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487A -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487A
KR19990006487A KR1019980018754A KR19980018754A KR19990006487A KR 19990006487 A KR19990006487 A KR 19990006487A KR 1019980018754 A KR1019980018754 A KR 1019980018754A KR 19980018754 A KR19980018754 A KR 19980018754A KR 19990006487 A KR19990006487 A KR 1999000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ush button
opening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오 우카이
요시미쓰 쓰가와키
미키오 히라이
마쓰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오스케
마쓰시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오스케, 마쓰시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오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0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누름버튼핸들의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외부에서 접점의 개폐에 따른 아크가 보이지 않는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보디(1)내에 조립되어 스위치본체를 구성하는 커버(10)상면에 누름버튼핸들(30)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한다. 누름버튼핸들(30)을 누름 조작하므로서 커버(10)에 회동가능하게 요철부로 지지된 개폐소자(40)를 회동시킨다. 개폐소자(40)가 회동하면 코일스프링(41)을 통해 보디(1)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개폐체(42)가 회동한다. 그 결과, 개폐체(42)에 고착된 가동접점(47)이 단자판(44)에 고착된 고정접점(46)과 접촉한다. 누름버튼핸들(30)은 스위치본체 상면으로의 투영상이 스위치본체 상면과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외부에서 아크가 보이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본 발명은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름버튼스위치는, 선단부분에 가동접점이 고착된 접촉스프링과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를 보디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본체내에 수납장착하고,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삽입지지된 누름버튼핸들에 의해 상기 접촉스프링을 누름 구동하므로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시키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누름버튼핸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가진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장착프레임이나 플레이트프레임을 사용하여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매입(埋入)하여 배설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에서는 장착프레임이나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로부터는 누름버튼핸들 뿐만이 아니고, 누름버튼핸들이 지지되는 스위치본체의 커버의 일부가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누름버튼핸들의 노출면적이 작아져서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커버와 누름버튼핸들과의 틈으로부터 접점부의 개폐에 따른 아크가 보이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누름버튼핸들의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외부에서 접점의 개폐에 따른 아크가 보이지 않는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커버 및 누름버튼핸들을 벗겨낸 상태의 상면도.
도 4는 도 3의 개폐소자를 요철부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한 상태의 커버의 하면도.
도 5는 도 4의 보디와 커버를 조립하기 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누름버튼핸들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누름버튼핸들을 커버에 장착하기 전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측면단면도.
도 9는 도 8의 누름버튼핸들 조작시의 측면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누름버튼핸들 비조작시의 측면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누름버튼스위치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도 12를 나타내며, (a)는 조영면에 세로로 장착한 경우, (b)는 조영면에 가로로 장착한 경우의 외관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누름버튼스위치를 금속제의 장착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누름버튼스위치를 환형의 매입(埋入)박스에 매입하여 배설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16은 도 15의 누름버튼스위치를 플레이트프레임에 3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누름버튼스위치를 플레이트프레임에 2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누름버튼스위치를 플레이트프레임에 1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누름버튼스위치를 금속제의 장착프레임에 3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누름버튼스위치를 금속제의 장착프레임에 2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누름버튼스위치를 금속제의 장착프레임에 1개 장착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조립돌기,
10 : 커버, 11 : 조립각(脚),
11a : 조립공, 30 : 누름버튼핸들,
40 : 개폐소자, 41 : 코일스프링,
42 : 개폐체, 46 : 고정접점,
47 : 가동접점.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가지고 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촉·개리(開離)시키는 접점개폐기구를 수납장착한 스위치본체와, 이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는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본체 상면에의 투영상(投影像)이 스위치본체 상면과 거의 같은 크기가 되는 크기로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핸들의 크기가 커지므로서 조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스위치본체의 상면의 거의 전부가 누름버튼핸들로 가려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점의 개폐에 따른 아크가 보이는 일이 없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회동축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회동축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끼워 맞춰진 회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수단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위치본체에 누름버튼핸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핸들의 비조작시에 누름버튼핸들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걸어 맞춰지는 계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누름버튼핸들의 이탈이나 유리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및 베어링수단을 외측에서 은폐시키는 수단을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누름버튼핸들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핸들의 자유단측을 눌렀을 때에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개리시키는 개폐체와, 최소한 일부를 스위치본체의 상면보다 노출시켜 회동가능하게 스위치본체에 지지되는 개폐소자와, 이 개폐소자에 지지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개폐체에 걸어 맞춰져 개폐소자의 회동에 따라서 개폐체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과, 누름 조작시에 스위치본체 상면보다 노출되는 상기 개폐소자를 회동시키는 상기 누름버튼핸들로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핸들의 조작으로 개폐소자 및 코일스프링을 통해 개폐체를 회동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개리를 행하도록 하여, 강약이 있는 조작력과 조작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소자에 접촉하여 압압력을 가하는 압동(押動)리브를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압동리브의 접촉면에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핸들을 누름 조작했을 때에 개폐소자를 회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의 4귀통이의 모서리부를 상하방향으로 커트된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커트된 스위치본체의 모서리부가 환형(丸型)의 매입(埋入)박스에 간섭하는 일이 없어져서, 환형의 매입박스에 복수개 배열하여 매입 배설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를 보디와 커버로 구성하고, 이 커버의 주위 에지 4귀퉁이에서 조립공이 뚫린 조립각(脚)을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보디의 양측면에 이 조립공에 걸어 맞춰지는 조립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디와 커버의 조립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립각의 선단을 조립돌기의 가이드면에 접촉시키면서 커버를 압입하므로서 가이드면을 따라서 조립각의 지름을 확대시켜, 조립공을 조립돌기에 용이하게 걸어 맞출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組)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短幅)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3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은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3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3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스위치를 1개 또는 2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의 공통화에 의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2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은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2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할 수 있는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에 2개 장착한 경우라도 각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핸들에 의해 외장 플레이트의 개구창이 닫히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1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고 긴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1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1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할 수 있는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에 1개만 장착한 경우라도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핸들에 의해 외장 플레이트의 개구창이 닫히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2개 또는 3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스위치본체는, 유리어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디(1)와,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보디(1)에 조립되는 커버(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10)의 주위 에지 4귀퉁이에서는 사각형의 조립공(11a)이 뚫린 조립각(11)이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형성되어 있고, 보디(1)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2)에 조립각(11)의 조립공(11a)을 걸어 맞춤으로서 보디(1)와 커버(10)를 일체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조립돌기(2)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면(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10)를 보디(1)에 조립할 때에 조립각(11)이 가이드면(2a)을 따라서 지름이 확대되어, 조립각(11)의 조립공(11a)에 조립돌기(2)를 용이하게 걸어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누름버튼스위치에는 금속제 조립프레임을 이용하여 보디와 커버를 결합하여 조립하고 있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0)의 조립각(11)의 조립공(11a)을 보디(1)의 조립돌기(2)에 걸어 맞추어 조립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금속제 조립프레임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개수의 삭감과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디(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전선과 접속되는 단자블록을 수납하는 단자블록수납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중앙에 개폐체(42)를 수납하는 중앙수납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의 각 단자블록수납부(3)의 저면(底面)에는, 외부의 전선을 삽입하는 1쌍의 전선삽입공(5)이 각각 뚫려 있다. 그리고, 보디(1)가 내(耐) 트랙킹성이 우수한 유리어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랙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블록은, 단자판(43),(44)과 와셔가 붙어 있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단자나사(45),(45)로 구성된다. 단자판(43),(44)은 도전성(導電性)을 가진 금속제의 판재를 절곡하므로서 전체가 대략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단자판(43)의 일단측에는 중앙수납부(4)의 저면에 부설(敷設)되는 지지편(43a)을 연장 배설하고 있고, 이 지지편(43a)상에 개폐체(42)를 회동가능하게 재치(載置)하고 있다. 또, 다른 쪽의 단자판(44)의 일단측에는, 중앙수납부(4)에 연장 배설되어 선단을 보디(1)의 개구면측으로 절곡한 연설편(延設片)(44a)을 형성하고, 이 연설편(44a)에 고정접점(46)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단자판(43),(44)에는 단자나사(45)의 축부(軸部)를 삽통하는 삽통홈(43b),(4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판(43),(4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판 계지홈(6)에 각각의 끝에지를 보디(1)개구면측에서 삽입하므로서, 단자블록수납부(3)에 수납되고 또한 계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단자판(44)의 연설편(44a)보다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형성된 고정편(44c)을, 단자블록수납부(3)와 중앙수납부(4)의 사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스탠드부(7)상면의 구멍(7a)에 삽입하여 연설편(44a)을 스탠드부(7)에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보디(1)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단자나사(45)의 헤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8)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판(43),(44)의 삽통홈(43b),(44b)에 삽통된 단자나사(45),(45)의 헤드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보디(1)의 저면에 형성된 전선삽입공(5)으로부터 삽통된 전선이 단자나사(45)의 와셔(45a)와 단자판(43),(44)과의 사이에 안내되고, 단자나사(45)를 조임으로써 와셔(45a)가 이동하여, 단자판(43),(44)과 와셔(45a),(45a)로 전선이 협지되어 단자판(43),(44)에 전선이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체(42)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제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42a),(42a)를 중앙수납부(4)의 측벽에 형성된 V형 요부(凹部)(9)에 끼워 넣어, 하단 에지가 단자판(43)의 지지편(43a)에 닿은 상태로 V 형 요부(9)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체(42)의 상부에 고착된 가동접점(47)을 회동에 따라서 고정접점(46)에 접촉·개리하여, 1쌍의 단자판(43),(44)의 사이를 온·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개폐체(42)를 회동시키는 것이 코일스프링(41)과, 개폐소자(40)와, 누름버튼핸들(30)로 구성되는 접점개폐기구이다.
코일스프링(41)은 개폐체(42)의 횡편(橫片)의 상에지에 배설된 스프링시트(42b)에 하부를 걸어 맞추게 하고, 상부를 개폐소자(40)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배설시키고 있는 통부(40a)내에 삽입하여 개폐소자(40)의 가로방향의 작동에 따라 개폐체(42)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소자(40)는 커버(10)의 요부(12)의 저부에 개구된 구멍(13)에 아래쪽에서 요부(12)내에 삽입되고(도 4참조), 개폐소자(40)의 하부의 통부(40a) 양측에 배설한 역삼각형의 축(40b)을 커버(10) 내벽의 베어링(1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요부(12)의 구멍(13)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는 개폐소자(40)의 상부의 직방체부(40c)의 양측 상부에는, 누름버튼핸들(30)의 압동리브(32)에 선단이 접촉하는 돌기(40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7참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버튼핸들(30)은 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하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저면의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는 1쌍의 계지돌기(31),(31) 및 상기 압동리브(3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의 타단부의 양측면에는 중공(中空)의 사각형 통형상의 축스탠드부(33)가 돌출 형성되고, 각 축스탠드부(33)가 대향하는 측면에 거의 원주형(圓柱形)의 회동축(34)이 돌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1쌍의 회동축(34)이 커버(10)의 요부(12)를 에워싸는 주위벽(15)의 길이방향 일단측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베어링공(1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커버(10) 상면의 베어링공(16)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대략 반원통형의 지지점 리브(18)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점 리브(18)상에 누름버튼핸들(30)이 재치되는 동시에 지지점 리브(18)를 지지점으로 하여 누름버튼핸들(30)이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축(34)이 돌출 형성된 축스탠드부(33)를 중공 구조로 함으로써 축스탠드부(33)가 휘어지기 쉬어져서, 누름버튼핸들(30)의 커버(10)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 길이방향 단부 양측면의 축스탠드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측면의 다른 부분보다 기장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버튼핸들(30)을 커버(10)에 장착했을 때에 베어링공(16) 등을 은폐시켜 외관상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누름버튼핸들(30)의 압동리브(32)의 상단면에 개폐소자(40)의 한쪽편의 돌기(40d)가 접촉되어 있고, 또한 누름버튼핸들(30)의 1쌍의 계지돌기(31),(31)가 커버(10)의 주위벽(15)의 길이방향 타단측의 상에지에 돌출 형성된 계지돌출부(17)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 누름버튼핸들(30)의 상면(조작면)의 길이방향 일단부(반회동축(34)측)에는, 대략 원형의 요소(凹所)(35)가 형성되어 있어, 누름버튼핸들(30)의 조작부분을 나타낸 기준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누름버튼핸들(30)의 상기 요소(35)측을 압동 조작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버튼핸들(30)의 압동리브(32)에 의해 개폐소자(40)가 도면중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로써 개폐체(42)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47)을 고정접점(46)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핸들(30)로부터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41)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소자(40)를 도 10에 나타낸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고정접점(46)과 가동접점(47)이 개리된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41)에 의한 압압력을 받은 개폐체(42)를 회동시켜 가동접점(47)을 고정접점(46)에 접촉·개리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강약이 있는 조작력이나 클릭감이 얻어진다. 그리고, 압동리브(32)의 상단면이 개폐체(4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32a)으로 하고 있으므로, 누름버튼핸들(30)이 아래쪽으로 회동했을 때에 개폐소자(40)의 돌기(40d)가 상기 테이퍼면(32a)에 접촉하면서 눌려서 회동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 누름버튼핸들(30)의 1쌍의 계지돌기(31),(31)를 커버(10)의 주위벽(15)의 길이방향 타단측의 상에지에 돌출 형성된 계지돌출부(17)에 걸어 맞춤으로써, 누름버튼핸들(30)의 이탈방지나 유리를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누름버튼스위치에서는 누름버튼핸들 전체를 내리누르는 구조였으므로, 누름버튼핸들의 4귀퉁이를 눌렀을 때에 누름버튼핸들이 기울어져서 커버 내부에서 걸려, 조작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누름버튼핸들(30)의 일단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만 온·오프가 가능하며, 타단측(회동지점측)을 눌러도 온·오프할 수 없는 구조로 하면, 상기 종래예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버튼핸들(30)은 스위치본체(커버(10))상면에의 투영상이 스위치본체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예에 비교하여 누름버튼핸들(30)의 조작면의 면적이 커져서 조작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누름버튼핸들(30)과 커버(10)와의 사이에는 앞면측에서 보이는 틈이 생기지 않는 동시에, 커버(10)의 구멍(13)은 개폐소자(40)에 의해 거의 전부가 막히므로, 접점부의 아크가 밖에서 보이는 일이 없으며, 더욱이 누름버튼핸들(30)이 커버(10)로부터 벗겨진 경우에도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도 7참조).
그리고, 커버(10)상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외측면 양단부에 1쌍의 계지클릭(21)이 돌출 형성된 돌대부(突台部)(20)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클릭(21)에는, 돌대부(20)의 상부에서 하부에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누름버튼스위치 A 와 함께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프레임 B 및 외장 플레이트 C 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플레이트프레임 B 및 외장 플레이트 C 는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설치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는 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탄성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라도 됨)에 의해 각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누름버튼핸들(30)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긴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2)의 주위 에지 배면측에는, 개구부(5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띠모양의 고정량부(固定梁部)(54) 및 가동량부(可動梁部)(55)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량부(55)는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길이방향에 따른 1쌍의 측프레임편(53a),(53b)의 한쪽의 측프레임편(53b)으로부터 이간되고, 또한 연결부(56)에 의해 그 양단에 있어서 측프레임편(53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량부(55) 및 연결부(56)를 포함하여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는 가요성 재료이며,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에 대하여 가동량부(55) 및 연결부(56)가 각각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측프레임편(53b)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폭이 좁은 1쌍의 리브(57)에 의해 가동량부(55)가 지지되어 있으며, 가동량부(55)와 측프레임편(53b)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이 상기 리브(57)에 의해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58a)∼(58c)라고 함)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중, 양측의 슬릿(58a),(58c)은 외측단부가 연결부(56)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프레임편(53b)의 각 리브(57)근방의 부위에는, 가동량부(55)를 휘기 쉽게 하기 위해 긴 구멍형상의 홈(59)이 1쌍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량부(54) 및 가동량부(55)의 개구부(52)측의 면에는,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계지클릭(21)이 걸어 맞춰지는 계지홈(54a),(55a)을 각각 3쌍씩 같은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계지클릭(21)을 각 계지홈(54a),(55a)에 걸어 맞춤으로써, 누름버튼핸들(30)을 개구부(52)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량부(54) 및 가동량부(55)의 선단부분에는,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계지클릭(21)을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배면측에서 계지홈(54a),(55a)에 걸어 맞출 때에, 각 계지클릭(21)을 계지홈(54a),(55a)에 가이드하기 위해, 각각 외측으로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진 가이드부(54b),(5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고정량부(54)의 계지홈(54a)에 누름버튼스위치 A 의 한쪽 측면의 계지클릭(21)을 걸어 맞춘 후, 다른 쪽 측면의 계지클릭(21)을 가이드부(55b)에 접촉시키면서 누름버튼스위치 A 를 플레이트프레임 B 의 배면측으로부터 앞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계지클릭(21)이 가이드부(55b)의 테이퍼면에 가이드되면서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가동량부(55)를 휘게 하여 원활하게 계지클릭(21)을 계지홈(55a)에 걸어 맞춰 플레이트프레임 B 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누름버튼핸들(30)은, 스위치본체 상면으로의 투영상이 스위치본체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버튼핸들(30)을 커버(10)에 장착하여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완성품의 상태로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에 배면측으로부터 누름버튼핸들(30)을 삽통시켜,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스위치 A 를 플레이트프레임 B 에 장착할 수 있다.
고정량부(54)에는 계지홈(54a)의 사이에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앞면측에서 삽통하는 기구분리공(54c)이 뚫려 있어, 드라이브나 분리 전용의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이 기구분리공(54c)에 삽입하여,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기체(器體)(1)를 가동량부(55)측으로 밀어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55)를 휘게 할 수 있고, 고정량부(54)측의 계지홈(54a)과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계지클릭(21)과의 계지를 풀어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로부터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플레이트프레임 B 는 3개용으로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단폭방향을 개구부(52)의 길이방향에 일치시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누름버튼스위치 A 의 크기를 1개 모듈크기라고 한다. 또,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한 각 1쌍의 계지클릭(21)의 피치도,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고정량부(54) 및 가동량부(55)에 형성한 각 계지홈(54a),(55a)의 피치에 일치시키고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양측편(60)에는 각각 요소(凹所)(6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소(61)에는, 플레이트프레임 B 를 매입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62)과, 플레이트프레임 B 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63)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협지금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맞추는 협지금구계지공(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4귀퉁이에는, 외장 플레이트 C 의 플레이트 본체(80)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한 계지돌기(83)를 걸어 맞추는 외장 플레이트계지공(6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외장 플레이트계지공(65)에 계지돌기(83)를 삽입계지하므로서 플레이트프레임 B 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 C 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외장 플레이트 C 의 플레이트본체(80)는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와 동일하게 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 B 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81)와, 주부(81)의 전체 주위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82)을 일체로 형성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83)는 주부(8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주부(81)의 대략 중앙에는,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와 대향하고, 플레이트프레임 B 에 장착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누름버튼핸들(30)을 노출하는 개구창(8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본체(80)가 대향하는 측벽(82)사이의 폭크기가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각 폭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프레임 B 의 앞면측에 외장 플레이트 C 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가 외장 플레이트 C 의 플레이트 본체(80)의 내측에 수납되고, 플레이트 본체(80)의 측벽(8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프레임 B 와 외장 플레이트 C 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양자의 맞닿는 면의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8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한쪽의 측벽(82)에는 1쌍의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8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 본체(8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 본체(80)의 계지돌기(83)와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외장 플레이트계지공(65)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외장 플레이트 C 를 플레이트프레임 B 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측프레임편(53b)의 절결부(8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테이퍼면(53c)보다 안쪽으로 오목한 도피부(66)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8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킴으로서 안까지 삽입할 수 있고, 외장 플레이트 C 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피부(66)의 배면측 단부로부터는 돌출부(53d)보다 얇은 리브(67)가, 외장 플레이트 C 의 절결부(8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절결부(86)에 삽입한 지그에 조영면이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하므로서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리브(67)를 배설하므로서 절결부(86)애 삽입된 지그가 리브(67)애 접촉하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 C 를 플레이트프레임 B 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 본체(80)의 배면측에는, 플레이트프레임 B 에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에 형성한 3개의 슬릿(58a)∼(58c)에 각각 끼워 넣어지는 돌조편(突條片)(88a)∼(88c)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조편(88a)∼(88c)의 크기는,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각 슬릿(58a)∼(58c)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슬릿(58a)∼(5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88a)∼(88c)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 밖에 생기지 않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즉,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한 플레이트프레임 B 에 외장 플레이트 C 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3개의 돌조편(88a)∼(88c)이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각 슬릿(58a)∼(58c)에 끼워지고, 슬릿(58a)∼(5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88a)∼(88c)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 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의 가동량부(55)의 작동(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누름버튼스위치 A 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량부(55)의 작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계지클릭(21)과 가동량부(55) 및 고정량부(54)의 계지홈(54a),(55a)과의 걸어 맞춤이 풀리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그런데,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에 대해 1개 모듈크기의 누름버튼스위치 A 가 3개 배열되어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고정량부(54) 및 가동량부(55)의 계지홈(54a),(55a)의 근방에 칸막이리브(70)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이들 칸막이리브(70)는, 고정량부(54) 및 가동량부(55)의 내측면에 각 1쌍씩 모두 3조가 배설된 계지홈(54a),(55a)의 각 조의 외측의 위치에 각각 1쌍씩이 플레이트프레임 본체(51)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장착위치 이외에서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하려고 해도, 계지홈(54a),(55a)의 각 조의 사이에 돌출된 칸막이리브(70)가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스위치본체에 간섭하므로 장착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상기 장착위치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했을 때에 각 칸막이리브(70)가 접촉하는 도피 요부(22)가 커버(10)의 측면 4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다. 결국, 칸막이리브(70)를 도피 요부(22)에 접촉시킴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 B 에 장착한 상태의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누름버튼스위치 A 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계지클릭(21)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플레이트프레임 B 및 외장 플레이트 C 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매입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도 13a 또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플레이트 C 의 개구창(81a)으로부터는 누름버튼핸들(30)만이 노출하게 되어, 외장 플레이트 C 와 누름버튼핸들(30)과의 일체감을 갖게 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스위치 A 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금속제의 장착프레임 D 에도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착프레임 D 는 중앙에 3개용의 개구창(90)을 구비하는 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편(91)에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92)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93)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클립금구를 걸어 맞추는 클립금구계지공(94)과, 금속제의 외장 플레이트 등을 나사고정하기 위한 나사공(9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창(90)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측프레임편(96a),(96b)에는,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커버(10) 양측면에 있어서의 계지클릭(21)사이의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장착공(도시하지 않음)과 걸어 맞추는 계합클릭(97),(98)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이 중 한쪽의 측프레임편(96b)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클릭(98)을 폭이 좁은 지지편(99)으로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프레임 D 에 장착할 때에는, 측프레임편(96a)의 계합클릭(97)을 먼저 누름버튼스위치 A 의 프레임장착공에 걸어 맞춰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다른 쪽의 측프레임편(96b)의 지지편(99)을 개구창(90)측으로 구부림으로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프레임장착공에 계합클릭(98)을 걸어 맞춰서 누름버튼스위치 A 를 장착프레임 D 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벽면 등의 조영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안에는 개구부가 대략 원형인 환형의 매입박스(이른바, C형 환(丸)박스 등)가 있으나, 누름버튼스위치 A 의 크기와의 관계로 2개 이상의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나란히 배설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누름버튼스위치 A (보디(1) 및 커버(10))의 모서리부(1c)를 상하방향으로 커트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나란히 매입 배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모서리부(1c)가 커트되어 있으므로 환형의 매입박스에 간섭하는 일이 없어져서, 환형의 매입박스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복수개 나란히 매입 배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누름버튼스위치 A 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용 플레이트프레임 B 에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우의 누름버튼핸들(30)조작면의 단폭방향의 크기는,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의 길이방향의 크기의 약 3분의 1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1개의 플레이트프레임 B 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2개만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의 길이방향 크기의 약 2분의 1의 크기(2개 모듈크기)의 조작면을 가지는 누름버튼핸들(30')을 커버(10)에 부착하도록 하면 된다. 즉, 개구부(52)의 양단에 장착된 누름버튼스위치 A 의 누름버튼핸들(30')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 B 의 개구부(52)가 막히게 되므로, 외장 플레이트 C 의 개구창(81a)의 크기를 누름버튼스위치 A 의 수에 맞춰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1개의 플레이트프레임 B 에 누름버튼스위치 A 를 1개만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구부(52)와 거의 동일한 크기(3개 모듈크기)의 조작면을 가지는 누름버튼핸들(30)을 커버(10)에 부착하도록 하면 된다. 어떤 누름버튼핸들(30'),(30)도 커버(10)에 부착한 상태로, 누름버튼스위치 A 를 플레이트프레임 B 의 배면측에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공통의 플레이트프레임 B 에 대해 누름버튼스위치 A 를 1개∼3개 장착하여 스위치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장착하는 누름버튼스위치 A 의 개수에 관계없이 플레이트프레임 B 및 외장 플레이트 C 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B 대신 금속제 장착프레임 D 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레이트프레임 B 와 마찬가지로 1개, 2개, 3개의 각 모듈크기의 누름버튼핸들(30)(30'),(30)을 커버(10)에 부착하도록 하면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가지고 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애 접촉·개리시키는 접점개폐기구를 수납장착한 스위치본체와, 이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는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본체 상면에의 투영상이 스위치본체 상면과 거의 같은 크기가 되는 크기로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누름버튼핸들의 크기가 커지므로서 조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스위치본체의 상면의 거의 전부가 누름버튼핸들로 가려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접점의 개폐에 따른 아크가 보이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는 누름버튼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회동축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회동축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끼워 맞춰진 회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수단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배설하였으므로, 스위치본체에 누름버튼핸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누름버튼핸들의 비조작시에 누름버튼핸들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누름버튼핸들의 이탈이나 유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회동축 및 베어링수단을 외측으로부터 은폐시키는 수단을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배설하였으므로, 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회동축을 누름버튼핸들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배설하였으므로, 누름버튼핸들의 자유단측을 눌렀을 때에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스위치본체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개리시키는 개폐체와, 최소한 일부를 스위치본체의 상면보다 노출시켜 회동가능하게 스위치본체에 지지되는 개폐소자와, 이 개폐소자에 지지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개폐체에 걸어 맞춰져 개폐소자의 회동에 따라서 개폐체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과, 누름 조작시에 스위치본체 상면보다 노출되는 상기 개폐소자를 회동시키는 상기 누름버튼핸들로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누름버튼핸들의 조작으로 개폐소자 및 코일스프링을 통해 개폐체를 회동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개리를 행하도록 하여, 강약이 있는 조작력과 조작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개폐소자에 접촉하여 압압력을 가하는 압동리브를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압동리브의 접촉면에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누름버튼핸들을 누름 조작했을 때에 개폐소자를 회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스위치본체의 4귀퉁이의 모서리부를 상하방향으로 커트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커트된 스위치본체의 모서리부가 환형의 매입박스에 간섭하는 일이 없어져서, 환형 매입박스에 복수개를 나란히 매입 배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스위치본체를 보디와 커버로 구성하고, 이 커버의 주위에지 4귀퉁이에서 조립공이 뚫린 조립각을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보디의 양측면에 이 조립공에 걸어 맞춰지는 조립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보디와 커버의 조립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조립돌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형성하였으므로, 조립각의 선단을 조립돌기의 가이드면에 접촉시키면서 커버를 압입하므로서 가이드면을 따라서 조립각의 지름을 확대하여, 조립공을 조립돌기에 용이하게 걸어 맞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진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3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고 긴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3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3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였으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1개 또는 2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의 공통화에 의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진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거의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2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은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2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였으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할 수 있는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에 2개 장착한 경우라도 각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핸들에 의해 외장 플레이트의 개구창이 닫히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진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1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은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1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1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였으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3개 장착할 수 있는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에 1개만 장착한 경우라도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핸들에 의해 외장 플레이트의 개구창이 닫히므로, 누름버튼스위치를 2개 또는 3개 장착하는 경우와 공통의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 및 외장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가지고 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촉·개리(開離)시키는 접점개폐기구를 수납장착한 스위치본체와, 이 스위치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는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본체 상면에의 투영상(投影像)이 스위치본체 상면과 거의 같은 크기가 되는 크기로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회동축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회동축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끼워 맞춰진 회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수단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핸들의 비조작시에 누름버튼핸들을 상기 스위치본체에 걸어 맞추는 계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및 베어링수단을 외측에서 은폐시키는 수단을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누름버튼핸들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개리시키는 개폐체와, 최소한 일부를 스위치본체의 상면보다 노출시켜 회동가능하게 스위치본체에 지지되는 개폐소자와, 이 개폐소자에 지지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개폐체에 걸어 맞춰져 개폐소자의 회동에 따라서 개폐체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과, 누름 조작시에 스위치본체 상면보다 노출되는 상기 개폐소자를 회동시키는 상기 누름버튼핸들로 상기 접점개폐기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소자에 접촉하여 압압력을 가하는 압동(押動)리브를 상기 누름버튼핸들에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압동리브의 접촉면에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의 4귀퉁이의 모서리부를 상하방향으로 커트된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를 보디와 커버로 구성하고, 이 커버의 주위에지 4귀퉁이에서 조립공이 뚫린 조립각을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보디의 양측면에 이 조립공에 걸어 맞춰지는 조립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스위치.
  11.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組)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短幅)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3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고 긴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3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3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2.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진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2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고 긴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2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3. 대략 중앙부에 좁고 긴 길이방향으로 3조의 기구장착수단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한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과, 각각 단폭방향의 외형크기가 상기 개구부 길이방향의 대략 3분의 1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기구장착수단에 장착되는 1개의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좁고 긴 개구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 또는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부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와, 상기 1개의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장 플레이트 개구창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1개의 상기 누름버튼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19980018754A 1997-06-25 1998-05-25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KR19990006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266 1997-06-25
JP9169266A JPH1116448A (ja) 1997-06-25 1997-06-25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押釦スイッチ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87A true KR19990006487A (ko) 1999-01-25

Family

ID=1588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54A KR19990006487A (ko) 1997-06-25 1998-05-25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16448A (ko)
KR (1) KR19990006487A (ko)
CN (1) CN1123898C (ko)
ID (1) ID20491A (ko)
TW (1) TWM25389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9610T2 (de) 2000-04-13 2007-04-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Elektrisches Verbindungsgehäuse
KR100782057B1 (ko) 2005-12-05 2007-12-04 (주)카마다코리아 푸시락 스위치
TWI452588B (zh) * 2011-10-17 2014-09-11 Board Tech Electronic Co Ltd Switchgear
JP6478144B2 (ja) * 2014-10-17 2019-03-06 神保電器株式会社 リモコンスイッチ
CN109637869A (zh) * 2019-01-04 2019-04-16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音响面板旋钮防水防脱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4908B1 (en) * 1990-05-02 1995-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ndle operating switch
CN1123951A (zh) * 1994-11-30 1996-06-05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复式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6448A (ja) 1999-01-22
TWM253894U (en) 2004-12-21
CN1203434A (zh) 1998-12-30
ID20491A (id) 1998-12-31
CN1123898C (zh)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16664A (ja) 小型電子機器のスイッチ部基板の保持構造
KR19990006487A (ko)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JP2000311544A (ja) 押しボタン構造
US6781071B2 (en) Electrical switch actuating element
JPS6269411A (ja) スイツチ
CN110649470B (zh) 罩体以及配电板
JP2001319547A (ja) 押釦スイッチ
US5165531A (en) Trigger switch
KR100301879B1 (ko) 스위치및그스위치를사용한스위치장치
JPS6031438B2 (ja) 補聴器のバツテリ−ケ−ス
CN110649471B (zh) 罩体以及配电板
JP3404842B2 (ja) 押釦スイッチ
JPH06139903A (ja) 回路遮断器の付属装置
JPH1178572A (ja) 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0116325Y2 (ko)
KR200232043Y1 (ko) 영상표시기기의도어및도어핸들고정장치
KR20000052376A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JPH074742Y2 (ja) プッシュスイッチ機構
JPH0353198Y2 (ko)
JP3815164B2 (ja) スイッチ
KR19980030763U (ko) 스위치 노브장치
JP3111197U (ja) 線条部材の引張り固定具
JP2003249147A (ja) スイッチ
JPH04332415A (ja) スイッチ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727

Effective date: 200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