선관(14b)은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한 타깃고정식 X선관(14a)과 같으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타깃회전식 X선관(14b)은 타깃(22)이 고속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깃(22)의 온도상승은 조사위치가 분산함으로서 억제되므로, 오일냉각장치는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타깃(22)의 각도도 25°에서 50°로 되어 있다. 타깃(22)의 표면은 번갈아 배치된 2종류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타깃(22)이 회전하면 2종류의 금속이 번갈아 필라멘트(21)로부터 조사되는 전자를 받아 멈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 X선관(14)의 타깃(22)의 재질은 X선의 강도성질에 크게 영향을 주나, 본 발명의 정제검출장치(1)로 하여 사용하려면 몰리브덴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피검사체가 포장지와 정제로서 얇으므로 X선강도를 극력 약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몰리브덴은 도 6∼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스텐에 비하여, 물체에 대한 흡수율이 높고 포톤에너지가 낮은 곳에서 포톤이 많은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실제에 도 5의 회로를 사용하여 X선관(14)에서 X선을 발생시킨 관전압파형(管電壓波形)이다. X선 폭사(曝射)시의 콘덴서 단자전압은, 시간과 함께 방전에 의하여 저하하지만, 그 강하전압 △V(V)은 △V=iT/C로 되어, 관전압파형은 톱날파형으로 된다. 이 △V을 작게하려면 콘덴서 용량을 크게 함으로서 해소할 수 있다.
또, 타깃(22)의 재질로서 텅스텐을 사용하여도 인가전압을 낮춤으로서 X선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으나, 피검사체에 이물질이 섞여서 X선의 투과가 확인할 수 없을 경우라도 검출할 수 없도록, X선의 포톤에너지의 높은 것을 짧은시간, 펄스형상으로 인가하여도 좋다. 이 경우, X선관은 도 3에 도시한 타깃회전식 X선관(14b)의 편이 바람직하다. 타깃(22)에 2종류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포톤에너지를 2종류의 강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스텐의 타깃(22)을 사용하여 관전압을 낮추면, 포톤에너지가 10∼40KeV의 영역에서 포톤수가 높아져서 잡음이 많아지고, Ka1의 첨단(peak)도 떨어지므로, 나중에 설명하는 알루미늄필터(25)를 통과하여 영역밖의 포톤에너지가 나중에 설명하는 라인센서(16)에 도달하였을 때, 화상의 흐려짐이 발생하는 요인으로 된다.
상기 X선관(14)으로부터 발생하는 X선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필터(25)를 통하여 피검사체에 조사된다. 알루미늄필터(25)는 두께 1mm정도의 것으로 상기 포톤수가 변동하는 영역을 제거하여 포톤에너지가 안정한 영역에서 X선이 조사도록하는 동작을 갖는다. 그 위에, 콜리메이터 웨지 필터(collimator wedge filter)를 사용하였을 경우, 피검사체의 형상에 맞댐한 것을 채용하여, 정제의 에지부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검사체에 조사된 X선은 마스크(26)로 슬라이스되어 라인센서(16)에 입사한다. 마스크(2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12a)의 반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뻗는 틈새(27)를 가지고 있다. 틈새(27)의 폭은 통상 2mm전후이다. 마스크(26)에 도달한 X선은 틈새(27)이외의 부분의 X선은 차단되어, 틈새(27)를 통과한 X선만이 라인센서(16)에 입사한다.
라인센서(16)로서는 전리상자 검출장치(16a) 또는 반도체 검출장치(16b)가 사용된다. 전리상자 검출장치(16a)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8)내에 평판형상의 바이어스전극(29)과 신호전극(30)을 일정간격(d)으로 번갈아 배치하고, 각 전극간(29, 30)에 크세논가스를 10p(atm)의 압력으로 충전한 것이다. 바이어스전극(29)과 신호전극(30)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용기(28)의 상면의 요부(31)에서 X선이 입사하여 전리하면, 양전극(29, 30) 사이에 미전류가 흘러서, 이 전류값은 수치화하여 검출된다.
상기 라인센서(16)의 특성조건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평행평판 전리상자속에 X선에 의하여 한결같이 전리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공간전하에 의하여 전리상자내의 전기장이 0으로되는 이온쌍수집(收集)의 한계를 생각한다. no개//11cc/s의 이온쌍이 발생할 때, x점에서의 이온전하 밀도는 다음식으로 부여할 수 있다.
[수 1]
여기서, w+는 이온의 유동속도이고, 전기장은 E, 가스압을 P, 이온의 이동속도를 μ+이라 하면,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전기분해를 설명하는 프와송(poisson) 방정식은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2]
[수 3]
μ+는, 가스고유의 값이며, Xe(크세논)은 0.58이다. 식 3에 식 1을 대입하고, 공간전하에 의하여 x=d에서 E=0으로 된다고 하는 경계조건을 부여하였을 때 다음식을 얻는다.
[수 4]
전극간의 전위차(V)는 식 4를 x=0에서 x=d까지 적분하여,
[수 5]
즉, 평행평판형상의 전리상자에 X선이 조사하였을 때, 이 전리상자의 속에서 한결같이 전리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no e의 전하를 수집함에 필요한 전위차(Vs)는 식 5의 Vs 이상이 아니면 공간전하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
식 5는 CGS시스템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μ+(㎠/V/s), d(cm)으로 하여, 유리화 단위를 사용하면, 다음식과 같이 된다. 여기서 1은 전리상자 출력전류(A), D는 전리상자 유효체적(㎤)이다.
[수 6]
전위차 Vs는 출력전류 I가 클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최대출력 전류시에 포화하도록 인가전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특히 가스압이 높을 경우에는 전리상자내의 X선 입사창에 가까운 부분에서 전하밀도가 높아지므로, 평균전화밀도로 계산한 전위(Vs)보다도 높은 전위가 필요하게 된다. X선을 펄스형상으로 조사할 경우 정특성(static characteristies)인 포화특성과 함께, 스텝 응답성이 빠르지 않으면 아니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정제분포기(2)는 1분간에 90포의 포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1초간에 114mm의 범위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을 가능하게 하려면, 5ms간격으로 X선을 발사할 필요가 있다. X선의 상승시간은 0.1에서 0,2ms정도이므로 지장은 없다. 그러나, 라인센서(16)의 동작특성은 이온의 유동속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리간격(d)의 전리상자에 t≥0에서 no개/cc/s의 비율로 한결같이 이온쌍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수집전극에서의 출력전류 I의 동작특성을 고려한다. 시간 t에 있어서의 전리상자의 전체에서의 이온의 밀도의 변화율은 다음식으로 부여할 수 있다.
[수 7]
여기서, 우변 제1항은 발생을 제2항은 수집전극에 도달하는 양을 뜻한다. No은 nod·s를 뜻하며, s는 전극판 면적이다. n+은 다음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전극에 도달하는 밀도이고 시각 t=0에서 x=d로 발생한 이온이 수집전극에 도달하기까지는 매초 발생하는 비율로 증가하나 그 후는 평행상태로 된다.
[수 8]
식 8을 식 6에 대입하면,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수 9]
식 9를 식 7에 대입하여, N+을 구하면 다음식을 얻는다.
[수 10]
전자에 대하여도 이상과 같은 식이 성립하나, 전자의 유동속도 w-는 이온에 비하여 격단히 빠르므로, 이온의 이동시간에 의한 동작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수 11]
와 같이 생략하여 두어도 상관이 없다.
출력전류 I는
[수 12]
이며, 이것에 식 10, 식 11을 대입하면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수 13]
이에 따라, 라인센서(16)의 출력전류의 상승시간은 이온의 전극간 이동시간 d/w+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실측한 것이 도 12이다. 출력전류의 상승시간 d/w+을 X선의 상승시간(to)에 같게하기 위한 인가전압(V)은 다음식으로 나타내었는데, 압력 p에 비례하고, 전극간 거리 d의 제곱에 비례한다.
[수 14]
이것들 관계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낮은 전압으로 검출속도를 빠르게 하려면, 전극간 거리(d)를 1mm, 가스압 p를 10atm, 인가전압 V를 1500V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승시간 t를 100μs로 할 수 있다.
반도체 검출장치(16b)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n접합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자의 접합사이에 X선이 입사하면, 전류펄스를 발생한다. p-n접합의 외에 p-i-n접합형식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 검출장치(16b)를 사용하였을 경우, 소형이고 출력의 직선성이 좋고 다채널의 검출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라인센서(16)에 의한 검출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검출물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캡슐이거나, 공간적으로 대략 균일한 정제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피검출물이 포장된 포장봉지(12a)에 X선을 투과시켜서, 어느 범위의 평면을 재생하려면, 일반적으로는 그 평면내의 모드점에 있어서 그 점을 통하는 모든 방향의 촬영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산적유한의 촬영데이터 부터라도, 허용범위내에서 재생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하면서 공간적으로 균일한 구조의 정제와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캡슐에서는 재생상의 정밀도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정제와 같은 피검출물은 외형형상이 비교적 단순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우넛(doughnut)형의 트리키제(troche劑)를 제외하고, X선이 피검출물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 2번투과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X선이 정제를 투과할 때의 흡수율을 고려한다면 화상의 재생이 가능하다.
라인센서(16)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12a)가 입체 3축(x, y, z)에 있어서 수평형 x-2면내에서 z(-)방향으로 반송된다고 하면, x축방향으로 평행한 a-a'선상에 배치된다. 포장봉지(12a)내에서 정제가 서로 겹쳐있으면, 정제의 개수가 형상의 판별이 곤난하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사(曝射)전의 위치에 포장봉지(12a)내의 정제를 분리하는 분리장치(3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리장치(32)는 포장봉지(12a)의 하방에 병설된 2개의 스폰지 로울러(33a, 33b)와, 포장봉지(12a)의 상방에 배치된 하나의 스폰지 로울러(33c) 등으로 구성되었고, 그것들 사이에 포장봉지(12a)를 끼워서 파동형으로 통과시킴으로서 겹친정제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 위에, 이 분리장치(32)는 3개의 스폰지 로울러(33a, 33b, 33c)에 한정하지 않고, 그 이상의 수의 스폰지 로울러로 구성하여도 좋다.
라인센서(16)는 포장봉지(12a)가 이송함에 따라서 이 포장봉지(12a)의 p1, p2, p3, …, pn의 각 X선 폭사포인트의 투과량을 검출한다. 폭사포인트 p1, p2, p3, …, pn의 피치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76mm이다.
도 17과 같이 라인센서(16)의 폭사포인트에 캡슐제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 라인센서(16)에 의하여 검출된 X선의 투과량은 도 18에 도시한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또, 도 15와 같이 캡슐제와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 포장봉지(12a)의 폭사포인트 p1, p2, p3, p4, p5의 X선 투과량의 그래프를 도 19에서 23에 나타내었다. 그 위에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각 포인트는 2포인트 건너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서 23에 있어서, 포인트 p1-1에서는 포장봉지(12a)만에 의한 X선 투과량의 감쇠가 검출되었고, 포인트 p1-2에서는 캡슐의 단부에 의한 X선 투과량의 감쇠부분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포인트 p1-3에서 p3-2까지는 캡슐의 중앙부에 의한 커다란 감쇠를 볼 수 있었다. 또, 포인트 p3-3으로부터는 정제에 의한 X선 통과량의 감쇠부분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포인트 p4-1에서는 캡슐에 의한 X선 투과량의 감쇠가 작아지게 되었다. 포인트 p4-2에서 포인트 p5-2까지는 정제에 의한 X선 투과량의 감쇠만으로 되었고, 포인트 p5-3에서는 포장봉지(12a)만에 의한 X선 투과량의 감쇠가 검출된다. 이것들 도 19에서 23에 나타낸 감쇠데이터를 3차원 그래프에 나타내면, 도 24와 같이 된다.
지금 가령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12a)내에 포장불량 요소인 철사나 정제의 조작이 포장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X선 투과량을 검출하여, 그 감쇠데이터로부터 감쇠폭을 구하고, 그 감쇠폭의 중심을 축위에 늘어세우면, 도 26(a)에서 도 27(d)에 나타낸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의 0000-1111은 라인센서(16)의 검출좌표위치이며, 세로축은 감쇠폭이다.
다음에, X선 투과량의 감쇠데이터로부터 포장봉지(12a)에 의한 감쇠량을 감산하고, 나아가서 노이즈 제거나 에지강조처리, 감쇠량의 중심값 검출처리를 하여, 감쇠량의 중심을 고쳐 가지런히 늘어세우면, 도 28에 도시한 그래픽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방향 즉, y방향의 X선 투과량의 감쇠량밖에 검출할 수 없으므로 겹친 정제는 겹쳐진대로의 정제형상을 재현하게 된다.
도 28의 그래픽 화상은 정제가 지닌 X선 흡수율을 단순히 1/2로 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실제에는 정제의 X선 흡수율이 종류마다 상위하기 때문에, y축방향으로 변형을 갖는다. 이 변형은 정제종류가 특정된 다음에, 변형율을 곱하여 수정할 수 있다. y축방향의 변형은 정제의 판별을 할 수 없을 만큼의 중대한 문제는 아니다. 그 이유는 포장된 약제가 무엇인가는 처방전 데이터에 의하여 미리 알 수 있으므로, 포장되었을 것이라고 하는 약제의 X선 흡수율 데이터를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다음, 이 흡수율 데이터에 기초하여 X선 투과량의 검출데이터를 수정하여 형상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형상데이터와 미리 포장된 정제의 형상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면 좋기 때문이다. 이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포장한 정제가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판정기준 데이터로서 도 29나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측데이터를 미리 기억시켜두어, 이 판정기준 데이터와 피검출물의 검출데이터를 비교하여 판정하는 편이, 3차원 데이터로서 기억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 보다도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 이유는 y축방향의 변형을 지닌 것을 3차원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참값(眞價)으로부터 벗어날 염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위에, 도 29는 환형(丸形)의 정제이고 도 27에 도시한 에브토올, 도 30은 4각형이며 표면에 「A」의 홈이 각인된 정제이고, 도 47에 도시한 아나도올의 한방향으로부터 조사하였을 때의 실측데이터이다.
마아크 부여장치(17)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불량 항목에 대응하여 색이다른 여러 개의 펜(34)을 지지구(holder)(35)를 개재하여 지지축(36)에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37)에 부착된 솔리노이드(solenoid)(38)로 각 펜(34)의 선단부를 포장봉지(12a)에 꽉 누르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각 펜(34)은 솔리노이드(38)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 포장봉지(12a)에서 떨어지도록 도면에 없는 스프링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펜촉은 건조하지 않도록, 프레임(37)에 형성된 홈(39)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아크 부여장치(17)는 제어장치(18)가 개수 또는 형상판별 처리함에 요하는 시간만큼, 포장봉지내의 약제가 라인센서(16)를 통과한 위치보다도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억수단, 개수판별 처리수단 또는 형상판별 처리수단, 및 비교처리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18)를 3대 설치하여도 좋다. 즉, 1대째의 제어장치는 라인센서(16)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시계렬로 기록하며, 2대째의 제어장치에 그 데이터를 송신한다. 2대째의 제어장치는 포장된 약제의 개수판별, 형상판별 처리하여 그 데이터를 기억한다. 3대째의 제어장치는 포장봉지내에 포장한 처방데이터와, 상기 2대째의 제어장치에서 처리된 해당 데이터 등을 비교하여, 좋고 나쁨을 판정함과 동시에, 그 판정결과에 따라서 마아크 부여수단(17)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제어장치를 접속하여, 처리공정별로 처리하게 하면, 좋고 나쁜 판정결과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속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처리를 할 수 있다.
제어장치(18)에 의한 측정동작 및 데이터 처리동작에 대하여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다음에 정제검출장치(1)의 그 밖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위에,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정제검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상기 제1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와 마찬가지로 X선관(14)과 라인센서(16)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더하여 포장봉지(12a)에 포장된 약제를 y축방향으로부터 촬영하는 CCD카메라(40)가 포장봉지(12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CCD카메라(40)에 의하여, 정제의 색채데이터와 외관치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CCD카메라(40)로 색채데이터를 얻음으로서, 정제의 겹침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는 외에, 정제종의 판별이 보다 정확하게 된다. X선 데이터에서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음영(penumbra)부분에 의하여 정제치수 검출 정밀도가 악화하지만, 상기 CCD카메라(40)로 얻은 외관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하는 경우도 제어장치를 독립시키면, 포장속도에 영향을 주는 일없이 전체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3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정제검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y축방향으로 배치된 X선관(14)과 라인센서(16)에 더하여 x축방향으로도 X선관(14)과 라인센서(16)가 배치되어 있으며, 포장봉지(12a)에 90°어긋난 2방향으로부터 X선이 동시에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과 y축방향의 X선 투과량의 데이터에 의하여 겹쳐진 포장된 정제의 판별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다. 또, 2방향의 데이터에 의하여 도 36에 도시한 단면화상이나, 도 24에 도시한 3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3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정제검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검사장치에서는 피검사체의 주위에 환상궤도(41)가 배치되어 이 환상궤도(41)상에 X선관(14)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탑재됨과 동시에, 환상궤도(41)의 바깥쪽 주위에 환상라인센서(16)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궤도(41)와 환상라인센서(16) 사이에는 2개의 링사이에 틈새(27)를 설치하여서 된 마스크(26)가 배치되어 있다. X선관(14)과 피검사체의 포장봉지(12a) 사이에는, 알루미늄으로 된 필터(25)가 구비되었고 X선관(14)과 일체로 되어서 피검사체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도 37에서 도 4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12a)를 z축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X선관(14)을 일정 각도씩 선회하게 함으로서, X선 투과율 데이터를 얻으며, 이 데이터로부터 포장봉지(12a)의 감쇠량을 감산하여, 노이즈의 제거, 에지강조처리, 감쇠량의 중심값 검출처리를 하고, 감쇠량의 중심을 가지런하게 검출각도로 대응시켜서, 나선형상으로 서로 연결하면 도 41에 도시한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5실시형태)
도 4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관한 정제검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검사장치는 도 34와 도 37의 구성을 합쳐지닌 구성을 갖고 있다. 즉 90°차이진 방향으로 2개의 X선관(14)이 배치됨과 동시에, 피검사체인 포장봉지(12a)의 주위에 상기 2개의 X선관(14)의 환상궤도(41)와 환상라인센서(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정제검사장치에서는 2개의 X선관(14)은 90°의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피검사체인 포장봉지(12a)의 주위를 선회하므로, 피검사체의 두께데이터와 X선 투과량 데이터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검사체의 바깥지름형상을 다방향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12a)에 다량의 정제가 포장되어, 다중으로 서로 겹쳐있어도 정제의 종류, 수량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정제검사장치에서는 X선관(14)은 10°피치의 폭사포인트로 X선을 조사하면서 360°회전하고, 포장봉지(12a)는 상기 10°의 폭사포인트가 올때마다 0.76mm피치에서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 4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관한 정제검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검사장치는 상기 제5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피검사체가 바이얼(vial)병(42)에 충전된 정제인 점에서 상위하다. 바이얼병(42)은 구미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유아가 개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제 뚜껑(43)을 구비하였고, 처방일수분의 정제가 1종류 충전되어 있다. 이 바이얼병(42)은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벨트(44)위를 반송하게 된다. 바이얼병(42)은 그 속에 정제가 여러 겹으로 겹친 상태인데다가,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2a) 보다도 X선 감쇠량이 크기 때문에, z축방향의 하나의 측정포인트에 있어서의 측정회수를 많게 하여, 정제의 정수(錠數)와 종류의 판별을 더욱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있다.
(측정동작)
다음에, 도 32에 도시한 제2실시형태의 정제검사장치의 측정동작 및 데이터처리동작을 도 45, 도 46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하였으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하여도 대략 같다.
먼저, 측정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101)에서 포장봉지(12a)의 z축방향의 반송좌표를 재설정하고, 스텝(102)에서 포장을 개시한다. 스텝(103)에서 포장봉지(12a)가 검출점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도달하였으면 스텝(104)에서 X선을 조사하고, 스텝(105)에서 라인센서(16)의 출력데이터를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106)에서 1포분(包分)의 범위의 모든 검출점에서의 데이터 취득이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완료하지 않었으면 스텝(103)에 되돌아와서 다음의 검출점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1포분의 범위의 모든 검출점에서의 데이터 취득이 완료하였으면, 스텝(107)에서 1포분의 범위를 CCD카메라(40)로 촬영하고, 스텝(108)에서 그 컬러화상을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109)에서 다음의 포장봉지의 측정이 있었는지를 판단하여 있었으면 스텝(101)에 복귀하고, 없었으면 종료한다.
(데이터 처리동작)
이어서, 상기 측정동작에 의하여 취득한 데이터의 처리동작을 도 46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111)에서, 먼저 기억한 라인센서(16)의 출력데이터를 판독한다. 스텝(112)에서 이 출력데이터의 각 포인트의 감쇠폭을 특정하고, 스텝(113)에서 이 감쇠폭의 중심을 센서좌표와 z축좌표에 대응시켜서 정렬시킨다. 스텝(114)에서는 미리 기억한 X선 감쇠율에 따라서, 라인센서(16)의 출력데이터인 X선 투과량으로부터 정제의 형상을 판별한다. 다음에, 스텝(115)에서 정제형상의 중심위치를 판별한다. 이 중심위치는 나중의 스텝에서 색채데이터와 대응시킬 때의 마아크로 된다. 스텝(116)에서는 정제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 정제는 모든 방향으로 향하여 포장봉지(12a)에 포장되지만, 이와 같이 정제회전방향을 판별하여 두면, 정제의 판별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스텝(117)에서는 CCD카메라(40)로 취득한 색채데이터를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여, 스텝(118)에서 CCD카메라(40)의 색채데이터와 라인센서(16)의 X선 통과량 데이터를 정제 중심위치에 맞추어서 차이를 조정한다. 스텝(119)에서는 상기 스텝(118)에서 작성한 색채데이터로부터 3차원 화상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어서 스텝(120)에서는 판별기준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때, 모든 정제에 대응하는 판별기준 데이터를 판독하여 대응 판정하느니 보다도, 현재 착안하고 있는 포장봉지(12a)에 포장하여야 할 정제에 대응하는 판별기준 데이터만을 판독하여 대응판정하는 외에, 판정처리를 대단히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스텝(121)에서는 3차원 화상데이터의 정제 중심위치의 수를 계산하여 같은 종류 정제의 정수를 판정하고, 스텝(122)에서는 상기 스텝(120)에서 판독한 판별기준 데이터와 대응시켜서 정제의 종류를 판별하고, 스텝(123)에서 포장정제를 판별한다.
스텝(124)에서는 포장봉지(12a)에 먼저, 이물질, 정제의 조각 등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지 어떤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판별기준 데이터에 대응하지 않는 검출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있다면 스텝(127)에서 불량품 마아크를 부여하여 스텝(128)에서 불량품 표시를 하고, 없다면 스텝(125)에 진행한다. 스텝(125)에서는 포장하여야 할 약제의 처방데이터와, 판별된 정제의 정수 및 종류 등이 일치하는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완전일치하지 않으면 스텝(127)에서 불량품 마아크를 부여하여 스텝(128)에서 불량품 표시를 하고, 완전일치하고 있다면 스텝(126) 합격표시를 한다. 이상의 판정결과는 환자식별 번호와 대응시켜서 기억한다.
(불량품의 데이터처리)
불량품으로서 판별되는 항목에는 다음의 것이 있다.
1. 포장봉지띠의 투입위치의 전후의 어긋남
2. 이물질의 혼입
3. 약제의 조각
4. 약제의 과부족
5. 처방약제종과 포장약제종의 상위(相違)
상기 불량포장을 검출하였을 경우, 조제사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장을 고쳐할 필요가 있다. 불량품의 알림에는 모니터가 표시램프, 버저(buzzer)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포장봉지띠의 어느 부분에서 어떠한 불량이발생하였는지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전술한 마아크 부여장치(17)로 포장봉지띠의 해당부분에 직접, 불량항목에 대응한 마아크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불량중에서, 먼저 포장봉지띠의 투입위치의 전후의 어긋남의 불량이 있을 경우의 데이터처리를 설명한다. 예컨대 어떤 환자에 대하여 정제 A1일 3회마다 식후 각 1정과 정제 B조석 1일 2회마다 식후 각 1정의 4일분의 처방이 있었을 경우, 포장봉지띠에는 「아침」, 「낮」, 「저녁」을 차례로 프린트하고 「아침」이라고 프린트된 포장봉지에는 2정, 「낮」이라고 표시된 포장봉지에는 1정, 「저녁」이라고 표시된 포장봉지에는 2정이 포장되어야 한다. 여기서 포장봉지띠의 투입위치의 전후의 어긋남이 발생하면 「아침」이라고 표시된 포장봉지에는 1정, 「낮」이라고 표시된 포장봉지에는 2정이 되며 표시된 복용시기에 적절한 복용수의 정제가 들어있지 않는 것이 된다.
종래 이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면 「아침」과 「낮」의 2봉지를 포장봉지띠에서 잘라냄과 동시에 그 2봉지의 처방을 포장장치의 단말로부터 입력하여 포장을 다시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불량을 판별하면 「아침」과 「낮」의 2봉지에 대응하는 처방데이터가 포장장치의 정지대기정보로서 설정되므로서, 입력의 수고가 생략된다. 불량품의 2봉지분의 정제는 상기 정지대기 정보를 따라서 이 환자의 포장종료후에 자동적으로 재포장된다.
다음에 이물질의 혼입 약제의 부스러기 및 과부족의 불량이 있을 경우에는 불량품으로 되는 포장봉지는 하나이므로, 그 포장봉지의 처방데이터가 포장장치의 정지대기정보로서 설정된다. 나사, 철사, 너트, 소석(小石)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물체로서 X선 투과량이 제로의 것이나, 판별기준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는 작은 물체는 모두 이물질의 혼입으로서 판별한다. 또, 도 62(a), (b)에 나타낸 것 같이 검출데이터가 실측데이터의 90%와 일치하지만 10% 이내의 결손부가 존재하여 정합되지 않을 경우 양질품으로서 처리하며 그것을 초과하여 사이즈가 작은 데이터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정제의 부스러기로서 판별한다. 더욱이, 도 62(c)에 나타낸 것 같이 기억데이터가 실측데이터에 대하여 형상적으로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사이즈가 크다든지 또는 작은 등의 결과에서 데이터의 불일치가 되는 경우에는 미리 기억데이터에 그 약제의 치수 공차를 대응하여 기억해놓고 실측데이터가 기억한 치수공차의 범위에 있으면 처방에 적합한 약제인 것으로 판별하며 치수공차를 초과한 것은 다른 약제가 혼입된 것으로서 처리한다.
또, 처방약제 종류와 포장약제 종류가 상위하는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나 동일한 불량이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에는 정제카세트의 장착미스가 원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포장을 정지하여 오류표시를 하고 처방데이터를 리세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판별 기준데이터)
이어서 정제판별 기준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제판별을 실행할 경우 기준이 되는 비교데이터가 필요하다. 이 정제판별 기준데이터는 다음의 3개 형태로 기억해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1. 각 정제의 X선 실측값을 노이즈를 제외하고 기억한다.
2. 각 정제의 X선 실측값을 투과율로서 보정하여 기억한다.
3. 각 정제의 컬러정보를 포함한 3차원 데이터 사이즈로서 기억한다.
그외에 각 정제의 체적 투과율 형상, 사이즈 등의 방정식을 기억할 수가 있다.
도 47은 약제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에 변환하여 기억한 것으로서 도 10의 장치에 대응하는 것과 도 37에 대응하는 것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실제에는 도 29, 도 30의 형식으로서 기억되며, 이 기억한 데이터를 3차원 화상에 변환한 것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순수하게 X선의 투과량으로서만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의 단면구조의 판별을 할 수 없으나 정제마다에 투과량이 외관형상이나 내부구조 등에서 상위하기 때문에 투과량 데이터(미리 실측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있다)로서 판별할 수 있다.
또, 도 37의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3차원 화상 및 외관컬러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구성 등의 판별 및 내층의 층두께 등의 판별키이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것은 도 37의 구성이 X선관이 회전하며 여러가지 방향에서의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도 42나 도 43의 장치에서도 채용할 수가 있다.
(표시의 착색)
상기 화상처리후의 데이터는 때로는 모니터에 표시되며 정제의 포장작동에 대응하고 포장완료한 정제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포장처리에 문제가 없는지 인식할 수가 있다.
이 때, X선 등에서 주사한 데이터는 슬라이스 화상데이터이며 이 데이터를 직접감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감시를 실행할 경우, 조제사가 평소에 판별하는 외관형상을 입체적으로 재현하며, 그 색채도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판별기준 정제기억 데이터에 미리 기억한 정제의 촬상데이터를 판별결과와 일치하는 기억데이터를 상기 판별기준 정제기억 데이터에서 판독하며 컬러정보를 상기 외관형상을 입체적으로 재현한 데이터에 부여하여 외관정제의 식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백색 동일형상의 정제는 내층구조를 비교하면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단면 적층구조를 상기 표시와 함께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층차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의사컬러나 농담변환표 등으로서 착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컬러착색화는 광선의 방향의 결정되어 있으므로, 이 광선의 방향에서 그랜데이션화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해도 좋다. 더욱이 적부판정을 행할 경우에는 형상데이터와 색채데이터를 함께 실행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로 판정해도 좋다.
(식별코우드의 인식)
3차원 화상에 재생되는 데이터는 정제의 종류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약제식별 코우드도 인식할 수가 있다. 예컨대, 도 30이나 도 41의 정제는 식별코우드가 각인 되어 있으므로, 문자부분이 오목꼴이 되어 재현한다.
또, CCD카메라를 갖춘 장치에서는 정제의 한쪽면이 화상데이터로서 잡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각인 이외의 페인트에 의한 식별정보가 표면을 향하고 있을 때에한하여 인식할 수가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약은 백색형의 약제가 많으며 CCD카메라에서의 얻은 데이터는 그 색이 미묘하게 상위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CCD카메라에서 약제의 외관 이미지를 데이터로 하여 취한 경우, 화이트 조정을 행하든지 취득되는 백색약제의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는 등으로 하지 않으면, CCD카메라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판정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없다.
또, 이 CCD카메라의 취득데이터는 카메라 자신이 가지는 하이드적인 오차 조명의 명도나 방향에도 좌우된다. 이것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1. 조명의 명도나 방향 등의 조건을 고정한다.
2. 기준백색을 1종 이상 준비하며, 이 1종 이상의 기준백색을 상기 조명의 고정조건하에서 촬영하고 그 촬영데이터를 기준백색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3. 스텝 2에서 기억한 1종 이상의 기준백색 데이터를 이전에 기억한 1종 이상의 기준백색 데이터와 비교하며 스텝 2에서 기억한 기준백색 데이터를 보정한다든지 조명의 조건을 변경하든지하여 CCD카메라의 작동조건을 조정한다.
4. 정기적으로 상기 스텝 2, 3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스텝 1에서 4에 있어서 기준백색의 대신에 기준약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수단으로서 CCD카메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의 신뢰도가 향상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약제의 색채데이터나 식별코우드의 인식을 했으면 이 정보를 기초로 약제의 종별판별이 가능하며, 정제종류를 판단할 경우 최초에 이 약제식별 코우드의 인식을 판별하고, 여기서 판별불가능한 정제를 형상치수, 색채, 내층구조 등으로서 판단하면, 판단정밀도의 향상과 판별속도의 신속화를 가능하게 한다.
약제 식별코우드의 인식은 OCR로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화상이나 CCD카메라의 촬상은 이미지 데이터에 상당하기 때문에 한번 폰트정보에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점으로서는 3차원 화상의 경우는 문자의 표리의 판별, 더욱이 문자의 회전(문자의 상하방향)을 인식하지 못하면 정확하게 폰트정보로서 판독할 수가 없다.
또, CCD카메라의 촬상데이터의 경우에도 문자의 회전(문자의 상하방향)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3차원 화상의 경우에는 문자로서 식별되는 데이터는 각인된 것에 한하며, 이 각인으로서 식별정보를 부여받는 정제의 80% 이상에 기준이 되는 하나의 라인을 가지고 있다.
이 라인은 외관형상의 스트레이트의 선이 되기도 하며, 벌어지게 하는 선이나 제제 메이커의 상표 마아크 등이 있으며, 이것 등의 기준라인을 따라서 문자가 각인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준라인을 우선 식별하며, 이 기준라인에 대하여 문자방향 패턴을 곱하는 것과 함께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준면을 가지지 않는 문자정보의 경우, 예컨대 가르니겐 정제의 경우 원주형상의 이 정제의 한쪽면에 「HLM」과 지름방향 거의 중앙에 각인되어서 기준라인은 원외주(圓外周)이외에는 없다.
이와 같은 정제의 경우에도 문자의 1변을 기준으로 문자회전방향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수단에 의하면, CCD카메라의 촬상데이터의 경우에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이것 등의 약제의 식별정보는 영어숫자 문자로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상표 마아크가 함께 부여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OCR소프트로서 인식하며 더욱이 판별에 많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단 문자의 사이즈나 사용폰트가 약간 틀림으로서 이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기억데이터에 대하여 폰트정보를 연관시켜서 기억시켜도 좋다.
이하, 3차원 화상데이터의 작성 필터처리 화상복원의 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3차원 화상데이터의 작성)
도 34나 도 42에 나타낸 것 같이, 피검출체에 X선을 2방향에서 조사하여 2개의 라인센서를 잡을 경우, 라인센서의 출력데이터를 피검출체의 z방향의 송달속도에 연관시켜서 피검출체의 3차원 화상데이터에 변환시킬 수가 있다.
IO의 X선 비임이 피검출체(정제)의 내부를 통과하면 정제의 각 층의 조성이나, 성분, 밀도 등에 의하여 X선의 흡수율에 틀림이 발생한다.
이 각 층에서 구성된 정제의 조성을 각 유닛마다에 분해하여 고찰하고, 각각 u1, u2, u3, …, un이라고 하는 감쇠계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 통과하여 나오는 X선량은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수 15]
여기서 △는 단위유닛의 길이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수 16]
여기서 좌변은 X선 검출기(라인센서)의 출력을 대수변환함으로서 만들어지며, 이것을 X선 검출농도로서 취급한다.
상기 16식은 u1△를 각 유닛의 농도로 생각하고 그 합이 투영농도로 된다고생각하면 좋고, 그것으로서 몇 개의 투영방향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그 내부의 농도를 계산에 의하여 구할 수가 있다.
도 48에 나타낸 것 같이, 4개의 부분으로서 되는 조직의 X선 흡수계수를 각각 X1, X2, X3, X4로 하여 각각 참값을 X1=1, X2=3, X3=2, X4=4로 할 때, A에서 F의 6방향의 투영데이터와 미지수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된다.
투영 : A : X1+X2=4
B : X3+X4=6
C : X1+X3=3
D : X2+X4=7
E : X1+X4=5
F : X2+X3=5
여기서 미지수는 4개이므로 A에서 F의 식중 적당한 4개의 식을 사용하면 풀수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실제로 사용하면 미지수의 요소가 많으며, 연립방정식도 팽대한 수가 되고 노이즈를 타게되면 정확하게 구할 수가 없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방정식의 해법을 한번에 구하는 것이 아니며, 반복법으로서 구할 수가 있다.
우선 전체의 평균값을 각 요소의 추정초기값으로서 채용하며, 그것 등의 추정값에 기초한 각 투영방향의 값이 데이터에 일치하도록 차례로 변경을 가하여 간다. 도 49(a)에 나타낸 것 같이, AB양방향의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의 수정항-1, 1을 2개의 줄로 등본하고 각각의 추정값에 더한다. 그후 CD방향과 비교하여 동일한 수정을 가하면 도 49(b)와 도 49(c)와 같이 되어서 재구성이 완성한다.
다른 해법으로서 푸우리에 변환법이 있다. f(x, y)의 푸우리에 변환을 다음식에서 주어진다.
[수 17]
μ=0일 때는 다음 식에서 주어진다.
[수 18]
여기서 g(y)=∫f(x, y)dx로 하면 이 g는 f(x, y)를 y축방향으로(투영) 적분한 것이며, 식 18은 그 1차원 푸우리에 변환이다.
즉, y축방향의 투영데이터를 1차원 푸우리에 변환한 것이 F(0, ν)로 되어 있다. 이것으로서 y축방향의 투영데이터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도 42에 대응하는 장치의 경우 도 50에 나타낸 것 같이 θ방향의 투영데이터를 생각했을 경우,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수 19]
여기서 δ(·)는 델터관수이며, 직선 : xcosθ+ysinθ=R은 중심(원점)에서의 거리가 R인 투영방향과 같은 경사의 직선을 나타내며, g0(R)는 그 선상의 데이터를 적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 푸우리에 변환의 식 17은 극좌표(ρ, β)에 변환하면 다음식으로서 나타낸다.
[수 20]
즉, β방향의 직선(원점을 통과)위의 푸우리에 변환은 x, y공간에 있어서 그 방향의 직선의 투영데이터를 1차원 푸우리에 변환한 것에 동일하다. 이것으로서 투영데이터를 1차원 푸우리에 변환하며, 그 푸우리에 공간의 데이터를 역변환함으로서 다음식과 같은 실공간의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수 21]
여기서 도 42에 나타내는 장치에 있어서 θ방향의 투영데이터의 역투영 bθ(x, y)는 다음식에서 나타낸다.
[수 22]
역투영상은 이것 등의 각 θ방향의 것을 합하여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수 23]
또, g0(R)은 θ를 고정하여 생각하면 R을 변수로 하는 관수이나 이것은 그 푸우리에 관수인 F(ρ, θ)를 역변환한 것 즉,
[수 24]
로서 주어지므로.
[수 25]
로 된다.
식 25와 식 20을 비교하면 식 20의 피적분 항내의 ρ가 앞에 식에서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함으로서, 식 20의 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서는 F(ρ, θ)의 대신에 |ρ|F(ρ, θ)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푸우리에 공간의 곱셈을 실공간에서는 콘보울션으로 된다. 또, 실공간은 샘플링되며 그 간격(라인센서의 피치)를 w로 하면 샘플링 정리에 의하여 푸우리에 공간에서는 R=1/2w로서 대역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푸우리에 관수의 역변환을 구하면(실수부분을 취하면)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수 26]
여기서 r=nw, n=0, ±1, ±2, …로 하면 다음식을 얻는다.
[수 27]
이것은 도 51에 나타내는 것 같은 관수로된다. 또, 도 52에 나타낸 것 같이 도 51을 개량하여 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터처리)
정제검사 데이터는 판별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하여 노이즈나 강조 등의 필터처리를 실행한다.
통상 상기 X선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데이터에는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판별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경우 완전일치하는 일은 적다. 이 때문에, 취득데이터를 3차원에 변환시킨 바깥지름 윤곽이나 내부구성 패턴 등을 비교하여 판별하게 된다.
바깥지름 윤곽은 당의정 등의 경우 적층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의 80%가 약제질로서, 그 바깥쪽에 당의 껍질을 덮어 세어서 보호하고 있는 것이나 장내에 약제가 도달하도록 보호제를 당의질 아래에 설정한 것이 있다.
또, 캠슐 등은 내부가 과립 등의 분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많으면, 분말형상 등이 미치는 X선의 투과율에 틀림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반면 판별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경우 상위(相違)레벨이 크게 된다.
바깥지름 윤곽형상이 특징적인 약제는 판별이 바깥지름 윤곽형상만으로서 판별할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하다. 상기 장치로 검출한 검출데이터는 바깥지름 윤곽을 특정하는 경우에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33은 정제에 X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X선관의 타깃으로부터 방사하는 광선라인은 타깃의 각도에 의하여 상하 2점으로부터의 광선이 교차한다. 이 2개의 광선라인은 피검출체의 윤곽부이고, 2개의 광선라인의 한편만이 피검출체의 윤곽에 의하여 차단되지만, 또 한편의 광선라인은 윤곽에 닿지 않고 직접 X선 검출기에서 검출된다. 이 때문에, 피검출체에 대하여 2개의 광선라인이 차단되는 본영과 2개의 광선라인의 한편이 차단되는 반영부분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반영부분이 피검출체의 바깥지름 윤곽의 흐리멍텅해진 것으로 검출된다.
이 흐리멍텅해진 부분은 X선관과 검출기의 사이에 있는 피검출체의 위치이고, 반영면적이 변동하여, 피검출체가 X선관에 가까워질수록 반영의 면적이 넓어지고, 분해배율이 높아져서, 피검출체의 바깥지름치수의 검출정밀도가 향상한다. 그러나, 피검출체를 라인센서측에 접근시켜서 검출하면, 반영의 면적이 감소하여 샤프한 화상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는 반면, 분해배율이 1갑절로 가까워져서 피검출체의 미묘한 크기를 특정하기 어렵게 된다. 이 결점을 보완하려면 라인센서의 분해정밀도를 높일(피치를 좁게 한다) 필요가 발생한다.
특히, 의료용의 X선 CT스캐너와 본 발명의 틀림은, 피검출물의 크기가 본 발명의 편이 격단히 작으며, 또한 비교대조로 하는 판별정밀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배경에 정제 특히 당의정, 캡슐은 외관적 약제종으로서의 격차를 판별하기 어렵다(같은 크기의 형상, 색의 외관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머(comma) 단위로 외관형상의 측정이나, 내부구조, 적층구조 등의 두께로부터 판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아니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구할 수 있는 내용은 분해율이 높고, 또한 샤아프한 외관데이터와 기억데이터(기억된 피검출체의 판별데이터)를 비교판정할 수 있는 레벨이 필요하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려면, 피검출체를 X선관에 접근시키고, 반영부분은 데이터처리함으로서 샤아프한 화상데이터를 얻는다. 반영부분은 피검출체의 두께나, 투과율에서 변동하여, 본영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감쇠량이 작아지게 된다. 그 위에, 감쇠량은 피검출체의 두께나 투과율 형상으로 변화하여 단순히 1/2 특성은 갖지 않아서, 비례 반비례로 정의를 달수 없다.
화상데이터의 보정이나 복원은 화상의 생성이나 입력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이나 흐리멍텅 등의 수복(rehabilitation), 노이즈의 제거에 따라 정밀도가 뛰어난 화상을 하려하는 것이다. 한편, 화상의 강조는 화상이 지닌 정보특성(관찰자가 취득을 희망하고 있는 정보량)을 더욱 인출하기 위하여 하는 처리이다.
예컨대, 상기 반영부분에 농도변환의 보정을 가할 수 있다. 이 반영부분은 X선의 투과량이 약반분으로 되어, 이대로 화상표시하면 피검출체의 에지부분이 흐리멍텅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농도를 진하게 보정하던가, 연하게 하던가의 처리를 하여, 윤곽부분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진하게 보정하는 경우, 본영과 반영의 경계를 판별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경계부분은 검출레벨의 농도차로 한다. 반영부분을 연하게 처리하는 방법의 경우도, 반영부분과 본영부분의 경계를 판별하는 것은 어렵지만, 투과부분과 반영부분의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반영부분이라 정의를 내림으로서, 반영부분과 본영부분의 경계를 판별할 수 있다. 그 위에 정제의 형상이 원통형인 경우, 반영구역을 확대하여 단면이 럭비보올형상의 정제는 반영구역을 축소한다.
이것들 농도변환처리는 변환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도 53은 간략적으로 표현한 데이터표를 나타내었고, 이와 같은 데이터표를 사용하여 반영부분의 범위에 있어서의 농도조정으로 보정처리한다.
화상데이터의 값이 도면에서와 같이 분산한 화상데이터에 변환표의 수치를 각 화상데이터값으로 환산하여 고쳐 늘어 세운것이 표시화상데이터의 수치이며, 화상데이터의 값이 1〉x인 경우, 변환표의 값을 480이라하고, 화상데이터의 값(1)은 반영부분의 수치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측화상수치를 처리함으로써 영상화상은 선명하게, 또한 실제의 화상데이터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환산표의 곱하는 방법은 설정한 강도함수에 의하여 실행하며 도 54(a)에서 도 55(g)에 도시한 종류를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4(a)의 선형함수표로 처리하면, 명암이 보다 강조된 처리로 된다. X선의 투과차가 없는 데이터는 한번 이 함수로 명암차를 보정처리한다. 도 54(b)의 반전함수를 사용하면 명암부가 역전한다. 즉, 백(百)부분이 흑(黑)으로 바꿔놓이게 되고, 흑이 백으로서 처리된다. 도 54(c)의 구분선형 함수표를 사용하면, 상기 설명과 같이 반영부를 실상이라 하여 제외하여, 정제의 윤곽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미리 예측가능한 화상의 흐리멍텅이나 노이즈를 제거함에 효과가 있다. 도 54(d)의 의사등고선 함수나 도 55(g)의 등고선 표시를 사용하면, 화상의 농도차를 단계적으로 연속적층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55(e)의 임계값 처리는 윤곽부를 강조하는 경우 도 55(f)의 밴드처리는 화상컬러의 일정한 밝기 부분만을 강조함으로서, 입체물의 심도를 표현한다거나 윤곽을 강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56은 이것들의 함수표에 대응한 입출력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r레벨의 X선 측정데이터가 함수표의 곡선에 대응한 출력(Tr)으로 환산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함수표를 사용하면 명암의 각기 강한 부분의 출력을 억제하여 중간 콘트라스트를 처리하지 않도록 출력한다.
또, X선 검출장치 라인센서로 검출한 출력은 각기의 측정단자에서 검출되는 레벨이 일정하지 않으며, 라인센서의 양단만큼 검출레벨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함수표를 사용하여 검출레벨차를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라인센서로 검출한 출력에는 노이즈가 포함된다. 이 노이즈는 X선의 난반사가 굴절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강조되어 검출한다거나 하지 않었다거나, 하는 원인으로 근린센서의 검출레벨과 크게 상위한 검출결과로 되어, 이대로 화상데이터화하면, 실제의 형상과 상위한 결과로 된다.
그리하여, 노이즈를 처리함으로서 실제의 형상과 검출데이터를 상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노이즈처리의 수단으로서 다음의 방법이 있다.
제1방법은 단순평활화이다. 출력스팬이 작은 조건에서 노이즈가 오르면 곡선형상이 거칠고, 출력스팬이 거칠면, 다소의 노이즈가 올라타서도 곡선형상이 평활하여 보인다. 노이즈와 신호성분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후자는 성분을 감쇠하는 효과가 있다. 선형필터는 콘벌튜우션(convolution)연산의 형태로 주어짐으로,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28]
일반적으로 평활필터는 h(x)의 값을 중앙(x=0)의 부분에서 크고, 중앙부에서 떨어짐에 따라서 작게 설정함으로, 통상 어떤 범위(±W)를 초과하면 0이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다음식으로 된다.
[수 29]
단순히 화소를 평균하는 경우 h(i, j)의 형은 5×5의 행렬로 나타내면 다음식과 같이 된다.
[수 30]
무게달린 평균으로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수 31]
이것들 필터외에 모울드 거르개(mold-filter)이다. 모울드 거르개는 필터구간의 농도 히스토그램을 채택하여, 그 모우드값(필터의 사이즈내의 최빈치(最頻値)를 출력한다.
또, 필터구간내의 화소의 농도값을 순번으로 늘어세우고, 그 중간값을 출력하는 메디안(median) 거르개이다. 메디안 거르개는 도트형식의 노이즈의 제거에 극히 유효하다. 또, 메디안 거르개는 중간치 이외를 사용하여도 좋고, 최대치나 최소치를 채택하여도 좋다.
노이즈성분이 많은 화상의 경우, 상기 필터만으로 처리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분산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에지부분을 흐르게 함이 없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처리의 원리는 에지부분을 양측에 걸쳐서 평균화를 하지 않고 평활하 함으로서 가능하게 되어, 그럼에는 에지부분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 에지부분의 검출수단으로서 국소영역에서의 화상농도의 표본분산치는 에지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효하다.
지금 도 57에 있어서, 화상중에 상위한 농도분포에 따른 서로 이웃한 2영역, 영역(1)과 영역(2)을 고려한다. 영역(1)의 농도분포는 평균(μ1), 분산(σ2)의 확률밀도함수 f1(x)에 영역(2)의 농도분포는 평균(μ2), 분산(σ2 2)의 확률밀도함수 f2(x)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이 화상중에 국소 소영역을 채택하여,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영역이 영역(1, 2)을 포함하는 비율을 각기 P1, P2(단, 0≤P1, P2≤1, P1+P2=1)이라고 하면 소영역의 농도분포는 다음식에 따른다.
[수 32]
f(x)의 평균 μ와 분산 σ2는 각기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33]
[수 34]
μ1≠μ2일 때, P1+P2=1을 사용하여, 식 34를 변형하면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수 35]
따라서, P1이 0에서 1까지 변화함에 따라, 즉 에지와 소영역의 상대적 위치관계의 변화에 따라서, σ2는 도 5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만일,
[수 36]
즉,
[수 37]
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σ2의 극대점은 0<P1<1의 구간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소영역이 에지의 위에 올려타고 있을 때에, 분산값이 커지게 되어, 에지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분을 흐르게 하지 않고,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활화 필터로서, 화상중에 각주목점(i, j)의 주위에 크기 k×k의 근방 소영역 ABCD(아래의 식에서는 R1에서 R4이라 한다)를 얻어서, 각 영역내에서의 농도의 평균값 μ1과 표본분산값(σ2 1)에 따라서 출력값을 결정하는 다음 형식의 필터를 생각해서 맞춘다.
입력화상을 [σ**], 출력화상을 [σ**]이라고 나타낼 때,
[수 38]
여기서, 각 근방영역에서의 평균치와 분산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39]
[수 40]
또, Wj는 Rj에 있어서의 분산(σj 2)의 값에 의하여 결정하는 무게로, 총합은 1이다.
Wj의 선정법에 의하여 몇가진가의 필터를 생각할 수 있으나, 간단한 방법으로서, 분산최소의 영역의 평균치를 필터로부터의 출력으로 한다. 즉, Wk=1;sk2≤sm2, 모든 m∈(1, 2, 3, 4), 0; 상기 이외의 k로 선택한다.
이것은, 4개의 소영역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화상영역의 에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좋으므로, 분산최소의 기준에 따라 이 영역을 선택하여, 그 영역의 평균값을 주목점에 있어서의 필터출력으로 하였다. 에지의 양측에서 선택한 소영역의 전환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므로, 극히 예리한 에지출력을 얻을 수 있으나, 반면에 약간의 분산의 변동이라도 영역의 전환이 일어나서, 에지근방에서 스파이크(spike)형상의 노이즈를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메디안 거르개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영상체의 윤곽이나 에지부분은 고영역성분을 강조하므로서 선명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미분연산자이며, 화상의 농도값의 국소변화를 나타낸것으로서,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다.
[수 41]
이 연산자(operator)는, 선형으로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는 국소미분연산자이다.
통상 사용되는 것은, n이 1 또는 2뿐이며 n=1일 때는, (∂/∂x), (∂/∂y)의 2종류이고, 이 2가지를 합성한 미분값(△)과 그 방향의 θ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42]
[수 43]
디지털화상의 경우에는, 이것들의 미분계산은 차분(差分)으로 하게되고, x, y의 1차 미분은, 각기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44]
[수 45]
또, △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46]
2차 미분으로서는, x방향, y방향 각기 다음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 47]
[수 48]
그 밖에, 다음의 정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 49]
[수 50]
[수 51]
또한, 1차미분값 △으로서,
[수 52]
[수 53]
[수 54]
등을 식 46으로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라플라시안(Laplacian)은
[수 55]
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디지털화상에서의 라플라시안은,
[수 56]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식을 변형하면,
[수 57]
으로 되어, 근방영역의 평균값과 그 화소값과의 차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들 미분연산은, 농도변화분을 검출하는 것이므로, 고주파 노이즈도 강조되므로, 평활화필터와 병용하여 고주파 노이즈의 감소를 꾀하고, 신호성분의 농도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3×3 근방화소를 사용한, 다음에 표시한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수 58]
[수 59]
[수 60]
[수 61]
[수 62]
아래의 5, 6은, x, y의 2방향의 미분화상을 얻는다.
[수 63]
[수 64]
상기 5 및 6의 필터처리를 하면, 화소값으로서는, 마이너스의 값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고, 표시함에 있어서는, 절대값을 채택한다거나, 적당한 바이어스 값을 가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x, y의 양방향의 미분값의 절대값을 가산한 화상을 미분화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차 미분에 대응하는 라플라시안의 예는,
[수 65]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도, 처리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바이어스 가산이나 절대값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라플라시안은, 광역성분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원화상(原畵像)으로부터 라플라시안 화상을 감산하므로서, 화상을 샤아프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흐림의 회복효과도 있다.
이것을 실현하는 필터는,
[수 6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필터밖에, 저역 또는 고역필터가 존재한다. 그 위에, 여기서 말하는 저역, 고역의 의미는, 예컨대 백흑원화상의 백이강한 부분을 저역이라하고, 흑이강한 부분을 고역이라 한다.
저역필터는, 고역성분 H(μ, ν) 흑성분을 감소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짧은형 필터나 버터 워어드 필터(butter worth filter)가 있다.
짧은형 필터는 통과영역과 비통과영역을 1의 주파수를 경계로 하여 나누는 것으로 R0를 차단주파수로 할 때,
[수 67]
으로 함으로서, 도 58(a)와 같은 필터함수의 형상으로 된다.
버터 워어드 필터는, 짧은형 필터와 같이 급격한 커트성은 없고, 서서히 통과영역을 감소하게 하는 것이며, 다음식으로 필터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수 68]
n=1일 때의 필터함수의 형(形)을 도 58(b)에 나타내었다.
다음에, 고역필터를 설명한다. 저역을 감소시키도록 H(μ, ν)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짧은형 필터와 버터 워어드 필터가 존재한다.
짧은형 필터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69]
버터 워어드 필터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70]
이것들의 필터함수를 도 59의 (a), (b)에 나타내었다. 그 위에, 버터 워어드 필터를 나타낸 (b)는, n=1의 경우이다.
이것들의 고역, 저역필터는, X선만으로부터 발사된 일정한 선량(線量)을 센서가 검출하였을 때, 피검출체의 두께나 형상, 흡수율에 의하여 영상화면이 어두웠다거나 지나치게 밝은 것 등의 요인이 원인이되어, 약제종의 판별이 어렵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터를 일정량의 대비범위에서 벗어나서 촬영된 것이라도, 약제판별 가능한 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화상복원)
상기 필터에 의하여 보정된 X선영상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모니터나 프린터의 데이터로서 출력되므로 희미해진 화상은 정제의 종별을 판단하는 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화상을 모니터하기 위한 경로는,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로를 더듬어가나, 모니터에 있어서 흐려짐이 발생한다거나, 노이즈가 중첩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상기 설명한 필터등을 사용하여, 모니터할 수 있는 레벨로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가법적인 노이즈의 경우, 원화상을 f(x, y), 노이즈를 n(x, y), 관측, 전송연산장치를 B이라 하면, 모니터화상은 형식적으로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다.
[수 71]
B가 선형인 경우에는,
[수 7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b(x, α, y, β)는, 점확산 함수이고, 점(α, β)에서의 임펄스(impulse)의 응답이다. 또한, 이 함수의 위치(α, β)에는 관계없을때,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 73]
복원문제라함은, 모니터화상(g)으로부터 원화상(f)을 추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식 63을 푸우리에 변환하면,
[수 74]
으로 되어, F(μ, ν)을 G(μ, ν)으로부터 추측하기 위하여, 다음식 M(μ, ν)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수 75]
만일, 물체가 이동중이였을 경우의 모니터 화상 데이터는, 변위의 x, y방향 성분을 각기 α(t), β(t)이라하고, T를 노출시간이라 하면, 노이즈가 없을 때.
[수 76]
으로 된다.
이것을 푸우리에 변환하면
[수 77]
으로 되어, 화상변환함수(B)는,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다.
[수 78]
x방향으로 일정속도(a)로 이동하는 경우, 즉, α(t)=at, β(t)=0일 때,
[수 79]
으로 된다.
또, B(μ, ν)를 알고있고, 노이즈도 존재하고 있지않을 경우에만, F(μ, ν)의 추정값은
[수 80]
이면 된다.
그러나, B(μ, ν)의 값이 0 또는 0에 가까울때는, 그 값에서의 제산연산을 하면 부적당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노이즈가 존재하고 있을때에는 문제가 된다. 즉,
[수 81]
으로 되어, 일반적으로, B(μ, ν)에 비하여, N(μ, ν)가 원점을 떠나면 감쇠가 크며, (높은 주파수성분의 영역에서는) 0에 가까워짐에 대하여, 노이즈는 주파수에 그다지 의존하지 않으므로 B(μ, ν)가 0으로 가까워지면, 상대적으로 N(μ, ν)/B(μ, ν)의 값이 커지게되어,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고주파영역에서는 B(μ, ν)로 제산을 하지 않고, 그대로의 값을 사용 B(μ, ν)=1이라 한다)함으로서, 상기 결과가 폐단이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역필터함수로서, 어떤 반지름(R0)의 주파수영역까지는 역수로서, 어떤 반지름(R0)의 주파수영역까지는 역수를 사용하고, 그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는 1로 하는 필터함수가 바람직하다.
[수 82]
또한, 노이즈가 있을 경우에, 선형의 복원함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가장 적합한 추정복원의 척도로서는, 평균 제곱오차를 최소로 하는 것을 사용하기로 하면, 최적필터함수는 아래의 계산식으로 된다.
[수 83]
여기서, Snn(μ, ν)은, 노이즈의 푸우리 에스펙트럼이며, Sff(μ, ν)는 신호의 푸우리 에스펙트럼이다.
노이즈가 없을 경우, 즉, Snn=0일 때,
[수 84]
으로 되어서, 역필터와 일치한다.
이러한 사실은,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평균제곱의 의미로서 가장 적합한 복원을 하기 위하여 1/B(μ, ν)로 수정을 가한다.
또, 기록관측시스템의 불균일성의 보정이나. (라인센서의 중앙부와 양사이드) 기하학적인 변형의 수정등도 그것들 정보계측이 가능하다면 재생복원도 어렵지는 않다.
측정시스템의 위치에 의한 불균일이 있어, 그것을 i(x, y)이라 할 때, 본래라면, f(x, y)를 관측할 수 있어야 하는 바 불균일때문에,
[수 85]
로 되는 화상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불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하여는, 예컨대 백색의 일정농도값의 화상 f(x, y)=C(일정)을 거두어들이어, gc(x, y)를 구할 수 있다고 하면, 입력화상 g(x, y)에 대하여
[수 86]
로서 보정하는 것이 좋다.
기하학적인 선형변형은, 계측화소점과 변형이 없는 바른 위치와의 대응관계를 붙일 수 있다면 좋으므로, 점(x, y)=(rj, sj)이 본래의 좌표점(x', y')=(Mj, νj)이라하면 이것들의 점을
[수 87]
에 대입하여, 각계수를 구하면, 변형의 보정이 가능하다.
단, 디지털화상에 대하여는, 점이 격자상의 디지털위치로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응점이 격자상에 없는 경우도 많으며, 이러한 경우, 격자점의 농도값으로 부터 보정한다거나, 근사치를 사용하는 등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들, 전형적인 변형으로서,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투과선으로서 적외선을 사용한 실시형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투과선으로서 x선을 사용하였으나, 적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의 투과특성은, x선과 비교하여 대단히 약하고, 피투과 물질의 재질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종이의 경우, 적외선의 투과한도는 두께 20mm정도이다. 정제포장장치에 의하여 정제가 포장된 포장띠는, 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다. 포장된 정제를 투과하여 감소한 적외선의 광량을 측정함으로서 포장된 정제의 수, 형상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적외선 발생장치로서는, 근적외선조사 스트로보(strobo), 할로겐램프로부터의 빛을 적외선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개재하여 조사하는 적외선램프, 다수의 LED의 집합체로된 근적외선발행 LED배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3은, 적외선램프로된 적외선 발생장치(101)를 나타내고 있다. (102)는, 할로겐램프이다. 할로겐램프(102)는 빛을 한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103)을 구비하고 있다. 할로겐램프(102)의 조사방향에는 근적외선 투과필터(104)와 슬릿판(105)을 구비하고 있다. 근적외선필터(104)로서는, Si, GaAs, InP, GaP, ZnSe, ZnS 등의 적외영역에서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릿판(105)은, 알루미늄판에 슬릿을 형성한 것이다. 적외선 발생장치(101)에는 할로겐램프(102)에서 발생한 열을 탈출케하여 내부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냉각하기 위한 팬(106)이 설치되어 있다. 할로겐램프(102)의 후방에는, 단열반사판(107)을 개재하여, 광전다이오우드(photo diode)(108)와 제어장치(109)등이 설치되었고, 할로겐램프(102)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도 64 및 도 65는, 상기 적외선 발생장치(101)로부터 조사되어 정제를 통과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장치(11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적외선 검출장치(111)는, 소정의 배열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센서소자(112)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소자(112)는, P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113)과, 이 기판(113)상에 형성된 쇼트키(Schottky)접합의 광전변환층(114)등을 구비하고 있다. 광전변환층(114)으로서는, 백금, 파라듐, 이리듐 등의 금속, 또는 이 금속과 금속규화 화합물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전변환층(114)의 주변에는, 이 광전변환층(114)의 주변부에서의 전기장 집중을 완화하여, 암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n-형영역에 의한 보호환(guard ring)(115)이 설치되어 있다. (116)은, 광전변환층(114)으로부터 수직시프트 레지스터(117)에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트랜스퍼 게이트의 n+형 영역이다. 게이트전극(118)과 n형 매립채널(119)은, CSD의 수직시프트 레지스터(117)를 구성한다. (120)은 실리콘 산화막으로된 소자간 분리 및 절연을 위한 계자 절연막이다. (121, 122)는 층간 절연막이며, 이것들의 층간 절연막은 산화막등의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광전변환층(114)의 배후에는, 알루미늄 반사막(123)이 설치되있고, 광전변환층(114)에서 흡수되지 않아서 투과한 적외광을 반사시키므로서 수광감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수평라인상의 각 센서소자(112)의 게이트전극(118)은, 트랜스퍼 게이트 스캐너(124)에 접속됨과 동시에, CSD스캐너(125)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기 게이트 전극(118)은, 트랜스퍼 게이트(116)의 전극과 CSD의 전송전극을 겸용하고 있다. 수직라인상의 각 센서소자(112)의 게이트전극(118)은 또한, 수직시프트 레지스터(117)에 접속되어 있다. 각 수직시프트 레지스터(117)는, 수평시프트 레지스터(126)에 접속되었고, 이 수평시프트 레지스터(126)는 출력부(12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된 적외선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P형 실리콘 반도체기판(113)의 Q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은 쇼트키접합의 광전변환층(114)에 도달하여 광전변환된다. 발생한 광신호전하는 쇼트키집합부에 축적된다. 주사선(128)중에서 하나가 트랜스퍼 게이트 스캐너(124)에 의하여 선택되어, 이 주사선(128)에 접속된 수평라인의 게이트전극(118)에 트랜스퍼 게이트 스캐너(124)로부터 판독하여 펄스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쇼트키접합부에 축적된 광신호전하가 n형 매립채널(119)에 전송된다.
동시에 광전변환층(114)은 복귀되어서, 다음에 판독펄스가 인가되기까지의 동안, 새로이 발생하는 광신호 전하를 축적한다. CSD스캐너(125)에 의하여 주사선(128)에서 게이트전극(118)으로 수직전송펄스가 인가되면, 이 광신호 전하가 수직방향으로 전송되어서 수평시프트 레지스터(126)에 입력된다. 수평시프트 레지스터(126)에서는 광신호 전하가 수평방향으로 전송되어, 출력부(127)에서 수평라인의 영상신호로서 외부에 판독된다. 이어서, 트랜스퍼 게이트 스캐너(124)에 의하여 선택되는 수평라인을 1단씩 이동하여 판독하고 펄스를 인가하며, 같은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희망하는 영상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전극(118)이,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CSD의 전송게이트 등을 겸용하는 경우, 당해 게이트전극(118)에 수직전송펄스가 인가되어 있을 때에, 트랜스퍼 게이트(116)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트랜스퍼 게이트(116)에 임계값 전압을, 적어도 수직전송펄스의 높은수준의 전압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쇼트키접합으로된 광전변환층(114)은, 쇼트키장벽에 있어서의 장벽의 높이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광성분의 검출이 가능하다. 예컨대, 백색실리사이드(ptsi)와 P형 실리콘과의 쇼트키접합의 경우이라면, 약 5.6㎛ 이하의 파장의 광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광전변환층(114)의 변환효율이나 입사광에 대하여 출력이 포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광전변환층(114)과 P형 실리콘 반도체기판(113)과의 쇼트키접합부에, n형 불순물 도입영역(12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외선의 방사량이 큰 대상물을 검출하는 경우에도, 간단히 신호판독 펄스의 전압을 작게하는 것만으로, 빛의 감도가 저하되어, 그 출력포화를 지지할 수 있어서 촬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결과적으로 입사광량에 대응하여 출력이 포화하지 않도록, 적외선 검출기의 빛의 감도를 극히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n형 불순물로서는, 인(P), 비소(As)등을 사용한다.
도 66은, 광전변환층(114)과 P형 실리콘 반도체기판(113)과의 쇼트키접합부에 n형 불순물 도입영역(129)을 설치한 것과 설치하지 않은 것에 있어서의 복귀전압과 출력신호의 관계를 비교한 것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곡선(a)은 n형 불순물 도입영역(129)을 설치되어 있지 않은것, 곡선(b)은 n형 불순물 도입영역(129)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포장한 정제를 투과한 적외선량을 포착하는 경우, 광전변환층(114)에서 변환되는 감도가 높은 편이, 촬상한 화상의 깊이나 선명도에 대하여 유리하게 된다.
또, 적외광은 통과력이 약하기때문에, 포장한 정제가 여러 개 겹치게 되면, 촬상화상이 흐려진다거나, 정제의 식별에 지장이 생기기 때문에, 포장된 포장정제의 겹침을 해체한 다음에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에서 제3의 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환자에게 건네주는 정제포장물의 내용과 정제데이터 및 약제정보 등을 대응하여 감시하는 작업에 있어서, 포장된 정제의 검사가 간단 또한 신속하게 됨에 더하여,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 조제사의 검사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수단으로서의 발명에 의하면, 포장된 정제의 영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물의 약제를 직접확인하기 보다도 육안의 첵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감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3)

  1.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할 정제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정제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2.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정제형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 할 정제의 종류를 추출하여,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형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호출하고, 이 정제형상 데이터와 상기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형상을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3.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판별하는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정제형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 할 정제의 종류를 추출하여,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형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호출하고, 이 정제형상 데이터와 상기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형상 등을 대응시켜서,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개수를 판별하는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과, 상기 처방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되어야할 정제의 종류와 정수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정수데이터와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으로 판별된 정제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데이터대로의 정제가 포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 처리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개수 판별처리수단은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에 개수로서 환산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때, 불량포장으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형상 판별처리수단은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이 검출한 데이터에 형상을 인식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때, 불량포장으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량포장의 판정을 받았을 때, 해당하는 정제포장물에 마아크를 부여하는 마아킹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은 투과선 투과량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은 정제의모습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9.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검사를 하는 정제검사장치에 있어서, 투과선을 발생하여 상기 정제포장물에 조사하는 투과선 발생수단과, 이 투과선 발생수단으로 발생된 투과선을 검출하는 투과선 검출수단과, 정제의 종류별로 그 영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정제포장물에 포장된 정제의 형상을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로부터 포착하여 그 정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정제판별 처리수단과, 이 정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제영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호출하여, 이 영상데이터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에 겹쳐서 영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영상데이터 작성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처방전 데이터와 대응하여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12. 제1, 2, 3,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선 발생수단과 상기 투과선 검출수단을 조사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하여,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재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13. 제1, 2, 3,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선 발생수단을 정제포장물의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투과선 검출수단의 검출데이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재현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검사장치.
KR1019990035635A 1998-08-26 1999-08-26 정제검사장치 KR20000017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34898 1998-08-26
JP98-240348 1998-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60A true KR20000017560A (ko) 2000-03-25

Family

ID=1705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635A KR20000017560A (ko) 1998-08-26 1999-08-26 정제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24253B1 (ko)
KR (1) KR200000175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9685B1 (en) * 1999-11-01 2004-10-05 Yuyama Mfg. Co., Ltd. Medication packing apparatus
US6774578B2 (en) * 2000-09-19 2004-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lf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US6853447B2 (en) * 2001-02-12 2005-02-08 Analytical Spectral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spectral image data
US6894772B2 (en) * 2001-02-12 2005-05-17 Analytical Spectral Devices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reflectance data
US6919556B1 (en) 2002-02-22 2005-07-19 Monocl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solid and semi-solid materials
ITBO20020432A1 (it) * 2002-07-04 2004-01-05 Ima Spa Metodo per il rilevamento ed il controllo di caratteristiche di articoli farmaceutici
US6770830B2 (en) * 2002-08-15 2004-08-03 Capintec, Inc. Radioactive seed sorter and method for sorting radioactive seeds
US7582872B2 (en) * 2002-10-11 2009-09-01 Malvern Instruments Incorporated Volumetric spectral imaging
NL1022679C1 (nl) * 2003-02-14 2004-08-17 Dijkstra Vereenigde Bedrijven Inspectie inrichting voor losse objecten, zoals tabletten.
US7120284B2 (en) * 2003-07-18 2006-10-10 Emhart Glass S.A.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US7091124B2 (en) 2003-11-13 2006-08-1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orming vias in micro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packag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8084866B2 (en) 2003-12-10 2011-12-27 Micron Technology, Inc. Micro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filling vias in microelectronic devices
US20050247894A1 (en) * 2004-05-05 2005-11-10 Watkins Charles M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pertures in microfeature workpieces
US7083425B2 (en) 2004-08-27 2006-08-01 Micron Technology, Inc. Slanted vias for electrical circuits on circuit boards and other substrates
US7300857B2 (en) 2004-09-02 2007-11-27 Micron Technology, Inc. Through-wafer interconnects for photoimager and memory wafers
US8266878B2 (en) * 2004-10-01 2012-09-18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d assembling a multiple prescription package
US9710866B2 (en) 2005-09-30 2017-07-18 Edge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ple prescription order
US20110101016A1 (en) * 2009-09-25 2011-05-05 Edge Medical Properties, Llc Low vision patient compliant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015058B2 (en) 2004-10-01 2015-04-21 Edge Medical Properties, Llc Matrix based dosage scheduling
US8712582B1 (en) 2004-10-01 2014-04-29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different tablets into a pouch
US9245304B2 (en) * 2004-10-01 2016-01-26 Edge Medical Properties, Llc Manufacturing separable pouches with a center cut blade
US8146747B2 (en) 2004-10-01 2012-04-03 Edge Medical Properties, Llc Tablet dispensing container
US10315450B1 (en) 2006-10-24 2019-06-11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label for container housing multi-script pouches
US9141764B2 (en) 2010-11-12 2015-09-22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integrated multiple tablet ordering
US10836197B2 (en) 2004-10-01 2020-11-17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label for container housing multi-script pouches
US9334096B2 (en) 2004-10-01 2016-05-10 Edge Medical Properties, Llc Multip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20130299381A9 (en) * 2004-10-01 2013-11-14 Edge Medical Properties, Llc Dual dispensing tablet container
US8972288B2 (en) 2004-10-01 2015-03-03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atrix-based dosage scheduling
US9238518B2 (en) 2004-10-01 2016-01-19 Edge Medical Properties, Llc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 control process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8789700B2 (en) * 2004-10-01 2014-07-29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inspecting a multiple tablet order
US7690173B2 (en) * 2005-09-30 2010-04-06 Edge Medical, Inc. Multiple prescription production facility
US8123036B2 (en) 2004-10-01 2012-02-28 Edge Medical Properties, Llc Pill assembly for pill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s
US8914298B1 (en) 2004-10-01 2014-12-16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verification and assembly of multi-script pouches into a housing container
US8121392B2 (en) 2004-10-25 2012-02-21 Parata Systems, Llc Embedded imaging and control system
US7795134B2 (en) 2005-06-28 2010-09-14 Micron Technology, Inc. Conductive interconnect structures and formation methods using supercritical fluids
US7863187B2 (en) 2005-09-01 2011-01-04 Micron Technology, Inc. Microfeature workpieces and methods for forming interconnects in microfeature workpieces
US7262134B2 (en) 2005-09-01 2007-08-28 Micron Technology, Inc. Microfeature workpieces and methods for forming interconnects in microfeature workpieces
US7622377B2 (en) * 2005-09-01 2009-11-24 Micron Technology, Inc. Microfeature workpiece substrates having through-substrate vias, and associated methods of formation
US7749899B2 (en) 2006-06-01 2010-07-06 Micron Technology, Inc. Microelectronic workpie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interconnects in microelectronic workpieces
US7629249B2 (en) 2006-08-28 2009-12-08 Micron Technology, Inc. Microfeature workpieces having conductive interconnect structures formed by chemically reactive proces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7902643B2 (en) 2006-08-31 2011-03-08 Micron Technology, Inc. Microfeature workpieces having interconnects and conductive backpla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060249B2 (en) 2006-11-22 2011-11-15 Senticare Inc.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SG150410A1 (en) 2007-08-31 2009-03-30 Micron Technology Inc Partitioned through-layer vi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7884015B2 (en) 2007-12-06 2011-02-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orming interconnects in microelectronic workpieces and microelectronic workpieces formed using such methods
DE602008002143D1 (de) 2008-02-15 2010-09-23 Panalytical Bv Erkennung von gefälschten Medikamenten in Blisterpackungen durch winkeldispersive Röntgenbeugung
US20090272081A1 (en) * 2008-05-02 2009-11-05 Mike Pans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medicine
JP5559471B2 (ja) * 2008-11-11 2014-07-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取得システム、放射線検査システム、及び放射線検出方法
EP2199209B1 (de) * 2008-12-22 2011-06-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füllen pharmazeutischer Produkte in Verpackungsbehälter
JP4755714B2 (ja) * 2009-11-17 2011-08-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5351980B2 (ja) * 2010-07-09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錠剤監査支援方法及び錠剤監査支援装置
US9272796B1 (en) * 2011-01-11 2016-03-01 Chudy Group, LLC Automatic drug packaging machine and package-less verification system
EP2503322B1 (de) * 2011-03-25 2016-03-09 Detlev Gertitschke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von kleinen pharmazeutischen Produkten
CN104173190B (zh) * 2011-04-28 2017-05-3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检查装置和药剂分包装置
US10435192B2 (en) 2011-05-16 2019-10-08 Edge Medical Properties, Llc Multip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FR2983419B1 (fr) * 2011-12-06 2017-05-19 Pellenc Selective Tech Procede et installation d'inspection et/ou de tri combinant analyse de surface et analyse volumique
JP6258038B2 (ja) * 2012-01-11 2018-01-1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US10427810B2 (en) *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WO2014061461A1 (ja) * 2012-10-17 2014-04-24 株式会社システムスクエア 包装体の検査装置
WO2014080966A1 (ja) * 2012-11-22 2014-05-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鑑査装置
US9134257B2 (en) * 2013-03-14 2015-09-1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fects in susceptors of microwave food containers
DE102013104666A1 (de) * 2013-05-07 2014-11-13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hältniszusammenstellungen
US9733384B2 (en) * 2013-10-03 2017-08-15 System Square Inc. Package inspection system
CA2935637A1 (en) * 2014-02-06 2015-08-13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rtion packets of a smokeless tobacco product or non-tobacco snuff product
JP6397690B2 (ja) * 2014-08-11 2018-09-2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X線透過検査装置及び異物検出方法
DE102015107730B4 (de) * 2015-05-18 2020-07-23 Hmgeb Holding B.V. Blisterband-Inspektionsvorrichtung
KR101971319B1 (ko) * 2016-05-26 2019-04-24 (주)제이브이엠 제어 장치
CA2933860C (fr) * 2016-06-23 2017-08-29 Matthieu Grosfils Systemes et equipements permettant de controler le contenu d'un ou des compartiment(s) d'un distributeur de medicaments, methode de fabrication des systemes et equipements et methode d'utilisation correspondantes
JP6599934B2 (ja) * 2016-08-17 2019-10-30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調剤監査装置、及び方法
US10187593B2 (en) 2016-09-27 2019-01-22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1595595B2 (en) 2016-09-27 2023-02-28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0583941B2 (en) 2017-10-13 2020-03-10 Rxsafe Llc Universal feed mechanism for automatic packager
JP6829778B2 (ja) * 2018-01-31 2021-02-10 Cyberdyne株式会社 物体識別装置及び物体識別方法
US20230211912A1 (en) * 2022-01-03 2023-07-06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568A (en) * 1980-09-22 1984-0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ainer inspection system
JPS63140949A (ja) * 1986-12-03 1988-06-13 Mitsubishi Heavy Ind Ltd 異物混入容器の除去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JPH05337168A (ja) * 1992-06-10 1993-12-21 N T T Data Tsushin Kk 自動錠剤包装機
JPH07200770A (ja) * 1993-12-28 1995-08-04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システム
JPH08322912A (ja) * 1995-05-30 1996-12-10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システム
JPH09231342A (ja) * 1996-02-26 1997-09-05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方法及び装置
JPH1033638A (ja) * 1996-07-30 1998-02-10 Takazono Sangyo Kk 収納体内の薬剤の検査装置及び収納体内の薬剤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307A (ja) 1987-05-27 1988-12-01 Ckd Corp 錠剤自動分包装置
JPH0417666A (ja) 1990-05-08 1992-01-22 Minolta Camera Co Ltd 薄膜形成方法
US5125017A (en) * 1991-01-30 1992-06-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ompton backscatter gage
US5522512A (en) * 1994-05-09 1996-06-04 Merck &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inspecting and diverting tablets for continuous filling of tablet containers
JPH08168727A (ja) 1994-12-19 1996-07-02 Sanyo Electric Co Ltd 小物物品の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568A (en) * 1980-09-22 1984-0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ainer inspection system
JPS63140949A (ja) * 1986-12-03 1988-06-13 Mitsubishi Heavy Ind Ltd 異物混入容器の除去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JPH05337168A (ja) * 1992-06-10 1993-12-21 N T T Data Tsushin Kk 自動錠剤包装機
JPH07200770A (ja) * 1993-12-28 1995-08-04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システム
JPH08322912A (ja) * 1995-05-30 1996-12-10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システム
JPH09231342A (ja) * 1996-02-26 1997-09-05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方法及び装置
JPH1033638A (ja) * 1996-07-30 1998-02-10 Takazono Sangyo Kk 収納体内の薬剤の検査装置及び収納体内の薬剤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4253B1 (en)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7560A (ko) 정제검사장치
JP2000135268A (ja) 錠剤検査装置
ES2769530T3 (es) Sistemas de inspección de tomografía de rayos X
EP2675358B1 (en) Detector array having effective size larger than actual size
US7081627B2 (en) Image detector for X-ray radiation
JP6033961B2 (ja) 荷物の保安検査用ctシステム及びその検知装置
US20100012845A1 (en) Energy-resolving detection system and imaging system
US20130251098A1 (en) X-Ray Tomographic Inspection Syst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Target Items
US7620143B2 (en) Detector array and system
KR20020092809A (ko) X선 이물 검출 장치 및 x선 이물 검출 방법
US7193217B2 (en) X-ray detector
JP2007013142A (ja) 電気的に隔離されたピクセルを備えた検出器
EP2545362B1 (en) Detector devic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2513023A5 (ko)
US20120166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or calibration
US6546075B1 (en) Energy sensitive detection systems
US20210255343A1 (en) X-Ray Detectors of High Spatial Resolution
WO2014045045A1 (en) A dispersive diffraction projection imaging system
US6839401B2 (en) X-ray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US20120177174A1 (en) Temperature drift correction for multi-slice detector in computed tomography
US20160157794A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s
US5603414A (en) Detecting diamonds in a rock sample
EP1512032B1 (en) X-ray detector with csi: ti conversion layer
US5591968A (en) Photostimulable imaging plate and method of testing a digital device for scanning such plate
CN115335728A (zh) 使用辐射检测器的成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