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968A -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 - Google Patents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968A
KR19990080968A KR1019980014590A KR19980014590A KR19990080968A KR 19990080968 A KR19990080968 A KR 19990080968A KR 1019980014590 A KR1019980014590 A KR 1019980014590A KR 19980014590 A KR19980014590 A KR 19980014590A KR 19990080968 A KR19990080968 A KR 1999008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hormone
formula
compound
glycoalkalo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219B1 (ko
Inventor
권순창
정동주
박순재
옥종화
정민환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1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2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63/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has been modified by expansion of only one ring by one or two atoms
    • C07J63/008Expansion of ring D by one atom, e.g. D homo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코알칼로이드(glycoalkaloids) 계열 화합물의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 및 속단으로부터 글리코알칼로이드인 하기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asperosaponin H1) 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약재인 속단을 수성 용매로 추출한 수용성 속단 추출액에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층분리를 유도하고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폴리아민 Ⅱ(polyamine Ⅱ)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하여 고순도로 분획시킴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갖는 글리코알칼로이드인 하기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의 유도체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천연 약재에서 분리되어 안전성이 보장된 성장호르몬 결핍증 질환치료제, 노화 방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 인자
본 발명은 글리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의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 및 속단으로부터 글리코알칼로이드인 하기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약재인 속단을 수성 용매로 추출한 수용성 속단 추출액에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층분리를 유도하고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폴리아민 Ⅱ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하여 고순도로 분획시킴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갖는 글리코알칼로이드인 하기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유도체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천연 약재에서 분리되어 안전성이 보장된 성장호르몬 결핍증 질환치료제, 노화 방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성장호르몬은 동물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호르몬이다. 성장호르몬은 오래 전부터 동물체로부터 분리되어 주로 왜소증 (dwarfism, 난장이병)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는데, 과거에는 주로 성장호르몬이 사체의 뇌하수체로부터 추출되어 사용됨으로써 분리 과정에서 다른 질병의 원인균까지 환자에게 유입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그 사용이 매우 제한되었다. 그러나 최근 유전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미생물을 이용한 성장호르몬의 대량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해지고 다른 질환의 감염 위험성이 적어짐에 따라, 재조합 성장호르몬을 포함하는 단백질 제제가 왜소증 치료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재조합 성장호르몬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자가 치료가 가능할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는데, 주로 근육주사로 투여된다. 이와 같이 재조합 성장호르몬은 대량 생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치료 기간동안 요구되는 비용이 상당하고 주사를 이용하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경구 투여용 제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경구 투여용 성장호르몬 제제의 기본 요건은 체내에서 흡수율이 높아야 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성장호르몬 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활성도를 지니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경구 투여로 체내에서 높은 흡수율을 갖기 위해서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유리하며, 체내에서 생리 활성 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면 구조적으로도 특별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기본 요건을 갖춘 물질로서 최근에 연구되어 임상시험 단계까지 개발된 대표적인 것들로는 유기합성된 L-692,429 (Horm. Res.,40: 109-115, 1993) 및 L-163,191 (PNAS,92: 7001-7005, 1995), 그리고 펩타이드성 화합물인 GHRP-2 (Endocrinology,140: R9-R13, 1994), GHRP-1 (J. Neuroendocrinology,6: 185, 1994) 및 헥사렐린 (Hexarelin; His-D-2-methyl-Trp-Ala-Trp-D-Phe-Lys-NH2) 등이 있다. 상기 물질들은 공통적으로 1980년대 초에 알려진 펩타이드성 화합물인 GHRP-6 (His-D-Trp-Ala-Trp-D-Phe-Lys-NH2)의 기본 구조를 이용하여 새로이 연구 개발된 것이다.
최근 들어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는 접근 방식으로 화학물질 라이브러리 (chemical library)를 이용하여 후보 물질들을 대량 검색하는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길이가 짧은 펩타이드들로 구성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peptide library)도 이용되고 있으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물질들로 구성된 천연물질 라이브러리 (natural library)도 이러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면에서 기존의 접근 방식보다 상당히 효율적이므로 선진 제약기업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자사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신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왔다. 구체적으로 상기 L-163,191 및 헥사렐린도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개발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동물마다 다르지만 사람의 경우 원래 체내에는 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성장호르몬 분비자극 호르몬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이하 'GHRH'이라 약칭함)이 존재한다. 또한 시험관내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자극 단백질이 합성된 경우도 있는데, 그중 GHRP-6 는 생물학적 활성도에 있어서 상기 GHRH 보다 효과는 저조하지만 분자량 크기 면에서는 상당히 압축되어 있어 유용한 합성 펩타이드이다 (대한내분비학회지, 10(1): 1-9, 1995). GHRP-6 의 자세한 작용 기전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결론은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GHRP 의 수용체가 존재하고 이들이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 (Science,273 (5277): 974, 1996). 또한, 이 물질의 작용 과정에는 부분적으로 프로테인 키나아제 C 가 관여하거나 신호전달 과정에서 칼슘 이온이 유입되어 성장호르몬 분비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머크 (Merck)사가 개발한 L-692,429 (Science,260: 1640-1643, 1993)는 선택적으로 성장호르몬을 분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동물 실험 단계에서도 효과적인 체내 흡수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인체 실험 결과는 동물실험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L-163,191 가 개발되었고 이는 경구투여시 생리 활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개를 이용한 동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임상실험 중에 있다 (PNAS,92: 7001-7005, 1995).
이들 물질에 관한 연구 결과는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을 분비시키는 물질들이 성장호르몬 대체제로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자극인자를 개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자연계에 존재하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질을 대상으로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자극인자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험 재료로 사용했던 복합생약제제가 성장호르몬 분비자극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7402호로서 이미 1996년 3월 19일자로 출원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후속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감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그의 구조 및 용도를 밝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12797호로 1997년 4월 26일자로 출원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대상으로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던 중, 생약재인 속단을 수성 용매로 추출한 수용성 속단 추출액에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층분리를 유도함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를 포함하는 유기용매층을 얻은 다음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폴리아민 Ⅱ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고순도로 분획시킴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를 분리, 정제하여 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질로부터 분리된 글리코알칼로이드 계열의 화합물의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 및 글루코알칼로이드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속단으로부터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폴리아민(polyamine) 칼럼을 이용한 최종적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가 고순도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최종적으로 분리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가 기존에 알려진 GHRP-6(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6)와 유사한 세포막 상의 수용체에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 결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의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 때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인 속단을 수성 용매로 추출하여 감압농축한 수용성 속단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층분리를 유도하고 분획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고순도로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을 사용하고 분획과정은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폴리아민 Ⅱ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차례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질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의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인 속단으로부터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갖는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인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분리, 정제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는 쥐의 뇌하수체를 이용한 동물세포 배양 실험에서 여러 가지 생약재를 대상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성질을 검색하고 이중에서 속단 생약재가 유효한 활성을 보임에 따라 속단으로부터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을 가지는 인자를 분리하고 그 생리 활성을 규명한다.
먼저, 천연 생약재인 속단을 물 등의 수성 용매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수용성 속단 추출물을 얻는다. 구체적으로 속단을 물에 넣고 끓인 후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에 메탄올을 적절히 가하여 형성되는 침전을 제거하고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취한 다음 감압농축하는 과정으로 수용성 속단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수용성 속단 추출물에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줌으로써 수용성층에 있던 유효성분이 용매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유효성분이 함유된 유기용매층을 회수하여 모은 후 이를 감압농축하고 고압역상 칼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어서 폴리아민 칼럼을 이용한 최종적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를 고순도로 분리, 정제한다.
본 발명에서는 속단으로부터 분리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의 기능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성장호르몬 분비 유도물질에 작용하는 억제제를 이용하여 쥐 뇌하수체 배양 실험을 수행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속단 유래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인자는 GHRP-6 가 작용하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속단으로부터 분리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소분석(Elemental Analysis), 질량분석(Mass Spectroscopy),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ponce Spectroscopy) 실험을 수행한다. 그 결과 속단 유래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인자는 글리코알칼로이드 계열인 하기 화학식 2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의 유도체로 C47H76018의 분자식을 갖으며 상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질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로는 화학식 1의 아스퍼로사포닌 H1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치료용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생약재인 속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서, 화학물질의 사용시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독성과 생리조절 기능의 부조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노화억제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는 노화억제와 유기적인 관련이 있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노화방지제로서 화장품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는 성장호르몬 분비 관련 작용 메카니즘 연구, 즉 성장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신물질의 탐색및 효능기/억제기 연구 및 구조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1〉속단의 수용성 추출물의 제조 및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국내 약재상에서 구입한 건조된 속단 600 g을 2000 ml의 물에 넣고 80-90℃(생약추출온도)의 온도로 약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성 추출액을 얻는다. 약 30분간 방치한 후 추출된 용액을 따라 모으고 남은 약재에 물 2000 ml을 다시 부어 동일한 방법으로 재추출을 한다. 이렇게 모은 수성 추출액을 물 중탕하에 끊여 부피를 최종 700 ml로 줄였다. 농축이 되면서 석출되는 침전은 원심분리(10,000g×15분)를 통해 제거하였다. 상기 용액 700ml을 분별깔대기에 담고 이에 약 300ml의 노르말 부탄올을 가하였다. 충분히 혼합한 다음 이를 하루동안 방치하여 맑은 노르말 부탄올 층을 회수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용매층은 HLPC 의 시료로 사용하였고 주입전에 앞서 원심분리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2〉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인자의 분리(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용매층을 고압역상 칼럼(Protein-Pack, Protein-RP, 250×20 mm I.D.)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인자가 포함된 분획을 분리하였다. 한번에 n-부탄올 층을 1.5ml씩 주사하여 40분에 걸쳐 선형구배방식으로 7ml/분의 유속으로 전개하였으며, 그 결과 얻은 HLPC 분리의 경향은도 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기본완충용액은 0.01% TFA(trifluoroacetic acid)이며, 용출완충용액은 0.01% TFA in methanol을 사용하였다.
도 1 에 나타난 각각의 피크들을 따로 취하고 감압건조한 다음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12797호 및 특허출원 제 96-7402호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쥐의 뇌하수체 유래의 동물세포배양을 이용한 분비자극 실험을 수행하여 각각 피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 에 표시된 마지막 피크가 포함된 분획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성장호르몬 분비촉진인자의 분리(폴리아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활성이 확인된 분획을 감압건조하여 얻은 분획물에 아세토나트릴(acetonitrile) 대 물비가 3:1로 제조된 완충용액으로 상기에서 얻은 분획물을 용해하여 폴리아민 Ⅱ 칼럼(YMC-Pack, 250×10 mm I.D.)에 적용하였다. 유속은 1.5 내지 2ml/분으로 하였으며 칼럼 용출액은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용출 크로마토그램은도 2에 나타내었고 여기에 나타낸 피크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활성이 있는 최종적으로 분리가 완료된 화합물 피크이다.
〈실시예 4〉억제제를 이용한 속단 분리물질의 특성 연구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가 완료된 성장호르몬 분비 유도인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장호르몬 분비 작용 억제제인 GHRH 억제제(antagonist), GHRP-6 억제제를 바쳄(Bachem)사로부터 구입하여 쥐의 뇌하수체 배양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표 1 및도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세포 분석 반복수 평균 CPM / SD
대조군 4 3603.000 / 300.2677
SD(1X)+1μM GRF 억제제 4 2437.750 / 77.98023
SD(1X)+100μM GHRP-6 억제제 4 3618.250 / 222.7246
SD(1X) 4 1770.750 / 332.6934
SD(1X)+양 억제제 4 3598.500 / 77.40155
SD : 속단 추출물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 CPM 수치가 낮을수록 성장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것이므로, 따라서 속단 추출물만 처리하였을 때는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었으나 억제제와 병행하여 처리된 것은 서로간에 차이를 보였다. 즉, 생체내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분비 자극제인 GHRH 의 억제제와 같이 처리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일부라도 이루어졌으나, GHRP-6 억제제와 같이 병행 투여한 것은 전혀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속단유래의 물질이 GHRP-6가 작용하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질량/핵자기공명(Mass/NMR)을 이용한 구조분석
구조분석용 시료는 상기 실시예 3에서 수집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단일 피크로 얻어지는 성분을 회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감압냉동과정을 거쳐 구조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된 성장호르몬 분비유도인자의 구조분석을 위해서 원소분석(Elemental Analysis), 질량분석(Mass Spectroscopy),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ponce Spectroscopy) 실험을 수행하였다.
질량분석은 ESI 이온화법으로 마이크로매스 오스펙 질량분석기(Micromass Autspec Mass Spectroscopy, Micromass사 영국)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양성 및 음성이온 검출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928Da 으로 결정하였으며 기기의 분해능을 7000(M/dM) 으로 조절하여 고분해능 질량분석(High resolution Mass Spectroscopy)을 수행하여 얻은 질량값은 928.4928Da 이었다.
1H-1D, DQF-COSY, TOCSY, NOESY,13C-1D, HMQC 및 HMBC 등의 NMR 자료를 얻어 시료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NMR 자료는 역 5 mm 프로브(Inverse 5 mm probe)가 장착된 브루커 DMX 600 스펙트로포토미터(Bruker DMX 600 spectrophptpmeter)를 이용하여 얻었으며 이 때 시료는 DMSO-d6 용매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동위원소들에 의한 피크들로부터 S, Si,Cl 및 Br 등의 원소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원소분석을 한 결과, 이 물질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분자식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기기의 분해능을 7000(M/dM) 으로 조절하여 고분해능 질량분석(High resolution Mass Spectroscopy)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와 원소분석, NMR 분석 등의 결과를 종합하여 시료의 분자식을 C47H76018으로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는 쥐의 뇌하수체 배양액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성장호르몬 결핍증 질환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오래전부터 사용되던 생약재인 속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독성 및 부작용이 없이 안전성이 확보되어 더욱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속단 유래의 화합물은 기존에 성장호르몬 결핍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는 GHRP-6가 작용하는 수용체와 동일한 수용체에 작용하므로 상기 GHRP-6의 대체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는 성장호르몬 분비 관련 작용 메카니즘 연구나 효능기/억제기 연구 및 구조분석용 시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노화억제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글루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의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코알칼로이드 계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로서의 용도.
    화학식 1
  3. 천연 생약재인 속단을 수성 용매로 추출하여 감압농축한 수용성 속단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층분리를 유도하고 분획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얻는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로는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을 사용하고 분획과정은 고압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폴리아민 Ⅱ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차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고순도로 얻는 제조방법.
KR1019980014590A 1998-04-23 1998-04-23 새로운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 KR10043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590A KR100436219B1 (ko) 1998-04-23 1998-04-23 새로운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590A KR100436219B1 (ko) 1998-04-23 1998-04-23 새로운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968A true KR19990080968A (ko) 1999-11-15
KR100436219B1 KR100436219B1 (ko) 2005-09-02

Family

ID=3730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590A KR100436219B1 (ko) 1998-04-23 1998-04-23 새로운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58B1 (ko) * 2010-01-25 2011-03-21 (주)내츄럴엔도텍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38994B1 (ko) * 2011-06-29 2012-04-25 (주)내츄럴엔도텍 성장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43B1 (ko) * 2006-12-08 2008-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851855B1 (ko) * 2007-01-31 2008-08-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약학적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58B1 (ko) * 2010-01-25 2011-03-21 (주)내츄럴엔도텍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38994B1 (ko) * 2011-06-29 2012-04-25 (주)내츄럴엔도텍 성장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219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gory et al. The constitution and properties of two gastrins extracted from hog antral mucosa: Part I The isolation of two gastrins from hog antral mucosa
KR0173119B1 (ko) 선형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Ichikawa et al. Isolation and amino acid sequence of urotensin I, a vasoactive and ACTH-releasing neuropeptide, from the carp (Cyprinus carpio) urophysis
EP3157949B1 (en) Exendin-4 derivatives as selective glucagon receptor agonists
Ngamvongchon et al. Primary structures of two form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one distinct and one conserved, from catfish brain
EP0973540B1 (en)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the cytostatic linear and cyclo-depsipeptides dolastatin 16, dolastatin 17, and dolastatin 18
DK172760B1 (da) Lineære og cycliske analoge til alfa-MSH-fragmenter med ekstraordinær styrke, lægemiddel eller kosmetisk præparat indeholde
BRPI0818978B1 (pt) novos análogos não-seletivos da somatostatina
CZ20041254A3 (cs) Peptidy uvolňující růstový hormon
KR20050071498A (ko)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유사체
KR100436219B1 (ko) 새로운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
EP130961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nalgesic peptide
Cai et al. Synthesis of potent antagonists of receptors for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 with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nlon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otensin II and parvalbumin from an elasmobranch fish, Scyliorhinus canicula (common dogfish)
ATE9994T1 (de) Neues peptid, verfahren zu seiner gewinnung und dieses enthaltendes arzneimittel.
Zetler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substance P)
KR100358937B1 (ko) 성장호르몬 분비자극 활성을 가지는 수용성지모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
KR100229814B1 (ko) 감초로부터 글라브로사이드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유도를 위한 조성물
KR100378904B1 (ko) 천연생약재로부터성장호르몬분비자극인자를추출하는방법및수용성속단추출물
Balasubramaniam et al. Structure-activity studies of peptide YY (22–36): N-α-Ac-[Phe27] PYY (22–36), a potent antisecretory peptide in rat jejunum
Hocart et al. Effect of reductive alkylation of lysine in positions 6 and/or 8 on the histamine-releasing activity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KR100521845B1 (ko)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CN107056790A (zh) (±)UncarilinsA和B及其药物组合物和应用
Nikitovitch-Winer et al.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factor: Partial purification
EP2198878A1 (en) Polypeptide bombesin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