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50A -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50A
KR19980071650A KR1019980005744A KR19980005744A KR19980071650A KR 19980071650 A KR19980071650 A KR 19980071650A KR 1019980005744 A KR1019980005744 A KR 1019980005744A KR 19980005744 A KR19980005744 A KR 19980005744A KR 19980071650 A KR19980071650 A KR 1998007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ctromagnet
gap
guide ra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히꼬 까자오
노리오 타까하시
유타까 하시바
타까요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91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67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756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10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8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87162A/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7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자력을 확보하면서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자기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자력 발생 기구는 전자석 철심(51a)을 공유하는 한쌍의 여자 코일(51b)을 갖는 한쌍의 자극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자극부는 가이드 레일(4B)에 대향하여, 그 가이드 레일(4B)을 통하여 자로가 완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51a)을 각형 3자 형상으로 하고, 철심의 양 자극부에 여자 코일을 부착한 것 등 및 그 철심을 분할하여 여자 코일을 삽입하기 쉽게 한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승강기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자기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1조의 자력 발생 기구로 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이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는, 일반적으로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그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기가 원활히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기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3 방향으로 누르면서 전동하는 롤러 가이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롤러 가이드는 가이드 레일에 이음매 등의 단차가 있는 경우, 롤러 가이드에 기계적 충격이 생기고, 그 충격이 승강기에도 전달되어, 승객에 진동이나 소음 등의 불쾌감을 주게 되었다. 그래서 롤러 가이드를 대신하여, 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승강기를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안내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승강기측에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60-362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의 것은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34는 승강기측에 설치된 자력 발생 기구를 승강구측에서 본 도면이고, 승강기(1)는 로프(2)에 매달려 내려가고 승강로(3)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3) 내에는 승강기(1)의 좌우측에 가이드 레일(4A, 4B)이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승강기(1)의 상하 좌우에 각각 자력 발생 기구(5)가 부착되어 있다.
각 자력 발생 기구(5)는 가이드 레일(4A, 4B)의 승강기(1)측에 돌출한 3면 즉 선단면 및 양측면에 대향하도록 3개 1조의 전자석(51)으로 구성된다. 도 34는 각 위치에서 3개 1조의 전자석 중, 가이드 레일(4A, 4B)의 선단면에 대향하는 전자석(51) 만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석(51)은, 가이드 레일(4A, 4B)에 대향하는 측을 개방하고 자극면으로 한 일본문자 카타카나의 코자(ゴ) 형상의 철심으로 된 전자석 철심(51a)과, 그 양각부에 감아설치된 한쌍의 여자(勵磁) 코일(5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력 발생 기구(5)는, 전자석(51)을 사용한 비접촉 자기 가이드이고, 승강기(1)의 주행시, 자력 발생 기구(5)와 가이드 레일(4A, 4B) 사이의 갭(G)이, 전자석(51)의 자기력에 의해 항상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서의 자력 발생 기구(5)는, 승강기(1)의 좌우 양측면의 상하에 총 4개소에 설치되고, 또한 1조의 자력 발생 기구(5)는 3개의 전자석(51)으로 되고, 또한 각 전자석(51)에는 2개의 여자 코일(51b)이 설치되므로, 엘리베이터 1대의 승강기(1)에 대해서 보면, 전체로서, 12개의 전자석(51)과 24개의 여자 코일(51b)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전자석(51)의 양 자극은 주행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 발생 기구(5)는 가이드 레일(4A, 4B)의 길이 방향으로 큰 점유 공간을 점한다. 또한 자력 발생 기구(5)는 전자석(51)에서의 한 쌍의 자극이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으로 존재하므로, 승강기(1)가 경사진 경우, 각 자극면과 가이드 레일(4A, 4B) 사이의 간극(G)이 불균일하게 되고, 자력에 불균형을 발생시킨다. 또한, 1개의 자력 발생 기구(5)를 구성하는 3개의 전자석(51)은, 동시에 가이드 레일(4A, 4B) 사이의 간극(G)이 균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3개의 전자석(51)은 승강기(1)에 부착시, 서로 독립하여 위치 결정되므로, 설치 작업시에는, 각 전자석(51)의 자극면과 가이드 레일(4A, 4B) 사이의 간극(G) 조정에 시간이 필요하고, 조립 정밀도의 확보도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해서, 전자석의 필요한 수를 적게 하고, 주행 안내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함을 고려한다. 즉, 도 35(정면도), 도 36(평면도), 도 37(측면도) 및 도 38(자로부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A, 4B)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양 자극이 거의 수평으로 위치하는 구조의 자력 발생 기구(5A)가 그것이다. 자력 발생 기구(5A)는, 1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상하로 2개 한쌍의 여자 코일(51b, 51b)을 구비하고 있고, 승강기(1)에 대해 나사 멈춤 고정하는 고정구(5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자력 발생 기구(5A)는, 도 36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A, 4B)의 양측면 및 선단면에 각각 대향하는 자극면을 형성하고, 아라비아 숫자 3의(이하, 각형 3이라 한 경우도 있다) 글자 형상을 한 전자석 철심(51a)과, 그 양 측각부에 감아 설치된 여자 코일(51b)에 의해 전자석을 구성하고 있다. 자력 발생 기구(5A)에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각 즉 각 여자 코일마다 1개의 자로(Φ1, Φ2)가 형성되고, 중앙 각 및 가이드 레일은 공통의 자로를 형성한다.
자력 발생 기구(5A)는, 일단부가 고정구(52)를 통해서 승강기(1)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2개 한쌍의 여자 코일(51b, 51b)에 의한 실질적으로 한쌍의 전자석을 형성하고 있고,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반발력 또는 흡인력에 의해, 각 자극면과 가이드 레일(4A, 4B)의 각 대향면 사이에 소정 간극(G)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자력 발생 기구(5A)에 의한 자로(Φ1, Φ2)는 가이드 레일(4A, 4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수평면 내에 형성되고, 게다가 별도의 자로(Φ1, Φ2)에 별도로 발생된 자속은 가이드 레일(4A, 4B) 및 전자석 철심(51a)의 중앙 각의 부분에서는 합류한다.
도 35 내지 도 38에 나타낸 자력 발생 기구(5A)에 의하면, 각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A, 4B)을 자로의 일부로 하도록 전자석 철심(51a)을 공통으로 한 실질적으로 한쌍의 전자석을 구성하므로, 1대의 승강기(1)에 대해서, 상하 좌우 총 4개소에 합계 8개의 전자석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고,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전자석 개수의 대폭 삭감이 가능하게 되어,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각형 3자 형상을 한 전자석 철심(51a)의 측방각에 별도로 만들어진 여자 코일(51b)을 삽입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전자석 철심(51a)에 코일 도선을 직접 감아서 코일(51b)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코일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자 형상으로 형성한 전자석 철심으로 미리 성형한 여자 코일(51b)을 삽입하고, 그 후에 전자석 철심(51a)의 양 측방각의 자극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양 측방각을 서로 90도씩 구부리거나 성형하거나 하는 방식에 의해서 전자석(51)을 제조하여야만 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자력 발생 기구의 제조에는 막대한 노력과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했다. 즉, 이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도 3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 및 양 측각부(B51b)를 일체로 형성 가공한 후에, 양 측각부(B51b)에 코일(B51a)을 조립하고, 그 후에 자성체부(B51b)의 선단면이 안내 레일(4)과 거의 평행하여 대향하도록 구부려서 자극부를 성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필요한 자력을 확보하면서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주행 안내 장치를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행 안내 장치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어계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어계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제9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제10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에서의 검출 신호 및 공극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29는 제14 실시예에서의 단차 검출기의 다른 일 예의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3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35는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36은 도 35의 주행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37은 도 35의 주행 안내 장치의 측면도.
도 38은 도 35의 주행 안내 장치의 자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3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기 2 : 로프
4,4A,4B : 가이드 레일(안내 레일)
5A,5B : 자력 발생 기구 11a,11b,11c : 제어 장치
51a : 전자석 철심 51b : 여자 코일
Φ1, Φ2: 자로 A5 : 주행 안내 장치
A6 : 공극 검출기 A7 : 로우 패스 필터
A8 : 제어기 A9 : 단차 검출기
A10 : 차단기 A11 : 스위치
A12 : 돌출부 A51 : 전자석
A51a : 코일 A51b : 자성체부
A52 : 고정구 B5 : 주행 안내 장치
B51 : 전자석 B51a : 코일
B51b-1 : 요크부 B51b-2 : 측각부
B51c : 자극부 B52 : 고정구
B13 : 적층 강판 B13a, 13a1, 13a2 : 요크 부재
B13b, 13b1, 13b2 : 측각 부재 B13c : 자극 부재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승강로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자기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자력 발생 기구는 전자석 철심을 공유하는 한쌍의 여자 코일을 갖는 한쌍의 자극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자극부는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자로를 완결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을 각형 3자 형상으로 하고, 철심의 양 자극부에 여자 코일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승강로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자기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자력 발생 기구는 전자석 철심을 공유하는 한쌍의 여자 코일을 갖는 한쌍의 자극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자극부는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자로가 완결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을 E자 형상으로 하고, 전자석 철심의 양 측각부(側脚部)의 선단부를 자극부로 하고, 그 측각부에 여자 코일을 부착하여, 가이드 레일의 전자석 철심의 자극부에 대향하는 부분을 자극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철(凸)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을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된 적층 철심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을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된 적층 철심으로서 구성하고, 독립하여 구성된 적층 철심형의 자극부를 전자석 철심의 측각 선단부에 고정구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형 3자 형상 또는 E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의 자로중에 영구 자석을 끼어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보아 엘리베이터가 이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설되고, 각 자력 발생 기구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극을 소정 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을 연산하고, 또 각 자력 발생 기구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좌우 방향의 간극을 소정 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을 연산하여 전후 방향의 간극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에 가산하고, 또 그 가산값에 바이어스량을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얻은 가산값을 대응하는 전류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양 여자 코일에 각각 승강기의 위치 수정 또는 진동 제어를 위해 역극성의 것으로서 흘리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3자 형상 또는 E자 형상 전자석 철심의, 가이드 레일의 선단면에 대향하는 중앙 각(脚)에 구성되는 자극부에 제3 여자 코일을 감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제3 여자 코일에 일정 바이어스 전류를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제3 여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전자석 철심의 자극부와 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갭의 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3개의 여자 코일 중, 바이어스 전류는 제3 여자 코일에만 통해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의 양 측각 선단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대향하는 양 자극부를 별개 몸체의 분할형으로 구성하고, 양 자극부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측각에 여자 코일을 장착한 후, 양 자극부를 전자석 철심에 부착 고정하여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의 분할 개소가 철심 각부(脚部)의 대각선 상에 경사져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2개의 공극 검출기와, 2개의 공극 검출기 중 어느 한쪽의 검출 신호에 의해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고 한쪽의 검출 신호가 급격히 변화한 경우에는 다른 쪽의 공극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절환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 제어기는, 항상 2개의 공극 검출기 중 어느 한쪽의 검출 신호에 의해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그 한쪽의 검출 신호가 급격히 변환된 경우에는 다른 쪽의 공극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절환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안내 레일의 이음매 등의 단차 근방에서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각각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3개의 공극 검출기와,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 제어기는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 중 중앙치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의 이음매를 검출한 검출 신호가 있어도, 그 검출 신호는 공극의 제어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승강기에 동요를 주지 않는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제어기는,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 대신,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4의 발명의 작용 대신, 제어기는, 3개의 공극 검출기 검출 신호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의 이음매를 검출한 검출 신호가 있어도, 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어, 승강기에 미치는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공극 검출기 검출 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회(前回)의 검출 신호에 그 변화량을 더한 신호에 기초하는 한편 변화량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임계값 더한 신호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6의 발명에서, 제어기는,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변화량을 더한 신호에 의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한편, 변환량이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임계값을 더한 신호에 의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의 이음매를 검출한 검출 신호가 있어도, 임계값으로 억제되고 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어, 승강기에 주는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공극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와, 로우 패스 필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7의 발명에서는,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로부터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로 제거하고, 제어기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의 이음매를 검출한 검출 신호가 있어도, 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어, 승강기에 미치는 동요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안내 레일의 단차를 검출하는 단차 검출기와, 단차 검출기가 안내 레일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공극 검출기에서 검출된 전회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8의 발명에서는, 단차 검출기가 안내 레일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기는 공극 검출기에서 검출된 전회의 검출 신호에 의하여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의 이음매를 검출한 검출 신호는 공극의 제어에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승강기에 동요를 주지않게 된다.
청구항 19에 대응하는 발명은,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안내 레일을 자로(磁路)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에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요크부와 이 요크부의 양단측에 설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자극부를 형성한 측각부를 별도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양 측각부에 그 후단측으로부터 각각 코일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요크부와 양 측각부를 결합하는 제3 공정으로부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9에 대응하는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구성의 중심에 있는 전자석을 요크부와 양 측각부로 분할 성형하고, 양 측각부의 후단측으로부터 각각에 직선적으로 코일을 조립하므로, 종래에 비해서 코일의 조립이 용이하고, 코일을 조립한 후에 요크부와 양 측각부를 조합에 의해 형성하므로, 만곡(彎曲) 형상을 이루는 자성체부의 선단부를 구부려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0에 대응하는 발명은,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에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요크부와 이 요크부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직선 형태의 측각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직선 형태의 양 측각부에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양 측각부의 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자극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결합하는 제3 공정으로부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20에 대응하는 발명에 의하면, 양 측각부에 직선적으로 코일의 조립이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서 코일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자극단부는 코일을 조립한 후에 이음판을 형성하므로, 청구항 19에 대응하는 발명과 마찬가지로 양 측각부의 선단부를 구부려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1에 대응하는 발명은,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서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적층판으로 된 치수 길이가 다른 요크 부재와 이 요크 부재의 양단과 그 내측에 교호로 배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층판으로 된 치수 길이가 다른 측각 부재에 의해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별도로 각각 적층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양 측각부의 후단측으로부터 각각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요크부와 양측 각부를 조합하는 제3 공정과, 이 제3 공정 후에 요크부의 승강기 부착측으로부터 요크부와 양 측각부의 조합부를 지지하는 비자성체로 된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는 제4 공정으로부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21에 대응하는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구성의 중심인 전자석을 요크부와 양 측각부에 별도 적층하고, 양 측각부 각각에 직선적으로 코일이 조립가능하므로, 청구항 19 및 청구항 20에 대응하는 발명과 마찬가지로 종래에 비해서 코일의 조립이 용이하고, 코일을 조립한 후에 요크부와 양 측각부를 조합하므로, 양 측각부의 선단부를 구부려 만곡 형성을 이루는 자극부를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적층판의 적층에 의해 성형하므로, 철심 등으로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성형하는 청구항 19 및 청구항 20에 대응하는 발명에 비해서 전자석의 과전류 손실의 전기적 손실이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22에 대응하는 발명은,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상기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복수의 적층판으로 된 요크 부재 및 이 요크 부재의 양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직선 형태의 측각 부재를 적층하여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에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상기 요크부의 상기 승강기 부착측으로부터 요크부를 지지하는 비자성체로 된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는 제3 공정과, 이 제3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의 선단부에 별도로 적층강판을 적층하여 성형된 자극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결합하는 제4 공정으로부터 상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22에 대응하는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9, 청구항 20, 청구항 21에 대응하는 발명과 마찬가지로 양 측각부에 직선적으로 코일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서 코일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자극 단부는 코일을 조립한 후에 덧붙여 형성하므로, 양 측각부를 구부려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21에 대응하는 발명과 마찬가지로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적층판의 적층에 의해 성형하므로, 철심 등으로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성형하는 청구항 19, 청구항 20에 대응하는 발명에 비해서 전자석의 과전류 손 실 등의 전기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34 내지 도 39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에는 동일 부호(또는 관련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청구항 1에 대응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4B)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형 3자 형상을 한 전자석 철심(51a)의, 가이드 레일(4B)에 대향하는 양자극부의 직선 부분에 여자 코일(51b)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자력 발생 기구(5A) 전체는, 도 3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구(52)에 의해서 승강기(1)에 고정된다. 이 자력 발생 기구(5A)의 경우의 자로는 실질적으로 도 38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형성되고, 얻어지는 자기 특성도 완전히 동일하다. 여자 코일(51b)을 여자(勵磁)함으로써 전자석 철심(51a)의 각 자극면이 가이드 레일(4B)의 각 대향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극(G1, G2, G3)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51a)의 양 자극부에 미리 성형한 여자 코일(51b)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여자 코일(51b)을 전자석 철심(51a)에 직접 감아부착하는 방법이나 전자석 철심(51a)에 여자 코일(51b)을 삽입하고나서 전자석 철심(51a)의 양 자극부를 성형하여 각형 3자 형상으로 하는 수고가 필요없어, 여자 코일(51b)을 전자석 철심(51a)에 삽입함으로써, 자력 발생 기구(5A)를 용이하게 완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석 철심에 여자 코일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자력 발생 기구(5A)의 제조에 필요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켜,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청구항 2에 대응하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4B)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자석 철심(51a)을 E자 형상으로 하고, 이 전자석 철심(51a)의 양측방각은 가이드 레일(4B)의 측면 방향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레일(4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로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4B)의 선단부 측면에 전자석 철심(51a)의 측각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있다. 그에 의해, 전자석 철심(51a)의 양 측각의 선단부 측면과의 사이에 도 1의 경우와 동등한 간극(G2, G3)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자력 발생 기구(5A)로서의 기능은 전혀 변화지 않고, 그 제조에 있어서는, 성형된 여자 코일(51b)을 E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51a)의 양 측각의 선단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석 철심에 여자 코일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자력 발생 기구의 제조에 필요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켜,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3 내지 도 6은 청구항 3, 4에 대응하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청구항 3에 대응하는 전자석 철심(51c)을 E자 형상으로 한 경우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청구항 4에 대응하는 전자석 철심(51d)을 각형 3자 형상으로 한 경우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철도 3, 4의 실시예는, 전자석 철심(51c)을 E자 형상의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구성하였음이 특징이고, 이 전자석 철심(51c)에, 미리 성형한 여자 코일(51b)을 삽입함으로서 자력 발생 기구(5A)를 구성한다. 다른 것은 도 2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의 것과 마찬가지의 자로가 구성되고, 자력 발생 기구(5A)로서의 기능도 동일하지만, 엘리베이터의 승강기(1)가 승강로(3)를 주행하고, 가이드 레일(4B)의 변형이나 승강기(1)의 진동, 여자 코일(51b)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생기는 자속의 변화로 전자석 철심(51a)의 내부에 생길 수 있는 과전류를, 전자석 철심(51c)이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석 철심(51c)을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자석 철심(51c)의 내부 또는 표면에 생길 수 있는 과전류손을 저감할 수 있고, 저손실의 자력 발생 기구(5A)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 도 6의 실시예는, 자로의 형태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전자석 철심이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 이외에, E자 형상의 철심 본체부(51d)와 그 선단부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가이드 레일(4B)의 측면에 소정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자극부를 형성하는 부가 철심부(51e)로부터 결과적으로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을 구성한다. 부가 철심부(51e)는 철심 본체부(51d)에 대해 멈춤쇠(51f)에 의해서 부착된다. 가이드 레일(4B)은 도 1의 것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E자 형상의 철심 본체부(51d)에, 부가 철심부(51e)를 부착하기 전에 여자 코일(51b)의 삽입 작업을 할 수 있고, 그 후에 부가 철심부(51e)를 부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을 구성한다. 따라서, 과전류 손실을 저감하면서, 실시예 1, 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청구항 5에 대응하는 제4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자력 발생 기구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그 특징은 전자석 철심(51a)에 의해서 구성되는 자로(Φ1, Φ2)의 일부를 영구 자석(51g)으로 구성하고, 여자 코일(51b)의 기자력에 영구 자석(51g)의 기자력이 가산되도록 한 것에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각 자로(Φ1, Φ2)에서의 여자 코일(51b)의 기자력에 의한 발생 자속의 바이어스 성분을, 영구 자석(51g)의 발생 자속으로 둘러싸지 않고, 변동 자속분을 여자 코일(51b)의 기자력으로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여자 코일(51b)의 용량을 작게하여 그 치수를 작게 하고, 여자 코일(51b)에 흐르는 전류를 작게 하고, 그에 따르지 않는 전류 조정 장치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결과로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실현 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청구항 6에 대응하는 제5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서의 제어계의 블록도이고, 도 9는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행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1)의 좌우 양측에 자력 발생 기구(51A, 51B)가 설치되고, 좌측의 자력 발생 기구(51A)의 전자석 철심(51a1, 51b2)에 여자 코일(51b1, 51b2)가 설치되고, 우측의 자력 발생 기구(51B)의 전자석 철심(51a2)에 여자 코일(51b3, 51b4)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각 여자 코일(51b1, 51b2, 51b3, 51b4)은 파워 앰프(12a, 12b, 12c, 12d)의 출력에 의해 여자된다. 승강기(1)의 좌우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Y방향으로 하여, 승강기(1)의 X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간극의 목표값(S1), 승강기(1)의 좌측 및 우측에서의 Y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는 간격의 목표값을 S2, S3로 하고, 또 각 목표값에 대응하는 승강차(1)의 실제 간격의 검출값을 각각 G1, G21, G22로 한다.
도 8의 제어계는, 승강기(1)의 좌우 전후 위치를 올바르게 조정하기 위해, 각 간극 편차(S1-G1, S21-G21, S22-G22)를 0으로 하기 위한 신호가 제어 장치(11a, 11b, 11c)에 의해 연산된다. 바이어스 발생기(13)의 출력과 제어 장치(11a)의 출력이 가산되고, 그 합에 제어장치(11b)의 출력이 더 가산되어 파워 앰프(12a)에 입력된다. 바이어스 발생기(13)의 출력 바이어스 신호와 제어 장치(11a)의 출력의 합으로부터, 위상 반전 회로(14b)를 통하여 제어 장치(11b)의 출력을 감산하여 파워 앰프(12b)에 입력한다. 바이어스 발생기(13)의 출력으로부터 위상 반전 회로(14a)를 통하여 제어 장치(11a)의 출력을 감산하여 얻은 차와 제어 장치(11c)의 출력의 합이 파워 앰프(12c)에 입력된다. 바이어스 발생기(13)로부터의 바이어스 신호로부터 위상 반전 회로(14a)를 통하여 제어 장치(11a)의 출력을 감산하여 얻은 차이로부터 위상 반전 회로(14c)를 통하여 제어 장치(11c)의 출력을 감산하여 얻어진 차가 파워 앰프(12d)에 입력된다.
이상의 회로 구성에 의하면, 간극(G21)이 감소한 때는, 여자 코일(51b1)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 코일(51b2)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고, 자력 발생 기구(5A)의 Y방향의 자기 흡인력의 불균형에 의해, 간극이 변화한 방향과 역방향의 힘을 작용시켜, 결과로서 간극(G21)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자력 발생 기구(5B)측에서도 모두 같고, 승강기(1)는 Y방향으로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X방향의 간극(G1)이 감소한 때에는, 코일(51b1, 51b2)에 흐르는 전류가 같은 양만큼 증가하고, 코일(51b3, 51b4)의 전류가 같은 양만큼 감소하므로, 양 자력 발생 기구(5A, 5B)의 X 방향 자기 흡인력의 불균형에 의해, 승강기(1)는 간극(G1)의 변화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받고, 결과로서 간극(G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코일(51b1과 51b2 및 51b3과 51b4)의 전류의 증감은 같은 양이므로, Y방향의 자기 흡인력에 불균형이 생기지 않아, 승강기(1)는 소정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서는, 승강기(1)를 소정의 전후좌우 위치에 비접촉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X 방향 제어 전용의 파워 앰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이어스 발생기(13)도 하나로 해결되므로, 제어 시스템의 간략화가 가능하여, 결과로서 소형 경량화 및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청구항 7 내지 10에 대응하는 제6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청구항 9, 10에 대응하는 제6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어계 블록도, 도 13은 도 1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을 길이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51a)(도 10) 또는 E 자형상의 전자석 철심(51a)(도 11)의 3개의 자극부 중, 양 옆의 자극부(도 10) 또는 측각(도 11)에 부착된 주여자 코일(51b1, 51b2) 외에, 비교적 짧은 중앙 각의 자극부 철심 안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이용하여 제3 여자 코일 즉, 부여자 코일(51h)을 부가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제3 여자 코일(51h)에 흐르는 전류는, 바이어스 자속에 상당하는 일정 전류 또는 X 방향의 간극(G1)의 제어 전류의 어느 것이 흐르도록 한다.
제3 여자 코일(51h)에 일정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전자석 철심(51a)의 자로의 일부에 영구 자석(51g)을 삽입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로의 바이어스 자속 성분을 부여자 코일(51h)에서 발생시키므로, 주여자 코일(51b1, 51b2)의 용량이 작아져, 결과로서 전자석의 소형 경량·저가격화, 제어 장치의 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차(1)의 좌우 양측에 자력 발생 기구(51A, 51B)가 설치되고, 좌측의 자력 발생 기구(51A)의 전자석 철심(51a1)에 주여자 코일(51b1, 51b2) 및 부여자 코일(51h1)가 설치되고, 우측의 자력 발생 기구(51B)의 전자석 철심(51a2)에 주여자 코일(51b3, 51b4) 및 부여자 코일(51h2)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주여자 코일(51b1, 51b2, 51b3, 51b4)은 각각 파워 앰프(12a, 12b, 12c, 12d)에 의해 여자되고, 부여자 코일(51h1, 51h2)은 각각 파워 앰프(12e, 12f)에 의해 여자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승강기(1)의 X 방향의 위치 즉, 간극(G1)은 제어 장치(11a)의 출력만에 의해 제어되고, 좌우 양측에서 Y 방향 위치 즉, 간극(G21, G22)은 제어 장치(11b, 11c)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1a)의 출력과 바이어스 발생기(13)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에 의해 파워 앰프(12e)를 통하여 부여자 코일(51h1)이 제어된다. 제어 장치(11a)의 출력을 위상 반전 회로(14a)를 통하여 반전한 신호와 바이어스 발생기(13)의 출력을 가산한 신호에 의해 파워 앰프(12f)를 통하여 부여자 코일(51h2)이 제어된다. 제어 장치(11b)의 출력에 의해 파워 앰프(12a)를 통하여 주여자 코일(51b1)이 제어된다. 제어 장치(11c)의 출력을 위상 반전 회로(14c)를 통하여 반전한 신호에 의해 파워 앰프(12d)를 통하여 주여자 코일(51b4)이 제어된다.
Y 방향 간극(G21, G22)이 목표값(S21, S22)으로부터 어긋나면, 그 편차에 따라서 제어 장치(11b, 11c)의 출력에 변화가 생기고, 각각 편차를 없애도록 주여자 코일(51b1 ~ 51b4)의 여자 전류를 제어하고, 각 자력 발생 기구(51A, 51B)에서의 간극의 자기 흡인력을 제어하여, 승강기(1)를 Y방향의 안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또한, X 방향 간극(G1)이 목표값(S1)으로부터 어긋나면, 그 편차에 따라서 제어 장치(11a)의 출력에 변화가 생기고, 편차를 없애도록 부여자 코일(51h1, 51h2)의 여자 전류를 제어하고, 자력 발생 기구(51A, 51B)에서의 간극의 자기 흡인력을 제어하여, 승강차(1)를 X 방향의 안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X 방향 및 Y방향의 제어를 독립하여 행할 수 있고, 제어상의 X-Y 제어계의 간섭을 없애, 결과로서 제어 장치가 간이해지고, 조정도 간단해진다.
(제7 실시예)
도 14 및 도 15는 청구항 11에 대응하는 제7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의 주행 안내 장치에서, 전자석 철심(51a)의 가이드 레일(4B)에 대향하는 자극부(51j)를 별도 부재로서 구성하고, 측각에 여자 코일(51b)을 장착하고, 그 후에 자극부(51j)를 부착하는 볼트(51k)d 의해 측각에 부착된 것이다.
도 15는 전자석 철심(51a)을 요크부로부터 측각부에 이르는 부분에서 직각으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분할한 상태로 측각부에 배면측에 여자 코일(51b)을 장착하고, 그 후에 측각부를 요크부에 부착한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청구항 12에 대응하는 제8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전자석 철심(51a)을, 측각부와 옆쪽 자극부 사이의 경계부(51m)에 경사지게 절단하여 구성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도 14의 전자석 철심과 대략 등가이지만, 도 16의 실시예 쪽이 절단부(51m)에서의 자기 저항이 적어져, 자속이 지나가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분할된 상태로 측각부에 여자 코일(51b)을 장착하고, 그 후에 자극부(51j)을 부착하는 볼트(51k)에 의해 측각부에 부착한 것이다.
도 17은 전자석 철심(51a)을 배면측의 요크부와 측각부 사이의 경계부(51m)에 경사지게 절단하여 구성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도 15의 전자석 철심과 대략 등가이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절단의 도 17 실시예 쪽이 절단부에서의 자기 저항이 조금 작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철심의 절단 위치와 절단면은 각각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 외에, 여자 코일(51b)의 삽입이 용이하면 되고, 어떤 위치, 어떠한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자석 철심(51a)을 적당한 위치에서 분할하고, 여자 코일(51b)를 삽입 부착한 후, 볼트(51k)에 의해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전자석 더나아가서는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시간 및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8a는 일부 측면도, 도 18b는 그 평면도이다.
주행 안내 장치(A5)는, 안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주행 안내 장치(A5)의 전자석(A51)은, 자성체부(A51b)에 코일(A51a)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 자성체부(A5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3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A51b)의 단부에는, 자성체부(A51b)와 안내 레일(4)의 공극(g)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A6)이 설치되어 있다. 공극 검출기(A6)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된 3면 각각에 설치되고,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면에는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유지하여 상하 한 쌍의 2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가 설치되어 있다. 결국, 합계 6개의 공극 검출기(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석(A51)은 고정구(A52)로 승강기(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공극 검출기(A6)에서 검출된 공극(g)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제어기(A8)가 설치되고, 코일(A51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조정함으로써 공극(g)을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제어기(A8)는, 항상 2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중 어느 한 쪽의 검출 신호에 의해 공극(g)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A51)의 자기력을 제어하고, 그 한쪽의 검출 신호가 급격히 변화한 경우는, 다른 쪽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절환하여 제어한다.
결국, 이 제9 실시예에서는, 상하 한쌍의 공극 검출기(A6a, A6b)가 승강 방향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하 한쌍의 공극 검출기(A6a, A6b)의 하나, 예를 들어 공극 검출기(A6a)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바로 하나의 공극 검출기(A6b)는 단차를 검출하지 않는다. 그래서, 안내 레일(4)의 이음매 검출 신호를 공극(g)의 제어에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9는 제9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9a는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19b는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검출기(A6b)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c는 전자석(A51)의 자성체(A51b)와 안내 레일(4)의 공극(g)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신호를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g)의 제어에 이용하고 있고,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의 근방을 통과하면, 전자석(A51)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신호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히 변화한다. 이 때,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는,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신호가 급격히 변화한 때에,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g)의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를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fh부터의 신호로 절환한다. 그 결과,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기(1)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후에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이 단차를 검출한 경우는, 마찬가지로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신호를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승강차(1)가 하강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g)의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승강기(1)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 제10 실시예는, 도 18에 나타낸 제9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를 설치하고, 제어기(A8)는,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에 의하여 공극(g)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A51)의 자기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도 20에서, 주행 안내 장치(A5)는, 안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주행 안내 장치(A5)의 전자석(A51)은, 자성체부(A51b)에 코일(A51a)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 자성체부(A5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3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A51)의 자성체부(A51b)의 단부에는, 자성체부(A51b)와 안내 레일(4)의 공극(g)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A6)가 설치되어 있다. 공극 검출기(A6)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한 3면 각각에 설치되고,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면에는 승강 방향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하로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가 설치되어 있다. 결국, 합계 9개의 공극 검출기(A6)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석(A51)은 고정구(A52)로 승강기(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공극 검출기(A6)에서 검출된 공극(g)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제어기(A8)가 설치되고, 코일(A51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조정함으로써 공극(g)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제어기(A8)는,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에 기초하여 공극(g)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A51)의 자기력을 제어한다.
결국, 이 제10 실시예에서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된 3면 각각에 3개씩 배설된 공극 검출기(A6a, A6b, A6c)가 승강 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유지하여 배설되어 있으므로,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의 하나, 예를 들어 공극 검출기(A6a)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그 외의 공극 검출기(A6b, A6c)는 단차를 검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3개의 검출 신호의 중앙값을 선택하여 공극(g)의 제어를 행하므로, 안내 레일(4)의 이음매의 검출 신호는 공극(g)의 제어에 사용하지 않는다.
도 21은, 제10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21a는 전자석(A51)의 상부에 배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1b는 전자석(A51)의 중간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1c는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c)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1d는 전자석(A51)의 자성체부(A51)와 안내 레일(4)의 공극(g)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0 실시예에서는, 제어기(A8)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한 3면 각각에 3개씩 배설된 공극 검출기(A6a, A6b, A6c)로부터의 검출 신호 중, 값이 제일 중앙인 검출 신호를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한다.즉,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 근방을 통과하면,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히 변화한다. 이 때, 전자석(A51)의 중간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 및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c)는, 도 21b 및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공극 검출기(A6a, A6b, A6c)로부터의 검출 신호 중 값이 제일 중앙인 검출 신호는, 안내 레일(4)의 이음매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검출 신호로 된다. 따라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검출 신호는, 그 값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 검출 신호로 된다. 결국, 값이 급격히 변화한 전자석(A51) 상부에 배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신호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후에, 전자석(A51)의 중간부에 배치된 공극 검출기(A6b)나 전자석(A51)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c)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승강기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승강기(1)가 하강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승강기(1)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이 제11 실시예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제10 실시에에 대한 것으로서, 제어기(A8)는,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의 검출 신호의 평균값에 의해, 공극(g)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A51)의 자기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도 22에서, 도 22a는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a)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2b는 전자석(A51)의 중간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2c는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c)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d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1 실시예에서는, 제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대하여 돌출된 3면 각각에 3개씩 공극 검출기(A6a, A6b, A6c)가 승강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 제어에는, 3개의 공극 검출기(A6a, A6b, A6c)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평균값으로 된 신호를 이용한다.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의 단차의 근방을 통과한 때,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전자석(A51)의 상부에 설치한 공극 검출기(A6a)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출한다. 한편, 도 22b 및 도 2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의 공극 검출기(A6b, A6c)는 단차를 검출하고 있지 않고,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이들의 평균값이므로, 도 2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화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후에, 전자석(A51)의 중간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b)나 전자석(A51)의 하부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c)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승강기(1)가 하강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3a는 일부 측면도, 도 23b는 그 평면도이다. 이 제12 실시예는, 도 18에 나타낸 제9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공극 검출기(A6)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한 3면에 대해 각각에 1개씩으로 하고, 제어기(A8)는 공극 검출기(A6)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에 의해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도 23에서, 주행 안내 장치(A5)는, 안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주행 안내 장치(A5)의 전자석(A51)은, 자성체부(A51b)에 코일(A51a)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 자성체부(A51b)는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3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A51)의 자성체부(A51b)의 단부에는, 자성체부(A51b)와 안내 레일(4)의 공극(g)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A6)가 설치되어 있다. 공극 검출기(A6)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된 3면에 대하여, 각각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석(A51)은 고정구(A52)로 승강기(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공극 검출기(A6)에서 검출된 공극(g)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제어기(A8)가 설치되어, 코일(A51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조정함으로써 공극(g)을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제어기(A8)는, 공극 검출기(A6)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때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변화량을 더한 신호에 의해 공극(g)의 제어를 행하고, 한편, 변화량이 임계값을 넘는 때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임계값을 더한 신호에 의해 공극의 제어를 행한다.
도 24는, 제12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24a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4b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 도 24c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이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는 때에,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주행한 경우에 공극 검출기(A6)는 단차를 검출하여, 그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히 변화한다. 이 때, 제어기(A8)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을 항상 관찰한다. 검출 신호의 변화량은 전회의 검출 신호와 이번 회의 검출 신호의 비교로 행하고,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는, 1 스텝 전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을 더한 신호를 이용한다.
이 경우, 그 변화량이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경우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더한 변화량은 이 소정 임계값으로 한다. 결국, 변화량이 임계값을 넘는 때는 그 임계값을 제한값으로 한다. 따라서, 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 제13 실시예는, 공극 검출기(A6)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한 3면에 대해 각각 1개씩으로 하고,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A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게 한 것이다.
도 25에서, 전자석(A51)의 근방에 설치된 공극 검출기(A6)의 검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A7)를 통하여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고, 제어기(A8)는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제거한 신호를 제어기(A8)에 입력하여,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를 행한다.
도 26은, 제13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 얻은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26a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 얻은 검출 신호, 도 26b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로우 패스 필터(A7)를 통하여 얻어진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기(1)가 승강 중에,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 근방을 통과하는 경우에 공극 검출기(A6)는 이 단차를 검출한다. 이 검출 신호는,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히 변화한다. 한편,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A7)를 통함으로써,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어,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의 급격한 변화는 완화된다. 따라서,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A7)를 통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 제14 실시예는, 공극 검출기(A6)는 안내 레일(4)의 승강기(1)에 돌출한 3면에 대해 각각에 1개씩 설치되고, 공극 검출기(A6)에 더하여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하는 단차 검출기(A9)를 설치하고, 단차 검출기(A9)가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한 때는, 제어기(A8)는 공극 검출기(A6)에서 검출된 전회의 검출 신호에 의해 공극의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도 27에서, 공극 검출기(A6)의 근방에는,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지하는 단차 검출기(A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차 검출기(A9)는 광학적인 검지기로 구성되고, 또, 안내 레일(4)의 이음매 근방에 차단기(A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차단기(A10)는,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단차 근방을 통과할 때에, 단차 검출기(A9)가 그 위치가 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단차 검출기(A9)가 차단기(A10)의 위치에 오는 때 그 차단기(A10)를 검출하여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 28은, 제14 실시예에서의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28a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A6)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8b는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지하는 단차 검출기(A9)로부터의 검출 신호, 도 28c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기(1)가 상승하고 있을 때,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 근방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공극 검출기(A6)에 의해 그 안내 레일(4)의 단차가 검출되고,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신호는 급격히 변화한다. 한편, 단차 검출기(A9)도 그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출하고,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안내 레일(4)에 부착된 차단기(A10)의 위치에 단차 검출기(A9)가 온 때,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적 검지기인 단차 검출기(A9)로부터의 광신호가 차단되어, 단차 검출기(A9)는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지한다.
제어기(A8)는, 단차 검출기(A9)가 안내 레일(4)의 단차를 검지한 경우에는, 전자석(A51)과 안내 레일(4)의 공극 제어에는, 공극 검출기(A6)가 이번 회에 검출한 검출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공극 검출기(A6)가 전회에 검출한 검출 신호, 요컨대, 1스텝 전의 제어에 이용한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극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신호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안내 레일(4)의 이음매 등의 단차를 검지하는 단차 검출기(A9)로서, 광학적인 검지기를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인 스위치(A11)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A11)가 돌출부(A12)에 접촉함으로써 단차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스위치(A11)는 전자석(A51)의 공극 검출기(A6) 근방에 설치하고, 또, 안내 레일(4)의 이음매 근방에 단차와 스위치(A11)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돌출부(A12)를 배치한다.
즉, 주행 안내 장치(A5)가 안내 레일(4)의 이음매 근방을 통과할 때에, 돌출부(A12)에 의해 스위치(A11)의 스위칭이 되어 안내 레일(4)의 이음매를 검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A11)와 돌출부(A12)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광학적인 검지기인 단차 검출기(A9)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자성체, 여기서는 철심으로 된 요크부(B51b-1)와 그 양단측에 배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안내 레일측에 돌출시켜 자극부를 형성한 철심으로 된 측각부(B51b-2)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고, 양 측각부(B51b-2)에 그 후단측에서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로 미리 감아 고정시킨 코일(B51a)을 삽입하고, 그 후 도 30c에 나타낸 바와 전체가 3자 형상으로 되도록 요크부(B51b-1)에 양 측각부(B51b-2)를 맞대어 볼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양 측각부(B51b-2)의 안내 레일에 대향하는 자극부 선단을 기계 가공에 의해 치수를 맞추어, 일체 구성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전자석(B51)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B51)의 각 코일(B51)의 조립 작업은 볼트 체결 전에 직선상의 양 측각부(B51b-2)에 삽입하면 되므로, 조립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5 실시예에서는 요크부(B51b-1)와 양 측각부(B51b-2)를 볼트에 의한 체결에 의해 행하였지만, 용접이나 접착에 의한 방법이어도 된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6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요크부(B51b-1)와 이 요크부(B51b-1)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직선상의 측각부(B51b-2)가 자성체, 여기서는 철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상태로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상의 측각부에 별도로 미리 감아 고정된 코일(B51)을 삽입하고, 그 후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각부의 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자극 부재(B50c)를 그 단면을 서로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자극 부재(B51c)의 안내 레일에 대향하는 선단부를 기계 가공에 의해 치수를 맞춤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주행 안내 장치의 전자석(B51)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B51)의 각 코일(B51a)의 조립 작업은, 자극 부재(B51c)의 볼트 체결전에 직선상의 측각 부분에 코일을 삽입하면 되므로, 제1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립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6 실시예에서는, 측각부(B51b-2)의 선단부에 자극 부재(B51c)를 볼트에 의한 체결에 의해 행하였지만, 용접이나 접착에 의한 방법이어도 된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적층 강판으로 된 길이가 다른 요크부(B51b-1, B51b-2)와, 그 양단과 내측에 배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킨 적층 강판으로 된 길이가 다른 측각 부재(B13b1, B13b2)에 의해 구성되고, 도 32b, 도 3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측각 부재(B13b1, B13b2)를 교호로 각각 적층함으로써, 요크부(B51b-1) 및 양 측각 부재(B51b-2)를 별도로 형성하고, 다음에 양 측각 부재(B13b1, B13b2)에 그 후단측에 미리 별도로 감아 고정시킨 코일(B51a)을 삽입한다.
코일(B51a)의 삽입 후, 도 3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부(B51b-1)와 양 측각 부재(B51b-2)를 조합시켜, 요크부(B51b-1)의 배면측, 요컨대 승강기 부착 측으로부터 요크부(B51b-1)와 양 측각부(B51b-2)의 조합부를 포함하는 상하면부를 파지하는 비자성재로 된 고정구(B52)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양 측각 부재(B51b-2)의 선단부에 형성된 자극단부(B51c)를 기계 가공에 의해 치수를 맞춤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주행 안내 장치의 전자석(B51)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B51)의 각 코일(B51a)의 조립 작업은, 요크부(B51b-1)의 조합 전에 양 측각 부재(B51b-2)에 코일을 삽입하면 되므로, 조립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7 실시예에서는, 요크부(B51b-1) 및 양 측각 부재(B51b-2)를 복수의 적층 강판(B13)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5, 제16 실시예에 비하여 전자석(B51)의 과전류 손실 등의 전기적 손실을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8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적층 강판으로 된 요크 부재(B13a) 및 이 요크 부재(B13a)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직선상의 측각 7부재(B13b)가 일체로 성형되고, 도 3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 부재(B13a) 및 측각 부재(B13b)를 적층함으로써, 요크 부재(B51b-1) 및 양 측각부(B51b-2)를 일체로 구성하고, 이 상태로 직선상의 측각부에 별도로 미리 감아 고정된 코일(B51a)을 삽입하고, 그 후 도 3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부(B51b-1)의 배면측, 요컨대 승강기 부착측으로부터 요크부(B51b-1)의 상하면부를 파지하는 비자성재로 된 고정구(52)에 의해 고정된다.
그 후, 양 측각 부재(B51b-2)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凹部)를 별도로 적층 강판으로 된 자극 부재(B13c)를 적층하여 형성된 자극부(B51c)에 설치된 창부(窓部)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자극부(B51c)의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최종적으로는 자극부(B51c)의 안내 레일에 대향하는 선단부를 기계 가공에 의해 치수를 맞춤으로써, 일체로 성형된 주행 안내 장치의 전자석(B51)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B51)의 각 코일(B51a)의 조립 작업은, 양 측각 부재(B51b-2)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를 자극부(B51c)의 창부에 삽입하기 전에 양 측각부(B51b-2)의 직선 형상부에 코일(B51c)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8 실시예에서는, 요크부(B51b-1) 및 그와 일체의 양 측각부(B51b-2)는 복수의 적층 강판(B13)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5, 제16 실시예에 비하여 제1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석(B51)의 과전류 손실 등의 전기적 손실을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에 의하면, 승강기에 부착되는 주행 안내 장치의 전자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시간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고, 또한, 제조 장치도 간략화할 수 있고, 조정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에 의하면, 주행 안내 장치가 안내 레일의 이음매 등의 단차 근방을 통과할 때에,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가 급격히 변화한 경우에도, 전자석과 안내 레일의 공극 제어에 이용하는 신호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의 안내 지지를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어, 실제 사용시 얻는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자석의 양 측각부에 코일을 조립하는 조작이 용이하여, 제조에 관한 시간 및 비용이 삭감될 수 있어, 실제 사용할 때 큰 효과를 얻는다.

Claims (22)

  1. 승강로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력 발생 기구는 전자석 철심을 공유하는 한쌍의 여자(勵磁) 코일을 갖는 한쌍의 자극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자극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자로가 완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철심을 각형 3자 형상으로 하고, 철심의 양 자극부에 상기 여자 코일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2. 승강로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소정 공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력 발생 기구는 전자석 철심을 공유하는 한쌍의 여자 코일을 갖는 한쌍의 자극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자극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자로가 완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철심을 E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전자석 철심의 양 측각부(側脚部)의 선단부를 자극부로 하고, 그 측각부에 상기 여자 코일을 부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전자석 철심의 자극부에 대향하는 부분을 자극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철(凸)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3. 청구항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철심을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된 적층 철심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철심을 얇은 자성 철판을 적층하여 된 적층 철심으로서 구성하고, 독립하여 구성된 적층 철심형의 자극부를 상기 전자석 철심의 측각의 선단부에 고정구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형 3자 형상 또는 E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의 자로중에 영구 자석을 끼어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보아 엘리베이터가 이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설되고, 상기 각 자력 발생 기구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극을 소정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을 연산하고, 또 상기 각 자력 발생 기구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좌우 방향의 간극을 소정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을 연산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간극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에 가산하고, 또 그 가산값에 바이어스량을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얻은 가산값을 대응하는 전류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양 여자 코일에 각각 승강기의 위치 수정 또는 진동 제어를 위해 역극성의 것으로서 통해 흘리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3자 형상 또는 E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면에 대향하는 중앙 각에 구성되는 자극부에 제3 여자 코일을 감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8. 청구항 7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여자 코일에 일정 바이어스 전류를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9. 청구항 7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여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전자석 철심의 자극부와 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갭의 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3개의 여자 코일 중, 바이어스 전류는 상기 제3 여자 코일에만 통해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1.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형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의 양 측각 선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대향하는 양 자극부를 별개 몸체의 분할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양 자극부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각 측각에 여자 코일을 장착한 후, 상기 양 자극부를 상기 전자석 철심에 부착 고정하여 3자 형상의 전자석 철심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자석 철심의 분할 위치가 철심 각부(脚部)의 대각선 상에 경사져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3. 승강로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과의 사이에 일정 공극을 유지하여 상기 승강기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2개의 공극 검출기와, 상기 2개의 공극 검출기 중 어느 한쪽의 검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고 상기 한쪽의 검출 신호가 급격히 변화한 경우에는 다른 쪽의 공극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절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4. 승강로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과의 사이에 일정 공극을 유지하여 상기 승강기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각각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고 상기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3개의 공극 검출기와, 상기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에 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5. 청구항 14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 중 중앙값 대신, 상기 3개의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의 평균값에 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6. 승강로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전자석의 자기력에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사이에 일정 공극을 가지고 상기 승강기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상기 공극 검출기의 검출 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변화량을 더한 신호에 의하는 한편 상기 변화량이 상기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전회의 검출 신호에 그 임계값을 더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7. 승강로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사이에 일정 공극을 유지하여 상기 승강기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상기 공극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8. 승강로에 부착된 안내 레일을 따라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기에 일단부가 고착되고, 타단부는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과의 사이에 일정 공극을 유지하여 상기 승강기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승강 방향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설되고 상기 전자석의 자성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공극 검출기와, 상기 안내 레일의 단차를 검출하는 단차 검출기와, 상기 단차 검출기가 상기 안내 레일의 단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공극 검출기에서 검출된 전회의 검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공극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19.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상기 안내 레일을 자로(磁路)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요크부와 이 요크부의 양단측에 설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자극부를 형성한 측각부를 별도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에 그 후단측으로부터 각각 코일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상기 요크부와 양 측각부를 결합하는 제3 공정으로부터 상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상기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안내 레일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요크부와 이 요크부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직선 형태의 측각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상기 직선 형태의 양 측각부에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의 단부에 별도로 성형된 자극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결합하는 제3 공정으로부터 상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21.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서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상기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적층판으로 된 치수 길이가 다른 요크 부재와 이 요크 부재의 양단과 그 내측에 교호로 배치되고, 또 선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층판으로 된 치수 길이가 다른 측각 부재에 의해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별도로 각각 적층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의 후단측으로부터 각각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상기 요크부와 양 측각부를 조합하는 제3 공정과, 이 제3 공정 후에 상기 요크부의 상기 승강기 부착측으로부터 요크부와 양 측각부의 조합부를 파지하는 비자성체로 된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는 제4 공정으로부터 상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22.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에 고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승강로를 따라 부착된 안내 레일에 대해 공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또 상기 안내 레일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복수의 적층판으로 된 요크 부재 및 이 요크 부재의 양단측에 일체로 성형된 직선 형태의 측각부재를 적층하여 요크부 및 양 측각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에 코일을 조립하는 제2 공정과, 이 제2 공정 후에 상기 요크부의 상기 승강기 부착측으로부터 요크부를 파지하는 비자성체로 된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는 제3 공정과, 이 제3 공정 후에 상기 양 측각부의 선단부에 별도로 적층 강판을 적층하여 성형된 자극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결합하는 제4 공정으로부터 상기 전자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KR1019980005744A 1997-02-24 1998-02-24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71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13297A JPH10236748A (ja) 1997-02-24 1997-02-24 エレベータの走行案内装置
JP39132 1997-02-24
JP247563 1997-08-29
JP24756397A JPH1171067A (ja) 1997-08-29 1997-08-29 エレベータの走行案内装置
JP246866 1997-09-11
JP24686697A JPH1187162A (ja) 1997-09-11 1997-09-11 エレベータの走行案内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50A true KR19980071650A (ko) 1998-10-26

Family

ID=2729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744A KR19980071650A (ko) 1997-02-24 1998-02-24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80071650A (ko)
CN (1) CN1111501C (ko)
TW (1) TW4424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82A (zh) * 2018-12-21 2019-04-05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电磁导靴以及使用该电磁导靴的电梯导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744B2 (ja) * 2003-08-08 2009-05-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2010260677A (ja) * 2009-05-0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磁気ガイド装置
JP5773667B2 (ja) * 2011-01-31 2015-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磁石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の磁気ガイド装置
EP3388709B1 (de) * 2017-04-13 2021-01-06 Wölfel Engineering GmbH & Co. KG. Schwingungsdämpferanordnung
EP3527524B1 (en) 2018-02-15 2021-01-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actuator
US10889467B2 (en) 2018-05-08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ation based on distance of magnet assembly to rail
EP3587327B1 (en) * 2018-06-28 2020-10-14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actuator electromagnetic guidance
JP7299107B2 (ja) * 2019-08-23 2023-06-27 三機工業株式会社 搬送台車用のガイド機構、及び仕分けコンベ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82A (zh) * 2018-12-21 2019-04-05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电磁导靴以及使用该电磁导靴的电梯导向***
CN109573782B (zh) * 2018-12-21 2023-12-12 杭州优迈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导靴以及使用该电磁导靴的电梯导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0806A (zh) 1999-03-17
TW442436B (en) 2001-06-23
CN1111501C (zh)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082A (en) Linear motor elevator system
KR940009410B1 (ko) 리니어모터(linear motor)엘리베이터
JP4927892B2 (ja) 特に乗客搬送用のエレベータ
KR950004323B1 (ko) 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
EP2611011B1 (en) Linear motor
US8384252B2 (en) Linear motor
US7944095B2 (en) Linear motor with integrally formed stator
EP3373428B1 (en) Electric linear motor for an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1193847B1 (en) Slider unit with built-in moving-coil linear motor
KR100775423B1 (ko) 도어시스템
KR100964539B1 (ko) 선형 전동기
KR19980071650A (ko)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5186165A (ja) リニアモータ駆動方式エレベータ装置
US7498700B2 (en) Linear drive system
US10138091B2 (en) Variable linear motor gap
CN1319256C (zh) 驱动装置
KR101798548B1 (ko) 선형 전동기
JPH10236748A (ja) エレベータの走行案内装置
JPH05207726A (ja) リニアモータ
KR101101884B1 (ko) 자기부상용 액추에이터와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 베어링 및 자기부상장치
EP3666715A1 (en) Electric linear motor and elevator
KR20210056032A (ko) 엘리베이터용 리니어 모터
JP5773667B2 (ja) 磁石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の磁気ガイド装置
JPH0515011A (ja) 磁気浮上式走行装置
KR100231819B1 (ko) 리니어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