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453A -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453A
KR19990084453A KR1019980016211A KR19980016211A KR19990084453A KR 19990084453 A KR19990084453 A KR 19990084453A KR 1019980016211 A KR1019980016211 A KR 1019980016211A KR 19980016211 A KR19980016211 A KR 19980016211A KR 19990084453 A KR19990084453 A KR 1999008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onin
resin
ginseng
alcoh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394B1 (ko
Inventor
김시관
곽이성
위재준
Original Assignee
박명규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1998001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3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07J17/005Glycos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젠 에칠렌을 재료로 하여 인공합성한 다이아이온 에치피(Diaion HP)-20 (이하 에치피-20 으로 약함)수지 흡착법에 의해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원료 인삼은 물이나 주정으로 사포닌을 추출한 다음 물 추출물은 직접 수지에 흡착시키고, 주정 추출물의 경우는 농축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흡착시킨다. 수지흡착은 원료 인삼 건물량에 대한 에치피-20 (HP-20) 수지무게 비율을 1:2 (v/w) 정도로 하여 조사포닌을 수지에 흡착시킨 다음 수지용적 4 - 5 배의 25% 주정으로 비사포닌 성분을 1차 제거하였다. 사포닌 성분은 수지용적 4 - 5 배의 100% 주정으로 용출, 농축시키면 사포닌이 35.7% 이상 함유된 인삼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제조방법
식·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치피-20 수지 흡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사포닌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인삼사포닌이 갖는 약리 작용은 다양하여 항통증(1), 항암(2), 항당뇨(3), 간기능 항진효능(4), 항혈전(5), 항염증 작용(6)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와같이 인삼사포닌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식·약용 가능한 조사포닌의 분리방법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포닌의 제조는 부탄올 추출법(7)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부탄올 추출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식용의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부탄올 추출법으로 제조한 조사포닌은 식용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이렇게 제조한 조사포닌에는 사포닌 이외에도 유리당, 유기산 등 비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임상적으로 사포닌을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한 것도 그 이유중 하나이다. 또한 부탄올 추출법을 사용한 인삼추출물은 에테르 처리, 부탄올처리, 농축 등의 여러 단계가 필요하고 조사포닌의 농축에도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에 반해 에치피-20 수지흡착법은 인삼추출물을 직접 수지에 흡착시킨 후 발효주정으로 용출시키면 되므로 처리단계가 간단하고 농축도 용이하다. 아울러 대량의 인삼추출물도 처리할 수 있어서 산업화가 가능한 경제적인 방법이다.
기술적 과제는 조사포닌 화합물을 수지에 흡착시킨 후 어떻게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비사포닌 성분을 제거하고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을 획득하느냐 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에치피-20 (HP-20) 수지 흡착법에 의한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제조방법.
제 2 도는 에치피-20 수지 흡착법에 의해 제조한 조사포닌의 티엘시(TLC)패턴.
제 3 도는 에치피-20 수지 흡착법에 의해 제조한 조사포닌의 에치피엘씨 (HPLC) 프로파일 (profile).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사포닌의 추출 및 에치피-20 수지 흡착과정, 그리고 조사포닌의 용출과정의 2 단계로 나뉘어 진다.
I. 사포닌의 추출 및 에치피-20 수지흡착 과정 : 70% 주정 혹은 물을 시료무게당 5 - 10 배량 가하여 80℃ 에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한다. 주정추출물의 경우는 농축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적당량의 물로 희석하여 수지에 흡착시키며, 물추출물의 경우는 직접 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조사포닌을 흡착시킨다. 추출전 건조인삼 무게의 2배에 상당하는 수지 (물로 치환)를 충진한 칼럼에 물로 현탁시킨 인삼추출물을 서서히 통과시킨다. 흡착되지 않은 화합물은 수지용적 5 배량의 증류수나 수돗물로 세척한다.
II. 조사포닌의 용출과정 : 수지에는 사포닌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유기산등과 같은 비사포닌 성분도 상당량 흡착되어 있으므로 수지용적의 4 - 5 배량의 25% 주정으로 1 차 비사포닌 성분을 제거한다. 이후 수지용적 4 - 5 배량의 알콜농도 95% 이상인 주정으로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분획을 용출, 농축하여 분말화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은,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은 제 1 도의 에치피-20 수지흡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사포닌 성분은 제 2 도의 티엘씨 패턴(TLC Pattern)에서 보는 바와 같이 1OO% 주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모두 용출되었다. 그러나 25% 이하의 주정농도에서는 사포닌이 용출되지 않았고 3O% 이상에서는 소량씩 사포닌이 용출되어 사포닌의 용출 임계농도는 25% 전후이었다. 제 3 도는 25% 주정 및 100% 주정으로 용출한 사포닌 분획의 에치피엘씨 프로파일 (HPLC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보는 것과 같이 25% 주정 용출분획에서는 사포닌이 거의 용출되지 않았지만 100% 주정용출 분획에서는 다량의 사포닌이 용출되었다. 실시예 1 에서는 에치피엘씨에 의해서 분석한 100% 주정용출분획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 주정 용출분획에서는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 [알비원(Rb1), 알비투(Rb2), 알씨(Rc), 알디(Rd), 알이(Re), 알에프(Rf), 알지원(Rg1) 등] 모든 종류가 용출되었다.
실시예 1.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중 사포닌 함량
또한 실시예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료 인삼으로부터 에치피-20 수지 흡착법에 의해 제조한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 중 사포닌의 순도는 35.7% 이었고, 기존의 부탄올추출법으로 제조한 조사포닌의 사포닌 순도 20.4% 보다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에치피-20 수지흡착법에 의해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을 제조하면 15.3% 순도가 더 높은 사포닌 분획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인삼으로부터 에치피-20 수지 흡착법 및 부탄올 추출법에 의해 제조한 조사포닌 분획중 사포닌의 순도 비교
에치피-20 수지 흡착법에 의한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의 제조는 기존의 부탄올 추출법과는 달리 사포닌 성분을 식용 혹은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포닌 함량이 높은 인삼제품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식용가능한 발효주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므로 금후 사포닌을 이용한 임상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기존의 부탄올법과는 달리 추출한 시료액을 직접 수지에 통과시킨 후 주정으로 사포닌 성분을 용출하면 되므로 산업화 측면에서도 자동화가 가능한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본 방법으로 제조한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은 새로운 인삼제품 개발 및 사포닌 수준에서의 임상연구 등 인삼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ims (4)

  1. 사포닌 고함유 인삼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인공합성흡착수지에 원료삼 사포닌 추출물을 흡착시키어 묽은 주정으로 비사포닌 성분을 용출시킨 후 진한 주정으로 사포닌 고함유 추출물을 용출하여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공합성흡착수지는 벤젠 에칠렌, 에칠 벤젠에칠렌, 2-메칠 벤젠 에칠렌, 2-메칠 프로필레닉산 에스테르 중의 하나를 주 원료로 하여 인공합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수지 무게에 대한 건삼 무게의 비율은 4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비사포닌 성분을 용출시키는 묽은 주정의 농도는 20∼35%로 하고 사포닌 고함유 추출물을 용출시키는 진한 주정의 농도는 80∼l0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6211A 1998-05-07 1998-05-07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KR10044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211A KR100444394B1 (ko) 1998-05-07 1998-05-07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211A KR100444394B1 (ko) 1998-05-07 1998-05-07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453A true KR19990084453A (ko) 1999-12-06
KR100444394B1 KR100444394B1 (ko) 2004-12-29

Family

ID=3736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211A KR100444394B1 (ko) 1998-05-07 1998-05-07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097B1 (ko) * 1999-02-09 2001-11-26 박명규 벤젠에틸렌수지를 이용한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의 분리방법
WO2011059265A2 (en) * 2009-11-13 2011-05-19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KR101288303B1 (ko) * 2011-12-27 2013-07-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색소 및 향 성분이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고함유 인삼액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74B1 (ko) 2008-11-04 2011-07-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b1이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4806A (en) * 1976-06-03 1980-09-10 Inverni Della Beffa Spa Production of purified ginseng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extracts
JPS5533456A (en) * 1978-08-31 1980-03-08 Koshiro Chiyuuji Shoten:Kk Separation of ginseng saponin
JPS5980699A (ja) * 1983-09-14 1984-05-10 Tsunematsu Takemoto ギノサポニン類
JPS6136225A (ja) * 1984-07-30 1986-02-20 Airin:Kk サポニン類の単離法
JPS62273991A (ja) * 1986-05-23 1987-11-28 Maruzen Kasei Kk 薬用ニンジンサポニンの精製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097B1 (ko) * 1999-02-09 2001-11-26 박명규 벤젠에틸렌수지를 이용한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의 분리방법
WO2011059265A2 (en) * 2009-11-13 2011-05-19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WO2011059265A3 (en) * 2009-11-13 2011-11-10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KR101288303B1 (ko) * 2011-12-27 2013-07-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색소 및 향 성분이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고함유 인삼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394B1 (ko)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34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affeoylshikimic acids, protocatechuic acid, hydroxytyrosol, hydroxybenzoic acid and their derivative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Winterhalter et al. Free and bound C13 norisoprenoids in quince (Cydonia oblonga, Mill.) fruit
CN107281252B (zh) 一种欧洲越橘提取物的制备方法
KR101251589B1 (ko) 도라지 또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의 순도 및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조사포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70028386A (ko) 티모사포닌 bii의 제조방법
AU2002342778B2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US20060116509A1 (en) Manufacture of limonoid compounds
CN106349324B (zh) 从油橄榄叶中提取分离山楂酸的方法
CN1414011A (zh) 三七皂苷的提取方法
KR100444394B1 (ko)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JP2023542661A (ja) p-クマロイル化アントシアニンの分離精製方法
CN112321656A (zh) 一种分离制备酰化花色苷的方法
KR100620107B1 (ko) 진세노사이드 Rg2의 제조방법
CN112321664B (zh) 提取分离纯化桦褐孔菌醇的方法
KR100315097B1 (ko) 벤젠에틸렌수지를 이용한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의 분리방법
KR100678490B1 (ko)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 분리방법
JPS61166390A (ja) 健康アルコ−ル飲料
KR101922719B1 (ko)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046098B (zh) 一种乙酰基人参皂苷Rd及其制备方法
Báthori et al. 5‐Alpha‐and 5‐beta‐2‐deoxyintegristerone A, a 5‐alpha and 5‐beta isomer pair of ecdysteroids isolated from the Silene genus
KR20110012431A (ko) 도라지 또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의 순도 및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조사포닌 조성물의 제조방법
Naiker β-Damascenone-yielding precursor (s) from Cabernet Sauvignon grapes
US5675000A (en) Purification of cinnamoyl-C-glyoside chromone
CN112321655B (zh) 一种分离制备矮牵牛素-3-o-(6-o-对香豆酰)葡萄糖苷的方法
KR100444370B1 (ko) 나린지나제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에프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