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33A - 출력축의 록장치 - Google Patents

출력축의 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33A
KR19990027333A KR1019970049771A KR19970049771A KR19990027333A KR 19990027333 A KR19990027333 A KR 19990027333A KR 1019970049771 A KR1019970049771 A KR 1019970049771A KR 19970049771 A KR19970049771 A KR 19970049771A KR 19990027333 A KR19990027333 A KR 19990027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output shaft
shaft
locking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무라다이지로오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다이지로오
유우겡가이샤 무라기주쓰 소오고오 겡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다이지로오, 유우겡가이샤 무라기주쓰 소오고오 겡규쇼 filed Critical 나까무라 다이지로오
Priority to KR101997004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33A/ko
Publication of KR1999002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33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축의 록(LOCK)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측을 정지제어했을 때 출력축을 자동적으로 록조작하고, 또한 자동록과 동시에 종동측을 수동으로 회전운동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록의 조작을 할 수 있어서 출력축의 록이 확실히 동작하고, 또 록의 해제도 구동측을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록 및 록해제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 록 및 록해제를 구성하는 수단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출력축 록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출력축을 구동축과 종동축의 접속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접속하는 접속부에 상호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여유각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축측에 해당 종동축으로 돌지않아 반직경방향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록부재를 그 외주부에 복수설치한 고정부재로 이동하여 록하는 록수단을 달며, 상기 구동축에 상기 여유각의 회전운동량내에서 상기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종동축에 그 정 또는 역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구동축 록해제수단의 록해제동작을 풀어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는 록조작수단을 설치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력축의 록장치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에 있어서, 모터를 정지시켰을 때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록할 수 있는 출력축의 록장치(A device for lock of an output shaft)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동공구의 출력축에 장착하는 척을 척핸들이 없이 수동으로 조작링을 회전운동하여 툴을 조이거나 벗기는 토크업기능을 지닌 척을 사용하는 경우 전동공구의 출력축은 모터의 전원이 OFF인 때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척을 손으로 조이려면 출력축도 회전운동하여 손으로 조일 수가 없다. 따라서, 한쪽 손으로 출력축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전동공구의 출력축은 모터의 전원이 OFF인 때 록이 걸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동측(예를 들면 모터측)을 정지시켰을 때 출력축을 자동적으로 록조작할뿐만아니라 자동록과 동시에 종동측(從動側)을 수동으로 회전운동을 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축의 록이 확실하게 동작하고, 또 록의 해제도 구동측을 회전운동하므로써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어 이들 록 및 록해제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 록 및 록해제를 구성하는 수단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출력축 록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출력축 록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록장치부분의 부분분해도.
도 3은 록판의 정면도.
도 4는 고정내부톱니링의 정면도.
도 5는 캐리어의 정면도.
도 6은 지지판의 정면도.
도 7은 록조작기구의 정면도.
도 8은 토크리미터 기구부분의 분해도.
도 9는 록장치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록장치의 록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록조작기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출력축 록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록기구 및 록해제 기구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상에서 록장치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록장치의 록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캐리어의 정면도.
도 17은 지지판의 정면도.
도 18은 도 13의 B-B선은 록조작기구의 정면도.
도 19는 록조작기구내의 선(sun)기어의 정면도.
도 20은 브레이크판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출력축 11: 모터축
15: 캐리어 20: 록장치
21: 록판 24: 지지판
25: 록조작기구 26, 27: 조인트부
29, 38: 캠구멍 30: 핀
34: 선기어 35: 유성기어
36: 인터널(internal)기어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출력축을 구동축과 종동축의 접속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접속하는 접속부에 상호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여유각을 형성하여, 상기 종동축측에 그 종동축으로 돌지 못하도록 반직경방향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록부재를 그 외주부에 복수 설치한 고정부재로 이동하여 록하는 록수단을 달아, 상기 구동축에 상기 여유각의 회전운동량내에서 상기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종동축에 정 또는 역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한 록해제수단의 록해제동작을 풀어주어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는 록조작수단을 설치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과 함께 상기 록부재에 잠금조를 형성하고, 고정부재에 상기 잠금조와 착탈하는 클릭을 형성하고, 잠금조와 클릭을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록수단을 형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과 함께 상기 록부재와 구동축측부재의 한쪽에 핀을, 다른 한쪽에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을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초기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접속부의 여유각이 없어지는 사이에 상기 핀에 맞닿아서 록부재를 록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면에 형성하고, 상기 핀과 캠면의 캠조작에 의해 상기 록해제수단을 형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과 함께 상기 록조작수단을, 상기 종동축과 구동축의 사이에 차동기구를 끼워 넣어서 양 축 여유각의 상대회전운동으로 차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풀어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과 함께 상기 록조작수단을 인터널기어, 유성기어, 선기어, 유성기어를 축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차동기구로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종동축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선기어를 상기 구동축에 연결하고 상기 종동축을 회전운동했을 때의 인터널기어와 선기어의 차동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풀어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의 구성과 함께 상기 록조작수단을 인터널기어, 유성기어, 선기어, 유성기어를 축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차동기구로 형성하여, 상기 캐리어를 상기 종동축에 연결하고, 상기 선기어를 출력축의 정지시에 고정되는 브레이크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인터널기어를 상기 록해제수단에 연결하고, 상기 종동축을 회전운동했을 때의 인터널기어의 이동과 유성기어의 공전의 차동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풀어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및 6 기재의 구성과 함께 상기 록부재를 종동축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설치하여 상기 록수단을 형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 기재의 구성과 함께 상기 고정부재를 링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고정부재를 소정의 부하로 눌러 토크리미터를 형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 기재의 구성과 함께 상기 고정부재를 링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고정부재를 소정의 부하로 눌러 브레이크를 형성한 출력축의 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축을 구성하는 구동축이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 그 회전운동초기에 해당 구동축과 종동축의 접속부의 여유각이 없어지는 동안에 구동축측의 록해제수단이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해제방향으로 이동하고, 이후의 계속구동으로 록부재는 록해제의 위치에서 회전운동하여 록이 걸리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종동축을 회전운동하여 출력축에 출력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구동축의 구동을 정지하면(예를 들면 모터의 OFF제어) 종동축측의 관성회전운동으로 해당 종동축에는 여유각만큼의 회전운동이 발생한다. 그 종동축의 회전운동으로 록수단의 록부재는 구동축측의 록해제수단의 해제동작으로부터 풀어지기 때문에 록위치로 이동하고 해당 록부재가 고정부재에 걸어 맞추어져서 록을 걸고 종동축의 회전운동을 록한다. 따라서 구동축의 정지에 의해 종동축은 자동적으로 록이 걸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축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 상기한 자동록의 작용여하에 불구하고 정지하고 있는 종동축을 수동으로 공간각분 회전운동조작하면 이 회전운동조작으로 록조작수단이 구동축측의 록해제수단의 록수단에 대한 해제동작을 풀기 때문에 록부재는 록위치에 대한 이동이 허용되어 이동하고 이후는 상기한 자동록의 경우와 똑같이 작용하여 종동축에는 록이 걸어진다.
상기한 록조작수단을 차동기구로 구성하고, 특히 유성기어차동기구로 구성했을 때는 차동동작의 한쪽(예를 들면 정방향의 회전운동출력)에서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측으로 이동하게 하고, 다른 쪽(예를 들면 역방향의 회전운동출력)에서 록해제수단의 록해제동작을 풀어주므로써 2가지의 작용을 동시에 실시하게 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유효한 록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축의 구동을 정지하면(예를 들면 모터를 OFF제어하면) 출력축의 회전운동에 록이 걸려 즉시 회전이 정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출력축에 척을 장착하고 각종 툴을 부착해서 수작업을 실시한 경우 상기한 록으로 출력축의 구동을 정지한 후 즉시 전동공구를 놓아도 척이나 툴의 관성력에 의한 출력축의 회전이 즉시 정지되어 전혀 위험성이 없이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출력축이 정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록이 걸려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크업기능을 지닌 척의 사용시에 척을 손으로 조일 때에 출력축이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손으로 조일 수 있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척의 손조임, 툴의 지지의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자동록의 동작과는 별도로 종동축측을 회전운동조작하면 종동축에 록이 걸려지기 때문에 상기한 자동록의 작용 여하에 관계없이 록이 얻어지고, 예를 들면 구동축측에 감속기구가 끼워져 토크 부하가 높고 저속회전운동하고 있는 경우에 구동축측을 정지해도 종동축에 관성회전운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 종동축을 정역 어느 쪽인가의 방향으로 수동으로 약간의 양을 회전운동하면 해당 종동축에 록이 걸려 확실한 록이 얻어진다.
록의 해제는 출력축을 구동하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록해제를 위한 조작이 전혀 불필요하며 안심하고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록수단의 잠금조와 고정부재의 조인트부의 착탈은 반직경 방향이기 때문에 상호의 클릭를 증가시켜 확실성을 중시해서 구성해도 축심방향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또 록조작수단을 유성기어차동기구로 구성했을 때 해당 각 기구부재는 반직경방향으로 편입되어 해당 방향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축심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실한 록을 할 수 있는 록수단과 확실한 록조작을 실시하는 록조작수단을 결합하여 구성했을 때 이들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유닛화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록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록수단, 록해제수단 및 록조작수단은 출력축이 회전하면 이들도 함께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이들에 관성이 발생하고, 이 관성이 록수단의 록조작 및 록해제수단 해제조작의 파워가 되며, 이 파워로 확실한 록 및 록해제조작이 얻어진다.
또한 록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록부재를 소정의 부하로 누르는 토크리미터나 브레이크로 구성할 수 있고 출력축이 회전운동하여 작업상황하에 있을 때 작업의 과부하에 대한 토크리미트로서 작용하는 외에 출력축이 록되어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출력축에 토크업기능을 지닌 손조임의 척을 장착하여 이것이 과부하로 조여졌을 때의 토크리미터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예는 핸드식의 전동공구의 출력축에 본 발명의 출력축의 록장치를 실시한 예를 나타내고 도 1에 있어서, 출력축(10)은 모터(도시 생략)의 모터축(1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모터축(11)과 출력축(10)의 사이에 감속기구를 포함하는 록장치를 끼워 넣고 있다.
상기한 모터축(11)은 유성톱니바퀴기구(12)의 선기어(13)에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상기한 유성톱니바퀴기구는 상기한 선기어(13) 외에 해당 선기어(13)와 맞물리는 유성기어(14), 해당 유성기어(14)를 축지지한 캐리어(15), 유성기어(14)와 맞물리는 인터널기어(16), 고정링(17)에 의해 구성하고 널리 알려진대로 감속기능을 갖고, 그 감속출력은 캐리어(15)로부터 출력된다.
도 2, 도 3,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10)을 록하기 위한 록장치(20)는 상기한 캐리어(15)와, 이와 축심방향으로 대향하고 반직경방향으로 분할된 2장의 록판(21, 21)과, 록판(21, 21)을 반직경방향 바깥쪽의 록위치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22, 22)과, 또 상기한 록판(21, 21)의 외주에 있어서 해당 록판(21, 21)의 회전운동을 록하기 위해 내부톱니를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링(17)에 연결고정된 고정내부톱니링(23)과, 상기한 록판(21, 21)을 상대하는 내측에서 지지하는 2장의 지지판(24, 2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이 록장치(20)에는 록해제동작의 해방조작을 실시하여 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록조작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캐리어(15)의 축심부와 출력축(10)의 내단부는 서로 끼워져 있어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으며, 이 조인트구조는 출력축(10)의 내단의 축심방향의 소정 범위에서 축심을 끼워서 대향하는 2군데의 둘레면을 평면에 형성하여 조인트부(26)를 형성하고, 이와 끼워 맞추는 캐리어(15)의 연조인트부(27)에는 중립의 위치에서 정역의 회전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θ)만큼 전동을 실시하지 않는 여유각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2장의 지지판(24, 24)의 중심부는 상기한 출력축(10)의 조인트부(26)에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끼워맞추는 조인트부(28)를 형성하고 출력축(10)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한 캐리어(15)를 구동측으로 하면 출력축(10)은 종동측이라 할 수 있고 상기한 지지판(24, 24)은 상기한 구동측의 캐리어(15)와 축심방향에서 대향하는 수동측의 출력축(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캐리어(15)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기한 록판(21, 21)의 록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축심을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반직경방향의 바깥쪽에 대하여 경사내벽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상의 캠구멍(29, 29)을 형성하고, 이 캠구멍(29, 29)에는 록판(21, 21)의 핀(30, 30)이 삽입되어 캐리어(15)가 구동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 캠구멍(29, 29)의 내벽면이 핀(30, 30)에 맞닿고, 이를 록판(21, 21)의 록위치측으로부터 내측의 록해제위치측으로 조작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핀(30, 30)은 록해제의 조작부라 할 수 있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록판(21, 21)의 각각의 외주부에는 3개의 잠금조(31…)를 형성하고 각각 잠금조(31…)위치의 내측위치에서 3개의 잠금조(31…)의 중간부분에는 상기한 핀(30, 30)을 설치고정하고 있으며, 이 핀(30, 30)이 상기한 지지판(24, 24)의 반직경방향으로 긴 구멍의 가이드구멍(32, 32)(도 6 참조)에 지지되는 것으로 반직경방향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핀(30, 30)의 한쪽단부가 상기한 캐리어(15)의 캠구멍(28, 28)까지 연장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잠금조(31)가 록판(21)의 반직경방향의 이동으로 착탈할 수 있으면 다른 톱니수이어도 좋다.
상기한 록판(21, 21)이 반직경방향의 외측에 설정한 록위치측에 스프링(22, 22)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했을 때에 외주부의 잠금조(31…)와 상기한 고정내부톱니링(23)의 내주면에 형성한 기어(33)(도 4 참조)와 맞물려서 록판(21, 21)의 회전운동을 록할 수 있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는 통상 내부톱니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록판(21, 21)의 잠금조(31…)는 상기한 기어(33)와 맞물림이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록시의 회전운동 부하는 3장의 잠금조(31…)에 균등하게 받을 수 있어서 필요한 강도를 얻는다.
또한 잠금조(31…)를 외부톱니바퀴로서 형성했을 때는 3장의 잠금조(31…) 중의 1장이 고정내부톱니링(23)의 1장의 기어(33)에 강하게 접하여 집중회전운동부하를 받기 때문에 기어(33) 및 잠금조(31…)의 강도가 보다 요구된다.
또 록판(21, 21)의 2장을 서로 대향하는 2군데에 형성함으로써 록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상기한 지지판(24, 24)을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2장의 지지판(24)은 대략 동일구조이기 때문에 그 한쪽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지지판(24)은 그 축심부에 출력축(10)의 연결끼워맞춤부(23)와 공간 없이 끼워맞추어져서 일체회전운동하는 연결끼워맞춤부(28)를 형성하고, 또한 록판(21, 21)의 핀(30, 3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해당 핀(30, 30)의 반직경방향내외에 대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긴 구멍의 가이드구멍(32, 32)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록판(21, 21)의 핀(30, 30)은 2장의 지지판(24, 24)의 가이드구멍(32, 32)에 좌우로부터 삽입되고, 록판(21, 21)은 반직경방향외측의 록위치와 내측(축심측)의 록해제위치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지지판(24)은 좌우 어느쪽인가의 1장으로 록판(21, 21)을 지지할 수도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2장의 지지판(24, 24)으로 지지하면 록장치(20) 및 록조작기구(25)를 포함하여 구성닛할 수 있어서 맞붙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한 록조작기구(25)를 나타내고, 해당 기구(25)는 축심을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2군데에 기어를 형성한 선기어(34)와, 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2개의 유성기어(35, 35)와, 이 외주부에 있어서 유성기어(35, 35)와 맞물리는 일부의 기어를 내부톱니로서 형성한 인터널기어(36)에 의한 유성기어차동기구로 구성하고 있다.
유성기어(35, 35)의 지지축(35a, 35a)의 양단은 상기한 지지판(24, 24)에 부착함으로써 해당 지지판(24, 24)을 캐리어로서 이용하고, 또 상기한 지지축(35a, 35a)을 지지판(24, 24)에 부착하는 것으로 록장치(20) 및 록조작기구(25)의 구성에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인터널기어(36)의 록판(21, 21)의 핀(30, 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반직경방향의 바깥쪽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상의 캠구멍(38, 38)을 형성하여 상기한 핀(30, 30)을 끼워 통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캠구멍(38, 38)은 유성기어(35, 35)가 중립인 위치에서 정 또는 역의 공전방향으로 공간각(θ)만큼 공전한 이동량으로, 선기어(34)와 인터널기어(36)가 균등한 기어수를 이동했을 때의 인터널기어(36)측의 이동량(회전운동량)으로, 핀(30, 30)을 통하여 록판(21, 21)을 록해제위치로부터 록위치까지의 이동을 작용시키는 크기로 설정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캠구멍(38, 38)의 형상은 도시와는 역방향의 삼각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선기어(34)는 2개의 핀(34a, 34a)에 의하여 상기한 모터축(11)측의 캐리어(15)와 연결하고, 그 때문에 이 선기어(34)와 캐리어(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24)(내측에 상당)의 핀(34a, 34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해당 핀(34a, 34a)이 여유각(θ)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세프트(theft)(24a, 24a)(도 6의 가상선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선기어(34)의 중심부, 즉 출력축(10)이 끼워 통해지는 부분은 캐리어(15)의 조인트부(27)와 대응시켜 출력축(10)이 여유각(θ)만큼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대응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유성톱니바퀴기구(12)에 있어서, 인터널기어(16)는 고정링(17)에 대하여 유동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해당 인터널기어(16)의 외단은 요철면(40)에 형성하며, 이것에 볼(41)을 누름접합하여 인터널기어(16)를 고정판(42)측으로 누르고, 그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토크리미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볼(41)은 복수개(예를 들면 6개)가 복수접합하고, 상기 인터널기어(16)의 외단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부재(43)를 복수접합하며, 해당 고정부재(43)의 상기한 인터널기어(16)와 대향하는 측이며, 상기한 볼(4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수납구멍(39)을 형성하여 상기한 볼(41)을 누르기 위한 스프링(44)을 수납하고, 이 스프링(44)의 외단은 받침부재(45)의 지지핀(46)이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43)의 외주부에는 각 나사에 의한 나사(47)를 형성하고, 이 나사(47)에는 너트부재(48)가 나사식으로 맞추어지고, 이 너트부재(48)의 진퇴를 볼(49), 링(50)을 통하여 상기한 받침부재(4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프링(44)의 탄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한 볼(41)과 인터널기어(16)의 요철면(40)에 의한 토크 리미터의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너트부재(48)는 조작커버(51)에 대하여 예를 들면 스플라인끼워맞춤과 같이 축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이 허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전달되도록 접속하고 조작커버(51)를 회전운동조작하는 것으로 너트부재(48)를 회전운동조작할 수 있다. 또 고정판(42), 고정링(17) 및 고정부재(43)는 적절한 연결기구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고정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출력축(10)의 록장치(20)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도 7, 도 9에 있어서, 모터축(11)은 정지해 있으며 록판(21, 21)의 핀(30, 30)과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위치는 도 5에 나타내는 캠구멍(29)의 중앙상부에 핀(30)이 배치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록판(21, 21)은 스프링(22, 22)으로 반직경방향의 외측에 힘이 가해지며, 그 때문에 록판(21, 21)의 잠금조(31…)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와 맞물려서 록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출력축(10)측에서 예를 들면 수동으로 정 또는 역방향의 회전운동을 부여하면 이 회전운동은 캐리어(15)에는 여유각(θ)이 있기 때문에 이를 회전운동하는 일은 없지만 지지판(24)과의 사이에는 여유각(θ)이 없기 때문에 이 지지판(24)에 출력축(10)의 회전운동력을 받아서 해당 지지판(24)의 가이드구멍(32, 32), 록판(21, 21)의 핀(30)을 통하여 록판(21, 21)에 회전운동력을 전동한다.
그러나 록판(21, 21)의 잠금조(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44)의 탄성으로 회전운동이 규제된 인터널기어(16)에 고정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출력축(10)은 록상태에 있으며 수동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잠금조(31)에 걸리는 회전운동부하는 원주방향이며 잠금조(31)의 맞물림방향은 반직경방향이기 때문에 회전운동부하로 잠금조(31)가 기어(33)로부터 벗어나거나 기어(33)에 침투하여 이탈 불가능해지는 일은 없다.
상기한 출력축(10)의 수동에 의한 회전운동이 스프링(44)에 의한 탄성력을 넘었을 때는 인터널기어(16)가 스프링(44)의 누름에 대향하여 회전운동하고 토크리미터가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록상태에 있으면 출력축(10)이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출력축(10)에 툴을 부착하는 것이 간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록상태에 있는 출력축(10)을 구동할 때는 이 록상태대로 모터를 구동하여 모터축(11)을 소정의 구동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상기한 록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모터축(11)의 회전운동은 유성톱니바퀴기구(12)에서 감속되어 캐리어(15)로부터 출력되는데 해당 캐리어(15)와 출력축(10)의 조인트부(27, 26)에는 여유각(θ)이 있기 때문에 이 여유각(θ)만큼 캐리어(15)가 회전운동하고나서 회전운동력을 출력축(1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캐리어(15)가 여유각(θ)만큼 회전운동하는 사이에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경사내벽면이 록판(21, 21)의 핀(30, 30)을 반직경방향내측의 록해제위치측으로 이행시킨다. 상기한 캠구멍(29, 29)의 작용에 의해 록판(21, 21)은 스프링(22, 22)에 대항하여 축심측의 록해제위치로 이행하고 잠금조(31)는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로부터 벗어나서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허용되어 록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계속되면 캠구멍(29, 29)에 의해 핀(30, 30)을 록해제위치에 규제하여 록판(21, 21)의 록해제가 유지되고 출력축(10)은 모터축(11)의 구동력으로 회전운동된다. 또한 출력축(10)의 구동상태하에서 해당 출력축(10)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이 부하가 스프링(44)에 의한 탄성력을 넘었을 때는 인터널기어(16)가 스프링(44)의 누름에 대항하여 회전운동해서 토크리미터가 기능한다.
다음으로 구동상태에 있는 모터를 정지하여 모터축(11)의 회전운동을 정지하면 모터축(11)의 토크가 저하하는 것으로 출력축(10)측의 관성이 커졌을 때(모터축(11)의 정지에 의해 반동) 캐리어(15)에 대하여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선행하게 되고, 이 선행으로 그 상호의 여유각(θ)이 역행하여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에 의한 록판(21, 21)의 핀(30, 30)의 규제가 풀려서 스프링(22, 22)이 가하는 힘으로 록판(21, 21)은 바깥쪽의 록위치로 이행한다. 그 결과 록판(21, 21)의 잠금조(31)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와 맞물려서 록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력축(10)은 모터축(11)이 정지하면 자동적으로 록이 걸려서 즉시 회전이 정지되고 타성에 의한 회전이 없어져서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출력축(10)의 타성에 의한 회전운동이 스프링(44)에 의한 탄성력을 넘었을 때는 인터널기어(16)가 스프링(44)의 누름에 대항하여 회전운동하고 토크리미터가 기능한다.
상기한 자동록의 작용은 출력축(10)에 관성에 의해 회전운동이 발생함으로써 확실한 작용을 얻는다. 그러나 모터축(11)의 유성톱니바퀴기구(12)의 부하가 높고, 또한 저속으로 구동했을 때는 상기한 관성에 의한 회전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생각된다.
상기한 록조작기구(25)는 상기한 자동록의 작용의 여하에 불구하고 수동으로 록을 걸 수 있다.
즉 출력축(10)에 록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록판(21, 21)의 핀(30, 30)이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경사내벽면에서 록해제의 위치에 규제된 상태로 정지해 있게 된다(도 5의 핀(30, 30)의 가상선 참조).
도 11은 록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그 때문에 록판(21, 21)의 핀(30, 30)은 록해제위치(반직경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출력축(10)을 화살표시(X)로 나타낸 관성방향(반시계방향)으로 여유각(θ)만큼을 수동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회전운동력은 지지판(24, 24)으로부터 지지축(35a, 35a)을 통하여 유성기어(35, 35)를 화살표시(X)방향(반시계방향)으로 공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유성기어(35, 35)의 공전에 의해 선기어(34)와 인터널기어(36)의 부하가 대략 균등하면 양자는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운동(선기어(34)는 시계방향에서 캐리어(15)의 캠구멍(29)이 핀(3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또 인터널기어(36)는 반시계방향이고 도 11의 캠구멍(38)이 핀(3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선기어(34)와 인터널기어(36)의 한쪽에 부하가 높으면 부하가 가벼운 쪽을 증량하여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선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핀(34a, 34a)을 통하여 캐리어(15)를 그 캠구멍(29, 29)의 규제위치로부터 록판(21, 21)의 핀(30, 30)과 떨어뜨려서 중앙위치에 회전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핀(30, 30)의 규제가 풀리고 록판(21, 21)은 록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서 록이 걸어진다.
또 인터널기어(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그 캠구멍(38, 38)에서 록판(21, 21)의 핀(30, 30)을 잡아당기고, 이를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규제위치로부터 떨어뜨려서 중앙위치에 회전운동시킬 수 있어서 핀(30, 30)의 규제가 풀리고, 록판(21, 21)은 록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서 록이 걸어진다(또한 캠구멍(38, 38)이 도시와는 반대의 삼각형상이면 캠구멍(38, 38)에서 핀(30, 30)을 록위치측으로 이행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축(10)측을 관성방향으로 여유각(θ)만큼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록을 걸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조작에 있어서, 조작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출력축(10)의 관성방향이 불명확한 때는 출력축(10)을 여유각(θ)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어 느 쪽인가의 회전운동측에서 록이 걸어지기 때문에 조작에 망설임은 없다.
또 출력축(10)의 회전운동량은 록조작기구(25)를 구성하는 유성기어차동기구로 증량되기 때문에 록조작을 위한 출력축(10)의 회전운동량은 아주 약간으로 완료된다. 또 록조작기구(25)의 유성기어차동기구는 래디얼방향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스러스트방향의 차동기구로 구성해도 등가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널기어(16)의 내단면의 요철면(40)을 평면에 형성하고, 또한 볼(41)을 브레이크패드로 변경하면 해당부에 브레이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한 토크리미터를 브레이크기구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내부톱니링(23)은 인터널기어(16)에 직접 내부톱니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2∼도 20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앞서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핸드식의 전동공구의 출력축에 본 발명의 출력축의 록장치를 실시한 예를 나타내고, 도 12,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10)을 록하기 위한 록장치(20)는 캐리어(15)와 반직경방향으로 분할된 2장의 록판(21, 21)과, 록판(21, 21)을 반직경방향바깥쪽의 록위치로 힘을 가하는 코일상의 스프링(22, 22)과, 고정링(17)에 연결고정된 고정내부톱니링(23)과, 상기한 록판(21, 21)을 상대하는 내측에서 지지하는 2장의 지지판(24, 24)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또 이 록장치(20)에는 록해제동작을 실시하여 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록조작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 실시예의 경우 록조작기구(25)의 설치위치가 록장치(20)의 외측(도 12에 있어서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캐리어(15)의 축심부와 출력축(10)의 내단부는 각각의 조인트부(26, 27)가 중립의 위치로부터 정역의 회전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θ)만큼 전동을 실시하지 않는 여유각을 형성하고 서로 끼워맞추어져 전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도 5의 제 1 실시예 참조).
또한 이 캐리어(15)와 후술하는 인터널기어(36)는 연결핀(15a)에 의해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캐리어(15)의 외측(도 12, 도 13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에는 반직경방향의 바깥쪽에 대하여 경사내벽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상의 캠구멍(29, 29)을 형성하고, 이 캠구멍(29, 29)에는 록판(21, 21)의 핀(30, 30)이 삽입되어 캐리어(15)가 구동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 캠구멍(29, 29)의 내벽면이 핀(30, 30)에 맞닿아서 이를 록판(21, 21)의 록위치측으로부터 내측의 록해제위치측으로 조작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캠구멍(29)과 핀(30)에 의하여 록해제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도 14, 도 1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록판(21, 21)의 각각의 외주부에는 3개의 잠금조(31…)를 형성하고 각각 잠금조(31…)위치의 내측위치에서 3개의 잠금조(31…)의 중간부분에는 상기한 핀(30, 30)을 설치고정하고 있고, 이 핀(30, 30)이 상기한 지지판(24, 24)의 가이드구멍(32, 32)(도 27 참조)에 지지되는 것으로 반직경방향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핀(30, 30)의 한쪽단부가 상기한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까지 연장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한 록판(21, 21)이 반직경방향의 외측에 설정한 록위치측에 스프링(22, 22)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했을 때 외주부의 잠금조(31…)와 상기한 고정내부톱니링(23)의 내주면에 형성한 기어(33)와 맞물려서 록판(21, 21)의 회전운동을 록할 수 있게 설치하고 있다.
도 17은 상기한 지지판(24, 24)을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2장의 지지판(24)은 대략 동일구조이기 때문에 도 12, 도 13의 좌측에 도시한 지지판(24)을 나타낸다. 다만 우측의 지지판(24)에는 유성기어(35)의 지지축(35a)은 없다. 도면 중 “24b”는 상기한 연결핀(15a)의 세프트, “24c”는 좌우의 지지판(24, 24)을 연결하는 연결핀이다.
상기한 지지판(24)은 그 축심부에 출력축(10)의 조인트부(23)와 공간 없이 끼워맞추어 일체회전운동하는 조인트부(28)를 형성하고, 또한 록판(21, 21)의 핀(30, 3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해당 핀(30, 30)의 반직경방향내외에 대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긴 구멍의 가이드구멍(32, 32)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록판(21, 21)의 핀(30, 30)은 2장의 지지판(24, 24)의 가이드구멍(32, 32)에 좌우로부터 삽입되고 록판(21, 21)은 반직경방향외측의 록위치와 내측(축심측)의 록해제위치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8은 상기한 록조작기구(25)를 나타내고, 해당 기구(25)는 상기한 록장치(20)의 외측(도 12, 도 13에 있어서 좌측)에 설치하고 있다. 해당 기구(25)는 원주 전역에 기어를 형성한 선기어(34)와, 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2개의 유성기어(35, 35)와, 이 외주부에 있어서 유성기어(35, 35)와 맞물리는 일부의 기어를 내부톱니로서 형성한 인터널기어(36)에 의한 유성기어차동기구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35, 35)의 지지축(35a)은 상기한 지지판(24)(도 12, 도 13에 있어서 좌측, 도 17 참조)에 부착함으로써 해당 지지판(24)을 캐리어로서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인터널기어(36)의 록판(21, 21)의 핀(30, 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반직경방향의 바깥쪽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상의 캠구멍(38, 38)을 형성하고 상기한 핀(30, 30)을 끼워 통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캠구멍(38, 38)은 상기한 캐리어(15)에 형성한 캠구멍(29, 29)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2, 도 13,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선기어(34)는 출력축(10)에 대하여 유동끼움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다. 이 선기어(34)는 기어부의 외측이 원판상을 이루고, 그 외주틀의 외측의 측면에는 걸어맞춤조(34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선기어외측의 출력축(10)에는 C형의 링(61)이 끼워 붙여져 있다.
상기한 C형 링(61)의 외측에는 원형상의 브레이크판(62)의 내측면이 복수접합하도록 출력축(10)에 끼워 붙여지고 해당 출력축(10)에 대해서는 유동끼움상태로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브레이크판(62)의 외주부분에는 상기한 선기어(34)의 원판상의 걸음고정조(34b)에 대응시켜서 걸어맞춤조(63)를 형성하고, 이들 상호의 걸어맞춤조(34b, 63)를 걸어맞추는 것으로 브레이크판(62)에 브레이크가 작용했을 때 선기어(34)에도 브레이크가 작용하여 이 회전을 정지 또는 고정한다.
상기한 브레이크판(62)의 외측면에는 출력축(10)을 지지하는 지지통(64)의 내단과 복수접합하고, 이 지지통(64)의 내단과 상기한 C형 링(61)에 의해 브레이크판(62)이 협지되는 것으로 해당 브레이크판(62)에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협지작용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지지통(64)의 선단측에 슬러스트베어링(65)을 통하여 접시상 스프링(66)이 출력축(10)의 플랜지부(67)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이 접시상 스프링(66)은 출력축(10)에 외부방향(도 22에 있어서 왼쪽)으로 가하는 힘을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출력축(10)상의 C형 링(61)은 출력축(10)과 똑같이 외부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C형 링(61)은 브레이크판(62)을 지지통(64)의 내단면에 밀어 얹어서 브레이크를 작용시킨다.
또한 출력축(10)이 툴을 장착하여 작업상태에 있을 때는 그 작업에 의하여 출력축(10)이 내부방향(도 12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휘는 힘을 받기 때문에 C형 링(61)의 누름이 해제되어 브레이크판(62)에 대한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선기어(34)의 회전운동이 허용되어 구동하에 있는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출력축(10)에 있어서, 록장치(20)의 동작은 앞서의 제 1 실시예와 똑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데, 그 록상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록판(21, 21)의 핀(30, 30)과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위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구멍(29)의 중앙상부에 핀(30)이 배치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록판(21, 21)은 스프링(22, 22)에서 반직경방향의 외측에 힘이 가해지고, 그 때문에 록판(21, 21)의 잠금조(31…)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와 맞물려서 록상태에 있다.
따라서 출력축(10)은 록상태에 있으며 수동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록상태에 있는 출력축(10)을 구동할 때는 이 록상태인 채 모터를 구동하여 모터축을 소정의 구동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상기한 록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이 록상태의 자동해제의 동작은 앞서의 제 1 실시예와 똑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록해제의 상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상기한 모터축의 회전은 캐리어(15)로부터 출력되는데, 해당 캐리어(15)와 출력축(10)의 조인트(27, 26)에는 여유각(θ)이 있기 때문에 캐리어(15)가 여유각(θ)만큼 회전운동하는 사이에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경사내벽면이 록판(21, 21)의 핀(30, 30)을 반직경방향내측의 록해제위치측으로 이행시킨다. 상기한 캠구멍(29, 29)의 작용에 의해 록판(21, 21)은 스프링(22, 22)에 대항하여 축심측의 록해제위치로 이행하고 잠금조(31)는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로부터 벗어나서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허용되고 록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출력축(10)의 회전운동이 계속되면 캠구멍(29, 29)에 의해 핀(30, 30)을 록해제위치에 규제하고 록판(21, 21)의 록해제가 유지되어 출력축(10)은 캐리어(15)의 구동력으로 회전운동된다.
또한 브레이크판(62)은 접시형 스프링(66)의 힘으로 압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용은 없다. 따라서 툴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5의 록해제상태로부터 도 14의 록상태로 하는 데에는 모터축의 구동을 정지하면 좋다. 이 자동록의 동작도 앞서의 제 1 실시예와 똑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록조작기구(25)는 상기한 자동록의 작용의 여하에 관계없이 수동으로 록을 걸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축(10)에 상기한 록장치(20)의 록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도 16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판(21, 21)의 핀(30, 30)이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경사내벽면에서 록해제의 위치에 규제된 상태로 정지해 있게 되며, 또 도 18에서 나타내는 록조작기구(25)도, 록판(21, 21)의 핀(30, 30)도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록해제의 규제위치에서 정지해 있게 된다.
도 18에 있어서, 이 상태에서 출력축(10)을 수동으로 화살표시 Y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이 회전운동은 지지판(24, 24)을 통하여 록조작기구(25)의 유성기어(35, 35)가 Y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선기어(34)는 접시형 스프링(66)이 가하는 힘으로 브레이크판(62)이 C형 링(61)과 지지통(64)의 내단에서 협지되어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선기어(34)는 고정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35, 35)가 Y방향으로 공전하면 선기어(34)의 기어상을 구르게 되어 인터널기어(36)가 유성기어(35, 35)의 공전보다 증속되어 Y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증속하여 회전차를 갖고 인터널기어(36)가 Y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성기어(35, 35)의 공전(지지판(24, 24)의 회전과 같음)보다 회전차분 빨리 회전(이동)하기 때문에 이 회전은 지지판(24, 2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는 록판(21, 21)의 핀(30, 30)보다 빨리 인터널기어(36)가 Y방향으로 회전하게(이동량이 많다) 된다.
그 결과 인터널기어(36)의 캠구멍(38, 38)의 규제위치로부터 핀(30, 30)이(상호의 상대이동으로) 벗어나서 해당 핀(30, 30)을 캠구멍(38, 38)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인터널기어(36)는 연결핀(15a, 15a)으로 캐리어(1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도 16 참조), 이 캐리어(15)도 인터널기어(36)와 같은 양으로 Y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해당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규제위치로부터 록판(21, 21)의 핀(30, 30)이 벗어나서 해당 핀(30, 30)을 캠(38, 38)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록판(21, 21)의 핀(30, 30)이 캐리어(15)의 캠구멍(29, 29)의 록해제의 규제위치로부터 중앙으로 이동하면 스프링부재(22, 22)의 탄성력에 의해 록판(21, 21)은 반직경방향 바깥쪽의 록위치로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잠금조(31)는 회전운동이 규제된 고정내부톱니링(23)의 기어(33)와 맞물려서 록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조작에 있어서, 조작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출력축(10)의 회전방향(Y)이 불명확한 때는 출력축(1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어느쪽인가의 회전운동측(토크가 가벼운 회전방향)으로 록이 걸어지기 때문에 조작에 망설임은 없다.
또한 상기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제 1 실시예의 도 8에서 나타낸 토크리미터를 부설하고 있지 않은 예를 개시했지만 이를 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한 실시예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출력축, 구동축 및 종동축은 실시예의 모터축(11)측의 캐리어(15)와 출력축(10)에 대응하고,
이하 똑같이,
접속부는 출력축(10)과 캐리어(15)의 조인트부(26, 27)에 대응하고,
록부재는 록판(21, 21)에 대응하고,
고정부재는 고정내부톱니링(23)에 대응하고,
록수단은 록장치(20)에 나타내는 록판(21, 21)과 고정내부톱니링(23)에 대응하고,
록해제수단은 캐리어(15)의 캠구멍(29)에 대응하고,
록조작수단은 록조작기구(25)에 대응하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기초로 하여 응용된다.

Claims (9)

  1. 출력축을 구동축과 종동축의 접속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접속하는 접속부에 상호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분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공간각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축측에 해당 종동축으로 회전금지되어 반직경방향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록부재를 그 외주부에 복수 설치한 고정부재로 이동하여 록하는 록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상기 공간각의 회전운동량내에서 상기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종동축에 정 또는 역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구동축에 대한 록해제수단의 록해제동작을 해방조작하여 상기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는 록조작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 잠금조를 형성하고 고정부재에 상기 잠금조와 착탈하는 클릭을 형성하고 잠금조와 클릭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록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와 구동축측부재의 한쪽에 핀을, 다른쪽에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을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초기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접속부의 공간각이 없어지는 사이에 상기 핀에 맞닿아서 록부재를 록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면에 형성하고, 상기 핀과 캠면의 캠조작에 의해 상기 록해제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조작수단을 상기 종동축과 구동축의 사이에 차동기구를 끼워 넣어서 양 축의 공간각의 상대회전운동으로 차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해방조작하여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조작수단을 인터널기어와 유성기어와 선기어와 유성기어를 축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차동기구로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종동축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선기어를 상기 구동축에 연결하고,
    상기 종동축을 회전운동했을 때의 인터널기어와 선기어의 차동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해방조작하여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조작수단을 인터널기어와 유성기어와 선기어와 유성기어를 축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차동기구로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종동축에 연결하고, 상기 선기어를 출력축의 정지시에 고정되는 브레이크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인터널기어를 상기 록해제수단에 연결하고,
    상기 종동축을 회전운동했을 때의 인터널기어의 이동과 유성기어의 공전의 차동으로 상기 록해제수단을 해방조작하여 록수단의 록부재를 록위치에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7. 제 1 항에서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를 종동축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설치하여 상기 록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8. 제 1 항에서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링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고정부재를 소정의 부하로 눌러 토크리미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9. 제 1 항에서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링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고정부재를 소정의 부하로 눌러 브레이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축의 록장치.
KR1019970049771A 1997-09-29 1997-09-29 출력축의 록장치 KR19990027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71A KR19990027333A (ko) 1997-09-29 1997-09-29 출력축의 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71A KR19990027333A (ko) 1997-09-29 1997-09-29 출력축의 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33A true KR19990027333A (ko) 1999-04-15

Family

ID=6604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771A KR19990027333A (ko) 1997-09-29 1997-09-29 출력축의 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8885A (zh) * 2009-06-25 2012-07-04 诺亚科技株式会社 升降机层及运行状态的检测器
CN115614621A (zh) * 2022-10-21 2023-01-17 西安应用光学研究所 U型二维转台两轴同步锁定与解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8885A (zh) * 2009-06-25 2012-07-04 诺亚科技株式会社 升降机层及运行状态的检测器
CN115614621A (zh) * 2022-10-21 2023-01-17 西安应用光学研究所 U型二维转台两轴同步锁定与解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0426A (en) Lock device of output shaft
JP3675527B2 (ja) 出力軸のロック装置
EP1884318B1 (en) Variable speed transmission for a power tool
US4215594A (en) Torque responsive speed shift mechanism for power tool
JP5634439B2 (ja) モータ用変速機及びその制御器
GB2434113A (en) Clamping device for disc-shaped tool with locking mechanism
US4930793A (en) Keyless chuck
JPH02173440A (ja) 遊星キャリヤ組立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3798893B2 (ja) 出力軸のロック装置
US4467680A (en) Tool turret with revolving head
CN1083071C (zh) 输出轴锁定装置
KR19990027333A (ko) 출력축의 록장치
JP3752513B2 (ja) 出力軸のロック装置
RU2002117432A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US4453852A (en) Hub disengaging apparatus for combines or the like
US5557987A (en) Shifting device for a turning gear transmission with automatic transmission-ratio change for a change in direction of a driving shaft
JPH1037989A (ja) 出力軸のロック装置
US20190353245A1 (en) Compliant shifting mechanism and multi-speed power tool having same
JP3436883B2 (ja) 回転方向切換機構
JPH03251374A (ja) 回転工具
JP3115937B2 (ja) ねじ締め工具
KR102678529B1 (ko) 액추에이터용 차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JPS5949873B2 (ja) 電動ドライバ−
JP2001277143A (ja) 出力軸のロック装置
JPH11254989A (ja) クラッ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