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247A - 스크롤형 유체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유체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5247A
KR19990055247A KR1019970075174A KR19970075174A KR19990055247A KR 19990055247 A KR19990055247 A KR 19990055247A KR 1019970075174 A KR1019970075174 A KR 1019970075174A KR 19970075174 A KR19970075174 A KR 19970075174A KR 19990055247 A KR19990055247 A KR 1999005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member
upper frame
chamber
low press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길
이만희
조용훈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filed Critical 원윤희
Priority to KR101997007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5247A/ko
Publication of KR1999005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247A/ko

Links

Landscapes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상부챔버(10)가 형성되고, 이 상부챔버(10)의 아랫쪽에 중간챔버(20)가 형성되며, 이 중간챔버(20)의 하부에는 하부챔버(30)가 구비되어 하나의 케이스를 이루고, 이러한 케이스의 내부에 상부에서부터 고/저압분리판(40)이 구비되어 있고, 이 고/저압분리판(40)의 아랫쪽 공간부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7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상부프레임(70)의 중앙 관통공에는 아랫방향으로 길게 회전축(80)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회전축(80)의 중간위치에는 회전자(90) 및 고정자(100)가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축(80)의 하부위치에는 하부프레임(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상부프레임(70)의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연결되어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20)가 갖추어져 있으며,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 양측으로는 선회스크롤부재(60)와 상부프레임(70)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오울드함 커플링(140)이 자리잡고 있고, 상기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에는 토출공(41)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 둘레부에는 고/저압분리판(40)의 하면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돌출부(72)가 복수개 형성되며, 이 돌출부(72)의 안쪽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53)에 삽입되면서 상부프레임(70)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안내핀(200)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안내핀(200)의 둘레에 코일스프링(210)이 상부프레임(5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의 저면까지 탄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 상부위치에 토출공(41)과 연통되는 보조챔버(300)가 구비되고, 이 보조챔버(300)의 일측에는 상부챔버(10)의 내부 공간부를 이루는 고압탱크부(11)와 연통되는 모세관(31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변위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초기 기동부하를 감소시키며, 안정적인 안내장치를 마련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유체기계
본 발명은 스크롤형 유체기계(Scroll Type Fluid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원가를 줄이며, 고장발생율을 낮추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초기 기동토오크를 감소시켜 제품의 효율을 상승시키며,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밀봉면의 최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타입의 제품은 압축기, 진공펌프, 팽창기, 엔진등 여러방면에 걸쳐 개발 및 적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스크롤에 대한 기본원리는 프랑스의 Leon Creux에 의해 최초로 제시되어 1905년 미국에서 특허를 획득하였다. 그 후 1974년 미국의 Arther D. Littile 사에서 헬륨 압축기용으로 개발하였다. 자동차 에어컨용 스크롤압축기는 1981년 일본의 산덴사에서 개발하여 처음으로 실용화에 성공하였고, 공조용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는 일본의 히다찌(日立)사가 1983년에 상용화하였다. 이렇게 스크롤 압축기의 실용화가 거의 80년 동안 실용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스크롤 랩의 가공을 위한 고정밀 CNC 가공기술의 발전이 미흡했었기 때문이었다. 스크롤 압축기를 실용화한 이유는 압축기의 효율 향상을 통하여 냉동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압축기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저진동에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스크롤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재압축 및 재팽창이 일어나지 않는다.
2) 각 접촉면들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밀봉되기 때문에 누설이 최소화된다.
3) 왕복동식에 비해 10%정도 효율이 높다.
4) 왕복동식에 비해 토오크 변화량이 약 1/10밖에 되지 않는다.
5) 유체 유동에 있어서 다수의 대향 포켓들내의 동시압축으로 인해 일방향이기 때문에 압력발생 진동이 적다.
6) 부품수가 적으므로 소정 용량에 비해 10% ∼ 20% 생산 원가가 낮으며, 저진동 및 경량이고 소형이다.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가스의 누설 및 재질의 마모는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새가 크거나 없음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틈새의 형태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1) 2개의 스크롤의 측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경방향 틈새와,
2) 한쪽 스크롤의 밀면과 다른 스크롤의 윗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축방향틈새이다.
현재 반경방향 틈새를 위해서는 크랭크축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컴플라이언스 커플링(Compliance Coupling)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축방향 틈새는 스크롤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압실을 두는 메커니즘이 개발되었다. 배압실 메커니즘은 압축실내의 압축가스가 스크롤을 축방향으로 밀어낼 때, 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압실 압력이 스크롤부재를 밀어주게되어 축방향 틈새를 제어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장치는 원형 단부판과 스파이럴 또는 인벌루트랩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부재는 상대되는 다른 스크롤부재에 대하여 180°회전이동된채, 2개의 스크롤부재들이 서로 함께 끼워져서 각 덮개들 사이에 복수의 선접촉부들이 된다. 상기 장치는 1개의 스크롤부재를 다른 스크롤부재에 대해 편심축과 자전방지기능을 가지는 오울드함 커플링에 의해 일정궤도를 따라 선회운동시키면서 작동한다. 각 부재들의 측면들 사이에 이동선 접촉부와 1개의 스크롤부재가 축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2개의 스크롤부재 사이에 밀봉면 접촉부를 형성한다. 이때 2개의 부재들내에 유체의 이동식 밀폐된 초승달모양의 포켓들이 형성된다. 이상적으로는 작동중인 2개의 부재들 사이에서는 어떤 상대 회전운동도 없다. 즉, 운동형태가 곡선 병진운동인 것이다. 유체 포켓들은 흡입유체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장치의 임의의 한 영역에서 토출압력을 포함하는 임의의 토출포트가 형성되어진 영역에 이르기까지 복수개의 초승달 모양의 포켓의 체적이 변화한다. 어느 한 순간에, 적어도 한쌍의 밀봉포켓들이 있을때와, 동시에 여러쌍의 밀봉포켓들이 있을 때, 각각의 포켓쌍은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질 것이다. 스크롤장치에서 토출포트영역의 압력은 흡입유체를 포함하는 영역의 압력보다 더 높다. 2가지 형태의 접촉부들은 다음과 같은 접촉부이다. 즉,
1) 2개의 스크롤부재들이 측면 또는 나선면들 사이에서 반경방향의 힘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동선접촉부 즉, 측면들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뻗은 접선 접촉부들이다.
2) 각 부재의 선단부들과 밀봉면 사이에서 축선방향 순응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밀봉면 접촉부로 표현된다.
상기 접촉부들은 스크롤부재들 사이에 이동식 밀폐된 초승달 모양의 유체포켓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2가지 형태의 접촉면들과 효과적인 밀봉은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종래의 예를 위해 밀봉식 냉매 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밀봉식 냉매압축기는 우수한 압축기임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축선방향 컴플라이언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효율적이지 못하다.
2) 복잡한 구조에서 야기되는 부품수의 증가 및 그에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변위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초기 기동부하를 감소시키며, 안정적인 안내장치를 마련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 둘레부에는 고/저압분리판의 하면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되며, 이 돌출부의 안쪽에는 고정스크롤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가 삽입되면서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안내핀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안내핀의 둘레에 코일스프링이 상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고정스크롤부재의 돌기부의 저면까지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요홈이 형성되고, 고정스크롤부재의 돌기부로부터 상부프레임의 요홈을 통과하여 그 아랫의 소정깊이까지 안내핀이 구비되며, 이 안내핀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은 상기 고정스크롤부재에 형성된 돌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부프레임의 요홈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스크롤부재의 돌기부에 넓이가 다른 삽입공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으로부터 상부프레임의 내부 소정깊이까지 안내핀이 삽입되고, 이 안내핀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은 상기 돌기부의 삽입공의 걸림턱으로부터 상부프레임의 상면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스크롤부재의 돌기부에는 상부가 원추형을 이루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에는 소정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이 코일스프링이 수용되어 있고, 그 위에 안내핀이 돌기부의 삽입공까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저압분리판의 중앙 상부위치에 토출공과 연통되는 보조챔버가 구비되고, 이 보조챔버의 일측에는 상부챔버의 내부 공간부를 이루는 고압탱크부와 연통되는 모세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상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D부분 확대도로서, 초기 상태의 고정스크롤부재와 선회스크롤부재의 유격된 조립상태에서의 상세단면도
도 4는 도 1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운전중의 고/저압분리판과 고정스크롤부재의 유격된 조립상태의 상세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초기 상태에 스프링에 의해 부상된 고정스크롤부재 돌기부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운전중의 중압에 의해 하강된 고정스크롤부재의 돌기부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운전중 유체의 토출소음을 최소화시키고자 한 이중챔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A : 밀봉쉘
a,b : 틈새
c : 압축실
10 : 상부챔버 11 : 고압탱크부
12 : 토출배관
20 : 중간챔버
30 : 하부챔버
40 : 고/저압분리판 41 : 토출공
42 : 체크밸브하우징 43 : 체크밸브플레이트
44 : 체크밸브 45 : 멈춤링
50 : 고정스크롤부재 51 : 유로
52 : 배압실 53 : 돌기부
54,55,56 : 삽입공 54a : 걸림턱
60 : 선회스크롤부재
70 : 상부프레임 71 : 상면
72 : 돌출부 73 : 요홈
74 : 삽입홈
80 : 회전축 81 : 상부
82 : 커플링
90 : 회전자
100 : 고정자
110 : 하부프레임
120 : 체결부재
130 : 하부베어링
140 : 오울드함 커플링
200 : 안내핀
210 : 코일스프링
300 : 보조챔버
310 : 모세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먼저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설명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는 상부에 상부챔버(10)가 형성되고, 이 상부챔버(10)의 아랫쪽에 중간챔버(20)가 형성되며, 이 중간챔버(20)의 하부에는 하부챔버(30)가 구비된다.
이렇게 상부챔버(10), 중간챔버(20) 및 하부챔버(30)를 결합(용접등)하여 하나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부품들이 마련되어 있다.
주요구성부품을 설명하면, 먼저 상부에는 고/저압분리판(40)이 구비되어 있고, 이 고/저압분리판(40)의 아랫쪽 공간부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7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상부프레임(70)의 중앙 관통공에는 아랫방향으로 길게 회전축(80)이 자리잡고 있다. 이 회전축(80)의 상부(81)는 편심되어 있으면서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에 끼워져 있다. 이 편심된 상부(81)의 외주면에는 커플링(82)이 끼워져 있다.
또한, 회전축(80)의 중간위치에는 회전자(90) 및 고정자(100)가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축(80)의 하부위치에는 하부프레임(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상부프레임(70)의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연결되어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20)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0)의 중앙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회전축(80)의 하단부에는 하부베어링(130)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 양측으로는 선회스크롤부재(60)와 상부프레임(70)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오울드함 커플링(140)이 자리잡고 있다. 이 오울드함 커플링(140)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선회스크롤부재(60)의 자전방지기능인 것이다. 회전운동을 순수 요동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오울드함 커플링(140)의 운동은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에는 토출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토출공(41)의 상부에는 체크밸브 하우징(42)이 돌출.형성되면서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체크밸브플레이트(43), 체크밸브(44), 멈춤링(45)이 순차적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공(41)은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간의 운동에 의해 1차로 고정스크롤부재(50)의 유로(51)를 통과하고, 이어서 배압실(52)를 통과하는 압축된 유체가 배출되는 곳이다. 토출공(41)을 빠져 나온 압축유체는 상부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인 고압탱크부(11)로 진입한 다음, 바로 상부챔버(10)의 일측에 마련된 토출배관(12)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 둘레부에는 고/저압분리판(40)의 하면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돌출부(72)가 복수개 형성되며, 이 돌출부(72)의 안쪽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53)에 삽입되면서 상부프레임(70)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안내핀(200)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안내핀(200)의 둘레에 코일스프링(210)이 상부프레임(5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의 저면까지 탄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70)의 소정위치에 요홈(73)이 형성되고,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요홈(73)을 통과하여 그 아래의 소정깊이까지 안내핀(200)이 구비되며, 이 안내핀(200)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210)은 상기 고정스크롤부재(50)에 형성된 돌기부(51)의 저면으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요홈(73)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에 넓이가 다른 삽입공(54)(55)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54)(55)으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내부 소정깊이까지 안내핀(200)이 삽입되고, 이 안내핀(200)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210)은 상기 돌기부(53)의 삽입공(54)의 걸림턱(54a)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에는 상부가 원추형을 이루는 삽입공(56)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70)에는 소정깊이의 삽입홈(74)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74)에 코일스프링(210)이 수용되어 있고, 그 위에 안내핀(200)이 돌기부(51)의 삽입공(56)까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 상부위치에 토출공(41)과 연통되는 보조챔버(300)가 구비되고, 이 보조챔버(300)의 일측에는 상부챔버(10)의 내부 공간부를 이루는 고압탱크부(11)와 연통되면서 토출배관(12)과 반대방향으로 모세관(310)이 형성.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초기 기동시부터 완전 운전상태가 되었을때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고/저압분리판(40)의 하부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가 한쌍을 이루면서 조립되어 있고,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7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고/저압분리판(40)과 상부프레임(70)은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를 감싸고 있으며,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내에서 조립되어진 한쌍의 스크롤부재(50)(60)는 축방향으로 작은 틈새(a)가 발생된다. 축방향으로의 틈새(a)는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간의 틈새인 것이다. 이 틈새(a)는 코일스프링(210)에 의해 발생된다.
복수개의 코일스프링(21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단부는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에 안착되어 있다. 또 다른 방향의 끝단인 윗부분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의 밀면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스프링(210)의 내측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핀(200)이 입설되어 있다. 이 안내핀(200)은 코일스프링(210)의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내핀(200)의 다른 기능은 고정스크롤부재(50)의 상.하 방향 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실(C)에서 압축된 유체는 유로(51)를 통과하여 배압실(52)로 유도되고, 배압실(52)내의 유체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힘이 작용된다. 좌/우방향의 누설은 씰부재(S)에 의해 차단되고, 상방향으로의 누설은 고/저압분리판(40)의 내면에 의해 차단된다. 잔류한 힘은 하방향으로의 팽창력으로 작용한다. 하방향으로의 팽창력에 의해 고정스크롤부재(5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정스크롤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53)의 아랫방향으로 안내핀(200)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스크롤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70)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고/저압분리판(40)의 하면과 상부프레임(70)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므로 움직이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중간챔버(20)와 상부프레임(70)을 연결시키고, 중간챔버(20)와 고/저압분리판(40)을 연결시키므로써 고/저압분리판(40)과 상부프레임(70)은 일정한 위치에서 연결된다. 즉, 중간챔버(20)를 매개체로 하여 고/저압분리판(40)과 상부프레임(70)이 연결되는 구조로서, 연결된 공간안에서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는 상대운동을 하게된다.
즉, 선회스크롤부재(60)는 고정스크롤부재(50)의 반경방향 밀봉면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게 되며, 고정스크롤부재(50)는 축선방향으로 미세한 직선운동을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안내핀(200)이 고정스크롤부재(50)와 상부프레임(70)사이에 걸쳐 구비되어 있으면서 코일스프링(210)에 의해 탄지되어 있으므로 고정스크롤부재(50)가 상부방향으로 밀착되어 선회스크롤부재(60)와의 틈새(a)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초기에 기동하기 위한 기동 토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운전이 개시되면, 압축실(C)에서 압축된 유체의 일부가 유로(51)를 통과하여 배압실(52)로 유입되어 배압이 작용하게 되고, 배압이 작용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부재(50)는 하부로 이동하여 선회스크롤부재(60)와 밀착되어 누설을 없애 안정된 상태의 밀봉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스크롤부재(50)와 고/저압분리판(40)과의 사이에 틈새(b)가 발생한다. 이때는 물론, 코일스프링(210)이 약간 압축된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안내핀(200) 및 코일스프링(210)의 배치상태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함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공(41)의 상부에는 보조챔버(300)가 갖추어져 있고, 이 보조챔버(300)의 일측에는 모세관(3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모세관(310)은 토출배관(12)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소음기의 역할을 한다.
즉, 토출공(41)을 통과한 압축유체는 1차로 보조챔버(300)에서 확산된다. 확산된 압축유체는 다시 모세관(310)을 통과하면서 수축 및 재확산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소음기의 역할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고/저압분리판과 상부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을 간단하게 하여 제품의 원가를 줄임은 물론 제품의 고장발생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시키며, 고정스크롤부재의 안내역할을 하는 안내핀의 주위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초기의 기동 토오크를 줄여 제품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고정스크롤부재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안내면을 형성하여 밀봉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상부에 상부챔버(10)가 형성되고, 이 상부챔버(10)의 아랫쪽에 중간챔버(20)가 형성되며, 이 중간챔버(20)의 하부에는 하부챔버(30)가 구비되어 하나의 케이스를 이루고, 이러한 케이스의 내부에 상부에서부터 고/저압분리판(40)이 구비되어 있고, 이 고/저압분리판(40)의 아랫쪽 공간부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와 선회스크롤부재(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7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상부프레임(70)의 중앙 관통공에는 아랫방향으로 길게 회전축(80)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회전축(80)의 중간위치에는 회전자(90) 및 고정자(100)가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축(80)의 하부위치에는 하부프레임(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상부프레임(70)의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연결되어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20)가 갖추어져 있으며, 선회스크롤부재(60)의 하부 양측으로는 선회스크롤부재(60)와 상부프레임(70)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오울드함 커플링(140)이 자리잡고 있고, 상기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에는 토출공(41)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 둘레부에는 고/저압분리판(40)의 하면까지 지지하도록 하는 돌출부(72)가 복수개 형성되며, 이 돌출부(72)의 안쪽에는 고정스크롤부재(5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53)가 삽입되면서 상부프레임(70)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안내핀(200)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안내핀(200)의 둘레에 코일스프링(210)이 상부프레임(5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의 저면까지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70)의 소정위치에 요홈(73)이 형성되고,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요홈(73)을 통과하여 그 아래의 소정깊이까지 안내핀(200)이 구비되며, 이 안내핀(200)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210)은 상기 고정스크롤부재(50)에 형성된 돌기부(53)의 저면으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요홈(73)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에 넓이가 다른 삽입공(54)(55)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54)(55)으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내부 소정깊이까지 안내핀(200)이 삽입되고, 이 안내핀(200)에 탄설되는 코일스프링(210)은 상기 돌기부(53)의 삽입공(54)의 걸림턱(54a)로부터 상부프레임(70)의 상면(71)까지 탄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부재(50)의 돌기부(53)에는 상부가 원추형을 이루는 삽입공(56)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70)에는 소정깊이의 삽입홈(74)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74)이 코일스프링(210)이 수용되어 있고, 그 위에 안내핀(200)이 돌기부(51)의 삽입공(56)까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분리판(40)의 중앙 상부위치에 토출공(41)과 연통되는 보조챔버(300)가 구비되고, 이 보조챔버(300)의 일측에는 상부챔버(10)의 내부 공간부를 이루는 고압탱크부(11)와 연통되는 모세관(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 제 1항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310)은 상부챔버(10)의 토출배관(12)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19970075174A 1997-12-27 1997-12-27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9990055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74A KR19990055247A (ko) 1997-12-27 1997-12-27 스크롤형 유체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74A KR19990055247A (ko) 1997-12-27 1997-12-27 스크롤형 유체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47A true KR19990055247A (ko) 1999-07-15

Family

ID=6617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174A KR19990055247A (ko) 1997-12-27 1997-12-27 스크롤형 유체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5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9474B1 (en) Scroll compressor
US6454551B2 (en) Seal structure in a scroll type compressor
US4303379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reduced housing radius
US7074013B2 (e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US4437820A (en) Scroll type fluid compressor unit with axial end surface sealing means
KR950001867B1 (ko) 스크롤압축기
US4548555A (e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nonuniform scroll height
WO1996020345A1 (en) Scroll compressor having bearing structure in the orbiting scroll to eliminate tipping forces
KR102549777B1 (ko) 스크롤 압축기
US5593295A (en) Scroll compressor construction having an axial compliance mechanism
KR100458799B1 (ko)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US11053941B2 (en) Motor-operated compressor
KR19990055247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S63106386A (ja) スクロ−ル流体装置
KR0173581B1 (ko) 스크롤형 유체 기계
JPH0378586A (ja)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KR19980025468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H0768948B2 (ja) スクロ−ル圧縮機
CN216812141U (zh) 涡旋压缩机浮动背压结构、涡旋压缩机、空调器
KR0173573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KR0173574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CN114294223A (zh) 涡旋压缩机浮动背压结构、涡旋压缩机、空调器
KR100200291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KR0173575B1 (ko) 코로테이팅 스크롤형 유체기계
JPH04234591A (ja) スクロ−ル形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