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370A -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370A
KR20000016370A KR1019980709944A KR19980709944A KR20000016370A KR 20000016370 A KR20000016370 A KR 20000016370A KR 1019980709944 A KR1019980709944 A KR 1019980709944A KR 19980709944 A KR19980709944 A KR 19980709944A KR 20000016370 A KR20000016370 A KR 2000001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recording
are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즈미 야마다
아키라 이케타니
요시노리 기타무라
요스케 미즈카와
유키오 구라노
다쓰로 주리
지요코 마쓰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40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4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337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500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08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49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76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3514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1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이후 잘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Description

기록 재생장치
현재 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서, 자기테이프를 이용한 DVC(Digital Video Cassette)가 있다. 이 DVC를 컴퓨터와 접속하고, 현존의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용 저장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현행의 DVC용 기록 카세트에는 MIC(Memory In Casse- tte)라 불리우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MIC에는 기록 카세트의 식별번호(카세트 ID), 카세트의 테이프 길이 등, 카세트 및 테이프의 관리정보가 기록된다. 이 MIC에는 테이프 상의 보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의 타입 등이 기록된다. 비디오 패킷의 포맷은 도 2에 도시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패킷 중에는 6개의 소블록의 DCT(이산 코사인 변환) 부호 데이터가 수납되며, 그 중의 직류성분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되고,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기존의 디지털 VTR에서는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만 기록할 수 있었다. 또한 8mm 테이프나 DAT 테이프 등과 같이 기록매체 중에 PC 파일 데이터를 기록하는 특별한 스트리머용 포맷을 갖는 것도 있지만, 이 스트리머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는 기존의 8mm 테이프나 DAT 테이프 등의 포맷과 다르기 때문에 이 스트리머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8mm나 DAT 데이터에 걸면 테이프를 잘못 인식하거나, 노이즈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하게 되어 있는 파일단위의 액세스 기능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그 때문에 그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하는 것이 어렵다.
MIC는 카세트 ID, 비디오 신호 타입 등, 카세트 및 테이프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 지나지 않는다. 요컨대 DVC를 컴퓨터용 파일 스트리머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록되어 있는 개개의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용도에는 이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카세트 내의 데이터를 다른 PC/데크 상에서 변경하면 통상 사용하고 있는 PC/데크로 복귀하였을 때 PC/데크 내의 관리정보와 카세트 내의 실제 데이터 내용의 대응이 무너진다는 과제를 가진다.
또한 전송, 기록시에는 영상음성 데이터 등, 복사횟수를 제한하고 싶은 데이터 형식의 데이터의 기록재생, 전송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현재 고려되고 있는 복사 관리정보는 각 데이터 섹터, 기록 패킷마다 부가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섹터, 패킷에 부가되는 복사 관리정보의 데이터량은 작더라도 전체의 기록재생, 전송시에 복사 관리정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량은 커져서 전송대역, 기록용량이 비효율적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영상, 음성 및 컴퓨터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VCR로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디지털 VCR에 기록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테이프 상의 기록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4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5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6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7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 8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 9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 10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 11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 12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 13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7은 제 14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 13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록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 15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구성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 1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전송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 15 실시예의 데이터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록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B : 기록 재생장치 2 : MIC
3 : 카세트 5, 15 : 인터페이스
6 : 기록재생 처리회로 10, l0B : 퍼스널 컴퓨터(PC)
11 : 하드디스크 13 : CPU
14 : 메모리 100 :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l01 :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 : EOB 부가수단
103 :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 : 스위치
105 :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 : 보조정보 생성수단
108 : 데이터 종별 부호 생성수단 109 :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
110 : 데이터량 측정수단 111 : 무효데이터 생성수단
112 :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 200 :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201 : DVC 데이터 생성수단 202 : EOB 부가수단
203 : 어드레스 발생수단 204 : 스위치
205 :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206 : 보조정보 생성수단
221 : 무효데이터 생성수단 220 : 데이터량 측정수단
222 :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 312 : 데이터 출력수단
300 :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301 :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 : 어드레스 발생수단 304 : 스위치
305 :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 : 보조정보 생성수단
307 : 데이터량 정보 판별수단 401 :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
402 : 파일관리정보 위치정보 생성수단 406 : 보조정보 생성수단
500 :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504 : 스위치
505 :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506 : 보조정보 판정수단
507 : 컨트롤러 601 :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
602 :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 610 : 데이터 입력수단
612 : 데이터 출력수단 615 : 외부기기
801 :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802 : 인터페이스부
803 : 기록 재생회로 804 : 복사정보 분리기
805 : 기록용 데이터 처리기 806 : 대표 복사정보 생성기
807 : 패킷화기 808 : 복사정보 다중화기
809 : 컨트롤러 811 : 송수신기
812 : 복사정보 분리기 813 : 복사 관리정보 복원기
814 : 섹터 복원 처리기 815 : 복사정보 다중화기
820 : 데이터 출력장치로서의 디지털 데이터 디스크
821 : 재생부 822 : 복호부
823 : 인터페이스부 824 : 송수신기
825 : 복사정보 다중화기 826, 827 : 패킷화기
828 : 송신용 데이터 처리기 829 : 대표 복사정보 생성기
830 : 복사정보 분리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TR의 포맷을 살려 파일단위의 액세스 및 디지털 VTR의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의 기록이라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량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복사금지 등의 저작권 관리를 행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 및 전송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이고,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기록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EOB)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기록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이고,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상기 각 소블록의 양자화방법을 정한 클래스 정보와 상기 각 소블록의 앞화면으로부터의 모션에 관한 정보인 모션 정보가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제 4의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각 소 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인 데이터 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는 기록매체의 전송 및 기록포맷과 동일하며, 데이터 파일부분은 무효 데이터 영역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가 건너뛰어 판독하므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기록시에는 엔드 오브 블록 부호 이외에 클래스 정보 및 모션 정보의 영역은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함께 데이터 파일기록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의 발명은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며,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발명은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이며,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에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으로 되는 특성을 살리고, 제 1, 제 3의 발명에 의해 소정 형식의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신호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6의 발명은 제 2, 제 4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대하여 엔드 오브 블록 부호 이외에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의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의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블록의 부호어 중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 트랙 중의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파일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8의 발명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며,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클래스 정보 및 모션 정보가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9의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0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1의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2의 발명은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3의 발명은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기록 패킷 중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며,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기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명,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 개시위치 정보, 파일 크기, 파일 종료위치 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이 실현되어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각 파일이란 데이터 파일 뿐만아니라 기존의 디지털 VTR의 데이터에도 파일 개시위치, 파일 종료위치 또는 트랙수를 하나의 파일 단위로서 결정하여 파일명, 갱신일시 등을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같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14의 발명은 기록매체(자기 테이프) 이외의 다른 기록매체에 상기 자기 테이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테이프 및 카세트의 관리정보의 기록에만 사용되던 MIC에 테이프 내에 기록하는 파일의 개개의 관리정보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액세스가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5의 발명은 기록매체(자기 테이프)에 부가된 개별화 정보 기억매체(MIC) 상에 상기 테이프를 다른 테이프와 구별하기 위한 개별화 정보를 기억하고, 내용정보 기억수단(PC/데크 상의 하드디스크) 상에 상기 테이프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내용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테이프 재생시에 상기 개별화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기 테이프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며, 취득된 상기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의 발명은 테이프에 부가된 MIC 상에, 상기 테이프를 다른 테이프와 구별하기 위한 개별화 정보 및 테이프 상의 데이터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데이터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 중에 설치된 내용정보 기억수단(PC/데크 상의 하드디스크) 상에 상기 테이프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테이프 재생시에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와 비교하여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 상기 개별화 정보 기억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테이프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7의 발명은 분리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가된 개별화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를 그 밖의 같은 형식의 기록매체와 구별하기 위한 정보인 개별화정보 및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데이터 갱신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기록매체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기록매체 중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기록매체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기록매체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 중에 설치된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에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시에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 상기 개별화정보 기억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오래된 것이고,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는,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를 취득하며, 또한 상기 내용정보 및 갱신일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갱신하고, 취득된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의 발명은 기록매체 상의 기록매체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그리고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의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공통의 방법으로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이다.
이상의 발명으로부터, 테이프에 다른 PC를 이용하여 기입하지 않는 한, MIC와 관리정보 트랙, HDD 상의 관리정보는 항상 정합이 취해져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탑재한 시점에서 관리정보 트랙을 판독하는 일 없이 HDD 상의 관리정보만을 이용하여 즉시 파일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9의 발명은 기록하는 데이터의 각 섹터에 부가되는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인출 판정하고 소정의 범위 내에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0의 발명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각 섹터에 부가되는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인출 판정하고 소정의 범위 내에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한 데이터와 함께(전송 패킷의 소정 위치/다른 패킷/데이터 내의 특정 위치) 전송하는 전송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l5는 인터페이스, 1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1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는 EOB 부가수단, 1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는 스위치, 1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10)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은 PC(l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은 데이터명의 확장자나 데이터에 부가된 관리정보가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지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때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조건, 예를 들면 DVC 표준의 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등도 입력데이터 판정수단(100)에 의해 판정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여기에서는 비디오의 패킷을 나타낸다. 패킷 중에는 6개의 소블록 DCT(이산 코사인 변환) 부호 데이터가 수납되어, 그 중의 직류성분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위치에 배치되고, 혹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또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어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가진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또한 DVC 이외의 데이터 형식의 경우에도 입력 데이터 판정수단(100)을 이용하여 데이터 속도 등에 의해 25Mbps 모드에 대응하여 기록해야 할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하여 기록해야 할 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정에 따라 패킷의 헤더나 특정한 패킷 내의 값을 적절한 것으로 바꾼다.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도 3의 (a)는 25Mbps 모드의 DVC 패킷 중, 비디오의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와 마찬가지로 패킷 중에는 6개의 소블록 DCT(이산 코사인 변환) 부호 데이터를 수납하고, 그 중의 직류성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EOB 부가수단(102)은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에 의해 생성되는 어드레스, 즉 각 소블록의 모션 성분과 클래스 정보 및 직류성분 직후의 어드레스에 이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에서 잘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EOB(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한다. 이 조작에 의해 EOB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 12바이트 또는 8바이트, 1 DVC 블록 합계 64바이트가 기존의 DVC 데이터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이 되고, 이 영역에 어떤 데이터를 할당해도 DVC 재생의 화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직류성분의 데이터에 의해서만 복호화상이 표시된다.
도 3의 (b)는 12.5Mbps 모드의 DVC 패킷 중 비디오의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b)와 마찬가지로 패킷 중에는 8개의 소블록 DCT(이산 코사인 변환) 부호 데이터를 수납하고, 그 중의 직류성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EOB 부가수단(102)은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에 의해 생성되는 어드레스, 즉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직후의 어드레스에 이 소블록의 부호어가 여기에서 잘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EOB(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또한 DVC 이외의 데이터 기록에서는 불필요하게 되는 모션 성분 및 클래스 정보의 기록위치에도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모션 정보, 클래스 정보, 직류 성분의 조합이 특별한 경우에 무효한 블록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와 직류성분 비트의 조합패턴이 상기 특별한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직류성분의 9비트째를 변환한다.
이 조작에 의해, EOB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 12바이트 또는 8바이트, 덧붙여 모션 정보 및 클래스 정보의 영역이 소블록마다 각각 4비트, DVC 블록 전체로서는 도 3의 (a)와 같은 64바이트가 기존의 DVC 데이터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이 되어, 이 영역에 어떤 데이터를 할당해도 DVC 재생 화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직류성분의 데이터에 의해서만 복호화상이 표시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에 기록된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 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이 된다.
( 제 2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1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1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는 EOB 부가수단, 1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는 스위치, 1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108은 데이터 종별 부호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10)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 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되어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종별 부호 생성수단(108)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여 보조정보 생성수단(106)에 의해 생성된 다른 보조정보와 함께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 플래그는 카세트(3)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도 기록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3)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기록 기능과, 디지털 VTR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기록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함과 동시에 어느 형식으로 기록했는지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TR 데이터의 양쪽을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로 된다.
( 제 3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1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1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는 EOB 부가수단, 1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는 스위치, 1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109는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 111은 무효데이터 생성수단, 110은 데이터량 측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10)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1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되어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의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3)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테이프 상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지만, DVC에서는 테이프로의 기록 데이터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PC(1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속도가 가변인 경우에는 일정한 기록 데이터가 되도록 무효한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량 측정수단(110)에 의해 1트랙분 1/299.7초 사이에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 여기에서는 64바이트×128=2k바이트와의 차분 데이터량의 무효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 생성수단(111)에 의해 생성하고 입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량 측정수단(110)의 측정량을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109)에 의해 플래그로서 생성하고, 입력신호에 다중화하여 기록한다. 이 플래그는 카세트(3)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도 기록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 즉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의 크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때, 혹은 실시간성을 유지하면서 변환, 기록하고자 하였지만, 기존 데크의 기록 속도와 입력된 데이터 속도가 다를 때에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부가된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제거하여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무효한 더미 데이터량에 의해 변하지만, 최악의 경우 1/2이 된다.
( 제 4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2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2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202는 EOB 부가수단, 2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204는 스위치, 2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2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그것에 접속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10) 중에서 변환한 후에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2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인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입력되어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 1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장치(1)에 출력되어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3)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기록 기능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을 기존의 디지털 VTR에서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1/2이 된다.
( 제 5 실시예 )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2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2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202는 EOB 부가수단, 2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204는 스위치, 2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2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208은 데이터 종별 부호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그것에 접속된 기록 재생장치(1)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10)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PC(10) 중에서 변환한 후에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2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입력되어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12.5 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종별 부호 생성수단(208)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2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배치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고, 보조정보 생성수단(206)에 의해 생성된 다른 보조정보와 함께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장치(1)에 출력되어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3)에 기록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 VTR 데크 및 그 이외의 데이터를 전환하여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기록 기능에 대응한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TR 데이터의 양쪽을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 위치가 고정되고, 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부가하면 거기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으로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에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는 기록매체의 전송 및 기록포맷과 동일하며, 데이터 파일부분은 무효 데이터 영역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가 건너뛰어 판독하므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의 데이터 속도는 무효한 더미 데이터의 양에 의해 변하지만, 최악의 경우 1/2이 된다.
( 제 6 실시예 )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OB는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PC와 그것에 접속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 판별수단(2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2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입력되어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2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메모리 상에 가진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2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12.5 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테이프 상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지만, DVC에서는 테이프로의 기록 데이터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PC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속도가 가변인 경우에는 일정한 기록 데이터가 되도록 무효한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량 측정수단(110)에 의해, 1트랙분 1/299.7초의 사이에 입력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량, 여기에서는 64바이트×128=2k바이트와의 차분 데이터량의 무효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 생성수단(221)에 의해 생성하여 입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량 측정수단(220)의 측정량을 데이터량 정보 생성수단(222)에 의해 플래그로서 생성하고, 입력신호로 다중화하여 기록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 즉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의 크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때, 혹은 실시간성을 유지하면서 변환, 기록하고자 하였지만 기존 데크의 기록 속도와 입력된 데이터 속도가 다를 때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부가된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제거하여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에서 1트랙 중의 데이터량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입력시의 설정으로서 10트랙 등, 다른 단위라도 된다. 또한 카세트(3)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 제 7 실시예 )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30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 (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100)은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DVC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별된 데이터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의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2)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생성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데이터의 2회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l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기록 기능과 디지털 VTR 데크 이외의 데이터 기록 기능을 겸비하고, 전환함과 동시에 어느쪽 형식으로 기록하였는지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TR 데이터의 양쪽을 문제없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으로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세트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을 행해도 된다.
( 제 8 실시예 )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 (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3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04는 스위치, 3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300)은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 즉 도 3에 도시된 형식의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데이터의 2회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l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카세트(3)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2)를 가진 경우에는 그 안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으로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의 기능과 상기 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와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 기록된 테이프를 양쪽 모두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 제 9 실시예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300은 입력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304는 스위치, 3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3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307은 데이터량 정보 판별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300)은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의 경우, 즉 도 3에 도시된 형식의 경우에는 스위치(3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3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생성수단(3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한 데이터의 2회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1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안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량 정보 판별수단(307)을 이용하여 입력신호 중의 데이터량 정보로부터, 1트랙 2k바이트 중에 어느 만큼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판별한 데이터량 이후의 데이터는 무효 데이터로서 제거한 후 출력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기록 기능과 디지털 VTR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기록기능을 겸비하고, 전환함과 동시에 어느 형식으로 기록했는지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기존의 디지털 VTR 데이터를 양쪽 모두 문제없이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에 의하면 입력된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의 각 트랙의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의 각 트랙 중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상기 트랙 내 데이터량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량만큼을 출력함으로써 가변 속도로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 1트랙 중의 데이터량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입력시의 설정으로서 10트랙 등 다른 단위라도 된다. 또한 카세트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을 행해도 된다.
( 제 10 실시예 )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 (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 15는 인터페이스, 4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101은 DVC 데이터 생성수단, 102는 EOB 부가수단, 1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104는 스위치, 1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106은 보조정보 생성수단, 401은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 402는 파일관리정보 위치정보 생성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PC 상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방법으로 기록 재생장치에 입력되어 기록되었다고 한다.
이 때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401)에 의해 DVC 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PC(10) 상 등으로부터 파일로서 취급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상의 연속된 어느 일정구간을 파일로 간주하여 파일명, 개시위치, 크기, 기록일시 등을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PC(10)에 설정된 타이밍, 예를 들면 DVC와의 접속 프로그램 종료 직전에 DVC에 통상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각 파일이란 데이터 파일 뿐만아니라, 기존의 디지털 VTR의 데이터에도 파일 개시위치, 파일 종료위치 또는 트랙수를 하나의 파일 단위로서 결정하여 파일명, 갱신일시 등을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과 같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400)은 PC(10)의 하드디스크(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 파일관리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조건, 예를 들면 DVC 표준의 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저속의 12.5Mbps 모드에 대응한 데이터인지 등도 입력 데이터 판정수단(100)에 의해 판정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파일관리정보인 경우에는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되어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입력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1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생성수단(1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 차례로 변화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차례로 재기록하여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1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12.5 Mbps 모드에서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DVC 패킷에 DVC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생성수단(l06)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100)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한 데이터가 DVC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파일관리정보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및 25Mbps 모드, 1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또한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정보 생성수단(402)은 테이프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입력신호 중에 다중화시킨다. 이것은 테이프 상의 선두 혹은 MIC(2) 상 등의 특정위치에 기록해도 되고,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모든 트랙에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보조정보로서 기입해도 된다.
상기 변환이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처리회로(6)에 의해 카세트(3)에 기록된다.
또 오류 내성강화를 위해 데이터의 2회쓰기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기록을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명,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개시 위치정보, 파일 크기, 파일 종료위치 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에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이 실현되어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 11 실시예 )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6은 기록재생 처리회로, 10은 퍼스널 컴퓨터(PC), 11은 하드디스크, 13은 CPU, 14는 메모리, 5는 인터페이스, 500은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 301은 DVC 데이터 해석수단, 303은 어드레스 발생수단, 504는 스위치, 505는 데이터형식 변환수단, 506은 보조정보 판정수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PC(10) 중의 하드디스크(11)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장치(1)에 전송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 데이터 판별수단(500)은 인터페이스(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인지의 여부, 또한 파일관리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위치(5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VC 패킷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가 DVC 데이터 이외인 경우, 즉 도 3에 도시된 형식인 경우에는 스위치(504)에 의해 전환되고, 데이터형식 변환수단(505)에 입력되어 변환된다.
특히 입력된 데이터가 파일관리정보인 경우, 컨트롤러(507)는 테이프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를 판정하여, 그 위치에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이것은 테이프 상 혹은 MIC(2) 상의 파일관리정보 기록위치정보를 판독해도 되고,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한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보조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데이터형식 변환수단(505)에 접속된 DVC 데이터 해석수단(301)은 메모리 상에 갖는 각 패킷의 데이터 패턴을 현재 출력하고 있는 데이터의 트랙번호나 각 패킷의 번호 등을 해석하여 정해진 순서로 버퍼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은 각 패킷의 데이터 할당 가능한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보조정보 판정수단(506)은 보조정보로부터 기록한 데이터가 25Mbps 모드, l2.5Mbps 모드의 어느 것으로 기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한 데이터의 2회쓰기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입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303)의 동작을 전환한다. 25 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a)의 형식으로, 12.5Mbps 모드로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의 (b)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중의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PC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카세트가 외부 기억장치인 MIC(2)를 갖는 경우에는 그 안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기록을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파일의 관리정보, 예를 들면 각 파일명, 각 파일의 갱신일시, 파일 개시위치 정보, 파일 크기, 파일 종료위치 정보 또는 트랙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PC에 접속된 하드디스크로 가능한 파일단위의 액세스 등의 기능이 실현되어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 12 실시예 )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602는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 2는 MIC를 나타낸다.
기록 재생장치에 미사용의 카세트를 세트한 경우,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에서 그 카세트의 식별자인 카세트 ID가 생성되고, 카세트 ID가 MIC(2)에 기록된다. 또한 기록 재생장치에 입력되는 카세트가 기존 카세트인 경우에는 카세트 ID가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판독된다.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수단(610)에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수단(61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는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2),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 및 카세트(3)에 보내진다.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l)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비디오신호 타입 등의 보조정보가 인출된다.
한편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2)에서는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정보, 요컨대 그 파일명, 테이프로의 기록일시, 파일 크기, 파일의 저작권 정보, 파일의 복사 관리정보 및 테이프 내의 파일 판독위치가 각 파일마다 인출된다. 혹은 파일관리 시스템의 포맷인 ISO/IEC13346(이하 13346)에 준거한, 복수 파일로 구성되는 볼륨을 테이프에 기록할 때에는 l3346에서 규정되어 있는 볼륨, 구획, 디렉토리 및 파일을 관리하는 기술자(記述子)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2)에서 인출한다. MIC(2)에는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2) 및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에서 인출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카세트에는 데이터 입력수단(610) 및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으로부터 인출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 MIC(2)에 기록한 테이프 관리정보 및 파일관리정보는 MIC(2)에만 기록해도 되고, MIC(2)에 기록한 정보의 일부 혹은 전부를 카세트에 기록해도 된다.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MIC(2)로부터 카세트 ID, 비디오신호 타입 등의 테이프에 관한 보조정보에 더하여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각 파일에 관한 정보가 판독되어, 판독된 정보에 따라 자기 테이프로부터 데이터가 재생된다. 재생된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수단(612)에 보내지고, 데이터 출력수단(612)으로부터 외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종래는 테이프 및 카세트의 관리정보만의 기록에 사용하던 MIC에, DVC에 기록하는 파일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MIC에 기록함으로써 테이프 내에 기록하는 파일의 개개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런 이유로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액세스가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MIC에 기록하는 파일의 관리정보를 자기테이프로부터 입력하였지만, 데이터 입력수단(610)으로 출력해야 할 외부기기, 혹은 그것과는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입수해도 상관없다. 이하 그와 같은 실시예를 제 13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3 실시예 )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603은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 25는 외부기기를 나타낸다. 이후 동일번호가 붙은 것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3)은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정보, 요컨대 그 파일명, 테이프로의 기록일시, 파일 크기, 파일의 저작권 정보, 파일의 복사 관리정보를 외부기기(25)로부터 각 파일마다 수취한다. MIC(2)에는 파일관리정보 인출수단(603) 및 테이프 관리정보 인출수단(601)에서 인출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 1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종래는 테이프 및 카세트의 관리정보만의 기록에 사용하고 있던 MIC에 DVC에 기록하는 파일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MIC에 기록함으로써 테이프 내에 기록하는 파일 개개의 관리정보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액세스가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된다.
( 제 14 실시예 )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701은 기록 재생장치, 3은 카세트, 2는 MIC, 705는 데이터 입력수단, 706은 데이터 출력수단, 710은 퍼스널 컴퓨터(PC), 711은 하드디스크, 712, 7l5는 카세트 정보 획득수단, 713, 716은 카세트 정보 생성수단, 714는 카세트 정보 비교수단, 708, 715는 파일관리정보 획득수단, 709, 716은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 717은 CPU, 718은 메모리, 707, 719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재생장치(701)에 미사용 카세트를 입력한 경우, 카세트정보 획득수단(712)으로부터 얻어진 정보 혹은 테이프의 재생신호로부터 미사용인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카세트정보 생성수단(713)에서 그 카세트의 식별자인 카세트 ID가 생성되어, 카세트 ID가 MIC(2)에 기록된다.
또한 기록 재생장치(701)에 입력하는 카세트(3)가 기존 카세트인 경우에는 그 카세트의 MIC(2)로부터 카세트 ID가 카세트정보 획득수단(712)에서 판독된다.
외부기기로부터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수단(705)에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수단(705)으로부터 입력한 입력 데이터는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709) 및 카세트(3)에 보내진다. 테이프 관리정보 생성수단(9)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비디오 신호 타입 등의 보조정보가 인출되고, 이름붙여진 파일명 등의 새롭게 부가된 보조정보와 함께 MIC(2) 상에 기억된다. 보조정보는 동시에 카세트(3) 및 PC(710)에 보내지고, 하드디스크(711) 및 메모리(718)의 기록영역에 기록된다. 하드디스크(711)가 갱신된 시점의 일시가 메모리(718)에 기억되는 것과 함께, 하드디스크(711)와 MIC(2)에 갱신 기록된다.
또한 보조정보는 카세트 인출시에 카세트(3) 내의 자기 테이프(721) 중의 보조 기록영역에 기록된다. 카세트가 인출된 시점의 일시가 테이프 중의 보조 기록영역과 MIC(2), 하드디스크(711)에 기록된다.
자기 테이프(21) 내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MIC(2)로부터 카세트 ID, 일시 정보 등의 식별정보가 판독된다. 판독된 식별정보를 하드디스크(711) 상의 대응하는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카세트 ID 등으로부터 하드디스크(711) 상에 관리정보가 기록된 카세트와 동일한 카세트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관리정보의 갱신일시를 비교한다. 갱신일시가 같은 경우에는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718) 상에 기억하고, 기억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카세트(3) 중의 파일을 관리한다. 보조정보에 따라 자기 테이프(721)로부터 데이터가 재생된다.
테이프 상의 관리정보를 판독한 후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에 비하여 하드디스크의 빠른 판독속도와 랜덤 액세스성을 이용하여 보다 빠른 파일검색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의 갱신일시 쪽이 새로운 것일 경우에는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와 테이프(721) 상의 관리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내고, 어느 쪽에 따라서 파일을 관리할 것인지, 또는 새롭게 관리정보를 생성할 것인지를 조회한다.
사용자가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를 선정한 경우에는 하드디스크(711) 상의 관리정보를 메모리(718) 상에 기억하고, 또한 사용자가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에 의해 테이프(721) 상의 관리정보를 덧쓰기한다고 선정한 경우에는 메모리(718) 상에 기억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프(721) 상에 덧쓰기한다. 또한 사용자가 테이프(21) 상의 관리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테이프(721) 상의 관리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718) 상에 기억하고, 또한 사용자가 테이프(721)의 보조정보에 의해 하드디스크(711) 상의 관리정보를 덧쓰기한다고 선정한 경우에는 메모리(718) 상에 기억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711) 상에 덧쓰기한다.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의 갱신일시 쪽이 MIC(2)보다 새로운 경우는 관리정보, 식별정보의 MIC(2) 기입시 또는 테이프(721)로의 기입시에 PC(710)와 기록 재생장치(701)의 통신이 어떠한 이유로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 MIC(2) 기입시에 기록 재생장치(701)가 어떠한 이유로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의 갱신일시 쪽이 오래된 경우에는 테이프(721) 상의 관리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718) 상에 기억하고, 또한 사용자가 테이프(721)의 보조정보에 의해 하드디스크 상의 관리정보를 덧쓰기한다고 선정한 경우에는 메모리(718) 상에 기억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711) 상에 덧쓰기한다.
하드디스크(711)의 보조정보의 갱신일시 쪽이 MIC(2)보다 오래된 경우는 다른 PC에 접속된 기록 장치 상에서 관리정보, 식별정보가 기입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메모리(718) 상에 기억한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프(721) 상의 파일을 관리한다. 보조정보에 따라 자기 테이프(721)로부터 데이터가 재생된다. 재생된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수단(706)에 보내지고, 인터페이스(5)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세트(3)(테이프(721)) 상, 하드디스크(711) 상, MIC (2) 상의 관리정보, 식별정보를 최신의 형태로 공유할 수 있다.
파일관리정보 획득수단(708 또는 715)에서는 테이프(721), MIC(2) 혹은 하드디스크(721) 내에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721) 상의 파일 정보, 요컨대 그 파일명, 테이프로의 기록일시, 파일 크기, 파일의 저작권 정보, 파일의 복사 관리정보 및 테이프(2l) 내의 파일 판독위치가 각 파일마다 인출된다.
혹은 파일관리 시스템의 포맷인 ISO/IEC13346(이하 13346)에 준거한, 복수파일로 구성되는 볼륨을 테이프에 기록할 때에는 13346에서 규정되어 있는 볼륨, 구획, 디렉토리 및 파일을 관리하는 기술자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파일관리정보 획득수단(712, 715)으로 인출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721)에는 데이터 입력수단(6) 및 카세트 정보 생성수단(l3), 파일관리정보 생성수단(9)으로부터 인출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종래는 테이프(721) 및 카세트(3)의 관리정보의 기록에만 사용하고 있던 MIC(2)에 테이프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식별정보, 테이프 내용과 그 관리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테이프(721) 내에 기록하는 파일 개개의 관리정보의 최신 정보가 어디에 기록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재생시에 가장 새로운 관리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관리정보가 같은 내용인 경우에는 가장 액세스가 빠른 미디어로부터 관리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테이프 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액세스가 종래에 비하여 고속이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72l)에 기록하는 파일의 관리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711)에 기록한다고 하였지만, 테이프(721)에 기록하는 파일관리정보의 일부를 기록해도 상관없다. 또한 기록하는 관리정보의 형식을 별도의 형식으로 변환해도 상관없다.
또한 MIC(2)에 테이프에 기록하는 파일관리정보의 일부를 기록해도 상관없다. 또한 기록하는 관리정보의 형식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해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의 인출 및 취사선택의 판단을 CPU와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상의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하드디스크(711) 상의 파일관리정보, 테이프(721) 상의 파일관리정보, MIC(2) 상의 파일관리정보의 3종류의 파일관리정보를 취급할 가능성이 생기지만, 3종류의 파일관리정보를 취급하기 위해 사용자가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취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3종류의 파일관리정보에 대하여 공통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 제 15 실시예 )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DOS에서의 DIR 커맨드나 윈도우즈 OS에서의 파일 매니저를 상정하면 공통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관리정보는 드라이브에 관한 이름 정보(생략가능), 최신 갱신일시 정보, 드라이브 전체의 용량정보와 빈 영역에 관한 정보, 드라이브 중의 각 디렉토리, 각 파일명 정보, 최신 갱신일시 정보, 용량정보이다.
하드디스크(711) 상의 파일관리정보, 테이프(721) 상의 파일관리정보, MIC (2) 상의 파일관리정보의 3종류의 파일관리정보는 상기 필수인 관리정보를 최소한 구비하고 있으나, 그 배치는 각각 다르다고 한다. 특히 MIC 상에서는 관리정보 기록에 필요로 하는 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능한 한 채워넣는 형태로 기록하고, 테이프, 하드디스크에서는 용량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이외에도 보조적인 관리정보를 갖는 등 기록 방법은 다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의 기록형태를 도시한다.
CPU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종류의 관리정보 중 어느 것을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각각의 관리정보의 기록 포맷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다.
테이프 상의 경우는 18-1, 하드디스크 상의 경우는 18-2, MIC 상의 경우는 18-3의 배치를 갖는다고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정보를 갖는 등 기록방법은 다르지만, CPU가 각각의 관리정보로부터 예를 들면 갱신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인 D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의해 3개의 매체로부터 공통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입수한 기록포맷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표시형태는 3종류 모두 동일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데이터의 전달형태를 도시한다.
IEEE1394 버스(800)에는 여러가지 데이터 처리장치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801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이고, 803은 기록 재생회로, 804는 복사정보 분리기, 805는 기록용 데이터 처리기, 806은 대표 복사정보 생성기, 807은 패킷화기, 808은 복사정보 다중화기, 809는 컨트롤러, 802는 인터페이스부이다. 인터페이스부(802)에서 8l1은 송수신기, 812는 복사정보 분리기, 813은 복사 관리정보 복원기, 814는 섹터 복원처리기, 815는 복사정보 다중화기이다.
820은 데이터 출력장치로서의 디지털 데이터 디스크를 나타내고 있고, 821은 재생부, 822는 복호부, 823은 인터페이스부이다. 인터페이스부(823)에서 824는 송수신기, 830은 복사정보 분리기, 829는 대표 복사정보 생성기, 826, 827은 패킷화기, 828은 송신용 데이터 처리기, 825는 복사정보 다중화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처리장치 등이 접속된 디지털 데이터 버스에 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의 데이터 흐름은 등시성(isochronous) 전송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디지털 데이터 디스크(820)에 있어서, 재생부(825)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섹터 단위로 재생하여 상기 섹터 형식으로 인터페이스부(823) 및 복호재생부(822)로 보낸다. 복호재생부(822)는 입력한 데이터를 분리 복호하여 디스플레이 등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823)에 보내진 데이터는 복사정보 분리기(830)에 의해 섹터의 특정한 위치에 기입된 복사정보를 분리한다. 송신용 데이터 처리기(831)는 복사정보가 분리된 데이터를 1394의 전송 패킷의 크기별로 구분하고, 패킷화기(827)는 IEEE1394의 소정 형식의 헤더를 부가하여 전송 패킷을 형성한다. 송신용 데이터 처리기(828)는 필요에 따라 전송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한 타임 스탬프 부가 등도 행한다.
분리된 복사정보는 일반적으로 어떤 범위 내, 예를 들면 1파일 내는「1회만 복사가능」등 같은 값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l파일분의 복사정보의 대표값으로서, 대표 복사정보 관리정보 생성기(829)에 의해 대표 복사정보를 생성한다. 파일 등 특정한 범위가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연속한 범위 내의 복사정보를 검색하여 복사 정보가 같은 범위를 산출하여 그 범위를 1파일로서 취급하고, 1파일의 대표 복사정보를 마찬가지로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생성된 대표 복사정보는 복사정보가 분리된 입력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패킷화기(826)에 의해 전송 패킷의 형식으로 변환된다. 이상의 대표 복사정보의 패킷과 복사정보로 분리된 입력 데이터의 패킷은 복사정보 다중화기(825)에 의해 다시 다중화되어 송수신기(824)에 의해 버스 상에 송출된다.
데이터 기록재생장치(802)에서는 송수신기(811)로부터 인터페이스부(802)에 입력된 데이터는 복사정보 분리기(812)에 의해 대표 복사정보의 패킷과 데이터의 패킷으로 분리된다. 섹터 복원 처리기(814)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원래의 섹터 형식을 복원한다. 복사 관리정보 복원기(813)는 분리된 대표 복사정보로부터 각 섹터의 복사정보를 복원하여 복사정보 다중화기(15)에 의해 각 섹터에 복사정보를 부가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송신측에서의 데이터가 완전히 복원된다. 여기에서 각 섹터마다 다중되어 있던 복사정보를 일단 제거하고 대표값을 생성하여 개수를 줄임으로써 전송 대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장치에 있어서, 각 섹터의 복사정보를 판정할 필요가 없고, 대표 복사정보를 보는 것 만으로 복사 가능여부를 판정할 수 있어 전송에 불필요한 시간이 생기지 않게 한다.
기록 재생장치(801)에 입력하는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 우선 복사정보 분리기(804)에 의해 섹터의 특정한 위치에 기입된 복사정보를 분리한다.
기록 데이터 처리기(805)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6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복사정보첨부 섹터를 복수개로 분리하고 패킷화기(807)에 의해 헤더를 부가하여 기록용 패킷 78바이트를 생성한다.
기록 데이터 처리기(805)는 필요에 따라 재생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한 타임스탬프 부가 등도 행한다. 또한 데이터 속도의 증감 등의 필요에 따라 더미 데이터를 삽입한다.
분리된 복사정보는 일반적으로 어떤 범위 내, 예를 들면 1파일 내는「1회만 복사가능」등 같은 값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1파일분의 복사정보의 대표값으로서 대표 복사정보 관리정보 생성기(6)에 의해 대표 복사정보를 생성한다.
파일 등 특정한 범위가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송시와 마찬가지로 연속한 범위 내의 복사 정보를 검색하고 복사정보가 같은 범위를 산출하여 그 범위를 1파일로서 취급하고, 1파일의 대표 복사정보를 마찬가지로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생성된 대표 복사정보는 복사정보 다중화기(808)가 기록매체 상의 특정한 위치, 예를 들면 AUX 영역이라고 불리우는 각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에 배치한다. 복사정보가 분리된 입력 데이터의 기록 패킷은 복사정보 다중화기(808)에 의해 트랙 상의 배치가 결정되고, AUX 영역 내의 대표 복사정보와 함께 기록회로(803)에 의해 기록된다. 컨트롤러(809)는 기록회로의 동작 등을 관리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대표 복사정보가 분리되어 기록된다. 여기에서 각 섹터마다 다중되어 있던 복사정보를 일단 제거하고, 대표값을 생성하여 개수를 줄임으로써 기록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 각 섹터의 복사정보를 판정할 필요가 없고, 대표 복사정보를 보는 것 만으로 복사 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재생시의 판단에 불필요한 시간이 생기지 않게 한다.
또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디지털 데이터 버스로서 IEEE1394 버스를 사용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 전송 등에 요구되는 타이밍 정밀도 등을 만족하는 것이면 다른 버스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변환방법은 일례이고, 섹터 구조, 기록 패킷, 전송 패킷의 구조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 본 발명의 각 수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고, 혹은 그들 각 기능을 갖는 전용의 하드회로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수단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디스크 등의 매체도 본 발명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소블록의 개시 위치인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위치가 고정이고,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면 거기서부터 다음 소블록의 개시위치까지의 영역이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 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이 되는 특성을 살려,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는 기록매체의 전송 및 기록 포맷과 동일하며, 데이터 파일부분은 무효 데이터 영역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가 건너뛰어 판독되므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를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라도 문제없이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의 기능과 상기 기능을 겸비하여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와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 기록된 테이프를 양쪽 모두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그 이외의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기기로 기록할 때, 기록매체가 재생하고 있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고,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의 재생/복호화기의 기능과 데이터 파일을 재생 복원하는 기능을 겸비한 재생기기로, 기록매체가 재생하고 있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테이프와 기존의 디지털 VTR 데크로 기록된 테이프를 양쪽 모두 문제없이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 파일 크기가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 즉 기존의 디지털 VTR의 복호 재생을 위해서는 무효한 데이터 영역 크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때, 혹은 실시간성을 유지하면서 변환, 기록하고자 하였지만, 기존 데크의 기록 속도와 입력된 데이터 속도가 다를 때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부가된 무효한 더미 데이터를 제거하여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기 위해 설치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영역을 설정하여, 각 데이터 파일, 기존의 디지털 VTR의 데이터에 파일의 개념을 부여한 것에 파일 관리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에 기록매체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나, 보고 싶은 내용의 위치로 빠르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VCR에 대하여 파일 단위로 취급하고, 액세스가 빠른 포맷을 공급할 수가 있다. 특히 테이프에 다른 PC를 이용하여 기입하지 않는 한, MIC와 관리정보 트랙, HDD 상의 관리정보는 항상 정합이 취해져 있기 때문에 테이프 탑재한 시점에서 관리정보 트랙을 판독하는 일 없이 HDD 상의 관리정보만을 이용하여 즉시 파일로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표 복사정보가 분리되어 기록된다. 여기에서, 각 섹터마다 다중되어 있던 복사정보를 일단 제거하고, 대표값을 생성하여 개수를 줄임으로써 기록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 각 섹터의 복사정보를 판정할 필요가 없고, 대표 복사정보를 보는 것 만으로 복사 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있어 재생시의 판단에 불필요한 시간이 생기지 않게 한다.

Claims (72)

  1.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이후 잘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 엔드 오브 블록(EOB) 부호를 배치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상기 각 소블록의 양자화 방법을 정한 클래스 정보와 상기 각 소블록의 앞화면으로부터의 모션에 관한 정보인 모션 정보가 상기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직후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 패킷 내의 각 소블록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부속정보 기록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기록 패킷 내의 각 소블록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 하여 상기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부속정보 기록영역에 상기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부속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부속정보는 부속정보 기록영역 내에서 복수회 반복하여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기록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부호를 소정 개수의 상기 기록 패킷의 집합인 트랙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트랙 중에 실제로 기록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인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를 상기 각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트랙 내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를 모두 무효로 하여 기록하는 것과 함께, 상기 트랙 내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효 트랙정보를 상기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1개의 파일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연속한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11.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2.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데이터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의 직후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록 패킷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입력된 데이터를 배치하고, 나머지 기록 패킷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상기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부속정보가 배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변환 데이터 종별 부호를 트랙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각 트랙 중에 실제로 할당되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인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를 상기 각 트랙 중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8.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각 트랙 내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이도록 배치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각 트랙 내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 중의 데이터가 전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효 트랙정보가 상기 각 트랙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부가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19.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1개의 파일로서 입력된 데이터는 연속한 트랙에 배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0.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의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을 범용 데이터 영역으로 하고, 상기 범용 데이터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1.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입력신호 중에서 데이터 종별 부호를 검출하고, 데이터 종별 부호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종별 부호가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범용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3.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입력신호 중 각 트랙의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각 트랙 중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 상기 트랙내 데이터량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량만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4.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입력신호 중의 각 트랙의 무효트랙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무효트랙 정보가 검출된 트랙 중의 범용 데이터 기록영역으로부터는 유효한 데이터로서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25.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블록의 부호어 중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기록 패킷 중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 트랙 중의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부호를 배치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파일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용 데이터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6. 소정 형식의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소정의 기록 패킷 단위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 중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할당하는 영역 내의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으로 하여,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정보 기록영역 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 직후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8.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정보는 연속한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9.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정보는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뒤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0.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최신의 파일관리 정보영역에는 기록매체 상의 모든 파일의 최신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1.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 정보영역을 기록할 때 이미 기록매체 상에 존재하는 파일관리 정보영역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2.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새롭게 데이터를 추가 기록할 때에는 이전의 파일관리 정보영역에 새롭게 추가하는 데이터를 덧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3.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정보로서, 각 파일의 갱신 일시 및 파일의 기록매체 상의 개시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 개시위치 정보와 파일 크기에 관한 정보 및 파일의 기록매체 상의 종료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 종료위치 정보 또는 파일기록에 사용한 트랙수에 관한 정보인 트랙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4.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각 파일의 개시위치가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파일의 개시위치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개시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5.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각 파일의 종료위치가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파일의 종료위치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종료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6.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각 파일이 존재하는 트랙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파일을 다른 파일과 구별하는 정보인 파일 ID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의 트랙에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의 트랙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관리 정보트랙 플래그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8.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 정보영역이 존재하는 트랙에 데이터의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인 인덱스 ID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9.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파일관리 정보영역의 소거에는 적어도 파일관리 정보트랙 플래그와 인덱스 ID를 무효로 하도록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0.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파일관리 정보영역이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인 파일관리정보 존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1.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수납한 틀체에 부착된 보조정보 기억매체 상에 파일관리정보 존재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2.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수납한 틀체에 부착된 보조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 상의 파일관리 정보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인 파일관리 정보영역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3.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이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내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부가하고,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을 파일관리 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4.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패킷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를 배치하는 영역 중 상기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파일관리정보영역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에 관한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파일관리 정보영역 내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5.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 직후에 엔드 오브 블록 부호를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6.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파일관리정보는 연속한 트랙에 배치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7. 소정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의 부호어가 상기 전송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부호보다 뒷부분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8. 소정의 전송 패킷 단위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 소블록의 직류성분 및 클래스 정보와 모션 정보가 기록 패킷 중의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음성 부호화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 상기 소블록의 부호어가 배치된 영역 중 엔드 오브 블록 부호보다 뒷부분 및 클래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과 모션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부터 파일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9. 분리 가능한 기록매체 이외의 다른 기억매체에 상기 자기 테이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인 파일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기억매체가 메모리로서, 자기 테이프 기록매체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51. 제 49항에 있어서,
    기억매체가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52. 제 49항, 제 50항 및 제 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하고 있는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53. 제 49항 내지 제 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관리정보는 상기 파일명,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한 기록일시, 상기 파일의 크기, 상기 테이프의 기록자명,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다른 매체에 기록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사 관리정보 및 상기 테이프 내의 파일 판독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54. 분리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가된 개별화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를 그 밖의 같은 형식의 기록매체와 구별하기 위한 정보인 개별화정보를 기억하고,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에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기록매체 재생시에 상기 개별화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여 취득된 상기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55. 분리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가된 개별화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를 그 밖의 같은 형식의 기록매체와 구별하기 위한 정보인 개별화정보 및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데이터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 중에 설치된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에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시에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 상기 개별화정보 기억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56. 분리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가된 개별화정보 기억매체 상에 상기 기록매체를 그 밖의 같은 형식의 기록매체와 구별하기 위한 정보인 개별화정보 및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데이터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매체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기록매체 중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기록매체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기록매체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 중에 설치된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에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 내용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및 내용정보의 갱신일시에 관한 정보인 내용정보 갱신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시에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 상기 개별화정보 기억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내용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오래된 것이고,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가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비해 같거나 새로운 경우에는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상기 내용정보 및 갱신일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갱신하며, 취득된 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57. 제 55항, 제 56항 및 제 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화정보 기억매체가 메모리로서, 자기테이프 기록매체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58. 제 55항, 제 56항 및 제 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용정보 기억수단이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59. 기록매체 상의 기록매체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의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공통의 방법으로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60. 제 59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정보로서, 각 내용의 명칭, 갱신일시, 크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61. 제 59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상의 기록매체 내용정보와 대응하는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의 내용정보 중 어느 것도 갖지 않은 경우에도, 기록매체 중의 데이터를 l 또는 복수개의 내용으로 하여 내용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기록매체 상의 기록매체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및 내용정보 기억수단 상의 내용정보로부터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와 공통의 방법으로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62. 입력된 데이터의 각 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데이터의 소정 범위 내에서 분리된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범위 내의 복사 관리정보를 대표하는 정보인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대표 복사 관리정보와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한 데이터를 각각 기록매체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63. 제 62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중에서 에러 정정을 실행하는 단위 또는 그 정수배의 영역에 기록되는 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복사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기록되는 섹터에 대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64. 제 62항에 있어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기록매체 중의 소정 기록 패킷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65. 제 62항에 있어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기록매체 중의 기록 패킷 중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중의 소정 위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66. 제 2항에 있어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기록매체의 에러 정정을 실행하는 단위 중의 소정의 기록 패킷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67. 입력된 데이터의 각 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데이터의 소정의 범위 내에서 분리된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범위 내의 복사 관리정보를 대표하는 정보인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대표 복사 관리정보와 상기 복사 관리정보를 분리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전송로 상에 송신하는 전송 패킷 단위 또는 그 정수배의 영역에 포함되는 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복사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섹터에 대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9. 제 67항에 있어서,
    전송로 상에서 에러 정정을 실행하는 단위 또는 그 정수배의 영역에 포함되는 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복사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섹터에 대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70. 제 67항에 있어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소정의 전송 패킷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71. 제 69항에 있어서,
    대표 복사 관리정보를 전송 패킷 중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중의 소정의 위치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72. 제 1항 내지 제 71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19980709944A 1996-06-04 1997-06-03 기록 재생장치 KR20000016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1403 1996-06-04
JP14140396A JP3514038B2 (ja) 1996-06-04 1996-06-04 データ伝送方法とデータ記録方法
JP???8-203371 1996-08-01
JP20337196A JPH1050031A (ja) 1996-08-01 1996-08-01 データ記録方法
JP8208299A JPH1049412A (ja) 1996-08-07 1996-08-07 データ記録方法
JP???8-208299 1996-08-07
JP???9-67653 1997-03-21
JP06765397A JP3293514B2 (ja) 1997-03-21 1997-03-21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70A true KR20000016370A (ko) 2000-03-25

Family

ID=2746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944A KR20000016370A (ko) 1996-06-04 1997-06-03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03940A4 (ko)
KR (1) KR20000016370A (ko)
CN (1) CN1227693A (ko)
TW (1) TW335482B (ko)
WO (1) WO1997047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1359A4 (en) * 1996-02-13 1999-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RECORDING DEVICE, DATA PLAYING DEVICE,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PLAYING METHOD
KR100632063B1 (ko) * 1999-07-29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테이프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EP1381050A4 (en) * 2001-04-20 2007-06-06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257152A (ja) 2002-02-28 2003-09-12 Sony Corp 記録媒体、テープドライブ装置
JP2008539451A (ja) * 2005-04-26 2008-11-13 ディー−ボ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既存の音声信号符号化フォーマットを用いてモーション信号に音声信号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
EP1878119A4 (en) * 2005-04-26 2010-07-07 D Bo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 MOTION SIGNAL WITH A SOUND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490A (ja) * 1984-10-12 1986-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49181U (ko) * 1989-05-17 1990-12-19
US5361173A (en) * 1990-01-21 1994-11-01 Sony Corporation Devices for controlling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recorded management data and interactive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JPH05153552A (ja) * 1991-11-29 1993-06-18 Canon Inc マルチメデイア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3360844B2 (ja) * 1992-02-04 2003-01-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伝送装置およびフレーム化方法
US5440345A (en) * 1992-07-17 1995-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High efficient encoding/decoding system
JP3156893B2 (ja) * 1993-08-19 2001-04-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出力装置
JPH07105664A (ja) * 1993-10-01 1995-04-21 Sony Corp メモリ付カセット
JPH07203365A (ja) * 1993-12-29 1995-08-04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記録装置
JP3586878B2 (ja) * 1994-02-02 2004-11-1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カセットを用いて画像信号及び音声信号の記録再生を行う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613803B2 (ja) * 1994-02-18 2005-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
JPH07321668A (ja) * 1994-05-25 1995-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高効率データ伝送・蓄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693A (zh) 1999-09-01
WO1997047133A1 (fr) 1997-12-11
EP0903940A1 (en) 1999-03-24
TW335482B (en) 1998-07-01
EP0903940A4 (en)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932B1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508814B1 (ko)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JP3847751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JP4485125B2 (ja) 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当該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又は方法で記録されたディスク
JP2002529884A (ja) 特徴的ポイント情報シーケンスを得るための情報ファイルに関する信号処理
JP3884785B2 (ja) 記録再生装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518749B1 (ko) 데이터 처리시스템,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및 파일관리방법
US7103069B2 (en) Block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bit steam
JP4431109B2 (ja) 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00016370A (ko) 기록 재생장치
KR100365844B1 (ko) 광 디스크
JP4807250B2 (ja) 記録方法
EP0821359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tion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production method
US6775466B1 (en) Disk control apparatus dividing a recording area into recorded and unrecorded areas
KR100355181B1 (ko)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제어 방법
JP3293514B2 (ja) 記録再生装置
US6271979B1 (en) Digit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record overflow determining means
KR100317628B1 (ko) 메모리카드를매체로하는오디오및비디오데이타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JPWO2004028157A1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媒体、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619131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方法、オーディオ復号化方法、オーディオ符号器及びオーディオ復号器
KR100379573B1 (ko) 디지털 방송 녹화 및 재생을 위한 파일 시스템
KR20080052350A (ko) 기록 방법
JPH1050031A (ja) データ記録方法
JPH11328930A (ja) カセット管理方法とデータ記録装置
WO2004114305A1 (fr) Procede d&#39;acces pour format d&#39;enregistrement de donnees audio ou disque optique de donnees son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